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606B1 - 작업차의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606B1
KR101088606B1 KR1020090086928A KR20090086928A KR101088606B1 KR 101088606 B1 KR101088606 B1 KR 101088606B1 KR 1020090086928 A KR1020090086928 A KR 1020090086928A KR 20090086928 A KR20090086928 A KR 20090086928A KR 101088606 B1 KR101088606 B1 KR 10108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tepping
transmission
stop operation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733A (ko
Inventor
시게노부 이찌까와
겐따로오 나까무라
스스무 우메모또
히사오 무까이
쇼오따 나가사와
다꾸야 이나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2285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97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82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0937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0008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78Fluid exchange between hydrostatic circuits and external sources or consumers
    • F16H61/4104Flushing, e.g. by using flushing valves or by connection to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57Control of braking, e.g. preventing pump over-speeding when motor acts as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34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two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 F16H4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 with fluid clutches or fluid gearing the fluid gearing being of the volume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선회 작동 중에 있어서, 긴급으로 주행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신속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트랙터의 주행 조작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우측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배치한다.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좌우 한쪽의 대응하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온 작동하고, 또한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주행 정지 상태를 나타내도록 구성한다. 주행 변속용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를 설치하고,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좌측에, 무단 변속 장치(23)를 조작하여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정지 조작 페달(6)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동력 전달의 단속 및 PTO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서로 연계 작동시켜, 잔류 경작 부분의 발생도 적고, 또한 임의의 조작 타이밍으로 경쾌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의 유압 펌프(2300P)로부터 유압 모터(2300M)로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의 고압 작동유를 오일 탱크로 유도하는 정지 조작 페달(6000)을 설치하여,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 조작으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를 중립 위치로 조작하여, PTO 클러치(2400)를 오프 조작하고, 스테핑 해제측으로의 조작으로 PTO 클러치(2400)의 온 조작이 행해지도록 연계시켜, 스테핑측으로의 조작으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가 중립 위치로 복귀된 후에 PTO 클러치(2400)가 오프되고, 스테핑 해제측으로의 조작에서는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PTO 클러치(2400)의 온 조작이 행해지도록 조작 타이밍을 설정하고 있다.
Figure R1020090086928
트랙터, 스티어링 휠,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 무단 변속 장치, 정지 조작 페달, 작업차,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유압 펌프, 유압 모터, 고압 작동유

Description

작업차의 전동 장치 {ELECTRIC DEVICE OF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우측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배치하고,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좌우 한쪽의 대응하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온 작동하고, 또한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주행 정지 상태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트랙터의 주행 조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엔진 동력을 주행 장치로 전달하는 주행 구동계와, 엔진 동력을 외부 동력 취출축으로 전달하는 작업 장치 구동계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구동계에 주행 장치로의 동력을 변속하여 전달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작업 장치 구동계에 외부 동력 취출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유압 조작식 PTO 클러치를 구비한 작업차의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주행 정지하는 경우에는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함으로써 행하고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이러한 종류의 작업차의 전동 장치로서는, 하기 [1] 및 [2]에 기재된 구조의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1]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주행용 변속 장치를 정지 상태로 하는 동시에, PTO 클러치를 오프 조작하도록 구성한 것(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2]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펌프로부터 유압 모터로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의 고압 작동유를, 바이패스 회로로 송입하는 상태와, 그 바이패스 회로로의 송입을 해제하는 상태로 택일 절환 조작 가능한 조작 수단을 설치한 것(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97766호 공보(단락 〔0014〕, 〔0015〕)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137436호 공보(단락 번호 0028, 0029, 0035, 0037, 도 3, 도 4)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3-38030호 공보(공보 명세서의 제2 페이지 우측 상란 및 동일 페이지 우측 하란 및 공보 도면의 도 1, 도 2)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여 선회 조작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주행을 정지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스테핑 조작하고 있는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일단, 스테핑한 발을 떼고,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되어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이 정렬된 후에, 다시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할 필요가 있었다.
그로 인해, 조작이 번잡하여, 선회 조작 중의 주행 정지의 조작성의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선회 조작 중에 있어서, 주행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신속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트랙터의 주행 조작 구조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1]에 기재한 종래 구조의 것에서는, 예를 들어 트랙터 본체의 후방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를 연결하여 PTO축에서 구동하는 경운 작업에 있어서, 경운 작업 중에 주행 정지를 행하는 경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여 주행 정지를 행함으로써 자동적으로 PTO 클러치가 오프되므로, 회전 구동되는 로터리 경운 장치에 의해 트랙터 본체가 밀려서 정지 거리가 길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 구조의 것에서는,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는 것이므로, 그 조작력으로서는 비교적 큰 스테핑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고, 또한 한쪽의 사 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하여 기체 선회를 행하고 있을 때에는 정지 조작을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상기 [2]에 나타내는 종래 구조의 것에서는,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이 아니라, 변속 레버의 중립 위치, 혹은 조종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그 스위치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펌프로부터 유압 모터로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의 고압 작동유를, 바이패스 회로로 송입하는 상태와, 그 바이패스 회로로의 송입을 해제하는 상태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구동 상태를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절환할 수는 있는 것이지만, 그 조작에 연동하여 PTO 클러치의 조작을 행할 수는 없고, 또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경사판을 중립 위치로 복귀 조작할 수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동력 전달의 단속 및 PTO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서로 연계 작동시켜, 잔류 경작 부분의 발생도 적고, 또한 임의의 조작 타이밍으로 경쾌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작업차의 전동 장치를 얻는 데 있다.
〔구성〕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주행 변속용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좌측에,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정지 조작 페달을 설치하고 있는 점 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에 배치한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반대측인 좌측에 정지 조작 페달을 배치하였다. 그리고, 이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함으로써,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여,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오른발로 스테핑 조작하여 선회 작동을 행하면서, 주행을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굳이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오른발을 떼지 않고, 반대측의 왼발로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함으로써 주행 장치를 정지 조작할 수 있다.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선회 상태가 그다지 고속 주행이 아닌 점을 고려하면,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의 제동력으로 주행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효과〕
따라서,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오른발을 떼지 않고, 좌측에 배치한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함으로써 신속하게 주행을 정지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과는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반대측에 정지 조작 페달을 배치하는 고안을 실시함으로써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구성〕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상기 무단 변속 장치의 고압 작동유를 오일 탱크로 유도하여,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상기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하는 제1 연계 수단을, 상기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정지 조작 페달에 걸쳐서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무단 변속 장치의 고압 작동유가 오일 탱크로 유도되므로,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상태로 절환되어, 구동력이 발생하지 않고,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은 차단된다.
즉,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여,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의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끊는 수단으로서, 무단 변속 장치의 고압 작동유를 오일 탱크로 유도하는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간이한 주행 장치의 정지 구조를 구축할 수 있었다.
