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940B1 - 도어 록크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940B1
KR101026940B1 KR1020090025172A KR20090025172A KR101026940B1 KR 101026940 B1 KR101026940 B1 KR 101026940B1 KR 1020090025172 A KR1020090025172 A KR 1020090025172A KR 20090025172 A KR20090025172 A KR 20090025172A KR 101026940 B1 KR101026940 B1 KR 10102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ink
sector
lock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684A (ko
Inventor
가쯔유끼 이시구로
다까오 다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4Devices for coupling the turning cylinder of a single or a double cylinder lock with the bolt operating member
    • E05B17/041Coupling device with a shaft projecting axially rearwardly from the cylinder, e.g. affording a degree of universal motion to compensate for misalign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05B77/283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initiated by hand actuation, e.g. by using a mechanical ke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6Lock cylinder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76Link an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제2 링크 레버(33)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제2 링크 레버(33)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터 레버축(34) 및 인사이드 레버축(19)과 인사이드 레버축(19)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 링크 레버(33)가 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 인사이드 레버축(19)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제2 링크 레버(33)를 상방 이동시키는 한편, 제2 링크 레버(33)가 비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인사이드 레버축(19)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17)를 구비하고 있다.
인사이드 도어 핸들, 인사이드 레버축, 섹터 레버, 핸들 레버, 주케이스

Description

도어 록크 장치 {DOOR LOCK APPARATUS}
본 발명은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적용하는 도어 록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가 폐쇄 위치로 배치되었을 경우에 래치 상태가 되어서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래치 기구를 구비한 도어 록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어 록크 장치에는 링크 레버와 섹터 레버와 인사이드 핸들 레버를 갖고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링크 레버는 해제 위치와 비해제 위치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하여, 해제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요동한 경우에 래치 기구의 래치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비해제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요동한 경우에는 래치 기구의 래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섹터 레버는 섹터 레버축을 통하여 언록크 위치와 록크 위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언록크 위치에 있을 경우에 링크 레버를 해제 위치로 배치하는 한편, 록크 위치에 있을 경우에 링크 레버를 비해제 위치로 배치하는 것이다. 인사이드 핸들 레버는 인사이드 레버축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링크 레버가 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 되었을 경우에, 인사이드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링크 레버를 요동하는 한편, 링크 레버가 비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인사이드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를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도어 록크 장치에 의하면 링크 레버가 비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에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한번 도어 개방 조작하면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가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여 링크 레버가 해제 위치로 배치되고 다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함으로써 해제 위치에 있는 링크 레버를 통하여 래치 기구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링크 레버가 비해제 위치로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차량의 실내에 배치한 실 노브(sill knob) 등의 록킹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일 없이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만에 의해 래치 기구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1> 특허 제3588453호 공보
그런데, 시장에 있어서는 도어 록크 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록크 장치에서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배치에 따라서는 도어 록크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즉,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요동에 의해 링크 레버와 섹터 레버를 요동시키기 때문에 이들의 배치에 따라서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대형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도어 록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도어 록크 장치는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가 폐쇄 위치로 배치되었을 경우에 래치 상태가 되어서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래치 기구와 해제 위치와 비해제 위치의 사이를 요동하고, 해제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방 이동한 경우에 상기 래치 기구의 래치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비해제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방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래치 기구의 래치 상태를 유지하는 링크 레버를 구비한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상기 링크 레버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터 레버축 및 인사이드 레버축과, 상기 섹터 레버축을 통하여 언록크 위치와 록크 위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언록크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링크 레버를 해제 위치로 배치하는 한편, 록크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링크 레버를 비해제 위치로 배치하는 섹터 레버와, 상기 인사이드 레버축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링크 레버가 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인사이드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상기 링크 레버를 상방 이동하는 한편, 상기 링크 레버가 비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인사이드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록크 위치에 있는 상기 섹터 레버를 언록크 위치로 요동시키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크 레버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링크 레버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터 레버축 및 인사이드 레버축과, 섹터 레버축을 통하여 언록크 위치와 록크 위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인사이드 레버축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링크 레버가 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 인사이드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링크 레버를 상방 이동하는 한편, 링크 레버가 비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인사이드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를 섹터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링크 레버가 비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에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한번 도어 개방 조작하면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가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여 링크 레버가 해제 위치로 배치되고 다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함으로써 해제 위치에 있는 링크 레버를 통하여 래치 기구가 해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섹터 레버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요동축은 링크 레버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링크 레버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요동에 의해 링크 레버와 섹터 레버를 요동시킬 경우에도,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어 도어 록크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도어 록크 장치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도어 록크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부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도어 록크 장치는 4륜 자동차 전방 좌석 우측에 배치된 전방 힌지의 사이드 도어[우측 핸들 차에 있어서는 운전석측의 도어(D)]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케이스(2) 및 부케이스(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주케이스(2) 및 부케이스(3)는 예를 들어, 각각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한 것으로, 서로 접합한 후, 나사 등의 체결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체결함으로써 하우징(10)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주케이스(2)와 부케이스(3)의 접합부에는 패킹재(도시하지 않음)를 개재시켜 놓아서 원하는 수밀성이 확보되어 있 다.
이들 주케이스(2) 및 부케이스(3)에 의해 구성되는 하우징(10)은 도어(D)의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을 따르도록 도어(D)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래치 기구 수용부(11)와 이 래치 기구 수용부(11)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도어(D)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면을 따르도록 도어(D)의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록크 기구 수용부(12)를 구비하고 상방에서 보았을 경우에 대략 L자 형상을 띠고 있다.
하우징(10)의 래치 기구 수용부(11)는 그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이 되는 위치에,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여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커(striker) 침입홈(13)을 갖는 것으로, 래치 기구(20)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래치기구(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륜 자동차의 차량 본체측에 설치한 스트라이커(S)를 맞물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래치(22)와 래칫(23)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래치(22)는 래치기구 수용부(11)의 스트라이커 침입홈(13)보다도 상방이 되는 위치에, 차량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래치축(24)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다. 이 래치(22)에는 맞물림홈(22a), 훅부(22b) 및 걸림부(22c)가 설치되어 있다.
맞물림홈(22a)은 래치(22)의 외주면으로부터 래치축(24)을 향하여 형성한 것으로, 스트라이커(S)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훅부(22b)는 맞물림홈(22a)을 하방을 향하여 개방시켰을 경우에 맞물림 홈(22a)보다도 실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 훅부(22b)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2)를 래치축(24)의 축심 주위로 최대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을 개방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한편, 이 훅부(22b)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2)를 래치축(24)의 축심 주위로 최대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에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을 가로지르는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22c)는 맞물림홈(22a)을 하방을 향하여 개방시켰을 경우에 맞물림홈(22a)보다도 실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 걸림부(22c)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2)를 래치축(24)의 축심 주위로 최대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을 가로지르고 또한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의 안측(실외측)을 향하여 점차 상방으로 경사지는 상태에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래치(22)와 래치 기구 수용부(11)의 사이에는 도 4에 있어서 래치(22)를 래치축(24)의 축심 주위로 항상 시계 방향을 향하여 압박하는 래치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래칫(23)은 래치기구 수용부(11)의 스트라이커 침입홈(13)보다도 하방이고 또한 래치축(24)보다도 실내측이 되는 위치에, 차량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래칫축(25)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다. 이 래칫(23)에는 결합부(23a) 및 작용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23a)는 래칫축(25)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며, 래칫축(25)의 축심 주위로 회전함으로써 그 돌출 단부면을 통하 여 상술한 래치(22)의 훅부(22b) 및 걸림부(22c)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작용부(23b)는 래칫축(25)으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직경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또한, 래칫(23)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전방측이 되는 위치에 래칫(23)과 함께 일체가 되어서 래칫축(25)의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래칫 레버(26)가 설치되어 있다. 래칫 레버(26)는 래칫축(25)으로부터 래칫(23)의 작용부(23b)와 동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접촉부(26a)를 갖는 것이다. 또한, 도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래칫(23)과 래치 기구 수용부(11)의 사이에는 도 4에 있어서 래칫(23)을 래칫축(25)의 축심 주위로 항상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압박하는 래칫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래치 기구(20)에서는 도어(D)가 차량 본체에 대하여 개방 상태에 있을 경우,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2)가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로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도어(D)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면 차량 본체측에 설치한 스트라이커(S)가, 래치 기구 수용부(11)의 스트라이커 침입홈(13)에 진입하여, 이윽고 스트라이커(S)가 래치(22)의 걸림부(22c)에 접촉하게 된다. 이 결과 래치(22)가 래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도 4에 있어서 래치축(24)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동안, 래칫(23)은 래칫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부(23a)의 돌출 단부면이 래치(22)의 외주면에 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래치(22)의 외주면 형상을 따라서 적절하게 래칫축(25)의 축심 주위로 회전한다.
