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600B1 -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600B1
KR101078600B1 KR1020100051904A KR20100051904A KR101078600B1 KR 101078600 B1 KR101078600 B1 KR 101078600B1 KR 1020100051904 A KR1020100051904 A KR 1020100051904A KR 20100051904 A KR20100051904 A KR 20100051904A KR 101078600 B1 KR101078600 B1 KR 10107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groove
slip
road surface
groov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화
Original Assignee
진형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형건설(주) filed Critical 진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00051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6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and f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노면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홈을 기존의 형상과는 달리 노면과 일정 경사와 깊이를 이루는 브이(V)형상으로 시공함으로써, 주행차량 하중에 의한 미끄럼 방지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원활한 배수기능 및 감속 경고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경사진 절삭 커터날을 구비한 그루빙(Grooving) 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에 대하여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미끄럼 방지홈(10a,10b,10c)을 형성하는데, 그 조성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깊이, 폭, 거리,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미끄럼 방지홈이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부는 모따기를 하거나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경우에는, 약 3∼15㎜의 깊이(D1), 약 3∼8㎜의 바닥 폭(W1_1), 약 4.2∼44㎜의 상부 폭(W1_2), 미끄럼 방지홈들(10a) 사이의 이격거리(S1)는 약 30∼120㎜로 설정한다. 배수홈의 경우에는, 약 10∼40㎜의 깊이(D2), 약 10∼35㎜의 바닥 폭(W2_1), 약 14∼131㎜의 상부 폭(W2_2), 미끄럼 방지홈들(10b) 사이의 이격거리(S2)는 약 15∼50㎜로 설정한다. 감속 경고홈의 경우에는, 약 5∼10㎜의 깊이(D3), 약 40∼90mm의 바닥 폭(W3_1), 약 56∼306㎜의 상부 폭(W3_2), 미끄럼 방지홈들(10c) 사이의 이격거리(S3)는 약 40㎝∼3m로 설정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홈들(10a,10b,10c)의 경사각(R)은 공히 1:0.2∼1:1.2로 설정한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Method for forming a non-slip groove on a road}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홈을 기존의 형상과는 달리 노면과 일정 경사와 깊이를 이루는 브이(V)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주행차량 하중에 의한 미끄럼 방지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원활한 배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서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되는 미끄럼 방지홈 시공방법, 즉 그루빙(Grooving)은 도로포장의 표면처리 공법으로서 도로의 포장면에 입체홈을 형성하여 타이어패턴과 같은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수막현상의 방지 및 배수성 향상, 마찰력 증가에 따른 미끄럼 방지, 결빙억제 및 주행안전성 향상과 소음감소대책을 위하여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루빙의 형성 방향으로는 주로 자동차의 진행방향인 종방향과 자동차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횡방향으로 나눌 수 있는데, 종방향 그루빙의 경우에는 횡미끄럼에 효과가 있으므로 곡선구간에는 적합하나 도로면의 횡단배수를 방해하고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의 핸들조작을 불편하게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횡방향 그루빙의 경우에는 제동 정지거리의 단축, 수막 현상 억제, 배수 경로제공 등의 효과가 있으며, 급경사나 교차로 등에도 적합하다.
