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721B1 -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721B1
KR101041721B1 KR1020100103477A KR20100103477A KR101041721B1 KR 101041721 B1 KR101041721 B1 KR 101041721B1 KR 1020100103477 A KR1020100103477 A KR 1020100103477A KR 20100103477 A KR20100103477 A KR 20100103477A KR 101041721 B1 KR101041721 B1 KR 10104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d
dried
gimbap
dried squid
br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자
Original Assignee
배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인자 filed Critical 배인자
Priority to KR102010010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50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의 해독을 돕는 타우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고단백식품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으로서 특히 마른 오징어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의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여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른오징어 1㎏ 당 다시마 100g, 무 500g, 마늘 100g, 생강 50g, 건고추 50g, 통후추 20g, 다랑어 200g, 대파 50g, 물 5ℓ를 혼합하여 120∼130℃로 20∼30분 동안 끊인 육수를 가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육수에 마른 오징어를 담근 후 11∼12시간 동안 1차 숙성시키어 마른오징어를 연하고 부드럽게 하는 제2단계와;상기 제2단계를 통해 육수에 1차 숙성된 마른오징어의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와; 정종 100㎖, 설탕 100g, 들기름 100㎖, 고추가루 100g, 고추장 100g, 갈은 마늘 50g, 갈은 풋고추 100g, 참깨 50g을 혼합하여 양념을 가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제조된 양념에 상기 제3단계를 통해 가동된 마른오징어를 버무린 후 8∼10시간 동안 2차 숙성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양념가공된 마른오징어 1㎏당 참기름 60㎖ 넣고 1∼2분 동안 볶아주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를 통해 양념가공된 마른오징어를 김을 외피로 하여 밥과 함께 말아 싸 김밥을 제조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A Mehtode of the Kim-bob}
본 발명은 김을 외피로 하여 내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인 김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의 해독을 돕는 타우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고단백식품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으로서 특히 마른 오징어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의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여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밥은 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인 김밥은 소풍 및 야영을 할 때 음용하는 도시락으로 주로 사용되며, 각종 재료가 첨가되어 고영양의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근자에는 간의 해독을 돕는 타우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고단백식품인 오징어를 재료로 하여 맛과 영양을 풍성하게 하는 각종 김밥이 제안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오징어를 재료로 하는 김밥으로는 한국공개특허제 2001-75856호(명칭: QF고기(쇠고기. 오징어를 이용한 김밥)이 제안되어 있으며, 상기 김밥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기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제조된다.
① 생물 오징어를 사용(냉동 오징어는 해동한 뒤 이용) 몸통만 이용한다.
② 겉 껍질을 벗기고 (수건이나 목장갑을 끼면 수월하게 껍질을 벗길 수 있다.) 몸통의 앞,뒤쪽 모두에 칼집을 낸다 (가로,세로, 대각선으로 고루 칼집을 낸다) 이것은 오징어를 불에 익혔을 때 몸통이 말리는 것을 막기위함이며 반드시 앞,뒤 양쪽에 칼집을 낸다.
③ 칼집을 낸 오징어 몸통을 길게 폭 1cm 정도를 자른다.
④ " 3" 에 오징어 불고기 양념(고추장, 설탕, 참기름, 마늘)을 한다.
