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202B1 -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 Google Patents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202B1
KR101111202B1 KR1020090012353A KR20090012353A KR101111202B1 KR 101111202 B1 KR101111202 B1 KR 101111202B1 KR 1020090012353 A KR1020090012353 A KR 1020090012353A KR 20090012353 A KR20090012353 A KR 20090012353A KR 101111202 B1 KR101111202 B1 KR 10111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median
strut pipe
safety guar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250A (ko
Inventor
선우각
Original Assignee
세명건설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건설화학(주) filed Critical 세명건설화학(주)
Priority to KR1020090012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2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01F15/0469Covers, e.g. of ground surface around the foo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장착되는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11); 및 외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12)를 구비하며,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 주변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함께 부착되어 있는 상판 등을 굳이 분리하지 않더라도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그대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과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 사이 영역 또는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가 매설된 홈 등의 공간이나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더하여 야간 주행 시 운전자에게 도로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중앙, 분리대,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Description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protecter}
본 발명은,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함께 부착되어 있는 상판 등을 굳이 분리하지 않더라도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그대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과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 사이 영역 또는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가 매설된 홈 등의 공간이나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더하여 야간 주행 시 운전자에게 도로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고속도로나 국도가 산악지대, 또는 굴곡이 많은 지형상의 고저와 좌우로 많은 굴곡을 가지고 있는 열악한 도로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도로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조명상태가 전무한 상태임에 따라 시내지역을 벗어나 야간주행을 할 때에는 당해도로의 조건을 잘 숙지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많은 사고의 위험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물론 도로의 열악함과 함께 도로의 많은 급한 커브에 의하여 도로의 폭을 쉽게 인지치 못한 결과 라 하겠다.
따라서 시외도로에도 가로등의 설치가 급한 실정이나 그 설치비용, 유지비 등이 많이 들게 되므로 적어도 도로 양변의 경계표시 만큼은 적정거리마다 야간에도 식별될 수 있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주행 중 미처 도로폭을 감지치 못하여 부딪친다 하더라도 도로외측으로 가지 못하도록 승용차 정도는 막아줄 수 있어야만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두께 2~4.5m/m정도의 철판을 일정 폭으로 절단하고 갈매기형으로 절곡하여 강도를 보강함에 따라 충돌 등에 대비를 하였으며 특히 운전자의 확인이 가능토록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을 지지하는 지주 파이프의 상부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전면 적당 부위에 반사등이나 반사지도록 반사편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경직된 일직선 타입에 지나지 않아 유선형 타입보다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한다는 것에 다소 미흡했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은 듬성듬성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야간운전자의 시야에 확연히 들어오지가 않아 그저 적당히 운전자의 감각에 의할 수밖에 없음으로 시외 야간운전에는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을 제안한 바 있으며, 각 기술들은 현재 요긴하게 사용 중에 있다. 다만, 기존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의 경우,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설치하기가 다소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한다 하더라도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과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 사이의 공간 이나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될 소지가 높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함께 부착되어 있는 상판 등을 굳이 분리하지 않더라도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그대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과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 사이 영역 또는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가 매설된 홈 등의 공간이나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더하여 야간 주행 시 운전자에게 도로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장착되는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11); 및
