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467B1 -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 - Google Patents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467B1
KR101045467B1 KR1020097021835A KR20097021835A KR101045467B1 KR 101045467 B1 KR101045467 B1 KR 101045467B1 KR 1020097021835 A KR1020097021835 A KR 1020097021835A KR 20097021835 A KR20097021835 A KR 20097021835A KR 101045467 B1 KR101045467 B1 KR 10104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meth
componen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550A (ko
Inventor
타카시 마츠시타
아츠히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5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penta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와, (B)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와, (C)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기재(基材)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다른 쪽 면에, 상기 점착제로 구성된 점착층을 가지는 일사차폐필름이다. 상기 점착제로 구성된 일사차폐필름은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한 동시에, 곡면유리에 첩부해도 박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내찰상성도 우수하여, 건물이나 차량, 특히 자동차의 유리창에 첩부하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Description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PRESSURE SENSITIVE ADHESIVE FOR SUNLIGHT SHIELDING FILMS AND SUNLIGHT SHIELDING FILM}
본 발명은,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일사차폐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한 동시에, 곡면유리에 첩부해도 박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내찰상성도 우수하여, 건물이나 차량, 특히 자동차의 유리창에 첩부하는 데에 매우 적합한 일사차폐필름을 부여하는 점착제, 및 이 점착제를 이용해서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상기의 바람직한 성상(性狀)을 가지는 일사차폐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이나 차량, 혹은 냉장ㆍ냉동 쇼케이스의 창 등의 이른바 개구부는, 태양광선을 투과하기 위해서 투명한 유리판이나 수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태양광선에는 가시광선 외에 자외선이나 근적외선이 포함되어 있다.
태양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은 일광화상의 원인이 되어, 인체에 대한 악영향이 지적되고 있으며, 또 자외선에 의한 포장재의 열화(劣化)가 원인으로 내용물의 변질이 생기는 경우도 잘 알려져 있다. 한편, 태양에 포함되는 근적외선에 대해서도, 직사일광에 의한 실내의 온도상승을 일으켜, 여름철의 냉방효과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자외선 이나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일사차폐필름이, 건물이나 차량의 유리창 첩부용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일사차폐필름은, 해당 표면에 통상, 내찰상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나 다관능성 모노머 등을 도포하고, 경화해서 이루어진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창용 유리에는, 주변부에 세라믹제 블랙프린트가, 중앙에는 흐림 방지 열선인쇄가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요철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점착제가 잘 접착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가교제로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한 점착제는, 요철면에의 추종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일사차폐필름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았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는, 유리창 첩부용 일사차폐필름에 자외선 차폐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점착제층에 함유되는 벤조페논계나 벤조트리아졸계의 자외선흡수제와 반응하기 때문에, 가교 부족이 생겨서, 점착제층의 유지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자동차용 일사차폐필름은, 유리창의 요면부에 첩부되기 때문에, 유지력이 저하되면 필름의 유지가 곤란해져, 벗겨진다. 특히 여름철은 일사에 의해서 유리가 80℃정도의 고온이 되기 때문에, 더욱더 유지력이 저하되어, 필름이 잘 벗겨진다. 또,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가 자외선흡수제와 착체를 형성해서 황변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흡수제는,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지 않지만, 자외선흡수력이 불충분하여, 자외선 차폐기능이 열악하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116910호 공보(4페이지, 실시예)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 하에서,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한 동시에, 곡면유리에 첩부해도 박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내찰상성도 우수하여, 건물이나 차량, 특히 자동차의 유리창에 첩부하는 데에 매우 적합한 일사차폐필름을 부여하는 점착제, 및 이 점착제를 이용해서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상기의 바람직한 성상을 가지는 일사차폐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와,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와,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가, 상기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어 이루어진 점착제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식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1] (A)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와, (B)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와, (C)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2] (B)성분의 함유량이,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3질량부인 상기 [1]항에 기재된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3] (C)성분의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가,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3개의 페닐기가 2,4,6-위치에 도입된 1,3,5-트리아딘 화합물로서, 상기 3개의 페닐기 중 적어도 1개의 페닐기가, 상기 2-위치에 히드록실기를, 4-위치에 히드록실기 또는 산소원자를 개재해서 유기기를 가지는 구조의 화합물인 상기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4] (C)성분의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의 함유량이,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30질량부인 상기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5] 기재(基材)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다른 쪽 면에, 상기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로 구성된 점착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
[6] 하드코트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된 층인 상기 [5]항에 기재된 일사차폐필름,
[7] 하드코트층이, 근적외선 차폐기능을 가지는 상기 [5]항 또는 [6]항에 기재된 일사차폐필름, 및
[8] 곡면유리에 첩부되는 상기 [5]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일사차폐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한 동시에, 곡면유리에 첩부해도 박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내찰상성도 우수하여, 건물이나 차량, 특히 자동차의 유리창에 첩부하는 데에 매우 적합한 일사차폐필름을 부여하는 점착제, 및 이 점착제를 이용해서 형성된 점착제층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상기의 바람직한 성상을 가지는 일사차폐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이하, 단순히 점착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에 대해서 설명한다.