상술한 상태로부터 또한 도어(D)를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스트라이커 침입홈(13)에 대한 스트라이커(S)의 진입량이 점차 증대되어 이윽고 래칫(23)의 결합부(23a)가 래치(22)의 맞물림홈(22a)에 이르고 그 후,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22)의 훅부(22b)가 래칫(23)의 결합부(23a)에 접촉되게 되기 때문에, 래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래치(22)의 시계 방향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래치(22)의 훅부(22b)가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을 가로지르는 래치 위치로 배치되기 때문에, 훅부(22b)에 의해 스트라이커(S)가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의 안측(실외측)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사태가 저지되게 되고 결국, 도어(D)가 차량 본체에 대하여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래치 상태).
한편, 상술한 래치 상태로부터 래칫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를 도 4에 있어서 래칫축(25)의 축심 주위로 상방으로 회전시키면 래치(22)의 훅부(22b)와 래칫(23)의 결합부(23a)의 접촉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래치(22)가 래치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4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이 개방되어, 스트라이커(S)가 스트라이커 침입홈(13)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도어(D)를 차량 본체에 대하여 개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의 래치 기구 수용부(11)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래치 기구 수용부(11)의 차량 후방측을 덮는 형태로 커버플레이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플레이트(14)는 절결 구멍(14a)과 나사 구멍(14b)을 갖고 있다. 절결 구멍(14a)은 당해 절결 구멍(14a)으로부터 래치 기구 수용부(11)의 스트라이커 침입홈(13)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형태로 설치한 구멍이다. 나사 구멍(14b)은 래치 기구(20)를 통하여 하우징(10)을 도어(D)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며, 복수(도 1 중 3개소) 설치되어 있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나사 구멍(14b)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하는 나사 구멍(14b)은 래치 기구 수용부(11)에 있어서 상단부면으로부터 13mm, 실내측 단부면으로부터 21mm에 위치하고 이 나사 구멍(14b)으로부터 60mm 하방에 위치하는 나사 구멍(14b)은 래치 기구 수용부(11)에 있어서 하단부면으로부터 10mm에 위치하고 이 나사 구멍(14b)보다도 더 실외측에 위치하는 나사 구멍(14b)은 래치 기구 수용부(11)에 있어서 하단부면으로부터 14mm, 실내측 단부면으로부터 5Omm에 위치하고 있다.
하우징(10)의 록크 기구 수용부(12)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오픈 레버(16), 인사이드 핸들 레버(17), 섹터 레버(31) 및 록크 기구(30)가 수용되어 있다.
오픈 레버(16)는 상기 래치 기구(20)의 래칫(23)보다도 더욱 하방이 되는 부위에, 차량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오픈 레버축(18)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오픈 작용 단부(16a),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를 갖고 있다.
오픈 레버(16)의 오픈 작용 단부(16a)는 오픈 레버축(18)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며, 그 연장 단부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오픈 작용 단부(16a)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도어(D)의 외표면에 배치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과의 사이를 연계하는 링크 등의 아웃사이드 연계 수단(OC)이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한 경우에, 오픈 레버(16)가 도 1에 있어서 오픈 레버축(18)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가 도 3에 있어서 상방으로 동작하도록 아웃사이드 연계 수단(OC)을 접속하고 있다. 오픈 레버(16)의 오픈 동작 단부(16b)는 오픈 레버축(18)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며,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방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는 오픈 동작 단부(16b)의 하방에 위치하고 오픈 레버(16)의 하부 모서리부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굴곡된 부분이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나, 오픈 레버(16)와 록크 기구 수용부(12)의 사이에는 도 1에 있어서 오픈 레버(16)를 오픈 레버축(18)의 축심 주위로 항상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압박하는 오픈 레버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인사이드 핸들 레버(17)는 오픈 레버(16)보다도 차량 후방이 되는 부위에,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인사이드 레버축(19)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사이드 작용 단부(17a), 인사이드 동작 단부(17b), 록크 연계부(17c), 오픈 연계부(17d) 및 인사이드 레버축 구멍(17e)을 갖고 있다.
인사이드 작용 단부(17a)는 인사이드 레버축(19)으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차량 전방으로 경사 연장되는 부분이며, 그 연장 단부가 부케이스(3)에 형성한 개구(3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인사이드 작용 단부(17a)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차량의 실내에 배치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과의 사이를 연계하는 링크나 케이블 등의 인사이드 연계 수단(IC)이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한 경우에, 인사이드 핸들 레버(17)가 도 3에 있어서 인사이드 레버축(19)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인사이드 연계 수단(IC)을 접속하고 있다. 인사이드 동작 단부(17b)는 인사이드 작용 단부(17a)의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후, 실외측을 향하여 굴곡된 부분이다. 록크 연계부(17c)는 인사이드 동작 단부(17b)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오픈 연계부(17d)는 인사이드 동작 단부(17b)에 있어서 록크 연계부(17c)보다도 실외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차량 후방을 향하여 굴곡된 부분이다. 도 3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오픈 레버(16)에 있어서의 수압부(16c)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인사이드 레버축 구멍(17e)은 인사이드 레버축(19)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섹터 레버(31)는 오픈 레버(16)보다도 차량 전방이 되는 부위에,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섹터 레버축(34)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점차 확대 개방되는 섹터 형상의 부분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섹터 레버(31)는 도 6a, 도 6b 및 도 6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 단부(31a), 조작 단부(31b) 및 섹터 레버축 구멍(31c)을 갖고 있다.
전달 단부(31a)는 섹터 레버축(34)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며, 블록 돌기(31e) 및 연결핀(31f)을 갖고 있다. 블록 돌기(31e)는 전달 단부(31a)에 있어서 상단부 모서리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부분이다. 연결 핀(31f)은 전달 단부(31a)에 있어서 블록 돌기(31e)보다도 하방이 되는 부위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이다.
조작 단부(31b)는 섹터 레버축(34)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과 섹터 레버축(34)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를 일체로 형성한 대략 부채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며, 기어부(31g), 수용벽(31h), 키 조작핀(31j) 및 걸림핀(31n)을 갖고 있다. 기어부(31g)는 조작 단부(31b)의 원호 형상을 이루는 외주면에 형성한 기어로, 전동 모터(35)의 출력축(35a)에 고착한 웜(36)에 맞물려 있다(도 3 참조). 수용벽(31h)은 조작 단부(31b)에 있어서 실내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한 부분이다. 이 수용벽(31h)은 수용벽(31h)에 있어서 차량 후방을 향하여 개방하도록 만곡된 스프링 조작홈부(31k)와 수용벽(31h)에 있어서 스프링 조작홈부(31k)보다도 하방이 되는 부위에,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만곡된 핀 조작홈부(31m)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키 조작핀(31j)은 조작 단부(31b)에 있어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다. 걸림핀(31n)은 조작 단부(31b)에 있어서 하방이 되는 부위의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이 며, 그 연장 단부에 걸림핀(31n)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스토퍼(31p)가 형성되어 있다. 섹터 레버축 구멍(31c)은 섹터 레버축(34)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록크 기구(30)는 섹터 레버(31)의 위치에 따라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의 도어 개방 조작에 의한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을 래치 기구(20)에 전달하는 언록크 상태와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의 도어 개방 조작에 의한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을 래치 기구(20)에 전달하지 않는 록크 상태로 절환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본 발명의 링크 레버)(3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 레버(32)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본체(32a)의 대략 중앙에 연결구(32g)가 장착된 레버 부재다. 이 연결구(32g)는 링크 본체(32a)의 연결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외주면을 통하여 장착되는 원통 형상의 연결구 본체(32h)와 연결구 본체(32h)의 내부에 형성한 장착 구멍(32j)과 연결구 본체(32h)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주위면으로부터 직경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한 한 쌍의 장착 갈고리(32k)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링크 레버(32)는 연결구(32g)의 장착 구멍(32j)에 오픈 레버(16)의 오픈 동작 단부(16b)를 삽입 관통 유지시킴으로써(도 3 참조),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고 또한 오픈 동작 단부(16b)에 대하여 차량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1 링크 레버(32)에는 스프링 수용홈(32b), 섹터 연결부(32c) 및 레버 접촉부(32d)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홈(32b)은 링크 본체(32a)에 있어서 실내측이 되는 부위에, 연결구(32g) 의 연결구 본체(32h)를 위요하는 형태로 형성한 대략 원환 형상의 홈이다. 섹터 연결부(32c)는 도 3에 있어서 링크 본체(32a)에 있어서 차량 전방측이 되는 부위로부터 전방 경사 연장된 부분으로, 연결용 홈 구멍(32e)을 갖고 있다. 연결용 홈 구멍(32c)은 섹터 연결부(32c)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한 슬릿 형상의 개구이며, 도 3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섹터 레버(31)의 연결핀(31f)을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지지하고 있다. 레버 접촉부(32d)는 링크 본체(32a)에 있어서 차량 후방측이 되는 부위로부터 차량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후, 실내측을 향하여 굴곡된 부분이다.