〔구성〕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특징 구성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상기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온 작동하는 동시에,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상기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하는 제2 연계 수단을, 상기 양 사이드 브레이크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에 걸쳐서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고, 그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작용 효과〕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주행 장치를 정지 조작한 경우에도, 제2 연계 수단이 작동하여, 무단 변속 장치를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무단 변속 장치로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어, 사이드 브레이크에 무리한 추진력이 작용하지 않아, 안정된 브레이크 작동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해결 수단 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기술 수단은, 엔진 동력을 주행 장치로 전달하는 주행 구동계와, 엔진 동력을 외부 동력 취출축으로 전달하는 작업 장치 구동계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구동계에 주행 장치로의 동력을 변속하여 전달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작업 장치 구동계에 외부 동력 취출축으로의 동력 전달을 단속하는 유압 조작식 PTO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펌프로부터 유압 모터로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의 고압 작동유를 오일 탱크로 유도하는 동력 차단 상태와, 그 동력 차단 상태를 해제하여 유압 모터를 구동하는 상태로 택일 절환 조작 가능한 정지 조작 페달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정지 조작 페달에 의한 정지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경사판을 중립 위치로 복귀 조작하는 경사판 각도 제어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정지 조작 페달에 대해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와 PTO 클러치는 정지 조작 페달의 스테핑 조작에 수반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중립 위치로 조작하는 동시에 PTO 클러치를 오프 조작하고, 정지 조작 페달의 스테핑 해제측으로의 조작에 수반하여 PTO 클러치의 온 조작이 행해지도록 연계시키고 있고, 또한 상기 정지 조작 페달의 스테핑측으로의 조작에서는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위치로 복귀된 후에 PTO 클러치가 오프 조작되고, 상기 정지 조작 페달의 스테핑 해제측으로의 조작에서는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PTO 클러치의 온 조작이 행해지도록 조작 타이밍을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및 효과〕
상기와 같이, 해결 수단 1에 관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전동 장치에서는 정지 조작 페달에 대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와 PTO 클러치를 연계시켜, 정지 조작 페달의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있어서의 고압 작동유의 급배에 의한 동력 단속과, PTO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정지 조작 페달의 스테핑측으로의 조작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위치로 복귀된 후에 PTO 클러치가 오프 조작되고, 상기 정지 조작 페달의 스테핑 해제측으로의 조작에서는 상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PTO 클러치의 온 조작이 행해지도록 조작 타이밍을 설정하고 있 다. 따라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동안에 PTO 클러치가 오프 조작되거나, PTO 클러치의 온 조작이 행해지기 전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주행이 개시되는 경우에 비해, 농지에 잔류 경작 부분이 남을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조작 페달의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동력 전달의 단속 및 PTO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서로 연계 작동시켜 조작성이 좋은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연계 작동도 정지 조작 페달의 스테핑측으로의 조작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가 중립 위치로 복귀된 후에 PTO 클러치가 오프 조작되고, 정지 조작 페달의 스테핑 해제측으로의 조작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PTO 클러치의 온 조작이 행해지도록 조작 타이밍을 설정하여, 농지에 잔류 경작 부분이 남을 가능성을 적게 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2〕
본 발명의 작업차의 전동 장치에 있어서의 제2 해결 수단은, 청구항 2의 기재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하여 목표 속도를 설정하는 목표 속도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경사판 각도 제어 수단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속도에 대응하는 경사판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사판 각도 변경 속도를, 미리 설정된 증속률로 완만하게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및 효과〕
상기와 같이, 해결 수단 2에 관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전동 장치에서는 경사판 각도 제어 수단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속도에 대응하는 경사판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사판 각도 변경 속도를, 미리 설정된 증속률로 완만하게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지 조작 페달에서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정지 후, 다시 기체(機體)를 발진시킬 때에, 미리 설정된 증속률로 완만하게 경사판 각도를 변화시켜, 천천히 기체를 발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정지 조작 페달에서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동력 전달의 단속이나 PTO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기체의 급발진을 회피한 주행 제어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해결 수단 3〕
본 발명의 작업차의 전동 장치에 있어서의 제3 해결 수단은, 청구항 3의 기재와 같이, 정지 조작 페달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과는 별도로 설치한 페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및 효과〕
상기와 같이, 해결 수단 3에 관한 본 발명의 작업차의 전동 장치에서는 정지 조작 페달이,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과는 별도로 설치한 페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지 조작 페달로서, 큰 스테핑력이 필요없는 가벼운 조작으로 행할 수 있는 구조의 것을 채용하기 쉽다.
또한,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의 한쪽을 조작하고 있는 선회 작업 중에 있어서 도, 그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일단 복귀 조작할 필요없이, 바로 정지 조작 페달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경쾌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페달을, 임의의 타이밍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성이 좋은 정지 조작 페달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회 조작 중에 있어서, 주행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신속한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트랙터의 주행 조작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에 의한 동력 전달의 단속 및 PTO 클러치의 온오프 조작을 서로 연계 작동시켜, 잔류 경작 부분의 발생도 적고, 또한 임의의 조작 타이밍으로 경쾌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작업차의 전동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에, 로터리 경운기 사양에 구성된 트랙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트랙터는 전륜(2) 및 후륜(3)을 구비한 주행 장치와 스티어링 휠(59)로 조향하는 4륜 구동형의 트랙터 본체(1)의 후방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4)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랙터 본체(1)의 차체는 엔진(5), 주행을 정지시키는 정지 조작 페달(6), 주변속 케이스(7), 미드 케이스(8) 및 미션 케이스(9)를 직렬로 직결한 모노 보디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엔진(5)에 연결된 전방 프레임(10)에 전방 차축 케이스(11)가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전방 차축 케이스(11)의 좌우에 전륜(2)이 조향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미션 케이스(9)의 좌우에 후륜(3)이 축지지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9)의 후방부에, 리프트 아암(12)에 의해 구동 승강되는 링크 기구(13)가 장비되고, 이 링크 기구(13)에 로터리 경운 장치(4)가 연결되어 있다.
〔전동계〕
도 2에, 트랙터 본체(1)에 있어서의 전동계가 도시되어 있다. 엔진(5)의 출력은 기어 기구(15)를 경유하여 주변속 케이스(7)에 구비된 입력축(16)으로 전달되고, 주변속 케이스(7)에 구비된 출력축(17)으로부터 취출된 변속 동력이 기어식 부변속 장치(18)에서 3단으로 변속된 후, 후방부 디퍼렌셜 기어 장치(19) 및 사이드 브레이크(22)를 통해 좌우의 후륜(3)으로 전달된다. 부변속 장치(18)에서 변속된 주행계 동력의 일부가 미션 케이스(9)의 하부로부터 취출되어, 전동축(20)을 통해 전방 차축 케이스(11)로 전달되고, 전방부 디퍼렌셜 기어 장치(21)를 통해 좌우의 전륜(2)으로 전달된다.
주변속 케이스(7)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23)가 내장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 변속 장치(23)는 액셜 플랜저식으로 구성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23P)와 유압 모터(23M)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축(16)에 의해 정속으로 회전 구동되는 유압 펌프(23P)에 있어서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하여, 토출되는 압유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을 변경함으로써, 그 압유를 받는 유압 모터(23M)의 상기 출력축(17)을, 정회전 혹은 역회전으로 무단계로 회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C는 챠지 회로이고, 챠지 펌프(57)로부터의 압유를 무단 변속 장치(23)의 폐쇄 회로 내에 투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16)은 유압 펌프(23P)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 입력축(16)으로 전달된 정속 회전 동력의 일부가, 미드 케이스(8)에 내장된 PTO 클러치(24)를 경유하여 더욱 후방으로 전달되고, 미션 케이스(9)의 후방부에 돌출 설치된 PTO축(25)으로부터 취출되어, 주행 변속에 관계없이 정속의 PTO 동력으로 로터리 경운 장치(4)가 구동된다.
무단 변속 장치(HST)(23)는 유압 서보 수단에 의해 변속 제어되어 있고, 그 구성이 도 3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23)에 있어서의 유압 펌프(23P)의 경사판 각도는 복동식 서보 실린더(30)에 의해 정역으로 변경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경사판 각도가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한 경사판각 센서(31)로 검출되어 제어 장치(32)에 입력된다. 서보 실린더(30)는 경사판 각도를 0으로 하는 중립 정지 위치에 한 쌍의 복귀 스프링(33)에 의해 복귀 압박되는 동시에, 제어 장치(32)에 접속된 전진용 비례 제어 밸브(34)와 후진용 비례 제어 밸브(35)를 통한 유압 제어에 의해 서보 실린더(30)가 신축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비례 제어 밸브(34, 35)는 통전 제어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서보 실린더(30)를 탱크에 연통하는 복귀 위치로 압박되어 있고, 양 비례 제어 밸브(34, 35)가 모두 복귀 위치에 있을 때, 서보 실린더(30)가 자유 상태로 되어, 무단 변속 장치(23)가 중립 정지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펌프(36)로부터 비례 제어 밸브(34, 35)로의 압유 공급 경로에는 릴리프 밸브(37)가 구비되어, 유압 서보 수단에 있어서의 시스템압의 최고압이 제한되어 있다.
