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610B1 -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610B1
KR101050610B1 KR1020087021758A KR20087021758A KR101050610B1 KR 101050610 B1 KR101050610 B1 KR 101050610B1 KR 1020087021758 A KR1020087021758 A KR 1020087021758A KR 20087021758 A KR20087021758 A KR 20087021758A KR 101050610 B1 KR101050610 B1 KR 10105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member
handle
stopp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062A (ko
Inventor
나오키 와타나베
사토시 구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알파
Publication of KR2008010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폐쇄 위치와 도어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핸들(3)과, 핸들(3)의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의 조작에 연동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회전하여 도어록 기구를 록 해제하는 레버(4)와, 브래킷(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핸들(3)의 걸림부(3a)에 간섭하지 않는 대기 위치와 걸림부(3a)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또한 대기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된 스토퍼 부재(5)를 가진다. 핸들(3)을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가 도어 본체에 입력되면, 이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스토퍼 부재(5)가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간섭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여 레버(4)의 록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스토퍼 부재(5)의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가 간섭 위치에서 부딪치는 상대측 회전 규제부(2a)에 완충 부재(12)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DOOR HANDLE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측면 충돌시 등의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실시된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로서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 폐쇄 위치와 도어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조작되는 그립식의 핸들(101)을 가진다. 도어 본체(101)에는, 스토퍼 부재(102)가 대기 위치(도 1의 실선 위치)와 간섭 위치(도 1의 파선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02)는, 도시하지 않는 탄성 가압 수단에 의해서 대기 위치측(도면의 실선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102)의 대기 위치는, 핸들(101)의 걸림부(101a)의 회전 궤적 외의 위치에, 스토퍼 부재(102)의 간섭 위치는 걸림부(101a)의 회전 궤적 내의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핸들(101)을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A)가 도어 본체(100)에 입력되면, 이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핸들(101)이 개방 위치 방향(a)으로 이동함과 더불어 스토퍼 부재(102) 가 탄성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간섭 위치 방향(b)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스토퍼 부재(102) 쪽이 핸들(101)보다도 빨리 간섭 가능 구간으로 이동하여 핸들(101)의 걸림부(101a)에 간섭한다. 이 스토퍼 부재(102)의 간섭에 의해서 핸들(101)은 도어 개방 위치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상에 의하여, 측면 충돌시 등의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101)을 도어 개방 위치로부터 도어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B)가 도어 본체(100)에 입력되면, 이 방향의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는 일은 없다.
특허 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2113호
그런데, 상기 스토퍼 부재(102)가 확실히 스토퍼 기능을 다하는 조건으로서는, 충격 가속도(A)가 입력되었을 때에, 스토퍼 부재(102)가 핸들(101)의 걸림부(101a)보다도 빨리 간섭 위치에 이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조건은, 충격 가속도의 입력 시에 핸들(101)보다도 스토퍼 부재(102) 쪽을 움직이기 쉽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간단하게 클리어 가능하다.
