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4451Y1 -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Google Patents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4451Y1 KR200324451Y1 KR20-2003-0016522U KR20030016522U KR200324451Y1 KR 200324451 Y1 KR200324451 Y1 KR 200324451Y1 KR 20030016522 U KR20030016522 U KR 20030016522U KR 200324451 Y1 KR200324451 Y1 KR 2003244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plate
- weight
- vehicle
- polyol
- compoun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차량이 그 상부면 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서행을 유도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으로서, 상기 안전판은 소정 폭 및 높이를 가지며, 그 상부면에는 다수의 선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 안전판은, 또한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 10 ~ 30 중량%; (b)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 30 ~ 50 중량%; (c)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와 상기 제2 폴리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의 부가반응을 촉진하는 촉매화합물 0.05 ~ 0.5 중량%; (d) 입경 5 ~ 20㎛의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한 충전제 20 ~ 50 중량%; (e) 가소제 1 ~ 5 중량%; 및 (f) 상기 부가반응이 조기에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0.05 ~ 0.2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총하이드록실기의 몰비가 0.65 ~ 1.3인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은 시공, 시공변경 및 보수가 매우 간단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차량 및 보행자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거의 절단되지 않아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으로 연출할 수 있으며 간단한 제조설비로 제조가능한 폴리우레탄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에 관한 것이다.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이하 "서행 안전판"으로 칭함)은 과속차량으로 인하여 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횡단보도, 급커브길, 어린이 보호구역, 주택가 골목길 및 아파트 단지내 등과 같이 차량 서행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차량서행을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목적으로 종래 조립식 과속 방지턱, 아스콘 과속 방지턱이 제조시공 설치되고 있다. 상기 조립식 과속 방지턱은 규격제품으로 일정하나 블럭형 조립식이어서 현장변화에 따른 변경시공이 어려우며, 내충격성이 불량하여 지속적으로 차량이 통과하는 경우에는 절단 등의 파손이 용이하여 수명이 짧고, 제품설치시 노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높아서 진행중인 차량에 주는 충격이 심하여 차량 탑승자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주행중 차량의 차종별 규격에 따라 돌출부에 차량하부가 접촉하여 차량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스콘 과속 방지턱은 규격이 불규칙하고 점성이 높아 하절기 온도변화에 쉽게 변형이 발생되며 파손부분에 대한 부분보수가 어려우며 역시 지상돌출이 심하여 주행중인 차량의 차종규격에 따라 돌출부에 차량하부에 접촉이 발생하여 차량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설치시공이 간단하고, 부분보수 및 현장변화에 따른 시공변경이 용이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차량하중에 의하여 파손되기 어렵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으며, 제품설치시 노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높지 않아서 차량 탑승자 안전사고의 위험 및 차량하부와의 접촉에 의한 차량 손상의 염려가 감소될 수 있는 서행 안전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에 시공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차량이 그 상부면 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서행을 유도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으로서,
상기 안전판은 소정 폭 및 높이를 가지며, 그 상부면에는 다수의 선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판은 또한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 10 ~ 30 중량%;
(b)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 30 ~ 50 중량%;
(c)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와 상기 제2 폴리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의 부가반응을 촉진하는 촉매화합물 0.05 ~ 0.5 중량%;
(d) 입경 5 ~ 20㎛의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한 충전제 20 ~ 50 중량%;
(e) 가소제 1 ~ 5 중량%; 및
(f) 상기 부가반응이 조기에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0.05 ~ 0.2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총하이드록실기의 몰비가 0.65 ~ 1.3인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형 돌출부는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1 ~ 2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 내지 5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형 돌출부중에서 차량과 처음 만나는 첫번째 돌출부의 단면형상은 곡선형 또는 삼각형이며, 단면에서의 경사각이 10도 내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관능성 사슬연장제 5 ~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사슬연장제는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1,2-디메틸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4,4'-(1,3-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4,4'-(1,4-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펜타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관능기 3 ~ 5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C3 ~ C1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또는 프탈산과 C2 ~ C10의 지방족 디올이 탈수축합되어 생성된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분자량이 200 ~ 4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블랙, 점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촉매화합물은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테트라 n-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 에틸렌 티타네이트,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 레드 옥토에이트(lead octoate), 트리에틸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디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6-디메틸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4-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비스[2-{4-(2,6-디메틸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디에틸렌 트리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파라핀 오일, 아로마틱 오일, 캠퍼,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 디부틸 세바세이트, 디옥틸 세바세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2-에틸헥실 애시드 포스페이트(2-ethylhexyl acid phosphate)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크 포장이 제거된 구역을 본 고안에 따른 블록형상의 안전판을 다수개 사용하여 덮도록 조립식으로 설치하고 상기 구역의 주변부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또는 폴리우레탄 조성물로 마감처리하면 설치시공이 종료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은 시공이 대단히 간단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은 블록과 같이 규격품으로 되어 있고 그 규격품의 치수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부분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현장변화에 따른 시공변경도 용이하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의 안전판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차량하중에 의하여 파손되기 어렵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으며, 제품설치시 노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높지 않아서 차량 탑승자 안전사고의 위험 및 차량하부와의 접촉에 의한 차량 손상의 염려가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과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이를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10)은 전체적으로 판상의 블록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안전판(10)은 소정 폭, 길이 및 높이를 갖는 판상의 몸통(12) 및 그 상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선형 돌출부(14)를 구비한다.