〔조작계〕
트랙터 본체(1)에는 변속 페달(38)과 변속 레버(39)가 장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페달(38)은 운전 좌석(14)의 발밑 우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변속 레버(39)는 운전 좌석(14)의 좌측 횡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페달(38)은 전후로 스테핑 가능,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캠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중립 정지 위치로 복귀 압박되어 있다. 변속 페달(38)의 스테핑 위치가 포텐시오미터(40)로 검출되어 제어 장치(32)에 입력되어 있고, 포텐시오미터(40)로 검출된 변속 페달(38)의 스테핑 위치 정보와, 상기 경사판각 센서(31)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비례 제어 밸브(34, 35)가 작동 제어된다. 즉, 변속 페달(38)의 스테핑 방향 및 스테핑량에 따라서 서보 실린더(30)가 신축 작동하여, 변속 페달(38)의 스테핑에 대응한 경사판 각도가 초래되어, 무단계의 전진 변속 및 후진 변속이 행해져, 스테핑을 해제하면 변속 페달(38)이 중립 정지 위치로 자동 복귀되어, 주행 추진력의 출력이 끊겨 주행이 정지되는 것이다.
변속 레버(39)는 변속 페달(38)을 전진 변속 방향으로만 일방향 조작 가능하게 기계 연계되는 동시에, 임의의 조작 위치에 마찰 유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변속 레버(39)를 연계 해제 위치(n)에 유지한 상태에서는, 변속 레버(39)와 변속 페달(38)의 연계가 해제되어, 변속 페달(38)은 전진 영역으로부터 후진 영역까지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스테핑 조작 가능해진다. 변속 레버(39)를 연계 해제 위치(n)로부터 전방으로 조작하는 것에 따라서 변속 페달(38)이 전방 스테핑 방향(전진 증 속 방향)으로 접촉 조작되어, 변속 레버(39)를 전진 변속 영역의 임의의 조작 위치로 마찰 유지함으로써, 변속 페달(38)의 중립 정지 위치로의 복귀가 저지되어 임의의 전진 변속 영역으로 유지되고, 변속 레버(39)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임의의 속도에 의한 정속 전진 주행이 행해진다. 또한, 변속 레버(39)에 의해 변속 페달(38)이 전진 변속 영역의 중간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변속 페달(38)을 그 이상의 전진 증속 방향으로 스테핑 조작하는 것이 허용되어, 스테핑을 해제하면 변속 레버(39)로 설정한 속도까지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사이드 브레이크〕
변속 페달(38)의 근방에는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22)에 별개로 링크 연동된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이 좌우로 병렬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은 링크 기구(42)를 통해 작동 아암(43)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42)는,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스테핑 조작한 것만으로는 작동 아암(43)이 회전되지 않고,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동시에 스테핑 조작했을 때에만, 그 스테핑량에 따른 각도로 작동 아암(43)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작동 아암(43)의 회전 각도가 포텐시오미터(44)에 의해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32)에 입력된다.
여기에,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22)와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연계하는 링크 기구(42)를, 제2 연계 기구라고 칭한다.
〔PTO 클러치〕
PTO 클러치(24)는 유압이 인가되면 클러치 온 작동하고, 유압의 인가가 해제 되면 스프링 압박력으로 오프 조작되는 다판식 마찰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고, 인가되는 유압이 제어 장치(32)에 접속된 전자기식 비례 제어 밸브(45)를 통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운전 좌석(14)의 횡측에는 PTO 클러치 레버(46)가 배치되어 있고, 이 PTO 클러치 레버(46)의 조작 위치가 PTO 온오프 스위치(47)로 검지되어, 그 검지 정보가 제어 장치(32)에 입력되어 있다. PTO 클러치 레버(46)가 「오프」 위치로 조작되면, 유압의 인가가 해제되도록 비례 제어 밸브(45)가 제어되어, PTO 클러치(24)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되고, PTO 클러치 레버(46)가 「온」 위치로 조작되면, 소정의 높은 유압이 인가되도록 비례 제어 밸브(45)가 제어되어, PTO 클러치(24)가 클러치 온 상태로 된다.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이 동시에 스테핑 조작된 경우, 그 스테핑량이 커지는 것에 따라서 각 사이드 브레이크(22)의 제동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변속 조작용 유압 서보 수단과 PTO 클러치 온오프용 비례 제어 밸브(45)가 이하와 같이 제어된다.
변속 레버(39)를 임의의 전진 위치로 유지하여 전진 속도를 설정하는 동시에, PTO 클러치 레버(46)를 「온」 위치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스테핑 해제하여 복귀 위치(a)로 복귀시키면, 양 사이드 브레이크(22)가 제동 해제 상태에 있는 동시에, 전진용 비례 제어 밸브(34)가 통전 제어되어 서보 실린더(30)가 소정 위치까지 작동되고, 무단 변속 장치(23)는 변속 레버(39)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전진 변속 상태로 유지된다. PTO 클러치(24)에는 높은 유압이 공급되어 클러치 온 상태가 초래된다.
이 상태로부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동시에 스테핑 조작하면, 그 스테핑량에 따라서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22)가 제동 작용을 발휘하는 동시에, 작동 아암(43)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서보 실린더(30)가 감속 방향으로 작동 제어되어, 주행 속도가 변속 레버(39)로 설정된 전진 속도로부터 점차 저하되어 간다.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미리 설정된 제1 스테핑 위치(b)까지 동시에 스테핑 조작하면, 변속 레버(39)가 전진 변속 영역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양 비례 제어 밸브(34, 35)로의 통전이 차단된 상태가 초래되어, 서보 실린더(30)가 중립 정지 위치로 복귀되고 무단 변속 장치(23)는 우선적으로 중립 정지 상태로 되어, 주행이 정지된다.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상기 제1 스테핑 위치(b)를 넘어 더욱 스테핑 조작하는 것에 따라서, 작동 아암(43)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비례 제어 밸브(45)가 제어되고, PTO 클러치(24)로 인가되는 유압이 서서히 저하되어, 마찰력이 점차 감소되어 반클러치 상태가 초래된다.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이 미리 설정된 제2 스테핑 위치(c)까지 스테핑되면 마찰력이 소멸되어, PTO 클러치(24)가 완전히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상기 제1 스테핑 위치(b)를 넘은 스테핑 한계 위치에 있는 제3 스테핑 위치(d)까지 스테핑하면, 작동 아암(43)의 회전에 기초하여 유압 서보 수단의 상기 릴리프 밸브(37)가 기계적으로 강제 개방되어, 유압 서보 수단의 시스템압이 0까지 저하되고, 주행 변속용 비례 제어 밸브(34, 35)가 어떤 제어 작동 상태에 있더라도, 서보 실린더(30)로의 압유 공급이 해제되어, 무단 변속 장치(23)가 중립 정지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제3 스테핑 위치(d)까지 크게 스테핑하면, 서보 실린더(30)로의 압유 공급을 강제 해제하여 무단 변속 장치(23)를 중립 정지 위치로 복귀시키므로, 만일, 주행 중에 전기계의 고장에 의해 비례 제어 밸브(34, 35)가 복귀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해도,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스테핑 한계까지 스테핑만 하면, 무단 변속 장치(23)를 중립 정지 위치로 복귀시켜 주행 정지할 수 있다.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의 스테핑에 기초하는 상기 제어는, 로터리 경운 작업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농지의 구석부로부터 경운을 개시하는 경우, 우선 트랙터 본체(1)를 둑 근처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제2 스테핑 위치(c) 이상으로 충분히 스테핑하여 주행을 정지한다. 이때, 변속 레버(39)를 원하는 전진 속도로 유지해 두는 동시에, PTO 클러치 레버(46)를 「온」 위치로 조작해 둔다. 상기와 같이,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제2 스테핑 위치(c) 이상으로 충분히 스테핑한 상태에서는, 주행 제동이 충분히 결려 있는 동시에, 무단 변속 장치(23)는 추진력이 출력되지 않는 중립 복귀 상태에 있고, 또한 PTO 클러치(24)는 클러치 오프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복귀시켜 가면, 아직 제동이 작용하여 주행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PTO 클러치(24)가 서서히 가해져 로터리 경운 장치(4)가 천천히 회전을 개시하게 되어, 로터리 경운 장치(4)가 저속 회전되는 페달 스테핑 위치에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스테핑 유지한 상태로, 다운 컷트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터리 경운 장치(4)를 하강시켜 농지에 돌입시킨다.
