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315B1 -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315B1
KR102576315B1 KR1020170019949A KR20170019949A KR102576315B1 KR 102576315 B1 KR102576315 B1 KR 102576315B1 KR 1020170019949 A KR1020170019949 A KR 1020170019949A KR 20170019949 A KR20170019949 A KR 20170019949A KR 102576315 B1 KR102576315 B1 KR 10257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airbag cushion
driver
airba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3613A (ko
Inventor
송준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315B1/ko
Priority to US15/894,290 priority patent/US10668889B2/en
Publication of KR20180093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38S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60R2021/2375Folding devices

Abstract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은: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를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턱인 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턱인 폴딩부를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는 단계; 턱인 폴딩부를 에어백 쿠션부에 가접하는 단계; 에어백 쿠션부에 가스를 주입하고, 에어백 쿠션부가 평판 형태를 유지하도록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을 압착 지그로 가압하는 단계; 및 에어백 쿠션부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폴딩 지그를 인플레이터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FOLDING METHOD OF DRIVER AIRBAG}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시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가 목과 턱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탑승자를 운송한다. 차량의 스티어링휠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운전석 에어백이 설치된다. 운전석 에어백은 차량의 충격시 전개됨에 의해 운전자의 가슴과 머리를 보호한다.
운전석 에어백의 운전석 반대측에는 인플레이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인플레이터 연결부가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연결부의 상측에는 복수의 벤트홀이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은 운전자 측으로 폴딩된 후 가접합된 후 폴딩 지그를 이용하여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다. 접힌 에어백 쿠션부를 하우징에 패키징한 후 스티어링휠에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이 운전자 측으로 폴딩되므로,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시 에어백 쿠션부의 폴딩부가 팽창되면서 운전자의 목과 턱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의 폴딩부가 팽창되면서 상측으로 회전되므로, 운전자의 목과 턱이 상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운전자의 목이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는 제작 과정에서의 품질 문제와 작동시 주변 환경에 의해 발생 에너지(가스의 분사압력)의 변동성을 가지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목과 턱 사이에 에어백 쿠션부가 끼일 경우, 목과 턱 사이에 끼인 공간에서 가스 유동의 와류를 형성하여 목의 굽힘 하중을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목의 굽힘 하중에 의한 목의 상해가 인플레이터 발생 에너지 변동성에 매우 민감하게 되어 운전자 에어백의 품질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에어백쿠션의 일면에 제1 테더 연결부 및 제2 테더 연결부를 돌출 형성하고, 제1 테더 연결부 및 제2 테더 연결부에 제1 테더와 제2 테더를 연결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과 제1 테더 및 제2 테더와의 사이에 별도의 부재를 덧대지 않아도 된다.
또한, 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운전자와 접촉되는 면에 바느질부가 사라지므로, 에어백쿠션과 운전자의 마찰에 의해 운전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느질부와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작업 공정을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경량화와 원가절감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쿠션부의 전개시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가 목과 턱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은: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턱인 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턱인 폴딩부를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는 단계; 상기 턱인 폴딩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가접하는 단계;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가스를 주입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가 평판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을 압착 지그로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폴딩 지그를 인플레이터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상기 턱인 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가 복수의 벤트홀을 연결하는 가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턱인 폴딩부를 상기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는 단계에서는, 상기 턱인 폴딩부의 단부가 상기 인플레이터 연결부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턱인 폴딩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가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턱인 폴딩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봉재하여 가접 봉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폴딩 지그를 상기 인플레이터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폴딩 지그부를 상기 인플레이터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 및 상기 제1 폴딩 지그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폴딩 지그부를 상기 제1 폴딩 지그부 사이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폴딩 지그부는 단부가 절개된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지그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폴딩 지그부는 상기 제1 지그 헤드 사이에 