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412B1 -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412B1
KR100935412B1 KR1020090052326A KR20090052326A KR100935412B1 KR 100935412 B1 KR100935412 B1 KR 100935412B1 KR 1020090052326 A KR1020090052326 A KR 1020090052326A KR 20090052326 A KR20090052326 A KR 20090052326A KR 100935412 B1 KR100935412 B1 KR 10093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lane departure
departure recognition
road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부순
이당의
Original Assignee
의왕개발 주식회사
바스코코리아(주)
주식회사 우성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왕개발 주식회사, 바스코코리아(주), 주식회사 우성기공 filed Critical 의왕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r installing surface markings or signals in the paving, e.g. grooving for striping or for producing rumble strips, forming marker-receiving re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차선, 갓길차선이 형성될 라인을 따라 도로면에 등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차로이탈인식홈들; 차로이탈인식홈들 사이의 도로면과 차로이탈인식홈들의 내주면에 도포되어서 차선을 이루는 페인트층; 차로이탈인식홈들의 내주면에 도포되며 차량의 전조등 빛을 반사하여서 차선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반사층;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야간운전이나 졸음운전 또는 기상악화로 인한 시인성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운전하다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중앙차선이나 갓길 차선을 밟게 되면 차량의 바퀴가 노면요철차선의 차로이탈인식홈들을 밟으면서 소음 및 차체의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차량의 차선이탈 시 소음 및 차체 진동을 발생시키고, 차량이 중앙차선 또는 갓길차선을 밟자마자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어서 차로이탈 초기에 곧바로 인지하도록 하므로 차량이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레일 충돌전까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야간 운전이나 기상 악화로 인해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조등을 켜면 불빛이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면서 운전자는 노면요철차선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차로이탈인식홈, 페인트층, 반사층, 비도포부, 도포부

Description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Highway uneven a lane and the form of construction work}
본 발명은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차선 이탈방지 및 갓길차선 이탈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차량이 중앙차선이나 갓길차선을 밟으면 이를 곧바로 인지하도록 하여서 중앙분리대나 가드레일 충돌전까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야간 운전이나 기상 악화로 인해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선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나 일반국도와 같은 도로의 경우, 도로면에 여러 줄의 차선이 도색되어 있고,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로에는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 가드레일 측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직,간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어떠한 차로이탈이탈시설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운전자가 졸음 운전, 야간 운전이나 비, 안개, 눈 등의 기상악화로 인 해 차로에 대한 시인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전하는 경우, 차량이 주행차로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순식간에 도로의 바깥측으로 이탈하면서 가드레일에 충돌하여 대형사고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로를 이루는 차로와 갓길의 경계부에 도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의 차로이탈인식홈들을 형성하여서, 차량이 차로를 이탈할 경우 주행 차량의 바퀴가 다수의 차로이탈인식홈들을 지나면서 소음과 함께 차체에 진동을 유발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차량이 정상적인 차로를 벗어나고 있음을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알려서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을 다시 정상 차로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형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로이탈인식홈들은 갓길 차선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갓길 차선보다 가드레일에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도로의 여러 차로들 중에서 최외곽 차로를 주행하다가 갓길 차선을 넘어선 후 차로이탈인식홈들을 밟고 주행해야만 차량이 차로를 이탈하여서 비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음을 인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로이탈인식홈들이 도로의 차선들보다 가드레일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어 있고 고속도로나 국도와 같이 차량이 비교적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차량이 차로이탈인식홈들을 벗어나자마자 순식간에 가드레일에 충돌할 우려가 있다.
즉, 차로이탈인식홈들에 의해 차량의 비정상적인 주행을 인지했다 하더라도 다른 차선들보다 차로이탈인식홈들이 가드레일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 에 운전자가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이 차로이탈인식홈들을 넘어서 가드레일에 충돌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차로이탈인식홈들은 도로의 표면에 반원형태의 홈을 파서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차로이탈인식홈들은 야간 운전이나 비, 안개, 눈 등의 기상악화시 차선들보다 더 눈에 식별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차량이 차선을 넘어 비정상적으로 운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역할을 전혀 할 수 없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원하지 않는 상태에서 차선을 이탈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이 중앙차선이나 갓길차선을 밟으면 이를 곧바로 인지하도록 하여서 중앙분리대나 가드레일 충돌전까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 운전이나 기상 악화로 인해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선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은, 중앙차선, 갓길차선이 형성될 라인을 따라 도로면에 등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차로이탈인식홈들; 차로이탈인식홈들 사이의 도로면과 차로이탈인식홈들의 내주면에 도포되어서 차선을 이루는 페인트층; 차로이탈인식홈들의 내주면에 도포되며 차량의 전조등 빛을 반사하여서 차선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반사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다른 특징은, 반사층들은, 반원형상의 차로이탈인식홈들 중 차량의 전조등 빛이 직접 전달되는 차로이탈인식홈들의 내주면 일측에만 도포되어서 이루어지며, 다수의 유리알들이 경화되기 전의 페인트층 위에 뿌려져서 페인트층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또 다른 특징은, 차로이탈인식홈들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그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된 비도포부와, 비도포부의 최저점 부분부터 타측 끝단까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된 도포부로 이루어지며, 도포부에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층이 도포된다.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또 다른 특징은, 차로이탈인식홈들은, 일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비도포부와, 비도포부의 최저점 부분부터 타측 끝단까지는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도포부로 이루어지며, 경사진 도포부에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층이 도포된다.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또 다른 특징은, 반사층의 두께는, 0.5∼1mm이다.
