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258B1 -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258B1
KR101528258B1 KR1020130134926A KR20130134926A KR101528258B1 KR 101528258 B1 KR101528258 B1 KR 101528258B1 KR 1020130134926 A KR1020130134926 A KR 1020130134926A KR 20130134926 A KR20130134926 A KR 20130134926A KR 101528258 B1 KR101528258 B1 KR 101528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tate
converter
alarm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122A (ko
Inventor
김용은
문희석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34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2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0Actuation by change of fluid press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 시스템은, 경적 발생기, DC 전원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 및 DC/DC 컨버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키-상태를 판단하고 키-상태가 키-오프 상태로 판단되면 RPM을 분석하고 RPM이 증가 상태이면 상기 경적 발생기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GPS 모듈이나 충격 센서와 같은 값비싼 부품 추가 없이 현존 시스템을 가급적 그대로 사용하면서, 부수적인 전력 소모 없이 도난 방지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Anti-Theft System and Electric Driv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이륜차나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기구동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도난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륜차 도난 방지를 위해 GPS 모듈을 이용한 추적 시스템이 있다. 도 1에 이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GPS 모듈을 이용한 위치 기반의 추적 방법은, 이륜차(10)에 GPS 모듈(미도시)을 구비시키고, GPS 모듈에 의해 산정되는 위치를 기지국(20)을 통해 관제 서버(30)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는, GPS 모듈이 항시 동작하고 있어야 하고, 기지국(20)과 주기적으로 통신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많은 전력 소모와 통신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지능적인 범죄자가 GPS 모듈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된다는 문제도 있다.
보다 단순화된 방법으로, 이륜차(10)에 충격 센서를 부착하고, 충격 센서에 의해 임계치를 넘어가는 충격이 감지되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한 기술이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이지만, 충격 센서라는 부품을 추가적으로 장착하여야 한다는 점, 충격 센서에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비용 발생을 유발한다. 나아가, 지능적인 범죄자가 충격 센서에서 배터리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값비싼 부품 추가 없이 현존 시스템을 가급적 그대로 사용하고, 부가적인 전력 소모가 없는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 시스템은, 경적 발생기; DC 전원의 크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키-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키-상태가 키-오프 상태로 판단되면 RPM을 분석하고, 상기 RPM이 증가 상태이면 상기 경적 발생기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 시스템은,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로부터 전원 공급시, 상기 DC/DC 컨버터를 턴-온 시키는 기동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는, 키-오프 상태에서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경우에 전원이 발생되어 상기 기동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동회로는, 상기 인버터에 의해 발생된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의 충전량 임계치를 초과하면 스위칭 되어 상기 DC/DC 컨버터를 턴-온 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난 중단시의 경보 시간은, 상기 충전부의 용량에 비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경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키-상태가 키-온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경적 발생기를 통한 경보 발생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구동 시스템은, 상기 경보가 발생된 사실을, 스마트-키, 사용자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알리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 방법은, 전원이 인가되면, 키-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상태가 키-오프 상태로 판단되면, RPM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RPM이 증가 상태이면,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GPS 모듈이나 충격 센서와 같은 값비싼 부품 추가 없이 현존 시스템(인버터, DC/DC 컨버터, 키-박스, 통합 제어기, 경적 발생기)을 가급적 그대로 사용하여 도난 방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구동시 DC/DC 컨버터가 턴-온 되어 제어기가 웨이크 업 되기 때문에, 도난 방지를 위해 전력을 항시 소모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기구동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이슈인 전력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도난 방지 시스템이 전기구동 시스템에 일체화되어 있어, 지능적인 범죄자라 할지라도 본 발명에 따른 도난 방지 시스템을 무력화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방범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GPS 모듈을 이용한 종래의 도난 이륜차 추적 방법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차의 도난 방지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차의 도난 방지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차의 도난 방지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차의 도난 방지 시스템은, 키-오프 상태에서 DC 전류 공급시 RPM이 증가하는지 확인하여 도난 여부를 판단하고, 도난으로 판단된 경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차는, 배터리(110), 메인-릴레이(115), 인버터(120), 모터(130), 컨버터 기동회로(140), DC/DC 컨버터(150), 키-박스(155), 통합 제어기(160), 경적 제어기(170), 경적 스위치(175) 및 경적 발생기(180)를 구비한다.
