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220B1 -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220B1
KR101110220B1 KR1020110113340A KR20110113340A KR101110220B1 KR 101110220 B1 KR101110220 B1 KR 101110220B1 KR 1020110113340 A KR1020110113340 A KR 1020110113340A KR 20110113340 A KR20110113340 A KR 20110113340A KR 101110220 B1 KR101110220 B1 KR 10111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medium
lactobacillus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휘
Original Assignee
이천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휘 filed Critical 이천휘
Priority to KR1020110113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06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containing organic solids or fibres
    • A61F2007/0207Plants, dried plants, seeds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에 의한 자연열 및 약리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한방재료의 발효산물을 이용할 수 있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찜질매질에 포함되는 성분 중 당귀, 천궁, 천마, 쑥, 청국장 및 뽕잎가루에, 쑥 및 당귀를 발효기질로 하는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발효제를 첨가하여 발효산물을 제조한 결과, 우수한 자유라디칼 제거율을 관찰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찜질매질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부 및 인체에 항산화 작용을 하여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며 세포를 재생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찜질매질은 자연발효에 의한 60-70℃의 자연열을 발생시켜, 고온에 약한 병원성균 및 바이러스를 억제하고, 인체에 누적된 중금속 및 독성물질의 땀을 통한 배출, 혈관 확장으로 인한 인체의 혈액순환 개선 및 체온상승으로 산후 조리 및 냉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 방법{Fermentation Medium Comprising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발효에 의한 자연열 및 약리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한방재료의 발효산물을 이용할 수 있는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피로회복, 혈액순환, 신진대사 개선은 물론 인체의 노폐물 제거, 피부 개선 등의 효과가 있는 찜질욕을 즐겨 찾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찜질욕을 위한 시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찜질욕의 경우, 습열방법과 건열방법으로 크게 대별될 수 있으며, 상기 습열찜질방법은 일정시간동안 온수에 전신을 담그는 방법과, 전신을 증기에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건열에 의한 방법으로서는 적외선에 전신을 노출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 찜질욕의 방법 중, 전신 또는 일부를 담그는 온수욕의 경우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혈액순환 촉진 및 물리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널리 애용되고 있는 찜질방법이다.
그러나, 온수욕만으로 신체를 찜질하는 경우에는 그 효과에 한계가 있으므로 찜질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유익하고, 피부 미용에 효과가 있는 물질과 미생물을 혼합하여 찜질매질을 제조하고, 상기 찜질매질에 신체를 담금으로써 미생물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신체를 찜질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찜질매질의 기술에 대해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67341호는 꽃잎이 첨가된 찜질매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톱밥과 쌀겨로 구성된 찜질매질에 꽃잎을 첨가하여, 톱밥과 쌀겨의 효능은 물론, 꽃잎의 효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하되, 사용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할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찜질을 즐길 수 있게 한, 보다 향상된 찔질매질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52478호에는 녹차 분말 30-40 중량%와; 쑥 분말 20-30 중량%와; 숯 분말 10-20 중량%; 및 발열제 10-30 중량%;를 배합하여 찜질매질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52476호에는 녹차 분말이 5-80 중량% 이고, 발열제가 나머지를 차지하는 찜질매질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23941호에는 쑥 분말을 포함한 찜질매질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잘게 분쇄한 쑥 분말 30-40 중량%에 톱밥 30-40 중량% 및 쌀겨 10-30 중량%와 숯가루 1-10 중량%, 녹차가루 1-10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 찜질매질에 발효효소액을 희석시킨 물을 함수율이 25-3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여 발효시켜 제조된 찜질매질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찜질매질과 달리 다양한 한방재료를 이용하여 찜질욕에 이용될 수 있도록,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찜질매질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673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5247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5247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23941호