끼워지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지그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턱인 폴딩부가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히므로, 에어백 쿠션부의 턱인 폴딩부가 휠바디부와 림부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면서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팽창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가 턱과 목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턱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부와 운전자의 접촉 양상은 운전자의 목의 굽힘과 상관없이 머리를 전체적으로 밀어주는 에어백 반력을 유발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변동성(가스 압력의 변동성)에 매우 강건한 에어백의 보호 성능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에 턱인 폴딩부를 형성하므로, 인플레이터 연결부의 중심에서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의 거리가 감소된다. 따라서, 턱인 폴딩부를 운전석의 반대측 측으로 접더라도 턱인 폴딩부가 인플레이터 연결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접 봉재부가 에어백 쿠션부에 가접되므로, 에어백 쿠션부가 폴딩 지그에 의해 접힐 때에 턱인 폴딩부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설치되는 스티어링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상측에 턱인 폴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턱인 폴딩부가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턱인 폴딩부를 운전석 에어백에 봉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둘레에 제1 폴딩 지그부와 제2 폴딩 지그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을 압착 지그가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둘레에 배치된 제1 폴딩 지그부가 운전석 에어백을 접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둘레에 배치된 제2 폴딩 지그부가 운전석 에어백을 접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을 접은 후 하우징에 패키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스티어링휠에서 운전석 에어백이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팽창됨에 따라 가접 봉재부가 뜯어진 후 턱인 폴딩부가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턱인 폴딩부가 팽창되면서 휠바디부와 림부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설치되는 스티어링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120)은 하우징(128)에 패키징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110)의 휠바디부(111)에 설치된다. 휠바디부(111)의 둘레부에는 환형의 림부(113)가 형성되고,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에는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휠바디부(111)에는 운전석 에어백(120)이 설치되고, 운전석 에어백(120)은 에어백 커버(115)에 의해 외부와 차폐되고, 에어백 커버(115)에는 운전석 에어백(120)이 팽창될 때에 찢어지도록 테어라인(116) 이 형성된다.
운전석 에어백(120)은 에어백 쿠션부(121) 및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는 에어백 쿠션부(121)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에는 인플레이터(미도시)가 연결된다. 인플레이터는 휠바디부(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는 에어백 쿠션부(121)의 운전석 반대측에 배치된다.
에어백 쿠션부(121)에는 복수의 벤트홀(123)이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부(121)가 전개된 상태를 기준으로 볼 때에, 복수의 벤트홀(123)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의 상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벤트홀(123)은 수평한 가상선(I)상에 일렬로 배열된다. 여기서, 가상선(I)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의 중심(P)에서 최장거리에 위치한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간의 거리(L)의 중간(L/2)이나 그 근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운전석 에어백을 폴딩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상측에 턱인 폴딩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턱인 폴딩부가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턱인 폴딩부를 운전석 에어백에 봉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를 에어백 쿠션부(121)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턱인 폴딩부(125)(Tuck-in Folding)를 형성한다. 여기서, 턱인 폴딩부(125)는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를 에어백 쿠션부(121)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대략 "M" 형태로 접어 형성한 폴딩부를 의미한다.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측에 턱인 폴딩부(125)를 형성하므로,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의 중심에서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측의 거리가 감소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복수의 벤트홀(123)을 연결하는 가상선(I)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턱인 폴딩부(125)의 단부(125a)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의 중심(P)간의 거리가 대략 3L/4 정도로 감소된다. 벤트홀(123)을 연결하는 가상선(I)은 작업자가 턱인 폴딩부(125)를 접는 기준선 역할을 수행하므로, 작업자가 턱인 폴딩부(125)를 규격에 맞게 접을 수 있다.
턱인 폴딩부(125)를 운전석의 반대측, 다시 말해 인플레이터 연결부(133) 측으로 접는다. 이때, 턱인 폴딩부(125)의 단부(125a)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턱인 폴딩부(125)의 폭방향 길이가 L/4 정도 되이므로, 턱인 폴딩부(125)가 접히더라도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턱인 폴딩부(125)가 접힐 때에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를 간섭하지 않으므로, 턱인 폴딩부(125)를 운전자의 반대측(인플레이터 연결부(122)측)으로 접더라도 턱인 폴딩부(125)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를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턱인 폴딩부(125)가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히므로, 에어백 쿠션부(121)의 전개 초기에는 턱인 폴딩부(125)가 약간 풀어지면서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에어백 쿠션부(121)가 조금 더 전개되면, 가접 봉제부(126)가 뜯어짐에 따라 턱인 폴딩부(125)가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의 공간부로 인입되고, 턱인 폴딩부(125)가 팽창됨에 따라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전개된다.
