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113B1 - 진공 절연 스위치기어 - Google Patents

진공 절연 스위치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113B1
KR101051113B1 KR1020070006054A KR20070006054A KR101051113B1 KR 101051113 B1 KR101051113 B1 KR 101051113B1 KR 1020070006054 A KR1020070006054 A KR 1020070006054A KR 20070006054 A KR20070006054 A KR 20070006054A KR 101051113 B1 KR101051113 B1 KR 10105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mpartment
switch
box body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8979A (ko
Inventor
겐지 츠치야
슈이치 기쿠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78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 H01H33/66207Specific housing details, e.g. sealing, soldering or brazing
    • H01H2033/6623Details relating to the encasing or the outside layers of the vacuum switch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8Operating arrangements with a plurality of interruptible circuit paths in single vacuum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22Details particular to three-phase circuit br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Patch Board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기어의 배치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스위치 기어의 설치장소에서의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된 개폐기 구획부(1b)와 모선 구획부(1a)와 케이블 구획부(1c)를 가지는 박스체(1)와, 상기 박스체(1)의 개폐기 구획부(1b)에 설치한 차단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개폐기(8) 및 그 조작장치(11)와, 상기 박스체(1)의 모선 구획부(1a)에 설치한 모선(3)과, 상기 박스체(3)의 뒷부분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1c)에 도입되어, 상기 케이블 구획부(1c)의 케이블에 접속하는 케이블 접속용 단자(2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절연 스위치기어{VACUUM INSULATED SWITCH GEAR}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의 전기회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구성하는 개폐기부분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구성하는 개폐기의 조작기구의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의 전기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계측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계측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의 전기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계측반으로서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사용한 피더반, 피더 계측반의 증설로서 사용되는 모선 분리 유닛의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사용한 피더반, 피더 계측반의 증설로서 사용되는 모선 분리 유닛의 일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도 14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사용한 피더반, 피더 계측반의 증설로서 사용되는 모선 분리 유닛의 일 실시형태도의 전기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박스체 1a : 모선 구획부
1b : 개폐기 구획부 1c : 케이블 구획부
1d : 저압제어 구획부 2a : 케이블접속용 단자
2 : T형 케이블 헤드 3 : 케이블
4 : 계기용 변류기 5 : 모선
6 : 계통 보호용 변류기 7 : 콘덴서 케이블 헤드
8 :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 개폐기
9 : 접지 개폐기 10 : 전압 검출기
11 : 조작장치
본 발명은,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변전(受變電)설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 관한 것이다.
수변전설비에는, 부하전류 또는 사고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진공차단기, 부하의 보수점검을 행할 때에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기와 접지개폐기, 계통전압·전류의 검출장치, 또한 보호 릴레이 등이 수납된 폐쇄형 배전반(스위치 기어라 한다)을 설치하고 있다.
이 종류의 스위치 기어에서는, 이 스위치 기어의 설치장소에서의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충분히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점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개폐기를 하나의 몰드된 진공용기에 수납하여, 몰드부에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를 설치하고, 이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를 여러방향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송전 케이블의 여러가지 배선 패턴에 대응시키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0-306474호 공보(도 31, 도 32)
상기한 스위치 기어에서는, 도어를 가지는 케이싱 내에 수납하는 복수의 개폐기를 하나의 몰드된 진공용기, 모선, 외부 도체 접속용 단자 등을, 송전 케이블의 여러가지 배선 패턴에 대응시키도록 케이싱 내에서의 배치를 바꾸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예를 들면 송전 케이블을 케이싱의 아래쪽으로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과, 송전 케이블을 케이싱의 윗쪽으로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과 대응시키는 경우, 스위치 기어를 상하 반대방향으로 하여 케이싱 내에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즉, 송전 케이블을 케이싱의 아래쪽으로부터 도입하는 배선패턴에 대응시키는 경우에는, 복수의 개폐기가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몰드된 진공용기를, 가동 전극 및 그 조작부가 윗쪽에, 고정전극에 접속하는 모선이 아래쪽에위치하도록 하고, 또 이것과는 반대로 송전 케이블을 케이싱의 윗쪽으로부터 도입하는 배선 패턴에 대응시키는 경우에는, 복수의 개폐기가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몰드된 진공용기를, 가동 전극 및 그 조작부가 아래쪽에, 고정전극에 접속하는 모선이 윗 쪽에 위치하도록 재조립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지 설치장소에서의 송전 케이블의 배선패턴을, 사전에 알고있으면 송전 케이블과 스위치 기어의 접속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일은 없으나, 현지 설치장소에서의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이, 갑자기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위치 기어의 배치구성을 재검토하지 않으면 안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 기어를 상하 반전 구성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는, 스위치 기어의 케이싱 내에서의 지지구성, 중력의 영향에 의한 개폐기의 조작부의 구성 등을 검토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그 검토대응에 시간을 요하여, 설치 완료시기가 지연된다. 이 설치 완료시기의 지연은,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의 지연으로 연결되어,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해한다는 문제를 파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항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스위치 기어의 배치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스위치 기어의 설치장소에서의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전력량의 계측이 가능하고, 또한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설치장소에서의 박스체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는,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된 개폐기 구획부와 모선 구획부, 및 케이블 구획부를 가지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한 차단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 오프형 개폐기(vaccum double break switch)와, 이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에 설치한 모선과, 상기 박스체의 뒷부분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에 도입되어, 상기 개폐기에 한쪽 끝이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케이블 구획부의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개폐기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끌어 낼 수 있도록 상기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는,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된 개폐기 구획부와 모선 구획부, 및 케이블 구획부를 가지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한 차단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 오프형의 개폐기와, 이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에 설치한 모선과, 상기 개폐기에 한쪽 끝이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박스체의 뒷부분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에 도입되어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퓨즈를 거쳐 상기 케이블 구획부 내의 상기 단자에 접속하는 계측용 변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는,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된 개폐기 구획부와 모선 구획부, 및 케이블 구획부를 가지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한 차단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 오프형의 개폐기와, 이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에 설치한 모선과, 상기 개폐기에 한쪽 끝이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박스체의 뒷부분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에 도입되고, 상기 케이블 구획부의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박스체의 앞면측 아래쪽에 배치한 저전압제어 구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은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의 박스체(1)는, 접지 금속판으로 각각 구획된 모선 구획부(1a), 개폐기 구획부(1b), 케이블 구획부(1c), 저압제어 구획부(1d), 및 계측용 변압기의 설치공간(1e)을 구비하고 있다.
