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725B1 - 프로젝션 및/또는 백프로젝션 스크린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및/또는 백프로젝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725B1
KR101065725B1 KR1020057012971A KR20057012971A KR101065725B1 KR 101065725 B1 KR101065725 B1 KR 101065725B1 KR 1020057012971 A KR1020057012971 A KR 1020057012971A KR 20057012971 A KR20057012971 A KR 20057012971A KR 101065725 B1 KR101065725 B1 KR 101065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substrate
screen
scattering layer
projec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2109A (ko
Inventor
토마스 베르탱-무로
얀니끄 르밸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5009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5 ×103 dpi의 해상도를 제공하는 부표면 효과를 생성하는 산란 층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의 양면에서 180°의 시야각에서 흐려짐이 없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백프로젝션 및/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션 및/또는 백프로젝션 스크린 {PROJECTION AND/OR REAR PROJECTION SCREEN}
본 발명은 백프로젝션 및/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젝터로부터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양면 중 한 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광원으로부터 나올 수 있는 이미지를 스크린의 양면에 결함을 야기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하는데 적합한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스크린은, 2개의 면, 즉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이미지가 투사되며 이 광원과 동일한 공간 영역에 일반적으로 위치되어 있는 스크린의 주 면(main face)과, 이 주 면에 투사되는 이미지가 투과하여 볼 때 보이는 스크린의 반대 면을 가지고 있다. 백프로젝션 스크린은, 전술된 프로젝션 스크린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주 면과 반대면을 가지고 있지만, 유저와 광원이 동일한 공간 영역에 위치되어 있지 않고 스크린의 양 쪽에 있다는 사실이 전술된 프로젝션 스크린과 구별되는 점이다.
본 발명을 위해, "스크린(screen)"이라는 용어는 프로젝션 스크린과 백프로젝션 스크린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여러 유형의 백프로젝션 스크린 군 은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스크린이나 확산기(diffuser)도 알려져 있으며, 이 강성의 반투명 스크린은 복수의 금속 산화물(예를 들어 SiO2)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는 스크린의 구조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매트릭스를 가지고 있다. 이들 스크린은 이 스크린의 양면 중 한 면에 대해서만 최대 180°의 시야각에서 어떤 광학적 결함도 없이 이미지를 정확하게 시청할 수 있게 하며, 이 이미지는 스크린의 다른 면에 투과하여 볼 때 낮은 광학 품질(흐릿함의 존재)로 보인다. 또, 플라스틱 백프로젝션 스크린은 자외선과 적외선 및 수분에 민감하여, 그 수명과 광학 품질의 영속성을 제한한다.
또한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는 릴(reel)로부터 풀려질 수 있는 스크린이 알려져 있다. 이 스크린도 또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지만 반투명은 아니다. 이들 스크린은 광을 투과시키는 것이 아닌 반사시키도록 작용한다.
다른 스크린 기술은 액정 기술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확산기로부터 개발되었다. 이런 유형의 스크린의 주요 잇점은, 한편으론 그 두께가 작다는 것(약 20㎛)이고, 다른 한편으론,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전계의 작용 하에서는 액정이 투명하게 되어 더 이상 광을 확산시키지 않지만, 백프로젝션시의 사용은 단지 2차적 사용이라는 것에 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시야각이 매우 제한되어 있고(이 시야각은 약 30도 정도이다), 반대 면에서 보이는 이미지는 스크린의 두께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불량한 광학 품질(흐릿함의 존재)로 된다는 것이다.
문헌 US 5 870 224는, 한편으론, 그 주 면에, 복수의 광학 디바이스(원통형 마이크로렌즈와 프레즈넬 렌즈)가 제공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론, 그 반대면에, 투사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상기 원통형 렌즈의 각 광학 초점에 대해 적절히 위치된 복수의 오리피스(투명하고 약간 확산시키는 영역)가 제공되어 있는 프로젝션 스크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 스크린 구성은 특히 비싸며, 시야각 또한 작고(약 35°), 이 디바이스는 직시 프로젝션(direct projection)으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반사시켜 본다).
