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433B1 - 벤질아민 유도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벤질아민 유도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433B1
KR101066433B1 KR1020057012006A KR20057012006A KR101066433B1 KR 101066433 B1 KR101066433 B1 KR 101066433B1 KR 1020057012006 A KR1020057012006 A KR 1020057012006A KR 20057012006 A KR20057012006 A KR 20057012006A KR 101066433 B1 KR101066433 B1 KR 10106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eneral formula
acyl group
represented
re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227A (ko
Inventor
아키노리 이토
히데아키 오하시
가게토모 마가리부치
Original Assignee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하라케미칼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1/12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am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arboxam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9/62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by cleaving carbon-to-nitrogen, sulfur-to-nitrogen, or phosphorus-to-nitrogen bonds, e.g. hydrolysis of amides, N-dealkylation of amines or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2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11/29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by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30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 C07C233/3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9/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69/04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from amines with formation of carbam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일반식 (1)
Figure 112005033719035-pct00024
(식중,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와, 일반식 (2)
Figure 112005033719035-pct00025
(식중, X2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아실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을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3)
Figure 112005033719035-pct00026
(식중, X1, R1,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카바메이트계의 농원예용 살균제의 제조에 유용한 중간체인 벤질아민 유도체를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벤질아민 유도체, 농원예용 살균제

Description

벤질아민 유도체 제조방법{PROCESS FOR PRODUCING BENZYLAMINE DERIVATIVE}
본 발명은,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을 경유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유용한 중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벤질아민 유도체는, 예를 들면, 카바메이트계 농원예용 살균제의 제조에 유용한 중간체로 된다.
종래, 카바메이트계 농원예용 살균제의 제조방법으로서는, ① 후에 기술하는 본원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히드록실아민 또는 그 유도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특허문헌 1의 제조방법 1 참조)이나; ② 톨루엔 유도체를 할로겐화 하여 α-할로치환 톨루엔 유도체로 하고, 또한 이것에 시안산칼륨 등을 반응시켜서 카바메이트화 한 후, 니트로기를 도입하고, 이 니트로기를 아미노기로 변환한 뒤에, 이것을 디아조화 하고나서 옥심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특허문헌 1의 화11 및 제조방법 5 참조)이 알려져 있다.
또, 상기 ①의 방법과 ②의 방법에서는, 수율이나 반응의 안정성, 작업이나 조작용이성 이외에, 디아조화를 경유하지 않아 안전하다는 관점에서, 공업적 제조에 있어서는 ①의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특허문헌 1의 제조예 3, 동 6 참조).
한편, 상기 ①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후에 기술하는 본원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에 대해서는, 아실기를 갖는 톨루엔 유도체를 할로겐화 하고, 아실기를 갖는 α-할로치환 톨루엔 유도체로 하고, 또한 이것에 시안산칼륨 등을 반응시켜서 카바메이트화 하는 방법(특허문헌 1의 [화8] 참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갖는 톨루엔 유도체를 할로겐화 하고, 알콕시카르보닐기를 갖는 α-할로치환 톨루엔 유도체로 하고 이것에 또한 시안산칼륨 등을 반응시켜서 카바메이트기를 도입한 후, 알콕시카르보닐기를 아실기까지 관능기 변환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었다(특허문헌 1의 [화9] 참조).
그렇지만, 전자의, 특허문헌 1의 [화8]의 방법에서는, 그 원료인 아실기를 갖는 톨루엔 유도체의 제조에 있어서, 아실기를 핵도입할 때의 위치선택성이 낮아 위치 이성체가 부생함으로써 목적물인 아실기를 갖는 톨루엔 유도체의 수율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 또, 후자의, 특허문헌 1의 [화9]의 방법에서는, 공정수가 비교적 길고, 더욱이, 카바메이트기 자체를 산, 염기중에서의 가혹한 조건에 노출시키기 때문에, 카바메이트기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없어 반응 조건하에서 카바메이트기가 분해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난점이 있었다. 또한, 어떠한 방법도 원료로부터의 전체공정에서의 수율이 불충분한 점도 개량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2001-106666호 공보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결점을 해결한, 새로운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에 유용한 제조방법 및 유용한 신규 중간체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결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에 유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결한 유용한 신규 중간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의 결과, 의외로, 아미노기가 보호된 벤질 화합물(벤질 유도체)에 아실기를 도입하면 높은 위치 선택성을 동반하면서 아실기가 도입되어, 신규한 벤질아민 유도체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는 더욱 연구를 진척시킨 결과, 상기 신규 벤질아민 유도체를 가수분해 함으로써 아미노 탈보호한 후, 할로포름산 에스테르와 반응시키면, 이성체도 거의 생성하지 않고 후에 기술하는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이러한 제조방법이,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요망되고 있던 개량을 달성하기 위해 극히 유용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1]∼ [25]의 태양을 포함한다.
