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788B1 -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788B1
KR101033788B1 KR1020080100702A KR20080100702A KR101033788B1 KR 101033788 B1 KR101033788 B1 KR 101033788B1 KR 1020080100702 A KR1020080100702 A KR 1020080100702A KR 20080100702 A KR20080100702 A KR 20080100702A KR 101033788 B1 KR101033788 B1 KR 10103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folding
cushion
air bag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489A (ko
Inventor
최형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788B1/ko
Priority to JP2009047781A priority patent/JP5483528B2/ja
Priority to US12/479,502 priority patent/US7988193B2/en
Priority to DE102009030704A priority patent/DE102009030704A1/de
Publication of KR2010004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7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anels
    • B60R2021/23576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이 소개된다.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은,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접고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접은 후, 접은 에어백쿠션의 단부를 에어백쿠션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에 삽입하고,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접어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에 에어백쿠션을 폴딩함으로써, 전개시 에어백쿠션의 상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부 안쪽으로 전개되고 에어백쿠션의 하부는 림부의 바깥쪽으로 전개된다.
에어백쿠션, 스티어링 휠, 재봉라인

Description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AIRBAG OF DRIVER SEAT FOR VEHICLES AND METHOD OF FOLDING THEREOF}
본 발명은 에어백쿠션의 상부가 스티어링 휠의 림부 안쪽으로 전개되는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에는 차량 충돌시 충격력으로부터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에어백장치가 마련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에어백장치는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내부 가스를 배출하는 인플레이터(1)와, 인플레이터(1)가 장착되는 커버브라켓(2)과, 인플레이터(1)로부터 배출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될 수 있도록 커버브라켓(2) 내에 접힌 상태로 내장되면서 주입구가 리테이너 링(5)에 의해 커버브라켓(2)의 결합공 상에 장착되는 에어백쿠션(4)으로 구성된다.
즉, 차량 충돌이 발생되면, 전자제어유닛은 센서를 통해 차량 충돌을 감지한 후, 인플레이터(1)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인플레이터는 에어백쿠션에 에어백가스를 주입하여 에어백쿠션이 전개되도록 한다.
그런데 스티어링 휠에 근접한 상태로 주행하는 운전자의 경우, 차량 충돌시 에어백쿠션이 근접하게 위치한 운전자의 가슴, 목, 및 머리 등에 빠른 속도로 전개되므로, 운전자는 에어백쿠션의 전개력에 의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에 의해 충격받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폴딩방법은, 에어백쿠션을 접어서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에 장착되는 에어백쿠션의 폴딩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와,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와, 접힌 에어백쿠션의 단부를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에 삽입 또는 뒤로 접는 단계와,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팽창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부 후방으로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부 전방으로 전개된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팽창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부 후방으로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부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끝단이 감싸지도록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연속하여 두번 접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끝단이 감싸지도록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연속하여 두번 접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 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후방으로 접고, 상기 후방으로 접힌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전방으로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부에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방향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수평 재봉라인이 에어백쿠션의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방향 전개를 촉진하기 위한 수직 재봉라인이 에어백쿠션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은,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에 접어서 장착되는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으로서, 제1 후방접음부, 제2 후방접음부, 제1 전방접음부, 제2 전방접음부, 및 수직접음부를 포함한다. 