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556B1 -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556B1
KR102643556B1 KR1020227006503A KR20227006503A KR102643556B1 KR 102643556 B1 KR102643556 B1 KR 102643556B1 KR 1020227006503 A KR1020227006503 A KR 1020227006503A KR 20227006503 A KR20227006503 A KR 20227006503A KR 102643556 B1 KR102643556 B1 KR 10264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holding
airbag cush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158A (ko
Inventor
카즈키 모리타
케이토쿠 미야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20038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보유 지지 커버(130)는 차량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에 덩어리 형상의 수납 형태로 되어 수납되는 쿠션(104)을 감싼다. 상기 보유 지지 커버(130)는 수납 형태의 쿠션(104)의 측면(136b)에 감겨 있는 측면 보유 지지부(132)와, 수납 형태의 쿠션(104)의 상면(136a)을 상하로 종단하여 설치되는 포상부(134)와, 포상부(134)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쿠션(104)의 팽창압으로 포상부(134)를 상측 편(135a)과 하측 편(135b)으로 분할하는 취약부(148)를 가진다. 승차인(150)이 근접한 상태에서 쿠션(104)이 팽창 전개하면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이 쿠션(104)과 승차인(150) 사이에 끼워 상측 편(135a)이 쿠션(104)의 상방으로의 전개를 억제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이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에어백 장치가 거의 표준 장비되어 있다.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쿠션은 주로 스티어링 휠의 중앙 허브에 수용되어 있고, 수지제의 커버 부재 등을 그 팽창압으로 개열하여 승차인의 전방으로 팽창 전개한다.
통상 에어백 쿠션은 승차인이 좌석에 정규 자세로 착석하고 있는 상태를 상정하여 형상이나 설치 장소 등이 결정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승차인이 불의에 몸을 내밀었을 때 등, 승차인은 항상 정규 착석 위치에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승차인이 좌석에 대하여 비정규 착석 위치에 있을 때(통칭 아웃 오브 포지션), 만에 하나라도 긴급 사태가 발생하면 에어백 쿠션은 승차인의 머리부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에어백 쿠션은 승차인의 머리부를 후굴(後屈)시키게 된다. 신체 구조상 후굴 등 머리부를 회전시키는 움직임은 신체에 부담을 부여하기 쉽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의 아웃 오브 포지션에 있어서의 대책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에어백(10)에 후경(後傾) 플랩(15)을 설치하고 있다. 후경 플랩(15)은 에어백(10)이 아웃 오브 포지션의 승차인의 머리부에 접근한 상태에서 팽창 전개를 개시했을 때에 머리부의 후경 모멘트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단락0040).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2011-6818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도 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경 플랩(15)은 길이가 긴 띠 형상의 부재로서 수납 시에 진동 등을 받거나 에어백(10)이 팽창 전개했을 때의 기세 등에 의해 당초에 설정한 위치로부터 어긋날 우려가 있다. 후경 플랩(15)에 의해 에어백(10)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후경 플랩(15)을 목적 위치에 적절히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이러한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으로 덩어리 형상의 수납 형태로 되어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로서, 상기 보유 지지 커버는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의 측면을 감고 있는 측면 보유 지지부와,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의 상면을 상하로 종단(縱斷)하여 설치되는 포상부(천모양부(布狀部)와, 포상부의 소정 장소에 설치되어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으로 파단하여 포상부를 상측 편(片)과 하측 편으로 상하로 분할하는 취약부를 가지고, 승차인이 근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하면 포상부의 상측 편이 에어백 쿠션과 승차인 사이에 있는 상태가 되고, 포상부의 상측 편이 에어백 쿠션의 상방으로의 전개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할 때 포상부의 상측 편을 에어백 쿠션의 상부에 효율 좋게 걸 수 있다. 이 포상부의 상측 편은 승차인이 전방으로 몸을 내밀고 있을 때 등, 전개 도중의 에어백 쿠션과 승차인 사이에 있는 상태가 되고, 하방으로부터 팽창하려고 하는 에어백 쿠션에 저항한다. 이에 의해 머리부에 대한 에어백 쿠션의 하방으로부터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 또는 에어백 쿠션이 머리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했을 때의 하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머리부의 밀어올림 및 후굴의 방지가 달성된다. 추가로 상기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의 수납 형태를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차량 설치 전의 에어백 쿠션의 운반 등, 에어백 쿠션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포상부의 상단부는 에어백 쿠션의 상방에서 측면 보유 지지부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포상부의 상측 편을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에 적합하게 건너지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포상부의 하단은 측면 보유 지지부와 에어백 쿠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된다. 포상부가 측면 보유 지지부와 에어백 쿠션 사이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포상부가 에어백 쿠션과 하우징 사이에 있는 경우보다도 원활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포상부의 하단은 측면 보유 지지부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포상부를 에어백 쿠션에 상하로 적합하게 건너지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취약부는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의 하부에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을 이용하여 취약부를 파단시키기 쉬워진다.
상기 취약부는 포상부의 하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포상부의 상측 편이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 편을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 쿠션에 걸치기 쉬워진다.
