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172B1 - 슬라이드 커버 및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커버 및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172B1
KR101103172B1 KR1020057010306A KR20057010306A KR101103172B1 KR 101103172 B1 KR101103172 B1 KR 101103172B1 KR 1020057010306 A KR1020057010306 A KR 1020057010306A KR 20057010306 A KR20057010306 A KR 20057010306A KR 101103172 B1 KR101103172 B1 KR 10110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plate
cover
holding
structural member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423A (ko
Inventor
미찌노부 야나기사와
히로꾸니 미야이
다꾸야 나까죠오
히로끼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10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커버 외판(70)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80)와, 상기 커버 외판과 구조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90)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커버 외판 또는 구조 부재 사이에 마련된 토글 수단(1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2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82a, 82b)과 양단부에 있어서 상기 랙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81)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보유 지지판(91)과, 상기 보유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서로 맞물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92a, 92b)와,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상기 보유 지지판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93)로 이루어지고,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랙과 맞물리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상기 토글 수단이 보유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이 반전되는 슬라이드 커버(30)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57010306
피니언 기어, 보유 지지판, 안내부, 랙, 가이드 부재, 슬라이드 커버

Description

슬라이드 커버 및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SLID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E COVER}
본 발명은 신규인 슬라이드 커버 및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원활한 개폐 동작이 가능한 동시에 박형이고, 또한 본체부로의 조립 부착 작업이 간단한 슬라이드 커버와 그와 같은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각종 전자 기기에 있어서, 피폐색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가 설치되고, 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 커버를 폐색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피폐색부를 보호하고, 사용시에 슬라이드 커버를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시켜 피폐색부를 개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부나 스토로보스코프 발광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설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드 커버를 폐색 상태로 유지하여 렌즈부 및 스토로보스코프 발광부를 덮고, 사용시에는 슬라이드 커버를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시켜 렌즈부 및 스토로보스코프 발광부를 전방에 대해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커버의 구조에 동기 회전하는 2개의 피니언 기어(10, 11)를 렌즈 커버(2)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한 2개의 랙 기어부(4, 4)에 각별히 맞물리게 하여 렌즈 커버(2)의 개폐 역량을 안정되게 하도록 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0-305131호 공보 참조).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05131호 공보에는, 레버(14)의 일단부를 피니언 기어(10)의 편심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레버(14)의 타단부에 설치한 핀(15b)을 광학 기기 본체(1)에 마련한 캠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켜, 레버(14)의 후크부(17)와 광학 기기 본체(1)에 설치한 후크부(18) 사이에 코일 스프링(19)을 장설(張設)하여 이루어지는 토글 수단에 의해 렌즈 커버(2)의 이동 범위의 중간점에서 압박 방향이 반전되도록 하여 렌즈 커버(2)가 폐색 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폐색 방향으로의 압박력이, 또한 개방 위치측에 있을 때에는 개방 방향으로의 압박력이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05131호 공보에 개시된 렌즈 커버(2)에 있어서는, 렌즈 커버(2)의 어느 부분에 대해 이동시키는 힘을 가해도 동기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10, 11)에 의해 2개의 랙 기어부(4, 4)에 평균적으로 힘이 전해지므로, 안정된 개폐 동작을 할 수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05131호 공보에 개시된 렌즈 커버(2)에 있어서는 개폐 역량이 안정된다는 이점을 갖지만, 전체 구성을 콤팩트하게 할 수 없고, 또한 조립 작업성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렌즈 커버(2)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부재인 캠 홈(16)이나 후크부(18)가 설치된 판금(9)이나 코일 스프링(19)은 광학 기기 본체(1)측에 설치된다. 그로 인해, 이들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광학 기기 본체(1)에 확보할 필요가 있고, 그 만큼 광학 기기 본체(1)의 크기가 커져 버려 소형화를 저해한다.
또한, 렌즈 커버(2)를 광학 기기 본체(1)에 조립하는 경우, 판금(9)을 광학 기기 본체(1)에 고정하는 동시에, 레버(14)의 타단부에 설치된 핀(15b)을 판금(9)의 캠 홈(16)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또한 코일 스프링(19)을 인장하여 늘리면서 그 양단부를 레버(14)의 후크부(17)와 판금(9)의 후크부(18)에 거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로 인해, 렌즈 커버(2)의 광학 기기 본체(1)에의 조립 작업에 수고가 들어 생산 능률이 나빠지는 동시에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안정되고 원활한 개폐 동작이 가능한 동시에 박형이고, 또한 본체부에의 조립 부착 작업이 간단한 슬라이드 커버와 그와 같은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버 외판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와, 상기 커버 외판과 구조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커버 외판 또는 구조 부재 사이에 마련된 토글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2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과 양단부에서 상기 랙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보유 지지판과, 상기 보유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서로 맞물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상기 보유 지지판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랙과 맞물리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상기 토글 수단이 보유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이 반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 기기의 본체부에 피폐색부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이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커버 외판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와, 상기 커버 외판과 구조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커버 외판 또는 구조 부재와의 사이에 마련된 토글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2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과 양단부에서 상기 랙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보유 지지판과, 상기 보유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서로 맞물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상기 보유 지지판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랙과 맞물리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상기 토글 수단이 보유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이 반전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드 커버의 보유 지지 부재가 본체부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가 본체부에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 외판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에 필요한 모든 부재가 지지되므로, 슬라이드 커버가 부착되는 본체부측에 설치할 부재가 없어 본체부측에 슬라이드 커버를 위한 부재를 배치하는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는 보유 지지 부재를 본체부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본체부에 조립 부착되므로, 본체부에의 조립 부착 작업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 슬라이드 커버는 커버 외판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와, 상기 커버 외판과 구조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커버 외판 또는 구조 부재 사이에 마련된 토글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2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과 양단부에서 상기 랙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보유 