그루빙의 적용장소로는 도로의 교통조건에 따라 최소 마찰계수가 기준보다 작은 포장 노면구간, 고속주행도로나 교량 등의 진출입 램프구간과 같은 차량 이탈사고 위험성이 있는 곡선구간, 5%이상의 내리막 경사구간이 100미터 이상인 구간, 교차로나 횡단보도 등 제동거리 단축이 필요한 구간, 노면배수가 불량해 사고 위험성이 높으며 신속한 배수가 필요한 구간, 동계 결빙사고가 자주 발생 또는 우려되는 구간, 지형지물에 의해 항상 음지로 가려져 있는 구간, 고가도로 및 산간도로 등 조향성 향상이 요구되는 구간, 학교 앞, 급커브 위험구간 및 운전자의 경각심이 필요한 구간, 고속직선구간 중 졸음운전 가능성이 있는 구간, 주택가 급경사 지역 및 관광객이 많이 찾는 지역의 굴곡이 심한 지방국도 구간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78534935-pat0001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821235 호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상황에 따라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노면마찰계수가 낮은 구간, 배수성 향상이 필요한 구간, 접지력 향상이 필요한 구간 등 개별 상황에서 요구되는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제공하기 위해서 미끄럼 방지홈 시공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폭과 깊이의 미끄럼 방지홈을 시공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공방법에서는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과 직각으로 절삭하는 "" 형태로 노면 미끄럼 방지홈을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시공하는 미끄럼 방지홈의 치명적 약점은 포장층의 성분이 연성인 아스콘 포장의 경우에 차량의 접지하중에 의해 절삭면이 무너져 내려서 미끄럼 방지홈이 메워지는 등 쉽게 변경이 생겨 미끄럼 방지홈의 고유한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포장층의 성분이 강성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에는 차량의 접지하중에 의해 절삭 상단면에 응력이 집중되어 포장층이 탈락되는 등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미끄럼 방지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홈을 기존의 형상과는 달리 노면과 일정 경사와 깊이를 이루는 브이(V)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주행차량 하중에 의한 미끄럼 방지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원활한 배수기능과 감속 경고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경사진 절삭 커터날을 구비한 그루빙(Grooving) 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에 대하여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되,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깊이는 약 3∼15㎜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바닥 폭은 약 3∼8㎜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상부 폭은 약 4.2∼44㎜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경사각은 약 1:0.2∼1:1.2로 설정하고, 미끄럼 방지홈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약 30∼120㎜로 설정하여 절삭하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배수홈 기능이 강조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경사진 절삭 커터날을 구비한 그루빙 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에 대하여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되,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깊이는 약 10∼40㎜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바닥 폭은 약 10∼35㎜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상부 폭은 약 14∼131㎜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경사각은 약 1:0.2∼1:1.2로 설정하고, 미끄럼 방지홈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약 15∼50㎜로 설정하여 절삭하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감속 경고홈 기능이 강조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경사진 절삭 커터날을 구비한 그루빙 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에 대하여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미끄럼 방지홈을 형성하되,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깊이는 약 5∼10㎜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바닥 폭은 약 40∼90㎜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상부 폭은 약 56∼306㎜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경사각은 약 1:0.2∼1:1.2로 설정하고, 미끄럼 방지홈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약 40㎝∼3m로 설정하여 절삭하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미끄럼 방지홈이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부는 모따기를 하거나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포장층을 강화하기 위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절삭면에 경화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절삭면에 슬래그를 살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미끄럼 방지홈을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노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절삭하지 않고 일정 경사와 깊이로 절삭하여 대략적으로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이때 미끄럼 방지홈의 원하는 기능에 부합하도록 구체적인 수치를 달리한다. 