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51184A1 -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 Google Patents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51184A1
WO2020251184A1 PCT/KR2020/006671 KR2020006671W WO2020251184A1 WO 2020251184 A1 WO2020251184 A1 WO 2020251184A1 KR 2020006671 W KR2020006671 W KR 2020006671W WO 2020251184 A1 WO2020251184 A1 WO 20202511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ne
groove
road
agent
displ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667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선호
안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주식회사 이티아이
주식회사 태백
주식회사 산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주식회사 이티아이, 주식회사 태백, 주식회사 산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ublication of WO20202511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511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nd more particularly, not only provides the original function for inducing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driver, such as the center line and the running lane, but also further improves the identification function of the lane, and particularly at night or at night.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that maximizes the retroreflective function in rainy weather, and also prevents slipping due to water screening in rainy weather, induces drainage of rainwater, and also provides a drowsiness prevention function to further maximize safe driving. It is about.
  • lanes are essential for promoting traffic safety and smooth communication, and they function to deliver information on regulations or instructions to road users, and are displayed in various types such as center lines, lanes, yellow crosswalks, direction indications, and safety zone indications. .
  • an adhesive to facilitate the bonding of the paint layer is applied to the paved road surface, and paints of various colors such as yellow, blue, or white are painted according to the marking line.
  • the road It could not be completed within a short working time of the car, and the painted lanes were easily worn by friction with the wheels of the car, making it difficult to distinguish lanes, especially when driving at night or when driving in rainy weather.
  • paved roads such as highways, national highways, and local roads
  • a center line that divides the center of vehicles in opposite lanes, or a driving lane, which is a lane that divides the driving section of vehicles is painted.
  • Lanes such as the center line or the driving lane as described above are reference lines that induc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by allowing the driver to identify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se lanes serve as the standard for inducing the safe driving of the vehicle, so it is visually recognized. It can be said that visibility is very important.
  • the lanes of asphalt or concrete pavement were pain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road surface by mixing various synthetic resin paint mixtures, glass powder, stone powder, asbestos, and pigments.
  • the painted lanes have a water film formed on the painted lanes when the vehicle is driving at night while the road surface is wet due to rain or snow, and the reflectivity of the pigment and glass powder used in the lanes. This implies a reduced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 and not only provides the original function for inducing safe driving of the vehicle driver, but also further improves the identification function of the lane, and in particular, a retroreflective function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that can maximiz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that can prevent slipping due to water film phenomenon in rainy weather and induce drainage of rainwater quickly and smoothl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that can further maximize safe driving by providing a function to prevent drowsiness in the lane.
  • the display layer of the lane structure uses resin and additives, cracks do not occur, wear is small, and the property of agglomerating the transparent glass beads of the retroreflective agent is improved by the appropriate ductility of the binding resi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in which a driver of a driving vehicle is displayed to distinguish a lane, wherein a first groov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ane on a road surface on which the lane is marked to be formed in the lane i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ane Alternatively, it is formed in a length that is arranged in plural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bu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ov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groove is inclin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to form a first lane sign having a surface shape and to form a retroreflective display lay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hape of the first lane sign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lane sign Provide a lane structure.
  •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having the first lane surface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to form a boundary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between the neighboring first first grooves and the other first grooves.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having the first lane surface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but the length of the first groove on one side adjacent to each other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groove on the other side
  • a drain groove is form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rst groove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groove at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one end, and the first groove and another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having a form in which drainage grooves are connected between first grooves.
  • the first concave groove having the inclined shape of the first lane sign is not formed in the lane, and the first concave groov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ane is formed on the road surface on which the lane is marked,
  • An inclined first lane surface is formed in which the height of the groove increases a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ove goes rearward, and the height of the groove increases toward both sides based on the length of the center,
  • a drainage groove stepped inward in a straight length from one front side of the first groove to one rear side of the first groove has a depth of a drainag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groove
  • a drainag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another first groove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to provide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groove of the first groove.
  • the first concave groove on which the inclined first lane surface is formed is not formed in the lane, and the second concave groove on which the second lane surface of the hemispherical shape is formed is separated from the lane.
  • a boundary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second groove and the second groove on the other side,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n which a display layer is formed on a front side of a second lane sign of the second groove is provided.
  • the first lane surface of the first groove is not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ove gradually decreases a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ove goes from one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other side, so that it is connected with the road surface.
  • a retroreflective display lay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hape of the first lane surface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lane surface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s provided in which a drain groove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the first groove between the first groove and another first groove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 a first lane sign having a horizontal symmetrical shap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and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ane sign and the first lane sign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height of the road surface.
  • the first concave groove on which the sloped first lane surface is formed is not formed in the lane, but is expanded to the front side of the lane and formed as a reference portion at the rear center that is connected by crossing the symmetrical expansion portion and the expansion portion.
  • a plurality of “V”-shaped third groov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but the height of the groove increases as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groove goes rearward, and the groove height increases toward both sides based on the length of the center.
  • a sloped third lane surface is formed with increasing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s provided in which a display lay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hape of the third lane sig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lane sign.
  • the first groove on which the inclined first lane surface is formed is not formed in the lane, and the first groove in the lane is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and the first groove, so that a part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groove becomes more rectangular.
  • a plurality of fourth grooves in which the extended second grooves are formed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and the fourth lane surface is form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groov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 a display lay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hape of the fourth lane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urth lane surface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n which a fifth lane sig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road surface while being located at the other front side of the first groove is formed in proportion to the area of the second groove is provided.
  • the display layer is a soft melt type comprising a binder resin, an aggregate, a retroreflective agent, a colored pigment, a filler mixed with an extender pigment, and an additive mixed with a plasticizer, an antifoaming agent, a fluidizing agent, an anti-settling agent, and an antioxidant.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formed by melt-extrusion of a road sign composition.
  • the retroreflective agent comprises at least one glass bea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nd translucent glass beads coated with monodispers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on the surface of the glass beads.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the retroreflective agent is used in a weight ratio of 1:0.2 to 0.5 of one or more glass bea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nd an auxiliary reflector
  • the auxiliary reflector is polyethylene (PE ), polypropylene (PP), polyvinyl chloride (PVC), polystyrene (PS), polyvinyl alcohol (PVA), and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bead.
  • PE polyethylene
  • PP polypropylene
  • PVC polyvinyl chloride
  • PS polystyrene
  • PVA polyvinyl alcohol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the retroreflective agent uses at least one glass bea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nd a spherical silicon ball in a weight ratio of 1: 0.4 to 0.8, and the silicon ball is a substrate of silicon.
  • a reflective layer is coated on the surface, and the reflective layer has improved functionality using any one selected from polyester resin-based paint, fluorine resin-based paint, melamine resin-based paint, acrylic resin-based paint, urethane resin-based paint, epoxy resin-based paint, and vinyl chloride resin-based paint.
  • polyester resin-based paint fluorine resin-based paint, melamine resin-based paint, acrylic resin-based paint, urethane resin-based paint, epoxy resin-based paint, and vinyl chloride resin-based paint.
  • the retroreflective agent is at least one type of glass bea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 metal vapor deposition film on the surface of the glass beads, an adhesive containing a filler having a high light reflectance, and a light reflectance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n which any one coating layer selected from 90% or more white coating agents is formed.
  • the retroreflective agent is selected from one or more glass bea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barium sulfate powder particles, or titanium dioxide powder particle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mixed with resin-based paint and immersed in foamed glass particles of 0.3 ⁇ 0.8mm, and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composed of a reflective inducing agent made of spherical particles.
  • the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not only provides the original function for inducing safe driving of the vehicle driver, but also further improves the lane identification function, and in particular, a retroreflective function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It maximizes and has a lane structure that can prevent slipping due to water film phenomenon in rainy weather, and induce drainage of rainwater quickly and smoothly.
  • the marking layer forming the la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abrasion resistance, fast workability, and eco-friendly advantages of the existing fusion-type road sign paint, and is molded into a uniform shape, making it easy to handle and easily It is applied to resins and additives so that cracks do not occur, abrasion is small, and the properties of agglomerating the transparent glass beads of the retroreflective agent are improved by the appropriate ductility of the binder resin, thereby maintaining the night luminance for a long time.