[1] 일반식 (1)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1
(식중,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와, 일반식 (2)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2
(식중, X2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을,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3)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3
(식중, X1, R1,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2] 일반식 (1)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4
(식중,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와, 일반식 (2)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5
(식중, X2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을,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일반식 (3)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6
(식중, X1, R1,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로 하고, 이 벤질아민 유도체를 가수분해 하여, 일반식 (4)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7
(식중, X1,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로 한 후, 이 아미노 유도체와, 일반식 (5)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8
(식중, X3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3는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를,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6)
Figure 112005033719035-pct00009
(식중, X1, R2, R3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3] 일반식 (7)
Figure 112005033719035-pct00010
(식중,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아실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아실기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아실벤질아민 유도체.
[4] X1이 염소원자인, [1]항에 기재된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5] R1이 지방족 아실기인, [1]항에 기재된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6] X1이 염소원자이고, R1이 지방족 아실기인, [1]항에 기재된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7] X1이 염소원자이고, R1이 탄소수 1∼7의 지방족 아실기인, [1]항에 기재된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8] X1이 염소원자이고, R1이 아세틸기인, [1]항에 기재된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9] X1이 염소원자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R1이 지방족 아실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X1이 염소원자이고, R1이 지방족 아실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2] X1이 염소원자이고, R1이 탄소수 1∼7의 지방족 아실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3] X1이 염소원자이고, R1이 아세틸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4] X2가 염소원자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5] R2가 지방족아실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6] X2가 염소원자이고, R2가 지방족 아실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7] X2가 염소원자이고, R2가 탄소수 1∼7의 지방족 아실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8] X2가 염소원자이고, R2가 아세틸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9] X1, X2가 염소원자이고, R1, R2가 탄소수 1∼7의 지방족 아실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20] X1, X2가 염소원자이고, R1, R2가 아세틸기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21] X1, X2가 염소원자이고, R1, R2가 아세틸기이고, 염기가 탄산칼륨인, [2]항에 기재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22] X1이 염소원자이고, R1이 탄소수 1∼7의 지방족 아실기인, [3]항에 기재된 아실벤질아민 유도체.
[23] X1이 염소원자이고, R2가 탄소수 1∼7의 지방족 아실기인, [3]항에 기재된 아실벤질아민 유도체.
[24] X1이 염소원자이고, R1, R2가 탄소수 1∼7의 지방족 아실기인, [3]항 에 기재된 아실벤질아민 유도체.
[25] X1이 염소원자이고, R1, R2가 아세틸기인, [3]항에 기재된 아실벤질아민 유도체.
또한, 상기 [1]에서는,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와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과의 반응에 있어서, 아실기(R2)가 고선택적으로 일반식 (3)에 나타낸 위치(5-위치)에 도입되기 때문에(즉, 위치선택성이 높기 때문에), 부생물로서 위치이성체가 거의 생성되지 않는 점이 특징적으로, 목적물의 공업적 생산에 있어서 극히 유용하다. 또, 상기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는, 전술의 카바메이트계 살균제의 중간체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일본 특개 2001-106666호 공보 참조)
본 발명 방법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와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과의 반응에 있어서는, 아실기 R2가 5-위치 이외의 위치에 도입된 화합물에 대한 GC 면적의 합계를 1로 한 경우, R2가 목적의 5-위치에 도입된 벤질아민 유도체 (3)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50 정도의 GC 면적비로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필요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양비를 나타내는 「부」 및 「%」는,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질량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 [1])
우선, 본 발명 [1]의 제조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방법 [1]은,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와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을,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이 반응에 있어서는, 아실기가 고선택적으로 일반식 (3)에 표시되는 위치(5-위치)에 도입되는 점에서 특징적이며, 공업적 사용에 있어서 유용하다.
일반식 (1)중의 R1의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아실기, 지환식 아실기, 방향족 아실기 등이면 된다.
(지방족 아실기)
여기에서, 이 지방족 아실기(R1)는, 직쇄 지방족 아실기, 분기 지방족 아실기 어느것이라도 좋고, 또 그 지방족 잔기중에 불포화 결합을 포함해도 좋고, 또, 지환식 알킬기 등의 지환식 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지방족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7(탄소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이 경우에서는 「C1∼C7」과 같이 약기함) 직쇄 또는 분기 지방족 아실기, 구체적으로는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2-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이소부티릴기, 펜타노일기, 헥사노일기, 알릴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메틸카르보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환식 아실기)
이 지환식 아실기(R1)는 그 지환식 잔기중에 불포화 결합을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지환식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C3∼C6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기, 시클로펜틸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카르보닐기나, 1-시클로헥세닐카르보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방향족 아실기)
이 방향족 아실기(R1)에는, 알킬기, 알콕시기 등이 치환되어도 좋다. 이러한 방향족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일기, 4-메틸벤조일기, 4-메톡시벤조일기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 아실기를 예시할 수 있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의 R1은,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과의 반응에 있어서의 목적물 수율이나, 후공정에서의 반응성의 관점에서 지방족 아실기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C1∼C7 지방족 아실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이다.