상기 안전판(10)의 폭, 길이 및 높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조 및 시공의 편의를 고려할 때, 폭은 30 내지 50cm, 길이는 50 내지 100cm, 높이는 1 내지 8cm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수의 선형 돌출부는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 제조용이성 및 통과차량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선형 돌출부의 높이는 1 ~ 20mm인 것이 차량에 과도한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차량 서행을 유도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 선형 돌출부상에는 홈(16)이 구비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기 홈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안전판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형 돌출부중에서 차량과 처음 만나는 첫번째 돌출부(도 2의 18)의 단면형상은 삼각형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완만하게 상부로 볼록한 곡선일 수도 있다. 상기 첫번째 돌출부의 단면형상에 있어서 경사각 α는 10도 내지 45도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 α가 10도 미만이면 서행유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45도를 초과하면 통과차량에 주는 충격이 지나치게 과도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에 시공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10)은 아스콘 등이 제거된 노면(24)에 조립식으로 상기 노면(24)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안전판(10)과 안전판(10) 사이는 폴리우레탄(22)을 채워 넣어 서로 접착시킨다. 안전판으로 덮힌 구역의 주변부는 새로운 아스콘, 콘크리트, 폴리우레탄 조성물 등으로 마감처리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은 아스콘 포장, 콘크리트 포장 등을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 예를 들면 고속회전 톱니 등으로 잘라 제거하여 형성된 노면에 조립식으로 깔아 시공하고 그 주변부를 마감처리하면 되므로 시공이 대단히 간편하고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은 블록과 같이 규격품으로 되어 있으므로 파손된 부분만을 빼어 내어 제거하고 그 부분에 새로운 안전판을 끼워 넣으면 되므로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안전판의 치수 및 형상을 다양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현장변화에 따른 시공변경도 용이하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차량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10)으로 시공된 구역을 통과할 때 상기 안전판(10)의 돌출부로 인하여 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감속하게 되어 차량의 서행이 유도된다. 본 고안의 안전판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으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차량하중 및 기타 원인에 의한 충격에 의한 파손에 견디는 성질이 우수하여 수명특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의 재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은 치수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충격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고분자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분자 재료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은 기본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이 주형틀내에서 경화되어 제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안전판은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 10 ~ 30 중량% (b)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 30 ~ 50 중량% (c)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와 상기 제2 폴리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의 부가반응을 촉진하는 촉매화합물 0.05 ~ 0.5 중량% (d) 입경 5 ~ 20㎛의 충전제 20 ~ 50 중량% (e) 가소제 1 ~ 5 중량% 및 (f) 상기 부가반응이 조기에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0.05 ~ 0.2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주형틀에 넣고 경화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총하이드록실기의 몰비가 0.65 ~ 1.3이 되도록 조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고안자는 여러 번의 반복실험을 통하여 상기 몰비가 0.65 미만이면 경화속도가 늦고 경화후의 안전판의 기계적 강도가 낮으며 치수안정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몰비가 1.3을 초과하면 얻어진 안전판이 취성(brittle)을 띠게 되어 내충격성이 불량해져서 상술한 종래의 조립식 과속 방지턱의 경우와 같이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은 이관능성 사슬연장제 5 ~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경화된 안전판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한데, 상기 사슬연장제로서는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1,2-디메틸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4,4'-(1,3-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4,4'-(1,4-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펜타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관능기 3 ~ 5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C3 ~ C1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프탈산과 C2 ~ C10의 지방족 디올이 탈수축합되어 생성된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는데, 통상적으로 분자량이 200 ~ 4000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이외에도 아디프산, 프탈산 등의 이염기산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4-부탄디올 등의 글리콜의 탈수 축중합 