  • FIG. 1 is a view showing a road surface lane structure of a lane to which a first groove is applied in a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cut along the longitudinal length of a portion A-A in the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concave groove having the same vertical length is formed in a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to a vertical length, and different lengths separated from each other (B)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concave groove is formed with a vertical length, and a diagram (c)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d second concave grooves are formed in a vertical length.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drainag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a first groove in a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in which first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in a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a horizontal length.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groove is formed incl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drainag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a first groove having a shape incli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BB portion in the lane structure of the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7 (a), a cross section in which a display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roov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B portion Figure (b) and a diagram (c) showing a cross-section cu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 FIG. 9 is a view showing a road surface lane structure of a lane to which a third groove is applied in the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planar structure of a road surface in which a third groove is formed in a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lan view expressed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third groove in the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 FIG. 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portion C-C in the lane structure of the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0;
  • FIG. 13 is a view showing a road surface lane structure of a lane to which a fourth groove is applied in the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lan view expressed to explain the structure of a fourth groove in a lane structure of a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view (a) showing a cross-section of a portion D-D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E-E in the lane structure of the road with improved functiona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4;
  • a lane marking to distinguish a lan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a vehicle on the road a road sign displayed on the road surface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a potential danger area, or a crosswalk displayed to allow pedestrians to cross are used as road marking lines.
  • a lane structure is provid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of a lane is described to divide a lane of a road, but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revealed that it can be used for a road sign or a crosswalk of a road sign lin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not shown) displayed to allow a driver of a driving vehicle to divide a lane as shown in FIGS. 1 to 2, and a first groov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ane width on a road surface on which the lane is displayed.
  • (100a) is formed i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ane or a length that is arranged in plural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ane, bu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roove 100a i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 the groove depth gradually increases to form a first lane marker 110a having an inclined surface shape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the first lane marker 110a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lane marker 110a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for forming the retroreflective display layer 12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hape of) is provided.
  • the road la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cave groove (100a) concave into the road surface, a first lane marker (110a)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and the first lane marker. (110a) It is composed of a display layer 120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lan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but provides a lane structure applied to a conventional painted lane or applied to a lane that is not painted on the road surface, It turns out that the lane described below can apply both of the above lanes.
  • the lanes are lanes painted with paint or the like so as to distinguish the lanes on the pavement surface, and the lan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ane or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ane. It is formed in a length that is arranged in a number of pieces, and is formed on the road surface 10, which is a pavement surface of the road on which the lane is to be formed or the lane is to be formed, so as to be stepped on the pavement surface 10 of the road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lane.
  • a first concave groove (100a) is formed, and the groove depth gradually increases a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goe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shape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 a first lane sign (110a) is formed, and the surface shape inclin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lane sign (110a) is in a direction from the rear side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lane sign (110a).
  • the first lane sign 110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and is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ly, not only the higher first lane sign 110a is formed in the forward direction, but also rainwater is easily discharged along the inclined first lane sign 110a, so that the vehicle can easily check the first lane sign 110a. have.
  • a retro-reflective display layer 120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lane sign 110a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shape of the first lane sign 110a,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lane.
  • the first groove (100a) having the first lane marking surface (110a)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one side first groove (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of forming an interface 140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10 between 100a) and the other first groove 100a.
  • the first groove 100a on the one side and the first groove 100a on the other side gradually increase the groove depth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to form a first lane surface 110a having an inclined surface shape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 a display layer 120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shape of the first lane surface 110a is formed on the first lane surface 110a.
  • a boundary surface 140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1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groove 100a on the one side and the first groove 100a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boundary surface 140 becomes the pavement surface 10 of the road. Becomes.
  • boundary surface 140 may be a lane painted by a conventional road, etc., and the boundary surface 14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 pavement surface 10 of a road or a lane (not shown) painted with paint. .
  • the first groove (100a) having the first lane surface (110a)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 the arrangement unit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ane since the vertical length of the adjacent first groove 100a has a larger length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other first groove 100a. .
  • a drain groove 130 is form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one end.
  •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having a form in which the drainage groove 13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groove 100a and another first groove 100a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100a.
  • the drainage groove 13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one end of the first groove 100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100a, so that rainwater penetrating into the first groove 100a is transferred to the drainage groove 130. It is formed to face, and 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irst grooves 100a are formed, the drainage groove 130 extends between the other first grooves 100a adjacent to the first grooves 100a so that the other first grooves To form an integral drainage groove 130 in a form associated with the drainage groove 130 formed at one end of (100a).
  • the depth of the drainage groove 130 may have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depth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or may have a deeper depth.
  • the rainwater moves along the slope of the first lane surface 110a of the first groove 100a and the drainage groove 13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groove 100a
  • the rainwater is moved along the drainage groove 130 while penetrating into it, so that the surface of the first lane surface 110a of the first groove 100a always has an exposed form that is not locked due to rainwater.
  • the following lane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identifiable whe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because i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ane painted by the existing paint, that is, the road surface and locked by rain or the like.
  • FIG. 5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cut in a horizontal length, and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on which the inclined first lane surface 110a is formed is not formed in the lane, A first concave groove 100a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ane width is formed on the road surface 10 on which the lane is displayed,
  • the groove height increases, and the groove height increases toward both sides based on the length of the center.
  • a drainage groove 130 stepped inward in a straight length from a front central surface of the first groove 100a to a rear central surface of the drain groove 130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groove 100a Have depth,
  • a drainage groove 1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groove 100a and another first groove 100a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100a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age groove 130 of the first groove 100a.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 a first concave groove 100a corresponding to the lan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ane in which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is not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lane, but the first concave groove in an inclined shape whose height increase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 100a) In the form of an inner surface, while forming both sides of the inclined first groove 100a in which the groove length, that is, the height increases toward both ends based on the central length of the first groove 100a, Each of the first lane markings 110a is formed.
  •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is formed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and the drain groove (130) is formed in a straight vertical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end to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Is formed,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drain groove 130 is formed to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the rear end that is the maximum depth of the first groove (100a).
  • the drain grooves 130 are connect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concave grooves 100a and the other first concave grooves 100a adjacent to the first concave grooves 100a. A flow path through which rainwater moves is formed.
  • a retroreflective display layer 12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ane surface 110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ain groove 130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is formed on the road surface 10, which is a road surface on one side of the existing painted lane, or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the first lane marking surface (110a) and the display layer 120 are As the formed existing lane is formed,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may be formed in the road surface 10 that is a road surface on one side thereof.
  • a lane structure having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concave grooves 100b having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are arranged along the lane is formed as follows.
  •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in which the inclined first lane surface 110a is formed is not formed in the lane, and the inside longitudinal cross section is a hemispherical second lane
  • the second concave grooves 100b on which the cover surface 110b is formed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lanes spaced apart
  • a boundary surface 140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concave groove 100b and the second concave groove 100b adjacent to each other,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n which the display layer 12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lane sign 110b of the second groove 100b is provided.
  • the second concave grooves 100b are arranged in a plurality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lane and are spaced apar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lane, an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excitation shape.
  • a display layer 12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groove 100b, that is,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lane sign 110b in the for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it is always exposed when the driver is in excellent condition. ) Can be identified, and the boundary surface 140 may be a road surface 10 or an existing painted lane (not shown).
  • first concave groove (100a), the first lane surface (110a) and the display layer 120 may be formed in the lane where the second concave groove (100b) is formed.
  • a second concave groove 100b may be formed in the interface 140 formed between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and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adjacent to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 the first lane marking surface 110a of the first groove 100a is not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groove 100a ), the groove depth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first lane surface 110a having a sloped surface shape with a predetermined slope in connection with the road surface 10 To form,
  • a retroreflective display layer 12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hape of the first lane surface 110a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first lane surface 110a,
  • a road lan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n which a drainage groove 130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first groove 100a between the first groove 100a and another first groove 100a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100a Provides structure.
  • the first groove 100a is formed with the first groove 100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as the first groove 100a goe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roove 100a. If the groove depth is inclined to increase, the first groove (100a) forms a lane structure of the first groove (100a)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groove depth decreases from one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rst groove 100a to the other side, and 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roove 100a, that is, the other side at which the groove depth is gradually minimized It is formed so as to face the road surface 10 of the lane in the vehicle driving direction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it while driving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lane.
