KR101120790B1 - 용지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790B1
KR101120790B1 KR1020057025178A KR20057025178A KR101120790B1 KR 101120790 B1 KR101120790 B1 KR 101120790B1 KR 1020057025178 A KR1020057025178 A KR 1020057025178A KR 20057025178 A KR20057025178 A KR 20057025178A KR 101120790 B1 KR101120790 B1 KR 10112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ocessing
cutting
uni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9721A (ko
Inventor
류이치 오오타
히데키 오이와
아키라 와다
Original Assignee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83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85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8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393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8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24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33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6761B2/ja
Application filed by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프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8Means for changing the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9/00Cutting apparatus combined with punching or perforating apparatus or with dissimilar 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8Folding in combination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525Operation controlled by detector means responsive to work
    • Y10T83/541Actuation of tool controlled in response to work-sensing means
    • Y10T83/543Sensing means responsive to work indicium or irregula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647With means to convey work relative to tool station
    • Y10T83/6476Including means to move work from one tool station to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용지를 반송하면서 용지에 가공을 실행하는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 장치 본체(10)와, 용지를 1장씩 반송하는 반송 수단(2)과, 반송 수단을 구동하는 반송 구동 수단과, 반송 수단으로 구성된 반송 경로(20)의 도중에 설치되어, 용지에 가공을 실행하는 가공 장치부(4A, 4B, 4C)와, 가공 장치부를 구동하는 가공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가공 장치부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용지 가공 장치{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용지(用紙)를 반송(搬送)하면서 용지에 가공을 실행하는 용지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용지를 반송하면서 용지를 가공하는 용지 가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용지 가공 장치에서는, 용지 공급 장치부에 의해, 용지를 1장씩 반송해서 장치 본체에 보내주고, 장치 본체에서, 용지를 반송하면서, 반송 방향이나 직행 방향으로 재단(裁斷) 가공하거나, 절곡(折曲) 형상을 형성 가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는, 재단 수단이나 절곡 형상 형성 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그 위치를 제어한다고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용지를 재단해서 소정 치수의 카드(card)를 얻는 재단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재단 장치부를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로운 유닛(unit)으로 구성하고, 그 유닛을 복수 마련하여, 각각의 유닛의 재단용 둥근 칼날을 카드의 각종 치수에 각각 대응시켜서 배치시켰다고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 3에는, 재단 가공이나 전단(剪斷) 가공을 실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 5에는,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 및 재단에 의해 생긴 가윗밥(cutting waste)을 반송 경로의 밖으로 배제하는 가윗밥 배제 수단을 구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6에는, 용지 공급 장치부에 있어서 용지를 1장씩 흡착해서 반송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7에는, 용지 공급 장치부에 있어서 용지의 송출 롤러(feeding roller)의 회전 축을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용지를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용지 공급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1-23270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평10-76495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개 평8-290392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공 소53-36636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개 평10-146796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국 특개2000-34052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국 특개2001-335166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용지 가공 장치에 있어서는, 가공 수단의 마모나 마멸(磨滅) 때문에, 가공 수단의 교환이 필요하게 될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특허 문헌 1의 장치에서는, 장치의 일부를 분해해서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교환 작업에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하고, 또한 교환 작업 중에는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용지 가공 장치에 있어서, 많은 종류의 가공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 많은 종류의 가공 수단을 설치하면, 장치가 대형화된다. 한편, 많은 종류의 가공 수단 중에는, 사용 빈도가 별로 없는 것이 있다는 것이 실상이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장치에서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재단용 둥근 칼날을 갖춘 유닛에 의해, 용지를 소정의 위치에서 재단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위치에서 재단하기 위해서는 다른 유닛이 필요하며, 재단 치수에 따라서 유닛을 다수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종래의 용지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가윗밥 배제 수단은,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용지의 폭 방향)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재단 위치가 바뀌고, 그것에 따라 가윗밥의 발생 위치가 변해버리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가윗밥이 배제되지 않은 채 용지 배출부에 배출되어, 용지 배출부에서 가윗밥을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2) 가윗밥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가윗밥 발생 위치가 바뀔 때마다, 가윗밥 배제 수단의 위치를 수작업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용지 가공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용지를 반송 방향으로 재단하는 가공은, 용지의 일단(一端)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해서 실행된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1, 6의 용지 공급 장치부에서는, 용지의 일단 가장자리를 안내부에 따르게 해서 용지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지 가공 장치에서는, 용지의 인쇄 영역(인쇄된 영역)이 정상(正常)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이상(異常)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문제가 있다. 즉, 도 37에 있어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100)의 인쇄 영역(101)이 용지(100)의 끝 가장자리(111)에 대하여 경사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끝 가장자리(111)를 기준으로 하는 반송 방향의 재단이, (b)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영역(101)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실행되고, 또한 끝 가장자리(112)를 기준으로 하는 반송 방향에 대한 직행 방향의 재단도, (c)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영역(101)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실행되고, 그 결과,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영역(101)이 끝 가장자리(111, 112)에 대하여 경사 위치로 있는 용지(100)가 얻어지게 된다.
특허 문헌 7의 기술은, 도 37에 나타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지만, 용지 공급 장치부에, 용지의 끝 가장자리를 규제하는 판이 설치되어 있어, 이 판이 경사 상태에서의 용지 공급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되므로, 상기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반송을 안정시켜 실행할 수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가공 수단의 교환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수고를 저감(低減)할 수 있는 용지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가공 수단의 위치가 이동 가능해서, 1개의 유닛으로 복수의 가공 치수에 대응할 수 있는 용지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더욱이, 용지의 인쇄 위치에 변위가 있을 경우라도 적절한 가공을 실행할 수 있는 용지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많은 종류의 가공 기능을 가지면서도 장치가 대형화하는 일이 없는 용지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가윗밥의 발생 위치가 바뀌어도, 가윗밥 배제 수단의 위치를 수작업으로 변경하는 일 없이, 가윗밥을 확실하게 반송 경로로부터 배제할 수 있는 용지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끝 가장자리에 대하여 경사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을 갖는 용지를 가공하여 끝 가장자리에 대하여 평행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을 가진 용지를 얻을 수 있는, 용지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용지를 반송하면서 용지에 가공을 실행하는 용지 가공 장치에 있어서, 장치 본체와, 용지를 1장씩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반송 수단을 구동하는 반송 구동 수단과, 반송 수단으로 구성된 반송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용지에 가공을 실행하는 가공 장치부와, 가공 장치부를 구동하는 가공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가공 장치부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가공 장치부가, 용지에 대하여 소정 내용의 가공을 실행하는 제1형(型) 가공 장치부이며, 제1형 가공 장치부가, 용지에 대하여 소정 내용의 가공을 실행하는 가공 수단과, 가공 수단을 임의의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추고 있다.
(2) 상기 가공 장치부가, 임의로 선택한 내용의 가공을 실행하는 제2형 가공 장치부이며, 제2형 가공 장치부가, 임의로 선택한 내용의 가공을 실행하는 가공 수단을 갖추고 있고, 장치 본체에는, 제2형 가공 장치부의 가공 수단의 종별(種別)을 검지하는 가공 종별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3) 상기 구성 (2)에 있어서, 제2형 가공 장치부가, 가공 수단을 임의의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추고 있다.
(4) 상기 구성 (1)에 있어서, 제1형 가공 장치부의 가공 수단이,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에 미싱 눈(perforation)을 형성하는 미싱 눈 형성 수단,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에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수단이다.
(5) 상기 구성 (2)에 있어서, 제2형 가공 장치부의 가공 수단이,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에 미싱 눈을 형성하는 미싱 눈 형성 수단,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에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수단이다.
(6) 상기 구성 (2)에 있어서, 제2형 가공 장치부의 가공 수단이,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에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에 용지에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수단, 또는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이다.
(7) 상기 구성 (5)에 있어서, 재단 수단이, 복수의 회전 칼날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폭 방향에 병렬 설치해서 구성된 것이다.
(8) 상기 구성 (7)에 있어서, 복수의 회전 칼날로서 이루어지는 재단 수단이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9) 상기 구성 (1) 또는 (3)에 있어서,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위치 마크를 판독하고, 그 판독 정보에 근거해서 가공 수단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10) 상기 구성 (1) 또는 (2)에 있어서,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가공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 정보에 근거해서 가공 수단의 가공 내용을 제어하는 가공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11) 가공 장치부가, 용지를 반송 방향으로 재단하는 재단 수단이며, 재단 수단에 의한 재단에 의해 발생한 용지의 가윗밥을, 반송 경로의 밖으로 배제하는 가윗밥 배제 수단과, 가윗밥 배제 수단을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가윗밥 배제 수단을 가윗밥이 발생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12) 상기 구성 (11)에 있어서, 이동 제어 수단이, 가공 정보에 근거해서, 재단 후의 소정의 폭 치수의 용지 조각을 가윗밥이라고 판단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이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13) 상기 구성 (12)에 있어서, 가공 정보가 미리 입력된 것이다.
(14) 상기 구성 (12)에 있어서, 가공 정보가, 가공을 시행하는 용지에 미리 인쇄되어 있어, 판독되는 것이다.
(15) 상기 구성 (12)에 있어서, 소정의 폭 치수가 5mm 이상 15mm 이하이다.
(16) 상기 구성 (11)에 있어서, 이동 제어 수단이,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위치 마크를 판독하고, 그 판독 정보에 근거해서 가윗밥 배제 수단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17) 용지를 1장씩 반송해서 장치 본체에 보내주는 용지 공급 장치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용지 공급 장치부가, 용지를 1장씩 송출하는 송출 수단과, 송출 수단의 하류 측에 위치하고, 용지를 탑재하여, 용지의 끝 가장자리를 안내 벽에 따르도록 용지를 안내 벽을 향해서 비스듬히 반송하는 동시에, 용지를 반송 방향 하류를 향해서 반송하는, 사행(斜行) 반송 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용지 공급 장치부가, 용지 공급 장치부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이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장치 본체에 대하여 수직 축 주위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 장치부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공 장치부에 있어서의 부품의 교환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에 의하면, 가공 수단의 교환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형 가공 장치부가 가공 수단을 임의의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용지의 인쇄 위치에 변위가 있을 경우라도 적절한 가공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 (2)에 의하면, 제2형 가공 장치부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임의로 선택한 내용의 가공을 실행하는 가공 수단을 갖추고 있으므로, 제2형 가공 장치부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한 내용의 가공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용지 가공 장치의 가공 기능을 확대할 수 있다.
