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789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789B1
KR101019789B1 KR1020087009867A KR20087009867A KR101019789B1 KR 101019789 B1 KR101019789 B1 KR 101019789B1 KR 1020087009867 A KR1020087009867 A KR 1020087009867A KR 20087009867 A KR20087009867 A KR 20087009867A KR 101019789 B1 KR101019789 B1 KR 101019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unit
amount
detection unit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8428A (ko
Inventor
히로유키 세노
다카후미 이시바시
야스오 오시마
세이이치 우에노
아키히토 이토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5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전기 청소기로서, 전동 송풍기와, 전동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판단 제어부와, 복수 크기의 진애에 대하여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진애량 검지부를 구비하고, 판단 제어부는 진애량 검지부에서 검지된 복수 크기의 진애의 진애량 각각에 근거하여,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일반 가정 등에서 청소에 사용되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가진 청소기가 제안되고 있고, 진애(塵埃)가 통과하는 공기 경로 내에 마련한 진애 센서에 의해 진애량을 판단하여, 전동 송풍기의 제어 등을 행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1995-28847 호, 일본 특허 공보 제 3006145 호 참조).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기 청소기의 구성에서는 진애의 수에 대해서는 검출 신호인 펄스의 수로 판단하고, 그 크기에 대해서는 펄스의 폭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이 경우, 진애의 크기를 펄스 폭으로 검출하기 위한 펄스 변환부의 회로 특성을 고려하면, 검출할 수 있는 진애의 크기에는 제한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가정 내에 있는 진애의 크기는 청소기로 청소되는 진애만 하더라도 면적에서 수천 배 이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검출 회로의 특성(주로, 신호의 증폭률이나 그의 주파수 특성 등)을 작은 진애에 맞춘 경우에는, 큰 진애에 대하여 펄스 수는 검출할 수 있더라도 펄스 폭의 판단은 곤란한 한편, 그 반대로 어느 정도 크 기의 진애에 검출 회로의 특성을 맞추면, 보다 작은 진애에 대한 반응을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었다.
또한, 흡기의 유속과 거의 같은 속도로 흡인된 상태로 진애의 검출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검출부의 크기보다 충분히 작은 진애에 대해서는, 그 크기가 펄스 신호의 폭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예컨대, 통과하는 진애의 크기를 직경 X의 구(球)체로 하고, 검출부의 수광부 크기를 직경 Y의 원으로 하여, 진애의 통과 속도를 흡기 속도와 거의 같은 Z로 하면, 통과 시간은 (X+Y)/Z로 표시된다. 여기서, X<<Y인 경우에는 진애의 통과 시간은 Y/Z가 되며, 진애의 크기에 의한 통과 시간의 변화는 거의 없어져 버리게 된다. 반대로, 진애의 크기가 검출부의 크기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크기라면, 통과 시간에 진애의 크기 X의 수치가 부여하는 영향이 커짐과 동시에 흡기 속도에 대하여 그의 통과 속도가 늦어지는 경향도 나타나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펄스 신호의 폭에 의한 진애의 크기 판단이 가능해진다. 즉, 지금까지는 어느 정도 크기의 진애에 특성을 맞추어서 제어를 행하고 있고, 그와 같은 제어에서는 그 특성을 맞춘 진애의 크기와는 다른 크기의 진애에 대한 유효한 제어를 할 수 없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들 종래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여러 가지 크기의 진애에 대한 제어를 보다 정밀도 좋게 실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와, 전동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판단 제어부와, 복수 크기의 진애에 대하여,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진애량 검지부를 구비하고, 판단 제어부는 진애량 검지부에서 검지된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에 근거하여,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진애 검지부가 복수 크기의 진애에 대하여,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고, 판단 제어부는 그 결과에 근거하여,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크기의 진애에 대한 제어를 보다 정밀도 좋게 실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인 경로 내의 소정 크기의 진애를 검출하는 제 1 진애 검출부와, 흡인 경로 내의 소정 크기의 진애보다 작은 진애를 검출하는 제 2 진애 검출부를 구비하고, 진애량 검지부는 제 1 진애 검출부 및 제 2 진애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정 크기의 진애 및 그것보다 작은 진애에 대하여 각각 검출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보다 고정밀도인 진애 검출 및 그것에 근거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판단 제어부는 진애량 검지부에서 검지된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과, 진애량 및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의 대응을 정한 테이블에 근거하여,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미리 진애량과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의 대응을 정해 놓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아울러, 판단 제어부는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에 의해서 정해지는 전력 공급량을 비교하여 보다 큰 전력 공급량을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으로서 결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게다가,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다 확실하게 진애를 흡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흡인 경로 내의 진애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진애 감지부를 구비하고, 제 1 진애 검출부는 진애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 1 증폭률로 증폭하고,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소정 크기의 진애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하는 제 1 증폭 판정부를 갖고, 제 2 진애 검출부는 진애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 2 증폭률로 증폭하고,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소정 크기의 진애보다 작은 