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552B1 -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552B1
KR101088552B1 KR1020090095917A KR20090095917A KR101088552B1 KR 101088552 B1 KR101088552 B1 KR 101088552B1 KR 1020090095917 A KR1020090095917 A KR 1020090095917A KR 20090095917 A KR20090095917 A KR 20090095917A KR 101088552 B1 KR101088552 B1 KR 101088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bending
banknote
bel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014A (ko
Inventor
히로시 야나기다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70Article bending or stiffe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지엽류를 퇴적 트레이에 구부러지지 않게 정렬된 상태로 배출하여 집적하는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를 제공한다. 퇴적 트레이(13)에 반출되는 지폐(12)는 상부 벨트(18)와 하부 벨트(21)의 최종 반송부(23)에 도달하기 전에 굴곡 부여 롤러(15)에 의해, 지폐(12a)의 면에 대하여 반출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 자국(12a-2)이 부여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갖는 상태로 되고, 최종 반송부(23)로부터 나온 직후의 지폐(12)의 선단이 누름 레버(16)의 하면을 압압하여 누름 레버(16)를 밀어 올린다. 누름 레버(16)는 굴곡 부여된 지폐(12)의 계곡부(양단부의 상단부보다 내측으로 내려간 부분)에 미끄럼 접촉하여 지폐(12)에 부하를 부여하여, 지폐(12)의 굴곡 부여를 강화하고, 지폐(12)는 최종 반송부(23)를 통과한 직후의 경사 상향의 반출 방향을 따라서 반출된다. 지폐(12)의 후단이 최종 반송부(23)를 통과한 직후에 누름 레버(16)가 낙하하여 양측의 굴곡 부여 롤러(15) 사이의 지폐(12)를 하방으로 눌러 지폐(12)와 굴곡 부여 롤러(15)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켜 퇴적 트레이(13) 상으로의 반출을 계속시킨다.
굴곡 부여 롤러, 퇴적 트레이, 누름 레버, 최종 반송부, 상부 벨트

Description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PAPER SHEET EJECTING/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지폐 등의 지엽류(紙葉類)를, 취출구로 되어 있는 퇴적 트레이에 구부러지지 않게 정렬된 상태로 배출하여 집적하여, 원하는 지엽류를 고객에게 공급할 수 있는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엽류의 배출 집적 기구에서, 비교적 강성이 낮은 복수의 지엽류를 정렬된 상태에서 집적 가능하게 한 지엽류의 배출 집적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길이 방향으로 송입되는 지엽류의 수납부 내에서의 잼의 발생을 방지하여 계속해서 내보낼 때에는 확실하게 한장씩 송출할 수 있도록 한 지엽류 수납 송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도 5는, 이들 종래의 지엽류 배출 집적 기구에 공통되는 지엽류 수용부에의 지엽류 송출 배출 기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에는, 퇴적 트레이(1), 지엽류(2), 반송 벨트(3)(3a, 3b), 구동 롤러(4)(4a, 4b), 및 누름 레버(5)를 도시하고 있다.
퇴적 트레이(1)는, 상하의 반송 벨트(3)에 의해 화살표(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되는 지엽류(2)를 퇴적하여 수용한다. 누름 레버(5)는, 파선(5')으로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부터, 화살표(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되는 지엽류(2)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지만, 그 자중으로 지엽류(2)를 하방으로 눌러, 퇴적 트레이(1)에 퇴적되어 가는 지엽류(2)를 평평하게 정렬된 상태로 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6710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007232호 공보
그런데, 통상적으로, 지엽류 배출 집적 기구에서는, 퇴적 트레이(1)와 용지 누름 레버(5)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도 5와 같이 좌방측에 설치되고, 상하의 반송 벨트(3)도 하나의 유닛으로서 도 5와 같이 우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 구성은, 상하의 반송 벨트(3)의 지엽류(2)(2')에의 반송력이 작용하는 최종 위치(6)부터, 초기 위치에 있는 용지 누름 레버(5)와의 부딪힘 접촉(contact in bump) 위치(7)까지의 거리 A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화살표(2')와 같이 배출된 지엽류(2)가, 도면과 같이 직선 상태로는 반송되지 않고, 용지 누름 레버(5)와의 부딪힘 접촉 위치(7)에서 구부러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지 누름 레버(5)가 지엽류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지엽류에 대한 반송 부하로 되어 작용하기 때문에, 이 점도 지엽류가 퇴적 트레이(1)에의 배출 도중에서 구부러지기 쉬운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출 중인 지엽류에 굴곡 부여를 행 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종래의 굴곡 부여는 배출의 최종 롤러 부분에서만 행하고 있어, 굴곡 부여가 불충분하여, 역시 구부러짐이 생기기 쉬웠다.