모선 구획부(1a)는, 박스체(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기 구획부(1b)는 모선 구획부(1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블 구획부(1c)는 박스체(1)의 뒷면측(도 1의 왼쪽)에 배치되어 있다. 저압제어 구획부(1d)는 박스체(1)의 앞면측(도 1의 오른쪽)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계측용 변압기의 설치공간(1e)은 모선 구획부(1a)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모선 구획부(1a) 내에는, 3상의 고체 절연된 모선(5)이 박스체(1)의 앞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모선(5)은, 고체 절연에 의하여 가스 리스화되어, 그 취급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개폐기 구획부(1b) 내에는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개폐기(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 차단 단로기 BDS)(8), 접지개폐기(ES) (9), 전압검출기(VD)(10) 및 조작장치(11)가 배치되어 있다. 전압검출기(10)는, 진공용기 내의 진공도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코로나를 검출하여 보수 점검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케이블 구획부(1c)에는,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 개폐기(vaccum double breaking three position type breaking and disconnecting switch; 8)의 고정 전극에 접속하여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된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와, 이 단자(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T 형 케이블 헤드(2)와, 이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단자(2a)에 접속하는 케이블(3)과, 이 케이블(3)에 설치한 계량기용 변류기(CT)(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3)은 이 예에서는 박스체(1)의 하부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로 도입되어 있다.
케이블 구획부(1c)와 개폐기 구획부(1b) 사이에는, 그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계통 보호용 변류기(CT)(6)가 설치되어 있다. 저압제어 구획부(1d)는, 박스체(1)에서의 조작장치(11)의 아래쪽에서 앞면측(도 1의 오른쪽)에 배치되어, 설치장소에서의 박스체(1)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 저압제어 구획부(1d)에는 조작장치(11)가 전자구동형식인 경우, 이것에 대한 케이블의 길이의 장대에 의한 전압저하를 억제하기 위한 위한 콘덴서(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盤)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의 전기회로를 도 4에 나타낸다.
다음에 상기한 개폐기 구획부(1b) 내에 배치된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 개폐기(BDS)(8), 접지개폐기(ES)(9), 전압검출기(VD)(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폭시수지(12)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몰드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개폐기부가 유닛화되어 소형 경량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 유닛화된 개폐기부는, 상(相)분리구조로서, 박스체(1)의 앞면과 직교하여 병설되고, 또한 그 상 사이에 차폐층을 배치하여 상 사이의 단락사고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다. 상기한 몰드의 외표면은, 도포된 도전 도료에 의하여 접지되어, 접촉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한 유닛화된 개폐기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 1 및 도 5를 사용하여 다시 설명하면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 개폐기(BDS)(8)는, 절연통을 구비하는 진공용기(80)와, 진공용기(80) 내에 각각 수납된 2개의 고정 접점(81)과, 그것들의 가동 접점(82)을 구비하고 있으며, 2점 오프를 구성하고 있다.
도 1의 오른쪽에서의 한쪽의 고정 접점(81)은, 피더(83)를 거쳐 모선(5)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1의 왼쪽에서의 한쪽의 고정 접점(81)은, 피더(84)를 거쳐 케이블 헤드(2)에 접속되어 있다.
한쪽의 가동 접점(82)과 다른쪽의 가동 접점(82)은, 스테인리스 등의 고온에서 어닐링되지 않는 금속으로 보강된 가동도체(85)로 연결되어 있다. 이 가동도체(85)에는 진공 절연조작로드(86)가 연결되어 있다. 이 진공 절연조작로드(86)는, 금속 벨로즈(87)를 거쳐 진공용기(80)밖으로 도출되어, 기중 절연조작로드(88) 에 연결되어 있다. 이 기중 절연조작로드(88)는, 조작장치(11)에 의하여 조작되는 조작 로드(111)에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가동 접점(82)과 다른쪽 가동 접점(82)은, 조작 로드(111)에 의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전하기 위한 폐쇄위치(Y1),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개방위치(Y2), 및 벼락 등의 서지전압에 대하여 점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위치(Y3)의 3위치에 정지한다.
