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883B1 -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883B1
KR101036883B1 KR1020080094553A KR20080094553A KR101036883B1 KR 101036883 B1 KR101036883 B1 KR 101036883B1 KR 1020080094553 A KR1020080094553 A KR 1020080094553A KR 20080094553 A KR20080094553 A KR 20080094553A KR 101036883 B1 KR101036883 B1 KR 10103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centrate
extrac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279A (ko
Inventor
이상길
Original Assignee
(주)복앤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복앤복 filed Critical (주)복앤복
Priority to KR102008009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8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2Glyc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23V2250/2042Marine animal, 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Garl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4Non-sugar sweeteners
    • A23V2250/264Sucralose, halogenated su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2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6Fruct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02Erythr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4Sugar alcohols
    • A23V2250/6422Xylit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2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4Vitamin B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어 추출물 5~15 중량부, 과당 3~10 중량부, 꿀 3~6 중량부, 인삼농축액 0.03~1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1~1 중량부, 마카분말 0.002~0.8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2~0.8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0.5~2 중량부, 매실농축액 0.5~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2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2 중량부, 갈근농축액 0.05~1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1~1 중량부, 타우린 0.01~0.1 중량부, 무수구연산 0.03~0.2 중량부, 솔향 0.03~0.08 중량부, 모과향 0.02~0.05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들 원료들을 일정비율로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어 추출물, 건강음료, 숙취해소

Description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Health beverage composition comprising Swellfish extract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숙취해소 효능을 가지는 복어 추출물에 체력증강, 강장, 해독 또는 피로회복 효능을 가지는 꿀, 인삼농축액, 흑마늘농축액, 마카분말, 울금추출분말, 지구자농축액, 매실농축액, 복분자농축액, 오미자농축액, 갈근농축액, 양파추출분말 또는 타우린 등이 추가적으로 함유된 건강음료 조성물, 및 상기 원료들을 일정비율로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어는 각종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과 함께 다량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인체의 알콜 분해 효소를 활성화시켜 간장 해독 작용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알콜 중독 예방과 숙취 제거에도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뿐만 아니라 복어에는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고혈압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능도 포함돼 있 어 수술 전후의 환자 회복이나 당뇨병, 신장 질환의 식이 요법에도 적합한 음식으로 뽑힌다. 이 때문에 복어는 일찍이 '동의보감'에서도 "성질이 따뜻하고 허한 것을 보하고 몸이 부어있는 상태를 없애며 허리와 다리의 병을 치료하고 치질을 낫게 하며 살충의 효과가 있다"고 효능을 기술한 바 있다.
복어는 예로부터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음식의 주재료로 널리 애용되어 왔으며, 중국에서 해장의 특효 음식으로 애주가들에 의해 애용되어 왔다. 지금까지 복어를 이용한 음식은 복어탕, 복어지리, 복어죽 또는 복어양념구이 등이 있다. 그러나, 복어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복어 내에 존재하는 독소성분을 제거해야 하는 까다로운 과정이 있어 조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로 인해 일반인들이 쉽게 접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지 못하는 복어를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복용할 수 있는 음료의 제조가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복어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를 위해 연구하던 중, 복어 추출물, 과당, 꿀, 인삼농축액, 흑마늘농축액, 마카분말, 울금추출분말, 지구자농축액, 매실농축액, 복분자농축액, 오미자농축액, 갈근농축액, 양파추출분말, 타우린, 무수구연산, 솔향, 모과향 및 정제수를 최적의 조성비로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이 기능적인 측면에서 숙취해소 효능뿐만 아니라 체력증강, 강장, 해독 또는 피로회복 등의 각 원료의 약리학적 효능을 함께 가지며, 관능적 측면에서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어 추출물, 과당, 꿀, 인삼농축액, 흑마늘농축액, 마카분말, 울금추출분말, 지구자농축액, 매실농축액, 복분자농축액, 오미자농축액, 갈근농축액, 양파추출분말, 타우린, 무수구연산, 솔향 및 