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58B1 -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858B1
KR101022858B1 KR1020060029366A KR20060029366A KR101022858B1 KR 101022858 B1 KR101022858 B1 KR 101022858B1 KR 1020060029366 A KR1020060029366 A KR 1020060029366A KR 20060029366 A KR20060029366 A KR 20060029366A KR 101022858 B1 KR101022858 B1 KR 10102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base
dial
push button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629A (ko
Inventor
타케시 미야사카
카즈아키 미요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5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B66C13/063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electric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과제
조작 다이얼의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없애고, 원활한 회동 조작을 확보하여 조작 감촉이 좋은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 수단
베이스(10)와,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홀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10)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20)과, 상기 프린트 기판(20)상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10)에 지지된 조작판(50)과,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65)을 하면에 조립하고, 상기 조작판(50)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된 원반형 조작 다이얼(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70)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65)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홀 소자에서 검지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70)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50)을 통하여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한다.
입력장치

Description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MPLOYING THE SAME}
도 1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를 조립한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 도 1의 (B)는 상기 조작 입력 장치의 확대 정면도.
도 2의 (A), (B)는 도 1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를 상하 방향에서 각각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B)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일부를 분해하여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B)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7의 (A), (B) 및 (C)는 도 1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정면도, 도 7의 (A)의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
도 8의 (A), (B) 및 (C)는 도 1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정면도, 도 8의 (A)의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이다.
도 9의 (A), (B)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를 상하 방향에서 각각 본 사시도.
도 10의 (A), (B)는 도 9의 (A), (B)에서 도시한 사시도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A)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9의 (B)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3의 (A), (B) 및 (C)는 도 9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정면도, 도 13의 (A)의 B-B선 단면도 및 C-C선 단면도.
도 14의 (A), (B)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 3 실시 형태를 상하 방향에서 각각 본 사시도.
도 15의 (A), (B)는 도 14의 (A), (B)에서 도시한 사시도의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A)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B)에서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9는 종래예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동작 원리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조작 입력 장치 10 : 금속 베이스
11 : 위치 결정 돌기 12 : 치구 구멍
13 : 탄성 계합 받이부 14 : 탄성 완부
20 : 프린트 기판 21a 내지 21a : 도전부
22 : 위치 결정 구멍 23 : 치구 구멍
24 : LED 25a, 25b : 홀 소자
29a 내지 29e : 누름버튼 스위치 30 : 수지제 필름 커버
31a 내지 31e : 부착부 32 : 위치 결정 구멍
33 : 치구 구멍 40 : 누름버튼
41 : 빠짐방지용 고리형상 리브 42 : 가압용 돌기
43 : 가이드용 슬릿 50 : 조작판
51 : 감합 구멍 52 : 고리형상 단부
53b 내지 53e : 가압용 돌기 54 : 사각형 구멍
55 : 탄성 폴부 60 : 활주 시트
61 : 탄성 설편 65 : 고리형상 마그넷
70 : 조작 다이얼 71 : 조작 구멍
72 : 미끄럼 방지용 돌기 73 : 고리형상 돌기부
74 : 코킹용 돌기 75 : 고리형상 홈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에 적용할 수 있는 조작 입 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 휴대 전화기 등에 사용된 조작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베이스와,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 배치된 조작판과,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하면에 조립하고, 상기 조작판상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된 원반형 조작 다이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에서 검지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조작 다이얼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특개2003-280799호 공보
그러나,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9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베이스(120)에 부착한 지지 고리(164)를 통하여 회전체(조작 다이얼)(154)의 주변 연부(緣部)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조작 다이얼)(154)에 회동 조작 및 압하 조작을 행함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누름버튼 스위치를 구동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체(154)의 주변 연부를 압하할 때에, 상기 회전체(154)의 윗면 주변 연부가 상기 지지 고리(164)에 맞닿으면, 조작 감촉이 나빠지기 때문에, 약간의 갭(G1)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갭(G1)을 마련함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덜커덕거림이 생긴다. 그 때문에, 상기 회전체(154)를 상방으로 탄성 부재로 가압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그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지지 고리(164)와 회전체의 윗면 주변 연부가 접촉하게 되어, 상기 회전체(154)를 회동 조작할 때에 마찰이 생기고, 원활한 회동 조작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조작 다이얼의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없애고, 원활한 회동 조작을 확보하여 조작 감촉이 좋은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스와,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인 홀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조작판과,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하면에 조립하고, 상기 조작판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된 원반형 조작 다이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에서 검지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을 통하여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8의 첨부 도면 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이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에 마련한 모니터(2) 내의 스크롤 바(도시 생략)를 조작 입력 장치(3)로 스크롤하고, 후술하는 누름버튼(40) 등을 통하여 선택 지시를 내릴 수 있다. 또한, 4는 텐키, 5는 마이크로폰, 6은 스피커이다.