또한, 포장층의 성분이 연성인 아스콘 포장의 경우에는 절삭면에 경화제를 도포하여 포장층을 강화하여 절삭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슬래그 등을 살포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포장층의 성분이 강성인 콘크리트 포장의 경우에도 응력이 절삭 상단면에 집중되지 않고 경사면 구간으로 분산되게 되어 포장층이 탈락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홈은 기계로 시공하므로 작업능률이 우수하고, 노면마찰계수증대 및 미끄럼 저항증대, 급브레이크 사용 시에 타이어의 접지력 강화, 시인성 증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차로 및 횡단도로 등에 시공한 경우 우천 시에 노면배수를 촉진하고 신속하게 건조시킴으로써, 타이어와 노면의 접지면적을 줄이고 슬립사고의 원인이 되는 수막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절기에 노면상의 빙설형성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주행 시에 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음과 진동에 의해, 곡선도로의 이탈사고방지, 졸음운전 방지, 감속경고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한 미끄럼 방지홈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한 미끄럼 방지홈의 다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배수홈의 기능을 강화시킨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한 미끄럼 방지홈의 다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감속 경고홈의 기능을 강화시킨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Grooving) 장비용 절삭 커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노면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은 차량의 미끄럼 방지홈을 "
Figure 112010035413731-pat00001
"형상, 즉 직각으로 절삭하여 형성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노면에 대하여 일정 경사와 깊이로 절삭하여 "
Figure 112010035413731-pat00002
"자 형상, 즉 대략적으로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한 미끄럼 방지홈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하는 미끄럼 방지홈(10a)은 노면에 대하여 일정한 깊이, 바람직하게는 약 3∼15㎜의 깊이(D1)로 형성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홈(10a)의 바닥 폭(W1_1)은 약 3∼8㎜로 설정하고 상부 폭(W1_2)은 약 4.2∼44㎜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끄럼 방지홈(10a)의 기울기, 즉 경사각(R)은 1:0.2∼1:1.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홈들(10a) 사이의 이격거리(S1)는 약 30∼12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면에 형성하는 미끄럼 방지홈(10a)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면에 대하여 일정 경사와 깊이로 절삭하여 "
Figure 112010035413731-pat00003
"자 형상, 즉 대략적으로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홈(10a)이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홈 경계부(12)는 모따기를 하거나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에 사용하던 그루빙 장비는 노면과 수직으로 포장층을 절삭하므로 절삭 커터의 날이 수직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경사를 두어 절삭하게 되므로 절삭 커터날 또한 절삭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루빙(Grooving) 장비용 절삭 커터(20)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커터(20)는 종래의 절삭 커터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형성하고자 하는 미끄럼 방지홈(10a)의 경사각(R)에 대응하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홈(10a)의 절삭면에 경화제, 예를 들어 에폭시 등을 일정두께만큼 도포하여 포장층을 강화시킴으로써, 절삭면이 무너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슬래그 등을 살포하여 마찰력을 증강시킬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홈(10a)은 기계로 시공하므로 작업능률이 우수하고, 노면마찰계수증대 및 미끄럼 저항증대, 급브레이크 사용 시에 타이어의 접지력 강화, 시인성 증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한 미끄럼 방지홈의 다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배수홈의 기능을 강화시킨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하되 배수홈의 기능을 강화시킨 미끄럼 방지홈(10b)은 노면에 대하여 일정한 깊이, 바람직하게는 약 10∼40㎜의 깊이(D2)로 형성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홈(10b)의 바닥 폭(W2_1)은 약 10∼35㎜로 설정하고 상부 폭(W2_2)은 약 14∼131㎜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끄럼 방지홈(10b)의 기울기, 즉 경사각(R)은 위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1:0.2∼1:1.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홈들(10b) 사이의 이격거리(S2)는 약 15∼12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면에 형성하는 미끄럼 방지홈(10b)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면에 대하여 일정 경사와 깊이로 절삭하여 "
Figure 112010035413731-pat00004
"자 형상, 즉 대략적으로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홈(10b)이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홈 경계부(12)는 모따기를 하거나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홈(10b)의 절삭면에 경화제를 도포하여 포장층을 강화시킬 수 있고, 슬래그 등을 살포하여 마찰력을 증강시킬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홈(10b)은 기계로 시공하므로 작업능률이 우수하고, 노면마찰계수증대 및 미끄럼 저항증대, 급브레이크 사용 시에 타이어의 접지력 강화, 시인성 증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차로 및 횡단도로 등에 시공한 경우 우천 시의 젖은 노면에서 제동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우천 시에 노면배수를 촉진하고 신속하게 건조시킴으로써, 타이어와 노면의 접지면적을 줄이고 슬립사고의 원인이 되는 수막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절기에 노면상의 빙설형성을 억제하게 된다.
