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809B1 -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809B1
KR100801809B1 KR1020060013534A KR20060013534A KR100801809B1 KR 100801809 B1 KR100801809 B1 KR 100801809B1 KR 1020060013534 A KR1020060013534 A KR 1020060013534A KR 20060013534 A KR20060013534 A KR 20060013534A KR 100801809 B1 KR100801809 B1 KR 100801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upport shaft
input device
dia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076A (ko
Inventor
타케시 아리하라
카즈아키 미요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01H2025/043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the operating member being rotatable around wobbling axis for additional switching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감촉에 우수하고,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하고, 먼지의 발생이 적은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에 있어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운 지지축(30)과,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 및 홀 IC(24a, 24b)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10)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20)과, 상기 프린트 기판(20)상에 배치된 조작판(40)과, 하면에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55)을 조립하고, 상기 지지축(30)의 상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 다이얼(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작 다이얼(50)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55)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홀 IC(24a, 24b)로 검출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외주 연부를 압하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40)을 통하여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구동한다.
조작 입력 장치, 전자 기기

Description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상방, 하방 사시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도 1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평면도,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방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상방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하방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하방 분해 사시도.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방 분해 사시도 및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상방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하방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하방 분해 사시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텔레비전, 비디오 등의 여러가지의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조작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휴대 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조작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베이스에 세운 조작축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의 윗면에 배치한 푸시 스위치를 구동하는 것이 있다.
즉, 조작축(21)의 상단부에 장착한 조작 손잡이(16)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고, 회전체(22)를 회전시킨 후, 상기 조작 손잡이(16)를 가압 조작하여 조작축(21)을 하방으로 움직여서, 스위치부를 동작시키는 조작 입력 장치이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2002-2539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입력 장치에서는 조작 손잡이(16)를 회동시키는 경우에, 조작 축(21)이 회동 및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축받이(2)에 감합 지지됨과 함께, 와셔(4)로 빠짐방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축(21)을 원활히 회전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조작 감촉이 나쁠 뿐만 아니라, 원활한 회동 조작이 얻기 어려움과 함께, 먼지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조작 감촉에 우수하고,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하고, 먼지의 발생이 적은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운 지지축과,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 배치된 조작판과, 하면에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조립하고,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 다이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출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는 한편, 상기 조작 다이얼의 외주 연부를 압하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을 통하여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의 외주 연부를 압하하면, 지지축이 경사하여 조작판을 통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동한다. 이 때문에, 종래예와 같은 조작 다이얼이 걸리는 것이 없어지고, 높은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 다이얼은 지지축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부품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원활한 회동 조작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베이스의 축구멍에 지지축을 삽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축구멍의 하면 연부와 상기 지지축의 하단 차양부에 고리형상 탄성체를 끼워지지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상기 지지축을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워도 좋다. 