진애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하는 제 2 증폭 판정부를 갖고, 제 2 증폭률이 제 1 증폭률보다 큰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증폭률의 차이로 진애의 크기를 분별할 수 있기 때문에, 수광·발광 부분의 통과 속도가 같고 펄스 폭으로는 충분한 차이를 얻을 수 없는 진애라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진애량 검지부는 제 1 진애 검출부 및 제 2 진애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계수하여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확실하게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진애 검출부 및 제 2 진애 검출부는 진애를 검출한 경우에 서로 다른 출력 전압을 출력하고, 진애량 검지부는 제 1 진애 검출부 및 제 2 진애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차이에 근거하여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확실히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진애 검출부 및 제 2 진애 검출부의 출력을 중첩하는 진애 신호 중첩부와, 진애 신호 중첩부에서 중첩된 신호를 분리하는 진애 신호 분리부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진애 신호 중첩부와 진애 신호 분리부 사이의 통신 정보량을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판단 제어부는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에 근거하여, 진애의 크기를 고려하여 축적된 집진량을 판단하고, 판단 제어부에서 판단된 집진량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집진량 통지부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진애의 크기까지도 고려한, 보다 정밀도가 높은 집진량을 결정할 수 있고, 게다가 그 집진량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에 의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집진량의 값을 리셋하는 축적 클리어부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사용자가 집진량을 원하는 타이밍에서 리셋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축적 클리어부는 집진 주머니의 교환에 따라 집진량의 값을 리셋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집진 주머니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집진량의 값을 리셋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진애량 검지부에서 검지된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검출 통지부를 갖춘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사용자가 어떠한 크기의 진애가 어느 만큼의 양이 흡입되고 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높은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판단 제어부는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에 근거하여 전동 송풍기의 전력 제어법칙 및 검출 통지부의 통지 제어법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진애의 크기나 양에 대응하여 전력 제어량의 레벨이나 사용자로의 통지 레벨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사용성이 좋고 편리성이 높은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전력 제어법칙 및 통지 제어법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입력부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사용자가 피청소 대상에 존재하는 진애의 크기나 양에 대하여 통지하고 싶은 레벨이나 전동 송풍기로 공급하는 전력 제어량의 레벨을 자신의 판단으로 설정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흡입 기구의 종류를 판단하는 흡입 기구 판단부를 구비하고, 판단 제어부는 전력 제어법칙 및 통지 제어법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흡입 기구의 종류에 따라 결정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특정한 목적, 즉 특정한 피청소 대상의 흡인을 전제로 한 흡입 기구를 장착한 경우에는, 그 대상으로 최적화한 통지 레벨이나 전력 제어량의 레벨로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흡입 기구 판단부는 흡입 기구에 배치된 종류마다 다른 저항에 대하여 소정의 전류를 흘리고, 그 결과 발생하는 전위차의 차이에 근거하여 흡입 기구의 종류를 판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확실하게 흡입 기구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진애 검출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진애 검출 신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진애 검출 신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도 9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진애 검출 신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부호의 설명)
1 : (전기 청소기)본체 2 : 전동 송풍기
4 : 조작부 5 : 집진 주머니
8 : 구동부 9 : 판단 제어부
10 : 제 1 진애 검출부 11 : 제 2 진애 검출부
13 : 제 1 진애 계수부 14 : 제 2 진애 계수부
15, 30, 31 : 진애량 검지부 16 : 제 1 전압 판정부
17 : 제 2 전압 판정부 18 : 진애 신호 중첩부
19 : 진애 신호 분리부 20 : 검출 통지부
21 : 집진량 통지부
22 : 축적 클리어 입력부(축적 클리어부)
23 : 설정 입력부 24 : 흡입 기구 판단부
25 : 흡입 기구 설정부 26, 32 : 제 1 증폭 판정부
27, 33 : 제 2 증폭 판정부 28 : 발광부
29 : 수광부 50, 60, 70 : 전기 청소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 60, 70)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그것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전기 청소기 본체(1)[이하, 본체(1)로 칭한다]는 본체(1)내에 수납되며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송풍기(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에는 호스(3)가 접속되고, 호스(3)의 일부에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체(1)내는 집진 주머니(5)를 수납한 집진실(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호스(3)에는 후술하는 제 1 진애 검출부(10) 및 제 2 진애 검출부(11)가 수납되어 있는 진애 검출부(7)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 60, 70)의 진애 검출부(7)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체(1)는 전동 송풍기(2)를 전동하기 위한 쌍방향성 사이리스터(thyristor) 등을 갖는 구동부(8) 및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된 판단 제어부(9)를 구비한다. 판단 제어부(9)는 조작부(4)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받아 그 내용을 판단하여 구동부(8)로 구동 신호를 보낸다.
