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286A -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286A
KR20100070286A KR1020090091044A KR20090091044A KR20100070286A KR 20100070286 A KR20100070286 A KR 20100070286A KR 1020090091044 A KR1020090091044 A KR 1020090091044A KR 20090091044 A KR20090091044 A KR 20090091044A KR 20100070286 A KR20100070286 A KR 20100070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operation dial
dial
push butt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모리모토
카츠미 에도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0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상 마그넷이 파단(破斷)되기 어렵고, 내구성에 우수하고, 설계의 자유도가 큰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동일 원주상에 1 대의 탄성 결합 받이부(16)를 잘라 일으킨 베이스(10)와, 복수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3lb 내지 31e)를 동일 원주상에 실장하고, 홀 소자(27)를 실장 함과 동시에, 상기 페이스(10)에 적층하여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20)과, 외주연부를 상기 베이스(10)의 탄성 결합 받이부(16)에 결합하여 빠짐을 방지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le)위에 재치한 환상 홀더(40)와, 상면에 환상 마그넷(58)을 동심원상에 배치하고, 상기 환상 홀더(40) 에 동일 축심상에 위치 결정하여 재치된 환상의 조작 다이얼(50)과,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감합구멍(51)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내주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빠짐을 방지하는 링 형상 고정구(70)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이다.

Description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OPERATION INPUT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동 조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휴대 전화기나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에 적용할 수 있는 조작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작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정보를 표시한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어진 표시 내용을 적어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하기 위한 제 1 조작 수단과, 상기 제 1 조작 수단과는 다른 조작으로, 다른 표시 내용으로 변경 시키는 제 2 조작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 2 조작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조작 수단의 조작으로 얻어지는 신호에 의해,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 되어지는 표시 내용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적어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되고, 또한, 상기 제 2 조작 수단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조작되어 얻어지는 신호에 의해,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 되어지는 표시 내용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확대 축소되며 또는 그 계층이나 페이지가 이동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는, 특허문헌1의 단락(0035, 0036)의 기재 및 도 2 에 도시되고 있는 것처럼, 링 형상 조작부(18)의 하면에 링 자석(28)이 자성판(29)을 끼워 고정 장착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4-70654호 공보
그렇지만, 전술한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는, 링 형상 조작부(18)의 하면에 링 자석(28)의 상면을 고정 장착하고, 상기 링 자석(28)의 하면측은 직접 지지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링 형상 조작부(18)에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지면, 링 자석(28)이 파단되기 쉬울뿐만 아니라, 링 자석(28)이 파단되면, 최악으로, 장착대(27)의 상면에 걸리게 되며, 동작 불능으로 되어 고장의 원인으로 된다.
또, 링 자석(28)은 자기 센서(30)의 상방 부근에 배치할 필요가 있지만, 다른 내부 구성 부품과의 관계로 배치할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며, 설계의 자유도가 작다고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환상 마그넷이 파단되기 어렵고, 내구성에 우수하며, 설계의 자유도가 큰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배치하고, 또한, 자계 검출 소자를 배치한 프린트 기판의 상방에,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동심원상에 배치한 환상의 조작 다이얼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으로서, 상기 환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조작 다이얼을 밀어 내림으로서 상 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 다이얼에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지고, 환상 마그넷에 파단 혹은 크랙이 발생한 경우라도, 장착 장소로부터 탈락하여 프린트 기판상의 실장 부품 등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기 때문에, 배치할 수 있는 위치의 선착 범위가 폭넓게 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커지게 되어 설계하기 쉽다.