본 발명자들은 발효에 의한 자연열 및 약리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한방재료의 발효산물을 이용할 수 있는 효소욕 매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당귀, 천궁, 천마, 쑥, 숯, 청국장 및 뽕잎가루를 쌀겨에 포함시켜 찜질매질 재료를 준비하고, 이에 쑥 및 당귀를 발효기질로 하는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발효제를 첨가하여 찜질매질을 제조한 결과, 한방재료의 발효산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고, 자연발효에 의한 60-70℃의 자연열로 인체에 누적된 중금속 및 독성물질의 땀을 통한 배출, 인체의 혈액순환 개선 및 체온상승으로 산후 조리 및 냉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찜질매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찜질매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쌀겨, 당귀 분말, 천궁 분말, 천마 분말, 쑥 분말, 숯 분말, 청국장 분말 및 뽕잎 분말을 포함하는 찜질매질 재료 및 (b)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포함하는 찜질매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발효에 의한 자연열 및 약리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한방재료의 발효산물을 이용할 수 있는 효소욕 매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당귀, 천궁, 천마, 쑥, 숯, 청국장 및 뽕잎가루를 쌀겨에 포함시켜 찜질매질 재료를 준비하고, 이에 쑥 및 당귀를 발효기질로 하는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발효제를 첨가하여 찜질매질을 제조한 결과, 한방재료의 발효산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고, 자연발효에 의한 60-70℃의 자연열로 인체에 누적된 중금속 및 독성물질의 땀을 통한 배출, 인체의 혈액순환 개선 및 체온상승으로 산후 조리 및 냉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쌀겨”는 후술하는 미생물의 자양분으로서, 발열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다. 쌀겨의 양에 따라 동일시간 기준으로 온도의 변화가 생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당귀(Angelica gigantis radix)”는 미나리(Umbelliferae)과에 속한 다년생 초목으로 토당귀(Angelica gigas Nakai, 참당귀)와 일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 왜당귀) 및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를 일컫는 한약재로서, 냉증, 빈혈과 같은 부인과 질환에 주로 쓰이며, 혈행을 수월하게 하고, 조혈 및 혈류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천궁(Cnidium officinale)”은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40-70 ㎝이고 향기가 나는 식물이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천궁은 천궁의 다양한 기관, 조직(예: 뿌리, 잎, 꽃, 줄기, 과실 및 종자 등) 등을 이용 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천궁의 뿌리이다. 천궁의 뿌리는 한방에서 보혈, 강장, 진정 및 진통 등을 목표로 냉증, 빈혈, 월경 장애 등 각종 부인병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천마(天麻, Gastrodiae rhizoma)”는 뽕나무버섯과 편리 공생하는 난초과(Orchidaceae)식물에 속하는 식물 천마(Gastrodia elata BLUME)의 구근이다. 천마는 고혈압, 두통, 마비, 신경성 질환,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효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서, 쑥은 식용과 약용으로 구분되며, 항균, 혈액응고, 자궁수축, 기관지확장 또는 해열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쑥의 약효성분은 치네올, 콜린, 유칼리프톨, 아데닌, 모노기닌, 아르테미신 등으로 밝혀져 있으며, 강한 정혈(淨血), 해독, 활혈, 강장, 강정, 소염, 진통, 면역, 이뇨, 지혈, 식욕증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네올이라는 정유(精油) 성분으로 인해 독특한 향기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몸에 유익한 역할을 하며, 살균 및 살충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숯”은 강한 흡착력으로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곰팡이 등의 발생을 방지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찜질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청국장”은 삶은 콩을 볏짚에 붙어 있는 고초균(枯草菌)이라 부르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이용하여 띄워 만든 것으로서, 콩에서 기인된 이소플라본(isoflavone), 피트산(phytic acid), 사포닌(saponin), 트립신 저해제(trypsin inhibitor), 불포화지방산, 식이섬유, 올리고당, γ-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제(γ-glutamyltranspeptidase; γ-GTP) 등의 각종 생리활성물질, 항산화물질 및 혈전용해 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뽕잎”은 건강의 유지와 증진, 각종 성인병(당뇨, 고혈압, 비만, 숙취, 암 등)의 예방과 치료 및 노화억제 작용 등이 있는 감마아미노부티르산(r-aminobutyric acid; GABA), Rutin, DNJ 등을 비롯한 수많은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찜질매질 재료에 이용되는 당귀, 천궁, 천마, 쑥, 숯, 청국장 및 뽕잎은 분말 상태로 이용되는데, 상기 분말 제조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물리적으로 