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492B1 -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 Google Patents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492B1
KR101037492B1 KR1020077029122A KR20077029122A KR101037492B1 KR 101037492 B1 KR101037492 B1 KR 101037492B1 KR 1020077029122 A KR1020077029122 A KR 1020077029122A KR 20077029122 A KR20077029122 A KR 20077029122A KR 101037492 B1 KR101037492 B1 KR 10103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layer
elastic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323A (ko
Inventor
미하엘 칼베
올리버 스타우덴메이어
만프레드 외스트
페터 루덱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11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6Shoulder-pads; Hip-pads; Bust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being specifically extensible by reason of its structure or arrangement, e.g. by reason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4Mixture of at least two fibr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1/00Upholst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10T442/602Nonwoven fabric comprises an elast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8Separate nonwoven fabric layers comprise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Autogenously bond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ubricant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심지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용융 방사 섬유 층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섬유 재료 층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고정 가능한 심지 재료의 적어도 부분 영역에는 접착제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탄력 섬유 심지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용융 방사 섬유는 탄력적인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섬유 재료 층은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력적인 용융 방사 섬유 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 섬유 층은 결합되지 않은 평탄 섬유 집합체로서 서로 위·아래로 배치된 다음에 공지된 결합 공정에 의해서 강화된다.

Description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FIXABLE NONWOVEN INTERLINING MATERIAL USED IN THE TEXTILE INDUSTRY}
본 발명은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심지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용융 방사 섬유 층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섬유 재료 층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고정 가능한 심지 재료의 적어도 부분 영역에는 접착제가 제공된다.
심지 재료는 의복의 보이지 않는 기본 틀이다. 상기 심지 재료는 정확한 맞춤 형상 및 최적의 착용 안락감을 제공해준다. 적용례에 따라, 상기 심지 재료는 가공 가능성을 지원해주고, 기능성을 높여주며, 의복을 안정시켜준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의복 분야 외에, 예컨대 가구 산업, 쿠션 산업 그리고 가정용 섬유 산업과 같은 섬유 공학적인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심지 재료는 부직포, 직물, 망사 또는 그와 대등한 평탄 섬유 집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심지 재료에는 대부분 접착제가 추가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심지 재료의 상부 재료들은 대부분 열적으로 열 및/또는 압력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고정 장치). 상기와 같이 다양한 평탄 섬유 집합체는 제조 방법에 따라 상이한 특성 프로파일을 갖는다. 직물은 날실과 씨실 방향의 실/털실로 이루어지고, 망사는 그물 눈(mesh) 결합 방식을 통해 하나의 평탄 섬유 집합체로 결합되는 실/털실로 이루어진다. 부직포는 열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되는 개별 섬유로 이루어진다. 평탄 섬유 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상이한 방법들은 충분히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이 필요치 않다.
의복 분야에 사용되는 상부 재료들도 마찬가지로 충분히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상부 재료와 심지 재료 사이에서 가급적 균일한 결합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심지 재료의 특성 프로파일이 상부 재료의 특성 프로파일에 적응되어야만 한다. 중요한 기준은 감촉, 상부 재료/심지 재료 결합체의 촉감,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재료에 대한 심지 재료의 접착 상태이다. 그 경우 추가의 요구 조건들은 예컨대 세척 또는 화학적 세정의 경우에 상기 상부 재료/심지 재료-결합체의 관리 특성에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적용례에서의 중요한 기준은 장시간에 걸친 사용 가능성 또는 사용시에 의류에서 나타나는 상기 심지 재료의 특이한 반응이다.