지지판과, 상기 보유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서로 맞물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상기 보유 지지판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랙과 맞물리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범위의 대략 중간의 위치에서 상기 토글 수단이 보유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이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의 본체부에 피폐색부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개방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태 변화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이며,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커버 외판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와, 상기 커버 외판과 구조 부재 사이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커버 외판 또는 구조 부재 사이에 마련된 토글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는 2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과 양단부에서 상기 랙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보유 지지판과, 상기 보유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서로 맞물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상기 보유 지지판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랙과 맞물리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서 상기 토글 수단이 보유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이 반전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드 커버의 보유 지지 부재가 본체부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가 본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커버 외판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에 필요한 모든 부재가 지지되므로, 슬라이드 커버가 부착되는 본체부측에 설치할 부재가 없어 본체부측에 슬라이드 커버를 위한 부재를 배치하는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로 인해, 본체부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필요한 부재가 모두 조립된 형태로 존재하므로, 슬라이드 커버를 단일 부재 부품으로서 취급할 수 있어 부품 관리,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는 보유 지지 부재를 본체부에 고정하는 것만으로 본체부에 조립 부착되므로, 본체부에의 조립 부착 작업성이 양호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조 부재에는 커버 외판과 반대측으로 돌출된 조작 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작 돌기에 의해 본체부측에 설치된 스위치 등을 조작할 수 있고, 슬라이드 커버의 개폐에 관련된 동작 등을 본체부측에 행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돌기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압박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구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조 부재와 조작 돌기 사이에 개재 삽입된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압박면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도록 압박되어 있으므로, 조작 돌기의 본체부측에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슬라이드 커버와 본체부 사이의 간격에 변동이 있어도 본체부측에 설치된 스위치의 피조작자 등의 피압박 부재를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고, 또한 조작 돌기가 본체부측에 지나치게 근접한 경우에는,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조작 돌기가 회전함으로써 조작 돌기, 슬라이드 커버, 본체부 등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조작 돌기에 의한 조작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돌기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압박면을 갖는 스프링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의 탄성을 가지므로, 조작 돌기의 본체부측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슬라이드 커버와 본체부 사이의 간격에 변동이 있어도 본체부측에 설치된 스위치의 피조작자 등의 피압박 부재를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고, 또한 조작 돌기가 본체부측에 지나치게 근접한 경우에는 스프링 재료가 갖는 탄성에 의해 압박면이 휘어지므로, 조작 돌기, 슬라이드 커버, 본체부 등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조작 돌기에 의한 조작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커버 외판과 반대측으로 돌출된 조작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상기 상태 변화에 의해 본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조작되므로, 슬라이드 커버의 개폐에 관련된 동작,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촬영 준비 상태로 하고, 슬라이드 커버를 폐색 상태로 함으로써 전원 오프(OFF)의 상태로 하는 등의 동작을 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돌기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압박면을 갖는 동시에 상기 구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조 부재와 조작 돌기 사이에 개재 삽입된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압박면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또한 본체부에 설치된 스위치의 피조작자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어,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이 상기 스위치의 피조작자를 압박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조작 돌기의 본체부측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슬라이드 커버와 본체부 사이의 간격에 변동이 있어도 본체부측에 설치된 스위치의 피조작자를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고, 또한 조작 돌기가 본체부측에 지나치게 근접한 경우에는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조작 돌기가 회전함으로써, 조작 돌기, 슬라이드 커버, 본체부 등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스위치의 피조작자의 압박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 돌기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압박면을 갖는 스프링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에의 탄성을 갖고, 상기 탄성이 상기 스위치의 피조작자를 압박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조작 돌기의 본체부측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슬라이드 커버와 본체부 사이의 간격에 변동이 있어도 본체부측에 설치된 스위치의 피조작자를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고, 또한 조작 돌기가 본체부측에 지나치게 근접한 경우에는 스프링 재료가 갖는 탄성에 의해 압박면이 휘어지므로, 조작 돌기, 슬라이드 커버, 본체부 등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스위치의 피조작자의 압박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도1은 도면은 본 발명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도면은 도2 및 도3과 함께 디지털 카메라의 전체를 도시하고 있고, 본 도면은 슬라이드 커버가 폐색 상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2는 슬라이드 커버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3은 후방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4는 도5 내지 도18과 함께 슬라이드 커버의 상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도면은 분해 사시도이다.
도5는 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6은 커버 외판을 제거하여 본 정면도이다.
도7은 보유 지지 부재의 보유 지지판과 가이드 부재와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9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10은 조작 돌기 및 조작 돌기가 지지되는 부분의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은 조작 돌기와 상기 조작 돌기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3 및 도14와 함께 조작 돌기와 스위치 사이의 간극이 정상(설계치 그대로)인 경우에, 조작 돌기에 의해 스위치가 조작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로, 본 도면은 슬라이드 커버가 폐색 상태인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13은 슬라이드 커버가 폐색 상태와 개방 상태의 대략 중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14는 조작 돌기에 의해 스위치가 조작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15는 조작 돌기와 스위치 사이의 간극이 정상보다 좁은 경우에 조작 돌기에 의해 스위치가 조작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16은 조작 돌기와 스위치 사이의 간극이 정상보다 넓은 경우에 조작 돌기에 의해 스위치가 조작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17은 조작 돌기와 스위치의 부착 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도18은 조작 돌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19는 제2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0은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슬라이드 커버의 배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슬라이드 커버 및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시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한 것이다.
