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235B1 -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235B1
KR101050235B1 KR1020090052171A KR20090052171A KR101050235B1 KR 101050235 B1 KR101050235 B1 KR 101050235B1 KR 1020090052171 A KR1020090052171 A KR 1020090052171A KR 20090052171 A KR20090052171 A KR 20090052171A KR 101050235 B1 KR101050235 B1 KR 101050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pattern
coloring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563A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김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만 filed Critical 김진만
Priority to KR102009005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23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원단의 바탕칼라가 검정색이라도 비검정색 칼라입체문양을 원단에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이 개시된다.
원단, 검정, 착색롤러, 가압롤러, 프레스

Description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FORMING METHOD OF COLAR PATTERN ON FABLICS}
본 발명은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의 바탕칼라가 검정색이라도 비검정색 칼라입체문양을 원단에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원단에 꽃, 동물 또는 각종 문자등을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한 입체 문양을 형성하여 입체적 문양으로 인한 미적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상품의 부가가치를 중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직물의 입체 문양 형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례로, 국내특허 591858호에서는 "요철이 형성된 성형판이 하면에 부착되며, 발열핀에 의해 150도 내지 250도로 가열된 가압금형과 상면에 쿠션패드가 부착된 고정금형 사이로 원단과 칼라전사지를 스텝이동시키면서 가압금형을 고정금형에 가압하여, 상기 성형판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원단에 입체문양이 형성됨과 동시에 칼라전사지에서 색체가 입체문양에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기술에 의하면, 직물원단과 칼라전사지를 상기 가압금형과 고정금형 사이로 스템이동시키면서 가압금형을 고정금형상으로 가압하면 입체문양이 형성됨과 동시에 칼라전사지의 색체가 입체문양에 전사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전사방식이라는 한계로 인해 칼라문양이 선명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색상이 짖고 강한 검정색 원단에는 적색이나 황색과 같은 색체를 전사하더라도 검정색에 묻혀서 적색이나 황색전사가 발현되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원단의 바탕칼라가 검정색이라도 비검정색 칼라입체문양을 원단에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패턴으로 음각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와, 상기 착색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지지롤러 사이로 원단이 이송되면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한 패턴으로 착색액을 도포시킨 다음;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동일한 패턴의 요입홈이 형성된 요입판이 저면에 부착되고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 가압금형과,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으로 돌출되며 상기 요입판의 요입홈에 치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돌기판이 상면에 부착되며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 고정금형 사이로 상기 착색액이 도포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가압금형을 고정금형측으로 가압하여, 원단상에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가압금형의 요입홈과 고정금형의 돌기의 치합에 의해 돌출되면서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소정패턴으로 음각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와, 상기 착색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지지롤러 사이로 원단이 이송되면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한 패턴으로 착색액을 도포시킨 다음; 건조기로 원단상에 도포된 착색액을 건조하고 나서;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판이 저면에 부착되며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 가압금형과, 상면에는 쿠션패드가 부착되며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 고정금형 사이로 착색액이 도포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가압금형을 고정금형측으로 가압하여,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되게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가압금형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쿠션패드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원단상에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외면에는 쿠션패드가 부착되며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되 소정패턴으로 음각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와, 상기 착색롤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되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가 돌출되며 소정온도로 가열된 가압롤러로 구성된 장치에 대해, 원단이 상기 지지롤러와 착색롤러 사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색롤러에 의해 원단상에는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의 착색액이 도포되고, 이 후 건조기에 의해 착색액이 건조된 다음, 지지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되게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가압롤러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쿠션패드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원단상에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은 원단의 바탕칼라가 검정색이라도 비검정색 칼라입체문양을 원단에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첨부된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칼라입체문양이 형성된 원단의 촬영사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은 먼저 원단상에 소정 색체의 착색액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제척으로 원단(F)은 착색롤러(110)와 상기 착색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지지롤러(120)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착색롤러(110)에는 소정패턴으로 음각(111)이 요입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각(111) 패턴은 원단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칼라 및 입체 문양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꽃, 동물 또는 각종 문자등을 표현할 수 있는 패턴으로 음각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착색롤러의 하단에는 착색액이 저장되어 있는 착색조(130)가 배치되어 있으며 착색롤러의 외주면에는 나이프(131)가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착색롤러(110)가 회전하면 착색롤러의 음각(111)에는 착색액이 투입되며 나이프(132)에 의해 착색롤러의 외주면에 묻은 착색액은 제거되게 된다. 이와 같이 원단이 착색롤러(110)와 지지롤러(120)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원단(F)상에는 착색롤러의 음각(111) 패턴에 대응되는 패턴으로 착색액이 도포되게 된다.