또, 다른 중요한 조건으로서는, 탄성 가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대기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된 스토퍼 부재(102)가 간섭 가능 구간에 긴 시간 머무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스토퍼 부재(102)가 재빠르게 간섭 가능 구간에 이르러도 스토퍼 부재(102)가 비간섭 위치까지 재빠르게 돌아오면 핸들(101)의 걸림부(101a)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사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는, 스토퍼 부재(102)를 간섭 가능 구간에 장시간 머물게 하기 위한 고안이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스토퍼 부재(102)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측면 충돌 시 등에 있어서, 스토퍼 부재가 핸들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실시형태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로서, 도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 폐쇄 위치와 도어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의 조작에 연동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회전하여 도어록 기구를 록 해제하는 레버와, 상기 도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과 상기 레버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된 걸림부에 간섭하지 않는 대기 위치와 상기 걸림부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또한 탄성 가압 수단에 의해서 대기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된 스토퍼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걸림부에 간섭 가능한 구간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하는 스토퍼 체류 수단을 갖고, 상기 핸들을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가 상기 도어 본체에 입력되면, 이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탄성 가압 수단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간섭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핸들 또는 상기 레버와 걸어 맞춰지고, 상기 레버의 록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핸들을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를 받으면, 스토퍼 부재는 탄성 가압 수단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간섭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고, 간섭 위치에서 되튀어(rebound) 대기 위치로 다시 돌아온다. 그러나, 이러한 왕복 이동 중에 있어서 간섭 가능 구간에서는, 스토퍼 부재가 스토퍼 체류 수단에 의해서 종래보다 긴 시간을 들여 이동하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가 핸들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체류 수단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와, 상기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가 간섭 위치에서 부딪치는 상대측 회전 규제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부딪침면에 설치된 완충 부재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 부재가 간섭 위치까지 이동하면,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와 상대측 회전 규제부가 완충 부재를 통해 부딪치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의 되튐 스피드가 느려진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가 간섭 가능 구간에 장시간 머물기 때문에, 핸들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체류 수단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간섭 가능 구간에서 이동 저항이 되는 이동 저항부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 부재가 간섭 가능 구간에 들어가면 이동 저항을 받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의 이동 스피드가 느려진다. 따라서, 스토퍼 부재가 간섭 가능 구간에 장시간 머물기 때문에, 핸들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보다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저항부는, 상기 스토퍼 부재와 상기 도어 본체의 어느 한 쪽에 돌출 설치된 리브와,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가 간섭 가능 구간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리브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 저항부의 구성이 간단하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도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축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스토퍼 부재를 배치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체 측면으로부터의 충격 가속도가 입력된 경우뿐만 아니라 차체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충격 가속도가 입력된 경우에도, 확실히 스토퍼 부재가 작동한다
도 1은 종래예의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의 차내측에서 본 내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스토퍼 부재와 핸들의 걸림부의 주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스토퍼 부재와 핸들의 걸림부 의 주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스토퍼 부재와 핸들의 걸림부의 주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a)는 스토퍼 부재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평면도, (b)는 스토퍼 부재가 간섭 가능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의 차내측에서 본 요부 내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스토퍼 부재와 레버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스토퍼 부재와 레버가 모두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스토퍼 부재가 레버에 간섭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2~도 4에 있어서,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1)는, 도어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 도어 본체측 부재인 브래킷(2)과, 이 브래킷(2)의 지지부(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그립식의 핸들(3)과, 이 핸들(3)의 회전 조작에 연동하여 대기 위 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회전 변위되는 레버(4)와, 이 레버(4)에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된 도어록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브래킷(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 부재(5)와, 이 스토퍼 부재(5)를 대기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수단인 스프링(6)(도 3에 나타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부호 A는 충돌측의 가속도의 방향을 나타내고, 부호 B는 비충돌측의 가속도의 방향을 나타낸다.
핸들(3)은, 도어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외측에 거의 대부분이 노출되고 있고, 도 2의 a화살표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회전 조작된다. 핸들(3)의 회전 선단측에는, 차실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3a)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4)는, 브래킷(2)에 지지축(1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축(10)을 중심으로 대기 위치와 록 해제 위치 사이를 회전 변이한다. 록 해제 위치에서는 도어록 기구(도시하지 않음)의 록이 해제된다.
스토퍼 부재(5)는, 도 4에 자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지지축(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핸들(3)의 걸림부(3a)에 간섭하지 않는 대기 위치(도 4의 가상선 위치)와 걸림부(3a)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도 4의 실선 위치)의 사이를 이동한다. 여기서, 스토퍼 부재(5)는, 스토퍼 부재(5)의 선단의 회전 궤적과 핸들(3)의 걸림부(3a)의 선단의 이동 궤적이 교차하는 포인트를 경계로 하여, 교차 포인트로부터 대기 위치측인 구간이 비간섭 구간(E1)이 되고, 교차 포인트로부터 간섭 위치측인 구간이 간섭 가능 구간(E2)이 된다.