도1 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0)는 본체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20)의 전방면(20a)에 슬라이드 커버(30)(상세하게는 그 일부)가 상하 방향, 즉 도1 중 화살표 U-D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체부(20)는 좌우 방향, 즉 도면 중 화살표 L-R 방향으로 약간 긴 직사각형이고, 전후 방향의 두께가 작은 편평한 하우징(40) 내에 필요한 부품 및 부재가 수납 배치되어 구성된다. 하우징(40)은 전방측 케이스 부재(50)와 후방측 케이스 부재(60)가 전후로 맞대어져, 상단부가 상면판(21)에 의해, 또한 후단부가 하면판(22)(도3 참조)에 의해 각각 폐색되어 이루어진다.
본체부(20)의 전방면(20a)의 좌측 상방에는 대략 원형의 개구(5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51)로부터 촬영 렌즈(23)의 전단부가 전방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구(51)의 우측에 인접하여 스토로보스코프 발광부(24) 및 거리 측정용 빔 사출구(52)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상면(20b)의 우측 위치에는 셔터 버튼(25)이 배치되고, 후방면(20c)에는 우단부의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액정 표시부(26)가 설치되 고, 액정 표시부(26)와 우단부 사이의 부분에는 복수의 조작용 버튼(27, 27,…)이 배치되어 있다(도3 참조).
슬라이드 커버(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주요 부분이 본체부(20)의 전방면(20a)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동 범위의 상단부까지 이동한 폐색 위치에 위치한 상태(도1 참조)에서 상기 렌즈용 개구(51), 스토로보스코프 발광부(24) 및 빔 사출구(52)를 폐색하고 있고, 이동 범위의 하단부 중심에서 이동한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도2 참조)에서 상기 렌즈용 개구(51), 스트로보 발광부(24) 및 빔 사출구(52)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0)는 커버 외판(70)과, 상기 커버 외판(70)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80)와, 상기 커버 외판(70)과 구조 부재(80) 사이의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90)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90)와 커버 외판(70) 또는 구조 부재(80) 사이에 마련된 토글 수단(10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부재(90)는 본체부(20)와 고정적 관계에 있고,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상기한 주요 부분)만이 본체부(2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30)가 이동한다던가, 폐색 위치를 향해 혹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고 표현되는 것이 있는데, 이는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이동하거나, 폐색 위치를 향해 혹은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4 내지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외판(70)은 외측 화장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정면 형상에서 대략 가로로 긴 직사각형을 하고 있고, 좌우 양측모 서리(71, 71)가 외측으로 볼록한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외면의 우단부측 위치에 우측으로 볼록한 원호 형상을 한 능선(72)이 형성되고, 상기 능선의 좌측이 얕은 오목부(73)로 형성되어 있다(도1, 도2 참조). 이 커버 외판(70)의 배면은 외주연을 제외하고 얕은 오목부(74)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커버 외판(70)은 얇은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구조 부재(80)는 정면 형상으로 커버 외판(70)보다 한 단계 작은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고, 커버 외판(70)은 얇은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구조 부재(80)가 커버 외판(70)의 오목부(74) 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커버 외판(70)과 구조 부재(80)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얇은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커버 외판(70)과 구조 부재(80)는 나사 고정, 접착 등 적절한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구조 부재(80)의 좌우 양단부에는 안내부로서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안내 긴 구멍(81, 81)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긴 구멍(81, 81)의 내측 모서리 및 상하 양 모서리의 후방면은 약간 전방측에 위치한 결합 모서리(81a, 81a)가 되고, 또한 안내 긴 구멍(81, 81)의 외측 모서리 전방면은 약간 후방측에 위치한 결합 모서리(81b, 81b)(도6 참조)로 되어 있다.
구조 부재(80)의 약간 좌측 위치에는 큰 직사각형의 개구(8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82)의 좌우 양측 모서리에 랙(82a, 82b)이 형성되어 있다.
구조 부재(80)의 큰 직사각형의 개구(82)와 우측의 안내 긴 구멍(81) 사이의 위치에는 후방으로부터 보아 역L자 형상을 한 절결부(83)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 (83)의 좌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부 모서리로부터는 하방을 향해 지지 부재(83a)가 돌출되어 있다.
도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절결부(83)와 우측의 안내 긴 구멍(81) 사이의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작은 절결 구멍(84)이 형성되고, 상기 절결 구멍(84)의 좌우 양측면 하방측의 위치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슬릿(84a, 84a)이 형성되고, 또한 절결 구멍(84)의 상단부의 우단부에 연속된 위치의 후방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걸이용의 가늘고 긴 홈(84b)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돌기(85)는 메인부(85a)로부터 좌우로 돌출된 축(85b, 85c)과 메인부(85a)의 후단부로부터 상방 또한 우측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걸이부(85d)를 구비하고, 메인부(85a)의 하단부에 하방 또한 후방을 향해 경사진 면인 압박면(85e)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작 돌기(85)는 축(85b, 85c)이 전방으로부터 상기 슬릿(84a, 84a)에 삽입되고, 그 상태에서 별도의 부재(86)로 슬릿(84a, 84a)의 전단부가 폐색됨으로써 구조 부재(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조작 돌기(85)는 압박 수단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일방향으로 압박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의 코일부(87a)는 조작 돌기(85)의 우측 축(85c)에 외부 끼워지고, 한쪽 아암(87b)이 조작 돌기(85)의 스프링 걸이부(85d)의 전방면에 탄성 접촉되고, 다른 쪽 아암(87c)이 상기 홈(84b) 내에 위치된다.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조작 돌기(85)는 상단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압박된다. 그리고, 조작 돌기(85)의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압박된 방향으로의 회전은 메인부(85a)의 하단부 전방면이 상기 별도 의 부재(86)에 접촉함으로써 정지하고, 그 상태에서 압박면(85e)은 하방 및 후방에 약 45도의 각도를 갖고 경사진 상태가 된다.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유 지지 부재(90)는 보유 지지판(91)과, 상기 보유 지지판(9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서로 맞물린 2개의 피니언 기어(92a, 92b)와, 상기 2개의 피니언 기어(92a, 92b)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상기 보유 지지판(91)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93, 93)로 이루어진다.
