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342B1 -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342B1
KR101068342B1 KR1020080111524A KR20080111524A KR101068342B1 KR 101068342 B1 KR101068342 B1 KR 101068342B1 KR 1020080111524 A KR1020080111524 A KR 1020080111524A KR 20080111524 A KR20080111524 A KR 20080111524A KR 101068342 B1 KR101068342 B1 KR 10106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vehicle
equalizer
housing
win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649A (ko
Inventor
히로유키 나카지마
사치코 다키모토
야스시 다테이시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9446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834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1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 B62J11/19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mechanical cables, hoses, pipes or electric wires, e.g. cable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리어 펜더 일체형의 하우징부에 벌브 전체를 수납하도록 한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를 제공한다.
후부 등화 장치(90)는, 후부 윙커(91)의 하우징부(104)를 후륜 WR의 리어 펜더부(106)와 일체 성형한 베이스 부재(100)를 구비한다. 하우징부(104)에 윙커 벌브(93) 및 소켓(95)을 수납하는 오목부(105)를 형성하고, 오목부(105)의 개구부를 윙커 렌즈(92)로 덮음으로써 등화기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윙커 벌브(93)의 소켓(95)은, 오목부(105) 내의 윙커 리플렉터(94)로 지지된다. 윙커 리플렉터(94)는, 렌즈 부재가 덮는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에서 나사(99)로 하우징부(104)에 고정된다. 오목부(105)의 측벽에 차제 내측의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97)이 설치되고, 윙커 벌브(93)의 배선(96)은, 관통 구멍(97)을 통해 차제 내측의 공간으로 이끌어진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REAR LIGHT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어 펜더 일체형의 하우징부에 벌브 전체를 수납하도록 한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에 있어서, 등화기의 하우징과 리어 펜더(후륜의 흙받이)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차체 중앙의 스톱 램프에 인접해 좌우 한 쌍의 윙커 램프를 설치하도록 한 등화기의 하우징과, 후륜의 후방 또한 상방에 설치되는 리어 펜더를 수지 부재로 일체 성형한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실용공개 평 3-126732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스톱 램프 벌브 및 윙커 벌브가,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의 저부(底部)로 지지되므로, 양 벌브의 배면측의 소켓이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고, 이것을 수분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다른 부품으로 양 벌브의 배면측을 더 덮을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차체 후방 또한 하방에 연장되는 리어 펜더의 요동에 의해서 하우징에 변형이 생기는 경우도 고려하면, 렌즈와 하우징의 사이뿐만 아니라, 하우징과 다른 부품의 사이에도 시일이 필요하고, 부품점수가 많아 비용 상승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해, 리어 펜더 일체형의 하우징부에 벌브 전체를 수납하도록 한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벌브 및 소켓으로 구성되는 등화기의 하우징부를, 차량의 후륜의 후방 또한 상방에 설치되는 리어 펜더와 일체 성형하도록 한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등화기를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렌즈 부재로 덮음으로써, 상기 등화기의 수납 공간이 구성되는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또, 상기 벌브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상기 렌즈 부재가 덮는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에서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리어 펜더에 고정되어 있는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또, 상기 등화기는, 스톱 램프 또는 후측 윙커 중 어느 한쪽이며, 다른 쪽의 등화기가 상기 하우징부 및 리어 펜더부와 별개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제3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오목부의 측벽에, 차제 내측의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벌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이,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차제 내측의 공간으로 이끌어지는 점에 제4 특징이 있다.
또, 상기 하우징부와 배선의 사이에 개재해 이 양자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는 점에 제5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이,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벌브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점에 제6 특징이 있다.
제1 특징에 의하면, 하우징부에 등화기를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오목부의 개구부를 렌즈 부재로 덮음으로써 등화기의 수납 공간이 구성되므로, 하우징과 다른 부품간의 시일이 불필요해지고, 렌즈와 하우징간의 시일만으로 끝나기 때문에, 부품점수의 삭감이 도모되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특징에 의하면, 벌브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지지 부재가 오목부의 개구부를 렌즈 부재가 덮는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에서 체결 부재에 의해 리어 펜더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렌즈측에 체결 부재가 노출되지 않고, 외관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없다.
