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458B1 - 감시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감시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458B1
KR101116458B1 KR1020100005169A KR20100005169A KR101116458B1 KR 101116458 B1 KR101116458 B1 KR 101116458B1 KR 1020100005169 A KR1020100005169 A KR 1020100005169A KR 20100005169 A KR20100005169 A KR 20100005169A KR 101116458 B1 KR101116458 B1 KR 101116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main body
power supply
sid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872A (ko
Inventor
게이스케 요시카와
도모아키 사사키
가츠히코 기무라
게이 미우라
아키히로 히로이시
사토시 기타무라
유이치로 나오이
모토츠구 가와마타
유이치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1113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10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17104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65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30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17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4151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98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76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811487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8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Abstract

외부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설정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설정 정보의 복제 등을 가능하게 해서 설정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하고, 더구나, 외부 기억 매체가 유저에 의해 간단히 삽입 및 제거되어서 설정이 변하는 일이 없도록, 통상 시에는 외부 기억 매체가 삽입 및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 기억 매체로서의 메모리 카드(MC)용의 소켓은, 패널 케이스(70)내에 수납되는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소켓은, 패널 케이스(70)의 측면에 개구한 삽입구 (81)로부터 메모리 카드(MC)가 도입되도록, 개구부를 상기 삽입구(81)에 맞대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삽입구(81)는, 패널 케이스(70)의 좌측면이며, 본체 유닛(6) 및 패널 유닛(7)을 벽에 붙인 상태에서, 벽에 마련한 부착 구멍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개구하고 있다. 그 때문에, 메모리 카드(MC)의 장착 및 분리는, 패널 유닛(7)을 벽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Description

감시 제어 장치{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통신에 의해 부하의 감시 제어를 실행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감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부하의 원격 감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신호선을 통과시켜서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부하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를 전송 신호에 의해 개폐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으로서는, 스위치를 가지는 조작단말기와 부하에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릴레이를 가지는 제어 단말기를 단말 장치로서 구비하고, 전송 유닛을 센터 장치로서 구비한 집중 제어형의 것이 있다. 조작단말기 및 제어 단말기는 각각 복수대씩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전송 유닛과 조작단말기와 제어 단말기는 2선식의 신호선에 접속되어 있어, 조작단말기 및 제어 단말기에 개별로 설정되어 있는 단말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전송 유닛이 조작단말기 및 제어 단말기를 각각 별개로 인식한다.
전송 유닛은, 조작단말기와 제어 단말기를 어드레스에 의해 대응시킨 데이터 테이블인 제어 테이블을 저장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송 유닛은, 어느 하나의 조작단말기에 있어서의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가 전송 신호(시분할 다중 전송 신호를 이용하고 있음)를 이용하여 통지되면, 제어 테이블에 의해 해당 조작단말기에 대응되어 있는 제어 단말기에 대하여 전송 신호를 이용하여 릴레이를 개폐하는 지시를 전송한다. 이 지시를 받은 제어 단말기에 있어서 릴레이가 개폐된다. 그 때문에,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부하가 제어되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는 각 조작단말기는 각각 복수 회로의 스위치를 가지고, 또 각 제어 단말기에는 각각 복수 회로의 부하가 접속된다. 전송 유닛에 마련한 제어 테이블에서는 스위치 및 부하의 회로별로 대응시킴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조작단말기가 복수의 스위치를 가질 경우, 조작단말기에 고유한 단말 어드레스만 있다면 해당 조작단말기에 마련된 스위치가 모두 해당하는 것으로 되고, 실제로 조작된 유일한 스위치를 특별히 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각 조작단말기에 있어서는, 각각 스위치마다에 부하 번호를 배당하고, 각 조작단말기의 단말 어드레스의 뒤에 부하 번호를 부가한 것을 스위치의 어드레스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실제로 조작된 유일한 스위치를 특별히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 단말기에 있어서는 부하마다에 부하 번호를 배당하고, 각 제어 단말기의 단말 어드레스의 뒤에 부하 번호를 부가한 것을 부하의 어드레스라고 한다. 또, 1대의 제어 단말기에 접속되는 복수의 부하에서 1개의 부하 회로를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에는 각 제어 단말기의 단말 어드레스가 부하의 어드레스로서 이용된다.
그런데, 제어 테이블에서는, 스위치와 부하를 일대일로 결부시키는 것 이외에, 하나에 여러 개를 결부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 부하로서의 조명 기구에의 전원을 온오프한다고 하면, 전송 유닛에서는, 1개의 스위치로 1 회로(回路)의 조명 기구의 점등과 소등을 하는 개별 제어와, 1개의 스위치로 복수 회로의 조명 기구의 점등과 소등을 일괄해서 실행하는 일괄 제어의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개별 제어는 1 지시로 1 회로의 부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고, 일괄 제어는 1 지시로 복수 회로의 부하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괄 제어에는, 그룹 제어와 패턴 제어가 있다. 그룹 제어에서는, 제어 대상으로 되는 부하의 범위를 스위치에 미리 대응시켜 두고, 1개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해당 범위의 부하를 일괄해서 온 또는 오프로 한다. 패턴 제어에서는, 제어 대상으로 되는 부하의 어드레스의 범위와 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부하의 온과 오프를 스위치에 미리 대응시켜 두고, 1개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해당 범위의 부하를 각각 온 또는 오프로 한다.
상술한 그룹 제어 혹은 패턴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전송 유닛의 제어 테이블에 있어서는, 그룹 제어 혹은 패턴 제어를 실행하는 스위치에 대응하는 그룹 번호 또는 패턴 번호에, 제어 대상으로 되는 범위의 부하의 어드레스를 대응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룹 제어 혹은 패턴 제어를 실행하는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에, 전송 유닛에서는, 제어 테이블과 대조 하는 것에 의해 제어 대상으로 되는 부하의 어드레스를 전개하고, 또한 부하의 온 및 오프의 상태를 결정한 후, 제어 테이블의 참조에 의해 얻어지는 어드레스를 가지는 제어 단말기에 지시를 부여한다.
여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회의실과 같이 다수의 부하가 존재하는 장소에서 각부하의 동작을 제어하려고 하면, 다수의 스위치가 필요하게 되어, 조작단말기의 점유 스페이스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여기에서,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를 실행하면, 복수의 부하의 각각의 동작을 1개의 스위치 조작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그룹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부하를 일괄해서 제어할지를 미리 설정 할 필요가 있고, 패턴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어느 부하를 어떤 상태로 제어할지를 미리 설정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설정을 실행하는 조작부가 필요하며, 결국은 스위치의 필요수가 많아져서 조작단말기의 점유 스페이스가 커진다.
따라서, 상술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조작단말기로서 이용되는 감시 제어 장치로서, 액정 표시기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화면에 포개서 배치된 투명한 터치 스위치로 되는 조작 입력부를 기체에 구비하고, 표시 패널의 표시 내용에 관련되어 있는 조작 입력부의 조작 입력에 따른 부하 제어 및 부하 상태에 따른 화면 표시를 실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참조). 감시 제어 장치의 기체는, 벽에 형성된 부착 구멍내에 후부를 수납하는 형태로 벽에 부착되고 있어, 그 앞 부분이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형태가 된다.
이 감시 제어 장치는, 표시 패널의 표시 내용(화면 표시) 및 조작 입력부의 조작에 관한 응답(부하 제어)에 관해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정 내용에 의해 조작 입력부에 여러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조작 입력부의 기능에 맞추어 표시 패널의 표시 내용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한정된 스페이스로 다기능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다수의 부하를 조작할 경우이어도 조작단말기의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감시 제어 장치로는, 표시 패널의 표시 내용에 관련되어 있는 조작 입력부의 조작에 응답해서 부하를 제어하는 조작 모드와, 표시 패널의 표시 내용 및 조작 입력부의 조작에 관한 응답을 설정하는 설정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 제어 장치를 설정 모드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표시 패널의 화면 표시 및 부하 제어(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의 내용)에 관한 설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감시 제어 장치에 관해서는, 벽에 고정되는 본체 유닛과, 본체 유닛의 전면측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널 유닛으로 분할하고, 본체 유닛측에, 전원 회로와 신호선이 접속되는 통신 회로를 구비하고, 패널 유닛측에, 표시 패널과 조작 입력부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구성에서는, 패널 유닛은, 본체 유닛의 전면측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를 가지고, 본체 유닛에의 장착시에 양쪽커넥터를 거쳐서 전원 회로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아서 동작한다. 이에 따라, 본체 유닛과 패널 유닛이 개별적으로 교환 가능해지고, 예를 들면 패널 유닛만을 변경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화면 사이즈가 다른 감시 제어 장치를 구성 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서 상기 설정을 실행할 때, 설정에 긴 시간이 걸리면, 이 현장에서 작업중의 다른 시공 업자의 작업에 방해되는 일이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설정 작업은 극력 단 시간내에 끝내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빌딩의 각 플로어마다에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이 구축되어 각각 감시 제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등에서, 복수의 감시 제어 장치에 일부가 변경된 것만의 동일한 상기 설정을 실행할 때, 상술한 것 같이 각 감시 제어 장치를 조작해서 각종설정을 실행하는 방법에서는, 동일한 설정 작업을 복수의 감시 제어 장치에 대해서 되풀이해 실행할 필요가 있고, 설정 작업의 작업 효율이 나빠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 유닛과 패널 유닛으로 분할한 구성에서는, 감시 제어 장치의 설치 작업시나 본체 유닛 혹은 패널 유닛의 교환 작업시등에 있어서, 미리 전원선이나 신호선이 접속된 본체 유닛을 벽에 붙이고, 통전 상태에 있는 본체 유닛에 대하여 패널 유닛이 부착되게 된다. 그 때문에, 본체 유닛에 패널 유닛을 장착할 때, 본체 유닛측의 커넥터와 패널 유닛측의 커넥터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양쪽커넥터의 접촉자끼리가 접촉해서 이상한 전류가 흐르거나, 각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자마다에 다른 방면의 커넥터의 접촉자와 접촉하는 타이밍에 격차를 발생해서 통전 개시의 타이밍에 회로간에서 시간차가 발생하거나 함으로써, 본체 유닛이나 패널 유닛에 고장 등의 불량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본체 유닛에 있어서의 패널 유닛과의 대향면에, 패널 유닛의 장착을 검지하기 위한 기계 스위치의 조작자를 마련하고, 패널 유닛이 장착되었을 때에 기계 스위치가 온 해서 패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기계 스위치의 조작자와 같은 가동부를 마련하면, 이 가동부의 분만큼 본체 유닛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본체 유닛에 있어서의 패널 유닛과의 대향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기능 확장용의 단자를 마련하는등 여러가지 유효이용의 가능성이 생각되지만, 이 면에 기계 스위치의 조작자가 마련되면, 유효이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상기 조작자의 분만큼 좁아지는 문제도 있다.
또한, 상술의 구성에 있어서는, 감시 제어 장치의 메인터넌스시 등에 본체 유닛으로부터 패널 유닛이 분리되는 일이 있다. 본체 유닛으로부터 패널 유닛이 분리되면, 양쪽 커넥터간의 접속이 해제되기 때문에 본체 유닛의 전원 회로로부터 패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은 정지하지만, 이 때, 서지 전류 등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패널 유닛의 동작중, 예를 들면 패널 유닛내의 CPU가 플래쉬 메모리 등의 기억 영역에 데이터 기록중에 본체 유닛으로부터 패널 유닛이 분리되면, 서지 전류 등의 노이즈에 기인해서 CPU의 고장 등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상술의 특허문헌에 나타낸 조작단말기에서는, 액정 표시기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전자의 조작단말기와 같이 스위치를 구비한 것에 비교해서 큰 내부 전원이 필요해서, 이 내부 전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리모컨 트랜스를 이용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이 리모컨 트랜스는 분전반 등의 하우징체에 내장되게 되기 때문에, 분전반에는 리모컨 트랜스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고, 그 때문에 분전반이 대형화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모컨 트랜스에의 입력 전원(AC 100V)용의 전원선을 분전반내에 밀어 넣을 필요도 있고, 그 때문에 시공 공정수도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감시 제어 장치(다기능 스위치)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취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본체 유닛(2010)의 전면에, 액정 표시기(도시하지 않음) 및 터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는 패널 유닛(2020)이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부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체 유닛(2010)과 패널 유닛(2020)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205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패널 유닛(2020)이 본체 유닛(2010)로부터 탈락해도 패널 유닛(2020)이 바닥에 충돌해서 파손하는 일이 없도록 낙하 방지 끈(2057)으로 이어져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감시 제어 장치로는, 패널 유닛(2020)과 본체 유닛(2010)을 낙하 방지 끈(2057)으로 잇기 때문에, 감시 제어 장치를 벽에 붙이는 시공 공사에 손이 많이 간다. 또한, 패널 유닛(2020)의 점검, 수리 등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 낙하 방지 끈(2057)을 패널 유닛(2020)으로부터 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에 손이 많이 간다.