보유 지지판(91)은 좌우 방향으로 긴 띠 형상을 하고 있고, 우단부측의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된 스프링 걸이부(91a)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 양단부의 상하 양 모서리로부터 지지 부재(91b, 91b,…)가 후방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지지 부재(91b, 91b,…)에는 지지 구멍(91c, 91c,…)이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판(91)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의 후방면에 2개의 피니언 기어(92a, 92b)가 좌우로 나란히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판(91)의 좌우 양단부에 가이드 부재(93, 93)가 지지된다.
도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93, 93)는 내측, 즉 서로 대향한 측으로 돌출된 결합 부재(93a, 93a)와 외측, 즉 서로 반대측으로 돌출된 결합 부재(93b, 93b)를 갖는다. 결합 부재(93a, 93a)는 결합 부재(93b, 93b)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93, 93)에는 대략 중앙부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2개의 슬릿(93c, 93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슬릿(93c, 93c)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또한 하측의 슬릿(93c, 93c)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각각 돌출된 피지지 돌기(93d, 93d,…)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93, 93)의 후방면 의 상하 양단부에는 위치 결정 돌기(93e, 93e,…)가 형성되고, 또한 중앙부에는 후방면에 개구된 나사 구멍(93f, 93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유 지지판(91)의 지지 부재(91b, 91b,…)는 가이드 부재(93, 93)의 슬릿(93c, 93c,…)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93, 93)의 피지지 돌기(93d, 93d,…)가 지지 부재(91b, 91b,…)의 지지 구멍(91c, 91c,…)에 결합되고(도6 참조),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93, 93)가 보유 지지판(91)의 좌우 양단부에 지지된다.
도5 및 도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보유 지지 부재(90)는 보유 지지판(91)이 커버 외판(70)과 구조 부재(8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93, 93)의 결합 부재(93a, 93a)가 구조 부재(80)의 안내 긴 구멍(81, 81)의 내측 결합 모서리(81a, 81a)에 후방으로부터 결합하고(도5 참조), 결합 부재(93b, 93b)가 안내 긴 구멍(81, 81)의 외측 결합 모서리(81b, 81b)에 전방측으로부터 결합됨(도6 참조)으로써 가이드 부재(93, 93)가 구조체(80)의 안내 긴 구멍(81, 81)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피니언 기어(92a)가 구조 부재(80)의 랙(82a)에 맞물리고, 피니언 기어(92b)가 구조 부재(80)의 랙(82b)에 맞물림된다.
토글 수단인 토글 스프링(100)은 코일부(101)로부터 2개의 아암(102, 103)이 V자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한쪽 아암(102)의 선단부가 구조 부재(80)의 지지 부재(83a)에 지지되고, 다른 쪽 아암(103)이 보유 지지판(91)의 스프링 걸이부(91a)에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 커버(30)는 다음과 같이 하여 본체부(20)에 부착된다.
상기 슬라이드 커버(30)는 본체부(20)의 전방측 케이스 부재(50)의 전방면측에 지지된다. 전방측 케이스 부재(50)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 플라스틱의 형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면부(50a)와 전방면부(50a) 좌우 양측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좌우측 모서리부(50b, 50b)와 전방면부(50a)의 상하 양측 모서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상하측 모서리부(50c, 50d)로 이루어진다. 전방면부(50a)에는 상기한 렌즈용 개구(51), 빔사출구(52), 스토로보스코프 발광부(24)를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개구(53)가 형성되어 있는 것 외에, 좌우 양단부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약간 상방으로 나사 삽통 구멍(54, 54)이 형성되고, 이들 나사 삽통 구멍(54, 54)의 상하에 근접하여 위치 결정 구멍(55, 5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나사 삽통 구멍(54)에 근접한 위치에 약간 큰 직사각형의 개구(56)가 형성되어 있다(도5 참조).