  • first groove 100a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lane sign 110a, and the display layer in the lane in which the horizontally inclined first groove 100a is formed. 120) may be formed, and at this time, a first concave groove 100a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rst concave groove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inte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adjacent to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100a) can be formed.
  • the display layer 120 formed on the first lane surface 110a is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ane surface 110a, that is, the groove depth of the first groove 100a. Is further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on the surface of the road surface 10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that is,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 the display layer 120 formed on the first lane sign 110a is connected to the adjacent road surface 10 to form the display layer 120 on the surface of the adjacent road surface 10.
  • first lane signs 110a having a symmetrical shap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groove 100a, and at this time, the first lane signs 110a and the first lane signs 110a
  •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surface 140 between the 1-lane signs 110a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height of the road surface 10,
  • the first lane surface 110a incli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both inner sides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symmetrically, and the first lane on one side of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 the boundary surface 140 between the sign surface 110a and the other first lane sign 110a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10.
  • Such a lane in which a pair of mutually symmetric first lane signs 110a is formed inside the first groove 100a may be applied to the center line of the road, and in particular, the driver of a vehicle running on a two-way lane of a curved section
  • the inclined first lane surface 110a can be easily identified.
  •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on which the inclined first lane surface 110a is formed is not formed in the lane, but is expanded to the front side of the lane, thereby expanding symmetrical types with each other.
  • a plurality of “V”-shaped third concave grooves 100c formed by the reference portion 102 at the rear center to which the opening 101 and the expansion portion 101 are intersected and connected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 the groove height increases and the groove height increases toward both sides based on the length of the center.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s provided in which a display layer 12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hape of the third lane sign 110c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lane sign 110c.
  • the third concave groove 100c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a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ne, and is an integral concave shape composed of an expansion portion 101 and a reference portion 102, and the overall shape is formed in a “V” shape.
  • the groove height increases and the groove height increases toward both sides based on the length of the center to form a third lane surface 110c having an inclined shape.
  • a retroreflective display layer 12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hird lane surface 110c, and a display layer is formed on the “V”-shaped third concave groove 100c and the third lane surface 110c. 120 is formed so that the reference portion 102 of the third groove 100c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third concave groove (100c) has a drain groove (130) formed between the neighboring other third concave groove (100c), the reference portion of the third concave groove (100c) (
  • the drainage groove 130 is formed so that the reference portion 102 of the other third groove 100c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so that rainwater is drained along the drainage groove 130 in case of rain, and the third groove 100c
  • the three-lane sign 110c is exposed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it.
  • the first concave groove 100a on which the inclined first lane marking surface 110a is formed is not formed in the lane, and a rectangular first groove 103 is formed in the lane.
  • the fourth lane surface (110d) is formed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groove (100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 a display layer 12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hape of the fourth lane sign 110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urth lane sign 110d,
  • a road lan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n which a fifth lane sign 110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road surface 10 is formed in proportion to the area of the second groove 104 and is located at the other front side of the first groove 103 Provides structure.
  • the fourth groove (100d) has an integral structure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103) and the second groove (104), and the first groove (103) has a rectangular shape and goes from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other side. While forming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groove depth gradually decreases, the second groove 104 is connected at a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groove 103 and extends in the anterior direction, so that the depth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other side.
  •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hape decreasing to is formed, and at this time, the first groove 103 and the second groove 104 have the same inclined shape in the inclined direction and shape, and at this time, the first groove 103 and the second groove 104 )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clined fourth lane surface 110d, and a retroreflective display layer 12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ourth lane surface 110d.
  • a fifth lane marking surface 110e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road surface is formed in proportion to the area of the second groove 104 by being located at the oth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first groove 103.
  • the depth of the groove decreases from one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ourth groove 110d to the other side, and 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groove 100d, that is, the other side whose groove depth is gradually minimized It is formed to face the lane surface 10 in the vehicle driving direction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identify it while driving alo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lane.
  • a display layer 120 is formed on the fifth lane surface 110e, which is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groove 104 of the fourth groove 100d, so that the fourth groove 100d
  • a display layer 120 is formed on the fifth lane surface 110e, which is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groove 104 of the fourth groove 100d, so that the fourth groove 100d
  • a road marking lay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display layer 120 is described as follows, and a road for improving a driver's ability to identify lanes, particularly at night or in rainy weather It provides a display layer composition.
  • the display layer 120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formed by melt-extruding a soft melt-type road sign composition including a binder resin, a filler, and an additive.
  • the binder resin 18 to 22 parts by weight of the binder resin, 76 to 8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an aggregate, a retroreflective agent, a colored pigment, and an extender pigment as the filler, and the additive is a plasticizer, a defoaming agent, a fluidizing agent, an anti-settling agent, and an antioxidant.
  • the binder resin is a road marking layer composition in which 76 to 82% by weight of a petroleum resin and 18 to 24% by weight of a rubber-silicone modified polyurethane resin are mixed.
  • the blending amount of the filler is preferably 76 to 82 parts by weight, and the filler is a mixture of 47 to 52% by weight of aggregate, 29 to 32% by weight of retroreflective, 9 to 12% by weight of colored pigment, and 10 to 15% by weight of extender pigment.
  • the additive is 3 to 9 parts by weight of a plasticizer, 2 to 4 parts by weight of a defoaming agent, 3 to 6 parts by weight of a fluidizing agent, 0.1 to 0.5 parts by weight of an antioxidant, and an anti-settling ag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iller 1 to 3 parts by weight are each mixed and used.
  • composition of the road marking layer is mixed and used in a weight ratio of 7:6 of the binder resin and the retroreflective agent, and the retroreflective agent is made of spherical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0 to 500 ⁇ m.
  • the retroreflective agent comprises at least one type of glass bea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nd translucent glass beads coated with monodispers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on the surface of the glass beads. It is used, and the weight ratio of the glass beads and the transparent glass beads is preferably mixed in a ratio of 1:1 to 3:1.
  •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re 20 to 50% by weight of TiO2, 15 to 50% by weight of BaO, 1 to 30% by weight of SiO2-Al2O3-CaO-B2O3-based glass cullet, 1 to 10 It may be a glass bead prepared by weight% SnO2, 0.1 to 10% by weight of Bi4Ti3O12, 0.1 to 10% by weight of SrTiO3, 0.1 to 10% by weight of Bi2O3, and 0.1 to 10% by weight of P2O5.
  • the retroreflective agent is used in a weight ratio of 1:0.2 to 0.5 of at least one glass bea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nd an auxiliary reflector
  • the auxiliary reflector is polyethylene (PE ), polypropylene (PP), polyvinyl chloride (PVC), polystyrene (PS), polyvinyl alcohol (PVA),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beads
  • the auxiliary reflector increases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binder resin, so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increased even in the aging of the lane, and not only has the property of retroreflective continuously, but also the glass beads are collected between the auxiliary reflectors.
  • the retroreflective role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 the retroreflective agent uses at least one glass bea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nd a spherical silicon ball in a weight ratio of 1: 0.4 to 0.8, and the silicon ball is a substrate of silicon.
  • a reflective layer is coated on the surface, and the reflective layer has improved functionality using any one selected from polyester resin-based paint, fluorine resin-based paint, melamine resin-based paint, acrylic resin-based paint, urethane resin-based paint, epoxy resin-based paint, and vinyl chloride resin-based paint.
  • the silicon ball has a longer condensing time than the glass bead after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so that the retroreflective time is extended while being irradiated to the glass bead adjacent to the silicon ball to increase the retroreflective force.
  • a reflective layer i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ilicon ball, and the silicon ball itself may be mixed with glass beads and used.
  • the retroreflective agent is at least one type of glass bea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a metal deposition film on the surface of the glass beads, an adhesive containing a filler having a high light reflectance, and a light reflectance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in which any one coating layer selected from 90% or more white coating agents is formed.
  • the metal catalyst used in the metal deposition film is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copper, nickel, gold, platinum, iron, tin, and iridium, and the adhesive containing the filler is zinc aluminum oxide, a filler having excellent radioactivity and durability.
