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362B1 -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362B1
KR101272362B1 KR1020100102396A KR20100102396A KR101272362B1 KR 101272362 B1 KR101272362 B1 KR 101272362B1 KR 1020100102396 A KR1020100102396 A KR 1020100102396A KR 20100102396 A KR20100102396 A KR 20100102396A KR 101272362 B1 KR101272362 B1 KR 10127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sensitive adhesive
acrylic
window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893A (ko
Inventor
이태화
조익환
김인숙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102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3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로 중합되고, 분자량(Mw)이 80만 내지 200만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50℃ ~ -3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CRYLIC COPOLYMER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ITH EXCELLENT COMPATIBILITY AND DURABILITY FOR WINDOW FILM AN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WINDOW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착물인 유리에 부착후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또한 상용성이 우수하여 결정화 거동을 없앨 수 있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물이나 차량, 전시용 등의 이른바 개구부는, 태양광선을 투과하기 위해서 투명한 유리판이나 수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태양광선에는 가시광선 외에 자외선이나 근적외선이 포함되어 있다.
태양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은 일광화상의 원인이 되어, 인체에 대한 악영향이 지적되고 있으며, 또 자외선에 의한 포장재의 열화(deterioration) 가 원인으로 내용물의 변질이 생기는 경우도 잘 알려져 있다.
한편, 태양에 포함되는 근적외선에 대해서도, 직사일광에 의한 실내의 온도상승을 일으켜, 여름철의 냉방효과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자외선이나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일사차폐 필름과 같은 윈도우 필름이, 건물이나 차량의 유리창 첩부용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윈도우 필름은 점착제를 통하여 건물이나 차량의 윈도우에 부착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의 경우, 두께가 10㎛ 이하일 경우, 자외선을 95%이상 차단하기는 어렵다.
또한, 종래의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는 상용성의 문제로 인하여 고가의 액상 타입을 적용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UV 흡수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로 중합되고, 분자량(Mw)이 80만 내지 200만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50℃ ~ -3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90 ∼ 99.9 중량%와 ⅱ)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 0.1 ~ 10 중량%가 공중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UV 흡수제를 포함하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로 중합되고, 분자량(Mw)이 80만 내지 200만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50℃ ~ -3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범용적인 고상의 자외선 흡수제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결정화 거동이 없으며, 시공성이 우수하고, 제거시 잔류물이 적으며,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UV 흡수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 두께 10㎛를 기준으로 5% 이하의 UV 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UV 흡수제의 표면 이행이나 결정화 거동에 의한 불량뜸이 발생하지 않고, 윈도우로부터 필름 제거시에 점착제 잔류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적용된 윈도우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로 중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분자량(Mw)이 80만 내지 200만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50℃ ~ -38℃인 것으로 한정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Mw)이 80만 미만의 경우, 고분자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점착제 제거시 잔류물이 남거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Mw)이 200만을 초과할 경우 점착제는 응집력이 높아지는 대신, 점착특성이 매우 낮아져 피착체로의 젖음성이 좋지 않게 되므로, 외부 환경변화로 들뜨거나, 기포유입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에 사용되는 점을 감안할 때, 그 분자량(Mw)은 80만 내지 20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38℃를 초과하면 계절에 따른 박리력 변화가 심하며, 겨울철의 건물 외부 유리에 시공시 젖음성 불량에 의하여 접착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사용되기는 어렵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50℃ 미만이면 계절별 박리력 변화특성은 양호하나, 여름철 필름외부로 점착제 찐이 나올 수 있으며, 이는 점착제의 시공부위의 미관을 훼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에 사용되는 점을 감안할 때, 유리전이온도(Tg)가 -50℃ ~ -38℃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90 ∼ 99.9 중량%와, ⅱ)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합산 0.1 ~ 10 중량%가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의 탄소수가 1∼12인 알킬 에스테르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점착력과 응집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co-monomer)와 공중합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공단량체로는 통상의 공중합 가능한 비닐기를 가진 단량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스티렌,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ⅱ)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점착제의 응집력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화학결합에 의한 응집력 또는 접착강도를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질소 함유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이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는 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ⅱ)의 비닐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합산으로 0.1∼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계 단량체 등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응집파괴가 일어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비닐계 단량체 등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용성이 감소되어 유동특성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제에 의한 가교밀도가 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가교제가 포함될 경우, 시간에 따른 물성 변화가 크며, 에이징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가교제가 0%로,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시간에 따른 물성 변화가 미미하고, 에이징이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중합법, 에멀젼중합법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 용액중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액중합법을 이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중합 온도는 50∼140℃ 정도가 될 수 있다. 개시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량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첨가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용액중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5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 L의 반응기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