잘게 부수는 예컨대, 전단(shearing), 밀링(milling) 또는 그라인딩 방법을 포함하고, 밀, 나이프 커터 또는 믹서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여 이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찜질매질 재료는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분말 3-30 중량부, 천궁 분말 2-25 중량부, 천마 분말 0.5-20 중량부, 쑥 분말 3-40 중량부, 숯 분말 0.5-10 중량부, 청국장 분말 0.5-10 중량부 및 뽕잎 분말 1-20 중량부로 포함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분말 4-25 중량부, 천궁 분말 3-23 중량부, 천마 분말 0.8-15 중량부, 쑥 분말 5-35 중량부, 숯 분말 0.8-7 중량부, 청국장 분말 0.8-7 중량부 및 뽕잎 분말 1.5-17 중량부로 포함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분말 5-22 중량부, 천궁 분말 4-20 중량부, 천마 분말 1.0-13 중량부, 쑥 분말 6-32 중량부, 숯 분말 1.0-5 중량부, 청국장 분말 1.0-5 중량부 및 뽕잎 분말 2.0-15 중량부로 포함된다.
상기 찜질매질 재료에 포함되는 성분들이 상기 함량을 가지는 경우에 후술할 발효제에 의한 자연발효에 의해 찜질매질로 이용될 수 있는 60-70℃의 자연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발효산물이 생성되고, 청국장 등 한방재료의 고유의 이취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은 찜질매질 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함수율 25-35 중량%로 포함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함수율 27-33 중량%로 포함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함수율 29-31 중량%로 포함된다. 함수율이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후술할 미생물의 생존환경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고,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후술할 미생물의 활성도가 낮아져 발열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은 발효제 및 물이 중량비 1:15-25로 혼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량비 1:17-23으로 혼합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중량비 1:19-21로 혼합된다.
상기 발효제 및 물이 상기 중량비를 갖는 경우에 찜질매질에 이용될 수 있는 발열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제는 쑥 및 당귀를 발효기질로 이용하고, 유산균, 효모 및 바실러스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준비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기질은 쑥 및 당귀가 중량비 1:1로 혼합된다.
본 발명에 적합한 유산균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유산균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탄수화물 대사의 주산물로서 유산을 생산하는 박테리아 군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산균은, 락토코커스(Lactococcu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류코노스톡(Leuconostoc), 프로리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및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산균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우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류코노스톡 멘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nsenteroides),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엄(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비피도박테리엄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엄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엄 브라베(Bifidobacterium brave) 및 비피도박테리엄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산균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PM1(Lactobacillus casei PM1; KCCM 10766P)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산균은 상술한 유산균의 1종 또는 1종 이상의 혼합 유산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효모는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효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사이조사카로마이세스(Schizosaccharomyces), 스포로보로마이세스(Sporobolomyces), 토루로프시스(Torulopsis), 트리코스포론(Trichosporon), 윅커하미아(Wickerhamia), 아쉬바이아(Ashbya), 블라스토마이세스(Blastomyces), 캔디다(Candida), 사이테로마이세스(Citeromyces), 크레브로테슘(Crebrothecium), 크립토코커스(Cryptococcus), 드바리오마이세스(Debaryomyces), 에노마이코프시스(Endomycopsis), 지오트리컴(Geotrichum), 한세눌라(Hansenula), 클로엑케라(Kloeckera), 리포마이세스(Lipomyces), 피키아(Pichia), 로도스포리듐(Rhodosporidium) 또는 로도토룰라(Rhodotorula) 속(genus)에 속하는 효모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에 속하는 효모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애(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바이아누스(Saccharomyces baynus),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칼스베르겐시스(Saccharomyces carlsbergensis)이다.