일본국특허공개평성제10-243478호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유에 비추어 보아서 된 것으로, 내부에 고쳐쓰기 가능한 메모리를 가지는 외부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설정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설정 정보의 복제 등을 가능하게 해서 설정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하고, 더구나, 이렇게 외부 기억 매체를 이용할 경우에 외부 기억 매체가 유저에 의해 쉽게 삽입 및 제거되어서 설정이 변하는 일이 없도록, 통상 시에는 외부 기억 매체가 삽입 및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 감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유닛에 패널 유닛을 장착할 때에 있어서의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패널 유닛의 장착을 검지하기 위한 기계 스위치가 불필요한 감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 유닛의 분리전에 패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본체 유닛으로부터 패널 유닛을 분리할 때에 서지 전류 등의 노이즈에 기인해서 고장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감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전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고, 또한 시공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조작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 유닛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 공사 및 메인터넌스 작업이 용이한 감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의하면, 통신에 의해 부하의 감시 제어를 실행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고, 문자 및 도형을 표시 가능한 표시 패널과,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표시 패널의 표시 내용에 관련되어 있는 조작 입력부의 조작 입력에 따른 부하 제어 및 부하 상태에 따른 화면 표시를 표시 패널에 행하게 하는 제어부와, 복수의 부하를 감시 제어 대상으로 삼아서 통신 커맨드를 전송하는 통신 회로를 기체(器體)에 구비한 감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후방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과 전후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내부에 고쳐쓰기가능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외부 기억 매체가 삽입 및 제거 자유롭게 장착되는 소켓을 가지고, 제어부는, 외부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따라서 표시 패널의 화면 표시 및 부하 제어에 관한 설정을 실행하고, 기체는, 소켓에 외부 기억 매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벽에 형성된 부착 구멍내에 후부를 수납하는 형태로 벽에 부착되고, 외부 기억 매체는, 기체 중 전면에 교차하는 주위면의 일부에 개구한 삽입구로부터 소켓에 도입되고, 삽입구는, 기체가 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부착 구멍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의하면, 상기 본체 유닛은 그 전면측에 본체측 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패널 유닛은 본체측 커넥터의 대향부위에 마련된 패널측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본체유닛과 패널유닛은 본체측 커넥터와 패널측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패널 유닛은 본체 유닛에의 장착시에 양쪽 커넥터을 거쳐서 전원 회로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고, 본체 유닛은, 패널측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검지용 전기 회로에 대하여 양쪽 커넥터간의 접속시에 통전시키는 검지용 전원과, 검지용 전원이 검지용 전기 회로에 통전하여 검지용 전원과 본체측 커넥터와의 접속점의 전위가 변화되었을 때에 양쪽 커넥터간의 접속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검지 수단에서 접속이 검지되면 패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온하는 통전 제어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의하면, 상기 본체 유닛은 그 전면측에 본체측 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패널 유닛은 본체측 커넥터의 대향부위에 마련된 패널측 커넥터와 소정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종료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유닛과 패널유닛은 본체측 커넥터와 패널측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패널 유닛은 본체 유닛에의 장착시에 양쪽 커넥터을 거쳐서 전원 회로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고, 본체 유닛은, 패널 유닛의 장착시에 있어서 종료 조작부에서의 소정의 조작 입력에 응답해서 전원 회로로부터 패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통전 제어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의하면, 상기 표시 패널은 화면상에 조작 버튼을 표시시키며, 상기 조작 입력부는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며, 전송 통신부는 조작 입력에 따라 감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송신하며, 전원 회로부는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로부터 내부 전원을 생성하는 제 1 전원 회로부와, 외부에 마련된 리모컨 트랜스을 거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내부 전원을 생성하는 제 2 전원 회로부와, 조작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전원 회로부의 어느 한쪽으로 전원을 전환하는 전원 전환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5 태양에 의하면, 패널 유닛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테두리측 노출 창문이 개설된 앞판과 패널 유닛에 있어서의 전면에 교차하는 주위면을 둘러싸는 보지편을 가져 벽면에 대하여 정위치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테두리와, 플레이트 테두리 앞판의 전면을 덮는 동시에 패널 유닛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커버측 노출 창문이 개설된 전벽과 보지편에 대향하는 형태로 플레이트 테두리를 둘러싸는 주벽을 가져 플레이트 테두리에 전방으로부터 끼워붙임되는 플레이트 커버를 구비하고, 커버측 노출 창문은, 패널 유닛이 극간 없게 꼭들어맞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패널 유닛의 주위면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커버 앞벽의 후방이 되는 부위에는, 낙하 방지 돌기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에 의하면, 외부 기억 매체를 소켓에 장착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화면 표시 및 부하 제어에 관한 설정을 실행할 수 있고, 현장에서의 설정 작업의 작업 효율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기억 매체의 삽입구의 적어도 일부가 부착 구멍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기체를 벽에 붙인 통상시에는 외부 기억 매체를 삽입 및 제거할 수가 없게 되어, 유저에 의해 간단히 외부 기억 매체가 삽입 및 제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에 의하면, 패널 유닛이 본체 유닛에 접속되어 양쪽 커넥터간이 접속된 것을 검지 수단에서 검지했을 때에, 통전 제어 수단에 의해 본체 유닛측의 커넥터로부터 패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이 개시된다. 그 때문에, 본체 유닛에 패널 유닛을 부착할 때, 양쪽 커넥터간이 접속되기 전이면, 양쪽 커넥터간에서 접촉자의 오접촉 등이 있어도, 고장 등의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에 의하면, 패널 유닛에 마련되어 있는 종료 조작부에서의 소정의 조작 입력에 응답해서 통전 제어 수단이 전원 회로로부터 패널 유닛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므로, 본체 유닛으로부터 패널 유닛을 분리할 때에, 패널 유닛에 전력 공급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양쪽 커넥터간의 접속이 해제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고장 등의 불량을 회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에 의하면, 같은 신호선에 접속되는 다른 단말기에서의 소비 전류가 작을 경우에는,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로부터 본 감시 제어 장치(조작 단말기)에 필요한 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본 감시 제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모컨 트랜스가 불필요해져, 그 결과 리모컨 트랜스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 확보가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리모컨 트랜스에의 전원선을 밀어 넣는 작업도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분전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 공정수를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신호선에 접속되는 다른 단말기에서의 소비 전류가 크고,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로부터는 본 감시 제어 장치에 필요한 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없을 경우이어도, 전원 전환 수단에 의해 리모컨 트랜스에 의한 전원 공급으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에 대하여 본 감시 제어 장치로 교환할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리모컨 트랜스용의 전원선이 밀어 넣어지지 않고 있어도, 전원 전환 수단에 의해 전송 신호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치환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에 의하면, 커버측 노출 창문은, 패널 유닛이 극간 없게 꼭들어맞는 형상으로 플레이트 커버 앞벽에 형성되고, 패널 유닛의 주위면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커버 앞벽의 후방이 되는 부위에는, 낙하 방지 돌기가 돌출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가 피결합부로부터 빠졌다고 하여도, 낙하 방지 돌기가 플레이트 커버 앞벽에 접촉함으로써 패널 유닛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널 유닛은, 전방으로부터 본체 유닛의 전면에 접근시켜서 본체 유닛에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부착되고, 플레이트 커버는 플레이트 테두리에 끼워붙임 되기 때문에, 시공 공사가 용이하고, 또한, 플레이트 커버를 플레이트 테두리로부터 빼서 패널 유닛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패널 유닛을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패널 유닛의 점검, 수리 등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이다.
도 2는 감시 제어 장치를 이용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감시 제어 장치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감시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감시 제어 장치의 패널 유닛을 나타내고, (a)은 전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b)은 배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감시 제어 장치의 본체 유닛과 패널 유닛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감시 제어 장치의 요점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감시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감시 제어 장치의 패널 유닛을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동상의 패널 유닛의 단면도, 도 10b는 동상의 요점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조작단말기)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에 이용되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예다.
도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에의 전원의 접속 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주요부의 회로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 8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가 이용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전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후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26은 종래 예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종래 예의 분해도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감시 제어 장치는, 도 2에 나타내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조작단말기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기본구성은 배경기술의 란에서 설명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과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의 예에서는, 부하(L)로서 백열등(L1), 인버터식의 점등 장치를 가진 형광등(L2), 공기조절기의 팬 코일(L3), 스피커(L4)을 구비하고 있다. 백열등(L1)은, 등수에 따른 용량의 백열등 조광용 제어 단말기(1500W, 800W, 500W)(33A, 33C)에 의해 제어된다. 형광등(L2)은,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릴레이를 가진 제어 단말기(33D) 및 광 출력을 제어하는 형광등 조광용 제어 단말기(33E)에 의해 제어된다. 팬 코일(L3)은 팬 코일 제어 단말기(33F)에 의해 동작 강도가 강중약 3단계로 제어되고, 스피커(L4)는 볼륨 제어 단말기(33G)에 의해 음량이 제어된다. 그 밖의 부하로서 전동 커튼, 전동 스크린, 환기용의 팬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단말기로서는, 스위치(S0)을 구비한 조작단말기(31A), 및 조광용 조작단말기(31B, 31C), 접점 출력을 얻을 수 있는 각종 센서를 접속하는 접점 입력 조작단말기(31D)가 마련된다. 또한, 무선 송신기(34a)에 조작부를 마련하고, 무선 수신기(34b)와 조합하는 것으로 조작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선(Ls)를 연장하기 위해서 도시 예에서는 신호선(Ls)위로 중계기(증폭기)(35)을 삽입해서 전송 신호를 감쇠시키지 않고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조작단말기로서의 감시 제어 장치(1A, 1B) (이하, 양자를 구별하지 않을 때는 단지 감시 제어 장치(1)라고 한다)은 도시 예에서는 2대 접속해 있고, 한쪽의 감시 제어 장치(1A)에는, 상용 전원 (예를 들면 교류 100V)을 강압해서 출력하는 강압 트랜스인 리모컨 트랜스36로부터 교류 24V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이하, 조작단말기(1A, 1B, 31A~31D)를 구별하지 않을 때에는 단지 조작단말기(31)라고 하고, 제어 단말기(33A~33G)를 구별하지 않을 때에는 단지 제어 단말기(33)라고 한다.
여기에서는, 전송 유닛(30)이 전송 신호를 신호선(Ls)에 정기적으로 송출하고 있고, 전송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24V의 쌍극성의 펄스 폭변조 신호가 이용된다. 감시 제어 장치(1)이외의 조작단말기(31) 및 제어 단말기(33)에서는, 이 전송 신호를 전파정류 함으로써 내부 전원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전송 유닛(30)에는 상용 전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
이하에, 상술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한다.
전송 유닛(30)은, 상시, 단말 어드레스를 사이클릭(cyclic)으로 변경한 전송 신호를 주기적으로 신호선(Ls)에 송출하는 상시 폴링(polling)을 실행하고 있다. 전송 신호에는, 신호송출 개시를 나타내는 시작 펄스, 신호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데이터, 조작단말기(31)이나 제어 단말기(33)을 각각 별개로 호출하기 위한 단말 어드레스를 전송하는 어드레스 데이터, 부하(L)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 데이터(부하 번호를 포함한다), 전송에러를 검출하기 위한 체크섬 데이터, 조작단말기(31)나 제어 단말기(33)로부터의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인 신호반송 기간을 포함하는 쌍극성의 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어느 하나의 조작단말기(31)에 있어서 스위치 조작등에 의한 감시 입력이 발생하면, 해당 조작단말기(31)은 전송 신호의 시작 펄스에 동기하는 인터럽트 신호를 신호선(Ls)에 송출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조작단말기(31)은 인터럽트 플래그를 설정한 래치 상태가 된다. 한편, 전송 유닛(30)은 인터럽트 신호를 검출하면, 모드 데이터를 서치 모드로 한 전송 신호를 송출한다. 래치 상태로 되어 있는 조작단말기(31)은, 서치 모드의 전송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반송 기간에 있어서 단말 어드레스를 반송하고, 단말 어드레스를 수취한 전송 유닛(30)은, 해당 단말 어드레스의 조작단말기(31)에 래치 상태의 반송을 요구하는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래치 상태인가 아닌가를 확인 함으로써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조작단말기(31)인 것을 확인한다.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 조작단말기(31)인 것이 확인되면, 래치 상태를 해제시키는 전송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조작단말기(31)의 래치 상태를 해제시킨다.
전송 유닛(30)은, 상술의 동작에 의해 조작단말기(31)로부터의 요구를 수취하면, 제어 테이블을 따라서 해당 조작단말기(31)에 대응된 제어 단말기(33)에 대하여 부하(L)의 제어를 요구한다. 다음으로, 제어 대상인 부하(L)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전송 신호를 송출, 제어 단말기(33)로부터 부하 상태를 반송시킨다. 제어 단말기(33)로부터 수취한 부하 상태는, 전송 유닛(30)으로 확인되어, 현상의 부하 상태가 오프이면 부하 상태를 온으로 반전시키는 내용의 전송 신호를 감시 입력이 있었던 조작단말기(31)에 송신하는 동시에, 제어 단말기(33)에도 동내용의 전송 신호를 송신한다. 또, 제어 단말기(33)를 제어하는 내용의 전송 신호를 조작단말기(31)에도 전송하는 것은, 조작단말기(31)에 마련한 온오프 표시용의 표시등 등의 표시 상태에 반영시키기 위해서다. 부하 상태를 지시하는 전송 신호를 수취한 제어 단말기(33)은, 수신 확인을 반송한다.
이상 설명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는, 조작단말기(31)의 스위치(S0)가 조작되면, 전송 유닛(30)에 있어서 이 스위치(S0)의 어드레스(단말 어드레스+부하 번호)가 제어 테이블로 대조되어, 스위치(S0)과의 대응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 부하(L)에 접속된 제어 단말기(33)에 대하여, 부하(L)의 제어를 지시하는 전송 신호가 전송 유닛(30)로부터 전송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스위치(S0)의 온오프 정보를 부하(L)의 제어에 반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기에 백 라이트를 일체화한 표시 패널(2)과, 표시 패널(2)의 화면(전면)에 포개서 배치된 투명한 판형상의 터치 스위치로 되는 조작 입력부(3)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2)에는 다수의 화소를 종횡으로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한 매트릭스 표시형의 것을 이용하고, 화소의 조합에 의해 도형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3)는, 투명한 시트형상부재에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접점부를 다수개배열하고, 시트형상부재에 손가락 등이 접촉했을 때에 어느 부위에 접촉한 것인지를 출력하는 저항감압 방식의 터치 스위치며, 표시 패널(2)과 함께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이 감시 제어 장치(1)은, 전송 유닛(30)에 접속된 신호선(Ls)에 접속되어 전송 신호(통신 커맨드)을 수수하는 통신 회로(11)을 구비하고 있다. 통신 회로(11)은 제어부로서의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에 접속되어,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는, 감시 제어 장치(1)의 내장 메모리로서 마련된 플래쉬 메모리(13)에 기입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따라서 동작한다. 플래쉬 메모리(13)에는 적어도 조작단말기(31)로서의 어드레스가 기입된다. 또한 플래쉬 메모리(13)에는, 적어도 후술의 외부 기억 매체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설정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는, 표시 패널(2)의 표시 내용을 지시하는 데이터를 래치 회로(14)을 통과시켜서 액정 컨트롤러(15)에 출력한다. 액정 컨트롤러(15)은, DRAM(16)에 미리 등록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2)의 소정 위치에 소정의 내용을 표시한다. 또, 표시 패널(2)의 콘트라스트나 백 라이트의 밝기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이 콘트라스트 조정부(17)나 백 라이트용 인버터 회로(18)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또한,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는 조작 입력부(3)의 조작에 따라 부저(19)를 울리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은, 외부 기억 매체로서의 SD 메모리 카드(등록상표)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카드(MC)(도 5 참조)이 삽입 및 제거 자유롭게 장착되는 소켓(4)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MC)가 장착된 상태에서,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가 메모리 카드(MC)와 통신을 행함으로써, 메모리 카드(MC)의 기억 내용을 플래쉬 메모리(13)와의 사이에서 서로 전송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 카드(MC)에는 표시 패널(2)의 화면 표시 및 부하 제어에 관한 설정 정보가 미리 기억되고 있어, 해당 설정 정보가 플래쉬 메모리(13)에 전송됨으로써,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는, 해당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화면 표시나 부하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메모리 카드(MC)가 소켓(4)에 장착되면,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는, 메모리 카드(MC)내의 설정 정보를 따라서 표시 패널(2)의 화면 표시 및 부하 제어에 관한 설정을 자동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또, 상기 설정이 완료하면 (즉, 플래쉬 메모리(13)에의 설정 정보의 전송이 완료하면), 이후는 메모리 카드(MC)가 빼내져 있어도 감시 제어 장치(1)의 동작에 지장은 없지만, 메모리 카드(MC)을 장착한 채로 감시 제어 장치(1)을 사용해도 좋다.