(할로겐 원자)
일반식 (1)중의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이다.
(벤질 유도체의 예)
따라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의 예로서는 , 예를 들면, N-[(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 N-[(2-브로모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 N-[(2-클로로페닐)메틸]프로판아미드, N-[(2-브로모페닐)메틸]프로판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메틸]프로판아미드, N-[(2-클로로페닐)메틸]-2-메틸프로판아미드, N-[(2-브로모페닐)메틸]-2-메틸프로판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메틸]-2-메틸프로판아미드, N-[(2-클로로-페닐)메틸]-2-메틸부탄아미드, N-[(2-브로모페닐)메틸]-2-메틸부탄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메틸]-2-메틸부탄아미드, N-[(2-클로로페닐)메틸]벤즈아미드, N-[(2-브로모페닐)메틸]벤즈아미드, N-[(2-플루오로페닐)메틸]벤즈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는 공지 화합물이거나, 또는, 대응하는 2-할로게노벤질아민 화합물에, 대응하는 산 무수물 또는 산 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아실기)
일반식 (2)중의 아실기(R2)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족 아실기, 지환식 아실기, 방향족 아실기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아실기)
여기에서, 이 지방족 아실기(R2)는, 직쇄 지방족 아실기, 분기 지방족 아실기 어느것이라도 좋고, 또, 그 지방족 잔기중에 불포화 결합을 포함해도 좋고, 또, 지환식 알킬기 등의 지환식 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지방족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C1∼C7 직쇄 또는 분기 지방족 아실기, 구체적으로는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2-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이소부티릴기, 펜타노일기, 헥사노일기, 알릴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메틸카르보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환식 아실기)
이 지환식 아실기(R2)는, 그 지환식 잔기중에 불포화 결합을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지환식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C3∼C6 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기, 시클로펜틸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카르보닐기나, 1-시클로헥세닐카르보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방향족 아실기(R2)는, 알킬기, 알콕시기 등이 치환해도 좋다. 이러한 방향족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일기, 4-메틸벤조일기, 4-메톡시벤조일 기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 아실기를 예시할 수 있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의 R2는, 목적물 수율의 관점에서 지방족 아실기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C1∼C7 지방족 아실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아세틸기이다.
(할로겐 원자)
일반식 (2)중의 X2는 할로겐 원자, 구체적으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할로아실 화합물의 예)
따라서,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 클로라이드, 아세틸 브로마이드, 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부티릴 클로라이드, 이소부틸 클로라이드, 발레릴 클로라이드, 이소발레릴 클로라이드, t-부틸아세틸 클로라이드, 2-에틸부티릴 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은, 공지 화합물이거나, 또는, 대응하는 카르복실산을, 예를 들면 티오닐 클로라이드에 의해 클로로화 하는 방법 등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사용량)
당해 반응에 있어서의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화합물 1몰에 대하여 어떠한 몰비에서도 반응시킬 수 있지만, 할로아실 화합물의 사용량은, 통상 1.0∼2.0몰, 바람직하게는 1.0∼1.5몰, 더 바람직하게는 1.0∼1.2몰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루이스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행한다. 당해 반응에 사용가능한 루이스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알루미늄(AlCl3), 염화아연(ZnCl2), 염화철(III)(FeCl3) 등의 할로겐화 금속을 예시할 수 있는데, 염화알루미늄(AlCl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반응에 있어서의 루이스산의 사용량은,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화합물 1몰에 대하여 2.0∼5.0몰, 바람직하게는 2.5∼3.0몰의 범위이면 좋다.
(용매)
당해 반응은, 무용매에서도 충분히 행할 수 있지만, 용매를 사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당해 반응에 사용가능한 용매는, 반응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니트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니트로기, 할로겐 등이 1 이상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류가 좋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혼합비율의 혼합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용매량으로서는, 반응계의 교반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양이면 되는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화합물 1몰에 대해 통상 0.1∼2.0L(리터), 바람직하게는 0.3∼1.0L,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8L의 범위이면 좋다.
(반응온도·시간)
당해 반응의 반응온도는 2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30∼80℃, 바람직하게는 40∼60℃의 범위가 좋다.