이 후, 착색액이 도포된 원단은 프레스기(140)를 통과하면서 입체문양이 형성되는 단계를 거치는 데, 상기 입체문양은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A)만이 입체적으로 돌출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스기(140)는 요입판(151)이 저면에 부착된 가압금형(150)을 포함한다. 상기 요입판(151)에는 상기 착색롤러(110)의 음각(111) 패턴과 동일한 패턴의 요입홈(1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금형(150)은 미도시된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도 내지 250도 정도로 가열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기(140)는 돌기판(161)이 상면에 부착된 고정금형(160)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판(161)에는 상기 착색롤러(110)의 음각(111)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으로 돌기(162)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162)는 상기 요입판(151)의 요입홈(15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치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금형(160)은 미도시된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도 내지 250도 정도로 가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스기 사이로 원단(F)이 통과하면 가압금형(150)이 하강하여 고정금형(160)을 가압하면서 가압금형(150)의 요입홈(152)으로 고정금형(160)의 돌기(162)가 삽입되어 서로 치합되게 된다. 그리고 이 때 프레스기 사이로 통과하는 원단 역시 가압금형의 요입홈(152)과 고정금형의 돌기(162)의 치합에 의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합부분이 돌출되면서,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A)에 입체문양이 형성되며, 고온의 가압금형(150)과 고정금형(160)의 가압력에 의해 착색액과 입체문양이 원단상에서 고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원단상에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정밀하게 프레스기에 의해 입체문양이 형성될 수 있도록 원단은 이송과 정지가 반복되는 스텝이송하게 된다. 즉, 원단(F)이 이송될 때에는 착색롤러(110)와 지지롤러(120)가 회전하여 원단상에 소정패턴으로 착색액이 도포되면서 일정거리 이송되며 이 때 프레스기는 구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원단(F)이 일정거리 이송되면 원단의 이송은 정지하여 원단상에는 착색액이 도포되지 않은 대신 프레스기가 구동하여 정지상태에 있는 원단을 가압금형(110)이 고정금형(120)측으로 가압하여 입체문양을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원단상에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그대로 프레스기에 의해 입체문양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이송도중에 원단이 접혀지거나 너무 잡아당겨 긴장되지 않도 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같은 롤러의 회전/정지과 프레스기의 구동/정지는 프로그램에 의해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상기 가압금형의 요입홈(152)과 이에 치합되는 고정금형의 돌기(162)는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3에 촬영된 사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색롤러에 의해 원단상에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만이 돌출되는 입체문양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은 종래와 같이 전사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착색액을 직접 도포시킨 다음 그 도포된 부분을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입체문양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단의 바탕칼라가 검정색이라도 비검정색 칼라입체문양을 원단에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금형의 요입홈(152)의 깊이보다 고정금형의 돌기(152)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요입홈의 깊이와 고정금형의 돌기의 길이가 동일한 경우 요입홈과 돌기의 치합시 요입홈의 내면에 원단에 도포된 착색액이 묻는 현상이 발생하여 후속되는 원단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고정금형의 돌기(162)의 길이가 상기 가압금형의 요입홈(152)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가압금형에는 요입판이 형성되고 고정금형에는 돌기판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대신 가압금형에는 돌기판이 형성되고 고정금형에는 요입판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제2실시예]
첨부된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칼라입체문양이 형성된 원단의 촬영사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은 소정패턴으로 음각(211)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210)와, 상기 착색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지지롤러(220) 사이로 원단이 이송되면서 원단(F)상에 착색롤러(110)의 음각(111) 패턴에 대응한 패턴으로 착색액을 도포시킨 다음; 건조기(270)로 원단상에 도포된 착색액을 건조하고 나서; 상기 착색롤러(210)의 음각(211)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돌기(252)가 형성된 돌기판(251)이 저면에 부착되며 소정온도로 가열된 가압금형(250)과, 상면에는 쿠션패드(261)가 부착되며 소정온도로 가열된 고정금형(260) 사이로 착색액이 도포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가압금형(250)을 고정금형(270)측으로 가압하여,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111) 패턴에 대응되게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A)이 가압금형의 돌기(252)에 의해 가압되면서 쿠션패드(261)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원단상에 입체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와 같이 도4에 도시된 것 처럼 소정패턴으로 음각(211)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210)와, 상기 착색롤러(210)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지지롤러(220) 사이로 원단이 이송되면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111) 패턴에 대응한 패턴으로 착색액을 도포한다.