상기 슬라이드 커버(30)의 가이드 부재(93, 93)의 위치 결정 돌기(93e, 93e,…)를 본체부(20)의 전방측 케이스 부재(50)의 상기 위치 결정 구멍(55, 55,…)에 전방측으로부터 끼워 맞춤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93, 93)가 전방측 케이스 부재(50)에 대해 위치 결정되고, 가이드 부재(93, 93)의 나사 구멍(93f, 93f)이 전방측 케이스 부재(50)의 나사 삽통 구멍(54, 54)의 전방측에 위치한다. 그래서, 내측으로부터 나사 삽통 구멍(54, 54)에 삽통된 나사(93g, 93g)가 가이드 부재(93, 93)의 나사 구멍(93f, 93f)에 나사 부착되고,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93, 93)가 본 체부(20)의 전방측 케이스 부재(50)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93, 93)는 조립체인 보유 지지 부재(90)의 일부로, 보유 지지 부재(90)와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부재(93, 93)를 거쳐서 본체부(20)의 전방측 케이스 부재(50)에 고정된 보유 지지 부재(90)를 거쳐서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전방측 케이스 부재(5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측 케이스 부재(50)가 다른 부재와 함께 하우징(40)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40) 내에 소요의 부품이나 부재가 배치되어 본체부(20)가 형성되면, 도1 내지 도3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커버(30)는 본체부(20)의 전방면(20a)에 도1에 도시하는 폐색 상태와 도2에 도시하는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태 변화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도8은 슬라이드 커버(30)가 폐색 상태에 있는 상태를 슬라이드 커버(30)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9는 슬라이드 커버(30)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를 슬라이드 커버(30)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8에 도시하는 폐색 상태에 있을 때, 보유 지지 부재(90)의 가이드 부재(93, 93)는 구조 부재(80)의 안내 긴 구멍(81, 81)의 최하단부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2개의 피니언 기어(92a, 92b)는 랙(82a, 82b)의 최하단 부분과 맞물려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 토글 수단(토클 스프링)(100)의 2개의 아암(102, 103)의 선단부 사이가 개방되도록 탄성 반발력은 보유 지지 부재(90)에 대해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작용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 커버(30)는 폐색 상태, 즉 커버 외판(70)[및 구조 부재(80)]이 폐색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유 지된다.
슬라이드 커버(30)의 커버 외판(70)[및 구조 부재(80)]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힘을 가한 경우[조작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는, 통상 커버 외판(70)의 우측 상방의 부분에 도8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보유 지지 부재(90)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이 때, 우선 역점(화살표 F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부분)에 가까운 우측의 랙(82b)에 하방으로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상기 랙(82b)과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92b)가 시계 방향(도8의 화살표 CW 참조)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따라서, 피니언 기어(92b)와 맞물려 있는 좌측의 피니언 기어(92a)가 시계 반대 방향(도8의 화살표 CCW 참조)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그리고 피니언 기어(92a)는 좌측의 랙(82b)과 맞물려 있으므로 랙(82b)에는 하방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이들에 의해,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의 좌우에 하방으로의 이동력이 평균적으로 작용하고,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는 하방으로, 즉 개방 위치를 향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이동 범위의 대략 중간점을 통과하면, 토글 수단(100)의 방향이 2개의 아암(102, 103)의 선단부가 개방하고자 하는 힘이 미치는 방향이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반전되고,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를 하방으로, 즉 개방 위치를 향해 압박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토글 수단(100)의 압박력에 의해 슬라이드 커버(30)는 개방 상태, 즉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를 폐색 위치를 향해 이동시킬 때도 마찬가지로 작용하여(도8에 나타낸 각 화살표의 방향은 반대가 됨) 원활하게 이동한다.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경우, 예를 들어 슬라이드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슬라이드 커버를 폐색 상태로 함으로써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하는 등, 슬라이드 커버를 이동시킴으로써 어떠한 상태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슬라이드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에는, 상기 전자 기기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후 전원을 투입하는 등, 사용을 위한 수속을 하는 데 비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디지털 카메라(10)의 경우, 슬라이드 커버(30)를 개방 상태로 한 것만으로는, 촬영 렌즈(23)나 스토로보스코프 발광부(24) 등이 전방을 향한 임한 상태가 될 뿐이고, 촬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원의 투입 등의 조작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래서, 슬라이드 커버(30)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전원이 투입되는 동시에 촬영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고, 또한 슬라이드 커버(30)가 폐색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촬영의 준비 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해 두면 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상기 슬라이드 커버(3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 돌기(85)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이 조작 돌기(85)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조작 돌기(85)에 의해 슬라이드 커버(30)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되어 있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 내에 배치된 기판(110)의 슬라이드 커버(30)에 대향한 면에 검출 스위치(120)가 탑재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120)는 케이스 부재(121) 내에 소요의 부재나 부품이 조립되고, 피조작자(122)가 케이스 부재(121)의 하단부측 부분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피조작자(122)는 케이스 부재(121)에 대해 출입하도록 형성되고, 케이스 부재(121) 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탄성 반발 수단에 의해 도11에 도시하는 돌출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피조작자(122)는 상방 및 전방에 대해 대략 458도의 각도로 경사진 피압박면(122a)을 갖고 있고, 상기 피압박면(122a)이 상방이나 전방으로부터 압박되면, 도11 중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 부재(121) 내에 인입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피조작자(122)가 케이스 부재(121) 내에 인입하도록 조작되면, 전원이 투입되는 동시에 본체부(20)의 각 부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준비된다.
