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548B1 -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548B1
KR101070548B1 KR1020060117681A KR20060117681A KR101070548B1 KR 101070548 B1 KR101070548 B1 KR 101070548B1 KR 1020060117681 A KR1020060117681 A KR 1020060117681A KR 20060117681 A KR20060117681 A KR 20060117681A KR 101070548 B1 KR101070548 B1 KR 10107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nderlayer film
layer
resist
photore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972A (ko
Inventor
준 하따께야마
도시히꼬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characterised by antireflection means or light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e.g. anti-halation, contrast enhanc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4Multilayer resist systems, e.g. planaris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레지스트 공정용, 특히 2층 레지스트 공정용 또는 3층 레지스트 공정용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이며, 특히 단파장의 노광에 대하여 우수한 반사 방지막으로서 기능하고, 즉 투명성이 높고 최적인 n값, k값을 가지며, 더구나 기판 가공에 있어서 에칭 내성이 우수한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리소그래피에서 사용되는 다층 레지스트막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이며, 적어도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나프탈렌과 히드록시기를 갖지 않는 특정 올레핀류의 반복 단위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관한 것이다.
레지스트 공정, 리소그래피, 하층막, 비닐나프탈렌, 올레핀

Description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RESIST UNDERCOAT-FORMING MATERIAL AND PATTERNING PROCESS}
도 1은 2층 공정에 있어서의 하층막 굴절률 k값이 0.3 고정이며, n값을 1.0 내지 2.0의 범위에서 변화시킨 하층막의 막 두께와 기판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2층 공정에 있어서의 하층막 굴절률 n값이 1.5 고정이며, k값을 0.1 내지 1.0의 범위에서 변화시킨 하층막의 막 두께와 기판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3층 공정에 있어서의 하층막 굴절률 n값이 1.5, k값이 0.6, 막 두께500 nm 고정이며, 중간층의 n값이 1.5, k값을 0 내지 0.3, 막 두께를 0 내지 400 nm의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기판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3층 공정에 있어서의 하층막 굴절률 n값이 1.5, k값이 0.2, 중간층의 n값이 1.5, k값을 0.1 고정으로 하층과 중간층의 막 두께를 변화시켰을 때의 기판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3층 공정에 있어서의 하층막 굴절률 n값이 1.5, k값이 0.6, 중간층의 n값이 1.5, k값을 0.1 고정으로 하층과 중간층의 막 두께를 변화시켰을 때의 기판 반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2층 레지스트 가공 공정의 설명도.
도 7은 3층 레지스트 가공 공정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기판
11a: 피가공층
11b: 기재층
12: 하층막
13: 상층막
13': 노광 부분
14: 중간층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6-11865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32474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1-302382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2-55456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9-110938호 공보
[특허 문헌 6] 미국 특허 제6506497호 명세서
[특허 문헌 7] 미국 특허 제6420088호 명세서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4474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0293호 공보
[특허 문헌 10]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14777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SPIE vol. 1925(1993) p377
[비특허 문헌 2] SPIE vol. 3333(1998) p62
[비특허 문헌 3] J. Photopolymer Sci. and Technol. Vol. 9 No.3(1996) p435 내지 446
[비특허 문헌 4] J. Vac. Sci. Technol., 16(6), Nov./Dec. 1979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등의 제조 공정에서의 미세 가공에 이용되는 반사 방지막 재료로서 효과적인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관한 것이고, 특히 원자외선, KrF 엑시머 레이저 광(248 nm), ArF 엑시머 레이저 광(193 nm), F2 레이저 광(157 nm), Kr2 레이저 광(146 nm), Ar2 레이저 광(126 nm), 연 X선(EUV, 13.5 nm), 전자선(EB)에 의한 노광에 바람직한 다층 레지스트막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것을 이용하여 리소그래피에 의해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LSI의 고집적화 및 고속화에 따라서 패턴 롤의 미세화가 요망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범용 기술로서 이용되고 있는 광 노광을 이용한 리소그래피(lithography)에서는 광원의 파장에서 유래하는 본질적인 해상도의 한계에 계속 근 접하고 있다.
레지스트 패턴 형성시에 사용되는 리소그래피용 광원으로는 수은등의 g선(436 nm) 또는 i선(365 nm)을 광원으로 하는 광 노광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한층 더 미세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노광 광을 단파장화하는 방법이 효과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64 메가비트 DRAM 가공 방법의 양산 공정에는 노광 광원으로서 i선(365 nm) 대신에 단파장의 KrF 엑시머 레이저(248 nm)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더욱 미세한 가공 기술(가공 치수 0.13 ㎛ 이하)이 요구되는 집적도 1 G 이상의 DRAM 제조에는 보다 단파장의 광원이 필요하여, 특히 ArF 엑시머 레이저(193 nm)를 이용한 리소그래피가 검토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단차 기판 상에 종횡비가 높은 패턴을 형성하는 데에는 2층 레지스트법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고, 또한 2층 레지스트 막을 일반적인 알칼리 현상액으로 현상하기 위해서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의 친수기를 갖는 고분자 실리콘 화합물이 필요하다.
실리콘계 화학 증폭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재료로서는 안정한 알칼리 가용성 실리콘 중합체인 폴리히드록시벤질실세스퀴옥산의 페놀성 수산기의 일부를 t-Boc기로 보호한 것을 기재 수지로서 사용하고, 이것과 산 발생제를 조합한 KrF 엑시머 레이저용 실리콘계 화학 증폭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재료가 제안되었다(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평)6-118651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SPIE vol. 1925(1993) p377] 등 참조). 또한, ArF 엑시머 레이저용으로는 시클로헥실카르복실산을 산 불안정기로 치환한 타입의 실세스퀴옥산을 기재로 하는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3: 일본 특허 공개(평)10-3247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평)11-302382호 공보, 비특허 문헌 2: [SPIE vol. 3333(1998) p62] 등 참조). 또한, F2 레이저용으로는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을 용해성기로 갖는 실세스퀴옥산을 기재로 한 포지티브형 레지스트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2002-55456호 공보). 상기 중합체는 트리알콕시실란 또는 트리할로겐화 실란의 중축합에 의한 사다리 골격을 함유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주쇄에 포함하는 것이다.
규소가 측쇄에 펜던트된 레지스트용 기재 중합체로는 규소 함유 (메트)아크릴에스테르계 중합체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평)9-110938호 공보, 비특허 문헌 3: J. Photopolymer Sci. and Technol. Vol. 9 No.3(1996) p435 내지 446 참조).
2층 레지스트법의 하층막으로서는, 산소 가스에 의한 에칭이 가능한 탄화수소 화합물이며, 또한 그 아래 기판을 에칭하는 경우에서의 마스크가 되기 때문에, 높은 에칭 내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산소 가스 에칭을 위해서는 규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탄화수소만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층인 규소 함유 레지스트막의 선폭 제어성을 향상시키고, 정재파(定在波)에 의한 패턴 측벽의 요철과 패턴의 붕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기능도 가질 필요가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하층막으로부터 레지스트막내로의 반사율을 1 %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최대 500 nm의 막 두께까지의 반사율을 계산한 결과를 도 1 및 2에 나타낸다. 노광 파장은 193 nm, 상층 레지스트막의 n값을 1.74, k값을 0.02로 가정하고, 도 1에서는 하층막의 k값을 0.3으로 고정하며, 세로축에서 n값을 1.0 내지 2.0, 가로축에서 막 두께를 0 내지 500 nm의 범위로 변동시켰을 때의 기판 반사율을 나타낸다. 막 두께가 300 nm 이상인 2층 레지스트용 하층막을 상정한 경우, 상층 레지스트막과 동일한 정도이거나 또는 그보다 굴절률이 조금 높은 1.6 내지 1.9의 범위에서 반사율이 1 % 이하가 될 수 있는 최적값이 존재한다.
도 2는 하층막의 n값을 1.5로 고정시키고 k값을 0 내지 0.8의 범위로 변동시켰을 때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k값이 0.24 내지 0.15인 범위에서 반사율을 1 %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40 nm 정도의 박막에서 사용되는 단층 레지스트용 반사 방지막은 최적 k값이 0.4 내지 0.5이며, 300 nm 이상에서 사용되는 2층 레지스트용 하층의 최적 k값과는 상이하다. 2층 레지스트용 하층에서는 더욱 낮은 k값, 즉 투명성이 보다 높은 하층막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여기서, 193 nm용 하층막 형성 재료로는 [SPIE Vol. 4345(2001) p50](비특허 문헌 4))에 소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히드록시스티렌과 아크릴산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가 검토되어 있다. 폴리히드록시스티렌은 193 nm에서 매우 강한 흡수를 가지고, 이것 단독으로는 k값이 0.6 전후로 높은 값이다. 따라서, k값이 거의 0인 아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시킴으로써 k값을 0.25 전후로 조정한다.
그러나, 폴리히드록시스티렌에 대하여, 아크릴산에스테르의 기판 에칭시에 있어서의 에칭 내성이 약하고, 또한 k값을 낮추기 위해 상당한 비율의 아크릴산에 스테르를 공중합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기판 에칭의 내성이 상당히 저하된다. 에칭 내성은 에칭 속도뿐만 아니라, 에칭 후의 표면 거칠음 발생으로도 나타난다. 아크릴산에스테르의 공중합에 의해 에칭 후의 표면 거칠음 증대가 심각한 정도로 현저해진다.
벤젠환보다 193 nm에서의 투명성이 높고 에칭 내성이 높은 것의 하나로 나프탈렌환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2-14474호 공보(특허 문헌 8)에는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을 갖는 하층막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나프톨 공축합 노볼락 수지, 폴리비닐나프탈렌 수지의 k값은 0.3 내지 0.4 사이이며, 목표로 하는 0.1 내지 0.3의 투명성에는 미달되어 투명성을 더 높여야 한다. 또한, 나프톨 공축합 노볼락 수지, 폴리비닐나프탈렌 수지는 193 nm에서의 n값이 낮은데, 본 발명자들이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나프톨 공축합 노볼락 수지에서는 1.4, 폴리비닐나프탈렌 수지에서는 1.2였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0293호 공보(특허 문헌 9),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14777호 공보(특허 문헌 10)에 개시되어 있는 아세나프틸렌 중합체에 있어서도 파장 248 nm에 비해 193 nm에서의 n값이 낮고 k값은 높아서 둘다 목표값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n값은 높고 k값은 낮아서 투명하면서도 에칭 내성이 높은 하층막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규소를 함유하지 않는 단층 레지스트를 상층, 그의 아래에는 규소를 함유하는 중간층, 또한 그보다 아래에는 유기막을 적층하는 3층 공정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4: J. Vac. Sci. Technol., 16(6), Nov./Dec. 1979 참조).
일반적으로는 규소 함유 레지스트보다 단층 레지스트의 경우가 해상성이 우 수하고, 3층 공정에서는 고해상의 단층 레지스트를 노광 이미징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중간층으로는 스핀 온 글래스(SOG)막이 사용되며, 많은 SOG막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3층 공정에서의 기판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최적 하층막의 광학 상수는 2층 공정에서의 광학 상수와는 상이하다.
기판 반사를 되도록 억제하고, 구체적으로는 1 % 이하로까지 감소시킨다는 목적은 2층 공정에서든 3층 공정에서든 변하지 않지만, 2층 공정은 하층막에만 반사 방지 효과를 갖게 하는 데 대하여, 3층 공정은 중간층과 하층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층 모두가 반사 방지 효과를 갖게 할 수 있다.