이어, 에어백 쿠션부(121)가 더욱 더 전개되면,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의 공간부에서 빠져나오면서 림부(113)와 운전자의 얼굴 사이로 이동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를 빠져나오는 동안에 림부(113)에 의해 가압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림부(113)와 얼굴 사이의 공간과, 림부(113)와 목(33) 사이의 공간으로 분산되면서 팽창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턱(31)과 목(33)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턱(31)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도록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121)이 전개시 목(33)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121)와 운전자의 접촉 양상은 운전자의 목의 굽힘과 상관없이 머리를 전체적으로 밀어주는 에어백 구션부(121)의 반력을 유발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변동성(가스 압력의 변동성)에 매우 강건한 운전자 에어백(100)의 보호 성능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턱인 폴딩부(125)를 에어백 쿠션부(121)에 가접한다. 이때, 턱인 폴딩부(125)의 단부(125a)를 에어백 쿠션부(121)에 봉재하여 가접 봉재부(126)를 형성한다. 가접 봉재부(126)가 에어백 쿠션부(121)에 가접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21)가 폴딩 지그(20)에 의해 접힐 때에 턱인 폴딩부(125)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턱인 폴딩부(125)에는 에어백 쿠션부(121)의 전개시 끊어지도록 봉재 강도가 약한 섬유사가 적용된다. 또한, 가접 봉재부(126)의 섬유사 강도는 에어백 쿠션부(125)의 폴딩 과정에서의 턱인 및 접힘 구조의 풀어짐을 방지하는 역할만 수행하며, 에어백 쿠션부(125)의 전개시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둘레에 제1 폴딩 지그부와 제2 폴딩 지그부가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을 압착 지그가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둘레에 배치된 제1 폴딩 지그부가 운전석 에어백을 접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둘레에 배치된 제2 폴딩 지그부가 운전석 에어백을 접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을 접은 후 하우징에 패키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턱인 폴딩부(125)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 측으로 접힌 상태에 에어백 쿠션부(121)를 바닥에 펼치고,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에 압착 지그(10)의 가스 주입부(13)를 연결한다.
에어백 쿠션부(121)에 가스를 주입하고, 에어백 쿠션부(121)가 평판 형태를 유지하도록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측을 압착 지그(10)로 가압한다. 압착 지그(10)는 에어백 쿠션부(121) 전체에 접촉되도록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압착 지그(10)에는 가스 주입부(13)가 연결된다. 에어백 쿠션부(121)에는 에어백 쿠션부(121)가 판형태로 팽창될 정도의 가스량만 주입된다.
에어백 쿠션부(12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폴딩 지그(20)를 인플레이터 연결부(122)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에어백 쿠션부(121)를 접는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121)에서는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를 통해 가스가 배출된다.
폴딩 지그(20)는 제1 폴딩 지그부(21)와 제2 폴딩 지그부(25)를 포함한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12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제1 폴딩 지그부(21)가 배치되고, 제1 폴딩 지그부(21) 사이에 제2 폴딩 지그부(25)를 배치시킨다. 제1 폴딩 지그부(21)와 제2 폴딩 지그부(25)는 에어백 쿠션부(121)의 둘레에 교대로 설치된다.
제1 폴딩 지그부(21)는 에어백 쿠션부(121)를 인플레이터 연결부(122)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도록 단부가 절개된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지그 헤드(22)와, 제1 지그 헤드(22)에 연결되는 제1 지그 로드(23)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폴딩 지그부(25)는 제1 지그 헤드(22) 사이에 끼워지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지그 헤드(26)와, 제2 지그 헤드(26)에 연결되는 제2 지그 로드(27)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폴딩 지그부(21)를 인플레이터 연결부(122)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에어백 쿠션부(121)를 접는다. 이때, 제1 폴딩 지그부(21)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 측으로 이동되면, 에어백 쿠션부(121)에서 인플레이터 연결부(122) 측으로 밀려 이동되지 않은 부분이 제1 폴딩 지그부(21) 사이에 끼이게 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121)의 가스는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를 통해 배출된다.
