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405B1 - 차량 과속방지턱 - Google Patents

차량 과속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405B1
KR101075405B1 KR1020090108651A KR20090108651A KR101075405B1 KR 101075405 B1 KR101075405 B1 KR 101075405B1 KR 1020090108651 A KR1020090108651 A KR 1020090108651A KR 20090108651 A KR20090108651 A KR 20090108651A KR 101075405 B1 KR101075405 B1 KR 101075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mp
vehicle speed
speed bumps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856A (ko
Inventor
문희정
Original Assignee
문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희정 filed Critical 문희정
Priority to KR102009010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4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되어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는 형태의 차량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다수의 단위 블록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단위 블록은, 상면에 돌출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하 단차를 갖는 제1,2돌출부와; 상기 단위 블록의 측면 및 상면과, 상기 제1,2돌출부 사이에 요입형성되는 중앙홈과; 상기 단위 블록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모서리홈과; 상기 중앙홈과 중앙홈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모서리홈과 모서리홈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과; 상기 단위 블록들에 의해 조합된 과속방지턱의 양단에 밀착고정되어 단위 블록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과속방지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철 형태의 방지턱을 가지고 있어 식별용 도료 중 일부는 차륜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쉽게 벗겨지지 않으므로 시인성이 향상되고, 배수공을 통한 배수성 향상으로 관리상 편의성이 증진되며, 지면과 방지턱 사이의 단차가 크지 않아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적어 차량 훼손을 줄이고, 그에 따른 차량 수명 연장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차량, 과속 방지, 방지턱, 요철, 배수

