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562B1 -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 - Google Patents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562B1
KR101116562B1 KR1020097027442A KR20097027442A KR101116562B1 KR 101116562 B1 KR101116562 B1 KR 101116562B1 KR 1020097027442 A KR1020097027442 A KR 1020097027442A KR 20097027442 A KR20097027442 A KR 20097027442A KR 101116562 B1 KR101116562 B1 KR 101116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vas
core
adjacent
man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7965A (ko
Inventor
아츠시 가와사키
유지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칸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칸,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칸
Publication of KR20100017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7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B66B23/24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범포(帆布, canvas)의 이음부에 소정의 강도를 가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롤러가 범포의 이음부를 통과할 때의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재로 형성된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환상(環狀)의 심체(芯體, core body) 내면을 따라서 범포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음부에서 인접하는 범포의 각 단부의 표면을 이동난간의 내면을 형성하는 다른 부분의 표면보다도 심체 측으로 오목한 상태로 형성한다. 또, 범포의 상기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덮도록 범포의 단부 사이에 맞춤포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맞춤포 가운데, 심체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을 인접하는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동일면으로 배치하고, 심체의 만곡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을 인접하는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오목한 상태로 배치한다.

Description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MAN-CONVEYOR MOVING HANDRAIL}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escalator)나 움직이는 보도(步道) 등의 맨-콘베이어에 사용되는 이동난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라고 하는 맨-콘베이어에서는 'C'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이동난간이 사용되고 있다. 이 이동난간은,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재로 형성된 심체(芯體, core body)와, 심체의 내부에 그 길이에 따라서 설치된 띠모양의 항장체(抗張體, tensile body)로 구성된다. 그리고, 심체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심체의 내부에 보강포(補强布, reinforcement fabric)가 사용되지 않고, 'C'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심체의 내면에 상기 보강포의 기능을 겸비한 범포(帆布, canvas)가 설치되어 있다.
또, 맨-콘베이어의 이동난간은, 일반적으로, 직선모양으로 형성된 난간본체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이 난간본체의 양단부가 접속됨으로써 환상(環狀)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 접속부의 내면에는, 통상, 범포의 이음부(junction)가 존재한다(또한, 상기 접속부 이외에서도 범포의 접속은 행해지기 때문에, 이동난간의 접속부 이외에서도 범포의 이음부가 존재하는 것이 있다.).
범포의 단부끼리를 맞대어 난간본체의 양단부를 접속한 경우, 이동난간이 구부러졌을 때에 상기 이음부에 힘이 집중해 버려, 엘라스토머재로 이루어진 심체에 균열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종래에는 인접하는 범포의 단부 사이에 길이가 짧은 맞춤포(application cloth, 덧댐포)를 접착 고정함으로써, 이음부에서의 범포의 경계를 덮어 가려 보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개2006-117329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에서는 범포의 이음부에 설치된 맞춤포가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맞춤포는 그 표면이 인접하는 범포의 표면보다도 심체의 측면에 약간 오목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즉, 이동난간의 내면에는 범포의 이음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난간구동장치의 구동롤러가 범포의 이음부를 통과할 때마다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여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범포의 이음부에 소정의 강도를 가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롤러가 범포의 이음부를 통과할 때의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재로 형성되고, 평탄부 및 평탄부의 양측에 형성된 만곡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환상의 심체와, 심체에 소정의 인장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심체 내부에 설치된 항장체와, 심체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됨으로써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짐과 동시에, 이음부에서 인접하는 각 단부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내면을 형성하는 다른 부분의 표면보다도 심체 측으로 오목한 상태로 형성된 범포와, 범포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덮도록 범포의 단부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심체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이 인접하는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동일면으로 배치되며, 심체의 만곡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이 인접하는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오목한 상태로 배치된 맞춤포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재로 형성되고, 평탄부 및 평탄부의 양측에 형성된 만곡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환상의 심체와, 심체에 소정의 인장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심체 내부에 설치된 항장체와, 심체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됨으로써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짐과 동시에, 이음부에서 인접하는 각 단부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내면을 형성하는 다른 부분의 표면보다도 심체 측으로 오목한 상태로 형성된 범포와, 범포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덮도록 범포의 단부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표면이 인접하는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오목한 상태로 배치된 맞춤포와, 맞춤포 가운데, 심체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그 표면이 인접하는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동일면으로 배치된 부직포(不織布)를 구비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범포의 이음부에 소정의 강도를 가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롤러가 범포의 이음부를 통과할 때의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주요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C-C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D-D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심체, 1a 평탄부, 1b 만곡부, 1c 만곡부, 2 항장체,
3 범포, 3a 단부, 3b 단부, 3c 만곡부, 3d 만곡부,
3e 평탄부, 4 맞춤포, 4a 평탄부, 4b 만곡부, 4c 만곡부,
5 부직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의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1은 심체, 2는 항장체, 3은 범포이다.
