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334B1 -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334B1
KR101113334B1 KR1020110091014A KR20110091014A KR101113334B1 KR 101113334 B1 KR101113334 B1 KR 101113334B1 KR 1020110091014 A KR1020110091014 A KR 1020110091014A KR 20110091014 A KR20110091014 A KR 20110091014A KR 101113334 B1 KR101113334 B1 KR 10111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shock
location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기
Original Assignee
김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기 filed Critical 김문기
Priority to KR102011009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6Motor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에 장착되어 오토바이의 도난을 미연 방지하기 위함과 더불어 도난당한 오토바이의 위치를 추적하고 오토바이 배터리의 무단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바이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오토바이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 제어장치 및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오토바이 시동키홀더와 연결되어 시동상태를 입력받는 시동감지모듈; 상기 오토바이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충격신호를 입력받는 충격감지모듈; 상기 충격감지모듈로부터 충격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시동감지모듈에서 오토바이의 시동상태를 감지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로부터 키온(key on)신호가 발생되면 키온신호를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온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의 주차나 정차로 키오프(key off)신호가 발생되면 키오프신호를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되, 충격감지센서의 충격신호에 반응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무단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충격감지모듈에서 충격신호가 입력되면 키온신호를 발생시켜 오프상태의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를 온상태가 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후에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비상신호를 출력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서 비상상황을 알리는 설정된 문자메시지(SMS)가 해당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서 비상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가 전송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를 오프시키거나 추가적인 충격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온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지하여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력소비가 큰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무단 방전을 방지하며, 오토바이의 도난 때에 비상상황을 소유주 휴대폰으로 알리고, 도난당한 오토바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전원 제어장치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무단 분리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오토바이의 보안 및 운영에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 Power of Motorcycle with Tracking Lo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토바이에 장착되어 오토바이의 도난을 미연 방지하기 위함과 더불어 도난당한 오토바이의 위치를 추적하고 오토바이 배터리의 무단 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토바이의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Auto Bicycle) 또는 모터사이클(Motorcycle)은 원동기를 달아 이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이륜차를 일컫는다. 흔히 '오토바이'라고 하고, 두 바퀴 중간 아래쪽에 엔진을 달아 벨트나 체인을 이용해서 뒷바퀴에 연결하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오토바이는 근거리를 이동하거나 짐을 싣고 운행할 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오토바이는 성능이나 디자인 등에 따라 다양한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종래에 오토바이는 자동차에 비하여 부피나 중량이 작아 도난의 위험이 있었다. 특히 고가의 오토바이는 도난의 피해가 심하다. 통상 오토바이는 주차구역이 특정되어 있지 않아 주차 중에 다른 차량이나 물체 등과 접촉되어 넘어지거나 망실될 가능성이 높았다. 그리고 오토바이는 노출되어 있어 오토바이에 장착된 부품이나 장식물 등의 도난이 빈번했다. 따라서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보기 등을 설치하고 있지만 경보기를 분리하거나 경보기를 망실시키거나 또는 경보기로 연결된 선을 잘라 내면 경보기는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오토바이를 통째로 도난당한 경우에는 위치를 추적하기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토바이는 장착된 배터리의 전원으로 초기 시동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오토바이용 배터리는 용량은 대략 12V/5A 내외로 12V/100A 용량의 자동차보다 작아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후에 오토바이에 장착된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을 작동시킬 경우에 배터리의 소모가 빨라지므로 오토바이용 배터리는 시동이 꺼진 후에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장착하더라도 전원 제어장치가 항상 온(ON)상태로 유지된다면 한정된 배터리의 용량에 따른 방전으로 오토바이의 시동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더욱이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오토바이에 장착되었다.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는 내장된 GPS로부터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추적된 위치정보를 오토바이 소유주 휴대폰으로 전송함으로써, 오토바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는 항상 온상태가 유지되어 오토바이용 배터리의 무단 방전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관리에 관한 문제가 남아 있었다. 즉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를 항상 온상태로 유지시키면 오토바이의 배터리가 무단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오토바이에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를 장착하지 않으면 오토바이의 위치를 찾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주차된 오토바이에 가해진 충격이나 진동을 감지하여 비상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위치추적용 단말기를 통해 오토바이 소유주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며, 오토바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오토바이에 장착된 위치추적용 단말기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토바이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 제어장치 및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오토바이 시동키홀더와 연결되어 시동상태를 입력받는 시동감지모듈; 상기 오토바이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충격신호를 입력받는 충격감지모듈; 상기 충격감지모듈로부터 충격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시동감지모듈에서 오토바이의 시동상태를 감지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로부터 키온(key on)신호가 발생되면 키온신호를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온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의 주차나 정차로 키오프(key off)신호가 발생되면 키오프신호를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되, 충격감지센서의 충격신호에 반응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무단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충격감지모듈에서 충격신호가 입력되면 키온신호를 발생시켜 오프상태의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를 온상태가 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후에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비상신호를 출력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서 비상상황을 알리는 설정된 문자메시지(SMS)가 해당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서 비상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가 전송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를 오프시키거나 추가적인 충격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온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지하여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력소비가 큰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무단 방전을 방지하며, 오토바이의 도난 때에 비상상황을 소유주 휴대폰으로 알리고, 도난당한 오토바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전원 제어장치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무단 분리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오토바이의 보안 및 운영에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전원 제어장치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배선상태를 나타낸 결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전원 제어장치(10)는 오토바이(1)에 장착된다. 전원 제어장치(10)는 오토바이의 배터리(4)와 시동키홀더(3), 그리고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에 각각 배선으로 연결된다.