[점착제]
본 발명의 점착제는, (A)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와, (B)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와, (C)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일사차폐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에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터란, 아크릴산 에스터 및 메타크릴산에스터의 쌍방을 가리킨다. 다른 유사한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점착제에 있어서, (A)성분으로서 이용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는,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종래 점착제의 수지성분으로서 관용되고 있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로서는, 에스터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터와,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소망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여기서, 에스터 부분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터의 예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미리스틸(메타)아크릴레이트, 팔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클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카르복시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소망에 따라, 카르복실기 이외의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상기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병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이외의 작용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알킬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단량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소망에 따라 이용되는 다른 단량체의 예로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터류;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올레핀류;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등의 스타이렌계 단량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디엔계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단량체;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등의 N,N-디알킬 치환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에 있어서는, 가교제로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반응성의 관점에서,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가 이용된다. 해당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에틸렌성 불포화카르복시산)단위의 함유량은, 그 종류에 의해 좌우되지만, 통상 0.1~20질량%정도, 바람직하게는 1~10질량%이다.
해당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는, 이 공중합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랜덤, 블록, 그라프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이어도 된다. 또, 분자량으로서는, 질량평균분자량으로 30만~250만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질량평균분자량이 30만 미만에서는 피착체와의 밀착성이나 접착내구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고, 250만을 초과하면 도포 적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밀착성, 접착내구성 및 도포 적성 등을 고려하면, 이 질량평균분자량은, 30만~200만의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만~100만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질량평균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된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값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소망에 따라서, 상기 고분자량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와, 저분자량, 예를 들면 질량평균분자량이 10만 이하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단독 중합체나 공중합체를 병용할 수도 있다.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
본 발명의 점착제에 있어서는, (B)성분의 가교제로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가 이용된다. 이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에 의해, 상기 (A)성분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가 가교된 점착제는, 요철면에 대한 추종성이 높고, 예를 들면 자동차의 유리창 첩부용 등의 일사차폐필름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된다.
해당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점착제에 있어서의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로서 공지된 화합물 중에서 임의의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에는, 금속원자가 알루미늄, 지르코늄, 티타늄, 아연, 철, 주석 등의 킬레이트 화합물이 있지만, 성능의 점에서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 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모노올레일아세토아세테이트, 모노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비스올레일아세토아세테이트, 모노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모노올레에이트모노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모노라우릴아세토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모노스테아릴아세토아세테이트, 디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모노이소스테아릴아세토아세테이트, 모노이소프로폭시알루미늄모노-N-라우로일-β-알라네이트모노라우릴아세토아세테이트,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알루미늄비스(이소부틸아세토아세테이트)킬레이트, 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알루미늄비스(2-에틸헥실아세토아세테이트)킬레이트, 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알루미늄비스(도데실아세토아세테이트)킬레이트, 모노아세틸아세토네이트알루미늄비스(올레일아세토아세테이트)킬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외 금속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티타늄테트라프로피오네이트, 티타늄테트라-n-부틸레이트, 티타늄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지르코늄sec-부틸레이트, 지르코늄디에톡시-tert-부틸레이트, 트리에탄올아민티타늄디프로피오네이트, 티타늄락테이트의 암모늄염, 테트라옥틸렌글리콜티타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그 함유량은, 점착제로서의 성능의 관점에서, 상기 (A)성분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01~3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2~2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1질량부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
본 발명의 점착제에 있어서는, (C)성분의 자외선흡수제로서,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가 이용된다.
종래, 일사차폐필름의 점착제층에는, 일반적으로 벤조페논계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자외선흡수제는, 가교제로서 상술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를 이용한 경우, 이 가교제와 반응함으로써, 점착제층의 가교가 부족하여, 유지력이 저하되거나, 황변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흡수제로서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지 않는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를 이용한다.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가,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와 반응하지 않는 것은, 페닐기에 결합하고 있는 OH기의 O-H결합에너지가, 벤조페논계나 벤조트리아졸계의 자외선흡수제보다도 커서, 수소원자가 잘 분리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추찰된다.