메모리 카드(MC)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설정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배경기술의 란에서 설명한 그룹 제어 및 패턴 제어에 관한 설정(즉, 그룹 제어에 있어서 어느 부하(L)을 일괄해서 제어할 지의 설정, 패턴 제어에 있어서 어느 부하(L)을 어떤 상태로 제어할 지의 설정)이나, 시간에 관련지어서 부하(L)을 제어하는 스케줄 제어에 관한 설정이나, 표시 패널(2)에 표시시키는 각종 정보에 관한 설정 등이 있다. 또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을 채용한 건물의 간단한 지도를 표시 패널(2)에 표시시켜, 지도상의 부하(L)를 나타내는 심볼에서 부하(L)의 감시, 조작을 실행할 경우에는, 이 지도의 데이터를 설정 정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패스워드의 설정이나 조작 입력부의 조작음의 유무 등의 초기 설정도, 메모리 카드(MC)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제어 및 패턴 제어에 관한 설정과 같이 전송 유닛(30)의 제어 테이블에 반영해야 할 설정 내용에 관해서는, 통신 회로(11)로부터 신호선(Ls)을 거쳐서 전송 유닛(30)에 전송하는 것으로 한다. 즉, 스위치(S0)와 부하(L)의 대응 관계는 전송 유닛(30)의 제어 테이블로 관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송 유닛(30)에 있어서는, 감시 제어 장치(1)로 설정된 설정 내용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해당 설정 내용이 반영되도록 제어 테이블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메모리 카드(MC)에의 설정 정보의 기록 및 해당 설정 정보의 작성은, 전용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함으로써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정보는 메모리 카드(MC)으로부터 플래쉬 메모리(13)에 전송될 뿐만아니라, 조작 입력부(3)의 조작에 따라 플래쉬 메모리(13)로부터 메모리 카드(MC)에 전송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시공 업자는, 자기의 사무소등에서 설정 정보를 미리 작성해 메모리 카드(MC)에 기입해 두면, 현장에서 해당 메모리 카드(MC)를 감시 제어 장치(1)의 소켓(4)에 장착 하는 것만으로 각종 설정을 실행할 수 있어, 현장에서 감시 제어 장치(1)을 조작해서 설정 작업을 실행할 경우에 비교해서 설정 작업의 작업 효율이 각별히 향상한다. 또한, 예를 들면 빌딩의 각 플로어마다에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을 경우등에서, 복수의 감시 제어 장치(1)에 일부가 변경된 것만의 동일한 설정을 실행할 때에는, 1대의 감시 제어 장치(1)의 설정이 끝나면, 메모리 카드(MC)을 이용하여 다른 감시 제어 장치(1)에 설정 정보를 복사하는 함으로써 설정 작업의 시간이 대폭 생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감시 제어 장치(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형상의 기체(器體)(5)을 구비하고, 매립형의 배선 기구와 같이, 기체(5)의 후부를 벽 내에 매설하는 형태로 벽에 부착된다. 이 감시 제어 장치(1)은, 후부가 벽 내에 매설되는 형태로 벽에 고정되는 본체 유닛(6)과, 앞 부분을 벽면으로부터 전방에 돌출시키는 형태로 본체 유닛(6)의 전면측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널 유닛(7)으로 분리된다(도 6 참조). 이하에서는,감시 제어 장치(1)을 벽에 붙인 상태에서의 상하 좌우를 상하 좌우로서 감시 제어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감시 제어 장치(1)의 내부 회로는, 본체 유닛(6)과 패널 유닛(7)으로 분할해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부 회로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10)(도 3 참조)와 통신 회로(11)는 본체 유닛측에 마련되고, 그 밖의 회로(표시 패널(2)과 조작 입력부(3)과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를 포함한다)은 패널 유닛(7)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체 유닛(6)은, 전면에 직사각형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본체 보디(61)와, 본체 보디(61)의 전면에 부착되는 본체 커버(62)로 구성되는 본체 케이스(60)를 구비하고, 여러가지 전기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본체 케이스(60)내에 수납된 구성을 가진다. 본체 유닛(6)은, 전원 공급용의 전원선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부 (도시하지 않음)와, 신호선(Ls)이 접속되는 신호 단자부(도시하지 않음)를 배면측에 구비하고 있다.
패널 유닛(7)은,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에 직사각형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얇은 상자형으로 형성된 패널 보디(71)와, 패널 보디(71)의 전면에 부착되는 패널 커버(72)로 구성되는 패널 케이스(70)을 구비하고,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 등 여러가지 전기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73)이 패널 케이스(70)내에 수납된 구성을 가진다. 또한, 패널 유닛(7)은, 패널 케이스(70) 앞벽의 일부에 직사각형형상의 표시 창문(74)이 관통 설치되고 있어, 표시 패널(2) 및 조작 입력부(3)을 표시 창문(74)내에 구비하고 있다. 패널 케이스(70) 앞벽에 있어서의 표시 창문(74)의 하방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후술하는 푸쉬 버튼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75)이 마련되고, 해당 조작부(75)의 좌측쪽에 LED로부터의 광을 취출하기 위한 LED창문(76')(도 4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패널 케이스(70)내의 LED창문(7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태 표시용의 LED를 실장한 LED 기판(76)이 배치된다. 그리고, 패널 케이스(70)의 전면에는, 보호용의 멤브레인 시트(77)가 거의 전면(全面)에 붙여져 있다. 또, LED 기판(76)은 패널 케이스(70)의 좌/하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패널 케이스(70)의 네 구석의 어느 하나에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은, 벽면으로부터의 기체(5)의 돌출량을 작게 억제하고, 또한,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매립형의 배선 기구와의 외관상의 통일감을 갖는 동시에, 설치에 이용하는 부재의 저비용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벽 내에 설치된 매립형의 배선 기구용의 매립 박스(B1)(도 1 참조)를 이용하여 벽에 부착된다. 벽면(W0)(도 1 참조)을 구성하는 벽재(W1)(도 1 참조)에 있어서 매립 박스(B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직사각형형상의 시공 구멍(H1)(도 1 참조)이 개설(開設)되어 있어, 이 시공 구멍(H1)과 매립 박스(B1)의 내부공간으로, 감시 제어 장치(1)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이 구성된다.
본체 유닛(6)은, 시공 구멍(H1)을 통과시켜서 전방으로부터 매립 박스(B1)에 부착되는 것이며, 본체 케이스(60)이 후부를 부착 구멍내에 수납 가능한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 유닛(6)의 본체 케이스(60)은 1연용(連用)의 설치 테두리(도시하지 않음)를 2개까지 설치 가능한 매립 박스(B1)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1연용의 설치 테두리는, 매립형의 배선 기구용에 JIS에서 규격화되어 있는 단위치수의 배선 기구를 폭 방향(상하 방향)으로 3개 열거하여 설치 가능한 설치 테두리를 의미하고 있고, 1연용의 설치 테두리가 좌우 방향으로 2개 연접된 치수를 「2연용」이라고 부른다. 즉, 본 실시형태의 본체 유닛(6)은 2연용의 매립 박스(B1)에 설치 가능한 치수로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 케이스(60)은, 상하 방향의 각 단면의 각각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한 쌍의 설치편(63)을 연속 일체로 가진다. 한 쌍의 설치편(63)은, 본체 케이스(60)의 전단부에서 상하 방향에 돌출하는 형태에서 마련되고 있어, 본체 케이스(60)의 좌우 방향의 대략 전장에 걸쳐 형성된다. 각설치편(63)에는, 매립형의 배선 기구를 매립 박스(B1)에 고정할 때에 이용되는 설치 테두리와 같이, 설치 나사를 삽입 통과하는 박스용 구멍(64)이 각각 복수개(여기서는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설치편(63)에 있어서의 박스용 구멍(64)의 외측에는, 기체(5)의 전단부의 주위에 설치편(63)을 덮는 형태로 장착되는 화장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 장치 구멍(65)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60)와 패널 케이스(70)의 각각은, 서로 계합함으로써 본체 유닛(6)에 패널 유닛(7)을 결합하는 설치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6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에 감합요부(66)를 가지고, 감합요부(66)의 좌우 각측면에 마련한 계지 구멍(67)을 장착 수단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감합요부(66)은 그 저면이 벽면(W0)보다도 후방으로 되도록 깊이 치수가 설정되어 있고, 계지 구멍(67)은 상하 방향으로 2개씩 병설되어 있다.
패널 케이스(70)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측으로 돌출해 감합요부(66)에 감합하는 감합돌기부(78)를 가지고, 감합돌기부(78)의 좌우 각측면에 마련한 계지편(79)을 장착 수단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감합돌기부(78)는,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선단면(배면)이 벽면(W0)보다도 후방으로 되도록 돌출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계지편(79)은, 감합돌기부(78)을 감합요부(66)에 감합시킨 상태로 계지 구멍(67)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그 선단부로부터 패널 케이스(70)외측에 돌출한 계지조(79a)를 계지 구멍(67)에 대하여 삽입 및 제거 자유롭게 하는 외팔보 형의 스냅 피트 형상으로 된다.
이에 따라, 감합돌기부(78)이 감합요부(66)에 감합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편(79)은 그 선단부에 마련한 계지조(79a)를 계지 구멍(67)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계지 구멍(67)과 계합하여, 본체 유닛(6)에 패널 유닛(7)이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에서, 본체 유닛(6)에 패널 유닛(7)을 장착할 때와, 본체 유닛(6)으로부터 패널 유닛(7)을 분리할 때의 양쪽에 대응시키기 위해서, 계지조(79a)는 전후 방향의 양측면이 경사함으로써 단면이 거의 삼각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구성에 한하지 않고, 본체 케이스(60)측에 계지편을 마련하고, 패널 케이스(70)측에 계지 구멍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계지조(79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패널 보디(71)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계지조(79a)가 휘어서 계지 구멍(67)으로부터 빠진다. 즉, 패널 보디(71)을 전방에 잡아 당기는 것으로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 패널 유닛(7)은 전면의 좌우 방향의 치수가 본체 유닛(6)과 거의 동등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의 치수가 본체 유닛(6)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장착한 상태에서, 본체 유닛(6)의 전면의 전역(全域)이 패널 유닛(7)에 의해 덮여질 일은 없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치편(63) 중의 플레이트 장착 구멍(65)이 형성된 부분이 패널 유닛(7)의 상하 양측에 노출한다. 단, 이 노출한 부분은 설치편(63)에 화장 플레이트를 장착 하는 것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여기에, 패널 유닛(7)의 두께 치수(전후 방향의 치수)는, 화장 플레이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해당 화장 플레이트와 패널 유닛(7)의 벽면(W0)로부터의 돌출량이 거의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또한, 패널 유닛(7)은, 본체 유닛(6)을 접속하기 위한 패널측 커넥터(80)(도 9 참조)을 배면측(감합돌기부(78)의 선단면)에 가지고, 본체 유닛(6)은 패널측 커넥터(80)에 접속되는 본체측 커넥터(68)(도 6 참조)을 전면측(감합요부(66)의 저면)에 가지고, 패널측 커넥터(80)과 본체측 커넥터(68)를 서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본체 유닛(6)과 패널 유닛(7)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에, 본체측 커넥터(68)와 패널측 커넥터(80)의 적어도 한쪽은, 기체(5)의 전면에 따르는 면내에 있어서 기체(5)에 대하여 소정범위에서 변위 가능(상하 좌우로 변위 가능)한 가동식의 스택 커넥터로부터 된다. 이에 따라, 본체 케이스(60)이나 패널 케이스(70)의 치수 격차나 회로 기판상의 부품(커넥터) 실장 위치의 격차등에 기인하여, 본체측 커넥터(68)와 패널측 커넥터(80)의 사이에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도, 본체 유닛(6)과 패널 유닛(7)을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MC)용의 소켓(4)은,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케이스(70)내에 수납되는 회로 기판(73)에 실장되어 있다. 이 소켓(4)은, 회로 기판(73)의 배면측이며, 전후 방향으로 두어서 표시 패널(2)과 겹치는 위치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2)과 소켓(4)을 기체(5)의 전면에 따르는 면내에 열거하여 배치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동일한 기체(5)의 치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연용의 매립 박스에 설치 가능한 치수)이어도, 표시 패널(2)의 화면을 극력 크게 해서 화면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소켓(4)은, 패널 케이스(70)의 측면에 개구한 삽입구(81)로부터 메모리 카드(MC)가 도입되도록, 개구부를 상기 삽입구(81)에 맞대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삽입구(81)은, 패널 케이스(70)의 감합돌기부(78)의 좌측면(배면측에서 보아서 우측의 측면)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6) 및 패널 유닛(7)을 벽에 붙인 상태에서 부착 구멍(벽재W1의 시공 구멍H1 및 매립 박스B1의 내부공간)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메모리 카드(MC)의 장착 및 분리는,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로부터 뺀 상태에서 패널 유닛(7)의 배면측(감합돌기부78측)으로부터 실행하는 것이 된다. 또, 삽입구(81)는, 기체(5)의 전면에 교차하는 주위면의 어느쪽인가(좌측면의 이외에 우측면, 상면,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좌측면에 삽입구를 배치 함으로써, 표시 패널(2)이나 조작 입력부(3)와 회로 기판(73)을 접속하는 플렉시블 케이블(회로 기판(73)의 위쪽을 통과시키고 있다)과 간섭하는 일 없이 소켓(4)을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메모리 카드(MC)의 장착 및 분리도 용이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체(5)을 벽에 붙인 상태에서 삽입구(81)은 벽면(W0)보다도 후방(벽의 내측)에 개구하는 것이 되고, 기체(5)를 벽에 붙이고 있는 통상 시에는 메모리 카드(MC)을 삽입 및 제거 할 수가 없으므로, 못된 장난에 의해 메모리 카드(MC)이 빼내지거나, 유저가 잘 못해서 메모리 카드(MC)를 삽입 또는 제거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구나, 소켓(4)은 패널 유닛(7)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MC)을 삽입 및 제거할 필요가 발생했을 때에는, 본체 유닛(6)에 대해서는 벽으로부터 분리하는 일없이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메모리 카드(MC)의 삽입 및 제거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소켓(4)의 전방에는 표시 패널(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5) 중 벽면(W0)으로부터 전방에 돌출한 부분에 삽입구(81)가 개구할 경우에 비교하면, 표시 패널(2)의 벽면(W0)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고, 기체(5) 전체에 있어서 벽면(W0)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삽입구(81)는, 전체가 부착 구멍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개구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일부가 부착 구멍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개구하고 있으면 좋다.