상기 포상부의 에어백 쿠션과는 반대측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에어백 쿠션측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보다 높아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상부와 승차인과의 정지 마찰 계수가 커지기 때문에 포상부가 승차인으로부터 미끄러져 가는 것을 방지하고, 포상부를 적합하게 기능시키면서 에어백 쿠션에 의해 승차인을 충분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포상부의 에어백 쿠션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소정의 수지가 도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포상부와 승차인과의 정지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의 정지 마찰 계수가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고 있는 하우징의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보다 낮아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상부를 원활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는 에어백 쿠션과 동일한 재질로부터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측면 보유 지지부의 정지 마찰 계수를 에어백 쿠션과 동일한 정도로 하여 포상부를 원활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취약부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포상부를 파단시키는 슬릿,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파단 가능하게 포상부와 측면 보유 지지부를 접속하는 임시 봉제, 또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해소 가능하게 포상부와 측면 보유 지지부를 연결하는 열용착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각 취약부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에 포상부를 분할하고 상측 편과 하측 편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은 운전석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의 스티어링 휠에 수납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운전석의 승차인을 적합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은 조수석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수납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조수석의 승차인을 적합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차량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에 덩어리 형상의 수납 형태로 되어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쿠션에 내장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의 팽창 전개 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를 구비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개요를 예시한 도이다.
도 2는 도 1(b)의 작동 후의 에어백 모듈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에어백 모듈의 작동 전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3(a)의 보유 지지 커버를 단독으로 예시한 도이다.
도 5는 도 4(a)의 보유 지지 커버를 평면상에서 전개시킨 도이다.
도 6은 도 3(a)의 에어백 모듈이 작동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이다.
도 7은 도 2(b)의 쿠션과 정규 착석 위치의 승차인을 예시한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쿠션과 비정규 착석의 승차인을 예시한 도이다.
도 9는 도 2(a)의 에어백 모듈의 제1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0은 도 2(a)의 에어백 모듈의 제2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1은 도 6(a)의 에어백 모듈의 제3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2는 도 3(a)의 에어백 모듈의 제4 내지 제6 변형예를 예시한 도이다.
도 13은 도 5의 천(布) 부재의 치수에 대하여 검토한 시험 결과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기타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설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이하, 보유 지지 커버(130))를 구비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100)의 개요를 예시한 도이다. 도 1(a)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100)의 작동 전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이후 도 1 기타 도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을 각각 화살표F(Forward), B(Back), 차량 폭 방향의 좌우를 각각 화살표L(Left), R(Right), 차량 상하 방향을 각각 화살표U(up), D(down)으로 예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100)를 좌측 핸들 차량에 있어서의 운전석용(전열 좌측의 좌석(102))의 것으로서 실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전열 좌측의 좌석(102)을 상정하여 설명을 실시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차량 폭 방향 외측(이하, 차량 외측)이란 차량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 폭 방향 내측(이하, 차량 내측)이란 차량 우측을 의미한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100)의 에어백 쿠션(이하, 쿠션(104)(도 1(b) 참조))은 접거나 권회 등이 된 상태로 좌석(102)에 있어서의 승차인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에서, 스티어링 휠(106)의 중앙 허브(108)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때 쿠션(104)은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와 함께 에어백 모듈(105)을 형성하여 수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쿠션(104)을 설치하는 스티어링 휠(106)은 승차인의 조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휠에 전달하는 구성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 전기 신호로의 변환을 실시하는 스티어링 휠(106)은 림(114)을 큰 각도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림(114)은 허브(108)의 좌우 및 하방에만 존재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허브(108)의 상방의 범위에서는 림(114)은 생략되어 있다.
도 1(b)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100)의 작동 후의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쿠션(104)은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스티어링 휠(106)(도 1(a) 참조)의 커버 부재(110)를 개열하면서 팽창을 개시한다. 쿠션(104)은 좌석(102)에 있어서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으로 주머니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고,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승차인의 상반신이나 머리부를 구속한다. 쿠션(104)은 착석 위치측으로부터 보아 원형이고, 그 표면을 구성하는 여러 개의 패널을 겹쳐 봉제 또는 접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쿠션(104)에는 후술하는 보유 지지 커버(130)의 포상부(134)가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포상부(134)는 승차인의 머리부의 후굴 방지를 도모하기 위한 부재이다(도 8 참조).
도 2는 도 1(b)의 작동 후의 에어백 모듈(105)을 각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에어백 모듈(105)을 차량 외측의 조금 상방으로부터 보아 예시하고 있다. 도 2(a)에서는 쿠션(104)을 구성하는 패널의 일부를 잘라 내여 내부의 인플레이터(112)를 노출시키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쿠션(104)은 스티어링 휠(106)측(도 1(a) 참조)으로부터 승차인측(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지름이 넓어지는 원추대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쿠션(104)은 여러 개의 패널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승차인측의 프론트 패널(120), 스티어링 휠(106)측(도 1(a) 참조)의 리어 패널(122) 및 측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24)을 포함하고 있다. 사이드 패널(124)에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벤트홀(126a, 126b)이 설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12)는 가스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형상(원반 형상)인 것을 채용하고 있다. 인플레이터(112)는 가스 배출구(116)가 형성된 일부가 리어 패널(122)로부터 쿠션(104) 내에 삽입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센서로부터 보내지는 충돌 검지 신호에 기인하여 가동하여 쿠션(104)에 가스를 공급한다.
