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347B1 -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347B1
KR101858347B1 KR1020160086830A KR20160086830A KR101858347B1 KR 101858347 B1 KR101858347 B1 KR 101858347B1 KR 1020160086830 A KR1020160086830 A KR 1020160086830A KR 20160086830 A KR20160086830 A KR 20160086830A KR 101858347 B1 KR101858347 B1 KR 10185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terminal
theft
negative electrod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125A (ko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피원
Priority to KR102016008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347B1/ko
Priority to PCT/KR2017/005883 priority patent/WO2018008855A1/ko
Publication of KR20180006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88Cycles, e.g.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는,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며,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On) 상태에서 오토바이 및 사용자 단말기 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1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며, 오토바이의 시동이 오프(Off) 된 후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제2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MOTORCYCLE THEFT}
본 발명은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속적으로 오토바이 도난을 감지하는 것이 아닌 이벤트 발생시에만 오토바이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Motorcycle)는 자동차에 비해 소형이며 경량이기 때문에 도난사고의 발생률이 자동차에 비해 훨씬 높다. 따라서 종래에는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고정체에 오토바이를 자물쇠나 쇠사슬 등으로 묶어 놓거나 오토바이의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휠(wheel)에 잠금장치를 마련해두기도 하였다.
또한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결과, 충격센서 등을 이용한 오토바이 도난방지시스템이 개발되었는바, 이러한 센서 등을 이용한 오토바이 도난방지시스템은 오토바이에 진동 등이 발생하는 경우를 도난 상황으로 인식하여 경보음 등을 울리거나 또는 이동통신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오토바이의 도난을 방지한다.
이러한 센서 등을 이용한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은 오토바이의 충격 등의 감지기능과 감지에 따른 알람 발생 및 전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계속하여 활성 상태(active state)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 감지 센서 등에는 약 10mA의 대기 전류가 계속 흐르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통상적으로 오토바이의 배터리 용량은 약 3~8[Ah] 정도이며 자동차의 배터리 용량 50~60[Ah]에 비해 10배 정도 작다. 이로 인해서 평상시에 도난 방지를 위해서 흐르는 작은 대기 전류로도 오토바이의 배터리 방전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의 배터리 용량이 50cc인 경우라면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로 두더라도 도난 방지 감시센서의 동작으로 인해 오토바이 배터리가 일주일 내에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이렇게 배터리가 방전이 되면 충격 감지센서 등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오토바이 도난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오토바이 도난방지를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충격 감지센서 등에서 감지되는 감지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원격지 등에 위치한 사용자(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감지 데이터를 이동통신 네트워크 등을 통해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요금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1281호(공개일: 2009년 07월 28일)가 있다.
지속적으로 오토바이의 도난 방지를 감지하는 것이 아닌 시동 온 또는 오프시 또는 오토바이의 시동 온 또는 시동 오프 이후에 설정된 도난방지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만 오토바이 도난방지 동작을 수행하는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는,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배터리; 와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며,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On) 상태에서 오토바이 및 사용자 단말기 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1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며, 오토바이의 시동이 오프(Off) 된 후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제2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결합 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 온/오프를 감지하는 시동 감지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로 사용자 단말기와 도난 방지 장치 간 거리가 일정 거리를 벗어났는가를 측정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변화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상기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 온(On) 된 후 오토바이 및 사용자 단말기 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1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며, 오토바이의 시동이 오프(Off) 된 후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제2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일단이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양극 연결 홀이 형성된 양극 연결 단자와, 일단이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음극 연결 홀이 형성된 음극 연결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커버는, 하면이 개방되고, 배터리에 형성된 걸림 홈에 체결되도록 후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면에 제1 고정 홀 및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양극 단자홀이 형성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홀이 형성된 음극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양극 연결 단자의 양극 연결 홀, 상기 몸체의 제1 고정 홀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의 양극 단자홀에 삽입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양극 볼트; 상기 양극 볼트가 양극 단자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돌출된 양극 볼트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양극 연결 단자를 가압하는 제1 양극 너트; 상기 음극 연결 단자의 음극 연결 홀, 상기 몸체의 제2 고정 홀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의 음극 단자홀에 삽입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음극 볼트; 및 상기 음극 볼트가 음극 단자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돌출된 음극 볼트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음극 연결 단자를 가압하는 제1 음극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양극 연결 단자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양극 너트의 상부로 돌출된 양극 볼트에 