상기한 2개의 가동 접점(8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개방위치(Y2)에서 차단 갭(g2)을, 또 단로위치(Y3)에서 단로 갭(g3)을 확보하고 있다. 이 단로 갭(g3)은, 차단 갭(g2)의 약 배에 해당하는 극간 거리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로시에 있어서의 단로 갭(g3)을, 차단 갭(g2)의 약 2배로 설정하여, 복수개(이 예에서는 2개)가짐으로써 다단형식의 절연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상간을 몰드 절연, 접점의 극간을 진공 절연하고, 상기 극간 치수 및 극수를 바꿈으로써 「상간 절연 > 단로시의 극간 절연 > 차단시의 극간 절연 > 접지개폐기의 극간 절연」의 관계를 설정하여, 상간의 절연협조를 도모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적어도 일선 접지로 억제되어 그 사고의 파급을 극력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기중 절연조작로드(88)는, 고무 또는 금속의 벨로즈로 덮여져 외기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기중 절연조작로드(88)는, 장기 사용에 대한 절연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다음에 접지개폐기(ES)(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통을 구비하는 진공용기(91)와, 진공용기(91) 내에 고정되고, 피더(84)에 접속한 고정 접점(92)과, 그 가동 접점(9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 접점(93)에는 진공 절연조작로드(94)가 연결되어 있다. 이 진공 절연조작로드(94)는, 금속 벨로즈(95)를 거쳐 진공용기(91) 밖으로 도출되고, 접지개폐기용 절연조작로드(1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진공용기(80, 91), 조작로드는 스테인리스제의 것을 사용하여, 그 내환경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각 가동 접점(93)은, 도체(도시 생략)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개폐기(8)에서의 통전하기 위한 폐쇄위치(Y1),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개방위치(Y2), 및 벼락 등의 서지전압에 대하여 점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위치(Y3)의 3 위치로의 변환, 및 접지개폐기(9)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조작장치(11)의 상세한 구성을,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조작장치(11)의 구성부품은, 개폐기 구획부(1b) 내에 설치한 지지판(113)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장치(11)는, 대략적으로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을 폐쇄위치(Y1)와 개방위치(Y2)로 변환 조작하기 위한 제 1 조작기구(200),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을 개방위치(Y2)와 단로위치(Y3)로 변환 조작하기 위한 제 2 조작기구(300) 및 접지개폐기(9)의 가동 접점(93)을 조작하는 제 3 조작기구(400)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제 1 조작기구(200)의 구성을 도 6 및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6에서 지지판(113)에는 제 1 축(20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 1 축(20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202)가 제 1 축(201)의 축선방향으로 3개 고정되어 있다. 이 레버(202)의 선단측은, 조작 로드(111)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제 1 축(201)의 한쪽측에는 도 6 및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203)가 레버(202)와는 반대방향에 고정되어 있다.
레버(203)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204)를 거쳐 전자석(205)의 구동축(206)이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206)에는, 단면 T 자형상을 하고 있는 가동철심(207)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가동철심(207)의 주위에는 지지판(113)에 고정한 고정철심(208)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철심(208)의 내부에는, 코일(209)과 둥근 고리형상의 영구자석(210)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206)에서의 레버(203)와 반대측에는 트립 스프링받이(2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트립 스프링받이(211)와 고정철심(208)의 사이에, 트립 스프링(21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석(205)은, 가동 접점(82)이 폐쇄위치(Y1)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코일(209)과 영구자석(210)과의 흡인력에 의하여 트립 스프링(212)과 기중 절연조작로드(88)에 설치한 접압 스프링(도시 생략)의 축세력에 대항하는 유지력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특히, 영구자석(210)의 흡인력, 이른바 자기 래치방식을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을 개방위치(Y2)와 단로위치(Y3)로 변환 조작하기 위한 제 2 조작기구(300)의 구성을,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지지판(113) 위의 제 1 축(201)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에는, 레버(301)가 고정되어 있다. 이 레버(301)의 선단측에는 인터록용 핀(302)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302)에는 롤러(303)가 맞닿는다. 이 롤러(303)는, 크랭크 레버(304)의 한쪽측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크랭크 레버(304)는, 지지판(113)의 하면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크랭크 레버(304)의 다른쪽측 선단에는, 전자석(305)의 구동축(306)이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306)에는, 가동철심(307)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가동철심(307)의 주위에는 지지판(113)에 고정한 고정철심(308)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철심(308)의 내부에는 2개의 코일(309, 310)이 상하방항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철심(307)과 고정철심(308)의 상부와의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311)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전자석(305)은, 각각의 코일(309, 310)을 여자함으로써, 가동철심(307)을 상하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이 동작에 의하여 크랭크 레버(304)는 회동한다. 이 크랭크 레버(304)의 회동에 의하여 인터록용 핀(302)과 롤러(303)의 맞닿음 위치를 변경시켜, 레버(203)의 제 1 축(201) 주위의 회동을 저지하거나, 또는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의하여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은, 도 5에 나타내는 개방위치(Y2)로부터 단로위치(Y3)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개방위치(Y2)에 유지되고, 또 개방위치(Y2)로부터 단로위치(Y3)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즉, 이 구성은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에서의 개방위치(Y2)와 단로위치(Y3) 사이의 제 1 인터록기구로 되어 있다.