해당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종래 공지된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 중에서, 임의의 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 적절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로서,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3개의 페닐기 2,4,6-위치에 도입된 1,3,5-트리아딘 화합물로서, 상기 3개의 페닐기 중 적어도 1개의 페닐기가, 상기 2-위치에 히드록실기를, 4-위치에 히드록실기 또는 산소원자를 개재해서 유기기를 가지는 구조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6-211813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8-53427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20760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1-71356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4-513122호 공보, 일본국 특표2004-533529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해당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는, 모노(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 비스(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 및 트리스(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모노(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 2-(2-히드록시-4-이소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 등을 들 수 있고, 비스(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 2,4-비스(2-히드록시-3-메틸-4-프로필옥시페닐)-6-(4-메틸페닐)-1,3,5-트리아딘, 2,4-비스(2-히드록시-3-메틸-4-헥실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 2-페닐-4,6-비스[2-히드록시-4-[3-(메톡시헵타에톡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1,3,5-트리아딘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스(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딘,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딘,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1,3,5-트리아딘, 2,4-비스[2-히드록시-4-[1-(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6-(2,4-디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딘, 2,4,6-트리스[2-히드록시-4-[1-(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1,3,5-트리아딘, 2,4-비스[2-히드록시-4-[1-(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6-[2,4-비스[1-(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1,3,5-트리아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는 1종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되지만, 이들 중에서, 자외선 차폐기능의 관점에서, 트리스(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에 있어서의 해당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의 함유량은, 자외선 차폐기능 및 경제성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상기 (A)성분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1~3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20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질량부이다.
(임의 첨가성분)
본 발명의 점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소망에 따라, 각종 첨가성분, 예를 들면 실란커플링제, 산화방지제, 점착부여제, 금속킬레이트계 이외의 가교제, 충전제, 레벨링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유리면에 대한 점착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실란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실란류가 매우 적합하다.
또, 산화방지제로서는, 통상의 힌더드페놀(hindered phenol)계 산화방지제를 함유시켜도 되고, 산화방지성 유닛을 가지는 단량체를, 상기 (A)성분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의 제조 시에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분자 내에 산화방지성 유닛을 도입해도 된다. 산화방지성 유닛을 가지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스미라이저(SUMILIZER) GM」이나 「스미라이저 GS」[이상, 스미토모 카가쿠(주)(SUMITOMO CHEMICAL Co.,Ltd.) 제품] 등이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우선, 적당한 용매 중에, 상술한 (A)성분인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 (B)성분인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 (C)성분인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 및 소망에 따라 이용되는 각종 첨가성분을, 각각 소정의 비율로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도포액)을 조제한다. 다음에 기재필름면 또는 박리필름의 박리처리면에 도포한 후, 60~130℃정도의 온도에서, 30초~5분간 정도 건조 처리함으로써, (A)성분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가, (B)성분의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본 발명의 점착제는,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하고, 또한 요철면에의 추종성을 가지며, 일사차폐필름의 점착층 구성성분으로서 이용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사차폐필름]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은,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다른 쪽 면에, 상기 본 발명의 점착제로 구성된 점착층을 가지는 적층필름이다.
(기재필름)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에 이용되는 기재필름으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다양한 투명 플라스틱필름 중에서,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투명 플라스틱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텐-1, 폴리부텐-1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에틸렌설파이드계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스타이렌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 또는 이들의 적층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매우 적합하다.
이 기재필름의 두께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일사차폐필름의 사용목적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되며, 통상은 10~500μm정도, 바람직하게는 12~3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16~125μm이다.
또, 이 기재필름은, 소망에 따라서 착색 또는 증착되어 있어도 되고, 또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 표면에 형성되는 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소망에 따라서 편면 또는 양면에, 산화법이나 요철화법 등에 의해 표면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방전처리, 플라스마처리, 크롬산처리(습식), 화염처리, 열풍처리, 오존ㆍ자외선조사처리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요철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샌드블라스트법, 용제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표면처리법은 기재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코로나방전처리법이 효과 및 조작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하드코트층]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하드코트층의 종류나 형성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하드코트층으로서의 성능 및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된 하드코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 하드코트층은, 태양광선 중의 근적외선(열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당 하드코트층에 근적외선 차폐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건물이나 차량, 혹은 냉장ㆍ냉동 쇼케이스의 창 등에,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을 첩부해서, 실내의 온도상승의 경감,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에 이용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입자선 중에서 에너지양자를 가지는 것, 즉, 자외선 또는 전자선 등을 조사함으로써, 가교, 경화하는 화합물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형과 양이온 중합형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의 라디칼 중합형으로서는, 에너지선 중합성 프리폴리머와 에너지선 중합성 모노머가 있으며, 라디칼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터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다가 카르복시산과 다가 알코올의 축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양말단부에 수산기를 가지는 폴리에스터올리고머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함으로써, 혹은, 다가 카르복시산에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해서 얻어지는 올리고머의 말단부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비교적 저분자량의 비스페놀형 에폭시수지나 노볼락형 에폭시수지의 옥시란환에, (메타)아크릴산을 반응해서 에스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올이나 폴리에스터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지는 폴리우레탄올리고머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프리폴리머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수산기를 (메타)아크릴산으로 에스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의 라디칼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프리폴리머는 1종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된다.