제2 링크 레버(3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 레버(32)의 링크 본체(32a)에 겹쳐지는 형태로 제1 링크 레버(32)와 부케이스(3)의 사이에, 연결구(32g)를 통하여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레버 부재다. 이 제2 링크 레버(33)는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와 함께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링크 레버(33)에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레버 본체(33a)에 래칫 구동부(33b), 걸림부(33c) 및 연결구 본체 구멍(33d)이 형성되어 있다. 래칫 구동부(33b)는 레버 본체(33a)에 있어서 상방이 되는 부위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 실내측을 향하여 굴곡 연장된 부분이다. 이 래칫 구동부(33b)는 레버 본체(33a)에 구성한 접촉 결합 부분이며,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의 연직 상방에 배치한 경우(도 18 참조)에,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33c)는 레버 본체(33a)에 있어서 차량 후 방측이 되는 부위로부터 차량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도 3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이 걸림부(33c)는 그 하단부면이 제1 링크 레버(32)의 레버 접촉부(32d)의 상단부면에 접촉되어 있다. 연결구 본체 구멍(33d)은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의 연결구 본체(32h)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제2 링크 레버(33)는 배치한 상태에서는 제1 링크 레버(32)의 링크 본체(32a), 연결구 본체(32h) 및 한 쌍의 장착 갈고리(32k)로 형성되는 장착홈부(32m)(도 7b 참조)에, 연결구 본체 구멍(33d)의 모서리부를 끼워맞춤으로써,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섹터 레버축(34) 및 인사이드 레버축(19)은 제2 링크 레버(33)를 사이에 끼우는 형태로 양측이 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레버(31)의 하방부에는 오버 센터 스프링(37)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섹터 레버(31) 상방부에는 록크 스위치(38)가 배치되어 있다. 오버 센터 스프링(37)은 섹터 레버(31)를, 걸림핀(31n)을 통하여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유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섹터 레버(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최대한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 위치(언록크 위치)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레버(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최대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 위치(록크 위치) 중의 어느 한쪽으로 섹터 레버(31)를 유지하는 것이다. 록크 스위치(38)는 검출편(38a) 에 대한 섹터 레버(31)의 블록 돌기(31e)의 접촉 상태에 따라 섹터 레버(31)가 록크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제1 링크 레버(32)와 제2 링크 레버(33)의 사이에는 도 3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본체(32a)의 레버 접촉부(32d)와 레버 본체(33a)의 걸림부(33c)가 항상 접촉하도록 압박하는 패닉 스프링(39)이 설치되어 있다. 패닉 스프링(39)은 상술한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의 연결구 본체(32h)에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스프링 수용홈(32b)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록크 기구(30)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상태가 언록크 상태이고 섹터 레버(31)가 언록크 위치로 배치되는 동시에,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해제 위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고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의 링크 본체(32a)가 상방 이동하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여 이것을 상방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결과 래치 기구(20)가 래치 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이것이 해제되기 때문에,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에 도시한 언록크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웜(36)을 적절하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섹터 레버(31)가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기구(30)는 연결 힌 지(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레버 접촉부(32d)에 접촉하는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3에 도시한 록크 상태가 된다.
이 록크 상태에서는 섹터 레버(31)가 록크 위치로 배치되는 동시에,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일탈하기 때문에(비해제 위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고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의 링크 본체(32a)가 상방 이동한 경우에도, 래칫 구동부(33b)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의 도어 개방 조작이 무효화되어, 래치 기구(20)가 래치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이것이 유지되기 때문에,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D)가 폐쇄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도3에 도시한 록크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웜(36)을 적절하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섹터 레버(31)가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기구(30)는 연결핀(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패닉 스프링(39)에 의해 압박된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다시 도 18에 도시한 언록크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도어 록크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기구 수용부(12)의 내부에, 차량의 실내에 배치한 록크 노브(D3)가 록킹 조작된 경우에 동작 하는 록크 레버(41)를 구비하고 있다.
록크 레버(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레버(31)에 겹쳐지는 형태로 섹터 레버(31)와 부케이스(3)의 사이에, 섹터 레버축(34)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연계부(41a), 록크 작용 단부(41b), 록킹 조작핀(41c) 및 섹터 레버축 구멍(41d)을 갖고 있다.
스프링 연계부(41a)는 도 3에 있어서 섹터 레버축(34)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후, 실외측을 향하여 굴곡 연장된 부분이다. 록크 작용 단부(41b)는 스프링 연계부(41a)의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굴곡 연장된 부분이며, 그 연장 단부가 부케이스(3)에 형성한 개구(3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도 2 참조). 이 록크 작용 단부(41b)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차량의 실내에 배치한 록크 노브(D3)와의 사이를 연계하는 링크나 케이블 등의 록크 연계 수단(LC)이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에 있어서 록크 노브(D3)를 소정의 록킹 조작한 경우에, 록크레버(41)가 도 18에 있어서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록크 연계 수단(lC)을 접속하고 있다. 록킹 조작핀(41c)은 록크 작용 단부(41b)에 있어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다. 이 록킹 조작핀(41c)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레버(31)에 형성한 수용벽(31h)의 핀 조작홈부(31m)에 배치되어 있어, 록크 레버(41)가 도 18에 있어서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 경우에, 핀 조작홈부(31m)의 안측(도 l8에 있어서 하방)을 형성하 는 수용벽(31h)을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섹터 레버축 구멍(41d)은 섹터 레버축(34)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이 록크 작용 단부(41b)에는 인사이드 접촉면(41e)이 설치되어 있다.인사이드 접촉면(41e)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작용 단부(41b)를 섹터 레버축(34)의 하방 영역에 배치한 경우에, 당해 록크 작용 단부(41b)의 하단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차량 후방으로 경사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인사이드 접촉면(41e)은 록크 기구(30)가 록크 상태에 있을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록크 연계부(17c)가 인사이드 레버축(19)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 경우의 요동 영역에 배치되는 한편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크 연계부(17c)에 대하여 이격된 위치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제1 실시형태에서는 록크 노브(D3)는 차량의 실내에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에 있을 경우에만 차량의 실내로 돌출되어 이것을 몰입시키는 록킹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록크 레버(41)와 섹터 레버(31)의 사이에는 도 3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레버(41)의 스프링 연계부(41a)와 섹터 레버(31)의 수용벽(31h)을, 일체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을 향하여 항상 압박하는 연계 스프링(42)이 설치되어 있다. 연계 스프링(42)은 상술한 섹터 레버(31)의 섹터 레버축(34)을 통하여 배치한 것으로, 스프링 작용부(42a)를 갖고 있다. 스프링 작용부(42a)는 섹터 레버(31)에 형성한 수용벽(31h)의 스프링 조작홈부(31k)에 배치한 부분으로, 연계 스프링(4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 조작홈부(31k)의 상방(도 3 참조)을 형성하는 수용벽(31h)을,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을 향하여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작용부(42a)는 섹터 레버31에 있어서 스프링 조작홈부(31k)의 상방(도 3 참조)을 형성하는 수용벽(31h)을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력을, 오버 센터 스프링(37)이 섹터 레버(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록크 위치로 유지하는 유지력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도 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로 이행하는 것은 반드시 전동 모터(35)를 구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록크 노브(D3)를 록킹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한 언록크 상태로부터 록크 노브(D3)의 록킹 조작에 의해 록크 레버(4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록킹 조작핀(41c)이 섹터 레버(31)의 핀 조작홈부(31m)의 안측(도 18에 있어서 하방)을 형성하는 수용벽(31h)을 압박하게 된다. 록크 레버(41)의 록킹 조작핀(41c)이 섹터 레버(31)의 핀 조작홈부(31m)의 안측을 형성하는 수용벽(31h)을 압박하면 섹터 레버(31)가 적절하게 웜(36)을 회전시키면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섹터 레버(31)가 록크 위치로 배치되고 록크 기구(30)는 연결핀(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레버 접촉부(32d)에 접촉하는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가 된다.
