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673B1 -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 Google Patents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673B1
KR100797673B1 KR1020060035826A KR20060035826A KR100797673B1 KR 100797673 B1 KR100797673 B1 KR 100797673B1 KR 1020060035826 A KR1020060035826 A KR 1020060035826A KR 20060035826 A KR20060035826 A KR 20060035826A KR 100797673 B1 KR100797673 B1 KR 100797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operating body
magnetic
operating
sensor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905A (ko
Inventor
최민웅
정호철
나기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5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673B1/ko
Priority to US11/700,779 priority patent/US20070249397A1/en
Publication of KR2007010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673B1/ko
Priority to US12/929,571 priority patent/US2011012436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입력장치(200)는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이 가능한 조작체(260)와, 조작체(260)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칩(220)과, 조작된 위치에 있는 조작체(26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240)와, 조작체(260)의 조작영역을 마련하며 조작체(260)와 별도로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방향조작체(270)와, 조작체(260)와 함께 움직이면서 조작체(260)의 변위를 센서칩(220)으로 알려주기 위한 자성체(250)와, 조작체(260)와 대응하는 위치에 작동스위치(232)가 설치되며 센서칩(220)에서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기판(230)과, 조작체(260), 센서칩(220), 자성체(250) 및 회로기판(230)을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입력장치, 조작, 자성체, 자력, 센서, 변위, 회로, 하우징, 방향

Description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원격조정기{MODULAR INPUT UNIT AND PORTABLE HANDSET AND REMOTE CONTROLLER PROVIDED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작부의 움직임에 따른 자성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1 또는 도 4의 입력장치가 설치된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도 1 또는 도 4의 입력장치가 설치된 원격조정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도 1 또는 도 4의 입력장치가 외장형으로 설치된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는 종래기술의 입력장치가 설치된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개략도; 및
도 10은 도 9의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입력장치 110, 210 : 하우징
111 : 수용홈 112 : 외주벽
113 : 센서칩탑재부 114 : 개방부
120, 220 : 센서칩 130, 230 : 회로기판
131 : 연성회로부 132 : 작동스위치
140, 240 : 탄성체 141 : 자성체탑재부
150, 250 : 자성체 160, 260 : 조작체
161 : 수용홈 161 : 조작부
170 : 외부덮개 270 : 방향조작체
HS1, HS2, HS3, HS4 : 홀센서 234a, 234b, 234c, 234d : 방향스위치
272a, 272b, 272c, 272d : 방향키
본 발명은 모듈형 입력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체로 모듈화된 초소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입력장치는 휴대전화 또는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원격조정기 등의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받기 위한 장치로 휴대용 단말 기의 소형화에 따라 크기가 소형화되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조작이 용이하도록 개발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입력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례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일본공개특허 제2003-50666호의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들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제1박스(10A), 제2박스(10B) 및 제1박스(10A)와 제2박스(10B)를 접속하는 힌지(9)를 갖고 있다.
제1박스(10A)에는 입력장치(20)과 마이크로폰(12)이 탑재되어 있고, 제2박스(10B)에는 표시부(11), 스피커(13) 그리고 안테나(14)가 설치되어 있다. 제1박스(10A)에는 조작영역(16)이 되는 홈부바닥이 형성되고, 입력장치(20)는 조작부(15)와 조작영역(16)을 갖고 있다.
또한, 도 9의 입력장치(20)가 도 10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입력장치(20)는 가동부(21), 기판(23), 탄성체(25), 수평방향센서(26,27), 수직방향센서(28), 도체부(29)를 갖고 있으며, 가동부(21)는 수평방향가동부(21a)와 수직방향가동부(21b)를 갖고 있다.
가동부(21)는 수평방향가동부(21a)가 탄성체(25)에 의해 제1박스(22)와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탄성체(25)는 탄성력에 대향하여 변위한 가동부(21)를 원점으로 복귀시킨다.
회로기판(24)에는 기판(23)이 재치되어 있고, 기판(23)에는 수평방향센서(26,27)와 수직방향센서(28)이 설치되어 있다. 도체부(29)는 검출방향마다 수평 방향가동부(21a)에 마련되어 있고 기판(23) 위를 움직인다.