상부 재료 분야에는, 새로운 특성들을 갖는 새로운 재료들로 영구적으로 보완되는 매우 많은 개수의 아주 다양한 재료들이 존재한다. 착용시 뒤집을 수 있게 몸에 적응될 수 있는 상부 재료들이 최신 유행 경향이며, 이와 같은 상부 재료들에 의해서는 의류의 안락한 착용감이 형성된다. 상기 사용된 상부 재료들은 단일 방향성, 양 방향성 또는 다중 방향성과 같은 탄력 특성을 보인다. 다시 말해, 상기 상부 재료들은 팽창될 수 있고, 당연히 원상태로 다시 이완될 수 있다. 상부 재료가 몸 동작에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음으로써, 그와 동시에 의류 착용시에는 더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까지도 유발하게 된다. 상부 재료의 탄력 특성이 의류 내에서 완전하게 작용을 미칠 수 있는 전제 조건은 상기와 같은 팽창- 및 이완 동작에 순응할 수 있는 심지 재료이다. 팽창이 불가능하고, 접착제에 의해서 탄력적인 상부 재료에 고정되는 심지 재료는 상부 재료의 팽창 및 이완을 방해할 수 있다. 직물, 망사, 편물, 라셀(Raschel) 재료 등의 실을 함유하는 평탄한 집합체로 이루어진 심지 재료의 경우에, 필요한 탄성은 대부분 주름진 특수한 실에 의해서 또는/그리고 주름을 잡는 공정, 수축 공정 등과 같이 통상적인 섬유에서 실시되는 특수 처리를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평탄 섬유 집합체의 경우에는 실의 길이를 인공적으로 줄일 수가 있는데, 이와 같이 인공적으로 길이가 줄어든 실은 재차 팽창될 수 있으면서도 탄력적으로 복원될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개별 섬유들이 마찰 및/또는 점착 혹은 부착에 의해서 결합된, 보강된 개별 섬유 집합체로 규정된 부직포는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특성들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 특허 출원서와 동일한 종류의 선행 기술을 형성하는 일본 공개 공보 JP 2-503903 A호에서는, 라미네이팅(laminating; 적층)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부직포 심지 재료가 기술되고 있다. 상기 공지된 심지 재료는 섬유들이 함께 꼬아져서 형성된 부직포 및 섬유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층들로 구성되며, 상기 층들은 함께 얇은 판을 형성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층은 극도로 얇은 섬유들로 이루어진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로 구성된다. 상기 얇은 판으로 형성된 부직포에는, 고정을 위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지된 방식을 따라 접착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 혹은 섬유 분야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은 탄성을 갖는, 고정 가능한 동류의 심지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종래 방식의 고정 가능한 심지 재료에서, 용융 방사 섬유가 탄력적인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섬유 재료 층이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력적인 용융 방사 섬유 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되지 않은 불연속 섬유 층이 결합되지 않은 평탄 섬유 집합체로서 서로 위·아래로 배치된 다음에 부직포 제조 과정에서 전형적인 공지된 결합 공정에 의해서 하나의 부직포로 강화됨으로써 달성된다.
놀라운 것은,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지고 결합되지 않은 평탄 섬유 집합체를 탄력적인 용융 방사 섬유로 이루어진 탄력적인 평탄 섬유 집합체와 조합한 상태로 제공한 다음에 상기 결합체를 강화하면 최대의 탄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최대의 탄성은 이미 결합된 불연속 섬유 부직포 및 팽창 가능한 부직포로 이루어진 적층물(laminate)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달성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심지 재료의 한 가지 장점은, 상기 심지 재료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 탄성이 부직포의 배치 방식, 불연속 섬유의 조성, 탄력적인 폴리머의 종류 그리고 용융 방사 조건 및 강화 조건에 따라 넓은 범위에 걸쳐서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상적인 "고무 탄성체"와 유사한 상기 탄력적인 폴리머의 감촉은 불연속 섬유의 사용에 의해서 숨겨지고, 민감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탄력적인 재료는 용융 방사 공정에서 탄력적인 섬유로 방적되고, 상기 섬유는 탄력적인 평탄 섬유 집합체로서 저장된다. 추가의 한 처리 공정에서, 상기 탄력적인 평탄 섬유 집합체 위의 적어도 한 표면에는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결합되지 않은 평탄 섬유 집합체가 배치된다. 그 다음에, 용융 방사 섬유 및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평탄 섬유 집합체가 기계적으로(천자(needling) 방식, 워터 젯(water jet) 강화 방식), 화학적으로(결합제에 의한 결합 방식) 또는 바람직하게는 열적으로, 예컨대 롤러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캘린더링(calendering) 공정에 의해서 하나의 부직포로 강화된다. 고정 가능한 동류의 심지 재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개별 층을 위해서 고유한 한 가지 강화 공정이 실시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마지막에 이르러서는 상기 층들로 구성된 결합체에서 추가의 라미네이팅 공정이 실시되어야만 하는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심지 재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단 한 가지 강화 공정만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동류의 부직포에 비해 더 간단하고도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예컨대 페이스트-포인트, 페이스트-분말-포인트, 핫멜터(hot melt) 도포, 분산 코팅 등과 같이 심지 재료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이루어지는 접착제 코팅 과정 후에, 적어도 결합체 표면의 부분 영역에서는 감촉도 좋고 놀라울 정도로 탄력적인 고정 가능한 생성물이 얻어진다.