진애 검출부(7)는 적외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발광부(28) 및 포토 트랜지스터를 갖는 수광부(29) 등을 구비한 진애 감지부(12)와, 진애 감지부(12)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연산 증폭기나 비교 측정기 등으로 구성되어, 증폭 기능과 필터 기능을 가지며 소정의 제 1 증폭률로 검출 신호를 판정 출력하는 제 1 증폭 판정부(26)를 갖는 제 1 진애 검출부(10)와, 제 1 증폭률보다 더 큰 제 2 증폭률로 검출 신호를 판정 출력하는 제 2 증폭 판정부(27)를 갖는 제 2 진애 검출부(11)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제 1 진애 검출부(10)의 제 1 증폭 판정부(26) 및 제 2 진애 검출부(11)의 제 2 증폭 판정부(27)로부터의 검출 결과를 판단 제어부(9)로 송신하는 수단의 예로서, 진애의 검출을 펄스 신호로 변환하고 그 펄스 수를 카운트하는 수단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진애량 검지부(15)는 제 1 진애 검출부(10) 및 제 2 진애 검출부(11)의 검출 신호 각각으로부터, 판단 제어부(9)에 대하여 판단 제어부(9)에서 판단할 수 있는 진애량의 정보를 보내는 것이다. 진애량 검지부(15)는 제 1 진애 검출부(10)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받아 진애량을 카운트하는 제 1 진애 계수부(13) 및 제 2 진애 검출부(11)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받아 진애량을 카운트하는 제 2 진애 계수부(14)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는 LED 등으로 구성된 검출 통지부(20)를 구비하여, 진애의 검출 상황(예컨대, 진애 크기마다의 진애량)을 판단 제어부(9)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는 LED 등으로 구성된 집진량 통지부(21)를 구비한다. 집진량 통지부(21)는 판단 제어부(9)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집진 주머니(5)에 축적된 진애량, 즉 집진량에 따른 표시를 행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는 집진 주머니(5)를 교환한 경우에 판단 제어부(9)가 판단하는 집진량을 리셋 처리(제로로 되돌리는 처리)하기 위해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축적 클리어부인 축적 클리어 입력부(22)를 구비한다. 축적 클리어 입력부(22)로의 입력에 의해 판단 제어부(9)는 집진량을 리셋하여 새롭게 집진량을 판단하기 시작한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는 예컨대 슬라이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 진애 검출 결과에 대한 전력 제어법칙이나 통지 제어법칙의 설정을 사용자가 전환하기 위한 설정 입력부(23)를 구비한다. 설정 입력부(23)로의 설정의 입력에 의해 어떠한 크기의 진애를 어느 정도 검출하였는지에 따른 전동 송풍기(2)로의 전력 공급량 레벨의 제어나 사용자로의 통지 레벨(어느 정도의 진애량으로 통지를 행할지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는, 흡입 기구에 마련되고, 그 종류를 특정하기 위한 흡입 기구 설정부(25), 및 본체(1)에 마련되고, 흡입 기구 설정부(25)에 의해서 어떠한 흡입 기구가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흡입 기구 판단부(2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입 기구 설정부(25)를 소정의 저항으로 구성하고, 흡입 기구 설정부(25)로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저항값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의 차이로부터 흡입 기구 판단부(24)가 접속되어 있는 흡입 기구를 특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기 청소기는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흡입 기구 판단부(24)가 흡입 기구 설정부(25)에 의해서 접속된 흡입 기구를 특정할 수 있으면 되고, 어떠한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흡입 기구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으면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1)의 전원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상용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고 사용자는 조작부(4)를 조작함으로써 운전 개시를 지시한다. 그렇게 하면, 조작부(4)로부터 판단 제어부(9)에 조작 신호가 보내지고, 조작된 내용에 따라 판단 제어부(9)는 소정의 초기 값의 전력(예컨대 300W)으로 운전이 행하여지도록 구동부(8)로 구동 신호를 보낸다. 구동부(8)는 보내어진 신호에 의해서 전동 송풍기(2)로의 통전을 행하여 전동 송풍기(2)는 회전을 시작하여 흡입 기구의 흡입구에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흡인된 진애는 호스(3)를 거쳐 본체(1)내의 집진실(6)의 집진 주머니(5)로 집진된다. 이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애 검출부(7)의 흡인 경로 내를 진애가 통과한다. 발광부(28)와 수광부(29) 사이를 진애가 통과 하는 것에 의해 수광부(29)의 수광량이 변화한다. 이 수광량의 변화량은 진애의 크기에 의존한다. 즉, 진애가 클수록 또한 그 양이 많을수록 수광량이 크게 변화한다.
진애 검출부(7)에서는 진애 감지부(12)에서 검지된 수광부(29)의 수광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 1 진애 검출부(10)와 제 2 진애 검출부(11)로 보내어진다.
제 1 진애 검출부(10)에서는 제 1 증폭 판정부(26)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제 1 증폭률로 증폭하고, 이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제 1 진애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S2).
진애량 검지부(15)에서는 제 1 진애 계수부(13)가 제 1 진애 검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카운트가 증분(+ 1)된다(S4). 제 1 진애 계수부(13)가 제 1 진애 검출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제 1 진애 검출부(10)의 출력 결과에 관계없이 제 2 진애 검출부(11)에서는 제 2 증폭 판정부(27)에 있어서, 수신된 신호를 제 2 증폭률로 증폭하고, 이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제 2 진애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S6).