제1 후방접음부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후방으로 접히고, 제2 후방접음부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끝단이 감싸지도록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로 삽입되고, 제1 전방접음부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방으로 접히고, 제2 전방접음부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끝단이 감싸지도록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로 삽입되며, 수직접음부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가 접힌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팽창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는 상기 제1 후방접음부 및 제2 후방접음부가 펼쳐지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부 후방으로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전방접음부 및 제2 전방접음부가 펼쳐지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부 전방으로 전개된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팽창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는 상기 제1 후방접음부 및 제2 후방접음부가 펼쳐지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부 후방으로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전방접음부 및 제2 전방접음부가 펼쳐지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부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접음부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가 에어백쿠션의 후방으로 접기 위한 제1 수직접음부와, 상기 제1 수직접음부가 에어백쿠션의 전방으로 접기 위한 제2 수직접음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방향 전개가 억제되도록 에어백쿠션 상부의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재봉라인과,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방향 전개가 촉진되도록 상기 에어백쿠션 하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재봉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개되는 에어백쿠션의 상단부가 스티어링 휠의 림부에 먼저 부딪힘에 따라, 에어백쿠션이 승객의 머리와 목 부분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지 않으므로, 에어백쿠션의 전개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은,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300)에 접히어 장착되는 에어백쿠션(100)의 폴딩구조를 통해, 전개시 에어백쿠션(100)의 상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부(200) 안쪽 (후방)으로 전개되고 에어백쿠션(100)의 하부는 림부(200)의 바깥쪽(전방)으로 전개됨으로써, 스티어링 휠에 근접한 상태로 주행하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서 빠른 속도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00)에 의해 충격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티어링 휠을 기준으로 운전자측 방향을 전방으로, 차량의 헤드부 방향을 후방으로 각각 정의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에어백쿠션(100)은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300)에 접어서 장착되는 구조로, 인플레이터(400)로부터 고압의 에어백가스를 가스홀(103)을 통해 제공받으며, 전개시 테더(미도시)에 의해 일정 형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쿠션(100), 커버브라켓(300), 인플레이터(400), 및 테더 등의 구성은, 통상의 에어백장치에 장착되는 에어백쿠션, 커버브라켓, 인플레이터, 및 테더 등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100)의 상부에는, 에어백쿠션(100)의 후방으로 접히는 제1 및 제2 후방접음부(111),(112)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후방접음부(111)는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접히는 접힘라인으로, 에어백쿠션(100) 상부의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후방접음부(112)는 제1 후방접음부(111)가 감싸지도록 에어백쿠션(100)의 상부가 접히는 접힘라인으로,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접힌 상태에서 다시 에어백쿠션(100)의 상부가 후방으로 접히도록 한다. 이렇게 접힌 상태의 제1 및 제2 후방접음부(112)는,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 로 삽입된다.
에어백쿠션(100)의 하부에는 에어백쿠션(100)의 전방으로 접히는 제1 및 제2 전방접음부(121),(122)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전방접음부(121)는 에어백쿠션(100)의 하단부가 후방으로 접히는 접힘라인으로, 에어백쿠션(100) 상부의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전방접음부(122)는 제1 전방접음부(121)가 감싸지도록 에어백쿠션(100)의 하부가 접히는 접힘라인으로, 에어백쿠션(100)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접힌 상태에서 다시 에어백쿠션(100)의 하부가 후방으로 접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접힌 상태의 제1 및 제2 전방접음부(122)는,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로 삽입된다.
에어백쿠션(100)의 측부에는 상기 후방접음부 및 전방접음부에 의해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100)의 길이방향 단부를 접기 위한 수직접음부(130)가 형성된다. 이 수직접음부(130)는 에어백쿠션(100)을 가로방향으로 접기 위한 접힘라인으로, 에어백쿠션(100)의 길이방향 단부를 에어백쿠션(100)의 후방으로 접기 위한 제1 수직접음부(131)와, 제1 수직접음부(131)가 에어백쿠션(100)의 전방으로 접기 위한 제2 수직접음부(1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방접음부 및 전방접음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접힌 에어백쿠션(100)은, 제1 및 제2 수직접음부(131),(132)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바, 이렇게 접힌 에어백쿠션(100)은 차량 충돌에 따른 팽창시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는 후방접음부가 펼쳐지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부(200) 후방으로 전개되고, 에어백쿠션(100)의 하단부는 전방접음부가 펼쳐지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부(200) 전방으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에어백쿠션 폴딩 과정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를 제1 후방접음부(111)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백쿠션(100)의 후방으로 접는다.