상술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 시공방법은, 중앙차선, 갓길차선이 형성될 라인을 따라 등간격으로 차로이탈인식홈들을 형성하는 차로이탈인식홈 형성단계; 차로이탈인식홈 형성단계 후 차로이탈인식홈들 사이의 도로면과 차로이탈인식홈들의 내주면에 페인트층을 도포하여서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도색단계; 차선도색단계 후 차로이탈인식홈들의 내주면에 다수의 유리알들을 뿌려서 반사층을 도포하는 반사층도포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 시공방법의 다른 특징은, 반사층도포단계에서 다수의 유리알들로 이루어진 반사층은, 차선도색단계 후 반원형상의 차로이탈인식홈들 중 차량의 전조등 빛이 직접 전달되는 차로이탈인식홈들의 내주면 일측에만 뿌려져 도포되며, 페인트층의 도포 직후에 뿌려져서 페인트층에 부착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야간운전이나 졸음운전 또는 기상악화로 인한 시인성이 불안정한 상태에서 운전하다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중앙차선이나 갓길 차선을 밟게 되면 차량의 바퀴가 노면요철차선의 차로이탈인식홈들을 밟으면서 소음 및 차체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차량의 차선이탈 시 소음 및 차체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중앙차선 이탈방지 및 갓길차선 이탈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로이탈인식홈들은 차선을 이루는 페인트층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차로이탈인식홈들 자체가 노면요철차선을 이룬다. 이와 같이 차로이탈인식홈들 자체가 노면요철차선을 이루므로 노면요철차선과 중앙분리대 또는 노면요철차선과 가드레일 사이의 폭이 최대한 확보된다. 따라서 차량이 중앙차선 또는 갓길차선을 넘어선 후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차선 또는 갓길차선을 밟자마자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어서 차로이탈 초기에 곧바로 인지하도록 하므로 차량이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레일 충돌전까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에 의해 차량의 비정상적인 주행을 인지한 시점부터 중앙분리대 또는 가드레일까지의 충돌 시점까지 비교적 충분한 시간 및 거리가 확보되므로 사고전에 운전자가 차량 운전을 바로잡을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은 야간 운전이나 기상 악화로 인해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조등을 켜면 불빛이 반사층에 의해 반사되면서 운전자는 노면요철차선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면요철차선은 야간 운전이나 비, 안개, 눈 등의 기상악화시 운전자의 시야에 명확하게 식별되며, 이에 따라 차량이 차선을 넘어 비정상적으로 운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차로이탈인식홈들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그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된 비도포부와, 비도포부의 최저점 부분부터 타측 끝단까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된 도포부로 이루어지며, 도포부에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층이 도포된다. 이러한 노면요철차선은 비도포부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반사층으로 전달되는 전조등 빛의 입사각이 최대한 확보된다. 따라서 반사층에 전달되는 전조등 빛의 입사각이 최대한 확보되므로 반사층의 빛 반사량이 그만큼 증대되며 이에 따라 노면요철차선의 시인성이 그만큼 향상된다. 그러므로 야간 운전이나 기상 악화시 노면요철차선의 식별을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차로이탈인식홈들은, 일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비도포부와, 비도포부의 최저점 부분부터 타측 끝단까지는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도포부로 이루어지며, 경사진 도포부에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층이 도포된다. 이러한 노면요철차선은 도포부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비교적 넓은 면적에 반사층이 도포된다. 따라서 증대된 반사층의 면적만큼 전조등 빛의 반사량이 증대되므로 반사되는 빛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을 더욱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이 형성된 도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을 보인 개략적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2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노면요철차선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들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은, 차로이탈인식홈(5)들, 페인트층(6), 반사층(7)으로 이루어진다.