용융 방사 섬유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들은 바람직하게, 직물이 손상 없이 강화 과정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165℃ 이상의 용융점, 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의 용융점을 갖는 탄력적인 중합체를 포함한다. 매우 적합한 탄역적인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98 미만의 A 유연성을 갖지만, 탄성에 대한 요구 조건에 따라서는 더 단단한 중합체들도 사용될 수 있다.
탄력적인 중합체 중에서는 특히 예컨대 지방족 또는 방향족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카프롤락톤을 기초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이 선호된다. 적합한 추가의 탄력적인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와 같은 탄력적인 코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블록-코폴리아미드를 기초로 하는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처리 후에는, 상기와 같은 종류의 적층 구조물들이 예컨대 강화 공정에 의해서 매우 쉽게 평활화(flattening) 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예컨대 접합 장소에서는 눈에 띄는 구조물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효과는 유리 변환점이 낮은 탄력적인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촉진된다.
적어도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평탄 섬유 집합체용으로 기본적으로 적합한 불연속 섬유는, 용융되지 않으면서 강화 과정을 견딜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섬유들이다. 상기 사용되는 불연속 섬유들은 심지 재료에서 통상적인 화학 섬유 및/또는 천연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이 용융점이 165℃를 초과하는 열적으로 안정된 섬유들이 선호된다. 상이한 폴리머 성분으로 이루어진 섬유들도 화학 섬유로서 적합하다.
바람직한 섬유 굵기 범위는 2.5 dtex 미만이지만, 더 굵은 섬유들도 2.5 내지 30 dtex의 특수한 적용례에 사용될 수 있고, 0.8 내지 30 dtex의 굵기를 갖는 섬유 혼합물도 생각할 수 있다.
탄력적인 용융 방사 평탄 섬유 집합체의 바람직한 중량은 5 내지 100 g/m2 사이에서 변동될 수 있다. 결합되지 않은 불연속 섬유 웹(fibrous web)은 5 - 200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성의 제한 없이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아래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과 종래의 생성물을 비교하기 위하여 부직포 심지의 팽창 능력이 아래와 같은 내부적인 방법에 따라서 평가된다:
한 특수한 형판 상에 20 x 20 cm의 측정 구간이 표시된다. 20 cm 단부에서 시작된 스케일링(x/y-축)이 상기 측정 구간을 따라 기록된다. 상기 스케일링은 1cm 섹션 안에서 - 1 cm는 5% 팽창에 상응함 - 이루어진다. 탄력적인 평탄 제품은 20 x 20 cm의 측정 구간에 미치는 응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로 포인트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품이 다시 출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차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팽창된다. 재료 차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지는 팽창은 스케일링에서 확인된다. 상기 측정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실시되고, 팽창 값은 %로 나타난다.
실시예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지 재료와 관련이 있다. 실시예 4 및 5는 동류의 선행 기술에 따라 제조되었으며, 상이한 제조 기술로 인하여 실시예 2는 실시예 4와 비교되었고, 실시예 3은 실시예 5와 비교되었다:
실시예 1:
85의 쇼어 A 경도, 210℃에서 MFI 17, 2.16 kp 및 170-184℃의 용융점 범위(코플러 가열 베드; Kofler heating bed)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부류로부터 선택된 건조된 (습도 0.1% 미만) 폴리머를 용융 방사 기술을 이용하여 평탄 섬유 집합체로 방사하였다. 상기 평탄 섬유 집합체는 1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카아딩(carding) 공정에서는, 상기 평탄 섬유 집합체를 굵기가 1.7 dtex인 10 g/m2의 PA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웹에 공급하여 150℃를 초과하는 캘린더링 온도에서 강화시켰다. 캘린더링 롤러들 중에 하나의 롤러는 9%를 초과하는 용접 면적을 갖는 그라비어(gravure)를 나타냈다. 서문에 언급된 테스트에 따르면, 이중 포인트 코팅(9 g/m3의 폴리아미드-접착제, 170℃의 건조기 온도에서 cp 52) 후에 탄력적인 고정용 심지는 가로 방향으로는 적어도 25%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고, 세로 방향으로는 13%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2:
85의 쇼어 A 경도, 210℃에서 MFI 17, 2.16 kp 및 170-184℃의 용융점 범위(코플러 가열 베드)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부류로부터 선택된 건조된 (습도 0.1% 미만) 폴리머를 용융 방사 기술을 이용하여 평탄 섬유 집합체로 방사하였다. 상기 평탄 섬유 집합체는 15 g/m2의 단위 면적당 중 량을 가졌다.