이후,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방접음부(112)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백쿠션(100)의 상부를 다시 후방으로 접는다. 이때,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는 에어백쿠션(100)의 후방으로 접히면서 제2 후방접음부(112)가 제1 후방접음부(111)를 감싸는 형태가 되며, 제1 후방접음부(111)에 의해 접힌 길이는 제2 후방접음부(112)에 의해 접힌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방접음부(112)가 접히면, 해당 접힌 부분을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로 삽입한다. 이로써, 에어백쿠션(100) 상부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는, 스티어링 휠의 후방으로 전개 가능한 에어백쿠션(100)이 접혀져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의 하단부를 제1 전방접음부(121)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백쿠션(100)의 전방으로 접는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방접음부(122)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백쿠션(100)의 하부를 다시 전방으로 접는다. 이때, 에어백쿠션(100)의 하단부는 에어백쿠션(100)의 전방으로 접히면서 제2 전방접음부(122)가 제1 전방접음 부(121)를 감싸는 형태가 되며, 제1 전방접음부(121)에 의해 접힌 길이는 제2 전방접음부(122)에 의해 접힌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방접음부(122)가 접혀지면, 해당 접힌 부분을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로 삽입한다. 이로써, 에어백쿠션(100) 하부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는, 스티어링 휠의 전방으로 전개 가능한 에어백쿠션(100)이 접혀져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로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에어백쿠션(100)의 길이방향 단부를 제1 수직접음부(131)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백쿠션(100)의 후방으로 접는다.
이후,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직접음부(132)를 기준으로 하여 에어백쿠션(100)의 길이방향 단부를 다시 전방으로 접는다. 이때, 제1 수직접음부(131)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접힌 길이와, 제2 수직접음부(132)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접힌 길이는 대응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300)에는 스티어링 휠의 후방으로 전개 가능한 에어백쿠션(100)의 상부가 접혀져 있는 동시에, 스티어링 휠의 전방으로 전개 가능한 에어백쿠션(100)의 하부가 접히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폴딩된 에어백쿠션의 전개 과정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300)에 에어백쿠션(100)이 폴딩된 상태에서, 에어백쿠션(100)이 전개가 시작되면, 먼저,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에서 각각 이탈된다.
도 10c 및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에서 이탈된 에어백쿠션(100)은, 각각의 접힌 방향에 따라 해당 상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후방으로 전개되고, 해당 하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전방으로 전개된다. 이로써, 스티어링 휠에 근접한 상태로 운전하는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에서 전개되는 에어백쿠션(100)에 의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 상부에는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을 좌우방향으로 재봉하는 수평 재봉라인(141)이 연장 형성되고, 에어백쿠션(100) 하부에는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을 상하방향으로 재봉하는 수직 재봉라인(142)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수평 재봉라인(141)은 에어백쿠션(100)의 팽창시 에어백가스의 일정압 이하에서 에어백쿠션(100) 상부의 전면과 하면을 좌우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므로, 에어백쿠션(100)의 상방향 전개가 일정 시간동안 억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에어백가스의 압력이 일정압 이상이 되면 이 수평 재봉라인(141)은 뜯어지고 에어백쿠션(100)의 상방향 전개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수직 재봉라인(142)은 에어백쿠션(100)의 팽창시 에어백쿠션(100) 하부의 전면과 하면을 상하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므로, 에어백쿠션(100)의 하방향 전개가 촉진되도록 하는 역활을 한다.
이하, 수평 재봉라인 및 수직 재봉라인이 형성된 에어백쿠션의 전개 과정을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100)이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300)에 폴딩된 상태에서, 에어백쿠션(100)이 전개가 시작되면, 먼저,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에어백쿠션(100)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에서 각각 이탈된다.