또한, 패널 케이스(70)의 좌우 양측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각각 오목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할 때에 패널 케이스(70)을 좌우 양측에서 쥐도록 하면, 손가락을 상기 오목부(82)에 걸어 두는 것으로 패널 케이스(70)을 쥐기 쉬워져, 패널 유닛(7)의 분리 작업이 간단해진다.
또한, 본체 케이스(60)의 감합요부(66)의 측벽 중 패널 케이스(70)의 오목부(8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절결부(69)를 마련하고 있다. 이 절결부(69)를 마련한 것에 의해, 패널 유닛(7)이 본체 유닛(6)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절결부(69)을 통과시켜서 상기 오목부(82)가 노출하는 것이 되고, 패널 케이스(70)을 좌우 양측에서 쥘 때에, 감합요부(66)의 측벽이 방해되지 않고 패널 케이스(70)을 쥐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케이스(70)내에 수납되는 표시 패널(2) 및 회로 기판(73)이, 패널 케이스(70)의 감합돌기부(78)내에 수납되도록 감합돌기부(78)의 뒤벽 전면과 거의 동사이즈로 형성되어 있어 (도 5 참조), 회로 기판(73)의 전면의 대략 전역이 표시 패널(2)에 의해 덮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푸쉬 버튼 스위치(SW)를 기체(5)의 전면측에서 조작 가능(패널 케이스(70)전벽에 마련한 조작부(75)을 누르는 것에 의해 조작 가능)으로 하기 위해서, 회로 기판(73)의 하변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설편(73a)를 연장하여 마련하고, 이 설편(73a)의 전면측에 푸쉬 버튼 스위치(SW)를 실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설편(73a)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합돌기부(78)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형태가 된다.
여기에서는,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케이스(70)의 뒤벽 중, 푸쉬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는 부위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투과 구멍(83)을 형성하고, 투과 구멍(83)의 주연에 설편(73a)를 포위하는 형태로 주벽(84)을 세워 설치 하는 것에 의해, 투과 구멍(83)을 통하여 설편(73a)를 후방에 노출시키고 있다. 즉 설편(73a)은 패널 케이스(70)와 함께 패널 유닛(7)의 외곽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렇게 설편(73a)의 배면을 패널 케이스(70)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패널 케이스(70)에 있어서 푸쉬 버튼 스위치(SW)에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 치수(전후 방향의 치수)를, 패널 케이스(70)의 뒤벽의 두께 분만큼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결합한 상태에서 설편(73a) 및 주벽(84)이 본체 케이스(60)의 설치편(63)과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설치편(63) 중 설편(73a) 및 주벽(84)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릴리스 오목부(63a) (도 6 참조)을 형성해 있다. 릴리스 오목부(63a)의 저면은,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유닛(7)이 장착된 상태에서 설편(73a)의 배면과 맞대져, 설편(73a)이 후방으로 휘었을 때에 설편(73a)의 배면과 접촉하는 접촉면(63b)으로서 기능한다. 즉, 푸쉬 버튼 스위치(SW)가 가압조작 되었을 때에 설편(73a)의 배면이 접촉면(63b)에 접촉 하는 것에 의해, 푸쉬 버튼 스위치(SW)에 작용한 외력을 본체 유닛(6)측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푸쉬 버튼 스위치(SW)가 조작되는 것에 의한 설편(73a)나 패널 케이스(70)의 휘기를 억제할 수 있다.
푸쉬 버튼 스위치(SW)는, 예를 들면 조작 입력부(3)의 조작을 강제적으로 무효로 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즉 푸쉬 버튼 스위치(SW)가 가압조작 되면 이후는 조작 입력부(3)의 조작이 무효로 되어, 패널 유닛(7) 전면을 걸레질 등를 할 때에 조작 입력부(3)이 오조작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푸쉬 버튼 스위치(SW)가 두 번째 가압조작 되면, 이후는 조작 입력부(3)의 조작이 유효로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감시 제어 장치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패널 유닛(7)측에 메모리 카드(MC)의 소켓(4)을 마련한 구성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본체 유닛(6)측에 소켓(4)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당연히 메모리 카드(MC)의 삽입구(81)는 본체 케이스(60)에 형성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MC)을 삽입 및 제거할 때는 본체 유닛(6)을 벽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체 유닛(6)과 패널 유닛(7)을 일체화하여, 패널 유닛(7)만을 분리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메모리 카드(MC)의 삽입구(81)은, 기체(5)을 벽에 붙인 상태에서 부착 구멍(벽재(W1)의 시공 구멍(H1) 및 매립 박스(B1)의 내부공간)내에 수납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기억 매체로서 SD 메모리 카드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카드(MC)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하지 않고, 다른 메모리 카드 혹은 USB 메모리 등의 메모리를 외부 기억 매체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실시형태 2)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따른 감시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유닛(6)은, 전원 공급용의 전원선이 접속되는 전원 단자부(T1)과, 신호선(Ls)가 접속되는 신호 단자부(T2)를 배면측에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측 커넥터(68)과 패널측 커넥터(80)의 접속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21)과, 검지 수단(21)의 출력에 따라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을 온오프 제어하는 통전 제어 수단(22)을 본체 유닛(6)에 마련하고, 검지 수단(21)에서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이 검지되고 나서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1에서는, 패널 유닛(7)에 있어서의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 및 그 주변 회로를 제어부(20)로서 도시하고, 이하의 설명에 관계없는 구성요소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체 유닛(6)은, 패널 유닛(7)내에서 패널측 커넥터(80)에 접속되어 있는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대하여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시에 통전하는 검지용 전원(23)을 가지고 있고, 검지 수단(21)은, 검지용 전원(23)과 본체측 커넥터(68)의 접속점의 전위를 감시함으로써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의 여부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여기에서는 본체측 커넥터(68) 및 패널측 커넥터(80)의 접촉자 중, 서로 쌍이 되는(서로 접촉하는) 적어도 1조의 접촉자를 검지 핀(P1a, P1b)으로 하고 본체 유닛(6)측의 검지 핀(P1a)를 검지용 전원(23)에 접속하고, 패널 유닛(7)측의 검지 핀(P1b)을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접속하고 있다. 검지용 전원(23)은, 검지 핀(P1a)에 풀업 저항을 거쳐서 접속된 정 전위점(Vc)을 가진다. 또한,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있어서의 검지 핀(P1b)과 반대측의 단부는 회로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검지 수단(21)은, 검지용 전원(23)과 본체측 커넥터(68)(검지 핀(P1a))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있고, 해당 접속점의 전위를 검지 입력으로서 감시한다.
검지 수단(21)은, 검지 입력이 규정 값 이상(H 레벨)이면, 검지 핀(P1a, P1b)끼리가 접속되어 있지 않아(즉, 검지용 전원(23)로부터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통전되고 있지 않아) 양쪽 커넥터(68, 80)사이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검지 입력이 규정 값미만(L 레벨)이면, 검지 핀(P1a, P1b)끼리가 접속되어 있어(즉, 검지용 전원(23)로부터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통전되고 있어) 양쪽 커넥터(68, 80)사이는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본체 유닛(6)과 패널 유닛(7)의 사이에 있어서의 회로 그라운드끼리의 접속(그라운드 접속)은, 임피던스를 비교적 낮게 해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조의 접촉자(도 1에서는 그라운드 접속용의 접촉자의 도시를 생략한다)로 실현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장착할 때, 통상은 그라운드 접속용의 접촉자끼리가 접속된 후, 검지 핀(P1a, P1b)끼리가 접속되어서 검지용 전원(23)이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통전되게 된다.
통전 제어 수단(22)은, 전원 회로(10)과 본체측 커넥터(68)의 사이에 삽입된 통전 스위치(24)를 온오프 제어하는 것으로, 양쪽 커넥터(68, 80)사이가 접속되었다고 검지 수단(21)에서 판단되었을 때에, 검지 수단(21)으로부터 제어 입력을 받아서 통전 스위치(24)을 온 한다. 통전 스위치(24)가 온으로 되면,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이 시작하므로, 본체측 커넥터(68) 및 패널측 커넥터(80)을 통하여 전원 회로(10)로부터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이 시작한다. 또, 검지 수단(21) 및 통전 제어 수단(22)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통전 스위치(24)는 유접점 스위치이어도 좋지만, 무접점 스위치이어도 좋다.
여기서, 통전 제어 수단(22)은, 검지 수단(21)로부터 제어 입력을 받고 있는 사이(즉, 양쪽 커넥터(68, 80)사이가 접속되었다고 검지 수단(21)이 판단하고 있는 사이)만 통전 스위치(24)을 온 한다. 즉 패널 유닛(7)이 분리되는 것에 의해 본체측 커넥터(68)와 패널측 커넥터(80)의 접속이 해제되어서 검지용 전원(23)과 검지용 전기 회로(Le)의 사이가 차단되면, 통전 제어 수단(22)은 통전 스위치(24)를 오프로 함으로써,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장착할 때, 본체측 커넥터(68)와 패널측 커넥터(80)의 사이의 접속이 검지 수단(21)에서 검지될 때까지는, 전원 회로(10)와 본체측 커넥터(68)의 사이는 차단되는 것이 되어, 비통전 상태에 있는 본체측 커넥터(68)에 패널측 커넥터(80)을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즉, 통전 상태에 있는 본체측 커넥터(68)에 패널측 커넥터(80)을 접속하는 활선(活線) 접속을 실행했을 경우, 접속할 때에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양쪽 커넥터(68, 80)의 접촉자끼리가 접촉함으로써, 패널측 커넥터(80)의 접촉자가 본체측 커넥터(68)에 있어서 쌍이 되는 접촉자이외의 접촉자와 접촉하고, 이상한 전류가 흘러서 본체 유닛(6)이나 패널 유닛(7)에 있어서 고장 등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패널측 커넥터(80)에 있어서 접촉자마다에 본체측 커넥터(68)의 접촉자와 접촉하는 타이밍에 격차가 발생하고, 통전개시의 타이밍에 회로간에서 시간차가 발생함으로써(예를 들면,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의 통전이 시작한 후에 늦게 표시 패널(2)의 통전이 시작함으로써), 패널 유닛(7)의 동작에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감시 제어 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활선 접속시에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의 발생을 회피하는 것으로,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본체 유닛(6)을 벽에 매설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을 경우, 통상, 본체 유닛(6)은 전원선이나 신호선(Ls)이 미리 접속된 상태에서 벽에 부착되고, 그 후, 패널 유닛(7)이 장착되는 것이 되므로, 활선 접속시에 있어서의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는 상기 구성은 매우 유용하다.
더구나, 본체 유닛(6)로부터 패널 유닛(7)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이 정지되게 되므로, 통전 상태에 있는 본체측 커넥터(68)가 외부에 노출 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통전 상태에 있는 본체측 커넥터(68)에 이물이 부착되고, 해당 이물을 거쳐서 전류가 흘러서 본체 유닛(6)에 고장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유닛(6)에 패널 유닛(7)이 장착된 것을, 기계 스위치를 이용하여 검지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 경우, 본체 유닛(6)에 있어서의 패널 유닛(7)과의 대향면에, 기계 스위치의 조작자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양쪽 커넥터간(68, 80)의 전기적 접속을 검지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 스위치의 조작자와 같은 가동부가 불필요한 분만큼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유닛(6)에 있어서의 패널 유닛(7)과의 대향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기능 확장용의 단자를 마련하는등 여러가지 유효이용의 가능성이 생각되므로, 이 면에 기계 스위치의 조작자를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면, 유효이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넓어지는 이점도 있다.