  • the included adhesive is used, and the white coating agent is a white coating agent that colors polyester resin-based paint, fluorine resin-based paint, melamine resin-based paint, acrylic resin-based paint, urethane resin-based paint, epoxy resin-based paint, vinyl chloride resin-based paint, etc. use.
  • the retroreflective agen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2-BaO-SiO2-based glass beads, barium sulfate powder particles, or titanium dioxide powder particle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mixed with resin-based paint and immersed in foamed glass particles of 0.3 ⁇ 0.8mm, and it provides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composed of a reflective inducing agent made of spherical particles.
  • the weight ratio of the glass beads and the reflection inducing agent is mixed in a ratio of 1:1 to 3:1.
  • a road lane structure with improved functionality of forming a reflective layer by depositing any one metal selected from Al, Ag, Cu, Zn, or Sn o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glass bead or the reflection inducing agent is prov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선 및 주행차선 등 차량 운전자의 안전 운행 유도를 위한 본래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선의 식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특히 야간이나 우천시 재귀반사 기능을 극대화하고, 아울러 특히 우천시 수막 현상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함께 우수의 배수도 유도할 수 있으며, 졸음 예방 기능도 제공하여 안전 운행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선에 형성되도록 차선이 표시되는 도로면에 차선폭에 대응되는 폭의 제1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차선의 길이방향에 따라 상호 이웃하도록 다수 개로 배열되는 길이로 형성하되, 상기 제1요홈의 내부 표면이 가로길이방향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증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 표면 전체에 제1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재귀반사형의 표시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본 발명은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선 및 주행차선 등 차량 운전자의 안전 운행 유도를 위한 본래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선의 식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특히 야간이나 우천시 재귀반사 기능을 극대화하고, 아울러 특히 우천시 수막 현상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함께 우수의 배수도 유도할 수 있으며, 졸음 예방 기능도 제공하여 안전 운행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은 교통상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도로 이용자에게 규제 또는 지시의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중앙선, 차선, 황단보도, 방향지시, 안전지대 표시 등 다양한 종류로 표시된다.
한편, 종래의 차선은 포장된 도로 표면에 도료층의 접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접착제가 도포되게 하면서 황색, 청색, 또는 백색 등의 다양한 색상의 도료를 표시선에 따라 도색함에 의해 되는데, 이러한 경우, 도로의 짧은 작업시간 안에 끝마칠 수가 없었으며 도색된 차선이 자동차 바퀴와의 마찰에 의해 쉽게 마모되어 차선의 구별이 어렵게 되었으며, 특히 야간주행시나 우천주행시 식별력이 떨어지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주행중 파량의 바퀴에 의한 미끌림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으므로 야간 또는 우천시 주행속도와 바퀴의 마찰에 의해 가속과 미끌림이 한층 가해지므로 큰 교통사고의 요인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구체적으로 포장 도로의 일반적인 차선의 구조의 예를 들면 고속도로나 국도 및 지방도 등의 포장도로에는 상호 반대 차선의 차량의 중앙을 가르는 중앙선이나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차로선인 주행차선이 도색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 이러한 차선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이 되므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할 수가 있다.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차선은 다양한 합성수지 도료 혼합물, 유리가루, 돌가루, 석면 및 안료 등을 배합하여 한층 또는 둘 이상의 두꺼운 도료층을 도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도색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 포장도로의 차선을 도색하는 경우 도색한 차선들은 비 또는 눈으로 인하여 노면이 젖은 상태에서 차량의 야간 운행시, 도색된 차선에 수막이 형성되어 차선에 사용한 안료 및 유리가루의 반사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차선의 반사성이 감소되는 경우 운전자는 포장도로에 도색된 차선을 제대로 식별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교통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운전자의 안전 운행 유도를 위한 본래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선의 식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특히 야간이나 우천시 재귀반사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천시 수막 현상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의 배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에 졸음 예방 기능을 제공하여 안전 운행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의 내마모성, 빠른 작업성, 친환경적인 장점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취급이 간편하고, 용융에 의해 쉽게 도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차선구조의 표시층을 형성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선구조의 표시층이 수지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크랙이 발생되지 않고, 마모가 적으며, 결합 수지의 적정한 연성에 의해 재귀반사제의 투광유리비드를 응집하는 성질이 향상되어 야간 휘도를 장기간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하고, 용융이 가능하므로 가소성 방식으로 제조되며, 설치된 콘크리트 도로 또는 아스팔트 도로와 순간적으로 용융 결합됨으로써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며, 또한 미끄럼방지 효과가 높은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차로를 구분하도록 표시되는 차선에 있어서, 상기 차선에 형성되도록 차선이 표시되는 도로면에 차선폭에 대응되는 폭의 제1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차선의 길이방향에 따라 상호 이웃하도록 다수 개로 배열되는 길이로 형성하되, 상기 제1요홈의 내부 표면이 가로길이방향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증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 표면 전체에 제1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재귀반사형의 표시층을 형성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차선표지면을 가진 제1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1요홈과 타측 제1요홈 사이에 도로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형성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차선표지면을 가진 제1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1요홈의 세로길이가 타측 제1요홈의 세로길이에 비해 더 큰 길이를 가진 배열 단위를 가지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열 단위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요홈의 일측단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단의 세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1요홈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에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 사이로 배수홈이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1요홈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이 표시되는 도로면에 차선폭에 대응되는 폭의 제1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의 내부 표면이 후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면서 중앙의 길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의 전측 중앙 일면에서 후측 중앙 일면까지 직선 길이로 내측으로 단차진 배수홈이 형성되면서 제1요홈의 후측단 깊이에 대응되는 배수홈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에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 사이로 배수홈이 형성되어 제1요홈의 배수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1요홈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내부의 세로길이 단면이 반구형태의 제2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2요홈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차선에 배열되며,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2요홈과 타측 제2요홈 사이에 도로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요홈의 제2차선표지면 전측에 표시층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요홈의 제1차선표지면이 가로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1요홈의 내부 표면이 세로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감소하여 도로면과 연계되는 형태의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 표면 전체에 제1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재귀반사형의 표시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을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 사이에 상호 제1요홈을 연통하도록 배수홈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요홈의 양측에 서로 좌우 대칭형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차선표지면과 제1차선표지면 사이의 경계면 상면이 도로면의 표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 각각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경계면 상면에 연계되는 표시층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1요홈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에 전측으로 확개되면서 서로 대칭형의 확개부와 상기 확개부가 교차되어 연계되는 후측 중앙의 기준부로 형성되는 “V”형의 제3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다수 개로 배열되되, 상기 제3요홈의 내부 표면이 후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면서 중앙의 길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3차선표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3차선표지면의 표면에 제3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표시층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1요홈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에 직사각형의 제1홈과 상기 제1홈에 연계되면서 제1홈의 전측 일부가 직사각형으로 더 연장된 제2홈이 형성되는 제4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다수 개로 배열되되, 상기 제4요홈의 내부 표면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제4차선표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4차선표지면의 표면에 제4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표시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의 전측 타부에 위치하여 제2홈의 면적에 비례하면서 도로면과 같은 높이를 가진 제5차선표지면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표시층은 바인더 수지와, 골재, 재귀반사제, 유색 안료, 체질 안료를 혼합한 충전재 및, 가소제, 소포제,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성의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상기 유리비드의 표면에 단분산성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코팅한 투광유리비드를 사용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보조반사제를 1 : 0.2~0.5의 중량비로 사용되며, 상기 보조반사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비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구형의 실리콘 볼을 1 : 0.4~0.8의 중량비로 사용하며, 상기 실리콘 볼은 실리콘의 기재 표면에 반사층이 코팅되며, 상기 반사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불소 수지계 도료, 멜라민 수지계 도료, 아크릴 수지계 도료, 우레탄 수지계 도료, 에폭시 수지계 도료, 염화비닐 수지계 도료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이며, 상기 유리비드 표면에 금속증착 필름, 광반사율이 높은 필러가 포함된 접착제, 광반사율이 90%이상인 백색 코팅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코팅층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황산바륨 분말입자 또는 이산화티탄 분말입자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또는 불소 수지계 도료에 혼합하여 0.3~0.8mm의 발포유리입자에 침지 후 구형의 입자로 제작된 반사유도제로 구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에 의하면, 차량 운전자의 안전 운행 유도를 위한 본래의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선의 식별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특히 야간이나 우천시 재귀반사기능을 극대화하며, 우천시 수막 현상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의 배수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차선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선구조를 형성하는 표시층이 기존의 융착식 도로표지용 도료의 내마모성, 빠른 작업성, 친환경적인 장점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취급이 간편하고, 용융에 의해 쉽게 도로에 적용하며, 수지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크랙이 발생되지 않고, 마모가 적으며, 결합 수지의 적정한 연성에 의해 재귀반사제의 투광유리비드를 응집하는 성질이 향상되어 야간 휘도를 장기간 유지하는 기능을 발휘하고, 용융이 가능하므로 가소성 방식으로 제조되며, 설치된 콘크리트 도로 또는 아스팔트 도로와 순간적으로 용융 결합됨으로써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며, 또한 미끄럼방지 효과가 높은 차선구조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제1요홈이 적용된 차로의 도로면 차선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A-A부위의 세로길이로 절개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이격된 동일 세로길이를 가진 제1요홈이 형성된 구조를 세로길이로 절개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a), 이격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제1요홈이 형성된 구조를 세로길이로 절개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b) 및, 이격된 다수 개의 제2요홈이 형성된 구조를 세로길이로 절개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c).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제1요홈 일측에 배수홈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양측에 제1요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로길이로 절개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제1요홈이 가로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가로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진 제1요홈 일측에 배수홈이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B-B부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a), B-B부위의 단면에서 제1요홈 타측의 도로면에 표시층이 형성된 단면 도면(b) 및 양측에 제1요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로방향으로 절개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c).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제3요홈이 이 적용된 차로의 도로면 차선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제3요홈이 형성된 도로면의 평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제3요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표현된 평면 도면.