도 12c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에서 이탈된 에어백쿠션(100)은, 각각의 접힌 방향에 따라 해당 상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후방으로 전개되고, 해당 하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전방으로 전개된다. 이때, 에어백쿠션(100) 상단부의 전개는 수평 재봉라인(141)에 의해 방해를 받으면서 일정 시간동안 억제된다.
이후,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가스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수평 재봉라인(141)이 뜯어지면서, 에어백쿠션(100)의 상방향 전개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에어백쿠션(1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100)의 상단부가 스티어링 휠의 림부(200)에 먼저 부딪힘에 따라, 에어백쿠션(100)이 승객의 머리와 목 부분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지 않으므로, 에어백쿠션(100)의 전개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 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폴딩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1b 내지 도 8b는 도 1a 내지 도 8a에서 접힌 상태의 에어백쿠션의 측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폴딩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전개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을 도시한 정면도.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의 전개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에어백쿠션 200 :림부
300 :커버브라켓 400 :인플레이터

Claims (10)

  1. 삭제
  2. 에어백쿠션을 접어서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에 장착되는 에어백쿠션의 폴딩방법으로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와,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와, 접힌 에어백쿠션의 단부를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에 삽입 또는 뒤로 접는 단계와,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팽창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부 후방으로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는 스티어링 휠의 림부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쿠션의 폴딩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는, 에어백쿠션의 끝단이 감싸지도록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연속하여 두번 접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끝단이 감싸지도록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연속하여 두번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쿠션의 폴딩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적어도 한번 이상 접는 단계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후방으로 접고, 상기 후방으로 접힌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를 전방으로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쿠션의 폴딩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부에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방향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수평 재봉라인이 에어백쿠션의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쿠션의 폴딩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방향 전개를 촉진하기 위한 수직 재봉라인이 에어백쿠션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쿠션의 폴딩방법.
  7. 스티어링 휠의 커버브라켓에 접어서 장착되는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으로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후방으로 접히는 제1 후방접음부와, 상기 에어백쿠션의 끝단이 감싸지도록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를 후방으로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후방접음부와,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가 상기 에어백쿠션의 전방으로 접히는 제1 전방접음부와, 상기 에어백쿠션의 끝단이 감싸지도록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접힌 상태에서 에어백쿠션의 전면과 후면 사이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전방접음부와,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가 접히는 수직접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팽창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단부는 상기 제1 후방접음부 및 제2 후방접음부가 펼쳐지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부 후방으로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단부는 상기 제1 전방접음부 및 제2 전방접음부가 펼쳐지면서 스티어링 휠의 림부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직접음부는 상기 에어백쿠션의 길이방향 단부가 에어백쿠션의 후방으로 접기 위한 제1 수직접음부와, 상기 제1 수직접음부가 에어백쿠션의 전방으로 접 기 위한 제2 수직접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상방향 전개가 억제되도록 에어백쿠션 상부의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 재봉라인과, 상기 에어백쿠션의 하방향 전개가 촉진되도록 상기 에어백쿠션 하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재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KR1020080100702A 2008-10-14 2008-10-14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KR10103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702A KR101033788B1 (ko) 2008-10-14 2008-10-14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JP2009047781A JP5483528B2 (ja) 2008-10-14 2009-03-02 車両運転席の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およびその折り畳み方法
US12/479,502 US7988193B2 (en) 2008-10-14 2009-06-05 Airbag cushion for driver and folding method thereof
DE102009030704A DE102009030704A1 (de) 2008-10-14 2009-06-26 Fahrer-Airbag-Kissen und Verfahren zum Falten des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702A KR101033788B1 (ko) 2008-10-14 2008-10-14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89A KR20100041489A (ko) 2010-04-22
KR101033788B1 true KR101033788B1 (ko) 2011-05-13

Family

ID=4182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702A KR101033788B1 (ko) 2008-10-14 2008-10-14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88193B2 (ko)
JP (1) JP5483528B2 (ko)
KR (1) KR101033788B1 (ko)