또한,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기 때문에, 환상 마그넷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고, 장착 미스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조작 입력 장치는, 동일 원주상에 적어도 한 쌍의 탄성 결합 받이부를 잘라 일으킨 베이스와, 복수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동일 원주상에 실장하고, 또한,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에 적층되어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외주연부를 상기 베이스의 탄성 결합 받이부에 결합하여 빠짐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의 누름 버튼 스위치 위에 재치된 환상 홀더와,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동심원상에 배치하고, 상기 환상 홀더에 동일 축심상에 위치 결정되어 재치된 환상의 조작 다이얼과, 상기 조작 다이얼의 감합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조작 다이얼의 내주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빠짐을 방지하는 링 형상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로서,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으로서, 상기 환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조작 다이얼을 밀어내림으로서, 상기 환상 홀더를 통해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해 두기 때문에, 상기 조작 다이얼에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지고, 환상 마그넷에 파단 혹은 크랙이 발생한 경우에도, 장착 장소로부터 탈락되어 프린트 기판상의 실장 부품 등에 접촉하는 일이 없이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기 때문에, 배치할 수 있는 위치의 선택 범위가 넓게 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커지게 되어 설계하기 쉽다.
또한,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기 때문에, 환상 마그넷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고, 장착 미스를 방지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동심원상에 장착한 환상 홈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환상 마그넷이 환상 홈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환상 마그넷이 파단되어도, 그 파편이 분산되기 어려우며, 보다 한층 고장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상기 환상 홈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 작업이 용이해지고, 생산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의 탈락을 방지하는 캡 커버를 점착 일체화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환상 마그넷의 파단을 상기 캡 커버로 방지할 수 있 음과 동시에, 만일, 파단되어도, 그 파편이 분산되기 어려워 고장나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다이얼과 환상 홀더와의 사이에 습동 시트를 배치해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의 회동이 원활히 되고, 조작 감촉이 향상한다. 특히, 적절한 마찰 계수를 갖는 습동 시트를 선택하면 조작 다이얼의 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 기기로서는,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전술의 조작 입력 장치의 조작 다이얼을 하우징으로부터 노출시켜 장착하여 두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조작 다이얼에 외부로부터 충격력이 가해지고, 환상 마그넷에 파단 혹은 크랙이 발생한 경우에도, 장착 장소로부터 탈락하여 프린트 기판상의 실장 부품 등에 접촉되는 일이 없이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기 때문에, 배치할 수 있는 위치의 선택 범위가 넓게 되고, 설계의 자유도가 커져 설계하기 쉽다.
또한,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하기 때문에, 환상 마그넷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고, 장착 미스를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이 좋은 전자 기기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7 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조작 입력 장치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듯이, 플렉시블 한 프린트 기판(20)을 점착 일체화한 금속 베이스(10) 라고(와), 하면에 돔상 가동 접점으로 된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 및 4개의 누름 버튼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를 부착한 수지제 필름커버(30)와,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 환상 홀더(40)와, 상면에 환상 마그넷(58)을 고정한 조작 다이얼(50)과, 상기 조작 다이얼(50)의감합 구멍(51)의 중앙에 배치되는 누름 버튼(60)과, 상기 금속 베이스(10)에 코킹 고정 되고, 상기 조작 다이얼(50)내주연부를 회동 가능하게 빠짐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누름 버튼(60)의 외주연부를 밀어내림 가능하게 빠짐을 방지하는 링 형상 고정구(7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금속 베이스(10)는,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듯이, 외주연부에 도시하지 않은 타부품을 결합, 고정하는 결합용 폴부(pawl part;11)를 잘라 일으킨 평면의 거의 원형이고, 그 중심으로부터 동일 원주상에 8개의 코킹 구멍(12)을 마련하고 있음과 동시에, 그 외측 근방에 원형 및 사각형의 치구 구멍(13, 14)을 마련하고 있다.
또, 상기 치구 구멍(13, 14)의 외측 원주상에 위치 결정 돌기(15)를 아랫측으로 잘라 일으키고 또한, 그 외측 원주상에 한 쌍의 탄성 결합 받이부(16)를 상방측에 잘라 일으켜져 있다.