그런데, 도 18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가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상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링크 레버(33)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되게 되어 래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에서는 록크 레버(41)의 록크 작용 단부(41b)에 설치한 인사이드 접촉면(41e)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에 있어서 록크 연계부(17c)의 요동 영역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에 있어서의 오픈 연계부(17d)의 이동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상방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록크 연계부(17c)가 록크 레버(41)의 인사이드 접촉면(41e)에 접촉하여 록크 레버(4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게 된다.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을 한번 행하면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를 경과하여 도 20에 도시하는 상태로 록크 레버(41)가 요동하게 된다. 이하, 이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상방 이동하게 된다. 한편, 록크 레버(41)가 섹터 레버 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스프링 연계부(41a)를 통하여 연계 스프링(42)을 적절하게 탄성 변형시켜 당해 연계 스프링(42)의 압박력을 증가시키게 되어, 그 스프링 작용부(42a)가, 섹터 레버(31)의 스프링 조작홈부(31k)의 상방(도 3 참조)을 형성하는 수용벽(31h)을,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을 향하여 더욱 압박하게 된다. 연계 스프링(42)의 스프링 작용부(42a)가 섹터 레버(31)의 스프링 조작홈부(31k)의 상방을 형성하는 수용벽(31h)을 더욱 압박하여 이 힘이 오버 센터 스프링(37)의 록크 위치로 유지하는 유지력을 초과하면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레버(31)가 록크 레버(41)와 연계하여 록크 레버(41)와 일체적으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그리고 섹터 레버(31)의 요동에 수반하여, 그 연결핀(31f)이 차량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l 링크 레버(32)도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가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더욱 상방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록크 레버(41)가 더욱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연계 스프링(42)을 통하여 연계된 섹터 레버(31)가, 록크 레버(41)와 일체적으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적절하게 웜(36)을 회전시키면서 더욱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언록크 위치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섹터 레버(31)의 가일층의 요동에 수반하여 그 연결핀(31f)이 차량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32)도 도 19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 로 더욱 요동하게 된다. 이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트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32)가, 패닉 스프링(39)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걸림부(33c)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고 도 19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도 20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력을 제거하면 오픈 레버(16)가 오픈 레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를 하방 이동시키는 동시에,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하방 이동하게 된다.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가 하방 이동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수압부(16c)의 하단부면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한편,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하방 이동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윽고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제2 링크 레버(33)가, 패닉 스프링(3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걸림부(33c)를 제1 링크 레버(32)의 레버 접촉부(32d)와 접촉하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 링크 레버(33)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해제 위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게 되어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가 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가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상방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때, 록크 레버(41)의 록크 작용 단부(41b)에 설치한 인사이드 접촉면(41e)은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에 있어서 록크 연계부(17c)에 대하여 이격한 위치로 배치되어 있어, 당해 록크 연계부(17c)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2 링크 레버(33)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게 되어, 래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다(소위 더블 액션 기구).
그런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는 상태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는 동시에, 전동 모터(35)를 구동하여 록크 기구(30)를 언록크 상태로 절환할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를 상방 이동시키는 일 없이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상방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동 모터(35)를 구동하여 웜(36)을 적절하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섹터 레버(31)가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그리고 섹터 레버(31)의 요동에 수반하여, 그 연결핀(31f)이 차량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32)도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때,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32)가, 패닉 스프링(39)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걸림부(33c)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고 도 20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의 도어 개방 조작력을 제거하면 오픈 레버(16)가 오픈 레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를 하방 이동하는 동시에,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하방 이동하게 된다.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하방 이동하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윽고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제2 링크 레버(33)가, 패닉 스프링(3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걸림부(33c)를 제1 링크 레버(32)의 레버 접촉부(32d)와 접촉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링크 레버(33)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해제 위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게 되어,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가 된다.
도 18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다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여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의 링크 본체(32a) 가 상방 이동하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여 이것을 상방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결과 래치 기구(20)가 래치 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이것이 해제되기 때문에,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 록크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기구 수용부(12)의 내부에, 도어(D)에 배치한 키 실린더(KC)가 키 조작되었을 경우에 동작하는 키 레버(51)와 이 키 레버(51)가 동작한 경우에 동작하여 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언록크 상태로 절환하거나 혹은 언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록크 상태로 절환하는 키 링크(52)를 구비하고 있다.
키 레버(5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기구(20)의 래치(22)보다도 더욱 상방이 되는 부위에 배치한 것으로, 도어(D)에 배치한 키 실린더(KC)가 키 조작되었을 경우에, 이 회전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부로서 입력축부(51a)를 갖는 것이다. 이 키 레버(51)는 입력축부(51a)에 있어서 실내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한 회전 오목부(51b)에 부케이스(3)에 형성한 볼록부(도시하지 않음)을 끼워맞춤으로써,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부(51a)에는 키 실린더(KC)가 키 조작되었을 경우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나 케이블 등의 실린더 연계 수단(CC)이 접속되어 있다(도 1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키 실린더(KC)를 언록킹 조작한 경우에, 키 레버(51)가 도 3에 있어서 회전 오목부(51b)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키 실린더(KC)를 록킹 조작한 경우에, 키 레버(51)가 도 18에 있어서 회칙 오목 부(51b)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실린더 연계 수단(CC)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키 레버(51)에는 도 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부(51c) 및 레버 핀(51d)이 설치되어 있다. 레버부(51c), 입력축부(51a)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레버 핀(51d)은 레버부(51c)에 있어서 실내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다.
키 링크(5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한 것으로, 하우징(1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서 길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키 링크(52)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연계 단부(52a), 더블 록크 연계부(52b), 섹터 연계 단부(52c)를 갖고 있다.
키 연계 단부(52a)는 키 링크(52)에 있어서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키 연결용 홈 구멍(52d)을 갖고 있다. 키 연결용 홈 구멍(52d)은 키 연계 단부(52a)에 있어서 상방으로 되는 부위에, 차량 본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형성한 슬릿 형상의 개구로, 도 3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키 레버(51)의 레버 핀(51d)을 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 지지하고 있다.
더블 록크 연계부(52b)는 키 연계 단부(52a)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실외측으로 굴곡된 후, 하방을 향하여 굴곡 연장된 길이 형상의 부분이며, 레버 지지홈(52e), 키 조작용 홈 구멍(52f), 록크 인식용 돌기(52g) 및, 언록크 인식용 돌기(52h)를 갖고 있다. 레버 지지홈(52e)은 실내측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더블 록크 연계부(52b)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한 홈이다. 키 조작용 홈 구멍(52f)은 더블 록크 연계부(52b)에 있어서 상방으로 되는 부위에, 레버 지지홈(52e)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한 슬릿 형상의 개구다. 록크 인식용 돌기(52g) 및 언록크 인식용 돌기(52h)는 더블 록크 연계부(52b)에 있어서 레버 지지홈(52e)보다도 하방이 되는 부위의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각각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다. 도 3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이 록크 인식용 돌기(52g) 및 언록크 인식용 돌기(52h)는 더블 록크 연계부(52b)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섹터 연계 단부(52c)는 더블 록크 연계부(52b)에 있어서 하방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차량 전방으로 경사 연장된 후,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으로, 섹터 연결 구멍(52j)을 갖고 있다. 섹터 연결 구멍(52j)은 섹터 연계 단부(52c)의 연장 방향을 따라 형성한 슬릿 형상의 개구이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섹터 연결 구멍(52j)은 록크 기구(30)가 록크 상태에 있을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언록크부(52m)의 내벽면이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에 대하여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에 위치하는 록크부(52n)의 내벽면이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에 대하여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링크(52)에 있어서의 더블 록크 연계부(52b)의 차량 전방 영역에는 키 스위치(53)가 배치되어 있다. 키 스위치(53)는 키 링크(52)의 록크 인식용 돌기(52g)와 언록크 인식용 돌기(52h)의 상호간에 검출편(53a)을 배치시키고 있어, 이 검출편(53a)에 대한 록크 인식용 돌기(52g) 및 언록크 인식용 돌기(52h)의 접촉 상태에 따라 키 링크(52)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도 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로 이행하는 것은 반드시 전동 모터(35)의 구동이나, 록크 노브(D3)를 록킹 조작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키 실린더(KC)를 록킹 조작함으로써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18에 도시한 언록크 상태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에 의해 키 레버(51)를 회전 오목부(51b)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레버 핀(51d)을 통하여 결합된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섹터 연결 구멍(52j)에 있어서 록크부(52n)의 내벽면이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을 하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 록크 인식용 돌기(52g)가 키 스위치(53)의 검출편(53a)을 하방을 향하여 압박하므로, 키 스위치(53)가 키 링크(52)의 이동으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 즉 록킹 조작을 검출한다. 그리고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이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섹터 레버(31)가 적절하게 웜(36)을 회전시키면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 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기구(30)는 연결핀(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레버 접촉부(32d)에 접촉하는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도 18에 도시한 언록크 상태로 이행하는 것도, 반드시 전동 모터(35)의 구동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키 실린더(KC)를 언록킹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록크 상태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에 의해 키 레버(51)를 회전 오목부(51b)의 축심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 핀(51d)을 통하여 결합된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섹터 연결 구멍(52j)에 있어서 언록크부(52m)의 내벽면이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을 상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 언록크 인식용 돌기(52h)가, 키 스위치(53)의 검출편(53a)을 상방을 향하여 압박하므로 키 스위치(53)가 키 링크(52)의 이동으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 즉 언록킹 조작을 검출한다 ·그리고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이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섹터 레버(31)가 적절하게 웜(36)을 회전시키면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기구(30)는 연결핀(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패닉 스프링(39)에 의해 압박된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 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18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도어 록크 장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기구 수용부(12)의 내부에 더블 록크 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더블 록크 기구(60)는 언세트 상태와 세트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더블 록크 레버(61)를 구비하고 있다.