마지막으로, 마지막 백프로젝션 스크린 군은 홀로그래픽 확산기로 구성된다.
이 기술의 주요 잇점은, 스크린이 투명하다는 것과 그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그러나, 여기서 다시, 이 스크린 구성은 고가이어서 스크린을 작은 형태의 스크린으로 한정시킨다. 또한 스크린이 투명함에도 불구하고 스크린의 반대 면에는 흐릿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알려진 디바이스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면에 어떤 광학적 결함도 야기시키지 않고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우수한 균일성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양 면에 최대 180°의 시야각으로 스크린의 양면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적합한 백프로젝션 및/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백프로젝션 및/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은 부표면 효과(subsurface effect)를 생성하는 산란층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산란층은 상기 산란층의 양면에 180°이하의 시야각을 얻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얻기 위해, "부표면(subsurface)"이라는 용어는 아래에 한정된다. 그 두께가 0.5 내지 50㎛ 범위, 특히 0.5 내지 10㎛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범위 내에서 변화할 때 이 층을 부표면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한정은 볼륨 효과(volume effect)를 생성하는 산란층과 대비하여 정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하 사항 중 하나 이상이 또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스크린의 해상도는 5 ×103 내지 1 ×105 dpi 범위에 있으며;
- 산란층은 제 1 기판의 양면 중 한 면에 증착되고, 얇은 중간층(lamination interlayer)은 상기 제 1 기판의 반대면에 증착되며, 상기 중간층은 다시 제 2 기판에 결합되며;
- 제 2 기판은 색조 기판(tinted substrate)이며;
- 산란층은 제 1 기판의 양면 중 한 면에 증착되며, 상기 제 1 기판은 다시 제 2 기판에 결합되어 이중 글레이징 유닛(double-glazing unit)을 형성하며;
- 제 1 기판과 산란층은 제 3 기판에 결합되며, 주변 비드(peripheral bead)는 상기 산란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제 1 기판의 면과 제 3 기판을 서로 분리시키며;
- 산란층은 입자와 이 입자를 서로 결집하게 하는 결합제를 포함하는 요소(elements)로 구성되며;
- 이 입자는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 입자이며;
- 이 입자는 실리콘, 알루미늄, 지르코늄, 티타늄 및 세륨 산화물, 또는 이들 산화물 중 적어도 2종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며;
- 이 입자의 사이즈는 50㎚ 내지 1㎛ 범위에 있으며;
- 산란층의 두께는 0.5 내지 5㎛ 범위에 있으며;
- 제 1, 제 2, 및 제 3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기판이며;
- 제 1, 제 2, 및 제 3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에 기초한 투명 기판이며;
- 제 1, 제 2, 및 제 3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기능을 갖는 코팅, 특히, 저 방사율 기능 또는 정전방지 기능, 김형성방지 기능(antimisting), 오염방지 기능, 또는 반사방지 기능을 갖는 코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잇점과 특징은 이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표면 효과(subsurface effect)를 생성하는 산란층은 결합제에 결집된 입자로 구성되며, 상기 입자는 0.3 내지 2㎛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상기 결합제는 10 내지 40체적%의 비율로 있으며, 상기 입자 는 0.5 내지 5㎛ 범위의 사이즈를 가진 집합체를 형성하여 5 ×103 내지 1 ×105 dpi(dots per inch)의 해상도를 생성하며, 상기 산란층은 40%보다 더 큰 콘트라스트 감쇠를 가지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보다 더 큰 콘트라스트 감쇠를 가진다. 이 산란층은 국제출원 WO 01/90787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 출원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 문헌으로 병합되어 있다.
이 입자는 반투명 입자로부터 및 바람직하게는 산화물, 질화물, 및 카바이드 입자와 같은 광물 입자(mineral particle)로부터 선택된다.