모과향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어 추출물 5~15 중량부, 과당 3~10 중량부, 꿀 3~6 중량부, 인삼농축액 0.03~1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1~1 중량부, 마카분말 0.002~0.8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2~0.8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0.5~2 중량부, 매실농축액 0.5~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2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2 중량부, 갈근농축액 0.05~1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1~1 중량부, 타우린 0.01~0.1 중량부, 무수구연산 0.03~0.2 중량부, 솔향 0.03~0.08 중량부, 모과향 0.02~0.05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복어 추출물 5~15 중량부, 과당 3~10 중량부, 꿀 3~6 중량부, 인삼농축액 0.03~1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1~1 중량부, 마카분말 0.002~0.8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2~0.8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0.5~2 중량부, 매실농축액 0.5~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2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2 중량부, 갈근농축액 0.05~1 중량 부, 양파추출분말 0.01~1 중량부, 타우린 0.01~0.1 중량부, 무수구연산 0.03~0.2 중량부, 솔향 0.03~0.08 중량부, 모과향 0.02~0.05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교반 가열하여 제조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상기 여과된 용액을 멸균한 후 냉장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어 추출물, 과당, 꿀, 인삼농축액, 흑마늘농축액, 마카분말, 울금추출분말, 지구자농축액, 매실농축액, 복분자농축액, 오미자농축액, 갈근농축액, 양파추출분말, 타우린, 무수구연산, 솔향, 모과향 및 정제수를 최적의 조성비로 함유한 조성물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숙취해소 효능뿐만 아니라 체력증강, 강장, 해독 또는 피로회복 등의 각 원료의 약리학적 효능을 함께 가지고, 관능적 측면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함으로써 건강음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어 추출물, 과당, 꿀, 인삼농축액, 흑마늘농축액, 마카분말, 울금추출분말, 지구자농축액, 매실농축액, 복분자농축액, 오미자농축액, 갈근농축액, 양파추출분말, 타우린, 무수구연산, 솔향, 모과향 및 정제수를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복어 추출물 5~15 중량부, 과당 3~10 중량부, 꿀 3~6 중량부, 인삼농축액 0.03~1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1~1 중량부, 마카분말 0.002~0.8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2~0.8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0.5~2 중량부, 매실농축액 0.5~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2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2 중량부, 갈근농축액 0.05~1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1~1 중량부, 타우린 0.01~0.1 중량부, 무수구연산 0.03~0.2 중량부, 솔향 0.03~0.08 중량부, 모과향 0.02~0.05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어 추출물 5~10 중량부, 과당 5~8 중량부, 꿀 4~5 중량부, 인삼농축액 0.05~0.07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2~0.5 중량부, 마카분말 0.005~0.1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5~0.1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1~2 중량부, 매실농축액 1~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1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1 중량부, 갈근농축액 0.1~0.5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2~0.1 중량부, 타우린 0.02~0.05 중량부, 무수구연산 0.05~0.1 중량부, 솔향 0.04~0.06 중량부, 모과향 0.02~0.03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어 추출물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효소 반응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이 모두 이용가능하나 효소 반응 추출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프로테아제라는 단백질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복어살 속에 있는 유용한 성분을 최대한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등록특허 제 10-0839586호 참조). 상기 복어는 참복어 또는 밀복어가 모두 사용가능하며, 자연산 또는 양식산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 복어에서 복어살을 분리하는 단계; 2) 상기 복어살을 효소 반응시키는 단계; 3) 상기 효소 반응 결과물을 증류시켜 증류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4) 상기 복어 추출물에 아티초크 분말을 추가로 첨가하여 여과한 후 숙성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복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에 대한 최적의 조성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원료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다양한 조성물을 제조한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맛에 대한 기호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복어 추출물이 약 5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에서, 액상과당 및 꿀이 약 3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그리고 