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119B1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119B1
KR101019119B1 KR1020080079387A KR20080079387A KR101019119B1 KR 101019119 B1 KR101019119 B1 KR 101019119B1 KR 1020080079387 A KR1020080079387 A KR 1020080079387A KR 20080079387 A KR20080079387 A KR 20080079387A KR 101019119 B1 KR101019119 B1 KR 101019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 frame
lifting
angle adjus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3114A (ko
Inventor
류이치 타카노
Original Assignee
류이치 타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이치 타카노 filed Critical 류이치 타카노
Publication of KR2009002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조작이 용이하여 블라인드의 이용 범위의 확대를 도모한다.
전후가 유리판(3)에 의해 끼인 지지틀(2) 내에 블라인드 본체(5)를 배치하고, 전측의 유리판을 사이에 두고 승강 기구(6)를 조작하기 위한 승강 제동체(8) 및 승강 조작체(9)를 배치하고, 각도 조정 기구(7)를 조작하기 위한 각도 조정 제동체(18)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를 구비하며, 지지틀(2) 내를 상하로 동작하는 승강 제동체(8)에는 마그넷(43)을 설치하고, 유리판(3)의 전면을 상하로 동작하는 승강 조작체(9)에는 마그넷을 설치하고, 승강 제동체와 승강 조작체는 서로 자기력에 의해 서로 흡인하고 있으며, 승강 기구(6)에는 블레이드(5a)를 승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을 설치하고, 각도 조정 기구(7)에는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각도 조정끈(26, 27)을 설치하여, 각도 조정 제동체(18)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의 상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끈 및 각도 조정끈을 제어할 수 있다.
유리판, 지지틀, 블라인드 본체, 승강 기구, 승강 제동체, 승강 조작체, 각도 조정 기구, 각도 조정 제동체, 각도 조정 조작체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본 발명은 실외의 광인 외부광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외부광을 실내로 들여보내거나 실내를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리개 등에 사용되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 7-30558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 8-303155호 공보에 기재된 블라인드(이하, "종래예 1" 및 "종래예 2"라고 함.)는 방의 창측에 설치하여 태양광을 방 안으로 들여보내거나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예 1은 수평하게 설치된 상부 부착틀과 하부 지지판 사이에 여러 장의 블라인드 날개가 부착되어 있다. 종래예 1은 승강 로프 및 각도 조정끈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 로프는 블라인드 날개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도 조정끈은 상부 부착틀로부터 블라인드 날개의 폭방향의 양측에 설치되며, 블라인드 날개의 상하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각도 조정끈은 블라인드 날개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수단이다. 상기 승강 로프 및 각도 조정끈의 일단측은 상부 부착틀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를 지나 하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블라인드 날개는 승강 로프 의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블라인드 날개의 각도는 각도 조정끈을 조작함으로써 조정된다.
종래예 2는 상부 횡간으로부터 적당한 간격으로 매단 승강끈을 복수 개의 날개의 삽입관통구멍에 통과시키고 있다. 승강끈의 하단부는 하부 횡간에 고정되어 있고, 승강끈의 상부측은 상부 횡간의 일단측에 설치한 끈 고정 기구에 도달해 있다. 끈 고정 기구에 도달해 있는 승강끈은 날개 전면 우측에 아래로 매달아져 있다. 또한 날개의 좌우 전후의 위치에는 날개의 각도 조정을 하기 위한 조작끈이 배치되어 있다. 날개는 승강끈을 조작함으로써 개폐된다. 또한 날개의 각도는 조작끈을 조작함으로써 조정된다.
종래예 1에 있어서, 승강 로프 및 각도 조정끈의 일단측은 상부 부착틀에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를 지나 하방으로 인출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예 1의 구조는, 상기 상부 부착틀에 승강 로프 및 각도 조정끈을 외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를 뚫을 필요가 있다. 더욱이 종래예 1에 있어서, 승강 로프 및 각도 조정끈은 블라인드의 외측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예 1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즉,
승강 로프 및 각도 조정끈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블라인드가 볼품이 없고, 블라인드를 예컨대 실내의 도어 내에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블라인드의 이용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개량할 필요가 있다.
승강 로프 및 각도 조정끈의 조작시에 승강 로프 및 각도 조정끈이 블라인드의 주변에 있는 물건에 부딪칠 수 있어 조작을 하기 어려울 수가 있다.