또한, 베이스의 축구멍에 지지축을 삽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축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고리형상 탄성체를 배치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상기 지지축을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워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할 때의 선택의 범위가 넓게 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지지축이 동일 축심상에서 나사 결합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서로 일체화된 하방 축부와 상방 축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지축을 2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축의 외주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도, 지지축 전체로서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다이얼과 조작판의 사이에 마찰 계수가 작은 활주 링을 배치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층 더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한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조작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등의 여러가지의 전자 기기에 사용함에 의해, 조작 감촉에 우수하고,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하고, 먼지의 발생이 적은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2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에 적용한 경우이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1)는 모니터(2) 내의 스크롤 바(도시 생략)를 조작 입력 장치(3)에서 스크롤하고, 후술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통하여 선택 지시를 내릴 수 있다. 그리고, 4는 텐 키(ten-key) , 5는 마이크로폰, 6은 스피커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입력 장치(3)는 플렉시블한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프린트 기판(20)을 접착 일체화하는 베이스(10)와, 하방 축부(31) 및 상방 축부(32)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중앙부에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어 세우는 지지축(30)과, 상기 지지축(30)에 삽통하여 고정되는 조작판(40)과, 상기 지지축(30)의 상단부에 베어링(57)을 통하여 회동 자유롭게 조립되는 조작 다이얼(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평면 개략 원형이고, 그 중앙에 마련한 축구멍(11)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위치 결정용 돌기(12)를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축구멍(11)을 가운데 두고 한 쌍의 고정용 나사구멍(13, 13), 및, 한 쌍의 조립용 위치 결정 구멍(14, 14)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그 외주 단면에 회전 멈춤용 돌기부(15) 및 한 쌍의 압접용 돌기 (16, 16)를 돌설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20)은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박리지(도시 생략)에 피복된 개략 원형의 기판 본체(21a)와, 리드부(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 본체(21a)는 그 중앙에 마련한 중심구멍(22)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위치 결정 구멍(23)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중심구멍(22)을 가운데 두고 한 쌍의 홀 IC(24a, 24b)를 실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판 본체(21a)는 상기 중심구멍(22)을 중심으로 하고 동일 원주상에 4개의 도전부(도시 생략)를 균등한 피치로 배치하고 있다. 상기 도전부에는 후술하는 시트형상 절연 커버(35)의 이면에 접착한 편평한 돔 형상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가 각각 실장된다.
지지축(30)은 동일 축심상에서 나사 결합(screw meshing)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서로 일체화된 하방 축부(31)와, 상방 축부(3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하방 축부(31)는 그 차양부(31a)와 상기 베이스(10)로 고리형상 탄성체(33)를 끼워지지한다. 한편, 상기 상방 축부(32)는 그 차양부(32a)가 후술하는 조작판(40)에 용접 일체화된다.
시트형상 절연 커버(35)는 그 이면에 미리 접착한 편평한 돔 형상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상기 기판 본체(21a)의 도전부에 각각 실장하여 피복한다. 또한, 상기 시트형상 절연 커버(35)는 그 중앙부에 마련한 중심구멍(36)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조립용 위치 결정 구멍(37)을 마련하고 있다.
조작판(40)은 중심에 마련한 축구멍(41)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상에 4개의 돌출 돌기부(42a 내지 42d)를 돌설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축구멍(41)을 가운데 두고 한 쌍의 창부(43, 43)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40)은 그 외주 연부에 형성한 리브에 회전 멈춤용 노치부(44)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한 쌍의 압접용 설편(舌片)(45)이 잘려 있다. 또한, 상기 돌출 돌기부(42a 내지 42d)의 이면에는 조작용 탄성체(46a 내지 46d)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각각 가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판(40)은 상기 축구멍(41)에 상기 상방 축부(32)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그 차양부(32a)와 용접 일체화된다.
조작 다이얼(5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조작용 돌기(51)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 중앙에 돌설한 돌기부(52)의 하단면 중앙에 후술하는 베어링(57)을 고정하는 오목부(53)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오목부(53)를 중심으로 하여 고리형상 마그넷(55)을 감합, 고정하기 위한 고리형상 홈(54)을 동심원 형상으로 마련하고 있다.
고리형상 마그넷(55)은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것이고,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고리형상 홈(54)에 감합,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층 더 원활한 회동 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돌기부(52)의 주변(周邊) 기부(基部)에 마찰 계수가 작은 활주 링(56)이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다이얼(50)에 장착한 활주 링(56)이 조작판(40)의 윗면에 접촉하여 있는 경우, 고리형상 마그넷(55)은 상기 돌출 돌기부(42a 내지 42d)의 윗면으로부터 조금 들떠 있다.
베어링(57)은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원활한 회동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오목부(53)에 감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상기 활주 링(56) 및 상기 베어링(57)을 사이에 두고 회동하기 때문에,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3)의 조립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베이스(10)의 축구멍(11)의 이면 연부에 고리형상 탄성체(33)를 부착한 후, 도시하지 않은 치구의 위치 결정 핀에 상기 베이스(10)의 조립용 위치 결정 구멍(14)을 삽통하여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위치 결정 돌기(12)에, 한 쌍의 홀 IC(24a, 24b)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20)의 위치 결정 구멍(23)을 감합하여 위치 결정하고, 부착한다. 뒤이여, 이면에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부착한 시트형상 절연 커버(35)를, 그 위치 결정 구멍(37)을 상기 베이스(10)의 위치 결정 돌기(12)에 감합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윗면에 부착하여 전기적 접속을 행함과 함께 일체화한다.
