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550B1 -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 - Google Patents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6550B1 KR102186550B1 KR1020180137660A KR20180137660A KR102186550B1 KR 102186550 B1 KR102186550 B1 KR 102186550B1 KR 1020180137660 A KR1020180137660 A KR 1020180137660A KR 20180137660 A KR20180137660 A KR 20180137660A KR 102186550 B1 KR102186550 B1 KR 102186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lane
- roller
- protrusion
- block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지니는 롤러부,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록부, 및 롤러부를 관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롤러부가 도료 및 글라스 비드가 도포된 차선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블록부가 차선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차선의 빛 반사율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블록부가 결합되고, 블록부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구비함으로써 반복적이고 동일한 경사면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차선은 도로 주행중인 차량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방향을 안내하는 지시선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료만을 사용하는 일반 차선의 경우에는, 야간 혹은 우천시에 차선이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여 교통사고 발생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우천시나 야간 중의 차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글라스 비드가 함유된 페인트 조성물로 도색하거나, 차선을 도색한 다음 건조되기 전에 차선 위에 글라스 비드를 함유하는 페인트 조성물을 도포하거나, 또는, 글라스 비드가 함유된 액체를 도색된 차선 위에 살포하여 차선 표면에 글라스 비드를 접착시킴으로써 재귀 반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라스 비드를 의무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재귀 반사성이란, 유리알에 입사한 빛이 유리알의 내부에서 굴절하여 다시 광원으로 돌아가는 원리를 의미한다.
즉, 야간에 자동차의 전조등이 차선을 비추었을 때, 그 빛이 운전자 방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차선 도색 방법으로는 융착식, 페인트식 및 테이프식으로 나뉘는데, 먼저 융착식은 도료를 고온으로 용융하여 도색하는 것으로 두께가 있는 차선이 대표적이다.
페인트식 도색방법은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색하는 것으로 상온에서 건조되는 특성이 있는 일반 페인트와 가열하여 액상상태로 도색한 후 상온에서 굳어지는 가열형 페인트 도색이 있고, 분사하는 시공방법이다.
테이프식 도색방법은 테이프로 제작된 차선을 노면에 부착하는 것으로 야간 시인성이 높고 시공이 비교적 간단하나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차선 도색 시공 후에, 글라스 비드 시공이 진행되는데 글라스 비드가 차선 위에 살포될 때, 도료층 상에 무작위로 흩뿌려지고, 날리고,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거나 혹은 도료와의 혼합됨에 따라 재귀반사율이 현저히 떨어져 차선의 반사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차선 위에 살포된 글라스 비드의 기능 실현을 위해 글라스 비드 균일화를 위한 장치 개발 및 글라스 비드 살포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블록부가 결합되고, 블록부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구비함으로써 글라스 비드 상부에 도포될 때, 반복적이고 동일한 경사면이 생성되어 차선의 빛 반사율이 증대되고, 왕복 차선을 이용하는 운전자들로 하여금 교통 사고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롤러유닛은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지니는 롤러부;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록부; 및 상기 롤러부를 관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가 도료 및 글라스 비드가 도포된 차선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블록부가 상기 차선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차선의 빛 반사율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상기 블록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하부가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1 블록부; 상기 제1-1 블록부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2 블록부; 및 상기 제1-2 블록부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3 블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1 블록부 내지 제1-3 블록부는 상기 블록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상기 블록부는, 상기 제1-3 블록부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블록부가 상기 롤러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상기 롤러부는, 외측면을 따라 상기 돌출부와 암수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수용 홈을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용 홈은 끼워맞춤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은 도색할 장소에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위치에 도료를 마킹하여 차선을 생성하는 단계; 글라스 비드를 상기 차선 상부에 살포하는 단계; 및 롤러유닛을 상기 글라스 비드 상부에 굴려서 경사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유닛은,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지니는 롤러부;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록부; 및 상기 롤러부를 관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블록부 내지 제3 블록부의 폭 방향의 두께가 모두 동일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증대시켜 주고, 단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위험요소가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돌출부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제1 돌출부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제1 블록부가 제2 블록부와의 결합에서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블록부 내지 제3 블록부는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양 변의 길이와 각도가 동일한 이등변 사다리꼴의 단면을 형성함으로써 글라스 비드 상부에 지지부에 의해 회전할 때,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블록부에서 제1-1 돌기 및 제1-2 돌기의 구성으로 글라스 비드의 상부에서 경사면에 대한 반복구간 간격이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차선 도색 장치를 도시화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블록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블록부와 롤러부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차선 도색 장치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블록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블록부와 롤러부의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의 블록부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블록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블록부와 롤러부의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차선 도색 장치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A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블록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블록부와 롤러부의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의 블록부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롤러부의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차선 도색 장치를 도시화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블록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블록부와 롤러부의 결합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차선 도색 장치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도시화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A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블록부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블록부와 롤러부의 결합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다른 실시 예의 블록부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도시화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도색 방법은 롤러부(100), 블록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롤러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롤러부(1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롤러부(100)의 단면은 변의 길이가 모두 같고, 각의 크기가 같은 정다각형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할 복수 개의 블록부(200)가 롤러부(100)의 외측면의 평면에 위치된 수용홈(110)에 결합되어 각각의 블록부(200)가 인접하게 위치하는 구조를 지닌다.