본 명세서에 이용되는 “바실러스균”은 식물 원료의 발효 식품으로부터 유래된 바실러스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바실러스균은 바람직하게는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이다.
유산균, 효모 또는 바실러스균을 종균 배양하는 배지로는 MRS 브로스(deMan Rogosa Sharpe broth), APT(All Purpose with Tween) 배지 또는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가 적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MRS 브로스 배지이다.
이러한 배지에서 유산균, 효모 또는 바실러스균을 30-37℃에서 24-30시간 배양하면 원하는 균의 활성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배양한 유산균, 효모 또는 바실러스균을 쑥 분말, 당귀 분말 및 탄소원을 포함하는 상기 배지에 접종한다. 미생물의 접종량은 접종 후의 초기 균수가 105-109 cfu/g 또는 105-109 cfu/ml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종량이 105 cfu/g 미만인 경우에는 쑥 및 당귀 분말을 발효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배양시간이 길어지며, 109 cfu/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종용 종균의 생산에 부담이 된다.
상기 배지에 포함되는 탄소원으로 적합한 것은 글루코오스, 수크로스, 말토오스, 프럭토오스, 락토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스 및 그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스, 프럭토스,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스 및 락토오스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스, 프럭토스 및 글루코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스이다.
탄소원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배지의 0.1-20 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3 중량%이다.
그리고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발효기를 이용하여 배양함으로써 발효제를 준비한다.
미생물의 배양 및 발효의 상세한 내용은 Kubitschek, H. E., Introduction to Research with Continuous Cultures.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Inc., 1970; Mandelstam, J., et al., Biochemistry of Bacterial Growth, 3rd ed. Oxford:Blackwell, 1982; Meynell, G.G., et al., Theory and Practice in Experimental Bacteriology, 2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Gerhardt, P., ed.,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 Washington: Am. Soc. Microbiol, 1981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찜질매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쌀겨, 당귀 분말, 천궁 분말, 천마 분말, 쑥 분말, 숯 분말, 청국장 분말 및 뽕잎 분말을 포함하는 찜질매질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쑥 및 당귀를 포함하는 배지에 유산균, 효모 및 바실러스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발효제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발효제에 물을 혼합하여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상기 단계 (a)의 찜질매질 재료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찜질매질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이하, 찜질매질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찜질매질 재료의 준비
우선, 본 발명의 방법은 (a) 쌀겨, 당귀 분말, 천궁 분말, 천마 분말, 쑥 분말, 숯 분말, 청국장 분말 및 뽕잎 분말을 포함하는 찜질매질 재료를 준비한다.
상기 찜질매질 재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각 성분을 고루게 혼합하여야 하는데, 상기 혼합은 각 성분들을 욕조에 첨가하고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바람직하게는 50-150 rpm의 교반 속도로 3-7 분 동안 교반하여 실시한다.
이러한 혼합과정으로 찜질매질 재료를 준비할 수 있다.
(b) 발효제의 준비
그 다음, 본 발명의 방법은 (b) 쑥 및 당귀를 포함하는 배지에 유산균, 효모 및 바실러스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발효제를 준비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발효제 준비 과정은 우선, 배지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다음, 상기 배양된 미생물을 쑥 및 당귀를 포함하는 배지에 접종하고, 발효기를 이용하여 배양함으로써 발효제를 준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쑥 및 당귀는 중량비 1:1로 혼합되어 있다.
(c)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의 준비
이어,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b)의 발효제에 물을 혼합하여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은 발효제 및 물이 중량비 1:15-25로 혼합되어 있다.
(d) 상기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상기 찜질매질 재료에 첨가
그리고, 상기 단계 (c)의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상기 단계 (a)의 찜질매질 재료에 첨가하여 교반한다.
