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661B1 -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661B1
KR101072661B1 KR1020090005087A KR20090005087A KR101072661B1 KR 101072661 B1 KR101072661 B1 KR 101072661B1 KR 1020090005087 A KR1020090005087 A KR 1020090005087A KR 20090005087 A KR20090005087 A KR 20090005087A KR 101072661 B1 KR101072661 B1 KR 10107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gate lines
block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673A (ko
Inventor
김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0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661B1/ko
Priority to US12/648,842 priority patent/US20100184284A1/en
Publication of KR20100085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35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 H01L21/28044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 H01L21/28052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the conductor comprising at least another non-silicon conductive layer the conductor comprising a silicide layer formed by the silicidation reaction of silicon with a metal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051Planarisation of the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1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of a memory region comprising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 상에, 반도체 기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막을 포함한 게이트 적층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적층막의 상부에 차단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단막 및 상기 게이트 적층막을 패터닝하여 차단패턴 및 도전패턴을 포함한 제1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보다 폭이 좁은 제2 게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 사이에 상기 도전패턴의 측면 일부가 노출되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 상에 형성된 상기 차단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 상에 형성된 상기 차단패턴은 잔류시키는 단계; 상기 차단패턴을 제거한 후의 전체구조 표면을 따라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패턴의 일부를 실리사이드 패턴(silicide pattern)으로 상변이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금속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실리사이드, 차단막, 질화막, 확산, CoSi, 코발트