다음에 접지개폐기(9)의 가동 접점(93)을 조작하는 제 3 조작기구(400)의 구성을, 특히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지지판(113)에는 제 2 축(401)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 1 축(401)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402) 가 제 1 축(401)의 축선방향에 3개 고정되어 있다. 이 레버(402)의 선단측은, 조작로드(11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 제 2 축(401)의 한쪽측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403)가 레버(402)와는 반대방향에 고정되어 있다.
레버(403)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404)를 거쳐 전자석(405)의 구동축(406)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전자석(405)은, 상기한 제 1 조작기구(200)의 전자석(203)과 동일한 구성으로, 그 구동축(406)에는, 단면 T자 형상을 하고 있는 가동 철심(407)이 고정되어 있다. 이 가동 철심(407)의 주위에는 지지판(113)에 고정한 고정 철심(408)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408)의 내부에는 코일(409)과 둥근 고리형상의 영구자석(410)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철심(408)과 지지판(113)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차단용 스프링(4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접지개폐기(9)의 제 3 조작기구(400)와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을 개방위치(Y2)와 단로위치(Y3)로 변환 조작하기 위한 제 2 조작기구(300)의 사이에는, 제 2 인터록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인터록기구는, 개폐기 내의 가동 접점(82)이 벼락 등의 서지전압에 대하여 점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위치(Y3)의 3 위치에 있을 때, 전자석(405)에 의하여 접지개폐기(9)에서의 가동 접점(93)의 고정 접점에의 투입을 가능하게 하고, 또 개폐기 내의 가동 접점(82)이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개방위치(Y2)의 2 위치에 있을 때, 전자석(405)에 의하여 접지개폐기(9)에서의 가동 접점(93)의 고정 접점에의 투입을 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접지개폐기(9)의 고정 접점에 그 가동 접점(93)을 투입하고 있을 때, 제 2 조작기구(300)에서의 전자석(205) 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도록 관련지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제 2 인터록기구는, 제 3 조작기구(400)에서의 전자석(405)의 구동축(406)의 아래쪽 끝에 설치한 핀(412)과, 제 2 조작기구(300)에서의 전자석(305)의 아래쪽에서 제 2 축(401)과 평행하게 설치한 축(413)과, 이 축(413)에 설치되고, 제 2 조작기구(300)에서의 전자석(305)의 구동축(306)의 하단에 연결하는 레버(도시 생략)와, 축(413)에 설치되어 상기 핀(412)과 걸어맞춰지는 레버(414)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진공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개폐기(8) 내의 가동 접점(82)이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개방위치(Y2)에 설정된 상태에서는, 제 1 조작기구(200)에서의 트립 스프링(212)의 리턴력에 의하여 제 1 조작기구(200)에서의 레버(203)가, 도 1에서 제 1 축(201)을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주어져 있다.
이에 의하여 제 2 조작기구(300)를 구성하는 레버(301)의 선단측에 설치한 인터록용 핀(302)은, 롤러(303)의 바깥 둘레 상면에 맞닿아 트립 스프링(212)의 리턴력에 의한 더 한층의 시계방향의 회동이 억제되고 있다. 즉,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개방위치(Y2)로부터 벼락 등의 서지전압에 대하여 점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위치(Y3)로의 이행이 저지된다.
다음에, 제 1 조작기구(200)에 의한 개방위치(Y2)로부터 폐쇄위치(Y1)로의 조작(투입조작)을 설명한다.
제 1 조작기구(200)의 전자석(205)의 코일(209)에 통전하면, 그 구동축(206)이 도 6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구동축(206)의 상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레버(202)가 제 1 축(201)을 지지점으로 하여 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 접점(82)을 폐쇄위치(Y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폐쇄상태에서 트립 스프링(212)과 접압 스프링은 축세되어 개극 동작에 대비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투입동작에 의하여 인터록용 핀(302)은, 롤러(303)의 바깥 둘레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롤러(303)는, 제 2 조작기구에서의 리턴 스프링(311)에 의하여 위치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원래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폐기(8)가 폐쇄상태인 경우, 제 2 조작기구(300)는, 제 1 조작기구(200)에 의한 단로조작이 불능하게 되도록 안전성 강화의 요구의 관점으로부터 기계적 인터록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즉, 차단, 단로 사이의 기계적 인터록의 하나인 「가동 접점이 폐쇄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단로조작을 불능하게 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다음에, 제 1 조작기구(200)에 의한 폐쇄위치(Y1)로부터 개방위치(Y2)로의 조작(개극조작)을 설명한다.
