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465B1 - 분류 발생 장치, 전자 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분류 발생 장치, 전자 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465B1
KR101120465B1 KR1020040089375A KR20040089375A KR101120465B1 KR 101120465 B1 KR101120465 B1 KR 101120465B1 KR 1020040089375 A KR1020040089375 A KR 1020040089375A KR 20040089375 A KR20040089375 A KR 20040089375A KR 101120465 B1 KR101120465 B1 KR 10112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chambers
vibration
case body
class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3676A (ko
Inventor
무카사토모하루
호리카즈히토
이시카와히로이치
요코미조칸지
나카야마노리카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7/00Pumps displacing fluids by using inertia thereof, e.g. by generating vibration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33/00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with other than pure rotation, e.g. of oscillating type

Abstract

최대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발열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가 있는 분류 발생 장치, 이를 탑재한 전자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
본 발명에서는, 냉매를 맥류로서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챔버(11a), (12a)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해당 음파의 진동의 진폭이나 위상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IC 칩 등의 발열체의 고 클럭화에 수반하여 해당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이 증가하더라도, 진동체(5), (6)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진폭을 크게 하거나 하여 효과적으로 방열하면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분류 발생 장치, 전자 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 {JET FLOW GENERAT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JET FLOW GENERA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2개의 진동판의 진동을 도시하는 파형.
도 4는 예를 들면 IC 칩 등의 열을 방열할 때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사람의 청감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A 특성의 등 라우드니스 곡선).
도 6은 음압계를 이용하여 분류 발생 장치의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2개의 음원(A), (B)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2개의 음원(A), (B)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챔버가 4개인 경우에 있어서의 소음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음원이 3개인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음파에 위상차를 설치한 경우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2개의 음파의 합성파를 산출한 그래프.
도 12는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예를 들면 상기 챔버를 2개 이용한 경우에, 그들 2개의 챔버로부터 각각 발생하는 음파의 위상차를 180° 어긋나게 한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3개의 챔버를 이용한 경우, 그들 3개의 챔버로부터 각각 발생하는 음파의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스피커를 그 정격 입력으로 구동한 경우와, 정격의 40%로 구동한 경우의, 기본파에 대한 고조파의 비율을 도시한 표.
도 17은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8에 도시하는 B-B선에 의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19는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기본 주파수를 100㎐로 했을 때에, 진동 제어부의 신호를 가공하여 고조파 성분인 왜곡 성분을 저감시킨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하는 하나의 분류 발생 장치만을 이용하여, 구동 주파수를 200㎐로 했을 때의 음파의 도면.
도 24는 도 22에 도시하는 2개의 분류 발생 장치로부터 각각 발생하는 제 1 합성 파형, 제 2 합성 파형 및 최종 합성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소음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기체 분출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9는 도 26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1은 스피커가 1개인 경우의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2는 도 30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액튜에이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 1 확대 단면도.
도 35는 액튜에이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 2 확대 단면도.
도 36은 액튜에이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 3 확대 단면도.
도 37은 액튜에이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제 4 확대 단면도.
도 38은 도 32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는 도 28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2는 도 40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4는 도 40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5는 도 44에 도시하는 노즐의 단면도.
도 46은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노즐의 단면도.
도 47은 절곡되는 노즐을 가지는 분류 발생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제 1도면.
도 48은 절곡되는 노즐을 가지는 분류 발생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제 2 도면.
도 4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0은 도 49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1은 도 49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 도.
도 52는 분류 발생 장치에서 이용되는 스피커형의 진동 기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3은 도 52에 도시하는 진동판 및 에지 부재 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4는 도 53에 도시하는 진동 기구가 2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진동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41, 61, 71, 81, 91, 101, 111, 121, 131, 201, 231, 241, 251, 261, 301, 311, 321, 331, 341, 351, 361, 371, 381 : 분류 발생 장치
22c, 22d : 개구
82, 83 : 마이크로폰
27, 7, 8, 127, 227, 145, 211, 211A, 211B, 221A, 221B, 221C, 221D, 285, 306, 365, 375, 385 : 진동판
10, 20, 70, 80, 120, 220, 170, 210 : 제어부
11, 12, 22, 68, 172, 202A, 202B, 232A, 232B, 232C, 232D, 362, 382 : 케이스 몸체
11a, 12a, 22a, 22b, 62a, 62b, 122a, 122b, 222a, 22b, 172a, 172b, 204a, 204b, 206a, 206b, 224a, 224b, 226a, 226b, 302a, 302b, 362a, 362b, 382a, 382b : 챔버
13, 14, 43, 44, 63a, 63b, 173, 174, 207A, 207B, 208A, 208B, 303a, 303b, 304a, 304, 304b, 307a, 307b, 308a, 308b, 309, 363a, 363b : 노즐
105a, 105b, 106a, 106b, 240, 243A, 243B : 베어링(축받이)
본 발명은, 분류(噴流)를 발생시켜서 전자 부품 등의 발열체를 냉각하는 분류 발생 장치, 이 분류 발생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PC(Personal Computer)의 고성능화에 수반하는 IC(Integrated Circuit) 등의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의 증대가 문제가 되고 있으며, 여러가지 방열 기술이 제안되거나 혹은 제품화되어 있다. 그 방열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IC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용의 핀(fin)을 접촉시켜, IC로부터의 열을 핀에 전도시켜서 방열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팬(fan)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PC의 케이스 몸체 내의 따뜻해진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제하고, 주위의 저온의 공기를 발열체 주변으로 도입함으로써 방열하는 방법도 있다. 혹은 방열 핀과 팬을 병용하는 것에 의해, 방열 핀으로 발열체와 공기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면서, 팬에 의해 방열 핀 주위의 따뜻해진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제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팬에 의한 공기의 강제 대류에서는, 방열 핀의 하류 측에서 핀 표면의 온도 경계층이 생겨서, 방열 핀으로부터의 열을 효율 좋게 빼앗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팬의 풍속을 올려서 온도 경계층을 얇게 하는 것을 거론할 수 있다. 그러나, 풍속을 올리기 위해서 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팬의 베어링 부분으로부터의 소음이나, 팬으로부터의 바람이 일으키는 바람소리 등에 의한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온도 경계층을 파괴하고, 방열 핀으로부터의 열을 효율 좋게 공기로 방출하는 방법으로서 합성 분류를 이용한 것이 있다. 이것은 챔버 내에 설치된 왕복하는 피스톤 등에 의해 생기는 공기의 움직임을, 챔버의 일단에 설치된 구멍으로부터 분출시키는 것이다. 이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공기는 합성 분류라 불리우며, 공기의 혼합을 촉진시키고 상기 온도 경계층의 파괴를 일으켜, 종래의 팬에 의한 강제 대류에 비해 효율 좋게 방열할 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미국 특허 제 6123145호 명세서(FIG. 8 등)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에 의한 공기 진동이 음파로서 전파되기 때문에, 이 소리에 의한 소음이 문제가 된다. 또한, 근래의 IC의 고(高) 클럭화에 의해 발생하는 열량은 증가 일로를 가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발열에 의해 방열 핀 부근에 형성되는 온도 경계층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그 IC나 방열 핀을 향해 지금까지보다 다량의 공기를 보내 주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면,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도 1A 등에 도시된 장치와 같이, 진동막을 진동시켜 공기를 분출시키는 장치일지라도, 그 진동의 진폭을 올려서 공기의 분출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그 진동막의 진동수가 가청 대역에 있는 경우에는, 그 진동막의 소음도 문제가 된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발열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가 있는 분류 발생 장치, 이를 탑재한 전자 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개구를 각각 가지며 냉매가 포함된 복수의 챔버와, 상기 각 챔버에 포함된 상기 냉매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각 개구를 거쳐 냉매를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 기구와, 상기 각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가 토출될 때에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진동 기구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약화되도록」이라는 것은, 복수의 토출 수단에 의해 생긴 음파가 전파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해당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에 의해 복수의 챔버에서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C 칩 등의 발열체의 고 클럭화에 수반하여 해당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이 증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어부는, 각 챔버에 의해 생기는 음파를 서로 약화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그 음파의 위상, 주파수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면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각 개구 중 적어도 한 조(組)의 상기 챔버가 각각 가지는 개구의 간격을 d(m), 상기 한 조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의 파장을 λ(m)로 했을 경우, d<λ/2 를 만족시킨다. 이 경우에, 음파의 파장 (λ)은 복수의 챔버마다 모두 대략 동일하다고 하면, 예를 들면 그 챔버마다 설치된 개구로부터 발생한 음파의 대략 최대 진폭끼리 서로 증강되는 개소가 없어지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d<λ/2 의 조건이 만족되면, 각 챔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챔버가 2개일 때에는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위상을 360/2=180°어긋나게 하여 진동 기구를 진동시키면 파형이 반전되어 음파가 서로 약화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토출 수단이 A, B, C, D 4개일 때에는,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장과 진폭을 동일하게 하고, A와 B로부터 동일 위상의 파형을 발생시키며, C와 D로부터 A와 B에 대해서 위상이 180° 어긋난 파형을 발생시키면 음파는 서로 약화되게 된다.
더욱이, 챔버의 수가 n(n=2, 3, 4, …)이고,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장과 진폭이 대략 동일한 경우, 제어부에 의해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형이 360/n[도]의 위상차로 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n개의 챔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에서 음파의 합성 파형이 서로 약화되게 된다.
또한, 챔버의 수가 n(n=2, 3, 4, …)이고,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 의 파장이 모두 λ이고 진폭도 대략 동일하며, 인접하는 개구의 간격이 각각 d(m)였던 경우, d<λ/{2(n-1)}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가장 떨어진 개구의 거리가 λ/{2(n-1)}로 되어, 이 거리에 대해서 파장이 충분히 길기 때문에, 위치ㆍ방향성에 관계 없이 각 토출 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합성 파형은 위치ㆍ방향성에 관계 없이 서로 약화되게 된다. 즉, 챔버마다 설치된 개구로부터 발생한 음파의 대략 최대 진폭끼리 서로 증강되는 개소가 없어지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챔버가 A, B, C 3개일 때에,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장을 모두 λ로 하고, 챔버 A, B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에 대해서는 모두 진폭 a의 동일 위상의 파형으로 하며, 챔버 C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에 대해서는 진폭 2×a로(상기 A, B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위상과는) 역 위상의 파형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챔버 A, B, C로부터 발생되는 각 음파의 음파의 합성 파형은, 각 파형의 산 부분과 계곡 부분이 서로 약화되어 합성 파형이 평평한 것으로 되어, 소음(消音)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더욱이 상기의 경우, d<λ/{6(n-1)}로 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하나의 챔버에서 진동 기구가 가지는 1개의 진동판을 설치하는 경우의 소리보다 작게 할 수가 있다.