인플레이터(112)는 여러 개의 스터드 볼트(118)가 설치되어 있다. 스터드 볼트(118)는 쿠션(104)의 리어 패널(122)을 관통하고 스티어링 휠(106)의 내부 바닥면에 체결된다. 스터드 볼트(118)의 체결에 의해 쿠션(104)도 스티어링 휠(106)에 고정되어 있다.
현재 보급하고 있는 인플레이터는 가스 발생제가 충전되어 있어 이것을 연소시켜 가스를 발생시키는 타입이나, 압축 가스가 충전되어 있어 열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스를 공급하는 타입, 또는 연소 가스와 압축 가스를 양방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등이 있다. 인플레이터(112)로서는 어느 타입도 이용 가능하다.
포상부(134)는 쿠션(104)을 감싸는 보유 지지 커버(130)의 일부이다. 포상부(134)는 길이가 긴 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단부가 측면 보유 지지부(132)에 접속되어 있다. 포상부(134)는 쿠션(104)의 팽창 전개에 맞추어 중간 부분이 파단하여 상단측인 상측 편(135a)(도 6(d) 참조)과 하단측인 하측 편(135b)으로 상하로 분할된다. 그리고 상측 편(135a)은 팽창 전개한 쿠션(104)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상하 방향으로 건너지르는 상태가 된다.
도 2(b)는 도 2(a)의 에어백 모듈(105)을 차량 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팽창 전개한 쿠션(104)은 프론트 패널(120)의 높이 방향의 중앙(P1)이 리어 패널(122)의 높이 방향의 중앙(P2)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한 가상선(L1)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쿠션(104)이 팽창 전개했을 때 프론트 패널(120)은 거의 연직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데, 리어 패널(122)은 상부가 차량 전방측(도 2(b) 중 좌측)으로 넘어지도록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팽창 전개한 쿠션(104)의 상부(104a)의 폭(W1)은 쿠션(104)의 하부(104b)의 폭(W2)에 비해 두꺼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c)는 도 2(a)의 에어백 모듈(105)을 상방으로부터 예시한 도이다. 쿠션(104)은 상방으로부터 보면 대략 좌우 대칭인 원추대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은 쿠션(104)의 상단면의 차량 폭 방향의 중앙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건너지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도 2(a)의 에어백 모듈(105)의 작동 전 상태를 예시한 도이다. 도 3(a)는 도 2(a)와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예시한 작동 전 에어백 모듈(105)의 사시도이다. 작동 전 에어백 모듈(105)에서는 팽창 전개하기 전의 쿠션(104)이 인플레이터(112)(도 2(a)참조)를 내포한 상태에서 권회나 접기 등에 의해 작게 정리한 덩어리 형상의 수납 형태로 되어 있다.
수납 형태의 쿠션(104)은 보유 지지 커버(130)에 의해 감쌈으로써 접기 등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보유 지지 커버(130)로 쿠션(104)을 감쌈으로써 쿠션(104)의 접기 등의 흐트러짐이 방지 가능하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105)을 운반할 때나 차량에 설치할 때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보유 지지 커버(130)의 측면 보유 지지부(132)는 수납 형태의 쿠션(104)의 측면(136b)을 감싸는 부위이다. 측면 보유 지지부(132)는 수납 형태의 쿠션(104)의 상면(136a)을 개방한 상태에서 쿠션(104)의 측면(136b)에 감기여 쿠션(104)을 보유 지지한다. 또한 쿠션(104)의 측면(136b)이란 덩어리 형상의 쿠션(104) 중 인플레이터(112)(도 2(a) 참조)의 스터드 볼트(118)가 노출하고 있는 면을 하면(136c)으로 하고 반대측을 상면(136a)으로 했을 때의 측부 면이다.
포상부(134)는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파단하는 띠 형상의 부재이다. 전개 전의 포상부(134)는 쿠션(104)의 상면(136a)을 상하 방향으로 걸쳐 양단부가 측면 보유 지지부(132)에 접속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105)을 스티어링 휠(106)(도 6(a))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는 포상부(134)는 쿠션(104)의 상면(136a)을 상하로 종단하여 측면 보유 지지부(132)에 건너지른 상태가 된다.
도 3(b)는 도 3(a)의 수납 상태의 쿠션(104)의 반대측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측면 보유 지지부(132)에는 인플레이터(112)로부터 연장하는 스터드 볼트(118)에 거는 4개의 탭(tab)(138)이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커버(130)는 탭(138)에 스터드 볼트(118)를 통과시킴으로써 쿠션(104)을 감싼 상태가 유지된다.