이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알루미늄, 지르코늄, 티타늄, 및 세륨 산화물, 또는 이들 산화물 중 적어도 2종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는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알려져 있는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특히 침전법이나 열분해법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이 입자의 사이즈는 이 입자의 적어도 50%가 평균 직경에서 50% 미만만큼 벗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층이 외부 위치에 있을 때, 결합제는 또한 예를 들어 특히 스크린을 형성하는 장착된 다른 기판에 어떤 손상도 없이 백프로젝션 시스템을 처리하는데 충분한 마모 저항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요구조건에 따라서, 이 결합제는, 예를 들어 이 층의 온도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물 결합제로 선택되거나, 또는 특히 가교(crosslinking)가 간단하게 일어날 수 있는, 즉 예를 들어, 실온에서 가교가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이 층의 생성을 더 간단하게 하도록 유기 결합제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결합제는 이 입자의 지수(index)와는 다른 지수를 가지며 이들 2개의 지수 사이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1이다. 입자의 지수는 1.7보다 더 크며 이 결합제의 지수는 바람직하게는 1.6보다 더 작다.
이 결합제는 포타슘 실리케이트, 나트륨 실리케이트, 리튬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타입의 중합체, 열경화성 수지, 아크릴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원하는 사이즈의 집합체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이 결합제 내에 입자의 랜덤 분포를 일으키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분산 첨가제 즉 분산제는 다음 작용제(agent), 즉 저 분자량, 특히 50000g/mol보다 더 작은 분자량의, 산, 염기, 또는 이온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작용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대규모 영역에 균일한 층을 제공하기 위하여 비이온, 음이온 또는 양이온 표면활성제와 같은 습윤제(wetting agent)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셀룰로스 에테르와 같은 유동성 조절제(rheology modifier)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한정된 층이 1 내지 20㎛ 범위의 두께로 증착될 수 있다. 이러한 층을 증착하는 방법은, 스크린 프린팅 증착, 페인트 코팅 증착, 딥 코팅 증착, 스핀 코팅 증착, 플로우 코팅 증착, 스프레이 코팅 증착과 같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에 알려진 방법 중 임의의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안전성에 관한 규정 조항(regulatory provisions)으로 인해 기판이 열처리(예를 들어, 담금질)를 거쳐야 할 때에는 스크린 프린팅 증착 기술이 바람직하다고 언급할 수 있다.
증착된 층의 원하는 두께가 2㎛보다 더 큰 경우에는, 스크린 프린팅 유형의 증착 방법이 사용된다.
스크린 프린팅 증착 방법에 사용되는 결합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변형으로서는, 본질적으로 프리트 유리나 용융 작용제로 구성된 결합제가 사용된다. 이 프리트 유리 또는 용융 작용제는 예를 들어 아연 산화물, 붕소 산화물, 실리카 및 나트륨 산화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이 결합제는 본 발명에서는 백프로젝션 및/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에 사용되는 산란층을 위한 결합제로서 적용된다.
이 산란층의 두께가 4㎛보다 더 작은 경우, 이 산란층은 플로우 코팅이나 스프레이 코팅에 의해 증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면 위 커버 영역에 따라 그 두께가 변하는 층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는 스크린 부근에 배치된 광원의 고유 불균일성을 수정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이런 방식으로, 뷰어의 시야각에 따라 광원의 세기를 수정하여 그 이득을 조정할 수 있다. 그 이득은, 이하 방식, 즉:
이득 - 중심에서 보아 스크린에서 얻어지는 휘도/중심에서 보아 1의 이득을 갖는 람베르트 스크린(Lambertian screen)에서 얻어지는 휘도
로 한정된다.
따라서, 이 이득은, 또한 이하 방식, 즉
이득 = 중심 휘도 ×스크린 면적/ 프로젝터 선속
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들 한정식으로부터, 프로젝션 스크린은 180°시야각을 허용할 때 1의 이득을 가지는 것이라고 말한다(람베르트 스크린).
또, 스크린이 보다 제한된 시야각으로 광선이 재배열될 수 있게 하여 이들 시야각 내에서 이미지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면, 이 스크린은 1보다 더 큰 이득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표면 층의 선택적 증착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부표면 층은 기판의 일부 위에만 증착되고 기판의 나머지 부분은 투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산란층은 그 적용에 따라 평판 형태를 취하거나 취하지 않을 수 있는 제 1 투명 기판 위에 증착된다.