반사 방지 효과를 부여한 규소 함유층 재료가 미국 특허 제6,506,497호 명세서(특허 문헌 6) 및 미국 특허 제6,420,088호 명세서(특허 문헌 7)에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단층의 반사 방지막보다 다층 반사 방지막의 경우에 반사 방지 효과가 높아서 광학 재료의 반사 방지막으로서 널리 공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중간층과 하층 모두에 반사 방지 효과를 부여시킴으로써 높은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층 공정에서 규소 함유 중간층에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으면, 하층막에는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최대 효과가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3층 공정인 경우의 하층막으로서는,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효과보다 기판 가 공시의 높은 에칭 내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에칭 내성이 높고 방향족기를 많이 함유하는 노볼락 수지를 3층 공정용 하층막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3은 중간층의 k값을 변화시켰을 때의 기판 반사율을 나타낸다.
중간층의 k값을 0.2 이하의 낮은 값으로 하고 적절한 막 두께를 설정하면 1 % 이하의 충분한 반사 방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반사 방지막이 막 두께 100 nm 이하에서 반사를 1 %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k값이 0.2 이상일 필요가 있지만(도 2 참조), 하층막에서 어느 정도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는 3층 구조의 중간층으로서는 0.2보다 낮은 k값이 최적값이 된다.
이어서, 하층막의 k값이 0.2인 경우와 0.6인 경우에 중간층과 하층의 막 두께를 변화시켰을 때의 반사율 변화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k값이 0.2인 하층은 2층 공정에 최적화된 하층막을 상정하고 있고, k값이 0.6인 하층은 193 nm에서의 노볼락 또는 폴리히드록시스티렌의 k값에 가까운 값이다.
하층막의 막 두께는 기판의 토포그래피(topography)에 따라 변동되지만, 중간층의 막 두께는 거의 변동되지 않으므로 설정한 막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하층막의 k값이 높은 경우(0.6인 경우)가, 보다 박막에서 반사를 1 %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하층막의 k값이 0.2인 경우에 막 두께 250 nm에서 반사를 1 %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중간층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한다.
중간층의 막 두께를 높이면 중간층을 가공할 때의 건식 에칭시에 최상층의 레지스트에 대한 부하가 커서 바람직하지 않다.
하층막을 박막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k값 뿐만 아니라, 보다 강한 에칭 내성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예를 들면 레지스트 상층막이 규소를 함유하는 것인 다층 레지스트 공정용, 특히 2층 레지스트 공정용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이며, 특히 단파장의 노광에 대하여 우수한 반사 방지막으로서 기능하고, 즉 폴리히드록시스티렌, 크레졸 노볼락, 나프톨 노볼락 등보다 투명성이 높고, 최적인 n값, k값을 가지며, 또한 기판 가공에 있어서의 에칭 내성이 우수한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이것을 이용하여 리소그래피에 의해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리소그래피에서 이용되는 다층 레지스트막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이며, 적어도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나프탈렌과 히드록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를 제공한다(청구항 1).
여기서,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로서 히드록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레핀은 인 덴류, 아세나프틸렌류, 노르트리시클렌류, 탄소수 7 내지 30의 비닐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산비닐, (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기를 갖는 탄소수 13 내지 30의 축합 탄화수소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
또한, 이 경우, 상기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1
(상기 화학식(1) 중, R1, R6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2, R3, R4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세톡시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고, R5는 탄소수 13 내지 30의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기, -O-R7, -C(=O)-O-R7, -O-C(=O)-R7 또는 -C(=O)-NR8-R7이고, m은 1 또는 2, n은 0 내지 4의 정수, p는 0 내지 6의 정수이다. R7은 탄소수 7 내지 30의 유기기,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이다. a, b, c, d, e는 각각 0<a<1.0, 0≤b≤0.8, 0≤c≤0.8, 0≤d≤0.8, 0≤e≤0.8, 0<b+c+d+e<1.0의 범위이다.)
이와 같이,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나프탈렌의 반복 단위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 특히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를 포함 하는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는 특히 단파장의 노광에 대하여 우수한 반사 방지막으로서 기능하고, 즉 투명성이 높고, 최적인 n값, k값을 가지며, 더구나 기판 가공시에 에칭 내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가 유기 용제, 산 발생제, 가교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 또는 3에 기재된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를 제공한다(청구항 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가 유기 용제, 가교제, 산 발생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더 함유함으로써, 상기 재료의 기판 등에의 도포성을 향상시키거나 기판 등에의 도포 후에 베이킹 등에 의해 레지스트 하층막 내에서의 가교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레지스트 하층막은 막 두께 균일성이 양호하고, 레지스트 상층막과의 상호혼합의 우려가 적으며, 레지스트 상층막에의 저분자 성분의 확산이 적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를 이용하여 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면, 고정밀도로 기판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포토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재료를 피가공 기판 상에 적용하고, 얻어진 하층막 위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층을 적용하며, 이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용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며, 다음에 건식 에칭 장치에서 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포토레지스트 하층막층 및 피가공 기판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청구항 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 레지스트 하층막은 레지스트 상층막으로서 규소 원자를 함유한 것을 이용하고, 레지스트 상층막을 마스크로 한 하층막의 에칭을, 산소 가스 또는 수소 가스를 주체로 하는 건식 에칭으로 행함으로써 패턴을 형성하는 데 특히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다층 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 하여 기판을 에칭하여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면, 고정밀도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청구항 6).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 레지스트 하층막을 피가공 기판 상에 적용하고, 얻어진 하층막 위에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중간층을 적용하며, 상기 중간층 위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층을 적용하고, 이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용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며,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건식 에칭 장치에서 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중간막층을 가공하며, 포토레지스트 패턴층을 제거 후, 상기 가공한 중간막층을 마스크로 하여 하층막층, 이어서 피가공 기판을 가공할 수 있다(청구항 7).
이 경우,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규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중간층막을 마스크로 하여 하층막을 가공하는 건식 에칭을, 산소 가스 또는 수소 가스를 주체로 하는 에칭 가스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8).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나프탈렌의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가, 예를 들면 파장 193 nm의 단파장의 노광에 있어서 최적인 n값, k값을 가지고, 또한 에칭 내성도 우수하며, 규소 함유 2층 레지스트 공정 또는 규소 함유 중간층에 의한 3층 레지스트 공정인 다층 레지스트 공정용 레지스트 하층막으로서 유망한 재료인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로부터 형성한 레지스트 하층막은 규소 함유 2층 레지스트 공정, 규소 함유 중간층을 갖는 3층 레지스트 공정인 다층 레지스트 공정에 적용 가능한 신규한 레지스트 하층막이다. 특히, 파장 193 nm의 단파장에서의 노광에 있어서 막 두께 150 nm 이상, 특히 200 내지 600 nm로 하였을 때에 반사 방지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기판 에칭의 조건에 있어서의 에칭 내성이 우수하다.
또한,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유기 용제, 가교제, 산 발생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더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재료의 기판 등에의 도포성을 향상시키거나 기판 등에의 도포 후에 베이킹 등에 의해 레지스트 하층막내에서의 가교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레지스트 하층막은 막 두께 균일성이 양호하고, 레지스트 상층막과의 상호혼합의 우려가 적으며, 레지스트 상층막에의 저분자 성분의 확산이 적다.
즉,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는 리소그래피에서 이용되는 다층 레지스트막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이며, 적어도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나프탈렌과 히 드록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레핀과의 공중합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히드록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레핀으로서는 인덴류, 아세나프틸렌류, 노르트리시클렌류, 탄소수 7 내지 30의 비닐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탄소수 7 내지 30의 카르복실산비닐, (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기를 갖는 탄소수 13 내지 30의 축합 탄화수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2
(상기 화학식(1) 중, R1, R6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2, R3, R4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세톡시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고, R5는 탄소수 13 내지 30의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기, -O-R7, -C(=O)-O-R7, -O-C(=O)-R7 또는 -C(=O)-NR8-R7이고, m은 1 또는 2, n은 0 내지 4의 정수, p는 0 내지 6의 정수이다. R7은 탄소수 7 내지 30의 유기기,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이다. a, b, c, d, e는 각각 0<a<1.0, 0≤b≤0.8, 0≤c≤0.8, 0≤d≤0.8, 0≤e≤0.8, 0<b+c+d+e<1.0의 범위이다.)
이 경우, 탄소수 13 내지 30의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안트라센, 피렌, 플루오렌, 페난트렌, 크리센 (chrysene), 나프타센, 펜타센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포함되는 공중합체 중의 반복 단위로,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나프탈렌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a는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3
화학식(1) 중의 반복 단위 b는 인덴류, 벤조푸란류, 벤조티오펜류로부터 선택되는 것에서 유래하고, 반복 단위 c는 아세나프틸렌류에서 유래하며, 반복 단위 d는 노르트리시클렌류에서 유래하고, 반복 단위 e는 비닐기를 갖는 탄소수 13 내지 30의 축합 탄화수소에서 유래한다.
비닐기를 갖는 탄소수 13 내지 30의 축합 탄화수소는 구체적으로는 비닐안트라센, 비닐피렌, 비닐플루오렌, 비닐페난트렌, 비닐크리센, 비닐나프타센, 비닐펜타센, 비닐아세나프텐, 비닐플루오렌을 들 수 있다.
화학식(1) 중의 R5가 -O-R7인 경우에는, R7을 갖는 비닐에테르류를 공중합하 여 얻어지는 반복 단위이고, R7은 탄소수 7 내지 30의 유기기이다. 또한, R7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4
을 포함할 수도 있고, R7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5
을 포함하는 경우, 비닐에테르는 2개의 비닐기를 갖는 비닐에테르(디비닐에테르)이고, 양쪽 비닐기가 각각 다른 단량체의 비닐기와 공중합하여 가교를 형성한다. R5가 -O-R7인 비닐에테르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6
화학식(1) 중의 R5가 -C(=O)-O-R7인 경우에는, R7을 갖는 (메트)아크릴류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반복 단위이고, R7은 탄소수 7 내지 30의 유기기이고, 구체적 으로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또한, R5가 -C(=O)-NR8-R7인 경우에는, 하기에 예시된 화합물의 -C(=O)-O-의 부분을 -C(=O)-NR8-로 치환한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1가 탄화수소기(알킬기, 페닐기 등)이다. 하기 화학식 중, R6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7
화학식(1) 중의 R5가 -O-C(=O)-R7인 경우에는, R7을 갖는 비닐에스테르류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반복 단위이고, R7은 탄소수 7 내지 30의 유기기이다. 이 비닐에스테르는 하기에 예시할 수 있다. 하기 화학식 중, R6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8
히드록시비닐나프탈렌은 b, c, d, e로 표시되는 히드록시기를 갖지 않는 올레핀과의 공중합뿐 아니라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비닐에테르류, 스티렌류, 비닐나 프탈렌,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말레이미드류, 비닐피롤리돈, 비닐에테르류, 디비닐에테르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비닐벤젠류 등의 다른 올레핀 화합물과 공중합할 수도 있다.
또한, 하기에 표시되는 다른 히드록시기 함유의 반복 단위와 공중합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09
여기서, a 내지 e는 상기한 바와 같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1≤a≤0.9, 0≤b≤0.7, 0≤c≤0.7, 0≤d≤0.7, 0≤e≤0.7, 0.1≤b+c+d+e≤0.9,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a≤0.8, 0≤b≤0.6, 0≤c≤0.6, 0≤d≤0.6, 0≤e≤0.6, 0.2≤b+c+d+e≤0.8이다.