끝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한 미끄럼 방지홈의 다른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감속 경고홈의 기능을 강화시킨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노면에 형성하되 감속 경고홈의 기능을 강화시킨 미끄럼 방지홈(10c)은 노면에 대하여 일정한 깊이, 바람직하게는 약 5∼10㎜의 깊이(D3)로 형성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홈(10c)의 바닥 폭(W3_1)은 약 40∼80㎜로 설정하고 상부 폭(W3_2)은 약 56∼306㎜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끄럼 방지홈(10c)의 기울기, 즉 경사각(R)은 위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 예들에서와 동일하게 1:0.2∼1:1.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홈들(10c) 사이의 이격거리(S3)는 약 40㎝∼3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면에 형성하는 미끄럼 방지홈(10c)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면에 대하여 일정 경사와 깊이로 절삭하여 "
Figure 112010035413731-pat00005
"자 형상, 즉 대략적으로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홈(10c)이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홈 경계부(12)는 모따기를 하거나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홈(10c)의 절삭면에 경화제를 도포하여 포장층을 강화시킬 수 있고, 슬래그 등을 살포하여 마찰력을 증강시킬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홈(10c)은 기계로 시공하므로 작업능률이 우수하고, 노면마찰계수증대 및 미끄럼 저항증대, 급브레이크 사용 시에 타이어의 접지력 강화, 직진 안정성 향상, 시인성 증대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절삭을 하면 차량의 접지면이 넓어져 마찰력이 증대되어 차량의 제동거리가 현저히 짧아지게 되므로 방지홈의 간격을 넓게 하여도 동일한 제동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시에 타이어로부터 전달되는 음과 진동에 의해, 졸음운전 방지, 감속경고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교차로 및 횡단도로 등에 시공하는 경우에는 우천 시의 젖은 노면에서 제동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노면에 형성하는 미끄럼 방지홈들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면에 대하여 일정 경사와 깊이로 절삭하여 형성하는데, 이때 미끄럼 방지홈들의 바닥면은 대략적인 브이(V)자 형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체를 굴곡지게 형성하거나 바닥면의 좌우측 일부를 모따기 하여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a,10b,10c : 미끄럼 방지홈 D1,D2,D3 : 깊이
S1,S2,S3 : 거리 W1_1,W2_1,W3_1 : 바닥 폭
W1_2,W2_2,W3_2 : 상부 폭 20 : 절삭 커터날

Claims (6)

  1. 경사진 절삭 커터날(20)을 구비한 그루빙(Grooving) 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에 대하여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미끄럼 방지홈(10a)을 형성하되,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홈(10a)의 깊이(D1)는 3∼15㎜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a)의 바닥 폭(W1_1)은 3∼8㎜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a)의 상부 폭(W1_2)은 4.2∼44㎜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a)의 경사각(R)은 1:0.2∼1:1.2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들(10a) 사이의 이격거리(S1)는 30∼120㎜로 설정하여 절삭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절삭면에 경화제를 도포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이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부에 모따기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2. 경사진 절삭 커터날(20)을 구비한 그루빙(Grooving) 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에 대하여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미끄럼 방지홈(10b)을 형성하되,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홈(10b)의 깊이(D2)는 10∼40㎜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b)의 바닥 폭(W2_1)은 10∼35㎜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b)의 상부 폭(W2_2)은 14∼131㎜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b)의 경사각(R)은 1:0.2∼1:1.2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들(10b) 사이의 이격거리(S2)는 15∼50㎜로 설정하여 절삭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절삭면에 경화제를 도포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이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부에 모따기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3. 