부표면 효과를 생성하는 산란 층은 적어도 105 dpi(dots per inch) 또는 106 dpi의 해상도를 갖는 스크린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부표면 효과를 생성하는 산란층으로 코팅된 제 1 기판의 기계적 무결성(integrity)을 향상시키기 위해, 얇은 중간층(lamination interlayer)이 대향하는 면(이 면은 산란층으로 코팅되어 있지 않다)의 제 1 기판에 결합되며, 이 중간층은 예를 들어 PVB(폴리비닐 부티랄) 또는 PU(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며, 다시 이 중간 층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색조 기판(tinted substrate)에 결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것은, 예를 들어, 40%의 광 투과율(TL)을 갖는 그레이 유리(grey glass) 또는 30% 내지 70% 범위의 광 투과율을 갖는 그레이 "파르솔(Parsol)" 유리와 같은,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일 수 있다.
제 3 기판은, 제 1 기판, 얇은 중간층과, 제 2 기판으로 구성된 적층 요소(laminated element)에 결합된다.
플라스틱(예를 들어, PU 또는 EPDM)으로 만들어진 실링 비드(sealing bead)는 산란 층을 포함하는 제 1 기판의 면의 주변(periphery) 둘레에 알려진 수단(예를 들어, 압출성형)에 의해 증착된다. 제 3 기판은 이 실링 비드 위에 증착된다. 이 비드 재료는 기계적 무결성을 조립체에 제공하며 2개의 기판 사이에 유체(특히 공기)로 채워진 공동(cavity)을 유지하여 산란 기능층 내에 산란 현상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사용되는 여러 (제 1, 제 2, 제 3) 기판은 유리 기판이나 중합체(PMMA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기판이다.
어느 실시예이든지, 본 발명에 따른 백프로젝션 및/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은 적어도 80% 바람직하게는 약 85%의 균일성으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이미지는, 600 ×450㎜의 치수를 갖는 스크린 위에 이 이미지를 눈으로 관측할 때 예를 들어 이 층의 품질로 인한 이미지의 세기 변동을 보이지 않을 때 균일한 것이라고 말한다. 눈은, 스크린 위의 한점에서부터 다른 점으로의 세기의 차가 15%보다 더 클 때에만 그 세기 변동을 "보기(see)" 시작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180°이하의 시야각으로 스크린의 양면에 투사되는 이 미지를 보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이 시야각은 그 휘도가 중심에서의 휘도의 절반이 되는 각도이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는 양면 중 한 면에 어떤 광학적 결함(흐릿함, 왜곡, 에지 효과, 색수차, 국부적 휘도 불균일성)도 야기시키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제 1, 제 2, 또는 제 3 기판 중 하나의 양면 중 한면에서 이 조립체 내에 특정 기능을 갖는 코팅을 병합하는 것이다. 이것은, 적외선 파장의 복사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코팅{예를 들어, 유전체 층으로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실버(silver) 층이나 TiN 또는 ZrN과 같은 질화물로 만들어진 층이나 또는 금속 산화물이나 강철이나 니켈-크롬 합금으로 만들어진 층을 사용함}이나 또는 저 방사율 기능{예를 들어 F:SnO2와 같은 도핑된 금속 산화물이나 주석-도핑된 인듐 산화물(ITO)이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실버 층}이나, 김형성방지 기능(친수성 층), 오염 방지 기능{아나타제 형태(anatase form)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화된 TiO2를 포함하는 광촉매 코팅}, 또는 그 밖에 예를 들어 Si3N4/SiO2/Si3N4/SiO2 유형의 반사방지 다층을 갖는 코팅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정된 응용은, 특히, 벽에 함께 결합된 또는 벽에 걸려있는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해 스타디움 내 이미지 벽에 사용하기 위해 또는 지자체 또는 가정내 사용을 위해, 예를 들어, 비디오 프로젝터로부터 나오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를 들어, 백프로젝션이나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다. 물론, 이 프로젝션 및/또는 백프로젝션 스크린은 2개의 구획(enclosure)을 분리하는 분리막이나 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위해, 분리막이 2개의 다른 볼륨(volume) 사이에 벽을 한정하며, 각 볼륨은 리빙 룸이나 싯팅 룸이나 거주하는 다른 방과 같은 분리막의 각 면에 방송되는 정보로부터 잇점을 얻을 수 있으며, 또 이 분리막은 보다 일반적으로 외부 볼륨으로부터 내부 볼륨(이들 볼륨 중 하나는 가능하게는 거리이다)을 한정하는 벽을 한정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분리 막을 한정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위해, 프로젝션 및/또는 백프로젝션 스크린은 판매 영역(sales area) 내 모든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메시지를 방송하기 위한 광고 특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패널을 구성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은, 많은 잇점, 예를 들어,