상기 반응기에, 유리전이온도가 -42℃가 되도록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HA) 57.5g, 메틸아크릴레이트 25g, 에틸아크릴레이트 15g, 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HBA) 2.5g가 혼합된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EAc) 100g을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로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55℃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반응개시제로 에틸아세테이트에 50중량% 농도로 희석시킨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0.05g을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반응기에, 유리전이온도가 -42℃가 되도록 부틸아크릴레이트 (BA) 57.5g, 메틸아크릴레이트 25g, 에틸아크릴레이트 15g, 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HBA) 2.5g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EAc) 100g을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55℃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반응개시제로 에틸아세테이트에 50중량% 농도로 희석시킨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0.05g을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반응기에, 유리전이온도가 -42℃가 되도록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HA) 30g, 부틸아크릴레이트 27.5g, 메틸아크릴레이트 25g, 에틸아크릴레이트 15g, 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2-HBA) 2.5g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EAc) 100g을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로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55℃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반응개시제로 에틸아세테이트에 50중량% 농도로 희석시킨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0.05g을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반응기에 유리전이온도가 -42℃가 되도록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EHA)30g, 부틸아크릴레이트27.5g, 메틸아크릴레이트25g, 에틸아크릴레이트15g, 아크릴산(AA)2.5g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EAc) 100g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로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55℃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반응개시제로 에틸아세테이트에 50중량% 농도로 희석시킨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0.05g을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2-HBA 대신 아크릴산(AA)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을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2-EHA를 52.5g으로 줄이고, AA 5g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을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2-EHA를 53g으로 줄이고, 2-HBA를 사용하지 않으며, AA를 7g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을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AA 대신에 아크릴아미드(Acrylamide)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동일한 조건을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2. 물성 평가 방법
a) 180° 박리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필름화하고,이를 자외선 경화형 도료가 코팅된 시트에 JIS Z 0237에 의거하여 2㎏의 롤러로 부착한 후, 23℃의 온도와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4시간 및 60℃ 오븐에 5일 동안 보관한 후, 300mm/min의 박리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g/25mm로 표시하였다. 시편은 2.5cm X 20cm로 절단한 것을 이용하였다.
b) 내구성 평가
60℃, 상대습도 90% 항온항습조에 100시간 동안 보관하여 결정화 여부나, 기포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또한, 상기의 샘플을 5℃ 냉장고에 10일간 보관한 후 결정화 여부 및 기포 발생 여부도 관찰하였다.
2. 물성 평가 결과
표 1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5에 따른 필름의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10067734372-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 3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로 제조된 필름의 경우, 비교예 1 ~ 4에 따라 제조된 필름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박리력(g/25mm)을 나타내고,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박리력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재박리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 4에 따라 제조된 필름의 경우 박리 후 잔사가 있어 사용기간이 지난 후 재시공시 잔사를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실시예 1 ~ 3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경우 박리 후 잔사가 없었다. 또한, 비교예 1 ~ 5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경우 결정화가 발생하여 자외선 차단제와의 상용성이 좋지 못하나, 실시예 1 ~ 3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경우 결정화가 발생하지 않아 자외선 흡수제와의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구성의 경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5에 따라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모두 우수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UV 흡수성이 우수한 자외선 흡수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저온 및 고온 모두에서 내구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UV 흡수제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거시 잔류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성 등을 통하여,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보통 일반적인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 UV 흡수제를 4 중량% 이상 첨가시에 상분리 또는 결정화 거동으로 인해서 외관품질 불량이 된다. 또한, 고온 고습 조건에서 박리력이 증가하게 되고, 시공 후 제거시에 유리에 잔류물이 많이 남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아크릴 산을 이용한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장기 내구성 테스트 후 박리시 유리에 잔류물이 많이 남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UV 흡수제와의 우수한 상용성 및 내구성을 바탕으로 UV 흡수제를 4중량% 이상 첨가하더라도 잔류물이 거의 없고, 박리력의 변화가 없는 점착제를 제조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 제조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첨가되는 UV 흡수제는 벤조페논(Benzophenone) 계열,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계열, 옥칠메톡시 시너메이트 계열 등 UV 흡수제로 이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제조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첨가되는 UV 흡수제는 점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의 6 ~ 1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 두께 10㎛ 기준으로 7~8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UV 흡수제가 조성물 전체 중량의 6% 미만으로 첨가되면 5% 이하의 UV 투과율을 나타내기 어렵다. 또한, UV 흡수제가 조성물 전체 중량의 10%를 초과하면, 과다 첨가로 인하여 UV 흡수제의 표면 이행 등 점착제 물성 열화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UV 흡수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자외선 차단 효과가 높다. 예를 들어, UV 흡수제의 함량이 3중량%일 때, 380nm 파장에서 자외선 차단효과가 70%이라면, UV 흡수제의 함량이 8중량%이면 차단효과가 대략 97%가 될 수 있다.
