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630B1 -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630B1
KR101573630B1 KR1020140126569A KR20140126569A KR101573630B1 KR 101573630 B1 KR101573630 B1 KR 101573630B1 KR 1020140126569 A KR1020140126569 A KR 1020140126569A KR 20140126569 A KR20140126569 A KR 20140126569A KR 101573630 B1 KR101573630 B1 KR 101573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int
base sheet
adhesive
leath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Original Assignee
김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숙 filed Critical 김미숙
Priority to KR102014012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44Mechanical treatment of leather surfaces
    • C14B1/56Ornamenting, producing designs, 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leath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3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leather sk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죽의 표면을 도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죽 원단에 형성될 패턴을 미리 시트 형의 기재에 형성하고, 이 기재를 매개체로 가죽 원단에 도료를 접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도색을 연속된 공정으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죽 원단 도색 장치는 베이스 시트에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기; 베이스 시트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이형층 형성기;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이형층 상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료층을 형성하는 도료 도포기; 상기 도료층 상에 발포제를 도포하여 발포제를 형성하는 발포제 도포기; 상기 베이스 시트의 발포층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 도포기; 및 상기 베이스 시트와 가죽 원단을 겹쳐진 상태로 가압하여 상기 도료층이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시트 원단 합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AINTING LEATHER HAVIING HYBRID PAINTING TYPE}
본 발명은 가죽 원단의 표면을 도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죽 원단에 형성될 패턴을 미리 시트 형의 기재에 형성하고, 이 기재를 매개체로 가죽 원단의 일면에 도료층을 접합하여 도색하되 도료층 상부에 발포층을 배치함으로써, 가죽 원단의 표면에 있는 결이 메워지면서 고품질의 도색이 연속된 공정으로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가죽 원단의 도료층의 표면에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죽은 독특하고 고급스러운 질감으로 인해 의복, 신발 및 가방 등 다양한 상품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죽은 크게 바깥쪽 부분인 표피층(Full Grain Leather)과 안쪽 부분인 진피층(Split Leather)으로 나누어지며, 진피층은 다시 2~3겹으로 나누어 상품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가죽의 표피층은 염색만 하면 상품화가 가능한 반면, 진피층은 그 표면에 폴리우레탄 수지(poly urethane resin)와 같은 커버재를 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가죽 제품에 색감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염료를 제품에 흡수시키는 염색과 도료를 표면에 입히는 도색이 있다.
이때, 가죽의 진피층의 경우 커버재 등의 영향으로 염색만으로는 가죽 고유의 질감이 제대로 나지 않고, 습기에 매우 취약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염색 보다는 도색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가죽 원단을 도색 하는 방식은 연속 공정을 적용하기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고 정밀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죽 원단의 표면에는 가죽 재질의 특성상 다수의 결이 있는데, 종래의 도색 방법은 가죽 원단 표면에 도료를 입히는 과정에서 결이 형성된 부분에는 도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색이 완료된 가죽 원단의 표면에 요철 형태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가죽 원단 재질의 특성상 설계대로 정밀하고 정확하게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19633호(2008.03.28)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1387호(2008.06.1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죽 원단의 표면에 용이하게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연속된 공정을 통해 신속하고 정밀한 도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죽 원단 표면에 있는 결이 메워지면서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베이스 시트에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기; 상기 베이스 시트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이형층 형성기; 상기 이형층 상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료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료 도포기; 상기 도료층 상에 발포제를 도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발포제 도포기; 상기 발포층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 도포기; 및 상기 접착층과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가죽 원단을 가압하여, 상기 도료층 및 상기 발포층이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시트 원단 합지기; 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층의 탄력에 의해 상기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있는 결이 메워지면서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패턴 형성기는, 상기 베이스 시트가 권취된 베이스 시트 공급롤; 및 상기 베이스 시트가 통과되면서 상하로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소정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며, 마주보는 적어도 일면에 요철 형태의 성형돌기가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도료 도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포된 도료를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도료 건조기; 상기 발포제 도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포된 발포제를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발포제 건조기; 및 상기 접착제 도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포된 접착제를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접착제 건조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 건조기의 건조 온도는 상기 도료 건조기 