Description

차량 과속방지턱{ROAD RISE AGAINST OVERSPEED}
본 발명은 차량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차량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속방지턱은 어린이 보호구역 또는 주택가 등의 도로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저속주행을 유도하여 과속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종래의 과속방지턱의 설치방법은 기존에 먼저 마련된 도로중에 과속으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 지역부분에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상향으로 만곡되게 타설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관련 규정에 따르면, 과속방지턱이 갖추어야할 조건으로는 ①낮은속도(약 20Km/h이하)에서는 비교적 스무스하게 통과하면서 어느 정도 일정한 속도를 유지시켜 주어야 하고, ②과속을 하게 되면 탑승객에게 심한 수직가속도를 발생시켜 불쾌감을 느끼게 하여 과속을 억제시켜야 하며, ③낮은 속도든 높은 속도든 간에 급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뒤에 오는 차량에게 위험을 야기시켜서는 안되고, ④차 량에 상처나 끌림, 요동을 일으켜서는 안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설치되어 있는 대다수의 과속방지턱은 상기와 같은 조건들이 무시된 채 너무 높게 형성되어 차량 통과시 차량 훼손이 발생되거나 혹은 너무 낮아서 과속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 상면이 만곡진 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어 주행 중 과속방지턱 전방에서 브레이크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차량의 서스펜션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상당하고, 또 급브레이크 사용에 따른 차량 부품 수명도 단축되는 등 과속방지턱으로부터 기인된 많은 단점들이 있었다.
아울러, 과속방지턱의 상면에 주의 표시를 위한 색상도료를 도포함에 있어서 차륜과 직접 마찰접촉되기 때문에 도료가 쉽게 벗겨져 운전자가 방지턱의 식별이 불가하여 위험요소가 되고 있으며, 시인성이 급격히 떨어져 안전사고의 위험도 높았다.
또한, 기존 과속방지턱은 배수처리가 안되어 있어 도로가 수막을 형성하여 차량 등의 미끄러짐을 유발하므로 사고 위험성이 높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기존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던 과속방지턱을 요철형태로 구성하되 배수성을 높이고, 시인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의 위험도를 낮춤은 물론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과속 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수명단축도 막을 수 있도록 한 차량 과속방지턱을 제공함에 그 주된 해결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되어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는 형태의 차량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다수의 단위 블록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단위 블록은, 상면에 돌출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하 단차를 갖는 제1,2돌출부와; 상기 단위 블록의 측면 및 상면과, 상기 제1,2돌출부 사이에 요입형성되는 중앙홈과; 상기 단위 블록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모서리홈과; 상기 중앙홈과 중앙홈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모서리홈과 모서리홈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과; 상기 단위 블록들에 의해 조합된 과속방지턱의 양단에 밀착고정되어 단위 블록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과속방지턱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과속방지턱이 설치되는 지면에는 모래층 또는 13mm 이하의 자갈 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을 두어 배수를 촉진하는 배수유도층이 더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배수유도층이 형성되는 바닥면에는 배수유도층의 침하와 유실 방지를 위해 부직포가 더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단차는 최대 10mm 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돌출부 중 가장 높이 돌출된 돌출부와 지면과의 단차는 최대 20mm 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단위 블록의 상면인 상기 제1,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중앙홈에는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 야광, 축광도료 중 하나가 띠 형태로 도색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마감블록의 일측에는 마감블록과 동일 높이로 아스콘을 통해 지면 상에 1단 및 2단 포장된 1,2단 포장재가 더 구비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철 형태의 방지턱을 가지고 있어 식별용 도료 중 일부는 차륜과 직접 접촉되지 않아 쉽게 벗겨지지 않으므로 시인성이 향상되고, 배수공을 통한 배수성 향상으로 관리상 편의성이 증진되며, 지면과 방지턱 사이의 단차가 크지 않아 차량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적어 차량 훼손을 줄이고, 그에 따른 차량 수명 연장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의 예시도 및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을 구성하는 단위 블록과 그들의 조합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의 시공예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의 다양한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100)은 다수의 단위 블록(110)들이 모여 하나의 과속방지턱(100)을 이룬다.
이때, 상기 단위 블록(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외형을 이루되 차량 진행방향, 즉 화살표 방향으로 다수의 돌출부, 예컨대 제1돌출부(112)와 제2돌출부(114)가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돌출부(112)와 제2돌출부(114)는 각각 종방향으로 혹은 횡방향으로 서로 단차를 갖도록 구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돌출부(112)와 제2돌출부(114) 및 제1돌출부(112)들 끼리의 사이, 제2돌출부(114)들 끼리의 사이에는 중앙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중앙홈(116)은 상기 단위 블록(110)을 입체적으로 보았을 때 높이방향으로 전면 및 측면에 형성됨은 물론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면에도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중앙홈(116)은 그 단면이 다각형은 물론 원형도 될 수 있고, 또한 반원형도 될 수 있는데, 이는 빗물 등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단위 블록(110)의 각 모서리에는 모서리홈(118)이 형성되는데, 상기 모서리홈(118)도 중앙홈(116)과 마찬가지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술되는 배수공(210) 형성을 위해 필요하다.