외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12)를 구비하며,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 주변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선(11) 영역의 결합 구조는, 요철(21) 구조로서 상기 절개선(11) 영역이 상호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구조, 한 쪽은 홀(22a)을 다른 한 쪽은 돌기(22b)를 형성하여 상기 홀(22a)과 상기 돌기(22b)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 대면하는 단부 쪽에 스커트부(23a,23b)를 형성하여 상기 스커트부(23a,23b)에 볼트(B)를 결합시키는 구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함께 부착되어 있는 상판 등을 굳이 분리하지 않더라도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그대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와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 사이 영역 또는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가 매설된 홈 등의 공간이나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더하여 야간 주행 시 운전자에게 도로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각 실시예들에서 동일 구성은 동일 참조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의 예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은, 도로의 중앙에 설치됨으로써 차량이 중앙선을 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주로 담당한다. 한편, 중앙분리대의 시공을 위하여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로 공사의 진행 시 시방서에 따라 큰돌, 자갈, 모래 등을 로라로 다지는 시공 공정을 우선 진행해야 하며, 이 후에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주 크기만큼의 천공 작업을 해야 한다. 즉, 기존의 아스콘 시공 시 대형 로라로 단단히 다졌던 도로의 중앙 지면에 천공을 해야 하는데 천공 작업 시의 진동으로 지면에 균열이 발생됨으로써 우천 시 또는 폭설 시 물이나 수분 등이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의 중앙으로 또는 좌우측으로 차량이 진행하는 이유로 인해 지주로 옮겨져 지주를 타고 침하 현상이 발생되어 도로의 중앙으로부터 지반이 약해져 도로의 균형이 뒤틀리고 요철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아스팔트를 덧대는 보수를 해야 하기 때문에 국가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본 실시예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을 설치하게 되면 물이나 수분 등이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의 영역으로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로의 침하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은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잇는 기존의 가드레일 지주 파이프에도 편리하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은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장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그 조립 과정(설치 과정 및 장착 과정)이 수월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작업이 불편하여 작업 시간이 지연될 수밖 에 없다. 특히,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함께 부착되어 있는 상판을 분리해야만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을 설치할 수 있다면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의 설치 후 다시 상판을 제자리에 결합시켜야 하는 등 유지보수작업이 대단히 어려울 수밖에 없으나, 본 실시예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은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함께 부착되어 있는 상판을 분리하지 않더라도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그대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이를 위해, 즉 장착의 편의성을 위해,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의 표면에는 절개선(11)이 형성된다. 보통 절개선(11)은 한 개면 충분하지만 두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그 방향 역시 도시된 상하 방향 외에 옆 방향일 수도 있다.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은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특히 고무 재질을 이용할 경우 고무를 재활용할 수 있어 유익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이 연질의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작업자는 절개선(11)을 기준으로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을 벌린 후에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을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장착하고, 이어 절개선(11) 영역을 고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절개선(11) 영역의 고정은 여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후크식으로 끼워맞춤되어도 좋고, 아니면 테이핑되어도 좋으며, 또는 본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쪽에는 다수의 홀(hole)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는 홀에 끼워지는 돌기를 형성하여 홀과 돌기가 상호 조립되는 것에 기초하여 조립을 완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은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 주변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의 하면이 넓은 영역에서 지면을 차폐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에,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과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 사이 영역 또는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가 매설된 지면의 홈 등의 공간이나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즉 눈이나 비가 지면에 천공된 부분에 잔존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나 도로 침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이 부분이 본 실시예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의 하부 넓은 부분에 의해 차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다.
부연하면, 지면의 천공 작업 후에 천공 영역을 마감처리하더라도 천공 영역에서 균열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빗물 등의 침투로 인한 도로의 재시공이 불가피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이 영역, 특히 균열이 심한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 주변의 공간을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의 넓은 하부 영역으로 덮어 빗물 등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말끔히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의 외면에는 반사체(12)가 마련되어 야간 주행 시 운전자에게 도로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안전 운전을 보장할 수 있다. 