또한, 상기 다른 올레핀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f는 0≤f≤0.8, 특히 0≤f≤0.7로 할 수 있고, 상기 다른 히드록시기 함유의 반복 단위 g는 0≤g≤0.8, 특히 0≤g≤0.7로 할 수 있다.
또한, a+b+c+d+e+f+g=1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a+b+c+d+ef+g=1이란, 반복 단 위 a, b, c, d, e, f, g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공중합체)에 있어서 반복 단위 a, b, c, d, e, f, g의 합계량이 전체 반복 단위의 합계량에 대하여 100 몰%인 것을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 a를 얻기 위한 단량체는 히드록시비닐나프탈렌이고, 히드록시기의 수소 원자가 중합시에는 아세틸기나 포르밀기, 피발로일기, 아세탈기, 탄소수가 4 내지 16인 3급 알킬기, 트리메틸실릴기 등으로 치환될 수도 있다.
이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포함되는 공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히드록시비닐나프탈렌과 히드록시기를 갖지 않는 올레핀 단량체를 유기 용제 중, 라디칼 개시제 또는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가열 중합을 행한다.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히드록시기를 아세틸기로 치환해두고, 얻어진 고분자 화합물을 유기 용제 중 알칼리 가수분해를 행하여 아세틸기를 탈보호할 수도 있다. 중합시에 사용하는 유기 용제로서는 톨루엔, 벤젠,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디메틸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벤조일퍼옥시드, 라우로일퍼옥시드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로 가열하여 중합할 수 있다. 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황산, 인산, 염산, 질산, 차아염소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캄포술 폰산, 토실산 등의 산, BF3, AlCl3, TiCl4, SnCl4 등의 프리델 그래프트 촉매 외에 I2, (C6H5)3CCl과 같이 양이온을 생성하기 쉬운 물질이 사용된다.
반응 시간은 2 내지 100 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시간이다. 알칼리 가수분해시의 염기로서는 암모니아수, 트리에틸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는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0 ℃이고, 반응 시간은 0.2 내지 100 시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시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의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 내지 2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100,000의 범위이다. 분자량 분포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분획에 의해 저분자체 및 고분자체를 제거하여 분산도를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분자량, 분산도가 상이한 2개 이상의 화학식(1)의 중합체의 혼합, 또는 조성비가 다른 2종 이상의 화학식(1)의 중합체를 혼합하여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포함되는 공중합체, 특히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의 파장 193 nm에서의 투명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수소 첨가를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수소 첨가의 비율은 방향족기의 80 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몰% 이하이다. 이 경우, 그의 하한은 0 몰%일 수도 있지만, 수소 첨가의 효과를 제공하는 점에서 5 몰% 이상, 특히 10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용 기재 수지는 히드록시비닐나프탈렌류의 반복 단위와 히드록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레핀의 반복 단위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상술한 반사 방지막 재료로서 들 수 있는 종래의 중합체와 블렌딩할 수도 있다. 폴리아세나프틸렌의 유리 전이점은 150 ℃ 이상이고, 이것 단독으로는 비어 홀 등의 깊은 홀의 매입 특성이 열악한 경우가 있다. 홀을 공극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매입하기 위해서는 유리 전이점이 낮은 중합체를 이용하고, 가교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열 유동시키면서 홀의 바닥까지 수지를 매입하는 수법이 사용되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94504호 공보 참조). 유리 전이점이 낮은 중합체, 특히 유리 전이점이 180 ℃ 이하, 특히 100 내지 170 ℃의 중합체, 예를 들면 아크릴 유도체, 비닐알코올, 비닐에테르류, 알릴에테르류, 스티렌 유도체, 알릴벤젠 유도체,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올레핀류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 중합체, 복분해 개환 중합 등에 의한 중합체, 노볼락 레진, 디시클로펜타디엔 레진, 페놀류의 저핵체, 칼릭스 아렌류, 풀러렌류와 블렌딩함으로써 유리 전이점을 저하시켜 비어 홀의 매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레지스트 하층막에 요구되는 성능의 하나로서 레지스트 상층막과의 상호혼합이 없는 것, 레지스트 상층막에의 저분자 성분의 확산이 없는 것을 들 수 있디(예를 들면, 「Proc.SPIE vol.2195, p225-229(1994)」참조). 이들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레지스트 하층막을 스핀 코팅법 등으로 기판에 형성 후, 베이킹하여 열 가교한다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그 때문에,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의 성분으로서 가교제를 첨가하는 방법, 중합체에 가교성 치환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있다. 중 합체에 가교성 치환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화학식(1)로 표시되는 히드록시비닐나프탈렌의 히드록시기를 글리시딜에테르화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가교제의 구체적인 예를 열거하면, 메틸올기, 알콕시메틸기, 아실옥시메틸기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기로 치환된 멜라민 화합물, 구아나민 화합물, 글리콜우릴 화합물 또는 우레아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지드 화합물, 알케닐에테르기 등의 2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첨가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지만, 중합체 측쇄에 팬던트기로서 도입할 수도 있다. 또한,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도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구체적인 예 중, 에폭시 화합물을 더 예시하면 트리스(2,3-에폭시프로필)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메탄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에틸올에탄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멜라민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헥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의 1 내지 6개의 메틸올기가 메톡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헥사메톡시에틸멜라민, 헥사아실옥시메틸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의 메틸올기의 1 내지 6개가 아실옥시메틸화한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구아나민 화합물로서는 테트라메틸올구아나민, 테트라메틸올구아나민의 1 내지 4개의 메틸올기가 메톡시메틸화된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테트라메톡시에틸구아나민, 테트라아실옥시구아나민, 테트라메틸올구아나민의 1 내지 4개의 메틸올기가 아실옥시메틸화된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우릴 화합물로는 테트라메 틸올글리콜우릴, 테트라메톡시글리콜우릴, 테트라메톡시메틸글리콜우릴, 테트라메틸올글리콜우릴의 메틸올기의 1 내지 4개가 메톡시메틸화된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테트라메틸올글리콜우릴의 메틸올기의 1 내지 4개가 아실옥시메틸화된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우레아 화합물로는 테트라메틸올우레아, 테트라메톡시메틸우레아, 테트라메틸올우레아의 1 내지 4개의 메틸올기가 메톡시메틸화된 화합물 또는 그의 혼합물, 테트라메톡시에틸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아지드 화합물로서는 1,1'-비페닐-4,4'-비스아지드, 4,4'-메틸리덴비스아지드, 4,4'-옥시비스아지드를 들 수 있다.
알케닐에테르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비닐에테르, 1,2-프로판디올 디비닐에테르, 1,4-부탄디올 디비닐에테르,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비닐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 디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비닐에테르, 헥산디올 디비닐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올 디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비닐에테르, 소르비톨 테트라비닐에테르, 소르비톨 펜타비닐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포함되는 중합체, 예를 들면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중합체의 히드록시기가 글리시딜기로 치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첨가가 효과적이다. 특히 분자내에 2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나프톨 노볼락, m- 및 p-크레졸 노볼락, 나프톨-디시클로펜타디엔노볼락, m- 및 p-크레졸-디시클로펜타디엔노볼락, 4,8-비스(히드록시메틸)트리시클로[5.2.1.02,6]-데칸, 펜타에리트리톨, 1,2,6-헥산트리올, 4,4',4"-메틸리덴트리스시클로헥산올, 4,4'-[1-[4-[1-(4-히드록시시클로헥실)-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시클로헥산올, [1,1'-비시클로헥실]-4,4'-디올, 메틸렌비스시클로헥산올, 데카히드로나프탈렌-2,6-디올, [1,1'-비시클로헥실]-3,3',4,4'-테트라히드록시 등의 알코올기 함유 화합물, 비스페놀, 메틸렌비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페놀], 4,4'-메틸리덴-비스[2,6-디메틸페놀], 4,4'-(1-메틸-에틸리덴)비스[2-메틸페놀], 4,4'-시클로헥실리덴비스페놀, 4,4'-(1,3-디메틸부틸리덴)비스페놀, 4,4'-(1-메틸에틸리덴)비스[2,6-디메틸페놀], 4,4'-옥시비스페놀, 4,4'-메틸렌비스페놀,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타논, 4,4'-메틸렌비스[2-메틸페놀], 4,4'-[1,4-페닐렌비스(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4,4'-(1,2-에탄디일)비스페놀, 4,4'-(디에틸실릴렌)비스페놀, 4,4'-[2,2,2-트리플루오로-1-(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4,4',4"-메틸리덴트리스페놀, 4,4'-[1-(4-히드록시페닐)-1-메틸에틸]페닐]에틸리덴]비스페놀, 2,6-비스[(2-히드록시-5-메틸페닐)메틸]-4-메틸페놀, 4,4',4"-에틸리딘트리스[2-메틸페놀], 4,4',4"-에틸리딘트리스페놀, 4,6-비스[(4-히드록시페닐)메틸]-1,3-벤젠디올, 4,4'-[(3,4-디히드록시페닐)메틸렌]비스[2-메틸페놀], 4,4',4",4"'-(1,2-에탄디일리덴)테트라키스페놀, 4,4',4",4"'-(에탄디일리덴)테트 라키스[2-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2-히드록시-5-메틸페닐)메틸]-4-메틸페놀], 4,4',4",4"'-(1,4-페닐렌디메틸리딘)테트라키스페놀, 2,4,6-트리스(4-히드록시페닐메틸)-1,3-벤젠디올, 2,4',4"-메틸리덴트리스페놀, 4,4',4"'-(3-메틸-1-프로파닐-3-일리덴)트리스페놀, 2,6-비스[(4-히드록시-3-플루오로페닐)메틸]-4-플루오로페놀, 2,6-비스[4-히드록시-3-플루오로페닐]메틸]-4-플루오로페놀, 3,6-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틸]-1,2-벤젠디올, 4,6-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틸]-1,3-벤젠디올, p-메틸칼릭스[4]아렌, 2,2'-메틸렌비스[6-[(2,5/3,6-디메틸-4/2-히드록시페닐)메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틸]-4-메틸페놀, 4,4',4",4"'-테트라키스[(1-메틸에틸리덴)비스(1,4-시클로헥실리덴)]페놀, 6,6'-메틸렌비스[4-(4-히드록시페닐메틸)-1,2,3-벤젠트리올, 3,3',5,5'-테트라키스[(5-메틸-2-히드록시페닐)메틸]-[(1,1'-비페닐)-4,4'-디올] 등의 페놀 저핵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배합량은 기재 중합체(전체 수지분) 100 부(질량부, 이하 동일)에 대하여 5 내지 50 부가 바람직하고, 특히 10 내지 40 부가 바람직하다. 5 부 미만이면 레지스트막과 혼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50 부를 초과하면 반사 방지 효과가 저하되거나 가교 후의 막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는 열 등에 의한 가교 반응을 더욱 촉진시키기 위한 산 발생제를 첨가할 수 있다. 산 발생제는 열 분해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것이나 광 조사에 의해 산을 발생시키는 것이 있지만, 이들 중 어느 것이라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로 사용되는 산 발생제로서는,
i. 하기 화학식 (P1a-1), (P1a-2), (P1a-3) 또는 (P1b)의 오늄염,
ii. 하기 화학식 (P2)의 디아조메탄 유도체,
iii. 하기 화학식 (P3)의 글리옥심 유도체,
iv. 하기 화학식 (P4)의 비스술폰 유도체,
v. 하기 화학식 (P5)의 N-히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술폰산에스테르,
vi. β-케토술폰산 유도체,
vii. 디술폰 유도체,
viii. 니트로벤질술포네이트 유도체,
ix. 술폰산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0
(식 중, R101a, R101b 및 R101c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기, 알케닐기, 옥소알킬기 또는 옥소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 또는 아릴옥소알킬기를 나타내고, 이들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알콕시기 등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다. 또한, R101b와 R101c는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R101b 및 R101c가 각 각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K-는 비구핵성 대향 이온을 나타낸다. R101d, R101e, R101f, R101g는 R101a, R101b, R101c에 수소 원자를 부가한 것을 나타낸다. R101d R101e, R101d와 R101e와 R101f는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R101d와 R101e 및 R101d와 R101e와 R101f가 탄소수 3 내지 10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화학식 중의 질소 원자를 환 중에 갖는 복소 방향족 환을 나타낸다.)