한편, 상기 조작판(40)의 축구멍(41)에 상방 축부(32)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차양부(32a)와 용접 일체화함과 함께, 돌출 돌기부(42a 내지 42d)의 이면에 조작용 탄성체(46a 내지 46d)를 각각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축구멍(11)에 하방 축부(31)를 삽입하고, 상기 상방 축부(32)와 나사결합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 지지축(30)을 통하여 조작판(40)을 지지함과 함께, 하방 축부(31)의 차양부(31a)와 베이스(10)로 고리형상 탄성체(33)를 끼워지지한다.
계속해서, 조작 다이얼(50)의 고리형상 홈(54)에 고리형상 마그넷(55)을 감합하여 접착함과 함께, 돌기부(52)의 주변 기부에 활주 링(56)을 접착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52)에 마련한 오목부(53)에 베어링(57)을 감합하고, 접착제로 고착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형상 절연 커버(35)의 중심구멍(36)으로부터 노출하는 상방 축부(32)의 상단부에, 상기 조작 다이얼(50)에 고정한 베어링(57)을 압입하여 일체화한다. 이로써,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지지축(30)에 베어링(57)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30)은 고리형상 탄성체(33)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지지축(30)과 상기 베이스(10)의 축구멍(11)과의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외주 연부를 가압하면, 상기 지지축(30)이 조금 경사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판(40)의 회전 멈춤용 노치부(44)가 베이스(10)의 회전 정지용 돌기부(15)에 계합하고, 조작판(40)을 회전 정지시킨다. 특히, 조작판(40)의 압접용 설편(45)이 베이스(10)의 압접용 돌기(16)에 압접하기 때문에, 조작판(40)에 덜컥거림이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3)의 조작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조작 다이얼(50)을 회동하면, 이와 일체의 고리형상 마그넷(55)이 회동하고, 한 쌍의 홀 IC(24a, 24b)가 자계의 변화를 각각 검지하고, 이에 의거하여 회동 방향 및 회동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하여 모니터(2)의 화면 표시에 스크롤 바의 이동으로서 반영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30)은 고리형상 탄성체(33)를 통하여 베이스(10)에 지지되어 있지만, 상기 고리 형상 탄성체(33)가 소정의 경도(硬度)를 갖기 때문에, 조작 다이얼(50)의 회동시는 상기 지지축(30)에 불필요한 흔들림이 없고, 소망하는 조작 감촉을 확보할 수 있다.
계속해서, 소망하는 위치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경우에, 조작 다이얼(50)의 소망하는 주변 연부를 눌러서 선택 지령을 출력한다. 즉, 조작 다이얼(50)의 외주 연부를 압하하면, 지지축(30)을 지지하는 고리형상 탄성체(33)가 탄성 변형하고, 상기 지지축(30)이 조금 기울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활주 링(56)이 조작판(40)을 압하하고, 또한, 고리형상 마그넷(55)이 조작판(40)이 돌출 돌기부(42a)를 압하함에 의해, 상기 돌출 돌기부(42a)의 이면에 부착한 조작용 탄성체(46a)가 시트형상 절연 커버(35)를 통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34a)를 구동한다.