- 여러 구성 요소들이 본질적으로 광물 기술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 스크린이 수분이나 UV 광선에 대한 민감성은 매우 낮다는 잇점과,
- 최대 180°일 수 있는 시야각을 갖는 부표면 효과를 생성하는 산란층을 사용하면, "핫스팟(hot spot)" 현상(이 "핫스팟"이란 뷰어가 프로젝션 축을 따라 스크린을 통해 광원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을 제한할 수 있는 잇점
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백프로젝션 및/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등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17)

  1.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에 있어서, 부표면 효과(subsurface effect)를 생성하는 산란층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유리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산란층은 입자와 이 입자를 서로 결집하게 하는 광물 결합제를 포함하는 요소(elements)로 구성되고, 상기 산란층은 상기 산란층의 양 면에서 180°이하의 시야각(viewing angle)을 얻는데 적합하고,
    상기 입자는, 실리콘, 알루미늄, 지르코늄, 티타늄, 및 세륨 산화물, 또는 이들 산화물 중 적어도 2종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광물 결합제는 프리트 유리(glass frit)나 용융 작용제(melting agent)로 구성되고.
    상기 프리트 유리나 용융 작용제는 아연 산화물, 붕소 산화물, 나트륨 산화물 및 실리카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해상도는 5 ×103 내지 1 ×105 dpi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은 상기 제 1 기판의 양면 중 한 면에 증착되고, 상기 제 1 기판의 반대 면에는 얇은 중간층이 증착되며, 상기 중간층은 다시 제 2 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색조 기판(tinted substr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층은 제 1 기판의 양면 중 한 면에 증착되고, 상기 제 1 기판은 다시 제 2 기판에 결합되어 이중 글레이징 유닛(double-glazing unit)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산란층은 제 3 기판에 결합되며, 주변 비드(peripheral bead)는 상기 산란층으로 코팅된 상기 제 1 기판의 면과 상기 제 3 기판을 서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사이즈는 50㎚ 내지 1㎛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층의 두께는 0.5 내지 5㎛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제 2, 제 3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기능을 갖는 코팅, 저 방사율 기능이나 정전방지 기능, 김형성방지(antimisting) 기능, 오염방지 기능 또는 반사방지 기능을 갖는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2개의 다른 볼륨(volume) 사이에 벽을 한정하는 분리 막(separating partition)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각 볼륨은 상기 분리막의 한 쪽에 방송되는 정보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백프로젝션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
KR1020057012971A 2003-01-15 2004-01-07 프로젝션 및/또는 백프로젝션 스크린 KR101065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0381 2003-01-15
FR0300381A FR2849932B1 (fr) 2003-01-15 2003-01-15 Ecran de retroprojection et/ou de projection
PCT/FR2004/000015 WO2004072722A2 (fr) 2003-01-15 2004-01-07 ECRAN DE RETROPROJECTION et/ou de PROJ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109A KR20050092109A (ko) 2005-09-20
KR101065725B1 true KR101065725B1 (ko) 2011-09-19

Family