카아딩 공정에서는, 상기 평탄 섬유 집합체를 굵기가 1.7 dtex인 10 g/m2의 PA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웹에 공급하여 150℃를 초과하는 캘린더링 온도에서 강화시켰다. 캘린더링 롤러들 중에 하나의 롤러는 9%를 초과하는 용접 면적을 갖는 그라비어를 나타냈다. 서문에 언급된 테스트에 따르면, 페이스트 코팅(10 g/m3의 폴리아미드-접착제, 120℃의 건조기 온도에서 cp 52) 후에 탄력적인 고정용 심지는 가로 방향으로는 적어도 50%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고, 세로 방향으로는 23%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3:
85의 쇼어 A 경도, 210℃에서 MFI 17, 2.16 kp 및 170-184℃의 용융점 범위(코플러 가열 베드)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부류로부터 선택된 건조된 (습도 0.1% 미만) 폴리머를 용융 방사 기술을 이용하여 평탄 섬유 집합체로 방사하였다. 상기 평탄 섬유 집합체는 15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카아딩 공정에서는, 상기 평탄 섬유 집합체를 굵기가 1.7 dtex인 10 g/m2의 PA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결합되지 않은 섬유 웹에 공급하여 워터 젯 기술을 이용하여 강화시켰다. 서문에 언급된 테스트에 따르면, 페이스트 코팅(9 g/m3의 폴리 아미드-접착제, 120℃의 건조기 온도에서 cp 52) 후에 탄력적인 고정용 심지는 가로 방향으로는 적어도 40%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고, 세로 방향으로는 17%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4:
85의 쇼어 A 경도, 210℃에서 MFI 17, 2.16 kp 및 170-184℃의 용융점 범위(코플러 가열 베드)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부류로부터 선택된 (습도 0.1% 미만) 폴리머를 용융 방사 기술을 이용하여 섬유로 방사하였다. 상기 섬유를 PS 기술로 강화된, 각각 굵기가 1.7 dtex인 18 g/m2의 불연속 섬유(85% PA/15% PES)로 이루어진 불연속 섬유 부직포 상에 배치한 다음에, 강화된 불연속 섬유 부직포 및 폴리우레탄 평탄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집합체를 150℃를 초과하는 캘린더링 온도에서 강화시켰다. 캘린더링 롤러들 중에 하나의 롤러는 9%를 초과하는 용접 면적을 갖는 그라비어를 나타냈다. 상기 평탄 섬유 집합체는 33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서문에 언급된 테스트에 따르면, 페이스트 코팅(9 g/m3의 폴리아미드-접착제, 120℃의 건조기 온도에서 cp 52) 후에 탄력적인 고정용 심지는 가로 방향으로는 약 20%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고, 세로 방향으로는 7%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다.
실시예 5:
85의 쇼어 A 경도, 210℃에서 MFI 17, 2.16 kp 및 170-184℃의 용융점 범위(코플러 가열 베드)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기초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부류로부터 선택된 (습도 0.1% 미만) 폴리머를 용융 방사 기술을 이용하여 섬유로 방사하였다. 상기 섬유를 워터 젯 기술로 강화된, 각각 굵기가 1.7 dtex인 18 g/m2의 불연속 섬유(85% PA/15% PES)로 이루어진 불연속 섬유 부직포 상에 배치한 다음에, 강화된 불연속 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된 집합체를 여러 번 워터 젯 기술로 강화시켰다. 상기 평탄 섬유 집합체는 33 g/m2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가졌다.