전원 제어장치(10)의 전원공급모듈(15)은 오토바이(1)의 배터리(4)에 연결되어 전원 제어장치(10)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12V 및 Vcc)을 공급하는 것이다.
시동감지모듈(13)은 오토바이 시동키홀더(3)와 연결되어 오토바이의 시동상태를 입력받는 것이다. 즉 시동감지모듈(13)은 시동키홀더(3)에 삽입된 시동키로 오토바이의 시동상태를 입력받아 제어모듈(11)로 출력함으로써, 제어모듈(11)이 오토바이의 시동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충격감지모듈(12)은 오토바이(1)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2)로부터 충격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모듈(11)로 출력하는 것이다. 도 3에서, 충격감지모듈(12)은 충격이나 진동의 감지와 동시에 표시램프(D6)를 점멸하게 된다.
표시모듈(14)은 충격감지모듈(12)에서 감지된 충격신호로 제어모듈(11)의 제어로 오토바이(1)에 장착된 경음기(5)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모듈(11)은 충격감지모듈(12)로부터 충격신호를 입력받아 표시모듈(14)을 구동시키고, 시동감지모듈(13)에서 오토바이(1)의 시동상태를 감지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이다.
전원 제어장치(10)에는 오토바이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2)가 하나 이상 장착된다. 충격감지센서(2)는 자기장 스프링 방식의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충격감지센서(2)는 전원 제어장치(1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원 제어장치(10)는 오토바이(1)의 시동키홀더(3)와 시동신호를 송수신하는 시동선(IGN)이 배선 연결되고, 배터리(4)의 +단자와 -단자가 배선 연결된다. 그리고 전원 제어장치(10)는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와 시동선(IGN), 구동전원선(+), 비상신호선(E/S) 그리고 배터리(4)의 -단자가 배선 연결된다. 상기 전원 제어장치(10)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 사이에 연결된 배선이 단선될 때에 전원 제어장치(10)는 이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토바이(1)의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전원 제어장치(10)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로 전원이 공급되지만, 오토바이(1)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는 전원 제어장치(10) 및 충격감지센서(2)로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전원 제어장치(10)는 전력소비가 큰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제한하여 배터리가 무단으로 방전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에서, 제어모듈(11)에 연결된 커넥터(JP1)는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로 연결되고, 전원공급모듈(15)에 연결된 커넥터(JP2)는 배터리(4)와 연결되며, 표시모듈(14) 및 시동감지모듈(13)에 연결된 커넥터(JP3)는 오토바이의 시동키홀더(3)와 연결된다. 충격감지모듈(12)에는 충격감지센서(2)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오토바이를 주차한 상태에서는 배터리(4)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원 제어장치(10)에 연결된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는 오프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오토바이를 이용하기 위하여 시동키를 시동키홀더(3)에 꽂고 시동을 걸면 전원 제어장치(10)의 제어모듈(11)은 오토바이(1)로부터 키온(key on)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시동키홀더(3)에서 키온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모듈(11)은 키온신호를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에 전달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가 온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11)은 사용자에 의하여 시동된 오토바이(1)의 시동키홀더(3)로부터 시동키가 뽑히면 시동키홀더(3)로부터 키오프(key off)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시동키홀더(3)에서 키오프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모듈(11)은 키오프신호를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에 전달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가 오프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제어모듈(11)은 오토바이(1)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오토바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충격감지모듈(12)에서 충격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 이때, 충격감지모듈(12)에서 충격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모듈(11)로 입력되면, 제어모듈(11)은 키온신호를 발생시켜 오프상태의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를 온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11)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로 키온신호를 출력한 후에 일정 시간, 예로, 대략 30초 후에 비상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30초는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가 온상태에서 워밍업이나 부팅되는 시간이다.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는 전원 제어장치(10)로부터 비상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비상상황에 관한 문자메시지(SMS)를 설정된 오토바이 소유주나 통신단말기의 가입자 전화번호로 전송한다. 더욱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는 문자메시지와 더불어 미리 설정된 음성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모듈(11)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에서 비상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가 전송된 후에 대기시간, 예로, 대략 5분이 경과하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를 오프시킨다. 상기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가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후의 대기시간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시간으로 대략 1분~60분 중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오토바이로부터 추가적인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충격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는 온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한편, 발송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에 장착된 GPS에 의하여 원격에서 오토바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는 오토바이의 도난방지 및 위치추적을 위한 관제서비스로 원격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지도 상에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20)의 위치를 추적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토바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는 오토바이에서 발생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경보음의 발생과 오토바이 소유주에게 문자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의하여 배터리가 무단으로 방전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오토바이 보안 및 운영에 편의를 제공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오토바이 2: 충격감지센서 3: 시동키홀더 4: 배터리 10: 전원 제어장치 11: 제어모듈 12: 충격감지모듈 13: 시동감지모듈 14: 표시모듈 15: 전원공급모듈 20: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