이 경우, 로터리 경운 장치(4)를 농지에 돌입시킴으로써 경운 반력에 의한 추진력이 발생하지만,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은 아직 스테핑 상태에 있어서 트랙터 본체(1)를 제동하고 있으므로, 로터리 경운 장치(4)에 의해 초래된 추진력으로 트랙터 본체(1)가 전방으로 밀려 움직이는 경우는 없다.
로터리 경운 장치(4)가 원하는 경작 깊이까지 하강하면,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더욱 천천히 복귀시켜 감으로써, 주행 제동이 서서히 해제되는 동시에, 무단 변속 장치(23)가 변속 레버(39)로 설정된 전진 속도를 향해 증속 제어되어, 원하는 경작 깊이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전진 주행으로 이행할 수 있다.
로터리 경운 작업 중에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스테핑하면, 우선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의 스테핑에 따라서 주행 속도가 자동적으로 감속 제어되고, 주행 정지 위치(b)까지 스테핑하면 무단 변속 장치(23)가 중립 상태로 되어 주행이 정지한다. 이 주행 정지 위치(b)로부터 더욱 스테핑하여 PTO 오프 위치(c)로 하면, PTO 클러치 레버(46)를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PTO 클러치(24)가 오프되어 로터리 경운 장치(4)가 정지한다. 따라서, 로터리 경운 작업 중에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을 스테핑하는 것만으로, 로터리 경운 장치(4)의 경운 반력에 의해 트랙터 본체(1)가 전진 방향으로 밀려 움직이는 일 없이, 소정의 위치에서 주행 정지할 수 있다.
정지 조작 페달(6)과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의 연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 변속 장치(23)에 있어서의 전진 주행 시에 고압이 되는 제1 유로(A)와 오일 탱크(T)에 걸쳐서 복귀 유로(63)를 설치하고, 복귀 유로(63)에 언로드 밸브(64)를 설치하고, 복귀 유로(63)에 있어서의 언로드 밸브(64)와 오일 탱크(T) 사이에 스로틀 밸브(65)를 설치하고 있다. 언로드 밸브(64)에 의해, 무단 변속 장치(23)의 제1 유로(A)의 유압을 개방하여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재한다.
언로드 밸브(64)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 변속 장치(23)의 횡측면에 유압 포트 블록(50)을 설치하고 있고, 이 유압 포트 블록(50)은 박육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압 포트 블록(50)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의 제1 유로(A) 등과 전진 시에 저압측으로 되는 제2 유로(B)가 평판 형상의 측면을 따른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유압 포트 블록(50)의 두께 내로 형성되어 있다.
유압 포트 블록(50)의 두께 내에는 스풀 수납로(50A)와 언로드 밸브(64)가 설치되어 있고, 스풀 수납로(50A)에 스풀(70)을 수납하고 있다. 스풀(70)은 선단부(70A)를 유압 포트 블록(50)으로부터 돌출시켜 정지 조작 페달(6)에 연계하고 있다. 여기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스풀(70)의 중간 부분(70C)을 스풀 수납로(50A)의 직경보다 소경으로 구성하고, 스풀 수납로(50A)의 중간 위치에는 릴리프로를 형성하고 있다. 릴리프로는 오일 탱크(T)에 연결되어 있다. 언로드 밸브(64)는 이 스풀(70)의 외주면과 스풀 수납로(50A)의 내주면의 간극을 개폐함으로 써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 수납로(50A)와 릴리프로를, 제1 유로(A)로부터 오일 탱크(T)로의 복귀 유로(63)라고 칭한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70)의 선단부(70A)가 유압 포트 블록(50)으로부터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는, 릴리프로는 제1 유로(A)와 연통하는 상태는 아니다. 이 비연통 상태로부터,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70)을 횡측방으로 인출하면, 스풀(70)의 중간 부분(70B)이 제1 유로(A)에 개방되는 대경의 개구부와 릴리프로에 걸치는 범위에 위치한다.
그렇게 하면, 제1 유로(A)로부터 고압 작동유가 스풀(70)의 중간 부분(70C)과 스풀 수납로(50A)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이동하고, 릴리프로에 이르러 그 릴리프로로부터 오일 탱크(T)로 유도된다.
스풀(70)을 인출 조작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포트 블록(50)의 스풀 수납로(50A)의 일단부에 대경 수납로(50a)를 형성하고, 그 대경 수납로(50a)에 압박 스프링(51)이 장착되어 있다. 압박 스프링(51)은 대경 수납로(50a)의 단차면과 스풀(70)의 기단부(70B)에 설치되어 있는 리시브 디스크(5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압박 스프링(51)에 의해 스풀(70)은 스풀 수납로(50A) 내로 후퇴하도록 압박되어 있다.
스풀(70)의 선단부(70A)가 유압 포트 블록(50)의 횡측면(50b)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횡측면(50b)에 연속 설치되는 상태로, 지지 브래킷(52)이 배치되어 있고, 지지 브래킷(52)은 연장 브래킷부(52D)를 통해 미션 케이스(9)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브래킷(52)은 채널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기단부 브래킷부(52A)와, 기단부 브 래킷부(52A)보다 선단측의 앵글 형상 단면을 나타내는 선단 브래킷부(52B)와 선단 브래킷부(52B)의 선단 플랜지부(52C)로 이루어진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52)에는 제1 연계 기구(D)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연계 기구(D)는 지지 브래킷(52)의 기단부(52A)에 연결되는 연결구(53)와, 그 연결구(53)에 연결되는 스트로크 흡수 스프링(54)과, 스트로크 흡수 스프링(54)과 정지 조작 페달(6)을 접속하는 릴리스 와이어 기구(55)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구(53)는 지지 브래킷(52)의 기단부(52A)의 내면을 따른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기단부(52A)와 연결구(53)와 스풀(70)의 선단부(70A)를 꼬챙이 형상으로 관통하는 연결 볼트(56)로, 기단부(52A)와 스풀(70)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볼트(56)가 관통하는 기단부(52A)에 있어서의 구동 플랜지부(52a)에는 연결 볼트(56)의 이동을 허용하는 긴 구멍(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정지 조작 페달(6)로의 스테핑 조작에 의해, 제1 연계 기구(D) 등은 다음과 같은 작동을 행한다.
(1)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조작 페달(6)의 스테핑 조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풀(70)은 유압 포트 블록(50) 내로 끌어 들여진 후퇴 상태에 있다. 스풀(70)과 연결구(53)를 연결하는 연결 볼트(56)는 기단부(52A)에 형성한 긴 구멍(52b)의 일단부로 끌어당겨져 있는 상태에 있다.
(2)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조작 페달(6)을 대기 위치로부터 스테핑 조작하면, 연계용 릴리스 와이어 기구(55)가 당김 조작되어, 스트로크 흡수 스프링(54)을 통해 연결구(53) 및 스풀(70)이 인출 조작된다.
이 스풀(70)의 인출 상태에서 제1 유로(A)와 오일 탱크(T)가 연통 상태로 되고, 무단 변속 장치(23)가 중립 정지 상태로 절환된다.
