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221B1 -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 Google Patents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9221B1 KR102179221B1 KR1020200039169A KR20200039169A KR102179221B1 KR 102179221 B1 KR102179221 B1 KR 102179221B1 KR 1020200039169 A KR1020200039169 A KR 1020200039169A KR 20200039169 A KR20200039169 A KR 20200039169A KR 102179221 B1 KR102179221 B1 KR 1021792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wall surface
- double
- lane
- drain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 경계선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도로를 포장하고 양생하는 단계; b) 차선 도색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c) 차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중홈(100)을 형성하는 단계; d) 형성된 상기 이중홈(100)의 폭, 깊이, 간격을 점검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e)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도의 경계선에 이중홈과 종방향배수홈 및 횡방향배수홈을 형성하여 자동차의 차로 이탈을 방지하고, 차선의 시인성을 높이며, 노면 배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도로의 노면에 일정 간격으로 차선을 형성한다.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은 차선으로 구획되는 차로를 따라 안전하게 운행하여야 하나, 운전자의 운전미숙, 졸음, 부주의, 기상악화 등으로 차로를 벗어나 운전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고, 심할 경우 교통사고, 추락 등이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은 이유로 차량이 정해진 차로를 벗어나는 경우, 차로를 벗어났다는 사실을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운행차량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해진 차로를 벗어났다는 사실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으로는, 도로에 미리 설치한 센서와 음향 장비에 의해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주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장비를 모든 도로에 설치하기에는 지나치게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운전자가 경고음을 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정해진 차로를 벗어났다는 사실을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는, 도로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운전자가 진동을 느끼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노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방법은 운전자가 진동을 즉각적으로 느끼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배수가 잘 되지 않아 우천시 요철에 물이 고여 운행 안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운행 차량으로 인해 인접 인도와 옆 차선의 차량으로 물이 튀어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노면에 형성한 요철은 차량의 반복된 주행으로 인해 마모되거나 함몰되기도 하고, 홈의 내부에 이물질과 흙이 쌓여 막히게 됨으로써 당초의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0001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사각관 및 L형측구등의 콘크리트 제품이 지면에 노출되는 상면 일측에 차량이나 자전거가 진행하는 진행방향측으로 10도 ~ 30도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태로 상면과 일체로 형성된 여러 개의 돌기부(16, 21, 31, 41, 51)를 형성하여 주행하는 차량이나 자전거가 돌기부(16, 21, 31, 41, 51)를 밟음에 따라 발생된 진동에 의하여 차선이탈유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차선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인데, 특허문헌 0001은 배수관에 형성하는 것이어서 기존 도로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이므로,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차로 이탈 사실을 알려주면서, 노면 배수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이물질이 침투되더라도 홈의 전체를 막지 않아 본연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차도 경계선 구조와 그 시공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차도 이탈 사실을 알려주면서 차선의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면의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도 경계선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도로를 포장하고 양생하는 단계; b) 차선 도색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c) 차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l)가 차선 폭과 같은 복수의 이중홈(100)을 형성하는 단계; d) 형성된 상기 이중홈(100)의 폭, 깊이, 간격을 점검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이중홈(100)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홈(100)은,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홈;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1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제1벽면과 제1바닥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제2벽면, 제3벽면 및 제2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홈과 제2홈은 서로 연통되고, 상기 c)단계 후에, c’) 종방향배수홈(61)과 횡방향배수홈(62)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종방향배수홈(61)은 상기 이중홈(100)과 연통되고, 상기 횡방향배수홈(62)은 상기 종방향배수홈(61) 및 배수시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a)단계에서, 도로를 포장하는 것은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이고, 상기 c)단계에서 절삭에 의해 상기 