차로이탈인식홈(5)들은 중앙차선(3)이나 갓길차선(4)이 형성될 라인을 따라 도로면에 등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차로이탈인식홈(5)들은 횡단면이 직사각형홈 형상을 가지며, 종단면이 호형상의 홈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로이탈인식홈(5)들은 한 줄 또는 두 줄로 이루어진 중앙차선(3) 또는 갓길차선(4) 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차량의 바퀴가 차로이탈인식홈(5)들을 밟은 상태로 주행할 때에 소음 및 차체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여서 차량이 중앙차선을 이탈하거나 갓길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시킨다.
페인트층(6)은, 차로이탈인식홈(5)들 사이의 도로면과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에 도포되어서 실선 형태의 중앙차선(3) 및 갓길차선(4)을 형성한다. 여기서 페인트층(6)이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에만 도포된다면 본 발명의 노면 요철차선은 점선 형태로 도색될 것이다.
반사층은,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에 도포되며 차량의 전조등 빛을 반사하여서 차선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러한 반사층(7)은, 반원형상의 차로이탈인식홈(5)들 중 차량의 전조등 빛이 직접 전달되는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 일측에만 도포되어서 이루어진다. 또한 반사층(7)은 다수의 유리알들이 경화되기 전의 페인트층(6) 위에 뿌려져서 페인트층(6)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반사층(7)들은 별도의 접착제없이 페인트층(6)의 상부면에 부착된다.
여기서, 반사층(7)의 두께는, 0.5∼1mm이다. 반사층(7)의 두께가 0.5mm 미만이면 유리알들이 페인트층(6)에 뿌려지면서 도포될 때에 도포할 페인트층(6) 면에 골고루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포될 반사층(7)이 너무 얇기 때문에 페인트층(6)의 도포면에 유리알들이 균일하게 뿌려지지 않을 경우, 반사층(7) 가운데 미도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사층(7)의 면적이 감소되면서 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조도가 크게 저하된다.
반사층의 두께가 1mm를 초과하면 조명등의 빛 반사량이 크게 증가되지 않는 반면에 반사층(7)을 이루는 유리알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시공단가가 상승되고, 차로이탈인식홈(5)이 그만큼 더 메워지므로 소음 및 차체 진동 효과가 그만큼 감소된다. 그러므로 반사층의 두께는 0.5∼1mm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 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써, 이는, 중앙차선(3), 갓길차선(4)이 형성될 라인을 따라 등간격으로 차로이탈인식홈(5)들을 형성 하는 차로이탈인식홈 형성단계(S10)를 갖는다.
차로이탈인식홈 형성단계(S10) 후 차로이탈인식홈(5)들 사이의 도로면과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에 페인트층(6)을 도포하여서 실선의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도색단계(S20)를 갖는다. 차선도색단계(S20)에서 페인트층(6)을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에만 도포하면 점선의 차선이 도색된다.
차선도색단계(S20) 후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에 다수의 유리알들을 뿌려서 반사층(7)을 도포하는 반사층도포단계(S30)를 갖는다. 반사층도포단계(S30)에서 반사층(7)의 두께는 0.5∼1mm이다.
반사층도포단계(S30)에서 다수의 유리알들로 이루어진 반사층(7)은, 차선도색단계(S20) 후 반원형상의 차로이탈인식홈(5)들 중 차량의 전조등 빛이 직접 전달되는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 일측에만 뿌려져 도포되며, 페인트층(6)의 도포 직후에 뿌려져서 페인트층(6)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반사층(7)이 차로이탈인식홈(5)의 내주면 전체에 도포되는 것이 아니라, 전조등 빛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차로이탈인식홈(5)들의 내주면 일측에만 도포되므로 반사층(7)의 재료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한편 반사층(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알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형광물질이 도포된 도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광도료를 페인트층(6) 위에 스프레이 분사하여서 도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야간운전이나 졸음운전 또는 기상악화로 인한 시인성이 불안정한 상태 에서 운전하다가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중앙차선(3)이나 갓길차선(4)을 밟게 되면 차량의 바퀴가 노면요철차선의 차로이탈인식홈(5)들을 밟으면서 소음 및 차체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차량의 차선이탈 시 소음 및 차체 진동을 발생시키므로 중앙차선(3) 이탈방지 및 갓길차선(4) 이탈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로이탈인식홈(5)들은 차선을 이루는 페인트층(6)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차로이탈인식홈(5)들 자체가 노면요철차선을 이룬다. 이와 같이 차로이탈인식홈(5)들 자체가 노면요철차선을 이루므로 노면요철차선과 중앙분리대(1) 또는 노면요철차선과 가드레일(2) 사이의 폭이 최대한 확보된다.