심체(1)는 대략 평탄하게 형성된 환상의 평탄부(1a)와, 이 평탄부(1a)의 양측에 형성된 반원모양의 만곡부(1b 및 1c)로 구성되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 심체(1)는 이동난간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심체(1)는, 일반적으로, 목적(심체(1)에 부여하는 기능 등)이나 제조방법에 따라 적당한 경도의 재료가 선택되고, 복수의 층으로 전체가 구성되어 있다. 엘라스토머의 원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계, 폴리스티렌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등이 이용된다.
항장체(2)는 심체(1), 즉 이동난간에 소정의 인장강도를 부여하여 이동난간 의 늘어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항장체(2)는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심체(1)의 평탄부(1a)의 내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항장체(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틸 스트립(steel strip)이나 금속제 와이어 등이 이용된다.
범포(3)는 이동난간이 난간상의 난간가이드상을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마찰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수단, 및, 이동난간을 마찰구동시키는데 있어서 난간구동장치(예를 들면, 구동롤러)와의 사이에 소정의 마찰력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비되어 있다. 이 범포(3)는 심체(1)와 일체로 되도록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심체(1)의 내면을 따라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범포(3)도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심체(1)의 평탄부(1a) 및 만곡부(1b 및 1c)의 각 내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범포(3)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면(綿)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가 이용된다.
또한, 심체(1)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아닌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심체(1)의 내부에 보강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내는 이동난간에서는 심체(1)의 내부에 보강포는 사용되지 않고, 상기 보강포의 기능을 겸비한 범포(3)가 심체(1)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이동난간은 직선모양으로 형성된 난간본체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이 난간본체의 양단부가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환상으로 형성된다. 이하에, 환상으로 형성된 이동난간 가운데, 난간본체의 양단부가 접속된 부분(접속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주요부 구성 도로서, 이동난간의 접속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A-A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B-B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3a 및 3b는 이동난간의 접속부에서 인접하여 배치된 범포(3)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즉, 범포(3)의 단부(3a 및 3b)는 그 자체가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에 걸쳐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범포(3)의 단부(3a 및 3b)는 서로 맞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소의 틈새가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범포(3)는 단부(3a 및 3b)의 표면만 다른 부분의 표면보다도 심체(1) 측으로 오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범포(3) 가운데, 상기 단부(3a 및 3b) 이외의 부분의 표면은 이동난간의 내면을 형성한다. 또, 단부(3a 및 3b)는 심체(1)의 만곡부(1b 및 1c)에 대응하는 부분(이하, 「만곡부(3c 및 3d)(단, 만곡부 3d는 도시하지 않음)」라고 함)의 표면이 평탄부(1a)에 대응하는 부분(이하, 「평탄부(3e)」라고 함)의 표면보다도 한 단계 더 오목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단부(3a 및 3b)는 만곡부(3c 및 3d)의 표면의 함몰량(α)이 평탄부(3e)의 표면의 함몰량(β)보다도 크게 되도록(α > β)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범포(3)의 상기 단부(3a 및 3b) 사이에 이동난간의 내측으로부터 맞춤포(4)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 맞춤포(4)는 단부(3a 및 3b) 사이에 형성된 틈새 전체를 이동난간의 내측으로부터 덮어 가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맞춤포(4)는 소정의 폭(이동난간의 길이방향의 거리)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체가 심체(1) 측으로 후퇴한 표면을 가지는 단부(3a 및 3b)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또, 상기 맞춤포(4)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심체(1)의 평탄부(1a)에 대응하는 부분(이하, 맞춤포(4)의 「평탄부(4a)」라고 함)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범포(3)의 각 표면에 대해서 대략 동일면으로 배치된다. 