ID=3252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971A KR101065725B1 (ko) 2003-01-15 2004-01-07 프로젝션 및/또는 백프로젝션 스크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09443B2 (ko)
EP (1) EP1588218B1 (ko)
JP (1) JP4629656B2 (ko)
KR (1) KR101065725B1 (ko)
CN (1) CN1761912B (ko)
AT (1) ATE378621T1 (ko)
DE (1) DE602004010067T2 (ko)
ES (1) ES2297367T3 (ko)
FR (1) FR2849932B1 (ko)
TW (1) TWI352258B (ko)
WO (1) WO20040727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5198B2 (ja) * 2005-02-02 2011-07-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反射スクリーン、反射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5138168B2 (ja) * 2005-12-21 2013-02-06 藤森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
EA029832B1 (ru) * 2008-01-28 2018-05-31 Реалд Инк. Сохраняющий поляризацию проекционный экран
US8000006B2 (en) * 2009-07-02 2011-08-16 Morgan Adhesives Company Rear-projection screen
PT2726919T (pt) * 2011-07-01 2019-02-04 Tropiglas Tech Ltd Um painel seletivo em termos espetrais
FR2991064B1 (fr) * 2012-05-25 2014-05-16 Saint Gobain Procede de projection ou de retroprojection sur un vitrage comprenant un element en couches transparent presentant des proprietes de reflexion diffuse
FR2999977B1 (fr) * 2012-12-21 2018-03-16 Saint Gobain Vitrage comprenant un systeme a diffusion lumineuse variable utilise comme ecran
JP5752834B1 (ja) * 2014-04-14 2015-07-22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透明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
JP6563383B2 (ja) * 2014-04-14 2019-08-21 国立大学法人東京工業大学 透明スクリーン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透明スクリーン
JP2016009150A (ja) * 2014-06-26 2016-01-18 平岡織染株式会社 透過投映スクリーン
JP2016009149A (ja) * 2014-06-26 2016-01-18 平岡織染株式会社 透過投映スクリーン
DE102015200929A1 (de) * 2015-01-21 2016-07-21 Robert Bosch Gmbh Projektionsschirmvorrichtung, Projektionsvorrichtung und Projektionsverfahren
WO2017094550A1 (ja) * 2015-12-02 2017-06-08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反射型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投影装置
CN110083005A (zh) * 2018-01-23 2019-08-02 台湾扬昕股份有限公司 背投屏幕
CN208110256U (zh) * 2018-03-21 2018-11-16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背投影幕
CN110647004A (zh) * 2018-06-11 2020-01-03 法国圣戈班玻璃公司 投影屏、车窗以及车辆的投影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2546A (ja) * 1999-12-22 2001-09-07 Kimoto & Co Ltd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WO2002057850A1 (de) * 2001-01-18 2002-07-25 Eckelt Glas Gmbh Projektionsschirm aus einem verbundgla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40416A (en) 1966-04-06 1969-01-22 Sumitomo Chemical Co Manufacture of daylight projection screens
DE1944365C3 (de) * 1968-09-04 1974-02-28 Fuji Photo Film Co. Ltd., Ashigara, Kanagawa (Japan) Tageslicht-Projektionswand
DE1946680A1 (de) * 1968-09-16 1970-05-14 Fuji Photo Film Co Ltd Projektionswand der Transmissionsart
JPS5029334B1 (ko) * 1969-10-29 1975-09-22
US3655263A (en) * 1970-04-20 1972-04-11 Mark Hoffman Light diffusion device
NL8902112A (nl) * 1989-08-22 1991-03-18 Philips Nv Doorzichtprojektiescherm en doorzichtprojektiesysteem voorzien van een dergelijk scherm.