상기 R101a, R101b, R101c, R101d, R101e, R101f 및 R101g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는 알킬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실메틸기, 노르보르닐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시클로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옥소알케닐기로서는 2-옥소-4-시클로헥세닐기, 2-옥소-4-프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옥소알킬기로서는 2-옥소시클로펜틸기, 2-옥소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2-옥소프로필기, 2-시클로펜틸-2-옥소에틸기, 2-시클로헥실-2-옥소에틸기, 2-(4-메틸시클로헥실)-2-옥소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이나, p-메톡시페닐기, m-메톡시페닐기, o-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p-tert-부톡시페닐기, m-tert-부톡시페닐기 등의 알콕시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4-tert-부틸페닐기, 4-부틸페닐기, 디메틸페닐기 등의 알킬페닐기, 메틸나프틸기, 에틸나프틸기 등의 알킬나프틸기, 메톡시나프틸기, 에톡시나프틸기 등의 알콕시나프틸기, 디메틸나프틸기, 디에틸나프틸기 등의 디알킬나프틸기, 디메톡시나프틸기, 디에톡시나프틸기 등의 디알콕시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르알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소알킬기로서는 2-페닐-2-옥소에틸기, 2-(1-나프틸)-2-옥소에틸기, 2-(2-나프틸)-2-옥소에틸기 등의 2-아릴-2-옥소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K-의 비구핵성 대향 이온으로서는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의 할로겐화물 이온, 트리플레이트, 1,1,1-트리플루오로에탄술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등의 플루오로알킬술포네이트, 토실레이트, 벤젠술포네이트, 4-플루오로벤젠술포네이트, 1,2,3,4,5-펜타플루오로벤젠술포네이트 등의 아릴술포네이트, 메실레이트, 부탄술포네이트 등의 알킬술포네이트,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비스(퍼플루오로에틸술포닐)이미드, 비스(퍼플루오로부틸술포닐)이미드 등의 이미드산, 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메티드, 트리스(퍼플루오로에틸술포닐)메티드 등의 메티드산, 또한 하기 화학식(K-1)로 표시되는 α 위치가 플루오로 치환된 술포네이트, 하기 화학식(K-2)로 표시되는 α, β 위치가 플루오로 치환된 술포네이트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1
(상기 화학식(K-1) 중, R10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아실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이다. 화학식(K-2) 중, R103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다.)
또한, R101d, R101e, R101f, R101g가 화학식 중의 질소 원자를 환 중에 갖는 복소 방향족환은 이미다졸 유도체(예를 들면 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4-메틸-2-페닐이미다졸 등), 피라졸 유도체, 푸라잔 유도체, 피롤린 유도체(예를 들면 피롤린, 2-메틸-1-피롤린 등), 피롤리딘 유도체(예를 들면 피롤리딘, N-메틸피롤리딘, 피롤리디논, N-메틸피롤리돈 등), 이미다졸린 유도체, 이미다졸리딘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예를 들면 피리딘, 메틸피리딘, 에틸피리딘, 프로필피리딘, 부틸피리딘, 4-(1-부틸펜틸)피리딘, 디메틸피리딘, 트리메틸피리딘, 트리에틸피리딘, 페닐피리딘, 3-메틸-2-페닐피리딘, 4-tert-부틸피리딘, 디페닐피리딘, 벤질피리딘, 메톡시피리딘, 부톡시피리딘, 디메톡시피리딘, 1-메틸-2-피리돈, 4-피롤리디노피리딘, 1-메틸-4-페닐피리딘, 2-(1-에틸프로필)피리딘, 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 피리다진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리딘 유도체, 피페리딘 유도체, 피페라진 유도체, 모르폴린 유도체, 인돌 유도체, 이소인돌 유도체, 1H-인다졸 유도체, 인돌린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예를 들어, 퀴놀린, 3-퀴놀린카르보니트릴 등), 이소퀴놀린 유도체, 신놀린 유도체, 퀴나졸린 유도 체, 퀴녹살린 유도체, 프탈라진 유도체, 푸린 유도체, 푸테리딘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페난트리딘 유도체, 아크리딘 유도체, 페나진 유도체, 1,10-페난트롤린 유도체, 아데닌 유도체, 아데노신 유도체, 구아닌 유도체, 구아노신 유도체, 우라실 유도체, 우리딘 유도체 등이 예시된다.
화학식 (P1a-1)과 화학식 (P1a-2)는 광산 발생제, 열산 발생제 둘다의 효과가 있지만, 상기 화학식 (P1a-3)은 열산 발생제로서 작용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2
(식 중, R102a, R102b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기를 나타낸다. R103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104a 및 R104b는 각각 탄소수 3 내지 7의 2-옥소알킬기를 나타낸다. K-는 비구핵성 대향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R102a, R102b의 알킬기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실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03의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노닐렌기, 1,4-시클로헥 실렌기, 1,2-시클로헥실렌기, 1,3-시클로펜틸렌기, 1,4-시클로옥틸렌기, 1,4-시클로헥산디메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104a, R104b의 2-옥소알킬기로서는 2-옥소프로필기, 2-옥소시클로펜틸기, 2-옥소시클로헥실기, 2-옥소시클로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K-는 화학식 (P1a-1), (P1a-2) 및 (P1a-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3
(식 중, R105 및 R106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화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R105, R106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아밀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노르보르닐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화 알킬기로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1,1-트리플루오로에틸기, 1,1,1-트리클로로에틸기, 노나플루오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p-메톡시페닐기, m-메톡시페닐기, o-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p-tert-부톡시페닐기, m-tert-부톡시페닐기 등의 알콕시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4-tert-부틸페닐기, 4-부틸페닐기, 디메틸페닐기 등의 알킬페 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화 아릴기로서는 플루오로페닐기, 클로로페닐기, 1,2,3,4,5-펜타플루오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르알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4
(식 중, R107, R108 및 R109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화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르알킬기를 나타낸다. R108 및 R109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상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R108 및 R109가 각각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105는 화학식(P2)의 것과 동일하다.)
R107, R108, R109의 알킬기, 할로겐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 아릴기, 아르알킬기로서는 R105, R106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또한, R108, R109의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헥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5
(식 중, R101a, R101b는 상기와 동일하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6
(식 중, R110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렌기를 나타내고, 이들 기의 수소 원자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또한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니트로기, 아세틸기 또는 페닐기로 치환될 수도 있다. R111은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치환된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콕시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이들 기의 수소 원자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또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아세틸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 탄소수 3 내지 5의 헤테로방향족기; 또는 염소 원자, 불소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다.)
여기서, R110의 아릴렌기로서는 1,2-페닐렌기, 1,8-나프틸렌기 등을 들 수 있고,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페닐에틸렌기, 노르보르난-2,3-디일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알케닐렌기로서는 1,2-비닐렌기, 1-페닐-1,2-비닐렌기, 5-노르보르넨-2,3-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111의 알킬기로서는 R101a 내지 R101c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고,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1-프로페 닐기, 알릴기, 1-부테닐기, 3-부테닐기, 이소프레닐기, 1-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디메틸알릴기, 1-헥세닐기, 3-헥세닐기, 5-헥세닐기, 1-헵테닐기, 3-헵테닐기, 6-헵테닐기, 7-옥테닐기 등을 들 수 있고, 알콕시알킬기로서는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프로폭시메틸기, 부톡시메틸기, 펜틸옥시메틸기, 헥실옥시메틸기, 헵틸옥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프로폭시에틸기, 부톡시에틸기, 펜틸옥시에틸기, 헥실옥시에틸기, 메톡시프로필기, 에톡시프로필기, 프로폭시프로필기, 부톡시프로필기, 메톡시부틸기, 에톡시부틸기, 프로폭시부틸기, 메톡시펜틸기, 에톡시펜틸기, 메톡시헥실기, 메톡시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더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아세틸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로서는 페닐기, 톨릴기, p-tert-부톡시페닐기, p-아세틸페닐기, p-니트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3 내지 5의 헤테로방향족기로서는 피리딜기, 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산 발생제는 구체적으로 오늄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테트라메틸암모늄,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폰산 테트라메틸암모늄,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폰산 트리에틸암모늄,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폰산 피리디늄, 캄포술폰산 트리에틸암모늄, 캄포술폰산 피리디늄,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폰산 테트라 n-부틸암모늄, 노나플루 오로부탄술폰산 테트라페닐암모늄, p-톨루엔술폰산 테트라메틸암모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디페닐요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페닐요오도늄, p-톨루엔술폰산 디페닐요오도늄, p-톨루엔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페닐요오도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비스(p-tert-부톡시페닐)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비스(p-tert-부톡시페닐)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술포늄,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부탄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메틸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메틸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시클로헥실메틸(2-옥소시클로헥실)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시클로헥실메틸(2-옥소시클로헥실)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디메틸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디메틸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디시클로헥실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디시클로헥실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나프틸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2-노르보닐)메틸(2-옥소시클로헥실)술포늄, 에틸렌비스[메틸(2-옥소시클로펜틸)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2'-나프틸카르보닐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페늄 트리플레이트, 트리에틸암모늄 노나플레이트, 트리부틸암모늄 노나플레이트, 테트라에틸암모늄 노나플레이트, 테트라부틸암모늄 노나플레이트, 트리에틸암모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트리에틸암모늄 트리스(퍼플루오로에틸술포닐)메티드 등의 오늄염을 들 수 있다.
디아조메탄 유도체로서는 비스(벤젠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크실렌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펜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n-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sec-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n-프로필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프로필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n-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sec-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1-시클로헥실술포닐-1-(tert-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1-시클로헥실술포닐-1-(tert-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1-tert-아밀술포닐-1-(tert-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등의 디아조메탄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글리옥심 유도체로서는 비스-O-(p-톨루엔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술포닐)-α-디페닐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술포닐)-α-디시클로헥실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술포닐)-2,3-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술포닐)-2-메틸-3,4-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α-디페닐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α-디시클로헥실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2,3-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2-메틸-3,4-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메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1,1,1-트리플루오로에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tert-부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퍼플루오로옥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시클로헥산술포닐)-α-디메틸글 리옥심, 비스-O-(벤젠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p-플루오로벤젠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p-tert-부틸벤젠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크실렌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캄포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등의 글리옥심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비스술폰 유도체로서는 비스나프틸술포닐메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메탄, 비스메틸술포닐메탄, 비스에틸술포닐메탄, 비스프로필술포닐메탄, 비스이소프로필술포닐메탄, 비스-p-톨루엔술포닐메탄, 비스벤젠술포닐메탄 등의 비스술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β-케토술폰 유도체로서는 2-시클로헥실카르보닐-2-(p-톨루엔술포닐)프로판, 2-이소프로필카르보닐-2-(p-톨루엔술포닐)프로판 등의 β-케토술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디술폰 유도체로서는 디페닐디술폰 유도체, 디시클로헥실디술폰 유도체 등의 디술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니트로벤질술포네이트 유도체로서는 p-톨루엔술폰산 2,6-디니트로벤질, p-톨루엔술폰산 2,4-디니트로벤질 등의 니트로벤질술포네이트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술폰산에스테르 유도체로서는 1,2,3-트리스(메탄술포닐옥시)벤젠, 1,2,3-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옥시)벤젠, 1,2,3-트리스(p-톨루엔술포닐옥시)벤젠 등의 술폰산에스테르 유도체를 들 수 있다.