종래예 2에 있어서도, 끈 고정 기구에 도달해 있는 승강끈은 날개 전면 우측에 아래로 매달아져 있으며, 날개의 각도 조정을 위한 조작끈이 날개의 좌우 전후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예 1과 동일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이 용이하여 블라인드의 이용 범위의 확대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지지틀, 이 지지틀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블라인드 본체,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 기구, 상기 블레이드의 각도 조정 기구, 상기 승강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 상기 각도 조정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각도 조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틀은 본체가 좌우의 세로틀과 상하의 가로틀을 조합한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정면 및 후면의 양측으로부터 투명판에 의해 끼인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블레이드를 승강하기 위한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과,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와,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각도 조 정 동력 전달 롤러,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각도 조정 제동 롤러와, 상기 각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과, 각도 조정 제동끈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강 제동체에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틀 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 상하 방향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승강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 조작체에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투명판 중 일측의 투명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승강 제동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승강 제동체와 서로 자기력에 의해 서로 흡인하여 일체의 관계에 있으며, 상기 일측의 투명판의 외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에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틀 안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 상하 방향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도 조정 조작체에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투명판 중 일측의 투명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와 서로 자기력에 의해 서로 흡인하여 일체의 관계에 있으며, 상기 일측의 투명판의 외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승강끈은 상기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로부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상기 승강 제동체에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2 승강끈은 상기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로부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상기 승강 제동체에 유도되어 있다. 상기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은 모두 쌍을 이루는 끈부로 이루어지며, 양 끈부는 상기 각 블레이드의 폭방향의 양측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에 각각 감겨져 있다.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은 상기 각도 조정 제동 롤러에 감겨지고, 각도 조정 제동 롤러를 거쳐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에 유도되어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자기력에 의해 일체 관계에 있는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와 각도 조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본체의 개폐 조작이나 각도 조정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이들 조작이 용이하고, 블라인드 본체를 도어 내 등에도 조립해 넣을 수 있어 그 적용 범위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와, 각도 조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를 동일한 측(도 1 및 도 9에서는 우측)에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와 각도 조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를 양측(도 28 및 도 33에서는 좌우 양측)에 배치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설치 장소에 따라, 승강 제동 체 및 승강 조작체와 각도 조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의 각각의 위치를 동일한 측(도 1 및 도 9에서는 우측)으로 또는 반대측(도 28 및 도 33에서는 좌우 양측)으로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안내 구멍)은 제1 및 제2 승강끈이 지나는 가이드 통로(안내 통로)와 각도 조정 제동끈이 지나는 가이드 통로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승강끈과 각도 조정 제동끈의 움직이이 원활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안내 구멍)은, 제1 및 제2 승강끈이 지나는 제1 및 제2 가이드 통로와 각도 조정 제동끈의 끈부가 지나는 제3 및 제4 가이드 통로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승강끈과 각도 조정 제동끈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 제2 및 제3 롤러틀의 측부에 관통구멍을 설치하고, 제1, 제2, 제3 및 제4 롤러틀의 바닥부에 가이드 구멍을 설치하고, 관통구멍 및 가이드 구멍이 끈의 안내 수단이 되므로 제1 및 제2 승강끈과 각도 조정 제동끈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설치 장소에 따라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의 배치 위치를 각도 조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와 동일한 측에서 반대측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설치 장소에 따라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의 배치 위치를 각도 조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와 동일한 측에서 반대측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안내 구멍)은 제1 및 제2 승강끈이 통과 가능한 가이드 통로와 각도 조정 제동끈이 통과 가능한 가이드 통로로 구획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승강끈과 각도 조정 제동끈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유지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제1 승강끈, 제2 승강끈 및 각도 조정 제동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탄성체와 유지체를 설치함으로써 끈에 가해지는 부하를 완충하므로, 끈의 파단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블라인드의 내구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내부의 진공화를 실현할 수 있고, 진공화가 결로 방지에 유효하며, 또한 블라인드를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 등에 사용한 경우라 하더라도 압력 조정용 봉재에 의해 지지틀의 내부의 압력은 자동으로 조정되고, 따라서 압력 변화에 자유로이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의 주행이 원활해지므로 조작이 용이해지고,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가 투명판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훨씬 조작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승강 조작체를 본체 홀더와 본체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함으로써 부분적인 디자인의 변경이나 손상에 대한 조치가 용이해진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각도 조정 조작체를 본체 홀더와 본체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함으로써 부분적인 디자인의 변경이나 손상에 대한 조치가 용이해진다.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승강 제동체를 본체 홀더와 본체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함으로써 부분적인 디자인의 변경이나 손상에 대한 조치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 형태를 도 1∼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5에 있어서, 블라인드(1)는 지지틀(2), 이 지지틀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어 있는 투명판인 유리판(3), 양 유리판 사이에 있어서 지지틀(2)의 외주를 피복하는 탄성 걸림 부재(4), 지지틀(2)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5a)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 본체(5), 각 블레이드를 승강하기 위한 승강 기구(6), 각 블레이드(5a)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정 기구(7), 승강 기구(6)를 조작하기 위한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 및 승강 조작체(9), 각도 조정 기구(7)를 조작하기 위한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 탄성체(20, 51)를 구비하고 있다.