제 1 조작기구(200)에서의 전자석(205)의 코일(209)을, 투입 동작시와 역방향으로 여자하여, 영구자석(210)의 자속을 캔슬하면, 트립 스프링(212)과 접압스프링과의 축세력에 의하여 그 구동축(206)이 도 1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 구동축(206)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레버(203), 제 1 축(201)을 거쳐 레 버(301)가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나, 이 레버(301)의 시계방향의 회전은, 제 2 조작기구에서의 인터록용 핀(302)과 롤러(303)의 바깥 둘레 상면과의 맞닿음에 의하여 억제된다. 그 결과,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을 개방위치(Y2)에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조작기구(300)에 의한 개방위치(Y2)로부터 단로위치(Y3)로의 조작(단로조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개폐기(8)의 개방상태에서, 제 2 조작기구(300)에서의 전자석(305)의 윗쪽의 코일(309)을 여자하면, 그 구동축(306)이 리턴 스프링(311)에 저항하여 윗쪽으로 이동한다. 이 구동축(306)의 윗쪽으로의 이동은, 크랭크 레버(304)를 거쳐 롤러(303)를 도 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롤러(303)의 반시계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이 롤러(303)와 인터록용 핀(302)과의 맞닿음 위치가, 아래쪽으로 내려 간다. 그 결과, 레버(301), 제 1 축(201)및 레버(202)를 거쳐 조작 로드(111)가 윗쪽으로 이동하고,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은, 단로위치(Y3)로 이동한다.
이 단로상태에서는, 제 1 조작기구(200)에서의 전자석(205)의 가동철심(207)은, 영구자석대(210)보다 아래에 존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단로상태에서 제 1 조작기구(200)에서의 전자석(205)의 코일(209)을 여자하여도 가동철심(207)을 통과하는 자속은, 거의 없어 흡인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차단기와 단로기 사이의 기계적 인터록 「가동 접점이 단로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투입조작을 불가능하게 하는」것을 실현하고 있다.
다음에, 제 2 조작기구(300)에 의한 단로위치(Y3)로부터 개방위치(Y2)로의 조작을 설명한다.
단로상태에서 제 2 조작기구(300)에서의 전자석(205)의 아래쪽의 코일(310)을 여자하면 구동축(206)의 윗쪽 이동, 크랭크 레버(304)의 시계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롤러(303)는 이것에 맞닿아 있는 인터록용 핀(302)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기 때문에,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은 개방위치(Y2)로 이동한다.
다음에,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이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개방위치(Y2)에 있을 때, 제 2 인터록기구에서의 레버(414)가, 제 3 조작기구(400)에서의 전자석(405)의 구동축(406)의 아래쪽 끝에 설치한 핀(412)에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전자석(405)에 의하여 접지개폐기(9)의 가동 접점(93)에의 투입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접지개폐기(9)의 고정 접점에 그 가동 접점(93)을 투입하고 있을 때, 제 2 인터록기에서의 레버(414)가, 전자석(405)의 구동축(406)의 아래쪽 끝에 설치한 핀(412)에 걸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제 2 조작기구(300)에 의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개폐기(8)의 가동 접점(82)이 벼락 등의 서지전압에 대하여 점검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단로위치(Y3)에 있을 때에는 제 2 인터록기구에서의 레버(414)가 전자석(405)의 구동축(406)의 아래쪽에 설치한 핀(41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 3 조작기구(400)에 의하여 접지 개폐기(9)의 투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조작기구(300)에 회전 자유로운 롤 러(303)를 사용하였으나, 이 롤러(303)를 부분 원호형상의 캠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 1 조작기구(200) 및 제 3 조작기구(400)를, 적절하게 배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조작기구(200)에 전자 조작방식을 적용하였으나, 전동스프링방식 등 다른 조작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건물의 지하에 케이블(3)이 부설되어 있는 경우, 이 케이블(3)을 박스체(1)의 아래쪽으로부터 박스체(1)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1c) 내로 도입하고,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박스체(1)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1c) 내의 케이블접속용 단자(2a)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체(1) 내에 설치한 차단기와 단로기를 일체화한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기(8) 등의 기기의 배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아, 그 설치장소에서의 송전용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접속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설치완료가 신속하게 완료되어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이 신속해져,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7은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그 전기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는, 케이블(3)을 박스체(1)의 하부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 내로 도입한 2줄의 케이블(3)을,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케이블 구획부(1c) 내의 케이블접속용 단자(2a)에 접속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스체(1)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케이블 접속용 단자에, 2줄의 케이블(3)을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체(1) 내에 설치한 차단기와 단로기를 일체화한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기(8) 등의 기기의 배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아, 그 설치장소에서의 송전용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접속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설치완료가 신속하게 완료되어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이 신속해져,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부분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그 전기회로도는 도 4에 나타내는 전기회로도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는, 케이블(3)을 박스체(1)의 상부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하여, 이 케이블(3)을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케이블 구획부(1c) 내의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접속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건물의 천정에 케이블(3)이 부설되어 있는 경우, 이 케이블(3)을 박스체(1)의 윗쪽으로부터 박스체(1)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1c) 내로 도입하고,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박스체(1)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1c) 내의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체(1) 내에 설치한 차단기와 단로기를 일체화한 진공 2점오프 3 위치형의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기(8) 등의 기기의 배치 변 화를 필요로 하지 않아, 그 설치장소에서의 송전용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접속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설치완료가 신속하게 완료되어,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이 신속해져,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특히,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위치 기어를 설치하는 건물의 지하에, 케이블수납용 피트를 부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반으로서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부분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그 전기회로도는 도 8에 나타내는 전기회로도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는, 박스체(1)의 상부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 내로 도입한 2줄의 케이블(3)을,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케이블 구획부(1c) 내의 케이블접속용 단자(2a)에 접속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스체(1)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2줄의 케이블(3)을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체(1) 내에 설치한 차단기와 단로기를 일체화한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기(8) 등의 기기의 배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아, 그 설치장소에서의 송전용 케이블(3)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접속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설치완료가 신속하게 완료되어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이 신속해져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위치 기어를 설치하는 건물의 지하에, 케이블 수납용 피트를 부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계측반으로서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계측반으로서 적용한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그 전기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다.