N-히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술폰산에스테르 유도체로서는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프로판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프로판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펜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옥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p-톨루엔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p-메톡시벤젠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클로로에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벤젠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2,4,6-트리메틸벤젠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나프탈렌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나프탈렌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2-페닐숙신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말레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말레이미드 에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2-페닐말레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글루타르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글루타르이미드 벤젠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벤젠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p-톨루엔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 벤젠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p-톨루엔술폰산에스테르 등의 N-히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술폰산에스테르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특히,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스(p-tert-부톡시페 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나프틸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시클로헥실메틸(2-옥소시클로헥실)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2-노르보닐)메틸(2-옥소시클로헥실)술포늄, 1,2'-나프틸카르보닐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페늄 트리플레이트 등의 오늄염, 비스(벤젠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n-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sec-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n-프로필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프로필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등의 디아조메탄 유도체, 비스-O-(p-톨루엔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등의 글리옥심 유도체, 비스나프틸술포닐메탄 등의 비스술폰 유도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프로판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프로판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펜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p-톨루엔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 메탄술폰산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 벤젠술폰산에스테르 등의 N-히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술폰산에스테르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 발생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산 발생제의 첨가량은 기재 중합체 100 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 부이다. 0.1 부보다 적으면 산 발생량이 적고, 가교 반응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으며, 50 부를 초과하면 상층 레지스트로 산이 이동하는 것에 의한 혼합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는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염기성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은 보존 중 등에 산 발생제로부터 미량으로 발생한 산이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을 막기 위한, 산에 대한 억제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1급, 2급, 3급의 지방족 아민류, 혼성 아민류, 방향족 아민류, 복소환 아민류, 카르복시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술포닐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수산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히드록시페닐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알코올성 질소 함유 화합물, 아미드 유도체, 이미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1급 지방족 아민류로서는 암모니아, 메틸아민,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이소부틸아민, sec-부틸아민, tert-부틸아민, 펜틸아민, tert-아밀아민, 시클로펜틸아민, 헥실아민, 시클로헥실아민, 헵틸아민, 옥틸아민, 노닐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세틸아민, 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이 예시되고, 2급 지방족 아민류로서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n-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n-부틸아민, 디이소부틸아민, 디-sec-부틸아민, 디펜틸아민, 디시클로펜틸아민, 디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헵틸아민, 디옥틸아민, 디노닐아민, 디데실아민, 디도데실아민, 디세틸아민, N,N-디메틸메틸렌디아민,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이 예시되고, 3급 지방족 아민류로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이소부틸아민, 트리-sec-부틸아민, 트리펜틸아민, 트리시클로펜틸아민, 트리헥실아민, 트리시클로헥실아민, 트리헵틸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노닐아민, 트리데실아민, 트리도데실아민, 트리세틸아민, N,N,N',N'-테트라메틸메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이 예시된다.
또한, 혼성 아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에틸아민, 메틸에틸프로필아민, 벤질아민, 페네틸아민, 벤질디메틸아민 등이 예시된다.
방향족 아민류 및 복소환 아민류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아닐린 유도체(예를 들어, 아닐린, N-메틸아닐린, N-에틸아닐린, N-프로필아닐린, N,N-디메틸아닐린, 2-메틸아닐린, 3-메틸아닐린, 4-메틸아닐린, 에틸아닐린, 프로필아닐린, 트리메틸아닐린, 2-니트로아닐린, 3-니트로아닐린, 4-니트로아닐린, 2,4-디니트로아닐린, 2,6-디니트로아닐린, 3,5-디니트로아닐린, N,N-디메틸톨루이딘 등), 디페닐(p-톨릴)아민, 메틸디페닐아민, 트리페닐아민, 페닐렌디아민, 나프틸아민, 디아미노나프탈렌, 피롤 유도체(예를 들어, 피롤, 2H-피롤, 1-메틸피롤, 2,4-디메틸피롤, 2,5-디메틸피롤, N-메틸피롤 등), 옥사졸 유도체(예를 들어, 옥사졸, 이소옥사졸 등), 티아졸 유도체(예를 들어, 티아졸, 이소티아졸 등), 이미다졸 유도체(예를 들어, 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4-메틸-2-페닐이미다졸 등), 피라졸 유도체, 푸라잔 유도체, 피롤린 유도체(예를 들어, 피롤린, 2-메틸-1-피롤린 등), 피롤리딘 유도체( 예를 들어, 피롤리딘, N-메틸피롤리딘, 피롤리디논, N-메틸피롤리돈 등), 이미다졸린 유도체, 이미다졸리딘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예를 들어, 피리딘, 메틸피리딘, 에틸피리딘, 프로필피리딘, 부틸피리딘, 4-(1-부틸펜틸)피리딘, 디메틸피리딘, 트리메틸피리딘, 트리에틸피리딘, 페닐피리딘, 3-메틸-2-페닐피리딘, 4-tert-부틸피리딘, 디페닐피리딘, 벤질피리딘, 메톡시피리딘, 부톡시피리딘, 디메톡시피리딘, 1-메틸-2-피리돈, 4-피롤리디노피리딘, 1-메틸-4-페닐피리딘, 2-(1-에틸프로필)피리딘, 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 피리다진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리딘 유도체, 피페리딘 유도체, 피페라진 유도체, 모르폴린 유도체, 인돌 유도체, 이소인돌 유도체, 1H-인다졸 유도체, 인돌린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예를 들어, 퀴놀린, 3-퀴놀린카르보니트릴 등), 이소퀴놀린 유도체, 신놀린 유도체, 퀴나졸린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프탈라진 유도체, 푸린 유도체, 프테리딘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페난트리딘 유도체, 아크리딘 유도체, 페나진 유도체, 1,10-페난트롤린 유도체, 아데닌 유도체, 아데노신 유도체, 구아닌 유도체, 구아노신 유도체, 우라실 유도체, 우리딘 유도체 등이 있다.
또한, 카르복시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로서는 아미노벤조산, 인돌카르복실산, 아미노산 유도체(예를 들어, 니코틴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로이신, 글리실로이신, 로이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리신, 3-아미노피라진-2-카르복실산, 메톡시알라닌) 등이 예시되고, 술포닐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로서는 3-피리딘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피리디늄 등이 예시되고, 수산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히드록시페닐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알코올성 질소 함유 화합물로서는 2-히드록시피리딘, 아미노크레졸, 2,4-퀴놀린디올, 3-인돌메탄올히드레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디에틸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2'-이미노디에탄올, 2-아미노에탄올, 3-아미노-1-프로판올, 4-아미노-1-부탄올, 4-(2-히드록시에틸)모르폴린, 2-(2-히드록시에틸)피리딘, 1-(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 1-[2-(2-히드록시에톡시)에틸]피페라진, 피페리딘에탄올, 1-(2-히드록시에틸)피롤리딘, 1-(2-히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3-피페리디노-1,2-프로판디올, 3-피롤리디노-1,2-프로판디올, 8-히드록시유롤리딘, 3-퀴누클리딘올, 3-트로판올, 1-메틸-2-피롤리딘에탄올, 1-아지리딘에탄올, N-(2-히드록시에틸)프탈이미드, N-(2-히드록시에틸)이소니코틴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아미드 유도체로서는 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피온아미드, 벤즈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이미드 유도체로서는 프탈이미드, 숙신이미드, 말레이미드 등이 예시된다.
염기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전체 기재 수지 100 부에 대해 0.001 내지 2 부, 특히 0.01 내지 1 부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01 부보다 적으면 배합 효과가 적고, 2 부를 초과하면 열에 의해 발생된 산을 모두 포획하여 가교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유기 용제로서는 상기 기재 중합체, 산 발생제, 가교제, 기타 첨가제 등이 용해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의 구체적인 예를 열거하면 시클로헥사논, 메틸-2-아밀케톤 등의 케톤류; 3-메톡시부탄올, 3-메틸-3-메톡시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락트산에틸, 피루브산에틸, 아세트산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아세트산 tert-부틸, 프로피온산 tert-부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 tert-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에서는 이들 유기 용제 중에서도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또는 1-에톡시-2-프로판올, 락트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의 배합량은 전체 기재 수지 100 부에 대해 200 내지 10,000 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0 내지 5,000 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리소그래피에 의해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며, 적어도 상기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를 이용하여 레지스트 하층막을 기판 상에 형성하고, 상기 하층막 위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레지스트 상층막을 형성하며, 다층 레지스트막으로서 상기 다층 레지스트막의 패턴 회로 영역을 노광한 후, 현상 액으로 현상하여 레지스트 상층막에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패턴이 형성된 레지스트 상층막을 마스크로 하여 레지스트 하층막을 에칭하며, 또한 패턴이 형성된 다층 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 하여 기판을 에칭하여 기판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포토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재료를 피가공 기판 상에 적용하고, 얻어진 하층막 위에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중간층을 적용하며, 상기 중간층 위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층을 적용하고, 이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용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며,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건식 에칭 장치에서 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중간막층을 가공하며, 포토레지스트 패턴층을 제거 후, 상기 가공한 중간막층을 마스크로 하여 하층막층, 이어서 피가공 기판을 가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6,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턴 형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2층 레지스트 가공 공정, 도 7은 3층 레지스트 가공 공정의 설명도이다.
피가공 기판 (11)은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공층 (11a)와 기재층 (11b)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판 (11) 기재층 (11b)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Si, 비정질 실리콘(α-Si), p-Si, SiO2, SiN, SiON, W, TiN, Al 등으로 제조된 피가공층(11a)와 다른 재질의 것이 이용될 수도 있다. 피가공층 (11a)로서는 Si, SiO2, SiON, SiN, p-Si, α-Si, W, W-Si, Al, Cu, Al-Si 등 및 다양한 저유전막 및 그의 에칭 스토퍼막이 이용되고, 통상 50 내지 10,000 nm, 특히 100 내지 5,000 nm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우선, 도 6의 2층 레지스트 가공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레지스트 하층막 (12)는 통상적인 포토레지스트막의 형성법과 동일하게 스핀 코팅법 등으로 기판 (11)상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핀 코팅법 등으로 레지스트 하층막 (12)를 형성한 후, 유기 용제를 증발시키고, 레지스트 상층막 (13)과의 혼합 방지를 위해서, 가교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베이킹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킹 온도는 80 내지 300 ℃의 범위내에서 10 내지 300 초의 범위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 레지스트 하층막 (12)의 두께는 적절하게 선정되지만, 100 내지 20,000 nm, 특히 150 내지 15,000 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지스트 하층막 (12)를 형성한 후, 그 위에 레지스트 상층막 (13)을 형성한다(도 6(A) 참조).