또, 본체측 커넥터(68) 및 패널측 커넥터(80)로서는, 접촉자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횡길이형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검지 핀(P1a, P1b)끼리가 접속된 것을 가져서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을 검지할 경우, 각 검지 핀(P1a, P1b)을 각각 본체측 커넥터(68), 패널측 커넥터(80)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패널 유닛(7)이 본체 유닛(6)에 대하여 비스듬히 부착되어, 본체측 커넥터(68)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한쪽 단부측에서만 패널측 커넥터(80)가 접촉한 상태(편접촉 상태)가 되는 일이 있어도, 양쪽 커넥터(68, 80)의 중앙부끼리가 접촉할 때까지는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은 검지되는 일은 없고, 검지 수단(21)에 있어서의 접속 검지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한편, 통전 제어 수단(22)은, 검지 수단(21)으로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이 검지된 시점에서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을 온으로 하는 구성에 한하지 않고, 검지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지연을 갖고 통전을 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에 따라, 본체 유닛(6)에 패널 유닛(7)을 장착할 때, 양쪽 커넥터(68, 80)가 접속 및 분리를 되풀이하더라고, 시간 지연을 갖고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이 시작하므로, 채터링이 발생하는 일없이 패널 유닛(7)에의 통전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본체 유닛(6)의 전원 회로(10)은, 예를 들면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와 그 주변 회로(인터페이스 회로 등)의 각각에 대하여 다른 계통의 전원을 공급할 경우와 같이, 패널 유닛(7)에 대하여 전압값이 다른 복수 계통의 전원을 공급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 전원의 공급로상에 각각 통전 스위치(24)을 마련하고, 통전 제어 수단(22)이 각 통전 스위치(24)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전원마다에 통전개시의 타이밍에 시간차(타임 러그)를 부여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에의 통전을 실행하고 나서, 후에 그 주변 회로에 통전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검지 수단(21)은, 검지용 전원(23)이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통전해서 검지용 전원(23)과 본체측 커넥터(68)의 접속점의 전위(검지 입력)이 변화되었을 때에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을 검지하는 것이면 좋고,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체측 커넥터(68)의 2개의 접촉자를 검지 핀으로 하는 동시에 이들의 검지 핀과 쌍으로 되는 패널측 커넥터(80)의 접촉자간을 검지용 전기 회로로 단락하고, 본체측 커넥터(68)의 한쪽의 검지 핀을 정 전위점Vc에 접속하고, 다른 쪽의 검지 핀의 전위를 검지 입력으로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구성에서는, 양쪽 커넥터(68, 80)사이가 접속되어서 검지용 전원(23)으로부터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통전되면, 검지 입력이 L 레벨로부터 H 레벨로 변화된다.
(실시 형태3)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은, 본체측 커넥터(68) 및 패널측 커넥터(80)의 제 각기에 대해서 복수개소에 검지 핀을 마련한 점이 실시 형태 2의 감시 제어 장치(1)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측 커넥터(68)의 좌단부(도 12의 하방을 좌방이라고 한다)에 검지 핀(P1a), 중앙부에 검지 핀(P2a), 우단부에 검지 핀(P3a)를 마련하고, 패널측 커넥터(80)에 있어서의 검지 핀(P1a, P2a, P3a)에 대응하는 각부위에 각각 검지 핀(P1b, P2b, P3b)을 마련하고 있다. 여기에, 패널측 커넥터(80)의 각 검지 핀(P1b~P3b)은 각각, 각각의 검지용 전기 회로(Le1~Le3)에 접속된다. 검지용 전원(23)은 각 검지용 전기 회로(Le1~Le3)마다 (즉, 각 검지 핀(P1a~P3a 마다)에 각각 마련된다.
검지 수단(21)은, 검지용 전원(23)과 본체측 커넥터(68)(검지 핀(P1a~P3a)의 각 접속점으로부터 각각 검지 입력을 받고, 이들 검지 입력이 모두 L 레벨이 되었을 때에, 양쪽 커넥터(68, 80)사이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즉, 검지 수단(21)은 검지용 전기 회로(Le1~Le3) 마다 취득한 검지 입력의 논리곱을 취하는 것으로, 검지용 전기 회로(Le1~Le3) 중 1개라도 통전되고 있지 않으면, 양쪽 커넥터(68, 80)사이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검지용 전원(23)이 검지용 전기 회로(Le1~Le3)의 모두에 통전될 때까지는, 통전 제어 수단(22)이 전원 회로(10)로부터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을 시작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패널 유닛(7)이 본체 유닛(6)에 대하여 비스듬히 부착되는 일이 있어도, 본체측 커넥터(68)에 대하여, 좌단부, 중앙부, 우단부의 모두에서 패널측 커넥터(80)가 접촉할 때까지는,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이 검지되는 일은 없어, 검지 수단(21)에 있어서의 접속 검지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본체측 커넥터(68)에 대하여 좌우 방향의 한쪽 단부측에서만 패널측 커넥터(80)이 접촉한 상태(편접촉 상태)과 같이,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패널 유닛(7)에 전력 공급이 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커넥터(68, 80)에 각각 3개의 검지 핀을 마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예에 한하지 않고, 검지 핀이 각 커넥터(68, 80)의 복수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면,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이 불완전한 상태에서 패널 유닛(7)에 전력 공급이 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의 구성 및 기능은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이다.
(실시 형태 4)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은, 패널측 커넥터(80)의 복수개소에 접속된 검지용 전기 회로를 모두 직렬로 접속해 1개의 검지용 전기 회로(Le)로 하고 있는 점이 실시 형태 3의 감시 제어 장치(1)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유닛(7)내에 있어서 검지 핀(P1b)과 검지 핀(P2b)을 서로 접속하고, 본체 유닛(6)내에 있어서 검지 핀(P2a)과 검지 핀(P3a)을 서로 접속하는 것에 의해,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검지용 전기 회로(Le1~Le3)을 1개의 검지용 전기 회로(Le)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검지용 전원(23)은 본체측 커넥터(68)의 검지 핀(P1a)에만 접속되어 있다.
검지 수단(21)은, 검지용 전원(23)과 본체측 커넥터(68)(검지 핀(P1a))의 접속점으로부터 검지 입력을 받고, 실시 형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검지 입력이 L 레벨이면, 검지용 전원(23)로부터 검지용 전기 회로(Le)에 통전되어 양쪽 커넥터(68, 80)사이는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패널측 커넥터(80)의 복수개소에 접속된 검지용 전기 회로의 도통 상태의 감시를 1개의 검지 입력으로 실행할 수 있어, 실시 형태 2과 같이 복수의 검지 입력을 감시할 경우에 비교하여,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 의한 검지 입력의 감시 때문에 필요한 입력 포트수를 적게 할 수 있고, 처리부하도 경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기타의 구성 및 기능은 실시 형태 3과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유닛(6)을 매립형으로 한 감시 제어 장치(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체 유닛(6)은 매립형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벽면에 배면을 대향시키는 형태로 벽에 고정되는 노출형의 본체 유닛(6)을 구비한 감시 제어 장치(1)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실시형태 5)
이하, 도 1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5에 따른 감시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에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6)에 패널 유닛(7)이 장착된 상태에서, 패널 유닛(7)에 마련되어 있는 종료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 상태를 제어하는 통전 제어 수단(200)을 본체 유닛(6)에 마련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조작 입력부(3)를 종료 조작부로서 겸용하고 있고, 통전 제어 수단(200)은, 조작 입력부(3)로 소정의 조작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을 오프해서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또, 도 14에서는, 패널 유닛(7)에 있어서의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 및 그 주변 회로를 제어부(20)로서 도시하고, 이하의 설명에 관계없는 구성요소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통전 제어 수단(200)은, 전원 회로(10)와 본체측 커넥터(68)의 사이에 삽입된 통전 스위치(24)을 온오프 제어하는 것으로, 조작 입력부(3)가 소정의 조작 입력을 받았을 때에 조작 입력부(3)에서 발생하는 종료 신호를 받아서 통전 스위치(24)을 오프 한다. 통전 스위치(24)가 오프 하면, 전원 회로(10)와 본체측 커넥터(68)의 사이가 차단되므로,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이 정지하고,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 및 패널측 커넥터(80)을 통하여 행하여지는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한다. 또, 통전 제어 수단(200)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실현된다. 통전 스위치(24)은 유접점 스위치, 무접점 스위치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입력부(3)로부터 출력되는 종료 신호는 제어부(20)을 거쳐서 본체 유닛(6)내의 통전 제어 수단(200)에 전송되게 되어 있고, 제어부(20)은, 조작 입력부(3)로부터의 종료 신호를 받으면, 패널 유닛(7)의 모든 동작을 안전하게 정지하는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통전 제어 수단(200)은, 종료 신호를 받아서 곧 통전 스위치(24)을 오프 하는 것은 아니고, 종료 신호를 받은 후, 제어부(20)가 종료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시간지연을 갖고 통전 스위치(24)을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종료 처리가 완료해서 패널 유닛(7)의 동작을 안전하게 정지하고 나서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플래쉬 메모리(13)에의 데이터 기록중에 통전이 차단되어서 기록중의 데이터가 깨지는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제어부(20)가 종료 처리의 최후의 스텝으로서 종료 신호를 통전 제어 수단(200)에 전송하고, 통전 제어 수단(200)에 있어서는 종료 신호를 받아서 곧 통전 스위치(24)을 오프 하도록 해도 좋다.
조작 입력부(3)에서는, 표시 패널(2)의 표시에 관련된 조작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표시 패널(2)에 표시된 메뉴 화면으로부터 종료용의 아이콘(도형, 기호)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종료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선택 화면으로 이행한다. 이 선택 화면에서, 종료 처리를 실행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20)에는 조작 입력부(3)로부터 종료 신호가 입력되어, 제어부(20)은 종료 처리를 실행하는 동시에 통전 제어 수단(200)에 종료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통상시에 유저가 조작 입력부(3)의 조작을 잘못해서 종료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종료 처리를 실행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때에, 미리 정해진 패스워드의 입력이 요구되는 것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조작 입력부(3)에 있어서 종료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은, 상술한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소정의 복수의 아이콘에 몇초간 계속해서 접촉하는 등의 조작 입력이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감시 제어 장치(1)의 메인터넌스시 등에서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미리 조작 입력부(3)에서 상기 종료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조작 입력을 행함으로써,패널 유닛(7)이 분리되기 전에 미리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을 정 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패널 유닛(7)에 통전되고 상태에서, 패널 유닛(7)이 분리되어서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이 해제됨으로써, 서지 전류 등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패널 유닛(7)의 분리시에, 서지 전류 등의 노이즈에 기인하여, 패널 유닛(7)이나 본체 유닛(6)에 고장이 발생하는 불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패널 유닛(7)의 분리전에,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을 정지함으로써,패널 유닛(7)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통전 상태에 있는 본체측 커넥터(68)가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통전 상태에 있는 본체측 커넥터(68)에 이물이 부착되어, 해당 이물을 거쳐서 전류가 흐르는 것에 의한 본체 유닛(6)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것 같이 메모리 카드(MC)의 장착 및 분리는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행하여지므로, 패널 유닛(7)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모리 카드(MC)가 장착 및 분리될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메모리 카드(MC)의 장착 및 분리시에, 소켓(4)에 인가된 전압에 의한 서지 전류 등의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노이즈의 영향으로 메모리 카드(MC)가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지수단(21)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패널 유닛(7)을 분리할 때에 전원 회로(10)로부터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을 정지시켜도, 그 후, 패널 유닛(7)을 다시 장착함으로써, 본체측 커넥터(68)에의 통전을 자동적으로 재개해서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을 시작할 수 있다. 더구나,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장착할 때,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이 검지 수단(21)으로 검지될 때 까지는, 전원 회로(10)과 본체측 커넥터(68)과의 사이는 차단되는 것이 되어, 비통전 상태에 있는 본체측 커넥터(68)에 패널측 커넥터(80)을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패널 유닛(7)을 장착할 때, 양쪽 커넥터(68, 80)의 상대적인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양쪽 커넥터(68, 80)의 접촉자끼리가 접촉하거나, 각 커넥터(68, 80)에 있어서 접촉자마다에 다른 쪽의 커넥터(68, 80)의 접촉자와 접촉하는 타이밍에 격차가 발생하거나 하는 일이 있어도, 이상 전류가 흐르거나, 회로간에서 통전개시의 타이밍에 시간차가 발생하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시 제어 장치(1)의 위치 표시용으로서 패널 유닛(7)에 마련한 LED(770)을, 패널 유닛(7)에의 통전 상태를 나타내는 점등 표시부에 겸용하고 있다. 즉, LED(770)은, 전원 회로(10)로부터 패널 유닛(7)에의 통전 중에는 전원 회로(10)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받아서 상시 점등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LED(770)의 점등 상태에 따라서 패널 유닛(7)에의 통전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패널 유닛(7)을 분리할 때에, LED(770)이 소등한 것에 의해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한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하고 나서 패널 유닛(7)을 분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20)가 종료 처리를 실행하는 중에 있어서는 LED(770)의 점등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예를 들면, 점멸시킴으로써), 종료처리실행 중인 것을 작업자에 알리도록 해도 좋다.
(실시 형태 6)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유닛(7)의 종료 조작부로서 푸쉬 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종료용 스위치(SW')를 조작 입력부(3)와는 별도로 마련하여, 해당 종료용 스위치(SW')의 조작에 따라 종료 신호가 발생하는 구성으로 한 점이 실시 형태 5의 감시 제어 장치(1)과 상이하다.
