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885B1 -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885B1
KR101075885B1 KR1020090037174A KR20090037174A KR101075885B1 KR 101075885 B1 KR101075885 B1 KR 101075885B1 KR 1020090037174 A KR1020090037174 A KR 1020090037174A KR 20090037174 A KR20090037174 A KR 20090037174A KR 101075885 B1 KR101075885 B1 KR 101075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ckwash
pore
tank
effl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372A (ko
Inventor
이의신
이범구
오희경
엄정열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9003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885B1/ko
Priority to US12/760,637 priority patent/US8557114B2/en
Priority to JP2010097461A priority patent/JP4764515B2/ja
Priority to EP10161106.9A priority patent/EP2253594B1/en
Priority to CN2010101606788A priority patent/CN101875515B/zh
Publication of KR2010011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885B1/ko
Priority to US13/619,956 priority patent/US8518261B2/en
Priority to HRP20131213AT priority patent/HRP20131213T1/hr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2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6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24Quality control
    • B01D2311/246Concentra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원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원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원수 저류조와; 상기 원수 저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과 투입되는 응집제를 반응시켜 전기적 중화 및 흡착에 의해 미세한 플록(Micro Floc)을 생성시키는 순간 혼화기와; 상기 순간 혼화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미세플록을 성장시켜 여과 및 침전 가능한 크기의 플록으로 성장시키도록 내부에 제 1교반기가 구비되는 2단 응집지와; 표면부하율에 의한 분리와 와류에 의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저류판(fin) 부착 경사판을 설치하여 상기 2단 응집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플록을 침전시키고, 상징수만을 배출하는 경사판 침전지와; 상기 경사판 침전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막여과 유입원수조와; 상기 막여과 유입원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막여과 생산수를 배출하고, 순환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시키는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부터 유출되는 막여과 생산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 역세척수를 제공하는 역세수조와;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정수장의 정수지로 배출하는 처리수조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회수하 고, 역세척 배출수에 포함된 슬러지 침전을 방지하도록 제 2교반기가 구비되는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와; 외부 제어에 따라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유출수를 제 1, 2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변환수단과; 상기 유로 변환수단의 제 1배관을 통해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역세척 배출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섬유사 여과수를 상기 원수 저류조로 반송시키는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와;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 및 상기 경사판 침전지에서 배출되는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슬러지 배출수조; 및 상기 원수 저류조의 원수 수질 인자에 따라 상기 유로 변환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유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원수 저류조로 반송시키고, 상기 순간 혼화기로 주입되는 응집제 주입량과, 상기 2단 응집지의 제 1교반기 및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제 2교반기의 교반강도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의 운전상태 및 약품 주입량을 모니터링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순간 혼화기, 2단 응집조, 경사판 침전지에 의한 전처리를 통하여 원수의 탁질 및 용존유기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기존 표준정수처리공정보다 응집제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슬러지 부산물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막의 유입부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기존 표준정수처리공정보다 시설규모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공극 크기가 일정한 가압식 정밀여과기를 이용함으로써 입자성 물질, 크립토스포리디움 및 지아디아와 같은 내염소성 병원성 미생물, 조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먹는 물을 안정적으로 생산 할 수 있으며, 또 가압식 정밀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하여 회수함으로써 회수율을 극대화하여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고, 각 공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서 시스템의 운영상태를 항시 관리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37174
가압식 정밀여과기, 2단 응집, 경사판 침전,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 배출수 처리

Description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PRESSURE FILTER AND PORE CONTROL FIBER FILTER}
본 발명은 정수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순간 혼화기, 2단 응집조, 경사판 침전지에 의한 전처리하여 가압식 정밀여과기의 오염부하를 경감시키고, 가압식 정밀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하여 회수함으로써 회수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 산업화 및 인구증가에 의한 물 부족 문제, 선진국의 물 인프라 노후화 및 개도국의 산업화 진전으로 인한 수질악화로 전 세계의 관심이 물에 집중되고 있다. 세계 물 산업은 향후 연평균 5%로 안정적 성장을 하면서 2010년에는 3천억 달러의 시장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물시장의 구조변화 및 성장의 가속화, 개방화와 국제화가 진행되고 있다. 다국적 물 전문기업들은 중국을 중심으로 한 개도국 시장에 적극 진출하여 선점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에 국내 물기업도 세계 물 시장 신규 진입의 필요성이 요구되지만 상하수도 시설 및 서비스업 분야에서 진입장벽이 높아 진출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기존 시장을 선점한 물 전문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화, 기술의 고도화 및 전문화, 서비스 효율화 및 토탈 솔류션(TOTAL SOLUTION)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 등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국내 물 시장에 있어서도 먹는 물 수질기준의 강화, 먹는물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형성, 기존 수처리공정의 처리효율 한계성 및 시설의 노후화, 서비스의 전문적 경영방식의 필요성 등 다양한 문제에 부딪히면서 기존 기술에 미래의 신 성장가능한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차세대 친환경 수처리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고 이 중 하나가 막을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 개발이라 할 수 있다.