스토퍼 부재(5)에는 회전 규제부(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규제부(5a)의 회전 궤적 상에 위치하는 브래킷(2)의 위치에는, 상대측 회전 규제부(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대측 회전 규제부(2a)의 마주침면에는 스토퍼 체류 수단인 완충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5)가 간섭 위치까지 회전하면,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5a)가 완충 부재(12)를 통해 상대측 회전 규제부(2a)에 부딪치고, 스토퍼 부재(5)의 회전을 규제한다. 완충 부재(12)는, 충격 흡수성이 뛰어난 예를 들어 고무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핸들(3)을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A)가 도어 본체에 입력되면, 이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핸들(3)이 개방 위치 방향(a)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이것에 추종하여 레버(4)가 도어 해제 위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스토퍼 부재(5)가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간섭 위치 방향(b)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스토퍼 부재(5)는 핸들(3)보다도 빨리 간섭 가능 구간(E2)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5)가 간섭 위치까지 이동하면,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5a)와 상대측 회전 규제부(2a)가 완충 부재(12)에 부딪치고, 스토퍼 부재(5)의 이동에 의한 충격이 완충 부재(12)에 의해 흡수된다. 이 때문에, 스토퍼 부재(5)의 되튐 스피드가 느려진다. 이 되튐 스피드의 저하에 의해서, 스토퍼 부재(5)가 간섭 가능 구간(E2)에 장시간 머물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5)가 핸들(3)의 걸림부(3a)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핸들(3)의 개방 위치 방향(a)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측면 충돌 시 등의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도어 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핸들(3)을 도어 개방 위치로부터 도어 폐쇄 위치에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B)가 도어 본체에 입력되면, 이 방향의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는 일은 없다.
(제2 실시 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토퍼 부재와 핸들의 걸림부의 주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 형태의 스토퍼 체류 수단은, 브래킷(2)의 상대측 회전 규제부(2a)와 스토퍼 부재(5)의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5a)의 쌍방의 부딪침면에 설치된 완충 부재(12, 13)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 구성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명확화를 도모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스토퍼 부재(5)의 되튐 스피드가 느려지기 때문에, 측면 충돌 등의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 체류 수단은,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5a)의 부딪침면에만 설치된 완충 부재(13)로 구성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스토퍼 부재와 핸들의 걸림부의 주변의 요부 단면도, 도 7a는 스토퍼 부재가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7b는 스토퍼 부재가 간섭 가능 구간에 위치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3 실시 형태의 스토퍼 체류 수단은, 스토퍼 부재(5)에 설치된 이동 저항부인 리브(14)로 구성되어 있다. 리브(14)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5)가 비간섭 구간(E1)을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브래킷(2)에 간섭하지 않고,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5)가 간섭 가능 구간(E2)을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브래킷(2)의 측면에 설치된 슬라이딩면(2c) 상을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토퍼 부재(5)의 간섭 가능 구간(E2)에 있어서 이동 저항이 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 구성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명확화를 도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스토퍼 부재(5)가 간섭 가능 구간(E2)에 들어가면 이동 저항을 받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5)의 이동 스피드가 느려진다. 이 이동 스피드의 저하에 의해서, 스토퍼 부재(5)가 간섭 가능 구간(E2)에 장시간 머물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5)가 핸들(3)의 걸림부(3a)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핸들(3)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저항부는, 스토퍼 부재(5)의 리브(14)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동 저항부의 구성이 간단하다.
또한,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저항부는, 스토퍼 부재(5)에 설치된 리브(14)로 구성되어 있지만, 도어 본체측 부재인 브래킷(2)에 설치된 리브로 구성해도, 스토퍼 부재(5)와 브래킷(2)의 쌍방에 설치된 리브로 구성해도 된다. 또, 이동 저항부는, 리브 이외의 구조로 구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스토퍼 부재(5)와 슬라이딩면(2c) 사이에 그리스와 같은 점성이 높은 것을 도포하여, 스토퍼 부재(5)를 일시적으로 간섭 가능 구간(E2)에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8~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의 차내측에서 본 요부 내면도, 도 9는 스토퍼 부재와 레버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스토퍼 부재와 레버가 모두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스토퍼 부재가 레버에 간섭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도 11에 있어서, 제4 실시 형태의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20)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스토퍼 부재(5)의 회전 방향이 상이하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 지지축(11)이 차량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스토퍼 부재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부재(5)의 회전 지지축(11)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비교하여 90도 회전한 위치, 즉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스토퍼 부재(5)가 배치되고, 그 회전 중심과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이 차체 기울기 앞쪽으로부터의 충격 가속도의 방향에 대해서 충분한 각도를 갖는 방향이 되도 록 배치되어 있다.