도 4는 도 3(a)의 보유 지지 커버(130)를 단독으로 예시한 도이다. 도 4(a)는 도 3(a)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보유 지지 커버(130)를 예시한 도이다. 포상부(134)는 길이 방향의 도중에 여러 번 되접어 측면 보유 지지부(132)를 건너지른다. 포상부(134)의 되접음을 유지하는 봉제(140)는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의 압력으로 파단 등을 하여 해소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의 보유 지지 커버(130)를 상방으로부터 보아 예시한 도이다. 측면 보유 지지부(132)의 돌출 편(142)은 포상부(134)의 상단측(134a)의 위에 겹쳐져 봉제되어 있다. 도 4(c)는 도 4(a)의 보유 지지 커버(130)를 하방으로부터 보아 예시한 도이다. 포상부(134)의 하단측(134b)은 고리 형상으로 된 측면 보유 지지부(132)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보유 지지부(132)에 봉제에 의해 접속(접속부(146b))되어 있다.
도 5는 도 4(a)의 보유 지지 커버(130)를 평면상에 전개시킨 도이다. 측면 보유 지지부(132)는 4개의 탭(138)을 가지는 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단부의 접속부(144a, 144b)로 접속함으로써 고리 형상의 구성(도 4(a))이 된다. 포상부(134)도 또한 띠 형상으로서 상단측(134a)이 측면 보유 지지부(132)의 돌출 편(142)에 접속되고 하단측(134b)의 접속부(146a)가 측면 보유 지지부(132)의 접속부(146b)에 접속된다. 측면 보유 지지부(132) 및 포상부(134)는 쿠션(104)의 기포(基布)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상부(134)의 하단측(134b) 중 접속부(146b)의 근방에는 취약부(148)가 설치되어 있다. 취약부(148)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선 형상의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취약부(148)는 쿠션(104)(도 6(c) 참조)의 팽창압을 받아 파단하고 포상부(134)를 상측 편(135a)과 하측 편(135b)으로 상하로 분할한다.
또한 취약부(148)는 슬릿 외 쿠션(104)의 팽창압에 의해 파단 가능하게 포상부(134)와 측면 보유 지지부(132)를 접속하는 임시 봉제나, 쿠션(104)의 팽창압에 의해 해소 가능하게 포상부(134)와 측면 보유 지지부(132)를 연결하는 열용착 등에 의해서도 형성 가능하다. 이들 각 취약부에 의해서도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포상부(134)를 상하로 분할하고 상측 편(135a) 및 하측 편(135b)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도 3(a)의 에어백 모듈(105)이 작동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이다. 도 6(a)는 도 1(a)의 A-A단면에 대응하고 있다. 도 6(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105)은 스티어링 휠(106)의 커버 부재(110)의 내측에 수납되어 있다. 도 6(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112)로부터 쿠션(104)에 가스가 공급되면 쿠션(104)의 팽창압에 의해 커버 부재(110)가 개열한다.
도 6(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쿠션(104)이 팽창 전개하면 쿠션(104)의 팽창압에 의해 포상부(134)의 취약부(148)도 파단하고 포상부(134)는 상측 편(135a)와 하측 편(135b)으로 상하로 분할된다. 그리고 도 6(d)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은 쿠션(104)에 씌워지고 쿠션(104)은 상측 편(135a)이 씌워진 상태로 외부를 향해 팽창 전개한다.
도 7은 도 2(b)의 쿠션(104)과 정규 착석 위치의 승차인(150)을 예시한 도이다. 도 7은 쿠션(104) 및 좌석(102)에 정규로 착석한 승차인(150)을 차량 폭 방향 좌측으로부터 보아 예시하고 있다. 쿠션(104)은 승차인측의 프론트 패널(120)을 주요 구속 면으로 하고 승차인(150)의 머리부(152)부터 흉부(154), 그리고 복부(156)까지를 구속한다.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팽창 전개한 쿠션(104)의 상부(104a)는 쿠션(104)의 하부(104b)에 비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두껍다. 특히 팽창 전개한 쿠션(104)은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사이드 패널(124)과 프론트 패널(120)의 경계(L2)가 상방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긴급 시에 있어서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승차인(150)은 쿠션(104)의 상부(104a)로부터 조기에 접촉한다. 그리고 쿠션(104)의 상부(104a)는 그 두께를 가지고 승차인(150)의 머리부(152)로부터의 하중을 흡수한다.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104)의 하부(104b)의 차량 전후 방향의 폭(W2)은 상부(104a)의 폭(W1)에 비해 조금 작다. 일반 차량에서는, 스티어링 휠은 차량 전측으로 약 20도 내지 25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고 스티어링 휠과 승차인(150) 사이의 공간은 하방의 흉부(154)측을 향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좁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쿠션(104)이라면 하부(104b)를 향할수록 차량 전후 방향의 폭은 감소해 가기 때문에 하부(104b)가 스티어링 휠(106)과 복부(156)의 좁은 공간에 들어가기 쉽게 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쿠션(104)과 비정규 착석의 승차인(150)을 예시한 도이다. 도 8(a)는 쿠션(104) 및 좌석(102)(도 7 참조)에 대한 비정규 착석 위치(통칭, 아웃 오브 포지션)의 승차인(150)을 차량 폭 방향 좌측에서 보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승차인(150)이 좌석(102)(도 7 참조)으로부터 몸을 내밀고 있는 경우 등, 승차인(150)이 쿠션(104)에 근접한 상태에서 쿠션(104)의 팽창 전개가 개시하면 쿠션(104)은 승차인(150)의 머리부(152)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근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유 지지 커버(130)의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이 쿠션(104)의 상부로부터 구속면에 걸쳐 건너지르고 있기 때문에 승차인(150)은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은 쿠션(104)과 승차인(150)의 흉부(154) 사이에 끼운 상태가 되고 하방으로부터 팽창 전개하려고 하는 쿠션(104)에 저항한다.