가동부(21)에 수직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면, 가동부(20)의 가요부위(30)가 휘고 수직방향가동부(21b)가 수직방향으로 현수된다. 또한, 수직방향가동부(21b)가 현수되면, 수직방향가동부(21a)는 수직방향센서(28)와 접촉한다. 수직방향센서(28)는 수직방향가동부(21b)과의 접촉에 의해 수직방향가동부(21b)의 수직방향에 대해 변위를 검출한다. 수직방향센서(28)로 메탈돔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의 입력장치는 회로기판(24)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되는 메인회로기판으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다른 키패드와 거의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입력장치나 다른 키패드 등의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없고 입력장치를 포함한 키패드 등의 전체를 교체해야 했다.
또한, 입력장치가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되기 때문에 입력장치만을 독자적으로 외주 등을 통해 제작하여 단말기에 장착하는 작업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입력장치와 단말기를 같은 생산라인에서 제작해야 했다.
또한, 입력장치는 도체부(29)와 센서(26,27)의 접촉을 통해서 가동부(21)의 변위를 검출하기 때문에 가동부(21)에 설치된 도체부(29)가 센서(26,27)에 접촉되기 전의 변위까지 정밀하게 검출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종속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와 생산라인을 따로 둘 수 있는 모듈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력을 이용하는 홀센서를 위치감지센서로 사용함으로써 조작체의 미세한 변위까지도 정밀하게 검출하여 신호화할 수 있는 모듈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모듈형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이 가능한 조작수단과, 조작수단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과, 변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수단과, 조작수단, 변위검출수단 및 신호출력수단을 모두 보관하기 위한 보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변위검출수단이 조작수단의 움직임에 따른 자력 세기의 변화를 감지하여 조작수단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변위검출수단은 자력에 반응하는 다수의 홀센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이 가능한 조작체와, 조작체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칩과, 조작체와 함께 움직이면서 조작체 의 변위를 센서칩으로 알려주기 위한 자성체와, 조작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며 센서칩에서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기판과, 조작체, 센서칩, 자성체 및 회로기판을 모두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입력장치는 조작된 위치에 있는 조작체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장치는 조작체의 조작영역을 마련하며 하우징을 덮기 위한 외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는 앞선 실시예의 입력장치에 더하여 조작체의 조작영역을 마련하며 조작체와 별도로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방향조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장치는 조작된 위치에 있는 조작체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장치는 방향조작체는 다수의 방향키를 가지며 회로기판은 다수의 방향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방향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든 실시예의 입력장치에서, 센서칩은 자력에 반응하는 다수의 홀센서를 가지며, 다수의 홀센서는 자성체의 원위치를 기준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로기판은 외부로 연장되는 연성회로부를 가지며 연성회로부의 끝단에는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체는 자성체를 수용되게 탑재하기 위한 자성체탑재부를 가지며, 조작체는 자성체와 함께 자성체탑재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갖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체는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단독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원격조정자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접속가능하도록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입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0)는 하나의 독립체 형태의 모듈형으로 만들어지며, 구성요소로 하우징(110), 센서칩(120), 회로기판(130), 탄성체(140), 자성체(150), 조작체(160) 및 외부덮개(17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입력장치(100)의 다른 부품들을 실질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것 으로, 수용홈(111)과 주벽(112)을 갖는 그릇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10)은 중앙에 센서칩(120)이 삽입되게 탑재되는 센서칩탑재부(113)가 다소 돌출되게 형성되며, 주벽(112)에 회로기판(130)에 연장되는 연성회로부(131)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부(114)가 형성된다.
센서칩(120)은 자성체(150) 또는 조작체(16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으로, 내부에 자성체(150) 또는 조작체(16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홀센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홀센서(도 3의 HS1, HS2, HS3, HS4)가 내장된다.