이중홈(1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도 경계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도 경계선 구조는, 차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도와 갓길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중홈(100)과 차선(41)을 포함하되, 상기 이중홈(100)은,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홈;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1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제1벽면과 제1바닥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제2벽면, 제3벽면 및 제2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홈과 제2홈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이중홈(100)의 길이(l)를 차선(41)의 폭과 같도록 하여, 상기 차선(41)과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홈(100)이 위치하며, 종방향배수홈(61)과 횡방향배수홈(62)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종방향배수홈(61)은 상기 이중홈(100)과 연통되고, 상기 횡방향배수홈(62)은 상기 종방향배수홈(61) 및 배수시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경계선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전자의 차량이 차도 경계선의 차로에서 이탈하는 경우, 바퀴가 이중홈을 지나면서 운전자가 진동을 느끼게 되므로 운전자가 차로 이탈사실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이중홈은 종방향배수홈과 연통되고, 종방향배수홈은 횡방향배수홈과 연통되며, 횡방향배수홈은 배수시설로 연결되어, 노면의 우수 및 이중홈으로 흘러들어온 우수를 배수시설로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어, 우수로 인한 노면 미끄럼 현상을 줄이고, 노면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일반적인 차선의 경우, 눈이 오거나 비가 내릴 경우, 눈이나 비가 차선을 덮어버리게 되어, 운전자가 차도 경계선의 차선을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차선과 동일한 위치에 이중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눈이나 비가 차선을 덮어도 이중홈에 의해 차선의 위치가 식별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이중홈은 서로 연통되어 있는 제1홈과 제2홈을 포함하고 있어, 차량의 바퀴가 반복적으로 지나가더라도 홈이 쉽게 함몰되지 않고, 특히 홈의 전체적인 함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오랜 시간이 지나도 차로 이탈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 2는 종래의 그루빙 단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도 경계선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선과 이중홈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이중홈이 형성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도 경계선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 9는 도 4의 A-A 단면도의 제1실시예이다.
도 10, 11은 도 4의 A-A 단면도의 제2실시예이다.
도 12, 13은 도 4의 A-A 단면도의 제3실시예이다.
도 14, 15는 도 4의 A-A 단면도의 제4실시예이다.
도 16, 17은 도 4의 A-A 단면도의 제5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도 경계선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선과 이중홈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이중홈이 형성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차도 경계선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 9는 도 4의 A-A 단면도의 제1실시예이다.
도 10, 11은 도 4의 A-A 단면도의 제2실시예이다.
도 12, 13은 도 4의 A-A 단면도의 제3실시예이다.
도 14, 15는 도 4의 A-A 단면도의 제4실시예이다.
도 16, 17은 도 4의 A-A 단면도의 제5실시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차도 경계선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차도 경계선 구조는, 차도(43)와 갓길(42)이 구비되어 있고, 갓길(42)의 외측으로 배수시설의 일부가 되는 그레이팅(51)이 구비되어 있으며, 차도(43)와 갓길(42) 사이에 차선(4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차선(41)을 따라 복수의 이중홈(10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선(41)에 인접하여 종방향배수홈(61)이 형성되고, 복수의 횡방향배수홈(62)의 일단이 상기 종방향배수홈(6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횡방향배수홈(62)의 타단은 그레이팅(51)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이중홈(100)의 길이(l)는 차선의 폭과 동일하다.
상기 이중홈(100)의 일측에는 측면(31)이 형성되고, 이중홈(100)의 타측은 상기 종방향배수홈(61)과 연통되어 있다.
도 7의 단면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중홈(100)은 종방향배수홈(61)과 연통되고, 상기 횡방향배수홈(62)의 일단이 상기 종방향배수홈(61)과 연통되며, 상기 횡방향배수홈(62)의 타단은 배수시설(그레이팅(51) 및 배수로(52))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노면에 흘러내린 우수는 순차적으로 이중홈(100), 종방향배수홈(61), 횡방향배수홈(62)을 거쳐 배수시설(그레이팅(51) 및 배수로(52))로 배수된다.
도 3 및 도 7에서는 배수시설로서 그레이팅(51)과 배수로(52)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횡방향배수홈을 통해 배수될 수 있는 배수시설은 그레이팅(51)과 배수로(52)에 한정되지 않고, 횡방향배수홈은 일반적인 집수정, 측구, 배수구에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중홈(100)은,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홈(11, 12, 13, 14, 15)과 상기 제1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제2홈(21, 22, 23, 24, 25)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제2홈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종방향배수홈(61)과 횡방향배수홈(62)의 깊이는 제2홈의 깊이와 같거나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배수에 유리하다.
이렇게 두 개의 홈이 연통되어 하나의 이중홈을 형성하므로 이물질의 영향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랜 사용에도 기능 저하의 우려가 적다.