체결되기 위한 양극 체결 홀이 형성되고 스타트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양극 단자; 상기 제1 양극 너트의 상부로 도출된 양극 볼트와 외부 양극 단자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양극 단자의 상부로 돌출된 양극 볼트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외부 양극 단자를 가압하는 제2 양극 너트;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음극 연결 단자가 가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음극 너트의 상부로 돌출된 음극 볼트와 체결되는 음극 체결 홀이 형성되고 스타트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음극 단자; 및 상기 제1 음극 너트의 상부로 도출된 음극 볼트와 외부 음극 단자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음극 단자의 상부로 돌출된 음극 볼트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외부 음극 단자를 가압하는 제2 음극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동 감지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오토바이의 배터리에 장착된 도난 방지 장치가 수행하는 도난 방지 방법으로, 오토바이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감지하는 단계; 와 상기 감지결과,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On) 상태이면 오토바이 및 사용자 단말기 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제1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고, 오토바이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이면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된 경우에만 제2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지속적으로 오토바이 도난을 감지하는 것이 아닌 이벤트 발생시에만 오토바이 도난 방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도난 감지 데이터를 이동통신망 등을 통해서 전송하는 것을 줄여서 데이터 통신요금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인쇄회로기판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의 배터리에 장착된 도난 방지 장치가 수행하는 도난 방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방지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오토바이 도난 방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 시 도난 여부를 감지하여 지속적으로 이동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 또는 미리 설정된 기관(경찰서 등)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많은 데이터 통신 요금이 발생하는 문제점과 도난 방지 감지 동작을 위해서 배터리의 전원이 빨리 소모된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 장치(20)는 오토바이(1)의 시동 On 또는 Off 이후에 각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에 도난방지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오토바이(1)의 시동 On 이후에 배터리(10)에 장착된 도난 방지 장치(2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에만, 즉 도난 방지 장치(20)와 사용자 단말기(100) 간의 일정 거리 이상 멀어져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도난 방지 장치(20)는 제1 도난 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한편 오토바이(1)의 시동 Off 이후에 오토바이(1)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 오토바이(1)에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도난 방지 장치(20)는 제2 도난 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오토바이(1)에 대한 물리적인 상태 변화 감지는 후술할 인쇄회로기판(30)의 상태 감지부(33)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 감지부(33)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20)는 오토바이의 도난 방지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도난 방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통신 요금을 최소화하면서도 배터리(10)의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난 방지 장치(20)는 배터리(10), 인쇄회로기판(30) 및 보호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는 오토바이(1)에 장착되어, 오토바이(1)의 스타트 버튼(미도시)이 눌린 경우 시동을 걸기 위한 스타트 모터(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한다.
인쇄회로기판(30)은 배터리(10)에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감지부(31), 근거리 통신부(32), 상태 감지부(33), 네트워크 통신부(34), 신호 발생부(35) 및 전원부(36)를 포함한다.
시동 감지부(31)는 오토바이(1)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감지한다. 이때, 시동 감지부(31)는 배터리(10) 전압이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배터리(10) 전압이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설정된 전압은 13.8[V]일 수 있다. 배터리(10) 전압이 13.8[V] 이상인 경우 시동 감지부(31)는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배터리(10) 전압이 13.8[V] 미만인 경우 시동 감지부(31)는 오토바이(1)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32)는 사용자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도난 방지 장치(20) 간 거리가 일정 거리를 벗어났는가를 측정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부(32)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근거리 통신부(32)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의 수신 여부로써, 사용자 단말기(100)와 도난 방지 장치(20) 간 거리가 일정 거리를 벗어났는가를 측정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근거리 통신부(32)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도난 방지 장치(20) 간 거리가 일정거리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블루투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근거리 통신부(32)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도난 방지 장치(20) 간 거리가 일정거리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태 감지부(33)는 오토바이(1)의 물리적인 변화상태를 감지한다. 즉 상태 감지부(33)는 오토바이(1)에 가해지는 충격, 오토바이(1)의 흔들림 또는 넘어짐 등과 같은 물리적인 변화상태를 감지하기 위해서, 자이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34)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과의 통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 통신부(34)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을 구현한 IC 카드로 구현한 SIM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USIM)은 WCDMA 네트워크 접속 및 가입자 인증용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신용 스마트카드인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에 탑재되어 구동된다.
신호 발생부(35)는 오토바이(1)의 시동 온(On) 된 후 오토바이(1)(좀 더 정확하게는 도난 방지 장치(20)) 및 사용자 단말기(100) 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1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통신부(34)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한편, 오토바이의 시동이 오프(Off) 된 후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신호 발생부(35)는 제2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 통신부(3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로 전송한다.