막여과기술은 명확한 공극크기에 의해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탁월한 제거능력으로 원수 특성에 따라 막여과 단일공정만으로 기존의 혼화, 응집, 침전, 모래여과공정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막의 모듈화, 스키드화 및 팩키지화는 시설의 설치, 개량 및 증설을 용이하게 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단일 수처리공정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소규모 정수장이나 마을 상수도와 같이 전문인력이 부족한 곳에서는 막여과시스템의 자동화 및 무인화가 가능하여 통합운영관리를 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막여과기술의 사용은 부지면적의 최소화, 응집제 투여의 감량화, 슬러지 발생량 저감화, 에너지 사용의 합리화 및 처리속도의 고속화 등의 장점이 있어 기술 집약적인 친환경 차세대 수처리공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정수장에 유입되는 수원 특성상 고탁도, 저수온 및 높은 조류개체수와 같은 유입수 악조건에서 막여과기술을 이용한 정수처리공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은 미약하다.
또, 수자원의 확보차원에서 회수율 향상을 위해 다양한 처리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나 국내 실정에 적합한 배출수처리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순간 혼화기, 2단 응집조, 경사판 침전지에 의한 전처리를 통하여 원수의 탁질 및 용존유기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기존 표준정수처리공정보다 응집제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슬러지 부산물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막의 유입부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기존 표준정수처리공정보다 시설규모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극 크기가 일정한 가압식 정밀여과기를 이용함으로써 입자성 물질, 크립토스포리디움 및 지아디아와 같은 내염소성 병원성 미생물, 조류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먹는 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식 정밀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하여 회수함으로써 회수율을 극대화하여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각 공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서 시스템의 운영상태를 항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유입되는 원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원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역세척 배출수가 반송되는 원수 저류조와; 상기 원수 저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과 투입되는 응집제를 반응시켜 전기적 중화 및 흡착에 의해 미세한 플록(Micro Floc)을 생성시키는 순간 혼화기와; 상기 순간 혼화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미세플록을 성장시켜 여과 및 침전 가능한 크기의 플록으로 성장시키도록 내부에 제 1교반기가 구비되는 2단 응집지와; 표면부하율에 의한 분리와 와류에 의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저류판(fin) 부착 경사판을 설치하여 상기 2단 응집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플록을 침전시키고, 상징수와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경사판 침전지와; 상기 경사판 침전지로부터 유출되는 상징수를 공급받아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막여과 유입원수조와; 상기 막여과 유입원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막여과 생산수를 배출하고, 순환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시키며, 역세척시 역세척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고, 역세척 배출수를 배출하는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부터 유출되는 막여과 생산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 역세척수를 제공하는 역세수조와;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정수장의 정수지로 배출하는 처리수조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회수하고, 역세척 배출수에 포함된 슬러지 침전을 방지하도록 제 2교반기가 구비되는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와; 외부 제어에 따라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역세척 배출수를 제 1, 2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변환수단과; 상기 유로 변환수단의 제 1배관을 통해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역세척 배출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섬유사 여과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시키고, 나머지 역세척 배출수를 배출하는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와;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 및 상기 경사판 침전지에서 배출되는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슬러지 배출수조; 및 상기 원수 저류조의 원수 수질 인자에 따라 상기 유로 변환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원수 저류조로 반송시키고, 상기 순간 혼화기로 주입되는 응집제 주입량과, 상기 2단 응집지의 제 1교반기 및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제 2교반기의 교반강도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의 운전상태 및 약품 주입량을 모니터링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순간 혼화기는 상기 원수 저류조 원수의 유량, 압력, 수온, pH, 탁도 및 클로로필-a를 포함하는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온라인 계측기와; 상기 온라인 계측기를 통해 계측되는 원수 수질 인자를 이용하여 막오염상태를 예측하고, 원수 수질 인자중 막여과 여과저항을 미치는 주요 수질 인자인 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의 기준값에 따라 응집제 투여량을 제어하는 응집제 투여 제어기; 및 상기 응집제 투여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순간 혼화기에 응집제를 투여하는 응집제 투여기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주요 수질 인자의 기준값은 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는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의 막간 차압, 유량, 처리수 탁도 및 처리수 입자수를 계측하는 계측 센서와; 상기 계측 센서로부터 계측된 값들을 이용하여 가압식 막여과 세정효율을 산출하여 막여과 세정효율이 기설정값보다 떨어지는 경우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가 화학 세정되도록 제어하는 화학 세정 제어기; 및 상기 화학 세정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 약품을 투입하여 화학 세정하는 화학 세정기를 더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유로 변환수단은 상기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배관에 설치된 제 1전자 밸브와; 상기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시키도록 