도 5와 도 6에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따라 이중홈(100)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깊이가 얕은 제1홈이 먼저 위치하고 그 다음 깊이가 깊은 제2홈이 위치하도록 이중홈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대적으로 깊이가 깊은 제2홈이 먼저 위치하고 그 다음 깊이가 얕은 제1홈이 위치하도록 이중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도 8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 제1홈은 제1벽면과 제1바닥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제2벽면, 제3벽면 및 제2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1홈 및 제2홈의 단면형상에 대해 5가지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8 내지 도 17에는 도 4의 A-A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도 8 내지 도 17에 도시된 화살표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나타낸다).
도 8과 도 9에는 제1실시예인, 제1홈(11)과 제2홈(21)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1홈(11)은 제1벽면(111)과 제1바닥면(112)에 의해 형성되고, 제2홈(21)은 제2벽면(211), 제2바닥면(213) 및 제3벽면(2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면(112)과 제2바닥면(213)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벽면(111), 제2벽면(211) 및 제3벽면(212)은 연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면과 상기 제1벽면(111), 상기 제1벽면(111)과 제1바닥면(112), 상기 제1바닥면(112)과 제2벽면(211), 상기 제2벽면(211)과 제2바닥면(213), 상기 제2바닥면(213)과 제3벽면(212) 및 상기 제3벽면(212)과 노면은 각각 곡면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노면과 제1벽면(111), 제3벽면(212)과 노면이 곡면에 의해 완만하게 연결됨으로써 이중홈(100)의 마모와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는 제2실시예인, 제1홈(12)과 제2홈(22)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1홈(12)은 제1벽면(121)과 제1바닥면(122)에 의해 형성되고, 제2홈(22)은 제2벽면(221), 제2바닥면(223) 및 제3벽면(22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면(122)과 제2바닥면(223)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벽면(121)과 제2벽면(221)은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벽면(222)은 연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면과 상기 제1벽면(121), 상기 제1벽면(121)과 제1바닥면(122), 상기 제1바닥면(122)과 제2벽면(221) 및 상기 제2벽면(221)과 제2바닥면(223)은 각각 곡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바닥면(223)과 제3벽면(222) 및 상기 제3벽면(222)과 노면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다.
제2실시예에서, 제1벽면(121)과 제2벽면(221)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노면과 제1벽면(121), 제1바닥면(122)과 제2벽면(221)이 각각 곡면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이중홈의 마모,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도 12와 도 13에는 제3실시예인, 제1홈(13)과 제2홈(23)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1홈(13)은 제1벽면(131)과 제1바닥면(132)에 의해 형성되고, 제2홈(23)은 제2벽면(231), 제2바닥면(233) 및 제3벽면(23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면(132)과 제2바닥면(233)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벽면(131), 제2벽면(231) 및 제3벽면(232)은 연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면과 상기 제1벽면(131), 상기 제1벽면(131)과 제1바닥면(132), 상기 제1바닥면(132)과 제2벽면(231), 상기 제2벽면(231)과 제2바닥면(233)은 각각 곡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바닥면(233)과 제3벽면(232) 및 상기 제3벽면(232)과 노면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다.
도 14와 도 15에는 제4실시예인, 제1홈(14)과 제2홈(24)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1홈(14)은 제1벽면(141)과 제1바닥면(142)에 의해 형성되고, 제2홈(24)은 제2벽면(241), 제2바닥면(243) 및 제3벽면(24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면(142)과 제2바닥면(243)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벽면(141), 제2벽면(241) 및 제3벽면(242)은 연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면과 상기 제1벽면(141), 상기 제1벽면(141)과 제1바닥면(142), 상기 제1바닥면(142)과 제2벽면(241), 상기 제2벽면(241)과 제2바닥면(243), 상기 제2바닥면(243)과 제3벽면(242) 및 상기 제3벽면(242)과 노면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다.
도 16과 도 17에는 제5실시예인, 제1홈(15)과 제2홈(25)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1홈(15)은 제1벽면(151)과 제1바닥면(152)에 의해 형성되고, 제2홈(25)은 제2벽면(251), 제2바닥면(253) 및 제3벽면(25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닥면(152)과 제2바닥면(253)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벽면(151)과 제2벽면(251)은 비스듬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벽면(252)은 연직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노면과 상기 제1벽면(151), 상기 제1벽면(151)과 제1바닥면(152), 상기 제1바닥면(152)과 제2벽면(251), 상기 제2벽면(251)과 제2바닥면(253)은 서로 둔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바닥면(253)과 제3벽면(252) 및 상기 제3벽면(252)과 노면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다.