상기 교반도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바람직하게는 50-150 rpm의 교반 속도로 3-7 분 동안 교반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은 찜질매질 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함수율 25-35 중량%로 포함되도록 첨가된다.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의 자연발효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단계 (d)의 24-36 시간 후 자연발효는 시작되어 찜질매질의 온도는 50-55℃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자연발효는 5-10일 동안 발효시켜 온도 60-70℃가 유지되도록 실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효소욕에 이용될 수 있는 찜질매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f) 상기 찜질매질에 상기 단계 (a)의 찜질매질 재료에 10 중량%에 해당하는 찜질매질 재료, 그리고 상기 단계 (c)의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의 10 중량%에 해당하는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한 달 간격으로 첨가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발효에 의한 자연열 및 약리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한방재료의 발효산물을 이용할 수 있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ⅱ) 본 발명의 찜질매질에 포함되는 성분 중 당귀, 천궁, 천마, 쑥, 청국장 및 뽕잎가루에, 쑥 및 당귀를 발효기질로 하는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한 발효제를 첨가하여 발효산물을 제조한 결과, 우수한 자유라디칼 제거율을 관찰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찜질매질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피부 및 인체에 항산화 작용을 하여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며 세포를 재생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ⅲ) 또한, 본 발명의 찜질매질은 자연발효에 의한 60-70℃의 자연열을 발생시켜 고온에 약한 병원성균 및 바이러스를 억제하고, 인체에 누적된 중금속 및 독성물질의 땀을 통한 배출, 혈관 확장으로 인한 인체의 혈액순환 개선 및 체온상승으로 산후 조리 및 냉증에 우수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1: 찜질매질 재료의 제조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각 성분들의 칭량하고 이를 나무 욕조(가로 1.3 m x 세로 2.2 m x 높이 1 m) 내에 첨가하고, 교반기(SH-R1, 삼화전열(주))를 이용하여 80 rpm 속도로 5 분 동안 혼합하여 배합시켜 찜질매질 재료를 준비하였다:
-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쌀겨 25 50 60 70 80
톱밥 35 - - - -
쑥분말 35 15 10 8 6
녹차분말 3 - - - -
숯분말 2 2 2 2 1
당귀분말 - 10 9 7 5
천궁분말 - 9 8 6 4
천마분말 - 5 4 2 1
청국장 분말 - 2 2 2 1
뽕잎분말 - 7 5 3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제조예 2: 발효제의 준비
MRS 배지(Difco, 100 ml)에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PM1(Lactobacillus casei PM1; KCCM 10766P)을 접종하여 24 hr-30 hr 동안 610 nm에서 OD값이 0.6 이상 될 때까지 배양하여 100 ml의 접종액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중량비 1:1의 쑥 분말 및 당귀 분말 20 g(20 %)과 포도당 10 g(1%)을 포함하고 있는 900 ml의 배지에 접종액(100 ml)을 접종하였다. 그리고 초기 pH가 6.5로 세팅되고, 배양시간 48시간 동안 1M NaOH 용액에 의해 자동적으로 pH가 6.5로 조절되는 발효기(BIOSTAT B, B. Braun Biotech International, 독일)를 이용하여 배양하여 발효제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발효제를 물에 중량비 1:20으로 희석하여 이용하였다.
제조예 3: 찜질매질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찜질매질 재료에 상기 제조예 2에 준비한 발효제를 함수율 30%가 되도록 첨가하고, 다시 5 분 동안 교반기(SH-R1, 삼화전열(주))를 이용하여 80 rpm 속도로 혼합하여 찜질매질을 준비하였다. 그리고, 24-36 시간 경과 후 발효가 시작되어 찜질매질의 온도는 51-55℃가 되었으며, 일주일 동안 방치한 결과, 온도가 63-65℃까지 올라가 유지되어 이를 찜질매질로 이용하였다.