상기 제 2배관에 설치된 제 2전자 밸브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어반은 상기 온라인 계측기로부터 계측된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전자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어반의 온도, 탁도,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은 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원수 저류조는 분말 활성탄 접촉조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의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순간 혼화기에서 원수 저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과 투입되는 응집제를 반응시켜 전기적 중화 및 흡착에 의해 미세한 플록(Micro Floc)을 생성시키는 미세 플록 형성 공정과; 2단 응집지에서 상기 순간 혼화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미세플록을 성장시켜 여과 및 침전 가능한 크기의 플록으로 성장시키는 플록 성장 공정과; 경사판 침전지에서 상기 2단 응집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플록을 침전시키고, 상징수와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침전 공정과; 상기 경사판 침전지로부터 유출되는 상징수를 가압식 정밀여과기로 공급하여 막여과 생산수를 배출하고, 순환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하는 1차 여과 공정과; 상기 원수 저류조의 원수 수질 인자에 따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한 후 여과시켜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하거나 또는 곧바로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하는 2차 여과 공정; 및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 및 상기 경사판 침전지에서 배출되는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슬러지 배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여기에서, 상기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은 각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여기에서 또한상기 2차 여과 공정은 원수에서 계측된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수온, 탁도 및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2차 여과 공정의 온도, 탁도,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은 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기존 표준정수처리공정보다 응집제 사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혼화-2단 응집-경사판 침전지로 구성된 전처리장치 로 약품 소모비를 절감시키고 슬러지 부산물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표준정수처리공정에서 실시하는 약품주입율 조견표 또는 자-테스트(Jar-Test)에 의한 응집주입방식결정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수질연속 모니터링장치를 이용해 응집제 주입량을 제어함으로서 응집효율을 상승 및 응집제 주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수질의 변동에도 가변적 운전을 통해 기존 모래여과방식보다 탁월한 탁질, 조류, 크립토스포리디움 및 지아디아와 같은 소독내성이 강한 미생물을 완벽하게 제거함으로서 수돗물 신뢰성을 확보하고 후속 소독공정에서 소량의 염소사용을 통해 소독부산물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역세척 배출수를 처리할 수 있는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하여 회수율을 99%이상으로 유지하여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막여과 전처리 및 막여과공정에 대한 운전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함으로서 정수장에서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의 모니터링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100)는, 원수 저류조(110)와, 순간 혼화기(120)와, 2단 응집지(130)와, 경사판 침전지(140)와, 막여과 유입원수조(150)와, 가압식 정밀여과기(160)와, 역세수조(170)와, 처리수조(180)와,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와, 유로 변환수단(200)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210)와, 배슬러지 배출수조(220)와, 제어반(230)으로 구성된다.
먼저, 원수 저류조(110)는 유입되는 원수의 수위변동을 안정시키고 원수량을 조절하여 후속공정에서 이루어지는 응집주입, 침전, 여과 등 일련의 수처리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설이다. 여기에서, 원수 저류조(110)는 통상의 정수 처리 방식인 응집, 침전, 여과, 오존, 염소소독으로 제거되지 않는 맛냄새 원인물질(2-MIB, 지오스민 등), 합성세제, 페놀류, 트리할로메탄과 그 전구물질, 화학물질과 기타 유기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분말 활성탄 접촉조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원수 저류조(110)는 고탁도일 때 알칼리제와 응집보조제를 주입하여 응집효율을 향상시키거나 막여과 역세척수 또는 배출수 처리수를 받아들이는 목적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원수 저류조(110)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어반(230)의 제어에 따라 유로 변환수단(200)을 통해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의 역세척 배출수가 반송된다.
그리고, 순간 혼화기(120)는 원수 저류조(110)로부터 자연 유하방식으로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과 투입되는 응집제를 매우 짧은 시간에 반응시켜 전기적 중화 및 흡착에 의해 미세한 플록(Micro Floc)을 생성시킨다. 여기에서, 순간 혼화기(120)는 원수 저류조(110) 원수의 유량, 압력, 수온, pH, 탁도 및 클로로필-a를 포함하는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온라인 계측기(121)와, 온라인 계측기(121)를 통해 계측되는 원수 수질 인자를 이용하여 막오염상태를 예측하고, 원수 수질 인자중 막여과 여과저항을 미치는 주요 수질 인자(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의 기준값에 따라 응집제 투여량을 제어하는 응집제 투여 제어기(123)와, 응집제 투여 제어기(123)의 제어에 따라 순간 혼화기(120)에 응집제를 투여하는 응집제 투여기(125)를 구비한다. 이때, 주요 수질 인자의 기준값은 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2단 응집지(130)는 순간 혼화기(120)로부터 자연 유하방식으로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미세플록을 성장시켜 여과 및 침전 가능한 크기의 플록으로 성장시키도록 내부에 제 1교반기(131)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2단 응집지(130)는 기존의 3단 응집을 2단으로 축소시킴으로서 부지를 축소시키고, 저탁도(10NTU 이하)의 원수에 대해 무리하게 큰 플록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침전지를 거쳐 막여과에 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경사판 침전지(140)는 표면부하율에 의한 분리와 와류에 의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저류판(fin) 부착 경사판을 설치하여 2단 응집지(130)로부터 자연 유하방식으로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플록을 침전시키고, 상징수와 배슬러지를 각각 배출한다.