또한, 각 챔버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동일하게 하는 것 외에, 상기 d와 λ의 관계 조건만 만족시키도록 하면, 챔버의 형상이나 크기는 어떠한 것이어도 상관이 없다. 또한, 2개의 챔버의 배치 관계도 상관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발열체를 내 장한 전자 기기에 본 발명과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탑재한 경우, 그 발열체와 분류 발생 장치와의 위치 관계는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어서, 전자 기기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80~150(㎐)로 상기 진동 기구의 진동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인간의 청감 특성 상, 예를 들면 1(㎑)의 음파에 비해, 1/20 이하의 소음 레벨로 소리를 저감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정숙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발열체를 냉각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흡음재 또는 마개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더욱 소리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각 챔버 내에 각각 배치된 진동판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진동판의 수를 늘릴수록, 혹은 진동판의 진폭을 크게 할수록, 이들 복수의 진동판의 진동에 의한 합성 분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IC 칩 등의 발열체의 고 클럭화에 수반하여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이 증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가 있다. 한편, 진동판의 수를 늘리거나 진폭을 크게 하거나 해도, 제어부가 복수의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생기는 음파의 진동이 서로 약화되도록, 해당 냉매의 진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방열시키면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한 조의 챔버를 구획하도록 설치된 진동판을 가진다. 개구는 챔버가 복수의 진 동판에 의해 구획되는 수 마다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그것보다 많아도 상관 없다. 또한, 진동판의 수는 단수여도 좋고 복수여도 좋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진동판이 1개인 경우, 제어부는 예를 들면 진동판에 정현파의 진동으로 구동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개구로부터 생기는 음파를 서로 약화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챔버의 수를 n으로 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음파의 위상차를 360/n[도]로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n차 이외의 고조파를 서로 약화시키도록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그 n차 이외의 고조파의 정수배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고조파도 마찬가지로 서로 약화되도록 할 수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각각의 음파의 위상차」란 각 음파의 기본 주파수에만 착안한 해당의 각 음파의 위상차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각 챔버에 의해 생기는 음파의 진폭을 모두 대략 동일하게 제어하고, 상기 각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에 포함되는 진동 중, 각각의 n차 고조파 끼리의 합성파에 의한 소음 레벨이, 상기 각 챔버 중 1개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음파의 소음 레벨보다 작아지도록 n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위상차를 360/n[도]로 설정한 경우, 물론 pn(p는 2 이상의 정수)차의 고조파끼리도 서로 증강되게 된다. 그러나, n차 보다 더욱 높은 차수의 고조파는 진폭도 작기 때문에, 해당 pn차의 고조파 끼리의 합성파의 진폭도 해당 1개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음파의 진폭보다 작아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 방향인 제 1 방향 과 수직인 면에 대해서 대략 대칭인 형상의 진동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대칭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각 음파 및 그 음파의 고조파의 진폭 등을 최대한 동일하게 할 수가 있고, 정숙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기구를 진동시키기 위한 정격 입력보다 낮은 입력으로 해당 진동 기구를 진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조파 성분이 저감되어, 소음을 억제할 수가 있다. 입력이란, 예를 들면 전력 혹은 전압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하는 방향과 수직인 면에 대해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1 진동판과 대략 동일 형상을 가지며 이 제 1 진동판의 진동 방향과 대략 동일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또한 해당 진동 방향에서 상기 제 1 진동판과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진동을 부여하는 제 2 진동판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진동판일지라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전체적인 대칭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의 파형을 최대한 동일하게 할 수가 있으며, 정숙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비대칭인 형상의 진동판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일부나 자석을 가지는 스피커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기구를 상기 제 1 주파수로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 1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로서, 상기 진동 기구를 상기 제 1 주파수로 진동시켰을 때 에 그 진동 기구에 포함되는 제 2 주파수에서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 진동 기구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신호 생성부를 가진다. 제 2 주파수란, 예를 들면 제 1 주파수를 기본 주파수로 했을 경우의 고조파 성분이다. 이것에 의해, 제 1 주파수에서의 진동이 서로 약화되게만 하면, 종래의 왜곡 성분을 수반하는 진동판을 사용하더라도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각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를 검출하는 음파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각각의 음파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피드백 제어에 의해 보다 확실히 분류 발생 장치의 정숙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진동 기구의 경시 변화 등에 의해 그 진동 특성이 변화되었다고 해도,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각 챔버는, 해당 각 챔버 중 적어도 2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제 1 챔버군과, 적어도 2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제 2 챔버군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제 1 챔버군에 포함된 상기 냉매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2 챔버군에 포함된 상기 냉매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 2 진동판을 가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챔버군으로부터 발생되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제 2 챔버군으로부터 발생되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제 1 챔버군으로부터의 제 1 합성 음파와 상기 제 2 챔버군으로부터의 제 2 합성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의 진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챔버군에서 서로 약화된 제 1 합성 음파와, 제 2 챔버군에서 서로 약화된 제 2 합성 음파가 더 합성되어 서로 약화되기 때문에, 더욱 소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서로 약화된 합성 음파가 더욱 약화되는 다른 음파를 생성하는 음파 생성부를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더욱 소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음파 생성부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서로 약화된 합성 음파의 위상과는 역 위상으로 대략 동일한 진폭의 음파를 생성하는 것이면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판을 가지고, 해당 분류 발생 장치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서 챔버군을 형성하는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진동판에 접속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가동되는 로드를 구비한다. 여기서 말하는 챔버군이란, n개의 챔버가 (n-1)개의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단,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액튜에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구동되는 것이 이용된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액튜에이터가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있으면, 챔버에 그 액튜에이터의 열이 가득 찰 가능성이 있으며, 열이 가득 차면 방열 능력이 저하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일을 회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 챔버군을 형성하는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진동판에 접속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가동되는 로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액튜에이터가 케이스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챔버의 용적 또는 형상 등을 최대한 동일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소음 저감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액튜에이터가 케이스 몸체의 내부에 있으면 챔버에 열이 가득 찬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로드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가 있어, 진동판을 안정되게 진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흡수 부재가 관통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해, 진동판이 진동했을 때에 케이스 몸체 내부의 냉매가 해당 관통 구멍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관통 구멍, 또는 그 관통 구멍 부근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제 1 베어링을 더 구비한다. 제 1 베어링은 고체에 한정되지 않고 유체여도 좋다. 이하, 「베어링」이라는 문구가 포함되는 발명에 대해, 「고체」 또는 「유체」로 한정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찬가지이다. 특히, 유체 베어링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케이스 몸체의 밀폐성 및 정음성(靜音性)이 향상된다. 유체로서는, 예를 들면 기름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로드는 상기 진동판을 관통하고, 해 당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베어링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제 2 베어링을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베어링만 이용되는 경우보다 안정되게 로드가 가동되기 때문에, 안정된 진동판의 진동이 얻어진다. 또한, 로드가 케이스 몸체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챔버마다의 용적 또는 형상 등을 동일하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소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로드는 제 1 베어링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제 1 케이스 몸체를 관통해 있어도 좋고, 관통해 있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관통 구멍을 거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실(seal)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챔버의 기밀성이 높아져서, 효율 좋게 분류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실 부재는 고체여도 좋고 유체여도 좋음은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로드와 상기 제 1 베어링과의 틈새를 거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실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챔버의 기밀성이 높아져서 효율 좋게 분류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제 2 베어링에도 실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제 1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 중 제 1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 제 1 챔버군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대향하는 제 2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진동판 중 제 2 진동판에 의해 더 구획되어 제 2 챔버군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2 케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접속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가동되는 로드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액튜에이터 1개로 적어도 2개의 진동판을 진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적은 전력으로 냉매의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어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관통 구멍, 또는 그 제 1 관통 구멍 부근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제 1 베어링을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안정되게 로드가 가동된다. 마찬가지로, 분류 발생 장치는 제 2 관통 구멍에 설치된 로드의 베어링을 더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로드는 상기 제 1 진동판을 관통하고, 해당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베어링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제 2 베어링을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베어링만 이용되는 경우보다 안정되게 로드가 가동되기 때문에, 안정된 진동판의 진동이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로드는 제 2 진동판을 관통하고,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베어링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베어링을 더 구비해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로드가 삽입 통과되는 제 3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 중 그 제 3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로드가 접속되는 제 3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 제 3 챔버군을 형성하는 제 3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냉각 대상이 되는 발열체의 수나 배치에 따라 케이스 몸체의 수를 조정할 수가 있다. 더욱이, 케이스 몸체의 수에 비례하여 냉매의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한편, 액튜에이터는 여전히 1개로 충분하다. 따라서 전력 절약, 코스트의 억제, 분류 발생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관통 구멍을 거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실 부재, 및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거치는 상기 제 2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실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이다. 이것에 의해, 챔버의 기밀성이 높아져서, 효율 좋게 분류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실 부재는 고체여도 좋고 유체여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을 덮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몸체에 당접하고, 해당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로드와 상기 액튜에이터의 틈새를 거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2 케이스 몸체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실 부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에 의해 제 1 케이스 몸체와 제 2 케이스 몸체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 부재에 의해 제 1 케이스 몸체 내부와 제 2 케이스 몸체 내부의 연통을 차단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케이스 몸체 각각에서 효율 좋게 냉매를 토출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 통 구멍을 덮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몸체에 당접하고,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로드의 베어링과, 상기 로드와 상기 베어링의 틈새를 거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2 케이스 몸체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실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실 부재에 의해 제 1 케이스 몸체 내부와 제 2 케이스 몸체 내부의 연통을 차단할 수가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케이스 몸체 각각에서 효율 좋게 냉매를 토출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액튜에이터는 유체압에 의해 상기 로드를 가동시키기 위한 유체압 발생부를 가진다. 유체압 발생부는, 예를 들면 수압, 유압, 또는 공기압 등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키면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액튜에이터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 운동을 상기 로드에 전달하는 링크 기구를 가진다. 회전자가 이용되는 액튜에이터란 일반적인 회전식의 모터이며, 리니어 모터에 비해 코스트를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측벽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측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몸체의 외부 및 내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된 상기 냉매의 토출 노즐을 가지고, 상기 각 챔버를 형성하는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한다. 챔버 내에 노즐의 타단이 배치되는 것에 의해 노즐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할 수가 있고,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낮게 할 수가 있다. 인간의 청감 특성 상, 주파수가 낮은 소리일수록 소리가 작게 들리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발생하는 소리를 최대한 작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1개의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절곡된 노즐을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절곡의 방향 등에 따라 여러가지 발열체의 배치에 대응하여 해당 발열체를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다른 챔버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적어도 한 조의 노즐을 상기의 거리(d)를 만족시키도록 챔버의 배열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배열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1개의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유연한(flexible)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이다. 이것에 의해, 여러가지 발열체의 배치에 따라 노즐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제 1 발열체를 향해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1개의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 1 노즐과, 상기 제 1 발열체와는 다른 제 2 발열체를 향해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1개의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 2 노즐을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발열체를 목표로 삼아 냉매를 토출시킬 수가 있다. 날개바퀴(impeller)를 회전시키는 종래의 팬에서는, 본 발명과 같이 국소적으로 냉각시킬 수가 없다. 제 1 노즐과 제 2 노즐은 동일한 챔버로부터의 냉매를 토출시키는 것이어도 좋고, 각각 다른 챔버로부터의 냉매를 토출시키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노즐은 직선 형상을 이루고, 상 기 제 2 노즐은 절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노즐의 절곡의 방향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발열체의 배치에 대응하여 해당 발열체를 냉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노즐은 제 1 길이 및 상기 냉매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인 제 1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유로를 가지고, 상기 제 2 노즐은 제 1 길이보다 긴 제 2 길이 및 상기 제 1 단면적보다 넓은 제 2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유로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제 2 유로의 유로 저항이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어서, 적절한 양의 냉매를 제 2 노즐로부터 토출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분류 발생 장치는 발열체의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 핀을 구비한 히트싱크 위에 배치되고, 상기 각 방열 핀이 입설되는 입설 방향과 대략 평행한 측면을 가지며,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한 조의 챔버를 형성하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각 방열 핀을 향해 상기 케이스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조의 챔버로부터 각각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조의 노즐을 더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노즐이 설치되는 해당 케이스 몸체의 측면을 상기 히트싱크에 대향시키는 경우에 비해, 히트싱크에 대한 분류 발생 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배치에 의해, 히트싱크와 분류 발생 장치를 포함한 포락 체적(envelope volumn)을 최대한 작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 방향을 따르도록 입설된 측벽으로서, 제 1 단부와, 상기 진동 방향에서 상기 제 1 단부와는 반대 측 에 설치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측벽을 가지는 진동판과, 상기 제 1 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와, 상기 제 2 단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를 가진다. 이와 같이 진동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지지 부재와 제 2 지지 부재에 의해 측벽이 지지되는 것에 의해, 진동판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좌우 흔들림이 억제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진동 기구가 진동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가 전자 구동의 것인 경우, 고정자와 가동 부재가 충돌하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충돌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고정자와 가동 부재와의 틈새를 좁게 할 수가 있어서 코일에 가해지는 자계를 강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기구는 효율 좋게 구동력을 얻을 수가 있다. 더욱이, 충돌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고차 모드의 진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서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진동 방향을 따르도록 입설된 측벽을 가지는 진동판과, 상기 측벽을 상기 진동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 부재가 지지하는 측벽의 지지 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진동판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측벽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된 윤활재를 가진다. 이것에 의해, 진동판이 순조롭게 진동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각 챔버 사이에서의 기밀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주위에서 그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 동부와, 상기 진동판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부착되도록 배선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기 위한 도선을 가진다. 이것에 의해, 도선이 진동판 및 지지 부재와 일체적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공중에 배선되는 경우에 비해 단선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판의 주위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홈을 가지며, 상기 도선은 상기 홈을 따라 배선되어 있다. 도선이 진동판이나 지지 부재와 일체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예를 들면 도선이 지지 부재의 변형량이 큰 방향, 즉 진동판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배선되는 경우에는, 도선에 큰 응력이 가해져 단선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와 같은 문제를 회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홈이란 주름상자(bellows)와 같은 형상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는 발열체와, 개구를 각각 가지며 냉매가 포함된 복수의 챔버와, 상기 각 챔버에 포함된 상기 냉매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각 개구를 거쳐 냉매를 맥류로서 상기 발열체를 향해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 기구와, 상기 각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가 토출될 때에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진동 기구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체로서는 예를 들면 IC 칩이나 저항 등의 전자 부품, 혹은 방열 핀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열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전자 기기로서는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전화(電化)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분류 발생 방법은, 개구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챔버에 포함된 냉매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각 개구를 거쳐 상기 냉매를 맥류로서 토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각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가 토출될 때에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냉매에 부여하는 진동을 제어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C 칩 등의 발열체의 고 클럭화에 수반하여 해당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이 증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는, 매체를 맥류로서 각각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 수단과, 상기 복수의 토출 수단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소멸되도록, 해당 음파의 진폭 및 위상 중 적어도 한 쪽을 조정하는 파형 조정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소멸되도록」이란 복수의 토출 수단에 의해 생긴 음파가 전파되는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해당 음파가 서로 소멸되도록 하는 것, 혹은 서로 약화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는, 파형 조정 수단에 의해 복수의 토출 수단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소멸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IC 칩 등의 발열체의 고 클럭화에 수반하여 해당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이 증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파형 조정 수단은 복수의 토출 수단에 의해 생기는 음파를 소멸시키기 때문에, 예를 들면 그 음파의 위상, 혹은 진폭을 조정하면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매체는 기체이며, 그 기체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 수단은 상기 진동체에 의해 진동이 부여된 기체를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각각 가지며, 상기 파형 조정 수단은 상기 진동체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진다. 제어 수단이 진동체의 진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음파가 서로 소멸되어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토출 수단이 각각 가지는 개구 중, 적어도 한 조의 토출 수단의 개구의 간격을 d(m), 상기 한 조의 토출 수단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의 파장을 λ(m)로 했을 경우, d<λ/2를 만족시킨다. 각각의 토출 수단이 각각 챔버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음파의 파장(λ)은 복수의 챔버마다 모두 대략 동일하다고 하면, 예를 들면 그 챔버마다 설치된 개구로부터 발생한 음파의 대략 최대 진폭끼리 서로 증강되는 개소가 없어지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분류 발생 장치(1)는, 예를 들면 독립한 2개의 케이스 몸체(11), (12)를 가 지고 있다. 케이스 몸체(11), (12)에는 각각 진동 기구(5), (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진동 기구(5), (6)는 진동판(7), (8)을 가지고 있으며, 진동판(7), (8)은 유연한 막 형상의 물질, 예를 들면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진동 기구(5), (6)는 예를 들면 스피커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코일, 자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동판(7), (8)은 그 진동 방향에 대해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몸체(11), (12)는 각각 챔버(11a), (12a)를 형성하고, 챔버(11a), (12a)에는 각각 기체가 채워져 있다. 기체로서는 예를 들면 공기를 이용할 수가 있다. 케이스 몸체(11), (12)의 측면에는 예를 들면 개구로서 노즐(13), (14)이 각각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노즐(13){또는 노즐(14)}은 복수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챔버마다 1개씩 설치되도록 해도 상관 없다. 또한, 노즐(13) 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11) 등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 아니어도 좋으며, 예를 들면 케이스 몸체(11) 등의 벽면이 개구되어 있는 것만으로도 좋다.