전원부(36)는 배터리(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인쇄 회로 기판(30)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30)은 오토바이(1)의 도난 방지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도난 방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통신 요금을 최소화하면서도 배터리(10)의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방지 장치(20)의 인쇄회로기판(30)이 외부의 힘에 의해서 제거되면 오토바이 도난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30)을 배터리(10)에 장착하여 인쇄회로기판(30)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서 오토바이 도난방지 장치(20)의 도난 방지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오토바이 도난방지 장치(20)의 인쇄회로기판(30)이 장착된 배터리(10)를 제거하는 경우 오토바이(1)의 시동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오토바이 도난 방지가 더욱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방지 장치(20)의 장착 구조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인쇄회로기판(30)은, 일단이 전원부(36)에 연결되고 타단에 양극 연결 홀(37a)이 형성된 양극 연결 단자(37)와, 일단이 전원부(36)에 연결되고 타단에 음극 연결 홀(38a)이 형성된 음극 연결 단자(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커버(50)는, 하면이 개방되고, 배터리(10)에 형성된 걸림 홈(15)에 체결되도록 후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 돌기(51)가 형성되고, 상면에 제1 고정 홀(52) 및 제2 고정홀(53)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body)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0)는 양극 단자홀(11)이 형성된 양극 단자(12) 및 음극 단자홀(13)이 형성된 음극 단자(14)를 포함한다.
도난 방지 장치(20)는, 양극 연결 단자(37)의 양극 연결 홀(37a), 상기 몸체의 제1 고정 홀(52)을 관통하여 배터리(10)의 양극 단자홀(11)에 삽입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양극 볼트(60)와, 양극 볼트(60)가 양극 단자홀(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돌출된 양극 볼트(60)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양극 연결 단자(37)를 가압하는 제1 양극 너트(61)와, 음극 연결 단자(38)의 음극 연결 홀(38a), 상기 몸체의 제2 고정 홀(53)을 관통하여 배터리(10)의 음극 단자홀(38a)에 삽입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음극 볼트(62)와, 음극 볼트(62)가 음극 단자홀(38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돌출된 음극 볼트(62)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음극 연결 단자(38)를 가압하는 제1 음극 너트(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구조를 통해서 보호 커버(50), 인쇄회로기판(30) 및 배터리(10)가 일체화된다.
이에 더하여, 배터리(10)에서 스타트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도난 방지 장치(20)는, 상기 몸체(보호 커버(50))의 상면 및 양극 연결 단자(37)가 가압된 상태에서, 제1 양극 너트(61)의 상부로 돌출된 양극 볼트(60)에 체결되기 위한 양극 체결 홀(64)이 형성되고 스타트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양극 단자(65)와, 제1 양극 너트(61)의 상부로 도출된 양극 볼트(60)와 외부 양극 단자(65)가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 양극 단자(65)의 상부로 돌출된 양극 볼트(60)와 나사 체결되어 외부 양극 단자(65)를 가압하는 제2 양극 너트(66)와, 상기 몸체(보호 커버(50))의 상면 및 음극 연결 단자(38)가 가입된 상태에서, 제1 음극 너트(63)의 상부로 돌출된 음극 볼트(62)와 체결되는 음극 체결 홀(67)이 형성되고 스타트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음극 단자(68)와, 제1 음극 너트(63)의 상부로 도출된 음극 볼트(62)와 외부 음극 단자(68)가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 음극 단자(68)의 상부로 돌출된 음극 볼트(62)와 나사 체결되어 외부 음극 단자(68)를 가압하는 제2 음극 너트(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의 배터리에 장착된 도난 방지 장치가 수행하는 도난 방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20)는 오토바이의 시동 온(On) 또는 오프(Off)를 감지한다(S10).
이때,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20)는 배터리 전압이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20)는 상기 감지결과,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On) 상태이면 오토바이 및 사용자 단말기 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제1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오토바이의 시동이 오프(Off) 상태이면,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20)는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된 경우에만 제2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도난 방지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2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오토바이
10 : 배터리
20 :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30 : 인쇄회로기판
50 : 보호 커버

Claims (8)

  1.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배터리; 와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며, 오토바이의 시동이 온(On) 상태에서 오토바이 및 사용자 단말기 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1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며, 오토바이의 시동이 오프(Off) 된 후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제2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배터리와 결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양극 연결 홀이 형성된 양극 연결 단자와, 일단이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음극 연결 홀이 형성된 음극 연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커버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기 배터리에 형성된 걸림 홈에 체결되도록 후면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면에 제1 고정 홀 및 제2 고정홀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body)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양극 단자홀이 형성된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홀이 형성된 음극 단자를 포함하는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 온/오프를 감지하는 시동 감지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로 사용자 단말기와 도난 방지 장치 간 거리가 일정 거리를 벗어났는가를 측정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변화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상기 오토바이의 시동 온(On) 된 후 오토바이 및 사용자 단말기 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면 제1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며, 오토바이의 시동이 오프(Off) 된 후 오토바이의 물리적인 상태 변화가 감지되면 제2 도난방지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 또는 도난 방지 서버로 전송하는 신호 발생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동작 전원으로 공급하는 상기 전원부를 포함하는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양극 연결 단자의 양극 연결 홀, 상기 몸체의 제1 고정 홀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의 양극 단자홀에 삽입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양극 볼트;