배터리(110)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인버터(120)와 DC/DC 컨버터(150)로 공급한다.
메인-릴레이(115)는 배터리(110)와 인버터(12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스위칭하는 소자이다. 메인-릴레이(115)가 턴-온 되면, 배터리(110)와 인버터(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10)에서 인버터(120)로 전원이 공급된다. 반면, 메인-릴레이(115)가 턴-오프 되면, 배터리(110)와 인버터(120)가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배터리(110)에서 인버터(12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메인-릴레이(115)의 스위칭 동작은 키-박스(155)를 통한 운전자의 키 조작에 의해 결정된다. 운전자가 키-박스(155)를 통해 키-온 한 경우에는 메인-릴레이(115)도 턴-온 하고, 운전자가 키-박스(155)를 통해 키-오프 한 경우에는 메인-릴레이(115)도 턴-오프 한다.
인버터(120)는 메인-릴레이(115)를 통해 배터리(1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여 전기 이륜차의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130)에 공급한다.
DC/DC 컨버터(150)는, 운전자가 키-박스(155)를 통해 키-온 한 경우 턴-온 되어 배터리(11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를 12V로 변압하여, 전장부품들에 공급한다. 운전자가 키-박스(155)를 통해 키-온 하면, 키-박스(155)의 좌측 출력라인(키-온 시 접지됨)에 의해 DC/DC 컨버터(150)의 인에이블 단자가 접지되어 턴-온 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키-박스(155), 통합 제어기(160), 경적 제어기(170), 경적 스위치(175) 및 경적 발생기(180) 외에도, DC/DC 컨버터(150)는 전기 이륜차에 마련된 모든 전장부품들에 12V의 DC 전원을 공급한다.
경적 발생기(180)는 운전자가 경적 스위치(175)를 눌러 스위치-온 시킨 경우 12V 전원이 인가되어 경적을 발생시킨다.
컨버터 기동회로(1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시, DC/DC 컨버터(150)를 턴-온 시킨다. 이를 위해, 컨버터 기동회로(140)는 키-박스(155)와 마찬가지로 DC/DC 컨버터(150)의 인에이블 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DC/DC 컨버터(150)는 키-박스(155)가 키-오프 된 상태에서도, 컨버터 기동회로(140)에 의해 턴-온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이륜차 도난이 발생한 경우, 키-박스(155)가 키-오프 된 상태에서도, 컨버터 기동회로(140)에 의해 DC/DC 컨버터(150)가 턴-온 된다. 이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키-박스(155)가 키-오프 되어 메인-릴레이(115)가 턴-오프 되면, 배터리(110)에서 인버터(12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때, 도난 행위에 의해 전기 이륜차가 끌려가 모터(130)가 회전하면 AC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 AC 전압이 인버터(120)의 내부 FET(121)를 거치면서 정류되어 인버터(120)의 DC 링크(123)에 DC 전압이 충전된다.
DC 링크(123)에 충전된 DC 전압은 컨버터 기동회로(140)에 인가되어, R1(141)과 R2(142)에 의해 분배되어, C2(143)를 충전시킨다. C2(143)의 충전 전압이 높아져 FET(145)의 임계 전압 이상이 되면, FET(145)가 턴-온 되어 DC/DC 컨버터(150)의 인에이블 단자가 접지되며, 이에 의해 DC/DC 컨버터(150)는 턴-온 된다.