다만,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이 과다하면, 결정화 거동, 또는 표면으로의 이행(migration)으로 인해서 점착제의 물성이 나빠지고, 특히 필름의 제거시 잔사가 남거나, 필름 가장자리에서 점착제 밀림(점착제 찐)으로 인해서 표면 외관이 나빠질 수 있고, 내구성이 불량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적인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UV 흡수제의 함량이 4중량% 이상 첨가하기 어려웠다. 그 결과, 높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하고, 이에 따라 점착제 제조 비용 상승과 함께 재시공시 점착제 잔류물이 많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경우 UV 흡수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점착제 조성물에서 UV 흡수제의 함량을 2배 가까이 증대시킴으로써 점착제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적용된 윈도우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윈도우 필름(110)의 부착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점착제층(120)이 형성된다. 점착제층(120)의 표면은 이형 필름(130)에 의하여 보호된다.
상기 점착제층(120)은 8 ~ 11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8㎛ 미만인 경우, 자외선 차단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가 11㎛를 초과할 경우 UV 흡수제의 양도 많아지므로 자외선 차단성능은 좋아지지만, 윈도우 필름 제거시 점착제의 잔류물의 양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다.
윈도우 필름(110)은 산업용 필름, 박물관용 필름, 일사방지 필름, 태양광 조절 필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필름이 될 수 있다. 또한 기능적으로도, 보호 필름, 클리닝 시트, 반사 시트, 구조용 점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등 다양한 기능에 적용되는 필름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UV 흡수제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결정화 거동이 없으며, 시공성이 우수하고, 제거시 잔류물이 적으며,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윈도우 필름
120 : 점착제층
130 : 이형 필름

Claims (14)

  1.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90 ∼ 99.9 중량%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 0.1 ~ 10 중량%가 공중합되고, 분자량(Mw)이 80만 내지 200만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50℃ ~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의 탄소수가 1∼12인 알킬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에스테르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에서 1종이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아세테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co-monomer)과 공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ⅱ) 비닐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질소 함유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및 푸마르산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함유 단량체는
    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및 N-비닐 카프로락탐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10.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UV 흡수제를 포함하되,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 90 ∼ 99.9 중량%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아크릴계 단량체 0.1 ~ 10 중량%가 공중합되고, 분자량(Mw)이 80만 내지 200만이며, 유리전이온도(Tg)가 -50℃ ~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UV 흡수제를 6 ~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계열 UV 흡수제, 벤조페논(Benzophenone) 계열 UV 흡수제 및 옥칠메톡시 시너메이트 계열 UV 흡수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4. 윈도우 부착면에 제10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점착제층이 8 ~ 11 ㎛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필름.
KR1020100102396A 2010-10-20 2010-10-20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272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396A KR101272362B1 (ko) 2010-10-20 2010-10-20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396A KR101272362B1 (ko) 2010-10-20 2010-10-20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893A KR20120040893A (ko) 2012-04-30
KR101272362B1 true KR101272362B1 (ko) 2013-06-07

Family

ID=4614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396A KR101272362B1 (ko) 2010-10-20 2010-10-20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3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4879A (ja) * 2014-12-17 2016-06-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WO2024029596A1 (ja) * 2022-08-05 2024-02-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11B1 (ko) * 2013-01-08 2015-02-24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블리스터 포장용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824A (ja) * 2000-06-02 2002-02-19 Fuji Photo Film Co Ltd 紫外線吸収粘着フイルム
KR20090072867A (ko) * 2007-12-29 2009-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100009550A (ko) * 2007-03-30 2010-01-2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824A (ja) * 2000-06-02 2002-02-19 Fuji Photo Film Co Ltd 紫外線吸収粘着フイルム
KR20100009550A (ko) * 2007-03-30 2010-01-2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일사차폐필름용 점착제 및 일사차폐필름
KR20090072867A (ko) * 2007-12-29 2009-07-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4879A (ja) * 2014-12-17 2016-06-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WO2024029596A1 (ja) * 2022-08-05 2024-02-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ウィンドウ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893A (ko)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238B1 (ko) 양면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9657197B2 (en) Adhesive, adhesive layer, and adhesive sheet
US9650547B2 (en)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adiation-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laminate
US2014027220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touch panel
US20140044961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912407B1 (ko) 점착 시트
KR10081338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US20160185083A1 (en)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133858B1 (ko) 양면 점착제층 딸린 편광 필름,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4527773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KR102455461B1 (ko) 양면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6224307A (ja)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14043A (ja) 光学用粘着剤、光学用粘着シート及び光学フィルタ
JP5030055B2 (ja) 耐熱性粘着剤組成物
US9957424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2013189631A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ならびに基材レス粘着シート
KR101272362B1 (ko) 상용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윈도우 필름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필름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120109400A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KR101911994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2022040300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KR102009381B1 (ko) 박형 편광판
KR101852970B1 (ko)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220001276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그 경화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이를 구비한 광학소자
KR102126678B1 (ko) 비산 방지 필름
KR102076122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