상기 조작 입력 장치(3)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프린트 기판(20)을 접착 일체화한 금속 베이스(10)와, 하면에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29a) 및 4개의 누름버튼 스위치(29b 내지 29e)를 미리 부착한 수지제 필름 커버(30)와, 상기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29a)를 조작하는 누름버튼(40)과, 상기 금속 베이스(10)에 지지된 조작판(50)과, 상기 조작판(50)의 윗면에 배치되는 활주 시트(60)와, 하면에 고리형상 마그넷(65)을 감합(嵌合), 고정하며, 또한, 고정 링(45)을 코킹 고정하여 상기 조작판(50)에 회동 자유롭게 부착된 조작 다이얼(7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금속 베이스(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개략 사각형이고, 그 중앙부에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11, 11)를 잘라세우고 있음과 함께, 그 외측에 치구 구멍(12, 12)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속 베이스(10)는, 각 변의 연부 중앙에 탄성 계합 받이부(13)를 각각 잘라세우고 있다.
플렉시블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트 기판(20)은,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고 박리지에 피복된 개략 사각형의 기판 본체(20a)와, 상기 기판 본체(20a)로부터 연재(延在)되는 리드부(20b)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 본 체(20a)는, 그 중앙에 동심원 형상의 도전부(21a)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도전부(21a)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 형상의 도전부(21b, 21c, 21d, 21e)를 열십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위치 결정 돌기(11) 및 치구 구멍(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 구멍(22) 및 치구 구멍(23)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판 본체(20a)는, 그 구석부에 동작 상태를 알리는 LED(24)를 각각 실장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도전부(21a)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한 쌍의 홀 소자(25a, 25b)를 실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전부(21a 내지 21e)는 동심원 형상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 개략 C자형의 한쪽의 도전부의 중앙에, 다른쪽의 도전부를 배치하여 인출하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기판 본체(20a)에 실장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접착재를 도포한 이면중, 상기 도전부(21a 내지 21e)와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부(31a 내지 31e)를 마련하고 있다. 상기 부착부(31a 내지 31e)에는, 누름버튼 스위치(29a 내지 29e)를 형성하는 평평한 돔형상 반전 스프링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위치 결정 돌기(11) 및 치구 구멍(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 구멍(32) 및 치구 구멍(33)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누름버튼(40)은,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70)의 조작 구멍(71)에 삽입 가능한 외주 형상을 가지며, 그 외주 하단 테두리부에 빠짐방지용 고리형상 리브(41)를 일체 성형하고 있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40)은, 그 바닥면 중앙에 가압용 돌 기(42)(도 6)를 돌설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고리형상 리브(41)의 외주면에,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위치 결정 돌기(11)에 계합(係合)하는 가이드용 슬릿(43)을 형성하고 있다.