제1 폴딩 지그부(21)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폴딩 지그부(25)를 제1 폴딩 지그부(21) 사이로 이동시키면서 에어백 쿠션부(121)를 접는다. 이때, 제1 폴딩 지그부(21) 사이에 위치되는 에어백 쿠션부(121) 부분이 제1 폴딩 지그부(21)에 의해 인플레이터 연결부(122) 측으로 이동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21)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의 둘레에 원형으로 접히게 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부(121)의 가스는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를 통해 배출된다.
제1 폴딩 지그부(21)와 제2 폴딩 지그부(25)에 의해 접힌 에어백 쿠션부(121)는 하우징(128)의 내부에 수용된 후 스티어링휠(110)의 휠바디부(111)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폴딩된 운전석 에어백이 전개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스티어링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스티어링휠에서 운전석 에어백이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팽창됨에 따라 가접 봉재부가 뜯어진 후 턱인 폴딩부가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의 턱인 폴딩부가 팽창되면서 휠바디부와 림부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이 완전히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차량 충돌이 발생되면,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는 가스가 인플레이터 연결부(122)를 통해 에어백 쿠션부(121)에 주입된다. 에어백 쿠션부(121)에 가스가 주입됨에 따라 하우징(128)에 패키징된 에어백 쿠션부(121)가 에어백 커버(115)를 찢으면서 운전석 측으로 튀어나온다.
에어백 쿠션부(121)의 전개시 에어백 쿠션부(121)의 대부분이 스티어링휠(110)과 운전자의 가슴 사이에서 납작하게 팽창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121)는 방사상으로 펼쳐지면서 팽창된다.
에어백 쿠션부(121)가 방사상으로 팽창됨에 따라 턱인 폴딩부(125)가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가접 봉재부(126)가 에어백 쿠션부(121)의 팽창 압력에 의해 끊어진다.
이때, 턱인 폴딩부(125)가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혀있는 상태이므로, 턱인 폴딩부(125)가 풀어지면서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의 공간부를 통과하면서 운전석의 반대측(인플레이터 연결부(122)측)으로 팽창된다. 에어백 쿠션부(121)의 전개 초기에 턱인 폴딩부(125)가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팽창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운전자의 목(33)과 턱(31) 사이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에어백 쿠션부(121)가 더욱 더 전개되면,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의 공간부에서 빠져나오면서 림부(113)와 운전자의 얼굴 사이로 이동된다. 이때,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휠바디부(111)와 림부(113) 사이를 빠져나오는 동안에 림부(113)에 의해 가압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림부(113)와 얼굴 사이의 공간과, 림부(113)와 목(33) 사이의 공간으로 분산되면서 팽창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턱(31)과 목(33) 사이에 끼인 후 더욱 팽창되면서 턱(31)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121)의 전개시 목(33)이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부(121)가 완전히 팽창되면,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팽팽해지므로,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단부(121a)가 림부(113)와 얼굴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측에 턱인 폴딩부(125)를 형성한 후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폴딩함으로써, 에어백 쿠션부(121)의 전개시 목(31)과 턱(33) 사이에 에어백 쿠션부(121)의 상측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시험결과 목(31) 상해가 기존의 97%에서 45-48%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압착 지그 20: 폴딩 지그
21: 제1 폴딩 지그부 22: 제1 지그 헤드
23: 제1 지그 로드 25: 제2 폴딩 지그부
26: 제2 지그 헤드 27: 제2 지그 로드
31: 턱 33: 목
110: 스티어링휠 111: 휠바디부
113: 림부 115: 에어백 커버
116: 테어라인 120: 운전석 에어백
121: 에어백 쿠션부 121a: 상단부
122: 인플레이터 연결부 123: 벤트홀
125: 턱인 폴딩부 125a: 단부

Claims (7)

  1.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턱인 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턱인 폴딩부를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는 단계;
    상기 턱인 폴딩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가접하는 단계;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가스를 주입하고, 상기 에어백 쿠션부가 평판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을 압착 지그로 가압하는 단계; 및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폴딩 지그를 인플레이터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상기 턱인 폴딩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상단부가 복수의 벤트홀을 연결하는 가상선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턱인 폴딩부를 상기 운전석의 반대측으로 접는 단계에서는,
    상기 턱인 폴딩부의 단부가 상기 인플레이터 연결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턱인 폴딩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가접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턱인 폴딩부를 상기 에어백 쿠션부에 봉재하여 가접 봉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폴딩 지그를 상기 인플레이터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폴딩 지그부를 상기 인플레이터 연결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 및
    상기 제1 폴딩 지그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폴딩 지그부를 상기 제1 폴딩 지그부 사이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부를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딩 지그부는 단부가 절개된 쐐기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지그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딩 지그부는 상기 제1 지그 헤드 사이에 끼워지도록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2 지그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KR1020170019949A 2017-02-14 2017-02-14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KR10257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49A KR102576315B1 (ko) 2017-02-14 2017-02-14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US15/894,290 US10668889B2 (en) 2017-02-14 2018-02-12 Method for folding driver air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949A KR102576315B1 (ko) 2017-02-14 2017-02-14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613A KR20180093613A (ko) 2018-08-22