DC/DC 컨버터(150)가 턴-온 되면, 통합 제어기(160)는 DC/DC 컨버터(150)로부터 DC 전원을 인가받아 웨이크-업 한다. 웨이크-업 된 통합 제어기(160)는 키-박스(155)의 우측 출력라인을 통해 현재의 키-상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키-박스(155)를 통해 키-오프 하면 키-박스(155)의 우측 출력라인은 12V를 출력하므로, 키-박스(155)의 우측 출력라인에서 12V가 출력되면 통합 제어기(160)는 현재 키-오프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키-오프 상태로 판단되면, 통합 제어기(160)는 CAN을 통해 인버터(120)의 RPM 값을 수신받아 이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RPM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통합 제어기(160)는 전기 이륜차의 도난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여, 도난 경보를 위해 경적 제어기(170)를 턴-온 시켜 경적 발생기(180)를 통해 경적을 발생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차의 도난 방지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난으로 전기 이륜차가 끌려가, 모터(130)에서 발생된 AC 전압에 의해 인버터(120)의 DC 링크(123)에 충전된 DC 전압이 컨버터 기동회로(140)로 인가되어, C2(143)의 충전 전압이 높아져 FET(145)가 턴-온 되면, DC/DC 컨버터(150)도 턴-온 되어 전장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한다(S210).
S210단계를 통해 DC/DC 컨버터(150)로부터 DC 전원을 인가받아 웨이크-업 한 통합 제어기(160)는 키-박스(155)의 우측 출력라인을 통해 현재의 키-상태를 판단한다(S220).
S220단계를 통해 현재 키-상태가 키-오프 상태로 판단되면(S220-Y), 통합 제어기(160)는 CAN을 통해 수신된 인버터(120)의 RPM 값을 분석한다(S230). 분석결과 RPM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30-Y), 통합 제어기(160)는 경적 제어기(170)를 턴-온 시켜 경적 발생기(180)를 통해 경적을 발생시킨다(S240). 전기 이륜차의 도난이 발생한 경우로, 도난 경보를 위함이다.
한편, 도난 행위가 중단되면, 모터(130)가 회전하지 않아 AC 전압이 발생하지 않고, 인버터(120) DC 링크(123)에 충전된 DC 전압은 모두 방전된다. 따라서, 컨버터 기동회로(140)에 DC 전압이 추가로 인가되지 않아, C2(143) 역시 방전되는데, C2(143)의 전압이 떨어져 FET(145)의 임계 전압 미만이 되면, FET(145)가 턴-오프 된다. 이에 의해, DC/DC 컨버터(150)의 인에이블 단자가 개방되어, DC/DC 컨버터(150)는 턴-오프 된다. 그 결과, S240단계를 경적 발생기(180)를 통한 경적 발생이 중단된다.
이에 따르면, 도난 중단시 경보 시간(경적 시간)은 C2의 용량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난 중단시 경보 시간을 길게 하려면 C2의 용량을 크게 구현하고, 도난 중단시 경보 시간을 짧게 하려면 C2의 용량을 작게 구현하면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전기 이륜차의 움직임이 운전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도, S240단계에 의한 경보가 발생한다. 이 경우, 운전자가 키-박스(155)를 통해 키-온 시키면(S250-Y), 통합 제어기(160)가 경적 제어기(170)를 턴-오프 시켜 경적 발생기(180)를 통해 경적을 발생을 종료시킨다(S260).
지금까지, 키-오프 상태에서 DC 전류 공급시 RPM이 증가하는지 확인하여 도난 여부를 판단하고, 도난으로 판단된 경우 도난 경보를 발생시키는 도난 방지 시스템 및 그 동작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 상정하지는 않았지만, 전기 이륜차에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된 경우, 도난 경보를 스마트-키에도 발송할 수 있다. 나아가, 옵션으로 전기 이륜차에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시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나 관제 서버에 도난 경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 실시예에서, 전기 이륜차를 상정하였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전기 이륜차는 물론 전기 자동차 등의 전기구동 시스템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20 : 인버터 130 : 모터
140 : 컨버터 기동회로 150 : DC/DC 컨버터
155 : 키-박스 160 : 통합 제어기
170 : 경적 제어기 180 : 경적 발생기

Claims (8)

  1. 경적 발생기;
    DC 전원의 크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키-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키-상태가 키-오프 상태로 판단되면 RPM을 분석하고, 상기 RPM이 증가 상태이면 상기 경적 발생기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기; 및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로부터 전원 공급시, 상기 DC/DC 컨버터를 턴-온 시키는 기동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키-오프 상태에서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경우에 전원이 발생되어 상기 기동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회로는,
    상기 인버터에 의해 발생된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의 충전량 임계치를 초과하면 스위칭 되어 상기 DC/DC 컨버터를 턴-온 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도난 중단시의 경보 시간은,
    상기 충전부의 용량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 시스템.