무단 변속 장치(23)가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되면, 전후륜(2, 3)으로의 전동이 차단된다.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이 스테핑 조작된 상태에서의 선회 조작 중이면, 전후륜(2, 3)은 저속이고, 또한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이 스테핑 조작되어 있으므로, 주행 속도가 낮아 농지의 저항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트랙터는 정지한다.
(3) 도 9의 (b)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연결 볼트(56)와 연결구(53)가 지지 브래킷(5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연결 볼트(56)는 긴 구멍(52b)의 선단부에서 받쳐진다. 이와 같이, 연결 볼트(56)가 긴 구멍(52b)의 일단부에 의해 받쳐짐으로써 스풀(70)의 인출량이 설정량을 넘지 않고, 또한 정지 조작 페달(6)이 더욱 스테핑 조작됨으로써 릴리스 와이어 기구(55)의 신장 작동은 스트로크 흡수 스프링(54)의 신장 작동에 의해 흡수되어 스풀(70)을 이동시키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조작 페달(6)에 대해서도 PTO 클러치 레버(46)와 마찬가지로 정지 조작 페달(6)의 조작 위치를 검지하는 조작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의 PTO 온오프 스위치(60)가 설치되어 있고, 정지 조작 페달(6)을 스테핑 조작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무단 변속 장치(23)가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되는 동시에, PTO 온오프 스위치(60)로부터의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32)로부터 비 례 제어 밸브(45)로 출력되어, 정지 조작 페달(6)의 스테핑 조작으로 연동하여 PTO 클러치(24)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엔진(5)과 기어 기구(15) 사이에 주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주클러치를 설치함으로써, 주행계 및 PTO계로의 동력 전달을 주클러치 페달(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으로 온오프 조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59)의 좌측에 주클러치 페달과 정지 조작 페달(6)을 병설하여 설치해도 좋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지 조작 페달(6)과 언로드 밸브(64)를 와이어로 연계하는 구성에 대해 기재하였지만, 정지 조작 페달(6)의 조작 상태를 전기나 광 등의 센서로 검출하여, 언로드 밸브(64)의 스풀(70)을 액추에이터로 구동하는 형태를 채용해도 좋다.
(3) 정지 조작 페달(6)을 조작했을 때에, 무단 변속 장치(23)를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하는 구성으로서는, 정지 조작 페달(6)의 조작 상태를 전기나 광 등의 센서로 검출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양 비례 제어 밸브(34, 35)로의 통전을 정지하여 서보 실린더(30)를 중립 정지 위치로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4) 복귀 유로(63) 및 언로드 밸브(64)를 제1 유로(A) 및 제2 유로(B)의 양쪽에 걸쳐서 접속해도 좋다.
본원 발명은 트랙터의 조작계에 유용한 발명이고, 특히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탑재한 트랙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차의 전체 구성〕
도 10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동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차의 일례인, 로터리 경운기 사양에 구성된 트랙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 트랙터는 전륜(200) 및 후륜(300)을 구비한 4륜 구동형의 트랙터 본체(100)의 후방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400)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트랙터 본체(100)의 차체는 엔진(500), 주클러치 하우징(600), 주변속 케이스(700), 미드 케이스(800) 및 미션 케이스(900)를 직렬로 직결한 모노 보디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엔진(500)에 연결된 전방 프레임(1000)에 전방 차축 케이스(1100)가 롤링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 전방 차축 케이스(1100)의 좌우에 전륜(200)이 조향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미션 케이스(900)의 좌우에 후륜(300)이 축지지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900)의 후방부에, 리프트 아암(1200)에 의해 구동 승강되는 링크 기구(1300)가 장비되고, 이 링크 기구(1300)에 로터리 경운 장치(400)가 연결되어 있다.
〔전동계의 구성〕
도 11에 트랙터 본체(100)에 있어서의 전동계가 도시되어 있다. 엔진(500)의 출력은 주클러치(1500)를 경유하여 주변속 케이스(700)에 구비된 입력축(1600)으로 전달되고, 주변속 케이스(700)에 구비된 출력축(1700)으로부터 취출된 변속 동력이 기어식 부변속 장치(1800)에서 3단으로 변속된 후, 후방부 디퍼렌셜 기어 장치(1900) 및 사이드 브레이크(2200)를 통해 좌우의 후륜(300)으로 전달된다. 부변속 장치(1800)에서 변속된 주행계 동력의 일부가 미션 케이스(900)의 하부로부터 취출되어, 전동축(2000)을 통해 전방 차축 케이스(1100)로 전달되고, 전방부 디퍼렌셜 기어 장치(2100)를 통해 좌우의 전륜(200)으로 전달된다.
주변속 케이스(700)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2300)가 내장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2300)는 액셜 플랜저식으로 구성된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2300P)와 유압 모터(2300M)로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축(1600)에 의해 정속으로 회전 구동되는 유압 펌프(2300P)에 있어서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하여, 토출되는 압유의 토출 방향 및 토출량을 변경함으로써, 그 압유를 받는 유압 모터(2300M)의 상기 출력축(1700)을, 정회전 혹은 역회전으로 무단계로 회전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축(1600)은 유압 펌프(2300P)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이 입력축(1600)으로 전달된 정속 회전 동력의 일부가, 미드 케이스(800)에 내장된 PTO 클러치(2400)를 경유하여 더욱 후방으로 전달되고, 미션 케이스(900)의 후방부에 돌출 설치된 PTO축(2500)으로부터 취출되어, 주행 변속에 관계없이 정속의 PTO 동력으로 로터리 경운 장치(400)가 구동된다.
상기 무단 변속 장치(2300)(HST)는 유압 서보 수단에 의해 변속 제어되어 있고, 그 구성이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2300)에 있어서의 유압 펌프(2300P)의 경사판 각도는 복동식 서보 실린더(3000)에 의해 정역으로 변경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동시에, 경사판 각도가 포텐시오미터를 이용한 경사판각 센서(3100)로 검출되어 제어 장치(3200)에 입력된다. 서보 실린더(3000)는 경사판 각도를 0으로 하는 중립 위치로 한 쌍의 복귀 스프링(3300)에 의해 복귀 압박되는 동시에, 제어 장치(3200)에 접속된 전진용 비례 제어 밸브(3400)와 후진용 비례 제어 밸브(3500)를 통한 유압 제어에 의해 서보 실린더(3000)가 신축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는 통전 제어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서보 실린더(3000)를 탱크에 연통하는 복귀 위치로 압박되어 있고, 양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가 모두 복귀 위치에 있을 때, 서보 실린더(3000)가 자유 상태로 되어, 무단 변속 장치(2300)가 중립으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펌프(3600)로부터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로의 압유 공급 경로에는 릴리프 밸브(3700)가 구비되어, 유압 서보 수단에 있어서의 시스템압의 최고압이 제한되어 있다.
〔변속 조작계의 구성〕
트랙터 본체(100)에는 변속 조작구로서 변속 페달(3800)과 변속 레버(3900)가 장비되어 있다. 변속 페달(380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 좌석(1400)의 발밑 우측에 배치되고, 변속 레버(3900)는 운전 좌석(1400)의 좌측 횡측에 배치되어 있다.
변속 페달(3800)은 전후로 스테핑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캠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중립 위치로 복귀 압박되어 있다.
이 변속 페달(3800)의 스테핑 위치가 포텐시오미터(4000)로 검출되어 제어 장치(3200)에 입력되어 있고, 포텐시오미터(4000)로 검출된 변속 페달(3800)의 스테핑 위치 정보와, 상기 경사판각 센서(3100)로부터의 피드백 정보 및 후술하는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작동을 검출하는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의 검출 정보 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3200)에 구비된 서보 제어 수단(10000)에 의해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가 작동 제어된다.