이 때, 제 2 증폭률을 제 1 증폭률보다 크게 설정해 놓음으로써 비교적 큰 진애의 경우에는 제 1 증폭률로도 진애를 검출할 수 있다고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진애 검출 신호, 제 2 진애 검출 신호가 함께 출력된다. 한편, 작은 진애의 경우에는 제 1 증폭률로의 증폭으로는 판정 레벨(소정의 임계값)에 도달하지 않고, 제 2 증폭률로 증폭한 경우만 진애가 검출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진애 검출 신호만이 출력된다. 이와 같이 증폭률에 차이를 마련하여 놓은 것에 의해 진애의 크기를 분별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진애 감지부(12)의 수발광 부분의 통과 속도가 동일하고, 펄스 폭으로는 충분한 차이를 얻을 수 없는 진애(예컨대 직경이 0.1mm의 진애와 0.03mm의 진애)이더라도, 출력 신호의 차이로서 구별할 수 있다.
진애량 검지부(15)에서는 제 2 진애 계수부(14)가 제 2 진애 검출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카운트가 증분(+ 1)된다(S8). 제 2 진애 계수부(14)가 제 2 진애 검출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진애량 검지부(15)에서는 제 1 진애 계수부(13)가 제 1 진애 검출 신호를 미리 정한 소정 단위 시간 카운트하고, 제 2 진애 계수부(14)가 제 2 진애 검출 신호를 마찬가지로 소정 단위 시간 카운트하여, 각각의 카운트 결과를 판단 제어부(9)로 보낸다(S10). 소정 단위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판단 제어부(9)는 구동부(8)에 대하여 전회의 전력 설정을 채용하도록 제어를 행한다(S34).
판단 제어부(9)는, 우선 제 1 진애 계수부(13)가 진애 검출 신호를 카운트한 결과를 확인하여(S12),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진애량과 오염도의 관계에 근거하여 현재의 오염도를 제 1 오염 판정 레벨로서 판정한다. 현재 상태의 제 1 오염 판정 레벨과 비교하여 오염 판정 레벨의 변경[예컨대 증분(+ 1)]을 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제 1 오염도로 하여 오염도를 변경한다(S14, S16). 만일 제 1 오염 판정 레벨을 비교한 결과, 오염 판정 레벨의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18로 진행한다.
판단 제어부(9)는 제 1 오염도의 값으로부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계에 근거하여 구동부(8)에 대하여 전력을 설정하는 제어를 행한다(S18).
여기서 표 1은 각 진애 계수부의 검지 결과에 의한 진애량에 대응하는 전력설정에 대하여 나타낸 표이며, 제 1 진애 검출 신호 및 제 2 진애 검출 신호 각각으로부터 계수(計數)한 진애량, 오염도의 값 및 그 때의 전력 설정의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표 1은 진애량 검지부에서 검지된 복수 크기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 및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의 대응을 정한 테이블의 일례이다.
[표 1]
각 진애 검출부의 결과에 의한 전력 설정 테이블
제 1 진애 계수 결과 제 2 진애 계수 결과
오염도 진애량 전력 설정예 진애량 전력 설정예
0 0~1 초기값(300W) 0~5 초기값(300W)
1 2~4 +100W 6~12 +80W
2 5~7 +200W 13~25 +150W
3 8~10 +300W 26~40 +200W
4 11~ +450W 41~ +300W
다음으로, 판단 제어부(9)는 제 2 진애 계수부(14)가 진애 검출 신호를 카운트한 결과를 확인하여(S20),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진애량과 오염도의 관계에 근거하여 현재의 오염도를 제 2 오염 판정 레벨로서 판정한다. 현재 상태의 제 2 오염 판정 레벨과의 비교를 행하여 오염 판정 레벨의 변경[예컨대 증분(+ 1)]을 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제 2 오염도로 하여 오염도를 변경한다(S22, S24). 만일 제 2 오염 판정 레벨을 비교한 결과, 오염 판정 레벨의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판단 제어부(9)는 제 2 오염도의 값으로부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관계에 근거하여 구동부(8)에 대하여 전력을 설정하는 제어를 행한다(S2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청소기에서의 판단 제어부(9)는 제 1 오염도 및 제 2 오염도 각각을 개별적으로 우선 판단하고,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각의 카운트된 진애량에 대응하는 전력 설정을 일단 설정한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애량에 대한 전력 설정은 제 2 진애 계수부(14)에 의해서 카운트되는 진애가 제 1 진애 계수부(13)에 의해서 카운트되는 진애보다 작고, 또한 그 수가 많아지게 되는 것으로부터 제 2 진애 계수 결과로부터 구해지는 진애량의 오염도 판정시의 임계 범위의 절대값을 제 1 진애 계수 결과로부터 구해지는 진애량의 경우보다 크게 하고 있다. 또한, 제 2 진애 계수부(14)에 의해 카운트되는 진애를 흡인하는 전력쪽이 제 1 진애 계수부(13)에 의해 카운트되는 진애를 흡인하기 위한 전력보다 적게 들기 때문에, 제 2 진애 계수 결과에 대한 오염도에 대응하는 전력 설정값을 제 1 진애 계수 결과에 대한 오염도에 대응하는 전력 설정값보다 작게 하고 있다.
