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379B1 - 연료 전지용 극판, 특히 단부판 또는 양극판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용 극판, 특히 단부판 또는 양극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379B1
KR101027379B1 KR1020087027047A KR20087027047A KR101027379B1 KR 101027379 B1 KR101027379 B1 KR 101027379B1 KR 1020087027047 A KR1020087027047 A KR 1020087027047A KR 20087027047 A KR20087027047 A KR 20087027047A KR 101027379 B1 KR101027379 B1 KR 10102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el cell
cell stack
unit
p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199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라이네르트
한스-피터 발두스
Original Assignee
스탁세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탁세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스탁세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2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01M8/0208Alloys
    • H01M8/021Alloys based on ir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유동장(16)을 갖는 연료 전지(14)용 극판(10, 12), 특히 단부판(10) 또는 양극판(12)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유동장(16)은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18)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은 또한 연료 전지 스택용 말단 유닛 및 반복 유닛뿐만 아니라, 그러한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 스택, 극판, 굽힘 모멘트, 열 사이클

Description

연료 전지용 극판, 특히 단부판 또는 양극판{POLAR PLATE, PARTICULARLY END PLATE OR BIPOLAR PLATE FOR A FUEL CELL}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flow field)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극판, 특히 단부판(end plate) 또는 양극판(bipolar plate)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스택(stack)을 위한 말단 유닛 및 반복 유닛뿐만 아니라, 그러한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SOFC 연료 전지 시스템에서, 연료 전지 스택은 서로의 위에 적층되는 반복 유닛뿐만 아니라, 2개의 말단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극판을 도시하고 있는 데, 도 1은 극판의 개략적 단면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극판이 응력으로 인해 변형된 것을, 도 4는 도 1의 Y 부분의 상세도를, 그리고 도 6은 극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공지의 극판(10')은, 하부 하우징부를 형성하고 상세하게 도시하진 않은 유로(16')를 포함하는 유로판(22')과, 상부 하우징부를 형성하는 블라인드 판(blind plate)(24')을 포함한다. 블라인드 판(24')은 도 6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별한 관련이 없는 2개 작동 수단 공급 오리피스 외에도, 유로(16')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오리피스(18')을 갖고 있다. 유로판(22')과 블라인드 판(24')은 상세하게 도시하진 않은 용접 이음을 통해 기밀(氣密)하게 연결되어 있다. 접근 오리피스(18')의 위에 및/또는 내에는 예를 들면 블라인드 판(24') 둘레에 땜납 유리에 의해 넌포지티브(non-positive) 방식으로 부착되는 맴브레인 전극 유닛(26')이 배치된다. 실제 실시 형태에서 제공되는 추가적인 시일, 접점 생성 층 등은 명확화를 이유로 도시하진 않는다.
맴브레인 전극 유닛(26')은 예를 들면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늄 산화물로 주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극판(10')은 페라이트계 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이한 재료들은 상이한 팽창 계수를 가져, 열 사이클(SOFC 연료 전지에서, 예를 들면 온도가 상온과 800℃ 이상의 작동 온도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음) 동안 응력을 유발한다.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늄 산화물뿐만 아니라 페라이트계 강은 원칙적으로 어떠한 소성 변형도 없이 인장 및 압축 응력을 견딜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좁은 에지를 갖는 극판(10')의 3차원 구조는 굽힘 모멘트가 발생 가능하여, 그러한 구조체의 휨을 야기할 것이다. 게다가, 기계적 좌굴의 발생으로 인해 수축 운동(withdrawal movement)이 발생할 수 있다. 맴브레인 전극 유닛(26')이 예를 들면 상온에서 압축 변형을 겪게 되는 한편, 유로판(22') 및 블라인드 판(24')으로 이루어진 극판(10')이 인장 응력을 받게 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굽힘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 경우, 압축 및 인장 응력으로부터 초래되는 힘 F가 레버 아암(L1)과 협동한다. 그러한 굽힘 모멘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판(10')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도시한 변형은 긴장의 이완이다. 길이도 변화시키는 평형 상태가 초래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치수 x2는 도 1에 도시한 치수 x1보다 크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반복 유닛 또는 말단 유닛(30')의 변형은 시일에 크랙을 초래할 수 있고, 및/또는 전기 접점을 손상시키거나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전지 스택을 위한 말단 유닛 및/또는 반복 유닛이 열 사이클 동안 변형되는 것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데에 있다.