그리고, 조작자가 조작 다이얼(50)에서 손가락을 떼면, 고리형상 탄성체(33)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지지축(3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조작 다이얼(50)에 마련한 활주 링(56)이 조작판(40)의 윗면에 활주 접촉할 뿐으로 되어, 원활한 회동 조작을 잃어버리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판(40)에 돌출 돌기부(42a 내지 42d)를 마련함과 함께, 조작용 탄성체(46a 내지 46d)를 접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압하 위치가 부정확하여도, 돌출 돌기부(42a 내지 42d) 및 조작용 탄성체(46a 내지 46d)를 통하여 해당한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정확하게 압하할 수 있고,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관한 제 2 실시 형태는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기본적 구성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베이스(10)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거의 원형의 금속제이고, 그 중앙에 마련한 축구멍(11)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고정용 나사구멍(13)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축구멍(11)을 가운데 두고 한 쌍의 조립용 위치 결정 구멍(14, 14)을 마련함과 함께, 한 쌍의 위치 결정용 폴부(17a, 17b)를 잘라 세우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그 외주 연부 부근에 후술하는 프린트 기판(20)의 리드부(21b)를 삽통시킬 수 있는 긴 구멍(18)을 마련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20)은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고 박리지(도시 생략)로 피복된 개략 원형의 기판 본체(21a)와, 리드부(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 본체(21a)는 그 중앙에 마련한 중심구멍(22)을 가운데 두고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23, 23)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중심구멍(22)을 가운데 두고 한 쌍의 홀 IC(24a, 24b)를 실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판 본체(21a)는 상기 중심구멍(22)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상에 4개의 도전부(25a 내지 25d)를 균등한 피치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상기 중심구멍(22)의 내주 연부에 마련한 한 쌍의 위치 결정용 노치부(26, 26)를, 상기 베이스(10)의 위치 결정용 폴부(17a, 17b)에 계합하고 위치 결정함에 의해, 베이스(10)상에 접착된다.
지지축(30)은 동일 축심상이고, 또한,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 일체화되는 하방 축부(31)와, 상방 축부(32)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하방 축부(31)는 그 차 양부(31a)와 상기 베이스(10)로 고리형상 탄성체(33)를 끼워지지한다.
시트형상 절연 커버(35)는 그 이면의 접착부(38a 내지 38d)(도 10 및 도 12)에 미리 접착한 편평한 돔 형상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상기 기판 본체(21a)의 도전부(25a 내지 25d)에 각각 실장하여 피복한다. 또한, 상기 시트형상 절연 커버(35)는 그 중앙부에 마련한 중심구멍(36)을 가운데 두고 한 쌍의 조립용 위치 결정 구멍(37)을 마련하고 있다.
조작판(40)은 그 중앙에 마련한 축구멍(41)의 연부 내면에 위치 결정용 노치부(41a, 41b)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그 연부 주변에 한 단계 높은 고리형상 단부(41c)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판(40)은 상기 축구멍(41)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상에 4개의 조작용 설편(47a 내지 47d)이 연재되어 있다. 상기 조작용 설편(47a 내지 47d)의 하면의 선단 연부에는 조작용 돌기(48a 내지 48d)가 돌출 가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판(40)은 상기 노치부(41a, 41b)를 상기 베이스(10)의 위치 결정용 폴부(17a, 17b)에 계합함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위치 규제되고, 회동하지 않는다.
조작 다이얼(5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 중앙에 돌설한 돌기부(52)의 하단면 중앙에, 후술하는 베어링(57)을 고정하는 오목부(53)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오목부(53)를 중심으로 하여 고리형상 마그넷(55)을 감합, 고정하기 위한 고리형상 홈(54)을 동심원 형상으로 마련하고 있다.
고리형상 마그넷(55)은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것이고, 전술한 조작 다이얼(50)의 고리형상 홈(54)에 감합,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층 더 원활한 회동 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55)의 하면에 마찰 계수가 작은 시트형상 활주 링(56)이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다이얼(50)에 장착한 시트형상 활주 링(56)이 조작판(40)의 윗면에 활주 접촉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시트형상 활주 링(56)이 조작판(40)으로부터 연재된 조작용 설편(47a 내지 47d)에 활주 접촉할 뿐이고,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한층 더 원활한 회동 동작이 가능해진다.