KR102576315B1 true KR102576315B1 (ko) 2023-09-08

Family

ID=6310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949A KR102576315B1 (ko) 2017-02-14 2017-02-14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668889B2 (ko)
KR (1) KR102576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0789A1 (de) * 2015-08-20 2017-02-23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Gassacks, Pressvorrichtung zum Formen von Gassackpaketen sowie Gassackpaket
DE102017203931B4 (de) * 2017-03-09 2021-05-20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assackmoduls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s
JP6783989B2 (ja) * 2017-06-28 2020-11-11 豊田合成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495B2 (ja) 2004-11-30 2010-01-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033788B1 (ko) 2008-10-14 2011-05-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3846A (en) * 1993-04-07 1996-02-27 Automated Solutions Inc. Bag folding system
DE19516494C1 (de) * 1995-05-05 1996-10-24 Autoliv Dev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es für ein Insassenrückhaltesystem
DE19535565C2 (de) * 1995-09-12 2002-09-05 Takata Petri Ag Verfahren zur Faltung eines Gassack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Faltverfahrens
DE19625109C2 (de) * 1996-06-17 1999-08-05 Petri Ag Gassackfaltung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assackfaltung
US5782737A (en) * 1996-07-29 1998-07-2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lding a vehicle safety airbag
JPH1148891A (ja) * 1997-08-08 1999-02-23 Autoliv Japan Kk 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DE19827725A1 (de) * 1998-06-22 1999-12-23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Falten eines aufblasbaren Luftsacks
US6472033B1 (en) * 1999-07-30 2002-10-29 Milliken & Company Airbag cushion exhibiting low seam usage and simultaneously high available inflation volume
DE10020677A1 (de) * 2000-04-27 2001-10-31 Delphi Tech Inc Faltverfahren und -vorrichtung
JP4552840B2 (ja) * 2005-04-01 2010-09-29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8678430B2 (en) * 2011-06-24 2014-03-25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and airbag folding method
KR101737528B1 (ko) * 2011-07-15 2017-05-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자 에어백 쿠션의 폴딩장치 및 폴딩방법
US8540276B2 (en) * 2011-11-07 2013-09-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knee airbag assemblies with cushion fold pattern
WO2015028780A1 (en) * 2013-08-28 2015-03-05 Autoliv Development Ab A method of packaging an air-bag
US10071704B2 (en) * 2014-07-25 2018-09-11 Hyundai Mobi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ing driver airbag
JP6536418B2 (ja) * 2016-01-21 2019-07-03 豊田合成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の折畳準備体と折畳体の折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495B2 (ja) 2004-11-30 2010-01-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033788B1 (ko) 2008-10-14 2011-05-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운전석의 에어백쿠션 및 그 폴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29685A1 (en) 2018-08-16
US10668889B2 (en) 2020-06-02
KR20180093613A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8141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293583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CN110293929B (zh) 安全气囊装置
JP5196530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6632354B2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6783874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32547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293580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576315B1 (ko) 운전석 에어백의 폴딩방법
JP5187816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143379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200066714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05297715A (ja)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494694B1 (ko)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
JP4836494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083142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399336B1 (ko) 에어백 장치
KR20220100036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408575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8515693A (ja)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KR20120095845A (ko) 에어백 장치
KR102643556B1 (ko)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150035801A (ko) 외부 디플렉터를 갖는 에어백 모듈
KR102593658B1 (ko)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45852B1 (ko) 루프탑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