당해 반응의 반응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생물 억제의 관점 등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6시간∼24시간이 좋다.
(벤질아민 유도체)
당해 반응에서 얻어지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는, 예를 들면 여러 화합물(예를 들면,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원료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 [2])
이어서 본 발명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2]는, 상기 본 발명 [1]의 방법을 경유하는,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이다. 이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일반식 (1)로 표시되는 벤질 화합물과,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을,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를 제조하고, 이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를 가수분해 하여 얻어지는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와,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를,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얻는 것이다.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는 상기 [1]과 같다.
(가수분해)
상기 본 발명 [1]에 의해 얻어지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를 가수분해 하는 것에 의한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의 제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식 (4)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의 가수분해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취급의 용이성의 점에서는, 브뢴스테드산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뢴스테드산)
당해 가수분해반응에 사용가능한 브뢴스테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할로겐이 치환해도 좋은 지방족 카르복실산류; 황산, 염산 등의 광산류를 예시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광산류가 바람직하고, 특히 황산, 보다 상세하게는, 20∼80%, 바람직하게는 40∼80%의 황산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반응에 있어서의 브뢴스테드산의 사용량은,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아실 유도체 1몰에 대하여 1.0∼5.0몰, 바람직하게는 2.0∼3.0몰의 범위이면 좋다.
(물)
또한 당해 반응에 있어서 물은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 1몰에 대하여 화학양론 이상, 구체적으로는 1몰 이상 이면 좋다.
(용매)
당해 반응은, 무용매에서도 충분히 행할 수 있지만, 용매를 사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당해 반응에 사용가능한 용매는, 반응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C1∼C6 알킬기, 할로겐 등이 1이상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트리클로로벤젠이 좋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혼합비율의 혼합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용매량으로서는, 반응계의 교반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양이면 되지만,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 1몰에 대하여, 통상 0.05∼0.5L, 바람직하게는 0.1∼0.3L,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2L의 범위이면 좋다.
(반응온도·시간)
당해 반응의 반응온도는 7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80∼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10℃의 범위가 좋다.
당해 반응의 반응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생물 억제의 관점 등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5시간∼15시간이 좋다.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얻는 반응)
이어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얻어지는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에,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를,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얻는 반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할로포름산 에스테르)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중의 R3는 알킬기이다. 이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직쇄 또는 분기 C1∼C7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로겐 원자)
또, 일반식 (5)중의 X3는, 할로겐 원자, 구체적으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할로포름산 에스테르)
따라서, 당해 반응에 사용할 수 있는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산메틸 에스테르, 클로로포름산에틸 에스테르, 클로로포름산n-프로필 에스테르, 클로로포름산이소프로필 에스테르, 클로로포름산n-부틸 에스테르, 클로로포름산이소부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는, 공지의 화합물이다(따라서, 필요에 따라, 공지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도 있음).
당해 반응에 있어서의,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와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의 몰비는, 어떠한 몰비에서도 반응이 진행되지만,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 1몰에 대하여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가, 통상 1.0∼2.0몰, 바람직하게는 1.0∼1.5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2몰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염기)
당해 반응은 염기를 사용하여 행한다. 당해 반응에 사용가능한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3차 아민으로 대표되는 유기 염기; 탄산 칼륨, 탄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탄산염;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금속 탄산염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산 칼륨이다. 당해 반응에 있어서의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 1몰에 대하여, 1.0∼3.0몰, 바람직하게는 1.1∼1.5몰의 범위에서 이면 좋다.
(용매)
당해 반응은, 무용매에서도 충분히 행할 수 있지만, 용매를 사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당해 반응에 사용가능한 용매로서는, 반응을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된다. 이러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등의, 알킬기, 할로겐 등이 1 이상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아세트산 에스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테트라메틸요소, 헥사메틸포스포릭트리아미드(HMPA)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류;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탄화수소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톨루엔이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혼합비율의 혼합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용매량으로서는, 반응계의 교반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양이면 좋지만,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 1몰에 대해, 통상 0.2∼2.0L, 바람직하게는 0.5∼1.0L의 범위이면 좋다.
(반응온도·시간)
당해 반응의 반응온도는 0℃∼사용하는 용매의 환류 온도의 범위를 예시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60℃의 범위가 좋다.
당해 반응의 반응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부생물 억제의 관점 등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0.5시간∼6시간이 좋다.