도 12는 도 10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C-C부위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제4요홈이 적용된 차로의 도로면 차선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제4요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표현된 평면 도면.
도 15는 도 14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의 차선구조에서 D-D부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a)과 E-E부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b).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로 차선구조는 도로상의 차량 진행에 따른 차로를 구분하도록 표시하는 차선, 차량의 잠재적인 위험지역임을 표시하는 노면에 표시하는 노면표지 또는 보행자가 횡단하도록 표시된 횡단보도 등이 도로표지선으로 통칭하여 차선구조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로의 차로를 구분하도록 차선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로표지선의 노면표지 또는 횡단보도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차로를 구분하도록 표시되는 차선(미도시)에 있어서, 상기 차선이 표시되는 도로면에 차선폭에 대응되는 폭의 제1요홈(100a)이 차선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차선의 길이방향에 따라 상호 이웃하도록 다수 개로 배열되는 길이로 형성하되, 상기 제1요홈(100a)의 내부 표면이 가로길이방향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증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11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 표면 전체에 제1차선표지면(110a)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재귀반사형의 표시층(120)을 형성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로 차선구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면에 요입된 제1요홈(100a), 상기 제1요홈(100a) 내부 표면의 제1차선표지면(110a) 그리고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 표면에 형성된 표시층(120)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차선구조는 미도시되었지만 종래의 도색된 차선에 적용되거나 도로면에 도색되지 않은 차선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차선구조를 제공하며, 이하 서술되는 차선은 상기 차선의 양쪽 모두를 적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차선은 도로 포장면에 차로를 구분하도록 표시하도록 도료 등에 의해 도색된 차선인 것으로서, 상기 차선은 차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대응되는 길이 또는 차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상호 이웃하도록 다수 개로 배열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차선에 형성되거나 차선이 형성될 도로의 포장면인 도로면(10)에 형성되면서 차선의 폭과 길이에 대응되도록 도로의 포장면(10)에 단차지도록 요입된 형태의 제1요홈(10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요홈(100a)의 내부 표면이 가로길이방향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증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11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경사진 표면형태는 제1차선표지면(110a)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진행되는 방향으로 차량이 진행 즉, 주행방향이 되어 우천시 상기 제1차선표지선(110a)의 전측이 먼저 식별 및 확인되어 차선임을 확인하여 안전한 주행방향을 유도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차선의 경우 도로면(10)에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우천시 차선이 빗물에 잠겨 차선을 식별하기 어려우나, 본 발명의 제1차선표지면(110a)은 경사진 형태이면서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전진방향으로 갈수록 높은 제1차선표지면(110a)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빗물이 경사진 제1차선표지면(110a)을 따라 쉽게 배출되어 차량이 쉽게 제1차선표지면(110a)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제1차선표지면(110a) 상면에 재귀반사형의 표시층(120)이 형성되어 차량 운전자가 쉽게 차선임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을 가진 제1요홈(100a)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1요홈(100a)과 타측 제1요홈(100a) 사이에 도로면(10)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계면(140)을 형성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일측 제1요홈(100a)과 타측 제1요홈(100a)은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증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11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에 표면에 제1차선표지면(110a)의 표면형태에 대응되는 표시층(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 제1요홈(100a)과 타측 제1요홈(100a) 사이에 도로면(10)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계면(140)이 형성되어 상기 경계면(140)이 도로의 포장면(10)이 된다.
또한, 상기 경계면(140)이 종래의 도로 등에 의해 도색된 차선일 수 있으며, 후술되는 경계면(140)은 도로의 포장면(10) 또는 도료 등이 도색된 차선(미도시)일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을 가진 제1요홈(100a)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1요홈(100a)의 세로길이가 타측 제1요홈(100a)의 세로길이에 비해 더 큰 길이를 가진 배열 단위를 가지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열 단위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요홈(100a)의 일측단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단의 세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1요홈(100a)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배수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100a)과 상기 제1요홈(100a)에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100a) 사이로 배수홈(130)이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배수홈(130)은 제1요홈(100a)의 일측단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면서 제1요홈(100a)에 연계되어 제1요홈(100a)에 스며든 빗물이 배수홈(130)으로 향하도록 형성하며, 이때 이격된 다수 개의 제1요홈(100a)이 형성될 경우 상기 제1요홈(100a)에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100a) 사이로 배수홈(130)이 연장되어 다른 제1요홈(100a)의 일측단에 형성된 배수홈(130)과 연계된 형태의 일체의 배수홈(130)을 형성한다.