또, 라디칼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바린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인산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의 라디칼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모노머는 1종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되고, 또, 라디칼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프리폴리머와 병용해도 된다.
한편, 양이온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프리폴리머로서는, 에폭시계 수지가 통상 사용된다. 이 에폭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수지나 노볼락 수지 등의 다가 페놀류에 에피클로르히드린 등으로 에폭시화한 화합물, 직쇄형상 올레핀 화합물이나 환상(環狀) 올레핀 화합물을 과산화물 등으로 산화해서 얻어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는, 기재필름의 손상 및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켜서, 하드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해당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에는, 통상, 광중합개시제가 첨가된다.
이 광중합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프리폴리머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모노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터샤리-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키산톤, 2-에틸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민안식향산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또, 양이온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프리폴리머에 대한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방향족 설포늄이온, 방향족 옥소설포늄이온, 방향족 요오드늄이온 등의 오늄과,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등의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이용해도 되고, 또, 그 배합량은, 상기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프리폴리머 및/또는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모노머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2~10질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코트층에 근적외선 차폐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해당 하드코트층 형성재료에, 근적외선 흡수재료를 함유시킬 수 있다.
해당 근적외선 흡수제는, 유기계 근적외선 흡수제와 무기계 근적외선 흡수제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계 근적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아닌계 화합물, 스콰릴륨계 화합물, 티올니켈 착염계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트리알릴메탄계 화합물,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나아가서는 N,N,N',N'-테트라키스(p-디-n-부틸아미노페닐)-p-페닐렌디아미늄의 과염소산염, 페닐렌디아미늄의 염소염, 페닐렌디아미늄의 헥사플루오로안티몬산염, 페닐렌디아미늄의 불화 붕소산염, 페닐렌디아미늄의 불소염, 페닐렌디아미늄의 과염소산염 등의 아미노 화합물, 구리 화합물과 비스티오우레아 화합물, 인 화합물과 구리 화합물, 인산에스터 화합물과 구리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인산에스터구리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티올니켈 착염계 화합물(일본국 특개평9-230134호 공보 등) 및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국 특개2000-26748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는 불소함유 프탈로시아닌 화합물이, 유기계 근적외선 흡수제 중에서, 가시광선 분광투과율이 높고, 또한 내열성, 내광성, 내후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다.
또, 무기계 근적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텅스텐계 화합물,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탄탈, 산화니오브, 산화아연, 산화인듐, 주석 도핑된 산화인듐(ITO), 산화주석, 안티몬 도핑된 산화주석(ATO), 산화세슘, 황화아연, 나아가서는 LaB6, CeB6, PrB6, NdB6, GdB6, TbB6, DyB6, HoB6, YB6, SmB6, EuB6, ErB6, TmB6, YbB6, LuB6, SrB6, CaB6, (La, Ce)B6 등의 6붕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근적외선의 흡수율이 높고, 또한 가시광선의 분광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산화텅스텐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며, 특히 식
CS0 .2~0.4WO3
으로 나타내지는 세슘함유 산화텅스텐이 매우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유기계 근적외선 흡수제와 무기계 근적외선 흡수제를 비교한 경우, 근적외선의 흡수능력은 유기계 쪽이 우수하지만, 내광성이나 내후성에 대해서는, 무기계 쪽이 현격히 우수하다. 또, 유기계의 것은 착색되기 쉽다고 하는 결점도 가지고 있으며, 실용성의 점에서는, 무기계 근적외선 흡수제 쪽이 바람직하고, 특히 세슘 함유 산화텅스텐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 무기계 근적외선 흡수제는, 가시광영역에 있어서 흡수가 적고, 또한 투명한 코트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0.5μm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μm이하의 입경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무기계 근적외선 흡수제를 1종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해서 이용해도 되고, 또, 무기계 근적외선 흡수제와 유기계 근적외선 흡수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용매 중에, 상기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과, 소망에 따라 이용되는 상기의 광중합개시제, 근적외선 흡수제, 나아가서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을, 각각 소정의 비율로 첨가,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때 이용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탄온, 메틸이소부틸케톤, 이소포론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터,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조제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도포액)의 농도, 점도로서는, 코팅 가능한 농도, 점도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다음에,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도포액을, 종래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이용하여, 코팅해서 도막(塗膜)을 형성시키고, 건조 후, 이것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상기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하드코트층이 형성된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은, 고압 수은램프, 퓨전 무전극램프, 크세논 램프 등으로 얻을 수 있다. 한편 전자선은, 전자선가속기 등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이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는, 특히 자외선이 매우 적합하다. 또한, 전자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개시제를 첨가하지 않고, 경화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드코트층의 두께는, 통상 1~1Oμm의 범위이다. 이 두께가 1μm미만에서는 얻어지는 일사차폐필름의 내찰상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또 1Oμm를 초과하면 하드코트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하드코트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1~5μ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하드코트층 위에 오염방지코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오염방지코트층은, 일반적으로 불소계 수지를 함유한 도포액을, 종래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등을 이용하여, 하드코트층 위에 코팅해서, 도막을 형성시키고, 건조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 오염방지코트층의 두께는, 통상 0.001~10μm, 바람직하게는 0.01~5μm의 범위이다. 상기 오염방지코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일사차폐필름은, 표면의 미끄러짐성이 양호해지는 동시에, 좀처럼 오염되지 않는다.