서문에 언급된 테스트에 따르면, 페이스트 코팅(9 g/m3의 폴리아미드-접착제, 120℃의 건조기 온도에서 cp 52) 후에 탄력적인 심지 재료는 가로 방향으로는 약 20%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고, 세로 방향으로는 12%의 가역적인 팽창율을 나타냈다. 상기 재료는 실시예 1, 2, 3의 재료보다 명백하게 열등하다.
실시예 1, 2 및 3의 본 발명에 따른 심지 재료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심지 재료보다 팽창 능력, 즉 탄성 면에서 훨씬 우수하다.

Claims (14)

  1. 용융 방사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층 및 추가적인 섬유 재료의 하나 이상의 제2층을 포함하며, 심지 재료의 일부 또는 전 영역에 접착제가 제공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층이 탄성 섬유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층은 불연속 섬유(staple fiber)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층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층은 평탄한 결합되지 않은 섬유 직물로서 서로 위·아래로 배치된 다음에 공지된 결합 공정에 의해서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층이 부직포 심지 재료의 적어도 한 표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층이 화학 섬유, 천연 섬유 또는 화학 섬유 및 천연 섬유로 구성되는 불연속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섬유가 165℃를 초과하는 용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의 섬유 혼합물로 구성된 단일 성분-섬유 또는 다중 성분-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섬유 재료가 165℃를 초과하는 용융점을 갖는 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폴리머가 98 미만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폴리머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블록-코폴리아미드, 또는 탄성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지방족 또는 방향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카프롤락톤을 기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섬유가 2.5 dtex 미만의 섬유 굵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11. 제 1 항에 있어서,
    불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강화되지 않은 평탄 섬유 집합체가 1 - 100 g/m2 범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12. 제 1 항에 있어서,
    용융 방사된 탄성 섬유로 이루어진, 강화되지 않은 평탄 섬유 집합체가 5-200 g/m2 범위의 단위 면적당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섬유 재료가 170℃를 초과하는 용융점을 갖는 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코폴리에스테르가 코폴리에테르에스테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KR1020077029122A 2005-06-01 2006-04-20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KR101037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25550.7 2005-06-01
DE102005025550A DE102005025550A1 (de) 2005-06-01 2005-06-01 Fixierbarer Einlagestoff aus Vliesstoff zur Verwendung in der Textilindustri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943A Division KR20110044800A (ko) 2005-06-01 2006-04-20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323A KR20080011323A (ko) 2008-02-01
KR101037492B1 true KR101037492B1 (ko) 2011-05-26

Family

ID=369976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943A KR20110044800A (ko) 2005-06-01 2006-04-20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KR1020077029122A KR101037492B1 (ko) 2005-06-01 2006-04-20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943A KR20110044800A (ko) 2005-06-01 2006-04-20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652976B2 (ko)
EP (1) EP1904295B1 (ko)
JP (1) JP2008545893A (ko)
KR (2) KR20110044800A (ko)
CN (1) CN101189122B (ko)
AT (1) ATE492395T1 (ko)
DE (2) DE102005025550A1 (ko)
ES (1) ES2357028T3 (ko)
TW (1) TWI321454B (ko)
WO (1) WO2006128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445B1 (ko) * 2008-07-25 2011-03-30 한국바이린주식회사 패턴 프린팅을 통해 제조된 부직포 접착 심지 및 이의제조방법
US9328209B2 (en) * 2009-07-24 2016-05-03 Syracuse University Shape memory elastomeric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WO2013180073A1 (ja) * 2012-05-28 2013-12-05 株式会社クラレ 非水系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非水系電池