도 8(b)는 도 8(b)의 에어백 모듈(105) 및 승차인(150)을 차량 전방으로부터 본 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은 승차인(150)과 쿠션(104) 사이에 끼워 움직이기 어려워지고 쿠션(104)을 하방으로 밀어낸다. 이에 의해 쿠션(104)은 상방으로의 팽창 전개가 억제되고 예를 들어 포상부(134)를 좌우로 회피하듯이 팽창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쿠션(104)의 승차인(150)의 머리부(152)를 향하는 전개 거동을 억제하는 것 및 쿠션(104)이 머리부(152)에 접촉했을 때의 하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머리부(152)의 밀어올림 및 후굴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쿠션(104)은 포상부(134)를 가지는 보유 지지 커버(130)에 감싸인 상태에서 수납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커버(130)는 쿠션(104)이 팽창 전개한 후에 있어서도 쿠션(104)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시 및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의 어느 때에 있어서도 포상부(134)의 위치의 어긋남을 막고 포상부(134)를 목적한 위치, 즉 전개 도중의 쿠션(104)과 승차인(150)의 머리부(152)부터 흉부(154)에 걸친 사이에 효율 좋게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포상부(134)는 주로 쿠션(104)이 비정규 착석 위치의 승차인(150)(도 8(a) 참조)에 근접하여 팽창 전개를 개시했을 때, 즉 쿠션(104)의 팽창 전개 도중에 있어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승차인(150)이 정규 착석 위치(도 7)에 존재하고 쿠션(104)과 승차인(150) 사이에 거리가 있는 경우, 쿠션(104)은 팽창 전개가 종료하여 크게 부푼 상태가 된다. 그 상태에 있어서는,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은 프론트 패널(120)에는 걸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포상부(134)는 상측 편(135a)을 승차인(150)과 쿠션(104) 사이에 끼우기 쉽게 하기 위하여, 승차인(150)측의 표면 정지 마찰 계수가 쿠션(104)측의 표면 정지 마찰 계수보다도 높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포상부(134)는 승차인(150)측의 면에 수지 코트면(160)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 코트면(160)은 수지의 일례로서 실리콘이 도포되어 있고 승차인(150)(도 8(a))에 대한 정지 마찰력이 크며 승차인(150)에 대하여 미끄러지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모듈(105)이라면 승차인(150)에게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이 접촉했을 때에 상측 편(135a) 및 쿠션(104)이 승차인(150)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막고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에 의한 승차인(150)의 머리부(152)의 밀어올림 방지 기능을 적합하게 발휘시키면서 쿠션(104)에 의해 승차인(150)을 충분히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포상부(134)의 수지 코트면(160)은 실리콘 외 우레탄 고무나 기타 수지 피막에 의해서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포상부(134)의 상단측(134a)은 쿠션(104)의 상방에서 측면 보유 지지부(132)에 접속(도 5 참조)되어 있다. 이 구성이라면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을 팽창 전개하는 쿠션(104)에 적합하게 건너지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포상부(134)의 하단측(134b)은 측면 보유 지지부(132)와 쿠션(104)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측면 보유 지지부(13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 보유 지지부(132)의 정지 마찰 계수는 쿠션(104)을 수납하고 있는 하우징(162)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측면 보유 지지부(132)는 쿠션(104)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쿠션(104)과 같은 정도의 정지 마찰 계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포상부(134)가 측면 보유 지지부(132)와 쿠션(104) 사이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포상부(134)의 정지 마찰 계수가 높아져 있다고 해도 포상부(134)가 쿠션(104)과 하우징(162) 사이에 있는 경우보다도 포상부(134)는 원활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보유 지지 커버(130)에 의해 쿠션(104)을 감쌈으로써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승차인(150)(도 8(a) 참조)의 머리부(152)의 후굴을 방지하는 등, 쿠션(104)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커버(130)의 측면 보유 지지부(132)가 쿠션(104)을 포위하고 있음으로써 쿠션(104)의 전개 거동을 목적으로 하는 방향으로 규제하고 쿠션(104)의 전개 정밀도의 향상 및 하우징(162)의 변형 방지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유 지지 커버(130)는 쿠션(104)과 같은 재질의 기포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정지 마찰 계수가 쿠션(104)과 같은 정도라면 다른 소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이하, 상술한 각 구성 요소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의 각 도에서는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이로써 기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명칭에 대해서는 설사 상이한 부호를 붙이고 있어도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도 2(a)의 에어백 모듈(105)의 제1 변형예(에어백 모듈(200))를 예시한 도이다. 도 9(a)는 도 2(a)에 대응하여 에어백 모듈(200)을 예시하고 있다. 에어백 모듈(200)이 구비하는 쿠션(202)은 프론트 패널(204) 및 리어 패널(206)의 2장의 패널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점, 즉 사이드 패널(124)을 생략하고 있는 점에서 도 2(a)의 쿠션(104)과 구성이 상이하다. 쿠션(202)에 있어서도 수납 시에 보유 지지 커버(130)(도 4(a) 참조)로 감싸고 전개 시에 포상부(134)를 건너지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b)는 도 9(a)의 프론트 패널(204)을 예시한 도이다. 