또, 스토퍼 부재(5)는, 레버(4)의 걸림부(4a)에 간섭하지 않는 대기 위치와 걸림부(4a)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대기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 수단인 스프링(6)에 의해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즉,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부재(5)의 간섭 대상은, 핸들(3)의 걸림부(3a)는 아니고 레버(4)의 걸림부(4a)(도 10, 도 11에서는 명확화를 위해 해칭 표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5)는, 레버(4)의 록 해제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이것에 의해서, 핸들(3)의 도어 개방 위치측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의 동일 구성 개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10 상태로서, 핸들(3)을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A)가 도어 본체(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되면, 이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핸들(3)이 개방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추종하여 레버(4)가 도어 해제 위치 방향 c로 이동한다. 또,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스토퍼 부재(5)가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간섭 위치 방향(b)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스토퍼 부재(5)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4)보다도 빨리 간섭 가능 구간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스토퍼 부재(5)가 간섭 위치까지 이동하면,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5a)와 상대측 회전 규제부(2a)가 완충 부재(12)를 사이에 두고 부딪치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5)가 되튀는 스피드가 느려진다. 이 되 튀는 스피드의 저하에 의해서, 스토퍼 부재(5)가 간섭 가능 구간에 장시간 머물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5)가 레버(4)의 걸림부(4a)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핸들(3)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측면 충돌시 등의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부재(5)는, 그 회전 중심과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방향이 차체 기울기 앞쪽으로부터의 충격 가속도의 방향에 대해서 충분한 각도를 갖는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차체 측면에서의 충격 가속도가 입력된 경우뿐만 아니라 차체 기울기 앞쪽으로부터의 충격 가속도가 입력된 경우에도, 확실히 스토퍼 부재(5)가 작동한다. 따라서, 차체 기울기 앞쪽 충돌시 등의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도어가 열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토퍼 부재가 상기 걸림부에 간섭 가능한 구간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하는 스토퍼 체류 수단을 마련했기 때문에, 핸들을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를 받으면, 스토퍼 부재는 탄성 가압 수단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간섭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고, 간섭 가능 구간에서는, 스토퍼 부재가 긴 시간을 들여 이동하기 때문에, 스토퍼 부재가 핸들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로서,
    도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어 폐쇄 위치와 도어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의 조작에 연동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록 해제 위치로 회전하여 도어록 기구를 록 해제하는 레버와,
    상기 도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과 상기 레버의 어느 한 쪽에 설치된 걸림부에 간섭하지 않는 대기 위치와 상기 걸림부에 간섭하는 간섭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또한, 탄성 가압 수단에 의해서 대기 위치측으로 탄성 가압된 스토퍼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가 상기 걸림부에 간섭 가능한 구간 내에서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하는 스토퍼 체류 수단을 갖고,
    상기 스토퍼 체류 수단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와, 상기 스토퍼측 회전 규제부가 간섭 위치에서 부딪치는 상대측 회전 규제부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부딪침면에 설치된 완충 부재를 가지며,
    상기 핸들을 도어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충격 가속도가 상기 도어 본체에 입력되면, 이 충격 가속도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탄성 가압 수단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대기 위치로부터 간섭 위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핸들 또는 상기 레버와 걸어 맞춰지고, 상기 레버의 록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체류 수단은, 상기 스토퍼 부재의 간섭 가능 구간에서 이동 저항이 되는 이동 저항부이고,
    상기 이동 저항부는, 상기 스토퍼 부재와 상기 도어 본체의 어느 한 쪽에 돌출 설치된 리브와,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 부재가 간섭 가능 구간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리브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를 상기 도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축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스토퍼 부재를 배치한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KR1020087021758A 2006-02-28 2007-02-21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KR101050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3916 2006-02-28