도 4∼도 7에 있어서, 지지틀(2)의 본체는 도 6 좌우의 세로틀(2a, 2b)과 상 하의 가로틀(2c, 2d)을 조합한 사각형상의 프레임이다. 세로틀(2a, 2b) 및 가로틀(2c, 2d)은 모두 통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세로틀(2a, 2b) 중 일측(도 4 우방)의 세로틀(2b)은 내측면(타측의 세로틀(2a)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상하 방향으로 긴 홈 형태의 주행 레일(2b1)(도 7)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레일(2b1)의 양측에는 상승부(2b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측의 세로틀(2b)의 내측에는 홈형의 측커버(10)가 부착되어 있다. 측커버(10)의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도 4).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의 가로틀(2c)의 내측에도 L형 커버부(11a, 11b)를 조합한 홈형의 상부 커버(11)가 부착되어 있다. 상부 커버(11)의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L형 커버부(11a, 11b)에 있어서, 수평부(11a1, 11b1)에는 내방으로부터 외방을 향하여 U자형으로 잘려들어간 걸림구멍(11a11, 11a12, 11a13) 및 걸림구멍(11b11, 11b12, 11b13)이 길이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도면의 좌측)의 L형 커버부(11a)의 수평부(11a1) 상 타측의 L형 커버부(11b)의 수평부(11b1)가 포개져 있다. 포개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걸림구멍(11a11)과 걸림구멍(11b11), 걸림구멍(11a12)과 걸림구멍(11b12) 및 걸림구멍(11a13)과 걸림구멍(11b13)은 모두 긴구멍 형태의 유지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도 4∼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한 각 유리판(3)은 지지틀(2)을 덮을 수 있을 만큼 큰 사각형상의 유리재이며, 지지틀(2)을 그 양측으로부터 끼우고 있다. 양 유리판(3) 사이에 있어서 지지틀(2)의 외주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폭(w)의 공간(12)(도 4 및 도 5)이 마련되어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걸림 부재(4)는 공간(12) 내에 빈틈 없이 충전되어 있고, 지지틀(2)(세로틀(2a, 2b) 및 가로틀(2c, 2d))의 외주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틀(2) 안은 밀폐 상태로 되어 있다. 탄성 걸림 부재(4)에는 고무 등의 부재가 사용되고 있으며, 양 유리판(3)의 대향하는 내면에 밀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걸림 부재(4)에 압력 조정용 봉재(21)가 관통되어 있다. 압력 조정용 봉재(21)는 탄성 걸림 부재(4)의 외측으로부터 지지틀(2) 내에 이르고 있다. 탄성 걸림 부재(4)는 지지틀(2)의 외측의 압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한다. 이 탄성 변형을 통하여 압력 조정용 봉재(21)의 외주면과 이 외주면에 접촉해 있는 탄성 걸림 부재의 접촉면 사이가 밀착 상태로 되거나 밀착 상태가 해제된다. 해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압력 조정용 봉재(21)의 외주면과 탄성 걸림 부재(4) 사이에 매우 약간의 간극이 뚫리게 되고, 이 결과, 지지틀(2)의 내부와 지지틀의 외부 사이가 통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블라인드 본체(5)에 있어서, 복수 개의 블레이드(5a)가 수평하게 소정 피치를 두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최하부에 블레이드판(5b)이 설치되어 있다. 각 블레이드(5a)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승강용 구멍(5a1, 5a2)이 뚫려 있다. 각 블레이드(5a)는 직사각형상의 긴 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폭방향(도 10의 좌우 방향)의 단면 형상이 상방으로 부풀어오른 완만한 원호를 형성하고 있다.