이 실시형태는, 모선 구획부(1a)의 아래쪽에 형성된 설치공간(1e) 내에 단상 권선형 계측용 변압기(VT)(500)를 설치하고, 이 변압기(500)를 퓨즈(F)(501)를 거쳐 케이블 구획부(1c) 내의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접속하고, 또 이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박스체(1)의 하부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케이블(3)을,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접속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스체(1)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케이블 접속용 단자에, 박스체(1)의 하부에서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케이블(3)를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체 내에 설치한 차단기와 단로기를 일체화한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기(8) 등의 기기의 배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설치장소에서의 송전용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접속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설치완료가 신속하게 완료되어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이 신속해져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또 계측용 변압기(500)의 설치에 의하여 전력량의 계측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피더 계측반으로서 적용한 다른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 전기회로도는 도 12와 동일하다. 이 도면에서 도 1 및 도 11에 나타내는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다.
이 실시형태는, 모선 구획부(1a)의 아래쪽에 형성된 설치공간(1e) 내에 단상 권선형 계측용 변압기(VT)(500)를 설치하고, 이 변압기(500)를 퓨즈(F)(501)를 거쳐 케이블 구획부(1c) 내의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접속하고, 이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박스체(1)의 상부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케이블(3)을, T 형 케이블 헤드(2)에 의하여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접속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스체(1)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케이블 접속용 단자(2a)에, 박스체(1)의 상부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케이블(3)을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체 내에 설치한 차단기와 단로기를 일체화한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기(8) 등의 기기의 배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설치장소에서의 송전용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접속 설치할 수있다. 그 결과, 설치완료가 신속하게 완료되어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이 신속해져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또 계측용 변압기의 설치에 의하여 전력량의 계측도 가능하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위치 기어를 설치하는 건물의 지하에, 케이블 수납용 피트를 부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건설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사용한 피더반, 피더 계측반의 증설로서 사용되는 모선 분리 유닛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4는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는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그 전기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부호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이다.
이 실시형태는,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개폐기(8)를, 2점 오프의 진공단로기(BDS)(600)로서 사용한다. 그리고 이 단로기(600)의 한쪽 측(도 15의 오른쪽)의 고정 접점(601)을, 각각 한쪽의 피더반, 피더 계측반의 모선(5)에, 또 단로기(600)의 다른쪽측(도 15의 왼쪽)의 고정 접점(601)을, 각각 다른쪽 피더반, 피더 계측반에 접속하고, 그 가동 접점(602)은 핸들(603)에 의하여 고정 접점(601)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모선 분리 유닛을 미리 설치된 피더반, 피더 계측반에 접속하여 두면, 모선(5)에 접속되는 계통을 오프하지 않고 그 다른쪽측에 피더반, 피더 계측반을 증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병원, 반도체 제조설비에서 정전을 행하지 않고, 피더반, 피더 계측반을 증설하는 것이 가능하고, 편리성이 좋다. 또 2점 오프의 단로기이기 때문에, 단로의 신뢰성이 높고, 저렴하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박스체 내에 설치한 차단기와 단로기를 일체화한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기 등의 기기의 배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송전용 케이블을, 박스체의 뒷부분의 케이블 구획부 내로 도입한 케이블 접속용 단자에, 박스체의 상하 양 방향으로부터 케이블 구획부 내에 인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설치장소에서의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접속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설치완료가 신속하게 완료되어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이 신속해져,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의 향상에 공헌할 수 있다.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개폐기를, 차단 단로기 또는 단로기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다양한 요구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개폐기의 구성에서, 차단부와 단로부의 2중화를 달성할 수 있고, 그 신뢰성이 높다.