고정 링(45)은,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70)의 하면에 코킹 고정함에 의해, 조작판(50)에 조작 다이얼(70)을 회동 자유롭게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판(50)은, 상기 금속 베이스(10)를 피복 가능한 평면 개략 사각형의 수지 성형품이고, 그 중심에 감합 구멍(51)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감합 구멍(51)의 하면 주변 연부에 고리형상 단부(段部)(52)를 형성하고 있다(도 6). 또한, 상기 조작판(50)은, 상기 수지제 필름 커버(30)의 부착부(31b 내지 31e)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압용 돌기(53b 내지 53e)를 각각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50)은, 상기 홀 소자(25a, 25b)와 대응하는 위치에 사각형 구멍(54)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각 변의 연부 중앙에 탄성 폴부(55; elastic pawls)를 측방으로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사각형 구멍(54)은, 자속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활주 시트(60)는, 상기 조작판(50)의 윗면을 피복 가능한 동심원 형상이고, 그 외주 연부에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탄성 계합 받이부(13)에 계합하는 탄성 설편(舌片)(61)을 마련하고 있다.
고리형상 마그넷(65)은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것이고,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70)의 고리형상 홈(75)에 감합, 고정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고리형상 마그넷(65)이 조작 다이얼(70)의 고리형상 홈(75)에 매설되고, 상기 활주 시트(60)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작 다이얼(70)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작고, 원활히 조작할 수 있는 박형의 조작 입력 장치(3)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조작 다이얼(70)은, 그 중심에 누름버튼(40)을 감합하는 조작 구멍(71)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그 윗면 주변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72)를 방사형상으로 균등한 피치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다이얼(70)은, 상기 조작 구멍(71)의 하면 주변 연부에, 상기 고정 링(45)을 코킹 고정하기 위한 고리형상 돌기부(73)를 동심원 형상으로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73)의 하면에 코킹용 돌기(74)를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73)의 외측에는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65)을 감합, 고정하기 위한 고리형상 홈(75)을 동심원 형상으로 마련하고 있다. 또한, 원반형 조작 다이얼(70)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회동 가능하면, 예를 들면, 정8각형이라도 좋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공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치구의 한 쌍의 위치 결정 핀에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치구 구멍(12)을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다. 계속해서, 홀 소자(25a, 25b) 및 LED(24)를 소정의 위치에 실장한 프린트 기판(20)의 치구 구멍(23) 및 위치 결정 구멍(22)을, 상기 치구의 한 쌍의 핀 및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위치 결정 돌기(11)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금속 베이스(10)에 상기 프린트 기판(20)을 접착 일체화한다. 또한, 수지제 필름 커버(30)의 접착 부(31a 내지 31e)에 누름버튼 스위치(29a 내지 29e)가 되는 돔형상 반전 스프링을 각각 접착 일체화한다. 그리고, 상 기 수지제 필름 커버(30)의 치구 구멍(33) 및 위치 결정 구멍(32)을, 상기 치구의 한 쌍의 위치 결정 핀 및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위치 결정 돌기(11)에 각각 삽입함에 의해, 상기 수지 필름(30)을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접착 일체화하고, 상기 수지 필름(30)에 부착한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버튼 스위치(29a 내지 29e)가 형성된다.
한편, 조작 다이얼(70)의 고리형상 홈(75)에 고리형상 마그넷(65)을 감합하여 접착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판(50)의 윗면에 활주 시트(60)를 위치 결정하고, 감합 구멍(51)에 조작 다이얼(70)의 고리형상 돌기부(73)를 감합한다. 그리고, 돌출하는 상기 조작 다이얼(70)의 고리형상 돌기부(73)에 고정 금구(45)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73)의 코킹용 돌기(74)에 상기 고정 금구(45)의 코킹 구멍(46)을 삽입하여 코킹한다. 이로써, 조작 다이얼(70)과 고정 링(45) 사이에 조작판(50) 및 활주 시트(60)가 끼워지지됨과 함께, 상기 조작판(50)에 활주 시트(60)를 사이에 두고 조작 다이얼(70)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누름버튼 스위치(29a)의 상방에 누름버튼(40)을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40)에 조작 다이얼(70)의 감합 구멍(71)을 감합함과 함께,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탄성 계합 받이부(13)에, 상기 조작판(50)의 탄성 폴부(55) 및 활주 시트(60)의 탄성 설편(61)을 계합함에 의해,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다만, 활주 시트(60)의 탄성 설편(61)은 하방측으로 조금 절곡된 상태로 탄성 계합 받이부(13)에 계합하여, 가압력을 생기게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판(50)은 베이스(10)에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되고, 조작 다이얼(70)의 압하에 의해, 누름버튼 스위치(29a 내지 29e)를 압하하는 압하 조작 기능을 분담한다. 