더블 록크 레버(6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한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언세트 위치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한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한 세트 위치에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 더블 록크 레버(61)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기초부(61a)에 있어서 차량 후방측이 되는 부위에, 미끄럼 이동부(61b), 언세트 조작핀(61c) 및 블록부(61d)가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부(61b)는 기초부(61a)에 있어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길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 미끄럼 이동부(61b)는 키 링크(52)의 레버 지지홈(52e)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도 17 참조). 언세트 조작핀(61c)은 미끄럼 이동부(61b)에 있어서 상방이 되는 부위의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각각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다. 이 언세트 조작핀(61c)은 키 링크(52)의 키 조작용 홈 구멍(52f)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어, 더블 록크 레버(61)가 도 21에 도시하는 세트 위치로 배치된 경우, 키 조작용 홈 구멍(52f)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한편, 더블 록크 레버(61)가 도 3에 도시하는 언세트 위치로 배치되었을 경우에는 키 조작용 홈 구멍(52f)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블록부(61d)는 미끄럼 이동부(61b)의 하방에 위치하는 연장 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볼록 형성된 부분이다. 이 블록부(61d)는 더블 록크 레버(61)가 도 21에 도시하는 세트 위치로 배치되었을 경우, 상술한 섹터 레버(31)의 블록 돌기(31e)에 근접하고 이 블록 돌기(31e)가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 경우의 요동 영역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이 블록부(61d)는 더블 록크 레버(61)가 도 3에 도시하는 언세트 위치로 배치된 경우에는 블록 돌기(31e)의 요동 영역 밖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더블 록크 레버(61)에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기초부(61a)에 있어서 차량 전방측이 되는 부위에, 제1 아암부(61e) 및 제2 아암(61f)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아암부(61e)는 기초부(61a)에 있어서 실내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만곡 연장된 후, 차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이 제1 아암부(61e)는 차량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만곡된 파지 홈부(61g)를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제2 아암부(61f)는 기초부(61a)에 있어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만곡 연장된 후, 차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다. 이 제2 아암부(61f)는 차량 전방을 향하여 개방하도록 만곡된 파지 홈부(61h)를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더블 록크 레버(61)에 있어서 제1 아암부(61e)와 제2 아암부(61f)의 상호간에는 도 3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핀(62)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 핀(62)은 더블 록크 레버(61)와 연동하는 것으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본체(62a)와 이 핀 본체(62a)와 더블 록크 레버(61)를 연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전달 핀(62b)을 갖고 있다. 핀 본체(62a)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그 내부에 기어부(62c)를 갖고 있다. 기어부(62c)는 핀 본체(62a)의 내주면에 형성한 기어로, 전동 모터(63)의 출력축(63a)에 고착한 웜(64)에 맞물려 있다(도 17 참조). 한 쌍의 전달 핀(62b)은 핀 본체(62a)에 있어서 실내측과 실외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각각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이다. 이 한 쌍의 전달 핀(62b)은 각각 더블 록크 레버(61)에 있어서의 제1 아암부(61e)의 파지 홈부(61g)와 제2 아암부(61f)의 파지 홈부(61h)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링크(52)와 주케이스(2)의 사이에는 오버 센터 스프링(65)이 설치되어 있다. 오버 센터 스프링(65)은 더블 록크 레버(61)를, 언세트 조작핀(61c)을 통하여 유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 록크 레버(61)를 미끄럼 이동부(61b)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최대한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언세트 위치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 록크 레버(61)를 미끄럼 이동부(6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최대한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세트 위치 중 어느 한쪽에 더블 록크 레버(61)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 록크 레버(61)의 차량 전방부에는 더블 록크 스위치(66)가 배치되어 있다. 더블 록크 스위치(66)는 검출편(66a)에 대한 더블 록크 레버(61)에 있어서의 제2 아암부(61f)의 연장 단부의 접촉 상황에 따 라 더블 록크 레버(61)가 세트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전동 모터(35), 록크 스위치(38), 키 스위치(53), 전동 모터(63) 및 더블 록크 스위치(6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기구 수용부(12)의 내부에 배치한 회로 기판(71)에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71)에는 각 모터나 각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7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72)는 전력의 공급계를 구성하는 동시에, 차량 본체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각 모터로의 전기 신호의 입력, 혹은 각 스위치로부터 차량 본체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의 전기 신호의 출력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으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도 2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커넥터(72)는 부케이스(3)에 형성한 개구(3b)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이 부케이스(3)에 형성한 개구(3b)는 도어 록크 장치를 도어(D)에 배치한 경우에, 도어(D)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인사이드 패널(IP)에 형성한 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도어(D)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부케이스(3)에 형성한 개구(3b)에는 그 주연으로부터 인사이드 패널(IP)을 향하여 연장되는 안내부(3c)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안내부(3c)의 둘레 방향에는 당해 안내부(3c)를 위요하는 형태로, 원환 형상의 시일 부재(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7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사이드 패널(IP)에 형성한 개구(도시하지 않음)에 개구(3b) 및 안내부(3c)를 면하게 한 상태로 도어 록크 장치를 복수의 나사 구멍(14b)을 통하여 도어(D)에 고정한 경우에 인사이드 패널(IP)에 압박되어 적절하게 변형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원하는 시일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더블 록크 기구(60)에서는 도 3에 도시한 상태가 언세트 상태이며, 더블 록크 레버(61)가 언세트 위치에 배치되므로, 블록부(61d)가 섹터 레버(31)에 있어서 블록 돌기(31e)의 요동 영역 밖에 배치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언세트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63)의 구동에 의해 웜(64)을 적절하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 핀(62)이 웜(64)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링크 핀(62)이 웜(64)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전달 핀(62b)을 통하여 더블 록크 레버(61)의 파지 홈부(61g) 및 파지 홈부(61h)의 하방을 형성하는 제1 아암부(61e) 및 제2 아암부(61f)가 각각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더블 록크 기구(60)는 더블 록크 레버(61)가, 미끄럼 이동부(61b)를 통하여 키 링크(52)의 레버 지지홈(52e)에 안내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21에 도시하는 세트 상태가 된다.
이 세트 상태에서는 더블 록크 레버(61)가 세트 위치로 배치되므로, 블록부(61d)가 섹터 레버(31)에 있어서 블록 돌기(31e)의 요동 영역에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에 있어서의 오픈 연계부(17d)의 이동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상방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록크 연계부(17c)가 록크 레버(41)의 인사이드 접촉면(41e)에 접촉하여, 록크 레버(4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게 된다.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 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상방 이동하게 된다. 한편, 록크 레버(41)가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요동하면 스프링 연계부(41a)를 통하여 연계 스프링(42)을 적절하게 탄성 변형시켜 당해 연계 스프링(42)의 압박력을 증가시키게 되어 그 스프링 작용부(42a)가, 섹터 레버(31)의 스프링 조작홈부(31k)의 상방(도 21 참조)을 형성하는 수용벽(31h)을,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을 향하여 더욱 압박하게 된다. 그러나, 연계 스프링(42)의 스프링 작용부(42a)가 섹터 레버(31)의 스프링 조작홈부(31k)의 상방을 형성하는 수용벽(31h)을 더욱 압박해도, 섹터 레버(31)의 블록 돌기(31e)가 더블 록크 레버(61)의 블록부(61d)에 접촉하게 되어, 섹터 레버(31)의 언록크 위치로의 요동이 저지되게 된다. 즉, 세트 상태에 있어서는 록크 레버(41)가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해도, 연계 스프링(42)이 적절하게 탄성 변형하는 것 뿐으로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31)가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는 일이 없어 록크 레버(41)가 섹터 레버(31)에 대하여 독립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 결과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에 의해 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언록크 상태로 절환하는 것이 저지되게 되어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에 따라서는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런데, 도 21에 도시하는 세트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악의가 있는 사람이 록크 연계 수단(LC)을 부정하게 동작시켜서 록크 레버(4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켰다고 하더라도, 연계 스프링(42)이 적절하게 탄 성 변형할 뿐으로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31)가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는 일이 없어 록크 레버(41)가 섹터 레버(31)에 대하여 독립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연계 수단(LC)의 동작에 의해서도 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언록크 상태로 절환하는 것이 저지되게 되어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D)가 폐쇄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도 21에 도시한 세트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63)의 구동에 의해서 웜(64)을 적절하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 핀(62)이 웜(64)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링크 핀(62)이 웜(64)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전달 핀(62b)을 통하여 더블 록크 레버(61)의 파지 홈부(61g) 및 파지 홈부(61h)의 상방을 형성하는 제1 아암부(61e) 및 제2 아암부(61f)가 각각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결과 더블 록크 기구(60)는 더블 록크 레버(61)가, 미끄럼 이동부(6]b)를 통하여 키 링크(52)의 레버 지지홈(52e)에 안내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시 도 3에 도시하는 언세트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도 21에 도시하는 세트 상태에 있는 더블 록크 기구(60)를 언세트 상태로 이행하는 것은 반드시 전동 모터(63)를 구동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키 실린더(KC)를 언록킹 조작함으로써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21에 도시한 세트 상태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에 의해 키 레버(51)를 회전 오목부(51b)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 핀(51d)을 통하여 결합된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 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키 조작용 홈 구멍(52f)에 있어서 하단부의 내벽면이 더블 록크 레버(61)의 언세트 조작핀(61c)을 상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또한 이 더블 록크 레버(61)의 이동에 계속하여 섹터 연결 구멍(52j)에 있어서 언록크부(52m)의 내벽면이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을 상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더블 록크 레버(61)의 언세트 조작핀(61c)이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블 록크 레버(61)가, 링크 핀(62)을 통하여 적절하게 웜(64)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미끄럼 이동부(61b)를 통하여 키 링크(52)의 레버 지지홈(52e)에 안내되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윽고 더블 록크 레버(61)의 블록부(61d)가 섹터 레버(31)에 있어서 블록 돌기(31e)의 요동 영역 밖으로 이동한 후에,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레버(31)의 키 조작핀(31j)이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여 섹터 레버(31)가 적절하게 웜(36)을 회전시키면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또한, 이때, 언록크 인식용 돌기(52h)가, 키 스위치(53)의 검출편(53a)을 상방을 향하여 압박하므로, 키 스위치(53)가 키 링크(52)의 이동으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 즉 언록킹 조작을 검출한다. 이 결과 더블 록크 기구(60)는 더블 록크 레버(61)가 언세트 위치로 배치되어 언세트 상태로 되고, 또한 록크 기구(30)는 연결핀(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패닉 스프링(39)에 의해 압박된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18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로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1 실시형태의 도어 록크 장치에 따르면 제2 링크 레버(33)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제2 링크 레버(33)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터 레버축(34) 및 인사이드 레버축(19)과, 섹터 레버축(34)을 통하여 언록크 위치와 록크 위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인사이드 레버축(19)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링크 레버(33)가 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 인사이드 레버축(19)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제2 링크 레버(33)를 상방 이동하는 한편, 제2 링크 레버(33)가 비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인사이드 레버축(19)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링크 레버(33)가 비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한번 도어 개방 조작하면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31)가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여 제2 링크 레버가 해제 위치로 배치되고 다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함으로써 해제 위치에 있는 제2 링크 레버(33)를 통하여 래치기구(20)가 해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섹터 레버(31)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l7)의 요동축은 제2 링크 레버(33)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제2 링크 레버(33)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요동에 의해 제2 링크 레버(33)와 섹터 레버(31)를 요동시킬 경우에도,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어 도어 록크 장치 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인사이드 작용 단부(17a) 및 록크 레버(41)의 록크 작용 단부(41b)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이것을 덮어 숨기는 형태로 커버 부재를 마련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도 2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부케이스를 제거하여 실내측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어 록크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록크 레버, 더블 록크 기구 및 이것을 구동하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지 않는 점, 및 섹터 레버의 구성이 다른 것으로, 다른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같다. 이하, 이 차이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섹터 레버(131)는 오픈 레버(16)보다도 차량 전방이 되는 부위에,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섹터 레버축(34)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것으로, 차량 전방을 향하여 점차 확대 개방되는 섹터 형상의 부분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섹터 레버(131)는 도 24a, 도 24b 및 도 2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달 단부(131a), 조작 단부(131b) 및 섹터 레버축 구멍(131c)을 갖고 있다.