도11은 슬라이드 커버(30)와 검출 스위치(120) 사이의 간극(B)이 정상의 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조작 돌기(85)의 압박면(85e)의 후단부는 검출 스위치(110)의 케이스 부재(121)의 전방면(121a)으로부터 C만큼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조작 돌기(8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도11 중 화살표 E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도12 내지 도14에 슬라이드 커버(30)와 검출 스위치(120) 사이의 간극(B)이 정상인 경우에 있어서 조작 돌기(85)에 의해 검출 스위치(120)가 조작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12는 슬라이드 커버(30)가 폐색 상태, 즉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폐색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이 상태로부터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폐색 위치를 향해, 즉 도면 중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면, 바로 조작 돌기(85)의 압박면(85e)의 후단부가 검출 스위치(120)의 바로 상방에서 기판(110)에 마운트되어 있는 마운트 부품(130)에 접촉한다. 또, 마운트 부품(130)의 전방면(131)은 검출 스위치(120)의 전방면(121a)과 동일한 평면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해 가면, 조작 돌기(8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도11의 화살표 E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 돌기(85)의 후단부가 마운트 부품(130)의 전방면(131)을 미끄럼 접촉해 가게 된다(도13 참조). 또한,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도11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해 가면, 조작 돌기(85)의 압박면(85e)이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의 피압박면(122a)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압박면(85e)이 피압박면(122a)을 도11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압박하므로, 피조작자(122)는 도1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스 부재(121) 내에 압입되고(도14 참조), 이 결과, 전원이 투입되어 촬영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진다.
슬라이드 커버(30)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상태 변경될 때는, 도14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12에 도시하는 상태로 변화해 가고, 상술한 역방향의 동작이 이루어져서,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가 도시하지 않은 탄성 반발 수단에 의해 케이스 부재(12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전원이 차단된다.
다음에, 부품이나 조립 정밀도에 변동이 있던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15는 검출 스위치(120)가 기판(110)에 대해 떠 있는 상태에서 마운트된 경우나, 조립시에 조작 돌기(85)와 검출 스위치(120) 사이의 간극(B)이 좁아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돌기(85)가 검출 스위치(120)의 케이스 부재(121)에 접촉한 후에 도13의 경우보다 더욱 도11의 화살표 E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치수 오차를 흡수하여 조작 돌기(85)의 후단부가 케이스 부재(121)의 전방면과 미끄럼 접촉하게 되고, 아무런 지장을 주는 일 없이, 조작 돌기(85)의 압박면(85e)에서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의 피압박면(122a)을 압박할 수 있다.
도16은 도15인 경우와는 반대로, 조작 돌기(85)와 검출 스위치(120) 사이의 간극(B)이 도11의 경우보다 커진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 돌기(85)와 검출 스위치(120) 사이의 간극(B)이 좁아진 경우에는, 조작 돌기(85)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도11의 화살표 E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간극(B)이 좁은 만큼을 흡수하므로, 조작 돌기(85)의 본체부(20)측으로의 돌출량을 미리 크게 설정해 둘 수 있다. 그로 인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라도, 조작 돌기(85)가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를 공진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조작 돌기(85)에 의해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를 압박할 수 있다.
최근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는 소형화 및 박형화가 발달되었고, 금후 한층 소형화 및 박형화가 기대된다. 이 점은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그리고,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추진됨에 따라서 검출 스위치도 소형화를 면하지 않고, 또한 그 설치 공간도 작은 것이 되어 간다. 이와 같은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검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돌기의 이동 스트로크나 검출 스위치 사이의 간극도 작아져야만 한다. 그로 인해, 부품의 치수 오차나 조립 부착 정밀도의 아주 작은 오차로 슬라이드 커버 자체의 이동이 저해되거나, 조작 돌기가 검출 스위치를 확실하게 압박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디지털 카메라(10)에 있어서는, 조작 돌기(85)를 슬라이드 커버(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조작 돌기(85)를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타성 반발적으로 압박하였으므로, 조작 돌기(85)의 검출 스위치(120)측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해 둠으로써, 상기 간극이 커져도 조작 돌기(85)가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를 공진하는 일이 없고, 반대로 간극이 작아진 경우에는 조작 돌기(85)가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30)의 동작을 저해하거나, 조작 돌기(85)나 검출 스위치(120) 등이 파손되거나 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도17은 조작 돌기(85) 및 검출 스위치(120)의 배치를 바꾼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17에 있어서는, 구조 부재(80)의 절결부(83)의 상부 모서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부착 부재(88)를 형성하고, 상기 부착 부재(88)의 우측부에 우측 및 하방으로 개방된 절결 오목부(88a)를 형성하고, 상기 절결 오목부(88a) 내에 상기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조작 돌기(85)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조작 돌기(85)의 축(85c)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의 코일부(87a)를 외부 끼움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의 한쪽 아암(87b)을 조작 돌기(85)의 스프링 걸이부(85d)에 탄성 접촉하고, 다른 쪽 아암(87c)을 상기 절결 오목부(88a)의 좌측 안쪽면에 탄성 접촉시킨다. 따라서, 조작 돌기(85)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도17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화살표 CW 참조)으로 압박되고, 조작 돌기(85)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메인부(85a)가 절결 오목부(88a)의 좌측 안쪽면에 접촉함으로써 정지하여 도17에 도시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검출 스위치(120)는 본체부(20) 내에 배치된 기판에 탑재되어 피조작자(122)가 케이스 부재(121)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피조작자(122)의 피압박면(122a)이 조작 돌기(85)의 압박면(85e)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도17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즉, 조작 돌기(85)의 검출 스위치(120)측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해 둠으로써, 조작 돌기(85)와 검출 스위치(120) 사이의 간극이 커져도 조작 돌기(85)가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를 공진하는 일이 없고, 반대로 간극이 작아진 경우라도 조작 돌기(85)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8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회전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30)의 동작을 저해하거나, 조작 돌기(85)나 검출 스위치(120) 등이 파손되거나 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조작 돌기는 도18에 나타내는 형태(변형예)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조작 돌기(140)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을 한 판 스프링 재료를 절곡 성형하여 형성된 것이고, 부착부(141)와, 압박면(142)과, 미끄럼 이동면(143)과, 보조부(144)가 연속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41)가 슬라이드 커버(30)의 구조 부재(80)에 나사(141a)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부착부(141)의 상단부로부터 압박면(142)이 후방측 상방으로 대략 45도의 각도로 돌출되고, 또한 압박면(142)의 상단로부터 미끄럼 이동면(143)이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마지막으로 미끄럼 이동면(143)의 상단부로부터 보조부(144)가 전방측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조작 돌기(140)에 있어서도, 판 스프링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치수 정밀도나 조립 부착 오차에 의해 조작 돌기(140)와 검출 스위치(120) 사이의 간극에 다소 변동이 있어도, 상기 변동을 흡수하여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를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다. 즉, 조작 돌기(140)의 검출 스위치(120)측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해 둠으로써, 상기 간극이 커져도 조작 돌기(140)가 검출 스위치(120)의 피조작자(122)를 공진하는 일이 없고, 반대로 간극이 작아진 경우라도 조작 돌기(140)가 판 스프링 재료의 탄성에 의해 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30)의 동작을 저해하거나, 조작 돌기(140)나 검출 스위치(120)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체부(20)에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모터, 예를 들어 직류 모터(150)를 배치하는 동시에 그 출력축으로 구동 기어(151)를 고정하고, 슬라이드 커버(30)의 상기 피니언 기어의 한쪽 (92b)에 기어(92b)보다 직경이 작은 소기어(152)를 동일축에 또한 일체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커버(30)를 본체부(20)에 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구동 기어(151)와 소기어(152)가 맞물리도록 한 것이다.