GB9020705D0 (en) 1990-09-22 1990-11-07 Emi Plc Thorn Imaging system
US5307205A (en) * 1992-03-20 1994-04-26 Rohm And Haas Company Bilayer rear projection screens
DK0770902T3 (da) * 1995-10-25 2004-01-05 Toppan Printing Co Ltd Linseformet ark, bagprojektionsskærm eller fjernsyn, der benytter samme
JP3727094B2 (ja) * 1996-01-12 2005-12-14 株式会社きもと 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
US6262840B1 (en) * 1996-05-30 2001-07-17 Sony Corporation Plano lens, rear-projection type projector screen employing the same, and rear-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apparatus
US6064521A (en) * 1997-05-14 2000-05-16 Burke; Douglas Polarizing resonant scattering three dimensional image screen and display systems
AU8102998A (en) * 1997-07-04 1999-01-25 Scan Vision Screen Aps Rear projection screen
JP4101339B2 (ja) * 1997-09-25 2008-06-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拡散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拡散層付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6421181B1 (en) * 1998-08-03 2002-07-16 Dai Nippon Printing Co., Ltd. Lenticular lens sheet and rear projection screen
JP2003512996A (ja) * 1999-11-03 2003-04-08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着色ガラス質材料、それに被覆されているその前駆体ガラス製物品及びその調製方法
US6804053B2 (en) * 1999-12-22 2004-10-12 Kimoto Co., Ltd. See-through light transmitting type screen
FR2809496B1 (fr) * 2000-05-23 2002-07-12 Saint Gobain Vitrage Couche diffusante
AU2002223510A1 (en) 2000-11-20 2002-05-27 Scan Vision Screen Aps Holographic projection screen
WO2002048791A1 (en) * 2000-12-12 2002-06-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and lenticular screen
US6870670B2 (en) * 2001-04-06 2005-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reens and methods for displaying information
WO2003050612A1 (en) * 2001-12-13 2003-06-19 Sony Corporation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0753340B1 (ko) * 2002-10-21 2007-08-30 최해용 전,후 양면 시청용 필름 스크린
US7046439B2 (en) * 2003-05-22 2006-05-16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element with nanopart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2546A (ja) * 1999-12-22 2001-09-07 Kimoto & Co Ltd 透視可能な透過型スクリーン
WO2002057850A1 (de) * 2001-01-18 2002-07-25 Eckelt Glas Gmbh Projektionsschirm aus einem verbundgl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2258B (en) 2011-11-11
CN1761912B (zh) 2010-12-01
DE602004010067D1 (de) 2007-12-27
FR2849932B1 (fr) 2005-02-18
WO2004072722A3 (fr) 2005-03-24
EP1588218B1 (fr) 2007-11-14
US7609443B2 (en) 2009-10-27
CN1761912A (zh) 2006-04-19
DE602004010067T2 (de) 2008-10-30
ATE378621T1 (de) 2007-11-15
FR2849932A1 (fr) 2004-07-16
JP2006518477A (ja) 2006-08-10
KR20050092109A (ko) 2005-09-20
EP1588218A2 (fr) 2005-10-26
US20060176553A1 (en) 2006-08-10
WO2004072722A2 (fr) 2004-08-26
ES2297367T3 (es) 2008-05-01
JP4629656B2 (ja) 2011-02-09
TW200428131A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725B1 (ko) 프로젝션 및/또는 백프로젝션 스크린
JP7192829B2 (ja) 映像表示透明部材、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EP3151063B1 (en) Video projection structure, video projection method, and video projection window
RU2624334C2 (ru) Способ проецирования или обратного проецирования на стекло, содержащее прозрачный слоевой элемент, имеющий свойства рассеянного отражения
JP6529728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6569673B2 (ja) 映像表示透明部材、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2017090617A (ja) 調光機能付きスクリーンガラス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16095456A (ja) 映像表示透明部材、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WO2009141981A1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拡散板
JP2017001649A (ja) 可動ドア装置
JP2016109778A (ja) 透過型透明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6565581B2 (ja) 映像表示透明部材を備える透明スクリーン、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0177381A (ja) 車両の低反射前窓
JP2018106138A (ja) 透明スクリーン
JPH09211729A (ja) 反射型スクリーン
WO2018110031A1 (ja) 透明スクリーン
KR20060132437A (ko) 확산 구조
JP2019211612A (ja) 透明スクリーン
JP2017090616A (ja) スクリーン機能付きブラインドガラスおよ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H10319205A (ja) 光学部材、及び投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