및 상기 발포제 건조기의 건조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소정 색상 또는 로고가 프린팅된 수지 필름의 베이스 시트를 상기 가죽 원단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도색이 완료된 면 또는 도색의 반대 면에 프린트시키기 위한 프린트 합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도료층이 상기 가죽 원단에 접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시트를 분리하는 시트 원단 박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형층 형성기는, 상기 베이스 시트가 권취된 베이스 시트 공급롤; 이형재 시트가 권취된 이형재 시트 공급롤; 및 공급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이형재 시트를 겹쳐진 상태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접합 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시트가 권취된 베이스 시트 공급롤;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시키는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의 상부를 지나는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액상의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공급기; 및 상기 이형제 공급기의 후단에 상기 지지롤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도포되는 액상의 이형제를 분산시켜 이형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나이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도료 도포기는,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이형층의 상부에 액상의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기; 및 상기 도료 공급기의 후단에 상기 지지롤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형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도료를 분산시켜 도료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나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 공급기는 상기 지지롤러의 최상단이 위치하는 지점 보다 후단 측에 도료 공급 영역이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포제 도포기는, 이송되는 베이스 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도료층의 상부에 액상의 발포제를 공급하는 발포제 공급기; 및 상기 발포제 공급기의 후단에 상기 지지롤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료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발포제를 분산시켜 발포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나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제 공급기는 상기 지지롤러의 최상단이 위치하는 지점 보다 후단 측에 발포제 공급 영역이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포제 도포기는, 상기 도료층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발포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발포제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접착제 도포기는, 이송되는 베이스 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발포층의 상부에 액상의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기; 및 상기 접착제 공급기의 후단에 상기 지지롤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발포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접착제를 분산시켜 접착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나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 공급기는 상기 지지롤러의 최상단이 위치하는 지점 보다 후단 측에 접착제 공급 영역이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패턴 형성기로 베이스 시트를 가압하여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시트에 이형재 시트를 부착하거나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층 상에 적어도 1회 이상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료층 상에 발포제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포층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반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과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가죽 원단을 가압하여, 상기 도료층 및 상기 발포층이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접합되도록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도료층이 상기 가죽 원단에 접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시트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층은 상기 발포층의 탄력에 의해 상기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있는 결을 메우면서 접합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시트를 상기 가죽 원단과 분리한 후 상기 도료층의 외면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이 완료된 가죽 원단에 패턴 형성기를 이용하여 패턴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전에 종이나 합성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시트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여 별도의 후 작업 없이도 가죽 원단의 도색 면에 이와 동일한 패턴이 정밀하고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 및 공정 단축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시트에 도료, 발포제 및 접착제를 도포하여 적층하고 이를 가죽 원단 표면에 접합하여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베이스 시트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연속된 공정을 통해 신속하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며, 발포층의 탄력에 의해 도료층이 가죽 원단에 접합시 보다 밀착되도록 하여 가죽 원단 표면에 있는 결을 메우며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죽 원단 도색 장치를 공정 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죽 원단 도색 장치에서 이형층 형성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제2 도료 도포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죽 원단 도색 장치에서 발포제 도포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죽 원단 도색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죽 원단 도색 장치에서 패턴 성형기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죽 원단 도색 방법을 공정 순서에 따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죽 원단 도색 장치를 공정 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가죽 원단 도색 장치는, 패턴 형성기(230), 이형층 형성기(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료 도포기(120, 140), 발포제 도포기(160), 접착제 도포기(180) 및 시트 원단 합지기(200)를 포함한다.