게다가, 제2형 가공 장치부에 의해 많은 종류의 가공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1개의 제2형 가공 장치부를 설치하기 위해서 가공 장치부 1개 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것뿐이므로, 장치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3)에 의하면, 제2형 가공 장치부에 있어서, 가공 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지의 인쇄 위치에 변위가 있을 경우라도, 가공 수단을 적절한 위치에 이동시켜서, 적절한 가공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 (4)에 의하면, 교환을 필요로 하는 가공 수단이, 재단 수단, 미싱 눈 형성 수단, 또는 절곡 형상 형성 수단의 경우라도, 가공 수단의 교환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 (5)에 의하면, 제2형 가공 장치부에 있어서,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에 미싱 눈을 형성하는 미싱 눈 형성 수단,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에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 (6)에 의하면, 제2형 가공 장치부에 있어서,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에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에 용지에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 (7)에 의하면, 제2형 가공 장치부에 있어서, 복수의 회전 칼날로서 이루어지는 재단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 (8)에 의하면, 제2형 가공 장치부에 있어서, 복수의 회전 칼날로서 이루어지는 재단 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 (9)에 의하면, 장치 자체가, 가공 수단의 위치의 이동 제어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0)에 의하면, 장치 자체가, 가공 수단의 가공 내용의 제어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1)에 의하면, 가윗밥의 발생 위치에, 가윗밥 배제 수단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므로, 다음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i) 가윗밥 배제 수단의 위치를 수작업으로 변경한다고 하는 귀찮은 일을 없앨 수 있고, 따라서, 용지 가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ⅱ) 가윗밥을 확실하게 반송 경로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2)에 의하면, 소정의 폭 치수의 용지 조각을 반송 경로로부터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3)에 의하면, 미리 입력된 가공 정보에 근거해서, 소정의 폭 치수의 용지 조각을 반송 경로로부터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4)에 의하면, 용지에 미리 인쇄된 가공 정보에 근거해서, 소정의 폭 치수의 용지 조각을 반송 경로로부터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5)에 의하면, 5mm 이상 15mm 이하인 폭 치수의 용지 조각을 반송 경로로부터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상기 구성 (16)에 의하면, 용지의 인쇄 위치가 올바르지 않더라도, 가윗밥 배제 수단을 정확한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 (17)에 의하면, 용지 공급 장치부를 수직 축 주위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용지 공급 장치부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을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끝 가장자리에 대하여 각도 α만큼 경사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을 갖는 용지를 가공할 때에, 용지 공급 장치부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을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각도 α만큼 경사지게 함으로써, 인쇄 영역이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하면, 인쇄 영역에 평행한 재단 등의 가공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끝 가장자리에 대하여 경사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을 갖는 용지를 가공해서, 끝 가장자리에 대하여 평행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을 갖는 용지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모식(模式) 종단면도.
도 2의 (a)는 제1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용지의 일례(一例)를 나타내는 도면, (b)는 가공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c)는 가공에 의해 얻어지는 용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의 (a)는 제1실시형태의 제1재단 장치부 이후의 용지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제2재단 장치부 이후의 용지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제3재단 장치부 이후의 용지를 나타내는 도면, (d)는 제4재단 장치부 이후의 용지를 나타내는 도면, (e)는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 이후의 용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재단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사시(斜視) 부분도.
도 6은 재단 유닛을 유닛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제1~제3재단 장치부의 평면 모식도.
도 8은 절곡 형상 형성 유닛의 칼날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Ⅸ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10은 미싱 눈 형성 유닛의 칼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XI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
도 13은 옵션(option) 가공 수단의 유닛 수용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미싱 눈 형성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사시 부분도.
도 16은 미싱 눈 형성 유닛을 유닛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재단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사시 부분도.
도 19는 명함 전용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ⅩⅩ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21은 반송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2의 (a)는 미싱 눈 형성 유닛을 이용해서 얻으려고 하는 용지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이 용지를 얻기 위한 가공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3의 (a)는 재단 유닛을 이용해서 얻으려고 하는 용지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이 용지를 얻기 위한 가공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명함 전용 유닛에 의한 가공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
도 26은 제3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중 가윗밥 배제 장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사시 부분도.
도 28은 용지의 가공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
도 29는 가윗밥 배제 수단의 작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0은 용지의 가공 내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에 이용되는 용지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약도(略圖).
도 32는 도 31의 ⅩⅩⅩⅡ-ⅩⅩⅩⅡ 단면 약도.
도 33은 제4실시형태의 조절 기구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4는 제4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에 의한 용지의 재단 가공 공정을 나 타내는 평면 모식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에 이용되는 용지 공급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 약도.
도 36은 도 35의 ⅩⅩⅩⅥ 화살표에서 본 부분 단면도.
도 37은 종래의 용지 가공 장치에 의한 용지의 재단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지 가공 장치
10: 장치 본체
100: 용지
102: 위치 마크
103: 바코드
111: 끝 가장자리
15: 용지 공급 장치부
2: 반송 수단
20: 반송 경로
3: 가윗밥 배제 장치부
31, 32: 가윗밥 배제 수단
4A: 제1재단 장치부
4B: 제2재단 장치부
4C: 제3재단 장치부
4D: 제4재단 장치부
40: 사행 반송 수단
404: 안내 벽
5: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
50: 흡착 반송 수단
55, 56: 회전 이동 축
7: 옵션 가공 장치부
70A: 미싱 눈 형성 유닛
70B: 재단 유닛
70C: 명함 전용 유닛
70D: 반송 유닛
70Ⅹ: 재단 유닛
71: 미싱 눈 형성기(形成器)
72, 74: 재단용 커터(cutter)
73: 명함 커터기
716, 717: 차광판(遮光板)
9: 유닛 수용부
981, 982: 광(光) 센서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용지 가공 장치(1)는, 장치 본체(10)의 양단(兩端)에, 용지 공급 트레이(paper feeding tray)로서 이루어지는 용지 공급부(paper feeding part)(11)와, 배출 트레이로서 이루어지는 용지 배출부(paper ejection part)(12)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공급부(11)로부터 용지 배출부(12)에는, 다수 개의 쌍인 롤러(21)로서 이루어지는 반송 수단(2)에 의해 반송 경로(20)가 구성되어 있다. 반송 수단(2)에는, 반송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경로(20) 상에는, 용지 공급부(11) 측으로부터, 반송 보정 수단(carrying correction means)(803), 정보 판독 수단(information reading means)(804), 리젝트 수단(rejection means)(806), 제1재단 장치부(first cutting device part)(4A), 제2재단 장치부(second cutting device part)(4B), 제3재단 장치부(third cutting device part)(4C), 가윗밥 낙하 수단(cutting waste dropping means)(807), 제4재단 장치부(fourth cutting device part)(4D), 및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fold forming device part)(5)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장치 본체(1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것들의 수단에는, 가공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재단 장치부(4A), 제2재단 장치부(4B), 제3재단 장치부(4C), 제4재단 장치부(4D), 및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는, 제1형 가공 장치부(first type processing device part)에 상당한다.
또한, 용지 가공 장치(1)는, 장치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800)을 장치 본체(10) 내에 구비하고 있다. 제어 수단(800)은,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 CPU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수단(800)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위치 제어 수단 및 가공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도 실행한다. 또한, 용지 가공 장치(1)는, 용지의 재단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가윗밥을 수용하기 위한 쓰레기 상자(801)를, 장치 본체(10) 내의 저부에 갖추고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의해 가공되는 용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용지(100)에는, 주(主) 인쇄부(101)와 함께, 위치 마크(102) 및 바코드(103)가 인쇄되어 있다. 바코드(103)는, 용지(100)에 시행하는 일련(一連)의 가공 내용인 가공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용지 가공 장치(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우선, 용지 공급부(11)에 탑재된 용지(100) 다발로부터, 용지(100)가 1장씩 반송 경로(20)에 송출되어, 반송 보정 수단(803)에 들어간다. 반송 보정 수단(803)은, 보내져 온 용지(100)가 비스듬하게 되어 있으면, 그것을 똑바르게 한다. 또한, 반송 보정 수단(803)은, 보내져 온 용지(100)가 2장 이상 중첩되어 있으면, 그것을 검지하고, 용지(100)의 반송을 정지시킨다. 용지(100)는, 똑바르게 된 1장이면, 다음으로 반송된다.
다음으로 반송된 용지(100)는, 용지 선단(先端) 센서(201)에 의해 선단이 검출된 후, 정보 판독 수단(804)에 들어간다. 정보 판독 수단(804)은, CCD 센서(805)에 의해, 용지(100)의 위치 마크(102) 및 바코드(103)를 읽는다. 이 판독 정보는, 제어 수단(800)에 보내진다. 제어 수단(800)은, 이 판독 정보를 기억하고, 그것에 근거해서, 후속의 각각의 수단을 제어한다. 바코드(103)에 의해 나타나는 가공 정보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갖추고 있다. 즉, 그 내용은, 용지(100)에 대하여,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선 A, B, C, D에 따른 재단 처리 및 1점 쇄선 E를 따른 절곡 형상 형성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절곡 형상(210)이 붙은 용지(200)를 8장 얻는 것이다. 그러한 가공 정보인 경우, 후속의 각각의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또한, 정보 판독 수단(804)으로 정보를 판독할 수 없었던 용지(100)는, 인쇄가 불선명한 것이라고 판단되어서, 다음의 리젝트 수단(806)에 의해, 아래쪽의 폐기 트레이(802)로 낙하된다.
리젝트 수단(806)을 통과한 용지(100)는, 용지 선단 센서(202)에 의해 선단이 검출된 후, 제1재단 장치부(4A)에 들어간다. 제1재단 장치부(4A)는,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ON)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2개의 실선 A(도 2(b))의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가 각각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용지(100)는, 제1재단 장치부(4A)에 의해, 실선 A를 따라, 즉, 반송 방향으로 재단된다. 이것에 의해, 용지(100)는, 도 3(a)의 형태가 되어서, 다음의 제2재단 장치부(4B)에 반송된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 Ⅹ1은 쓰레기 상자(801)로 낙하된다.
제2재단 장치부(4B)는,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2개의 실선 B(도 2(b))의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가 각각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도 3(a)의 용지(100)는, 제2재단 장치부(4B)에 의해, 실선 B를 따라, 즉 반송 방향으로 재 단된다. 이것에 의해, 용지(100)는, 도 3(b)의 형태가 되어서, 다음의 제3재단 장치부(4C)에 반송된다.
제3재단 장치부(4C)는,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2개의 실선 C(도 2(b))의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가 각각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도 3(b)의 용지(100)는, 제3재단 장치부(4C)에 의해, 실선 C를 따라, 즉, 반송 방향으로 재단된다. 이것에 의해, 용지(100)는, 도 3(c)의 형태가 되어서, 제4재단 장치부(4D)에 반송된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 Ⅹ2는, 다음 단계의 가윗밥 낙하 수단(807)에 의해 쓰레기 상자(801)로 낙하된다.
또한, 도 3(c)의 용지(100)는, 제4재단 장치부(4D)에 들어가기 전에, 용지 선단 센서(203)에 의해 선단이 검출된다.
제4재단 장치부(4D)는,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된다. 제4재단 장치부(4D)에 있어서, 도 3(c)의 용지(100)는, 절단 위치 센서(204)에 의해 절단 위치가 검지될 때마다, 3개의 실선 D(도 2(b))로 나타내는 절단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용지(100)가 정지할 때마다, 1쌍의 재단용 커터(41)에 의해, 실선 D를 따라, 즉,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재단된다. 이것에 의해, 용지(100)는, 도 3(d)의 형태가 되어서,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에 반송된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 Ⅹ3은 쓰레기 상자(801)로 낙하된다.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는,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되어 있다.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에 있어서, 도 3(d)의 용지(100)는, 절곡 위치 센서(205)에 의해 절곡 위치가 검지될 때마다, 2개의 1점 쇄선 E로 나타내는 절곡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용지(100)가 정지할 때마다, 1쌍의 절곡 형상 형성용 압압(押壓) 금형(51)에 의해, 1점 쇄선 E를 따라, 즉,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절곡 형상(210)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용지(100)는, 도 3(e)의 형태가 되어서, 용지 배출부(12)에 송출된다.