케이스 몸체(11), (12) 각각의 상부에는 구멍부(11b), (12b)가 형성되고, 이들 구멍부(11b), (12b)를 덮도록 진동 기구(5), (6)가 부착되어 있다.
진동 기구(5), (6)의 진동은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는, 예를 들면 진동 기구(5), (6)의 코일에 정현파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회로(15)와, 진동 기구(5), (6)의 진동 파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16)를 가지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제어 회로(16)를 이용하여 진동 기구(5), (6)의 각각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진동을 서로 소멸 시키도록, 또는 약화시키도록 진동 기구(5), (6)의 구동을 제어한다.
케이스 몸체(11), (12)는 강성이 높은 물질,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형상은 예를 들면 직방체 형상이다. 케이스 몸체(11), (12)는 예를 들면 형상, 재질, 개구 등의 형상을 동일하게 한 것을 이용한다. 또한 진동판(7), (8) 등에 대해서도 형상, 재질 등을 동일하게 한 것을 이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분류 발생 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어부(10)가 진동 기구(5), (6)를 구동하여 진동판(7), (8)을 정현파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챔버 (11a), (12a) 내의 용적이 증감(增減)한다. 챔버(11a), (12a)의 용적 변화에 수반하여, 그들 챔버(11a), (12a)의 압력이 변화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각각 노즐(13), (14)을 거쳐 공기의 흐름이 맥류로서 발생한다. 예를 들면, 진동판(7)이 챔버(11a) 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되면 챔버(11a)의 압력은 감소하고, 이것에 의해 노즐(13)을 거쳐 케이스 몸체(11) 외부의 공기가 챔버 내로 유입된다. 반대로, 진동판(7)이 챔버(11a)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변위되면 챔버(11a)의 압력은 증가하고, 이것에 의해 챔버(11a)에 있는 공기가 노즐(13)을 거쳐 케이스 몸체 (11) 외부로 분출된다. 진동 기구(6), 챔버(12a)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분출된 공기를 예를 들면 고열부에 내뿜는 것에 의해, 고열부를 냉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진동판(7), (8)의 진동은 음파로 되어서 공기 중을 전파한다. 즉, 노즐(13), (14)을 거친 공기의 분류와는 별개로, 진동판(7), (8)의 진동에 의해 챔버 (11a), (12a)로부터 외부에 걸쳐서 공기의 조밀(粗密)이 형성되고, 종파인 음파가 발생된다. 이 음파가 소음으로 된다. 특히, 노즐(13), (14)로부터 소리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11), (12)로부터 발생한 기체의 진동을 서로 소멸시키도록, 또는 약화시키도록 진동판(7), (8)의 진동을 제어부(10)에 의해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진동판(7), (8)의 진동 파형이 대략 동일하고, 또한 역 위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음파가 서로 약화되어 소음이 저감된다.
도 4는 분류 발생 장치(1)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IC 칩 등의 열을 방열시킬 때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IC 칩(50)은 예를 들면 히트 스프레더(spreader)(또는 히트 파이프의 기능을 가지는 열 수송체)(51)에 접촉해서 설치되고, 히트 스프레더(51)에는 복수의 방열 핀(52)이 부착되어 있다. 분류 발생 장치(1)는, 예를 들면 노즐(13), (14)로부터의 기체의 분출 방향을 방열 핀(52)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IC 칩(5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히트 스프레더(51)에서 확산되어 방열 핀에 전달된다. 그러면, 방열 핀(52)의 근방은 고열의 공기가 체류하여 온도 경계층이 형성되어 버린다. 거기서, 예를 들면 상기 진동 기구(5), (6)의 진동에 의해 노즐(13), (14)로부터 발생한 분류를 방열 핀(52)을 향해 내뿜는다. 이 분류에 의해 해당 온도 경계층이 파괴되어, 효율 좋게 방열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진동 기구(5) 등의 수를 증가시키고, 또한 케이스 몸체(11) 등의 수를 증가시킬수록, 혹은 진동 기구(5) 등의 진폭을 크 게 할수록, 이들 진동 기구(5) 등의 진동에 의한 합성 분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IC 칩의 고 클럭화에 수반하여 해당 IC 칩으로부터의 발열량이 증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가 있다. 한편, 진동 기구(5) 등의 수를 늘리거나 진폭을 크게 하거나 해도, 제어부(10)에 의해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해당 음파의 진동의 위상을 제어한다. 즉, 효과적으로 방열시키면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1)는 노즐(13)(또는 14)이 Y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발열체, 예를 들면 방열 핀(52) 등의 Y 방향의 길이에도 적절히 맞추어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적어도 진동판을 정현파로 진동시켜 음파를 상쇄시키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송풍을 만들기 위한 팬을 2개 이용하여 서로의 소음이 서로 약화되는 경우에 비해 깨끗하게 소리를 상쇄시킬 수가 있다. 1개의 팬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는 일반적으로 잡음이 많기 때문에, 그와 같은 팬을 2개 이용해서 소리를 소멸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다음에, 분류 발생 장치(1)를 이용한 경우의 소음 저감 효과의 실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험에서 이용한 분류 발생 장치(1)는, 그 크기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100(㎜), b=18(㎜), c=50(㎜), d=20(㎜), e=25(㎜), f=40(㎜), 노즐(13), (14)의 지름을 φ=3(㎜)‥‥조건(1)
로 하고 있다. 또한, 진동 기구(5), (6)의 진동수를 사람의 가청 영역인 100(㎐) 정도로 하였다.
여기서, 도 5는 사람의 청감 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JIS 규격으로 규정된 등(等) 라우드니스 곡선(A 특성인 것)으로서, 20(㎐)~20(㎑)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사람이 동일한 음압 레벨에 노출되었을 때에, 어느 정도의 크기로 들리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즉, 1(㎑)의 음파를 기준으로 하여 각 주파수의 소리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 들리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동일한 음 압 레벨이라도 1(㎑)의 소리에 비해 50(㎐)의 소리는 30(dB) 작게 들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음압 레벨 Lp(dB)는 이하의 수학식 (1)로 정의된다.
Lp=20 log(p/pO)‥‥수학식 (1)
p는 음압(Pa), pO 은 기준 음압(20μPa)이다.
도 6은 음압계를 이용하여 분류 발생 장치(1)의 소음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는 사람의 가청 영역인 약 20(㎐)~20(㎑)의 주파수 대역의 음파의 측정 결과이다. 또한, 이 그래프는 사람이 느끼는 「소음 레벨」이 아니라 「음압 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그래프는 상기 A 특성의 보정(사람의 청감 특성에 맞도록 음압 레벨을 보정한 것)을 가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도 6에 도시하는 그래프에서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음압 레벨은 높아지고 있지만, 사람이 느끼는 소음으로서는 거의 변함이 없다. 이 그래프로부터 100(㎐)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음파가 서로 약화되는 것을 보았다.
더욱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13)과 노즐(14)의 거리를 d(개구 사이의 거리)로 하고, 음파의 파장을 λ(m)로 했을 경우,
d<λ/2‥‥수학식 (2)
를 만족시키도록 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노즐(13) 등으로부터 발생한 음파의 대략 최대 진폭끼리 서로 증강되는 개소가 없어지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챔버(11a), (12a)의 개구(13)와 개구(14)의 거리가 d인 경우에, AP, BP의 거리를 각각 h, i로 한다. |h-i|가 각각의 챔버(11a), (12a)의 음원 A, B으로부터 발생되는 대략 동일한 파장( λ)을 가지는 음파의, 해당 파장( λ)의 2분의 1보다 작고, 또한 그 때의 2개의 음파가 역 위상으로 되면, 2개의 음파는 서로 약화된다. 여기서, 삼각형의 정의에서, |h-i|는 최대 극한으로 d, 즉 |h-i|<d 로 되기 때문에, 결국 d가 반파장 이하, 즉, d<λ/2 로 되면 좋다. 이와 같이 d를 설정하면 2개의 음파의 대략 최대 진폭끼리 서로 증강되는 개소가 없어진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2개의 음원 A, B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면으로부터도 이해할 수가 있다. 이 도면에서는 굵은 선이 음원 A의 파면이고, 가는 선이 음원 B의 파면이다. 또한, 각각의 파면의 실선이 산이고 파선이 골짜기이다. 음원 A, B 사이의 거리 d가 d<λ/2이고, 또한 역 위상으로 되며, 이것에 의해, 복수의 점(C)(흰 동그라미)에서 2개의 음파의 최대 진폭끼리 서로 약화되고, 최대 진폭끼리 서로 증강되는 개소가 없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수학식 (2)가 만족되면, 챔버 등에 대해 서는 여러 가지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챔버가 2개일 때에는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위상을 360/2=180°어긋나게 하여 진동판(7), (8)을 각각 진동시키면 파형이 반전되어 음파가 서로 약화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챔버가 A , B , C , D 4개일 때에는,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장과 진폭을 동일하게 하여 A와 B로부터 동일 위상의 파형을 발생시키고, C와 D로부터 A와 B에 대해서 위상이 180° 어긋난 파형을 발생시키면 음파는 서로 약화되게 된다.
더욱이, 챔버의 수가 n(n=2, 3, 4, …)이고,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장과 진폭이 대략 동일한 경우, 제어부(10)에 의해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형이, 360/n[도]인 위상차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n개의 챔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에서 음파의 합성 파형이 서로 약화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은 예를 들면 n=3인 경우에 있어서의 음파의 위상차를 도시한 것으로, 3개의 파형 X, Y 및 Z의 위상차를 각각 120도씩 어긋나게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 합성파가 굵은 선 W로 도시하는 파형이 되고, 음파가 서로 약화된다.
또한, 챔버의 수가 n(n= 2, 3, 4, …)이고,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장이 모두 λ이고 진폭도 대략 동일하며, 인접하는 챔버의 개구의 간격이 각각 d(m)였을 경우,
d<λ/{2(n-1)}‥‥수학식 (3)
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가장 떨어진 개구끼리의 거리가 λ/{2(n-1)}가 되고, 이 거리에 대해서 파장이 충분히 길기 때문에, 위치ㆍ방향성에 의하지 않고 각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합성 파형은, 위치ㆍ방향성에 의하지 않고 서로 약화되게 된다. 즉, 챔버마다 설치된 개구로부터 발생한 음파의 대략 최대 진폭끼리 서로 증강되는 개소가 없어지므로,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챔버가 A, B, C 3개일 때에,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파장을 모두 λ로 하고, 챔버 A, B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에 대해서는 모두 진폭 a인 동 위상의 파형으로 하며, 챔버(C)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에 대해서는 진폭 2×a 이고 (상기 A, B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위상과는) 역 위상의 파형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챔버 A, B, C로부터 발생되는 각 음파의 음파의 합성 파형은, 각 파형의 산 부분과 골짜기 부분이 서로 약화되어 합성 파형이 평평한 것으로 되어, 소음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도 11은 분류 발생 장치(1)를 이용한 이상의 실험에 있어서, 거리 d가 λ/180~λ/2 인 경우를 파라미터로 한 2개 음파의 합성파를 산출한 그래프이다. 세로축의 진폭은 각 파라미터의 상대값이라 생각하면 좋다. 여기서, 실험 조건은 상기 조건 (1)에, 또한
음파의 속도 345(m/s), 진동수 f=100(㎐)‥‥조건 (2)
를 조건으로 하였다. 이 경우, λ=v/f 로부터 λ=3.45(m)로 된다. 여기서 2개의 음원의 진폭은 각각 1로 하고 있다.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λ/6이고 진폭이 최대 1로 된다. 즉,
d<λ/6‥‥수학식 (4)
로 하는 것에 의해 1개의 챔버에서 1개의 진동판을 설치하는 경우의 소리보다 작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3개의 음원인 경우에는, 2d<λ/6로 하면 좋다. 즉, 진동판의 수를 n(n= 2, 3, 4, ‥‥)으로 했을 경우
d<λ/{6(n-1)}‥‥수학식 (5)
를 만족시키도록 하면, 1개의 챔버에서 1개의 진동판을 설치하는 경우의 소리보다 작게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건 (2)의 경우, λ= 3.45(m)이므로, 수학식 (2)의 d<λ/2= 1.725(m), 혹은 수학식 (4)의 d< λ/6= O.575(m)를 만족시키면 좋다. 본 실험에서 이용한 분류 발생 장치(1)는, 그 d를 O.025(m)로 하고 있으므로, 충분히 수학식 (2) 및 수학식 (4)를 만족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챔버의 형상이나 크기 등이 동일한 것인 경우, d가 예를 들면 상기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4)만 만족시키도록 하면 챔버의 형상이나 크기는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2개의 챔버의 배치 관계도 상관이 없고, 개구나 노즐의 형상도 상관이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발열체를 내장한 전자 기기에 분류 발생 장치(1)를 탑재한 경우, 그 발열체와 분류 발생 장치(1)의 위치 관계는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어서, 전자 기기의 설계가 용이해진다.