또한, 롤러부(100)는 수용 홈(110) 및 관통부(1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홈(110)은 롤러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다. 또한, 롤러부(100)의 외측면에서 각각의 단면에서 폭 방향을 따라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부(120)는 롤러부(10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폭방향으로 중공부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통부(120)에 지지부(300)가 폭방향으로 삽입되어 지지부(300)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300)는 도 1과 같이, 관통부(120)에 삽입되어 관통부(120)에 대응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기둥 형상으로, 양 끝단에서 일 예로 힌지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들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부(300)의 결합은 롤러부(100)의 중심축의 양 끝단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결합 자재로써, 일 예로 힌지일 뿐 회전 결합하는 다른 부속품이어도 무관하다.
또한, 지지부(300)는 롤러부(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형상으로 사람의 손으로 구동이 가능한 핸들을 포함하거나, 차선도색장비에 장착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형상이 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300)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닌 관통부(120)에 삽입되어 롤러부(100)를 구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작업자의 편의 및 상황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블록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블록부(200)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롤러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어진다. 또한, 블록부(20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롤러부(100)의 외측에서 단면마다 위치하여 각각 인접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부(200)는 제1 블록부(210), 제2 블록부(220), 제3 블록부(230) 및 돌출부(2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블록부(210)는 하부가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데, 이 두께는 롤러부(100)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롤러부(100)와 결합될 때, 동일한 선상에서 위치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심미감을 증대시켜 주고, 두께가 상이하여 단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위험요소가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제2 블록부(220)는 제1 블록부(210)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제1 블록부(210)와 두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효과는 제1 블록부(210)와 동일함으로 중복설명 방지를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제3 블록부(230)는 제2 블록부(220)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제1 블록부(210)와 두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효과는 제1 블록부(210)와 동일함으로 중복설명 방지를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제1 블록부(210) 내지 제3 블록부(230)는 블록부(200)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인 도면부호 'C'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블록부(210) 내지 제3 블록부(230)의 양 변의 길이와 각도가 동일한 이등변 사다리꼴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지지부(300)에 의해 블록부(200)와 결합된 롤러부(100)가 차선에서 회전할 때,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효과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돌출부(240)는 제3 블록부(230)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 연장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부(240)도 마찬가지로, 제1 블록부(210) 내지 제3 블록부(230)와 동일한 폭 방향으로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블록부(210)와 동일한 효과가 발생한다.
돌출부(240)는 제1 돌출부(241) 및 제2 돌출부(242)로 구비된다.
제1 돌출부(241)는 도 2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돌출부(242)는 제1 돌출부(212)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돌출부(242)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제1 돌출부(241)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돌출부(240)에 의해 롤러부(100)와 결합 시, 롤러부(10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폭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되는 끼워맞춤 형상의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롤러부(100)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2 돌출부(242)의 길이방향 길이가 제1 돌출부(241)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긴 형상으로, 블록부(200)가 롤러부(100)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돌출부(240)가 삽입되는 롤러부(100)는 각각의 외측면에서 돌출부(240)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닌 수용 홈(1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수용 홈(110)은 제1 돌출부(241)에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홈이 구비된 제1 수용 홈(111)과 제2 돌출부(242)에 대응되도록 제1 돌출부(241)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제2 수용 홈(112)을 구비하여 돌출부(240)와 상호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용 홈(110)에 돌출부(240)가 삽입되면 블록부(200)가 롤러부(100)에 결합하게 되고, 인접하는 제3 블록부(230)의 양측면은 서로 맞닿아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인접하는 제3 블록부(230)가 서로 맞닿아 위치하면서 도면부호 'I'와 같은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형성되는 'I'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대한 형상 및 블록부(200)의 형상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4는 차선 위에 도포된 글라스 비드 상부에 블록부(200)가 체결된 롤러부(100)를 지지부(300)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형성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글라스 비드의 형상을 도시화한 것이다.
블록부(200)의 윗변과 아랫변을 잇는 양 변의 길이와 밑각의 각도가 동일한 이등변 사다리꼴의 단면을 구비함으로써, 글라스 비드 상부에 도포될 때 규칙적이고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중앙차선의 위에 도포되는 글라스 비드 위에서 블록부(200)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형성할 경우, 도 5와 같이, θ1과 θ2는 동일한 예각을 형성함으로써 왕복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들로 하여금 시인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시인성이란, 대상물의 존재 또는 모양이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쉬운 것을 의미한다.