경사진 절삭 커터날(20)을 구비한 그루빙(Grooving) 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에 대하여 브이(V)자 형상을 이루도록 미끄럼 방지홈(10c)을 형성하되,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홈(10c)의 깊이(D3)는 5∼10㎜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c)의 바닥 폭(W3_1)은 40∼90㎜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c)의 상부 폭(W3_2)은 56∼306㎜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10c)의 경사각(R)은 1:0.2∼1:1.2로 설정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들(10c) 사이의 이격거리(S3)는 40㎝∼3m로 설정하여 절삭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홈의 절삭면에 경화제를 도포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홈이 노면과 경계를 이루는 경계부에 모따기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51904A 2010-06-01 2010-06-01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KR101078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904A KR101078600B1 (ko) 2010-06-01 2010-06-01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904A KR101078600B1 (ko) 2010-06-01 2010-06-01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600B1 true KR101078600B1 (ko) 2011-11-01

Family

ID=4539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904A KR101078600B1 (ko) 2010-06-01 2010-06-01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60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41A1 (en) * 2014-03-28 2015-10-01 Jinhyung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n anti-slip groove on roadway by using the non-cutting technology
KR101965514B1 (ko) * 2017-12-20 2019-04-03 문성철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
KR102017432B1 (ko) * 2018-12-07 2019-09-02 문성철 미끄럼방지 기능이 향상된 그루브
KR102062555B1 (ko) * 2019-06-14 2020-02-11 한재각 도로 노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그루빙 시공 방법
KR102076099B1 (ko) * 2019-03-21 2020-02-11 김용승 도로의 그루빙 구조체
KR20210124781A (ko) 2020-04-07 2021-10-15 성보포장건설(주) 노면 그루빙
KR102648114B1 (ko) 2023-07-13 2024-03-20 청호이앤씨(주) 원더링 저감을 위한 그루빙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108U (ko) * 1985-05-27 1986-12-01
KR100681878B1 (ko) * 2006-08-07 2007-02-12 이홍식 어린이 보호구역 도로의 그루브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108U (ko) * 1985-05-27 1986-12-01
KR100681878B1 (ko) * 2006-08-07 2007-02-12 이홍식 어린이 보호구역 도로의 그루브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41A1 (en) * 2014-03-28 2015-10-01 Jinhyung Constructi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an anti-slip groove on roadway by using the non-cutting technology
KR101965514B1 (ko) * 2017-12-20 2019-04-03 문성철 미끄럼 방지용 그루브
KR102017432B1 (ko) * 2018-12-07 2019-09-02 문성철 미끄럼방지 기능이 향상된 그루브
KR102076099B1 (ko) * 2019-03-21 2020-02-11 김용승 도로의 그루빙 구조체
KR102062555B1 (ko) * 2019-06-14 2020-02-11 한재각 도로 노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그루빙 시공 방법
KR20210124781A (ko) 2020-04-07 2021-10-15 성보포장건설(주) 노면 그루빙
KR102648114B1 (ko) 2023-07-13 2024-03-20 청호이앤씨(주) 원더링 저감을 위한 그루빙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600B1 (ko) 미끄럼 방지홈의 시공방법
KR101079727B1 (ko)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그루빙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81878B1 (ko) 어린이 보호구역 도로의 그루브 시공방법
KR100989641B1 (ko) 그루브
KR20090029322A (ko) 소음 감소 구조를 갖는 노면의 그루브 구조
SI20139A2 (sl) Površinsko obdelano vozišče
KR100452051B1 (ko) 도로용 소음감소형 안전홈
KR102179221B1 (ko)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CN210288071U (zh) 可控制车速的车道及含有该车道的人行天桥
JP2018193756A (ja) コンクリート版およびコンクリート版の製造方法。
KR200222401Y1 (ko) 포장도로의 내리막길 미끄럼방지용 차도 블록
CN110004814A (zh) 可控制车速的车道及含有该车道的人行天桥
KR102648114B1 (ko) 원더링 저감을 위한 그루빙 시공방법
JP2790373B2 (ja) 道路用構造体および道路舗設方法
JP3417940B1 (ja) 路面凍結防止ブロック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ロック路面
KR101079724B1 (ko) 포장 노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그루브 시공방법
KR20110002118A (ko)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그루빙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05163511A (ja) 道路ラインの埋設
JP3853421B2 (ja) 車道路面の排水方法と排水溝付き道路
SK2612003A3 (sk) Spôsob opravy porúch obrusovanej vrstvy krytu vozovky, najmä trvalých deformácií krytu a straty drsnosti
US1629782A (en) One-way motor way or street
Ayat Pavement and alignment design of a new rural road in the province of Bologna
US20210148069A1 (en) Anti-skid surface
CN115559170A (zh) 一种友好型智慧人行横道路面处置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1049612A (ja) 走行速度減速用衝撃板と走行速度減速用衝撃板を用いた路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