DE (1) DE1020090307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613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3921B2 (en) * 2013-11-21 2016-03-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river airbag module having multiple deployment paths
JP2016141279A (ja) * 2015-02-03 2016-08-08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536418B2 (ja) * 2016-01-21 2019-07-03 豊田合成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の折畳準備体と折畳体の折畳方法
JP6783989B2 (ja) 2017-06-28 2020-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664A (ja) * 1994-06-09 1995-12-19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袋体の製造方法
JPH0948308A (ja) * 1995-08-09 1997-02-18 Toyo Tire & Rubbe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H1148891A (ja) 1997-08-08 1999-02-23 Autoliv Japan Kk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068B2 (ja) * 1991-12-04 2000-05-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ーバッグ
US5358273A (en) * 1992-03-09 1994-10-25 Toyo Tire & Rubber Co., Ltd. Inflatable bags for airbag passive restraint systems for driv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5529339A (en) * 1995-03-20 1996-06-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fold and method
US5605350A (en) * 1995-05-30 1997-02-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fold and method
US5560648A (en) * 1995-08-24 1996-10-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deployment bias apparatus
JP3759262B2 (ja) * 1996-11-26 2006-03-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ク
US6254130B1 (en) * 1998-04-13 2001-07-0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bag deployment
JPH11321511A (ja) * 1998-05-11 1999-11-24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US6692024B2 (en) * 2000-09-14 2004-02-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air bag
US6499765B2 (en) * 2000-10-31 2002-12-31 Delphi Technologies, Inc. Bias deployment inflatable air bag
US7163232B2 (en) * 2001-11-26 2007-01-16 Nihon Plast Co., Ltd. Curtain airbag and its folding method and system
US7261682B2 (en) * 2003-11-25 2007-08-28 Autoliv Asp, Inc. Method for folding a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05238973A (ja) * 2004-02-26 2005-09-08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43635B4 (de) * 2004-09-14 2017-07-06 Toyoda Gosei Co., Ltd. Airbagvorrichtung für einen Fahrersitz
JP4396495B2 (ja) * 2004-11-30 2010-01-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エアバッグ装置
US7753406B2 (en) * 2004-12-22 2010-07-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bag and a method of folding an air bag
JP2006205830A (ja) * 2005-01-26 2006-08-10 Tkj Kk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6298119A (ja) * 2005-04-19 2006-11-02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乗員保護システム、車両
FR2900111B1 (fr) * 2006-04-24 2011-02-11 Trw Automotive Gmbh Dispositif de retenue d'occupant de vehicule avec coussin a gaz.
KR100894998B1 (ko) 2007-05-14 2009-04-24 양영수 재생플라스틱을 이용한 스레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664A (ja) * 1994-06-09 1995-12-19 Toyota Motor Corp エアバッグ袋体の製造方法
JPH0948308A (ja) * 1995-08-09 1997-02-18 Toyo Tire & Rubber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H1148891A (ja) 1997-08-08 1999-02-23 Autoliv Japan Kk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613A (ko) * 2017-02-14 2018-08-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KR102576315B1 (ko) 2017-02-14 2023-09-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9030704A1 (de) 2010-04-15
KR20100041489A (ko) 2010-04-22
US20100090446A1 (en) 2010-04-15
JP2010095242A (ja) 2010-04-30
US7988193B2 (en) 2011-08-02
JP5483528B2 (ja)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362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761220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387946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38330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216733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033788B1 (ko)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JP2015168389A (ja)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024251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3068221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4291687B2 (ja) 車両用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4576308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5093196B2 (ja)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4338542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513724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1126413A (ja) シート付け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6043713A (ja) 助手席エアバッグ装置
KR101561470B1 (ko) 무릎에어백의 폴딩방법
JP3044329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4392155B2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6555659B2 (ja) 車外用エアバッグ
JP724919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23062518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533574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835942B1 (ko) 에어백용 테더의 설치구조
JP5725046B2 (ja) 膝側面拘束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