JP2006053916A JP4717662B2 (ja) 2006-02-28 2006-02-28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PCT/JP2007/053174 WO2007105434A1 (ja) 2006-02-28 2007-02-21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062A KR20080105062A (ko) 2008-12-03
KR101050610B1 true KR101050610B1 (ko) 2011-07-19

Family

ID=3850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758A KR101050610B1 (ko) 2006-02-28 2007-02-21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26774A1 (ko)
EP (1) EP1995399B1 (ko)
JP (1) JP4717662B2 (ko)
KR (1) KR101050610B1 (ko)
CN (1) CN101389822B (ko)
WO (1) WO2007105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9659B2 (en) * 2004-08-05 2010-08-2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Door handle device
DE102008028391A1 (de) * 2008-06-13 2009-1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außengriff, insbesondere für Fahrzeuge
JP4990873B2 (ja) * 2008-12-03 2012-08-01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IT1398513B1 (it) * 2009-06-12 2013-03-01 Valeo Spa Maniglia di un battente di un autoveicolo
FR2949498B1 (fr) * 2009-08-26 2011-08-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ouvert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t ouvrant equipe d'un tel dispositif.
DE102010017230A1 (de) 2010-06-04 2011-12-0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Türgriff mit Crash-Sperre
JP5849460B2 (ja) * 2010-09-28 2016-01-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ドアアウタハンドル構造
CN102605992B (zh) * 2011-01-18 2014-09-1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门把手装置及车辆
CN102278002A (zh) * 2011-07-04 2011-12-14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车用门锁的拉手机构
ITMI20112367A1 (it) * 2011-12-22 2013-06-23 Valeo Spa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una maniglia di portiera di veicolo.
JP6015465B2 (ja) * 2012-02-02 2016-10-26 株式会社アンセイ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112774B2 (ja) * 2012-04-24 2017-04-12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ハンドル構造
US9394729B2 (en) * 2012-07-11 2016-07-19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electrically deployable latch connection
US9404292B2 (en) * 2012-07-11 2016-08-02 Huf North America Automotive Parts Mfg. Corp. Vehicular door handle assembly with deployable latch connection
CN103850548B (zh) * 2012-12-06 2016-05-1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门拉手开动装置
DE102012025448A1 (de) * 2012-12-21 2014-06-26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verschluss
JP2014190094A (ja) * 2013-03-27 2014-10-06 Teru Inc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US9593511B2 (en) * 2013-03-27 2017-03-14 Kiekert Ag Lock for a motor vehicle
KR101491312B1 (ko) * 2013-09-09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1481352B1 (ko) * 2013-12-19 2015-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US9156387B2 (en) * 2014-02-17 2015-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upling structure for pull-cup and armrest assembly
DE102014107861A1 (de) * 2014-06-04 2015-12-17 Illinois Tool Works Inc. Türgriff für ein Automob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ürgriffs
US20160246813A1 (en) * 2015-02-25 2016-08-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information life cycle
CN105019744B (zh) * 2015-07-29 2018-06-2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尾门外开拉手结构装置
KR101827147B1 (ko) 2016-09-12 2018-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CN107269139B (zh) * 2017-07-28 2019-09-24 吉利汽车研究院(宁波)有限公司 一种用于车门的手柄锁紧机构
CN108811407B (zh) * 2018-08-16 2023-08-29 浙江德塔森特数据技术有限公司 一款mini型智能设施柜
JP7050018B2 (ja) * 2019-02-04 2022-04-07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664A (ja) * 1996-06-28 1998-01-20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の自動ロッキング装置
JP2001012113A (ja) * 1999-05-07 2001-01-16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US20050161959A1 (en) * 2004-01-22 2005-07-28 Belchine Walter Iii Automobile door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2179A (en) * 1982-12-15 1984-11-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handle assembly
DE3825593C1 (en) * 1988-07-28 1989-11-23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Lock for doors or flaps of motor vehicles