제3 특징에 의하면, 등화기는 스톱 램프 또는 후측 윙커 중 어느 한쪽이며, 다른 쪽의 등화기가 하우징부 및 리어 펜더부와 별개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어 펜더부의 요동 등에 관계없이, 스톱 램프 및 후측 윙커용 벌브를 보호할 수 있다.
제4 특징에 의하면, 오목부의 측벽에 차제 내측의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고, 벌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이, 오목부로부터 관통 구멍을 통해 차제 내측의 공간으로 이끌어지므로, 배선이 차체의 외측을 지나지 않고 차제 내측의 공간으로 이끌어지므로, 배선을 수분이나 모래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5 특징에 의하면, 하우징부와 배선의 사이에 개재해 이 양자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가 관통 구멍에 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우징부와 배선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하고, 수납 공간으로의 수분 등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6 특징에 의하면, 관통 구멍이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벌브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벌브와 관통 구멍의 거리가 단축되어 배선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벌브의 수납 공간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관통 구멍의 부분에서 배선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배선을 그다지 길게 하지 않고, 정비 등 시에 벌브에 배선을 접속한 채로 오목부의 외측까지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자동 이륜차(1)의 측면도이다. 자동 이륜차(1)는, 무단변속기를 내장하는 유닛 스윙식의 파워 유닛을 구비한 스쿠터형의 안승형 차량이다.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6)의 차체 전방에는, 원통 형상의 헤드 파이프(4)가 고정되어 있고, 이 헤드 파이프(4)에 축착(軸着)되는 좌우 한 쌍의 프런트 포크(5)의 하단부에는, 전륜 WF가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다.
전륜 WF는, 헤드 파이프(4)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스템 샤프트(도시 않음)에 연결된 핸들 바(2)에 의해서 조타할 수 있고, 이 핸들 바(2)에는, 좌우 한 쌍의 핸들 그립(3)이 설치되어 있다. 또, 헤드 파이프(4)는, 외장 부품으로서의 프런트 커버(24) 및 커버 패널(15)로 차체 전후 방향에서 덮여 있다. 포지션 램프 및 좌우 한 쌍의 전측 윙커가 내장된 전조등 장치로서의 헤드라이트 유닛(30)은, 헤드 파이프(4)에 고정된 라이트 스테이(7)로 지지됨과 더불어, 프런트 커버(24)의 개구부로부터 렌즈부가 차체 전방을 향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6)은, 차체 하방에서 만곡되어 차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시트 프레임(9)에 연결되어 있다. 또, 메인 프레임(6)의 하부에 결합되는 거싯(gusset)(11)에는, 파워 유닛(18)을 지지하기 위한 홀더(12)가 연결되어 있다. 또, 메인 프레임(6)과 시트 프레임(9)은, 차체의 대략 중앙에 배설되는 거싯(10)을 통해 좌우 한 쌍의 서브 프레임(8)에 의해서도 결합되어 있고, 연료 탱크(13)는, 이 서브 프레임(8)에 좌우로부터 끼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거싯(11)에 그 일단측이 회전 가능하게 축착된 홀더(12)에는, 엔진(17), 카 뷰레터(21), 에어클리너 박스(20)를 포함하는 파워 유닛(18)이 지지되고 있다. 이 파워 유닛(18)은, 시트 프레임(9)에 장착된 리어 쿠션(22)에 의해서 매달림으로써, 홀더(12)의 일단측을 회전운동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파워 유닛(18)의 후단부에는, 구동륜으로서의 후륜 WR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있다. 또, 엔진(17)의 배기 포토에 접속되는 배기관(19)의 타단측은, 차체 후부에 설치되는 소음기로서의 머플러(23)에 연결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9)은, 승무원이 착석하는 시트(16)에 인접해 설치된 좌우 대칭 형상의 시트 카울(25)로 덮여 있다. 시트 카울(25)의 후단부에는, 차체의 처리시나, 2명 승차시에 뒷좌석의 승무원이 파지하는 글로브 레일(80)이 장착되고, 이 글로브 레일(80)의 하부에는, 미등 및 제동등을 일체로 구성한 스톱 램프 유닛(70)이 장착되어 있다. 또, 스톱 램프 유닛(70)의 하부에는, 후륜 WR의 흙받이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후부 등화 장치(90)가 장착되어 있다. 이 후부 등화 장치(90)의 베이스 부재에는, 좌우 한 쌍의 후측 윙커(91)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출부(26)가 시트 프레임(9)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차체 후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상기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9)을 덮는 시트 카울(25)의 후단부에는, 스톱 램프 유닛(70)이 장착되고, 이 스톱 램프 유닛(70)과 시트(16)의 사이에 글로브 레일(8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톱 램프 유닛(70)의 하방에, 좌우 한 쌍의 후측 윙커(91)를 갖는 후부 등화 장치(90)가 장착되어 있다.