이와 같이 배출의 도중에서 지엽류(2)에 구부러짐이 생기면, 지엽류(2)는 퇴적 트레이(1)에 수평으로 퇴적되지 않고, 둥글게 되거나, 꾸불꾸불하게 되거나 하여 불룩해져, 후속하여 배출되어 오는 지엽류(2)의 배출도 저해하여, 부정열이나 잼의 원인으로 되어 문제로 된다.
또한, 종래의 배출 기구에서는, 지엽류가 배출의 최종 롤러를 통과한 후에는, 자유 낙하로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후단부가 후속의 지엽류의 선단에 얽히거나 하여 부정열이나 가운데 꺾임 등의 원인으로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지엽류를 퇴적 트레이에 구부러지지 않게 정렬된 상태로 배출하여 집적하는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는,
지엽류가 배출 퇴적되는 수용 수단과, 그 수용 수단을 향하여 상기 지엽류를 반출하는 반출 수단과, 그 반출 수단에 의해 반출되는 상기 지엽류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 자국을 부여하는 굴곡 부여 수단과, 그 굴곡 부여 수단과 상기 반출 수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반출 수단에 의해 반출되는 상기 지엽류의 표면에 미끄럼 접촉(sliding contact)하여 하방으로의 부하를 부여하는 부하 수단을 갖고 구성된다.
이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에서, 상기 수용 수단은, 예를 들면, 적재 트레이 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반출 수단은, 예를 들면, 반송 방향 하류측의 상부 롤러와 반송 방향 상류측의 상부 롤러 사이에 걸쳐진 상부 벨트와, 반송 방향 하류측의 하부 롤러와 반송 방향 상류측의 하부 롤러 사이에 걸쳐진 하부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벨트 및 상기 하부 벨트의 폭은 모두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좁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상부 롤러는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하부 롤러보다도 상기 수용 수단의 방향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이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에서, 상기 굴곡 부여 수단은, 예를 들면, 상기 수용 수단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의 양측에 배치된 롤러로 이루어지고, 그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의 상기 지엽류의 반송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축의 중심 위치는,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에 의한 상기 지엽류에의 최종 반송부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부하 수단은, 예를 들면, 회동 지점으로 되는 지지부로부터 두 갈래로 나누어진 누름 레버를 갖는 회동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상부 롤러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상부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레버는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의 양측에서,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에 의한 상기 지엽류에의 최종 반송부를 넘어 상기 수용 수단 내로 연장되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누름 레버의 자유단 선단은 상기 수용 수단의 상기 지엽류 재치면 또는 퇴적 완료된 최상부의 상기 지엽류의 상면에 부딪힘 접촉한다.
이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의 구성에서, 상기 지엽류는,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에 의한 상기 지엽류에의 최종 반송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굴곡 부여 수단에 의한 굴곡 부여를 받아 상하 방향으로의 굽힘 저항이 강화되고, 상기 누름 레버는,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에 의한 상기 지엽류에의 최종 반송부를 통과한 직후의 상기 지엽류의 선단에 부딪힘 접촉하여 그 지엽류의 선단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짐과 함께 그 지엽류의 상기 굴곡 부여 수단에 의해 굴곡 부여를 받은 굴곡의 계곡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지엽류에의 굴곡 부여를 강화하고, 상기 지엽류는, 굴곡 부여의 강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굽힘 저항이 보다 강화된 것에 의해, 상기 최종 반송부를 통과한 직후의 경사 상향의 반출 방향을 따라서 반출된다.