용지 가공 장치(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제3재단 장치부(4A~4C)가,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 제1재단 장치부(4A)를 예로 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재단 장치부(4A)는, 재단 유닛(cutting unit)(70Ⅹ)과 유닛 수용부(unit accommodating part)(9)로서 이루어져 있다. 재단 유닛(70Ⅹ)은, 재단을 실행하는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닛 수용부(9)는, 장치 본체(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재단 유닛(70Ⅹ)을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수용할 수 있다.
도 4는 재단 유닛(70Ⅹ)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사시 부분도이다. 도 5 중의 Y방향은 반송 방향을 나타낸다. 유닛(70Ⅹ)은, 케이스부(700)와 2개의 재단용 커터(가공 수단)(72, 7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700)는, 정상판(701)과, 2장의 측판(702, 703)과, 밑바닥 프레임(704)으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는, 케이스부(700) 내에 지지되어 있다. 정상판(701) 위에는 2개의 손잡이(7011)가 붙어 있다. 2장의 측판(702, 703)은, 정상판(701)의 양측에서 연직(鉛直) 아래쪽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양(兩) 측판(702, 703) 사이에는, 2개의 나사 축( 이동 수단)(705, 719)과, 2개의 위쪽 안내 축(706, 707)과, 2개의 아래쪽 안내 축(708, 709)과, 2개의 회전 축(710, 711)이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축은, 모두 평행하다. 2개의 회전 축(710, 711)은, 위와 아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재단용 커터(72)는, 2개의 회전 칼날을 상하로부터 서로 마찰시켜서 재단을 실행하는 것이며, 위의 회전 칼날을 보유하는 상체(714)와, 아래의 회전 칼날을 보유하는 하체(71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체(714)는, 나사 결합부(7050)를 통과하는 나사 축(705)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위쪽 안내 축(706, 70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체(714)의 회전 칼날은, 위의 회전 축(7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하체(715)는 상체(714)와 함께 2개의 아래쪽 안내 축(708, 70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체(715)의 회전 칼날은, 아래의 회전 축(7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재단용 커터(74)는, 재단용 커터(72)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고 있지만, 재단용 커터(72)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재단용 커터(74)는, 나사 축(719)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위쪽 안내 축(706, 70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사 축(719)은, 나사 결합부(7190)를 통과하고 있다. 또한, 상체(714)의 회전 칼날은, 위의 회전 축(7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하체(715)는 상체(714)와 함께 2개의 아래쪽 안내 축(708, 70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체(715)의 회전 칼날은, 아래의 회전 축(7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닛(70Ⅹ)은, 통과하는 용지(100)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핀(718)을 구비하고 있다. 핀(718)은, 용지(100)의 폭 방향의 중앙과 양측의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핀(718)은, 반송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기단(基端)(7181)을 지점(支點)으로 해서 수평면 위에서 요동할 수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 있을 때는 반송 방향을 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핀(718)은, 재단용 커터(72, 74)에 맞닿으면, 재단용 커터(72, 74)를 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나사 축(705)의 측판(702)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端部)에는, 기어(70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나사 축(719)의 측판(703)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에는, 기어(719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회전 축(710, 711)의 측판(702)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에는, 기어(7101, 711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쪽 기어(7101, 7111)는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2개의 회전 축(710, 711)은 동시에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유닛 수용부(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90)에, 제1구동부(94), 제2구동부(95), 및 제3구동부(96)를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90)은, 2개의 측판(91, 92)과, 아래 프레임(9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구동부(94)는, 측판(9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941)와, 기어(94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942)로서 이루어져 있다. 기어(941)는, 측판(9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942)는, 측판(9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구동부(95)는, 측판(9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951)와, 기어(95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952)로서 이루어져 있다. 기어(951)는, 측판(9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952)는, 측판(9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구동부(94)와 제2구동부(95)는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구동부(96)는, 측판(9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961)와, 모터(962)와, 기어(963, 964, 965, 966)와, 풀리(pulley)(967, 968)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961)는, 측판(91)의 내측에 또한 아래 프레임(93)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962)는, 측판(91)의 내측에 또한 아래 프레임(93)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기어(963, 964, 965, 966) 및 풀리(967, 968)는, 측판(9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터(962)의 구동력을 기어(961)에 전달한다.
제3구동부(96)의 기어(961)는, 제1구동부(94)의 기어(941)보다도, 측판(91)의 내측에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재단 장치부(4A)에 있어서는, 유닛(70Ⅹ)이 유닛 수용부(9)에 수용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7051)가 기어(941)에 연결되고, 기어(7111)가 기어(961)에 연결되며, 기어(7191)가 기어(951)에 연결된다. 또한, 유닛 수용부(9)에 수용한 유닛(70Ⅹ)은, 위치를 결정한 후에, 스크루(991, 992)에 의해, 측판(91, 92)에 고정한다.
유닛(70Ⅹ)이 유닛 수용부(9)에 수용되면, 제1재단 장치부(4A)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유닛(70Ⅹ)은,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재단하는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가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즉,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제1구동부(94)의 모터(94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2)가 재단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2구동부(95)의 모터(95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4)가 재단하는 위치에 이동된다. 또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제3구동부(96)의 모터(962)가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2, 74)의 회전 칼날이 회전하고, 재단용 커터(72, 74)의 위치에서 용지(100)가 반송 방향으로 재단된다.
제2재단 장치부(4B, 4C)도, 제1재단 장치부(4A)와 동일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동일하게 작동한다. 그리고, 제1, 제2, 제3재단 장치부(4A, 4B, 4C)는, 각각, 평면 약도(略圖)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에, 재단용 커터(72, 74)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재단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제1, 제2, 제3재단 장치부(4A, 4B, 4C)에 있어서의 가공을 실행하는 재단 유닛을, 각각,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재단 장치부, 예를 들면 제1재단 유닛(4A)의, 재단용 커터가 마모 등 때문에 교환이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라도, 재단 유닛(70Ⅹ)을 장치 본체(10)의 유닛 수용부(9)로부터 떼어내, 예비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새로운 재단 유닛(70Ⅹ)을 유닛 수용부(9)에 수용시키는 것만으로, 교환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성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1재단 장치부(4A)를 재단 유닛(70Ⅹ)으로 해서 구성해도, 유닛(70Ⅹ)에 있어서는 재단용 커터(72, 74)의 위치를 이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 많은 종류의 재단 위치에 대응할 수 있고, 용지(100)의 인쇄 위치가 올바르지 않더라도 적절한 재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반송 방향의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나, 반송 방향의 미싱 눈을 형성하는 미싱 눈 형성 장치부를 갖춘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그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나 미싱 눈 형성 장치부를,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해도 좋다.
반송 방향의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를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할 경우에는,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를, 절곡 형상 형성 유닛과 유닛 수용부(9)로 구성한다. 절곡 형상 형성 유닛은, 재단 유닛(70Ⅹ)에 있어서의 재단용 커터를 절곡 형상 형성기로 바꾸어서 구성된다. 절곡 형상 형성기는, 도 8 및 도 8의 Ⅸ 화살표에서 본 도면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칼날(781)의 볼록부(7811)를, 용지와 함께, 받침 칼날(782)의 오목부(7821)에 끼워 넣음으로써, 용지를 압압하여, 용지에 절곡 형상을 형성한다. 회전 칼날(781)은, 상체(714)에 유지되어 있으며, 회전 축(7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받침 칼날(782)은, 하체(715)에 유지되어 있으며, 회전 축(7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받침 칼날(782)의 높이는, 편심 축을 응용해서 변경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오목부(7821)에 대한 볼록부(7811)의 끼워 넣는 깊이를 변경하여, 절곡 형상의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반송 방향에 미싱 눈을 형성하는 미싱 눈 형성 장치부를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설치할 경우에는, 미싱 눈 형성 장치부를, 미싱 눈 형성 유닛과 유닛 수용부(9)로 구성한다. 미싱 눈 형성 유닛은, 재단 유닛(70Ⅹ)에 있어서의 재단용 커터를 미싱 눈 형성기로 바꾸어서 구성한다. 미싱 눈 형성기는, 도 10 및 도 10의 ⅩⅠ 화살표에서 본 도면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칼날(712)의 예각 선단부(7121)를, 용지와 함께, 받침 칼날(713)의 오목부(7131)의 벽에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용지에 미싱 눈을 형성한다. 기어 칼날(712)은, 상체(714)에 유지되어 있으며, 회전 축(7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받침 칼날(713)은, 하체(715)에 유지되어 있으며, 회전 축(7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받침 칼날(713)의 높이는, 편심 축을 응용해서 변경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오목부(7131)에 대한 예각 선단부(7121)의 끼워 넣는 깊이를 변경하여, 미싱 눈 폭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용지(100)에 인쇄된 위치 마크(102) 및 바코드(103)를 읽고, 이 판독 정보에 근거하여, 장치 자체가 자동으로 재단용 커터 등의 가공 수단의 위치를 이동 제어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용지 가공 장치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즉, 가공 내용(용지 치수나 가공의 종류 등) 및 가공 위치를, 가공 형식으로서,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한다. 그리고, 가공할 때에, 설정하고 있는 가공 형식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가공 수단의 위치를 이동 제어하여, 선택한 가공 형식에 대응한 용지 가공을 실행한다.
(제2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구성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있다. 용지 가공 장치(1)는, 장치 본체(10)의 양단에, 용지 공급 트레이로서 이루어지는 용지 공급부(11)와, 배출 트레이로서 이루어지는 용지 배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공급부(11)로부터 용지 배출부(12)에는, 다수 개의 쌍인 롤러(21)로서 이루어지는 반송 수단(2)에 의해 반송 경로(2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송 수단(2)에는, 반송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경로(20) 상에는, 용지 공급부(11) 측으로부터, 반송 보정 수단(803), 정보 판독 수단(804), 리젝트 수단(806), 제1재단 장치부(4A), 제2재단 장치부(4B), 제3재단 장치부(4C), 가윗밥 낙하 수단(807), 제4재단 장치부(4D),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 및 옵션 가공 장치부(제2형 가공 장치부)(7)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장치 본체(1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것들의 수단에는, 가공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용지 가공 장치(1)는, 장치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800)을 장치 본체(10) 내에 구비하고 있다. 제어 수단(800)은,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 CPU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수단(800)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위치 제어 수단 및 가공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도 실행한다. 또한, 용지 가공 장치(1)는, 용지의 재단 가공에 의해 발생하는 가윗밥을 수용하기 위한 쓰레기 상자(801)를, 장치 본체(10) 내의 저부에 갖추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 용지 공급부(11)로부터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까지의 구성 및 작동은,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즉, 도 2(a)에 나타나는 용지(100)는, 도 3(e)의 형태가 되어서, 옵션 가공 장치부(7)에 송출된다.