글로브 레일(80)은,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된 심지 부재(83)를, 수지 등으로 형성된 상측 커버(81) 및 하측 커버(82)로 사이에 끼운 구조로 되어 있다. 하측 커버(82)의 양측부에는 개구부(82a)가 형성되어 있고, 뒷좌석의 승무원 등은, 이 개구부(82a)로부터 손가락 끝을 삽입해 심지 부재(83)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파지부(84)를 잡음으로써, 글로브 레일(80)을 단단히 쥘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시트 프레임(9)은, 그 후단부에서 판 형상의 연결 스테이(27)에 의해서 좌우가 접속되어 있다. 심지 부재(83)는, 연결 스테이(27)에 형성된 설치 보스(29)를 사용하여, 이 연결 스테이(27)에 볼트(도시 않음)로 고정되어 있다. 또, 후부 등화 장치(90)의 연출부(26)는, 연결 스테이(27)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28)를 사용해 이 연결 스테이(27)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후부 등화 장치(90)의 측면도이다. 또, 도 4는 동 상면도(차폭 방향 좌측만을 나타낸다)이고, 도 5는 동 배면도이다. 후부 등화 장치(90)는, 후측 윙커(91)의 윙커 벌브(93)를 수납하는 좌우 한 쌍의 하우징부(104)와, 후륜 WR의 후방 또한 상방에 설치되는 흙받이로서의 리어 펜더부(106)를 흑색의 수지 등으로 일체 성형한 베이스 부재(100)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100)의 좌우의 후측 윙커(91) 사이에는, 번호판등 벌브(도시 않음)의 장착 구멍(102)이 형성된 번호판등 홀더(10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번호판등 홀더(101)의 하방에는, 번호판(110)의 부착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00)를 연결 스테이(27)에 장착하기 위한 연출부(26)에는, 상기 걸어맞춤 돌기(28)(도 2 참조)가 걸어 맞춤하는 걸어맞춤 구멍(26a)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후부 등화 장치(90)에서는, 하우징부(104)의 개구부에 뚜껑을 덮도록 윙커 렌즈(92)를 장착함으로써, 윙커 벌브(93)의 수납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윙커 렌즈(92)는, 2개의 나사(107)로 하우징부(104)에 체결된다. 하우징부(104)의 내부에는, 지지 부재로서의 윙커용 리플렉터(94)가 수납되어 있고, 이 리플렉터(94)의 저부에, 윙커 벌브(93)를 지지하는 소켓(95)이 고정되어 있다. 이 소켓(95)에 접속되어 윙커 벌브(9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96)은, 하우징부(104)에 형성된 관통 구멍(97)을 통과하여, 베이스 부재(100)의 상측 또한 시트 카울(25)로 덮인 차체 내측의 공간으로 이끌어진다.