이 후, 건조기(270)로 원단상에 도포된 착색액을 건조하여 착색액을 원단에 고착시킨다.
다음에는,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211)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돌기(252)가 형성된 돌기판(251)이 저면에 부착되며 미도시된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 바람직하게는 100도 내지 250도로 가열된 가압금형(250)과, 상면에는 쿠션패드(261)가 부착되며 미도시된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 바람직하게는 100도 내지 120도로 가열된 고정금형(260)으로 구성된 프레스기(240)로 원단이 통과한다.
상기와 같이 원단이 프레스기(240)로 통과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금형(250)이 하강하여 고정금형(260)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가압금형의 돌기(252)가 원단을 가압하면서 쿠션패드(261)측으로 하강하면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211) 패턴에 대응되게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A)이 가압금형의 돌기(252)에 의해 가압되면서 쿠션패드(261)의 내부로 인입되어 원단(F)상에 입체문양이 형성되며, 고온의 가압금형과 고정금형의 가압력에 의해 착색액과 입체문양이 원단상에서 고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원단이 도6에 촬영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착색액을 원단에 도포한 후 건조기(270)에 의한 건조과정을 거치는 데, 이는 건조하지 않으면 가압금형의 돌기(252)가 원단에 도포된 착색액 부분을 가압할 경우 돌기면에 착색액이 묻어 추후 원단을 오염시킬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금형의 가압전에 미리 원단에 도포된 착색액을 건조하여 고착하는 것이다.
또한,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은 정지와 이송이 반복되는 스텝이송되면서 원단이 이송될 때에는 착색롤러(210)와 지지롤러(220)가 회전하여 원단상에 소정패턴으로 착색액이 도포되고, 원단이 정지될 때에는 가압금형(250)이 구동되게 하여 입체문양을 형성하게 된다.
즉, 원단이 이송될 때에는 착색롤러(210)와 지지롤러(220)가 회전하여 원단상에 소정패턴으로 착색액이 도포되면서 일정거리 이송되며 이 때 프레스기(240)는 구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원단이 일정거리 이송되면 원단은 이송이 정지되어 원단상에는 착색액이 도포되지 않은 대신 프레스기(240)가 구동하여 정지상태에 있는 원단을 가압금형이 고정금형측으로 가압하여 입체문양을 형성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역시 종래와 같이 전사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착색액을 직접 도포시킨 다음 그 도포된 부분을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입체문양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단의 바탕칼라가 검정색이라도 비검정색 칼라입체문양을 원단에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가압금형의 가압돌기가 원단을 쿠션패드 내부로 인입하여 입체문양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단상에서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바탕부분에 비해 함돌되는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잇점이 있다.
[제3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은 이전 실시예와 같이 프레스기를 통해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가압롤러를 통해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데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입체 문양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은 외면에는 쿠션패드(311)가 부착되며 소정온도로 가열되는 지지롤러(310)와, 상기 지지롤러(310)와 밀착하여 회전하되 소정패턴으로 음각(321)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320)와, 상기 착색롤러(3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롤러(310)와 밀착하여 회전하되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321)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돌기(341)가 돌출되며 소정온도로 가열된 가압롤러(340)로 구성된 장치를 통해 구현된다.