물론, 상기 중앙홈(116)의 경우도 인접 배치되는 다른 단위 블록의 중앙홈과 맞물려 배수공(21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상기 단위 블록(110) 자체에는 별도로 배수공이 가공되지 않는다는 점이며, 배수공은 이들 단위 블록(110) 다수개를 연결 설치하였을 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112)와 제2돌출부(114)는 서로 높이차, 즉 단차를 갖는데 둘 사이의 단차가 10mm 이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차륜 통과시 요철 효과가 과대하지 않아 승차감은 저해하지 않으면서 차량의 과속 방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돌출부(112,114)는 반드시 도시된 것처럼 제1돌출부(112)가 제2돌출부(114) 보다 더 높게 돌출될 필요는 없으며, 양자간의 단차가 10mm 이내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서로 반대로 혹은 다른 방향(예. 가로 또는 세로 또는 대각선 등)으로 높이차를 갖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단차를 통해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차속을 줄일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핵심이다.
나아가, 상기 제1돌출부(112) 혹은 제2돌출부(114) 중 가장 높게 돌출되는 돌출부의 지면(E)과 높이차는 20mm 이내로 한정함으로써 차륜의 초기 접촉시 과충 격에 의한 타이어 펑크 등의 문제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위 블록(110)들이 연결 설치되는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상으로 배수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210)은 빗물 등을 지면(E)으로 배수토록 함으로써 물기를 제거하기 위함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단위 블록(110)의 상면에 형성된 중앙홈(116)을 상기 배수공(21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면 더욱 좋다.
한편, 상기 단위 블록(110)이 설치될 장소의 지면(E)에는 배수유도층(2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유도층(200)은 배수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래층 또는 13mm 이하의 자갈층 중 어느 하나의 층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충분한 배수와 시공성을 감안하여 높이는 20cm 이내로 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자갈은 배수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13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덧붙여, 상기 배수유도층(200)의 하면에는 모래층 또는 13mm 이하의 자갈층이 빗물에 의해 유실되어 블록이 침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부직포(220)를 깔아야 한다.
또한, 시인성 향상을 위해 상기 단위 블록(110)의 상면, 바람직하기로는 상면에 형성된 중앙홈(116) 상에는 발광도료, 야광도료 혹은 축광도료 중 어느 하나가 도 5 내지 도 9와 같이 띠 형태로 도색되면 더욱 좋다.
이 경우, 상기 도료는 요입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해 단차가 낮은 중앙홈(116) 속에 빛이 조사되었을 때 난반사되면서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단위 블록(110)의 조합은 색상을 달리하거나 혹은 조합 방식을 다양하게 하여 도 5 내지 도 9와 같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더 다양한 배열 방식을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위 블록(110)을 포함한 과속방지턱(100)은 콘크리트를 성형하여서 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100)은 도 4에서와 같이, 양단에 마감블록(230)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과속방지턱(100)을 구성하는 단위 블록(110)들이 쉽게 유동되지 않고 견고히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 진출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상기 단위 블록(110)들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블록(230)의 상면은 과속방지턱(100)과 대응되는 형상을 유지하면 더욱 좋고, 마감블록(230)의 일측에는 포장재를 1,2단에 걸쳐 포장함으로써 차량에 의해 가해진 하중을 최대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춤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포장재는 1단포장재(240)와, 그 위에 포장되는 제2단포장재(250)로 구성하되, 아스콘 재질로 구현함이 바람직하고, 마감블록(230)과 마찬가지로 상기 배수유도층(200)으로부터 단위 블록(110)의 상단까지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차량 과속방지턱(100)이 설치되어야 할 장소에 도로의 폭에 맞추어 지면(E)에 배수유도층(200) 형성을 위한 흙파기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흙파기 완료된 부위에 13mm 이하의 자갈 또는 모래로 이루어진 층을 일정두께, 바람직하기로는 20cm의 두께로 채워 넣고 다져 배수유도층(200)을 형성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하였듯이 배수유도층(200)의 침하나 유실을 막기 위해 바닥면에 부직포(220)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단위 블록(110)을 배수유도층(200) 상부에 조합 설치하여 원하는 크기의 과속방지턱(10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과속방지턱(100)의 양단은 마감블록(230)으로 고정지지되게 되는데, 이 마감블록(230)은 단위 블록(110)이 설치되기 전에 먼저 콘크리트 몰탈로 타설되어 설치된 상태이며, 이들 마감블록(230)의 일측을 지면에 포장된 1,2단의 포장재(240,250)로 마감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턱(100)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마감블록(230)는 반드시 콘크리트 몰탈로 고정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고정방식으로 견고히 고정되어 마감블록(230)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정도이면 족하다.
이때, 최종적으로 상기 과속방지턱(100)의 제1돌출부(112)와 지면(E)과의 단차를 20mm 이내로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이 원하는 과속방지턱(100)을 완성할 수 있 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의 예시도 및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을 구성하는 단위 블록과 그들의 조합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의 시공예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과속방지턱의 다양한 구현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과속방지턱 110....단위 블록
112....제1돌출부 114....제2돌출부
116....중앙홈 118....모서리홈
200....배수유도층 210....배수공
220....부직포 230....마감블록
240....1단 포장재 250....2단 포장재