도 6은, 도 5의 G-G선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5의 F-F선 단면도이다. 상기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하우징부(104)에는 오목부(10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05)에, 윙커 벌브(93) 및 이것을 지지하는 윙커 리플렉터(94)가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부(104)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긴 오목부(105)에 윙커 벌브(93) 전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만일, 주행시의 진동 등으로 리어 펜더부(106)가 요동해 하우징부(104)가 다소 비뚤어졌다고 해도, 윙커 벌브(93)의 주위로 시일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윙커 벌브(93)를 수분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베이스 부재(100)를 차체측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갖는 지지부도 차체 전후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으므로, 하우징부(104)의 주위의 강성이 높아져, 리어 펜더부(106)가 요동해도 하우징부(104)에는 변형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윙커 벌브(93)를, 하우징부(104)와는 별체식의 윙커 리플렉터(94)로 지지함으로써, 하우징부(104)의 형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윙커 벌브(93)의 지지 부재는, 리플렉터 기능을 가지지 않는 설치 스테이 등이라고 해도 양호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윙커 리플렉터(94)의 형상을, 그 차제 내측의 단부가 윙커 렌즈(92)에 근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윙커 리플렉터(94)에 실시한 도금 처리의 광택이, 주황색 등에 착색된 유색 투명의 윙커 렌즈(92)를 투과해 겉에서 볼 수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윙커 리플렉터(94)는, 하우징부(104)의 뒷면측으로부터 나사식 결합되는 체결 부재로서의 나사(99)에 의해서 하우징부(104)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나사(99)가 윙커 렌즈(92)측에 노출되지 않고, 외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후측 윙커(91)는, 윙커 벌브(93)에 직접 착색함과 더불어, 윙커 렌즈(92)를 무색 투명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재차,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관통 구멍(97)은, 윙커 벌브(93)와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위치로, 오목부(105)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윙커 벌브(93)와 관통 구멍(97)의 거리가 단축되므로, 배선(96)을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97)에, 하우징부(104)와 배선(96)의 사이에 개재해 이 양자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98)가 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98)는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부(104)로의 수분 등의 침입을 막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관통 구멍(97)의 배치에 의하면, 시일 부재(98)에 의해서 배선(96)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배선(96)을 그다지 길게 하지 않고, 윙커 벌브(93) 및 윙커 리플렉터(94)를, 소켓(95)에 배선(96)을 접속한 채로 오목부(105)의 외측까지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벌브 교환 등의 정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스톱 램프 유닛(70) 및 그 주변 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시트 프레임(9)의 후단부는, 차폭 방향으로 설치된 연결 스테이(27)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연결 스테이(27)에 형성된 합계 4개의 설치 보스(29)는, 상기 글로브 레일(80)의 심지 부재(83)(도 2 참조)를 지지함과 더불어, 스톱 램프 유닛(70)의 하우징으로부터 차체 전방측에 연장되는 설치 스테이(72)에도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톱 램프 유닛(70)은, 시트 카울(25)의 뒷면측과 걸어맞춤될 뿐만 아니라, 금속 등으로 형성된 연결 스테이(27)에 매달도록 지지시킴으로써, 주행시의 진동을 적당히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 부재(100)의 연출부(26)를 연결 스테이(27)의 걸어맞춤 돌기(28)에 걸어맞춤시키는 구성도, 후부 등화 장치(90) 전체를 시트 프레임(9)의 후단에 매달아 내진동성의 향상에 공헌하는 것이다.
도 9는, 글로브 레일(80)을 구성하는 상측 커버(81)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하측 커버(82) 및 심지 부재(83)(도 2 참조)도, 이 상측 커버(81)와 마찬가지로 좌우 대칭의 대략 아치 모양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글로브 레일(8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심지 부재(83)를, 상측 커버(81) 및 하측 커버(82)로 사이에 끼우는 구조로 함으로써, 승무원이 파지했을 때의 강성의 높음과 경량화의 양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측 커버(81) 및 하측 커버(82)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심지 부재(83)에 체결된다.