또, 막여과 유입원수조(150)는 경사판 침전지(140)로부터 자연 유하방식으로 유출되는 상징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는 막여과 유입원수조(15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막여과 생산수를 배출하고, 순환수를 순간 혼화기(120) 전단으로 반송시키며, 역세척시 역세척수를 역세수조(170)로부터 공급받고, 역세척에 따른 역세척 배출수를 배출한다. 여기에서,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는 가압식 정밀여과기(160)의 막간 차압, 유량, 처리수 탁도 및 처리수 입자수를 계측하는 계측 센서(161)와, 계측 센서(161)로부터 계측된 값들을 이용하여 가압식 막여과 세정효율을 산출하여 막여과 세정효율이 기설정값보다 떨어지는 경우 가압식 정밀여과기(160)가 화학 세정되도록 제어하는 화학 세정 제어기(163)와, 화학 세정 제어기(163)의 제어에 따라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로 약품을 투입하여 화학 세정하는 화학 세정기(165)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는 정밀여과막을 이용하여 침전지에서 제거되지 못한 미세한 입자 및 원생동물, 조류 등을 체거름 현상을 통해 제거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중공사(hollow fiber) 형태의 가압식 정밀여과막(MF)을 이용하였고, 분리막 여과는 유입되는 원수를 가압하여 중공사막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여과가 이루어지는 외압식(outside-in) 여과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또한, 가압식 정밀여과기(160)의 전단에는 펌프와 밸브(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구성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역세수조(170)는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로부터 배출되는 막여과 생산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로 역세척수를 제공한다.
또한, 처리수조(180)는 역세수조(17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정수장의 정수지(미도시)로 배출한다.
또,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는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회수하고, 역세척 배출수에 포함된 슬러지 침전을 방지하도록 제 2교반기(191)가 구비된다.
한편, 유로 변환수단(200)은 하기에서 설명할 제어반(230)의 제어에 따라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의 역세척 배출수를 제 1, 2배관(201, 203)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에서, 유로 변환수단(200)은 제어반(23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210)로 공급하도록 제 1배관(201)에 설치된 제 1전자 밸브(202)와, 제어반(230)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순간 혼화기(120) 전단으로 반송시키도록 제 2배관(203)에 설치된 제 2전자 밸브(20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 2배관(201, 203) 상에는 펌프 등이 설치되는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구성으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210)는 유로 변환수단(200)의 제 1배관(201)을 통해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로부터 역세척 배출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섬유사 여과수를 순간 혼화기(120) 전단으로 반송시키고, 미여과된 나머지 역세척 배출수를 배출한다.
또한, 배슬러지 배출수조(220)는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210)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 및 경사판 침전지(140)에서 배출되는 배슬러지를 공급받아 이들을 배출한다.