슬라이드 커버(30)의 폐색 상태로부터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를 개방 위치를 향해 약간 이동하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그것을 검지하여 모터(150)를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피니언 기어(92b)는 2개의 기어(151, 152)를 거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92b)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92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각 피니언 기어(92a, 92b)가 각각 랙(82a, 82b)을 이송하므로,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는 자동적으로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해 간다. 그리고,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즉 슬라이드 커버(30)가 개방 상태로 하면, 그것을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검지되어 모터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드 커버(30)의 개방 상태로부터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를 폐색 위치를 향해 약간 이동하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그것을 검지하여 모터(15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피니언 기어(92b)는 2개의 기어(151, 152)를 거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92b)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92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각 피니언 기어(92a, 92b)가 각각 랙(82a, 82b)을 이송하므로,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는 자동적으로 폐색 위치를 향해 이동해 간다. 그리고, 커버 외판(70) 및 구조 부재(80)가 폐색 위치에 도달하면, 즉 슬라이드 커버(30)가 폐색 상태가 되면, 그것을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검지하여 모터를 정지시킨다.
또,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토글 수단(100)은 없어도 좋다.
도20은 본 발명 슬라이드 커버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슬라이드 커버(30)에 있어서는, 좌우의 랙(82a, 82b)과 맞물려 있는 피니언 기어(92a와 92b) 사이에 2개의 중간 피니언 기어(92c, 92d)를 개재 삽입한 것이다.
슬라이드 커버(30)가 한쪽으로 특히 긴 경우에,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양단부에 가까운 부분에서 랙(82a, 82b)에 이동력이 가해지는 쪽이 이동에 편향이 생기는 일 없이 보다 원활한 이동을 시킬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전자 기기를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한 것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가 디지털 카메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것은 물론이며, 슬라이드 커버를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커버에 마련한 조작 돌기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스위치를 도시하였지만, 이것도 스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록 미디어의 배출 등 다양한 부재나 부품을 조작 돌기에 의해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시한 각 부의 구체적 형상 및 구조는 모든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행하는 구체화의 본 예 중 하나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커버를 필요로 하는 전자 기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박형화와 공간 절약화를 목표로 하는 전자 기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8)

  1. 커버 외판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와, 상기 커버 외판과 구조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커버 외판 또는 구조 부재 사이에 마련된 토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 부재에는 2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과 양단부에서 상기 랙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보유 지지판과, 상기 보유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서로 맞물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상기 보유 지지판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 각각이 상기 랙과 맞물림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커버 외판과 상기 구조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토글 수단이 보유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이 반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 부재에는 상기 커버 외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조작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돌기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커버 외판과 상기 구조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압박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구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조 부재와 조작 돌기 사이에 개재 삽입된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압박면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압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돌기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커버 외판과 상기 구조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압박면을 갖는 스프링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의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커버.