베어링(57)은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원활한 회동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오목부(53)에 감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상기 시트형상 활주 링(56) 및 상기 베어링(57)을 통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원활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3)의 조립 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베이스(10)의 축구멍(11)의 이면 연부에 고리형상 탄성체(33)를 부착한 후, 도시하지 않은 치구의 위치 결정 핀에 상기 베이스(10)의 조립용 위치 결정 구멍(14)을 삽통하여 위치 결정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의 위치 결정용 폴부(17a, 17b)에, 한 쌍의 홀 IC(24a, 24b)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20)의 위치 결정용 노치부(26, 26)를 각각 계합하여 위치 결정하여, 부착한다. 계속해서, 이면에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미리 접착한 시트형상 절연 커버(35)를, 그 위치 결정 구멍(37)을 상기 치구의 위치 핀에 감합하여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윗면에 위치 결정하고, 접착한다. 이 결과,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가 프 린트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축구멍(11)에 상방 축부(32)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이것에 하방 축부(31)를 나사결합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 지지축(30)을 세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하방 축부(31)의 차양부(31a)와 상방 차양부(32)의 차양부(32a)로 베이스(10) 및 고리형상 탄성체(33)를 끼워지지하여 빠짐방지된다(도 8A, 도 8B 참조). 단, 상기 지지축(30)은 상기 베이스(10)의 축구멍(11)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가지며, 경동(傾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위치 결정용 폴부(17a, 17b)에 조작판(40)의 노치부(41a, 41b)를 계합하여 위치 결정한다.
한편, 조작 다이얼(50)의 고리형상 홈(54)에 고리형상 마그넷(55)을 감합하여 접착함과 함께, 상기 돌기부(52)의 주변 기부에 시트형상 활주 링(56)을 접착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52)에 마련한 오목부(53)에 베어링(57)을 감합하고, 접착제로 고착한다.
그리고, 도 9A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판(40)의 축구멍(41)으로부터 노출하는 상방 축부(32)의 상단부에, 상기 조작 다이얼(50)에 고정한 베어링(57)을 압입하여 일체화한다. 이로써,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지지축(30)에 베어링(57)을 통하여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조작 다이얼(50)로 조작판(40)을 압하하면, 상기 지지축(30)이 경사함과 함께, 상기 조작판(40)의 조작용 돌기(48a 내지 48d)가 대응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각각 구동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3)의 조작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조작 다이얼(50)을 회동하면, 이것과 일체로 고리형상 마그넷(55)이 회동하고, 한 쌍의 홀 IC(24a, 24b)가 자계의 변화를 각각 검지하고, 이에 의거하여 회동 방향 및 회동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하여 모니터(2)의 화면 표시에 스크롤 바의 이동으로서 반영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30)은 고리형상 탄성체(33)를 통하여 베이스(10)에 지지되어 있지만, 상기 고리형상 탄성체(33)가 소정의 경도를 갖기 때문에, 조작 다이얼(50)의 회동시에는 상기 지지축(30)에 불필요한 흔들림이 없고, 소망하는 조작 감촉을 확보할 수 있다.
계속해서, 소망하는 위치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경우에, 조작 다이얼(50)의 소망하는 주변 연부를 눌러서 선택 지령을 출력한다. 즉, 조작 다이얼(50)의 주변 연부를 압하하면, 지지축(30)을 지지하는 고리형상 탄성체(33)가 탄성 변형하고, 상기 지지축(30)이 조금 기울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조작 다이얼(50)이 조작판(40)의 고리형상 단부(41c)를 압하한다. 이 결과, 조작판(40)의 조작용 돌기(48a)가 시트형상 절연 커버(35)를 통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34a)를 구동한다.