위와 같이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이중홈은, 직경이 다른 2개의 블레이드를 면접하도록 고정한 2중 구조의 절삭날을 활용하여 회전절삭에 의해 형성하거나, 직경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블레이드들을 면접하도록 구비하여 회전절삭에 의해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도 경계선 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로를 포장하고 양생한다. 이때 도로 포장은 아스팔트 포장도 가능하고, 콘크리트 포장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중홈은 절삭날에 의해 회전절삭으로 형성되므로, 신설되는 도로가 아니라 기존에 공용중인 도로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후 포장된 도로 위에 차선을 도색할 위치를 체크하고 결정한다.
차선의 폭과 위치가 결정되면, 차선의 폭에 맞도록 절삭날을 구비하고, 차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이중홈(100)을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중홈의 길이(l)가 차선 폭과 같도록 형성한다.
이중홈(100)이 형성되면, 회전절삭에 의해 종방향배수홈(61)과 횡방향배수홈(62)을 형성하고, 이중홈의 폭, 깊이, 간격, 종방향배수홈과 횡방향배수홈의 폭, 깊이, 간격 등을 점검하며, 집진시설을 활용하여 절삭 후 발생하는 이물질, 분진 등을 제거한다.
이후 이중홈의 위치와 동일하게 차선을 도색하게 되면, 본 발명의 차도 경계선 구조의 시공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이중홈
11, 12, 13, 14, 15. 제1홈
21, 22, 23, 24, 25. 제2홈
111, 121, 131, 141, 151. 제1벽면
211, 221, 231, 241, 251. 제2벽면
212, 222, 232, 242, 252. 제3벽면
112, 122, 132, 142, 152. 제1바닥면
213, 223, 233, 243, 253. 제2바닥면
31. 측면
41. 차선 42. 갓길
43. 차도
51. 그레이팅 52. 배수로
61. 종방향배수홈 62. 횡방향배수홈
11, 12, 13, 14, 15. 제1홈
21, 22, 23, 24, 25. 제2홈
111, 121, 131, 141, 151. 제1벽면
211, 221, 231, 241, 251. 제2벽면
212, 222, 232, 242, 252. 제3벽면
112, 122, 132, 142, 152. 제1바닥면
213, 223, 233, 243, 253. 제2바닥면
31. 측면
41. 차선 42. 갓길
43. 차도
51. 그레이팅 52. 배수로
61. 종방향배수홈 62. 횡방향배수홈
Claims (10)
- 차도 경계선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도로를 포장하고 양생하는 단계;
b) 차선 도색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c) 차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l)가 차선 폭과 같은 복수의 이중홈(100)을 형성하는 단계;
d) 형성된 상기 이중홈(100)의 폭, 깊이, 간격을 점검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e) 상기 이중홈(100)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홈(100)은,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홈;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1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제1벽면과 제1바닥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제2벽면, 제3벽면 및 제2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홈과 제2홈은 서로 연통되고,
상기 c)단계 후에,
c’) 종방향배수홈(61)과 횡방향배수홈(62)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종방향배수홈(61)은 상기 이중홈(100)과 연통되고, 상기 횡방향배수홈(62)은 상기 종방향배수홈(61) 및 배수시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도로를 포장하는 것은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콘크리트 포장이고,
상기 c)단계에서 절삭에 의해 상기 이중홈(1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 차도 경계선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도 경계선 구조는, 차도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도와 갓길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중홈(100)과 차선(41)을 포함하되,
상기 이중홈(100)은,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홈;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되, 상기 제1홈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홈은 제1벽면과 제1바닥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은 제2벽면, 제3벽면 및 제2바닥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홈과 제2홈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이중홈(100)의 길이(l)를 차선(41)의 폭과 같도록 하여, 상기 차선(41)과 일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홈(100)이 위치하며,