그리고 판단 제어부(9)는 제 1 진애 계수부(13) 및 제 2 진애 계수부(14)의 계수 결과 각각에 근거한 전력 설정으로부터 보다 큰 쪽의 전력값을 전동 송풍기(2)로의 전력 공급량으로서 결정하여 구동부(8)로 제어 신호를 보낸다(S28, S30, S32). 구동부(8)는 그 신호에 따라 전동 송풍기(2)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보다 확실하게 진애를 흡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에 의하면, 진애량과 크기에 따른 전동 송풍기(2)의 운전이 가능해져, 에너지 효율도 좋고 사용성이 높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이들의 산출된 오염도에 대하여 검출 통지부(20)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진애의 검출 상황(진애량이나 오염도)을 통지하면, 오염도, 즉 청소 상황에 따른 청소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작은 진애와 보다 큰 진애를 구별하여 오염도를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진애와 큰 진애를 구별하여 오염도를 표시하면, 진애의 분포 등도 알 수 있고 오염이 쌓이는 정도 등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율적인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물론, 검출 통지부(20)가 통지를 행하는 수단으로는 표시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등에 의한 통지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제 1 진애 계수부(13)에서 카운트할 수 있는 진애는 제 2 진애 계수부(14)에서도 동시에 카운트되는(동시에 출력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통상은 이것을 고려하여 표 1에 나타낸 관계를 설정하지만, 회로 구성을 다르게 한 것에 의해 제 1 진애 검출 신호와 제 2 진애 검출 신호의 출력이 배타적으로 되도록 즉, 어느 한쪽밖에 출력되지 않도록 하여 통신 회로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에 의해 비용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진애량 검지부(15)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제 1 진애 계수 결과를 제 2 진애 계수 결과에 가산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갖게 함으로써 회로 구성에 좌우되는 일 없이 제어를 정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청소기(50)에 복수의 제어법칙(전압 제어법칙, 통지 제어법칙)을 준비해 두고, 조작부(4), 또는 별도, 예컨대 청소기 본체(1)의 상부 등에 설정 입력부(23)를 슬라이드 스위치 등으로 마련해 두어, 피청소면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에게 입력을 하도록 하여 실행하고 싶은 운전을 선택하게 하여도 좋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움직임이 활발한 환경, 취침 때만 사용하는 환경, 또는, 특별한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경우 등의 환경의 차이에 따라 그 진애의 크기나 양에 대한 전력 제어법칙이나 통지 제어법칙의 최적 설정은 다르다. 예컨대, 취침 때만 전기 청소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큰 진애의 발생 빈도는 적고, 보다 청결함이 요구되며, 사람의 움직임이 활발한 환경이나 특별한 청소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구태여 말하자면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은 진애의 흡인이 주된 목적이 된다고 생각된다. 사용자가 이와 같은 사용 환경 혹은 용도에 따라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 입력부(23)를 가짐으로써, 보다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에서는 예컨대 이부자리 청소용, 문틈용, 의복용의 개별의 흡입 기구마다 흡입 기구 설정부(25)로서 각각 다른 저항을 배치해 두고, 호스(3) 등을 거쳐서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그 때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흡입 기구 판단부(24)에 의해 구별 판단하여 제어를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의복용 흡입 기구는 진애량으로서는 민감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설정함과 동시에, 의복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또한 조작할 때 흡착이 과하지 않도록 전력 공급량을 조금 작게 억제하면 좋다. 또한, 이부자리 청소용이나 문틈용의 흡입 기구는 전력 공급량도 조금 크게 해 두어, 충분한 흡인 능력을 갖게 하도록 하는 등 자동적으로 전력 제어법칙이나 통지 제어법칙을 전환함으로써 보다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다목적인 흡입 기구를 고려한 경우에 그 흡입 기구의 사용 형태의 변화에 연동하여 제어가 전환되도록, 흡입 기구 설정부(25)의 설정(예컨대 합성 저항값)을 사용 형태의 변화에 연동하여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면, 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50)에서는 판단 제어부(9)가 제 1 진애 계수부(13) 및 제 2 진애 계수부(14) 각각의 계수 결과로부터 집진 주머니(5)에서 집진되는 축적량을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 제어부(9)는 그 크기를 고려하여 집진량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 정밀도 좋게, 진애의 축적량을 판단하여 그 집진량을 집진량 통지부(21)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집진 주머니(5)를 교환하는 등과 같은 경우에는 축적 클리어 입력부(22)로부터 신호를 판단 제어부(9)로 보내고, 그 축적량의 리셋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축적 클리어 입력부(22)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로 구성한 입력부이어도 좋지만, 집진 주머니(5)의 교환을 집진실(6)내에 스위치나 센서 등을 마련하여 검지함으로써, 판단 제어부(9)가 자동적으로 리셋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60)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며, 도 7은 상기 전기 청소기(60)의 진애 검출 신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진애 검출부(40)의 제 1 증폭 판정부(32) 및 제 2 진애 검출부(41)의 제 2 증폭 판정부(33) 각각을 트랜지스터와 제너 다이오드 혹은 저항 등으로 구성하여,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용 전압을 복수의 전압 레벨로 변화시켜 진애량 검지부(30)로 검출 신호로서 보낸다.