이때, 도료 도포기(120, 140), 발포제 도포기(160), 접착제 도포기(180) 및 시트 원단 합지기(200)는 베이스 시트(1)를 이송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각각의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나의 이송 라인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패턴 형성기(230)는 가죽 원단(10)에 엠보싱(embossing) 형태로 된 입체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패턴 형성기(230)는 베이스 시트(1)가 권취된 베이스 시트 공급롤(234), 베이스 시트(1)가 통과하면서 상하로 가압되어 각종 문양의 소정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및 하부 금형(231, 233), 및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시트(1)를 예컨대 롤 형태로 궈취하여 다음 공정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회수롤(235)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예컨대 패턴이 형성된 베이스 시트(1)를 회수롤(235)에 권취하지 않고 곧바로 이형층 형성기(110) 또는 도료 도포기(160)에 공급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금형(231)의 하면에 요철 형태의 성형돌기(232)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하부 금형(233)의 상면에 요철 형태의 성형돌기를 구비하고 상부 금형(231)의 하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하거나, 상부 금형(231)과 하부 금형(233) 둘 다에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이루어진 성형돌기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금형(233)은 길이 방향으로 양 단부에 상부 금형(231) 하강시 베이스 시트(1)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금형(231) 또는 하부 금형(233) 중 적어도 하나에는 히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형층 형성기(110)는 베이스 시트(1)의 일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형층은 후 공정에서 베이스 시트(1)에 도포된 도층이 깨끗하게 탈리되어 가죽 원단(10)에 점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형층 형성기(110)는 예컨대 이형재 시트 부착 방식 또는 이형제 도포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형재 형성기(110)에 적용되는 이형재 시트는 예를 들어 종이 또는 필름의 일 면에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것일 수 있으며, 이형제는 예컨대 실리콘, 스테어린산염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형재 시트 부착 방식의 이형층 형성기(110)는 베이스 시트 공급롤(111), 이형재 시트 공급롤(112) 및 한 쌍의 접합 롤러(113)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이형층 형성기(110)는 베이스 시트 공급롤(111)에 권취된 베이스 시트(1)와 이형 시트 공급롤(112)에 권취된 이형재 시트(2)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한 쌍의 접합 롤러(113) 사이를 통과하면서 베이스 시트(1)의 일 면에 이형재 시트(2)를 가압하여 접합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이형층 형성기(110)는 이형재 시트(2)가 접합된 베이스 시트(1)를 귄취하여 다음 공정에 공급할 수 있도록 회수롤(114)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예컨대 이형층을 형성한 베이스 시트(1)를 회수롤(114)에 권취하지 않고 곧바로 1차 도료 도포기(120)에 공급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죽 원단 도색 장치에서 이형층 형성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형제 도포 방식의 이형층 형성기(110')는 베이스 시트(1)가 권취된 베이스 시트 공급롤(111)과, 베이스 시트 공급롤(111)로부터 공급되는 베이스 시트(1)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시키는 지지롤러(115) 및 이 지지롤러(115)의 상부를 지나는 베이스 시트(1)의 도색 대상 면에 액상의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공급기(116)를 포함한다. 이때, 이형제 공급기(116)는 예컨대 이형제(3)를 베이스 시트(1)의 도색 대상 면에 흘려 공급하는 토출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형제 공급기(116)의 후단에는 나이프(117)가 설치될 수 있다. 나이프(117)는 하단이 지지롤러(115)에 저면이 지지되어 이송되는 베이스 시트(1)와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이형제의 통과 두께를 일정하게 제한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베이스 시트(1) 상에 도포되는 이형제를 고르게 분산시켜 이형층의 두께를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나이프(117)는 예컨대 상하로 긴 단면을 갖는 띠 형태의 칼나이프 또는 원형 단면을 갖는 막대 형태의 봉나이프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형층 형성기는 전술한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나이프가 필요 없도록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베이스 시트의 표면에 직접 이형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료 도포기(120, 140)는 베이스 시트(1)의 외부 면에 액상의 도료를 공급하여 넓게 분산 도포하는 것으로, 하나의 도료 도포기로 구성되거나, 도 1에 예시된 경우와 같이 두 개의 도료 도포기(120, 14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베이스 시트(1) 상에 복수의 도료층을 적층 구조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전단에 설치된 것을 제1 도료 도포기(120)로, 후단에 설치된 것을 제2 도료 도포기(140)로 구분하여 칭하기로 한다.
이때, 제1 도료 도포기(120)와 제2 도료 도포기(14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질 수 있으나, 필요시 원하는 도색 형태에 따라 다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색 장치에서 도료 도포기의 일 예로서 제2 도료 도포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도료 도포기(120) 및 제2 도료 도포기(140)는 각각 공급롤(124) 또는 전공정에서 공급되는 베이스 시트(1)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시키는 지지롤러(121, 141), 액상의 도료(4, 5)를 이송되는 베이스 시트(1)의 이형층의 상부에서 흘려 공급하는 토출기 구조의 도료 공급기(122, 142) 및 도료 공급기(122, 142)의 후단에 설치되는 나이프(123, 143)를 포함한다.