다양한 농축액 원료들은 약 0.002 내지 2 중량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료들의 조성비를 이용하면 소비자들이 관능측면에서 가장 선호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어 추출물, 꿀, 인삼농축액, 흑마늘농축액, 마카분말, 울금추출분말, 지구자농축액, 매실농축액, 복분자농축액, 오미자농축액, 갈근농축액, 양파추출분말, 타우린 및 정제수를 상기 기재된 최적의 조성비로 함유한 조성물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숙취해소 효능뿐만 아니라 체력증강, 강장, 해독 또는 피로회복 등의 각 원료의 약리학적 효능을 함께 가지고, 관능적 측면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함으로써 건강음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원료들을 지시된 비율로 함유하는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 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추가성분으로는 베타시클로덱스트린 0.05~0.2 중량부, 및 L-아스파라긴, 비타민 B1, 비타민 B2, 글리신, 카라멜색소, 수크랄로스, 안식향산나트륨 및 드링크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물 0.002~0.1 중량부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추가성분 외에 천연 탄수화물로서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가성분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및 개선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복어 추출물, 과당, 꿀, 인삼농축액, 흑마늘농축액, 마카분말, 울금추출분말, 지구자농축액, 매실농축액, 복분자농축액, 오미자농축액, 갈근농축액, 양파추출분말, 타우린, 무수구연산, 솔향, 모과향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교반 가열하여 제조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상기 여과된 용액을 멸균한 후 냉장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혼합물은 복어 추출물 5~15 중량부, 과당 3~10 중량부, 꿀 3~6 중량부, 인삼농축액 0.03~1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1~1 중량부, 마카분말 0.002~0.8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2~0.8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0.5~2 중량부, 매실농축액 0.5~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2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2 중량부, 갈근농축액 0.05~1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1~1 중량부, 타우린 0.01~0.1 중량부, 무수구연산 0.03~0.2 중량부, 솔향 0.03~0.08 중량부, 모과향 0.02~0.05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어 추출물 5~10 중량부, 과당 5~8 중량부, 꿀 4~5 중량부, 인삼농축액 0.05~0.07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2~0.5 중량부, 마카분말 0.005~0.1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5~0.1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1~2 중량부, 매실농축액 1~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1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1 중량부, 갈근농축액 0.1~0.5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2~0.1 중량부, 타우린 0.02~0.05 중량부, 무수구연산 0.05~0.1 중량부, 솔향 0.04~0.06 중량부, 모과향 0.02~0.03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혼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혼합물은 추가적으로 베타시클로덱스트린 0.05~0.2 중량부, 및 L-아스파라긴, 비타민 B1, 비타민 B2, 글리신, 카라멜색소, 수크랄로스, 안식향산나트륨 및 드링크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물 0.002~0.1 중량부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2)의 교반 가열은 가열온도가 7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가열시간이 30분 내지 3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 건강음료 조성물의 제조
<1-1> 복어 추출물의 제조
참복어 또는 밀복어를 손질하여 약 5 kg의 살을 분리하였다. 그 후, 복어살을 반응조에 넣고 여기에 정수(淨水) 5 ℓ와 단백질 분해 효소{고초균에 의하여 생산되는 서브틸리신(subtilisin)(역가 16,000 u/g)} 7 g을 첨가한 후 반응조의 온도를 약 37℃로 약 24 시간 동안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효소 반응시켜 복어액을 제조하였다. 효소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조의 온도를 97℃에 맞추고 증기가 방출될 수 있도록 반응조의 뚜껑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교반하면서 복어액의 부피가 1/2로 줄어들 때까지 약 8 시간 정도 증류시켰다. 증류 과정이 끝나면 반응조의 전원을 끈 후 반응조의 온도가 실온이 될 때까지 유지하였다. 상기 증류액을 수득하여 복어 추출물(5 ℓ)을 완성하였다. 상기 복어 추출물에 상용화된 제품인 아티초크 분말을 복어 추출물의 0.2%를 첨가한 후 이를 반응조에 넣고 혼합한 후 1,000 메시의 망으로 여과시켰다. 여과시킨 복어 추출물에 온도를 약 45 내지 50℃에 맞추고 12 시간 자연 숙성시켜 복어 추출물(5 ℓ)을 완성하였다.
<2-2> 다양한 배합비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원료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건강음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표 1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1-1>의 복어 추출물에 정제수, 액상과당, 꿀, 인삼농축액, 흑마늘농축액, 마카분말, 울금추출분말, 지구자농축액, 매실농축액, 복분자농축액, 오미자농축액, 갈근농축액, 양파추출분말, 타우린, 무수구연산, 솔향 및 모과향을 첨가하여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멸균한 후, 냉장 보관하여 본 발명의 건강음료(100 ㎖)를 제조하였다.