(카바메이트 유도체)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 [2]에 의해 얻어지는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는, 여러 화합물(예를 들면, 카바메이트계 농약(특히 살균제))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원료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아미노보호 치환체 화합물)
또,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에, 아미노기의 보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시약 [예를 들면, 클로로포름산 벤질, 디탄산 디t-부틸 등의 포름산 에스테르 시약; 프로피온산 클로라이드 등의 산 할라이드 시약; 염화 에틸 등의 할로겐화 알킬 시약; 2-(t-부톡시카르보닐옥시이미노)-2-페닐아세토니트릴 등]을 반응시킴으로써, 각종 아미노보호 치환체 화합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아미노보호 치환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① 우레탄형(R=BOC기(t-부톡시카르보닐), Cbz기(벤질옥시카르보닐), Cbz(OMe)기(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Cbz(Cl)기(p-클로로벤질옥시카르보닐), Cbz(NO2)기(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등),
② 본 발명 화합물 (1)인 아실형(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펜티닐기, 헥시닐기 등),
③ 알킬형(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의 C1∼C6 직쇄 또는 분기 알킬기) 등의 공지의 보호기에 의해 아미노기가 보호된, 각종 아미노보호 치환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아미노보호 치환체의 합성법에 대해서는 기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 [3])
이어서, [3]항의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3]항의 본 발명 화합물은, 일반식 (7)로 표시되는 아실벤질아민 유도체이다.
(아실벤질아민 유도체)
본 발명 [3]의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아실벤질아민 유도체는, 상기 본 발명 [1], [2]에서 얻어지는,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 및 일반식 (4)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이다. 이러한 유도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화합물(예를 들면, 농약으로서 유용한 것이 알려져 있는 카바메이트계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가 되는,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원료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치환기)
일반식 (7)에 있어서, 치환기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이다.
일반식 (7)에 있어서, 치환기 R4는 수소 원자 또는 상기 R2와 동일한 아실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R2와 동일한 아실기란, 예를 들면 지방족 아실기, 지환식 아실기, 방향족 아실기 등에서 이면 된다.
(지방족 아실기)
여기에서, 이 지방족 아실기(R4)는, 직쇄 지방족 아실기, 분기 지방족 아실기 어느것이라도 좋고, 또, 그 지방족 잔기중에 불포화 결합을 포함해도 좋고, 또, 지환식 알킬기 등의 지환식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고, 이러한 지방족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C1∼C7 직쇄 또는 분기 지방족 아실기, 구체적으로는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2-프로피오닐기, 부티릴기, 이소부티릴기, 펜타노일기, 헥사노일기, 알릴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메틸카르보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지환식 아실기)
이 지환식 아실기(R4)는, 그 지환식 잔기중에 불포화 결합을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지환식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C3∼C6 시클로알킬카르보닐기,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프로필카르보닐기, 시클로펜틸카르보닐기, 시클로헥실카르보닐기나, 1-시클로헥세닐카르보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방향족 아실기)
이 방향족 아실기(R4)에는, 알킬기, 알콕시기 등이 치환해도 좋다. 이러한 방향족 아실기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일기, 4-메틸벤조일기, 4-메톡시벤조일기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 아실기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
이러한 치환기 X1, R2, R4를 갖는 본 발명 화합물의 구체예를 (표 1)에 예시하는데, 본 발명 화합물은 이들 예시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화합물 번호는, 이하의 기재에서 참조된다. 또, (표 1)중의 약호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Ac: 아세틸기
Prn: 프로피오닐기
Figure 112005033719035-pct00011
농원예용 살균제의 중간체가 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6)의 제조중간체로서는, X1이 Cl, R2가 Ac(아세틸기), R4가 H(수소원자)인 화합물 1이나, X1이 Cl(염소 원자), R2가 Ac(아세틸기), R4가 Ac(아세틸기)인 화합물 3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시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기재에서, 순도는 GC 전체면적비로 나타냈다.
실시예 1
1)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화합물번호 3)의 제조:
([1]항의 발명)
N-[(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 36.7g(0.2몰)을 디클로로메탄 60mL에 용해하고, 염화알루미늄 80.0g(0.6몰)을 5∼30℃에서 30분간 걸쳐서 가하고, 아세틸클로라이드 31.4g(0.4몰)을 동일 온도에서 30분간 걸쳐서 적하했다.
실온에서 1시간 숙성후, 가열 환류온도까지 15분간 걸쳐서 승온하고, 가열 환류하에서 12시간 숙성했다. 반응종료후, 얻어진 반응액을 물에 붓고, 50mL의 톨루엔으로 3회 추출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했다. 잔사를 냉각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후, 건조하여 목적 화합물(융점 93.1∼93.7℃)을 24.5g(수율: 54.3%, 순도 99..4%) 얻었다.