종방향배수홈(61)과 횡방향배수홈(62)을 더 포함하되, 상기 종방향배수홈(61)은 상기 이중홈(100)과 연통되고, 상기 횡방향배수홈(62)은 상기 종방향배수홈(61) 및 배수시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도 경계선 구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9169A KR102179221B1 (ko) | 2020-03-31 | 2020-03-31 |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9169A KR102179221B1 (ko) | 2020-03-31 | 2020-03-31 |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9221B1 true KR102179221B1 (ko) | 2020-11-16 |
Family
ID=7368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9169A KR102179221B1 (ko) | 2020-03-31 | 2020-03-31 |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22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8730B1 (ko) * | 2022-04-05 | 2022-11-18 | 겨루이앤씨 주식회사 | 노면 그루빙 구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0017U (ja) * | 1992-11-05 | 1994-05-27 | 文健 江口 | 車両の停止帯構造 |
KR100935412B1 (ko) * | 2009-06-12 | 2010-01-06 | 의왕개발 주식회사 |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
KR100971036B1 (ko) * | 2009-06-15 | 2010-07-20 | 지티건설(주) | 요철이 형성된 도로 경계선 |
KR20110101394A (ko) * | 2010-03-08 | 2011-09-16 | 지티건설(주) |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
KR200457962Y1 (ko) | 2009-06-16 | 2012-01-16 | 대명콘텍 주식회사 | 콘크리트 제품의 차선이탈방지구조 |
KR102049018B1 (ko) * | 2019-07-10 | 2019-11-27 | 겨루 주식회사 | 비대칭 노면 그루빙 및 그루빙 장치 |
-
2020
- 2020-03-31 KR KR1020200039169A patent/KR1021792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0017U (ja) * | 1992-11-05 | 1994-05-27 | 文健 江口 | 車両の停止帯構造 |
KR100935412B1 (ko) * | 2009-06-12 | 2010-01-06 | 의왕개발 주식회사 |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
KR100971036B1 (ko) * | 2009-06-15 | 2010-07-20 | 지티건설(주) | 요철이 형성된 도로 경계선 |
KR200457962Y1 (ko) | 2009-06-16 | 2012-01-16 | 대명콘텍 주식회사 | 콘크리트 제품의 차선이탈방지구조 |
KR20110101394A (ko) * | 2010-03-08 | 2011-09-16 | 지티건설(주) |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
KR102049018B1 (ko) * | 2019-07-10 | 2019-11-27 | 겨루 주식회사 | 비대칭 노면 그루빙 및 그루빙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8730B1 (ko) * | 2022-04-05 | 2022-11-18 | 겨루이앤씨 주식회사 | 노면 그루빙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4066057A (ja) | 舗装道路用側溝 | |
US3529517A (en) | Marked roadwa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2179221B1 (ko) |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 |
KR20110016158A (ko) | 수로가 구비된 엘형 유공 측구 | |
KR102179225B1 (ko) | 갓길 요철 구조 시공방법 및 갓길 요철 구조 | |
JPH0226964Y2 (ko) | ||
JP2019100166A (ja) | スリット付きl形歩車道境界排水ブロック | |
JP2764544B2 (ja) | 透水性舗装路面用街渠蓋 | |
CN206666973U (zh) | 一种用于路面排水的沥青混凝土路面横向刻槽结构 | |
JPH0218151Y2 (ko) | ||
JP3125931U (ja) | 側溝の道路横断構造 | |
KR20110117495A (ko) | 배수구가 구비된 도로 경계석 | |
JP3000258B2 (ja) | 境界側溝ブロック群による歩車道境界施工法 | |
KR200224557Y1 (ko) | 배수형 배수로 경계블럭 | |
JP3853421B2 (ja) | 車道路面の排水方法と排水溝付き道路 | |
NL2028281B1 (en) | Shaped block for separating traffic routes of different road users | |
JP3060219U (ja) | 低段差型歩車道境界ブロック | |
JP4227600B2 (ja) | 排水型舗装道路用の舗装路面工法、およびそれによる排水型舗装道路 | |
JPH10131224A (ja) | 地下構造物用蓋の蓋本体 | |
RU2520210C2 (ru) | Безопасная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 |
JPH08120603A (ja) | 道路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SK2612003A3 (sk) | Spôsob opravy porúch obrusovanej vrstvy krytu vozovky, najmä trvalých deformácií krytu a straty drsnosti | |
KR200357116Y1 (ko) | 보·차도 경계용 펜스 | |
JP3144380U (ja) | 側溝ブロック | |
KR100329377B1 (ko) | 측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