종료용 스위치(SW')의 조작자(820)는, 패널 케이스(70) 중, 본체 유닛(6)에 패널 유닛(7)을 장착한 상태에서 본체 유닛(6)의 전면보다도 전방이 되는 부위의 우측면에 마련되고, 이 조작자(820)가 가압조작됨에 따라 종료 신호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할 때에, 패널 케이스(70) 중 조작자(820)가 마련된 부분을 쥐는 것 같이 함으로써, 조작 입력부(3)로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아도, 양쪽 커넥터(68, 80)사이의 접속이 해제되기 전에 통전 제어 수단(200)으로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자(820)을 마련하는 위치는, 패널 케이스(70) 중 전면과 교차하는 주위면이면 좋고, 우측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유닛(7)과 본체 유닛(6)가, 감합돌기부(78)의 좌우 각 측면에 마련한 계지편(79)을 본체 유닛(6)의 계지 구멍(67)에 계합시켜서 결합되므로, 작업자는 보통 패널 유닛(7)을 분리할 때, 계지편(79)과 계지 구멍(67)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해서 패널 케이스(70)의 좌우 양측을 쥐게 된다. 그 때문에, 조작자(820)이 패널 케이스(70)의 좌우 어느 하나의 측면에 있으면, 작업자가 패널 케이스(70)을 쥘 때에 자연히 조작자(820)을 조작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예로서, 본체 유닛(6)과 패널 유닛(7)의 사이의 기계적 결합을 해제 버튼의 조작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한 후에, 해당 해제 버튼에 종료용 스위치(SW')의 조작자(820)을 겸용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패널 유닛(7)의 계지편(79)을 해제 버튼과 연동시켜, 해제 버튼의 조작시에 계지 구멍(67)로부터 계지조(79a)가 빠지도록 하고, 해제 버튼이 조작될 때까지는 본체 유닛(6)과 패널 유닛(7)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구조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패널 유닛(7)을 빼기 위해서는 해제 버튼의 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제 버튼에 겸용되어 있는 종료용 스위치(SW')의 조작자(820)가 필연적으로 조작된다. 즉 패널 유닛(7)의 분리시에는, 반드시 조작자(820)가 조작되어서 통전 제어 수단(200)에 의해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되는 것이 되어, 패널 유닛(7)에의 전력 공급이 정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패널 유닛(7)이 분리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종료용 스위치(SW')는 푸쉬 버튼 스위치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조작자(820)을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스위치 등이어도 좋다.
기타의 구성 및 기능은 실시 형태 5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유닛(6)을 매립형으로 한 감시 제어 장치(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체 유닛(6)은 매립형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벽면에 배면을 대향시키는 형태로 벽에 고정되는 노출형의 본체 유닛(6)을 구비한 감시 제어 장치(1)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실시형태 7)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조작 단말기)의 실시 형태 7를 도16-20 및 21을 참조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1)를 이용한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며, 이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서는, 전송 유닛(30)에 접속된 2선식의 신호선(Ls)에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조작 단말기)(1)와, 대응하는 부하(L)의 동작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S1)를 구비하는 다른 조작 단말기(110)와, 제어 단말기(120)가 분기 접속(멀티 드롭 접속)되어 있다. 제어 단말기(120)는, 상용교류 전원(AC)으로부터 부하(L)에의 급전을 온/오프하기 위한 래칭형의 리모컨 릴레이(130)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 단말기(1, 110) 및 제어 단말기(120)에는 각각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있어, 전송 유닛(30)은 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조작 단말기(1, 110) 및 제어 단말기(120)을 식별한다.
또, 도 21중의 참조부호 140은, 리모컨 릴레이(130)이나 제어 단말기(120), 감시 제어 장치(1)의 동작용 전원(AC 24V)을 상용교류 전원AC으로부터 생성해서 공급하는 리모컨 트랜스이며, 전송 유닛(30)이나 제어 단말기(120)등과 함께 도시하지 않는 분전반에 내장된다. 즉, 상기의 분전반에는 리모컨 트랜스(140)을 배치하는 스페이스가 필요함과 동시에, 리모컨 트랜스(140)에 상용교류 전원(AC)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을 밀어 넣을 필요가 있다.
본체 유닛(6)은, 전면에 직사각형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상자형에 형성된 본체 보디(61)과, 본체 보디(61)의 전면에 복착 되는 본체 커버(62)로 구성되는 본체 케이스(60)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 케이스(60)에는 여러가지 전기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본체 유닛(6)에는, 리모컨 트랜스(140)의 출력단에 접속된 전원선이 접속되는 접속 단자(T1, T1)과, 신호선(Ls)가 접속되는 접속 단자(T2, T2)가 배면측에 마련되고 있다(도19a 및 도 19b 참조).
패널 유닛(7)은, 전면에 직사각형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박상자형에 형성된 패널 보디(71)과, 패널 보디(71)의 전면에 부착되는 패널 커버(72)로 구성되는 패널 케이스(70)을 구비하고 있고, 이 패널 케이스(70)에는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 등의 여러가지 전기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패널 케이스(70)의 전면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는 직사각형형상의 표시 창문(74)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표시 패널(2) 및 조작 입력부(3)이가 표시 창문(74)에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패널 케이스(70)의 전면에 있어서 표시 창문(74)의 아래쪽으로는, 기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75)이나, LED(770)(도 17 참조)로부터의 광을 취출하기 위한 LED창문(76')이 마련되고 있다. 또, 상기 LED(770)는, 패널 유닛(7)에의 통전중이면 상시 점등하여, 실내가 어두울 때 등에 감시 제어 장치(1)의 위치를 유저에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계 스위치는, 가압조작에 따라 조작 입력부(3)의 조작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에서는, 상기 통신 회로(11)에 의해 취득한 부하 상태(부하(L)의 동작 상태)가 표시 패널(2)에 표시되고, 또한 표시 패널(2)에 표시된 표시 내용에 관련되어 있는 조작 입력부(3)의 조작에 따른 감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신호선(Ls)에 송출한다. 즉 표시 패널(2)에는 감시 제어 대상으로 되는 각 부하(L)의 현재의 동작 상태가 표시되고, 유저는 이 표시 내용에 따라 조작 입력부(3)을 조작하는 것으로 부하(L)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은, 표시 패널(2)의 화면위로 표시된 표시 화면의 일례이며, 표시 패널(2)의 화면위로는 각각 감시 제어 대상인 부하(L)에 대응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d1~d8)이 표시되고, 유저는 조작 입력부(3) 중 표시 패널(2)에 표시된 각 조작 버튼(d1~d8)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하는 것으로 부하 제어를 위한 입력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하A1」이라고 표기된 조작 버튼(d1)에 접촉하는 것으로, 부하(A1)의 온/오프를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조작 버튼(d1~d8)은 각각 대응하는 부하(L)의 부하 상태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부하(L)가 오프의 상태라면 좌단에 마련한 오프 마크(Moff)가 녹색으로 점등하고, 부하(L)가 온의 상태라면 우단에 마련한 온 마크(Mon)이 적색으로 점등한다.
여기에 있어서, 감시 제어 장치(1)은 다수의 부하(L)를 감시 제어 대상으로 삼고 있어, 모든 부하(L)에 대응하는 조작 버튼을 표시 패널(2)의 한 화면상에 표시하면, 각조작 버튼의 사이즈가 작아져서 부하 상태의 표시가 잘 보이지 않게 되거나, 조작하기 어려워지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패널(2)의 한 화면당의 조작 버튼의 표시량을 비교적 적게 하여, 화면의 표시 내용을 전환하는 것으로 다수의 부하(L)에 대응하는 조작 버튼을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감시 제어 대상으로 되는 부하(L)는 복수의 부하군으로 분류되어, 표시 패널(2)의 한 화면 중에는 각부하군마다에 부하 상태가 표시되고, 화면우단부에 표시되는 탭(Ta~Tc)을 조작하는 것에 따라 표시 대상으로 되는 부하군이 전환되게 되어 있다.
또, 부하군의 분류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부하(L)가 설치되어 있는 방이나 부하(L)의 종류 등에 근거하여, 관련성이 있는 부하끼리를 동일한 부하군으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하(L)가 설치되어 있는 에어리어(A, B, C)마다 다른 부하군으로 분류하고, 「에어리어A」의 탭(Ta)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에어리어A에 설치되어 있는 부하(A1~ A8)의 부하 상태가 표시되고, 마찬가지로 「에어리어B」, 「에어리어C」의 각 탭(Tb, Tc)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각각의 에어리어에 설치되어 있는 부하(L)의 부하 상태가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에서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10)로서, 신호선(Ls)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제 1 전원 회로부)(10A)와, 리모컨 트랜스(140)을 거쳐서 공급되는 교류 전원(AC 24V)으로부터 상기 내부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제 2 전원 회로부)(10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19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6)의 배면측에 마련된 슬라이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환 스위치(전원 전환 수단)(8)에 의해 제 1 전원 회로부(10A) 또는 제 2 전원 회로부(10B)의 어느 한쪽으로 전원이 전환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8)을 상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해당 전환 스위치(8)의 조작에 연동하는 형태로 접점 8A가 온이 되는 동시에 접점 8B가 오프로 되어, 제 1 전원 회로부(10A)가 선택된다. 한편,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스위치(8)을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마찬가지로 전환 스위치(8)의 조작에 연동하는 형태로 접점 8A가 오프가 되는 동시에 접점 8B가 온이 되어, 제 2 전원 회로부(10B)이 선택된다. 그리고, 선택된 제 1 전원 회로부(10A)(또는 제 2 전원 회로부(10B))로 생성된 내부 전원은, 전원 출력부(10C)로부터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12)나 액정 모듈(400)등에 공급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의 표시 패널(2), 조작 입력부(3), 액정 컨트롤러(15), 콘트라스트 조정부(17) 및 백 라이트용 인버터 회로(18)에 의해 액정 모듈(400)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있어서, 제 1 전원 회로부(10A)에 의해 내부 전원을 생성할 경우에는,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선(Ls)를 접속 단자(T2, T2)에 접속하면 좋고, 또 제 2 전원 회로부(10B)에 의해 내부 전원을 생성할 경우에는,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선(Ls)를 접속 단자(T2, T2)에 접속하는 동시에, 리모컨 트랜스(140)로부터의 전원선을 접속 단자(T1, T1)에 접속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같은 신호선(Ls)에 접속되는 다른 단말기(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단말기(110)나 제어 단말기(120) 등)에서의 소비 전류가 작을 경우에는, 신호선(Ls)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로부터 감시 제어 장치(1)에 필요한 내부 전원을 생성 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감시 제어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모컨 트랜스(140)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 리모컨 트랜스(140)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 확보가 불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리모컨 트랜스(140)에의 전원선을 밀어 넣는 작업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분전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시공 공정수를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신호선(Ls)에 접속되는 다른 단말기에서의 소비 전류가 크고, 신호선(Ls)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로부터는 감시 제어 장치(1)에 필요한 내부 전원을 생성할 수 없을 경우이어도, 전환 스위치(8)에 의해 리모컨 트랜스(140)에 의한 전원 공급으로 용 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시스템에 대하여 감시 제어 장치(1)를 교환할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리모컨 트랜스(140)용의 전원선을 밀어 넣지 않아도, 전환 스위치(8)에 의해 전송 신호로부터의 전원 공급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치환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전환 스위치(8)에 의해 제 1 및 제 2 전원 회로부(10A, 10B)가 전환되게 되어 있지만, 전원 전환 수단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조작 입력부(3)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제 1 및 제 2 전원 회로부(10A, 10B)가 전환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 형태 8)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제어 장치(1)의 실시 형태 8을 도 2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7에서는, 내부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 회로로서, 제 1 전원 회로부(10A) 또는 제 2 전원 회로부(10B)로 전환되도록 한 점이 특징인 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구성을 구비하면서, 제 1 전원 회로부(10A)를 선택했을 경우에 있어서, 신호선(Ls)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에 따라서, 후술하는 3단자 레귤레이터(IC2)에의 입력 전류를 조정 가능하게 한 점이 특징이다. 또,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7과 마찬가지여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감시 제어 장치(1)은, 신호선(Ls)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로부터 생성한 직류 전원을 강압하는 저항 드롭 회로와, 이 저항 드롭 회로에 의해 강압된 직류 전원을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3단자 레귤레이터(레귤레이터 회로)(IC2)와,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생성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압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저항 드롭 회로의 드롭 저항의 임피던스 값을, 상기 전압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비교해서 낮은 임피던스 값으로 전환하는 임피던스 전환 수단을 중심인 구성요소로 하는 제 1 전원 회로부(10A)를 구비하고 있다.
저항 드롭 회로는, 저항R3~R5이 직렬로 접속된 제 1 직렬 회로와, 저항R6, R7이 직렬로 접속된 제 2 직렬 회로와, 제 1 직렬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제너다이오드ZD1과, 제너다이오드ZD1에 병렬에 접속된 콘덴서C1으로 구성되어, 제 2 직렬 회로는 트랜지스터Q1을 거쳐서 제 1 직렬 회로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제너다이오드ZD1은 과전압보호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전환 수단은, 신호선(Ls)을 거쳐서 입력되는 전송 신호를 정류기DB1로 정류함으로써 생성한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기(IC1)과, 전압 검출기(IC1)의 검출 결과에 따라 온/오프 되는 트랜지스터Q1, Q2로 구성되고, 본 실시형태의 전압 검출기(IC1)은,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로서, 저항R1, R2의 접속 점에 있어서의 분압 레벨을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 분압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2을 온으로 하는 온 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는 온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 1 전원 회로부(10A)에서는 전압 검출기(IC1)에 있어서 상기 분압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다라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1, Q2은 오프인 상태로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제 1 직렬 회로(저항R3~R5), 제너다이오드ZD1 및 콘덴서C1가 저항 드롭 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고, 상기 드롭 저항의 임피던스 값은 저항R3~R5의 합성 임피던스 값이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저항R3~R5에 의해 드롭 저항이 구성되게 된다.