상기 지지롤러(310)는 외면에는 쿠션패드(311)가 부착되고 바람직하게 100도 내지 250도 정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롤러(310)에는 착색롤러(320)와 가압롤러(340)가 서로 이격되어 밀착회전된다. 즉, 상기 지지롤러(310)는 착색롤러(320)와 가압롤러(340)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일점에서 착색롤러(320)와 밀착회전하고 타점에서 가압롤러(340)와 밀착회전한다.
상기 착색롤러(320)에는 소정패턴으로 음각(311)이 요입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착색액이 저장되어 있는 착색조(330)가 배치되어 있으며 착색롤러의 외주면에는 나이프(340)가 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340)에는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321) 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돌기(341)가 돌출되며 소정온도, 바람직하게 100도 내지 250도 정도로 가열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롤러의 돌기(341)는 착색롤러의 의해 원단상에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에 대해, 원단(F)은 지지롤러(310)와 착색롤러(320) 사이와, 지지롤러(310)와 가압롤러(340)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데, 원단이 상기 지지롤러(310)와 착색롤러(320) 사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색롤러(320)에 의해 원단상에는 착색롤러의 음각(321)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의 착색액이 도포되며, 지지롤러(310)와 가압롤러(340) 사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311) 패턴에 대응되게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가압롤러의 돌기(341)에 의해 가압되면서 쿠션패드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원단상에 입체문양이 형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롤러와 착색롤러 사이를 통과한 원단(F)은 건조기(350)에 의해 착색액이 건조되어 착색액이 고착된 상태로 가압롤러(340)에 의해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롤러의 돌기면에 착색액이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은 전사방식을 채택하지 않고 착색액을 직접 도포시킨 다음 그 도포된 부분을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입체문양을 형성하기 때문에, 원단의 바탕칼라가 검정색이라도 비검정색 칼라입체문양을 원단에 선명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으며, 프레스기를 사용하지 않고 가압롤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이하고 간단하게 입체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칼라입체문양이 형성된 원단의 촬영사진이며,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칼라입체문양이 형성된 원단의 촬영사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입체문양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Claims (6)

  1. 소정패턴으로 음각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와, 상기 착색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지지롤러 사이로 원단이 이송되면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한 패턴으로 착색액을 도포시킨 다음;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동일한 패턴의 요입홈이 형성된 요입판이 저면에 부착되고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 가압금형과,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으로 돌출되며 상기 요입판의 요입홈에 치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돌기판이 상면에 부착되며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 고정금형 사이로 상기 착색액이 도포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가압금형을 고정금형측으로 가압하여, 원단상에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가압금형의 요입홈과 고정금형의 돌기의 치합에 의해 돌출되면서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이송과 정지가 반복되는 스텝이송하면서, 원단이 이송될 때에는 착색롤러와 지지롤러가 회전하여 원단상에 소정패턴으로 착색액이 도포되고, 원단이 정지될 때에는 가압금형이 구동되게 하여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금형의 요입홈의 깊이보다 고정금형의 돌기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상기 요입홈 내면에 착색액이 묻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4. 소정패턴으로 음각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와, 상기 착색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는 지지롤러 사이로 원단이 이송되면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한 패턴으로 착색액을 도포시킨 다음;
    건조기로 원단상에 도포된 착색액을 건조하고 나서;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돌기가 형성된 돌기판이 저면에 부착되며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 가압금형과, 상면에는 쿠션패드가 부착되며 발열핀에 의해 소정온도로 가열된 고정금형 사이로 착색액이 도포된 원단을 이송시키면서 가압금형을 고정금형측으로 가압하여,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되게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가압금형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쿠션패드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원단상에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정지와 이송이 반복되는 스텝이송되면서 원단이 이송될 때에는 착색롤러와 지지롤러가 회전하여 원단상에 소정패턴으로 착색액이 도포되고, 원단이 정지될 때에는 가압금형이 구동되게 하여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6. 외면에는 쿠션패드가 부착되며 소정온도로 가열되는 지지롤러와, 상기 지지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되 소정패턴으로 음각이 요입형성된 착색롤러와, 상기 착색롤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롤러와 밀착하여 회전하되 상기 착색롤러의 음각패턴과 대응되는 패턴의 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소정온도로 가열된 가압롤러로 구성된 장치에 대해,