또, 제어반(230)은 원수 저류조(110)의 원수 수질 인자에 따라 유로 변환수단(200)을 제어하여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의 유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210)로 공급하거나 또는 원수 저류조(110)로 반송시키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간 혼화기(120)로 주입되는 응집제 주입량과, 2단 응집지(130)의 제 1교반기(131) 및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의 제 2교반기(191)의 교반강도와, 가압식 정밀여과기(160)의 운전상태 및 약품 주입량을 모니터링한다. 여기에서, 제어반(230)은 온라인 계측기(121)로부터 계측된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제 1전자 밸브(202)를 개방하여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210)로 공급하는 데, 온도, 탁도,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은 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한, 제어반(230)은 온라인 계측기(121)로부터 계측된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제 2전자 밸브(204)를 개방하여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순간 혼화기(120) 전단으로 직접 반송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을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먼저, 원수 저류조(110)로부터 유출수가 순간 혼화기(120)로 공급되면, 순간 혼화기(120)에서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과 투입되는 응집제를 반응시켜 전기적 중화 및 흡착에 의해 미세한 플록(Micro Floc)을 생성시킨다(S100). 이때, 응집제 투여 제어기(123)는 온라인 계측기(121)를 통해 계측되는 원수 수질 인자(유량, 압력, 수온, pH, 탁도 및 클로로필-a)를 이용하여 막오염상태를 예측하고, 원수 수질 인자중 막여과 여과저항을 미치는 주요 수질 인자의 기준값에 따라 응집제 투여기(125)의 응집제 투여량을 제어한다. 또한, 응집제 투여 제어기(123)는 응집제 투여량 및 원수 수질 인자의 계측값을 제어반(230)으로 전달하고, 제어반(230)은 모니터를 통해 응집제 투입량 및 원수 수질 인자의 계측값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순간 혼화기(120)로부터 유출수가 2단 응집지(130)로 공급되면, 2단 응집지(130)에서 유출수에 포함된 미세플록을 성장시켜 여과 및 침전 가능한 크기의 플록으로 성장시킨다(S110). 이때, 2단 응집지(130)의 제 1교반기(131)는 교반강도, 즉 회전 속도가 제어반(230)으로 전달하고, 제어반(230)은 모니터를 통해 교반 강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런 다음, 2단 응집지(130)로부터 성장된 플록이 포함된 유출수가 경사판 침전지(140)로 공급되면, 경사판 침전지(140)에서 유출수에 포함된 플록을 침전시키고, 상징수만을 배출한다(S120). 이때, 상징수는 막여과 유입원수조(150)로 유입되어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한편, 막여과 유입원수조(15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가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로 공급되면,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는 막여과 생산수를 배출하고, 순환수를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한다(S130). 이때, 화학 세정 제어기(163)는 계측 센서(161)로부터 계측된 값(막간 차압, 유량, 처리수 탁도 및 처리수 입자수)들을 이용하여 가압식 막여과 세정효율을 산출하여 막여과 세정효율이 기설정값보다 떨어지는 경우 막여과 생산수 배출을 중단한 후 역세척 후 화학 세정기(165)를 통해 가압식 정밀여과기(160)를 화학 세정한 후 다시 막여과 생산수를 배출한다. 그리고, 가압식 정밀여과기(160)의 역세척 배출수는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로 회수된다. 이때,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의 제 2교반기(191)는 교반강도, 즉 회전 속도가 제어반(230)으로 전달하고, 제어반(230)은 모니터를 통해 교반 강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제어반(230)은 온라인 계측기(121)로부터 계측된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고(S141), 계측된 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를 기설정값과 비교하여(S142), 비교 결과 계측값이 기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제 1전자 밸브(202)를 개방하여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210)로 공급한 후 여과시켜 상기 순간 혼화기(120) 전단으로 반송한다(S143). 반대로, 제어반(230)은 온라인 계측기(121)로부터 계측된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보다 낮은 경우 단계 144(S144)로 패스되어 제 2전자 밸브(204)를 개방하여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190)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곧바로 순간 혼화기(120) 전단으로 반송한다.
한편,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210)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 및 경사판 침전지(140)에서 배출되는 배슬러지는 배슬러지 배출수조(220)로 공급된 후 배슬러지 배출수조(220)에서 배출한다(S150).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의 모니터링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원수 저류조 120 : 순간 혼화기
130 : 2단 응집지 140 : 경사판 침전지
150 : 막여과 유입원수조 160 : 가압식 정밀여과기
170 : 역세수조 180 : 처리수조
190 :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 200 : 유로 변환수단
210 :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 220 : 배슬러지 배출수조
230 : 제어반

Claims (12)

  1. 유입되는 원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원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역세척 배출수가 반송되는 원수 저류조와;
    상기 원수 저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과 투입되는 응집제를 반응시켜 전기적 중화 및 흡착에 의해 미세한 플록(Micro Floc)을 생성시키는 순간 혼화기와;
    상기 순간 혼화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미세플록을 성장시켜 여과 및 침전 가능한 크기의 플록으로 성장시키도록 내부에 제 1교반기가 구비되는 2단 응집지와;
    표면부하율에 의한 분리와 와류에 의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저류판(fin) 부착 경사판을 설치하여 상기 2단 응집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플록을 침전시키고, 상징수와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경사판 침전지와;