도 12는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21)는 1개의 케이스 몸체(22) 내의 공간을 예를 들면 1개의 진 동 기구(25)에 의해 2개의 챔버(22a), (22b)로 구획되어 구성되어 있다. 챔버 (22a), (22b)는 형상, 용적 등이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챔버(22a) 및 챔버(22b)로 챔버군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획된 챔버(22a), (22b)에 각각 대응되도록 케이스 몸체(22)에 개구(22c), (2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2c)(또는 22d)는 1개여도 좋고, 복수여도 좋다. 개구(22c), (22d)의 형상, 크기 등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몸체(22)나 진동판(27) 등의 재질 등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좋다. 진동 기구(25)로서도 상기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스피커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진동 기구(25)를 제어하는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정현파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회로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분류 발생 장치(21)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어부(20)가 진동 기구(25)를 구동하고, 진동판(27)을 정현파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각 챔버 (22a), (22b)의 압력이 교대로 증감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각각 개구(22c), (22d)를 거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이 공기의 흐름은 개구(22c), (22d)에 있어서, 케이스 몸체(22)의 내부에서 외부로, 외부에서 내부로 흐르도록 교대로 발생한다. 이와 같이 케이스 몸체(22) 외부로 공기가 분출됨으로써, 이 분출된 공기를 예를 들면 고열부에 내뿜어 고열부를 냉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진동판(27)의 진동에 의해 개구(22c), (22d)로부터의 분류와는 별개로, 음파가 되어 개구(22c), (22d)를 거쳐 공기중을 전파한다. 개구(22c), (22d)로부터 발생되는 음파는 동일한 진동판의 겉과 속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으로서, 각각 의 챔버(22a), (22b)의 형상 등, 각각의 개구(22c), (22d)의 형상 등을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파형이 동일하고 위상이 반전된 것이 된다. 따라서, 개구(22c), (22d)를 거쳐 발생하는 음파가 상쇄되어 소음이 억제된다.
특히, 개구(22c)와 개구(22d)의 거리 d가 상기 수학식 (2)나 수학식(3)을 만족시키면 보다 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 도 12에 도시하는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21)의 변형예로서, 예를 들면 진동 기구를 3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진동판의 진폭이나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서로 음파가 약화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41)는 복수의 노즐(43) 및 복수의 노즐(44)이 2개의 케이스 몸체(11), (12)에 대해 거리 d를 두고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특히 이 예에서는, 복수의 노즐(43) 및 복수의 노즐(44)이 1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거리 d만 상기 수학식 (2)나 수학식 (4)을 만족시키도록 하면, 소음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방열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케이스 몸체(11) 등에 흡음재 및 마개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흡음재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솜(glasswool)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더욱 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챔버의 형상이나 재질, 개구의 형상, 및 진동판이나 그 진동판의 구동 장치의 형상, 재질 등을 동일하게 하였지만, 각각의 챔버의 개구로부터 발생되는 음파는 파형이 동일하고, 위상이 반전된 것이면 좋고, 각각의 챔버나 진동판의 형상 등은 다른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음파가 서로 소멸되도록, 또는 약화되도록 그 파형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챔버에 설치된 개구 사이의 거리나 진동 기구의 진동의 제어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챔버의 형상이나 재질, 구조, 개구의 형상 등에 따라 파형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위상을 제어하는 경우 외에, 진폭이나 주파수를 제어하여 복수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챔버에 설치된 개구의 수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개구를 다수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진동 기구로서 스피커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면 압전 소자를 이용한 진동 기구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는 반드시 진동 기구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루츠 펌프와 같이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분류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4는 예를 들면 상기 챔버를 2개 이용한 경우에, 그들 2개의 챔버로부터 각각 생기는 음파의 위상차를 180° 어긋나게 한 파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본 주파수 성분의 파형(31), (32)은 180° 어긋나 있기 때문에 서로 약화되지만, 그들 고조파 성분(왜곡 성분)의 파형(33), (34)은 동일 위상이 되므로 서로 증강되어 버린다. 2차 고조파 성분의 정수배의 고조파 성분을 가지는 진동, 즉 4차, 6차, ‥‥도 마찬가지로 서로 증강된다. 즉, 2차 고조파 및 2차 고조파의 정수배의 고조파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소음이 증가되어 버리게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3개의 챔버를 이용하여 120°씩 그들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도, 1차의 기본파(45), (46), (47), 2차의 고조파 (35), (36), (37)에 의한 진동은 상쇄되지만, 3차의 고조파(38), (39), (40)에 의한 진동은 서로 증강되어 버린다. 즉, 챔버의 수를 n으로 한 경우, n차 이외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진동은 상쇄되지만, n차 고조파에 의한 진동은 서로 증강된다. 복수의 챔버로부터의 파형의 중합에 의해 기본파의 합성 파형을 작게 하고, 게다가 모든 고조파의 합성 파형도 작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고조파의 차수가 높을수록 그 진폭은 작아지므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챔버를 이용하여 음파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차로 되면 그 음파의 진폭은 충분히 작은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고찰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각 차의 고조파의 소음 레벨이 각각 1차=20[dBA], 2차=18[dBA], 3차=15[dBA] 인 챔버인 경우로서, 챔버(음원)가 1개인 경우 즉 n=1인 경우, 이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의 소음 레벨은 약 22.9[dBA]이라는 결과가 얻어졌다. 이 때, 목표로 하는 소음 레벨을 20[dBA]로 하면, 이대로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 또, [dBA]는 상술한 바와 같이 A보정이 가해진 것, 즉 「소음 레벨」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n=2로 하면, 1차, 3차의 고조파는 상쇄되지만 2차는 서로 증가되고 말며, 소음 레벨은 2차의 18[dBA]의 2배인 21[dBA]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것으로도 아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거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n=3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3차의 고조파는 서로 증강되지만, 1차 및 2차의 음파는 상쇄되고, 소음 레벨은 15[dBA]의 3배인 19.8[dBA]로 되며, 이것은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즉, 3개의 챔버를 이용했을 경우, 3개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위상을 120°씩 어긋나게 하여 구동함으로써, 소음 레벨을 목표값 이하로 할 수가 있다.
또, 소음 레벨의 목표값을 20[dBA]로 했지만, 최악으로 1개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레벨인 상기 22.9[dBA]가 목표값으로서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고조파 성분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스피커(진동 기구)의 정격 입력에 대해서 충분히 낮은 구동 전력의 범위에서 구동한다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피커의 정격 입력에 가까운 구동 전력으로 스피커를 구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음파에 포함되는 고조파 성분의 비율이 커진다. 도 16은 임의의 스피커를 그 정격 입력(O.5W)으로 구동시킨 경우와, 정격의 40%(0.2W)로 구동시킨 경우의 기본파에 대한 고조파의 진폭의 비율표이다. 이 표로부터 정격의 40%(0.2W)로 구동시킨 경우에 고조파 성분이 저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왜곡 성분에 대해서도 음파의 상쇄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왜곡을 수반하는 진동 기구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진동 기구에 대한 사양이 한정되지 않고, 저렴한 진동 기구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이용하는 진동 기구의 왜곡률에 따라,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필요로 되는 챔버의 수를 최소로 설정할 수가 있어, 저소비 전력화,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A-A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8에 도시하는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61)는 케이스 몸체(68) 내에 챔버(62a), (62b)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챔버(62a), (62b)는 케이스 몸체(68) 및 케이스 몸체(68) 내에 설치된 벽(6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챔버(62a), (62b)에는 진동 기구(65a), (65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진동 기구 (65a), (65b)의 구성은, 예를 들면 도 2에서 도시한 진동 기구(5) 등과 마찬가지이다. 케이스 몸체(68)에는 챔버(62a), (62b)에 내부가 각각 연통되는 노즐(63a), (63b)이 설치되며, 이것에 의해 챔버(62a), (62b)로부터 공기가 각각 토출된다. 진동 기구(65a), (65b)는 벽(69)에 설치된 개구부(66a), (66b)를 각각 막도록 설치되어 있다. 진동 기구(65b)가 챔버(62a) 내의 공기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노즐 (63a)로부터 공기를 토출시킨다. 또한, 진동 기구(65a)가 챔버(62b) 내의 공기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해, 노즐(63b)로부터 공기를 토출시킨다. 진동 기구(65a), (65b)는 도 2에 도시하는 제어부(10)와 마찬가지인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접속되어, 예를 들면 서로 역 위상이고, 또한 동일 진폭으로 진동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진동 기구(65a), (65b)가 진동 방향 R이 동일하게 되도록, 또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스피커와 같이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진동 기구 혹은 진동판일지라도, 전체적인 대칭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노즐(63a), (63b)로부터 발생되는 각각의 음파의 파형을 최대한 동일하게 할 수가 있어, 정숙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21)를 동작시키는 경우, 왜곡 성분인 고조파의 위상에 어긋남이 발생하기 때문에, 챔버(22a)와 챔버(22b)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상쇄 효과가 저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진동 방향 R과 수직인 면에 대해서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는 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이면, 예를 들면 그와 같은 진동 기구 1개라도, 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해당 진동판의 표리에 설치된 각 챔버의 재질, 크기, 형상, 용적, 개구부(노즐)의 크기 혹은 형상 등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챔버로부터 발생되는 음파는 반전된 것으로 되어, 음파의 합성파를 작게 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방향 R과 수직인 면에 대해서 대략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는 진동 기구로서는,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이 적당한 판 부재의 제 1면(예를 들면 표면) 및 제 1면과 대략 평행한 제 2면(예를 들면 이면)에 각각 설치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로서는, 예를 들면 평면 코일을 이용할 수가 있다. 해당 판 부재로서는 유연한 수지제 또는 고무제인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이 설치된 판 부재의 제 1면 측 및 제 2면 측에 제 1 자석 및 제 2 자석을 배치시키고, 해당 코일에 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해당 진동체를 진동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진동체는 예를 들 면 도 12에 도시한 챔버의 중앙에 배치하면 좋고, 또한 제 1 자석 및 제 2 자석은 케이스 몸체(22)의 바닥부와 천정부에 각각 배치하면 좋다. 또, 평면 코일은 판 부재의 제 1 면 및 제 2 면 중 어느 한 쪽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부재 또는 기능 등에 대해서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이 분류 발생 장치(71)에 있어서, 진동 기구(5)의 진동 제어부(70)의 구동 신호원(72), (73), (74)은 각각 진동 기구(5)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진동 기구(6)의 진동 제어부(75)의 구동 신호원(76), (77), (78)도 마찬가지로 각각 진동 기구(6)에 서로 다른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예를 들면, 구동 신호원(72), (76)은 동일한 기본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구동 신호원(73), (74)은 진동 기구(5)의 고조파 성분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구동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예를 들면, 진동 기구(5) 등의 해당 고조파의 위상과는 역 위상이고 진폭 및 주파수가 동일한 진동이 발생하는 구동 신호이다. 마찬가지로, 구동 신호원(77), (78)은 진동 기구(6)의 고조파 성분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구동 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구동 신호원(72), (76)으로부터의 신호의 위상차 및 진폭이 제어되는 것에 의해(예를 들면 동일 진폭이고, 또한 180°어긋난 위상으로 조정되는 것에 의해), 해당 기본 주파수의 진동이 서로 약화된다. 게다가, 구동 신호원(73) 등 및 구동 신호원(77) 등에 의해 진동 기구(5), (6)에 고조파 성분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구동 신호가 생성된다. 즉, 기본 주파수 성분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고 또한 고조파 성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을 저감 시킬 수가 있다.
또, 도 19에 도시하는 형태와, 도 12에 도시하는 형태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진동판 1개와, 챔버 2개와, 해당 1개의 진동판에 접속된 도 19에 도시하는 진동 제어부(70)를 구비한 분류 발생 장치에 의해서도 기본 주파수 성분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고 또한 고조파 성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을 저감 시킬 수가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형태에 있어서, 기본 주파수를 100㎐로 했을 때에, 진동 제어부(70)의 신호를 가공하여 고조파 성분인 왜곡 성분을 저감시킨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기본 주파수 100㎐에 200㎐ 및 300㎐의 신호를 중첩하여 2차(200㎐) 및 3차(300㎐)의 고조파를 저감시키고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81)는 챔버(11a), (12a)에 진동 기구(5), (6)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의 상태(진폭이나 위상 등)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82), (83)을 각각 가진다. 이 검출 신호는 진동 제어부(80)로 피드백 되고, 진동 제어부(80)에 의해 진동 기구(5), (6)로부터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그들 진동이 제어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진동 기구(5)(또는 6)의 경시 변화 등에 의해, 그 진동 특성이 변화했다고 하더라도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이크로폰(82), (83)이 챔버(11a), (12a) 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의 챔버로부 터의 음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해당 챔버의 음파를 검출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진동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각 분류 발생 장치(1), (21), (41), (61), (71), (81)는 송풍해서 발열체를 냉각시킨다는 목적으로 이용되었지만, 이 목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각 분류 발생 장치(1), (21), (41), (61), (71), (81)는 연료 전지의 연료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료 전지 본체의 산소(공기) 흡입구와,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의 챔버의 노즐(개구부)을 대향시키도록 배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분류 발생 장치로부터 토출된 분류의 공기가 해당 흡입구로부터 산소 연료로서 흡입된다. 이것에 의해, 축류(軸流) 팬 등에 의해 연료를 공급하고 있던 종래에 비해, 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달성하면서 그 축류 팬을 이용한 경우와 동등한 발전 효율을 얻을 수가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분류 발생 장치(91)는 도 12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가 예를 들면 2개 배열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들 분류 발생 장치(121), (221)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각 제어부(120), (220)는 각 진동판(127), (227)의 진동이 대략 동일 진폭, 동일 주파수 및 역 위상이 되도록 제어한다. 즉, 진동 기구(125)의 진동판(127)이 챔버(122b)의 압력을 올리는 방향(도면 중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타이밍에서, 진동 기구(225)의 진동판(227)이 챔버(222b)의 압력을 내리는 방향(도면 중 위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진동판(127)이 챔버(122a)의 압력을 올리는 방향(도면 중 위쪽)으로 이동하는 타이밍에서, 진동 기구(225)의 진동판(227)이 챔버(222a)의 압력을 내리는 방향(도면 중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스피커형의 진동 기구(125) 등에서는 진동판(127)이 진동하는 방향에서 그 형상이 비대칭이고, 또한 그 보이스 코일부나 요크부의 형상이 해당 진동 방향에서 비대칭이다. 또한, 진동판(127)이 진동하는 것에 의한 챔버(122b)의 압력차 쪽이, 챔버(122a)의 압력차보다 크다. 따라서, 각 개구(122c), (122d), (222c), (222d)로부터 발생되는 음압 파형은, 예를 들면 각각 부호(83a), (83b), (93a), (93b)로 나타낸 파형과 같이 된다. 진폭으로 보면, 파형(83b)>파형(83a)으로 되고, 파형(93b)>파형(93a)로 된다. 파형(83a)과 파형(83b)이 합성되면, 합성 파형(84)(제 1 합성파형)이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파형(93a)과 파형(93b)이 합성되면 합성 파형(94)(제 2 합성파형)이 생성된다. 제어부(120), (220)는 서로 역 위상으로 진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이들 제 1 합성 파형(84)과 제 2 합성 파형(94)은 서로 약화되고, 최종적으로 대략 평평한 파형(90)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각 챔버(122a), (122b)에서 서로 약화된 제 1 합성 파형(84)과, 각 챔버(222a), (222b)에서 서로 약화된 제 2 합성 파형(94)이 더욱 합성되어 서로 약화되므로, 더욱 소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본 실시의 형태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23은 분류 발생 장치(91) 중 1개의 분류 발생 장치(121) 만을 이용하여, 구동 주파수를 200㎐로 했을 때의 음압의 파형, 즉 상기 제 1 합성 파형(84)을 도시하는 파형이다. 도 2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진동 기구(125)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음파는 완전하게 평탄하게는 되지 않는다.