Claims (3)

  1. 오토바이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 제어장치 및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오토바이 시동키홀더와 연결되어 시동상태를 입력받는 시동감지모듈; 상기 오토바이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로부터 충격신호를 입력받는 충격감지모듈; 상기 충격감지모듈로부터 충격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시동감지모듈에서 오토바이의 시동상태를 감지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로부터 키온(key on)신호가 발생되면 키온신호를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온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의 주차나 정차로 키오프(key off)신호가 발생되면 키오프신호를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전달하여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되, 충격감지센서의 충격신호에 반응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무단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오토바이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충격감지모듈에서 충격신호가 입력되면 키온신호를 발생시켜 오프상태의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를 온상태가 되도록 하고, 일정 시간 후에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 비상신호를 출력하여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서 비상상황을 알리는 설정된 문자메시지(SMS)가 해당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에서 비상상황을 알리는 문자메시지가 전송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를 오프시키거나 추가적인 충격신호가 입력되면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의 온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91014A 2011-09-08 2011-09-08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KR10111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014A KR101113334B1 (ko) 2011-09-08 2011-09-08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014A KR101113334B1 (ko) 2011-09-08 2011-09-08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334B1 true KR101113334B1 (ko) 2012-03-02

Family

ID=4614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014A KR101113334B1 (ko) 2011-09-08 2011-09-08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855A1 (ko) * 2016-07-08 2018-01-11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30128B1 (ko) 2016-10-14 2018-02-21 주식회사 에스원 가속도 센서 및 저전력 기반의 도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난 감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362A (ko) * 2003-07-02 2005-01-12 김준선 저 전력 소모형 오토바이 도난 방지 시스템
KR20090016775A (ko) * 2007-08-13 2009-02-18 권혁숙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도난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362A (ko) * 2003-07-02 2005-01-12 김준선 저 전력 소모형 오토바이 도난 방지 시스템
KR20090016775A (ko) * 2007-08-13 2009-02-18 권혁숙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도난 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8855A1 (ko) * 2016-07-08 2018-01-11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06125A (ko) * 2016-07-08 2018-01-17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58347B1 (ko) * 2016-07-08 2018-06-27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30128B1 (ko) 2016-10-14 2018-02-21 주식회사 에스원 가속도 센서 및 저전력 기반의 도난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난 감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139B1 (ko) 차량 원격 제어 시스템
CN102769311A (zh) 充电台、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KR20070012186A (ko) 차량용 보안 시스템
US9340118B2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an electricity storage apparatus in a vehicle
EP2284052B1 (en) Anti-thef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1966859A (zh) 摩托车/电瓶车防盗系统及方法
CN104986248A (zh) 一种电动自行车用智能定位防盗系统
JP201452586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113334B1 (ko)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JP6771459B2 (ja) 電気車両又はハイブリッド車両のための充電式電池パック
US10513188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for electric or hybrid vehicles compris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FR2971877A1 (fr) Dispositif de prevention de l’oubli d’un appareil portable
CN209852475U (zh) 一种电动自行车防盗装置
JP3200243U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KR101363042B1 (ko) 오토바이용 시동 제어장치
JP3200585U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CN103507756A (zh) 远程定位防盗装置及其防盗方法
JP3200244U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CN103507752A (zh) 远程定位防盗装置
JP3200242U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US200800793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a building and vehicle
CN208360115U (zh) 一种具备电话app微信报警功能的卫星定位防盗系统
CN204651968U (zh) 车载智能应急电源防盗结构
JP6226933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システム
CN201619631U (zh) 电子锁式报警防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