DE4130847C2 (de) * 1991-09-17 1995-04-13 Daimler Benz Ag Verschlußkappe zum Verschließen eines Ablagefaches im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es
US5263750A (en) * 1992-10-01 1993-11-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together door handle and housing assembly for a vehicle
DE4418317C2 (de) * 1994-05-26 1998-06-10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Blockier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türverschluß
US5669642A (en) * 1996-06-05 1997-09-23 Hyundai Motor Company Outside door handle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automobiles
CN1087804C (zh) * 1998-12-28 2002-07-17 金进国 汽车车门把手
DE19901279B4 (de) * 1999-01-15 2012-01-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Crasphsperre an einem Türschloß oder Türgriff eines Fahrzeugs
DE19949119B4 (de) * 1999-01-20 2005-12-29 Valeo Gmbh & Co Schliesssysteme Kg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bewegbaren an einem Kraftfahrzeug angeordneten Teiles
US6575508B2 (en) * 2000-04-21 2003-06-10 Adac Plastics, Inc. Handle with unidirectional counterweight
JP3794291B2 (ja) * 2001-06-29 2006-07-05 スズキ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の組付け構造
JP4148718B2 (ja) * 2002-08-06 2008-09-10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ITMI20022250A1 (it) * 2002-10-23 2004-04-24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per portiere, sportelli o simili, in particolare
FR2869937B1 (fr) * 2004-05-05 2007-12-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ouverture d'un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a securite renforcee en cas de choc, et procede de montage du dispositif sur l'ouvrant
ITRM20040337A1 (it) * 2004-07-07 2004-10-07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Maniglia di portiera, in particolare di autoveicolo, con sistema di sicurezza inerziale.
DE102004037983B3 (de) * 2004-08-05 2006-01-1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von Schlössern an Türen oder Klappen von Fahrzeugen
US7152893B2 (en) * 2004-08-23 2006-12-26 Key Plastics, Llc Handle assembly with dual latch fea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664A (ja) * 1996-06-28 1998-01-20 Hyundai Motor Co Ltd 車両のドア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の自動ロッキング装置
JP2001012113A (ja) * 1999-05-07 2001-01-16 Valeo Sicurezza Abitacolo Sp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US20050161959A1 (en) * 2004-01-22 2005-07-28 Belchine Walter Iii Automobile door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062A (ko) 2008-12-03
EP1995399A4 (en) 2009-04-08
CN101389822A (zh) 2009-03-18
EP1995399A1 (en) 2008-11-26
CN101389822B (zh) 2012-05-23
JP4717662B2 (ja) 2011-07-06
JP2007231590A (ja) 2007-09-13
WO2007105434A1 (ja) 2007-09-20
EP1995399B1 (en) 2017-01-04
US20090026774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610B1 (ko) 자동차용 도어 핸들 장치
US8727399B2 (en) Device for prevention of door opening during roll-over
KR101154299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시스템
US10337214B2 (en) Activ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US9534424B2 (en) Actu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door lock
US10829963B2 (en) Actu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KR100893442B1 (ko) 오픈 방지 구조를 갖는 차량용 트레이
US20150211265A1 (en) Hood latch assembly
JP2005036608A (ja) 自動車の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US10975598B2 (en) Locking system equipped with a handle and with a remotely situated inertial system
US9765552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WO2009123802A1 (en) Delay apparatus for opening of vehicle door
CN109415912B (zh) 用于机动车的锁闭装置
US11041329B2 (en) Clos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hood
KR101209680B1 (ko) 백업레버를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
CN111989449B (zh) 用于机动车的锁装置
US20190093398A1 (en) Door handle device for a door of a motor vehicle, door, and motor vehicle
KR100887852B1 (ko) 도어 열림 방지장치
JP2006207347A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2371595B1 (ko) 차량용 후드 래치 장치
US10731386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KR20130051828A (ko) 차량용 후드 익스텐션 장치
KR100387882B1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구조
KR20020047804A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