먼저, 블레이드(5a)를 승강하기 위한 승강 기구(6)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이어서 이 승강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나아가 승강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 및 승강 조작체(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블레이드(5a)의 승강 기구(6)는 복수 개의 승강끈(도시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은 일단부(13a, 14a) 측에서 블라인드 본체(5)의 각 블레이드(5a)를 관통하여 최하부를 아래로 매달아 유지하고 있다. 각 블레이드(5a)는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의 상하 방향의 동작에 의해 승강한다.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은 블라인드 본체(5)의 상측에서 제1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 16)에 감겨지고, 외측(도 9 우측)에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를 거쳐 각각 하방을 향하여 뻗으며, 더욱이 타단부측에서 승강 제동체(8)의 하방에 위치해 있는 유지 롤러(33)에 감겨지고, 상방을 향하여 뻗어 타단부(13b, 14b)가 승강 제동체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승강 제동체(8)와 승강 조작체(9)는 모두 자기적 흡인 부재인 마그넷(43, 44)을 장착하고 있다(도 20). 승강 조작체(9)는 승강 제동체(8)에 대향하면서 접근해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승강 제동체(8)와 승강 조작체(9)는 대향해 있는 마그넷(43, 44)의 자기력에 의해 서로 흡인하여 일체의 관계에 있다.
승강 제동체(8)는 승강 조작체(9)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승강 조작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승강 제동체(8)가 예컨대 도 9 상방으로 이동하면, 유지 롤러(33)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승강 끈(13, 14)은 상방으로 인장되고나서, 블라인드 본체(5)의 각 블레이드(5a)가 상승하고, 블라인드가 개방된다.
반대로, 승강 제동체(8)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은 하방으로 끌어당겨져서 복귀되고나서 블라인드 본체(5)의 각 블레이드(5a)가 하강하여 블라인드가 폐쇄된다.
블레이드(5a)의 승강 기구(6)의 구체적인 구성을 주로 도 10∼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승강 기구(6)는,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승강끈(13, 14), 내측의 복수 개의 롤러틀(도 12에서는 제1 및 제2 롤러틀(30, 31)), 외측의 복수 또는 단일의 외측의 롤러틀(도 12에서는 제3 롤러틀(32)), 내측의 복수 개의 승강 동력 전달 롤러(도 12에서는 제1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 16)), 외측의 복수 또는 단일의 승강 동력 전달 롤러(도 12에서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 유지 롤러(33)(도 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은 맨 위에 위치해 있는 블레이드(5a)로부터 최하단에 위치하는 블레이드판(5b)(도 1)까지를 승강용 구멍(5a1, 5a2)을 통하여 관통하고, 각각의 끈 하단이 블레이드판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은 제1, 제2 및 제3 롤러틀(30, 31, 32)의 제1,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 16) 및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를 거쳐 승강 제동체(8)의 유지 롤러(33)에 감겨져 있다(도 13, 도 16).
도 10∼도 15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은 모두 동일한 구성이 다.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은 플라스틱 부재에 의해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베어링(30a, 31a)이 기립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의 베어링(30a, 31a)에는 상방에 U자형의 받침홈이, 하방의 양측에 쌍을 이루는 세로로 긴 관통구멍(30a1, 30a2, 30a3, 30a4) 및 관통구멍(31a1, 31a2, 31a3, 31a4)(도 13)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의 내측의 바닥부에는 제1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 16)가 부착되어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의 바닥부에는 가이드 구멍인 가이드통(30b, 31b)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통(30b, 31b)은 플랜지부를 가지며, 또한 외주에는 걸어맞춤홈(30c, 31c)이 설치되어 있다(도 12).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의 가이드통(30b, 31b)은, 도 12∼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을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구멍의 기능을 하고 있다.