전달 단부(131a)는 섹터 레버축(34)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으로, 블록 돌기(131e) 및 연결핀(131f)을 갖고 있다. 블록 돌기(131e)는 전달 단 부(131a)에 있어서 상단부 모서리부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볼록 형성된 부분이다. 연결핀(131f)은 전달 단부(131a)에 있어서 블록 돌기(131e)보다도 하방이 되는 부위의 실내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다. 도 23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연결핀(131f)은 제1 링크 레버(32)에 있어서 섹터 연결부(32c)에 형성한 연결용 홈 구명(32e)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조작 단부(131b)는 섹터 레버축(34)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과 섹터 레버축(34)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부분을 일체로 형성한 대략 부채 형상을 이루는 부분이며, 기어부(131g), 키 조작핀(131j), 록크 레버부(131q) 및 걸림핀(131n)을 갖고 있다. 기어부(131g)는 조작 단부(131b)의 원호 형상을 이루는 외주면에 형성한 기어이며, 전동 모터(35)의 출력축(35a)에 고착한 웜(36)에맞물려 있다(도 23 참조). 키 조작핀(131j)은 조작 단부(131b)에 있어서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링크(52)에 있어서 섹터 연계 단부(52c)에 형성한 섹터 연결 구멍(52j)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키 조작핀(131j)은 전달 단부(131a)를 섹터 레버축(34)의 연직 상방에 배치한 경우에,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링크(52)의 섹터 연결 구멍(52j)에 있어서 언록크부(52m)의 내벽면에 대하여 근접한 위치로 배치되는 한편, 전달 단부(131a)를 섹터 레버축(34)의 연직 상방으로부터 일탈시킨 위치로 배치한 경우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링크(52)의 섹터 연결 구멍(52j)에 있어서 록크부(52n)의 내벽 면에 대하여 근접한 위치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록크 레버부(131q)는 조작 단부(131b)에 있어서 키 조작핀(131j)보다도 하방이 되는 부위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볼록 형성한 형태로 구성한 부분이다. 또한, 이 록크 레버부(131q)에는 록크 작용 단부(131r) 및 인사이드 접촉면(131s)이 설치되어 있다.
록크 작용 단부(131r)는 전달 단부(131a)를 섹터 레버축(34)의 연직 상방에 배치한 경우에 록크 레버부(131q)의 하방에 위치하는 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부분으로, 그 돌출 단부가 부케이스(3)에 형성한 개구(3a)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록크 작용 단부(131r)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에는 차량의 실내에 배치한 록크 노브(D3)와의 사이를 연계하는 링크나 케이블 등의 록크 연계 수단(LC)이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에 있어서 록크 노브(D3)를 소정의 록킹 조작한 경우에, 록크 레버부(131r)가 도 25에 있어서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록크 연계 수단(LC)을 접속하고 있다. 인사이드 접촉면(131s)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레버부(131q)를 섹터 레버축(34)의 하방 영역에 배치한 경우에, 당해 록크 레버부(131q)의 하단부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차량 후방으로 경사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인사이드 접촉면(131s)은 록크 기구(30)가 록크 상태에 있는 경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록크 연계부(17c)가 인사이드 레버축(19)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한 경우의 요동 영역에 배치되는 한편,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연계부(17c)에 대하여 이격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핀(131n)은 조작 단부(131b)에 있어서 하방이 되는 부위의 실외측에 위치하는 단부면으로부터 차량 본체의 좌우 방향을 따라 대략 수평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 돌기이며, 그 연장 단부에 걸림핀(131n)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스톱퍼(131p)가 형성되어 있다. 섹터 레버축 구멍(131c)은 섹터 레버축(34)을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본 제2 실시형태에서도, 록크 노브(D3)는 차량의 실내로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에 있을 경우에만 차량의 실내로 돌출하여 이것을 몰입시키는 록킹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섹터 레버(131)의 하방측에는 오버 센터 스프링(37)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섹터 레버(131)의 상방부에는 록크 스위치(38)가 배치되어 있다. 오버 센터 스프링(37)은 섹터 레버(131)를, 걸림핀(131n)을 통하여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유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섹터 레버(1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최대한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 위치(언록크 위치)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터 레버(1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최대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킨 위치(록크 위치) 중 어느 한 쪽에 섹터 레버(131)를 유지하는 것이다. 록크 스위치(38)는 검출편(38a)에 대한 섹터 레버(131)의 블록 돌기(131e)의 접촉 상태에 따라 섹터 레버(131)가 록크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동 모터(35), 록크 스위치(38) 및 키 스위치(53)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 기구 수용부(12)의 내부에 배치한 회로 기판(71)에 접속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71)에는 각 모터나 각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7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한 록크 기구(30)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상태가 언록크 상태이며, 섹터 레버(131)가 언록크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2 링크 레버(본 발명의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해제 위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고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의 링크 본체(32a)가 상방 이동하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여 이것을 상방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결과 래치 기구(20)가 래치 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이것이 해제되기 때문에,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5에 도시한 언록크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웜(36)을 적절하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섹터 레버(l31)가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기구(30)는 연결핀(1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레버 접촉부(32d)에 접촉하는 제2 링크 레 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가 된다.
이 록크 상태에서는 섹터 레버(131)가 록크 위치로 배치되는 동시에,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일탈되기 때문에(비해제 위치),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고 오픈 레버(l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의 링크 본체(32a)가 상방 이동한 경우에도, 래칫 구동부(33b)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의 도어 개방 조작이 무효화되어, 래치 기구(20)가 래치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이것이 유지되기 때문에,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D)가 폐쇄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로부터, 전동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웜(36)을 적절하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섹터 레버(131)가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기구(30)는 연결핀(1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패닉 스프링(39)에 의해 압박된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다시 도 25에 도시한 언록크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도 25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로 이행하는 것은 반드시 전동 모터(35)를 구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록크 노브(D3)를 록킹 조작함으로써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 한 언록크 상태로부터, 록크 노브(D3)의 록킹 조작에 의해 섹터 레버(131)의 록크 레버부(131q)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섹터 레버(131)가 적절하게 웜(36)을 회전시키면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섹터 레버(131)가 록크 위치로 배치되고 록크 기구(30)는 연결핀(1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레버 접촉부(32d)에 접촉하는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가 된다.