이어, 한 달 간격으로 찜질매질의 지속적인 발열을 위해 초기 찜질매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기(SH-R1, 삼화전열(주))를 이용하여 80 rpm 속도로 혼합하여 계속하여 찜질매질로 이용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확인
찜질매질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간접적으로 상기 표 1에서 활성성분으로 판단되는 성분들을 하기 표 2와 같이 정리하고, 하기 표 2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아래 표 2에서 상기 표 1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의 활성성분을 이용한 시료를 각각 비교예 2 및 실시예 5 내지 8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생물 발효액을 준비하되, 상기 비교예 2 및 실시예 5 내지 8의 시료 20 g을 중량비 1:1의 쑥 분말 및 당귀 분말 대신 첨가하여 실시하였다.
- 비교예 2
(중량비)
실시예 5
(중량비)
실시예 6
(중량비)
실시예 7
(중량비)
실시예 8
(중량비)
쑥분말 35 15 10 8 6
녹차분말 3 - - - -
숯분말 - - - - -
당귀분말 - 10 9 7 5
천궁분말 - 9 8 6 4
천마분말 - 5 4 2 1
청국장 분말 - 2 2 2 1
뽕잎분말 - 7 5 3 2
그리고, 상기 비교예 2 및 실시예 5 내지 8의 발효 결과물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용매에 녹인 시료 20 ㎕를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200 μM DPPH 용액을 180 ㎕씩 다시 넣어준 다음 상온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남아 있는 DPPH의 양을 540 nm에서의 흡광도 측정을 통해 결정하였다. 비교예 2 및 실시예 5 내지 8의 발효 결과물의 항산화력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효과는 시료에 의한 자유라디칼 제거율을 관찰함으로써 항산화기능의 유무를 판단하였다.
시료 처리 농도 (ppm) 자유라디칼 소거율 (%)
비교예 2 50 12
실시예 5 50 55
실시예 6 50 53
실시예 7 50 52
실시예 8 50 50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2에 비해서 실시예 5 내지 8의 발효 결과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찜질매질의 활성성분이 피부 또는 피부에 침투하여 항산화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a) 쌀겨, 당귀 분말, 천궁 분말, 천마 분말, 쑥 분말, 숯 분말, 청국장 분말 및 뽕잎 분말을 포함하는 찜질매질 재료 및 (b)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포함하는 찜질매질로서, 상기 찜질매질 재료는 쌀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분말 3-30 중량부, 천궁 분말 2-25 중량부, 천마 분말 0.5-20 중량부, 쑥 분말 3-40 중량부, 숯 분말 0.5-10 중량부, 청국장 분말 0.5-10 중량부 및 뽕잎 분말 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매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은 찜질매질 재료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함수율 25-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매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은 발효제 및 물이 중량비 1:15-25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매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제는 쑥 및 당귀를 발효기질로 이용하고 유산균, 효모 및 바실러스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매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기질은 쑥 및 당귀가 중량비 1:1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매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알리멘타리우스(Lactobacillus alimentari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엑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Lactobacillus helveticus), 류코노스톡 멘센테로이드스(Leuconostoc mensenteroides),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 엔테로코커스 파에시엄(Enterococcus faecium), 엔테로코커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비피도박테리엄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엄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엄 브라베(Bifidobacterium brave) 및 비피도박테리엄 롱검(Bifidobacterium longum)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찜질매질.
  7.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찜질매질의 제조 방법:
    (a) 쌀겨, 당귀 분말, 천궁 분말, 천마 분말, 쑥 분말, 숯 분말, 청국장 분말 및 뽕잎 분말을 포함하는 찜질매질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쑥 및 당귀를 포함하는 배지에 유산균, 효모 및 바실러스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발효제를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발효제에 물을 혼합하여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준비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발효제를 희석시킨 물을 상기 단계 (a)의 찜질매질 재료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자연발효시키는 단계.