Description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리사이드층을 포함하는 메모리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와 구동전압을 전달하는 콘트롤 게이트(control gate)를 포함한다. 특히, 콘트롤 게이트는 커플링(coupling)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프로그램 동작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한편,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 셀들을 포함한 게이트 라인(gate line)들의 선폭 및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게이트 라인들의 선폭이 좁아질수록 저항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콘트롤 게이트의 상부에 금속층을 더 형성하기도 한다. 금속층으로 텅스텐(tungsten; W)을 주로 사용해 왔으나, 텅스텐의 이 상산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저항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텅스텐 대신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게 되었다.
실리사이드막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콘트롤 게이트의 상부 일부를 실리사이드로 상변이 시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트롤 게이트의 일부를 실리사이드막으로 상변이 시키기 위하여, 코발트(cobalt; Co)막을 사용할 수 있다. 콘트롤 게이트의 일부에 코발트를 형성한 후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면, 코발트성분이 콘트롤 게이트의 내부로 확산되면서 상변이(phase change)가 일어난다. 코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실리사이드막은 코발트실리사이드(Cosix; x는 자연수, 예컨데 CoSi2)막이 될 수 있다.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한 후에는 잔류하는 코발트막을 제거하는데, 이때 상변이된 실리사이드막 중, 코발트가 급격히 확산되어 다른 영역에 비해 코발트성분이 지나치게 많은 부분도 함께 제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콘트롤 게이트의 일부가 제거되기 때문에 저항이 증가할 수도 있으며, 제거된 부분으로 인해 게이트 라인이 기울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게이트 라인들 중 다른 게이트 라인들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게이트 라인의 상부에 금속층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금속층을 형성한 후에 상변이 시키면, 차단패턴의 상부로는 확산이 발생하기 않고, 측벽으로만 확산이 진행되므로, 금속층으로부터의 과도한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막을 포함한 게이트 적층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적층막의 상부에 차단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단막 및 상기 게이트 적층막을 패터닝하여 차단패턴 및 도전패턴을 포함한 제1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보다 폭이 좁은 제2 게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 사이에 상기 도전패턴의 측면 일부가 노출되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 상에 형성된 상기 차단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 상에 형성된 상기 차단패턴은 잔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의 차단패턴을 제거한 후의 전체구조 표면을 따라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패턴의 일부를 실리사이드 패턴(silicide pattern)으로 상변이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금속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 적층막은 게이트 절연막, 제1 도전막, 유전체막 및 제2 도전막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상기 차단막은 질화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이 모두 덮이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 절연막의 일부를 식각하여 상기 도전패턴의 측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금속막은 코발트(cobalt; Co)막으로 형성한다.
금속막은 물리적 기상 증착법(PVD)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법(CVD)으로 형성한다.
상변이 시키는 단계는 열처리 공정으로 실시한다.
실리사이드 패턴은 코발트실리사이드 패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부에 실리사이드(silicide layer)막이 형성된 제1 게이트 라인들;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부에 제2 실리사이드막 및 차단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보다 폭이 좁은 제2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의 사이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을 포함한다.
차단막은 질화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 각각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폴리실리콘막, 유전체막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리사이드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의 상기 제2 실리사이드막 상부에만 상기 차단막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리사이드막과 상기 유전체막의 사이에 형성된 폴리실리콘막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실리사이드막은 코발트실리사이드막(CoSix; x는 자연수)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게이트 라인의 폭에 따라 금속층으로부터 확산되는 량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게이트 라인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게이트 라인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트롤 게이트의 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 게이트의 저항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으므로,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j는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에 전자(electron)의 터널 링(tunneling)을 위한 게이트 절연막(102),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용 제1 도전막(104), 커플링(coupling)을 위한 유전체막(106) 및 콘트롤 게이트(control gate)용 제2 도전막(108)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02)은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제1 도전막(104)은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도전막(104)용 폴리실리콘막은 언도프트(undoped) 폴리실리콘막 및 도프트(doped) 폴리실리콘막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막(106)은 산화막, 질화막 및 산화막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스위칭(switching) 소자가 형성될 영역에는 콘택홀을 형성하여 제1 도전막(104)과 제2 도전막(108)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도전막(108)은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도전막(108)용 폴리실리콘막은 도프트(doped)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2 도전막(108)의 상부에 후속 금속막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차단막(110)을 형성한다. 차단막(110)은 금속막과의 확산 반응이 낮고, 후속 제거가 용이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차단막(110)의 상부에 하드 마스크막(112) 및 게이트 라인(gate line)용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114)을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114)을 사용하여 하드 마스크 패턴(112a), 차단패턴(110a), 제2 도전패턴(108a), 유전체 패턴(106a), 제1 도전패턴(104a) 및 게이트 절연 패턴(102a)을 형성하기 위한 패터닝공정을 실시하여 게이트 라인(gate line; G1 및 G2)을 형성한다. 이로써, 셀 영역에 제1 게이트 라인(G1)이 형성되고, 주변회로 영역에는 제2 게이트 라인(G2)이 형성된다. 예를 들 면, 제1 게이트 라인(G1)은 워드라인(word line) 및 셀렉트 라인(select li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게이트 라인(G2)은 고전압 및 저전압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특히, 구동전압 레벨 차이로 인해, 주변회로 영역에 형성된 제2 게이트 라인(G2)의 폭은 셀 영역에 형성된 제1 게이트 라인(G1)의 폭보다 넓다.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1 및 G2)을 형성한 후에,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1 및 G2) 사이로 노출된 반도체 기판(100)에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접합영역(100a)을 형성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114)을 제거한다. 이때, 하드 마스크 패턴(112a)의 일부도 제거되어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게이트 라인들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00)의 상부에 층간 절연막(116)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116)은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게이트 라인들 사이를 충분히 채우기 위하여, 층간 절연막(116)은 하드 마스크 패턴(112a)이 모두 덮이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e를 참조하면, 주변회로 영역에서 제2 게이트 라인(G2) 상부에 형성된 차단패턴(110a)이 드러나도록 식각 공정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차단패턴(110a)이 드러나도록 평탄화 공정을 실시한다. 평탄화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면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1 및 G2) 상부의 차단패턴(110a)이 모두 드러나게 된다.
도 1f를 참조하면, 제2 게이트 라인(G2) 상부에 형성된 차단패턴(110a)을 제 거하기 위하여, 제1 게이트 라인(G1) 및 층간 절연막(116)의 상부에 주변회로 영역만 노출하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마스크 패턴은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118)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노출된 차단패턴(110a)을 제거하기 위한 식각 공정을 실시한다. 식각 공정은 제2 도전막(108a) 및 층간 절연막(116)보다 차단패턴(110a)에 대한 식각 속도가 더 빠른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주변회로 영역의 차단패턴(110a)만 제거하는 이유는, 후속 형성할 금속막을 제2 게이트 라인(G2)에 포함된 제2 도전패턴(108a)으로 용이하게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도 1g를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116)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식각 공정을 실시한다. 이때, 식각 공정은 유전체 패턴(106a)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h를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116), 제2 도전패턴(108a) 및 차단패턴(110a)의 표면을 따라 금속막(120)을 형성한다. 금속막(120)은 코발트(cobalt; Co)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금속막(120)은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막(120)은 물리적 기상 증착법(PVD)으로 형성하는데, 물리적 기상 증착법(PVD)으로 금속막(120)을 형성하면 노출된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G1 및 G2)의 상부보다 측벽에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i를 참조하면,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여 금속막(120)으로부터 제2 도전패턴(108a)으로 금속성분을 확산시킨다. 금속성분이 확산된 제2 도전패턴(108a)은 상 변이(phase change)하여 실리사이드 패턴(silicide pattern; 108b)이 되는데, 금속막(120)으로 코발트막을 사용하였으므로 실리사이드 패턴(108b)은 코발트실리사이드막(CoSix; x는 자연수, 예컨데 CoSi2)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 도전패턴(108a)의 일부는 실리사이드 패턴(108b)으로 상변이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도전패턴(108a)으로 잔류할 수 있다.
특히, 제2 게이트 라인(G2)보다 폭이 좁은 제1 게이트 라인(G1)의 상부에 차단패턴(11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게이트 라인(G1)의 상부 방향에서는 금속성분이 확산되지 않고, 측벽 방향에서만 금속성분이 확산된다. 이로 인해, 제1 게이트 라인(G1)에 포함된 제2 도전패턴(108a)이 과도하게 실리사이드 패턴(108b)으로 상변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게이트 라인(G1)보다 폭이 넓은 제2 게이트 라인(G2)의 경우, 차단패턴(110a)이 제거되었으므로, 상부 및 측벽 방향을 따라서 금속성분이 확산된다. 이에 따라, 제2 게이트 라인(G2)의 제2 도전패턴(108a)을 실리사이트 패턴(108b)으로 충분히 상변이 시킬 수 있다.
또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금속성분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막(120)의 표면을 따라 보호막(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보호막(미도시)은 Ti막 및 TiN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j를 참조하면, 금속막(120) 및 차단패턴(110a)을 제거한다. 특히, 제1 게이트 라인(G1)에 포함된 실리사이드 패턴(108b)은 과도한 상변이를 억제하였으므 로, 금속막(120)과 함께 제거되지 않는다.
이처럼, 콘트롤 게이트의 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 특성 열화를 방지하여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j는 본 발명에 따른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반도체 기판 100a : 접합영역
102 : 게이트 절연막 102a : 게이트 절연 패턴
104 : 제1 도전막 104a : 제1 도전패턴
106 : 유전체막 106a : 유전체 패턴
108 : 제2 도전막 108a : 제2 도전패턴
108b : 실리사이드 패턴 110 : 차단막
110a : 차단패턴 112 : 하드 마스크막
112a : 하드 마스크 패턴 114 : 제1 포토레지스트 패턴
116 : 층간 절연막 118 :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
120 : 금속막