생성물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생성시키는데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공지의 많은 종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로서는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상기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인 우레탄 프리폴리머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제1 폴리올 화합물을 40 ~ 12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3 ~ 10시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말단기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되려면,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상기 제1 폴리올 화합물의 혼합비는 상기 제1 폴리올 화합물의 수산기 1몰당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는 1.5 ~ 5몰, 바람직하게는 2 ~ 3몰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안전판은 주형틀내에서 상기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상기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등을 생성하면서 경화되어 제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경화반응은 트리에틸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헥사메틸렌 디아민 등의 아민계 화합물;디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6-디메틸모폴리노) 디에틸 에테르, 비스[2-(4-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비스[2-{4-(2,6-디메틸모폴리노)}프로필] 에테르 등의 모폴린계 화합물;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테트라 n-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 에틸렌 티타네이트, 스태너스 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 레드 옥토에이트(lead octoate) 등의 금속계 촉매에 의하여 촉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안전판은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블랙, 점토 등의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는 이에 의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충전제의 입경은 5 ~ 20㎛으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입경이 5㎛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20㎛을 초과하면 안전판의 표면이 거칠어 지고 신장율, 내충격성,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을 제조하기 위한 최종 조성물은 디부틸 프탈레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파라핀 오일, 아로마틱 오일, 캠퍼, 디-이소-옥틸 아디페이트, 디부틸 세바세이트, 디옥틸 세바세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옥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톨릴 포스페이트 등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여 조성물의 흐름성이 향상되어 주형틀에서 셀프-레벨링(self-levelling) 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파라핀 오일 등은 이외에 소포작용도 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안전판을 제조하기 위한 최종 조성물은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제2 폴리올 화합물과의 조기경화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를 적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고안에서는 2-에틸헥실 애시드 포스페이트가 사용된다.
상기 안정제는 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제2 폴리올 화합물을 혼합할 때 바람직하지 않은 조기 경화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데, 그 혼합량이 상기한 하한 미만이면 안정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상기 안정제의 양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주형틀내에서의 경화반응 시간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주형틀내로 주입되는 최종 조성물은 또한 공지의 다른 첨가제, 즉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수분이 경화반응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발포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과 같은 소포제, 페놀계의 산화방지제, 히드록시 벤조페논 또는 히드록시 벤조트리아졸계의 자외선흡수제, 계면활성제, 염료 또는 안료와 같은 착색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망하는 형상의 주형틀을 깨끗이 청소한 후 표면에 이형제을 도포하고 40 ~ 70℃ 정도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조성물과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조성물을 적정량 계량하여 혼합기에 넣은 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60 ~ 80초 동안 교반한후 위의 준비된 주형틀에 주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10분 ~ 40분 정도 경화하고 탈형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이 얻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판은 시공하고자 하는 도로의 폭을 감안하여 폭은 30 내지 50cm, 길이는 50 내지 100cm, 높이는 1 내지 8cm의 범위에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자량 4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국폴리올사, GP-400) 20중량부, 분자량 1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국폴리올사, PP-1000) 40중량부, 1,3-부탄디올(니폰카세이사) 1.5중량부,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송원산업, TL-100) 0.05중량부, 실리콘(미국 OSI Specialties사, SAG-100) 0.4중량부, 탈크(왕표산업사, TC-2000) 29.5중량부, 디부틸 프탈레이트(애경화학사, DBP) 4중량부, 유동 파라핀 오일 2중량부, 황색 착색제 0.5중량%, 4,4'-(1,3-페닐렌이소프로필리덴)비스아닐린 2중량%를 배합조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고속교반기로 3시간 교반하여 입도가 20㎛ 이하의 황색(JIAJOYELLOW)으로 착색된 착색액을 얻었다.