그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및 다른 개선점은 종속 청구항에서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은,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종래 기술에 기초한다. 그러한 해결책은, 하나의 큰 접근 오리피스 대신에 복수의 작은 접근 오리피스가 마련되는 경우, 접근 오리피스들 사이에 존재하는 재료가 구조를 보강하고, 나아가서 굽힘 모멘트를 감소시킨다는 지견에 기초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결과적으로 말단 유닛 및/또는 반복 유닛의 변형은 적어도 상당히 감소되어, 사이클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시일에 크랙이 발생하는 일이 더 이상 없을 것이기 때문에, 기밀성이 향상된다. 전기 접점이 손상되거나 떨어지는 것도 방지되기 때문에, 전체 연료 전지 스택에서, 즉 애노드 및 캐소드 등의 접점에서의 접촉 불량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스트럿에 의해 서로 분리시키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보강 스트럿들에 의해 큰 장방형 또는 정방형 접근 오리피스를 복수의 작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 오리피스로 분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강 스트럿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은 소위 블라인드 판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서 간주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은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갖는 유로판과,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를 갖는 블라인드 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판 및 블라인드 판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기밀하게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극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 특히 페라이트계 강으로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페라이트계 강은 예를 들면 SOFC 연료 전지 시스템의 작동 중에 겪게 되는 온도에 견딜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의 경우 수소 함유 작동 가스를 맴브레인 전극 유닛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맴브레인 전극 유닛은 예를 들면 주로 이트륨 안정화 지르코늄 산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의 특정 실시예에서, 극판은 단부판인 것이 고려된다. 연료 전지 스택의 단부판들 중 하나인 경우, 수소 함유 작동 가스를 분배하는 유로를 포함하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의 다른 실시예에서, 극판은 양극판이며, 산소 함유 가스를 다른 맴브레인 전극 유닛에 공급하는 분배기 수단이 양극판에서의 접근 오리피스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것이 고려된다. 분배기 수단은 예를 들면 채널 형태로 형성되며, 유로판에서의 유로의 반대측에 부착되거나 그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료 전지 스택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말단 유닛은 특히,
-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를 통해 적어도 일측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갖는 연료 전지 스택용 단부판 형태의 극판과,
-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를 덮는 맴브레인 전극 유닛
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유로는 맴브레인 전극 유닛에 수소 함유 작동 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연료 전지 스택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복 유닛은 특히,
-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를 통해 적어도 일측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갖는 연료 전지 스택용 양극판 형태의 극판과,
-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를 덮는 맴브레인 전극 유닛
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유로는 맴브레인 전극 유닛에 수소 함유 작동 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며, 다른 말단 유닛 또는 반복 유닛에 배치된 다른 맴브레인 전극 유닛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분배기 수단이 양극판에서의 접근 오리피스의 반대측에 마련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은,
-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말단 유닛과,
-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반복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도입부에서 이미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말단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2는 역시 도입부에서 이미 설명한 도 1의 말단 유닛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말단 유닛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입부에서 이미 설명한 도 1의 Y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3의 Z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6은 도입부에서 이미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극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극판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복 유닛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여, 반복을 피하도록 그러한 요소들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번만 설명할 것이다.