진애량 검지부(30)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펄스 신호의 카운트 처리에 의해 진애량의 검지를 행하는 대신에, 제 1 전압 판정부(16)와 제 2 전압 판정부(17)를 갖고, 어느 쪽의 전압 레벨의 신호가 보내져 왔는 지에 따라 복수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의 검지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60)의 동작으로서는 제 1 진애 검출부(40)가 진애를 검출한 경우의 출력 전압과, 제 2 진애 검출부(41)가 진애를 검출한 경우의 출력 전압을 미리 정하여 놓는다. 그리고 제 1 진애 검출부(40)는 제 1 증폭 판정부(32)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를 제 1 증폭률로 증폭하여, 이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제 1 전압 레벨의 신호로서 출력한다(S40).
진애량 검지부(30)에서는 제 1 전압 판정부(16)가 제 1 전압 레벨의 신호를 수신한다(S42). 제 1 전압 판정부(16)가 제 1 전압 레벨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44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제 1 전압 판정부(16)의 출력 결과에 관계없이, 제 2 진애 검출부(41)에서는 제 2 증폭 판정부(33)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를 제 2 증폭률로 증폭하여 이 결과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으면, 제 2 전압 레벨의 신호로서 출력한다(S44).
제 1 증폭률과 제 2 증폭률의 관계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진애량 검지부(30)에서는 제 2 전압 판정부(17)가 제 2 전압 레벨의 신호를 수신한다(S46). 제 2 전압 판정부(17)가 제 2 전압 레벨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때에는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진애량 검지부(30)에서는 제 1 전압 판정부(16)가 제 1 전압 레벨의 신호의 입력을 미리 정한 소정의 단위 시간을 카운트하고, 제 2 전압 판정부(17)가 제 2 전압 레벨의 신호의 입력을 마찬가지로 소정의 단위 시간을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결과를 판단 제어부(9)로 보낸다(S10, S48, S50).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애량 검지부(30)내의 제 1 전압 판정부(16)와 제 2 전압 판정부(17)가 개별적으로 판단을 행하고, 그 검출 결과를 판단 제어부(9)로 전달한다. 이 때, 큰 진애가 검출된 경우에는 작은 진애도 검출된 것으로 하여 판단 제어부(9)에 처리시켜도 좋고, 결과의 전압 출력을 시분할하여 타이밍을 나누어 제 1 전압 판정부(16)의 판정과 제 2 전압 판정부(17)의 판정을 개별적으로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본 실시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의 전기 청소기(7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이며, 도 9는 상기 전기 청소기(70)의 진애 검출 신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제 1 진애 검출부(40)로부터의 출력과 제 2 진애 검출부(41)로부터의 출력을, 진애 신호 중첩부(18)에 있어서 미리 정한 통신법칙에 의해 중첩하고, 진애량 검지부(31) 중에 진애 신호 분리부(19)를 마련하고, 진애 신호 분리부(19)에 있어서, 중첩 시의 처리에 근거하여 재차 어느 한쪽 혹은 양쪽으로부터 검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이 예의 동작으로서는, 진애 신호 중첩부(18)가 예컨대 출력 결과를 기준의 타이밍으로부터 시분할 혹은 주파수대를 나누고, 중첩한 신호 펄스로서 송신하여, 진애량 검지부(31)의 진애 신호 분리부(19)는 이것을 수신하여 재차 각각의 출력 결과를 판단하여, 판단 제어부(9)로 전달한다(S60). 이 구성의 경우는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등 더욱 정보량을 늘려서 제어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후의 제어 흐름은 도 7에 나타낸 흐름과 공통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흡입 기구 설정부(25)와 흡입 기구 판단부(24)의 구성도, 그 접속된 흡입 기구를 특정할 수 있으면 그 방법은 묻지 않기 때문에, 진애 신호 중첩부(18)와 진애 신호 분리부(19) 사이의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이나 적외선 등의 통신 방법을 사용한 경우에는, 진애를 검출한 신호와 흡입 기구를 특정하는 신호를 중첩하여 보냄으로써 효율적인 처리를 행할 수 있고, 흡입 기구의 검출 통지나, 진애량의 통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진애 검출부(15, 30, 31)를 두 종류의 진애 각각의 진애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 목적이나 주파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보다 진애의 크기의 구분을 늘리거나, 검출 정밀도 향상의 목적으로 보다 다수의 진애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기본적인 동작의 흐름은 변하지 않지만, 전력 제어법칙이나 통지 제어법칙을 진애 검출 신호로 구별하는 수에 맞춰 준비하고, 또한 이들을 통합 판단하는 제어법칙을 준비하여 전동 송풍기(2)의 전력 제어나 검출 통지부(20)의 통지 제어를 행하면 좋다. 예컨대, 가장 많이 반응한 진애의 진애량에 대응하는 제어 설정을 이용하거나, 검출된 진애량에 대응하는 전압 설정 중 가장 전압 설정이 강한 제어설정을 이용하거나 하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애의 크기에 대하여 특성을 맞춘 복수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를 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도 좋게 전력 제어를 행할 수 있어, 사용성이 좋은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 크기의 진애에 대한 제어를 보다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각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 가정 등에서 청소에 사용되는 전기 청소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16)

  1. 전동 송풍기와,
    상기 전동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판단 제어부와,
    상기 전동 송풍기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서 흡인된 진애가 통과하는 흡인 경로 내의 소정 크기의 진애를 검출하는 제 1 진애 검출부와,
    상기 흡인 경로 내의 상기 소정 크기의 진애보다 작은 진애를 검출하는 제 2 진애 검출부와,
    복수 크기의 진애(塵埃)에 대하여,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진애량 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진애량 검지부에서 검지된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애 검출부와 제 2 진애 검출부는 흡인 경로 내의 진애를 검지하는 진애 감지부를 공유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진애 검출부를 구성하는 제 1 증폭 판정부와 상기 제 2 진애 검출부를 구성하는 제 2 증폭 판정부에는 동시에 상기 진애 감지부의 출력이 입력되는