Figure 112005033719035-pct00012
실시예 2: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메톡시카르복시아미드의 제조
(A): 1-[3-(아미노메틸)-4-클로로페닐]에탄-1-온(화합물번호 1)의 제조
([6]항 기재의 발명)
실시예 1에 의해 얻은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 20.0g (0.089몰)을 50%황산 55g에 용해한 후, 가열 환류온도까지 30분간 걸쳐서 승온하고, 가열 환류하에서 15시간 숙성했다.
반응종료후, 얻어진 반응액을 물에 붓고, 45mL의 톨루엔을 가하고, 25% 수산화 나트륨으로 수용액을 염기성(pH=약 12.0)으로 했다. 45mL의 톨루엔으로 2회 추출한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하여, 표제화합물을 거의 정량적으로 얻었다(순도 99.2%).
MS(GC-MS)m/z:182(M+-1), 140(베이스)
(B):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메톡시카르복시아미드의 제조법
([7]항 기재의 발명)
상기 실시예 2-(A)에 의해 얻은 1-[3-(아미노메틸)-4-클로로페닐]에탄-1-온 17.1g(0.089몰)을 톨루엔 44.3mL에 용해하고, 또한 탄산 칼륨 14.7g(0.107몰)을 투입한(혼합한) 후, 클로로탄산 메틸 9.2g(0.098몰)을 5∼20℃에서 30분간 걸쳐서 적하한 후, 실온에서 3시간 숙성했다.
반응종료후, 얻어진 반응액에 물을 붓고,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 했다. 잔사를 냉각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후 건조하여, 상기 화합물(융점 108.1℃)을 19.3g(수율; 90.2%, 순도 99.8%) 얻었다.
Figure 112005033719035-pct00013
실시예 3: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메톡시카르복시아미드의 제조법
(A): N-[(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의 제조법: 일반식 (1)
(2-클로로페닐)메틸아민 42.8kg(0.3kmol)을 디클로로메탄 118.3kg에 용해하고, 무수아세트산 32.2kg(0.315kmo1)을 20∼40℃에서 1.5시간 걸쳐 적하했다. 실온에서 30분간 숙성했다. 반응종료후, 물 60kg을 가하고, 25%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55.2kg을 20∼40℃에서 20분간 걸쳐 적하했다. 유기층을 분액 하여, N-[(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169.9kg을 얻었다.
(B):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화합물번호 3)의 제조법 : [1]항 기재의 발명
상기 실시예 3-(A)에 의해 얻은 N-[(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169.9kg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47.1kg(0.6kmol)을 가하고, 염화알루미늄 108.0kg(0.81kmol)을 15∼30℃에서 1.5시간 걸쳐서 가했다. 2시간 걸쳐서 50℃로 될 때까지 디클로로메탄을 상압에서 증류 제거한 후, 6시간 숙성했다. (목적물: 그 밖의 위치이성체=76.75%: 1.65%; G.C. 면적%). 반응종료후, 얻어진 반응액을 물 450kg에 15∼35℃에서 2시간 걸쳐서 적하했다. 디클로로메탄 90kg, 40kg으 로 2회 추출하여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199.8kg을 얻었다.
(C): 1-[3-(아미노메틸)-4-클로로페닐]에탄-1-온(화합물번호 1)의 제조법:
[6]항 기재의 발명
상기 실시예 3-(B)에 의해 얻은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아세트아미드의 디클로로메탄 용액 199.8kg에 물 90kg, 98% 황산 46kg(0.45kmo1)을 가한 다음 1.5시간 걸쳐서 내부온도가 100℃가 될 때까지 디클로로메탄을 상압에서 증류 제거한 후 6시간 숙성했다. 반응종료후, 20분 걸쳐서 50℃까지 냉각하고, 물 90kg, 톨루엔 105kg을 가했다. 냉각을 더 행하고, 25%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212kg을 15∼25℃에서 2.5시간 걸쳐서 적하했다. 30분 걸쳐서 40℃까지 승온한 후 유기층을 분액하여 1-[3-(아미노메틸)-4-클로로페닐]에탄-1-온의 톨루엔 용액을 얻었다.