도 6과 도 7을 비교함으로써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극판(10)에는 하나의 큰 접근 오리피스(18')(도 6 참조) 대신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18)가 마련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접근 오리 피스(18)는 블라인드 판(24)의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 스트럿(20)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유로판(22)에 의해 형성되거나 수용되는 유로(16)는 복수의 접근 개구(18)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유로판(22)뿐만 아니라 블라인드 판(24)은 유리하게는 페라이트계 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서,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18)를 형성하는 블라인드 판(24)의 부분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도5를 비교하면, 레버 아암(L2)이 보강 스트럿(20)에 의해 레버 아암(L1)에 비해 확실히 짧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강 스트럿(20)으로 인해 훨씬 강해지기도 한 구조체에 감소된 굽힘 모멘트가 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말단 유닛(30)(도 3 참조)의 변형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반복 유닛(도 8 참조)의 변형이 종래 기술에 비해 적어도 현저히 감소된다. 도 8에 도시한 반복 유닛(34)은 다른 맴브레인 전극 유닛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분배기 수단(28)이 유로판(22)에서의 유로 반대측에 마련된다는 점에서 도 3에 도시한 말단 유닛(30)과 다르다. 분배기 수단(28)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식으로 예를 들면 브리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을 도시하고 있는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말단 유닛(30)과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반복 유닛(34)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특별한 관련이 없는 다른 구조를 갖는 다른 하나의 말단 유닛의 조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맴브레인 전극 유닛에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는 해당 유로(16)를 통해 수소 함유 작동 가스가 공급되고 다른 측에서는 해당 분배기 유닛(28)에 의해 산소 함유 가스가 공급된다. 연료 전지 스택(32)의 개개의 구성 요소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비대칭형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든 굽힘 모멘트가 감소되고 보다 강한 구조를 가져 온도 변화에 의해 응력이 야기되는 경우에 종래 기술에 비해 확실히 덜 변형하게 된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의 범위에서 개시한 본 발명의 특징들은 개별적으로든 임의의 조합으로든 본 발명의 구현에 중요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 10' : 극판
12 : 극판
14 : 연료 전지
16, 16' : 유로
18, 18' : 접근 오리피스
20 : 보강 스트럿
22, 22' : 유로판
24, 24' : 블라인드 판
26, 26' : 맴브레인 전극 유닛
28 : 분배기 수단
30, 30' : 말단 유닛
32 : 연료 전지 스택
34 : 반복 유닛
36 : 다른 구조의 말단 유닛

Claims (10)

  1. 적어도 일측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유로(16)를 갖는 연료 전지(14)용 극판(10, 1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로(16)는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18)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1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스트럿(20)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로(16)를 갖는 유로판(22)과,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18)를 갖는 블라인드 판(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로(16)는 맴브레인 전극 유닛(26)에 수소 함유 작동 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단부판(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은 양극판(12)이며, 다른 맴브레인 전극 유닛(26)에 산소 함유 가스를 공급하는 분배기 수단(28)이 양극판(12)에서의 접근 오리피스(18) 반대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판.
  8. 연료 전지 스택(32)용 말단 유닛(30)으로서,
    - 제6항에 따른 극판(10)과,
    -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18)를 덮는 맴브레인 전극 유닛(26)
    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용 말단 유닛.
  9. 연료 전지 스택(32)용 반복 유닛(34)으로서,
    - 제7항에 따른 극판(12)과,
    - 복수의 접근 오리피스(18)를 덮는 맴브레인 전극 유닛(26)
    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용 말단 유닛.
  10. 연료 전지 스택(32)으로서,
    - 제8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말단 유닛(30)과,
    - 제9항에 따른 복수의 반복 유닛(34)
    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KR1020087027047A 2006-04-10 2007-04-05 연료 전지용 극판, 특히 단부판 또는 양극판 KR101027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16814A DE102006016814A1 (de) 2006-04-10 2006-04-10 Polarplatte, insbesondere Endplatte oder Bipolar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DE102006016814.3 2006-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199A KR20090025199A (ko) 2009-03-10
KR101027379B1 true KR101027379B1 (ko) 2011-04-11

Family

ID=3831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047A KR101027379B1 (ko) 2006-04-10 2007-04-05 연료 전지용 극판, 특히 단부판 또는 양극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90274942A1 (ko)
EP (1) EP2005505B1 (ko)
JP (1) JP2009533806A (ko)
KR (1) KR101027379B1 (ko)
CN (1) CN101421873B (ko)
AT (1) ATE489738T1 (ko)
AU (1) AU2007236388A1 (ko)
BR (1) BRPI0711536A2 (ko)
CA (1) CA2648311C (ko)
DE (2) DE102006016814A1 (ko)
RU (1) RU2383971C1 (ko)
WO (1) WO2007115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12433B (zh) * 2019-04-19 2022-02-18 天津大学 质子交换膜燃料电池阴极流场板
DE102021206594A1 (de) 2021-06-25 2022-12-29 Cellcentric Gmbh & Co. Kg Brennstoffzellenstapel mit einer Vielzahl von Einzelzellen
DE102021206582A1 (de) 2021-06-25 2022-12-29 Cellcentric Gmbh & Co. Kg Brennstoffzellenstapel mit einer Vielzahl von Einzelzell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6655A (en) 1994-10-12 1996-03-05 Lockheed Idaho Technologies Company Catalytic bipolar interconnection plate for use in a fuel cell
WO1999054131A1 (en) * 1998-04-16 1999-10-28 Alstom Uk Ltd. Glass-ceramic coatings and sealing arrangements and their use in fuel-cells