    전기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애량 검지부는, 상기 제 1 진애 검출부 및 상기 제 2 진애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진애량 검지부에서 검지된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 및 상기 진애량 및 상기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의 대응을 정한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에 의해 정해지는 전력 공급량을 비교하여, 보다 큰 전력 공급량을 상기 전동 송풍기로의 전력 공급량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애 검출부의 제 1 증폭 판정부는, 상기 진애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 1 증폭률로 증폭하고,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소정 크기의 진애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제 2 진애 검출부의 제 2 증폭 판정부는, 상기 진애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 2 증폭률로 증폭하고,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소정 크기의 진애보다 작은 진애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하며,
    상기 제 2 증폭률이 상기 제 1 증폭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애량 검지부는 상기 제 1 진애 검출부 및 상기 제 2 진애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계수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애 검출부 및 상기 제 2 진애 검출부는 진애를 검출한 경우에 서로 다른 출력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진애량 검지부는 상기 제 1 진애 검출부 및 상기 제 2 진애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애 검출부 및 상기 제 2 진애 검출부의 출력을 중첩하는 진애 신호 중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애량 검지부에는, 상기 진애 신호 중첩부에서 중첩된 신호를 분리하는 진애 신호 분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에 근거하여, 진애의 크기를 고려하여 축적된 집진량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제어부에서 판단된 집진량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집진량 통지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량의 값을 리셋(reset)하는 축적 클리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클리어부는 집진 주머니의 교환에 따라 상기 집진량의 값을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애량 검지부에서 검지된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검출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복수 크기의 진애의 각각의 진애량에 근거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의 전력 제어법칙 및 상기 검출 통지부의 통지 제어법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법칙 및 상기 통지 제어법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입력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접속된 흡입 기구의 종류를 판단하는 흡입 기구 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 제어부는 상기 전동 송풍기의 전력 제어법칙 및 상기 검출 통지부의 통지 제어법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흡입 기구의 종류에 의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기구 판단부는, 상기 흡입 기구에 배치된, 종류마다 다른 저항에 대하여 소정의 전류를 흘리고, 그 결과 발생하는 전위차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흡입 기구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KR1020087009867A 2005-10-25 2006-10-19 전기 청소기 KR101019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9370 2005-10-25
JP2005309370A JP4321511B2 (ja) 2005-10-25 2005-10-25 電気掃除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428A KR20080058428A (ko) 2008-06-25
KR101019789B1 true KR101019789B1 (ko) 2011-03-04

Family

ID=3796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9867A KR101019789B1 (ko) 2005-10-25 2006-10-19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119867A1 (ko)
EP (1) EP1941822B1 (ko)
JP (1) JP4321511B2 (ko)
KR (1) KR101019789B1 (ko)
CN (1) CN101296643B (ko)
WO (1) WO2007049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9700B2 (en) 2009-11-04 2013-10-08 Lg Electronics Inc. Visualization device for dust collection of vacuum cleaner
TWI403300B (zh) * 2009-11-16 2013-08-01 Ind Tech Res Inst 清潔裝置之控制方法
JP5531839B2 (ja) * 2010-07-21 2014-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02462451B (zh) * 2010-11-10 2015-04-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吸尘器及其操作方法
JP2013128670A (ja) * 2011-12-21 2013-07-04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JP6081060B2 (ja) * 2012-01-17 2017-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ボット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2599855B (zh) * 2012-03-30 2014-08-27 东莞市万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保洁设备吸尘功率自动转换装置