    상기 경사판 침전지로부터 유출되는 상징수를 공급받아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막여과 유입원수조와;
    상기 막여과 유입원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막여과 생산수를 배출하고, 순환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시키며, 역세척시 역세척수를 외부로부터 공급받고, 역세척 배출수를 배출하는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부터 유출되는 막여과 생산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 역세척수를 제공하는 역세수조와;
    상기 역세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의 수위를 안정시켜 유출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정수장의 정수지로 배출하는 처리수조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회수하고, 역세척 배출수에 포함된 슬러지 침전을 방지하도록 제 2교반기가 구비되는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와;
    외부 제어에 따라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역세척 배출수를 제 1, 2배관을 통해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유로 변환수단과;
    상기 유로 변환수단의 제 1배관을 통해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역세척 배출수를 공급받아 여과한 후 섬유사 여과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시키고, 나머지 역세척 배출수를 배출하는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와;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 및 상기 경사판 침전지에서 배출되는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슬러지 배출수조; 및
    상기 원수 저류조의 원수 수질 인자에 따라 상기 유로 변환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원수 저류조로 반송시키고, 상기 순간 혼화기로 주입되는 응집제 주입량과, 상기 2단 응집지의 제 1교반기 및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의 제 2교반기의 교반강도와,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의 운전상태 및 약품 주입량을 모니터링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혼화기는,
    상기 원수 저류조 원수의 유량, 압력, 수온, pH, 탁도 및 클로로필-a를 포함하는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온라인 계측기와;
    상기 온라인 계측기를 통해 계측되는 원수 수질 인자를 이용하여 막오염상태를 예측하고, 원수 수질 인자중 막여과 여과저항을 미치는 주요 수질 인자인 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의 기준값에 따라 응집제 투여량을 제어하는 응집제 투여 제어기; 및
    상기 응집제 투여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순간 혼화기에 응집제를 투여하는 응집제 투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수질 인자의 기준값은,
    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는,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의 막간 차압, 유량, 처리수 탁도 및 처리수 입자수를 계측하는 계측 센서와;
    상기 계측 센서로부터 계측된 값들을 이용하여 가압식 막여과 세정효율을 산출하여 막여과 세정효율이 기설정값보다 떨어지는 경우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가 화학 세정되도록 제어하는 화학 세정 제어기; 및
    상기 화학 세정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압식 정밀여과기로 약품을 투입하여 화학 세정하는 화학 세정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변환수단은,
    상기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1배관에 설치된 제 1전자 밸브와;
    상기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시키도록 상기 제 2배관에 설치된 제 2전자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 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은,
    상기 온라인 계측기로부터 계측된 원수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온도, 탁도 및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 1전자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의 온도, 탁도,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은,
    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저류조는,
    분말 활성탄 접촉조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9. 제 1 항의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순간 혼화기에서 원수 저류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과 투입되는 응집제를 반응시켜 전기적 중화 및 흡착에 의해 미세한 플록(Micro Floc)을 생성시키는 미세 플록 형성 공정과;
    2단 응집지에서 상기 순간 혼화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미세플록을 성장시켜 여과 및 침전 가능한 크기의 플록으로 성장시키는 플록 성장 공정과;
    경사판 침전지에서 상기 2단 응집지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에 포함된 플록을 침전시키고, 상징수와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침전 공정과;
    상기 경사판 침전지로부터 유출되는 상징수를 가압식 정밀여과기로 공급하여 막여과 생산수를 배출하고, 순환수를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하는 1차 여과 공정과;
    상기 원수 저류조의 원수 수질 인자에 따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한 후 여과시켜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하거나 또는 곧바로 상기 순간 혼화기 전단으로 반송하는 2차 여과 공정; 및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에서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 및 상기 경사판 침전지에서 배출되는 배슬러지를 배출하는 배슬러지 배출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은,
    각 공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여과 공정은,