건강음료의 함량비율(단위: 중량부)
원료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비교예
4
100 ㎖에서 함유량(%)
복어추출물 4.00 5.00 5.00 10.00 15.00 15.00 17.00
정제수 80.20 72.05 84.20 79.20 58.97 51.97 54.97
액상과당 3.00 11.00 3.00 3.00 6.00 8.00 8.00
3.00 7.00 3.00 3.00 6.00 6.00 6.00
인삼농축액 1.00 0.50 0.50 0.50 1.00 1.50 1.00
흑마늘농축액 1.00 0.50 0.50 0.50 1.00 1.50 1.00
마카분말 0.80 0.30 0.30 0.30 0.80 1.30 0.80
울금추출분말 0.80 0.30 0.30 0.30 0.80 1.30 0.80
지구자농축액 1.00 0.50 0.50 0.50 2.00 2.50 2.00
매실농축액 1.00 0.50 0.50 0.50 2.00 2.50 2.00
복분자농축액 1.00 0.50 0.50 0.50 2.00 2.50 2.00
오미자농축액 1.00 0.50 0.50 0.50 2.00 2.50 2.00
갈근농축액 1.00 0.50 0.50 0.50 1.00 1.50 1.00
양파추출분말 1.00 0.50 0.50 0.50 1.00 1.50 1.00
타우린 0.05 0.05 0.05 0.05 0.10 0.10 0.10
무수구연산 0.10 0.10 0.10 0.10 0.20 0.20 0.20
솔향 0.03 0.10 0.03 0.03 0.08 0.08 0.08
모과향 0.02 0.10 0.02 0.02 0.05 0.05 0.05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 실험예 2> 건강음료 조성물의 관능검사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에 대한 최적의 조성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제조한 건강음료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성인남녀 50명을 관능 검사요원으로 선발하여 시료를 무작위로 배열하고 나눠준 후 2회 제공하여, 시료의 향, 신맛, 단맛, 전체적인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5: 매우 좋다, 4: 좋다, 3: 보통이다, 2: 좋지 않다, 1: 매우 좋지 않다 라는 5점 척도 방법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건강음료는 맛에 대한 기호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어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 함량의 5~15 중량부을 벗어났을 때 전체적인 기호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상과당 및 꿀을 과량 첨가했을 때 단맛이 높아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떨어졌으며, 비교예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축액 및 분말 등의 원료들을 과량 첨가했을 때 신맛이 높아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떨어졌다(표 2 참조).
관능평가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3
비교예
4
2.8 4.0 3.4 3.3 3.6 3.6 3.8
단맛 3.2 4.3 3.2 3.3 3.5 3.2 3.5
신맛 3.5 2.8 3.0 3.1 3.8 4.4 3.9
전체적
3.3 2.9 4.3 4.2 4.1 2.8 3.5
전체적인
기호도
3.5 2.8 4.3 4.3 4.0 3.0 3.7

Claims (6)

  1. 복어 추출물 5~15 중량부, 과당 3~10 중량부, 꿀 3~6 중량부, 인삼농축액 0.03~1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1~1 중량부, 마카분말 0.002~0.8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2~0.8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0.5~2 중량부, 매실농축액 0.5~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2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2 중량부, 갈근농축액 0.05~1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1~1 중량부, 타우린 0.01~0.1 중량부, 무수구연산 0.03~0.2 중량부, 솔향 0.03~0.08 중량부, 모과향 0.02~0.05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복어 추출물 5~10 중량부, 과당 5~8 중량부, 꿀 4~5 중량부, 인삼농축액 0.05~0.07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2~0.5 중량부, 마카분말 0.005~0.1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5~0.1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1~2 중량부, 매실농축액 1~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1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1 중량부, 갈근농축액 0.1~0.5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2~0.1 중량부, 타우린 0.02~0.05 중량부, 무수구연산 0.05~0.1 중량부, 솔향 0.04~0.06 중량부, 모과향 0.02~0.03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베타시클로덱스트린 0.05~0.2 중량부, 및 L-아스파라긴, 비타민 B1, 비타민 B2, 글리신, 카라멜색소, 수크랄로스, 안식향산나트륨 및 드링크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각각 0.001~0.0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4. 1) 복어 추출물 5~15 중량부, 과당 3~10 중량부, 꿀 3~6 중량부, 인삼농축액 0.03~1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1~1 중량부, 마카분말 0.002~0.8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2~0.8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0.5~2 중량부, 매실농축액 0.5~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2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2 중량부, 갈근농축액 0.05~1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1~1 중량부, 타우린 0.01~0.1 중량부, 무수구연산 0.03~0.2 중량부, 솔향 0.03~0.08 중량부, 모과향 0.02~0.05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혼합물을 교반 가열하여 제조된 용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상기 여과된 용액을 멸균한 후 냉장 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1)의 혼합물은 복어 추출물 5~10 중량부, 과당 5~8 중량부, 꿀 4~5 중량부, 인삼농축액 0.05~0.07 중량부, 흑마늘농축액 0.02~0.5 중 량부, 마카분말 0.005~0.1 중량부, 울금추출분말 0.005~0.1 중량부, 지구자농축액 1~2 중량부, 매실농축액 1~2 중량부, 복분자농축액 0.5~1 중량부, 