WO2014103992A1 (ja) 2012-12-26 2014-07-03 株式会社クラレ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セパレータ及び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10102585B1 (en) 2014-04-25 2018-10-16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mitigating risk of property dam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790A (ko) * 1999-11-17 2001-06-25 사이가와 겐죠 중간층을 갖는 직교적층부직포
KR20010108425A (ko) * 1999-03-31 2001-12-07 로날드 디. 맥크레이 내크리프성 탄성 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0253C2 (de) 1975-11-08 1985-05-09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Formgebende Einlagekombination für Kleidungsstücke
JPS6026157B2 (ja) 1977-04-07 1985-06-21 金井 宏之 接着芯地
US4209553A (en) * 1977-08-23 1980-06-24 Robert Greenberg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material with a fusible backing
US4217256A (en) * 1978-02-10 1980-08-12 Henkel Corporation Polyamide adhesive for bonding fabrics
JPS63235509A (ja) 1987-03-23 1988-09-30 カネボウ株式会社 接着芯地及び繊維製品
DE3805347A1 (de) 1988-02-20 1989-08-31 Barmag Barmer Maschf Aufspulmaschine
JPH062961B2 (ja) * 1988-08-11 1994-01-12 株式会社クラレ 不織布接着芯地
CN1048532C (zh) * 1992-08-11 2000-01-19 西摩远东有限公司 制造衣服衬料的方法及由此制造出的稳固的纤维衬料
JPH0726458A (ja) 1993-07-09 1995-01-27 Japan Vilene Co Ltd 不織布芯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2503903B2 (ja) 1993-07-10 1996-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ッテリ駆動携帯型デ―タ機器
US5652041A (en) * 1993-09-01 1997-07-29 Buerger; Gernot K. Nonwov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952252A (en) 1996-02-20 1999-09-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ully elastic nonwoven fabric laminate
JP4155042B2 (ja) * 2002-02-20 2008-09-24 チッソ株式会社 弾性長繊維不織布及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US20040038607A1 (en) * 2002-08-22 2004-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slip nonwoven l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425A (ko) * 1999-03-31 2001-12-07 로날드 디. 맥크레이 내크리프성 탄성 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51790A (ko) * 1999-11-17 2001-06-25 사이가와 겐죠 중간층을 갖는 직교적층부직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4295A1 (de) 2008-04-02
ES2357028T3 (es) 2011-04-15
ATE492395T1 (de) 2011-01-15
US20090214846A1 (en) 2009-08-27
DE502006008562D1 (de) 2011-02-03
KR20110044800A (ko) 2011-04-29
WO2006128521A1 (de) 2006-12-07
CN101189122A (zh) 2008-05-28
JP2008545893A (ja) 2008-12-18
DE102005025550A1 (de) 2006-12-07
EP1904295B1 (de) 2010-12-22
KR20080011323A (ko) 2008-02-01
CN101189122B (zh) 2012-08-22
US8652976B2 (en) 2014-02-18
TWI321454B (en) 2010-03-11
TW200714217A (en)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8047B2 (ja) 防風性、防水透湿性に優れる積層シート、それを用いた生地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300855B1 (ko)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제품
KR101048536B1 (ko) 고 용적 복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US8500942B2 (en) Fusible textile fabric
KR100417681B1 (ko) 일래스틱심
JP4708494B2 (ja) 繊維積層シートとこれを用いた人工皮革及びこれに用いる合成繊維紙
KR101037492B1 (ko) 섬유 산업에 사용하기 위한 고정 가능한 부직포 심지 재료
EP2839064B1 (en) Fabric-faced floor coverings with micro-spring face structures
JP5145239B2 (ja) 固着可能な芯地材料
JPH1143812A (ja) 安定性が改良された布芯地
JP2818750B2 (ja) タフティング下地
SK4582002A3 (en) Synthetic leather
KR102194249B1 (ko) 복합 원단 및 그 제조방법과 응용
EP4036296A1 (en) Elastic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543066B1 (ko) 저융점 접면을 지닌 수직배열 탄성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56557A1 (ja) 接着加工品
EP1085116B1 (en) Gel-like fabric composite
TWI827160B (zh) 具有核區域和殼區域的纖維球、其後續產品以及它們的製備方法和用途
JPH0340802A (ja) 補強用布帛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066334U (ja) 複合繊維構造体
JPS62289677A (ja) 複合芯地
CZ3522U1 (cs) Spojovací segmentZpevňovací podkladová tkanina pro objemná rouna
CS266099B1 (cs) Způsob výroby plošné textilie s vysokou rozměrovou stabilitou v podobě osnovní pleteniny nebo propletu
UA89805C2 (en) Needle-punched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