나이프(123, 143)는 이형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도료(4, 5)를 넓고 고르게 분산시켜 도료층의 두께를 적정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도료 도포기(120)에 적용되는 나이프(123)는 상대적으로 얇은 도료층을 형성하거나 부분적인 도료층 형성에 유리한 예컨대 칼나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도료 도포기(140)에 적용되는 나이프(143)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도료층을 형성하거나 평탄하고 균일한 도료층 형성에 유리한 예컨대 봉나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또는 제2 도료 도포기(120, 140)에 적용되는 액상의 도료는 공지된 모든 칼라(형광 칼라 포함) 제품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검정색, 흰색, 적색, 오렌쥐색, 청색, 황색, 녹색, 보라색 등의 칼라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적어도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도료 도포기(120) 및 제 2도료 도포기(140)의 지지롤러(121, 141)는 베이스 시트(1)의 상부에 공급된 액상의 도료의 잔류 및 균일한 도포에 유리하도록 가급적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도료 공급기(122, 142) 및 나이프(123, 143)는 공급된 도료(4, 5)가 전단 방향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지지롤러(121, 141)의 후단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제2 도료 도포기(140)를 예로 설명하면, 지지롤러(141)의 최상단이 위치되는 지점(H) 보다 후단 측에 공급된 도료가 잔류하는 영역(a)가 형성되도록 지지롤러(141)의 정확한 직상방 지점에서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도료 공급기(142) 및 나이프(143)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료 도포기는 예시적인 것 이 외에 다양한 구조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베이스 시트(1)의 표면에 직접 도료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도료 분사기를 포함하는 방식의 도료 도포기가 제1 도료 도포기(120) 또는 제2 도료 도포기(140)를 대체하거나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도료 도포기(120, 140)의 후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도료 건조기(130, 1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도료 건조기(130)는 히터(131)에 의해 가열되는 고온 건조실을 구비하여 제1 도료 도포기(120)에서 배출된 베이스 시트(1)에 도포된 액상의 도료를 경화시켜 제1 도료층을 형성한다. 제2 도료 건조기(150) 역시 제1 도료 도포기(120)와 동일하게 히터(151)에 의해 가열되는 고온 건조실을 구비하여 제2 도료 도포기(140)로부터 배출된 베이스 시트(1) 상의 도료를 경화시켜 제2 도료층을 형성한다.
발포제 도포기(160)는 베이스 시트(1)에 형성된 도료층의 표면에 발포층이 형성되도록 발포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제2 도료 건조기(150)로부터 배출되는 베이스 시트(1)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시키는 지지롤러(161), 액상의 발포제(6)를 이송되는 베이스 시트(1)의 도료층의 상부에서 흘려 공급하는 토출기 구조의 발포제 공급기(162) 및 발포제 공급기(162)의 후단에 설치되는 나이프(163)를 포함한다.
나이프(163)는 도료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발포제(6)를 넓고 고르게 분산시켜 발포층의 두께를 적정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발포제 도포기(160)에 적용되는 나이프(163)는 전술한 도료 도포기(120, 140)와 유사하게 예컨대 칼나이프 또는 봉나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발포층의 두께는 제1 및 제2 도료층을 합친 두께 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층의 두께가 제1 및 제2 도료층을 합친 두께 보다 얇은 경우 후 공정에서 발포층에 의해 가죽 원단(10)의 결이 메워지는 효과가 미비해질 수 있다.
또한, 발포제 도포기(160)의 지지롤러(161)는 베이스 시트(1)의 상부에 공급된 액상의 발포제의 잔류 및 균일한 도포에 유리하도록 가급적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포제 공급기(162) 및 나이프(163)는 공급된 발포제(6)가 전단 방향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지지롤러(161)의 후단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포제 도포기는 예시적인 것 이 외에 다양한 구조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노즐(166)을 통해 베이스 시트(1)의 도료층 표면에 직접 발포제(6)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도료 분사기(166)를 포함하는 방식의 도료 도포기(160')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65는 베이스 시트(1)의 저면을 지지하며 이송시키는 지지롤러이다.
또한, 발포제 도포기(160)의 후단에는 발포제 건조기(170)가 설치될 수 있다. 발포제 건조기(170)는 히터(171)에 의해 가열되는 고온 건조실을 구비하여 발포제 도포기(160)에서 배출된 도료층 상의 발포제를 경화시켜 발포층을 형성한다.