이와 별도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다우케미칼사, I-125MK) 40중량부를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한 반응기에 투입하고 30rpm으로 교반하면서 분자량 2000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한국폴리올사, PP-2000) 45중량부, 디부틸 프탈레이트(애경화학사, DBP) 14중량부를 투입하여 40℃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이어서, 2-에틸헥실 애시드 포스페이트 0.1 중량부, 폴리알킬렌옥시디메틸실록산(독일 BYK 케미칼사, BYK-060) 1중량부를 더 투입하고 온도를 80℃로 승온한 후 4시간 더 반응시켜 무색투명의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얻었다.
계속하여 상기 착색액 50중량부와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 50중량부를 계량하여 혼합기에 넣은 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교반기로 60 ~ 80초 동안 교반하여 조심스럽게 폭 30 cm, 길이 100cm, 높이 5.5cm, 상부 돌출부 높이 5mm, 경사각 α가 15도(단면형상은 삼각형)인 주형틀에 부었다. 약 50분 경과후 경화가 완료되었으므로 탈형하여 안전판을 얻었다.
실시예 2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40중량부 대신에 변형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다우케미칼사, PAPI-135K) 3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 25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얻은 착색액 75중량부를 계량하여 혼합기에 넣은 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교반기로 60 ~ 80초 동안 교반하여 조심스럽게 상기 형상의 주형틀에 붓었다. 약 30분 경과후 경화가 완료되었으므로 탈형하여 안전판을 얻었다. 이 경우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안전판을 주형틀로부터 약 20분 빨리 탈형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분자량 4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국폴리올사, GP-400) 15중량부, 분자량3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한국폴리올사, GP-3000) 45중량부, 1,3-부탄디올(니폰카세이사) 1.5중량부,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송원산업사, TL-100) 0.05중량부, 실리콘(미국 OSI Specialties사, SAG-100) 0.4중량부, 탈크(왕표산업사, TC-2000) 33중량부, 디부틸 프탈레이트(애경화학사, DBP) 3중량부, 유동 파라핀 오일 2중량부, 초록색 착색제(CyaneGreen) 0.5중량부를 배합조에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고속교반기로 3시간 교반하여 입도가 20㎛ 이하의 초록색으로 착색된 착색액을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에서 얻은 우레탄 프리폴리머 40중량부와 상기 착색액 60 중량부를 계량하여 혼합기에 넣은 후 기포가 혼입되지 않도록 교반기로 60 ~ 80초 동안 교반하여 조심스럽게 상기 주형틀에 붓었다. 약 80 ~ 90분 경과후 경화가 완료되었으므로 탈형하여 안전판을 얻었다. 얻어진 안전판은 실시예 1의 경우에 비하여 내충격성은 더 우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은 시공, 시공변경 및 보수가 대단히 간단하며,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차량 및 보행자 하중에 의한 충격에 의하여 거의 절단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안전판은 여러가지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조립식 과속방지턱에 비하여 도시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특수한 고가의 설비투자없이도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시공현장으로의 운반과정중에 미세한 휨 등의 변형이 생겨도 도로에 시공후 깨짐이 없이 지면에 잘 밀착되는 장점도 있고, 또한 제품설치시 노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높지 않아서 차량 탑승자 안전사고의 위험및 차량하부와의 접촉에 의한 차량 손상의 염려가 감소될 수 있다.