이어서, 옵션 가공 장치부(7)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옵션 가공 장치부(7)는, 가공의 내용을 복수의 종류 중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옵션 가공 장치부(7)는,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가공 유닛(70)과 유닛 수용부(9A)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의 가공 유닛(70)은, 각각 다른 종류 내용의 가공을 실행하는 복수의 가공 수단이며, 각각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닛 수용부(9A)는, 장치 본체(10)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공 유닛(70)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가공 유닛을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수용할 수 있다.
유닛 수용부(9A)는, 프레임(90)에, 제1구동부(94), 제2구동부(95), 제3구동부(96), 제4구동부(97), 및 검지부(가공 종류별 검지 수단)(98)를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90)은, 2개의 측판(91, 92)과, 아래 프레임(9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구동부(94)는, 측판(9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941)와, 기어(94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942)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941)는, 측판(9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942)는, 측판(9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구동부(95)는, 측판(9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951)와, 기어(95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952)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951)는, 측판(9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952)는, 측판(9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구동부(94)와 제2구동부(95)는, 가공 수단(예를 들면 재단용 커터, 미싱 눈 형성기, 절곡 형상 형성기 등)을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 축을 구동한다. 가공 수단이 예를 들면 2개의 재단용 커터로서 이루어질 경우에는, 제1구동부(94)와 제2구동부(95)는 각각의 재단용 커터에 대응해서 측판(91) 및 측판(92)의 쌍방에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구동부(96)는, 측판(9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961)와, 모터(962)와, 기어(963, 964, 965, 966)와, 풀리(967, 968)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961)는, 측판(91)의 내측에 또한 아래 프레임(93)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962)는, 측판(91)의 내측에 또한 아래 프레임(93)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기어(963, 964, 965, 966) 및 풀리(967, 968)는, 측판(9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터(962)의 구동력을 기어(961)에 전달한다. 또한, 제3구동부(96)는, 가공에 큰 동력을 필요로 하는 가공 수단(예를 들면 복수의 회전 칼날을 갖는 명함 커터기 등)을 구동한다. 그 때문에, 모터(962)는 큰 구동력을 구비하고 있다.
제4구동부(97)는, 측판(9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971)와, 모터(972)와, 기어(973, 974, 975, 976)와, 풀리(977, 978)와, 기어(979, 980)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971)는, 측판(92)의 내측에 또한 아래 프레임(93)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972)는, 측판(92)의 내측에 또한 아래 프레임(93)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기어(973, 974, 975, 976), 풀리(977, 978), 및 기어(979, 980)는, 측판(92)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터(972)의 구동력을 기어(971)에 전달한다. 또한, 제4구동부(97)는, 가공에 큰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반적인 가공 수단(예를 들면 재단용 커터, 미싱 눈 형성기, 절곡 형상 형성기, 반송 롤러 등)을 구동한다. 그 때문에, 모터(972)는 소요(所要)의 구동력을 구비하고 있다.
제3구동부(96)의 기어(961)는, 제1구동부(94)의 기어(941)보다도, 측판(91)의 내측에 돌출되어 있다. 제4구동부(97)의 기어(971)는, 제2구동부(95)의 기어(951)보다도, 측판(92)의 내측에 돌출되어 있다.
검지부(98)는, 아래 프레임(93)의 2개소에 설치된 광 센서(981, 98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유닛 수용부(9A)에 부착 및 탈착이 자유롭게 수용되어서 구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복수의 가공 유닛(70)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지에 미싱 눈을 형성하는 미싱 눈 형성 유닛(70A)(도 14), 용지를 반송 방향으로 재단하는 재단 유닛(70B)(도 17), 용지를 명함의 폭으로 재단하는 명함 전용 유닛(70C)(도 19), 용지를 간단히 반송하는 반송 유닛(70D)(도 21) 등이 준비되어 있다.
도 14는 미싱 눈 형성 유닛(70A)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사시 부분도이다. 도 15 중의 Y방향은 반송 방향을 나타낸다. 유닛(70A)은, 케이스부(700)와, 1개의 미싱 눈 형성기(가공 수단)(7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700)는, 정상판(701)과, 2장의 측판(702, 703)과, 밑바닥 프레임(704)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싱 눈 형성기(71)는, 케이스부(700) 내에 지지되어 있다. 정상판(701) 위에는 2개의 손잡이(7011)가 붙어 있다. 2장의 측판(702, 703)은, 정상판(701)의 양측에서 연직 아래쪽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양쪽 측판(702, 703) 사이에는, 1개의 나사 축(이동 수단)(705)과, 2개의 위쪽 안내 축(706, 707)과, 2개의 아래쪽 안내 축(708, 709)과, 2개의 회전 축(710, 711)이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축은, 모두 평 행하다. 2개의 회전 축(710, 711)은, 위와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미싱 눈 형성기(71)는, 도 10 및 도 10의 XⅠ 화살표에서 본 도면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칼날(712)의 예각 선단부(7121)를, 용지와 함께, 받침 칼날(713)의 오목부(7131)의 벽에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용지에 미싱 눈을 형성한다. 미싱 눈 형성기(71)는, 기어 칼날(712)을 보유하는 상체(714)와, 받침 칼날(713)을 보유하는 하체(71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체(714)는, 나사 결합부(7050)를 통과하는 나사 축(705)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위쪽 안내 축(706, 70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어 칼날(712)은, 위의 회전 축(7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하체(715)는 상체(714)와 함께 2개의 아래쪽 안내 축(708, 70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받침 칼날(713)은, 아래 회전 축(71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받침 칼날(713)의 높이는, 편심 축을 응용해서 변경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오목부(7131)에 대한 예각 선단부(7121)의 끼워 넣는 깊이를 변경하여, 미싱 눈 폭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밑바닥 프레임(704)의 2개소에는, 차광판(716, 717)이 설치되어 있다. 차광판(716, 717)은, 유닛(70A)을 유닛 수용부(9A)에 수용시켰을 때에 광 센서(981, 982)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닛(70A)은, 통과하는 용지(100)를 아래쪽에서 지지하는 핀(718)을 구비하고 있다. 핀(718)은, 용지(100)의 폭 방향의 중앙과 양측의 3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핀(718)은, 반송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기단(7181)을 지점으로 해서 수평면 상에서 요동할 수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 있을 때는 반송 방향을 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핀(718)은, 미싱 눈 형성기(71)에 맞닿으면, 미싱 눈 형성기(71)를 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나사 축(705)의 측판(702)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에는, 기어(70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회전 축(710, 711)의 측판(703)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에는, 기어(7101, 711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쪽 기어(7101, 7111)는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2개의 회전 축(710, 711)은 동시에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옵션 가공 장치부(7)에 있어서는, 유닛(70A)이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7051)가 기어(941)에 연결되고, 기어(7111)가 기어(971)에 연결된다. 또한,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된 유닛(70A)은, 위치 결정된 후에, 스크루(991, 992)에 의해, 측판(91, 92)에 고정된다.
도 17은 재단 유닛(70B)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사시 부분도이다. 재단 유닛(70B)은, 케이스부(700) 내에 2개의 재단용 커터(가공 수단)(72, 74)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재단용 커터(72)를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 축(이동 수단)(705)에 추가해서, 재단용 커터(74)를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 축(이동 수단)(719)도 갖추고 있다. 재단용 커터는, 유닛(70A)의 미싱 눈 형성기(71)에 상당하지만, 2개의 회전 칼날을 상하로부터 서로 마찰시켜서 재단을 실행한다. 재단용 커터에 있어서는, 위의 회전 칼날이 미싱 눈 형성기(71)의 기어 칼날(712)에 상당하고, 아래의 회전 칼날이 미싱 눈 형성기(71)의 받침 칼날(713)에 상당한다. 또한, 나사 축(719)의 측판(703)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에는, 기어(719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재단용 커터(72, 74)는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유닛(70A)과 동일하다.
그리고, 옵션 가공 장치부(7)에 있어서는, 유닛(70B)이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되면, 기어(7051)가 기어(941)에 연결되고, 기어(7111)가 기어(971)에 연결되며, 기어(7191)가 기어(951)에 연결된다.
도 19는 명함 전용 유닛(70C)의 정면도, 도 20은 도 19의 XX 화살표에서 본 약도이다. 유닛(70C)은, 케이스부(700) 내에 1개의 명함 커터기(가공 수단)(73)를 구비하고 있다. 양쪽 측판(702, 703) 사이에는, 1개의 나사 축(이동 수단)(705)과, 1개의 위 안내 축(706)과, 1개의 아래 안내 축(708)과, 2개의 회전 축(710, 711)이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축은 모두 평행하다. 2개의 회전 축(710, 711)은, 위와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명함 커터기(73)는, 7개의 커터(731~737)를 등간격(等間隔)으로 구비한 케이스(730)로 이루어져 있다. 명함 커터기(73)에 있어서는, 케이스(730)가, 나사 축(705)의 회전에 따라, 위 안내 축(706) 및 아래 안내 축(70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사 축(705)은, 2개의 나사 결합부(7050)를 통과하고 있다. 위 안내 축(706)은, 2개의 관통부(7060)를 통과하고 있다. 아래 안내 축(708)은, 2개의 관통부(7080)를 통과하고 있다. 나사 축(705)의 측판(702)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는, 선단에 기어(7051)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커터는, 2개의 회전 칼날을 상하로부터 서로 마찰시켜서 재단을 실행한다. 위의 회전 칼날(741~747)은 회전 축(710)에 지지되어 있다. 아래의 회전 칼날(751~757)은 회전 축(71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아래의 회전 칼날(752~756)은, 축 방향 양측에 절삭 칼날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면, 회전 칼날(752)에 있어서는, 2개의 절삭 칼날(7521, 7522)이, 위의 회전 칼날(742)의 두께만큼 간극(739)을 두어서, 표리(表裏)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간극(間隙)(739)에는, 선단이 뾰족한 가윗밥 낙하 조각(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회전 칼날(753~756)도 회전 칼날(752)과 동일하다. 회전 축(710, 711)은 케이스(730) 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축(710, 711)의 측판(703) 측의 단부는, 케이스(730)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에 기어(761, 762)를 구비하고 있다. 양쪽 기어(761, 762)는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2개의 회전 축(710, 711)은 동시에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축(711)의 측판(702) 측의 단부는, 케이스(730)의 외측에, 또한 측판(702)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에 기어(763)를 구비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유닛(70A)과 동일하다.
그리고, 옵션 가공 장치부(7)에 있어서는, 유닛(70C)이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되면, 기어(7051)가 기어(941)에 연결되고, 기어(763)가 기어(961)에 연결된다.
도 21은 반송 유닛(70D)의 정면도이다. 유닛(70D)은, 케이스부(700) 내에 1쌍의 롤러(21)를 구비하고 있다. 위의 롤러(21)는 회전 축(710)에 지지되어 있으며, 아래의 롤러(21)는 회전 축(711)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 축(710, 711)의 측판(703) 측의 단부는, 측판(703)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에 기어(764, 765)를 구비하고 있다. 양쪽 기어(764, 765)는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2개의 회전 축(710, 711)은 동시에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유닛(70A)과 동일하다.