EP1447869A1 (en) * 2003-02-15 2004-08-18 Haldor Topsoe A/S Interconnect device,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US20050221138A1 (en) 2004-04-01 2005-10-06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cel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7972A (ja) * 1988-02-01 1989-08-0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平板型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JPH02131267U (ko) * 1989-04-05 1990-10-31
DE4009138A1 (de) * 1989-10-26 1991-09-26 Siemens Ag Festelektrolyt-hochtemperatur- brennstoffzellenmodul
DE4236441A1 (de) * 1992-10-28 1994-05-05 Siemens Ag Verfahren zum Dichten von Hochtemperatur-Brennstoffzellen und nach dem Verfahren gedichtete Brennstoffzelle
DE4410711C1 (de) * 1994-03-28 1995-09-07 Forschungszentrum Juelich Gmbh Metallische bipolare Platte für HT-Brennstoffzel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5863671A (en) * 1994-10-12 1999-01-26 H Power Corporation Plastic platelet fuel cells employing integrated fluid management
RU2174728C2 (ru) * 1994-10-12 2001-10-10 Х Пауэр Корпорейшн 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использующий интегральную технологию пластин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жидкости
JP3534285B2 (ja) * 1995-10-05 2004-06-07 日立金属株式会社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セパレーター用鋼
EP1473794A4 (en) * 2002-02-05 2009-10-28 Tokyo Gas Co Ltd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JP2005135616A (ja) * 2003-10-28 2005-05-26 Press Kogyo Co Ltd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単位セル並びに燃料電池
JP2005339878A (ja) * 2004-05-25 2005-12-08 Nissan Motor Co Ltd 単電池及びこの単電池を用いた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6655A (en) 1994-10-12 1996-03-05 Lockheed Idaho Technologies Company Catalytic bipolar interconnection plate for use in a fuel cell
WO1999054131A1 (en) * 1998-04-16 1999-10-28 Alstom Uk Ltd. Glass-ceramic coatings and sealing arrangements and their use in fuel-cells
EP1447869A1 (en) * 2003-02-15 2004-08-18 Haldor Topsoe A/S Interconnect device,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US20050221138A1 (en) 2004-04-01 2005-10-06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cel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83971C1 (ru) 2010-03-10
ATE489738T1 (de) 2010-12-15
US20090274942A1 (en) 2009-11-05
CA2648311C (en) 2012-01-03
JP2009533806A (ja) 2009-09-17
KR20090025199A (ko) 2009-03-10
CN101421873A (zh) 2009-04-29
BRPI0711536A2 (pt) 2011-11-01
WO2007115558A1 (de) 2007-10-18
DE502007005759D1 (de) 2011-01-05
CN101421873B (zh) 2015-04-22
DE102006016814A1 (de) 2007-10-18
EP2005505B1 (de) 2010-11-24
EP2005505A1 (de) 2008-12-24
AU2007236388A1 (en) 2007-10-18
CA2648311A1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6495B2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KR101027379B1 (ko) 연료 전지용 극판, 특히 단부판 또는 양극판
JP5629176B2 (ja) 燃料電池セル装置、燃料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燃料電池装置
CA2899685A1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with maintained electrical connection
JP2007329063A (ja) セパレータおよび平板型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JP6243519B2 (ja) セルスタック装置、モジュールおよびモジュール収容装置
JP6667278B2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JP5383650B2 (ja) インターコネクタ構造体、該インターコネクタ構造体を有する反復ユニット、該反復ユニットを複数有する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用のコンタクト構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5100036B2 (ja) 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装置、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連結装置および燃料電池
US7261965B2 (en) Fuel cell module
KR20110114584A (ko) 카세트없는 sofc 스택 및 어셈블리 방법
JP6945035B1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JP2018133312A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JP6121793B2 (ja) セルスタック装置、燃料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燃料電池装置
JP2019169240A (ja)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の運転方法および電気化学反応システム
JP2018166131A (ja) セルスタック装置、モジュールおよびモジュール収容装置
JP5769669B2 (ja) セルスタック装置および燃料電池モジュールならびに燃料電池装置
JP2012014864A (ja) セルスタック装置、燃料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燃料電池装置
US20220140380A1 (en) Cell stack device, module, and module housing device
KR20180072151A (ko) 연료전지 스택
JP6599709B2 (ja) セルスタック、セルスタック装置、モジュールおよびモジュール収容装置
JP6023275B2 (ja) セルスタック装置および燃料電池モジュールならびに燃料電池装置
US10693152B2 (en) Fuel cell stack with thin endplate with integrated gas distribution tubes
Haltiner Jr et al. Multiple stack fuel cell system
JP2005216643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