제3 롤러틀(32)은 가이드통의 구조를 제외하고 제1 및 제2 롤러틀(30, 31)과 동일 구조이므로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가이드통(32b)의 부착 위치는 제3 롤러틀(32)에 대하여 도 12 우측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통(32b)의 내부에는 십자형의 칸막이(32d)에 의해 4개의 가이드 통로(32e1, 32e2, 32e3, 32e4)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및 도 14). 제1 및 제2 가이드 통로(32e1, 32e2)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 근방에 배치되고, 제3 및 제4 가이드 통로(32e3, 32e4)는 그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3 롤러틀(32)은 그 내측의 바닥부에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가 부 착되어 있다. 베어링(32a), 받침홈 및 관통구멍(32a1, 32a2, 32a3, 32a4)은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의 베어링(30a, 31a), 받침홈 및 관통구멍(30a1∼30a4, 31a1∼31a4)에 대응해 있다.
제3 롤러틀(32)의 가이드통(32b)은, 도 12∼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을 하측의 승강 제동체(8)(도 16)로 유도하기 위한 구멍의 기능을 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틀의 관통구멍(30a1, 30a4), 제2 롤러틀의 관통구멍(31a1, 31a4) 및 제3 롤러틀의 관통구멍(32a1, 32a4)은 모두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롤러틀의 관통구멍(30a2, 30a3), 제2 롤러틀의 관통구멍(31a2, 31a3) 및 제3 롤러틀의 관통구멍(32a2, 32a3)은 모두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롤러틀(30, 31, 32)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1)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롤러틀(30, 31, 32)은 각 가이드통(30b, 31b, 32b)을 통하여 상부 커버의 L형 커버부(11a, 11b)의 수평부에 유지되어 있다.
제1, 제2 및 제3 롤러틀(30, 31, 32)의 유지 상태를 설명한다.
제1 롤러틀(30)은 가이드통(30b)의 걸어맞춤홈(30c) 내에 도 15(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부터 L형 커버부(11a, 11b)의 수평부의 걸림구멍(11a11, 11b11)이 삽입되고, 제2 롤러틀(31)은 가이드통(31b)의 걸어맞춤홈(31c) 내에 도 15(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부터 수평부의 걸림구멍(11a12, 11b12)이 삽 입되며, 제3 롤러틀(32)은 가이드통(32b)의 걸어맞춤홈(32c) 내에 도 15(ⅲ)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부터 수평부의 걸림구멍(11a13, 11b13)이 삽입되고, 각 가이드통이 각 걸림구멍을 통하여 좌우의 L형 커버부(11a, 11b)에 의해 개재되어 유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에 감겨져 있는 제1 승강끈(13)은 그 일단부측에서 가이드통(30b)을 관통하여 블라인드 본체(5)를 매달고(도 1), 타단부측이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로부터 제1 롤러틀(30)의 관통구멍(30a4)을 통과하고, 제2 롤러틀(31)의 관통구멍(31a1, 31a4)을 지나, 제3 롤러틀(32)의 관통구멍(32a1)을 관통하고,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를 거쳐 가이드통(32b)의 제1 가이드 통로(32e1)를 지나 하방으로 유도되고(도 13), 승강 제동체(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유지 롤러(33)에 감겨지고, 상방으로 인출되어 타단부(13b)는 승강 제동체(8)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도 16).
도 12∼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6)에 감겨져 있는 제2 승강끈(14)은 그 일단부측에서 가이드통(31b)을 관통하여 블라인드 본체(5)를 매달고(도 1), 타단부측이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로부터 제2 롤러틀(31)의 관통구멍(31a3)을 통과하고, 제3 롤러틀(32)의 관통구멍(32a2)을 관통하고,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를 거쳐 가이드통(32b)의 제2 가이드 통로(32e2)를 지나 하방으로 유도되고(도 13), 승강 제동체(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유지 롤러(33)에 감겨지고, 상방으로 인출되어 타단부(14b)는 승강 제동체(8)에 고정 장착 되어 있다(도 16).