[점착층]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에 있어서는, 기재필름의 하드코트층이 형성된 측의 반대면에, 상술한 본 발명의 점착제로 구성되는 점착층이 형성된다.
해당 점착층의 형성은,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우선, 적당한 용매 중에, 상술한 본 발명의 점착제의 구성성분인 (A)성분의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 (B)성분의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 (C)성분의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 및 소망에 따라서 이용되는 상기 각종 첨가성분을, 각각 소정의 비율로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도포액)을 조제한다. 다음에 기재필름의 하드코트층과는 반대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도포한 후, 60~130℃정도의 온도로 30초~5분간 정도 건조처리함으로써, (A)성분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가, (B)성분의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점착제로 구성된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해당 점착층의 두께는, 통상 1~100μm정도, 바람직하게는 2~50μ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층에 박리필름을 첩부할 수 있다. 이 박리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필름,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에, 박리제를 도포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박리제로서는,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 염가이며 안정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실리콘계가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필름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통상 20∼250μm정도, 바람직하게는 25~50μm이다.
이와 같이 점착층에 박리필름을 첩부하는 경우에는, 상기 박리필름의 박리제층면에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해서, 소정의 두께의 점착층을 형성한 후, 이것을 기재필름의 하드코트층이 형성된 측의 반대면에 첩부하여, 상기 점착층을 전사하고, 박리필름은 그대로 첩부한 상태로 해 두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은,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동시에, 수지성분이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에 의해 가교되어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차폐성이 우수한 동시에, 곡면유리에 첩부해도 박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 표면측에 하드코트층을 가지기 때문에, 내찰상성도 우수하며, 그리고, 이 하드코트층에 근적외선 흡수재료를 함유시킴으로써, 근적외선(열선) 차폐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에 있어서는, JIS S 3107에 준거해서 측정된 자외선투과율은, 통상 1% 미만이며, 또, JIS K 7105에 준거해서 투과법에 의해 측정된 황색도는, 통상 2 미만이다.
또한, JIS Z 0237에 준거해서 측정된 유지력(측정방법의 상세한 것은 후술)은, 40℃에서, 통상 1㎜미만, 80℃에서, 통상 2㎜미만이다.
상기의 성상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은, 건물이나 차량, 특히 자동차의 유리창 첩부용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예에서 제작된 일사차폐필름의 성능은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서 구하였다.
(1) 유지력
JIS Z 0237에 준거해서, 하기의 방법에 의해 40℃ 및 80℃에 있어서의 유지력을 측정하였다.
스테인리스강판에, 시료를 25㎜×25㎜의 면적으로 첩부하고, 40℃, 드라이 및 80℃, 드라이의 분위기에서, 질량 1kg의 추를 매달고, 20시간 후의 어긋난 정도의 길이 또는 낙하시간을 측정하였다. 어긋난 정도의 길이가 작은 것이 유지력이 크다.
(2) 자외선투과율
JIS S 3107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1% 미만이 합격이다.
(3) 황색도
JIS K 7105에 준거해서, 투과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2이상에서는 육안으로 황색이 확인되므로 2미만이 합격이다.