이 경우, 이 레지스트 상층막 (13)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산소 가스 에칭 내성 등의 점에서 기재 중합체로서 폴리실세스퀴옥산 유도체 또는 비닐실란 유도체 등의 규소 원자 함유 중합체를 사용하고, 유기 용제, 산 발생제, 필요에 따라 염기성 화합물 등을 더 포함하는 포지티브형 등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사용된다. 또한, 규소 원자 함유 중합체로서는 이 종류의 레지스트 조성물에 이용되는 공지된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트 상층막 (13)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내지 500 nm, 특히 50 내지 400 nm가 바람직하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의해 레지스트 상층막 (13)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스핀 코팅법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레지스트 상층막 (13)을 스핀 코팅법 등으로 형성 후, 프리베이킹을 행하지만, 80 내지 180 ℃에서 10 내지 300 초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통상법에 따라서 다층 레지스트막의 패턴 회로 영역의 노광을 행하고 (도 6(B) 참조), 노광후 베이킹(PEB), 현상을 행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얻는다(도 6(C) 참조). 또한, 도 6(B)에 있어서 13'는 노광 부분이다.
현상은 알칼리 수용액을 이용한 퍼들법, 침지법 등이 사용되고, 특히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의 2.38 질량% 수용액을 이용한 퍼들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며, 실온에서 10 초 내지 300 초의 범위에서 행해지고, 그 후 순수한 물로 린스하여 스핀 건조 또는 질소 블로우 등에 의해서 건조된다.
다음에, 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레지스트 상층막 (13)을 마스크로 하여 산소 가스를 주체로 하는 건식 에칭 등으로 레지스트 하층막 (12)의 에칭을 행한다(도 6(D) 참조). 이 에칭은 통상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산소 가스를 주체로 하는 건식 에칭의 경우, 산소 가스에 더하여 He, Ar 등의 불활성 가스나, CO, CO2, NH3, SO2, N2, NO2 가스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후자의 가스는 패턴 측벽의 언더컷트 방지를 위한 측벽 보호를 위해서 이용된다.
다음 기판 (11)의 에칭도 통상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판이 SiO2, SiN이면 프론계 가스를 주체로 한 에칭, 폴리실리콘(p-Si)이나 Al, W이면 염소계, 브롬계 가스를 주체로 한 에칭을 행한다(도 6(E) 참조). 본 발명의 레지스 트 하층막은 이들 기판의 에칭시의 에칭 내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 때, 레지스트 상층막은 필요에 따라서, 제거한 후에 기판의 에칭을 할 수도 있고, 레지스트 상층막을 그대로 남기고 기판의 에칭을 행할 수도 있다.
3층 레지스트 가공 공정의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지스트 하층막 (12)와 레지스트 상층막 (13) 사이에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중간층 (14)를 개재시킨다(도 7(A) 참조). 이 경우, 중간층 (14)를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실세스퀴옥산을 기재로 하는 실리콘 중합체 또는 테트라오르토실리케이트 유리(TEOS)와 같은 스핀 코팅에 의해서 제조되는 막이나, CVD에서 제조되는 SiO2, SiN, SiON 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간층 (14)의 두께로서는 10 내지 1,000 nm가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도 6의 2층 레지스트 가공 공정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에, 도 6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도 7(B), (C) 참조).
이어서, 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된 레지스트 상층막 (13)을 마스크로 하여 프론계 가스를 주체로 하는 건식 에칭 등으로 중간층 (14)의 에칭을 행한다(도 7(D) 참조). 이 에칭는 통상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프론계 가스를 주체로 하는 건식 에칭의 경우, CF4, CHF3, C2F6, C3F8, C4F10 등을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 (14)를 에칭한 후, O2 또는 H2를 주체로 하는 건식 에칭 등으로 레지스트 하층막의 에칭을 행한다(도 7(E) 참조). 이 경우, O2, H2 가스에 더하 여 He, Ar 등의 불활성 가스나, CO, CO2, NH3, SO2, N2, NO2 가스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후자의 가스는 패턴 측벽의 언더컷트 방지를 위한 측벽 보호를 위해서 이용된다.
다음 기판 (11)의 에칭도 통상법에 의해서 행할 수 있고, 도 6의 경우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기판이 SiO2, SiN이면 프론계 가스를 주체로 한 에칭, 폴리실리콘(p-Si)이나 Al, W이면 염소계, 브롬계 가스를 주체로 한 에칭을 행한다(도 7(F) 참조). 본 발명의 레지스트 하층막은 이들 기판의 에칭시의 에칭 내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 때, 레지스트 상층막은 필요에 따라서, 제거한 후에 기판의 에칭을 할 수도 있고, 레지스트 상층막을 그대로 남기고 기판의 에칭을 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합성예, 비교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기재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예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 Mw 및 수 평균 분자량 Mn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기준의 측정치이다.
[합성예 1]
200 mL의 플라스크에 아세나프틸렌을 9.1 g, 5-히드록시-1-비닐나프탈렌 6.9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3C,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5-히드록시-1-비닐나프탈렌:아세나프틸렌=40:60
중량 평균 분자량(Mw)=6,800
분자량 분포(Mw/Mn)=1.72
이 중합체를 중합체 1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7
[합성예 2]
200 mL의 플라스크에 아세나프틸렌을 9.1 g,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6.9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3C,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아세나프틸렌=40:60
중량 평균 분자량(Mw)=7,400
분자량 분포(Mw/Mn)=1.83
이 중합체를 중합체 2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8
[합성예 3]
200 mL의 플라스크에 인덴을 7.0 g,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6.9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3C,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인덴=40:60
중량 평균 분자량(Mw)=15,000
분자량 분포(Mw/Mn)=1.92
이 중합체를 중합체 3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19
[합성예 4]
5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을 11.0 g, 2,5-노르보르나디엔 3.2 g, 용매로서 톨루엔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70 ℃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탈기, 질소 플로우를 3회 반복하였다. 실온까지 승온 후,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1.5 g 첨가하여 80 ℃까지 승온 후, 24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300 mL, 물 50 m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부(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2,5-노르보르나디엔=0.68:0.32
중량 평균 분자량(Mw)=10,500
분자량 분포(Mw/Mn)=1.71
이 중합체를 중합체 4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0
[합성예 5]
500 mL의 플라스크에 5-히드록시-1-비닐나프탈렌을 5.9 g, 1-비닐나프탈렌을 5.4 g, 2,5-노르보르나디엔 3.2 g, 용매로서 톨루엔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70 ℃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탈기, 질소 플로우를 3회 반복하였다. 실온까지 승온 후,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1.5 g 첨가하여 80 ℃까지 승온 후, 24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300 mL, 물 50 m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5-히드록시-1-비닐나프탈렌:1-비닐나프탈렌:2,5-노르보르나디엔=0.35:0.35:0.30
중량 평균 분자량(Mw)=11,600
분자량 분포(Mw/Mn)=1.78
이 중합체를 중합체 5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1
[합성예 6]
5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을 9.4 g, 9-비닐페난트렌 9.2 g, 용매로서 톨루엔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70 ℃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탈기, 질소 플로우를 3회 반복하였다. 실온까지 승온 후,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1.5 g 첨가하여 80 ℃까지 승온 후, 24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300 mL, 물 50 m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9-비닐페난트렌=0.55:0.45
중량 평균 분자량(Mw)=8,300
분자량 분포(Mw/Mn)=1.78
이 중합체를 중합체 6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2
[합성예 7]
5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을 12.0 g, 1-비닐피렌 11.3 g, 용매로서 톨루엔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70 ℃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탈기, 질소 플로우를 3회 반복하였다. 실온까지 승온 후,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1.5 g 첨가하여 80 ℃까지 승온 후, 24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300 mL, 물 50 m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1-비닐피렌=0.68:0.32
중량 평균 분자량(Mw)=7,200
분자량 분포(Mw/Mn)=1.68
이 중합체를 중합체 7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3
[합성예 8]
2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8.5 g, 하기 비닐에테르 단량체 1을 8.9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4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비닐에테르 단량체 1=0.50:0.50
중량 평균 분자량(Mw)=9,100
분자량 분포(Mw/Mn)=1.63
이 중합체를 중합체 8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5
[합성예 9]
2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8.5 g, 하기 비닐에테르 단량체 2를 9.8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6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비닐에테르 단량체 2=0.50:0.50
중량 평균 분자량(Mw)=6,100
분자량 분포(Mw/Mn)=1.44
이 중합체를 중합체 9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7
[합성예 10]
2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8.5 g, 상기 비닐에테르 단량체 3을 12.2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8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비닐에테르 단량체 3=0.50:0.50
중량 평균 분자량(Mw)=9,600
분자량 분포(Mw/Mn)=1.66
이 중합체를 중합체 10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29
[합성예 11]
2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8.5 g, 1-아다만틸비닐에테르 8.9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1-아다만틸비닐에테르=0.50:0.50
중량 평균 분자량(Mw)=8,600
분자량 분포(Mw/Mn)=1.78
이 중합체를 중합체 11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0
[합성예 12]
2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5.1 g, 상기 비닐에테르 단량체 1을 8.9 g, 아세나프틸렌 3.2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비닐에테르 단량체 1:아세나프틸렌=0.30:0.50:0.20
중량 평균 분자량(Mw)=6,900
분자량 분포(Mw/Mn)=1.82
이 중합체를 중합체 12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1
[합성예 13]
2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5.1 g, 하기 비닐에테르 단량체 4를 2.2 g, 아세나프틸렌 9.9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2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비닐에테르 단량체 4:아세나프틸렌=0.30:0.10:0.60
중량 평균 분자량(Mw)=17,900
분자량 분포(Mw/Mn)=2.33
이 중합체를 중합체 13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3
[합성예 14]
200 mL의 플라스크에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 5.1 g, 하기 아크릴 단량체 1을 10.3 g, 아세나프틸렌 3.2 g, 용매로서 1,2-디클로로에탄을 2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중합 개시제로서 트리플루오로붕소를 0.5 g 첨가하여 60 ℃까지 승온 후, 15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2.5 L, 물 0.2 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4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6-히드록시-2-비닐나프탈렌:아크릴 단량체 1:아세나프틸렌=0.30:0.50:0.20
중량 평균 분자량(Mw)=8,200
분자량 분포(Mw/Mn)=1.66
이 중합체를 중합체 14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5
[비교 합성예 1]
500 mL의 플라스크에 4-히드록시스티렌을 40 g, 2-메타크릴산-1-아다만탄을 160 g, 용매로서 톨루엔을 4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70 ℃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탈기, 질소 플로우를 3회 반복하였다. 실온까지 승온 후,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4.1 g 첨가하여, 80 ℃까지 승온 후, 24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300 mL, 물 50 m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 188 g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4-히드록시스티렌:2-메타크릴산-1-아다만탄=0.32:0.68
중량 평균 분자량(Mw)=10,900
분자량 분포(Mw/Mn)=1.77
이 중합체를 비교예 중합체 1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6
[비교 합성예 2]
500 mL의 플라스크에 5-히드록시-1-비닐나프탈렌을 45 g, 용매로서 톨루엔을 4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70 ℃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탈기, 질소 플로우를 3회 반복하였다. 실온까지 승온 후,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4.1 g 첨가하여 80 ℃까지 승온 후, 24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300 mL, 물 50 m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5-히드록시-1-비닐나프탈렌=1.0
중량 평균 분자량(Mw)=10,500
분자량 분포(Mw/Mn)=1.66
이 중합체를 비교 중합체 2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7
[비교 합성예 3]
500 mL의 플라스크에 5-히드록시-1-비닐나프탈렌 20 g, 1-비닐나프탈렌 15 g을 용매로서 톨루엔을 40 g 첨가하였다. 이 반응 용기를 질소 분위기하에 -70 ℃까지 냉각시키고, 감압 탈기, 질소 플로우를 3회 반복하였다. 실온까지 승온 후, 중합 개시제로서 AIBN을 4.1 g 첨가하여 80 ℃까지 승온 후, 24 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 용액을 1/2까지 농축시키고, 메탄올 300 mL, 물 50 mL의 혼합 용액 중에 침전시켜 얻어진 백색 고체를 여과 후, 60 ℃에서 감압 건조시켜 백색 중합체를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를 1H-NMR 및 GPC 측정한 결과, 이하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공중합 조성비( 몰비 )
5-히드록시-1-비닐나프탈렌:1-비닐나프탈렌=0.6:0.4
중량 평균 분자량(Mw)=11,000
분자량 분포(Mw/Mn)=1.74
이 중합체를 비교 중합체 3이라 한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8
[실시예, 비교예]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의 제조]
상기 중합체 1 내지 14로 표시되는 수지, 비교 중합체 1 내지 3으로 표시되 는 수지, 하기 블렌드 올리고머 1, 블렌드 페놀 저핵체 1 내지 3, 하기 AG1, 2로 표시되는 산 발생제, 하기 CR1, 2로 표시되는 가교제를 FC-430(스미토모 쓰리엠사 제조) 0.1 질량%를 포함하는 유기 용제 중에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용해시키고, 0.1 ㎛의 불소 수지제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실시예 1 내지 20, 비교예 1 내지 3)를 각각 제조하였다.