유지 롤러(33)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틀(2b)에 부착되어 있는 유지체(34)의 베어링부(34a)에 축(35)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지지되어 있다. 유지체(34)는, 도 16,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하 두 곳에 긴구멍(34b)이 뚫려 있다. 각 긴구멍(34b) 내에는 멈춤 나사(3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해 있다. 따라서, 유지체(34)는 세로틀(2b)에 대하여 멈춤 나사(36)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유지체(34)의 베어링부(34a) 사이에는 유지 롤러(33)가 위치해 있다. 유지체(34)는 탄성체인 인장 스프링(20)에 의해 도 16 하방에 스프링력이 부여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20)은 도 16에 도시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유지체(34)의 베어링부(34a)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받침(34c)에, 타단은 세로틀(2b)로부터 돌출해 있는 멈춤 부재(37)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 및 승강 조작체(9)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주로 도 4, 도 16∼도 18,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도 18에 도시한 승강 제동체(8)는 그 본체가 각기둥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 편측(도 16 우측)에 주행 롤러(38)가 부착되어 있다. 주행 롤러(38)는 롤러축(3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승강 제동체(8)는 주행 롤러(38)를 통하여 세로틀(2b)의 주행 레일(2b1) 상을 승강 가능(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승강 제동체(8)에는 보조 주행 롤러(40)가 정면측에 롤러축(4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부착되어 있다. 승강 제동체(8)는 보조 주행 롤러(40)를 통하여 세로틀(2b)의 측커버(10)의 내면 상을 승강 가능(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승강 제동체(8)의 내부에는 자성판(42)이 측방(도 16 좌방 및 우방)으로 빼낼 수 있도록 끼워져들어가 있다. 자성판(42) 상에는 자기적 흡인 부재인 마그넷(43)이 흡착되어 있다. 마그넷(43)은, 도 16∼도 18에 도시한 예에서는, 평면 사각형의 블록형상의 마그넷체가 3개 나란히 승강 제동체(8)의 수납부 내에 수납되어 있다. 각 마그넷(43)의 정면측은 넓은 면으로 되어 있으며, 정면의 단면은 세로틀(2b)의 주행 레일(2b1)에 대향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승강 조작체(9)에 대하여, 도 1, 도 4, 도 20∼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도 22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는 플라스틱에 의해 정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중앙부에 오목부(9a)를 설치하여 파지하기 쉽게 하였다. 승강 조작체(9)는 내부에 자기적 흡인 부재인 마그넷(44)을 수납하고 있다. 마그넷(44)은 상기 승강 제동체(8)의 마그넷(43)과 동일한 구성이다. 마그넷(44)의 단면은 승강 조작체(9)의 후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조작체(9)의 마그넷(44)과 승강 제동체(8)의 마그넷(43)은 정면의 유리판(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서로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어 있다. 승강 제동체(8)와 승강 조작체(9)는 상기 흡인력에 의해 항상 일체화되고, 쌍방의 위치가 유지되어 있다.
도 4 및 도 22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는 편측(도 4 우측)에 단면 T자형의 가이드 돌출부(9b)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조작체(9)는 유리판(3)에 면하는 측에 롤러(45)가 설치되어 있고, 롤러가 유리판 상을 원활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 다. 한편(도 2 우방)의 유리판(3)의 정면(전면) 상에 가이드 레일(46)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6)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슬릿(46a)이 뚫려 있다. 가이드 슬릿(46a) 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조작체(9)의 가이드 돌출부(9b)가 내장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6)에는 세 곳에 스토퍼(47a, 47b, 47c)가 장착되어 있다(도 2). 승강 조작체(9)는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유리판(3) 상을 원활하게 도 2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승강 가능)하다. 가이드 돌출부(9b)는 스토퍼(47a, 47b) 사이의 가이드 슬릿(46a) 내를 이동 가능하다. 승강 조작체(9)가 승강할 수 있는 범위는 스토퍼(47a)와 스토퍼(47b) 사이이다.
승강 제동체(8)와 승강 조작체(9)와의 관계에 대하여 도 4 및 도 20∼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승강 제동체(8)와 승강 조작체(9)는 유리판(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해 있는 위치 관계에 있다. 대향 위치 관계의 유지는, 승강 제동체(8)의 마그넷(43)과 승강 조작체(9)의 마그넷(44)이 서로 자기력에 의해 서로 흡인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마그넷(43, 44)의 자기력에 의해 승강 조작체(9)는 유리판(3) 상에서의 위치 유지가 가능해진다. 승강 제동체(8)는 승강 조작체(9)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의해 승강 조작체의 이동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 기구(6)는 상기한 구성이므로, 도 1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제동체(8)를 상승시키면, 승강 제동체(8)는 주행 롤러(38)를 통하여 세로틀(2b)의 주행 레일(2b1) 상을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따라 유지 롤러(33)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을 상방으로 인장한다(도 16, 도 17). 인장된 제1 및 제2 승강끈은 블레이드판(5b)을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따라서, 각 블레이드(5a)는 상방으로 밀려올라가고, 블라인드 본체(5)는 수축되며, 이 결과, 블라인드 본체(5)는 "닫힘"에서 "열림"의 상태로 이행된다.