회로기판(130)은 입력장치(10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회로기판으로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수단으로, 센서칩(120)과 대응하는 위치에, 도면에서는 중앙에 메탈돔스위치 등의 작동스위치(132)가 설치된다. 또한, 회로기판(130)은 연성회로부(131)이 외부로 길게 연장되며, 연성기판(131)의 끝단에는 외부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133)가 설치된다.
탄성체(140)는 조작체(160)의 원점으로의 복귀를 행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 등의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고무 등이 아니더라도 복원력을 갖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탄성체(140)는 중앙에 자성체(150)가 삽입되게 탑재되는 자성체탑재부(141)가 다소 돌출되게 형성된다.
자성체(150)는 센서칩(120)에 내장된 홀센서(도 3의 HS1, HS2, HS3, HS4; hall sensor)에 자력을 인가하여 자성체(150) 또는 조작체(160)의 움직임을 홀센서 로 전달하기 위한 조작수단으로, 탄성체(140)에 형성된 자성체탑재부(141)에 수용되게 탑재된다.
조작체(160)는 사용자가 이를 조작하여 입력장치(10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표면은 접촉감이 우수한 재질로 코팅 등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조작체(160)는 중앙에 자성체(150)가 탑재된 자성체탑재부(14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61)이 형성되며, 수용홈(161)과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부(162)가 형성된다.
외부덮개(170)는 위에 나열한 부품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또한, 외부덮개(170)는 중앙에 조작체(160)의 조작부(162)가 노출되어 일정 변위만큼 움직일 수 있는 조작영역이 되는 개방공(171)이 형성된다.
이러한 입력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62) 또는 조작체(160)가 조작되면, 조작체(160)에 수용된 자성체(150)가 움직여 위치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자성체(150)의 변위는 센서칩(120)에 마련된 각 홀센서에 전달되어 자성체(150) 또는 조작체(160)의 움직임이 감지되게 된다.
도 3에 이러한 조작부의 움직임에 따른 자성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은 원점 위치하였던 점선으로 도시한 자성체(150)가 우측윗방향으로 움직인 상태를 일례로 나타내었다.
자성체(150)가 점선으로 표시된 원점에 위치할 때에는 4개의 홀센서(HS1, HS2, HS3, HS4)에 모두 동일한 크기의 자력이 주어지지만, 실선으로 표시된 우측윗 방향에 위치할 때에는 자성체(150)와 가까운 위치의 홀센서(HS1, HS2)에 비교적 큰 자력이 주어지는 반면 자성체(150)와 먼 위치의 홀센서(HS3, HS4)에는 비교적 작은 자력이 주어진다.
이와 같이 자성체(150)의 변위에 따라 각 홀센서(HS1, HS2, HS3, HS4)에 주어지는 자력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자력의 변화량을 통해 홀센서(HS1, HS2, HS3, HS4)가 자성체(150)의 변위량을 검출하게 된다. 이로써 조작부(162) 또는 조작체(16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력이 변화량을 통해 조작부(162)의 변위를 검출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조작부(162)의 미소변위 조차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입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입력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200)는 앞선 입력장치(100)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독립체 형태의 모듈형으로 만들어지며, 구성요소로 하우징(210), 센서칩(220), 회로기판(230), 탄성체(240), 자성체(250), 조작체(260) 및 방향조작체(2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00)는 회로기판(230)과 방향조작체(270)를 제외한 다른 구성들이 앞서 설명한 입력장치(100)의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회로기판(230)은 앞선 실시예의 회로기판(130)과는 달리 중앙에 형성된 작동 스위치(232)의 사방에 4개의 방향스위치(234a,234b,234c,234d)가 설치된다. 방향스위치(234a,234b,234c,234d)는 작동스위치(232)와 별도로 작동되는 스위치로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어 필요한 용도, 예를 들어 휴대전화에 설치될 경우 해당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상하좌우로의 이동키의 용도 또는 원격조정기에 설치될 경우 볼륨변경 및 채널변경을 위한 작동키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회로기판(230)은 또한 외부로 길게 연성기판(231)이 연장되며, 연성기판(231)의 끝단에는 외부장치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233)가 설치된다.