한편, 전압 검출기(IC1)에 있어서 상기 분압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전압 검출기(IC1)로부터의 온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 Q2이 온이 되고, 이 경우, 제 1 직렬 회로와 제 2 직렬 회로의 병렬 회로(저항R3~R5과 저항R6, R7의 병렬 회로), 제너다이오드ZD1 및 콘덴서C1이 저항 드롭 회로를 구성하는 것으로 되고, 상기 드롭 저항의 임피던스 값은 저항R3~R7의 합성 임피던스 값이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저항R3~R7에 의해 드롭 저항이 구성되게 된다. 여기에서, 저항R3~R5로 이루어지는 제 1 직렬 회로와, 저항R6, R7로 이루어지는 제 2 직렬 저항은 병렬로 접속되므로, 드롭 저항 전체의 임피던스 값은, 제 1 직렬 회로만의 경우에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여기에 있어서, 내부 전원을 생성하는 3단자 레귤레이터(IC2)에의 입력 전압(도 20중의 단자IN에의 입력 전압)은, 제 1 전원 회로부(10A)에의 입력 전압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전압 레벨까지 강압 할 필요가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드롭 저항에 의해 강압하는 것이지만, 예를 들면 전송 유닛(30)으로부터 감시 제어 장치(1)까지의 거리가 길어 제 1 전원 회로부(10A)에 입력되는 전송 신호의 신호 레벨이 낮아졌을 경우에는, 드롭 저항이 일정하면 3단자 레귤레이터(IC2)에의 입력 전류가 작아지기 때문에 소망하는 내부 전원이 얻을 수 없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 검출기(IC1)에 있어서 상기 분압 레벨을 검출하고, 이 분압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작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드롭 저항의 임피던스 값을 상대적으로 낮은 임피던스 값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3단자 레귤레이터(IC2)에의 입력 전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있어, 그 결과, 3단자 레귤레이터(IC2)에 의해 소망하는 내부 전원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드롭 저항에 있어서의 열손실과, 3단자 레귤레이터(IC2)에 있어서의 열손실과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에 따라 총 열손실을 저감할 수 있도록, 저항R3~R7의 저항치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전원 회로부(10A)에서는 저항 드롭 회로의 드롭 저항에 있어서의 열손실과, 3단자 레귤레이터(IC2)에 있어서의 열손실과의 밸런스를 취하는 것에 따라 총 열손실을 저감할 수 있게 상기 드롭 저항의 저항치가 설정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전송 유닛(30)으로부터 감시 제어 장치(1)까지의 거리가 길어, 그동안의 배선 저항에 의해 감시 제어 장치(1)에 입력되는 전송 신호의 신호 레벨이 저하했을 경우에는, 상기 드롭 저항의 임피던스 값을 상대적으로 낮은 임피던스 값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마찬가지로 열손실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3단자 레귤레이터(IC2)에의 입력 전류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감시 제어 장치(1)에 필요한 소망하는 내부 전원을 확보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직렬 회로와 제너다이오드ZD1과 콘덴서C1로 저항 드롭 회로를 구성하고 있지만, 저항 드롭 회로의 구성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전원 회로부(10A)에 입력되는 전송 신호의 신호 레벨이 낮을 때에 임피던스 값을 낮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다른 구성이라고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압 검출기(IC1) 및 트랜지스터Q1, Q2에 의해 임피던스 전환 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임피던스 전환 수단에 관해서도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항 드롭 회로와 임피던스 전환 수단이 일체로 된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9)
이하, 도 22-2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감시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시 제어 장치는, 기판(653b)(도 24 참조)을 가지는 본체 유닛(6)과, 조작입력부(3) 및 표시패널(2)을 가져 후술하는 결합부에 의해 본체 유닛(6)에 장착 및 분리 자유롭게 부착되는 패널 유닛(7)과, 시공 구멍을 숨기기 위한 테두리형상의 화장 플레이트(1030)를 구비한다.
화장 플레이트(1030)는, 플레이트용 나사에 의해 부착판(1040)에 고정되어서 시공 구멍 및 부착판(1040)을 덮어서 숨기는 플레이트 테두리(1031)와, 플레이트용 나사를 숨기기 위한 플레이트 커버(1032)를 구비한다. 플레이트 테두리(1031)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고, 플레이트 커버(1032)는 합성 수지재료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 테두리(1031)는, 전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앞판(1031a)과, 앞판(1031a)의 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서 패널 보디(71)의 주위면을 둘러싸는 보지편(103lb)을 구비한다. 플레이트 테두리(1031)의 앞판(1031a)에는, 패널 유닛(7)의 전면을 노출시키기 위한 테두리측 노출 창문(1061a)가 개설되는 동시에, 플레이트용 나사가 전방으로부터 삽입 통과되는 삽통공(1060)이 관통 설치된다.
플레이트 커버(1032)는, 플레이트 테두리(1031)의 전면을 덮는 전벽(1032a)과, 보지편(103lb)에 대향하는 형태로 플레이트 테두리(1031)를 둘러싸는 주벽(1032b)을 구비하고, 주벽(1032b)을 플레이트 테두리(1031)의 보지편(3lb)에 미끄럼접촉시키면서 플레이트 테두리(1031)의 전면측에서 플레이트 테두리(1031)에 끼워붙임 된다. 플레이트 테두리(1031)의 보지편(3lb)과 플레이트 커버(1032)의 주벽(1032b)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플레이트 커버(1032)는 플레이트 테두리(1031)에 보지된다.
플레이트 커버(1032) 앞벽(1032a)에는, 패널 유닛(7)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커버측 노출 창문(106lb)이 개설된다. 커버측 노출 창문(106lb)은, 패널 보디(71)의 전면의 치수와 거의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패널 보디(71)는, 극간 없게 플레이트 커버(1032)의 커버측 노출 창문(106lb)에 꼭들어맞는다.
플레이트 테두리(1031) 앞판(1031a)에는,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의 후면과 접촉하는 스페이서(1030)가 전방으로 돌출설치되어,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이 패널 보디(71)에 있어서의 전면에 교차하는 주위면의 전단부를 둘러싸는 위치에서 스페이서(1030)은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의 후면에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2,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에 부착된 도어의 개폐등에 의해 벽에 충격이 가해져, 충격에 의해 계지조(79a)가 계지 구멍(67)로부터 빠져서 패널 유닛(7)이 밑바닥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패널 보디(71)의 상하의 주위면에, 낙하 방지 돌기(1025)이 각각 돌출설치된다. 낙하 방지 돌기(1025)는, 패널 보디(71)의 주위면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즉, 낙하 방지 돌기(1025)은,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과의 사이에 극간을 마련한 형태로 전벽(1032a)의 후방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패널 보디(71)는 플레이트 커버(1032)의 커버측 노출 창문(106lb)에 극간 없게 꼭들어맞기 때문에, 계지조(79a)가 계지 구멍(67)로부터 빠져서 패널 유닛(7)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낙하 방지 돌기(1025)의 전면이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의 후면에 접촉하여, 패널 유닛(7)이 바닥에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할 때에 낙하 방지 돌기(1025)가 패널 유닛(7)의 장착 및 분리를 저해하지 않도록, 플레이트 테두리(1031)의 앞판(1031a)에는, 낙하 방지 돌기(10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 구멍(1062)이 형성된다. 즉, 플레이트 커버(1032)를 플레이트 테두리(1031)로부터 분리하면, 플레이트 테두리(1031)을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하는 일없이 (플레이트용 나사를 빼는 일없이),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널 유닛(7)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패널 유닛(7)을 본체 유닛(6)에 부착할 수 있어, 낙하 방지 끈을 구비하는 종래 구성보다도 감시 제어 장치를 벽에 붙이는 시공 공사가 용이하다. 또한, 플레이트 커버(1032)를 전방으로 잡아 당겨서 플레이트 테두리(1031)로부터 분리한 후, 패널 유닛(7)을 전방으로 잡아 당겨서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 테두리(1031)을 본체 유닛(6)로부터 분리하는 일없이) 패널 유닛(7)의 점검, 수리를 실행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술의 구성 예에서는, 낙하 방지 돌기(1025)를 패널 보디(71)의 상하의 주위면에 각각 돌출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패널 보디(71)의 좌우의 주위면에 각각 돌출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계지조(79a)가 계지 구멍(67)로부터 빠졌을 경우, 패널 유닛(7)은, 상부가 플레이트 커버(1032)에 쓰러지려고 하기 때문에, 낙하 방지 돌기(1025)를 패널 보디(71)의 상하의 주위면에 각각 돌출설치하는 구성에서는, 주로 상면에 형성한 낙하 방지 돌기(1025)에 의해 패널 유닛(7)의 낙하가 방지된다. 낙하 방지 돌기(1025)를 패널 보디(71)의 좌우의 주위면에 각각 돌출설치했을 경우, 패널 유닛(7)이 쓰러지려고 하는 힘을 분산하여 받을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패널 유닛(7)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낙하 방지 돌기(1025)를 패널 보디(71)의 상하 좌우의 주위면에 각각 형성하고, 낙하 방지 돌기(1025)를 패널 보디(71)의 상하와 좌우의 주위면 중 한쪽에 형성한 구성보다도, 패널 유닛(7)이 플레이트 커버(1032)에 쓰러지려고 하는 힘을 보다 분산하여 받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낙하 방지 돌기(1025)을 패널 보디(71)의 주위면에 전체 주위에 걸쳐서 형성하여, 낙하 방지 돌기(1025)을 패널 보디(71)의 상하 좌우의 주위면에 각각 형성한 구성보다도, 패널 유닛(7)이 플레이트 커버(1032)에 쓰러지려고 하는 힘을 보다 분산하여 받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의 구성 예에서는, 낙하 방지 돌기(1025)와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과의 사이에 극간을 마련하고, 계지조(79a)가 계지 구멍(67)로부터 빠져서 패널 유닛(7)이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낙하 방지 돌기(1025)가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에 접촉하는 예를 나타냈다. 이것에 대하여, 낙하 방지 돌기(1025)의 전면이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의 후면에 항상 접촉하는 구성을 채용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는, 낙하 방지 돌기(1025)와 플레이트 커버(1032)의 앞벽(1032a)이 접촉 하는 것에 의해 본체 유닛(6)에 있어서의 패널 유닛(7)의 보지가 보조되어, 계지조(79a)가 계지 구멍(67)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해서 패널 유닛(7)의 낙하를 방지 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테두리(1031)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커버(1032)의 보지력을 높이고, 패널 유닛(7)의 낙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커버(1032)의 주벽(1032b)의 내측면에 스냅 피트 감합용의 장착 손톱부를 돌출설치하고, 플레이트 테두리(1031)의 보지편(103lb)에 장착 손톱부가 꼭들어맞는 장착 구멍을 관통 설치한 구성을 채용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플레이트 커버(1032)을 전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플레이트 커버(1032)를 플레이트 테두리(103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장착 손톱부를, 계지조(79a)와 마찬가지인 삼각형형상으로 형성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 테두리(1031)를 금속재료로 형성하고, 플레이트 커버(1032)을 합성 수지재료로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플레이트 테두리(1031)을 합성 수지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플레이트 커버(1032)을 금속재료로 형성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감시 제어 장치 2: 표시 패널
3: 조작 입력부 4: 소켓
5: 기체 6: 본체 유닛
7: 패널 유닛 10: 전원 회로
11: 통신 회로 12: 메인 마이크로 컴퓨터(제어부)
60: 본체 케이스 63b: 접촉면
66: 감합요부 67: 계지 구멍
68: 본체측 커넥터 69: 절결부
70: 패널 케이스 73: 회로 기판
73a: 설편 78: 감합돌기부
79: 계지편 80: 패널측 커넥터
81: 삽입구 82: 오목부
83: 투과 구멍 MC: 메모리 카드
SW: 푸쉬 버튼 스위치

Claims (26)

  1. 통신에 의해 부하의 감시 제어를 실행하는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에 이용되는 감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문자 및 도형을 표시 가능한 표시 패널과,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 입력부와,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 내용에 관련되어 있는 상기 유저의 조작 입력에 따른 부하 제어를 행하고, 또한 부하 상태에 따른 화면 표시를 상기 표시 패널에 표시하게 하는 제어부와,
    통신 커맨드를 전송하는 통신 회로와,
    내부에 고쳐쓰기가능한 메모리를 구비하는 외부 기억 매체가 삽입 및 제거 자유롭게 장착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소켓을 가지며, 상기 소켓에 상기 외부 기억 매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벽에 형성된 부착 구멍 내에 수납되는 기체(器體)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억 매체에 저장된 설정 정보를 따라, 상기 표시 패널의 화면 표시 및 부하 제어에 관한 설정 조작을 실행하고,
    상기 외부 기억 매체는 상기 기체의 일 주위면에 개구된 삽입구를 통해 상기 소켓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기체가 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 구멍 내에 수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전면(front surface)에 중첩시켜진 투명한 터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내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의 후방에는 회로 기판이 배치되며,
    상기 소켓은 상기 회로 기판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감시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후부(後部)가 상기 부착 구멍 내에 수납되는 형태로 벽에 고정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전부(前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패널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패널 케이스의 전부(前部)가 상기 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기체가 상기 벽에 수납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는 내부에 적어도 구동 전력을 출력하는 전원 회로와 통신 회로를 포함하여 본체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패널 케이스는 내부에 적어도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조작 입력부를 포함하여 패널 유닛을 구성하고,
    상기 삽입구는 상기 패널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감시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상기 벽면보다 후방에 저면이 위치하는 감합 요부를 갖고,
    상기 패널 케이스는 상기 감합 요부에 감합되는 감합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감합 요부의 내측면과 상기 감합 돌기부의 측면 중 한쪽에는, 다른 쪽에 마련된 계지 구멍에 계합되는 계지편(locking pieces)을 갖는
    감시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케이스는, 상기 패널 케이스의 대략 직사각형의 전면(前面)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후방으로 세워 마련되는 측면을 가지며, 상기 측면들에는 각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감시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기 감합 요부의 측벽은 상기 패널 케이스의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전방으로 개방된 절결부(cutouts)를 갖는 감시 제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유닛은, 푸쉬 버튼 스위치가 전면(前面)측에 실장된 기판을 상기 패널 케이스 내에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배면은 상기 푸쉬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기 패널 케이스의 뒤벽에 관통 설치된 투과 구멍을 통해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기판의 배면의 상기 푸쉬 버튼 스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맞대지는 접촉면을 가지는
    감시 제어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전면측에 마련된 본체측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의 대향 부위에 패널측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패널측 커넥터와 상기 본체측 커넥터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본체측 커넥터 및 상기 패널측 커넥트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벽면을 따르는 면 내에서 상기 기체에 대해 소정 범위 내에서 변위 가능한
    감시 제어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전면측에 마련되는 본체측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본체측 커넥터의 대향 부위에 마련된 패널측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상기 패널측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으로의 장착시에 양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원 회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패널측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검지용 전기 회로에 대해, 양 커넥터간의 접속시에 전류를 공급하는 검지용 전원과,
    상기 검지용 전원과 상기 본체측 커넥터간의 접속점에서의 전위가, 상기 검지용 전기 회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변화되었을 때에, 양 커넥터간의 접속을 검지하는 검지 유닛과,
    상기 검지 유닛에서 양 커넥터간의 접속을 검지하면, 상기 패널 유닛으로의 전력 공급을 온하는 통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감시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유닛은, 상기 검지용 전기 회로에 흐르는 상기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전위가 변화되었을 때에 양 커넥터간의 접속 해제를 검지하고,
    상기 통전 제어 유닛은, 상기 검지 유닛에서 접속 해제가 검지되면 상기 패널 유닛으로의 전력 공급을 오프하는
    감시 제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용 전기 회로는 복수 마련되고, 상기 패널측 커넥터의 복수 개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검지 유닛은 상기 검지용 전기 회로 모두에 전류를 흘릴 때에 양 커넥터간의 접속을 검지하는
    감시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용 전기 회로는 서로 직렬 접속되어 있고,
    상기 검지 유닛은, 상기 검지용 전기 회로에 흐르는 상기 전류에 의해 상기 전위가 변화되었을 때에, 양 커넥터간의 접속을 검지하는
    감시 제어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용 전원은 각 검지용 전기 회로에 대해 마련되어, 상기 검지용 전원으로부터 각 검지용 전기 회로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상기 검지 유닛은, 각 검지용 전기 회로에 대한 전위의 변화를 감시하고, 해당 감시 결과의 논리곱을 취함으로써 양 커넥터간의 접속을 검지하는
    감시 제어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유닛은 그 전면측에 본체측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본체측 커넥터의 대향 부위에 마련된 패널측 커넥터와 종료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본체측 커넥터와 상기 패널측 커넥터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으로의 장착시에 양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전원 회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상기 본체 유닛은, 상기 패널 유닛의 장착시에, 상기 종료 조작부에서의 조작에 응답해서 상기 패널 유닛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통전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감시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조작부는 상기 패널 유닛이 상기 본체 유닛에 장착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상기 패널 유닛의 일 표면에 마련된 조작 부재를 갖는 종료용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 제어 수단은 상기 종료용 스위치의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패널 유닛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는
    감시 제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입력부는 상기 종료 조작부로도 기능하는 감시 제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본체 유닛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또한 전면과 교차하여 연장되는 상기 패널 유닛의 주위면에 마련된 해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설치 수단을 가지며,
    상기 해제 버튼은, 상기 종료용 스위치의 상기 조작 부재로도 기능하는
    감시 제어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유닛은, 상기 전원 회로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응답하여 점등되는 점등 표시부를 가지는 감시 제어 장치.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화면 상에 조작 버튼을 표시시키고,
    상기 조작 입력부는 상기 조작 버튼을 이용하는 조작 입력을 접수하고,
    전송 통신부는 조작 입력에 따라 감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전원 회로부는,
    신호선을 거쳐서 송신되는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내부 전원을 생성하는 제 1 전원 회로부와,
    외부에 마련된 리모컨 트랜스를 거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부터 내부 전원을 생성하는 제 2 전원 회로부와,
    상기 제 1 전원 회로부 및 상기 제 2 전원 회로부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전원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감시 제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 회로부는,
    상기 신호선을 거쳐서 입력되는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생성된 직류 전원을 강압하는 저항 드롭 회로와,
    강압된 직류 전원을 소정 전압값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 회로와,
    상기 전송 신호로부터 생성한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압 레벨이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저항 드롭 회로의 드롭 저항의 임피던스 값을, 상기 검출한 전압 레벨이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이용하는 값보다 낮은 값으로 전환하는 임피던스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감시 제어 장치.