반대로, 승강 제동체(8)를 하강시키면 승강 제동체(8)는 주행 롤러(38)를 통하여 세로틀(2b)의 주행 레일(2b1) 상을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따라 유지 롤러(33)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의 인장 상태가 완화되고, 제1 및 제2 승강끈은 블레이드판(5b)을 하방으로 낙하시키고, 따라서 블라인드 본체(5)는 신장된다. 이 결과, 블라인드 본체(5)는 "열림"에서 "닫힘"의 상태로 이행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특히 "닫힘"에서 "열림"의 상태로 이행되는 과정에서는, 유지 롤러(33)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은 상방으로 인장되고, 이 유지 롤러를 골짜기로 하여 "U"자형으로 굴곡하여, 굴곡 부분에 부하가 걸린다.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의 굴곡 부분에 부하가 걸릴 때, 인장 스프링(20)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유지체(34)가 상승하고, 유지 롤러(33)도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유지 롤러를 통하여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에 가해지는 부하는 완충된다. 이 완충에 의해, 제1 및 제2 승강끈의 파단이 방지된다.
유지체(34)는 도 19(i)에 도시한 통상의 위치에서 도 19(ⅱ)에 도시한 위치로 상승함으로써 상방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부하의 완충은 효과적이게 된다.
블레이드(5a)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정 기구(7)를 개략적으로 설명 하고, 이어서 이들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나아가 각도 조정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블레이드(5a)의 각도 조정 기구(7)는 회전축(22), 복수 개의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 복수 또는 단일의 각도 조정 제동 롤러(도면에서는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 복수 또는 단일의 각도 조정 제동끈(도면에서는 각도 조정 제동끈(28))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와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는 회전축(2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에는 제1 각도 조정끈(26)의 상측이 감겨져 있다.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4)에는 제2 각도 조정끈(27)의 상측이 감겨져 있다. 제1 및 제2 각도 조정끈(26, 27)의 하측은 블라인드 본체(5)의 각 블레이드(5a)를 그 양측에서 아래로 매달아 유지하고 있다(도 10, 도 11).
도 9에 도시한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의 하방에는 유지 롤러(29)가 설치되어 있다.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와 유지 롤러(29) 사이에 각도 조정 제동끈(28)이 감겨져 있다. 각도 조정 제동끈(28)에는 각도 조정 제동체(18)가 개재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각도 조정 제동체(18)의 양측에 각도 조정 제동끈(28)의 양단이 접속되어 있다. 각도 조정 제동끈(28)은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와 유지 롤러(29) 사이에 감겨져 있다.
도 9에 도시한 각도 조정 조작체(19)를 소정 거리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 키면, 각도 조정 제동체(18)도 각도 조정 조작체의 이동에 따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와 유지 롤러(29) 사이에 감겨져 있는 각도 조정 제동끈(28)은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가 정회전 또는 반전된다.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의 회전력이 회전축(22)을 통하여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에 전달되고, 정회전 또는 반전된다. 이 결과, 제1 및 제2 각도 조정끈(26, 27)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블라인드 본체(5)의 각 블레이드(5a)의 각도가 조정된다.
블레이드(5a)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각도 조정 기구(7)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1, 도 9∼도 15, 도 20∼도 21 및 도 23∼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도 조정 기구(7)는, 도 9, 도 12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2),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 제1 및 제2 각도 조정끈(26, 27), 각도 조정 제동끈(28), 유지 롤러(29)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2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틀(2c)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22)은, 제1, 제2 및 제3 롤러틀(30, 31, 32)의 베어링(30a, 31a, 3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12).
도 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4) 및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는 축심을 관통하고 있는 회전축(22)에 각각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는 모두 동일한 구성이다.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는 제1 및 제2 롤러틀(30, 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의 중간 부분에는 원주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유지홈(23a, 24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유지홈(23a, 24a)을 통하여 제1 각도 조정끈(26(26a, 26b))(도 10) 및 제2 각도 조정끈(27(27a, 27b))(도 11)이 각각 감겨져 있다.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는, 회전축(22)의 일단측(도 12 우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3 롤러틀(3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의 단부에는 그 원주 방향으로 전체 둘레에 유지홈(25a)이 형성되어 있다.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에는 유지홈(25a)을 통하여 각도 조정 제동끈(28)이 감겨져 있다.