방향조작체(270)는 회로기판(230)에 설치된 방향스위치(234a,234b,234c,234d)을 조작하는 동시에 다른 구성요소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1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또한, 방향조작체(270)는 중앙에 조작체(260)의 조작부(261)가 노출되어 일정 변위만큼 움직일 수 있는 조작영역이 되는 개방공(271)이 형성되며, 회로기판(230)에 설치된 4개의 방향스위치(234a,234b,234c,234d)와 대응하는 위치에 테두리부를 따라 4개의 방향키(272a,272b,272c,272d)가 설치된다.
4개의 방향키(272a,272b,272c,272d)는 표면에 사용자가 각 키의 기능을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음량변경, 채널변경 등이 표시된다.
도 6은 앞서 설명한 도 1 또는 도 4의 입력장치가 휴대전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휴대전화(10)는 본체부(11)가 상부에 설치되는 입력장치(100,200), 하부에 숫자 또는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 설치되는 입력버튼(12) 및 그 아래쪽에 음성정 보를 입력하기 위해 설치되는 마이크로폰(13)을 구비하며, 폴더부(15)가 상부에 설치되어 음성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6) 및 그 아래쪽에 설치되어 문자,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17)를 구비한다. 여기서, 입력장치(100,200)는 사용자가 손끝 하나만을 사용하여 편리하고 쉽게 특히 대용량의 정보를 취하는 작업 등의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은 앞서 설명한 도 1 또는 도 4의 입력장치가 원격조정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원격조정기(20)은 중앙부근에 입력장치(100,200)이 설치되며, 이때 각 방향키에는 "채널▲", "채널▼", "◀음량", "음량▶"이 표시되어 있고 중앙의 조작키에는 "설정"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리모컨을 사용하는 TV 등의 전자기기를 입력장치의 조작을 통해 쉽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TV 등을 통해 대용량의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기존의 마우스를 대신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앞서 설명한 도 1 또는 도 4의 입력장치가 외장형으로 휴대전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휴대전화(30)에 입력장치(100,200)가 외장형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크기가 비교적 작은 입력장치(100)이 바람직하다. 입력장치(100)는 휴대전화에 매다는 악세서리와 같이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때, 입력장치(100)는 휴대전화에 내장된 메인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스핀들모터에 대하 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모듈형 입력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 등에 설치 및 교체가 간단하다.
또한, 모듈형 입력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와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와 다른 생산라인에서도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자유도가 높다.
또한, 모듈형 입력장치는 홀센서가 자력의 세기에 따라 입력신호(조작부의 움직임)를 감지하기 때문에 아주 미세한 신호(조작부의 미소변위)까지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듈형 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는 조작이 매우 쉬워 사용자가 손끝 하나로 힘들이지 않고 매우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이 가능한 조작체;
    상기 조작된 위치에 있는 조작체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
    상기 조작체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칩;
    상기 조작체와 함께 움직이면서 상기 조작체의 변위를 상기 센서칩으로 알려주기 위한 자성체;
    상기 조작체와 대응하는 위치에 작동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칩에서 검출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회로기판; 및
    상기 조작체, 상기 센서칩, 상기 자성체 및 상기 회로기판을 모두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입력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조작영역을 마련하며 상기 하우징을 덮기 위한 외부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조작영역을 마련하며 상기 조작체와 별도로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방향조작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조작된 위치에 있는 상기 조작체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작체는 다수의 방향키를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다수의 방향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방향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칩은 자력에 반응하는 다수의 홀센서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홀센서는 상기 자성체의 원위치를 기준으로 같은 간격을 두고 같은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1.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외부로 연장되는 연성회로부를 가지며, 상기 연성회로부의 끝단에는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자성체를 수용되게 탑재하기위한 자성체탑재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체는 상기 자성체와 함께 상기 자성체탑재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갖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3. 제4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4.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의 입력장치가 단독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의 입력장치가 접속가능하도록 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의 입력장치가 단독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조정기.