도 24는 분류 발생 장치(121), (222)로부터 각각 발생하는 제 1 합성 파형(84), 제 2 합성 파형(94) 및 이들 최종적인 합성 파형(90)을 도시하는 파형이다. 구동 주파수는 양자 모두 200㎐로 하고, 위상차는 170도로 하였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합성 파형이 약화되어, 최종 합성 파형은 각 합성 파형의 2분의 1 정도의 음압까지 저감시킬 수 있었다. 또, 도 23 및 도 24에 있어서는 분류 발생 장치(121), (222)의 양자로부터 발생되는 각각의 음압의 레벨 및 위상의 상대적인 관계에 착안하기 때문에, 그래프의 단위나 눈금 등의 수치는 아무것도 한정되어 있지 않다.
도 25에 본 실험에 의한 소음 스펙트럼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히 200㎐, 600㎐에 있어서 20dB 가까이 소음이 저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가장 거리가 떨어져 있는 2개의 개구 사이의 거리가 상기의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4)를 만족시키면, 제 1 합성 파형과 제 2 합성 파형이 서로 증강되는 개소가 없어진다. 즉, 챔버(122a)의 개구(122c)와, 챔버 (222a)의 개구(222d)의 거리가 상기의 수학식 (2), 또는 수학식 (4)을 만족시키면 좋다.
분류 발생 장치(121)와 장치(221)는 동일한 구성이지만, 2개의 장치가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2개의 장치가 다른 구성인 경우, 최종적인 합성 파형이 서로 약 화되도록 위상이나 진폭 등이 제어되면 좋다.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91)는, 케이스 몸체를 2개(121 및 221) 이용하는 구성으로 되었지만,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챔버(122a) 등에 설치된 개구의 수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개구를 다수 설치해도 좋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위상차를 170도로 하고 있지만, 이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 파형의 소음 레벨이 작아지는 값이면 좋다. 예를 들면 위상차를 170도와는 다른 값으로 하여, 구동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분류 발생 장치(121), (221)에 더하여, 다른 음파 발생 수단,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 유닛만을 설치하고, 그 음압, 위상을 조정함으로써, 더욱 소음 레벨을 저감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하는 최종 합성 파형의 역 위상이 되는 음파를 스피커 유닛으로부터 발생시킴으로써, 합성파의 소음 레벨을 더욱 저감시킬 수가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진동판(127) 등의 진동을 정현파로 구동했지만, 진동판 (127) 등으로부터의 음파에 고조파 성분이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된 신호로 진동판 (127) 등을 구동해도 좋다. 이 경우, 각 분류 발생 장치(121), (221)로부터의 음파에 포함되는 고조파 성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보다 더 한층 소음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즉, 도 25에 도시하는 400㎐의 소음 레벨의 피크가 없어지는 것에 상당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기체 분출 장치를 도시하 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101)의 케이스 몸체(172)는, 진동판(145)에 의해 구획된 챔버(172a), (172b)를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 몸체 (172)의 외부에는 진동판(145)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178)가 설치되어 있다. 진동판(145)에는 이 진동판(145)을 가동시키는 액튜에이터(178)의 로드(185)가 접속되어 있다. 로드(185)는 케이스 몸체(172)에 설치된 관통 구멍(172e)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액튜에이터(178)는 요크(182), 자석(183), 코일(184) 등을 가지고 있다. 제어부(170)에 의해 코일에 예를 들면 교류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로드(185)가 도면 중의 상하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진동판(145)이 진동한다. 진동판(145)이 진동함으로써, 노즐(173), (174)로부터 교대로 분류가 발생함과 동시에, 역 위상에서 음파가 발생하며, 각각의 음파는 서로 약화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튜에이터(178)가 케이스 몸체(17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챔버(172a), (172b)의 용적을 최대한 동일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액튜에이터(178)가 케이스 몸체(172)의 내부에 있으면, 챔버(72a)(또는 72b)에 그 액튜에이터(178)의 열이 가득찰 가능성이 있다. 이 상태에서 진동판 (145)을 진동시키면, 그 열을 가진 기류가 분출되고 말아, 방열의 능력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를 회피할 수가 있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27~도 29에 있어서, 도 26에 도시하는 부재 또는 기능 등에 대해서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이 분류 발생 장치(111)에는 로드(185)의 좌우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 (19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수 부재(192)는, 예를 들면 주름상자 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주름상자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유연한 수지나 고무여도 좋다. 이 흡수 부재(192)에 의해 진동판(145)의 진동 방향에 대한 로드(175)의 좌우 흔들림을 억제할 수가 있어, 진동판(145)을 안정되게 진동시킬 수가 있다. 좌우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코일(184)이 요크(182) 등에 닿아, 마찰음이 생겨버리고 말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그와 같은 마찰음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좌우 흔들림이 발생하면 기본 진동파와는 다른 모드의 진동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고조파가 생겨버린다. 고조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한 발생시키고 싶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흡수 부재(192)가 관통 구멍(172e)을 덮어 케이스 몸체(172)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것에 의해, 진동판(45)이 진동했을 때에 케이스 몸체(172) 내부의 공기가 해당 관통 구멍(72e)으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흡수 부재(192)가 실 부재로서도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효율 좋게 각 챔버(172a), (172b)로부터 냉매를 토출시킬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고체의 실 부재(192)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관통 구멍 (172e)을 막도록 점성이 있는 유체의 실 부재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분류 발생 장치(121)의 케이스 몸체(172)에는 로드(185)의 베어링 (105a), (105b)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105a) 등으로서는, 예를 들면 리니 어 볼 베어링, 유체 베어링 등이 이용된다. 로드(185)는 진동판(145)을 관통하고, 관통 구멍(172e)과 대향하여 챔버(172b) 측에 설치된 관통 구멍(172f)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베어링(105a), (105b)은 각각 관통 구멍(172e), (172f)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베어링(105a)만이 이용되는 경우보다 로드 (185)의 좌우 흔들림을 작게 할 수가 있어, 안정되게 로드(185)가 가동된다. 따라서, 진동판(145)을 효율 좋게 진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로드(185)가 케이스 몸체 (17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챔버(172a), (172b)마다의 용적 또는 형상 등을 동일하게 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더욱 소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베어링(105a)(또는 105b)이 고체 베어링인 경우, 해당 고체 베어링 (105a)에 액체가 충전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로드(185)와 베어링(105a)(또는 105b)의 틈새를 거치는 케이스 몸체(172)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할 수가 있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131)에서는 챔버(172a), (172b) 내에 로드(185)의 베어링(106a), (10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분류 발생 장치(131)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121)와 같이 케이스 몸체 하부의 관통 구멍(172f)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분류 발생 장치(121)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6, 도 27~도 29에 있어서, 로드(185)가 삽입 통과되는 케이스 몸체 (172)의 관통 구멍(172e) 등에 실 부재가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케 이스 몸체 내부의 밀폐성이 높아져, 효율 좋게 냉매를 토출시킬 수가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201)는 챔버(204a), (204b)의 외부 윤곽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 몸체(202A)와 챔버(206a), (206b)의 외부 윤곽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 몸체(202B)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 몸체(202A)와 케이스 몸체(202B)는 각각 동일한 형상, 크기 등을 가지고 있다. 각 케이스 몸체(202A), (202B)에는 각 챔버 (204a), (204b), (206a), (206b)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노즐(207A), (208A), (207B), (208B)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 몸체(202A) 및 하부 케이스 몸체 (202B)의 각각의 내부에는, 스피커 구조의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A), (205B)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 몸체(202A)와 하부 케이스 몸체(202B) 사이에는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A), (205B)에 공통인 구동부로 되는 액튜에이터(203)가 설치되어 있다. 액튜에이터(203)는 자석(203a), 요크(203b), 코일(203c) 등으로 이루어진다. 코일(203c)에는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A), (205B)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A)는 프레임(213A), 이 프레임(213A)에 에지 부재(215A)를 거쳐 부착된 진동판(211A)을 가진다. 프레임(213A)은 상부 케이스 몸체(202A)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02Aa)에 끼워 맞춰지도록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213A)에는 공기 유통용의 구멍부(213Aa)가 형성되어 있다. 에지 부재(215A)는 가요성(可撓性) 또는 탄성을 가지고, 예를 들면 수지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케이스 몸체(202A)의 내부에는 챔버(204a), (204b)를 형성하기 위한 구획 부재(21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획 부재(212A)의 중앙에는 구멍(212Aa)이 형성되고,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A)의 프레임(213A)이 이 구멍(212Aa)을 하측에서부터 덮도록 흡진재(214A)를 거쳐 구획 부재(212A)에 부착되어 있다.
하부의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B)도, 상부의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A)와 거의 마찬가지 구성을 가지고 있다. 양자의 다른 점은, 진동판(211B)에 코일(203c)이 장착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A)와 마찬가지로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B)는 구획 부재(212B)의 구멍(212Ba)을 상측에서부터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요크(203b)의 관통 구멍(203ba)에는 로드(209)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더욱이, 로드(209)는 상기 관통 구멍(202Aa), (202Ba)에 삽입 통과되고, 진동판(211A)과 진동판(211B)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2개의 진동판(211A), (211B)이 일체적으로 진동한다.
챔버(204a)의 용적과 챔버(204b)의 용적이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상부 케이스 몸체(202A)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진동 발생 디바이스(205A)의 체적분 만큼 하부의 챔버(204b)의 높이가 상부의 챔버(204a)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상부 케이스 몸체(202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 몸체(202B)도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분류 발생 장치(20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210) 에 의해 코일(203c)에 교류 전압이 인가되면, 로드(209)가 도면 중의 상하 방향으로 가동되고, 이것에 의해 진동판(211A), (211B)가 상하로 진동한다. 진동판 (211A), (211B)이 도면 중 위로 이동하면, 챔버(204a), (206b) 내의 압력이 증가되고, 노즐(207A), (207B)로부터 공기가 토출된다. 진동판(211A), (211B)이 도면 중 아래로 이동하면, 챔버(204b), (206a) 내의 압력이 증가하고, 노즐(208A), (208B) 로부터 공기가 토출된다. 노즐(207A), (208A)로부터 발생되는 음파(특히, 기본 주파수의 음파)는 역 위상으로 되기 때문에 서로 약화된다. 또한, 노즐(207B), (208B)로부터 발생되는 음파(특히, 기본 주파수의 음파)도 역 위상이 되기 때문에, 서로 약화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1개의 액튜에이터(203) 및 4개의 챔버가 설치됨으로써, 적은 전력으로 공기의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어,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에지 부재(215A), (215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진동판(211A), (211B), 로드(209) 등의 좌우 흔들림이 작아진다. 도 31에 일반적인 스피커(235)를 이용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한다. 이 스피커(235)에서는, 프레임(213)과 진동판(211) 사이에 에지 부재(215)에 더하여 댐퍼(236)가 설치되지만, 분류 발생 장치(231)에서는, 그 댐퍼(236)가 불필요해진다. 댐퍼(236)는 좌우 흔들림 방지에는 유효하지만, 진동판이 진동하는데 있어서 저항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댐퍼(236)가 불필요하게 되면, 저소비 전력으로 진동판(211A) 등을 진동시킬 수가 있다. 한편, 댐퍼(236)가 있는 경우와 동일한 전력을 공급하면, 진동판의 진폭을 크게 할 수가 있으므로,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도 31에 도시하는 스피커(235)와, 도 30에서 이용되는 진동 발생 디바이스 (205A) 등에 각각 2W의 전력을 투입했을 때의 변위를 측정하였다. 이들은 동일한 자석과 대략 동일 치수의 요크를 이용하였다. 또한, 진동판(211A) 및 진동판(211)의 크기는 같고, 직경 70㎜, 300g 정도이다. 이와 같은 조건에 있어서 도 31에 도시하는 진동판(211)의 진폭은 1.32㎜(흔들림량은 1.32×2=2.64㎜)로 되었다. 한편, 도 31에 도시하는 구조에서는 진동판(211A)의 진폭은 2.26㎜이며, 동일 전력에서 2배의 진폭이었다. 또한, 도 31의 구조에서는 진동판이 2개 있으므로, 그 부분에서의 효율은 더욱이 배(倍)로 된다.