그리고, 옵션 가공 장치부(7)에 있어서는, 유닛(70D)이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되면, 기어(765)가 기어(971)에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유닛에 설치한 2개의 차광판(가공 종류별 검지 수단)(716, 717)은, 유닛의 종류를, 유닛 수용부(9A)의 광 센서(981, 982)에 의해 검지하기 위한 것이고, 2개 차광판(716, 717)의 차광성 유무의 조합에 의해 4종류의 유닛을 나타낼 수 있다. 차광성 유무의 편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닛(70A, 70B, 70C, 70D)에 대해서, 순서대로, [유?유], [유?무], [무?유], [무?무]라고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옵션 가공 장치부(7)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옵션 가공 장치부(7)에 있어서 미싱 눈 형성을 실행하고 싶을 경우에는, 미싱 눈 형성 유닛(70A)을 유닛 수용부(9A)에 수용시킨다. 유닛(70A)이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되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7051)가 기어(941)에 연결되고, 기어(7111)가 기어(971)에 연결된다. 또한, 광 센서(981, 982)가, 차광판(716, 717)의 차광성 유무에 근거하여, 수용된 유닛이 유닛(70A)인 것을 검지한다. 그 검지 신호는 제어 수단(800)에 전달된다.
유닛(70A)은,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미싱 눈을 형성하는 위치에 미싱 눈 형성기(71)가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즉,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제1구 동부(94)의 모터(94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미싱 눈 형성기(71)가 미싱 눈을 형성하는 위치에 이동된다. 또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제4구동부(97)의 모터(972)가 작동되어서, 받침 칼날(713) 및 기어 칼날(712)이 회전하고, 미싱 눈 형성기(71)의 위치에서 용지(100)에 대하여 반송 방향으로 미싱 눈이 형성된다.
또한, 옵션 가공 장치부(7)는, 제1재단 장치부(4A), 제2재단 장치부(4B), 제3재단 장치부(4C), 가윗밥 낙하 수단(807), 제4재단 장치부(4D), 및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의 모두를 작동시키면서 작동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2(a)에 나타내는 형태의 용지(100)를 얻고 싶을 경우에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제1재단 장치부(4A), 제4재단 장치부(4D), 및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를 작동시키고, 또한 유닛(70A)을 작동시켜서, 도 22(b)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하면 좋다. 즉, 제1재단 장치부(4A)에 의해 실선 A를 따른 재단을 실행하고, 제4재단 장치부(4D)에 의해 실선 D를 따른 재단을 실행하고,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에 의해 1점 쇄선 E를 따른 절곡 형상 형성을 실행하고, 그리고 유닛(70A)에 의해 파선 F를 따라 미싱 눈 형성을 실행한다.
옵션 가공 장치부(7)에서 재단을 실행하고 싶을 경우에는, 재단 유닛(70B)을 유닛 수용부(9A)에 수용시킨다. 유닛(70B)이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되면, 기어(7051)가 기어(941)에 연결되고, 기어(7111)가 기어(971)에 연결되며, 기어(7191)가 기어(951)에 연결된다. 또한, 광 센서(981, 982)가, 차광판(716, 717)의 차광성 유무에 근거하여, 수용된 유닛이 유닛(70B)인 것을 검지한다. 그 검지 신호는 제어 수단(800)에 전달된다.
유닛(70B)은,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재단하는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가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즉,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제1구동부(94)의 모터(94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2)가 재단하는 위치에 이동되는 동시에, 제2구동부(95)의 모터(95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4)가 재단하는 위치에 이동된다. 또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제4구동부(97)의 모터(972)가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2, 74)의 회전 칼날이 회전하고, 재단용 커터(72, 74)의 위치에서 용지(100)가 반송 방향으로 재단된다.
예를 들면, 도 23(a)에 나타내는 형태의 용지(100)를 얻고 싶을 경우에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제1재단 장치부(4A), 제2재단 장치부(4B), 제4재단 장치부(4D), 및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를 작동시키고, 또한 유닛(70B)을 작동시켜서, 도 23(b)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하면 좋다. 즉, 제1재단 장치부(4A)에 의해 실선 A를 따른 재단을 실행하고, 제2재단 장치부(4B)에 의해 실선 B를 따른 재단을 실행하고, 제4재단 장치부(4D)에 의해 실선 D를 따른 재단을 실행하고,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에 의해 1점 쇄선 E를 따른 절곡 형상 형성을 실행하고, 그리고 유닛(70B)에 의해 실선 G를 따른 재단을 실행한다.
옵션 가공 장치부(7)에서 명함을 형성하고 싶을 경우에는, 명함 전용 유닛(70C)을 유닛 수용부(9A)에 수용시킨다. 유닛(70C)이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되면, 기어(7051)가 기어(941)에 연결되고, 기어(763)가 기어(961)에 연결된다. 또한, 광 센서(981, 982)가, 차광판(716, 717)의 차광성 유무에 근거하여, 수용된 유닛이 유 닛(70C)인 것을 검지한다. 그 검지 신호는 제어 수단(800)에 전달된다.
유닛(70C)은,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재단하는 위치에 명함 커터기(73)가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즉, 위치 제어 수단에 의해, 제1구동부(94)의 모터(94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명함 커터기(73)의 모든 커터(731~737)가, 케이스(730)와 함께, 재단하는 위치에 이동된다. 또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제3구동부(96)의 모터(962)가 작동되어서, 커터(731~737)의 회전 칼날이 회전하고, 용지(100)가 반송 방향으로 재단된다.
옵션 가공 장치부(7)에서 유닛(70C)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제4재단 장치부(4D)를 작동시키고, 또한 유닛(70C)을 작동시켜서, 도 24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하게 하도록 하면 좋다. 즉, 제4재단 장치부(4D)에 의해 실선 D를 따른 재단을 실행하고, 유닛(70C)에 의해 실선 H를 따른 재단을 실행한다.
옵션 가공 장치부(7)에 있어서 특별한 가공을 기대하지 않을 경우에는, 반송 유닛(70D)을 유닛 수용부(9A)에 수용시킨다. 유닛(70D)이 유닛 수용부(9A)에 수용되면, 기어(765)가 기어(971)에 연결된다. 또한, 광 센서(981, 982)가, 차광판(716, 717)의 차광성 유무에 근거하여, 수용된 유닛이 유닛(70D)인 것을 검지한다. 그 검지 신호는 제어 수단(800)에 전달된다.
유닛(70D)은, 제어 수단(800)에 의한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온 제어된다. 즉, 가공 제어 수단에 의해, 제4구동부(97)의 모터(972)가 작동되어서, 1쌍의 롤러(21)가 회전된다. 이것에 의해, 전단계까지 반송되어 온 용지(100)가 그대로 용지 배출부(12)에 송출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제1재단 장치부(4A), 제2재단 장치부(4B), 제3재단 장치부(4C), 제4재단 장치부(4D), 및 절곡 형상 형성 장치부(5)에 의한 가공 이외에, 유닛(70A~70D)의 4종류의 가공 수단을 옵션 가공 장치부(7)로 준비하고 있으므로, 유닛(70A~70D)의 가공 수단을 골라 사용함으로써, 특별한 용지 가공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 게다가, 옵션 가공 장치부(7)는 1개 분의 가공 수단의 공간밖에 점유하지 않으므로, 장치가 대형화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변형 예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1)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용지(100)에 인쇄된 위치 마크(102) 및 바코드(103)를 읽고, 이 판독 정보에 근거하여, 장치 자체가 자동으로 재단용 커터 등의 가공 수단의 위치를 이동 제어하고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즉, 가공 내용(용지 치수나 가공의 종류 등) 및 가공 위치를, 가공 형식으로서,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한다. 그리고, 가공할 때에, 설정하고 있는 가공 형식을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가공 수단의 위치를 이동 제어하고, 선택한 가공 형식에 대응한 용지 가공을 실행한다.
(2) 옵션 가공 장치부(7)를 설치하는 위치는, 반송 경로(20)의 최후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반송 경로(20) 내의 어느 위치이어도 좋다.
(3) 일반적인 가공 수단을 절감하고, 옵션 가공 장치부(7)를 2개 이상 설치 해도 좋다.
(4) 옵션 가공 장치부(7)로서 준비하는 가공 수단은, 상술한 유닛(70A~70D)의 4종류의 가공 수단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가공 수단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반송 방향의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유닛을 준비해도 좋다. 절곡 형상 형성 유닛은, 재단 유닛(70B)에 있어서의 재단용 커터를 절곡 형상 형성기로 바꾸어서 구성된다. 절곡 형상 형성기로서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8 및 도 8의 IX 화살표에서 본 도면인 도 9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유닛, 또는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에 용지에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유닛을 준비해도 좋다.
(5) 옵션 가공 장치부(7)로서 준비하는 가공 수단이 5종류 이상일 경우에는, 유닛 수용부(9A)에 설치하는 광 센서 및 가공 유닛 측에 설치하는 차광판의 수를 각각 3개 이상으로 해서 차광성 유무의 조합 수를 늘리면 좋다.
(6) 미싱 눈 형성 유닛(70A)의 미싱 눈 형성기를, 재단 유닛(70B)의 재단용 커터(72, 74)와 같이, 2개 설치해도 좋다.
(7) 재단 유닛(70B)의 재단용 커터를, 미싱 눈 형성 유닛(70A)의 미싱 눈 형성기(71)와 같이, 1개로 해도 좋다.
(8) 옵션 가공 장치부(7) 전까지에 설치하는 가공 수단 등은, 상술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9) 제1, 제2, 제3재단 장치부(4A, 4B, 4C)를,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해도 좋지만, 부착 및 탈착을 불가능하게 해도 좋다.
(제3실시형태)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모식 종단면도이다. 용지 가공 장치(1)는, 장치 본체(10)의 양단에, 용지 공급 트레이로서 이루어지는 용지 공급부(11)와, 배출 트레이로서 이루어지는 용지 배출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공급부(11)로부터 용지 배출부(12)에는, 다수 개의 쌍인 롤러(21)로 이루어지는 반송 수단(2)에 의해 반송 경로(2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경로(20) 상에는, 용지 공급부(11) 측으로부터, 적어도 제1재단 장치부(4A), 제2재단 장치부(4B), 제3재단 장치부(4C), 및 가윗밥 배제 장치부(3)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은 모두 장치 본체(1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것들의 수단에는, 가공 구동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재단 장치부(4A), 제2재단 장치부(4B), 및 제3재단 장치부(4C)는, 각각 제1형 가공 장치부에 상당한다.
또한, 용지 가공 장치(1)는, 장치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800)을 장치 본체(10) 내에 구비하고 있다. 제어 수단(800)은,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한 CPU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수단(800)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이동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도 실행한다. 또한, 용지 가공 장치(1)는, 용지의 재단에 의해 발생하는 가윗밥을 수용하기 위한 쓰레기 상자(801)를 장치 본체(10) 내의 저부에 갖추고 있다.