그리고, 배수홈(130)의 깊이는 제1요홈(100a)의 최대 깊이에 대응되는 깊이를 가지거나 더 깊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배수홈(130)이 형성됨에 따라 제1요홈(100a)의 제1차선표지면(110a) 표면 경사면을 따라 빗물이 이동하면서 제1요홈(100a) 일측단에 연계된 배수홈(130)에 스며들면서 배수홈(130)을 따라 빗물이 이동되어 제1요홈(100a)의 제1차선표지면(110a)의 표면은 항상 빗물로 인한 잠겨지지 않은 노출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기존의 도료 등에 의해 도색된 차선에 일측 즉, 노면에 형성되어 우수 등에 의해 차선이 잠겨 식별이 어려울 경우 식별가능하도록 다음과 같은 차선구조가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가로길이로 절개된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110a)이 형성된 제1요홈(100a)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이 표시되는 도로면(10)에 차선폭에 대응되는 폭의 제1요홈(10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100a)의 내부 표면이 후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면서 중앙의 길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110a)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100a)의 전측 중앙 일면에서 후측 중앙 일면까지 직선 길이로 내측으로 단차진 배수홈(130)이 형성되면서 제1요홈(100a)의 후측단 깊이에 대응되는 배수홈(130)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1요홈(100a)과 상기 제1요홈(100a)에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100a) 사이로 배수홈(130)이 형성되어 제1요홈(100a)의 배수홈(130)과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차선에 제1요홈(100a)이 형성되지 않은 차선 일측에 상기 차선에 대응되는 제1요홈(100a)이 형성하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1요홈(100a) 내부 표면을 형상하되, 상기 제1요홈(100a)의 중앙 길이를 기준으로 양측단으로 갈수록 홈 길이 즉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1요홈(100a)의 양측면을 형성하면서 그 표면에 각각 제1차선표지면(110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요홈(100a)이 차선의 세로방향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1요홈(100a)의 전측단 중앙에서 후측단 중앙까지의 직선 세로길이로 내측에 배수홈(130)이 형성되며, 이때 배수홈(130)의 깊이는 제1요홈(100a)의 최대 깊이인 후측단 깊이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요홈(100a)이 다수 개로 이격되게 배열시 제1요홈(100a)과 상기 제1요홈(100a)에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100a) 사이로 배수홈(130)이 연통 연결되어 빗물이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요홈(100a)의 배수홈(130)을 기준으로 양측 표면에 형성된 제1차선표지면(110a) 표면에 재귀반사형의 표시층(1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요홈(100a)이 기존의 도색된 차선 일측 노면인 도로면(10)에 형성되거나 상술한 제1요홈(100a), 제1차선표지면(110a) 및 표시층(120)이 형성된 기존의 차선이 형성되면서 그 일측의 노면인 도로면(10)에 상기 제1요홈(10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차선이 세로방향의 직사각형의 형태라면, 차선에 따라 단면이 반구형의 제2요홈(100b)이 다수 개로 배열되는 형태를 가진 차선구조를 하기와 같이 형성된다.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110a)이 형성된 제1요홈(100a)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내부의 세로길이 단면이 반구형태의 제2차선표지면(110b)이 형성된 제2요홈(100b)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차선에 배열되며,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2요홈(100b)과 타측 제2요홈(100b) 사이에 도로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계면(140)을 형성하며,
상기 제2요홈(100b)의 제2차선표지면(110b) 전측에 표시층(120)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2요홈(100b)은 차선 가로폭에 대응되는 가로폭을 가지면서 차선의 방향에 따라 이격되게 다수 개로 배열되며, 단면이 반구형의 가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요홈(100b)의 전측 즉, 차량의 주행방향에 대응되는 전진방향의 제2차선표지면(110b) 전측에 표시층(120)이 형성되어 우수시 항상 노출되어 운전자가 표시층(120)을 식별가능하게 하며, 상기 경계면(140)은 도로면(10)이거나 기존의 도색된 차선(미도시)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제2요홈(100b)이 형성된 차선에 상술한 제1요홈(100a), 제1차선표지면(110a) 및 표시층(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요홈(100a)과 상기 제1요홈(100a)을 이웃하는 제1요홈(100a) 사이에 형성된 경계면(140)에 제2요홈(100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요홈(100a)의 제1차선표지면(110a)이 세로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1요홈(100a)의 내부 표면이 가로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감소하여 도로면(10)과 연계되는 형태의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11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 표면 전체에 제1차선표지면(110a)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재귀반사형의 표시층(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100a)과 상기 제1요홈(100a)을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100a) 사이에 상호 제1요홈(100a)을 연통하도록 배수홈(130)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가 상기 제1요홈(100a)이 차선의 세로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세로길이방향의 제1요홈(100a)이 형성되면서 제1요홈(100a)의 세로길이방향에 따라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홈 깊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라면, 상기 제1요홈(100a)이 가로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제1요홈(100a)의 차선구조를 형성한다.
즉, 제1요홈(100a)의 가로길이방향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홈 깊이가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며, 이때 제1요홈(100a)의 타측면 즉, 홈 깊이가 점진적으로 최소가 되는 타측면이 차량 주행방향의 차로의 도로면(10)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운전자가 차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쉽게 식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가로방향의 경사진 제1요홈(100a)이 형성된 차선에 상술한 세로방향으로 경사진 제1요홈(100a), 제1차선표지면(110a) 및 표시층(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세로방향으로 경사진 제1요홈(100a)과 상기 제1요홈(100a)을 이웃하는 제1요홈(100a) 사이에 형성된 경계면에 가로방향으로 경사진 제1요홈(100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에 형성된 표시층(120)이 제1차선표지면(110a) 타측단 즉, 제1요홈(100a)의 홈 깊이가 최소인 제1요홈(100a)의 타측인 타측단에 인접한 도로면(10) 표면에 소정의 폭으로 더 형성되며, 즉 제1요홈(100a)의 타측단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타측단에 인접한 도로면(10)에 제1차선표지면(110a)에 형성된 표시층(120)이 연계되어 인접한 도로면(10) 표면에 표시층(120)이 형성된다.
또한, 도 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요홈(100a)의 양측에 서로 좌우 대칭형의 제1차선표지면(110a)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과 제1차선표지면(110a) 사이의 경계면(140) 상면이 도로면(10)의 표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110a) 각각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경계면(140) 상면에 연계되는 표시층(120)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1요홈(100a)의 내부 양측에 가로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제1차선표지면(110a)이 좌우대칭으로 제1요홈(100a) 양측에 형성되면서 제1요홈(100a)의 일측 제1차선표지면(110a)과 타측 제1차선표지면(110a) 사이의 경계면(140)이 도로면(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요홈(100a)의 내부에 상호 좌우대칭의 제1차선표지면(110a) 한 쌍이 형성된 차선은 도로의 중앙선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곡선구간의 양방향 차로에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경사진 제1차선표지면(110a)을 쉽게 확인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110a)이 형성된 제1요홈(100a)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에 전측으로 확개되면서 서로 대칭형의 확개부(101)와 상기 확개부(101)가 교차되어 연계되는 후측 중앙의 기준부(102)로 형성되는 “V”형의 제3요홈(100c)이 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다수 개로 배열되되, 상기 제3요홈(100c)의 내부 표면이 후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면서 중앙의 길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3차선표지면(110c)이 형성되며,
상기 제3차선표지면(110c)의 표면에 제3차선표지면(110c)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표시층(120)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3요홈(100c)은 차선의 세로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확개부(101)와 기준부(102)로 구성되는 일체 요입형태로서 전체적인 형태가 “V”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요홈(100c)의 내부 표면이 후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면서 중앙의 길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3차선표지면(110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3차선표지면(110c)의 표면에 재귀반사형의 표시층(120)이 형성되며, 상기 “V”형의 제3요홈(100c) 제3차선표지면(110c)에 표시층(120)이 형성되어 제3요홈(100c)의 기준부(102)가 차량의 진행방향의 전측에 형성됨으로서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쉽게 식별하게 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요홈(100c)은 이웃하는 다른 제3요홈(100c) 사이에 배수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제3요홈(100c)의 기준부(102)와 다른 제3요홈(100c)의 기준부(102) 사이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수홈(130)이 형성되어 우수시 빗물이 배수홈(130)을 따라 배수되어 제3요홈(100c)의 제3차선표지면(110c)이 노출되어 운전자가 쉽게 식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110a)이 형성된 제1요홈(100a)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에 직사각형의 제1홈(103)과 상기 제1홈(103)에 연계되면서 제1홈(103)의 전측 일부가 직사각형으로 더 연장된 제2홈(104)이 형성되는 제4요홈(100d)이 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다수 개로 배열되되, 상기 제4요홈(100d)의 내부 표면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제4차선표지면(110d)이 형성되고,
상기 제4차선표지면(110d)의 표면에 제4차선표지면(110d)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표시층(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103)의 전측 타부에 위치하여 제2홈(104)의 면적에 비례하면서 도로면(10)과 같은 높이를 가진 제5차선표지면(110e)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제4요홈(100d)은 제1홈(103)과 제2홈(104)으로 연결된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홈(103)은 직사각형의 형태로서 가로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홈 깊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의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제2홈(104)은 제1홈(103)의 전측단 일부에서 연결되어 전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가로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되며, 이때 제1홈(103)과 제2홈(104)의 경사진 방향과 형태로 동일한 경사형태를 가지며, 이때 제1홈(103)과 제2홈(104)의 표면에 경사진 형태의 제4차선표지면(110d)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제4차선표지면(110d) 표면에 재귀반사형의 표시층(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홈(103)의 전측단 타부에 위치하여 제2홈(104)의 면적에 비례하면서 도로면과 같은 높이를 가진 제5차선표지면(110e)이 형성된다.