프론트 패널(204)은 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9(c)는 도 9(a)의 리어 패널(206)을 예시한 도이다. 리어 패널(206)은 원형으로서 프론트 패널(204)과 대략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9(a)의 쿠션(202)은 이들 프론트 패널(204)의 가장자리와 리어 패널(206)의 가장자리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에어백 모듈(200)(도 9(a) 참조)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 커버(130)(도 4(a) 참조)의 포상부(134)에 의해 도 8(a)의 에어백 모듈(105)과 마찬가지로 승차인(150)의 머리부(152)를 향하려고 하는 전개 도중의 쿠션(202)의 거동을 억제하고 또는 전개 도중의 쿠션(202)이 머리부(152)에 접촉했을 때의 하중을 억제하고, 머리부(152)의 밀어올림 및 후굴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도 2(a)의 에어백 모듈(105)의 제2 변형예(에어백 모듈(22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0(a)는 도 2(a)에 대응하여 에어백 모듈(220)을 예시하고 있다. 에어백 모듈(220)이 구비하는 쿠션(222)은 도 9(a)의 쿠션(202)과 마찬가지로 프론트 패널(224) 및 리어 패널(226)의 2장의 패널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프론트 패널(224) 및 리어 패널(226)이 직사각형이 되어 있는 점에서 쿠션(202)과 구성이 상이하다.
도 10(b)는 도 10(a)의 프론트 패널(224)을 예시한 도이다. 프론트 패널(224)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c)는 도 10(a)의 리어 패널(226)을 예시한 도이다. 리어 패널(226)도 또한 정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서 프론트 패널(224)과 거의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a)의 쿠션(222)을 형성할 때는 프론트 패널(224) 또는 리어 패널(226)의 일방을 타방에 대하여 45도 정도로 기울어서 서로의 가장자리들을 접합한다.
상기 구성의 에어백 모듈(220)(도 10(a) 참조)에 있어서도 보유 지지 커버(130)(도 4(a) 참조)의 포상부(134)에 의해 도 8(a)의 에어백 모듈(105)과 마찬가지로 승차인(150)의 머리부(152)를 향하려고 하는 전개 도중의 쿠션(222)의 거동을 억제하거나 또는 전개 도중의 쿠션(222)이 머리부(152)에 접촉했을 때의 하중을 억제하고, 머리부(152)의 밀어올림 및 후굴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도 6(a)의 에어백 모듈(105)의 제3 변형예(에어백 모듈(240))를 예시한 도이다. 상술한 각 예의 에어백 모듈은 운전석용이라는 점, 상기 에어백 모듈(240)은 조수석용으로서 실시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240)은 조수석(242)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244)의 상부에 수납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240)의 쿠션(246)은 설치 장소로부터 승차인(150)까지의 거리가 스티어링 휠(106)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떨어져 있기 때문에 도 2(a) 등의 운전석용 쿠션(104)보다도 용량이 크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수석용 에어백 모듈(240)이라도 보유 지지 커버(130)를 실시할 수 있고 포상부(134)에 의한 승차인(150)의 머리부(152)의 후굴 방지 기능을 적합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도 3(a)의 에어백 모듈(105)의 제4 내지 제6 변형예(에어백 모듈(260, 280, 300))를 예시한 도이다. 도 12(a)는 제4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260)을 예시하고 있다. 에어백 모듈(260)에서는, 취약부(148)는 포상부(134)의 하단(134b)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이면 포상부(134)가 취약부(148)에서 파단했을 때, 상측 편(135a)(도 6(c) 참조)이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편(135a)이 팽창 전개하는 쿠션(104)에 걸치기 쉬워진다.
도 12(b)는 제5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280)을 예시하고 있다. 에어백 모듈(280)에서는 포상부(134)의 취약부(282)가 수납 형태의 쿠션(104)의 상면(136a) 중 하부에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취약부(282)는 쿠션(104)의 상면(136a)에 겹치는 위치라면 쿠션(104)의 팽창압을 효율 좋게 받아서 파단할 수 있고, 또한 상면(136a) 중 하부측에 설치함으로써 상측 편(135a)(도 6(c) 참조)을 더욱 길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c)는 제6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300)을 예시하고 있다. 에어백 모듈(300)에서는 도 3(a)의 에어백 모듈(105)과 상이하고 포상부(134)의 도중에 되접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포상부(134)는, 치수에 의해서는 도중에 되접거나 하는 일 없이 쿠션(104)에 건너지르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도 5의 포상부(134)의 치수에 대하여 검토한 시험 결과이다. 도 13(a)는 포상부(134)를 평면상에 전개한 도이다. 시험에서는 측면 보유 지지부(132)의 탭(138)측의 단부부터 포상부(134)의 상측 편(135a)의 선단까지의 치수(S)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도 13(b)는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시험은 A부터 D까지 합계 4 샘플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각 천 부재의 샘플은 상술한 치수(S)(도 13(a) 참조)가 상이하다. 시험은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 비정규 착석 위치(Out of position(OOP))의 승차인(150)(도 8(a) 참조)에 대하여 각 포상부의 전개 판정 및 비정규 착석 위치의 승차인(150)의 상해값의 판정(OOP 판정)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비정규 착석 위치는 승차인(150)이 좌석(102)으로부터 몸을 내밀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13(b)의 전개 판정은 각 샘플의 포상부가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 비정규 착석 위치의 승차인(150)의 머리부(152)에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 치수가 250 mm인 샘플(A)은 승차인(150)의 머리부(152)에 대한 접촉이 인정되고, 치수가 220 mm이하의 샘플(B) 이후에 있어서 접촉이 인정되지 않았다.