도 26은 가윗밥 배제 장치부(3)의 정면도, 도 27은 도 26의 사시 부분도이다. 도 27 중의 화살표 Y는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가윗밥 배제 장치부(3)는, 케이스부(30)와, 2개의 가윗밥 배제 수단(31, 32)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부(30)는, 2장의 측판(301, 302)과, 밑바닥 프레임(303)으로 이루어져 있다. 2개의 가윗밥 배제 수단(31, 32)은, 케이스부(30) 내에 지지되어 있다. 양쪽 측판(301, 302) 사이에는, 2개의 나사 축(이동 수단)(331, 332)과, 1개의 안내 축(333)과, 1쌍의 롤러(21)가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가윗밥 배제 수단(31)은, 안내체(34)와 지지체(35)로 이루어져 있다. 안내체(34)는, 반송 경로(20)를 상하로 가로 질러서 설치되어 있으며, 반송되어 오는 가윗밥의 선단에 대향하는 굴곡부(3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 경로(20)는, 1쌍의 롤러(21) 사이의 높이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굴곡부(341)는, 맞닿아 오는 가윗밥의 선단의 방향을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굴곡져 있고, 반송 경로(20)의 조금 위에서 반송 경로(20)의 아래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안내체(34)에는 지지체(35)가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윗밥 배제 수단(31)은, 나사 축(332)의 회전에 따라, 안내 축(3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사 축(332)은, 지지체(35)의 나사 결합부(351)를 통과하고 있다. 안내 축(333)은, 지지체(35)의 측벽(352)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나사 축(332)은, 안내체(34)와, 지지체(35)의 측벽(352)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나사 축(331)은, 지지체(35)의 측벽(352)을 관통하고 있다.
가윗밥 배제 수단(32)은, 가윗밥 배제 수단(31)과 동일한 구성을 갖추고 있 지만, 가윗밥 배제 수단(3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윗밥 배제 수단(32)은, 나사 축(331)의 회전에 따라, 안내 축(3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사 축(331)은, 지지체(35)의 나사 결합부(351)를 통과하고 있다. 안내 축(333)은, 지지체(35)의 측벽(352)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나사 축(331)은, 지지체(35)의 측벽(352)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나사 축(332)은, 안내체(34)와, 지지체(35)의 측벽(352)을 관통하고 있다.
가윗밥 배제 장치부(3)에 있어서, 나사 축(331)의 측판(301)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에는, 기어(36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나사 축(332)의 측판(302)으로부터 외측에 돌출한 단부에는, 기어(3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측판(301) 외측의 상부에는 모터(371)가 설치되어 있으며, 측판(302) 외측의 상부에는 모터(372)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371)는, 기어(363) 및 기어(361)를 통해서, 나사 축(331)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모터(372)는, 기어(364) 및 기어(362)를 통해서, 나사 축(332)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재단 장치부(4A)는, 재단 유닛(70Ⅹ)과 유닛 수용부(9)로 이루어져 있다. 재단 유닛(70Ⅹ) 및 유닛 수용부(9)의 구성 및 작동은, 제1실시형태의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재단 유닛(70Ⅹ) 및 유닛 수용부(9)와 동일하다. 제2재단 장치부(4B) 및 제3재단 장치부(4C)도, 제1재단 장치부(4A)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용지 가공 장치(1)의 작동에 대해서,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8은 용지(100) 가공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28 중의 화살표 Y는 반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용지(100)에는, 주 인쇄부 (101)와 함께 위치 마크(102) 및 바코드(103)가 인쇄되어 있다.
우선, 용지 공급부(11)에 탑재된 용지(100) 다발로부터, 용지(100)가 1장씩 반송 경로(20)에 송출된다. 그리고, 정보 판독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들어간다. 정보 판독 수단은, CCD 센서에 의해, 용지(100)의 위치 마크(102) 및 바코드(103)를 읽는다. 이 판독 정보는 제어 수단(800)에 보내진다. 또한, 정보 판독 수단으로서는,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정보 판독 수단(804)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 수단(800)은, 이 판독 정보를 기억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후속의 각각의 수단을 제어한다. 바코드(103)에 의해 나타나는 가공 정보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즉, 그 내용은, 용지(100)에 대하여,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실선 A, B, C에 따른 재단 처리를 시행하고, 그 후에, 사선으로 나타내는 가윗밥 Ⅹ1, Ⅹ2를 반송 경로(20)로부터 배제하는 것이다. 그러한 가공 정보의 경우, 후속의 각각의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정보 판독 수단을 통과한 용지(100)는, 제1재단 장치부(4A)에 들어간다. 유닛(70Ⅹ)이 유닛 수용부(9)에 수용된 상태의 제1재단 장치부(4A)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제1재단 장치부(4A)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재단하는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가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즉,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제1구동부(94)의 모터(94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2)가 한쪽의 실선 A의 위치에 이동되는 동시에, 제2구동부(95)의 모터(95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4)가 다른 쪽의 실선 A의 위치에 이동된다. 또한, 제어 수단(800)에 의해, 제3구동부(96)의 모터(962)가 작동되어서, 재단용 커터(72, 74)의 회전 칼날이 회전하고, 재단용 커터(72, 74)의 위치에서 용지(100)가 반송 방향으로 재단된다. 따라서, 용지(100)는, 제1재단 장치부(4A)에 의해, 실선 A를 따라, 즉 반송 방향으로 재단되어, 다음의 제2재단 장치부(4B)에 반송된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 Ⅹ3, Ⅹ4는 쓰레기 상자(801)에 낙하된다.
제2재단 장치부(4B)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2개의 실선 B의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가 각각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용지(100)는, 제2재단 장치부(4B)에 의해, 실선 B를 따라, 즉 반송 방향으로 재단되어, 다음의 제3재단 장치부(4C)에 반송된다.
제3재단 장치부(4C)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2개의 실선 C의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가 각각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용지(100)는, 제3재단 장치부(4C)에 의해, 실선 C를 따라, 즉 반송 방향으로 재단되어, 가윗밥 배제 장치부(3)에 반송된다.
가윗밥 배제 장치부(3)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가윗밥 배제 장치부(3)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가윗밥이 발생하는 위치에 2개의 가윗밥 배제 수단(31, 32)이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즉,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모터(372)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가윗밥 배제 수단(31)의 안내체(34)가 가윗 밥 Ⅹ1의 폭 방향 중앙의 위치에 이동되는 동시에, 모터(371)가 소정의 시간만큼 작동되어서, 가윗밥 배제 수단(32)의 안내체(34)가 가윗밥 Ⅹ2의 폭 방향 중앙의 위치에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가윗밥 Ⅹ1, Ⅹ2는, 반송되면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이 가윗밥 배제 수단(31, 32)의 굴곡부(341)에 맞닿아서 아래쪽으로 방향을 변경해서, 그대로 쓰레기 상자(801) 내에 낙하한다. 따라서, 가윗밥 배제 장치부(3)에 의해, 가윗밥 Ⅹ1, Ⅹ2가 반송 경로(20)로부터 배제된다.
도 30은 용지(100)의 가공 정보가, 상술한 도 28의 예와는 다른 경우를 나타낸다. 이 가공 정보는 다음과 같다. 즉, 용지(100)를 실선 A, C에 따라 재단 처리하고, 그 후에, 사선으로 나타내는 가윗밥 Ⅹ5를 반송 경로(20)로부터 배제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제2, 제3재단 장치부(4A, 4B, 4C) 및 가윗밥 배제 장치부(3)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즉, 제1재단 장치부(4A)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2개의 실선 A의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가 각각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용지(100)는, 제1재단 장치부(4A)에 의해, 실선 A를 따라 재단되어, 다음의 제2재단 장치부(4B)에 반송된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 Ⅹ3, Ⅹ4는 쓰레기 상자(801)에 낙하시키게 된다.
제2재단 장치부(4B)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가, 각각 원위치에 퇴피(退避)된다. 그리고, 제2재단 장치부(4B)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오프(OFF) 제어된다. 따라서, 용지(100)는, 제2재단 장치부(4B)에서는 재단되지 않고, 다음의 제3재단 장치부(4C)에 반송된다.
제3재단 장치부(4C)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2개의 실선 C의 위치에 2개의 재단용 커터(72, 74)가 각각 위치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용지(100)는, 제3재단 장치부(4C)에 의해, 실선 C를 따라 재단되어 가윗밥 배제 장치부(3)에 반송된다.
가윗밥 배제 장치부(3)는, 제어 수단(800)에 의해, 온 제어되는 동시에, 제어 수단(800)에 의한 이동 제어 수단에 의해, 가윗밥 Ⅹ1의 폭 방향 중앙의 위치에 한쪽의 가윗밥 배제 수단(32)이 위치하도록 제어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가윗밥 배제 수단(31)이 원위치에 퇴피된다. 따라서, 가윗밥 배제 장치부(3)에 의해, 가윗밥 Ⅹ1이 반송 경로(20)로부터 배제된다. 또한, 가윗밥 배제 수단(31)을 이동시키고, 가윗밥 배제 수단(32)을 퇴피시켜도 좋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가윗밥이 발생하는 위치에, 가윗밥 배제 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재단 위치가 바뀌어서 가윗밥의 발생 위치가 바뀌어도, 가윗밥 배제 수단에 의해 가윗밥을 확실하게 반송 경로로부터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제1, 제2, 제3재단 장치부(4A, 4B, 4C)에 있어서의 가공을 실행하는 재단 유닛을, 각각,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재단 장치부, 예를 들면 제1재단 유닛(4A)의, 재단용 커터가 마모 등 때문에 교환이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라도, 재단 유닛(70Ⅹ)을 장치 본체(10)의 유닛 수용부(9)로부터 떼어내고, 예비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새로운 재단 유닛(70Ⅹ)을 유닛 수용부(9)에 수용시키는 것만으로, 교환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나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변형 예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1) 상술한 예에서는, 재단 장치부에서 송출되어 온 각각의 용지 조각중 어느 것이 가윗밥인가의 판단을, 용지(100)에 미리 인쇄된 바코드(103)에 근거하는 가공 정보에 근거해 실행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재단 장치부를 거친 각각의 용지 조각이 가윗밥 배제 장치부에 들어올 때에, 각각의 용지 조각의 폭을 검출함으로써 소정의 폭(예를 들면 5mm 이상 15mm 이하)의 용지 조각을 가윗밥이라고 판단해도 좋다. 즉, 재단 후의 용지 조각의 폭에 근거하여, 가윗밥인가 아닌가 여부의 판단을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는, 예를 들면, 가윗밥 배제 장치부의 전단계에 폭 센서를 설치한다.
(2) 용지의 가공 정보는,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미리 입력해 두어도 좋다.
(3) 가윗밥 배제 수단을 설치하는 위치는, 반송 경로(20)의 최후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도중이어도 좋다.
(4) 가윗밥 배제 수단은, 반송 경로(20)를 따라 복수 개 설치해도 좋다.
(5) 상기 구성의 용지 가공 장치(1)에서는, 제1, 제2, 제3재단 장치부(4A, 4B, 4C)를,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부착 및 탈착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부착 및 탈착 불능으로 해도 좋다.
(6) 제2실시형태의 옵션 가공 장치부(7)를 설치해도 좋다.
(제4실시형태)
도 31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이용되는 용지 공급 장치부를 나타내는 평면 약도이다.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용지에 가공을 실행하는 장치 본체(10)의 반송 방향 상류 측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자 간에는, 반송 롤러(995)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반송 방향(화살표 A 방향)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흡착 반송 수단(50)과, 하류 측에 위치하는 사행(斜行) 반송 수단(40)이 일체로 되어서 구성되어 있으며,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의 외관을 갖추고 있다.