도 10은, 글로브 레일(80)을 구성하는 심지 부재(83)의 상면도(차폭 방향 좌 측만)를 나타낸다. 또, 도 11은, 심지 부재(83)의 측면도이다. 심지 부재(83)의 본체부(85)에는, 차제 내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나온 판 형상의 장출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심지 부재(83)는, 이 장출부(86)에 형성된 보스 구멍(87)에 의해서, 상기 연결 스테이(27)의 설치 보스(29)(도 8 참조)에 고정되게 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심지 부재(83)의 전방측에는, 좌우 한 쌍의 오목 형상의 파지부(84)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뒷좌석의 승무원 등이 글로브 레일(80)을 단단히 잡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에 의하면, 베이스 부재의 하우징부에 윙커 벌브 전체를 수납하는 오목부를 형성하였으므로, 리어 펜더부와 하우징부를 일체 성형한 베이스 부재에 있어서, 주행시의 진동 등으로 리어 펜더부가 요동했을 경우에서도, 윙커 벌브의 주위로 시일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윙커 벌브를 수분이나 먼지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베이스 부재, 하우징부, 리어 펜더부, 윙커 렌즈 등의 형상이나 재질, 오목부의 형상 등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리어 펜더 일체식의 베이스 부재에 설치하는 등화기를 1등식 또는 복등식의 스톱 램프로 함과 동시에, 후측 윙커를 시트 카울측에 별개 독립해서 설치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양호하다. 또, 각 등화기의 벌브는, 백열등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로 나타낸 자동 이륜차에 한정되지 않고, 3륜차나 4륜차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차체 후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후부 등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후부 등화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5는 후부 등화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톱 램프 유닛 및 그 주변 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글로브 레일을 구성하는 상측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글로브 레일을 구성하는 심지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심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자동 이륜차 9…시트 프레임
25…시트 카울 30…헤드라이트 유닛
70…스톱 램프 유닛 80…글로브 레일
81…상측 커버 82…하측 커버
90…후부 등화 장치 91…후측 윙커
92…윙커 렌즈 93…윙커 벌브
94…윙커 리플렉터(지지 부재) 95…소켓
96…윙커 배선 97…관통 구멍
98…시일 부재 100…베이스 부재
104…하우징부 105…오목부
106…리어 펜더부

Claims (6)

  1. 벌브 및 소켓으로 구성되는 등화기의 하우징부를, 차량의 후륜의 후방 또한 상방에 설치되는 리어 펜더와 일체 성형하도록 한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 상기 등화기를 수납하는 오목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렌즈 부재로 덮음으로써, 상기 등화기의 수납 공간이 구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에는, 리플렉터(94)가 수납되는 것과 더불어, 상기 리플렉터(94)는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고,
    상기 리플렉터(94)의 저부에, 상기 벌브를 지지하는 상기 소켓이 고정되고,
    상기 소켓은, 상기 리플렉터(94)와 상기 오목부(105)의 저부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가,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를 상기 렌즈 부재가 덮는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에서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스톱 램프 또는 후측 윙커 중 어느 한쪽이며, 나머지 다른 한쪽은 차량에서의, 상기 하우징부 및 리어 펜더부 외의 위치에 별개로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측벽에, 차체 내측의 공간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고,
    상기 벌브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이,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차체 내측의 공간으로 이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와 배선의 사이에 개재해 이 양자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부재가,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맞춰져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이, 차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벌브와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KR1020080111524A 2008-01-31 2008-11-11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KR101068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1578 2008-01-31
JP2008021578A JP5292607B2 (ja) 2008-01-31 2008-01-31 車両の後部灯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649A KR20090084649A (ko) 2009-08-05
KR101068342B1 true KR101068342B1 (ko) 2011-09-28

Family

ID=4094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524A KR101068342B1 (ko) 2008-01-31 2008-11-11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92607B2 (ko)