  5. 전자 기기의 본체부에 피폐색부를 폐색하는 폐색 상태와 개방하는 개방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커버 외판과, 상기 커버 외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구조 부재와, 상기 커버 외판과 구조 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커버 외판 또는 구조 부재 사이에 마련된 토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 부재에는 2개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랙과 양단부에서 상기 랙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부가 설치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는 보유 지지판과, 상기 보유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서로 맞물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를 사이에 끼운 위치에서 상기 보유 지지판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짝수개의 피니언 기어 각각이 상기 랙과 맞물림과 함께,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안내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커버 외판과 상기 구조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토글 수단이 보유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방향이 반전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드 커버의 보유 지지 부재가 본체부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가 본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커버는 상기 커버 외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조작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상기 상태 변화에 의해 본체부에 설치된 스위치가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돌기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커버 외판과 상기 구조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압박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구조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조 부재와 조작 돌기 사이에 개재 삽입된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압박면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또한 본체부에 설치된 스위치의 피조작자를 압박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고,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이 상기 스위치의 피조작자를 압박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돌기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상기 커버 외판과 상기 구조 부재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압박면을 갖는 스프링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면이 보유 지지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의 탄성을 갖고, 상기 탄성이 상기 스위치의 피조작자를 압박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0057010306A 2003-10-09 2004-10-07 슬라이드 커버 및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1103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50371A JP3938131B2 (ja) 2003-10-09 2003-10-09 スライドカバー及びスライドカバー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03-00350371 2003-10-09
PCT/JP2004/015200 WO2005036252A1 (ja) 2003-10-09 2004-10-07 スライドカバー及びスライドカバーを備え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423A KR20060105423A (ko) 2006-10-11
KR101103172B1 true KR101103172B1 (ko) 2012-01-04

Family

ID=3443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306A KR101103172B1 (ko) 2003-10-09 2004-10-07 슬라이드 커버 및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54406B2 (ko)
EP (1) EP1672418A1 (ko)
JP (1) JP3938131B2 (ko)
KR (1) KR101103172B1 (ko)
CN (1) CN100474092C (ko)
TW (1) TWI238418B (ko)
WO (1) WO2005036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2918B2 (ja) * 2005-10-12 2012-03-0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449880B2 (ja) 2005-10-12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710657B2 (ja) * 2006-03-03 2011-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07298618A (ja) * 2006-04-28 2007-11-15 Olympus Corp レンズバリアおよびカメラ
WO2007126035A2 (en) 2006-04-28 2007-11-08 Olympus Corporation Sliding mechanism of lens barrier, lens barrier, and camera
JP4546417B2 (ja) * 2006-04-28 2010-09-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バリアのスライド機構およびカメラ
KR20080024679A (ko) * 2006-09-14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JP4859623B2 (ja) * 2006-10-19 2012-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ンズカバースライド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4324884B2 (ja) 2007-01-31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880981B1 (ko) * 2007-10-01 2009-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카메라 도어 개폐 장치
JP2009098415A (ja) * 2007-10-17 2009-05-07 Sony Corp 電子機器
US20100299902A1 (en) * 2009-05-26 2010-12-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two parts
JP4711017B2 (ja) * 2010-02-22 2011-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4911653B2 (ja) * 2011-07-11 2012-04-04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2013080216A (ja) * 2011-09-22 2013-05-02 Panasonic Corp 電子機器及び撮像装置
US8453836B1 (en) * 2011-11-14 2013-06-04 Topkase International Co., Ltd. Mobile device protective case with slidable shutter
US9326404B1 (en) 2013-09-23 2016-04-26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cover
US9298216B1 (en) * 2013-09-23 2016-03-29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cover with device activating mechanism
TWD169766S (zh) * 2014-09-11 2015-08-11 華晶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的鏡頭用外罩之部分
CN112782908B (zh) * 2019-11-07 2022-04-26 杭州海康微影传感科技有限公司 挡片装置及成像设备
US20230115144A1 (en) * 2021-10-08 2023-04-13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display monitor camera with adjustable tilt coverage mirr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438A (ja) * 1994-09-29 1996-04-16 Minolta Co Ltd 操作設定装置
JP2000305131A (ja) 1999-04-23 2000-11-02 Sony Corp レンズカバー開閉機構
JP2003222929A (ja) 2002-01-31 2003-08-08 Canon Inc カメラのバリア移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63180A (en) * 1937-12-10 1941-11-18 Electrolux Corp Closure member locking means
JPH01149627A (ja) 1987-12-07 1989-06-12 Tokyo Electric Co Ltd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JP2000155355A (ja) 1998-11-24 2000-06-06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バリア付きカメ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438A (ja) * 1994-09-29 1996-04-16 Minolta Co Ltd 操作設定装置
JP2000305131A (ja) 1999-04-23 2000-11-02 Sony Corp レンズカバー開閉機構
JP2003222929A (ja) 2002-01-31 2003-08-08 Canon Inc カメラのバリア移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423A (ko) 2006-10-11
CN100474092C (zh) 2009-04-01
US20060163095A1 (en) 2006-07-27
JP3938131B2 (ja) 2007-06-27
CN1717621A (zh) 2006-01-04
JP2005115109A (ja) 2005-04-28
EP1672418A1 (en) 2006-06-21
TWI238418B (en) 2005-08-21
US7654406B2 (en) 2010-02-02
WO2005036252A1 (ja) 2005-04-21
TW200516601A (en) 200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172B1 (ko) 슬라이드 커버 및 슬라이드 커버를 구비한 전자 기기
JPH0753052Y2 (ja) レンズのフレキシブル基板取付構造
JP4353103B2 (ja) 電子機器
US8026972B2 (en) Picture-taking lens unit
JP4196952B2 (ja) 電子機器
US11960194B2 (en) Camera
US704626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unit
JP4389816B2 (ja) 電子機器
US20090295936A1 (en) Light quantity adjusting device,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4465629B2 (ja) スライドカバー
JP4495479B2 (ja) ポップアップストロボ
JP4274778B2 (ja) カメラ
JP3638166B2 (ja) 実像式ファインダ
JP4651077B2 (ja) 電子機器
JPH0452742Y2 (ko)
JP2024049657A (ja) カメラ装置
JP4477891B2 (ja) ポップアップストロボ
JPH11282055A (ja) ズームファインダ
JP4525336B2 (ja) 撮像装置
JP4495478B2 (ja) ポップアップストロボ
JPH11231379A (ja) カメラ
JP2010225305A (ja) 電子機器
JP2001318405A (ja) スライドバリア装置
JPH11249223A (ja) カメラの圧板支持構造
JPH0961888A (ja) カメラのバリア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