반사체(12)는 야광 물질이 도포된 것이어도 좋고, 반사지가 부착된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반사체(12)는 전면에는 반사 기능이 있지만 후면에는 반사 기능이 없도록 마련되어, 예컨대 도로의 상행 또는 하행의 표시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반사체(12)는 단순한 모양에서 벗어나 화살표의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차량의 진행 방향을 더욱 편하게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사체(12)의 형태는 도 1과 같을 수 있지만, 도 2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a)의 반사체(12a)와 같이 고리가 형성된 방식, 도 3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b)의 반사체(12b)와 같이 원형의 고무에서 각도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방식, 도 4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c)의 반사체(12c)와 같이 원형의 고무에서 볼록 튀어 나오도록 형성된 방식, 도 5의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10d)의 반사체(12d)와 같이 단순히 반사지가 붙은 방식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반사체(12,12a~12d)들의 개수나 크기, 위치, 모양 등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도 6을 통해, 절개선(11) 영역의 결합 구조를 다시 살펴보면, 도 6의 (a)와 같이 요철(21) 구조로서 절개선(11) 영역이 상호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하고, 도 6의 (b)와 같이 한 쪽은 홀(22a)을 다른 한 쪽은 돌기(22b)를 만들어 이들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도 가능하며, 도 6의 (c)와 같이 대면하는 단부 쪽 에 스커트부(23a,23b)를 만들고 이 스커트부(23a,23b)에 볼트(B)를 결합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6의 (c)의 경우에는 절개선(11)이 두 개 형성되어 두 개의 조각이 상호 조립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11)이 한 개 형성되어 이 곳을 벌린 후에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 절개선(11)의 반대편 부분이 끊어질 것을 우려하여 절개선(11)의 반대편 부분에 경첩(H)을 더 마련할 수 있다. 경첩(H)이 있을 경우 작업이 더 욱 쉬워지고, 파손 발생이 없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이 경우, 경첩(H) 대신에 다수의 요철부(미도시)를 더 만들고 이들이 상호 철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경첩(H)의 자리에 경첩(H)을 마련하는 대신 비스듬한 홈을 형성하여 전면을 벌릴 경우에 홈이 경첩(H)의 역할을 대신하여 잘 벌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홈은 제품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함께 부착되어 있는 상판 등을 굳이 분리하지 않더라도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에 그대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편리하며,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와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 사이 영역 또는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가 매설된 홈 등의 공간이나 틈새로 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고, 더하여 야간 주행 시 운전자에게 도로의 시야를 명확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의 예시도,
도 6은 절개선 영역의 결합 구조를 다양하게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11 : 절개선
12 : 반사체

Claims (2)

  1. 도로의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장착되는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를 외측에서 감싸면서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선(11); 및
    외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사체(12)를 구비하며,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되 상기 중앙분리대 지주 파이프(P) 주변의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절개선(11) 영역의 결합 구조는, 요철(21) 구조로서 상기 절개선(11) 영역이 상호 맞물리면서 결합되는 구조, 한 쪽은 홀(22a)을 다른 한 쪽은 돌기(22b)를 형성하여 상기 홀(22a)과 상기 돌기(22b)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 대면하는 단부 쪽에 스커트부(23a,23b)를 형성하여 상기 스커트부(23a,23b)에 볼트(B)를 결합시키는 구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2. 삭제
KR1020090012353A 2009-02-16 2009-02-16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KR10111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53A KR101111202B1 (ko) 2009-02-16 2009-02-16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353A KR101111202B1 (ko) 2009-02-16 2009-02-16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50A KR20100093250A (ko) 2010-08-25
KR101111202B1 true KR101111202B1 (ko) 2012-02-16

Family

ID=4275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353A KR101111202B1 (ko) 2009-02-16 2009-02-16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2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33A (ja) * 1997-07-04 1999-01-26 Minami:Kk 草止め板
KR19990022627U (ko) * 1999-03-29 1999-07-05 장광순 교각용안전표지판
JP2005290682A (ja) * 2004-03-31 2005-10-20 Tamotsu Kizukuri 構造物の支柱用プロテクター
KR20090004134U (ko) * 2007-10-30 2009-05-07 신동헌 삽입홈이 형성된 고무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33A (ja) * 1997-07-04 1999-01-26 Minami:Kk 草止め板
KR19990022627U (ko) * 1999-03-29 1999-07-05 장광순 교각용안전표지판
JP2005290682A (ja) * 2004-03-31 2005-10-20 Tamotsu Kizukuri 構造物の支柱用プロテクター
KR20090004134U (ko) * 2007-10-30 2009-05-07 신동헌 삽입홈이 형성된 고무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250A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583B1 (ko) 운전자를 보호 및 시공이 편리한 안전 가드레일
KR101018637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KR20120022381A (ko) 자갈 및 토사의 도로 유실 방지용 화단
KR20090102355A (ko)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KR101111202B1 (ko) 도로 중앙분리대 침하방지 안전보호대
KR101141000B1 (ko) 배수로 일체형 측구
KR100525944B1 (ko) 배수 시설이 구비된 공동 주택 단지 진입 도로 과속 방지턱
IT201900016088A1 (it) Barriera di sicurezza stradale
KR200457962Y1 (ko) 콘크리트 제품의 차선이탈방지구조
KR200436997Y1 (ko) 도로시설물의 기둥 보호커버
KR100768778B1 (ko) 도로 안전시설물용 가드
KR20050088931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945590B1 (ko) 자전거 도로와 보차도용 경계석을 포함하는 경계석 및 이 시공 방법
CN212641250U (zh) 一种高速公路防眩目隔离网护角
KR101850909B1 (ko) 도로변 멀티 구조물
KR200354790Y1 (ko) 차량진입 방지대
CN217026818U (zh) 一种挡车路障及路面挡车结构
KR20130047094A (ko) 과속방지 도로블록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US3363521A (en) Traffic safety deflectors
KR101013175B1 (ko) 박스거더용 자전거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US6752564B1 (en) Roadway barrier for protecting pedestrians
KR100533053B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0163876Y1 (ko) 고속도로중앙분리대
CN206902595U (zh) 一种道路轮廓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