    원수에서 계측된 수질 인자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수온, 탁도 및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역세척 배출수 회수조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척 배출수를 상기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여과 공정의 온도, 탁도, 조류개체수가 기설정값은,
    온도 5℃, 탁도 ≥ 25 NTU, 조류개체수 ≥10,000cnt/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
KR1020090037174A 2009-04-28 2009-04-28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075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174A KR101075885B1 (ko) 2009-04-28 2009-04-28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US12/760,637 US8557114B2 (en) 2009-04-28 2010-04-15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pressure filter and pore control fiber filter
JP2010097461A JP4764515B2 (ja) 2009-04-28 2010-04-21 凝集−傾斜板沈殿池による前処理を行った加圧式精密ろ過器と回収率を向上させるための空隙制御型繊維ろ過器とを用いた浄水処理装置及び方法
EP10161106.9A EP2253594B1 (en) 2009-04-28 2010-04-27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pressure filter and pore-control fiber filter
CN2010101606788A CN101875515B (zh) 2009-04-28 2010-04-28 一种净水处理设备及方法
US13/619,956 US8518261B2 (en) 2009-04-28 2012-09-14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pressure filter and pore control fiber filter
HRP20131213AT HRP20131213T1 (hr) 2009-04-28 2013-12-20 Naprava za proäśišä†avanje vode te postupak uporabe tlaäśnog filtera i vlaknastog filtera za kontrolu šuplji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174A KR101075885B1 (ko) 2009-04-28 2009-04-28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72A KR20100118372A (ko) 2010-11-05
KR101075885B1 true KR101075885B1 (ko) 2011-10-25

Family

ID=4239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174A KR101075885B1 (ko) 2009-04-28 2009-04-28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557114B2 (ko)
EP (1) EP2253594B1 (ko)
JP (1) JP4764515B2 (ko)
KR (1) KR101075885B1 (ko)
CN (1) CN101875515B (ko)
HR (1) HRP20131213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60B1 (ko) 2013-05-06 2014-07-0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재급수 유로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9110B2 (en) 2011-07-14 2016-08-09 Nalco Company Method of maintaining water quality in a process stream
KR101312584B1 (ko) * 2011-07-27 2013-10-07 (주) 상원이엔씨 경사판 급속응집 침전장치와 여과장치를 연계한 하 폐수 중의 총인 제거방법 및 총인 제거 공정 시스템
KR101185223B1 (ko) * 2012-07-17 2012-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환유로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US9505637B2 (en) 2013-03-15 2016-11-29 Ecolab Usa Inc. Methods of inhibiting fouling in liquid systems
JP6444606B2 (ja) * 2014-03-27 2018-12-26 株式会社クラレ 水処理装置
KR101502052B1 (ko) * 2014-07-31 2015-03-1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조류 측정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ES2549490B2 (es) * 2015-07-22 2016-05-10 Josep SAIS MASCORT Sistema de control para un filtro de partículas
CN105399267B (zh) * 2015-09-25 2017-07-28 江西洪城水业环保有限公司 一种城市污水处理的自动控制方法
CN107670386B (zh) * 2016-12-12 2019-11-15 连江县维佳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多传感器的化工浆料分离系统
JP6797706B2 (ja) * 2017-02-08 2020-12-09 株式会社東芝 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水処理方法
CN107376505B (zh) * 2017-09-15 2018-07-31 贺州市骏鑫矿产品有限责任公司 一种钾长石粉生产废水再循环系统
CN108163914B (zh) * 2018-01-19 2020-11-27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互联网的智能环保系统
CN109205952A (zh) * 2018-10-26 2019-01-15 江门市新会区猫淘鹰贸易有限公司 一种水处理净化系统
CN109205852A (zh) * 2018-10-26 2019-01-15 江门市新会区猫淘鹰贸易有限公司 一种智能水处理调控系统
CN111320245A (zh) * 2018-12-14 2020-06-23 天津科技大学 一种通过复合预涂膜技术处理放射性废水中Sr2+的方法
CN109932198B (zh) * 2019-02-19 2020-09-25 中国家用电器研究院 一种净水器测试用循环供水系统
JP7225073B2 (ja) * 2019-10-02 2023-02-20 水ing株式会社 凝集ろ過方法及び凝集ろ過装置
CN112263876B (zh) * 2020-11-27 2021-12-03 江西博大化工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装置
CN113402126A (zh) * 2021-07-07 2021-09-17 赵立明 一种水产养殖用净化尾水处理装置
CN113521836A (zh) * 2021-08-17 2021-10-22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重监护过滤、反洗系统及其自动调控方式
KR102453863B1 (ko) * 2022-03-23 2022-10-12 주식회사 로펜 응집제로 코팅된 마이크로 파이버 여재를 사용하는 물리·화학적 수처리 공법
CN115092997B (zh) * 2022-06-14 2023-03-24 温州杭钢水务有限公司 一种高负荷高效沉淀池的稳定运行节能降耗控制方法及系统
CN115475447B (zh) * 2022-10-11 2023-05-23 华能济宁运河发电有限公司 一种回用中水用保安过滤器滤芯清洗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561B1 (ko) 2006-08-16 2008-01-23 지은상 막분리를 이용한 발전소용 순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7341A (en) * 1968-10-18 1971-05-04 Pennwalt Corp Water treatment
US3786924A (en) * 1971-07-22 1974-01-22 Delro Inc Water purification system