즉, 상기 서보 제어 수단(10000)에서는 포텐시오미터(4000)로 검출된 변속 페달(3800)의 스테핑 방향 및 스테핑량에 따라서 서보 실린더(3000)를 신축 작동시키도록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변속 페달(3800)의 스테핑에 대응한 경사판 각도로 함으로써, 무단계의 전진 변속 및 후진 변속을 행한다.
그리고, 포텐시오미터(4000)가 변속 페달(3800)의 스테핑 해제를 검출하면,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의 작동을 제어하여 변속 페달(3800)을 중립 위치로 자동 복귀시켜, 주행 추진력의 출력을 끊어, 주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변속 레버(3900)는, 도시하지 않지만 변속 페달(3800)을 전진 변속 방향으로만 조작 가능하도록, 일방향 상태로 기계 연계되는 동시에, 임의의 조작 위치에 마찰 유지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변속 레버(3900)의 조작 위치는 상기 변속 페달(380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4000)로 검출된다. 변속 레버(3900)를 연계 해제 위치(100n)에 유지한 상태에서는 변속 레버(3900)와 변속 페달(3800)의 연계가 해제되어, 변속 페달(3800)은 전진 영역으로부터 후진 영역까지의 전체 영역에 있어서 스테핑 조작 가능해진다.
변속 레버(3900)를 도 12에 도시하는 연계 해제 위치(100n)로부터 전방으로 조작하는 것에 따라서 변속 페달(3800)이 전방 스테핑 방향(전진 증속 방향)으로 접촉 조작되어, 변속 레버(3900)를 전진 변속 영역의 임의의 조작 위치로 마찰 유지함으로써, 중립 위치로 복귀 압박되어 있는 변속 페달(3800)의 중립 복귀가 저지 되어 임의의 전진 변속 영역으로 유지되어, 변속 레버(3900)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임의의 속도에 의한 정속 전진 주행이 행해진다. 즉, 이 변속 레버(3900)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목표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목표 속도 설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변속 레버(3900)에 의해 변속 페달(3800)이 전진 변속 영역의 중간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변속 페달(3800)을 그 이상의 전진 증속 방향으로 스테핑 조작하는 것이 허용되고, 스테핑을 해제하면 변속 레버(3900)로 설정한 속도까지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연계 구성〕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페달(3800)의 근방에는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2200)에 각각 별도로 링크 연동된 한 쌍의 제동 조작구로서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이 좌우로 병렬되어 배치되는 동시에,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은 링크 기구(4200)를 통해 작동 아암(4300)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링크 기구(4200)는,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주행 정지 방향인 스테핑 방향으로 조작한 것만으로는 작동 아암(4300)이 회전되지 않고,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동시에 스테핑 조작했을 때에만, 그 스테핑량에 따른 각도로 작동 아암(4300)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작동 아암(4300)의 회전 각도가 포텐시오미터(4400)에 의해 검출되어 상기 제어 장치(3200)에 입력된다.
상기 PTO 클러치(2400)는 유압이 인가되면 클러치 온 작동하고, 유압의 인가가 해제되면 스프링 압박력으로 오프 조작되는 다판식 마찰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 고, 인가되는 유압이 상기 제어 장치(3200)에 접속된 전자기식 비례 제어 밸브(4500)를 통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운전 좌석(1400)의 우측 횡측에는 PTO 클러치 레버(4600)가 배치되어 있고, 이 PTO 클러치 레버(4600)의 조작 위치가 PTO 온오프 스위치(4700)로 검지되어, 그 검지 정보가 제어 장치(3200)에 입력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3200)에 대해서는, PTO 클러치(2400)와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2200)가 연계 작동하는 상태와, 그 연계 작동을 해제하여, PTO 클러치(2400)와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2200)가 각각 독립하여 작동하는 상태로 절환 조작하기 위한 연계 상태 절환 스위치(4800)도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3200)에는 상기 작동 아암(430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4400)와, PTO 온오프 스위치(4700)와, 연계 상태 절환 스위치(480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기식 비례 제어 밸브(45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PTO 클러치 레버(4600)가 「오프」 위치로 조작되면, 유압의 인가가 해제되도록 비례 제어 밸브(4500)가 제어되어, PTO 클러치(2400)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되고, PTO 클러치 레버(4600)가 「온」 위치로 조작되면, 소정의 높은 유압이 인가되도록, 제어 장치(3200)로부터 비례 제어 밸브(4500)로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PTO 클러치(2400)가 클러치 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연계 상태 절환 스위치(4800)가 「오프」 상태이면, 제어 장치(3200)는 상기한 PTO 클러치 레버(4600)의 조작 위치에 따라서,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의 조작과는 관계없이, PTO 클러치(2400)를 「오프」, 또는 「온」의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연계 상태 절환 스위치(4800)가 「온」으로 조작되어 있고, 또한 상기 PTO 클러치 레버(4600)의 조작 위치가 「온」일 때에 한하여,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의 조작에 연계시켜 PTO 클러치(2400)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이 동시 스테핑 조작된 경우, 그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의 스테핑량이 커지는 것에 따라서 각 사이드 브레이크(2200)의 제동력이 증대되는 동시에, 변속 조작용 유압 서보 수단인 서보 실린더(3000)와 PTO 클러치(2400) 온오프용 비례 제어 밸브(4500)가 이하와 같이 제어된다.
변속 레버(3900)를 임의의 전진 위치에 유지하여 전진 속도를 설정하는 동시에, PTO 클러치 레버(4600)를 「온」 위치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1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스테핑 해제하여 복귀 위치(100a)로 복귀시키면, 양 사이드 브레이크(2200)가 제동 해제 상태에 있는 동시에, 전진용 비례 제어 밸브(3400)가 통전 제어되어 서보 실린더(3000)가 소정 위치까지 작동되고, 무단 변속 장치(2300)는 변속 레버(3900)의 조작 위치에 대응한 전진 변속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PTO 클러치(2400)에는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이 비례 제어 밸브(45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PTO 클러치(2400)에 높은 유압이 공급되어 클러치 온 상태가 초래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로부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동시에 스테핑 조작하면, 그 스테핑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2200)가 제동 작용을 발휘 하는 동시에, 상기 작동 아암(430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서보 실린더(3000)가 감속 방향으로 작동 제어되어, 주행 속도가 변속 레버(3900)로 설정된 전진 속도로부터 점차 저하되어 간다.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미리 설정된 제1 스테핑 위치(100b)까지 동시에 스테핑 조작하면, 변속 레버(3900)가 전진 변속 영역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에 상관없이, 서보 제어 수단(10000)에 의해 양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로의 통전이 차단된 상태가 초래되어, 서보 실린더(3000)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어 무단 변속 장치(2300)는 중립 상태로 되고, 무단 변속 장치(2300)에 의한 주행 구동이 정지된다.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상기 제1 스테핑 위치(100b)를 넘어 더욱 스테핑 조작하는 것에 따라서,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의 스테핑 조작량은 증가하고, 제동력도 점차 증대되지만, PTO 클러치(2400)의 클러치압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귀 위치(100a)에 위치하고 있었던 상태로부터 거의 변화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어 온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이, 각 사이드 브레이크(2200)의 최대 제동력을 얻을 수 있을 정도의 조작 위치로서 미리 설정된 제2 스테핑 위치(100c)까지 스테핑되면, 그것을 검출한 포텐시오미터(440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수반하여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이 비례 제어 밸브(4500)를 유로 개방측으로 작동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PTO 클러치(2400)의 클러치압을 급속히 저하시켜, PTO 클러치(2400)는 마찰력이 소멸되어 완전히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또한, 전륜(200)을 조향하면서 선회 내측이 되는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만을 스테핑하여 작게 선회할 때에는, 작동 아암(4300)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한 감속 제어나 PTO 클러치(2400)의 한정 제어가 행해지는 경우는 없다.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상기 제2 스테핑 위치(100c)를 넘은 스테핑 한계 위치에 있는 제3 스테핑 위치(100d)까지 스테핑하면, 작동 아암(4300)의 회전에 기초하여 유압 서보 수단의 상기 릴리프 밸브(3700)가 기계적으로 강제 개방되어, 유압 서보 수단의 시스템압이 0까지 저하되고, 주행 변속용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가 어떤 제어 작동 상태에 있더라도, 서보 실린더(3000)로의 압유 공급이 해제되어 무단 변속 장치(2300)가 중립 복귀된다.