가죽 원단(10)은 재질의 특성상 도색 대상 면에 다수의 결이 형성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시트(1)와 가죽 원단(10)을 접합하여 도색이 이루어질 때, 발포층의 탄력에 의한 눌림 작용에 의해 도료층이 팽창하여 가죽 원단(10)의 도색되는 면에 보다 밀착되어 가죽 원단(10) 표면에 있는 결이 도료층으로 메워지면서 도색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접착제 도포기(180)는 베이스 시트(1)에 형성된 발포층의 표면에 가죽 원단(10)과의 접합을 위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발포제 건조기(170)로부터 배출되는 베이스 시트(1)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시키는 지지롤러(181), 액상의 접착제(7)를 이송되는 베이스 시트(1)의 발포층의 상부에서 흘려 공급하는 토출기 구조의 접착제 공급기(182) 및 접착제 공급기(182)의 후단에 설치되는 나이프(183)을 포함한다. 나이프(183)는 발포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접착제(7)를 넓고 고르게 분산시켜 접착층의 두께를 적정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접착제 도포기(180)에 적용되는 나이프(183)는 전술한 도료 도포기(120, 140)와 유사하게 예컨대 칼나이프 또는 봉나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접착제 도포기(180)의 지지롤러(181)는 발포층의 상부에 공급된 액상의 접착제의 잔류 및 균일한 도포에 유리하도록 가급적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 공급기(182) 및 나이프(183)는 공급된 접착제(7)가 전단 방향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지지롤러(181)의 후단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착제 도포기는 예시적인 것 이 외에 다양한 구조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베이스 시트(1)의 발포층 표면에 직접 접착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접착제 분사기를 포함하는 방식의 접착제 도포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도포기(180)의 후단에는 접착제 건조기(190)가 설치될 수 있다. 접착제 건조기(190)는 히터(191)에 의해 가열되는 고온 건조실을 구비하여 접착제 도포기(180)에서 배출된 발포층 상의 접착제를 경화시켜 접착층을 형성한다.
이때, 접착제 건조기(190)에서 접착층을 건조시키는 건조 온도는 제1 및 제2 도료 건조기(130, 150) 및 발포제 건조기(170)에서 도료 및 발포제를 건조시키는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건조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착제 건조기(190)에서 접착층이 반건조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후공정인 시트 원단 합지기(200)에 의한 과정에서 도료가 가죽 원단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도색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시트 원단 합지기(200)는 베이스 시트(1)의 접착층과 가죽 원단(10)의 일면이 접촉되거나 적어도 2.0mm 미만으로 인접한 상태로, 베이스 시트(1)와 가죽 원단(10)을 50~80℃에서 약 5kg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베이스 시트(1)의 도료층이 접착층을 매개로 하여 가죽 원단(10)의 도색 대상 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베이스 시트(1)의 접착층과 가죽 원단(10) 사이의 간격은 가죽의 종류 및 두께, 베이스 시트(1)의 종류 및 두께, 작업 방식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시트 원단 합지기(2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가압롤(201, 202)이 서로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일측 가압롤(201)은 베이스 시트(1)의 공급 경로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타측 가압롤(202)은 가죽 원단(10)의 공급 경로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양측 경로를 통해 각각 공급된 베이스 시트(1)와 가죽 원단(10)이 이송 간에 겹쳐지고, 이 상태로 양측 가압롤(201, 202)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어 접착층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와 같이 합지된 베이스 시트(1)와 가죽 원단(10)은 후단에 설치된 합지롤(203)에 일체화된 상태로 권취된 후 숙성실(210)에서 소정 시간 동안 숙성 과정을 거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가죽 원단 도색 장치는, 시트 원단 박리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원단 박리기(220)는 평평한 지지 면이 구비된 안치대(222)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합지롤(203)이 설치되고, 그 반대측에는 시트 회수롤(223)이 설치되어 안치대(222) 상에서 이송되는 합지된 베이스 시트(1)와 가죽 원단(10)에서 도료층이 가죽 원단(10)에 접합된 상태로 베이스 시트(1)를 탈리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탈리 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통상적인 시트 박리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도색 장치는 소정 색상 또는 로고가 프린팅된 수지 필름의 베이스 시트를 가죽 원단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도색이 완료된 면 또는 도색의 반대 면에 프린트시키기 위한 프린트 합지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색상 또는 로고가 프린팅된 수지 필름의 베이스 시트를 생산하는 장치는 앞서 설명한 베이스 시트(1)에 도료를 형성하는 장치와 과정이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 시트(1)는 예를 들어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시트(1)로서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매끄러운 도색 면을 얻을 수 있고, 시트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가죽 원단 도색 방법은 전술한 가죽 원단 도색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죽 원단 도색 방법은, 시트 패턴 형성 단계(S09), 시트 이형층 형성 단계(S10), 시트 도료층 형성 단계(S20), 시트 발포층 형성 단계(S30), 시트 접착층 형성 단계(S40), 시트 가죽 합지 단계(S50) 및 시트 박리 단계(S70)를 포함한다.