OOP판정은 승차인(150)의 머리부(152)의 상해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였다. 시험 결과 치수가 170 mm의 샘플(D)에 있어서 기준값에 대한 이탈이 인정되었다. 이것은 샘플(D)의 포상부의 치수(S)(도 13(a) 참조)가 짧음으로써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 포상부(134)에 의한 쿠션(104)을 하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상으로 부터 포상부(134)에 관한 치수(S)(도 13(a) 참조)는 220 mm 내지 190 mm정도의 범위 내이면 양호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 범위 내의 치수(S)의 포상부(134)이면 쿠션(104)의 팽창 전개 시에 있어서 승차인(150)(도 8(a) 참조)의 머리부(152)에 접촉하는 일 없이 쿠션(104)의 머리부(152)를 향하는 전개 거동을 적합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이상에서 서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예로서 이 이외의 실시형태도 각종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 가능하다. 특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한 표면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특별히 한정된다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형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자명하며 그것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이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L1…리어 패널의 중앙으로부터 연장한 가상선
L2…사이드 패널과 프론트 패널의 경계
P1…프론트 패널의 중앙
P2…리어 패널의 높이 방향의 중앙
S…천 부재에 관한 치수
W1…쿠션의 상부의 폭
W2…쿠션의 하부의 폭
100…차량용 에어백 장치
102…좌석
104…쿠션
104a…쿠션의 상부
104b…쿠션의 하부
105…에어백 모듈
106…스티어링 휠
108…허브
110…커버 부재
112…인플레이터
114…림
116…가스 배출구
118…스터드 볼트
120…프론트 패널
122…리어 패널
124…사이드 패널
126a, 126b…벤트홀
130…보유 지지 커버
132…측면 보유 지지부
134…포상부
134a…포상부의 상단측
134b…포상부의 하단측
135a…포상부의 상측 편
135b…포상부의 하측 편
136a…수납 형태의 쿠션의 상면
136b…수납 형태의 쿠션의 측면
136c…수납 형태의 쿠션의 하면
138…탭
140…봉제
142…돌출 편
144a, 144b…측면 보유 지지부의 접속부
146a…포상부의 접속부
146b…측면 보유 지지부의 접속부
148…취약부
150…승차인
152…머리부
154…흉부
156…복부
160…수지 코트면
162…하우징
200…제1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
202…쿠션
204…프론트 패널
206…리어 패널
220…제2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
222…쿠션
224…프론트 패널
226…리어 패널
240…제3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
242…조수석
244…인스트루먼트 패널
246…쿠션
260…제4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
280…제5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
282…취약부
300…제6 변형예의 에어백 모듈

Claims (14)

  1. 차량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에 덩어리 형상의 수납 형태로 되어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을 감싸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로서,
    상기 보유 지지 커버는,
    상기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의 측면에 감겨 있는 측면 보유 지지부와,
    상기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의 상면을 상하로 종단하여 설치되는 포상부와,
    상기 포상부의 소정 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으로 파단하여 상기 포상부를 상측 편과 하측 편으로 상하로 분할하는 취약부를 가지고,
    승차인이 근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 전개하면 상기 포상부의 상측 편이 상기 에어백 쿠션과 승차인 사이에 끼운 상태가 되고, 상기 포상부의 상측 편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방으로의 전개를 억제하며,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는, 띠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단부를 접속함으로써 고리 형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상부의 상단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상방에서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상부의 하단은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와 상기 에어백 쿠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상부의 하단은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의 하부에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포상부의 하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상부의 상기 에어백 쿠션과는 반대측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가 상기 에어백 쿠션측의 면의 정지 마찰 계수보다도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상부의 상기 에어백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소정의 수지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의 정지 마찰 계수가 상기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을 수납하고 있는 하우징의 내면의 정지 마찰 계수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상기 포상부를 파단시키는 슬릿,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파단 가능하게 상기 포상부와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를 접속하는 가봉제 또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팽창압에 의해 해소 가능하게 상기 포상부와 상기 측면 보유 지지부를 연결하는 열용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은 운전석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의 스티어링 휠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형태의 에어백 쿠션은 조수석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상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14. 차량의 정규 착석 위치의 전방에 덩어리 형상의 수납 형태로 되어 수납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에 내장되는 인플레이터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0227006503A 2019-08-22 2020-07-22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643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52300 2019-08-22
JP2019152300 2019-08-22
PCT/JP2020/028477 WO2021033487A1 (ja) 2019-08-22 2020-07-22 エアバッグ用保持カバーおよび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158A KR20220038158A (ko) 2022-03-25
KR102643556B1 true KR102643556B1 (ko) 2024-03-06

Family

ID=7466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503A KR102643556B1 (ko) 2019-08-22 2020-07-22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40187B2 (ko)
EP (1) EP4019344A4 (ko)
JP (1) JP7212170B2 (ko)
KR (1) KR102643556B1 (ko)
CN (1) CN114174129B (ko)