이에, 제4요홈(110d)의 가로길이방향인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홈 깊이가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며, 이때 제4요홈(100d)의 타측면 즉, 홈 깊이가 점진적으로 최소가 되는 타측면이 차량 주행방향의 차로면(10)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운전자가 차로의 주행방향을 따라 주행하면서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14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4요홈(100d)의 제2홈(104) 타부인 제5차선표지면(110e)에 표시층(120)이 형성되어 제4요홈(100d)의 표시층(120)과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어 야간 주행시 차선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표시층(120)을 구성하는 도로표시층 조성물을 하기와 같이 서술하며,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의 식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히 야간이나 우천 시에 더욱 명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로표시층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층(120)은 바인더 수지, 충전재,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성의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 18~22중량부, 상기 충전재는 골재, 재귀반사제, 유색 안료, 체질 안료를 혼합한 76~80중량부, 상기 첨가제는 가소제, 소포제,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2~6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인더 수지는 석유수지 76~82중량%와 고무-실리콘 변성 폴리우레탄 수지 18~24중량%를 혼합한 도로표시층 조성물을 사용한다.
상기 충전재의 배합량은 76~82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상기 충전재는 골재 47~52중량%, 재귀반사제 29~32중량%, 유색 안료 9~12중량%, 체질 안료 10~15중량%를 혼합하며, 상기 첨가제는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 3~9중량부, 소포제 2~4중량부, 유동화제 3~6중량부, 산화방지제 0.1~0.5중량부, 상기 충전재 100중량부에 대하여 침강방지제 1~3중량부를 각각 혼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도로표시층의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와 재귀반사제의 중량비가 7 : 6으로 혼합 사용하게 되며, 이때 재귀반사제는 200~500㎛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구형입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상기 유리비드의 표면에 단분산성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코팅한 투광유리비드를 사용하며, 상기 유리비드와 투광유리비드의 중량비가 1:1 내지 3:1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O2-BaO-SiO2계 유리비드는 20 내지 50 중량%의 TiO2, 15 내지 50 중량%의 BaO, 1 내지 30 중량%의 SiO2-Al2O3-CaO-B2O3계의 유리조각(glass cullet), 1 내지 10 중량%의 SnO2, 0.1 내지 10 중량%의 Bi4Ti3O12, 0.1 내지 10 중량%의 SrTiO3, 0.1 내지 10 중량%의 Bi2O3, 및 0.1 내지 10 중량%의 P2O5를 포함하여 제조된 유리비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보조반사제를 1 : 0.2~0.5의 중량비로 사용되며, 상기 보조반사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비드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며, 상기 보조반사제를 혼합함으로서 보조반사제는 바인더 수지와 결합력이 증가되어 차선의 노후에도 점착력이 증대된 형태로 결합되어 재귀반사의 성질을 지속적으로 가질 뿐만 아니라 보조반사제들 사이에 유리비드를 포집된 형태로 결합되어 재귀반사 역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구형의 실리콘 볼을 1 : 0.4~0.8의 중량비로 사용하며, 상기 실리콘 볼은 실리콘의 기재 표면에 반사층이 코팅되며, 상기 반사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불소 수지계 도료, 멜라민 수지계 도료, 아크릴 수지계 도료, 우레탄 수지계 도료, 에폭시 수지계 도료, 염화비닐 수지계 도료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실리콘 볼은 광원이 조사된 후 집광시간이 유리비드에 비해 길어 재귀반사의 시간을 연장시키면서 실리콘 볼에 인접한 유리비드로 조사되어 재귀반사력을 증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 볼의 표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지 않고 실리콘 볼 자체만으로 유리비드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이며, 상기 유리비드 표면에 금속증착 필름, 광반사율이 높은 필러가 포함된 접착제, 광반사율이 90%이상인 백색 코팅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코팅층이 형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금속증착 필름에 사용되는 금속촉매는 구리, 니켈, 금, 백금, 철, 주석 및 이리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러가 포함된 접착제는 방사성능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필러인 아연알루미늄산화물이 포함된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며, 상기 백색 코팅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불소 수지계 도료, 멜라민 수지계 도료, 아크릴 수지계 도료, 우레탄 수지계 도료, 에폭시 수지계 도료, 염화비닐 수지계 도료 등을 흰색으로 착색하는 백색 코팅제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황산바륨 분말입자 또는 이산화티탄 분말입자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또는 불소 수지계 도료에 혼합하여 0.3~0.8mm의 발포유리입자에 침지 후 구형의 입자로 제작된 반사유도제로 구성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유리비드와 반사유도제의 중량비가 1:1 내지 3:1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광유리비드 또는 반사유도제의 표면에 Al, Ag, Cu, Zn 또는 S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증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기에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차로를 구분하도록 표시되는 차선에 있어서,
    상기 차선에 형성되도록 차선이 표시되는 도로면에 차선폭에 대응되는 폭의 제1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차선의 길이방향에 따라 상호 이웃하도록 다수 개로 배열되는 길이로 형성하되, 상기 제1요홈의 내부 표면이 가로길이방향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증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 표면 전체에 제1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재귀반사형의 표시층을 형성하되,
    상기 표시층은 바인더 수지와, 골재, 재귀반사제, 유색 안료, 체질 안료를 혼합한 충전재 및, 가소제, 소포제,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성의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되며, 이때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이산화티탄 분말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또는 불소 수지계 도료에 혼합하여 0.3~0.8mm의 발포유리입자에 침지 후 구형의 입자로 제작된 반사유도제로 구성되되, 상기 반사유도제의 표면에 Ag, Cu, Zn 또는 S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증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유리비드와 반사유도제의 중량비가 1:1 내지 3:1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선표지면을 가진 제1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1요홈과 타측 제1요홈 사이에 도로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선표지면을 가진 제1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다수 개로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1요홈의 세로길이가 타측 제1요홈의 세로길이에 비해 더 큰 길이를 가진 배열 단위를 가지어 차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열 단위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홈의 일측단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단의 세로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1요홈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에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 사이로 배수홈이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1요홈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이 표시되는 도로면에 차선폭에 대응되는 폭의 제1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요홈의 내부 표면이 후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면서 중앙의 길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차선표지면 표면에 재귀반사형의 표시층이 형성되되, 상기 표시층은 바인더 수지와, 골재, 재귀반사제, 유색 안료, 체질 안료를 혼합한 충전재 및, 가소제, 소포제,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성의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되며, 이때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이산화티탄 분말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또는 불소 수지계 도료에 혼합하여 0.3~0.8mm의 발포유리입자에 침지 후 구형의 입자로 제작된 반사유도제로 구성되되, 상기 반사유도체의 표면에 Ag, Cu, Zn 또는 S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증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유리비드와 반사유도체의 중량비가 1:1 내지 3:1로 혼합되며,
    상기 제1요홈의 전측 중앙 일면에서 후측 중앙 일면까지 직선 길이로 내측으로 단차진 배수홈이 형성되면서 제1요홈의 후측단 깊이에 대응되는 배수홈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에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 사이로 배수홈이 형성되어 제1요홈의 배수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1요홈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내부의 세로길이 단면이 반구형태의 제2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2요홈이 이격되게 다수 개로 차선에 배열되며,
    서로 이웃하는 일측 제2요홈과 타측 제2요홈 사이에 도로면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계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요홈의 제2차선표지면 전측에 표시층이 형성되되, 상기 표시층은 바인더 수지와, 골재, 재귀반사제, 유색 안료, 체질 안료를 혼합한 충전재 및, 가소제, 소포제,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성의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되며, 이때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이산화티탄 분말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또는 불소 수지계 도료에 혼합하여 0.3~0.8mm의 발포유리입자에 침지 후 구형의 입자로 제작된 반사유도제로 구성되되, 상기 반사유도체의 표면에 Ag, Cu, Zn 또는 S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증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유리비드와 반사유도체의 중량비가 1:1 내지 3:1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홈의 제1차선표지면이 세로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제1요홈의 내부 표면이 가로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홈 깊이가 감소하여 도로면과 연계되는 형태의 소정의 기울기를 가진 경사진 표면 형태를 가진 제1차선표지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 표면 전체에 제1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재귀반사형의 표시층이 형성되되, 상기 표시층은 바인더 수지와, 골재, 재귀반사제, 유색 안료, 체질 안료를 혼합한 충전재 및, 가소제, 소포제,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성의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되며, 이때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이산화티탄 분말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또는 불소 수지계 도료에 혼합하여 0.3~0.8mm의 발포유리입자에 침지 후 구형의 입자로 제작된 반사유도제로 구성되되, 상기 반사유도체의 표면에 Ag, Cu, Zn 또는 S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증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유리비드와 반사유도체의 중량비가 1:1 내지 3:1로 혼합되며,