KR1020110113340A 2011-11-02 2011-11-02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0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40A KR101110220B1 (ko) 2011-11-02 2011-11-02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340A KR101110220B1 (ko) 2011-11-02 2011-11-02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0220B1 true KR101110220B1 (ko) 2012-02-15

Family

ID=4583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340A KR101110220B1 (ko) 2011-11-02 2011-11-02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2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627A (ko)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엔자임라파 홍삼박을 이용한 찜질매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효소 족욕기
KR101771213B1 (ko) 2016-11-17 2017-08-25 배삼훈 청국장,왕겨,미강,황토,약초 혼합 숙성물이 용기에 내장된 찜질용 젤패드
KR102042382B1 (ko) * 2019-05-20 2019-11-07 유광민 개똥쑥이 포함된 찜질용 효소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851A (ja) 2005-01-20 2006-08-31 Ferric Inc 温熱刺激用具
KR20080023941A (ko) * 2006-09-12 2008-03-17 이재성 쑥 분말을 포함한 찜질매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7439A (ko) * 2007-02-20 2008-08-25 박명숙 광물질과 토양 및 한약재를 이용한 온열 찜질용 조성물
KR20090052478A (ko) * 2007-11-21 2009-05-26 이재성 녹차 분말과 쑥 분말을 포함한 찜질매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851A (ja) 2005-01-20 2006-08-31 Ferric Inc 温熱刺激用具
KR20080023941A (ko) * 2006-09-12 2008-03-17 이재성 쑥 분말을 포함한 찜질매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77439A (ko) * 2007-02-20 2008-08-25 박명숙 광물질과 토양 및 한약재를 이용한 온열 찜질용 조성물
KR20090052478A (ko) * 2007-11-21 2009-05-26 이재성 녹차 분말과 쑥 분말을 포함한 찜질매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627A (ko)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엔자임라파 홍삼박을 이용한 찜질매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효소 족욕기
KR101771213B1 (ko) 2016-11-17 2017-08-25 배삼훈 청국장,왕겨,미강,황토,약초 혼합 숙성물이 용기에 내장된 찜질용 젤패드
KR102042382B1 (ko) * 2019-05-20 2019-11-07 유광민 개똥쑥이 포함된 찜질용 효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968B1 (ko) 약용식물의 미생물 발효
CN101416778B (zh) 一种用于烟草发酵的发酵剂及应用
CN103284028A (zh) 一种泡菜发酵剂及其制备方法和在蔬菜泡制中的应用方法
JP2003259835A (ja) 発酵製品の製造とその利用
CN104041893B (zh) 一种发酵沙棘液的生产方法
CN113388535B (zh) 一种主食发酵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604395B (zh) 一株可发酵石斛且其发酵液可改善皮肤质量的植物乳杆菌
CN105231164A (zh) 玫瑰酵素及其制备方法
KR101110220B1 (ko) 한방재료를 포함하는 찜질매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6501B1 (ko) 쇠비름 및 미강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319566A (zh) 一种富含益生菌的桑果荔枝粉及其制备方法
KR20080004515A (ko) 유산균 배양에 의해 얻어지는 혈압 저하제
KR101463299B1 (ko) 미생물을 이용한 허브 찜질매질 및 이를 이용한 입욕 시스템
KR102560734B1 (ko) 3단계 발효를 통한 병풀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0134A (ko) 유효미생물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 및 유효미생물의 증식촉진 방법
CN110283686A (zh) 一种雪花梨中药复合果酒生产工艺
CN111374304A (zh) 利用枯草芽孢杆菌的食用酶食品的制备方法
KR101908647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제조방법
KR101750619B1 (ko) 여주와 어성초를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CN111450122B (zh) 一种复合菌剂及其在皮肤修复上的应用
KR101750620B1 (ko) 구절초를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685768B1 (ko) 발효렌틸콩의 제조방법
KR101909936B1 (ko) 천연식품 원료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977368A (zh) 一种生产虫草菌粉的固体培养基及生产虫草菌粉的方法
CN110819568B (zh) 一种沙棘根瘤内生菌培养基及其制备、分离培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