시트 패턴 형성 단계(S09)는 베이스 시트(1) 상에 요철 형태로 되어 입체감을 가지는 다양한 문양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패턴은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부 금형(231) 및 하부 금형(233)을 포함하며, 하부 금형(233)을 받침대로 하여 하부 금형(233) 위에 베이스 시트(1)를 배치한 후 소정 온도에서 상부 금형(231)의 승하강에 의한 프레스 가공에 의한 눌림 작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금형(231)의 하면에 요철 형태의 성형돌기(232)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하부 금형(233)의 상면에 요철 형태의 성형돌기를 구비하고 상부 금형(231)의 하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하거나, 상부 금형(231)과 하부 금형(233) 둘 다에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대응되게 이루어진 성형돌기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철 형태의 패턴은, 예컨대 외주 면에 성형 돌기가 구비된 성형 롤러 사이로 베이스 시트를 통과시키면서 패턴을 형성하는 롤 프레싱 등이 다른 가공 방법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시트 이형층 형성 단계(S10)는 베이스 시트(1)에 적층되는 도료층이 후 공정에서 베이스 시트(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베이스 시트(1)에 도료층을 형성하기 전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이형층은 베이스 시트(1)에 이형재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베이스 시트(1)에 액상의 이형제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 도료층 형성 단계(S20)는 이형층 상에 가죽 원단(10)에 도색 하고자 하는 도료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경화된 도료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도료의 도포는 나이프를 이용한 방식 또는 노즐 분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요구되는 도색 조건에 따라 도료의 도포 및 경화를 반복하여 둘 이상의 도료층을 적층된 형태 또는 동일 층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형층 위에 1차로 도료를 도포 및 경화하여 제1 도료층(4)을 형성하고, 그 위에 2차로 도료를 도포 및 경화하여 제2 도료층(5)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료의 도포 방법 및 장치에 따라 부분적으로 도료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료층(4)은 칼나이프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 시트(1)에 형성된 패턴의 돌출부에만 형성되도록 하고, 제2 도료층(5)은 봉나이프 등을 이용하여 베이스 시트(1)의 전체 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시트 발포층 형성 단계(S30)는 제2 도료층(5)의 외부에 발포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경화된 발포층(6)을 형성하는 것이다. 발포층(6)은 소정의 탄력을 가지고 있어서, 제1 및 제2 도료층(4, 5)이 가죽 원단(10)의 도색 대상 면에 접합될 때, 이러한 발포층(6)의 탄력에 의해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과 더욱 밀착되면서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있는 결을 메우게 되어 도색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발포제의 도포는 나이프를 이용한 방식 또는 노즐 분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d)를 참조하면, 시트 접착층 형성 단계(S40)는 제1 및 제2 도료층(4, 5)이 가죽 원단(10)의 표면에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도록 발포층(6)의 외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반건조시켜 접착층(7)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접착제의 도포는 나이프를 이용한 방식 또는 노즐 분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e) 및 도 7(f)를 참조하면, 시트 가죽 합지 단계(S50)는 제1 및 제2 도료층(4, 5)과 발포층(6)이 접착층(7)을 매개로 가죽 원단(10)의 도색 대상 면에 접합될 수 있도록 베이스 시트(1)와 가죽 원단(10)을 가압하여 합지하는 것이다. 이때, 합지 공정은 접착층(7)과 가죽 원단(10)의 도색 대상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베이스 시트(1)와 가죽 원단(10)을 한 쌍의 합지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방식 등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합지된 베이스 시트의 제1 및 제2 도료층(4, 5)과 가죽 원단(10)의 보다 견고한 접합을 위하여 시트 가죽 합지 단계(S50) 후에 소정 시간의 숙성 단계(S60)를 행할 수 있다.