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1차 회로를 완전 상분리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상간 단락사고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고, 또 개폐기를 진공과 몰드의 2중 절연구조로 하여, 진공누설에 의한 지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 나아가서는 개폐기의 절연강조를, 「상관절연 > 단로시의 극간절연 > 차단시의 극간절연 > 접지개폐기의 극간절연」의 관계로 설정하여, 적어도 일선(一線) 접지로 억제되어 그 사고의 파급을 극력 억제할 수 있는 등등의 이유에 의하여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개폐기 내의 스위치부를 진공 절연함으로써, 그 진공용기를 박판 경량화할 수 있어, 개폐기를 경량 소형화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운반, 설치가 용 이함과 동시에, 바닥설치 하중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3)을 박스체(1)의 윗쪽, 또는 아래 쪽으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 내에 도입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케이블(3)을 박스체(1)의 적어도 하나의 옆쪽으로부터 케이블 구획부(1c) 내로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계통 보호용 변류기(6)는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케이블 구획부(1c)를, 모선 구획부(1a) 및 개폐기 구획부(1b)의 배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박스체(1)의 안 길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박스체 내에 설치한 차단기와 단로기를 일체화한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개폐기 등의 기기의 배치 변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설치장소에서의 송전 케이블의 배선 패턴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접속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완료가 신속하게 완료되어 납입처에서의 전력공급이 신속해진다. 그 결과, 납입처에서의 생산성의 상승에 공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전력량의 계측이 가능하고, 또한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에 의하면, 설치장소에서의 박스체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소형 경량이고, 신뢰성이 높은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된 개폐기 구획부와 모선 구획부, 및 케이블 구획부를 가지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한 차단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 오프형의 개폐기와,
    상기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에 설치한 모선과,
    상기 박스체의 뒷부분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에 도입되어 상기 개폐기에 한쪽 끝이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케이블 구획부의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적어도 상기 개폐기의 위치를 바꾸는 일 없이, 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끌어 낼 수 있도록 상기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2.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된 개폐기 구획부와 모선 구획부, 및 케이블 구획부를 가지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한 차단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 오프형의 개폐기와,
    상기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에 설치한 모선과,
    상기 개폐기에 한쪽 끝이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박스체의 뒷부분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에 도입되어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퓨즈를 거쳐 상기 케이블 구획부 내의 상기 단자에 접속하는 계측용 변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3.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된 개폐기 구획부와 모선 구획부, 및 케이블 구획부를 가지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한 차단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 오프형의 개폐기와,
    상기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장치와,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에 설치한 모선과,
    상기 개폐기에 한쪽 끝이 접속되고, 다른쪽 끝이 상기 박스체의 뒷부분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에 도입되어, 상기 케이블 구획부의 케이블에 접속되는 단자와,
    상기 박스체의 앞면측 아래쪽에 배치한 저전압제어 구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진공 2점 오프형의 개폐기의 한쪽의 고정 접점에 접속되고, 상기 모선은, 상기 진공 2점 오프형의 개폐기의 또 한 쪽의 고정 접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2점 오프형의 개폐기의 한쪽의 고정 접점에 접속한 진공접지 개폐기와,
    상기 진공접지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구획부와 상기 케이블 구획부와의 사이에서, 또한 상기 단자의 바깥 둘레에 계통 보호용 변류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구획부의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부터 도입되어 상기 단자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에,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 오프 단로기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9. 접지 금속판으로 구획되어, 중앙부에 위치하는 모선 구획부, 상기 모선 구획부의 윗쪽에 위치하는 개폐기 구획부, 뒷쪽면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 앞면측 아래쪽에 위치하는 저전압제어 구획부를 가지는 박스체와,
    상기 박스체의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한 차단 단로기능을 가지는 진공 2점오프 3 위치형의 개폐기와,
    상기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전자구동조작장치와,
    상기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개폐기의 한쪽의 고정 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에 설치한 모선과, 상기 구획부 내의 케이블측에 접속되어, 상기 개폐기 구획부에 설치한 진공 접지 개폐기와,
    상기 진공 접지 개폐기를 개폐 조작하는 전자구동조작장치와,
    상기 진공 2점 오프 3 위치형의 개폐기의 다른쪽 고정 접점에 접속되어, 계통 보호용 변류기를 개재하여 상기 박스체의 뒷부분측에 위치하는 케이블 구획부에 도입된 케이블 접속용 단자와,
    상기 단자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체의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부터 케이블 구획부에 도입되는 케이블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T 형 케이블 헤드와, 상기 박스체의 저압제어 구획부에 설치한 상기 전자구동조작장치용 콘덴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체의 모선 구획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퓨즈를 거쳐 상기 케이블 구획부 내의 상기 케이블 접속용 단자에 접속하는 계측용 변류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KR1020070006054A 2006-01-31 2007-01-19 진공 절연 스위치기어 KR101051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2532A JP4197702B2 (ja) 2006-01-31 2006-01-31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JPJP-P-2006-00022532 2006-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979A KR20070078979A (ko) 2007-08-03
KR101051113B1 true KR101051113B1 (ko) 2011-07-21

Family

ID=37872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054A KR101051113B1 (ko) 2006-01-31 2007-01-19 진공 절연 스위치기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79022B2 (ko)
EP (1) EP1814131B1 (ko)
JP (1) JP4197702B2 (ko)
KR (1) KR101051113B1 (ko)
CN (1) CN101034642A (ko)
SG (1) SG134273A1 (ko)
TW (1) TW20073763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8344B4 (de) * 2007-04-16 2022-08-04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chutz von Umrichtermodulen
US7902480B2 (en) * 2007-06-13 2011-03-08 Hitachi, Ltd. Vacuum insulated switchgear