이와 같이,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제3 스테핑 위치(100d)까지 크게 스테핑하면, 서보 실린더(3000)로의 압유 공급을 강제 해제하여 무단 변속 장치(2300)를 중립 복귀시키므로, 만일 주행 중에 전기계의 고장에 의해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가 복귀 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해도,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을 스테핑 한계까지 스테핑만 하면, 무단 변속 장치(2300)를 중립 복귀시켜 주행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과 PTO 클러치(2400) 및 서보 실린더(3000)의 연동 관계는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의 스테핑 방향 및 스테핑 해제 방향 중 어느 방향에서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4
〔정지 조작 페달에 대한 연계 구성〕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진 시에 고압측이 되는 제1 유로(100A) 등과 전진 시에 저압측이 되는 제2 유로(100B)를 구비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에는 그 무단 변속 장치(2300)의 구동용 회로인 제1 유로(100A)의 유압을 개방하여,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정지 조작 페달(6000)이 설치되어 있다.
즉, 무단 변속 장치(2300)에 있어서의 전진 주행 시에 고압이 되는 제1 유로(100A)와 오일 탱크(100T)에 걸쳐서 복귀 유로(6300)를 설치하고, 복귀 유로(6300)에 언로드 밸브(6400)를 설치하고, 복귀 유로(6300)에 있어서의 언로드 밸브(6400)와 오일 탱크(100T) 사이에 스로틀 밸브(650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정지 조작 페달(6000)은 언로드 밸브(6400)에 의해, 무단 변속 장치(2300)의 제1 유로(100A)의 유압을 개방하여,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에 의한 동력 전달 차단 상태를 검출하는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를 구비하여, 이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의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3200)로 전달된다.
제어 장치(3200)에서는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에 의해 검출된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 상태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비례 제어 밸브(4500)를 조작하는 제2 PTO압 제어 수단(10200)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서보 실린더(3000)로의 압유 공급을 행하는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를 조작하는 서보 제어 수단(10000)도, 상기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에 의해 검출된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 상태의 유무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상기 제2 PTO압 제어 수단(10200)에서는 온 또는 오프의 2상태를 택일 검출하는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온 상태일 때에,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이라고 판단하고,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오프 상태일 때에,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 해제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 제2 PTO압 제어 수단(10200)에서는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절환되면, 상기 비례 제어 밸브(4500)에 대해 PTO 클러치(2400)를 오프 조작하도록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반대로,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절환되면, 상기 비례 제어 밸브(4500)에 대해 PTO 클러치(2400)를 온 조작하도록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상기 서보 제어 수단(10000)에서도 상기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온 상태일 때에,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이라고 판단하고,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오프 상태일 때에,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 해제 상태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온 상태일 때에, 상기 서보 실린더(3000)로의 압유 공급을 행하는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로의 통전을 끊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를 압유 배출측으로 절환하고, 서보 실린더(3000)의 압력실을 오일 탱크에 연통시켜, 복귀 스프링(3300, 3300)의 작용으로 서보 실린더(3000)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유압 펌프(2300P)를 중립 위치로 복귀 조작한다.
반대로,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오프 상태로 조작되면, 상기 서보 실린더(3000)로의 압유 공급을 행하는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로 통전하여, 도 15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전진용 비례 제어 밸브(3400)를 압유 공급측으로 절환하고, 서보 실린더(3000)의 전진용 압력실에 압유를 공급하여, 유압 펌프(2300P)를 전진측으로 조작한다.
상기 유압 펌프(2300P)의 경사판이 전진측으로 조작되는 경사판 조작량은 상기 변속 페달(3800) 및 변속 레버(390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400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즉, 상기 서보 제어 수단(10000)이, 상기 포텐시오미터(4000)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 변속 레버(3900)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의 경사판 각도를,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의 목표 속도에 대응하는 경사판 각도로서 설정하여, 이 목표 속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유압 펌프(2300P)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한다.
또한, 이때, 서보 실린더(3000)가 유압 펌프(2300P)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하는 속도는, 서보 제어 수단(10000)에 의해 미리 기억 설정되어 있는 증속률에 따라서, 비교적 완만하게 행해져, 기체의 급발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속 레버(390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4000)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의 목표 속도를 설정하는 목표 속도 설정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상기 서보 제어 수단(10000) 및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 및 상기 서보 실린더(3000)가 경사판 각도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제2 PTO압 제어 수단(10200) 및 서보 제어 수단(10000)은 상기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측으로의 조작, 즉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의 온이 검출되면, 상기 무단 변속 장치(2300)가 중립 위치로 복귀된 후에 PTO 클러치(2400)가 오프 조작된다. 반대로, 상기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스테핑 해제측으로의 조작, 즉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의 오프가 검출되면, 상기 무단 변속 장치(2300)에 의한 주행이 개시되기 전에 PTO 클러치(2400)의 온 조작이 행해지도록 상호의 조작 타이밍을 설정하고 있다.
이 조작 타이밍은 상기 비례 제어 밸브(3400, 3500)를 압유 배출측으로 절환한 후, 서보 실린더(3000)가 중립 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필요로 한다고 예측될 정도의 타임 래그에 의해, 및 상기 PTO 클러치(2400)로 압유를 공급하는 비례 제어 밸브(4500)가 압유 공급측으로 절환된 후, PTO 클러치(2400)의 클러치압이 소정압에 도달한다고 예측될 정도의 타임 래그에 의해 설정하고 있다.
상기 제2 PTO압 제어 수단(10200)과 상기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은 그 중 어느 한쪽이 선택되어 상기 비례 제어 밸브(45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이 조작되어 작동 아암(4300)의 회전 각도를 포텐시오미터(4400)가 검출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에 의해 상기 비례 제어 밸브(45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에 의해 상기 비례 제어 밸브(4500)를 제어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정지 조작 페달(6000)이 스테핑된 것을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검출해도, 이것에 우선하여 상기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에 의한 PTO 클러치압의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우선 상기 정지 조작 페달(6000)이 스테핑된 것을 정지 조작 검출 스위치(6100)가 검출하여 상기 제2 PTO압 제어 수단(10200)에 의한 PTO 클러치압의 제어가 행해지고 있어도, 상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4100)이 조작되어, 포텐시오미터(4400)에 의한 검출 신호가 상기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으로 보내지면, 상기 제2 PTO압 제어 수단(10200)에 의한 제어를 정지하여, 상기 제1 PTO압 제어 수단(10100)에 의한 제어가 우선하여 행해진다.
〔다른 제1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의 전진 주행측의 구동 회로인 제1 유로(100A)에만 연통하는 상태에서, 오일 탱크(100T)로의 복귀 유로(6300) 및 언로드 밸브(6400)를 설치하여, 이것을 정지 조작 페달(6000)로 조작하도록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오일 탱크(100T)로의 복귀 유로(6300) 및 언로드 밸브(6400)를, 후진 주행측의 제2 유로(100B)에도 연통하는 상태로 설치하고, 이들 양쪽의 언로드 밸브(6400, 6400)를 정지 조작 페달(6000)로 동시에 조작하여, 전진측, 후진측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정지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정지 조작 페달(6000)을 스테핑하기 전에 주행 기체가 전진측과 후진측 중 어느 측으로 주행하고 있었는지를, 상기 변속 레버(3900)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400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서보 제어 수단(10000)의 메모리로 기억해 두고, 정지 조작 페달(6000)이 스테핑 해제측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기체 발진 방향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호출하여, 정지 전의 주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다른 제2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정지 조작 페달(6000)의 조작에 대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와 PTO 클러치(2400)의 조작 타이밍을, 전술한 타임 래그를 설치함으로써 설정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주행 전동계에 차속 센서를 설치하고, PTO 전동계에 PTO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는 것 등을 하여, 실제로 주행이 개시된, 혹은 실제로 PTO축이 회전하기 시작한 것을 검출하여 동작 타이밍을 설정해도 좋다.