  2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유닛의 전면을 노출시키는 노출 창문이 개설된 앞판과, 상기 전면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상기 패널 유닛의 주위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지편을 가지며, 상기 벽면에 대해 정위치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테두리와,
    상기 앞판을 덮고 또한 상기 패널 유닛의 전면이 노출되는 커버측 노출 창문이 개설된 전벽(a front wall)과,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의 보지편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주위벽(peripheral wall portion)을 가지며,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에 끼워지는 플레이트 커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커버측 노출 창문은, 상기 패널 유닛이 실질적으로 극간 없이 꼭 들어맞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패널 유닛의 상기 주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낙하 방지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감시 제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돌기는 상기 패널 유닛의 상하의 주위면에 마련되어 있는 감시 제어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돌기는 상기 패널 유닛의 좌우의 주위면에 마련되어 있는 감시 제어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돌기는 상기 패널 유닛의 상하 및 좌우의 주위면에 마련되어 있는 감시 제어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돌기는 상기 패널 유닛의 주위면의 전체 주위에 걸쳐 마련되어 있는 감시 제어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돌기의 전면은 상기 플레이트 커버의 앞벽의 후면에 접촉하고 있는 감시 제어 장치.
KR1020100005169A 2009-01-21 2010-01-20 감시 제어 장치 KR101116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11132A JP5271095B2 (ja) 2009-01-21 2009-01-21 監視制御装置
JPJP-P-2009-011132 2009-01-21
JP2009017104A JP5406541B2 (ja) 2009-01-28 2009-01-28 監視制御装置
JPJP-P-2009-017104 2009-01-28
JPJP-P-2009-030178 2009-02-12
JP2009030178A JP4991773B2 (ja) 2009-02-12 2009-02-12 監視制御装置
JP2009041511A JP5149834B2 (ja) 2009-02-24 2009-02-24 監視制御装置
JPJP-P-2009-041511 2009-02-24
JPJP-P-2009-077689 2009-03-26
JP2009077689A JP4811487B2 (ja) 2009-03-26 2009-03-26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操作端末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872A KR20100085872A (ko) 2010-07-29
KR101116458B1 true KR101116458B1 (ko) 2012-03-07

Family

ID=4233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169A KR101116458B1 (ko) 2009-01-21 2010-01-20 감시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40787B2 (ko)
KR (1) KR101116458B1 (ko)
CN (1) CN101800039B (ko)
CA (1) CA2690585C (ko)
TW (1) TWI3999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58524A1 (en) * 2010-12-16 2012-06-21 Viacom International Inc. Integration of a Video Player Pushdown Advertising Unit and Digital Media Content
US8531829B2 (en) * 2011-01-03 2013-09-10 Ems Technologies, Inc. Quick mount system for computer terminal
TWI459259B (zh) * 2012-02-03 2014-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觸控面板及其訊號處理方法
CN202453678U (zh) * 2012-02-13 2012-09-26 施耐德电器工业公司 一种人机界面装置和包含其的控制柜
CN102609162B (zh) * 2012-02-15 2015-01-07 华映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讯号处理方法
US9036338B2 (en) * 2012-04-16 2015-05-19 SmallHD, LLC Support frame for high definition field monitor
US8724331B2 (en) * 2012-05-08 2014-05-13 Ching-Hsiung Chu Intelligent wall-mounted switch module
JP6277374B2 (ja) * 2013-09-09 2018-02-14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CN104460853A (zh) * 2013-09-25 2015-03-25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电子装置的锁定机构
JP6418485B2 (ja) * 2014-07-14 2018-1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JP6270658B2 (ja) * 2014-08-06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EP2991362A1 (en) * 2014-08-29 2016-03-02 Xieon Networks S.à r.l. A connector panel for plug-in units of a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associated shelf
JP1529042S (ko) * 2014-12-15 2015-07-21
US10582620B2 (en) * 2015-01-19 2020-03-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ler
US9568964B2 (en) * 2015-04-01 2017-02-14 Datavan International Corp. Cooling structure integrated all-in-one computer
WO2016157514A1 (ja) * 2015-04-03 2016-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盤および制御盤の更新方法
FR3037767B1 (fr) * 2015-06-19 2017-07-21 Legrand France Tablette informatique a installer dans un support d’une station d’accueil
DE102015118571A1 (de) * 2015-10-30 2017-05-04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Kunststoff-Spritzgießmaschine mit wenigstens einer Kamera
US10705566B2 (en) 2016-09-09 2020-07-07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native and virtualized video in a hybrid docking station
US11231448B2 (en) 2017-07-20 2022-01-25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te power management and discovery
JP6585685B2 (ja) * 2017-10-31 2019-10-0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表示器付き制御装置
TWI664788B (zh) * 2018-01-02 2019-07-01 偉詮電子股份有限公司 控制電路及控制方法
IT201800003516A1 (it) * 2018-03-13 2019-09-13 Bticino Spa Cabinet per apparecchiature elettriche
GB2594173B (en) 2018-12-19 2023-10-04 Targus International Llc Display and dock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1360534B2 (en) 2019-01-04 2022-06-14 Targus Internatonal Llc Smart workspace management system
CN109945409A (zh) * 2019-04-18 2019-06-28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线控器
CN110213134A (zh) * 2019-06-11 2019-09-06 中电能源互联网有限公司 支持多种类型电表模块通信规约检测的手持终端及工作方法
BR112022002917A2 (pt) 2019-08-22 2022-05-10 Targus International Llc Sistemas e métodos para videoconferência controlada por participantes
BR112022004289A2 (pt) 2019-09-09 2022-08-09 Targus International Llc Sistemas e métodos para estações de ancoragem fixáveis de modo removível a aparelhos de exibição e conjuntos de suporte de ancoragem
US20210073155A1 (en) * 2019-09-09 2021-03-11 Targus Internation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ocking stations removably attachable to display apparatuses
CN111600780B (zh) * 2020-06-30 2023-04-28 大连交通大学 一种智能家居局域网连接检测装置
KR102367649B1 (ko) * 2020-07-07 2022-02-25 주식회사 루텍 설치 유연성을 가진 디스플레이 모듈 구비 전기장치
US20240032235A1 (en) * 2022-07-20 2024-01-25 Crestron Electronics, Inc. Thermal management in electrical box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3170B2 (en) 1987-10-27 1990-02-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mote supervisory and controlling system
US5515303A (en) * 1989-04-14 1996-05-07 Norand Corporation Hand-held computerized data collection terminal with rechargeable battery pack sensor and battery power conservation
JP2823769B2 (ja) 1993-02-26 1998-11-1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着脱パネル付き電子機器
JPH06266472A (ja) 1993-03-12 1994-09-22 Sharp Corp 表示装置の脱着機構
JPH0746670A (ja) 1993-07-30 1995-02-14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制御端末器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US5455505A (en) * 1993-08-02 1995-10-03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Removable field programmable data memory storage module
US5642290A (en) * 1993-09-13 1997-06-2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Expansion chassis for a voltage regulator controller
JPH07212851A (ja) 1994-01-14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表示操作端末器
JP3539115B2 (ja) 1997-02-25 2004-07-07 松下電工株式会社 多機能スイッチ
KR100270666B1 (ko) 1998-03-16 2000-11-01 백성두 부하제어용 고속가공 제어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207071A (ja) 1999-01-19 2000-07-28 Nikon Corp 電源スイッチ回路
US20040027006A1 (en) 1999-01-19 2004-02-12 Nikon Corporation Power supply switch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JP2002289368A (ja) * 2001-03-23 2002-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TW569634B (en) * 2001-04-24 2004-01-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 programmable timer unit for use in a remote control load management system
JP3931764B2 (ja) 2002-08-27 2007-06-20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端末器
JP3886877B2 (ja) 2002-10-07 2007-02-28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Pcカード検出システムおよびpcカードの検出処理方法
US6967565B2 (en) * 2003-06-27 2005-11-22 Hx Lifespace, Inc. Building automation system
JP2005100070A (ja) 2003-09-25 2005-04-14 Sharp Corp 端末装置
JP2005165745A (ja) 2003-12-03 2005-06-23 Canon Inc 携帯情報端末の機能拡張装置
JP3835467B2 (ja) * 2004-07-27 2006-10-18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端末器
JP3982541B2 (ja) * 2005-04-15 2007-09-26 松下電工株式会社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設定器
TW200716029A (en) * 2005-10-25 2007-05-01 Fengher Technology Corp Multi-function digital photo frame
JP4757623B2 (ja) 2005-12-21 2011-08-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源回路
EP1978507A4 (en) * 2006-01-27 2012-06-20 Brother Ind Ltd DISPLAY DEVICE
JP4915551B2 (ja) * 2006-03-16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イムスイッチ
JP4925332B2 (ja) 2006-12-22 2012-04-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話端末
JP4630327B2 (ja) 2007-05-03 2011-02-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8565904B2 (en) * 2009-09-03 2013-10-22 Bruce Allen Bragg Irrigation controller and system integrating no-watering restrictions and an empirically-derived evapotranspiration local characteristic curve
US8626344B2 (en) * 2009-08-21 2014-01-07 Allure Energy, Inc.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10106320A1 (en) * 2009-10-30 2011-05-05 Rain Bir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rrigation schedule
DE102011050650B4 (de) * 2010-05-27 2013-07-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Zusammensetzung und Einrichtung zur Abschirmung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Anti-Elektrosstatische 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ruktur zur Abschirmung von elektromagnetischer Strah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40787B2 (en) 2012-12-25
CA2690585C (en) 2013-03-26
CA2690585A1 (en) 2010-07-21
US20100182262A1 (en) 2010-07-22
KR20100085872A (ko) 2010-07-29
TWI399986B (zh) 2013-06-21
TW201034473A (en) 2010-09-16
CN101800039B (zh) 2013-03-27
CN101800039A (zh)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458B1 (ko) 감시 제어 장치
CA2512811C (en) Setting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EP2114018A1 (en) Power line communication apparatus
CA2831397C (en) Controller
TW588579B (en) Electronic machine and use method thereof
JP4991773B2 (ja) 監視制御装置
JP4743302B2 (ja) 監視制御装置
JP3718999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5347837B2 (ja) 監視制御装置
JP2004272829A (ja) 誤接続判定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6091187B2 (ja) 表示装置
JP5271095B2 (ja) 監視制御装置
JP6372796B2 (ja) 住宅情報盤、住宅情報盤用電源装置、集合用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集合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5097155B2 (ja) 監視制御装置
CN215010937U (zh) 控制面板
JP3551713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CN112670863B (zh) 适用于多种安装方式的ftu核心单元及安装方法
KR100794144B1 (ko) 외부기기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215653596U (zh) 用于消防系统的控制器
CN208475569U (zh) 壁挂式控制器
JP2022190777A (ja) 遠隔操作装置
JP2018097271A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電源変換モジュール
JP2012253992A (ja) ディジタルリレー
JP2006278278A (ja) セキュリティー機器におけるコネクタの実装構造
JPH01164196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端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