또한, 맞춤포(4)는 전체적으로 대략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이 때문에, 맞춤포(4)는 범포(3)의 단부(3a 및 3b) 사이에 접착 고정됨으로써, 심체(1)의 만곡부(1b 및 1c)에 대응하는 부분(이하, 맞춤포(4)의 「만곡부(4b 및 4c)(단, 만곡부 4c는 도시하지 않음)」라고 함)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범포(3)의 각 표면에 대해서 약간 오목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이동난간의 내면은 맞춤포(4)의 만곡부(4b 및 4c)만 다른 부분보다도 한 단계 오목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주요부 사시도로서, 범포(3)의 이음부를 형성할 때의 범포(3)의 일부와 맞춤포(4)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인접하는 범포(3)의 단부(3a 및 3b) 사이에 맞춤포(4)가 접착 고정되기 때문에, 범포(3)의 이음부에 소정의 강도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난간의 굽힘에 의해서 상기 이음부에 힘이 집중해 버리는 일도 없으며, 심체(1)에 균열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범포(3)의 단부(3a 및 3b) 사이에 설치된 맞춤포(4)는 그 평탄부(4a)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에 인접하는 범포(3)의 각 표면에 대해서 대략 동일면으로 배치된다. 이 때문에, 직경 100 ~ 200㎜정도의 구동롤러가 범포(3)의 이음부를 통과하는 경우라도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맞춤포(4)는 만곡부(4b 및 4c)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에 인접하는 범포(3)의 각 표면에 대해서 한 단계 오목한 상태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맨-콘베이어의 사용에 의해서 생기는 맞춤포(4)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맞춤포(4)의 박리(剝離)는 맞춤포(4)가 구동롤러의 측면이나 난간가이드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한다. 맞춤포(4) 가운데, 구동롤러의 측면 등에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것은 만곡부(4b 및 4c)이지만, 상기 구성의 이동난간에서는 만곡부(4b 및 4c)의 표면이 한 단계 오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맨-콘베이어의 가동중에 구동롤러의 측면이나 난간가이드가 만곡부(4b 및 4c)에 접촉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 맞춤포(4)의 박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맞춤포(4)의 만곡부(4b 및 4c)의 표면만이 한 단계 오목한 상태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만곡부(4b 및 4c)에 인접하는 범포(3)의 표면도 어느 정도의 길이에 걸쳐 한 단계 오목한 상태로 형성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1에서는 이동난간의 접속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범포(3)의 이음부는 접속부 이외에도 존재한다. 이동난간의 접속부 이외에 설치된 범포(3)의 이음부에서도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주요부 구성도로서, 도 2와 마찬가지로 이동난간의 접속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C-C단면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의 D-D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이동난간의 내면을 형성하는 범포(3)는 단부(3a 및 3b)의 표면만 다른 부분보다도 심체(1) 측으로 오목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단, 단부(3a 및 3b)는, 실시형태 1의 경우와 달리, 그 전체의 표면이 다른 부분(범포(3) 가운데, 단부(3a 및 3b) 이외의 부분)의 표면보다도 심체(1) 측으로 거리(γ)만큼 후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부(3a 및 3b)의 함몰량(γ)은 맞춤포(4)의 두께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범포(3)의 상기 단부(3a 및 3b) 사이에 형성된 틈새 전체를 이동난간의 내측으로부터 덮어 가리도록 단부(3a 및 3b) 사이에 이동난간의 내측으로부터 맞춤포(4)가 접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부(3a 및 3b)의 표면의 함몰량(γ)은 맞춤포(4)의 두께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맞춤포(4)는 그 전체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범포(3)의 각 표면에 대해서 약간 오목한 상태로 배치된다.