US3792773A (en) * 1971-09-30 1974-02-19 Hydro Clear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liquid
US4054517A (en) * 1974-08-06 1977-10-18 John Cunningham Chrome removal and recovery
US3977970A (en) * 1974-12-23 1976-08-31 Keystone Engineering & Products Co. Inc.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iltering solid particles from a particulate-bearing liquid
US4366063A (en) * 1981-06-17 1982-12-28 Romec Environmental Research & Development,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usable water and other materials from oil field mud/waste pits
US5064531A (en) * 1990-07-26 1991-11-12 Int'l Environmental Systems, Inc. Water filtration apparatus
US5120435A (en) * 1991-01-30 1992-06-09 Fink Ronald G Pre-treatment sewer discharge system
JPH05285478A (ja) * 1992-04-08 1993-11-02 Japan Organo Co Ltd 懸濁成分を含む水の処理装置
JP2911327B2 (ja) * 1992-12-28 1999-06-23 オルガノ株式会社 濁質成分を含む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H10202010A (ja) * 1997-01-21 1998-08-04 Japan Organo Co Ltd 水処理装置
US5783084A (en) * 1997-05-01 1998-07-21 Suenkonis; Charles M. Process for the reclamation of process water from process wastewater generated in the battery manufacturing industry and other metals related industries
US5997745A (en) * 1998-04-08 1999-12-07 Zenon Environmental Inc. Method for producing high purity water using triple pass reverse osmosis (TPRO)
JPH1157739A (ja) * 1997-08-25 1999-03-02 Hitachi Ltd 浄水処理方法
JP2001121421A (ja) * 1999-10-28 2001-05-08 Hitachi Chemical Techno-Plant Co Ltd 用水回収装置
US6919031B2 (en) * 2000-11-02 2005-07-19 I. Kruger Inc. Method of treating water and wastewater with a ballasted flocculation process and a chemical precipitation process
JP2003053349A (ja) * 2001-08-14 2003-02-25 Japan Water Works Association ステンレス製浄水設備
JP2004216207A (ja) * 2003-01-09 2004-08-05 Kuraray Co Ltd 排水処理方法
JP2005046786A (ja) * 2003-07-31 2005-02-24 Nishihara Environment Technology Inc 凝集沈殿装置
JP4079082B2 (ja) * 2003-12-10 2008-04-23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膜ろ過水処理装置の逆洗浄方法
CN2680656Y (zh) * 2004-01-16 2005-02-23 河北阿鸥环境技术有限公司 纳滤净水系统
US20090107915A1 (en) * 2007-03-12 2009-04-30 Its Engineered Systems, Inc. Treatment process and system for wastewater, process waters, and produced waters applications
CN201046933Y (zh) * 2007-05-18 2008-04-16 江苏华彬给排水设备有限公司 矿井污水深度处理回用装置
KR100877805B1 (ko) * 2007-08-10 2009-01-08 삼성물산 주식회사 자외선 흡광도를 이용한 고도정수처리장치 및고도정수처리방법
CN101311331B (zh) * 2008-02-18 2012-05-02 佛山市昭信金属制品有限公司 镀镍漂洗废水的在线处理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561B1 (ko) 2006-08-16 2008-01-23 지은상 막분리를 이용한 발전소용 순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60B1 (ko) 2013-05-06 2014-07-04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재급수 유로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8261B2 (en) 2013-08-27
CN101875515A (zh) 2010-11-03
EP2253594A3 (en) 2012-06-06
CN101875515B (zh) 2012-07-18
EP2253594B1 (en) 2013-09-25
US8557114B2 (en) 2013-10-15
US20110000849A1 (en) 2011-01-06
JP2010260047A (ja) 2010-11-18
JP4764515B2 (ja) 2011-09-07
US20130015132A1 (en) 2013-01-17
KR20100118372A (ko) 2010-11-05
HRP20131213T1 (hr) 2014-01-31
EP2253594A2 (en)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885B1 (ko)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090107915A1 (en) Treatment process and system for wastewater, process waters, and produced waters applications
US6582605B2 (en) Method of treating industrial waste waters
CN105384316A (zh) 一种电子工业含氟含氨氮废水的处理方法
WO2009119300A1 (ja) 被処理水の逆浸透膜による分離のための前処理方法
CN101921029A (zh) 纳米催化微电解水净化消毒装置及其方法
WO2011136043A1 (ja) 廃水処理装置および廃水処理方法
KR101693100B1 (ko) 스마트 막여과 수처리 시스템
KR20170075085A (ko) 막여과 정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망간 저감방법
KR101637049B1 (ko) 수처리 장치
KR200383096Y1 (ko) 여과막을 이용한 고도정수처리장치
CN116171191A (zh) 处理废水物流的系统和方法
RU229479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светленной воды
CN112607901A (zh) 一种钢铁行业综合废水处理系统及其方法
CN204369710U (zh) 含磷废水处理系统
CN215161879U (zh) 一种页岩气采出水处理设备
JP3697529B2 (ja) 膜利用型排水処理方法および浄水処理装置
CN103896455B (zh) 一种用于海水反渗透法的生物预处理工艺
CN219429833U (zh) 一种油田压裂液深度处理设备
JP2005334777A (ja) 浄水設備
CN213446548U (zh) 一种一体化净水设备
CN211734055U (zh) 一种离岸应急用反渗透海水淡化预处理系统
JP2004074146A (ja) 不純物を含有する液体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WO20221700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sources from wastewater streams
KR20160085108A (ko) 해수 기수 종합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