    상기 제1요홈과 상기 제1요홈을 이웃하는 다른 제1요홈 사이에 상호 제1요홈을 연통하도록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선표지면에 형성된 표시층이 제1차선표지면 타측단에 인접한 도로면 표면에 소정의 폭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요홈의 양측에 서로 좌우 대칭형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차선표지면과 제1차선표지면 사이의 경계면 상면이 도로면의 표면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차선표지면 각각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경계면 상면에 연계되는 표시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1요홈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에 전측으로 확개되면서 서로 대칭형의 확개부와 상기 확개부가 교차되어 연계되는 후측 중앙의 기준부로 형성되는 “V”형의 제3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다수 개로 배열되되, 상기 제3요홈의 내부 표면이 후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면서 중앙의 길이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홈 높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형태의 제3차선표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3차선표지면의 표면에 제3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표시층이 형성되되,
    상기 표시층은 바인더 수지와, 골재, 재귀반사제, 유색 안료, 체질 안료를 혼합한 충전재 및, 가소제, 소포제,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성의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되며, 이때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이산화티탄 분말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또는 불소 수지계 도료에 혼합하여 0.3~0.8mm의 발포유리입자에 침지 후 구형의 입자로 제작된 반사유도제로 구성되되, 상기 반사유도체의 표면에 Ag, Cu, Zn 또는 S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증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유리비드와 반사유도체의 중량비가 1:1 내지 3:1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요홈은 이웃하는 다른 제3요홈 사이에 배수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3요홈의 기준부와 다른 제3요홈의 기준부 사이가 서로 연통되도록 배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형태의 제1차선표지면이 형성된 제1요홈이 차선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차선에 직사각형의 제1홈과 상기 제1홈에 연계되면서 제1홈의 전측 일부가 직사각형으로 더 연장된 제2홈이 형성되는 제4요홈이 차선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웃하게 다수 개로 배열되되, 상기 제4요홈의 내부 표면이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제4차선표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4차선표지면의 표면에 제4차선표지면의 경사진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표시층이 형성되되, 상기 표시층은 바인더 수지와, 골재, 재귀반사제, 유색 안료, 체질 안료를 혼합한 충전재 및, 가소제, 소포제, 유동화제, 침강방지제, 산화방지제를 혼합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연성의 용융형 도로표지용 조성물을 용융 압출하여 형성되며, 이때 상기 재귀반사제는 TiO2-BaO-SiO2계 유리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리비드와 이산화티탄 분말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수지계 도료 또는 불소 수지계 도료에 혼합하여 0.3~0.8mm의 발포유리입자에 침지 후 구형의 입자로 제작된 반사유도제로 구성되되, 상기 반사유도체의 표면에 Ag, Cu, Zn 또는 S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을 증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면서 상기 유리비드와 반사유도체의 중량비가 1:1 내지 3:1로 혼합되며,
    상기 제1홈의 전측 타부에 위치하여 제2홈의 면적에 비례하면서 도로면과 같은 높이를 가진 제5차선표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요홈의 제2홈 타부인 제5차선표지면에 표시층이 형성되어 제4요홈의 표시층과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PCT/KR2020/006671 2019-06-09 2020-05-22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WO20202511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653A KR102088463B1 (ko) 2019-06-09 2019-06-09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KR10-2019-0067653 2019-06-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184A1 true WO2020251184A1 (ko) 2020-12-17

Family

ID=7046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6671 WO2020251184A1 (ko) 2019-06-09 2020-05-22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8463B1 (ko)
WO (1) WO20202511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463B1 (ko) * 2019-06-09 2020-04-24 (주)이티아이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306A (ja) * 1995-01-17 1996-07-30 Hiroyuki Sakami ガラス粒子固着による反射型アスファルト舗装道路
KR100935412B1 (ko) * 2009-06-12 2010-01-06 의왕개발 주식회사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85711A (ko) * 2010-01-21 2011-07-27 이상헌 도로주행 주의환기를 위한 요철
KR20110101394A (ko) * 2010-03-08 2011-09-16 지티건설(주)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KR101974029B1 (ko) * 2018-09-21 2019-04-30 주식회사 퍼블릭아이디 도로 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표시선 시공방법
KR102088463B1 (ko) * 2019-06-09 2020-04-24 (주)이티아이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127B1 (ko) 2006-06-23 2006-12-20 거호건설(주) 도로의 차선 식별력 향상공법 및 도로의 구조
KR101028624B1 (ko) 2008-06-16 2011-04-11 한국도로공사 도로의 차선구조
KR100919895B1 (ko) 2008-10-29 2009-10-05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차선 안내가 가능한 도로구조
KR20120006646A (ko) * 2010-07-13 2012-01-19 주식회사 크리오텍 내구성 및 재귀반사도가 우수한 불균일 재귀 반사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220813B1 (ko) * 2010-08-09 2013-01-11 김용구 글래스 비드와 글래스 비드 제조 방법
KR101028797B1 (ko) * 2010-09-20 2011-04-12 주식회사 한우 친환경 기능성 오염방지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5595A (ko) * 2015-03-27 2016-10-06 김영상 차선용 재귀반사 조성물의 미끄럼 방지 코팅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306A (ja) * 1995-01-17 1996-07-30 Hiroyuki Sakami ガラス粒子固着による反射型アスファルト舗装道路
KR100935412B1 (ko) * 2009-06-12 2010-01-06 의왕개발 주식회사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85711A (ko) * 2010-01-21 2011-07-27 이상헌 도로주행 주의환기를 위한 요철
KR20110101394A (ko) * 2010-03-08 2011-09-16 지티건설(주)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KR101974029B1 (ko) * 2018-09-21 2019-04-30 주식회사 퍼블릭아이디 도로 노면 표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노면 표시선 시공방법
KR102088463B1 (ko) * 2019-06-09 2020-04-24 (주)이티아이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463B1 (ko)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9607A (en) Roadway surface marking, and marked road
US20180142435A1 (en) Preform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and Method Utilizing Large Aggregate for Improved Skid Resistance and Reduced Tire Tracking
KR100832922B1 (ko) 도로표지용 융착식 도료 조성물
US5456546A (en) Reflective bodie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to be applied on traffic surfaces or traffic guiding surfaces
US20110059295A1 (en)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with improve performance in wet night conditions
WO1993017187A1 (en) Yellow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s
US20100055374A1 (en) Retroflective pavement markers for wet weather
KR100740296B1 (ko) 노면표시용 열가소성 핫멜트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4069787A (en) Direction-indicating surface marker and the like
US20150140294A1 (en) Preform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and Method for High Skid Resistance with Maintained High Retroreflectivity
KR100316083B1 (ko) 미끄럼방지도로의시공방법
US4772155A (en) Safety roadway delineator effective during rain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WO2020251184A1 (ko) 기능성이 향상된 도로 차선구조
US6225371B1 (en) Reflective thoroughfare pavements or related elements, and corresponding composition
US5049001A (en) Safety roadway delineator effective during rain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US20030012599A1 (en) Markings on roads with a fixed road surface, such as asphalt, concrete or the like for motor vehicles
CN104011296B (zh) 用于跑道应用的防滑高回归反射率预成型热塑性标识
KR101044311B1 (ko) 재귀반사성이 양호한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0180945B1 (ko) 포장도로의 도로표지방법
CA1222157A (en) Sheet material marker surface for roadways and the like
KR100298684B1 (ko) 기능성노면교통표시시공방법
CA2963559A1 (en) Preformed thermoplastic pavement marking and method for high skid resistance with maintained high retroreflectivity
US20220098123A1 (en) Marking trafficked pavement substrates using a dry polymer modified cement
JPH0881920A (ja) 光反射型舗装方法
WO2020111334A1 (ko) 야간 우천시 반사율이 우수한 내마모성 상온 경화용 차선 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216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2161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