더욱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튜에이터(203)가 1개이므로 분류 발생 장치(201)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도 32는 도 30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201)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 32~도 38에 있어서, 도 30에 도시하는 부재 또는 기능 등에 대해서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이 분류 발생 장치(231)의 상부 케이스 몸체(232A)에는 평판 형상의 진동판 (221A)이 에지 부재(215A)를 거쳐 장착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 몸체(232B)에도 마찬가지로 평판 형상의 진동판(221B)이 에지 부재(215B)를 거쳐 장착되어 있다. 코일(203c)이 부착되는 부착 부재(226)와 로드(229)가 접속되고, 로드(229)는 관통 구멍(232Aa), (232Ba)을 거쳐 진동판(221A), (221B)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액튜에이터가 구동됨으로써 로드(229)가 가동되고, 진동판(221A), (221B)이 일체적으로 진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30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 (231)에 비해 대칭성이 향상되어, 더욱 소음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201)의 변형예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241)에서는 케이스 몸체가 4개 설치되어 있다. 로드(229)는 관통 구멍 (232Aa), (232Ba)을 거쳐 진동판(221A), (221B)에 접속됨과 동시에, 진동판(221A), (221B)을 관통하고 있다. 더욱이, 그와 같이 관통한 로드(229)는 관통 구멍 (232Ab), (232Bb), (232Ca), (232Da)를 거쳐 진동판(221C), (221D)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4개의 진동판(221A), (221B), (221C), (221D)을 일체적으로 진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냉매의 토출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냉각 대상이 되는 발열체의 수나 배치에 따라, 케이스 몸체의 수를 조정할 수가 있다. 게다가, 케이스 몸체의 수에 비례하여 냉매의 토출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는 한편, 액튜에이터(203)는 여전히 1개로 충분하다. 또한, 액튜에이터(203)가 각 케이스 몸체(232A), (232B), (232C), (232D)의 중앙, 즉 케이스 몸체(232A) 및 케이스 몸체(232B)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칭성도 손상되지 않는다.
도 32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231)에 있어서, 로드(229)가 진동판(221A), (221B)을 관통하고, 도 28 혹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관통한 로드의 베어링이 상부 케이스 몸체(232A)의 상부 및 하부 케이스 몸체(232B)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도 33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24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4~도 37은, 분류 발생 장치(201), (231), (241)의 액튜에이터(20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크(203b)의 관통 구멍(203ba)에 로드(209)의 베어링(240)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240)은,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 베어링이 이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로드(209)의 좌우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베어링으로서는 이와 같은 고체 베어링이 아니라, 유체 베어링이 이용되어도 좋다. 유체 베어링이 이용되는 것에 의해, 소음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의 유체는 액체가 바람직하고, 또한 자성 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베어링 (240)의 내부에 점성이 있는 액체가 포함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상부 케이스 몸체(232A)의 내부와 하부 케이스 몸체(232B)의 내부의 연통을 차단할 수가 있어, 각각의 케이스 몸체(232A), (232B)에서 효율 좋게 냉매를 토출시킬 수가 있다
도 35에서는, 실 부재(242A), (242B)가 상부 케이스 몸체(232A)와 로드(209) 사이, 및 하부 케이스 몸체(232B)와 로드(209)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실 부재(242A), (242B)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 수지 등이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상부 케이스 몸체(232A)의 내부와 하부 케이스 몸체(232B)의 내부의 연통을 차단할 수가 있어, 각각의 케이스 몸체(232A), (232B)에서 효율 좋게 냉매를 토출시킬 수가 있다. 또, 고체의 실 부재(242A), (242B)에 한정되지 않고, 관통 구멍(203ba) 등에 액체의 실 부재가 충전되어 있어도 좋다
도 36은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하는 형태를 조합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로드(209)의 좌우 흔들림 등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상부 케이스 몸체(232A)의 내부와 하부 케이스 몸체(232B)의 내부의 연통을 차단할 수가 있다.
도 37은 상부 케이스 몸체(232A) 및 하부 케이스 몸체(232B)의 관통 구멍(232Aa), (232Ba)에 베어링(243A), (243B)이 각각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243A), (243B)은 고체 베어링 또는 유체 베어링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로드(209)를 안정되게 가동시킬 수가 있다.
도 38에 도 32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23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분류 발생 장치(251)에서는, 액튜에이터(255)로서 유체압에 의해 피스톤(255a)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가 이용되고 있다. 해당 유체는 유체 공급원(252)으로부터 유체의 유통관(254)을 거쳐서, 또한, 전자(電磁) 밸브 등의 변환 밸브(253)에 의해 배관(256) 또는 (257)이 선택되며, 선택된 쪽의 배관을 거쳐서 액튜에이터(255)에 공급된다. 피스톤(255a)은 로드(209)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진동판(221A), (221B)을 진동시킬 수가 있다. 유체로서는 액체, 기체를 불문한다.
도 39에 도 28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12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분류 발생 장치(261)의 액튜에이터(265)로서는, 일반적인 회전식의 모터가 이용되고 있다. 이 모터의 회전 운동은 링크 기구(266)에 의해 로드(185)의 직선 방향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진동판(145)을 진동시킬 수가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301)에서는 케이스 몸체(302)가 챔버(302a), (302b)의 외부 윤곽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 몸체(302) 내부에 상기에서 설명한 각종 진동판 중 어느 하나가 내장됨으로써, 이것이 케이스 몸체(302)의 내부를 구획하여, 챔버 (302a), (302b)를 형성하고 있다. 부체(302)에는 짧은 노즐(303a)과 긴 노즐(303b)이 설치되어 있다. 긴 노즐(303b)은 예를 들면 금속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절곡되어 있다. 짧은 노즐(303a)은 예를 들면 각 챔버(302a), (302b)에 6개씩, 긴 노즐(303b)은 예를 들면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짧은 노즐(303a) 뿐만 아니라, 긴 노즐(303b)도 상하에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하의 챔버(302a), (302b)로부터 각 노즐을 통해 발생하는 음파를 역 위상으로 하여, 서로 약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301)의 구체적인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246)에는 CPU (248)가 탑재되고, 이 CPU(248)에는 해당 CPU(248)의 열을 확산시키기 위한 히트싱크(247)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246) 상에는 CPU(248)의 근방에 다른 IC 칩(249)이 예를 들면 복수 탑재되어 있다. 분류 발생 장치(301)는 예를 들면 2개 겹쳐져 있다. 각 분류 발생 장치(301)는 각 짧은 노즐(303a)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히트싱크(247)의 방열 핀(247a)에 내뿜어지도록, 또한 각 긴 노즐(303b)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IC 칩(249)에 내뿜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류 발생 장치(301)의 배치에 의해, IC 칩(249)을 직접 냉각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긴 노즐(303b)의 절곡의 방향 등에 따라, 여러가지 발열체의 배치에 대응하여 해당 발열체를 냉각시킬 수가 있다. 날개바퀴를 회전시키는 종래의 팬에서는,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국소적으로 냉각시킬 수는 없다.
분류 발생 장치(301)의 형태는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긴 노즐(303b)의 수나 짧은 노즐(303a)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긴 노즐(303b)은 예를 들면 유연한 재료로 구성할 수가 있다. 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긴 노즐(303b)은 고무, 가요성이 있는 수지, 혹은 주름상자 등으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여러가지 발열체의 배치에 따라 유연한 노즐의 방향을 가변시킬 수가 있다.
도 42에 도 40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301)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 42~도 46에 있어서, 도 40에 도시하는 부재 또는 기능 등에 대해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도 42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311)에서는, 긴 노즐(304b)이 상기 긴 노즐(303b)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다. 즉, 냉매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인 유로 단면적이 긴 노즐(303b)보다 크다. 긴 노즐(304b)의 토출구 측에는 예를 들면 그것보다 유로 단면적이 작은 노즐(305)이 부착되어 있다. 이 노즐(305)은 특별히 없어도 상관없다.
긴 노즐(304b)의 유로는 짧은 노즐(304a)보다 길기 때문에, 그 만큼 저항이 커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로 단면적을 크게 하면, 긴 노즐(304b)의 유로 저항이 커지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어, 적절한 양, 적절한 유속의 냉매를 긴 노즐(304b)로부터 토출시킬 수가 있다.
도 43에 또 다른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한다. 이 분류 발생 장치(321)의 노즐(304)은 그 냉매의 유입구 측이 케이스 몸체(302)의 측벽(302c)으로부터 케이스 몸체(302)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노즐(304)의 굵기, 길이, 챔버(302a) 등의 용적, 액튜에이터(도시하지 않음)의 성능, 진동판(306)의 진폭, 주파수 등은 노즐(304)로부터 나오는 냉매의 유속의 파라미터가 된다. 소망하는 유속을 소망하는 주파수로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 노즐(304)의 길이가 영향을 미친다. 그 때문에, 노즐을 임의의 길이로 하여 조정하는 경우가 있지만, 분류 발생 장치(321)의 배치의 제약이나, 도시하지 않은 히트싱크의 위치의 제약 때문에, 노즐이 케이스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자유롭게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노즐(304)의 일부를 챔버(302a), (302b) 내에 넣음으로써, 노즐(304)의 길이를 소망하는 값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노즐(304)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할 수가 있고, 발생하는 소리의 주파수를 낮게 할 수가 있다. 인간의 청감 특성상, 주파수가 낮은 소리일수록 소리가 작게 들리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발생하는 소리를 최대한 작게 할 수가 있다.
도 44에 도 40에 도시한 분류 발생 장치(301)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분류 발생 장치(331)의 노즐(307a), (307b)은 하부에 배치된 히트싱크(247)의 방열 핀(247a)을 향해 냉매가 토출되도록, 모두 구부러져 있다. 도 45는 방열 핀(247a)의 입설 방향, 즉 도면 중 높이 방향으로 노즐(307a), (307b)을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상부의 챔버(302a)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노즐(307a)의 선단은, 방열 핀(247a)의 위치에 있어서 노즐(307b)의 선단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분류 발생 장치와 히트싱크는, 예를 들면 도 41과 같이 배치되는 것이 단순하지만, 이 경우, 분류 발생 장치와 히트 싱크의 설치 면적이 커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그 설치 면적을 최대한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히트싱크(247)로부터 열이 분류 발생 장치(33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히트싱크 (247)와 분류 발생 장치(331) 사이에 단열재 등을 삽입해 두면 좋다.
도 46에 도 44 및 도 45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33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341)에서는, 노즐(308a)과 노즐(308b)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노즐(308a)과 노즐(308b)이 챔버(302a)와 챔버(302b)의 배열 방향(도면 중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308a)의 길이와 노즐(308b)의 길이를 동일하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소음 효과의 향상에 기여한다.
도 47 및 도 48은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되는 노즐을 가지는 분류 발생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7 및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컴퓨터의 케이스(270) 외측에 히트싱크(247)가 배치되고, 이 히트싱크 (247)를 향해 노즐(309)이 연장 설치되도록, 분류 발생 장치(351)가 케이스(27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방열 목적으로 히트 싱크와 닿는 냉매는, 저온인 편이 좋다. 일반적으로는, 케이스(270) 외부의 온도가 가장 낮고, 케이스(270) 내부의 온도는 내부 부품의 발열에 의해, 케이스(270) 밖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히트싱크와 분류 발생 장치가 케이스(270) 내에 있는 것은 불리하다. 현실적으로는, 데스크탑 PC 등에서는 케이스 내부의 CPU를 냉각시키기 위해서, 케이스 내의 공기를 닿게하여 방열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보다 효율이 높은 방열기가 필요하게 되어 있 다. 히트싱크와 분류 발생 장치를 케이스 밖으로 꺼내어 방열하면 좋지만, 스페이스나 디자인의 문제로 좀 더 산뜻하게 하려는 요구가 있는 경우, 도 47 및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가 생각된다.
도 48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노즐(309)로부터의 냉매의 토출 방향이 하향이므로, 노즐(309)에 먼지 등의 이물이 들어가기 어렵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노즐(309)의 냉매의 토출 방향은 횡 방향이어도 좋다.
도 49는 또 다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361)의 케이스 몸체(362) 내에는, 통 형상의 측벽(365a)을 가지는 진동판(365)이 배치되어 있다. 진동판(365)의 측벽(365a)은 진동 방향 R로 입설되어 있고, 이 측벽(365a)의 주위이며, 그 상단부 및 하단부는 케이스 몸체 (362)에 부착된 에지 부재(364a), (364b)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들 지지 부재로서의 에지 부재(364a) 등은 가요성 또는 탄성을 가지며, 예를 들면 주름상자 형상의 수지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측벽(365a)은 둘레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고, 간헐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케이스 몸체(362)와 진동판(365)과 에지 부재(364a)로 챔버(362a)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 몸체(362)와 진동판(365)과 에지 부재(364b)로 챔버(362b)가 형성된다. 챔버(362a), (362b)의 용적은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챔버(362a)는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복수의 개구(363a)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챔버(362b)는 복수의 개구(363b)를 가진다. 개구(363a), (363b)는 상기 각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챔버(362a) 내에는 진동판(365)을 진동시키기 위한 액튜에이터(370)가 설치되어 있다. 액튜에이터(370)는 요크(376), 자석(372), 요크의 기능을 가지는 플레이트(373), 코일(378), 이 코일(378)이 감김과 동시에 진동판(365)이 고정된 가동 부재(374) 등으로 구성된다. 코일(378)에는, 액튜에이터(370)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동 부재(374)의 측면에는 통기 구멍(374a)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류 발생 장치(361)에 의하면, 진동 방향 R을 따라 배열된 에지 부재(364a), (364b)에 의해 측벽(365a)이 지지되는 것에 의해, 진동판(365)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좌우 흔들림이 억제되는 것에 의해, 자석(372) 및 플레이트(373) 등과, 가동 부재(374)가 충돌하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충돌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플레이트(373) 등과 가동 부재(374)의 틈새를 좁게 할 수가 있어, 코일(378)에 가해지는 자계를 강하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구동 기구는 효율 좋게 구동력을 얻을 수가 있다. 더욱이, 충돌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고차 모드의 진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 측벽(365a)의 진동 방향 R의 길이가 길수록 에지 부재(364a)와 에지 부재(364b)의 거리가 길어져, 진동판(365)은 보다 안정되게 진동한다. 그러나, 케이스 몸체(362)의 크기가 변하지 않을 경우, 에지 부재(364a)와 에지 부재(364b)의 거리를 너무 길게 하면, 챔버(362a), (362b)의 용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적절하게 그 길이는 설정된다.