그런데, 도 25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가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상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링크 레버(33)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함으로써, 래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에서는 섹터 레버(131)의 록크 레버부(131q)에 형성한 인사이드 접촉면(131s)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에 있어서 록크 연계부(17c)의 요동 영역에 배치된다. 이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에 있어서의 오픈 연계부(17d)의 이동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상방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록크 연계부(17c)가 섹터 레버(131)의 인사이드 접촉면(131s)에 접촉하고 섹터 레버(1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게 된다.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을 한번 행하면 도 2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26에 도시하는 상태를 경과하여 도 27에 도시하는 상태로 섹터 레버(131)가 요동하게 된다. 이하, 이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상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섹터 레버(131)가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연결핀(131f)이 차량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32)도 도 2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도 2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가 더욱 상방으로 이동하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더욱 상방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2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섹터 레버(131)가 적절하게 웜(36)을 더욱 회전시키면서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언록크 위치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섹터 레버(131)의 가일층의 요동에 수반하여, 그 연결핀(131f)이 차량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링크 레버(32)도 도 26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더욱 요동하게 된다. 이 때,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32)가, 패닉 스프링(39)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걸림부(33c)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여 도 26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 로 요동하게 된다.
도 2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력을 제거하면 오픈 레버(16)가 오픈 레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를 하방 이동하는 동시에,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하방 이동하게 된다.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가 하방 이동하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시 수압부(16c)의 하단부면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한편,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하방 이동하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윽고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제2 링크 레버(33)가, 패닉 스프링(3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걸림부(33c)를 제1 링크 레버(32)의 레버 접촉부(32d)와 접촉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링크 레버(33)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 도구(32g)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해제 위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게 되어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가 된다.
도 25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오픈 연계부(17d)가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오픈 레버(16)의 수압부(16c)를 통하여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상방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때, 섹터 레버(131)의 록크 레버부(131q)에 형성한 인사이드 접촉면(131s)은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에 있어서 록크 연계부(17c)에 대하여 이격한 위치로 배치되어 있어 당해 록크 연계부(17c)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제2 링크 레버(33)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게 되어 래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의 도어 개방 조작에 의해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다(소위 더블 액션 기구).
그런데,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는 상태는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는 동시에, 전동 모터(35)를 구동하여 록크 기구(30)를 언록크 상태로 절환할 경우에도 일어날 수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에 있어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를 상방 이동 시키는 일 없이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상방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동 모터(35)를 구동하여 웜(36)을 적절하게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섹터 레버(131)가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그리고 섹터 레버(131)의 요동에 수반하여, 그 연결핀(131f)이 차량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32)도 도 23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때,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제1 링크 레버(32)가, 패닉 스프링(39)의 탄성 복원력에 저항하여 걸림부(33c)와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여 도 27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의 도어 개방 조작력을 제거하면 오픈 레버(16)가 오픈 레버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오픈 동작 단부(16b) 및 수압부(16c)를 하방 이동하는 동시에,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도 하방 이동하게 된다. 제1 링크 레버(32) 및 제2 링크 레버(33)가 하방 이동하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윽고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와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제2 링크 레버(33)가, 패닉 스프링(3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걸림부(33c)를 제1 링크 레버(32)의 레버 접촉부(32d)와 접촉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링크 레버(33)의 이동에 수반하여,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제1 링크 레버(32)에 장착된 연결구(32g)의 연직 상방에 배치되기 때문에(해제 위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칫 레버(26)에 있어서의 접촉부(26a)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근접 대향하게 되어, 록크 기구(30)가 언록크 상태가 된다.
도 25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다시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D1)을 도어 개방 조작하여 오픈 레버(16)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1 링크 레버(32)의 링크 본체(32a)가 상방 이동하면 제2 링크 레버(33)의 래칫 구동부(33b)가 래치 기구(20)에 있어서의 래칫 레버26의 접촉부(26a)에 접촉하여 이것을 상방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결과, 래치기구(20)가 래치 상태에 있을 경우에도 이것이 해제되기 때문에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D)를 개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로 이행하는 것은 반드시 전동 모터35의 구동이나, 록크 노브(D3)를 록킹 조작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키 실린더(KC)를 록킹 조작함으로써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한 언록크 상태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에 의해 키 레버(51)를 회전 오목부(51b)의 축심 주위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면 레버 핀(51d)을 통하여 결합된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섹터 연결 구멍(52j)에 있어서 록크부(52n)의 내벽면이 섹터 레버(131)의 키 조작핀(131j)를 하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 록크 인식용 돌기(52g)가 키 스위치(53)의 검출편(53a)을 하방을 향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키 스위치(53)가 키 링크(52)의 이동으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 즉 록킹 조작을 검출한다. 그리고 섹터 레버(131)의 키 조작핀(131j)이 하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섹터 레버(131)가 적절하게 웜(36)을 회전시키면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기구(30)는 연결핀(1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레버 접촉부(32d)에 접촉하는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록크 상태에 있는 록크 기구(30)를 도 25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로 이행하는 것도, 반드시 전동 모터(35)의 구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키 실린더(KC)를 언록킹 조작함으로써도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한 록크 상태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에 의해 키 레버(51)를 회전 오목부(51b)의 축심 주위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 핀(51d)을 통하여 결합된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키 링크(52)가 주케이스(2)에 설치한 한 쌍의 가이드체(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섹터 연결 구멍(52j)에 있어서 언록크부(52m)의 내벽면이 섹터 레버(131)의 키 조작핀(131j)을 상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 언록크 인식용 돌기(52h)가, 키 스위치(53)의 검출편(53a)을 상방을 향하여 압박하기 때문에 키 스위치(53)가 키 링크(52)의 이동으로부터 키 실린더(KC)의 키 조작, 즉 언록킹 조작을 검출한다. 그리고 섹터 레버(131)의 키 조작핀(131j)이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면 섹터 레버(131)가 적절하게 웜(36)을 회전시키면서 섹터 레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록크 기구(30)는 연결핀(131f)을 통하여 결합된 제1 링크 레버(32) 및 패닉 스프링(39)에 의해 압박된 제2 링크 레버(33)가 장착 구멍(32j)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언록크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2 실시형태의 도어 록크 장치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링크 레버(33)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제2 링크 레버(33)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터 레버축(34) 및 인사이드 레버축(19)과, 섹터 레버축(34)을 통하여 언록크 위치와 록크 위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인사이드 레버축(19)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 링크 레버(33)가 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 인사이드 레버축(19)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제2 링크 레버(33)를 상방 이동하는 한편, 제2 링크 레버(33)가 비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인사이드 레버축(19)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131)를 섹터 레버축(34)의 축심 주위로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1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링크 레버(33)가 비해제 위치에 있을 경우에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하면 록크 위치에 있는 섹터 레버(131)가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여 제2 링크 레버가 해제 위치로 배치되고 다시 인사이드 도어 핸들(D2)을 도어 개방 조작함으로써 해제 위치에 있는 제2 링크 레버(33)를 통하여 래치 기구(20)가 해제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섹터 레버(131) 및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요동축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링크 레버(33)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제2 링크 레버(33)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요동에 의해 제2 링크 레버(33)와 섹터 레버(131)를 요동시킬 경우에도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어 도어 록크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형태에서도, 인사이드 핸들 레버(17)의 인사이드 작용 단부(17a) 및 섹터 레버(131)의 록크 작용 단부(131r)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외 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이것을 덮어 숨기는 형태로 커버 부재를 설치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도어 록크 장치를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부케이스를 제거하여 실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래치 기구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래치 기구의 래치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5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정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한 인사이드 핸들 레버의 A화살표도.
도 6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섹터 레버의 정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한 섹터 레버의 B화살표도.
도 6c는 도 6a에 도시한 섹터 레버의 C화살표도.
도 7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제1 링크 레버의 정면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제1 링크 레버의 D화살표도.
도 8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제2 링크 레버의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제2 링크 레버의 E화살표도.
도 9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록크 레버의 정면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한 록크 레버의 F화살표도.
도 10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키 링크의 정면도.
도 10b는 도 10a에 도시한 키 링크의 G화살표도.
도 11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더블 록크 레버의 정면도.
도 11b는 도 11a에 도시한 더블 록크 레버의 H화살표도.
도 12a는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링크 핀의 정면도.
도 12b는 도 12a에 도시한 링크 핀의 J화살표도.
도 13은 도 3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14는 도 3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15는 도 3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16은 도 3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도 17은 도 3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
도 18은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록크 기구를 언록크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
도 19는 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계속하여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1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더블 록크 기구를 세트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
도 22는 도 21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키 실린더를 언록킹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부케이스를 제거하여 실내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4a는 도 23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적용하는 섹터 레버의 정면도.
도 24b는 도 24a에 도시한 섹터 레버의 M화살표도.