실시예 1
(1)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5질량%, 아세트산비닐 23질량% 및 아크릴산 2질량%를 라디칼 중합함으로써, 카르복실기함유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질량평균분자량 60만)를 33질량% 농도로 함유한 아세트산 에틸 용액을 얻었다. 다음에, 이 아세트산 에틸 용액 100질량부에, 알루미늄킬레이트 화합물[소켄 카가쿠(주)(SOKEN CHEMICAL AND ENGINEERING Co.,Ltd.) 제품, 「M-5A」,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고형분 4.95질량%] 0.5질량부 및 자외선흡수제[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주)(CIBA SPECIALTY CHEMICALS Co.,Ltd.) 제품, 「CGL777MPAD」, 트리스(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 고형분 80질량%] 4.0질량부를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상기 「CGL777MPAD」는, 하기의 식(a)로 나타내지는 2,4-비스[2-히드록시-4-[1-(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6-(2,4-디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딘과, 식(b)로 나타내지는 2,4,6-트리스[2-히드록시-4-[1-(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1,3,5-트리아딘과, 식(c)로 나타내지는 2,4-비스[2-히드록시-4-[1-(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6-[2,4-비스[1-(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1,3,5-트리아딘의 혼합물이다.
Figure 112009064042403-pct00001
Figure 112009064042403-pct00002
(2) 일사차폐필름의 제작
기재필름으로서, 두께 25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오레(주)(TORAY INDUSTRIES Inc) 제품, 「루미러(LUMIRROR) 25T-60」]의 편면에, 이하에 나타낸 방법에 따라서, 두께 4μm의 하드코트층을 형성하였다.
라디칼 중합형의 활성 에너지선 모노머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100질량부, 광중합개시제로서 「이가큐어(IRGACURE) 127」[시바ㆍ스페셜티ㆍ케 미컬즈(주) 제품] 5질량부, 적외선흡수제로서 산화텅스텐계 화합물의 톨루엔 분산체 「YMF-01」[스미토모 킨조쿠 코잔(주)(SUMITOMO METAL MINING Co.,Ltd.) 제품] 500질량부, 톨루엔 100질량부를 혼합해서 바 코터를 사용해서 건조 두께 4μm 도포하고, 고압 수은램프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한편, 두께 38μm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실리콘 수지를 도포해서 두께 O.1μm의 박리제층을 형성한 박리필름의 박리제층면에, 상기 (1)로 조제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처리해서, 두께 15μm의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기재필름의 하드코트층과는 반대측 면에, 상기 박리필름 부착된 점착층을 접합해서, 일사차폐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일사차폐필름에 대해서, 박리필름을 벗겨내고, 유지력, 자외선투과율 및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외선흡수제로서, 「티누빈(TINUVIN) 400」[시바ㆍ스페셜티ㆍ케미컬즈(주) 제품, 모노(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 화합물, 고형분 100질량%]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일사차폐필름을 제작하고, 유지력, 자외선투과율 및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티누빈 400」은, 하기의 식(d)로 나타내지는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과, 식(e)로 나타내지는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 록시페닐]-4,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딘의 혼합물이다.
Figure 112009064042403-pct00003
Figure 112009064042403-pct00004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외선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계[시프로 카세이(주)(SHIPRO KASEI KAISHA, Ltd.) 제품, 「시솝(SEESORB) 707」, 2-(2-히드록시-4-옥틸페닐)-2H-벤조트리아졸]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일사차폐필름을 제작하고, 유지력, 자외선투과율 및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자외선흡수제로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BASF 재팬(주)(BASF JAPAN,Ltd.) 제품, 「Uvinu13039」,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일사차폐필름을 제작하고, 유지력, 자외선투과율 및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자외선흡수제의 종류 유지력 자외선
투과율(%)
황색도
40℃ 80℃
실시예 1 트리스(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계 0.2㎜ 0.5㎜ 0.1 1.5
실시예 2 모노(히드록시페닐)트리아딘계 0.2㎜ 0.5㎜ 0.3 1.0
비교예 1 벤조트리아졸계 2.3㎜ 305분 후
에 낙하
0.5 3.7
비교예 2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0.2㎜ 0.4㎜ 8.3 0.6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일사차폐필름은, 40℃, 80℃ 각각에 있어서의 유지력이 우수하며, 자외선투과율이 1% 미만, 황색도가 2 미만으로서, 모두 합격이다.
이에 대해서, 비교예 1은 유지력이 떨어지며, 황색도도 불합격이다. 비교예 2는, 유지력이 우수하지만, 자외선투과율이 높아, 불합격이다.