야간운행 혹은 비나 눈이 올 경우, 주행의 어려움은 물론 차선의 시인성이 상실되어, 교통사고 유발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일반 차선의 결함을 보강하기 위해 비가 오는 밤이나 안개 또는 흐린 날씨에도 차선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고 굴절 및 고 반사를 포함하는 성분인 글라스 비드를 도포함으로써 주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 방법에 있어서, 제1블록부(210) 내지 제3 블록부(230)의 양 변의 길이와 각도가 동일한 θ1, θ2 및 도면부호'A'의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편도차선이 아닌 왕복차선의 주행자로 하여금 차선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왕복 차선에 주행하는 차량들에게 블록부(200)에 의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반복적으로 차선에서 빛 반사를 전달하여 교통사고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에서 다른 실시 예는 제1 블록부(210) 내지 제3 블록부(230)은 동일하고, 제1 블록부(210)에서 제1-1 돌기(211) 및 제1-2 돌기(212)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돌기(211)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 연장 형성되어 직사각형의 단면을 형성하고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돌기(212)는 제1-1 돌기(211)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 연장 형성되어 직사각형의 단면을 형성하고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1 돌기(211) 및 제1-2 돌기(212)의 폭방향의 두께는 모두 동일하고, 제1-2 돌기(212)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제1-1 돌기(211)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돌출부(240)와 수용 홈(110)의 결합과 동일하게 끼워맞춤 형상으로 결합된다.
즉, 제1-1 돌기(211)와 제1-2 돌기(212)가 제2 블록부(22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폭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되는 끼워맞춤 형상의 결합으로 인하여 제1 블록부(210)가 제2 블록부(220)와 결합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제1 블록부(210)에서 제1-1 돌기(211) 및 제1-2 돌기(212)를 구비함으로써, 차선의 글라스 비드의 경사면의 반복구간 간격이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7과 같이, 제2 블록부(220)에 제1-1 돌기(211) 및 제1-2 돌기(212)에 대응되는 제3 홈(221) 및 제4 홈(222)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제1-1 돌기(211)가 제3 홈(221)에 결합되고, 제1-2 돌기(212)가 제4 홈(22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도면부호'd'와 같이 반복구간의 길이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인접된 제3 블록부(230)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제1-1 돌기(211) 및 제1-2 돌기(212)를 통해 제1 블록부(210)를 제2 블록부(220)에 결합하고, 결합하지 않고를 반복하면서 도면부호'd'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1 돌기(211) 및 제1-2 돌기(212)가 결합되지 않는 제2 블록부(220)의 상부에는 제3 홈(221) 및 제4 홈(222)에 대응되는 마개부(250)가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임의로 'd'의 구간을 늘리고 싶을 경우, 마개부(250)를 제2 블록부(220)에 연속하여 체결할 수 있어 반복구간의 길이 변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도 8과 같이 글라스 비드의 상부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반복구간의 길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교통사고 위험율이 높은 코너구간이나 비나 눈이 내린 뒤에 잘 녹지 않는 경사면이 진 차선에는 좁은 반복구간을 설정하여 빛 반사율을 높일 수 있고, 간격에 따른 소리음이 발생하는 성분을 추가로 도포함으로써 교통사고의 위험율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선 도색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선 도색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은 차선 도색을 위한 위치표시 단계(S101), 위치 표시 구역에 도료를 마킹하는 단계(S102), 상기 도료 상부에 글라스 비드를 살포하는 단계(S103),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제1 블록부를 결합하는 단계(S104), 및 상기 글라스 비드 상부에 상기 롤러부에 결합된 지지부를 이용한 경사면 형성 단계(S105)를 포함한다.
먼저, 차선 도색을 위해 도로 위에 차선을 도색할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차선이 도색될 위치 표시한 구역에 도료를 마킹하여 차선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생성된 차선 위에 글라스 비드를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롤러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블록부(200)를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무작위로 살포된 글라스 비드 상부에 롤러부(100)의 중심부에 체결된 지지부(300)를 이용하여 글라스 비드 상부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글라스 비드 상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빛 반사율을 증대시켜 도로 위의 주행하는 운전자들로 하여금 차선을 명확하게 보이게 시인성을 증대시켜 교통사고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롤러부, 110 : 수용 홈,
111 : 제1 홈, 112 : 제2 홈,
120 : 관통부, 200 : 블록부,
210 : 제1 블록부, 211 : 제1-1 돌기,
212 : 제1-2 돌기, 220 : 제2 블록부,
221 : 제3 홈, 222 : 제4 홈,
230 : 제3 블록부, 240 : 돌출부,
241 : 제1 돌출부, 242 : 제2 돌출부,
250 : 마개부, 300 : 지지부.