이때 간장은 넣지않는데 이것은 오징어가 익을 때 물이 나오기 때문
⑤ " 4" 를 불에 잘 익혀낸다. ⑥ 김밥용 김에 밥을 고루펴고 밥위에 오징어 불고기의 양념국물을 적당히(2숟가락정도)고루 바른다음 깻잎을 깔고 다른 재료도 차례로 놓고 둥글게 말아 폭 1cm 정도로 썬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징어를 이용한 김밥은 생물의 오징어를 사용해야만 하기 때문에 오징어의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고 비용이 상승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공 시기 또한 오징어가 잡히는 계절에만 제공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의 해독을 돕는 타우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고단백식품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으로서 특히 마른 오징어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의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은 마른오징어 1㎏ 당 다시마 100g, 무 500g, 마늘 100g, 생강 50g, 건고추 50g, 통후추 20g, 다랑어 200g, 대파 50g, 물 5ℓ를 혼합하여 120∼130℃로 20∼30분 동안 끊인 육수를 가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육수에 마른 오징어를 담근 후 11∼12시간 동안 1차 숙성시키어 마른오징어를 연하고 부드럽게 하는 는 제2단계와;상기 제2단계를 통해 육수에 1차 숙성된 마른오징어의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와; 정종 100㎖, 설탕 100g, 들기름 100㎖, 고추가루 100g, 고추장 100g, 갈은 마늘 50g, 갈은 풋고추 100g, 참깨 50g을 혼합하여 양념을 가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제조된 양념에 상기 제3단계를 통해 가동된 마른오징어를 버무린 후 8∼10시간 동안 2차 숙성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양념가공된 마른오징어 1㎏당 참기름 60㎖ 넣고 1∼2분 동안 볶아주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를 통해 양념가공된 마른오징어를 김을 외피로 하여 밥과 함께 말아 싸 김밥을 제조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은 건조하고 딱딱한 마른 오징어를 육수에 1차 숙성하여 연하고 부드럽게 가공함으로써 식감있게 한 후 양념에 숙성한 후 김에 밥과 함께 말아 싸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간의 해독을 돕는 타우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고단백의 김밥을 제조함 은 물론 특히 생물이 아닌 마른 오징어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의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 방법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 방법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 방법은 마른오징어 1㎏ 당 다시마 100g, 무 500g, 마늘 100g, 생강 50g, 건고추 50g, 통후추 20g, 다랑어 200g, 대파 50g, 물 5ℓ를 혼합하여 120∼130℃로 20∼30분 동안 끊인 육수를 가공하는 제1단계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육수에 마른 오징어를 담근 후 11∼12시간 동안 1차 숙성시키어 마른오징어를 연하고 부드럽게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육수에 1차 숙성된 마른오징어의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를 가진다.
상기 제2단계에 의한 마른 오징어는 연하고 부드럽게 가공되어 식감있게 가공된다.
즉 소비자가 먹기 편하고 용이하게 씹을 수 있게 가공된다.
따라서 생물의 오징어가 사용될 필요가 없어, 보간 및 운송이 용이하고 생물오징어가 채집되지 않는 계절에도 안정되게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종 100㎖, 설탕 100g, 들기름 100㎖, 고추가루 100g, 고추장 100g, 갈은 마늘 50g, 갈은 풋고추 100g, 참깨 50g을 혼합하여 양념을 가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제조된 양념에 상기 제3단계를 통해 가동된 마른오징어를 버무린 후 8∼10시간 동안 2차 숙성하는 제5단계를 가진다.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연하고 부드럽게 가공된 마른 오징어에 양념이 고르게 침착되어 맛이 더욱 풍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양념가공된 마른오징어 1㎏당 참기름 60㎖ 넣고 1∼2분 동안 볶아주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를 통해 양념가공된 마른오징어를 김을 외피로 하여 밥과 함께 말아 싸 김밥을 제조하는 제7단계를 통해 김밥이 완성된다.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오징어 특유의 쫄깃함이 유지되어 식감이 풍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건조하고 딱딱한 마른 오징어를 육수에 1차 숙성하여 연하고 부드럽게 가공함으로써 식감 있게 한 후 양념에 숙성한 후 김에 밥과 함께 말아 싸 김밥을 제조함으로써, 간의 해독을 돕는 타우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고단백의 김밥을 제조함 은 물론 특히 생물이 아닌 마른 오징어를 사용할 수 있어 재료의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하여 계절에 상관없이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Claims (1)