도 50은 도 49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361)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50~도 52에 있어서, 도 49에 도시하는 부재 또는 기능 등에 대해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또는 생략한다.
도 50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371)의 진동판(375)은, 단면이 대략 H 형상을 이루고 있다. 더욱이, 양 챔버(362a), (362b)에 도 49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액튜에이터(370a), (370b)가 각각 배치되는 것에 의해, 양 챔버(362a), (362b)의 형상 및 용적이 동일해진다. 이것에 의해 소음의 저감에 기여한다.
도 51은 도 49에 도시하는 분류 발생 장치(361)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분류 발생 장치(381)의 케이스 몸체(382) 내에 설치된 진동 기구 (388)는 프레임(386)과 이 프레임(386)에 지지된 액튜에이터(370a), (370b)와, 측벽(385a)이 프레임(386)에 접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액튜에이터(370a), (370b)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판(385)을 가진다. 진동판(385)의 측벽(385a)은 프레임(386)에 대해서, 진동판(385)의 진동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진동 기구(388)는 프레임(386)을 실린더로 한 피스톤 형상의 진동판 (385)을 구비하고 있다. 진동 기구(388)의 프레임(386)은 그 주위가 구획 부재 (379)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챔버(382a), (382b)가 형성된다. 프레임 (386)에는 통기구멍(386a), (386b)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381)에서는, 프레임(386)이 지지하는, 진동판(385)의 측벽(385a)의 지지 면적, 접촉 면적을 최대한 크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진동판(385)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된 진동을 얻을 수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386)과 측벽(385a) 사이에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이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윤활재가 개재되어 있어도 좋다. 윤활재로서는, 광유계, 합성계 윤활재 등이 있다. 몰리브덴계의 고체 윤활재여도 좋다. 액체 윤활재라면, 진동판(385)의 겉과 속의 기밀성을 높이는데에 효과적이다. 또한, 이 유체에 자성 유체 등을 사용하면 유체의 보존유지가 용이해진다.
도 52는 지금까지 설명한 분류 발생 장치에서 이용되는 스피커형의 진동 기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진동 기구(280)의 액튜에이터(370)는 요크(376), 자석(372), 요크의 기능을 가지는 플레이트(373), 코일(378), 이 코일 (378)이 감김과 동시에 진동판(285)이 고정된 가동 부재(374) 등으로 구성된다. 이 액튜에이터(370)는 도 49 등에 도시하는 액튜에이터(370)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액튜에이터(370)의 요크(376)는 통기구멍(286a)을 가지는 프레임(286)에 부착되고, 진동판(285)도 에지 부재(287)를 거쳐서 프레임(286)의 개구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하는 진동판(285) 및 에지 부재(287) 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코일(378)에 공급하기 위한 도선(284)이, 에지 부재(287)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홈(287a)을 따라 배선되어 있다. 도선(284)은 프레임(286)에 고정된 상기 단자대 (288)에 접속되어 있다. 부호 (287b)로 도시하는 개소는 에지 부재(287)의 능선이다. 이와 같이, 나선 형상의 홈(287a)을 따라 도선(284)이 배선됨으로써, 도선에 가해지는 응력을 저감시켜, 단선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일반적인 스피커에서는 이와 같은 도선{일반적으로 금사선(錦絲線)이라 한다}은, 전자 코일로부터 공중을 타고 직접 단자대에 접속되어 있다. 즉, 진동판은 움직이지만, 단자대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금사선의 일측은 움직이고, 타측은 고정된다. 진동판의 수십, 수백 ㎐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금사선에는 반복적인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스피커의 내구성을 논할 경우에, 이 금사선의 수명이 문제가 된다.
특히, 상기 각 실시의 형태와 관련된 분류 발생 장치가 소형화될 경우, 진동판의 면적도 이에 수반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그 만큼 진폭을 크게 하여 냉매의 분출량을 많게 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금사선의 길이는 짧고 진동판의 진폭은 커지기 때문에, 금사선에 가해지는 응력은 커지기 쉽다. 즉, 내구성으로서는 나쁜 조건으로 되기 쉽상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53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선(289)이 배선될 경우{진동판(285)의 중앙으로부터 외주를 따라 도선(289)이 배선될 경우), 도선(284)에 가해지는 응력은 크다. 따라서,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사선(284)이 에지 부재(287)에 나선 형상으로 배선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은 단선 방지에는 매우 효과적이다.
도 54는, 도 53에 도시하는 진동 기구(280)가 2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된 진동 기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진동 기구(290)에서는, 에지 부재(287)의 표리 양면에 설치된 나선 형상의 홈에 도선(284)이 배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지 부재(287)의 주름상자 형상을 이용하여, 표리면에 도선(284)을 나선 형상으로 배선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 기구(290)가, 예를 들면 도 51에 도시하는 케이스 몸체(382) 내에, 진동 기구(388) 대신에 배치되어 분류 발생 장치가 구성된다.
또, 이상과 같은 금사선은 에지 부재(287)에 매립된 바와 같은 형태일지라도 좋다. 또한, 에지 부재(287) 등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그 형상을 장기간에 걸쳐서 보존유지할 수 있다면, 에지 부재(287)와는 독립해서 나선 형상의 코일과 같은 형태로 공중에 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에지 부재에 나선 형상의 홈은 필요 없다. 이것에 의해서도 도선에 가해지는 응력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발열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가 있다. 또한, 왜곡 성분인 고조파 성분의 진동에 의한 소음도 억제시킬 수가 있다.

Claims (47)

  1. 삭제
  2. 개구를 각각 가지며 냉매가 포함된 복수의 챔버와,
    상기 각 챔버에 포함된 상기 냉매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각 개구를 거쳐 냉매를 맥류로서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 기구와,
    상기 각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가 토출될 때에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진동 기구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각 개구 중 적어도 한 조의 상기 챔버가 각각 가지는 개구의 간격을 d(m), 상기 한 조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의 파장을 λ(m)로 했을 경우,
    d<λ/2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噴流) 발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구 중 적어도 한 조의 상기 챔버가 각각 가지는 개구의 간격을 d(m), 상기 한 조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의 파장을 λ(m)로 했을 경우,
    d<λ/6 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80~150(㎐)로 상기 진동 기구의 진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取付}된 흡음재 또는 마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각 챔버 내에 각각 배치된 진동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한 조의 챔버를 구획하도록 설치된 진동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수를 n으로 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음파의 위상차를 360/n [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챔버에 의해 생기는 음파의 진폭을 모두 동일하게 제어하고,
    상기 각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에 포함되는 진동 중 각각의 n차 고조파 끼리의 합성파에 의한 소음 레벨이, 상기 각 챔버 중 하나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음파의 소음 레벨보다도 작아지도록 n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 방향인 제 1 방향과 수직인 면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의 진동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기구를 진동시키기 위한 정격 입력보다 낮은 입력으로 해당 진동 기구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하는 방향과 수직인 면에 대해서 비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1 진동판과 동일 형상을 가지며, 이 제 1 진동판의 진동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또한 해당 진동 방향에서 상기 제 1 진동판과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진동을 부여하는 제 2 진동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기구를 제 1 주파수로 진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 1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로서, 상기 진동 기구를 상기 제 1 주파수로 진동시켰을 때에 그 진동 기구에 포함되는 제 2 주파수에서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 진동 기구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신호 생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를 검출하는 음파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각각의 음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챔버는,
    해당 각 챔버 중 적어도 2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제 1 챔버군과,
    적어도 2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제 2 챔버군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제 1 챔버군에 포함된 상기 냉매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 1 진동판과,
    상기 제 2 챔버군에 포함된 상기 냉매에 진동을 부여하는 제 2 진동판을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챔버군으로부터 발생되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제 2 챔버군으로부터 발생되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제 1 챔버군으로부터의 제 1 합성 음파와 상기 제 2 챔버군으로부터의 제 2 합성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의 진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약화된 제 1 및 제 2 합성 음파가 더욱 약화되는 다른 음파를 생성하는 음파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판을 가지며,
    해당 분류 발생 장치는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서 챔버군을 형성하는 케이스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진동판에 접속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가동되는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서 챔버군을 형성하는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진동판에 접속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가동되는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로드의 상기 제 1 방향과는 다른 제 2 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또는 그 관통 구멍 부근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제 1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진동판을 관통하며,
    해당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베어링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제 2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을 거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실(seal)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상기 제 1 베어링의 틈새를 거치는 상기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실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가지고,
    해당 분류 발생 장치는,
    제 1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 1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서 제 1 챔버군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대향하는 제 2 관통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 2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서 제 2 챔버군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2 케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접속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가동되는 로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5. 제 10항에 있어서,
    제 1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진동판 중 제 1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서 제 1 챔버군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1 관통 구멍과 대향하는 제 2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진동판 중 제 2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서 제 2 챔버군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2 케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액튜에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진동판을 접속하고, 상기 액튜에이터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가동되는 로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 구멍 또는 그 제 1 관통 구멍 부근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제 1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제 1 진동판을 관통하고,
    해당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베어링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상기 로드의 제 2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삽입 통과되는 제 3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진동판 중 그 제 3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된 상기 로드가 접속되는 제 3 진동판에 의해 구획되어서 제 3 챔버군을 형성하는 제 3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 구멍을 거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제 1 실 부재, 및 상기 제 2 관통 구멍을 거치는 상기 제 2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제 2 실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을 덮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몸체에 당접하고,
    해당 분류 발생 장치는, 상기 로드와 상기 액튜에이터의 틈새를 거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의 내외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실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관통 구멍을 덮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스 몸체에 당접하고,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로드의 베어링과,
    상기 로드와 상기 베어링의 틈새를 거치는 상기 제 1 케이스 몸체와 상기 제 2 케이스 몸체의 연통을 차단하기 위한 실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유체압에 의해 상기 로드를 가동시키기 위한 유체압 발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 운동을 상기 로드에 전달하는 링크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4. 제 2항에 있어서,
    측벽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측벽으로부터 케이스 몸체의 외부 및 내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된 상기 냉매의 토출 노즐을 가지며, 상기 각 챔버를 형성하는 케이스 몸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절곡된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유연한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7.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발열체를 향해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 1 노즐과,
    상기 제 1 발열체와는 다른 제 2 발열체를 향해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제 2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즐은 직선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 2 노즐은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즐은, 제 1 길이 및 상기 냉매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인 제 1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유로를 가지고,
    상기 제 2 노즐은, 제 1 길이보다 긴 제 2 길이 및 상기 제 1 단면적보다 넓은 제 2 단면적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유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0. 제 2항에 있어서,
    발열체의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 핀을 구비한 히트싱크 위에 배치되어, 상기 각 방열 핀이 입설되는 입설 방향과 평행한 측면을 가지고, 상기 각 챔버 중 적어도 한 조의 챔버를 형성하는 케이스 몸체와,
    상기 각 방열 핀을 향해 상기 케이스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한 조의 챔버로부터 각각 상기 냉매를 토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조의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 방향을 따르도록 입설된 측벽으로서, 제 1 단부와 상기 진동 방향에서 상기 제 1 단부와는 반대 측에 설치된 제 2 단부를 가지는 측벽을 가지는 진동판과,
    상기 제 1 단부를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재와,
    상기 제 2 단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 방향을 따르도록 입설된 측벽을 가지는 진동판과,
    상기 측벽을 상기 진동 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측벽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개재된 윤활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주위에서 그 진동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진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진동판 및 상기 지지 부재에 부착되도록 배선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전기적인 제어 신호를 상기 구동부에 전달하기 위한 도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진동판의 주위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홈을 가지며, 상기 도선은 상기 홈을 따라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장치.
  46. 발열체와,
    개구를 각각 가지며, 냉매가 포함된 복수의 챔버와,
    상기 각 챔버에 포함된 상기 냉매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각 개구를 거쳐 냉매를 맥류로서 상기 발열체를 향해 토출시키기 위한 진동 기구와,
    상기 각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가 토출될 때에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진동 기구의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각 개구 중 적어도 한 조의 상기 챔버가 각각 가지는 개구의 간격을 d(m), 상기 한 조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의 파장을 λ(m)로 했을 경우,
    d<λ/2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7. 개구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챔버에 포함된 냉매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각 개구를 거쳐 상기 냉매를 맥류로서 토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각 챔버로부터 상기 냉매가 토출될 때에 생기는 각각의 음파가 서로 약화되도록, 상기 냉매에 부여하는 진동을 제어하는 공정
    를 구비하고,
    상기 각 개구 중 적어도 한 조의 상기 챔버가 각각 가지는 개구의 간격을 d(m), 상기 한 조의 챔버에 의해 생기는 각각의 음파의 파장을 λ(m)로 했을 경우,
    d<λ/2 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발생 방법.