도 32는 도 31의 ⅩⅩⅩⅡ-ⅩⅩⅩⅡ 단면 약도이다. 흡착 반송 수단(50)은, 용지 탑재대(500) 상의 용지(100)를, 무단(無端) 벨트(503)에 의해, 1장씩 흡착해서 반송한다. 무단 벨트(503)는, 1쌍의 롤러(501, 502)에 걸려져 있다. 용지(100)는, 흡인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1장씩, 무단 벨트(503)에 흡착된다. 무단 벨트(503)는,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사행 반송 수단(40)은, 흡착 반송 수단(50)에 의해 반송되어 온 용지(100)를, 무단 벨트(403)에 탑재해서 반송한다. 무단 벨트(403)는, 1쌍의 롤러(401, 402)에 걸려져 있다. 무단 벨트(403)는, 반송 방향에 대하여 안내 벽(404) 측을 향해서 조금 경사지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행 반송 수단(40)에서는, 용지(100)가 안내 벽(404) 측으로 밀어 젖혀지면서 반송되므로, 용지(100)의 끝 가장자리(111)가 안내 벽(404)을 따른 상태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장치 본체(10)에 대한 회전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이동 기구는, 수직인 회전 이동 축(수직 축)(55)과, 조절 기구(6)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 이동 축(55)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인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의 한구석에, 장치 본체(10)의 기초대(도시하지 않음) 상에 설치되어 있다.
조절 기구(6)는, 다이얼(dial)(61)과, 1쌍의 풀리(62, 63)와, 웜 휠(worm wheel)(64)과, 리드 나사(65)와, 너트 부재(66)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얼(61), 1쌍의 풀리(62, 63), 웜 휠(64), 및 리드 나사(65)는, 장치 본체(10)의 측면 프레임(991)에 고정되어 있다. 웜 휠(64)은, 풀리(63)와 동축(同軸)으로 연결된 웜(도시하지 않음)과 맞물려 있다. 리드 나사(65)는, 웜 휠(64)과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너트 부재(66)는,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측면 프레임(15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풀리(62, 63) 사이에는 무단 벨트(도시하지 않음)가 걸려져 있다. 다이얼(61)은, 수동으로 돌릴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풀리(62, 63) 및 웜 휠(64)은, 다이얼(61)과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리드 나사(65)는, 웜 휠(64)로부터, 측면 프레임(991), 너트 부재(66), 및 측면 프레임(151)을 관통해서 연장되어 있다.
도 33은 조절 기구(6)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조절 기구(6)에 있어서, 측면 프레임(151)의 관통 구멍(152)은, 리드 나사(65)의 지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너트 부재(66)에는, 리드 나사(65)가 나사로 결합해 관통하고 있다. 너트 부재(66)는, 측면 프레임(151)에 대하여, 스프링(661)을 통해서 볼트(662)로써 고정되어 있다. 너트 부재(66)는, 볼트(662)가 측면 프레임(151)에 대하여 여유를 갖고 있으므로, 측면 프레임(151)에 대하여 유동(遊動)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리드 나사(65) 및 너트 부재(66)는, 측면 프레임(151)에 대한 직각인 상태로부터 경사질 수 있다. 또한, 너트 부재(66)는, 리드 나사(65)의 회전에 따라, 리드 나사(65)에 대하여 화살표 B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그 때, 측면 프레임(151), 즉 용지 공급 장치부(15)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용지 공급 장치부(15)에 있어서, 조절 기구(6)의 다이얼(61)을 돌리면, 1쌍의 풀리(62, 63) 및 웜 휠(64)이 회전하고, 리드 나사(65)가 회전하여, 너트 부재(66)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런데, 용지 공급 장치부(15)에는, 회전 이동 축(5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면, 너트 부재(66)가 측면 프레임(991) 측으로 이동하면,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회전 이동 축(55) 주위로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또한, 다이얼(61)을 상기와는 반대로 돌려서, 너트 부재(66)를 측면 프레임(151) 측으로 이동시키면,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회전 이동 축(55) 주위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용지 공급 장치부(15)에 의하면, 다이얼(61)을 돌림으로써,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용지 공급 장치부(15)를 회전 이동 축(55) 주위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용지 공급 장치부(15)에 의하면,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반송 방향(화살표 A 방향)을 장치 본체(10)의 반송 방향(화살표 E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용지 공급 장치부(15)를 구비한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는, 끝 가장자리(111)에 대하여 각도 α만큼 경사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101)을 갖는 용지(100)가,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되어서 가공된다. 즉, 도 34에 있어서, 우선,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공급 장치부(15)를 화살표 C 방향으로 각도 α만큼 회전 이동시킨다. 그리고, 용지(100)를, 흡착 반송 수단(50)과 사행 반송 수단(40)에 의해 반송한다. 사행 반송 수단(40)에 있어서는, 용지(100)의 끝 가장자리(111)가 안내 벽(404)을 따른 상태에서 반송된다. 이 때, 용지(100)에 있어서의 인쇄 영역(101)과 끝 가장자리(111)와의 각도 α와,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회전 이동 각도 α가 동일하므로, 끝 가장자리(111)가 안내 벽(404)을 따른 상태의 용지(100)에 있어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영역(101)은 장치 본체(10)의 반송 방향(화살표 E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100)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장치 본체(10)에 보내진다. 그 때문에, 반송 방향의 재단 가공은, (b)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영역(101)에 대하여 평행하게 실행된다. 따라서,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영역(101)이 끝 가장자리(111)와 평행 위치에 있는 용지(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반송 방향에 대한 직행 방향의 재단 가공도, (c)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영역(101)에 대하여 평행하게 실행된다. 그 결과,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영역(101)이 끝 가장자리(111, 112)와 평행 위치에 있는 용지(100)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용지 가공 장치에 의하면, 끝 가장자리(111)에 대하여 경사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101)을 갖는 용지(100)를 가공하여, 끝 가장자리(111)에 대하여 평행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101)을 갖는 용지(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상류 측의 반송 수단으로서는, 흡착 반송 수단(50)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롤러에 의한 송출 수단이나 그 밖의 공지된 용지 공급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제1~제3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1)의 장치 본체(10)에 적용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
도 35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1)에 이용되는 용지 공급 장치부를 나타내는 평면 약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회전 이동 기구만이 제4실시형태와 상이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전 이동 기구는, 수직인 회전 이동 축(56)과 조절 기구(8)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 이동 축(56)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인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반송 방향 하류 측의 한구석에, 장치 본체(10)의 양 측면 프레임(991, 992)의 사이에 걸쳐있는 기판 프레임(993)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36은 도 35의 ⅩⅩⅩVI 화살표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조절 기구(8)는, 다이얼(81)과, 1쌍의 풀리(82, 83)와, 회전 로드(rod)(84)와, 암(arm)(85)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얼(81), 1쌍의 풀리(82, 83), 및 회전 로드(84)는, 용지 공급 장치부(15)에 고정되어 있다. 암(85)은, 일단(一端)(851)에서 기판 프레임(993) 상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풀리(82, 83) 사이에는 무단 벨트(86)가 걸려져 있다. 다이얼(81)은, 수동으로 돌릴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풀리(82, 83) 및 회전 로드(84)는, 다이얼(81)과 연동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 로드(84)는, 선단에, 나사부(841)를 갖추고 있다. 나사부(841)는, 암(85)의 타단(他端)의 블록(block)(852) 내에 나사로 끼워져 있다. 따라서, 회전 로드(84)는, 암(85)의 선단에 대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진퇴(進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용지 공급 장치부(15)에 있어서, 조절 기구(8)의 다이얼(81)을 돌리면, 1쌍의 풀리(82, 83) 및 회전 로드(84)가 회전하고, 회전 로드(84)가 암(85)에 대하여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예를 들면, 회전 로드(84)가 암(8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하면, 용지 공급 장치부(15)에는, 암(85)을 통해서 기판 프레임(993)으로부터, 반송 방향 상류 측을 향한(도 35 중의 화살표 F1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용지 공급 장치부(15)에는 회전 이동 축(56)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암(85)이 일단(85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이동 가능하므로, 그 힘은, 용지 공급 장치부(15)를 회전 이동 축(56) 주위에서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이 경우,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화살표 G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또한, 다이얼(81)을 상기와는 반대로 돌려서, 회전 로드(84)를 암(85)에 가까이 되는 방향(화살표 F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회전 이동 축(56) 주위에서 화살표 H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용지 공급 장치부(15)에 의하면, 다이얼(81)을 돌림으로써, 장치 본체(10)에 대하여 용지 공급 장치부(15)를 회전 이동 축(56) 주위로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용지 공급 장치부(15)에 의하면,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반송 방향(화살표 A 방향)을 장치 본체(10)의 반송 방향(화살표 E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용지 공급 장치부(15)를 구비한 용지 가공 장치(1)에 있어서도, 제4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끝 가장자리(111)에 대하여 경사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101)을 갖는 용지(100)를 가공함으로써, 끝 가장자리(111)에 대하여 평행 위치에 있는 인쇄 영역(101)을 갖는 용지(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지 공급 장치부(15)의 상류 측의 반송 수단으로서는, 흡착 반송 수단(50)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롤러에 의한 송출 수단이나 그 밖의 공지된 용지 공급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용지 공급 장치부(15)는, 제1~제3실시형태의 용지 가공 장치(1)의 장치 본체(10)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지 가공 장치는, 가공 수단의 교환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나 수고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의 이용 가치가 크다.

Claims (18)

  1. 용지(用紙)를 반송(搬送)하면서 용지에 가공을 실행하는 용지 가공 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1장씩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반송 수단으로 구성된 반송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임의로 선택한 내용의 가공을 실행하는 옵션(option) 가공 장치부와,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반송 수단을 구동하는 반송 구동 수단 및 옵션 가공 장치부를 구동하는 가공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옵션 가공 장치부가,
    각각 다른 종류의 내용의 가공을 실행하는 복수의 가공 수단으로서 각각의 유닛으로 구성된 복수의 가공 유닛과,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공 유닛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가공 유닛을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하는 유닛 수용부로 이루어져 있고, 유닛 수용부가 가공 유닛을 수용하면, 가공 유닛을 가공 구동 수단과 연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가공 유닛 중의 하나가,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의 가공 유닛이고,
    장치 본체에는, 옵션 가공 장치부의 유닛 수용부에 수용된 가공 유닛의 가공 수단의 종별을 검지하는 가공 종별 검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가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공 유닛 중의 나머지가, 용지의 반송 방향으로,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 또는 용지에 미싱 눈(perforation)을 형성하는 미싱 눈 형성 수단, 또는 용지에 절곡 형상(fold)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수단의 가공 유닛이고, 이 가공 유닛이 가공 수단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용지 가공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공 유닛 중의 나머지가, 용지의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용지를 재단하는 재단 수단, 또는 용지에 절곡 형상을 형성하는 절곡 형상 형성 수단의 가공 유닛인
    용지 가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재단 수단이 복수의 회전 칼날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폭 방향으로 병렬 설치해서 구성된 것인
    용지 가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회전 칼날로 이루어지는 재단 수단이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용지 가공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위치 마크를 판독하고, 그 판독 정보에 근거해서 가공 수단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용지 가공 장치.