Claims (7)

  1.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되어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는 형태의 차량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다수의 단위 블록들이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단위 블록은, 상면에 돌출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상하 단차를 갖는 제1,2돌출부와;
    상기 단위 블록의 측면 및 상면과, 상기 제1,2돌출부 사이에 요입형성되는 중앙홈과;
    상기 단위 블록의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모서리홈과;
    상기 중앙홈과 중앙홈이 만나는 지점과, 상기 모서리홈과 모서리홈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과;
    상기 단위 블록들에 의해 조합된 과속방지턱의 양단에 밀착고정되어 단위 블록들의 유동을 방지하는 마감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과속방지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이 설치되는 지면에는 모래층 또는 13mm 이하의 자갈층 중 어느 하나의 층을 두어 배수를 촉진하는 배수유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과속방지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층이 형성되는 바닥면에는 배수유도층의 침하와 유실 방지를 위해 부직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과속방지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단차는 최대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과속방지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돌출부 중 가장 높이 돌출된 돌출부와 지면과의 단차는 최대 2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과속방지턱.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 블록의 상면인 상기 제1,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중앙홈에는 시인성 향상을 위한 발광, 야광, 축광도료 중 하나가 띠 형태로 도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과속방지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블록의 일측에는 마감블록과 동일 높이로 아스콘을 통해 지면 상에 1단 및 2단 포장된 1,2단 포장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과속방지턱.
KR1020090108651A 2009-11-11 2009-11-11 차량 과속방지턱 KR101075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51A KR101075405B1 (ko) 2009-11-11 2009-11-11 차량 과속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651A KR101075405B1 (ko) 2009-11-11 2009-11-11 차량 과속방지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56A KR20110051856A (ko) 2011-05-18
KR101075405B1 true KR101075405B1 (ko) 2011-10-24

Family

ID=44362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651A KR101075405B1 (ko) 2009-11-11 2009-11-11 차량 과속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1697A (zh) * 2020-10-20 2021-01-29 于建锤 一种智能流变态可调式减速带
KR102508397B1 (ko) * 2022-08-31 2023-03-09 디에스산업 주식회사 과속방지턱 시설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451Y1 (ko) 2003-05-27 2003-08-25 차병국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451Y1 (ko) 2003-05-27 2003-08-25 차병국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56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1304A (zh) 一种适用于宽基载重汽车的雪地拖轮轮胎
KR101075405B1 (ko) 차량 과속방지턱
KR101078600B1 (ko)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CA2795485A1 (en) Curbstone and stop for bus traffic
KR101410822B1 (ko) 공기입 타이어
CN205149414U (zh) 一种轮胎
CN207388767U (zh) 一种轮胎
CN103911932B (zh) 视觉障碍者用诱导板的保护垫
CN106183647B (zh) 冰雪路面轿车轮胎
CN204172615U (zh) 用于轮胎防滑的橡胶垫片
CN205112876U (zh) 雪地轮胎
CN203096903U (zh) 一体式线性排水沟
CN107090759A (zh) 两级路坡沟构件及两级路坡沟结构
CN103046479A (zh) 一体式线性排水沟
KR100662543B1 (ko) 버스전용차로
KR20130047094A (ko) 과속방지 도로블록
KR20150117134A (ko) 주차장의 t자형 식생 구조
CN205149413U (zh) 一种轮胎
KR200416781Y1 (ko) 우천시 및 야간에 차선의 식별력이 뛰어난 포장도로의 구조
KR20090035865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CN214695753U (zh) 一种道路管井及其周围维修和升降井时用的保护盖
CN205202615U (zh) 一种防滑高操控性轮胎
CN210436936U (zh) 一种抓地力强的子午线轮胎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189319Y1 (ko) 과속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