5는 맞춤포(4)의 평탄부(4a) 표면에 이동난간의 내측으로부터 접착 고정된 부직포이다. 이 부직포(5)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그 표면이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범포(3)의 각 표면에 대해서 대략 동일면으로 배치된다. 또한, 부직포(5)는 그 표면과 이동난간의 길이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범포(3)의 표면 사이에 단차(段差)가 생기지 않도록, 그 양단부가 범포(3)의 경사에 맞추어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그 외에는 실시형태 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단, 상기 부직포(5)는 일반적으로 맞춤포(4) 정도의 강도는 가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맨-콘베이어를 장기간 사용한 경우에는 부직포(5)가 파괴되어 서서히 붕괴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부직포(5)는 그것만이 세세한 섬유로 분해되기 때문에, 맞춤포(4)가 함께 벗겨지는 일은 없다. 또, 부직포(5)가 파괴된 경우라도 맞춤포(4)와 범포(3)와의 경계부분에서는 구동롤러가 강하게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5)의 전체가 벗겨져 버리는 일은 없다. 따라서, 범포(3)의 표면에 부직포(5)가 잔존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경계부분에 극단적인 단차가 생기지 않고, 구동롤러가 범포(3)의 이음부를 통과하는 경우라도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에 의하면, 범포의 이음부에 소정의 강도를 가지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롤러가 범포의 이음부를 통과할 때의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심체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재로 형성되고, 그 내면에 범포가 설치된 것이면, 모든 것에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재로 형성되고,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양측에 형성된 만곡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환상(環狀)의 심체(芯體, core body)와,
    상기 심체에 소정의 인장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심체 내부에 설치된 항장체(抗張體, tensile body)와,
    상기 심체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됨으로써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짐과 동시에, 이음부에서 인접하는 각 단부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내면을 형성하는 다른 부분의 표면보다도 상기 심체 측으로 오목한 상태로 형성된 범포(帆布, canvas)와,
    상기 범포의 상기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덮도록 상기 범포의 상기 단부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심체의 상기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이 인접하는 상기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동일면으로 배치되고, 상기 심체의 상기 만곡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이 인접하는 상기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오목한 상태로 배치된 맞춤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포는 이음부에서 인접하는 각 단부의 표면이 심체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함몰량보다도 상기 심체의 만곡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함몰량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맞춤포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
  3.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재로 형성되고, 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의 양측에 형성된 만곡부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는 환상의 심체와,
    상기 심체에 소정의 인장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심체 내부에 설치된 항장체와,
    상기 심체의 내면을 따라서 설치됨으로써 'C'자 모양의 횡단면을 가짐과 동시에, 이음부에서 인접하는 각 단부의 표면이 이동난간의 내면을 형성하는 다른 부분의 표면보다도 상기 심체 측으로 오목한 상태로 형성된 범포와,
    상기 범포의 상기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덮도록 상기 범포의 상기 단부 사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그 표면이 인접하는 상기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오목한 상태로 배치된 맞춤포와,
    상기 맞춤포 가운데, 상기 심체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그 표면이 인접하는 상기 범포의 표면에 대해서 동일면으로 배치된 부직포(不織布)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
KR1020097027442A 2007-06-28 2007-06-28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 KR101116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2981 WO2009001456A1 (ja) 2007-06-28 2007-06-28 マンコンベア用移動手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7965A KR20100017965A (ko) 2010-02-16
KR101116562B1 true KR101116562B1 (ko) 2012-02-28

Family

ID=4018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442A KR101116562B1 (ko) 2007-06-28 2007-06-28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86498B2 (ko)
EP (1) EP2159184B1 (ko)