한편, 조작판(50)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된 조작 다이얼(70)이 회동함에 의해, 회동 조작 기능을 분담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베이스(10)의 탄성 계합 받이부(13)에 조작판(50)의 탄성 폴부(55)를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수평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50)은 누름버튼 스위치의 스프링력으로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활주 시트(60)의 탄성 설편(61)이 상기 탄성 계합 받이부(13)에 계합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50)을 하방측에 가압하고, 상기 조작판(50)의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주 시트(60)는 상기 조작 다이얼(70)을 상방으로도 가압한다. 이 때문에, 조작 다이얼(70)이 관성력으로 지나치게 도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오조작이 생기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50)과 조작 다이얼(70)과의 사이에 배치한 활주 시트(60)의 탄성 설편(61)만을, 상기 베이스(10)의 탄성 계합 받이부(13)에 계합함에 의해, 조작판(50) 및 조작 다이얼(70)을 지지하여도 좋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3)의 조작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조작 다이얼(70)을 회동함에 의해, 이것과 일체로 고리형상 마그넷(65)이 회 동하면, 한 쌍의 홀 IC(25a, 25b)가 자계의 변화를 각각 검지하고, 이에 의거하여 회동 방향 및 회동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하여 모니터(2)의 화면 표시에 스크롤 바의 이동으로서 반영된다. 계속해서, 소망하는 위치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경우에, 누름버튼(40)을 누름에 의해, 가압용 돌기(42)로 중앙 누름버튼 스위치(29a)를 조작하고, 선택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조작 다이얼(70)의 주변부,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용 돌기(53e)를 압하함에 의해, 상기 가압용 돌기(53e)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누름버튼 스위치(29e)의 반전 스프링을 반전시켜서 도통시켜도 좋다.
제 2 실시 형태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베이스(10)의 주변 연부로부터 잘라세운 탄성 완부(14)로 조작판(50)을 상방으로 가압함에 의해,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방지하는 경우이다.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판(50)이 상방으로 밀어올려져 있기 때문에, 누름버튼 스위치(29a 내지 29e)에 쓸데없는 부하가 작용하지 않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체의 탄성 완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적고, 생산성이 높은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누름버튼 스위치(21a 내지 21e)상에 수지제 필름 커버(30)를 사이에 두고 탄성 패드(34)를 각각 배치한 경우이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 을 생략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도 14 및 도 15에서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탄성 패드(34)를 얹어놓고 조작판(50)을 상방으로 밀어올림에 의해,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부품을 조립함에 의해 생기는 집적(集積) 오차를 상기 탄성 패드(34)가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가 용이한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8은 전술한 원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의 조작판(50)을 가압하고 있는 탄성체가,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활주 시트(60), 탄성 완부(14), 탄성 패드(34)에 상당한다.
또한, 탄성 패드는, 프린트 기판(20)의 윗면과 조작판(50)의 하면 사이에 배치하고, 조작판(50)을 상방측으로 가압함에 의해, 덜커덕거림을 방지하여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한하지 않고, 다른 모바일 기기나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적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판에 압하 조작 기능을, 상기 조작판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한 조작 다이얼에 회동 조작 기능을 분담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해소할 수 있음과 함께,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해지고, 조작 감촉이 좋은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판과 원반형 조작 다이얼 사이에 배치한 활주 시트의 외주 연부를 베이스로 지지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에 가압력을 부여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활주 시트가 조작판을 하방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조작판의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조작 감촉이 향상한다.