111 : 제1 홈, 112 : 제2 홈,
120 : 관통부, 200 : 블록부,
210 : 제1 블록부, 211 : 제1-1 돌기,
212 : 제1-2 돌기, 220 : 제2 블록부,
221 : 제3 홈, 222 : 제4 홈,
230 : 제3 블록부, 240 : 돌출부,
241 : 제1 돌출부, 242 : 제2 돌출부,
250 : 마개부, 300 : 지지부.
Claims (5)
-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지니는 롤러부;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상기 롤러부의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복수 개의 블록부; 및
상기 롤러부를 관통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가 도료 및 글라스 비드가 도포된 차선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블록부가 상기 차선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차선의 빛 반사율이 증대되고,
상기 블록부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되, 하부가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1 블록부;
상기 제1 블록부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하부가 상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2 블록부; 및
상기 제2 블록부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부가 하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제3 블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블록부 내지 제3 블록부는 상기 블록부를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블록부 내지 상기 제3 블록부는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블록부 내지 상기 제3 블록부가 결합된 상기 롤러부가 상기 차선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글라스 비드가 동일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왕복 차량으로 하여금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인
차선 도색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는,
상기 제3 블록부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에 의해 상기 블록부가 상기 롤러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외측면을 따라 상기 돌출부와 암수결합이 가능한 복수 개의 수용 홈을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용 홈은 끼워맞춤 형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도색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7660A KR102186550B1 (ko) | 2018-11-09 | 2018-11-09 |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7660A KR102186550B1 (ko) | 2018-11-09 | 2018-11-09 |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4429A KR20200054429A (ko) | 2020-05-20 |
KR102186550B1 true KR102186550B1 (ko) | 2020-12-03 |
Family
ID=7091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7660A KR102186550B1 (ko) | 2018-11-09 | 2018-11-09 |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655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8099Y1 (ko) * | 2002-05-28 | 2002-09-05 | 지유진 | 차선도색기 |
JP2016075092A (ja) * | 2014-10-07 | 2016-05-12 | 株式会社Nippo | 路面溝形成具 |
CN107059558A (zh) * | 2017-06-05 | 2017-08-18 | 金乡县华驰工程机械有限公司 | 一种冲击式压路机自动喷水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7043B1 (ko) | 2014-03-24 | 2015-03-02 | 주식회사이화정공 | 비드 혼합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도로용 차선 도색 방법 및 그 장치 |
-
2018
- 2018-11-09 KR KR1020180137660A patent/KR1021865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8099Y1 (ko) * | 2002-05-28 | 2002-09-05 | 지유진 | 차선도색기 |
JP2016075092A (ja) * | 2014-10-07 | 2016-05-12 | 株式会社Nippo | 路面溝形成具 |
CN107059558A (zh) * | 2017-06-05 | 2017-08-18 | 金乡县华驰工程机械有限公司 | 一种冲击式压路机自动喷水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4429A (ko) | 2020-05-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9780B1 (ko) | 역반사 코팅 및 구조체에 역반사 코팅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 |
DE69430660T2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zum auftragen eines in der nacht sichtbaren strassenmarkierungsstreifen | |
CH672830A5 (ko) | ||
US20130011193A1 (en) | Multi-application apparatus, methods and surface markings | |
KR100935412B1 (ko) |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86550B1 (ko) | 차선 도색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는 도색방법 | |
CN103362081A (zh) | 路标指示装置和形成道路指示标识的方法 | |
CN212335810U (zh) | 一种地埋式发光指示标识体 | |
KR102022505B1 (ko) | 글래스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 |
US3240132A (en) | Reflective and retro-reflective traffic marker | |
CN112012124A (zh) | 一种地埋式发光指示标识体 | |
KR200488416Y1 (ko) | 차선표지병 | |
JP2009127215A (ja) | 仮設路面標示テープ | |
KR200488034Y1 (ko) | 도로의 주행 차선(점선)의 역주행 방지용 노면표시 | |
EP3543403A1 (en) | Horizontal road surface marking | |
US20200378076A1 (en) | Contrast Surface Marking Devices and Systems | |
KR101260259B1 (ko) | 고성능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차선 도색 시공방법 | |
KR100703957B1 (ko) | 착시현상을 이용한 가상 과속방지턱 | |
KR20190128938A (ko) |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 |
KR101894586B1 (ko) | 도로의 노면 표지 | |
KR200241291Y1 (ko) | 넌슬립 모르타차선 도막 구조 | |
KR200419650Y1 (ko) |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 |
KR100806861B1 (ko) | 교통안내 경계석 | |
JPH10159015A (ja) | 噴射式道路標示塗布装置 | |
KR20190002700U (ko) | 차선표지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