중합체 1 내지 14: 상기 합성예 1 내지 14에서 얻은 중합체
비교 중합체 1 내지 3: 비교 합성예 1 내지 3에서 얻은 중합체
블렌드 올리고머 1(하기 구조식 참조)
Figure 112006087243666-pat00039
블렌드 페놀 저핵체 1 내지 3(하기 구조식 참조)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0
산 발생제: AG1, 2(하기 구조식 참조)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1
가교제: CR1, 2(하기 구조식 참조)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2
유기 용제: PGMEA(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PGME(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상기에서 제조한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실시예 1 내지 20, 비교예 1 내지 3)의 용액을 실리콘 기판 상에 도포하고, 200 ℃에서 60 초간 베이킹하여 각각 막 두께 500 nm의 레지스트 하층막을 형성하였다.
레지스트 하층막의 형성 후, J.A. 우람사의 입사 각도 가변의 분광 엘립소미터(VASE)로 파장 193 nm에서의 굴절률(n , k)을 구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0에서는 레지스트 하층막의 굴절률의 n값이 1.4 내지 1.5, k값이 0.19 내지 0.45의 범위이고, 특히 200 nm 이상의 막 두께에서 충분한 반사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만큼의 최적 굴절률(n)과 소광 계수(k)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건식 에칭 내성의 테스트를 행하였다. 우선, 상기 굴절률 측정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하층막(실시예 1 내지 20, 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고, 이들 하층막의 CF4/CHF3계 가스에 의한 에칭 시험으로서 하기 (1)의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이 경우, 도쿄 일렉트론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건식 에칭 장치 TE-8500P를 사용하여 에칭 전후의 하층막 및 레지스트의 막 두께차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1) CF4/CHF3계 가스에 의한 에칭 시험
에칭 조건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챔버 압력: 40.0 Pa
RF 파워: 1,000 W
갭: 9 mm
CHF3 가스 유량: 30 ml/분
CF4 가스 유량: 30 ml/분
Ar 가스 유량: 100 ml/분
시간: 60 초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4
또한, 상기 하층막(실시예 1 내지 20, 비교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하기 (2)의 조건에서 Cl2/BCl3계 가스에 의한 에칭 시험을 행하였다. 이 경우, 니치덴 아네르바 가부시끼가이샤 제조의 건식 에칭 장치 L-507D-L을 이용하여 에칭 전후의 중합체막의 막 두께차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2) Cl2/BCl3계 가스에 의한 에칭 시험
에칭 조건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챔버 압력: 40.0 Pa
RF 파워: 300 W
갭: 9 mm
Cl2 가스 유량: 30 ml/분
BCl3 가스 유량: 30 ml/분
CHF3 가스 유량: 100 ml/분
O2 가스 유량: 2 ml/분
시간: 60 초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5
[레지스트 상층막 재료의 제조]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ArF 단층 레지스트 재료(ArF용 SL 레지스트)를 FC-430(스미토모 쓰리엠사 제조) 0.1 질량%를 포함하는 유기 용제 중에 표 4에 나타내는 비율로 용해시키고, 0.1 ㎛의 불소 수지제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ArF 단층 레지스트 재료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6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7
표 5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ArF 규소 함유 중간층 재료를 FC-430(스미토모 쓰리엠사 제조) 0.1 질량%를 포함하는 유기 용제 중에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용해시키고, 0.1 ㎛의 불소 수지제 필터로 여과함으로써 ArF 규소 함유 중간층 재료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8
Figure 112006087243666-pat00049
하층막 형성 재료의 용액(실시예 1 내지 20, 비교예 1 내지 3)을 막 두께 300 nm의 SiO2 기판 상에 도포하고, 200 ℃에서 60 초간 베이킹하여 막 두께 300 nm의 하층막을 형성하였다.
그 위에 규소 함유 중간층 재료 용액 SOG를 도포하고, 200 ℃에서 60 초간 베이킹하여 막 두께 90 nm의 중간층을 형성하며, ArF 단층 레지스트 재료 용액을 도포하고, 110 ℃에서 60 초간 베이킹하여 막 두께 160 nm의 포토레지스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ArF 노광 장치((주)니콘 제조; S307E, NA 0.85, σ 0.93, 2/3 륜체(輪體) 조명, Cr 마스크)로 노광하여 110 ℃에서 60 초간 베이킹(PEB)하고, 2.38 질량%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TMAH) 수용액으로 60 초간 현상하여 포지티브형 패턴을 얻었다. 얻어진 패턴의 80 nm 라인 앤드 스페이스의 패턴 형상을 관찰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 ArF 노광과 현상 후에 얻어진 레지스트 패턴을 SOG막에 하기 조건에서 전사하였다. 에칭 조건(3)은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챔버 압력: 40.0 Pa
RF 파워: 1,000 W
갭: 9 mm
CHF3 가스 유량: 20 ml/분
CF4 가스 유량: 60 ml/분
Ar 가스 유량: 200 ml/분
시간: 30 초
다음에, SOG막에 전사된 패턴을 하기 산소 가스를 주체로 하는 에칭으로 하층막에 전사하였다. 에칭 조건(4)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챔버 압력: 450 mTorr
RF 파워: 600 W
N2 가스 유량: 60 ml/분
O2 가스 유량: 10 ml/분
갭: 9 mm
시간: 20 초
마지막으로 (1)로 표시되는 에칭 조건에서 하층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SiO2 기판을 가공하였다.
패턴 단면을(주) 히따찌 세이사꾸쇼 제조 전자 현미경(S-4700)에서 관찰하여 형상을 비교하고, 표 6에 통합하였다.
Figure 112006087243666-pat00050
표 2,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층막의 CF4/CHF3 가스 및 Cl2/BCl3계 가스 에칭의 속도는 비교예 1 내지 3보다 충분히 에칭 속도가 느리다.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후의 레지스트 형상, 산소 에칭 후, 기판 가공 에칭 후의 하층막의 형상도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이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시이고, 본 발명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레지스트 상층막이 규소를 함유하는 것인 다층 레지스트 공정용, 특히 2층 레지스트 공정용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이며, 특히 단파장의 노광에 대하여 우수한 반사 방지막으로서 기능하고, 즉 폴리히드록시스티렌, 크레졸 노볼락, 나프톨 노볼락 등보다 투명성이 높고, 최적인 n값(굴절률), k값(소광 계수)를 가지며, 더구나 기판 가공에 있어서의 에칭 내성이 우수한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리소그래피에서 이용되는 다층 레지스트막의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이며,
    적어도 히드록시기를 갖는 비닐나프탈렌과 히드록시기를 포함하지 않는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Figure 112011009323542-pat00059
    (상기 화학식(1) 중, R1, R6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 R3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세톡시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고, R5는 탄소수 13 내지 30의 축합 다환식 탄화수소기, -O-R7, -C(=O)-O-R7, -O-C(=O)-R7 또는 -C(=O)-NR8-R7이고, m은 1 또는 2, n은 0 내지 4의 정수, p는 0 내지 6의 정수이고, R7은 탄소수 7 내지 30의 유기기,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이다. a, b, c, e는 각각 0<a<1.0, 0≤b≤0.8, 0≤c≤0.8, 0≤e≤0.8, 0<b+c+e<1.0의 범위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가 유기 용제, 산 발생제, 가교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더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5.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포토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재료를 피가공 기판 상에 적용하고, 얻어진 하층막 위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층을 적용하며, 이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용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며, 다음에 건식 에칭 장치에서 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포토레지스트 하층막층 및 피가공 기판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규소 원자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고, 포토레지스트층을 마스크로 하여 포토레지스트 하층막을 가공하는 건식 에칭을, 산 소 가스 또는 수소 가스를 주체로 하는 에칭 가스를 이용하여 행하는 패턴 형성 방법.
  7.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포토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재료를 피가공 기판 상에 적용하고, 얻어진 하층막 위에 규소 원자를 함유하는 중간층을 적용하며, 상기 중간층 위에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층을 적용하고, 이 포토레지스트층의 소용 영역에 방사선을 조사하며,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건식 에칭 장치에서 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중간막층을 가공하며, 포토레지스트 패턴층을 제거한 후, 상기 가공한 중간막층을 마스크로 하여 하층막층, 이어서 피가공 기판을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규소 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중합체를 포함하고, 중간층막을 마스크로 하여 하층막을 가공하는 건식 에칭을, 산소 가스 또는 수소 가스를 주체로 하는 에칭 가스를 이용하여 행하는 패턴 형성 방법.