오미자농축액 0.5~1 중량부, 갈근농축액 0.1~0.5 중량부, 양파추출분말 0.02~0.1 중량부, 타우린 0.02~0.05 중량부, 무수구연산 0.05~0.1 중량부, 솔향 0.04~0.06 중량부, 모과향 0.02~0.03 중량부, 및 잔량으로서 정제수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1)의 혼합물은 추가적으로, 베타시클로덱스트린0.05~0.2 중량부, 및 L-아스파라긴, 비타민 B1, 비타민 B2, 글리신, 카라멜색소, 수크랄로스, 안식향산나트륨 및 드링크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각각 0.001~0.0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094553A 2008-09-26 2008-09-26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3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553A KR101036883B1 (ko) 2008-09-26 2008-09-26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553A KR101036883B1 (ko) 2008-09-26 2008-09-26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279A KR20100035279A (ko) 2010-04-05
KR101036883B1 true KR101036883B1 (ko) 2011-05-25

Family

ID=4221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553A KR101036883B1 (ko) 2008-09-26 2008-09-26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2360A (zh) * 2013-01-16 2013-05-08 王百鸣 一种玛卡沙棘饮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10412A1 (it) * 2011-05-11 2012-11-12 Minerva Res Labs Ltd Bevanda rivitalizzante e rilassante
CN102630991A (zh) * 2012-05-02 2012-08-15 中国医学科学院药用植物研究所云南分所 一种含有玛卡的功能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3610803B (zh) * 2013-12-02 2016-07-13 广西麦克健丰制药有限公司 一种护肝解酒中药组合物
CN104397797B (zh) * 2014-11-25 2017-08-29 广东藏玛生物科技有限公司 玛咖多功能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982064A (zh) * 2015-02-16 2016-10-05 上海朗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玛咖人参复方片及其制备方法
CN104783267A (zh) * 2015-04-29 2015-07-22 贵州京宸科技有限公司 一种玛咖植物饮料
ITUB20152102A1 (it) * 2015-07-13 2017-01-13 Luigi Cozzolino Bevanda energetica e procedimento per la sua preparazione ed il suo condizionamento
CN104997104A (zh) * 2015-08-14 2015-10-28 青岛浩大海洋保健食品有限公司 一种补肾壮阳玛卡海马保健饮料
CN105309983A (zh) * 2015-09-18 2016-02-10 谱尼测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含n-苄基十六碳酰胺的固体饮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16A (ko) * 1997-07-16 1999-02-18 명인식 복어 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040074173A (ko) * 2003-02-17 2004-08-23 이부곤 복어 갈비의 제조방법
KR100659557B1 (ko) 2004-02-26 2006-12-19 김송월 복어추출물이 함유된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316A (ko) * 1997-07-16 1999-02-18 명인식 복어 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040074173A (ko) * 2003-02-17 2004-08-23 이부곤 복어 갈비의 제조방법
KR100659557B1 (ko) 2004-02-26 2006-12-19 김송월 복어추출물이 함유된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2360A (zh) * 2013-01-16 2013-05-08 王百鸣 一种玛卡沙棘饮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279A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883B1 (ko) 복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1544B1 (ko)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쓴맛 물질을 함유하는 비발효 맥주 풍미 음료
CN102858192A (zh) 蛋白质恢复饮料
KR20080073880A (ko) 박과 식초 조성물
EP3541201B1 (en) Taste improvement for stevia sweetened beverages with miracle fruit
KR101065294B1 (ko) 고추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0851913B1 (ko) 해물 및 생선용 양념장
CN101822405B (zh) 一种无糖饮料及制作方法
KR20110082230A (ko) 한약재 및 과즙을 이용한 기능성 모주의 제조 방법
KR101676435B1 (ko)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보관안정성이 확보된 장류
CN110419655A (zh) 一种山楂汁饮料及其生产工艺
KR20130059657A (ko) 오디 발효 식초 음료와 그 제조 방법
KR101847601B1 (ko) 콩 발효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CN101077204B (zh) 乌干菜复合饮料
KR100692519B1 (ko) 냉온음료용 과립 홍삼 생맥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5941B1 (ko) 간장 조미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4930A (ko) 녹두앙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932331B (zh) 一种以树莓为主要成分的功能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093440B1 (ko) 황칠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장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30910B1 (ko) 생오미자 과즙액이 함유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06723B1 (ko) 전통된장을 포함하는 삼겹살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810613A (zh) 一种含鲜竹沥的冷冻饮品及其制备方法
KR20140131147A (ko) 오미자 고농축 음료(음료베이스)의 제조 방법
KR20100049245A (ko) 고추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0848706B1 (ko) 허브를 함유한 니어워터 음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