따라서 차량이 중앙차선(3) 또는 갓길차선(4)을 넘어선 후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차선(3) 또는 갓길차선(4)을 밟자마자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어서 차로이탈 초기에 곧바로 인지하도록 하므로 차량이 중앙분리대(1) 또는 가드레일(2) 충돌전까지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에 의해 차량의 비정상적인 주행을 인지한 시점부터 중앙분리대(1) 또는 가드레일(2)까지의 충돌 시점까지 비교적 충분한 시간 및 거리가 확보되므로 사고전에 운전자가 차량 운전을 바로잡을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은 야간 운전이나 기상 악화로 인해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조등을 켜면 불빛이 반사층(7)에 의해 반사되면서 운전 자는 노면요철차선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면요철차선은 야간 운전이나 비, 안개, 눈 등의 기상악화시 운전자의 시야에 명확하게 식별되며, 이에 따라 차량이 차선을 넘어 비정상적으로 운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로써, 이러한 차로이탈인식홈(11)들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그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된 비도포부(12)와, 비도포부(12)의 최저점 부분부터 타측 끝단까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된 도포부(13)로 이루어진다. 차로이탈인식홈(11)들의 도포부(13)에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층(14)이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은 비도포부(12)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반사층(14)으로 전달되는 전조등 빛의 입사각이 최대한 확보된다. 따라서 반사층(14)에 전달되는 전조등 빛의 입사각이 최대한 확보되므로 반사층(14)의 빛 반사량이 그만큼 증대되며 이에 따라 노면요철차선의 시인성이 그만큼 향상된다. 그러므로 야간 운전이나 기상 악화시 노면요철차선의 식별을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종단면도로써, 이러한 차로이탈인식홈(21)들은, 일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비도포부(22)와, 비도포부(22)의 최저점 부분부터 타측 끝단까지는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도포부(23)로 이루어진다. 경사진 도포부(23)에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층(24)이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은, 도포부(23)가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비교적 넓은 면적에 반사층(24)이 도포된다. 따라서 증대된 반사층(24)의 면적만큼 전조등 빛의 반사량이 증대되므로 반사되는 빛의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을 더욱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이 형성된 도로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을 보인 개략적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2의 부분 종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노면요철차선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노면요철차선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종단면도
도 7은 노면요철차선의 시공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분리대 2 : 가드레일
3 : 중앙차선 4 : 갓길차선
5,11,21 : 차로이탈인식홈 6 : 페인트층
7,14,24 : 반사층 12,22 : 비도포부
13,23 : 도포부

Claims (7)

  1. 중앙차선(3), 갓길차선(4)이 형성될 라인을 따라 도로면에 등간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 사이의 도로면과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의 내주면에 도포되어서 차선을 이루는 페인트층(6);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의 내주면에 도포되며 차량의 전조등 빛을 반사하여서 차선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반사층(7)(14)(24)으로 이루어지고;
    반사층(7)(14)(24)들은, 반원형상의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 중 차량의 전조등 빛이 직접 전달되는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의 내주면 일측에만 도포되어서 이루어지며, 다수의 유리알들이 경화되기 전의 페인트층(6) 위에 뿌려져서 페인트층(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요철차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차로이탈인식홈(11)들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그 깊이가 점차 깊어지도록 형성된 비도포부(12)와, 비도포부(12)의 최저점 부분부터 타측 끝단까지는 호형상으로 형성된 도포부(13)로 이루어지며, 도포부(13)에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층(14)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요철차선.
  4. 제1항에 있어서, 차로이탈인식홈(21)들은,
    일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비도포부(22)와, 비도포부(22)의 최저점 부분부터 타측 끝단까지는 그 깊이가 점차 얕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도포부(23)로 이루어지며, 경사진 도포부(23)에는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도록 반사층(24)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요철차선.
  5. 삭제
  6. 중앙차선(3), 갓길차선(4)이 형성될 라인을 따라 등간격으로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을 형성하는 차로이탈인식홈 형성단계(S10);
    차로이탈인식홈 형성단계(S10) 후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 사이의 도로면과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의 내주면에 페인트층(6)을 도포하여서 차선을 도색하는 차선도색단계(S20);
    차선도색단계(S20) 후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의 내주면에 다수의 유리알들을 뿌려서 반사층(7)(14)(24)을 도포하는 반사층도포단계(S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요철차선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반사층도포단계(S30)에서 다수의 유리알들로 이루어진 반사층(7)(14)(24)은,
    차선도색단계(S20) 후 반원형상의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 중 차량의 전조등 빛이 직접 전달되는 차로이탈인식홈(5)(11)(21)들의 내주면 일측에만 뿌려져 도포되며, 페인트층(6)의 도포 직후에 뿌려져서 페인트층(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요철차선 시공방법.