도 24c는 도 24a에 도시한 섹터 레버의 N화살표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한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록크 기구를 언록크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
도 26은 도 23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 계속하여 인사이드 도어 핸들을 도어 개방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래치 기구 수용부
12 : 록크 기구 수용부
16 : 오픈 레버
16a : 오픈 작용 단부
16b : 오픈 동작 단부
16c : 수압부
17 : 인사이드 핸들 레버
17a : 인사이드 작용 단부
17b : 인사이드 동작 단부
17c : 록크 연계부
17d : 오픈 연계부
20 : 래치 기구
22 : 래치
23 : 래칫
24 : 래치축
25 : 래칫축
26 : 래칫 레버
26a : 접촉부
30 : 록크 기구
31 : 섹터 레버
31a : 전달 단부
31b : 조작 단부
31c : 섹터 레버축 구멍
31e : 블록 돌기
31f : 연결핀
31g : 기어부
31h : 수용부
31 : 키 조작핀
31k : 스프링 조작 홈부
31m : 핀 조작 홈부
31n : 걸림핀
31p : 스톱퍼
32 : 제1 링크 레버
32a : 링크 본체
32b : 스프링 홈
32c : 섹터 연결부
32d : 레버 접촉부
32e : 연결용 홈 구멍
32g : 연결 도구
32h : 연결 도구 본체
32j : 장착 구멍
32k : 장착 갈고리
32m : 장착 홈부
33 : 제2 링크 레버
33a : 레버 본체
33b : 래칫 구동부
33c : 걸림부
33d : 연결 도구 본체 구멍
34 : 섹터 레버축
35 : 전동 모터
35a : 노브축
36 : 웜
37 : 오버 센터 스프링
38 : 록크 스위치
39 : 패닉 스프링
4l : 록크 레버
4la : 스프링 연계부
41bL : 록크 동작 단부
41c : 록킹 조작핀
41c : 인사이드 접촉면
42 : 연계 스프링
42a : 스프링 작용부
51 : 키 레버
51a : 입력축부
5Ib : 회전 오목부
51c : 레버부
51d : 레버핀
52 : 키 링크
52a : 키 연계 단부
52b : 더블 록크 연계부
52c : 섹터 연계 단부
52d : 키 연결용 홈 구멍
52c : 레버 지지홈
52f : 키 조작핀 홈구멍
52g : 록크 인식용 돌기
52h : 언록크 인식용 돌기
52j : 섹터 연결구멍
52m : 언록크부
52n : 록크부
53 : 키 스위치
60 : 더블 록크 기구
61 : 더블 록크 레버
61a : 기초부
61b : 미끄럼 이동부
61c : 언세트 조작핀
61d : 블록부
6Ie : 제1 아암부
61f : 제2 아암부
61g : 파지 홈부
61h : 파지 홈부
62 : 링크핀
62a : 링크핀 본체
62b : 전달핀
62c : 기어부
63 : 전동 모터
63a : 출력축
64 : 웜
65 : 오버 센터 스프링
66 : 더블 록크 스위치
71 : 회로 기판
72 : 커넥터
131 : 섹터 레버
131a : 전달 단부
I31b : 조작 단부
131c : 섹터 레버축 구멍
131e : 블록 돌기
131f : 연결핀
131g : 기어부
131 : 키 조작핀
131n : 걸림핀
131p : 스톱퍼
131q : 록크 레버부
131r : 록크 작용 단부
131s : 인사이드 접촉면
D : 도어
lP : 인사이드 패널
D1 :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D2 : 인사이드 도어 핸들
D3 : 록크 노브
KC : 키실린더
LC : 록크 연계 수단
S : 스트라이커

Claims (1)

  1. 차량 본체에 대하여 도어가 폐쇄 위치로 배치되었을 경우에 래치 상태가 되어서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래치 기구와, 해제 위치와 비해제 위치의 사이를 요동하고 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방 이동한 경우에 상기 래치 기구의 래치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비해제 위치로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방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 래치 기구의 래치 상태를 유지하는 링크 레버를 구비한 도어 록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 레버를 사이에 두고 양측이 되는 부위에, 상기 링크 레버의 요동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섹터 레버축 및 인사이드 레버축과,
    상기 섹터 레버축을 통하여 언록크 위치와 록크 위치로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언록크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링크 레버를 해제 위치로 배치하는 한편, 록크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링크 레버를 비해제 위치로 배치하는 섹터 레버와,
    상기 인사이드 레버축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링크 레버가 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실내에 배치한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인사이드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상기 링크 레버를 상방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링크 레버가 비해제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 도어 핸들이 도어 개방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인사이드 레버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하여 록크 위치에 있는 상기 섹터 레버를 언록크 위치로 요동하는 인사이드 핸들 레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크 장치.
KR1020090025172A 2008-03-26 2009-03-25 도어 록크 장치 KR101026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2190 2008-03-26
JP2008082190A JP4542166B2 (ja) 2008-03-26 2008-03-26 ドア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84A KR20090102684A (ko) 2009-09-30
KR101026940B1 true KR101026940B1 (ko) 2011-04-04

Family

ID=4111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172A KR101026940B1 (ko) 2008-03-26 2009-03-25 도어 록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03379B2 (ko)
JP (1) JP4542166B2 (ko)
KR (1) KR101026940B1 (ko)
CN (1) CN101545342B (ko)
FR (1) FR2943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7680B2 (en) * 2010-03-04 2014-06-24 Leehan Door Corporation Door lock assembly
JP5582291B2 (ja) * 2010-03-26 2014-09-0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ダブルロック式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365574B2 (ja) * 2010-04-22 2013-12-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727850B2 (ja) * 2011-04-22 2015-06-03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ロック装置
JP5930273B2 (ja) * 2011-12-02 2016-06-0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FR3000126B1 (fr) * 2012-12-21 2017-10-20 Valeo Securite Habitacle Serr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P2754799B1 (en) 2012-12-21 2017-03-08 Magna Closures SpA An electrical vehicle latch
DE102013110194A1 (de) * 2013-09-16 2015-03-19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telleinrichtung
DE112014004455T5 (de) 2013-09-25 2016-06-23 Magna Closures S.P.A. Elektrisches Fahrzeugschloss
DE102014000680A1 (de) * 2014-01-22 2015-07-23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mit Positionssicherung
GB201408075D0 (en) * 2014-05-07 2014-06-18 Chevalier John P Closure and latching mechanisms
JP6308031B2 (ja) * 2014-06-03 2018-04-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WO2016084191A1 (ja) * 2014-11-27 2016-06-0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JP6823369B2 (ja) * 2015-11-19 2021-02-03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US10093362B2 (en) * 2015-12-15 2018-10-09 Inteva Products, Llc Vehicle tailgate latch and tailgate system
JP7052173B2 (ja) * 2018-10-01 2022-04-12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96B1 (ko) * 2006-06-07 2009-03-05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어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4300A (en) * 1988-11-09 1991-10-08 Ohi Seisakusho Co., Ltd. Vehicle door lock system
DE4334522C1 (de) * 1993-10-09 1995-01-12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ürverschluß, der von Hand oder über eine Zentralverriegelungseinrichtung zu bedienen ist sowie eine Diebstahlsicherungseinrichtung aufweist
US5537848A (en) * 1994-06-27 1996-07-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Deadbolt locking system
JPH10196179A (ja) * 1996-12-27 1998-07-28 Ansei:Kk ドアロック装置
JP4048394B2 (ja) * 1998-05-13 2008-02-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ロックシステム
US6019402A (en) * 1998-07-21 2000-02-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
JP3758966B2 (ja) * 2000-10-26 2006-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373242B1 (ko) * 2000-11-14 2003-02-2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콘트롤러
US6511106B2 (en) * 2000-12-14 2003-01-28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
JP3588453B2 (ja) * 2001-12-25 2004-11-10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4197120B2 (ja) * 2002-11-20 2008-12-17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ロック装置
CN2635841Y (zh) * 2003-06-22 2004-08-25 浙江天岳汽车电器有限公司 汽车后侧车门电动门锁总成
JP4072115B2 (ja) * 2003-11-11 2008-04-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ドア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896B1 (ko) * 2006-06-07 2009-03-05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42166B2 (ja) 2010-09-08
FR2943707A1 (fr) 2010-10-01
CN101545342A (zh) 2009-09-30
CN101545342B (zh) 2012-07-18
US20090243308A1 (en) 2009-10-01
FR2943707B1 (fr) 2015-01-16
US8403379B2 (en) 2013-03-26
JP2009235754A (ja) 2009-10-15
KR20090102684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940B1 (ko) 도어 록크 장치
US8919827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JP4418319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090379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JP2011153431A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EP2369103A2 (en) Double-locking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CN108019102B (zh) 门锁装置
KR20110008878A (ko) 디지털 도어록
JP4516613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576080B1 (ko) 도어 잠금장치
GB2458574A (en) Door lock having a double lock for disabling a double action mechanism wherein a lock is normally switched to an unlocked position by using an inside handle
JP4542593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21110164A (ja) 車両スライドドア用開閉装置
KR200352026Y1 (ko) 모티스 록킹 장치
JP4550124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5352913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08280752A (ja) ラッチ錠
JP4802341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491760B1 (ko) 도어핸들용 원격제어 전자식 키박스
KR20160104226A (ko) 디지털 도어록의 모티스 록
JP4282525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6853672B2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JP4793876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983498B1 (ko) 튜블러 래치형 도어락의 이중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