본 발명으로서는, 베이스와,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인 홀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 배치된 조작판과,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하면에 조립하고, 상기 조작판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된 원반형 조작 다이얼과, 상기 조작판과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 연부를 상기 베이스로 지지된 플렉시블한 활주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홀 소자에서 검지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을 통하여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에 지지된 플렉시블한 활주 시트를 통하여 조작판을 지지하고, 상기 활주 시트 및 상기 조작판에 압하 조작 기능을, 상기 조작판의 윗면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한 조작 다이얼에 회동 조작 기능을 분담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해소할 수 있음과 함께,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해지고, 조작 감촉이 좋은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베이스로부터 잘라세운 탄성 완부(腕部)로, 조작판의 하면을 밀어올려서 가압하여도 좋다.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판이 상방으로 밀어올려지기 때문에, 누름버튼 스위치에 쓸데없는 부하가 작용하지 않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 부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완부로 조작판을 밀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 개수, 조립 공수가 적고, 생산성이 높은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누름버튼 스위치와 조작판 사이에 탄성 패드를 배치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압축된 상기 탄성 패드가 상기 조작판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패드가 조립 오차를 흡수하기 때문에, 높은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조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전술한 조작 입력 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노출시켜서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이 없고,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베이스와,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및 홀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외주 연부를 상기 베이스에 지지된 조작판과,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하면에 조립하고, 상기 조작판의 윗면 중앙에 회동 자유롭게 조립된 원반형 조작 다이얼과, 상기 조작판과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 사이에 배치한 활주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판을 하방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활주 시트의 외주 연부를 상기 베이스에 계지 및 지지하고,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홀 소자에서 검지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가압함에 의해, 상기 활주 시트 및 상기 조작판을 통하여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로부터 잘라세운 탄성 완부로, 조작판의 하면을 밀어올려서 상방으로 가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누름버튼 스위치와 조작판 사이에 탄성 패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를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원반형 조작 다이얼을 노출시켜서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29366A 2005-04-01 2006-03-31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1022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06126A JP4100409B2 (ja) 2005-04-01 2005-04-01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05-00106126 2005-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629A KR20060105629A (ko) 2006-10-11
KR101022858B1 true KR101022858B1 (ko) 2011-03-16

Family

ID=3660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366A KR101022858B1 (ko) 2005-04-01 2006-03-31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02268B2 (ko)
EP (1) EP1708073A3 (ko)
JP (1) JP4100409B2 (ko)
KR (1) KR101022858B1 (ko)
CN (1) CN18412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439524B2 (ja) * 2003-11-20 2010-03-24 プレー・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操作部品
JP4100409B2 (ja) * 2005-04-01 2008-06-11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86458A (ja) * 2005-04-01 2006-10-19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797673B1 (ko) * 2006-04-20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JP4830862B2 (ja) 2007-01-12 2011-12-07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679362B2 (en) * 2007-01-18 2010-03-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all-effect pressure switch
KR100813417B1 (ko) 2007-01-22 2008-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형 멀티키
JP4301312B2 (ja) * 2007-03-16 2009-07-2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695620B2 (ja) * 2007-04-18 2011-06-08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DE102007025279A1 (de) * 2007-05-31 2008-12-04 Valeo Klimasysteme Gmbh Elektrischer Schalter mit Magnetbetätigung
WO2009014027A1 (ja) * 2007-07-20 2009-01-29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
JP4990811B2 (ja) * 2008-02-08 2012-08-01 ホシデン株式会社 回転スイッチ
DE102008012921B4 (de) 2008-03-06 2018-08-09 Leopold Kostal Gmbh & Co. Kg Druck- und drehbetätigbares Bedien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JP4311495B1 (ja) * 2008-03-17 2009-08-1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098928B2 (ja) * 2008-09-26 2012-12-12 オムロン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241409B2 (ja) * 2008-09-26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機器の入力装置