KR1020090052326A 2009-06-12 2009-06-12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KR10093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26A KR100935412B1 (ko) 2009-06-12 2009-06-12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26A KR100935412B1 (ko) 2009-06-12 2009-06-12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412B1 true KR100935412B1 (ko) 2010-01-06

Family

ID=4180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326A KR100935412B1 (ko) 2009-06-12 2009-06-12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4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22B1 (ko) * 2015-03-17 2015-08-10 안산개발(주) 노면요철
KR20180006090A (ko) * 2016-07-08 2018-01-17 (주)에스시아이 도로의 노면 표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8463B1 (ko) * 2019-06-09 2020-04-24 (주)이티아이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KR20200048241A (ko) * 2018-10-29 2020-05-08 하성민 도로시설물 경고용 그루빙 시스템
KR102179225B1 (ko) * 2020-03-31 2020-11-16 구본국 갓길 요철 구조 시공방법 및 갓길 요철 구조
KR102179221B1 (ko) * 2020-03-31 2020-11-16 구본국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KR20210124781A (ko) * 2020-04-07 2021-10-15 성보포장건설(주) 노면 그루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894Y1 (ko) * 2001-12-15 2002-03-16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차로이탈을 인식할 수 있는 도로구조
KR20050047225A (ko) * 2003-11-17 2005-05-20 우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노면의 분진방지 피복그루빙공법 및 그 피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894Y1 (ko) * 2001-12-15 2002-03-16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자동차의 차로이탈을 인식할 수 있는 도로구조
KR20050047225A (ko) * 2003-11-17 2005-05-20 우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노면의 분진방지 피복그루빙공법 및 그 피복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22B1 (ko) * 2015-03-17 2015-08-10 안산개발(주) 노면요철
KR20180006090A (ko) * 2016-07-08 2018-01-17 (주)에스시아이 도로의 노면 표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4586B1 (ko) * 2016-07-08 2018-09-04 (주)에스시아이 도로의 노면 표지
KR20200048241A (ko) * 2018-10-29 2020-05-08 하성민 도로시설물 경고용 그루빙 시스템
KR102190895B1 (ko) * 2018-10-29 2020-12-15 하성민 도로시설물 경고용 그루빙 시스템
KR102088463B1 (ko) * 2019-06-09 2020-04-24 (주)이티아이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WO2020251184A1 (ko) * 2019-06-09 2020-12-17 주식회사 태평양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KR102179225B1 (ko) * 2020-03-31 2020-11-16 구본국 갓길 요철 구조 시공방법 및 갓길 요철 구조
KR102179221B1 (ko) * 2020-03-31 2020-11-16 구본국 차도 경계선 구조 시공방법 및 차도 경계선 구조
KR20210124781A (ko) * 2020-04-07 2021-10-15 성보포장건설(주) 노면 그루빙
KR102528884B1 (ko) * 2020-04-07 2023-05-04 성보포장건설(주) 노면 그루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412B1 (ko)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US5439312A (en) Method for applying a night-visible traffic stripe to a road
US4856931A (en)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or renewing a horizontal marking on roads and horizontal marking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KR101499780B1 (ko) 역반사 코팅 및 구조체에 역반사 코팅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US6247872B1 (en) Audible night-visible traffic stripe for a roa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20130011193A1 (en) Multi-application apparatus, methods and surface markings
KR200426985Y1 (ko) 도로교통안전용 반사판
US20230068480A1 (en) Temporary flexible pavement markers
EP1918459A2 (en) Warning apparatus
RU2564702C2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KR100703957B1 (ko) 착시현상을 이용한 가상 과속방지턱
KR101435157B1 (ko) 가상 과속방지턱 시공용 시트
JPH0583017U (ja) 道路標示線
KR20110085711A (ko) 도로주행 주의환기를 위한 요철
JP2876473B2 (ja) 道路標示
US20080101859A1 (en) Warning Apparatus
KR102186550B1 (ko)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
KR200235031Y1 (ko) 야광 도로 경계석
JP4465307B2 (ja) 道路用防護柵の金属片付着防止用ワッシャー
KR101243351B1 (ko) 반사착색 그루브가 형성된 도로
JPH072667Y2 (ja) 道路標示線
KR20020039588A (ko) 도로표시 및 지시 표지판
KR20200101739A (ko) 도로 경계석
RU2517665C2 (ru) Безопасная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KR970001556Y1 (ko) 도로용반사표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