  6. 경적 발생기;
    DC 전원의 크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DC/DC 컨버터; 및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키-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키-상태가 키-오프 상태로 판단되면 RPM을 분석하고, 상기 RPM이 증가 상태이면 상기 경적 발생기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경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키-상태가 키-온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경적 발생기를 통한 경보 발생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가 발생된 사실을, 스마트-키, 사용자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알리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구동 시스템.
  8. 전원이 인가되면, 키-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상태가 키-오프 상태로 판단되면, RPM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RPM이 증가 상태이면, 경보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가 발생된 이후에 상기 키-상태가 키-온 상태로 변경되면, 경보 발생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 방지 방법.
KR1020130134926A 2013-11-07 2013-11-07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 KR101528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926A KR101528258B1 (ko) 2013-11-07 2013-11-07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926A KR101528258B1 (ko) 2013-11-07 2013-11-07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122A KR20150053122A (ko) 2015-05-15
KR101528258B1 true KR101528258B1 (ko) 2015-06-11

Family

ID=5338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926A KR101528258B1 (ko) 2013-11-07 2013-11-07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2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74A (ja) * 1993-07-15 1995-02-03 Hitachi Ltd 自動車盗難防止装置
KR0151671B1 (ko) * 1995-12-29 1998-10-15 김태구 자동차 위치감지장치
JP2003132441A (ja) * 2001-10-23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盗難防止装置
KR20100033218A (ko) * 2008-09-19 2010-03-29 김규탁 이동수단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74A (ja) * 1993-07-15 1995-02-03 Hitachi Ltd 自動車盗難防止装置
KR0151671B1 (ko) * 1995-12-29 1998-10-15 김태구 자동차 위치감지장치
JP2003132441A (ja) * 2001-10-23 2003-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盗難防止装置
KR20100033218A (ko) * 2008-09-19 2010-03-29 김규탁 이동수단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122A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0410B2 (en) Vehicular starter battery management system
JP2013198322A (ja) 車載非接触充電システム
KR20120063968A (ko) 전기 자전거용 배터리 팩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1184959A (ja) 携帯機
JPWO2007086271A1 (ja) 自動車
CN201633818U (zh) 摩托车智能防盗保护器
CN101934781A (zh) 一种电动车电机防盗方法及装置
US20070140670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a vehicle
KR101528258B1 (ko) 도난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전기구동 시스템
CN112572341B (zh) 车辆的防盗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05314962A (ja) 車載機器遠隔操作装置および携帯機
KR101753807B1 (ko) 배터리 성능회복장치
JP2011240880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3830126B2 (ja) 車両用リモコンの電源装置
CN201102582Y (zh) 断电照样防盗摩托车助动车防盗报警器
JP2015091218A (ja) 自動車のldc制御装置
CN204279340U (zh) 一种卡车蓄电池防盗系统
CN108082341B (zh) 一种具有防盗功能的电动车用电池和电动车
JP6613862B2 (ja) 電動車の充電制御装置
CN201063176Y (zh) 机动车身份识别防盗装置
KR100974739B1 (ko) 하이브리드차량의 시동시스템
JP2004238989A (ja)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装置付き車両
CN219989393U (zh) 锂电自行车防盗系统
CN201895721U (zh) 一种电动车电机防盗装置
KR20130103965A (ko) 오토바이용 시동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