KR100983145B1 (ko) 2009-06-23 2010-09-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형 정보입력장치
TWI464771B (zh) * 2010-03-10 2014-12-11 Ching Tang Chang 磁控式觸發機構
US20110230802A1 (en) * 2010-03-16 2011-09-22 Nanma Manufacturing Co., Ltd. Massage device with magnetic field effect control capabilities
DE102012001997B4 (de) * 2012-02-03 2023-02-09 Tdk-Micronas Gmbh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US20140168924A1 (en) * 2012-12-14 2014-06-19 Htc Corporation Button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15027661A (ja) * 2013-07-01 2015-02-12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触覚型ソレノイドおよび触覚型ソレノイドの取付構造
JP6226425B2 (ja) * 2014-01-31 2017-11-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入力装置
KR20160104950A (ko)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4935A (ko) 2015-02-27 2016-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체의 회전 인식부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451471B2 (ja) * 2015-04-10 2019-01-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TWI592787B (zh) 2015-08-19 2017-07-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旋鈕結構
US10510501B2 (en) * 2017-04-19 2019-12-17 Danfoss Power Solutions Inc. Rotary knob controller
JP6886902B2 (ja) * 2017-09-08 2021-06-1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電子時計のムーブメント及び電子時計
JP1624526S (ko) * 2018-03-06 2019-02-18
JP1624527S (ko) * 2018-03-06 2019-02-18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477A (ja) * 1998-12-15 2000-06-30 Mic Electron Co モードスイッチ
JP2003280799A (ja) * 2002-03-25 2003-10-02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296006A (ja) * 2001-06-01 2003-10-17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177A (en) * 1982-09-27 1985-05-07 Quantum Corporation Rotating rigid disk data storage device
JPS63172903U (ko) * 1987-05-01 1988-11-10
US5057807A (en) * 1990-03-19 1991-10-15 Veetronix, Inc. Keyboard switch
EP0699295B1 (en) * 1992-09-03 1997-04-09 Microtronic A/S A microelectronic position sensor
US5990772A (en) * 1995-06-02 1999-11-23 Duraswitch Industries, Inc. Pushbutton switch with magnetically coupled armature
US6369692B1 (en) * 1999-06-02 2002-04-09 Duraswitch Industries, Inc. Directionally sensitive switch
US6262646B1 (en) * 1999-10-18 2001-07-17 Duraswitch Industries, Inc. Island switch
US6542058B2 (en) * 1999-10-18 2003-04-01 Duraswitch Industries, Inc. Island switch
JP2002197947A (ja) 2000-12-26 2002-07-1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JP4121730B2 (ja) * 2001-01-19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携帯型情報機器
US20040233159A1 (en) * 2001-09-04 2004-11-25 Ziad Badarneh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electronic equipment
JP2003141972A (ja) 2001-11-01 2003-05-16 Niles Parts Co Ltd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
CN2519328Y (zh) 2001-11-12 2002-10-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按键
NO20025188L (no) 2002-04-22 2003-10-23 Ziad Badarneh Anordning ved elektroniske apparater og utstyr
TW578092B (en) * 2002-08-22 2004-03-01 Shi-Cheng Wang Thin-type pointing device
US6989728B2 (en) * 2003-10-14 2006-01-24 Duraswitch Industries, Inc. Flexible magnetically coupled pushbutton switch
JP2005123119A (ja) * 2003-10-20 2005-05-12 Omron Corp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60001512A1 (en) * 2004-07-01 2006-01-05 Garcia Jorge L Rotary control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4612361B2 (ja) * 2004-08-31 2011-01-12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4100409B2 (ja) * 2005-04-01 2008-06-11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584782B2 (ja) * 2005-06-21 2010-11-24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キー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477A (ja) * 1998-12-15 2000-06-30 Mic Electron Co モードスイッチ
JP2003296006A (ja) * 2001-06-01 2003-10-17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280799A (ja) * 2002-03-25 2003-10-02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629A (ko) 2006-10-11
EP1708073A2 (en) 2006-10-04
CN1841276B (zh) 2010-04-14
US20060278011A1 (en) 2006-12-14
EP1708073A3 (en) 2008-08-20
CN1841276A (zh) 2006-10-04
JP4100409B2 (ja) 2008-06-11
JP2006285743A (ja) 2006-10-19
US7602268B2 (en)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58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1022964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06669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931433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0801809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0131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11495B1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073311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83086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00070286A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49462B2 (ja) 入力装置及び該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