본 발명의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는, 자외선 차폐성이 우수한 동시에, 곡면유리에 첩부해도 거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내찰상성도 우수하여, 건물이나 차량, 특히 자동차의 유리창에 첩부하는 데에 매우 적합한 일사차폐필름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1)

  1. (A) 가교성 작용기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와, (B) 금속킬레이트계 가교제와, (C)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2. 제1항에 있어서,
    (B)성분의 함유량이,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3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성분의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가,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3개의 페닐기가 2,4,6-위치에 도입된 1,3,5-트리아딘 화합물로서, 상기 3개의 페닐기 중 적어도 1개의 페닐기가, 상기 2-위치에 히드록실기를, 4-위치에 히드록실기 또는 산소원자를 개재해서 유기기를 가지는 구조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성분의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의 함유량이,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3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5. 제3항에 있어서,
    (C)성분의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의 함유량이, (A)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30질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6. 기재필름의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을 가지며, 다른 쪽 면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점착제로 구성된 점착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점착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C)성분의 트리아딘계 자외선흡수제가,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3개의 페닐기가 2,4,6-위치에 도입된 1,3,5-트리아딘 화합물로서, 상기 3개의 페닐기 중 적어도 1개의 페닐기가, 상기 2-위치에 히드록실기를, 4-위치에 히드록실기 또는 산소원자를 개재해서 유기기를 가지는 구조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한 하드코트층 형성재료를 이용해서 형성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
  9. 제6항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이, 근적외선 차폐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
  10. 제7항에 있어서,
    하드코트층이, 근적외선 차폐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
  11. 제6항에 있어서,
    곡면유리에 첩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사차폐필름.
KR1020097021835A 2007-03-30 2008-03-19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 KR101045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2394A JP4881208B2 (ja) 2007-03-30 2007-03-30 日射遮蔽フィルム用粘着剤及び日射遮蔽フィルム
JPJP-P-2007-092394 2007-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550A KR20100009550A (ko) 2010-01-27
KR101045467B1 true KR101045467B1 (ko) 2011-06-30

Family

ID=3983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835A KR101045467B1 (ko) 2007-03-30 2008-03-19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12347A1 (ko)
JP (1) JP4881208B2 (ko)
KR (1) KR101045467B1 (ko)
CN (1) CN101679824B (ko)
TW (1) TWI425063B (ko)
WO (1) WO20081233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7062A (ja) * 2008-10-17 2010-04-30 Fujifilm Corp 長波紫外線吸収積層体
JP2010192621A (ja) * 2009-02-17 2010-09-02 Gunze Ltd 電磁波シールド材およびそれを装着してな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10116814A1 (ja) * 2009-04-10 2010-10-1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粘着ラベル
JP2011202144A (ja) * 2010-03-01 2011-10-13 Fujifilm Corp 粘着剤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テープ若しくはフィルム、表面保護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又は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499837B2 (ja) * 2010-03-31 2014-05-21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熱線遮蔽フィルム
KR101272362B1 (ko) * 2010-10-20 2013-06-07 (주)엘지하우시스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WO2012057005A1 (ja) * 2010-10-27 2014-05-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太陽熱発電用フィルムミラー、太陽熱発電用フィルムミラーの製造方法およ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KR101267776B1 (ko) * 2010-11-10 2013-05-24 (주)엘지하우시스 재박리성 및 상용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용 실리콘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
JP5654397B2 (ja) * 2011-03-25 2015-01-14 株式会社Adeka 太陽電池用封止膜
JP5833518B2 (ja) 2011-09-20 2015-12-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線遮蔽材
JP5945393B2 (ja) 2011-09-30 2016-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10077061A (zh) * 2012-02-10 2019-08-0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5932430B2 (ja) * 2012-03-28 2016-06-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6427925B2 (ja) * 2013-04-18 2018-11-28 東レ株式会社 ウインドウフィルム
JP5794369B2 (ja) 2013-11-26 2015-10-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JP6225673B2 (ja) * 2013-12-02 2017-11-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WO2015111562A1 (ja) * 2014-01-24 2015-07-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シートおよび調光板
CN104432973B (zh) * 2014-11-25 2016-09-14 东莞市莞信企业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鞋面贴
JP6535924B2 (ja) * 2014-12-17 2019-07-0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CN104479597B (zh) * 2014-12-22 2016-08-17 广东鑫瑞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防紫外线玻璃功能膜用粘胶剂
KR102228255B1 (ko) * 2015-10-30 2021-03-17 스미토모 긴조쿠 고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층, 근적외선 차폐 필름, 적층 구조체, 적층체 및 점착제 조성물
JP2017097067A (ja) * 2015-11-19 2017-06-0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黄変抑制用層構造及びウィンドウフィルム
CN107234803B (zh) * 2016-03-28 2019-08-3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粘贴保护膜时的处理系统和方法
EP3632943A4 (en) * 2017-05-30 2021-09-08 Riken Technos Corporation COMPOSITION OF ACTIVE ENERGY CURING RESIN, HARD COATING LAMINATE FILM, AND FILM INTENDED TO BE APPLIED TO GLASS
CN114502680B (zh) 2019-10-11 2023-12-01 住友化学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
CN114450375A (zh) 2019-10-11 2022-05-06 住友化学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
CN114502687A (zh) 2019-10-11 2022-05-13 住友化学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
WO2024029596A1 (ja) * 2022-08-05 2024-02-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9020A1 (en) 2003-04-15 2004-10-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stable structures
EP1516722A1 (en) * 2002-06-21 2005-03-23 Teijin Chemicals, Ltd. Acrylic resin composition, organosiloxane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s made by using them
KR20080108445A (ko) * 2006-03-10 2008-12-15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0350A5 (fr) * 1987-02-27 1988-11-08 Saint Roch Glaceries Panneau vitre cintre.