KR (1) KR101068342B1 (ko)
CN (1) CN101497323B (ko)
BR (1) BRPI0902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9741B2 (ja) * 2010-02-17 2014-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灯火装置取付構造
JP2013136307A (ja) * 2011-12-28 2013-07-11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
TWI581990B (zh) * 2013-01-30 2017-05-11 Yamaha Motor Co Ltd Straddle type vehicle
CN104192234A (zh) * 2014-08-13 2014-12-10 重庆隆鑫机车有限公司 摩托车尾灯总成及其摩托车
JP6351172B2 (ja) * 2014-10-10 2018-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CN105240763A (zh) * 2015-10-29 2016-01-13 宁波雅佳达电器有限公司 一种摩托车转向灯组
TWI676568B (zh) * 2018-10-12 2019-11-11 日商山葉發動機股份有限公司 跨坐型車輛
CN111038627B (zh) * 2018-10-12 2022-06-17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跨坐型车辆
IT202000016990A1 (it) 2020-07-13 2022-01-13 Vincenzo Maresca Copri sella per moto dotato di unità elettronica multifunzi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3334A (ja) * 1982-10-19 1984-04-25 Honda Motor Co Ltd テ−ルライト装置
JPS59111778A (ja) * 1982-12-15 1984-06-28 森 正治 積木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3939Y2 (ko) * 1987-01-30 1991-03-28
JPH1040716A (ja) * 1996-07-26 1998-02-13 Koito Mfg Co Ltd 自動二輪車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913Y2 (ko) * 1985-09-19 1991-05-24
JP2718151B2 (ja) * 1989-03-13 1998-02-2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3272538B2 (ja) * 1994-04-15 2002-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テールランプ装置
JP3154936B2 (ja) * 1996-02-06 2001-04-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4130016B2 (ja) * 1998-08-17 2008-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のリヤフェンダ装置
US6352359B1 (en) * 1998-08-25 2002-03-05 Physical Optics Corporation Vehicle light assembly including a diffuser surface structure
JP4052871B2 (ja) * 2002-05-09 2008-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部照明装置
JP3586680B2 (ja) * 2002-06-05 2004-11-1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乗物における可撓性長尺部材挿通構造及び挿通方法
JP2006088883A (ja) * 2004-09-24 2006-04-06 Honda Motor Co Ltd 灯体の配設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3334A (ja) * 1982-10-19 1984-04-25 Honda Motor Co Ltd テ−ルライト装置
JPS59111778A (ja) * 1982-12-15 1984-06-28 森 正治 積木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3939Y2 (ko) * 1987-01-30 1991-03-28
JPH1040716A (ja) * 1996-07-26 1998-02-13 Koito Mfg Co Ltd 自動二輪車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92607B2 (ja) 2013-09-18
BRPI0902768B1 (pt) 2020-09-15
BRPI0902768A2 (pt) 2010-05-25
CN101497323B (zh) 2013-06-19
KR20090084649A (ko) 2009-08-05
CN101497323A (zh) 2009-08-05
JP2009179242A (ja) 200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342B1 (ko) 차량의 후부 등화 장치
JP4144222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後部構造
US8051938B2 (en) Seat moun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JP5335760B2 (ja) 自動二輪車の灯火装置
US9260151B2 (en) Rear structure of saddle riding type vehicle
US10871267B2 (en) Lamp body structure for saddle riding vehicle
JP2012051444A (ja) 自動二輪車の前部構造
JP2009181913A (ja) 車両の前照灯装置
JP5196238B2 (ja) 自動二輪車の配線保持構造
JP2014184946A (ja) 鞍乗り型車両のバッテリー配置構造
JP5624200B2 (ja) 車両の前照灯装置
TWI639529B (zh) 跨坐型車輛
JP3877824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CN111605653B (zh) 鞍乘型车辆
JP5171515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15227105A (ja) 方向指示灯を備えるミラー装置およびそのミラー装置を備える鞍乗型車両
JP6705049B2 (ja) 鞍乗り型車両のメーター取付構造
JP3971680B2 (ja) 自動二輪車の灯火器支持装置
TWI511899B (zh) Straddle type vehicle
CN104554525B (zh) 跨坐型车辆
JPH10218059A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7096381B2 (ja) 鞍乗型車両
JP2013112258A (ja) 鞍乗り型車両の灯火器組立体
JP6961006B2 (ja) 鞍乗型車両の支持部材構造
JP2582244B2 (ja) 二輪車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