또한,이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의 구성에서, 상기 누름 레버는, 상기 지엽류의 후단이 상기 최종 반송부를 통과한 직후에 상기 지엽류에 의한 상방으로의 들어 올림이 해제되어 회동 자유단측이 하방으로 낙하하고, 미끄럼 접촉부에 의해 상기 지엽류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지엽류와 상기 굴곡 부여 수단 사이에 반출 방향으로의 마찰을 발생시키고, 상기 지엽류는, 반출 방향 후단부가 상기 굴곡 부여 수단을 통과할 때까지 그 굴곡 부여 수단에 의해 반출을 계속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엽류를 퇴적 트레이에 구부러지지 않게 정렬된 상태로 배출하여 집적하는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의 (a)는 실시예 1에서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의 주요부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를 도면의 좌방(A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의 (c)는 도 1의 (a)를 도면의 하방(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의 (d)는 도 1의 (a)의 사시도이다.
도 1의 (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10)는, 지엽류로서의 예를 들면 지폐(12)가 배출 퇴적되는 수용부로서의 퇴적 트레이(13)와, 반출 기구(14)와, 굴곡 부여 롤러(15)와, 누름 레버(16)를 구비하고 있다.
반출 기구(14)는 퇴적 트레이(13)를 향하여 지폐(12)를 반출하는 것으로, 퇴적 트레이측의 상부 롤러(17)와 반송 방향 상류측의 상부 롤러(도시 생략) 사이에 걸쳐진 상부 벨트(18)와, 퇴적 트레이측의 하부 롤러(19)와 반송 방향 상류측의 하부 롤러(도시 생략) 사이에 걸쳐진 하부 벨트(21)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상부 벨트(18) 및 하부 벨트(21)의 폭은, 모두 지폐(12)의 반송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퇴적 트레이측의 상부 롤러(17)는 퇴적 트레이측의 하부 롤러(19)보다도 퇴적 트레이(13) 방향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1의 (c), (d) 참조).
굴곡 부여 롤러(15)는, 반출 기구(14)의 지폐(12)의 반출 방향 양측에 배치 되어 있다. 이 굴곡 부여 롤러(15)의 외주면은, 상부 벨트(18)와 하부 벨트(21)에 의한 지폐(12)의 반송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이 굴곡 부여 롤러(15)의 회전축(24)의 중심 위치는, 상부 벨트(18)와 하부 벨트(21)에 의한 지폐(12)에의 최종 반송부(23)(도 1의 (c) 참조)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누름 레버(16)는, 퇴적 트레이측의 상부 롤러(17)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상부 벨트(18)의 내측에 회동 지점(2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 레버(16)의 회동 자유단측(16a)은 상부 벨트(18)와 하부 벨트(21)에 의한 지폐(12)에의 최종 반송부(23)를 지나, 퇴적 트레이(13) 내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 레버(16)는, 도 1의 (a)∼(d)에 도시한 대기 상태에서, 회동 자유단측 선단(16b)은 퇴적 트레이(13)의 상면 또는 퇴적 완료된 최상부의 지폐(12)의 상면에 부딪힘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 레버(16)의 회동 자유단측 선단(16b)은, 지폐(12)와의 미끄럼 접촉 마찰을 완화하기 위해서, 약간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그 절곡부의 산에 해당하는 부분이 선단(16b)으로서, 퇴적 트레이(13)의 상면 또는 퇴적 완료된 최상부의 지폐(12)의 상면에 부딪힘 접촉한다.
도 2의 (a)는, 상기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10)의 구성에서, 퇴적 트레이(13)에 배출되는 지엽류(12)의 선단이 최종 반송부(23)를 통과한 직후의 퇴적 트레이(13)에의 배출 개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를 도면의 좌방(A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2의 (c)는 도 2의 (a)를 도면의 하 방(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2의 (d)는 도 2의 (a)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퇴적 트레이(13)에 반출되기 위해서 반출 중인 지폐(12a)는, 상부 벨트(18)와 하부 벨트(21)에 의한 지폐(12)에의 최종 반송부(23)에 도달하기 전에, 지폐(12a)의 폭 방향의 양단부(12a-1)가 상부 벨트(18)와 하부 벨트(21)의 반송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굴곡 부여 롤러(15)의 외부 원주에 올라탄다.