JP3181284B2 (ja) * 1990-01-12 2001-07-03 旭電化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ー線反応性粘着剤組成物
JPH073217A (ja) * 1993-06-15 1995-01-06 Akiyama Seiji 紫外線吸収性透明粘着シート
WO1995018162A1 (fr) * 1993-12-24 1995-07-06 Nippon Shokubai Co., Ltd. Polymere bloc, polymere d'addition thermoplastique,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et leurs utilisations
JPH10110140A (ja) * 1996-10-07 1998-04-28 Sekisui Chem Co Ltd 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JPH10279901A (ja) * 1997-02-04 1998-10-20 Oji Paper Co Ltd 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3417803B2 (ja) * 1997-07-07 2003-06-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シート
JPH11116910A (ja) * 1997-10-15 1999-04-27 Sekisui Chem Co Ltd 粘着シート
JP4326679B2 (ja) * 2000-07-19 2009-09-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4812963B2 (ja) * 2001-05-18 2011-11-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加工用粘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ウエハの加工方法
CN100336880C (zh) * 2001-08-03 2007-09-1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两面胶以及使用它的ic芯片的制造方法
US7214742B2 (en) * 2001-11-30 2007-05-08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 2-hydroxyphenyl-s-triazine crosslinkers for polymer networks
JP2003213230A (ja) * 2002-01-25 2003-07-30 Asahi Glass Co Ltd 保護フィルム
JP4198398B2 (ja) * 2002-06-24 2008-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両面接着テープ
US20040182512A1 (en) * 2003-03-20 2004-09-23 Toyo Ink Mfg. Co.,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sheet
KR100600430B1 (ko) * 2003-10-28 2006-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데이터 저장용 기재의 커버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16722A1 (en) * 2002-06-21 2005-03-23 Teijin Chemicals, Ltd. Acrylic resin composition, organosiloxane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s made by using them
US20040209020A1 (en) 2003-04-15 2004-10-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stable structures
KR20080108445A (ko) * 2006-03-10 2008-12-15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9824B (zh) 2012-10-10
TWI425063B (zh) 2014-02-01
TW200844200A (en) 2008-11-16
WO2008123334A1 (ja) 2008-10-16
JP4881208B2 (ja) 2012-02-22
KR20100009550A (ko) 2010-01-27
CN101679824A (zh) 2010-03-24
US20100112347A1 (en) 2010-05-06
JP2008248131A (ja) 200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467B1 (ko)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
TWI830400B (zh) 雙面黏著片材、含圖像顯示裝置構成用構件之積層體、積層體形成套組及雙面黏著片材之用途
EP3077432B1 (en) Optically clear adhesives for durable plastic bonding
CN107001888B (zh) 粘合剂组合物、粘合剂、粘合片材、两面粘合片材、透明电极用粘合剂、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CN113383048A (zh) 带粘合剂层的防反射膜、自发光型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JP6630629B2 (ja) 粘着シート用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JP2018172450A (ja) 光硬化型粘着剤組成物
KR101687059B1 (ko) 점착제 조성물
JP7099896B2 (ja) ウィンドウフィルム
US2021006205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improved weatherability
JP2014009339A (ja) プラスチック製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
JP2018159014A (ja) 粘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33297A (ko) 이형 필름 구비 점착 시트, 이형 필름 구비 화상 표시장치용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용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6958180B2 (ja) 無溶剤型粘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シート、光学部材用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
KR101804598B1 (ko)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WO2017099139A1 (ja) 硬化型組成物
CN114207066A (zh) 粘着片、结构体及结构体的制造方法
JP6831230B2 (ja) 硬化性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WO2024029596A1 (ja) ウィンドウフィルム
KR102401141B1 (ko) 점착 시트,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7211713B2 (ja) 接着剤樹脂組成物
JP201711010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2487396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1727403B1 (ko) 경화성 조성물
CN108701597B (zh) 保护膜形成用复合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