    원단이 상기 지지롤러와 착색롤러 사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착색롤러에 의해 원단상에는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의 착색액이 도포되고, 이 후 건조기에 의해 착색액이 건조된 다음, 지지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원단상에 착색롤러의 음각패턴에 대응되게 착색액이 도포된 부분이 가압롤러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면서 쿠션패드의 내부로 인입되게 하여 원단상에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KR1020090052171A 2009-06-12 2009-06-12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KR101050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71A KR101050235B1 (ko) 2009-06-12 2009-06-12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71A KR101050235B1 (ko) 2009-06-12 2009-06-12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63A KR20100133563A (ko) 2010-12-22
KR101050235B1 true KR101050235B1 (ko) 2011-07-19

Family

ID=4350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171A KR101050235B1 (ko) 2009-06-12 2009-06-12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2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700B1 (ko) 2014-04-09 2015-01-28 이은재 의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14757B1 (ko) 2014-02-28 2016-04-22 박장원 입체 인쇄면을 가지는 제품의 제조방법
KR101768023B1 (ko) 2016-02-25 2017-08-30 최남숙 컬러 엠보 원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170B1 (ko) * 2018-12-26 2020-05-29 이용근 폴리에스테르 흡음보드 표면 전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379B1 (ko) * 1995-07-05 1998-07-15 최낙종 의류의 칼라 엠보싱 성형방법
KR200388051Y1 (ko) 2005-03-24 2005-06-28 이전우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KR20050063279A (ko) * 2003-12-22 2005-06-28 손상 직물의 코팅가공방법 및 장치
KR20080071843A (ko) * 2007-01-31 2008-08-05 이병수 발염방법에 의한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4379B1 (ko) * 1995-07-05 1998-07-15 최낙종 의류의 칼라 엠보싱 성형방법
KR20050063279A (ko) * 2003-12-22 2005-06-28 손상 직물의 코팅가공방법 및 장치
KR200388051Y1 (ko) 2005-03-24 2005-06-28 이전우 원단 다기능 복합 후가공기
KR20080071843A (ko) * 2007-01-31 2008-08-05 이병수 발염방법에 의한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757B1 (ko) 2014-02-28 2016-04-22 박장원 입체 인쇄면을 가지는 제품의 제조방법
KR101486700B1 (ko) 2014-04-09 2015-01-28 이은재 의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68023B1 (ko) 2016-02-25 2017-08-30 최남숙 컬러 엠보 원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63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235B1 (ko) 원단상에 칼라입체문양 형성방법
JP4916516B2 (ja) 加飾容器の製造方法
EP0495111A1 (en) Device and method of transfer printing
CN101602243A (zh) 注射成型系统及注射成型方法
JP5115879B2 (ja) 三次元立体効果を有する印刷物の製造方法
KR101507067B1 (ko) 이형지가 없는 라벨 스티커 제조장치
CN101642978A (zh) 一种直接在承印材料上获得全息图案的装置和方法以及印刷机
KR101395449B1 (ko) 장식 박막이 전체적으로 전이된 미용재료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미용재료 원단을 이용한 미용 스티커
CN104691100A (zh) 用于成型微结构的装置和方法
KR101527375B1 (ko) 장식문양을 갖는 인조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제품
US6556274B2 (en) Process for full-automatic and synchronous quick thermoprinting of stereoscopic color film and apparatus adopting the process
KR101573630B1 (ko)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1922236B1 (ko) 칼라 주름원단 제조방법
KR101392434B1 (ko) 주름원단 제조방법
JP4605611B2 (ja) 樹脂成形品の加飾方法
KR101867317B1 (ko) 평탄 발포면을 형성하는 발포 날염 방법
JP4708140B2 (ja) エンボス加工用離型紙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DE60114226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zum anbringen von abziebildern
AU20042054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manently deforming a flexible film material with controlled creases
GB2513858A (en) Hot stamping methods
KR20150027539A (ko) 꽃 포장용 부직포 및 그 부직포 제조방법
KR100812294B1 (ko) 시트상 재료의 천공 또는 엠보싱 장치
CN212943732U (zh) 一种涂布模压机
KR20150106539A (ko) 투명 플라스틱 소재의 성형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78908B1 (ko) 직물 엠보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