KR1020040089375A 2003-11-04 2004-11-04 분류 발생 장치, 전자 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 KR101120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4922 2003-11-04
JPJP-P-2003-00374922 2003-11-04
JPJP-P-2004-00035815 2004-02-12
JP2004035815 2004-02-12
JPJP-P-2004-00232581 2004-08-09
JP2004232581A JP4677744B2 (ja) 2003-11-04 2004-08-09 噴流発生装置、電子機器及び噴流発生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676A KR20050043676A (ko) 2005-05-11
KR101120465B1 true KR101120465B1 (ko) 2012-02-29

Family

ID=3443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375A KR101120465B1 (ko) 2003-11-04 2004-11-04 분류 발생 장치, 전자 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33324B2 (ko)
EP (1) EP1529963B1 (ko)
JP (1) JP4677744B2 (ko)
KR (1) KR101120465B1 (ko)
CN (1) CN100477898C (ko)
TW (1) TWI2508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249B2 (en) 2018-11-07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8746B2 (ja) * 2003-02-20 2009-07-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イクロ・ジェットを備える冷却アセンブリ
JP4572548B2 (ja) * 2004-03-18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気体噴出装置
US20060196638A1 (en) * 2004-07-07 2006-09-07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using distributed synthetic jet actuators
JP5088526B2 (ja) * 2005-04-18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10586A (ja) 2005-04-28 2006-11-09 Sony Corp 気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70023169A1 (en) * 2005-07-29 2007-02-01 Innovative Fluidics, Inc. Synthetic jet ejector for augmentation of pumped liquid loop cooling and enhancement of pool and flow boiling
US8069910B2 (en) * 2005-10-12 2011-12-06 Nuventix, Inc. Acoustic resonator for synthetic jet generation for thermal management
CN101297121B (zh) * 2005-10-28 2011-02-02 三洋电机株式会社 流体输送装置、利用其的燃料电池及电子设备
US7607470B2 (en) * 2005-11-14 2009-10-27 Nuventix, Inc. Synthetic jet heat pipe thermal management system
JP4867324B2 (ja) * 2005-12-12 2012-02-01 ソニー株式会社 放熱装置及び電子機器
JP4844236B2 (ja) * 2005-12-20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ノズル、噴流発生装置、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JP5003018B2 (ja) * 2006-03-01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噴流発生装置
JP5133970B2 (ja) * 2006-03-21 2013-01-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冷却装置、及びこのような冷却装置を有する電子装置
US7787248B2 (en) * 2006-06-26 2010-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fluid cooling system, cooled electronics module,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US7841385B2 (en) * 2006-06-26 2010-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ual-chamber fluid pump for a multi-fluid electronics cooling system and method
JP2008008230A (ja) * 2006-06-30 2008-01-17 Sony Corp 噴流発生装置、ノズル体及び電子機器
EP2082137A1 (en) * 2006-11-03 2009-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control of an acoustic cooling system
CN101542724A (zh) * 2006-11-30 2009-09-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脉动冷却系统
US20080137289A1 (en) * 2006-12-08 2008-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embedded environment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5320298B2 (ja) * 2006-12-15 2013-10-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周波数制御を有する脈動流体冷却
JP2008280917A (ja) 2007-05-10 2008-11-20 Alps Electric Co Ltd 圧電式気体噴射装置
CN101680623B (zh) * 2007-06-14 2014-09-2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具有脉动流体冷却的光照装置
WO2009006318A1 (en) 2007-06-29 2009-01-08 Artificial Muscle, Inc. Electroactive polymer transducers for sensory feedback applications
US20090084866A1 (en) * 2007-10-01 2009-04-02 Nuventix Inc. Vibration balanced synthetic jet ejector
JP5643651B2 (ja) * 2007-12-07 2014-12-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低ノイズ冷却装置
EP2101351B1 (de) 2008-03-13 2016-08-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Kühlvorrichtung zur Kühlung eines Bauteils
US7990705B2 (en) * 2008-05-09 2011-08-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ynthetic jet enhanced natural cooling
KR20110069055A (ko) * 2008-09-12 2011-06-2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갭형 공간 및 이에 결합된 인조 제트 발생기를 구비한 디바이스
US20110240260A1 (en) * 2008-10-17 2011-10-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oling arrangement
US8453715B2 (en) * 2008-10-30 2013-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nthetic jet embedded heat sink
US8496049B2 (en) * 2009-04-09 2013-07-30 General Electric Company Heat sinks with distributed and integrated jet cooling
US10274263B2 (en) * 2009-04-09 2019-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ooling of a heat sink using a synthetic jet
US9615482B2 (en) 2009-12-11 2017-04-04 General Electric Company Shaped heat sinks to optimize flow
US8584735B2 (en) * 2009-07-28 2013-11-19 Aerojet Rocketdyne Of De, Inc. Cooling device and method with synthetic jet actuator
US8490419B2 (en) * 2009-08-20 2013-07-23 United States Thermoelectric Consortium Interlocked jets cooling method and apparatus
US8776871B2 (en) 2009-11-19 2014-07-15 General Electric Company Chassis with distributed jet cooling
JP5868015B2 (ja) * 2010-04-14 2016-02-24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分散型ジェット冷却を備えたシャーシ
GB201101870D0 (en) 2011-02-03 2011-03-23 The Technology Partnership Plc Pump
KR20140008416A (ko) 2011-03-01 2014-01-21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변형가능한 중합체 장치 및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자동화 제조 방법
US20120285667A1 (en) * 2011-05-13 2012-11-15 Lighting Science Group Corporation Sound baffling cooling system for led thermal management and associated methods
WO2013021547A1 (ja) * 2011-08-05 2013-02-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30243030A1 (en) * 2012-03-16 2013-09-19 Nuventix, Inc. Augmentation of Fans With Synthetic Jet Ejectors
TW201339808A (zh) * 2012-03-16 2013-10-01 Inventec Corp 電子裝置
EP2828901B1 (en) 2012-03-21 2017-01-04 Parker Hannifin Corporation Roll-to-roll manufacturing processes for producing self-healing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EP2849949A4 (en) 2012-05-15 2017-07-26 Eyenovia, Inc. Ejector devices, methods, drivers, and circuits therefor
KR20150031285A (ko) 2012-06-18 2015-03-23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연신 공정을 위한 연신 프레임
US20140002991A1 (en) * 2012-06-29 2014-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management in optical and electronic devices
US8976525B2 (en) * 2012-07-31 2015-03-10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issipating heat in an enclosure
US9215520B2 (en) * 2012-08-15 2015-12-15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function synthetic j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4066576A1 (en) 2012-10-24 2014-05-01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Polymer diode
EP2971794A2 (en) * 2013-03-15 2016-01-20 Covestro Deutschland AG Electroactive polymer actuated air flow thermal management module
US20140376185A1 (en) * 2013-06-19 2014-12-25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Ltd. Cooling device
US20150041104A1 (en) * 2013-08-09 2015-02-12 Ge Aviation System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and modular synthetic jet cooling
US9027702B2 (en) * 2013-10-16 2015-05-12 The Boeing Company Synthetic jet muffler
US9951767B2 (en) 2014-05-22 2018-04-24 General Electric Company Vibrational fluid mover active controller
US10085363B2 (en) * 2014-05-22 2018-09-25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compact impingement on extended heat surface
KR101651018B1 (ko) * 2014-12-08 2016-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 구동 기체 분출 장치
WO2017099677A1 (en) * 2015-12-09 2017-06-15 Ozyegin Universitesi Heat sink cooling with preferred synthetic jet cooling devices
CN105491854B (zh) * 2015-12-29 2018-02-06 东南大学 一种多方向出口射流散热器
WO2017189474A1 (en) 2016-04-25 2017-11-02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fields
CN107148193B (zh) * 2016-09-29 2019-07-09 宁波三星医疗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桩及充电桩散热控制方法
CN107559270B (zh) * 2017-09-08 2023-11-14 浙江大学 合成射流平板湍流减阻装置
TWI650284B (zh) * 2017-09-30 2019-02-11 Microjet Technology Co., Ltd 流體裝置之控制方法
DE102018100279B3 (de) 2018-01-08 2019-04-18 Beuth Hochschule Für Technik Berlin Lüftervorrichtung zum Wärmeabtransport von einem Gegenstand und Gegenstand
US10827273B2 (en) 2018-11-27 2020-11-03 Apple Inc. Dual loudspeaker enabled cooling
CN110162157A (zh) * 2019-03-29 2019-08-23 联想(北京)有限公司 散热系统
US11898545B2 (en) * 2019-06-21 2024-02-13 Brane Audio, LLC Venturi pump systems and methods to use same
CN113597192B (zh) * 2020-04-30 2024-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5023097B (zh) * 2021-09-30 2023-04-07 荣耀终端有限公司 射流发生装置及方法、散热器以及电子设备
CN117222209B (zh) * 2023-11-09 2024-02-20 东莞市富其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液冷散热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920A (en) * 1978-07-17 1980-02-01 Aisin Seiki Co Ltd Diaprhagm type air pump unit
JPS55101800A (en) * 1979-01-25 1980-08-04 Pioneer Electronic Corp Air pump
JPS62159798A (ja) * 1986-01-08 1987-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駆動装置
JPH08314572A (ja) * 1995-05-19 1996-11-29 Fujitsu Ltd 能動騒音制御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9743A (en) * 1960-04-14 1962-04-17 Curtiss Wright Corp Ceramic diaphragm pump
GB1583758A (en) * 1976-10-01 1981-02-04 Nat Res Dev Attenuation of sound waves in ducts
JPS58140491A (ja) * 1982-02-16 1983-08-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れ発生装置
JPS6085043A (ja) * 1983-10-18 1985-05-14 Bridgestone Corp 自動車等のエンジン騒音制御装置
US4648807A (en) * 1985-05-14 1987-03-10 The Garrett Corporation Compact piezoelectric fluidic air supply pump
US4665549A (en) * 1985-12-18 1987-05-12 Nelson Industries Inc. Hybrid active silencer
JPS62159799A (ja) * 1986-01-08 1987-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駆動装置
US4923031A (en) * 1986-02-26 1990-05-08 Electro-Voice, Incorporated High output loudspeaker system
IT1211848B (it) * 1987-10-12 1989-11-03 Roma A Dispositivo silenziatore per scarichi di motori e simili,ad interferenza acustica
US5077601A (en) * 1988-09-09 1991-12-31 Hitachi, Ltd. Cooling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device and heat radiation fin for use in the cooling system
JPH02213200A (ja) * 1989-02-14 1990-08-24 Victor Co Of Japan Ltd 熱交換器
DE3917116A1 (de) 1989-05-26 1990-11-29 Hartung Kuhn & Co Maschf Fuellwagen fuer eine koksofenbatterie
JPH03116961A (ja) 1989-09-29 1991-05-17 Victor Co Of Japan Ltd 放熱装置
JPH0635515Y2 (ja) * 1990-06-26 1994-09-14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電気部品の冷却装置
US5270484A (en) * 1990-09-14 1993-12-14 Canon Kabushiki Kaisha Powder conveying device
JPH05173988A (ja) 1991-12-26 1993-07-13 Toshiba Corp 分散処理方式および該分散処理に適用される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方式
US5692054A (en) * 1992-10-08 1997-11-25 Noise Cancellation Technologies, Inc. Multiple source self noise cancellation
JPH06309262A (ja) 1993-04-26 1994-11-04 Mitsubishi Electric Corp 分散サービス制御システム
DE59510549D1 (de) * 1995-03-14 2003-03-13 Sulzer Markets & Technology Ag Verfahren zum aktiven Dämpfen globaler Strömungsoszillationen in abgelösten instabilen Strömungen und Vorrichtung zur Anwendung des Verfahrens
JP2703515B2 (ja) * 1995-03-30 1998-01-26 世晃産業株式会社 電磁振動型のダイヤフラム式エアポンプの消音タンク
US5758823A (en) * 1995-06-12 1998-06-02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nthetic jet actuator and applications thereof
US6123145A (en) * 1995-06-12 2000-09-26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nthetic jet actuators for cooling heated bodies and environments
JP4306097B2 (ja) * 2000-06-27 2009-07-2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小型ポンプ
JP2002070728A (ja) * 2000-09-04 2002-03-08 Calsonic Kansei Corp 斜板式圧縮機の脈動低減構造
US6519151B2 (en) * 2001-06-27 2003-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ic-sectioned plate and jet nozzle assembly for use in cooling an electronic module, and methods of fabrication thereof
AT412416B (de) * 2001-10-23 2005-02-25 Zackl Wilhelm Ventillose pumpe
US6588497B1 (en) * 2002-04-19 2003-07-08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by synthetic jet ejector channel cooling techniques
US6937472B2 (en) * 2003-05-09 2005-08-3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cooling heat generating components within a computer system enclosure
GB2419644B (en) 2003-07-07 2008-04-09 Georgia Tech Res Inst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 management using distributed synthetic jet actua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920A (en) * 1978-07-17 1980-02-01 Aisin Seiki Co Ltd Diaprhagm type air pump unit
JPS55101800A (en) * 1979-01-25 1980-08-04 Pioneer Electronic Corp Air pump
JPS62159798A (ja) * 1986-01-08 1987-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駆動装置
JPH08314572A (ja) * 1995-05-19 1996-11-29 Fujitsu Ltd 能動騒音制御システムを備え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6249B2 (en) 2018-11-07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21171A1 (en) 2005-06-09
KR20050043676A (ko) 2005-05-11
TWI250840B (en) 2006-03-01
JP2005256834A (ja) 2005-09-22
JP4677744B2 (ja) 2011-04-27
EP1529963B1 (en) 2013-04-03
CN1671279A (zh) 2005-09-21
US8033324B2 (en) 2011-10-11
TW200531618A (en) 2005-09-16
CN100477898C (zh) 2009-04-08
EP1529963A1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465B1 (ko) 분류 발생 장치, 전자 기기 및 분류 발생 방법
EP1762725B1 (en) Gas je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gas jetting method
KR101295488B1 (ko) 분류 발생 장치 및 전자 기기
JP5805587B2 (ja) 放熱モジュール
JP5088526B2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50161280A1 (en) Silencer and electronic equipment
US7861767B2 (en) Airflow genera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2096309A1 (en) Piezoelectric micro-blower
JP2014037826A (ja) 多機能シンセティックジェットおよび同製作の方法
EP25857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acoustical noise in synthetic jets
JP2006305453A (ja) 振動装置、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16787A (ja) 放熱装置およびそのファンフレーム構造,放熱システム
US20110168361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and airflow generator thereof
JP2007162525A (ja) 噴流発生装置、放熱装置及び電子機器
JP4910464B2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6310673A (ja) 噴流発生装置、ヒートシンク、冷却装置及び電子機器
US7195450B2 (en) Multiblade fan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multiblade fan
JP200611872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6055741A (ja) 噴流発生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219557A (ja) 気体噴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066507A (ja)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