WO (1) WO20210334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3947B2 (ja) * 2019-03-13 2023-01-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EP4301630A1 (en) * 2021-03-01 2024-01-10 Yanfeng Global Automotive Interior Systems Co. Ltd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US11472365B1 (en) * 2021-06-08 2022-10-18 Autoliv Asp, Inc. Frontal airbag systems with deployment-assisting wrapp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2523A (ja) 2005-07-11 2007-02-01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エアバッグ用展開制御装置
JP2009149283A (ja) * 2007-11-26 2009-07-09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WO2015111255A1 (ja) 2014-01-23 2015-07-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5377B2 (en) * 2002-04-06 2005-10-18 Key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restraint module with external tether
DE102004012836A1 (de) * 2004-03-16 2005-10-13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Gassackhülle mit Back Tack
WO2006003748A1 (ja) * 2004-06-30 2006-01-12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装置
KR100699173B1 (ko) * 2005-12-16 2007-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4746980B2 (ja) * 2005-12-19 2011-08-1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09066404A1 (ja) * 2007-11-22 2009-05-28 Autoliv Development Ab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7845672B2 (en) * 2007-11-26 2010-12-07 Takata Corporation Airbag cover and airbag apparatus
US8272664B2 (en) * 2007-12-13 2012-09-25 Autoliv Asp, Inc. Airbag lateral flap
JP5376836B2 (ja) * 2008-05-30 2013-12-25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5366444B2 (ja) * 2008-05-30 2013-12-11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0132256A (ja) * 2008-10-27 2010-06-17 Autoliv Development Ab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5195400B2 (ja) * 2008-12-24 2013-05-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0235044A (ja) * 2009-03-31 2010-10-2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及びハンドル
JP5342387B2 (ja) 2009-09-24 2013-11-1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523793B2 (ja) * 2009-10-30 2014-06-18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688522B1 (ko) 2009-12-15 2016-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지오포이에틴-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그의 용도
EP2537718B1 (en) * 2010-02-15 2014-05-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bag device
JP5800349B2 (ja) * 2011-01-18 2015-10-2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3126833A (ja) * 2011-12-19 2013-06-27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モジュールカバー
US8485553B1 (en) * 2012-10-19 2013-07-16 Autoliv Development Ab Frontal airbag assembly
CN110509885B (zh) * 2014-01-21 2022-02-25 均胜安全系统收购有限责任公司 乘客侧安全气囊
JP6500231B2 (ja) * 2015-09-18 2019-04-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9682678B2 (en) * 2015-11-02 2017-06-20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protectors and related methods
JP6726057B2 (ja) * 2016-08-08 2020-07-22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20180099637A1 (en) * 2016-10-07 2018-04-12 Autoliv Asp, Inc. Dual-stage cushion flap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960840B2 (en) * 2018-10-31 2021-03-3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with notched deployment controlling flap
JP7203947B2 (ja) * 2019-03-13 2023-01-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2523A (ja) 2005-07-11 2007-02-01 Takata Restraint Systems Inc エアバッグ用展開制御装置
JP2009149283A (ja) * 2007-11-26 2009-07-09 Takata Corp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WO2015111255A1 (ja) 2014-01-23 2015-07-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19344A1 (en) 2022-06-29
KR20220038158A (ko) 2022-03-25
JP7212170B2 (ja) 2023-01-24
US20220371538A1 (en) 2022-11-24
CN114174129B (zh) 2023-10-17
CN114174129A (zh) 2022-03-11
WO2021033487A1 (ja) 2021-02-25
EP4019344A4 (en) 2023-09-27
JPWO2021033487A1 (ko) 2021-02-25
US11840187B2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556B1 (ko) 에어백용 보유 지지 커버 및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10214172B2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US20050151351A1 (en) Fabric knee airbag for high internal pressures
JP5196530B2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672605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7203947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729074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0255817A1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1160375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829074B2 (en) Knee airbag assemblies
US6918868B2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for an air bag
US10668889B2 (en) Method for folding driver airbag
JP2008049834A (ja) エアバッグ
WO2020080050A1 (ja) 乗員拘束装置
JP2014065433A (ja) エアバッグ
US10723307B2 (en) Airbag module
JP2006282166A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745835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210136959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220234537A1 (en) Driver's seat airbag device
CN110871765B (zh) 气囊装置
JP7399290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JP7412582B2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WO2024053518A1 (ja) 乗員保護装置
WO2023145244A1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