이에 의해, 지폐(12a)에는, 중앙부에 대하여 양단부가 위로 들어올려진 형상의, 반출 방향에 평행한 굴곡 자국, 환언하면, 반출되는 지폐(12a)의 면에 대하여 반출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 자국(12a-2)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굴곡 부여 롤러(15)는 반출 중인 지폐(12a)에 굴곡 자국(12a-2)을 부여하기 위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굴곡 자국(12a-2)이 급격한 각도로 구부러져 있는 것처럼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완만한 곡면을 형성한 굴곡 자국이다. 이 굴곡 부여 롤러(15)에 의한 굴곡 부여(반출되는 지폐(12a)의 면에 대하여 반출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 자국(12a-2))를 받아, 반출 중인 지폐(12a)는, 상하 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해서는 강한 저항력을 갖추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폐(12a)의 선단(12a-3)은, 최종 반송부(23)를 통과한 직후에 누름 레버(16)의 하면에 부딪힘 접촉하고, 누름 레버(16)의 하면에 미끄럼 접촉하면서, 누름 레버(16)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최종 반송부(23)는, 상부 벨트(18)와 하부 벨트(21)에 의한 지폐(12a)에의 반송력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는 최종단이며, 이 유효하게 작용하는 반송력에 의해 반출된 직후의 지폐(12a)의 선단(12a-3)이 부딪힘 접촉하여 압압되는 것과, 이 지폐(12a)의 선단(12a-3)이 상하 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갖는 것과, 누름 레버(16)의 지폐(12a)의 선단(12a-3)과의 부딪힘 접촉점이, 회동 지점(22)보다도 충분히(전체 길이의 약 1/2의 점에)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에 의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누름 레버(16)는 용이하게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도 3의 (a)는, 상기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10)에 의한 1매의 지엽류(12a)의 퇴적 트레이(13)에의 배출에서, 배출 초기 상태를 경과하여 퇴적 트레이(13)에의 배출 계속 중인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를 도면의 좌방(A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의 (c)는 도 3의 (a)를 도면의 하방(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의 (d)는 도 3의 (a)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의 (a)∼(d)에는 설명에 필요한 부분에만 도 1의 (a)∼(d) 및 도 2의 (a)∼(d)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퇴적 트레이(13) 상방에서, 경사 상방향으로 뻗어나와 배출되는 지폐(12a)는, 굴곡 부여 롤러(15)와 반출 기구(14) 사이에 각각 배치된 누름 레버(16)가, 굴곡 부여 롤러(15)에 의해 반출 방향에 평행한 굴곡 자국(반출되는 지폐(12a)의 면에 대하여 반출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굴곡하는 굽힘 자국)(12a-2)이 부여된 지폐(12a)의 계곡부(양단부(12a-1)의 상단부보다 내측으로 내려간 부분)에 미끄럼 접촉하여 지폐(12a)에 부하를 부여함으로써, 지폐(12a)에의 굴곡 부여를 강화하고 있다.
지폐(12a)는, 그 굴곡 부여의 강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굽힘 저항이 보다 강화된 것에 의해, 최종 반송부(23)를 통과한 직후의 경사 상향의 반출 방향을 따라서 반출된다.
도 4의 (a)는, 상기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10)에 의한 1매의 지엽류(12a)의 퇴적 트레이(13)에의 배출에서, 퇴적 트레이(13)에의 배출 종료 직전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4의 (a)를 도면의 좌방(A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 (c)는 도 4의 (a)를 도면의 하방(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4의 (d)는 도 4의 (a)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의 (a)∼(d)에는 설명에 필요한 부분에만 도 1의 (a)∼(d) 및 도 2의 (a)∼(d)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레버(16)는, 지폐(12a)의 후단이 최종 반송부(23)를 통과한 직후에, 지폐(12a)에 의한 상방으로의 들어올림이 해제되어 회동 자유단측(16a)이 하방으로 낙하하여, 양측의 굴곡 부여 롤러(15) 사이의 지폐(12a)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지폐(12a)와 굴곡 부여 롤러(15) 사이에, 반출 방향으로의 마찰을 발생시켜, 지폐(12a)는, 반출 방향 후단부가 굴곡 부여 롤러(15)를 통과할 때까지, 굴곡 부여 롤러(15)에 의해 퇴적 트레이(13) 상에의 반출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12a)가 누름 레버(16)를 밀어 올리는 것은, 반송력이 유효한 최종 반송부(23)를 통과한 직후이므로, 지폐(12a)가 구부러지지 않고 누름 레버(16)를 밀어올릴 수 있다.