JP (1) JP5083316B2 (ko)
KR (1) KR101116562B1 (ko)
CN (1) CN101687615B (ko)
WO (1) WO2009001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20842C2 (ru) * 2007-09-10 2014-06-27 ИЭйчСи Канада, Инк. Поручень (варианты)
US9981415B2 (en) 2007-09-10 2018-05-29 Ehc Canad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sion of thermoplastic handrail
JP5770473B2 (ja) 2007-09-10 2015-08-26 イー エイチ シー カナダ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EHC Canada,Inc. 物品押出加工方法、ハンドレール形成方法、物品押出装置及びダイ組立体
US8205735B2 (en) * 2008-06-17 2012-06-26 Intel-Ge Care Innovations Llc Monitoring handrails to reduce falls
JP5924709B2 (ja) * 2012-08-13 2016-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ヤ用移動手摺、及び乗客コンベヤ用移動手摺の製造装置
WO2014175051A1 (ja) * 2013-04-24 2014-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エンドレス手摺およびエスカレーター
DE112014004423T5 (de) 2013-09-26 2016-06-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ahrtreppenhandlauf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ahrtreppenhandlaufs
JP5949736B2 (ja) * 2013-12-06 2016-07-1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
DE112015002565B4 (de) * 2014-05-30 2020-01-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ndlosen Handlaufs, endloser Handlauf sowie Rolltreppe
JP6070745B2 (ja) * 2015-03-17 2017-02-0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移動手摺の製造方法
JP6416138B2 (ja) * 2015-04-01 2018-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用の移動手摺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984255C (en) 2015-05-07 2023-02-14 Ehc Canada, Inc. Compact composite handrails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RU2018101486A (ru) 2015-06-19 2019-07-22 ИЭйчСи Канада,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ручня из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го полимера методом экструзи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639A (ja) * 1997-09-02 1999-03-23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用ハンドレールの接続方法
US20050011735A1 (en) * 2003-05-28 2005-01-20 Semperit Aktiengesellschaft Holding Splice construction for elongate sections
JP2006117329A (ja) * 2004-10-19 2006-05-1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1427A (en) * 1939-02-11 1940-08-13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handrail drive
US3633725A (en) * 1969-06-23 1972-01-11 Btr Industries Ltd Handrails for escalators and travolators
US3623590A (en) * 1970-01-19 1971-11-30 Goodyear Tire & Rubber Moving handrail system
US3719265A (en) * 1970-05-16 1973-03-06 Dunlop Holdings Ltd Conveyor handrails
US3688889A (en) * 1970-08-14 1972-09-05 Ernst Koch Driven handrail system
JPS5017750B2 (ko) * 1972-03-21 1975-06-24
JPS5232069Y2 (ko) * 1972-03-30 1977-07-21
US3809206A (en) * 1972-04-27 1974-05-07 Rheinstahl Eggers Kehrhahn Safety arrangement for escalator handrails and the like
US3740799A (en) * 1972-08-03 1973-06-26 H Earle Safety splice for handrail break
JPS5753684B2 (ko) 1973-06-15 1982-11-15
US4005773A (en) * 1974-12-10 1977-02-0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Transportation device having movable handrails
JPS5232069A (en) 1975-09-08 1977-03-10 Hitachi Cab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al contractive tube
US4134883A (en) * 1977-08-23 1979-01-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Abrasion resistant polyurethane article having a high rolling coefficient of friction
JPS57205144A (en) * 1981-06-11 1982-12-16 Hitachi Cable Flexible article with hard film
JPS5836875A (ja) * 1981-08-28 1983-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欄干
JPS60110379U (ja) * 1983-12-29 1985-07-26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ヤの欄干
USRE32839E (en) * 1984-11-21 1989-01-24 Hitachi, Ltd. Balustrade of passenger conveyor
US4776446A (en) * 1987-12-18 1988-10-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Handrail for transportation appartus