US9155439B2 (en) 2013-01-16 2015-10-13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of utilizing wireless switches to control a vacuum cleaner
PL3282913T3 (pl) * 2015-04-17 2019-03-29 Koninklijke Philips N.V. Przetwarzanie pyłu
CN104983367A (zh) * 2015-07-31 2015-10-21 苏州路之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红外采样吸尘器控制器
CA2971068A1 (en) * 2016-06-30 2017-12-30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CN108283460B (zh) * 2017-01-09 2021-04-09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一种吸尘装置
WO2019143762A1 (en) * 2018-01-19 2019-07-25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Object detection system for a vacuum
CN109044195A (zh) * 2018-09-04 2018-12-21 深圳市东陆科技有限公司 一种灰尘量指示控制电路及吸尘器
CN112107253A (zh) * 2019-06-21 2020-12-2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及吸尘器
KR102306753B1 (ko) * 2019-07-19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제어 방법
KR20210099470A (ko) * 2020-02-04 2021-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357U (ko) * 1984-11-21 1986-06-14
EP0397205B1 (en) * 1989-05-11 1994-07-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acuum cleaner
JPH0751203A (ja) * 1993-08-11 1995-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128912A (ja) * 1999-11-02 2001-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1602A1 (de) 1980-10-31 1982-06-16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619 Bergkamen Neue 5-cyan-prostacyclinderiv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arzneimittel
JPH02180236A (ja) * 1988-12-29 1990-07-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制御装置
JPH0728847B2 (ja) 1989-05-11 1995-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の表示装置
KR930005714B1 (ko) * 1991-06-25 1993-06-24 주식회사 금성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력 제어방법 및 장치
KR930003937Y1 (ko) * 1991-08-14 1993-06-25 주식회사 금성사 진공청소기의 오물흡입감지장치
CN2186039Y (zh) * 1993-12-07 1994-12-28 苏州春花吸尘器总厂 模糊控制吸尘器
DE4425291A1 (de) * 1994-05-10 1995-11-16 Heinrich Dr Ing Iglseder Verfahren zum Nachweis von Partikeln in einer 2-Phasen-Strömung, Staubsauger sowie Verfahren zum Steuern oder Regeln eines Staubsaugers
US5507067A (en) * 1994-05-12 1996-04-16 Newtronics Pty Ltd. Electronic vacuum cleaner control system
US5815884A (en) * 1996-11-27 1998-10-06 Yashima Electric Co., Ltd. Dust indication system for vacuum cleaner
JP2001157655A (ja) * 1999-12-02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6956348B2 (en) * 2004-01-28 2005-10-18 Irobot Corporation Debris sensor for cleaning apparatus
JP2003169770A (ja) * 2001-12-05 2003-06-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4290342A (ja) * 2003-03-26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20070136979A1 (en) * 2005-12-21 2007-06-21 The Scott Fetzer Company Vacuum cleaner with electronic controll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357U (ko) * 1984-11-21 1986-06-14
EP0397205B1 (en) * 1989-05-11 1994-07-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acuum cleaner
JPH0751203A (ja) * 1993-08-11 1995-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1128912A (ja) * 1999-11-02 2001-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1822A4 (en) 2010-05-05
EP1941822B1 (en) 2012-09-05
US20090119867A1 (en) 2009-05-14
CN101296643A (zh) 2008-10-29
CN101296643B (zh) 2011-05-04
KR20080058428A (ko) 2008-06-25
WO2007049497A1 (ja) 2007-05-03
JP4321511B2 (ja) 2009-08-26
JP2007117143A (ja) 2007-05-17
EP1941822A1 (en)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789B1 (ko) 전기 청소기
JP2007117143A5 (ko)
JP4654794B2 (ja) 電気掃除機
US8549701B2 (en) Electric cleaner
JP4315146B2 (ja) 電気掃除機
JP2007185414A (ja) 電気掃除機
JP2007185414A5 (ko)
JP4736608B2 (ja) 報知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11188916A (ja) 電気掃除機
JP2008220567A (ja) 電気掃除機
JP2007244453A (ja) 電気掃除機
JP4655916B2 (ja) 電気掃除機
JP5034574B2 (ja) 電気掃除機
JPH0728847B2 (ja) 電気掃除機の電力制御装置およびその表示装置
JP5040415B2 (ja) 電気掃除機
JPH05137680A (ja) 掃除機
JP2625941B2 (ja) 掃除機
JP4702087B2 (ja) 電気掃除機用塵埃検知装置と電気掃除機
US11882986B2 (en) Floor types identifying device, dust suction device having the sam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EP1343406B1 (en) A control method for a vacuum cleaner
JP3306637B2 (ja) 電気掃除機
JP2008000390A (ja) 電気掃除機
JPH0576470A (ja) 電気掃除機
JP2003169770A (ja) 電気掃除機
JPH0526104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