  1. 마른오징어 1㎏ 당 다시마 100g, 무 500g, 마늘 100g, 생강 50g, 건고추 50g, 통후추 20g, 다랑어 200g, 대파 50g, 물 5ℓ를 혼합하여 120∼130℃로 20∼30분 동안 끊인 육수를 가공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제조된 육수에 마른 오징어를 담근 후 11∼12시간 동안 1차 숙성시키어 마른오징어를 연하고 부드럽게 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육수에 1차 숙성된 마른오징어의 표면에 잔존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제3단계와;
    정종 100㎖, 설탕 100g, 들기름 100㎖, 고추가루 100g, 고추장 100g, 갈은 마늘 50g, 갈은 풋고추 100g, 참깨 50g을 혼합하여 양념을 가공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를 통해 제조된 양념에 상기 제3단계를 통해 가동된 마른오징어를 버무린 후 8∼10시간 동안 2차 숙성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를 통해 양념가공된 마른오징어 1㎏당 참기름 60㎖ 넣고 1∼2분 동안 볶아주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를 통해 양념가공된 마른오징어를 김을 외피로 하여 밥과 함께 말아 싸 김밥을 제조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KR1020100103477A 2010-10-22 2010-10-22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KR10104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477A KR101041721B1 (ko) 2010-10-22 2010-10-22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477A KR101041721B1 (ko) 2010-10-22 2010-10-22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1721B1 true KR101041721B1 (ko) 2011-06-14

Family

ID=4440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477A KR101041721B1 (ko) 2010-10-22 2010-10-22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7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559A (ko) * 1998-03-28 1998-06-05 허시명 김밥속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속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김밥속과 이를 이용한 김밥 (the manufacture method of spices for a vinegared rice rolled in a sheet of laver, spices thereof and the spieces for a vinegared rice rolled in a sheet of laver)
KR20010075856A (ko) * 2000-01-20 2001-08-11 조충희 불고기(쇠고기, 오징어를 이용한) 김밥
JP2004081177A (ja) 2002-08-29 2004-03-18 Yoki:Kk 生イカの足からなる成形食材及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用途
KR20060091871A (ko) * 2005-02-16 2006-08-22 김승일 간장 오징어장 제조방법과 오징어장 가공방법 및 그 오징어장을 가공한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559A (ko) * 1998-03-28 1998-06-05 허시명 김밥속을 제조하기 위한 김밥속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김밥속과 이를 이용한 김밥 (the manufacture method of spices for a vinegared rice rolled in a sheet of laver, spices thereof and the spieces for a vinegared rice rolled in a sheet of laver)
KR20010075856A (ko) * 2000-01-20 2001-08-11 조충희 불고기(쇠고기, 오징어를 이용한) 김밥
JP2004081177A (ja) 2002-08-29 2004-03-18 Yoki:Kk 生イカの足からなる成形食材及びその製法並びにその用途
KR20060091871A (ko) * 2005-02-16 2006-08-22 김승일 간장 오징어장 제조방법과 오징어장 가공방법 및 그 오징어장을 가공한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41729A (zh) 一种低温熟化牛排及其加工方法
KR100888232B1 (ko) 새우장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385451A (zh) 一种营养美味的海鲜酱及其制作方法
US20160338400A1 (en) Natural stone oven for roasting nuts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CN103750138B (zh) 一种海带功能性鱼饺及其加工方法
CN101422255A (zh) 一种方便即食鱼的制备方法
KR101788627B1 (ko) 딱새우 떡어묵 제조방법
CN102461910A (zh) 一种猪皮营养条
CN102919782A (zh) 香辣萝卜干及其制备方法
KR20120107766A (ko) 꽃게 김치의 제조방법
KR101041721B1 (ko) 마른 오징어를 주원료로 하는 김밥의 제조방법
KR100367577B1 (ko) 버섯김치 제조방법
KR101252054B1 (ko) 흑마늘을 이용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CN104256671A (zh) 一种超薄酥脆的干肉类制品及其制作方法
CN104336567A (zh) 一种强心生津酸菜及其生产方法
CN103989123A (zh) 一种新型五香大头菜及其制备新方法
KR101784396B1 (ko) 코다리 회무침 제조방법
KR102372075B1 (ko) 포장 배달용 칼국수 제조 방법
CN102948829B (zh) 一种即食调味干扇贝柱的加工方法
KR102043619B1 (ko) 염장생선의 가공방법
CN106360508A (zh) 一种辣白菜的制作方法
KR100609468B1 (ko) 마 김치의 제조방법
KR20050074229A (ko) 가공된 기능성 쌀의 제조 및 그 방법
KR100396112B1 (ko) 조미액이 첨가된 강정형 파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609664A (zh) 一种杏干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