플렉시블한 수지 필름으로 된 프린트 기판(20)은,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한 개략 원형의 기판 본체(20a)와, 상기 기판 본체(20a)로부터 연재된 리드부(20b)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 본체(20a)는, 그 중앙에 도전부(21a)를 장착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도전부(21a)를 중심으로 동일 원주상에 균등의 피치로 도전 부(21b 내지 21e)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도전부(21a 내지 21e)는, 환상 고정 접점부와 상기 환상 고정 접점부내에 배치 되어진 한 쌍의 고정 접점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코킹 구멍(12) 및 치구 구멍(13, 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코킹 구멍(22) 및 치구 구멍(23, 24)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판 본체(20a)는 그 코킹 구멍(22)의 외측 부근에 후술하는 홀 소자(27)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장착부(25, 2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홀 소자(27)는 상방을 통과한 자속에 반응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상기 장착부(25)에 홀 소자(27)를 위치 결정하여 접속한다.
또한, 상기 도전부(21a 내지 21e)는, 예를 들면, 고정 접점부가 동심원상이라도 좋으며, 또한, 평면시로 대략 C자형의 한쪽의 고정 접점부의 중앙에 다른측의 고정 접접부를 배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부호 26은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탄성 결합 받이부(16)가 돌출하기 위한 결합구멍이다.
수지제 필름 커버(80)는, 상기 기판 본체(20a)로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접착재를 도포한 이면 중, 상기 도전부(21a 내지 21e)와 대응하는 위치에, 편평한 돔 형상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누름 버튼 스위치(31a 내지 31e)가 각각 점착되어 있다(도 5). 또한,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31a 내지 31e)는 밀어누를 때 공기 저항을 작게 해야 하고, 상기 기판 본체(20a)의 이면에 상기 누름 버튼 버튼 스위치(31a 내지 31e)에 연통하는 통기부(36)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 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코킹 구멍(12) 및 치구 구멍(13, 14) 와 대응하는 위치에, 코킹 구멍(32) 및 치구 구멍( 33, 34)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그 외주연부 근방에 상기 홀 소자(27)에 감합하는 릴리프부(35)를 형성하고 있다.
환상 홀더(4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그 외주연부가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탄성 결합 받이부(16)에 결합 가능한 결합 폴부(42)를 구비한 설편(41)을 설치하고 있다. 또, 환상 홀더(40)는, 그 외주연부 중,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21b 내지 21e)에 재치 가능한 리브(43)를 균등한 피치로 돌설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리브(43)의 하면에,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21b 내지 21e)를 각각 밀어 누름 가능한 조작용 돌기(44)를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리브(43)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주연부에 한 쌍의 스페이서(45)를 측방으로 돌설하고 있다. 상기 스페이서(45)는,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50)이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소자에 당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환상 홀더(40)의 설편(41), 리브(43) 및 스페이서(45)는, 그들의 상면이 한 면으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50)의 회동 조작을 원활히 행하기 위한 환상의 습동 시트(49)를 재치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조작 다이얼(50)은,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듯이, 상기 금속 베이스(10)에 재치 가능한 동심원 형상이고, 그 중심에 후술한 누름 버튼(60) 및 링 형상 고정구(70)를 감합할 수 있는 감합 구멍(51)을 마련하고 있다. 또,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그 감합 구멍(51)의 내주연부에 따라 환상 리브(52)를 마련함과 함께, 그 외측에 환상 홈부(5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환상 홈부(53)의 외측에는, 환상 단부(5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환상 홈부(53)에 환상 마그넷(58) 을 감합함과 함께, 상기 환상 단부(54)에 환상 메탈 캡 커버(80)를 양면 테이프(81 )를 이용하여 점착 일체화 함으로서, 상기 환상 마그넷(58)을 빠짐 방지한다.
또한, 상기 환상 메탈 캡 커버(80)는 빠짐 방지 기능뿐만 아니라, 장식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고, 회동 가능하면, 예를 들어, 정팔각형이라도 좋다.
누름 버튼(60)은,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듯이 그 외주연부에 결합용 리브(61)를 돌설하며, 후술하는 링 형상 고정부(70)의 감합 구멍(71)내에 빠짐 방지 가능한 외주 형상을 갖고 있다, 또, 상기 누름 버튼(60)은, 그 하면 중앙부에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를 밀어내리는 조작용 돌기(62)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결합용 리브(61)에는 위치 결정용 절결부(63)을 마련하고 있다.