  11. 제1항, 제5항, 제7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가공 정보를 판독하고, 그 판독 정보에 근거해서 가공 수단의 가공 내용을 제어하는 가공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용지 가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옵션 가공 장치부가, 용지를 반송 방향으로 재단하는 재단 수단이며,
    재단 수단에 의한 재단에 의해 발생한 용지의 가윗밥(cutting waste)을 반송 경로의 밖으로 배제하는 가윗밥 배제 수단과,
    가윗밥 배제 수단을 반송 방향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가윗밥 배제 수단을 가윗밥이 발생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이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용지 가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이동 제어 수단이, 가공 정보에 근거하여, 재단 후의 소정의 폭 치수의 용지 조각을 가윗밥이라고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이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용지 가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가공 정보가 미리 입력된 것인
    용지 가공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가공 정보가 가공을 시행하는 용지에 미리 인쇄되어 있으며, 판독되는 것인
    용지 가공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소정의 폭 치수가 5mm 이상 15mm 이하인
    용지 가공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이동 제어 수단이, 용지에 인쇄되어 있는 위치 마크를 판독하여, 그 판독 정보에 근거해서 가윗밥 배제 수단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용지 가공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용지를 1장씩 반송해서 장치 본체에 보내주는 용지 공급 장치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용지 공급 장치부가,
    용지를 1장씩 송출하는 송출 수단과,
    송출 수단의 하류 측에 위치하고, 용지를 탑재하여, 용지의 끝 가장자리가 안내 벽에 따르도록 용지를 안내 벽을 향해서 비스듬히 반송하는 동시에, 용지를 반송 방향 하류를 향해서 반송하는, 사행(斜行) 반송 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용지 공급 장치부가, 용지 공급 장치부에서의 반송 방향이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장치 본체에 대하여 수직 축 주위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용지 가공 장치.
KR1020057025178A 2004-02-24 2005-02-22 용지 가공 장치 KR101120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8303A JP4298544B2 (ja) 2004-02-24 2004-02-24 用紙加工装置
JPJP-P-2004-00048303 2004-02-24
JPJP-P-2004-00048304 2004-02-24
JP2004048302A JP2005239307A (ja) 2004-02-24 2004-02-24 用紙加工装置
JPJP-P-2004-00048302 2004-02-24
JP2004048304A JP4212491B2 (ja) 2004-02-24 2004-02-24 用紙加工装置
JPJP-P-2004-00133690 2004-04-28
JP2004133690A JP4216761B2 (ja) 2004-04-28 2004-04-28 用紙加工装置
PCT/JP2005/002805 WO2005080244A1 (ja) 2004-02-24 2005-02-22 用紙加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721A KR20060119721A (ko) 2006-11-24
KR101120790B1 true KR101120790B1 (ko) 2012-03-23

Family

ID=3489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178A KR101120790B1 (ko) 2004-02-24 2005-02-22 용지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419149B2 (ko)
EP (1) EP1719726B1 (ko)
KR (1) KR101120790B1 (ko)
AU (2) AU2005214234B2 (ko)
CA (1) CA2534283C (ko)
HK (1) HK1092444A1 (ko)
TW (2) TW201127730A (ko)
WO (1) WO2005080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6348A (ja) * 2006-06-09 2007-12-20 Canon Inc 画像形成製本システム
FR2902696A1 (fr) * 2006-06-27 2007-12-28 Ask Sa Ensemble de tickets a puce sans contact
JP5517690B2 (ja) * 2010-03-25 2014-06-11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用紙加工装置
DE102010016479A1 (de) * 2010-04-16 2011-10-20 Matthias Felber Schneidemaschine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Schneidearbeiten an flächigen biegeschlaffen oder sonstigen Materialien
US8312798B2 (en) 2010-05-18 2012-11-20 Eastman Kodak Company Slitter with translating cutting devices
EP3034254B1 (en) * 2011-03-24 2020-09-09 Duplo Seiko Corporation Sheet processing apparatus
EP2620401B1 (en) 2012-01-27 2016-01-27 UCHIDA YOKO Co., Ltd. Automatic card-cutting apparatus
EP2754631B1 (en) 2013-01-11 2015-10-07 Duplo Seiko Corporation Processing machine and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US9622521B1 (en) * 2013-01-11 2017-04-18 Anthony B. Clayton Impact-resistant padding
JP6218595B2 (ja) * 2013-12-25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60182833A1 (en) * 2014-12-23 2016-06-23 Signazon.Com Camera System for Cutting Table
JP6469505B2 (ja) 2015-04-16 2019-02-13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用紙加工装置
EP3513935B1 (en) * 2016-09-14 2023-06-21 Yoshino Gypsum Co., Ltd. Cu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such a cutting device
JP6872218B2 (ja) * 2016-09-21 2021-05-19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シート加工装置
EP3299321B1 (en) * 2016-09-21 2024-02-14 Duplo Seiko Corpor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stacker part
JP7110589B2 (ja) * 2017-12-21 2022-08-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後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後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EP3689561B1 (de) 2019-01-29 2023-09-06 Multigraf AG Vorrichtung zur bearbeitung flächiger objekte
CN109573670B (zh) * 2019-01-31 2020-06-09 山东宏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eva板料自动分切系统
JP7261476B2 (ja) * 2019-08-07 2023-04-20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
JP7404730B2 (ja) * 2019-09-20 2023-12-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TWI721927B (zh) * 2020-08-14 2021-03-11 全利機械股份有限公司 等距調整機構
JP7043100B2 (ja) 2021-02-17 2022-03-29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シート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053A (ja) * 1998-07-16 2000-02-02 Duplo Seiko Corp スリッタ装置
JP2001105383A (ja) * 1999-10-05 2001-04-17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切断装置
JP2001232700A (ja) * 2000-02-22 2001-08-28 Duplo Seiko Corp 用紙裁断装置および折り型形成装置
JP2003182927A (ja) * 2001-07-30 2003-07-03 Heidelberger Druckmas Ag 被印刷材料のための後加工装置に用いられる加工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497A (en) * 1971-12-20 1975-02-18 Larry B Wolfberg Cross-perforating of continuously moving, superimposed leaves
JPS5336636B2 (ko) * 1974-04-24 1978-10-04
JPS5336636A (en) 1977-09-28 1978-04-05 Hitachi Ltd Dc electric equipment
JPS6199168A (ja) 1984-10-22 1986-05-17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422352Y2 (ko) * 1984-12-03 1992-05-21
IT1261244B (it) 1993-08-25 1996-05-09 Angelo Dotta Dispositivo per la perforazione di nastri di cerotti
JPH08290392A (ja) 1995-04-20 1996-11-05 Hagi Seimitsu Denshi Kk 簡易型名刺作成に使用される剪断機及びそれを用いた剪断方法
JP3336203B2 (ja) 1995-09-25 2002-10-2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及びシート処理方法
JPH1076495A (ja) 1996-09-03 1998-03-24 Ueda Tookoo:Kk 直線刃剪断と丸刃剪断による複合カード裁断装置
JP3691609B2 (ja) 1996-11-13 2005-09-07 イトックスサプライ株式会社 カード裁断機のスリッター機構
US6012366A (en) 1996-11-13 2000-01-11 Itox Supply Co., Ltd. Slitting mechanism of a card cutting machine
JP4017756B2 (ja) 1998-07-16 2007-12-05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用紙裁断装置
JP2943110B1 (ja) * 1998-08-24 1999-08-30 株式会社ミヤコシ ランダム縦ミシン目加工装置
DE29818847U1 (de) * 1998-10-22 1999-01-28 Goebel Gmbh Maschf Einrichtung zum Verarbeiten eines Substrates
US6131723A (en) * 1999-01-21 2000-10-17 Sandvik Sorting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veying packages in manner minimizing jams
JP2001071293A (ja) 1999-09-02 2001-03-21 Onishi Lite Industry Co Ltd シート材切断装置の刃物台ユニット交換機構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刃物台ユニット
JP2001261216A (ja) 2000-03-16 2001-09-26 Canon Inc 画像作成及び切り抜き装置
JP3677194B2 (ja) * 2000-05-25 2005-07-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の給紙機構
DE10137165A1 (de) 2001-07-30 2003-02-27 Heidelberger Druckmasch Ag Vorrichtung zum fliegenden mechanischen Bearbeiten von blattförmigen Bedruckstoffen
JP2003212425A (ja) 2002-01-21 2003-07-30 Ricoh Co Ltd 用紙後処理装置
US20030215275A1 (en) * 2002-03-12 2003-11-20 Masahiro Tamura Sheet finisher with a punching unit
JP4213603B2 (ja) 2004-02-24 2009-01-21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用紙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053A (ja) * 1998-07-16 2000-02-02 Duplo Seiko Corp スリッタ装置
JP2001105383A (ja) * 1999-10-05 2001-04-17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切断装置
JP2001232700A (ja) * 2000-02-22 2001-08-28 Duplo Seiko Corp 用紙裁断装置および折り型形成装置
JP2003182927A (ja) * 2001-07-30 2003-07-03 Heidelberger Druckmas Ag 被印刷材料のための後加工装置に用いられる加工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6768A (en) 2005-11-16
US20080258379A1 (en) 2008-10-23
TWI346083B (ko) 2011-08-01
CA2534283A1 (en) 2005-09-01
AU2005214234B2 (en) 2010-05-27
AU2010201792B2 (en) 2012-08-02
AU2010201792A1 (en) 2010-05-27
EP1719726B1 (en) 2013-09-25
AU2005214234A1 (en) 2005-09-01
US20060145415A1 (en) 2006-07-06
US7419149B2 (en) 2008-09-02
WO2005080244A1 (ja) 2005-09-01
TW201127730A (en) 2011-08-16
CA2534283C (en) 2013-01-22
EP1719726A1 (en) 2006-11-08
HK1092444A1 (en) 2007-02-09
KR20060119721A (ko) 2006-11-24
US7832318B2 (en) 2010-11-16
EP1719726A4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790B1 (ko) 용지 가공 장치
CN100526187C (zh) 纸张加工装置
WO2011118637A1 (ja) 用紙加工装置
JP6927574B2 (ja) スリッタ、シート裁断機、及びシート加工装置
JP2015120213A (ja) 用紙スリッタ及びこれを備えた用紙加工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
JP4298544B2 (ja) 用紙加工装置
EP268990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aper-processing device
JP4885615B2 (ja) 用紙加工装置
JP4506828B2 (ja) 用紙処理装置
JP6186212B2 (ja) 加工機及び用紙加工装置
JP5088128B2 (ja) 用紙処理装置
JP5034929B2 (ja) 用紙処理装置
JP6353210B2 (ja) 裁断加工ユニット
JP2011073382A (ja) カード作成システム、カード印刷システム、及びカード裁断機
JP2007055765A (ja) 用紙加工装置
JP6085770B2 (ja) 用紙加工装置
RU23771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 бумаги
JP6322823B2 (ja) 用紙加工装置
JP4803158B2 (ja) カッ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プリンタ
JP2005239309A (ja) 用紙加工装置
JP5494924B2 (ja) 裁断装置
JP2000006090A (ja) スリッター
JP2011073381A (ja) カード作成システム、カード印刷システム、及びカード裁断機
JP2012218106A (ja) カード裁断機、及びカード裁断機用スリッタ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