또한, 누름 레버(16)는, 지폐(12a)에 대한 반송 방향에 평행하여 절곡되는 굴곡 부여를 겸하고 있으므로, 지폐(12a)는 최종 반송부(23)의 반출 각도를 따라서 약간 상향으로 배출되고, 이 배출되는 지폐(12a)가 이미 퇴적 트레이(13)에 퇴적되어 있는 지폐(12)에 간섭할 우려가 없다.
또한, 퇴적 트레이(13) 상에 배출 중인 지폐(12a)는, 굴곡 부여 롤러(15)에 의해 굴곡 부여된 계곡부를 누름 레버(16)를 따라서 반출됨으로써, 굴곡 부여의 효과(상하 방향으로의 굽힘 저항)가 보다 강하게 되어, 특히 길이 방향으로 지폐(2a)를 반출할 때에 유효하다.
또한, 지폐(2a)의 후단이 최종 반송부(23)로부터 벗어나면, 굴곡 부여 롤러(15)와 누름 레버(16) 사이에 마찰에 의한 반송력이 생겨, 지폐(12a)를 누름 레버(16)로 누르면서, 지폐(12a)의 후단까지 퇴적 트레이(13) 상에 완전하게 반출되므로, 퇴적 트레이(13) 상에서의 지폐(12)(12a)의 부정렬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도 1의 (a)는 실시예 1에서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의 주요부의 평면도, (b)는 (a)를 도면의 좌방(A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c)는 (a)를 도면의 하방(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d)는 (a)의 사시도.
도 2의 (a)는 실시예 1에서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의 구성에서 퇴적 트레이에 배출되는 지엽류의 선단이 최종 반송부를 통과한 직후의 퇴적 트레이에의 배출 개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a)를 도면의 좌방(A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c)는 (a)를 도면의 하방(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d)는 (a)의 사시도.
도 3의 (a)는 실시예 1에서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에 의한 1매의 지엽류의 퇴적 트레이에의 배출에서 배출 초기 상태를 경과하여 퇴적 트레이에의 배출 계속 중인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a)를 도면의 좌방(A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c)는 (a)를 도면의 하방(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d)는 (a)의 사시도.
도 4의 (a)는 실시예 1에서의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에 의한 1매의 지엽류의 퇴적 트레이에의 배출에서 퇴적 트레이에의 배출 종료 직전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a)를 도면의 좌방(A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c)는 (a)를 도면의 하방(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d)는 (a)의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지엽류 배출 집적 기구에 공통되는 지엽류 수용부에의 지엽류 송출 배출 기구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퇴적 트레이
2 : 지엽류
3(3a, 3b) : 반송 벨트
4(4a, 4b) : 구동 롤러
5 : 용지 누름 레버
6 : 지엽류에 작용하는 반송력의 최종 위치
7 : 지엽류가 초기 위치의 누름 레버에 부딪힘 접촉하는 위치
10 :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
12(12a) : 지엽류
12a-1 : 양단부
12a-2 : 굴곡 자국
12a-3 : 선단
13 : 퇴적 트레이
14 : 반출 기구
15 : 굴곡 부여 롤러
16 : 누름 레버
16a : 회동 자유단측
16b : 회동 자유단측 선단
17 : 상부 롤러
18 : 상부 벨트
19 : 하부 롤러
21 : 하부 벨트
22 : 회동 지점
23 : 최종 반송부
24 : 회전축

Claims (9)

  1. 지엽류(紙葉類)가 배출 퇴적되는 수용 수단과,
    상기 수용 수단을 향하여 상기 지엽류를 반출하는 반출 수단과,
    상기 반출 수단에 의해 반출되는 상기 지엽류의 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굴곡하는 굴곡 자국을 부여하는 굴곡 부여 수단과,
    상기 굴곡 부여 수단과 상기 반출 수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반출 수단에 의해 반출되는 상기 지엽류의 표면에 미끄럼 접촉(sliding contact)하여 하방으로의 부하를 부여하는 부하 수단
    을 갖고,
    상기 반출 수단은,
    반송 방향 하류측의 상부 롤러와 반송 방향 상류측의 상부 롤러 사이에 걸쳐진 상부 벨트와, 반송 방향 하류측의 하부 롤러와 반송 방향 상류측의 하부 롤러 사이에 놓여진 하부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벨트 및 상기 하부 벨트의 폭은 모두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보다도 좁게 형성되고,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상부 롤러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하부 롤러보다도 상기 수용 수단의 방향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굴곡 부여 수단은,
    상기 수용 수단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의 양측에 배치된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의 외주면은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의 상기 지엽류의 반송면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롤러의 회전축의 중심 위치는,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에 의한 상기 지엽류에의 최종 반송부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하 수단은,