링 형상 고정구(7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감합 구멍(51)에 갑함되며, 그 하면에 마련된 환상 돌기부(72)(도 6)를 수지제 필름 커버(30)에 당접시켜 그 코킹용 돌기(73)를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코킹 구멍(12)에 코킹하여 고정 되어진다. 또, 링 형상 고정구(70)는,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환상 리브(52)에 결합되게 됨으로서, 회동 가능하게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외형 치수를 갖는다. 또한, 링 형상 고정구(70)는, 그 내연부에 상기 누름 버튼 (60)의 결합용 리브(61)에 결합되며, 밀어 내림 가능하게 빠짐을 방지하는 내경 치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링 형상 고정구(70)는, 그 내주연부에 상기 누름 버튼 탄(60)의 위치 결정용 절결부(63)에 결합하는 위치 결정용 돌기(74)를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는 치구인 한 쌍의 위치 결정 핀에 상기 금속 베이스(10) 의 치구 구멍(13, 14)을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다. 이어서, 홀 소자(27) 및 다른 제어 소자를 소정의 위치에 실장한 프린트 기판(20) 치구 구멍(23, 24)을, 상기 치구인 한 쌍의 위치 결정 핀에 삽입함으로서,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탄성 결합 받이부(16)에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결합 구멍(26)을 감합하여 점착 일체화한다, 또한, 수지제 필름 커버(30)의 치구 구멍(33, 34)를 상기 치구인 위치 결정 핀에 삽입하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본체부(20a)에 수지제 필름 커버(30)를 점착 일체화함으로서, 도전부(21a 내지 21e)에 돔 형상 반전 스프링으로 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31a 내지 31e)를 각각 위치 결정한다.
이어서, 상기 금속 베이스(10)의 탄성 결합 받이부(16)에 환상 홀더(40)의 결합 폴부(42)를 결합하여 위치 결정함으로서, 상기 환상 홀더(40)의 조작용 돌기 (44)가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위에 당접한다.
한편, 조작 다이얼(50)의 환상 홈부(53)에 환상 마그넷(58)을 감합 함과 함께, 환상 단부(54)에 양면 테이프(81)를 끼워 환상 메탈 캡 커버(80)를 점착 일체화함으로서, 상기 환상 마그넷(58)을 빠짐 방지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치구에 링 형상 고정구(70)를 뒤집어 위치 결정하고, 그 감합 구멍(71)에 누름 버튼(60)을 뒤집어 위치 결정하며, 이어서, 상기 조작 다 이얼(50)을 뒤집어 위치 결정한다. 또한, 상기 조작 다이얼(50)의 이면에 환상 습동 시트(49)를 배치한 후, 금속 베이스(10)로 일체화 한 환상 홀더(40)를 상기 조작 다이얼(50)에 조립한다. 또한, 금속 베이스(10)의 코킹 구멍(12)으로부터 돌출한 링 형상 고정구(70)의 코킹용 돌기(73)를 코킹하는 것에 의해, 모든 구성 부품을 일체화한다.
또한, 링 형상 고정구(70)의 금속 베이스(10)에 대한 고정 방법은, 코킹 고정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 결합에 의한 고정, 용접 고정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누름 버튼 스위치(31a 내지 3le)에 재치된 누름 버튼 (60) 및 환상 홀더(40)가 돔 형상 반전 스프링의 용수철 힘으로 상방에 가세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하 방향의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음과 동시에, 조작 다이얼(50)의 관성력에 의한 지나친 회전을 억제할 수 있으며, 오조작이 생기기 어렵다.
다음에, 전술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기(도시 생략)에 적용한 경우의 조작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작 다이얼(50)을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의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 상기 조작 다이얼(50)은 습동 시트(49)를 통해 환상 홀더(40) 위를 회동한다.