그리고, 조작자가 조작 다이얼(50)에서 손가락을 떼면, 고리형상 탄성체(33)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지지축(3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 때문에, 조작 다이얼(50)에 부착한 시트형상 활주 링(56)이 조작판(40)의 윗면에 활주 접촉할 뿐으로 되고, 원활한 회동 조작을 잃어버리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판(40)에 조작용 돌기(48a 내지 48d)를 마련하 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압하 위치가 부정확하여도, 조작용 돌기(48a 내지 48d)를 통하여 해당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34a 내지 34d)를 정확하게 구동하여,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축(30)의 차양부(31a)와 베이스(10)로 고리형상 탄성체(33)를 끼워지지하면서, 상기 지지축(30)을 상기 베이스(10)에 세운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판(10)의 축구멍(11)의 내주면과 지지축(3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고리형상 탄성체를 개재시킴에 의해, 상기 지지축(30)을 상기 베이스(10)에 경사 가능하게 세워도 좋다. 또한, 상기 고리형상 탄성체(33)는 단면 대략 L자형의 탄성재로 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한하지 않고, 다른 모바일 기기나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텔레비전, 비디오 등의 전자 기기에 적용하여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의 외주 연부를 압하하면, 지지축이 경사하여 조작판을 통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동한다. 이 때문에, 종래예와 같은 조작 다이얼이 걸리는 것이 없어지고, 높은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 다이얼은 지지축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부품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원활한 회동 조작을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베이스의 축구멍에 지지축을 삽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축구멍의 하면 연부와 상기 지지축의 하단 차양부에 고리형상 탄성체 를 끼워지지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상기 지지축을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워도 좋다. 또한, 베이스의 축구멍에 지지축을 삽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축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고리형상 탄성체를 배치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상기 지지축을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워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계할 때의 선택의 범위가 넓게 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넓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지지축이 동일 축심상이고, 또한,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 일체화된 하방 축부와 상방 축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지축을 2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축의 외주 형상이 복잡하게 되어도, 지지축 전체로서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다이얼과 조작판의 사이에 마찰 계수가 작은 활주 링을 배치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층 더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한 조작 입력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조작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등의 여러가지의 전자 기기에 사용함에 의해, 조작 감촉에 우수하고, 원활한 회동 조작이 가능하고, 먼지의 발생이 적은 전자 기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삭제
  2.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의해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운 지지축과,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 배치된 조작판과,
    하면에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조립하고,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출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조작 다이얼의 외주 연부를 압하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을 통하여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동하며,
    베이스의 축구멍에 지지축을 삽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축구멍의 하면 연부와 상기 지지축의 하단 차양부에 고리형상 탄성체를 끼워지지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상기 지지축을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3.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의해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운 지지축과,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 배치된 조작판과,
    하면에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조립하고,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출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조작 다이얼의 외주 연부를 압하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을 통하여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동하며,
    베이스의 축구멍에 지지축을 삽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축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의 사이에 고리형상 탄성체를 배치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상기 지지축을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4. 삭제
  5.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의해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운 지지축과,
    윗면에 복수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 및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상기 프린트 기판상에 배치된 조작판과,
    하면에 N극 및 S극을 교대로 배치한 고리형상 마그넷을 조립하고, 상기 지지축의 상단부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조작 다이얼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에 의해, 상기 고리형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출하여 회동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조작 다이얼의 외주 연부를 압하함에 의해, 상기 조작판을 통하여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구동하며,
    조작 다이얼과 조작판의 사이에, 마찰 계수가 작은 활주 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6. 제 2항, 제 3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제 2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축구멍에 지지축을 삽통하고, 상기 베이스의 축구멍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의 사이에 고리형상 탄성체를 배치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상기 지지축을 경사 가능하게 탄성 지지하여 세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8. 제 7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60013534A 2005-02-17 2006-02-13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0801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40952A JP4561394B2 (ja) 2005-02-17 2005-02-17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05-00040952 200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76A KR20060092076A (ko) 2006-08-22