    상기 양극 볼트가 양극 단자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돌출된 양극 볼트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양극 연결 단자를 가압하는 제1 양극 너트;
    상기 음극 연결 단자의 음극 연결 홀, 상기 몸체의 제2 고정 홀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의 음극 단자홀에 삽입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음극 볼트; 및
    상기 음극 볼트가 음극 단자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돌출된 음극 볼트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음극 연결 단자를 가압하는 제1 음극 너트;를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방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양극 연결 단자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양극 너트의 상부로 돌출된 양극 볼트에 체결되기 위한 양극 체결 홀이 형성되고 스타트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양극 단자;
    상기 제1 양극 너트의 상부로 도출된 양극 볼트와 외부 양극 단자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양극 단자의 상부로 돌출된 양극 볼트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외부 양극 단자를 가압하는 제2 양극 너트;
    상기 몸체의 상면 및 상기 음극 연결 단자가 가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음극 너트의 상부로 돌출된 음극 볼트와 체결되는 음극 체결 홀이 형성되고 스타트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음극 단자; 및
    상기 제1 음극 너트의 상부로 도출된 음극 볼트와 외부 음극 단자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음극 단자의 상부로 돌출된 음극 볼트와 나사 체결되어 상기 외부 음극 단자를 가압하는 제2 음극 너트를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동 감지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이 설정된 전압 이상인 경우 시동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전압이 설정된 전압 미만인 경우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60086830A 2016-07-08 2016-07-08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5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830A KR101858347B1 (ko) 2016-07-08 2016-07-08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PCT/KR2017/005883 WO2018008855A1 (ko) 2016-07-08 2017-06-07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830A KR101858347B1 (ko) 2016-07-08 2016-07-08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125A KR20180006125A (ko) 2018-01-17
KR101858347B1 true KR101858347B1 (ko) 2018-06-27

Family

ID=60912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830A KR101858347B1 (ko) 2016-07-08 2016-07-08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8347B1 (ko)
WO (1) WO20180088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330A (ko) 2022-06-15 2023-12-22 장우진 오토바이 도난경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31509A (zh) * 2019-12-31 2020-05-08 深圳市乐途宝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拖动报警方法、系统及其车辆
CN112373610A (zh) * 2020-11-17 2021-02-19 彭星光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电动车防盗定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617Y1 (ko) * 2006-05-25 2006-09-19 김현식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
KR101113334B1 (ko) * 2011-09-08 2012-03-02 김문기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JP5715253B2 (ja) * 2011-06-23 2015-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盗難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362A (ko) * 2003-07-02 2005-01-12 김준선 저 전력 소모형 오토바이 도난 방지 시스템
KR20090081281A (ko)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금산코리아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0238B1 (ko) * 2010-11-03 2012-03-26 (주)강원지역대학연합기술지주회사 차량 도난 방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617Y1 (ko) * 2006-05-25 2006-09-19 김현식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
JP5715253B2 (ja) * 2011-06-23 2015-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盗難防止装置
KR101113334B1 (ko) * 2011-09-08 2012-03-02 김문기 위치추적용 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오토바이의 전원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330A (ko) 2022-06-15 2023-12-22 장우진 오토바이 도난경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8855A1 (ko) 2018-01-11
KR20180006125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347B1 (ko)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US8592064B2 (en) Intelligent multifunctional accumulator
CN108665046B (zh) 一种防拆卸监测电路、电子标签、防盗系统及其防盗方法
US20110060481A1 (en) Antitheft method and system for motorcycles
TWI816788B (zh) 便攜式鎖及其解鎖的方法
CN110469206B (zh) 便携式锁
US10029574B2 (en) Charging cable for vehicle
CN110171310B (zh) 从机动车的车载电网中给电动自行车充电的方法和系统
JP2007195021A (ja) 携帯端末装置
CN103612691A (zh) 一种内置式自行车防盗装置
US20200303937A1 (en) Automatic shutdown device for battery-powered electronics
US20090147427A1 (en) Battery disconnect device
EP2915706B1 (en)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apparatus
JP6771459B2 (ja) 電気車両又はハイブリッド車両のための充電式電池パック
JP4083614B2 (ja) エンジン制御ユニット
WO2014065313A1 (ja) 電子キーシステム
EP1808339B1 (fr) Dispositif d'acquisition de l'état d'un capteur d'un siège de véhicule
JP5338878B2 (ja) 車両位置通報装置
CN201484542U (zh) 摩托车防盗器
CN210271145U (zh) 纹波检测防盗装置
KR102003963B1 (ko) 건전지형 비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실물 추적 장치
KR101173564B1 (ko)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28258B1 (ko)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
CN201566589U (zh) 汽车防盗装置
WO2020074969A1 (en) Autonomous fingerprint pedal lock equipped with camera and shoc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