KR1020060117681A 2005-11-28 2006-11-27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KR101070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41386 2005-11-28
JPJP-P-2005-00341386 2005-11-28
JPJP-P-2006-00120120 2006-04-25
JP2006120120A JP4666166B2 (ja) 2005-11-28 2006-04-25 レジスト下層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972A KR20070055972A (ko) 2007-05-31
KR101070548B1 true KR101070548B1 (ko) 2011-10-05

Family

ID=3808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681A KR101070548B1 (ko) 2005-11-28 2006-11-27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10820B2 (ko)
JP (1) JP4666166B2 (ko)
KR (1) KR101070548B1 (ko)
TW (1) TWI38125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546B2 (en) 2012-12-26 2016-12-06 Cheil Industries, Inc. Monomer, hard mask composition comprising said monomer, and method for forming pattern using said hard mask composition
KR20180111586A (ko) * 2017-03-31 2018-10-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패턴 형성 방법, 및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1556B2 (en) 2004-09-15 2010-04-06 Az Electronic Materials Usa Corp. Antireflective compositions for photoresists
JP4749232B2 (ja) * 2006-05-24 2011-08-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上層反射防止膜材料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US7655378B2 (en) * 2006-07-24 2010-02-02 Shin-Etsu Chemical Co., Ltd. Negative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ing process using the same
JP4718390B2 (ja) * 2006-08-01 2011-07-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レジスト下層膜基板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US7745104B2 (en) * 2006-08-10 2010-06-29 Shin-Etsu Chemical Co., Ltd. Bottom resist layer composition and patterning process using the same
JP5162934B2 (ja) * 2007-03-23 2013-03-13 Jsr株式会社 上層反射防止膜形成用組成物及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JP4855354B2 (ja) * 2007-07-13 2012-01-1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US20090042133A1 (en) * 2007-08-10 2009-02-12 Zhong Xiang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
JP5077569B2 (ja) * 2007-09-25 2012-11-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JP4993139B2 (ja) * 2007-09-28 2012-08-0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反射防止膜形成材料、反射防止膜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4847426B2 (ja) * 2007-10-03 2011-12-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9109768A (ja) * 2007-10-30 2009-05-21 Toshiba Corp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JP5101541B2 (ja) 2008-05-15 2012-12-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JP5237173B2 (ja) * 2008-06-03 2013-07-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重合性化合物、高分子化合物及びポジ型レジスト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US8329387B2 (en) * 2008-07-08 2012-12-11 Az Electronic Materials Usa Corp.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s
US8221965B2 (en) * 2008-07-08 2012-07-17 Az Electronic Materials Usa Corp.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s
US20100092894A1 (en) * 2008-10-14 2010-04-15 Weihong Liu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s
JP5336306B2 (ja) 2008-10-20 2013-11-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形成方法、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レジスト下層膜材料
JP4813537B2 (ja) * 2008-11-07 2011-11-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熱酸発生剤を含有するレジスト下層材料、レジスト下層膜形成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4826841B2 (ja) 2009-01-15 2011-11-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JP4826840B2 (ja) 2009-01-15 2011-11-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JP4826846B2 (ja) 2009-02-12 2011-11-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JP5407941B2 (ja) * 2009-03-09 2014-02-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5112380B2 (ja) 2009-04-24 2013-01-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US8883407B2 (en) * 2009-06-12 2014-11-11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Coating compositions suitable for use with an overcoated photoresist
KR101411737B1 (ko) * 2009-09-29 2014-06-25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패턴 형성 방법 및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용 조성물
US8486609B2 (en) * 2009-12-23 2013-07-16 Az Electronic Materials Usa Corp.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thereof
JP5565293B2 (ja) 2010-01-08 2014-08-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US8507192B2 (en) * 2010-02-18 2013-08-13 Az Electronic Materials Usa Corp. Antirefle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5768410B2 (ja) * 2010-04-22 2015-08-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近赤外光吸収膜形成材料及び積層膜
JP5728822B2 (ja) 2010-04-22 2015-06-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近赤外光吸収膜形成材料及び積層膜
JP5229278B2 (ja) 2010-06-21 2013-07-0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ナフタレン誘導体、レジスト下層膜材料、レジスト下層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5556773B2 (ja) 2010-09-10 2014-07-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ナフタレ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レジスト下層膜材料、レジスト下層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5782797B2 (ja) 2010-11-12 2015-09-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近赤外光吸収色素化合物、近赤外光吸収膜形成材料、及びこれにより形成される近赤外光吸収膜
KR101432605B1 (ko) 2010-12-16 2014-08-21 제일모직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사용한 패턴 형성 방법 및 상기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디바이스
US8722307B2 (en) 2011-05-27 2014-05-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ar-infrared absorptive layer-forming composition and multilayer film comprising near-infrared absorptive layer
JP5434983B2 (ja) 2011-07-27 2014-03-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5655755B2 (ja) 2011-10-03 2015-01-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5655756B2 (ja) 2011-10-03 2015-01-2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材料並びに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5653880B2 (ja) 2011-10-11 2015-01-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形成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13054702A1 (ja) * 2011-10-12 2013-04-18 Jsr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レジスト下層膜
US8697336B2 (en) * 2011-12-15 2014-04-15 Az Electronic Materials Usa Corp. Composition for forming a developable bottom antireflective coating
JP5790678B2 (ja) 2013-02-15 2015-10-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JP6119668B2 (ja) 2013-06-11 2017-04-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下層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6119667B2 (ja) 2013-06-11 2017-04-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下層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6135600B2 (ja) 2013-06-11 2017-05-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下層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6119669B2 (ja) 2013-06-11 2017-04-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下層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TWI643902B (zh) * 2013-07-31 2018-12-11 Skc股份有限公司 具有高抗熱性及抗化學性的組成物及使用該組成物製備保護薄膜的方法
JP6196190B2 (ja) 2014-07-08 2017-09-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6165690B2 (ja) 2014-08-22 2017-07-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膜形成用組成物の製造方法
JP6378146B2 (ja) 2014-10-16 2018-08-2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6502885B2 (ja) 2015-05-18 2019-04-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US9899218B2 (en) 2015-06-04 2018-02-20 Shin-Etsu Chemical Co., Ltd. Resist under layer film composition and patterning process
KR101884447B1 (ko) * 2015-07-06 2018-08-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모노머, 유기막 조성물, 유기막, 및 패턴형성방법
JP6625934B2 (ja) 2015-07-14 2019-12-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材料、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化合物
TWI692674B (zh) * 2015-12-31 2020-05-01 日商住友電木股份有限公司 衍生自降莰二烯和馬來酸酐之聚合物及其用途
JP6462602B2 (ja) 2016-01-12 2019-01-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WO2017191767A1 (ja) * 2016-05-02 2017-11-09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特定の架橋剤を含む保護膜形成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7165029B2 (ja) 2017-12-05 2022-11-0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反射防止積層膜、反射防止積層膜の形成方法、及び眼鏡型ディスプレイ
JP6981945B2 (ja) 2018-09-13 2021-12-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
JP7295666B2 (ja) * 2019-03-13 2023-06-21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感光性ドライフィルムの製造方法、パターン化されたレジスト膜の製造方法、鋳型付き基板の製造方法、及びめっき造形物の製造方法
CN116783552A (zh) 2021-01-26 2023-09-19 日产化学株式会社 包含具有脂环式烃基的聚合物的抗蚀剂下层膜形成用组合物
JP2023124171A (ja) 2022-02-25 2023-09-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膜形成用平坦化剤、有機膜形成用組成物、有機膜形成方法、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23129266A (ja) 2022-03-03 2023-09-1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酸化膜形成用組成物、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金属酸化膜形成方法
JP2023166976A (ja) 2022-05-10 2023-11-2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酸化膜形成用組成物、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金属酸化膜形成方法
JP2024008372A (ja) 2022-07-08 2024-01-1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酸化膜形成用組成物、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金属酸化膜形成方法
JP2024024828A (ja) 2022-08-10 2024-02-2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ウェハエッジ保護膜形成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ウェハエッジ保護膜形成用組成物
IL305619A (en) 2022-09-14 2024-04-01 Shinetsu Chemical Co Compound for forming a metal-containing layer, composition for forming a metal-containing layer, printing method, and semiconductor masking sensitiz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1586A (ja) 2001-04-18 2002-10-23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線又はx線用ネガ型レジスト組成物
JP2004205658A (ja) * 2002-12-24 2004-07-22 Shin Etsu Chem Co Ltd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下層膜形成材料
JP2005114921A (ja) * 2003-10-06 2005-04-28 Shin Etsu Chem Co Ltd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5241963A (ja) 2004-02-26 2005-09-08 Jsr Corp 反射防止膜形成用組成物および反射防止膜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7740B2 (ja) 1992-10-08 1997-09-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材料
US5886119A (en) 1995-08-08 1999-03-23 Olin Microelectronic Chemicals, Inc. Terpolymers containing organosilicon side chains
TW432257B (en) 1997-01-31 2001-05-01 Shinetsu Chemical Co High molecular weight silicone compound, chemically amplified positive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ing method
JP3505990B2 (ja) 1997-01-31 2004-03-1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分子シリコーン化合物、化学増幅ポジ型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3533951B2 (ja) 1997-08-06 2004-06-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分子シリコーン化合物、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452670B1 (ko) 1997-08-06 2005-10-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분자실리콘화합물,레지스트재료및패턴형성방법
US6303266B1 (en) * 1998-09-24 2001-10-16 Kabushiki Kaisha Toshiba Resin useful for resist,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 forming process using the same
US6316165B1 (en) 1999-03-08 2001-11-13 Shipley Company, L.L.C. Planarizing antireflective coating compositions
US6610808B2 (en) * 1999-03-12 2003-08-26 Arch Specialty Chemicals, Inc. Thermally cured underlayer for lithographic application
US6268457B1 (en) 1999-06-10 2001-07-31 Allied Signal, Inc. Spin-on glass anti-reflective coatings for photolithography
JP4288776B2 (ja) 1999-08-03 2009-07-01 Jsr株式会社 反射防止膜形成組成物
JP3989149B2 (ja) * 1999-12-16 2007-10-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線またはx線用化学増幅系ネガ型レジスト組成物
JP4019247B2 (ja) 2000-06-02 2007-12-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レジスト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555285B1 (ko) 2000-06-02 2006-03-03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고분자 화합물, 레지스트 조성물 및 패턴 형성 방법
US6420088B1 (en) 2000-06-23 2002-07-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tireflective silicon-containing compositions as hardmask layer
JP3971088B2 (ja) 2000-06-30 2007-09-05 株式会社東芝 パターン形成方法
JP3852107B2 (ja) 2000-11-14 2006-11-29 Jsr株式会社 反射防止膜形成組成物
DE60105523T2 (de) 2000-11-14 2005-09-29 Jsr Corp. Antireflektionsbeschichtungszusammensetzung
JP4056332B2 (ja) * 2002-09-06 2008-03-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ジスト組成物
US7629106B2 (en) * 2005-11-16 2009-12-08 Shin-Etsu Chemical Co., Ltd.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ing process using the same
US7655378B2 (en) * 2006-07-24 2010-02-02 Shin-Etsu Chemical Co., Ltd. Negative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ing proces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1586A (ja) 2001-04-18 2002-10-23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線又はx線用ネガ型レジスト組成物
JP2004205658A (ja) * 2002-12-24 2004-07-22 Shin Etsu Chem Co Ltd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下層膜形成材料
JP2005114921A (ja) * 2003-10-06 2005-04-28 Shin Etsu Chem Co Ltd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5241963A (ja) 2004-02-26 2005-09-08 Jsr Corp 反射防止膜形成用組成物および反射防止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546B2 (en) 2012-12-26 2016-12-06 Cheil Industries, Inc. Monomer, hard mask composition comprising said monomer, and method for forming pattern using said hard mask composition
KR20180111586A (ko) * 2017-03-31 2018-10-11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패턴 형성 방법, 및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방법
KR102054065B1 (ko) 2017-03-31 2019-12-0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패턴 형성 방법, 및 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972A (ko) 2007-05-31
US7510820B2 (en) 2009-03-31
TW200732848A (en) 2007-09-01
JP2007171895A (ja) 2007-07-05
US20070122740A1 (en) 2007-05-31
TWI381250B (zh) 2013-01-01
JP4666166B2 (ja)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548B1 (ko)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KR101162802B1 (ko)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JP4823959B2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4482763B2 (ja) フォトレジスト下層膜形成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4388429B2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ならびに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971842B1 (ko) 포토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JP5741518B2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4809378B2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4013057B2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下層膜形成材料
JP4573050B2 (ja) レジスト下層膜形成材料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KR101064069B1 (ko) 포토레지스트 하층막 형성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JP3981825B2 (ja)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下層膜形成材料
KR100994899B1 (ko) 레지스트 하층막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JP5415982B2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パターン形成方法
KR101065524B1 (ko) 반사 방지막 재료 및 이것을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JP4220361B2 (ja) フォトレジスト下層膜形成材料およ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4271838A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ならびに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8083668A (ja) フォトレジスト下層膜材料、フォトレジスト下層膜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07140461A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並びに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5579553B2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レジスト下層膜形成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
US7427464B2 (en) Patterning process and undercoat-forming material
JP4745298B2 (ja) レジスト下層膜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