이 때문에, 상기 조작 다이얼(50)과 일체인 환상 마그넷(58)이 회동되며, 한 쌍의 홀 소자(27)가 자계의 변화를 각각 검지하며, 그것에 근거하여 회동 방향 및 회동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해 모니터의 화면 표 시에 스크롤바의 이동으로서 반영 되어진다. 이어서, 원하는 위치에 스크롤바가 도달한 경우에, 누름 버튼(60)을 누름으로서,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의 반전 스프링이 반전되며, 대응하는 도전부(21a)를 도통시켜 선택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조작 다이얼(50)의 주변부를 밀어 내리며, 환상 홀더(40) 밀어내림용 돌기(44)에서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의 반전 스프링을 적절히 반전 시킴으로서, 대응하는 도전부(21b 내지 21e)를 도통시켜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모바일 기기나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적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에 관계된 조작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에서 나타낸 조작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조작 입력 장치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B)에서 나타낸 조작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조작 입력 장치의 주요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6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저면도, 도 6의 (B)는 도 6의 (A)의 B―B선 단면도, 도 6의 (C)는 도 6의 (A)의 C―C선 단면도.
도 7의 (A)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저면도, 도 7의 (B)는 도 7의 (A)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금속 베이스 13, 14 : 치구 구멍
16 : 탄성 결합 받이부 20 : 프린트 기판
21a 내지 21e : 도전부 25 : 장착부
27 : 홀 소자 30 : 수지제 필름 커버
31a 내지 31e : 누름 버튼 스위치 40 : 환상 홀더
44 : 조작용 돌기 50 : 조작 다이얼
51 : 감합 구멍 52 : 환상 리브
53 : 환상 홈 54 : 환상 단부
58 : 환상 마그넷 60 : 누름 버튼
61 : 환상 리브 62 : 조작용 돌기
70 : 링 형상 고정구 71 : 감합 구멍
73 : 코킹용 돌기 80 : 환상 메탈 캡 커버

Claims (6)

  1. 동일 원주상에 복수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배치하고, 또한, 자계 검출 소자를 배치한 프린트 기판의 상방에,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동심원상에 배치한 환상의 조작 다이얼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으로써, 상기 환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조작 다이얼을 밀어내림으로써,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2. 동일 원주상에 적어도 한 쌍의 탄성 결합 받이부를 잘라 일으킨 베이스와,
    복수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동일 원주상에 실장하며, 또한, 자계 검출 소자를 실장함과 함께, 상기 베이스에 적층되어 일체화한 프린트 기판과,
    외주연부를 상기 베이스의 탄성 결합 받이부에 결합하여 빠짐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프린트 기판의 누름 버튼 스위치 상에 재치된 환상 홀더와,
    상면에 환상 마그넷을 동심원상에 배치하고, 상기 환상 홀더에 동일 축심상에 위치결정되어 재치된 환상의 조작 다이얼과,
    상기 조작 다이얼의 감합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에 고정함으로서, 상기 조작 다이얼의 내주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빠짐을 방지하는 링 형상 고정구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동함으로서, 상기 환상 마그넷의 자속의 변화를 상기 자계 검출 소자로 검출할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조작 다이얼을 밀어내림으로서 상기 환상 홀더를 통해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동심원상에 마련된 환상 홈내에, 환상 마그넷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작 다이얼의 상면에, 환상 마그넷의 탈락을 방지하는 캡 커버를 점착 일체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조작 다이얼과 환상 홀더의 사이에 습동 시트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를 외부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다이얼을 하우징으로부터 노출시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90091044A 2008-12-17 2009-09-25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201000702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1115 2008-12-17
JP2008321115A JP2010146805A (ja) 2008-12-17 2008-12-17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86A true KR20100070286A (ko) 2010-06-25

Family

ID=4236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044A KR20100070286A (ko) 2008-12-17 2009-09-25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46805A (ko)
KR (1) KR201000702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0506A (zh) * 2011-06-23 2012-01-18 南通维科机电制造有限公司 电荷转移式触摸按钮及其控制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46805A (ja)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858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1022964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06669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737197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01809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11495B1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0131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073311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830862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00070286A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2010161020A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49462B2 (ja) 入力装置及び該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00081266A (ko) 조작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