Claims (7)
- 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차량이 그 상부면 상으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서행을 유도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으로서,상기 안전판은 소정 폭 및 높이를 가지며, 그 상부면에는 다수의 선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도 안전판은, 또한(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제1 폴리올 화합물이 반응하여 생성된 양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우레탄 프리폴리머 10 ~ 30 중량%;(b) 양말단이 하이드록실기인 제2 폴리올 화합물 30 ~ 50 중량%;(c) 상기 우레탄 프리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와 상기 제2 폴리올 화합물의 하이드록실기의 부가반응을 촉진하는 촉매화합물 0.05 ~ 0.5 중량%;(d) 입경 5 ~ 20㎛의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한 충전제 20 ~ 50 중량%;(e) 가소제 1 ~ 5 중량%; 및(f) 상기 부가반응이 조기에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0.05 ~ 0.2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기/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의 총하이드록실기의 몰비가 0.65 ~ 1.3인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형 돌출부는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1 ~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형 돌출부중에서 차량과 처음 만나는 첫번째 돌출부의 단면형상은 곡선형 또는 삼각형이며, 단면에서의 경사각이 10도 내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관능성 사슬연장제 5 ~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펜타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관능기 3 ~ 5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C3 ~ C1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또는 프탈산과 C2 ~ C10의 지방족 디올이 탈수축합되어 생성된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분자량이 200 ~ 4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5-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탈크,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블랙, 점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6522U KR200324451Y1 (ko) | 2003-05-27 | 2003-05-27 |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6522U KR200324451Y1 (ko) | 2003-05-27 | 2003-05-27 |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4451Y1 true KR200324451Y1 (ko) | 2003-08-25 |
Family
ID=4941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6522U KR200324451Y1 (ko) | 2003-05-27 | 2003-05-27 |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445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6135B1 (ko) | 2005-09-15 | 2006-05-03 |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단지내 도로 상에 설치되는 과속방지구간 및설치방법 |
KR101075405B1 (ko) | 2009-11-11 | 2011-10-24 | 문희정 | 차량 과속방지턱 |
KR101740267B1 (ko) * | 2016-01-06 | 2017-05-29 | (주)씨큐넷 |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
-
2003
- 2003-05-27 KR KR20-2003-0016522U patent/KR20032445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6135B1 (ko) | 2005-09-15 | 2006-05-03 |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단지내 도로 상에 설치되는 과속방지구간 및설치방법 |
KR101075405B1 (ko) | 2009-11-11 | 2011-10-24 | 문희정 | 차량 과속방지턱 |
KR101740267B1 (ko) * | 2016-01-06 | 2017-05-29 | (주)씨큐넷 |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1963B1 (ko) | 도상 및 도상의 제조 방법 | |
ES2660160T3 (es) | Mezclas de isocianatos basadas en 2,2'-MDI y su preparación así como su uso | |
CN101516954B (zh) | 软质聚氨酯泡沫塑料的制造方法 | |
KR101788339B1 (ko) | 이소시아네이트 종결된 프리폴리머의 촉진된 경화 | |
RU2442800C2 (ru) | Литые эластомеры,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 |
JP5733812B2 (ja) | コンクリート片の剥落防止工法及び剥落防止構造 | |
JP5680629B2 (ja) | 塑性変形可能な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と接着剤と被覆材料とからなる複合部品 | |
CN102239199A (zh) | 提供快速起步时间的用于安装车窗的粘合剂 | |
KR200324451Y1 (ko) | 차량 서행 유도 안전판 | |
KR101471446B1 (ko) | 친환경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 |
ES2406688T3 (es) | Materiales de espuma de poliuretano integral que contienen dialquil éster de ácido ciclohexanodicarboxílico como agente de desmoldeo interior | |
KR20170069531A (ko) |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의 노면 표시용 조성물 | |
KR100684162B1 (ko) | 우레탄 시트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우레탄 시트의시공방법 | |
CN101469052A (zh) | 轿车用聚氨酯缓冲止位块的制备方法 | |
KR101585574B1 (ko) | 친환경 다기능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칩의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다기능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칩 | |
US20070026142A1 (en) | One-step process for rapid structure repair | |
JP5666398B2 (ja) | 弾性舗装構造 | |
JP6691772B2 (ja) | ポリウレタン弾性舗装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0441076Y1 (ko) | 건강보도블럭 | |
JP3149413B1 (ja) | 常温硬化性舗装材 | |
EP3512818B1 (en) | Adhesion promoter coated particles for polymer concrete compositions | |
KR102381441B1 (ko) | 허니컴 구조를 가지는 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3780691B2 (ja) | 二液硬化型ウレタン組成物及びシーリング材 | |
KR20110131330A (ko) | 도로포장용 조성물 | |
JP2862300B2 (ja) | 弾性路面の舗装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