시트 박리 단계(S70)는 제1 및 제2 도료층(4, 5)이 가죽 원단(10)에 접합된 후 불필요하게 남은 베이스 시트(1)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이형층의 개재로 인해 베이스 시트(1)와 제1 및 제2 도료층(4, 5)의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에 베이스 시트(1)에 형성한 패턴 형태에 따라 가죽 원단(10)의 도료층의 외면에 패턴이 형성되므로, 패턴의 형태를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요구되는 가죽 원단의 최종 형태에 따라 시트 박리 단계(S70) 후에 도색 면 코팅 단계(S80)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도색 면 코팅은 가죽 원단(10)에 보다 매끄러운 질감이나 광택 등을 주기 위해 도색 면의 표면을 무색 또는 유색으로 코팅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색 면의 코팅이 완료된 가죽 원단(10)에 패턴 형성기를 이용하여 패턴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S9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베이스 시트(1)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거나 또는 그와 상이한 형태의 패턴일 수 있다.
상기 패턴이 베이스 시트(1)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경우 패턴의 형상이 더 명확해지면서 시각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턴 형성 공정에 의해 코팅에 의한 포깅(fogging) 및 핀홀(pin hole)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베이스 시트
2 : 이형재 시트
3 : 이형제
4, 5 : 도료
6 : 발포제
7 : 접착제
10 : 가죽 원단
110, 110' : 이형층 형성기
120 : 제1 도료 도포기
130 : 제1 도료 건조기
140 : 제2 도료 도포기
150 : 제2도료 건조기
160, 160' : 발포제 도포기
170 ; 발포제 건조기
180 : 접착제 도포기
190 : 접착제 건조기
200 : 시트 원단 합지기
210 : 숙성실
220 : 시트 원단 박리기
230 ; 패턴 형성기

Claims (14)

  1. 베이스 시트에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기;
    상기 베이스 시트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이형층 형성기;
    상기 이형층 상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료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료 도포기;
    상기 도료층 상에 발포제를 도포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발포제 도포기;
    상기 발포층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접착제 도포기; 및
    상기 접착층과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가죽 원단을 가압하여, 상기 도료층 및 상기 발포층이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접합되도록 하는 시트 원단 합지기; 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층의 탄력에 의해 상기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있는 결이 메워지면서 도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형성기는, 상기 베이스 시트가 권취된 베이스 시트 공급롤; 및 상기 베이스 시트가 통과되면서 상하로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소정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며, 마주보는 적어도 일면에 요철 형태의 성형돌기가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 금형; 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도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포된 도료를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도료 건조기; 상기 발포제 도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포된 발포제를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발포제 건조기; 및 상기 접착제 도포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포된 접착제를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접착제 건조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 건조기의 건조 온도는 상기 도료 건조기 및 상기 발포제 건조기의 건조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도록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소정 색상 또는 로고가 프린팅된 수지 필름의 베이스 시트를 상기 가죽 원단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도색이 완료된 면 또는 도색의 반대 면에 프린트시키기 위한 프린트 합지기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 형성기는, 상기 베이스 시트가 권취된 베이스 시트 공급롤; 이형재 시트가 권취된 이형재 시트 공급롤; 및 공급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이형재 시트를 겹쳐진 상태로 통과시키면서 가압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접합 롤러;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 형성기는, 상기 베이스 시트가 권취된 베이스 시트 공급롤;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면서 이송시키는 지지롤러; 상기 지지롤러의 상부를 지나는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액상의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공급기; 및 상기 이형제 공급기의 후단에 상기 지지롤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도포되는 액상의 이형제를 분산시켜 이형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나이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도포기는, 이송되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이형층의 상부에 액상의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기; 및 상기 도료 공급기의 후단에 상기 지지롤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형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도료를 분산시켜 도료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나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 공급기는 상기 지지롤러의 최상단이 위치하는 지점 보다 후단 측에 도료 공급 영역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 도포기는, 이송되는 베이스 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도료층의 상부에 액상의 발포제를 공급하는 발포제 공급기; 및 상기 발포제 공급기의 후단에 상기 지지롤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료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발포제를 분산시켜 발포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나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발포제 공급기는 상기 지지롤러의 최상단이 위치하는 지점 보다 후단 측에 발포제 공급 영역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 도포기는, 상기 도료층의 상부에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발포제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발포제 분사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기는, 이송되는 베이스 시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롤러; 상기 발포층의 상부에 액상의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 공급기; 및 상기 접착제 공급기의 후단에 상기 지지롤러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발포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액상의 접착제를 분산시켜 접착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나이프; 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 공급기는 상기 지지롤러의 최상단이 위치하는 지점 보다 후단 측에 접착제 공급 영역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12. 패턴 형성기로 베이스 시트를 가압하여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시트에 이형재 시트를 부착하거나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층 상에 적어도 1회 이상 도료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도료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료층 상에 발포제를 도포하고 건조하여 발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포층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반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과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시트와 상기 가죽 원단을 가압하여, 상기 도료층 및 상기 발포층이 상기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접합되도록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도료층이 상기 가죽 원단에 접합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 시트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도료층은 상기 발포층의 탄력에 의해 상기 가죽 원단의 도색 대상 면에 있는 결을 메우면서 접합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를 상기 가죽 원단과 분리한 후 상기 도료층의 외면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이 완료된 가죽 원단에 패턴 형성기를 이용하여 패턴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방법.