    회동 지점으로 되는 지지부로부터 두 갈래로 나누어진 누름 레버를 갖는 회동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송 방향 하류측의 상부 롤러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상기 상부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 레버는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의 양측에서,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에 의한 상기 지엽류에의 최종 반송부를 지나 상기 수용 수단 내로 연장되고,
    대기 상태에서 상기 누름 레버의 자유단 선단은 상기 수용 수단의 상기 지엽류 재치면 또는 퇴적 완료된 최상부의 상기 지엽류의 상면에 부딪힘 접촉(contact in bump)하고,
    상기 지엽류는,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에 의한 상기 지엽류에의 최종 반송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굴곡 부여 수단에 의한 굴곡 부여를 받아 상하방향으로의 굽힘 저항이 강화되고,
    상기 누름 레버는, 상기 상부 벨트와 상기 하부 벨트에 의한 상기 지엽류에의 최종 반송부를 통과한 직후의 상기 지엽류의 선단에 부딪힘 접촉하여 그 지엽류의 선단에 의해 하류측의 상부 롤러의 축보다도 상방으로 들어올려짐과 함께 그 지엽류의 상기 굴곡 부여 수단에 의해 굴곡 부여를 받은 굴곡의 계곡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지엽류에의 굴곡 부여를 강화하고,
    상기 지엽류는, 굴곡 부여의 강화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의 굽힘 저항이 보다 강화된 것에 의해, 상기 최종 반송부를 통과한 직후의 경사 상향의 반출 방향을 따라서 반출되고,
    상기 누름 레버는, 상기 지엽류의 후단이 상기 최종 반송부를 통과한 직후에 상기 지엽류에 의한 상방으로의 들어올림이 해제되어 회동 자유단측이 하방으로 낙하하고, 미끄럼 접촉부에 의해 상기 지엽류를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지엽류와 상기 굴곡 부여 수단 사이에 반출 방향으로의 마찰을 발생시키고,
    상기 지엽류는, 반출 방향 후단부가 상기 굴곡 부여 수단을 통과할 때까지 그 굴곡 부여 수단에 의해 반출이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수단은, 적재 트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95917A 2008-10-17 2009-10-09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 KR101088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9026 2008-10-17
JP2008269026A JP5390164B2 (ja) 2008-10-17 2008-10-17 紙葉類排出集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014A KR20100043014A (ko) 2010-04-27
KR101088552B1 true KR101088552B1 (ko) 2011-12-05

Family

ID=4210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917A KR101088552B1 (ko) 2008-10-17 2009-10-09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96801A1 (ko)
JP (1) JP5390164B2 (ko)
KR (1) KR101088552B1 (ko)
CN (1) CN1017232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9554B2 (ja) * 2009-08-28 2014-04-16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シート集積装置
JP5421032B2 (ja) * 2009-08-31 2014-02-19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集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GB2487726A (en) * 2011-01-28 2012-08-08 Cash Dynamics Llp Stacking bank notes in a cassette for an ATM
WO2013076787A1 (ja) 2011-11-21 2013-05-30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集積装置
CN102745536A (zh) * 2012-06-26 2012-10-24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薄片类介质堆叠装置
JP6186810B2 (ja) * 2013-03-29 2017-08-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01375B2 (ja) * 2013-03-29 2017-09-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227261A (ja) * 2013-05-22 2014-12-08 株式会社寺岡精工 フィルムフィード装置及び包装装置
CN104555540B (zh) * 2013-10-24 2017-04-12 株式会社东芝 纸张输送装置
JP6021865B2 (ja) * 2014-09-02 2016-11-0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10683116B2 (en) * 2015-03-19 2020-06-16 Gdm S.P.A. Grouping unit and method to form groups of hygiene absorbent articles in a packaging machine
CN104670965B (zh) 2015-03-26 2017-03-01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堆叠装置及纸币处理设备
CN108778971B (zh) * 2016-04-15 2021-01-22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旋转和摆动的压纸杆臂