(D):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메톡시카르복시아미드의 제조법:
[7]항 기재의 발명
상기 실시예 3-(C)에 의해 얻은 1-[3-(아미노메틸)-4-클로로페닐]에탄-1-온의 톨루엔 용액에 물 180kg, 탄산 칼륨 45.7kg(0.33kmol)을 가하여 혼합한 후, 클로로탄산 메틸 28.4kg(0.3kmol)을 15∼25℃에서 1시간 걸쳐서 적하한 후, 실온에서 1시간 숙성했다. 반응종료후, 30분 걸쳐서 60℃로 승온하고, 유기층을 분액 했다. 얻어진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메톡시카르복시아미드의 톨루엔 용액에 물 150kg을 가하고, 2시간 걸쳐서 상압에서 톨루엔을 증류 제거했다. 잔사를 30분 걸쳐서 50℃까지 냉각하고 톨루엔 39kg을 가하고, 1.5시간 걸쳐서 10℃까지 더 냉각 했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톨루엔 13kg으로 세정했다. 얻어진 결정을 건조하여, N-[(5-아세틸-2-클로로페닐)메틸]메톡시카르복시아미드 49.1kg(수율 67.7%; (2-클로로페닐)메틸아민 기준, 순도 94.5%)을 얻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결점을 해결한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에 유용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카바메이트계 농원예용 살균제의 유용한 중간체인 일반식 (6)의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제조에 있어서 유용한,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을 경유하는 일반식 (6)의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신규한 제조중간체 화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카바메이트계 살균제의 유용한 중간체인 일반식 (6)의 카바메이트 유도체를 수율, 순도 모두 양호하고, 게다가 간편한 조작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방법은, 특히 공업적인 이용가치가 높다.

Claims (3)

  1. 일반식 (1)
    Figure 112010086064504-pct00014
    (식중,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C1-7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와, 일반식 (2)
    Figure 112010086064504-pct00015
    (식중, X2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C1-7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을,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3)
    Figure 112010086064504-pct00016
    (식중, X1, R1,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2. 일반식 (1)
    Figure 112010086064504-pct00017
    (식중,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1은 C1-7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벤질 유도체와, 일반식 (2)
    Figure 112010086064504-pct00018
    (식중, X2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C1-7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할로아실 화합물을, 루이스산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일반식 (3)
    Figure 112010086064504-pct00019
    (식중, X1, R1,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벤질아민 유도체로 하고, 이 벤질아민 유도체를 가수분해 하여, 일반식 (4)
    Figure 112010086064504-pct00020
    (식중, X1,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아미노 유도체로 한 후, 이 아미노 유도체와, 일반식 (5)
    Figure 112010086064504-pct00021
    (식중, X3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3는 C1-7의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할로포름산 에스테르를,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 (6)
    Figure 112010086064504-pct00022
    (식중, X1, R2, R3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냄)
    으로 표시되는 카바메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3. 일반식 (7)
    Figure 112010086064504-pct00023
    (식중, X1은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C1-7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또는 C1-7의 지방족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아실벤질아민 유도체.
KR1020057012006A 2002-12-26 2003-12-26 벤질아민 유도체 제조방법 KR101066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6272 2002-12-26
JP2002376272 2002-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227A KR20050088227A (ko) 2005-09-02
KR101066433B1 true KR101066433B1 (ko) 2011-09-23

Family

ID=3267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006A KR101066433B1 (ko) 2002-12-26 2003-12-26 벤질아민 유도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7326813B2 (ko)
EP (1) EP1586552B1 (ko)
JP (1) JP4522263B2 (ko)
KR (1) KR101066433B1 (ko)
CN (1) CN100503551C (ko)
AT (1) ATE478837T1 (ko)
AU (1) AU2003292706B2 (ko)
BR (2) BRPI0317781B8 (ko)
CA (1) CA2511590C (ko)
DE (1) DE60333950D1 (ko)
ES (1) ES2347329T3 (ko)
IL (1) IL169393A (ko)
MX (1) MXPA05006938A (ko)
NZ (1) NZ541392A (ko)
PL (1) PL207186B1 (ko)
RU (1) RU2362766C2 (ko)
TW (1) TWI325415B (ko)
WO (1) WO2004058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0920B1 (en) 2007-04-03 2016-11-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bstituted benzene fungicides
TW201116212A (en) 2009-10-29 2011-05-16 Du Pont Heterobicycle-substituted azolyl benzene fungicides
JP2013018767A (ja) * 2011-06-03 2013-01-31 Sumitomo Chemical Co Ltd ベンジルアミン化合物を製造する方法
WO2015157005A1 (en) 2014-04-10 2015-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bstituted tolyl fungicide mixtures