Claims (13)

  1. 반도체 기판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막을 포함한 게이트 적층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적층막의 상부에 차단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차단막 및 상기 게이트 적층막을 패터닝하여 차단패턴 및 도전패턴을 포함한 제1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보다 폭이 좁은 제2 게이트 라인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 사이에 상기 도전패턴의 측면 일부가 노출되는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 상에 형성된 상기 차단패턴을 제거하고,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 상에 형성된 상기 차단패턴은 잔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의 차단패턴을 제거한 후, 전체구조의 표면을 따라 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패턴의 일부를 실리사이드 패턴(silicide pattern)으로 상변이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금속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적층막은 게이트 절연막, 제1 도전막, 유전체막 및 제2 도전막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이 모두 덮이도록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층간 절연막의 일부를 식각하여 상기 도전패턴의 측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코발트(cobalt; Co)막으로 형성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물리적 기상 증착법(PVD) 또는 화학적 기상 증착법(CVD)으로 형성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이 시키는 단계는 열처리 공정으로 실시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사이드 패턴은 코발트실리사이드 패턴으로 형성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9.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부에 제1 실리사이드(silicide layer)막이 형성된 제1 게이트 라인들;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부에 제2 실리사이드막 및 차단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 게이트 라인들보다 폭이 좁은 제2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의 사이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질화막으로 형성된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게이트 라인들 각각은,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폴리실리콘막, 유전체막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리사이드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게이트 라인들의 상기 제2 실리사이드막 상부에만 상기 차단막이 형성된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실리사이드막과 상기 유전체막의 사이에 형성된 폴리실리콘막을 더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리사이드막은 코발트실리사이드막(CoSix; x는 자연수)으로 형성된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KR1020090005087A 2009-01-21 2009-01-21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087A KR101072661B1 (ko) 2009-01-21 2009-01-21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12/648,842 US20100184284A1 (en) 2009-01-21 2009-12-29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087A KR101072661B1 (ko) 2009-01-21 2009-01-21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673A KR20100085673A (ko) 2010-07-29
KR101072661B1 true KR101072661B1 (ko) 2011-10-11

Family

ID=4233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087A KR101072661B1 (ko) 2009-01-21 2009-01-21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84284A1 (ko)
KR (1) KR1010726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5918B2 (en) * 2016-11-29 2019-06-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11B1 (ko) * 2002-08-27 200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실리사이드막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US7754552B2 (en) * 2003-07-29 2010-07-13 Intel Corporation Preventing silicide formation at the gate electrode in a replacement metal gate technology
JP2005086024A (ja) * 2003-09-09 2005-03-3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62118B2 (ja) * 2006-11-17 2011-08-31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4284A1 (en) 2010-07-22
KR20100085673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6004B2 (en) Method of treating an exposed conductive film prior to forming a silicide
JP2009027161A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KR100953034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01777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77307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80035919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방법
US2012023809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part
US798600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09161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5616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7851290B2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830591B1 (ko)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KR101072661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691670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ilicide layer of flat cell memory
JP2008098567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0927A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9267107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624622A (zh) 非揮發性記憶胞、nand型非揮發性記憶體及其製造方法
JP2006253622A (ja) フラッシュ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US8105946B1 (en) Method of forming conductive lines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10001585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JP2008166325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95724A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7779A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51595B1 (ko) 플래시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