CN109070607B (zh) * 2016-04-29 2021-01-22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施加力的压纸杆臂
JP2024055357A (ja) * 2022-10-07 2024-04-18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排出集積装置、及び還流式紙葉処理装置
JP2024055358A (ja) * 2022-10-07 2024-04-18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排出集積装置、及び還流式紙葉処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101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紙葉類の排出集積装置
US20060237900A1 (en) * 2005-04-26 2006-10-2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deliver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917409A (ko) * 1968-11-30 1970-06-02
US3952866A (en) * 1970-09-08 1976-04-27 Industriele Onderneming Wavin N.V. Device for directing strips of thermoplastic material
US3749398A (en) * 1972-01-07 1973-07-31 Tokyo Shibaura Electric Co Apparatus for piling up sheets
JPS5724768Y2 (ko) * 1979-06-15 1982-05-28
JPH0432264Y2 (ko) * 1985-02-04 1992-08-03
JPH03147673A (ja) * 1989-11-01 1991-06-24 Hitachi Ltd 紙葉類の集積装置
US5033731A (en) * 1990-03-12 1991-07-23 Xerox Corporation Dual mode stack height and sheet delivery detector
DE4039813C2 (de) * 1990-12-13 1997-03-13 Kodak Ag Leitvorrichtung für die gestapelte Ablage von Papierblättern
JPH05124764A (ja) * 1991-10-31 1993-05-21 Canon Inc シート材排出装置
JPH05132213A (ja) * 1991-11-11 1993-05-28 Hitachi Ltd 紙葉類堆積装置
DE19813662A1 (de) * 1998-03-27 1999-09-30 Eastman Kodak Co Vorrichtung zum Zuführen, Ablegen und Ausrichten von Blättern in einem Stapelbehälter
JP3471693B2 (ja) * 2000-01-25 2003-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05082754A1 (de) * 2004-02-28 2005-09-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einstapeln flacher, biegsamer sendungen in ein stapelfach
JP5112626B2 (ja) * 2004-11-25 2013-01-09 オセ−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エー シート排出システム
JP4708166B2 (ja) * 2004-11-25 2011-06-22 オセ−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エー プリント済みシートのための排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101A (ja)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紙葉類の排出集積装置
US20060237900A1 (en) * 2005-04-26 2006-10-2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delive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6801A1 (en) 2010-04-22
KR20100043014A (ko) 2010-04-27
JP2010095365A (ja) 2010-04-30
JP5390164B2 (ja) 2014-01-15
CN101723201B (zh) 2012-06-27
CN101723201A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552B1 (ko) 지엽류 배출 집적 장치
KR101435248B1 (ko) 매체 처리 장치
CN103116938A (zh) 一种钞票堆叠装置
TW200838785A (en) Paper sheet delivery mechanism
AU2009203335A1 (en) Paper sheet treating apparatus
US8083225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JP5244719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CA2460002C (en) Banknote handling device
JP4415060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JP2009104461A (ja) 紙幣処理装置
JP4002430B2 (ja) 紙葉類集積装置
US8662284B2 (en) Item transportation
KR101341302B1 (ko) 절곡된 탄성시트를 갖는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
JP2019104607A (ja) 紙葉類収容装置、紙葉類処理装置
WO2024075493A1 (ja) 紙葉排出集積装置、及び還流式紙葉処理装置
JP2013058072A (ja) 紙幣還流装置
KR20120128990A (ko) 플랜지 일체형 스택시트가 구비된 스택롤러
JP3679050B2 (ja) 紙葉類収納繰り出し装置
JP4188514B2 (ja) 紙葉スタックユニット
JP2008269190A (ja) 紙幣一括払出し装置
JP4081202B2 (ja) 紙葉類繰出機構、及び紙葉類処理装置
JP2000072317A (ja) 紙幣集積装置
JP3931502B2 (ja) 貨幣入出金機
JP2024055358A (ja) 紙葉排出集積装置、及び還流式紙葉処理装置
JP2001278523A (ja) 紙葉類保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