JP4264457B2 (ja) 2007-07-17 2009-05-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JP4555857B2 (ja) * 2007-12-21 2010-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JP4686555B2 (ja) * 2008-01-09 2011-05-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開閉装置
JP5189544B2 (ja) * 2009-04-01 2013-04-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開閉器の操作装置
JP4701273B2 (ja) 2008-07-30 2011-06-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ギヤ及びその高さ調整方法
EP2169794A1 (en) * 2008-09-26 2010-03-31 Eaton Electric B.V. Switching installation with arc protection and arc protection method
JP5235620B2 (ja) * 2008-11-14 2013-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ギヤ
US20100314357A1 (en) * 2009-06-12 2010-12-16 Hitachi, Ltd. Resin-molded vacuum valve
JP4866949B2 (ja) * 2009-09-07 2012-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KR100994793B1 (ko) 2010-01-29 2010-11-16 일성이앤지(주) 진공 인터럽터 방식 자동고장구간개폐기 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수변전 장치
SE534914C2 (sv) * 2010-06-18 2012-02-14 Otto Electric Ltd Ställverk med enfasisolering bestående av luftisolering och skärmar
US8248760B2 (en) * 2010-07-07 2012-08-21 Eaton Corporation Switch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switchgear
US9824838B2 (en) * 2011-02-05 2017-11-21 Alevo International, S.A. Commutating circuit breaker
US9685283B2 (en) 2012-02-09 2017-06-20 G & W Electric Company Interlock for circuit interrupting device
US8772666B2 (en) * 2012-02-09 2014-07-08 G & W Electric Company Interlock system for switchgear
JP2014107180A (ja) * 2012-11-29 2014-06-09 Hitachi Ltd ガス遮断器
JP2014107179A (ja) * 2012-11-29 2014-06-09 Hitachi Ltd 三相一括式遮断器
JP5389290B2 (ja) * 2013-05-07 2014-01-15 東光電気株式会社 タップ切替装置および負荷時タップ切替柱上変圧器
JP6106528B2 (ja) * 2013-06-05 2017-04-05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コンタクタ用操作装置
US20150088957A1 (en) * 2013-09-25 2015-03-26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managing applications in multiple devices
CN104916489B (zh) * 2015-06-29 2017-01-18 温州侨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矿用隔爆兼本质安全型模块式永磁馈电开关
JP6615585B2 (ja) * 2015-11-10 2019-12-0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スイッチギヤ及び配電システム
KR101809822B1 (ko) * 2016-03-11 2017-12-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 제거기
KR20170003305U (ko) * 2016-03-15 2017-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아크 제거기
US10305262B2 (en) 2016-09-26 2019-05-28 Bethel Idiculla Johnson Medium voltage switchgear enclosure
USD832222S1 (en) 2016-09-26 2018-10-30 Switchboard Apparatus, Inc. Insulator
CN116885571B (zh) * 2023-09-05 2023-12-12 山东捷远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矿用双回路高压开关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7169A2 (en) 1999-04-19 2000-10-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acuum insulated switch gear
US20010002666A1 (en) 1999-12-01 2001-06-07 Yoshihiro Ito Switch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40081810A (ko) * 2002-10-31 2004-09-22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절연 스위치 기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033B2 (ja) * 1997-10-03 2001-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母線の接続構造及び絶縁カバー
EP0917171A3 (en) * 1997-11-14 1999-07-28 Hitachi, Ltd. Vacuum circuit-breaker, vacuum bulb for use therein, and electrodes thereof
JP3644264B2 (ja) 1998-08-03 2005-04-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絶縁開閉装置及びその解体方法
EP1119009A4 (en) * 1998-10-02 2002-07-24 Hitachi Ltd VACUUM SWITCHES AND VACUUM SWITCHGEAR
EP1119010A4 (en) * 1998-10-02 2002-03-06 Hitachi Ltd VACUUM SWITCH AND VACUUM SWITCH USING THE VACUUM SWITCH
JP2000306474A (ja) 1999-04-19 2000-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イッチギヤ
JP2001307603A (ja) 2000-04-19 2001-11-02 Hitachi Ltd 真空スイ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真空スイッチギヤ
JP4537569B2 (ja) 2000-04-24 2010-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352621A (ja) 2000-06-02 2001-12-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JP4423598B2 (ja) * 2004-08-17 2010-03-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真空スイッチギヤの単相モジュールおよび真空スイッチギ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7169A2 (en) 1999-04-19 2000-10-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acuum insulated switch gear
US20010002666A1 (en) 1999-12-01 2001-06-07 Yoshihiro Ito Switch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040081810A (ko) * 2002-10-31 2004-09-22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절연 스위치 기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4131A2 (en) 2007-08-01
SG134273A1 (en) 2007-08-29
EP1814131A3 (en) 2007-08-15
CN101034642A (zh) 2007-09-12
TW200737635A (en) 2007-10-01
EP1814131B1 (en) 2015-06-24
TWI350625B (ko) 2011-10-11
JP4197702B2 (ja) 2008-12-17
US7679022B2 (en) 2010-03-16
US20070175866A1 (en) 2007-08-02
KR20070078979A (ko) 2007-08-03
JP2007209077A (ja)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1113B1 (ko) 진공 절연 스위치기어
KR101058918B1 (ko) 진공 절연 스위치기어
JP4841875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JP4268991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KR101243892B1 (ko) 진공 스위치 기어
KR100984306B1 (ko) 진공절연 스위치 기어
US8008594B2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JP4866949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US20080308532A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JP2007014087A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EP2405544A2 (en) A switch arrangement for double busbar selection
EP2645378A1 (en) Electric device with insulators
JP5123894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WO2014093691A1 (en) Integral current transforming electric circuit interrupter
EP1113549A1 (en) Electric substation
EP1113548A1 (en) Electric substation
CN102017038A (zh) 中压开关装置
EP1113546A1 (en) Electric substation
Serve et al. Impact of medium voltage switchgear technology on operating modes in th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