KR1020060035826A 2006-04-20 2006-04-20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KR10079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26A KR100797673B1 (ko) 2006-04-20 2006-04-20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US11/700,779 US20070249397A1 (en) 2006-04-20 2007-02-01 Modular input device and portable handset and remote control provided with the same
US12/929,571 US20110124368A1 (en) 2006-04-20 2011-02-01 Modular input device and portable handset and remote control provided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826A KR100797673B1 (ko) 2006-04-20 2006-04-20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905A KR20070103905A (ko) 2007-10-25
KR100797673B1 true KR100797673B1 (ko) 2008-01-23

Family

ID=3862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826A KR100797673B1 (ko) 2006-04-20 2006-04-20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070249397A1 (ko)
KR (1) KR100797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5619A1 (zh) * 2010-12-06 2012-06-14 深圳市同洲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数字电视接收终端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40168924A1 (en) * 2012-12-14 2014-06-19 Htc Corporation Button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064655B2 (en) * 2013-04-03 2015-06-23 William Bonnstauffer Input device with gel containing chambers in key cap
CN105791512A (zh) * 2014-12-22 2016-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交互方法、装置及用户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431A (ja) * 1996-10-02 1998-06-09 Bristol Myers Squibb Co オートクレーブ処理可能な遠隔手動制御装置およびその装置内で作動信号を発生させる方法
JP2004187105A (ja) * 2002-12-04 2004-07-0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電子機器における開閉検出機構
JP2005158569A (ja) * 2003-11-27 2005-06-16 Polymatech Co Ltd スイッチ構造
KR20060008071A (ko) * 2004-07-23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3630A (en) * 1987-08-28 1989-08-01 Houston John S Magnetic position sensor having spaced toroidal magnets in a state of equilibrium
US4853004A (en) * 1988-01-20 1989-08-01 The Boc Group, Inc. Method for densely packing molecular sieve adsorbent beds in a PSA system
US5269004A (en) * 1990-06-28 1993-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integrating pointing functions into computer keyboard with lateral movement of keyswitch mounting plate causing strain and control signal
JP3218246B2 (ja) * 1992-09-03 2001-10-15 マイクロトロニック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小型電子位置センサ
US5532476A (en) * 1994-12-21 1996-07-02 Mikan; Peter J. Redundant indicator for detecting neutral position of joystick member
JP4121730B2 (ja) * 2001-01-19 2008-07-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携帯型情報機器
WO2003030092A1 (en) * 2001-09-04 2003-04-10 Ziad Badarneh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electronic equipment
JP4100409B2 (ja) * 2005-04-01 2008-06-11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431A (ja) * 1996-10-02 1998-06-09 Bristol Myers Squibb Co オートクレーブ処理可能な遠隔手動制御装置およびその装置内で作動信号を発生させる方法
JP2004187105A (ja) * 2002-12-04 2004-07-0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電子機器における開閉検出機構
JP2005158569A (ja) * 2003-11-27 2005-06-16 Polymatech Co Ltd スイッチ構造
KR20060008071A (ko) * 2004-07-23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4368A1 (en) 2011-05-26
KR20070103905A (ko) 2007-10-25
US20070249397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821B1 (ko) 휴대 단말기
US8284568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542482B2 (en)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key assembly
JP4584210B2 (ja) 電子機器
CN106464290B (zh) 移动电子装置、用于其的附件设备以及包括该附件设备的电子装置
JP4485103B2 (ja) 携帯端末装置
JP3213042U7 (ko)
JP2010532891A (ja) 触覚タッチガラスを有するキーパッド
KR101339942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US8330064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797673B1 (ko) 모듈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원격조정기
US20080018607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32624B1 (ko) 박형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JP4932385B2 (ja) 携帯電子機器
KR20140110607A (ko)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KR100783469B1 (ko) 모바일 기기
JP4767792B2 (ja) 電子機器
JP2013255008A (ja) 携帯電子機器
KR100569584B1 (ko)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단말기
KR101140623B1 (ko) 휴대통신기기용 스킨
JP4767793B2 (ja) 電子機器
KR101394880B1 (ko) 디스플레이를 갖는 포웨이 로커 스위치
JP5236618B2 (ja) 携帯端末装置
JP6932660B2 (ja) リモコン装置
KR100783470B1 (ko) 모바일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