US5160009A (en) * 1989-05-08 1992-11-03 Hitachi, Ltd. Passenger conveyor and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3930351A1 (de) * 1989-09-12 1991-03-21 Pahl Gummi Asbest Handlauf fuer rolltreppen, fahrsteige und dergleichen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033607A (en) * 1990-09-20 1991-07-23 Otis Elevator Company Handrail newel guide assembly for an escalator
US5092446A (en) * 1991-06-13 1992-03-03 Ecs Corporation Handrail monitoring system
US5255772A (en) * 1992-12-22 1993-10-26 Escalator Handrail Company Handrail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with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US5332078A (en) * 1993-09-27 1994-07-26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handrail entry guard
US5355990A (en) * 1993-11-29 1994-10-18 Otis Elevator Company Balustrade handrail entry safety device
US6237740B1 (en) * 1998-06-30 2001-05-29 Ronald H. Ball Composite handrail construction
AT407377B (de) * 1998-09-11 2001-02-26 Semperit Ag Holding Handlauf
JP2004224504A (ja) * 2003-01-22 200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用コンベアーの移動手摺
DE10344468A1 (de) * 2003-09-25 2005-04-14 New-York Hamburger Gummi-Waaren Compagni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dlosverbindung von Handläufen für Fahrtreppen und Fahrsteige
KR100567285B1 (ko) * 2004-01-16 2006-04-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객수송장치의 곡선부 핸드레일 가이드장치
FI20040167A (fi) * 2004-02-03 2005-08-04 Kone Corp Liukukäytävä, -ramppi tai -porras
CN101155747B (zh) * 2005-04-08 2011-11-23 奥蒂斯电梯公司 乘客传送机扶手及制造方法
JP5258169B2 (ja) * 2005-05-09 2013-08-07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のための新規タイプのハンドレール、およびこのようなハンドレールを備えたエスカレータまたは動く歩道
AT502900B1 (de) * 2005-11-09 2008-12-15 Semperit Ag Holding Handlau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639A (ja) * 1997-09-02 1999-03-23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用ハンドレールの接続方法
US20050011735A1 (en) * 2003-05-28 2005-01-20 Semperit Aktiengesellschaft Holding Splice construction for elongate sections
JP2006117329A (ja) * 2004-10-19 2006-05-1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83316B2 (ja) 2012-11-28
US8186498B2 (en) 2012-05-29
KR20100017965A (ko) 2010-02-16
EP2159184A1 (en) 2010-03-03
JPWO2009001456A1 (ja) 2010-08-26
US20100181164A1 (en) 2010-07-22
EP2159184A4 (en) 2013-11-06
CN101687615B (zh) 2011-08-24
WO2009001456A1 (ja) 2008-12-31
CN101687615A (zh) 2010-03-31
EP2159184B1 (en)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562B1 (ko) 맨-콘베이어용 이동난간
JP2004224504A (ja) 乗客用コンベアーの移動手摺
CA2526529C (en) Splicing construction for longitudinal profiles
US8721949B2 (en) Modular handrail construction for a passenger conveyor handrail
KR102401760B1 (ko) 이동 난간의 제조 방법
CA2559706A1 (en) Moving handrail for passenger conveyer
JP2012224458A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並びに、マンコンベア用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5310396B2 (ja) マン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ガイド装置
JP2005225636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3889257B2 (ja) 乗客コンベア
JP6584337B2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及びその製造方法
JP5446562B2 (ja) マン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加工方法
KR102185316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난간
JP2008001504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
JP6407438B2 (ja) 乗客コンベヤ用移動手摺
KR20150086506A (ko) 에스컬레이터 또는 움직이는 보도용 핸드레일을 구동하는 디바이스
JPH09315746A (ja) 移動通路用手すり
JP2017145129A (ja) ハンドレール
JP2006117329A (ja)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
JP2017145130A (ja) ハンドレール
JP2018150121A (ja) ハンドレール
JP2017001795A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ベルト及び乗客コンベア
JP2013170015A (ja) 乗客コンベアの移動手摺
JPH09240975A (ja) ハンドレール
JPH10316348A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