〔다른 제3 실시 형태〕
정지 조작 페달(6000)로 조작되는 정지 조작 기구로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2300)로 한정되지 않고, 기어식 변속 장치나, 주행 클러치라도 좋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작업차의 전동 장치로서는, 이앙기나 콤바인의 전동 장치, 혹은 예초기나 제설차의 전동 장치 등이라도 좋다.
도 1은 경운기 사양에 구성된 트랙터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
도 2는 전동계를 도시하는 개략 전개도.
도 3은 제어 블록도.
도 4는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의 측면도.
도 5는 정지 조작 페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회로도.
도 7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와 정지 조작 페달을 연계하는 제1 연계 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지지 브래킷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의 (a)는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지 않고, 중립 조작용 스풀을 후퇴시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중립 정지 위치 이외의 변속 위치에 유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b)는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여, 중립 조작용 스풀을 인출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경운기 사양에 구성된 트랙터를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
도 11은 전동계를 도시하는 선도.
도 12는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 설명도.
도 14는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과 정지 조작 페달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 면도.
도 15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정지 조작 페달
22 : 사이드 브레이크
23 :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41 :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
42 : 제2 연계 수단
59 : 스티어링 휠
D : 제1 연계 수단
T : 유압 탱크
2300 :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2300P : 유압 펌프
2300M : 유압 모터
2400 : PTO 클러치
2500 : 외부 동력 취출축
3200 : 제어 수단
4100 :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
6000 : 정지 조작 페달

Claims (4)

  1.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우측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배치하고, 상기 좌우 한쪽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좌우 한쪽의 대응하는 사이드 브레이크가 온 작동하고, 또한 상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좌우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주행 정지 상태를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주행 변속용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좌측에,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정지 조작 페달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정지 조작 페달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과는 별도로 설치한 페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전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조작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상기 무단 변속 장치의 고압 작동유를 오일 탱크로 유도하여,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상기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하는 제1 연계 수단을, 상기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정지 조작 페달에 걸쳐서 설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전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사이드 브레이크 페달을 스테핑 조작하면, 상기 좌 우의 사이드 브레이크가 온 작동하는 동시에,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상기 주행 장치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는 중립 정지 위치로 절환하는 제2 연계 수단을, 상기 양 사이드 브레이크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에 걸쳐서 설치하고 있는, 작업차의 전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경사판 각도를 변경하여 목표 속도를 설정하는 목표 속도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경사판 각도 제어 수단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중립 위치로부터 상기 목표 속도에 대응하는 경사판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사판 각도 변경 속도를, 미리 설정된 증속률로 완만하게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작업차의 전동 장치.
KR1020090086928A 2009-02-03 2009-09-15 작업차의 전동 장치 KR101088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2856 2009-02-03
JP2009022856A JP5069702B2 (ja) 2009-02-03 2009-02-03 トラクタの走行操作構造
JP2009082757A JP4909370B2 (ja) 2009-03-30 2009-03-30 作業車の伝動装置
JPJP-P-2009-082757 200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733A KR20100089733A (ko) 2010-08-12
KR101088606B1 true KR101088606B1 (ko) 2011-11-30

Family

ID=4239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928A KR101088606B1 (ko) 2009-02-03 2009-09-15 작업차의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51868B2 (ko)
KR (1) KR101088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4060B1 (en) 2008-08-01 2013-09-17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Drive device
US8464610B1 (en) 2008-08-01 2013-06-18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Drive device
US8739905B1 (en) 2009-08-10 2014-06-03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Drive assembly
US8313408B1 (en) * 2009-08-11 2012-11-20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Drive assembly
KR101028422B1 (ko) * 2010-12-21 2011-04-14 유한회사 삼능기계 수동변속 차량용 부스터에 구현된 클러치의 자동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력인출장치의 자동 제어방법
JP7275024B2 (ja) * 2019-12-27 2023-05-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WO2024058403A1 (ko) * 2022-09-16 2024-03-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030A (ja) 1986-08-01 1988-02-18 Kubota Ltd 静油圧式トランスミツシヨン
JP2006200575A (ja) 2005-01-18 2006-08-03 Iseki & Co Ltd 作業車両用無段変速伝動制御装置
JP2008137436A (ja) 2006-11-30 2008-06-19 Kubota Corp トラクタのpto構造
JP2008297766A (ja) 2007-05-30 2008-12-11 Kubota Corp 作業車の操作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7236U (ko) 1986-12-29 1988-07-11
US6250414B1 (en) * 1997-09-18 2001-06-26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JP4331808B2 (ja) 1998-10-27 2009-09-16 ヤンマー株式会社 油圧−機械式変速機の速度段切換え制御装置
CA2347827C (en) 1998-10-26 2007-01-30 Yanmar Diesel Engine Co., Ltd.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1180315A (ja) 1999-12-28 2001-07-03 Yanmar Diesel Engine Co Ltd 作業車両のスイッチ操作
JP2002316550A (ja) 2001-04-23 2002-10-29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トラクタの走行操作装置
EP1701066B1 (en) * 2003-12-04 2011-08-31 Komatsu Ltd. Vehicle mounted with continuous stepless speed changer
JP4404313B2 (ja) * 2004-12-07 2010-01-2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の制御装置
JP2006161979A (ja) 2004-12-08 2006-06-22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ptoクラッチ制御装置
JP2006329213A (ja) 2005-05-23 2006-12-07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中立バルブ構造
US8020659B2 (en) * 2007-11-28 2011-09-20 Caterpillar Paving Products Inc. Hydrostatically driven vehicle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030A (ja) 1986-08-01 1988-02-18 Kubota Ltd 静油圧式トランスミツシヨン
JP2006200575A (ja) 2005-01-18 2006-08-03 Iseki & Co Ltd 作業車両用無段変速伝動制御装置
JP2008137436A (ja) 2006-11-30 2008-06-19 Kubota Corp トラクタのpto構造
JP2008297766A (ja) 2007-05-30 2008-12-11 Kubota Corp 作業車の操作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51868B2 (en) 2012-08-28
US20100197453A1 (en) 2010-08-05
KR20100089733A (ko)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606B1 (ko) 작업차의 전동 장치
KR101032826B1 (ko) 작업차의 전동 장치
JP4901438B2 (ja) トラクタのpto構造
JP5223230B2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JP2008273249A5 (ko)
JP2012247065A (ja) トラクタの変速操作装置
JP4838330B2 (ja) 作業車の伝動装置
JP2011196518A (ja) 作業車両
US6283263B1 (en) Clutch and brake control system for tracklaying construction vehicle
JP4914462B2 (ja) 作業車の伝動装置
JP5069702B2 (ja) トラクタの走行操作構造
JP4332039B2 (ja) 走行車の油圧装置
JP2005036921A (ja) 作業車両の駆動装置
JP4101255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672474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3890809B2 (ja) 農業用トラクタの変速制御装置
JP4960935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3691129B2 (ja) 作業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4909370B2 (ja) 作業車の伝動装置
JP5086752B2 (ja) 作業車の旋回制御装置
JP5215196B2 (ja) 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4070737B2 (ja) コンバインの操向装置
JP3662157B2 (ja) 農作業機の操向装置
JP2019107955A (ja) 作業車両
JP5054478B2 (ja) 作業車の旋回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