KR1020140126569A 2014-09-23 2014-09-23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1573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569A KR101573630B1 (ko) 2014-09-23 2014-09-23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569A KR101573630B1 (ko) 2014-09-23 2014-09-23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630B1 true KR101573630B1 (ko) 2015-12-01

Family

ID=5488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569A KR101573630B1 (ko) 2014-09-23 2014-09-23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6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7977A (zh) * 2016-08-29 2017-02-01 扬州市德运塑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磨沙发皮革
EP3427966A1 (en) * 2017-07-12 2019-01-16 Kolonglotech. Inc Foaming printing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190B1 (ko) 1995-07-13 1999-06-15 이희덕 습식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및 중간 생성물
KR101170930B1 (ko) 2011-02-09 2012-08-03 박천진 무늬가 형성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KR101364176B1 (ko) 2013-03-11 2014-02-18 케이피레더 주식회사 패턴형성수단이 구비된 피혁용 문양성형장치
JP5583743B2 (ja) 2012-12-13 2014-09-03 高圧クロス株式会社 合成皮革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190B1 (ko) 1995-07-13 1999-06-15 이희덕 습식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및 중간 생성물
KR101170930B1 (ko) 2011-02-09 2012-08-03 박천진 무늬가 형성된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JP5583743B2 (ja) 2012-12-13 2014-09-03 高圧クロス株式会社 合成皮革とその製造方法
KR101364176B1 (ko) 2013-03-11 2014-02-18 케이피레더 주식회사 패턴형성수단이 구비된 피혁용 문양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7977A (zh) * 2016-08-29 2017-02-01 扬州市德运塑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磨沙发皮革
EP3427966A1 (en) * 2017-07-12 2019-01-16 Kolonglotech. Inc Foaming print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966B1 (ko) 롤페이퍼 도색 기재를 이용한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EP3202973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ouble-layer fabric for down products having pattern joining line formed by high-frequency bonding
TWI601645B (zh) 一種將熱壓印薄膜上的轉印層壓印在一個非平整工件表面上的製程與設備
HU19174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artial surface layers
KR101573630B1 (ko)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EP3589489A1 (en) Method for making a product of the type comprising a laminar supporting element and an upgrading layer and corresponding production system
KR101495864B1 (ko) 다중도색 및 에나멜코팅이 가능한 가죽 원단 도색 설비 및 방법
US2594290A (en) Apparatus for applying designs to plastic sheetlike materials
CN108883568B (zh) 图案形成方法
KR101495858B1 (ko) 롤페이퍼 도색 기재를 이용한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20090132272A (ko) 자동스크린 롤 전사인쇄방법과 인쇄된 전사용지의 제품
KR101944268B1 (ko) 원단의 장식무늬 전사방법
WO2020091175A1 (ko) 감성품질 향상을 위한 자동차 시트용 원단 합포방법
JP6956054B2 (ja) 段ボール装置
KR101495861B1 (ko) 하이브리드 도색 방식을 갖는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101815969B1 (ko) 원단표면에 무늬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66615A (ko) 트림용 복합재 포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74594B1 (ko) 입체문양을 가지는 장식지의 제조방법
JP5885273B2 (ja) 印刷物の製造方法、印刷物製造装置及び印刷物
TWI611770B (zh) 皮件塑型複合材成形方法
KR101573631B1 (ko) 다중도색 및 에나멜코팅이 가능한 가죽 원단 도색 장치 및 방법
KR20160114418A (ko) 필름을 이용한 원단에 패턴을 형성하는 주름형성장치 및 주름형성방법
KR101297086B1 (ko) 원단에 입체감 있는 발포 무늬를 형성시키는 방법
KR20150136556A (ko) 피혁의 컬러 이미지 코팅 방법
JP3548931B2 (ja) 粘着式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