KR100801809B1 true KR100801809B1 (ko) 2008-02-11

Family

ID=3627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534A KR100801809B1 (ko) 2005-02-17 2006-02-13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81508A1 (ko)
EP (1) EP1693872B1 (ko)
JP (1) JP4561394B2 (ko)
KR (1) KR100801809B1 (ko)
CN (1) CN1822274B (ko)
DE (1) DE602006005728D1 (ko)
DK (1) DK169387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509B1 (ko) 2006-10-10 2008-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정보 입력장치
KR100792507B1 (ko) 2006-10-10 2008-01-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정보 입력장치
JP4327838B2 (ja) * 2006-12-04 2009-09-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0813416B1 (ko) 2006-12-28 2008-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형 멀티키
KR100813417B1 (ko) 2007-01-22 2008-03-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회전형 멀티키
KR100834611B1 (ko) 2007-02-1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JP4301312B2 (ja) * 2007-03-16 2009-07-2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29434B1 (ko) 2007-03-20 200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휠 키버튼 장치
KR100867030B1 (ko) 2007-04-24 2008-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입력장치
KR100904001B1 (ko) 2007-10-24 2009-06-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각센서를 이용한 슬림형 마우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75938A (ja) * 2010-02-25 2011-09-08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02054617A (zh) * 2011-01-06 2011-05-11 余正明 一种fpc开关
JP2012204048A (ja) * 2011-03-24 2012-10-22 Denso Corp 操作入力装置
CN106098452B (zh) * 2016-07-14 2018-05-22 迪芬尼香港有限公司 一种新型复合旋钮结构
US10510501B2 (en) * 2017-04-19 2019-12-17 Danfoss Power Solutions Inc. Rotary knob controller
CN107920151B (zh) * 2017-12-27 2020-12-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按键组件及具有该按键组件的移动终端
JP7057170B2 (ja) * 2018-03-13 2022-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858493A (zh) * 2018-08-23 2020-03-03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资讯撷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668A (en) 1984-02-08 1987-01-27 La Telemecanique Electrique Analog manipulator with proximity detection of a moveable magnetizable mass
WO2003090008A2 (en) 2002-04-22 2003-10-30 Ziad Badarneh Switches, system of switches, and interactive system for use on electronic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6453A (en) * 1979-07-12 1981-01-20 Electro Audio Dynamics, Inc. Switch
JPH0230221A (ja) * 1988-07-20 1990-01-31 Tokyo Sokutei Kizai Kk 入力装置
JP3219353B2 (ja) * 1994-08-26 2001-10-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操作型スイッチおよび多方向入力装置
JP3219354B2 (ja) * 1994-08-26 2001-10-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FR2804240B1 (fr) * 2000-01-26 2002-05-17 Dav Dispositif de commande de fonctions electriques dans l'automobile par commutation magnetique
JP2002170462A (ja) * 2000-11-29 2002-06-14 Alps Electric Co Ltd 揺動操作型電気部品
JP3820548B2 (ja) * 2001-06-01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687036B2 (ja) * 2001-07-19 2005-08-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複合スイッチ
JP2003280799A (ja) * 2002-03-25 2003-10-02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495525B2 (ja) * 2004-06-01 2010-07-07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用のキーシート及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9668A (en) 1984-02-08 1987-01-27 La Telemecanique Electrique Analog manipulator with proximity detection of a moveable magnetizable mass
WO2003090008A2 (en) 2002-04-22 2003-10-30 Ziad Badarneh Switches, system of switches, and interactive system for use on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076A (ko) 2006-08-22
US20060181508A1 (en) 2006-08-17
DK1693872T3 (da) 2009-07-20
EP1693872A1 (en) 2006-08-23
DE602006005728D1 (de) 2009-04-30
CN1822274A (zh) 2006-08-23
CN1822274B (zh) 2010-05-12
JP2006228568A (ja) 2006-08-31
JP4561394B2 (ja) 2010-10-13
EP1693872B1 (en)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809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1022964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737197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022858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06669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8143981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JP4311495B1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073311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1175938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0131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094980B2 (en) Scroll key having a function selecting switch
JP533859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156937B1 (ko) 다방향 입력 장치
JP5292198B2 (ja) 入力装置
JP2010157474A (ja) 操作入力装置
JP2010146805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