TWI832917B (zh) 2018-11-06 2024-02-21 美商富曼西公司 經取代之甲苯基殺真菌劑
UY39189A (es) 2020-05-06 2021-12-31 Fmc Corp Fungicidas de tolilo sustituido y sus mezcla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0825A1 (fr) 1999-08-05 2001-02-15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Derives de carbamate et bactericides destines a l'agriculture et a l'horticult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6901A (en) 1982-05-06 1986-01-28 Ciba-Geigy Corporation Novel oxime ethers, the preparation thereof,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 use thereof
IL74272A (en) * 1984-02-16 1991-06-10 Poudres & Explosifs Ste Nale Preparation of carbamic acid derivatives
FR2559766B1 (fr) 1984-02-16 1986-05-16 Poudres & Explosifs Ste Nale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de l'acide carbamique
US4968829A (en) 1984-07-18 1990-11-06 Sandoz Ltd. Novel substituted aromatic compounds
US5663199A (en) 1994-11-30 1997-09-02 Uniroyal Chemical Ltd./Ltee Anti-viral aromatic O-alkylated oximes, ethers and thioethers
US5817814A (en) 1997-05-01 1998-10-06 Fmc Corpora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nzyluracils
US6531291B1 (en) 1999-11-10 2003-03-1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Antimicrobial activity of gemfibrozil and related compounds and derivatives and metabolites thereof
JP4246996B2 (ja) * 2001-02-02 2009-04-02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ミノオキシメチルピリジン化合物及び農園芸用殺菌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0825A1 (fr) 1999-08-05 2001-02-15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Derives de carbamate et bactericides destines a l'agriculture et a l'horticul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1984, Vol.27, No.12, pp.1579-158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6552B1 (en) 2010-08-25
MXPA05006938A (es) 2005-10-26
IL169393A (en) 2010-06-30
PL377143A1 (pl) 2006-01-23
ATE478837T1 (de) 2010-09-15
AU2003292706B2 (en) 2010-01-21
KR20050088227A (ko) 2005-09-02
CN100503551C (zh) 2009-06-24
AU2003292706A1 (en) 2004-07-22
NZ541392A (en) 2008-06-30
EP1586552A4 (en) 2007-03-14
CN1802343A (zh) 2006-07-12
BR0317781A (pt) 2005-11-22
US20060155141A1 (en) 2006-07-13
PL207186B1 (pl) 2010-11-30
RU2005123690A (ru) 2006-01-20
BR0317781B1 (pt) 2013-10-01
US7326813B2 (en) 2008-02-05
TW200418764A (en) 2004-10-01
WO2004058681A1 (ja) 2004-07-15
CA2511590A1 (en) 2004-07-15
JP4522263B2 (ja) 2010-08-11
DE60333950D1 (de) 2010-10-07
RU2362766C2 (ru) 2009-07-27
JPWO2004058681A1 (ja) 2006-04-27
EP1586552A1 (en) 2005-10-19
CA2511590C (en) 2011-12-20
TWI325415B (en) 2010-06-01
ES2347329T3 (es) 2010-10-28
BRPI0317781B8 (pt)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0752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palutamide
US20100113778A1 (en) Process for preparing o-chloromethylphenylglyoxylic esters, 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e)-2-(2-chloromethylphenyl)-2-alkoximinoacetic esters, and novel intermediates for their preparation
JP4299677B2 (ja) コンブレタスタチンの製造方法
KR101066433B1 (ko) 벤질아민 유도체 제조방법
JP3433319B2 (ja) 塩化o−(カルボアルコキシ)フェニルメタンスルホニル誘導体の製造方法
CA2683098C (en) Process for making galantamine
CZ257593A3 (en) Derivatives of phenylacetic acid est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reof
US7038091B2 (en) Process for producing acetylene compound
EP0811612B1 (en) Process for preparing dithiocarbonimide derivatives
US6573399B1 (en) Synthesis of α-amino-α′, α′-dihaloketon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β-amino acid derivatives by the use of the same
EP0659735A1 (en) Process for producing aniline derivative
JP3275437B2 (ja) 脂肪族β−ケトエステルの製造法
JP3118596B2 (ja) アリールジアルキルチオカルバマート、2−メルカプトベンズアルデヒドおよび2−置換ベンゾ[b]チオフェンの製造方法
JP4154567B2 (ja) 4−ジフルオロメトキシ−3−ヒドロキシベンズアルデヒドの製造方法
JP4086093B2 (ja) 4−トランス置換−シクロヘキシルアミ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2000327629A (ja) フェニル酢酸誘導体、ベンゾニトリル誘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67525A (ja) ペンタフルオロサルファー置換アントラニル酸誘導体の製造方法およびペンタフルオロサルファー置換アントラニル酸誘導体
NZ520713A (en) Method for producing aryl-iminomethyl-carbamic acid esters
WO2001072693A1 (fr) Nouveaux derives d'aminophenol
EP0650957A1 (en) Aniline derivativ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30070608A (ko) 1-알킬-3-아릴-5-디플루오로메톡시-1h-피라졸의 제조 방법
JPH07224016A (ja) N−置換−3−ヨードプロピオール酸アミドおよびその合成中間体の製造方法
JPH0959243A (ja) N−アルキルヒドロキサム酸の合成法
JP2003137871A (ja) 1−アルキル−5−ハイドロキシピラゾール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