제1 각도 조정끈(26) 및 제2 각도 조정끈(27)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2개의 끈부(26a, 26b) 및 끈부(27a, 27b)로 이루어진다. 끈부(26a, 26b) 및 끈부(27a, 27b)는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블레이드(5a)의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개재하도록 아래로 매달아지며, 각 하단부가 블레이드판(5b)(도 1)에 접속되어 있다. 대향하는 제1 각도 조정끈(26)의 끈부(26a)와 끈부(26b) 사이 및 제2 각도 조정끈(27)의 끈부(27a)와 끈부(27b) 사이에는 각각 블레이드(5a)의 바닥부를 떠받치는 블레이드 유지끈(26c, 27c)이 걸쳐져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정 제동끈(28)은 각도 조정 제 동 롤러(25)에 감겨지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일단부(28a)가 각도 조정 제동체(18)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28b) 측이 각도 조정 제동체의 후부를 지나 유지 롤러(29)에 감겨지고, 상방으로 인출되어 각도 조정 제동체(18)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유지 롤러(29)는 세로틀(2b)에 지지되어 있는 유지체(48)에 부착되어 있다.
도 23∼도 26에 있어서, 유지체(48)는 그 상하 두 곳에 긴구멍(48b)이 뚫려 있다. 각 긴구멍(48b)의 내부에는 멈춤 나사(49)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해 있다. 유지체(48)는 세로틀(2b)에 대하여 멈춤 나사(49)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유지체(48)에는, 도 1 및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5a) 측을 향하여 L형의 베어링부(48a)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베어링부(48a) 내에는 유지 롤러(29)가 롤러축(50)(도 26)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유지체(48)는 탄성체인 인장 스프링(51)에 의해 도면 하방으로 스프링력이 부여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51)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베어링부(48a)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받침(48c)에, 타단은 세로틀(2b)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멈춤 부재(52)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주로 도 4, 도 20, 도 21, 도 23∼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는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 및 승강 조작체(9)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한 각도 조정 제동체(18)의 주행 롤러(138), 롤러축(139), 보조 주행 롤러(140), 롤러축(141), 자성판(142), 자기적 흡인 부재인 마그넷(143)은 승강 제동체(8)의 주행 롤러(38), 롤러축(39), 보조 주행 롤러(40), 롤러축(41), 자성판(42), 마그넷(43)에 각각 대응해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각도 조정 조작체(19)의 오목부(19a), 가이드 돌출부(19b), 자기적 흡인 부재인 마그넷(144)은 승강 조작체(9)의 오목부(9a), 가이드 돌출부(9b), 마그넷(44)에 각각 대응해 있다.
각도 조정 조작체(19)의 가이드 돌출부(19b)는 가이드 슬릿(46a) 내에 내장되어 있다. 각도 조정 조작체(19)는 가이드 레일(46)을 따라 도 21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 돌출부(19b)는 스토퍼(47b, 47c) 사이의 가이드 슬릿(46a) 내를 이동 가능하다. 각도 조정 조작체(19)가 승강할 수 있는 범위는 스토퍼(47b)와 스토퍼(47c) 사이이다.
도 20에 도시한 각도 조정 제동체(18)와 각도 조정 조작체(19)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전술한 승강 제동체(8)와 승강 조작체(9)와의 관계와 동일하다.
각도 조정 제동체(18)와 각도 조정 조작체(19)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3)을 사이에 두고 대향 위치 관계에 있다. 대향 위치 관계의 유지는 각도 조정 제동체(18)의 마그넷(143)과 각도 조정 조작체(19)의 마그넷(144)이 서로 자기력에 의해 흡인함으로써 달성된다. 각도 조정 조작체(19)는 마그넷(143, 144)의 자기력에 의해 유리판(3) 상에서의 위치 유지가 가능해진다. 각도 조정 제동체(18)는 각도 조정 조작체(19)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의해 각도 조정 조 작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도 조정 기구(7)는 상기한 구성이므로, 각도 조정 제동체(18)를 약간의 거리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 도 9 및 도 23에 도시한 각도 조정 제동체는 주행 롤러(138)를 통하여 세로틀(2b)의 주행 레일(2b1) 상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각도 조정 제동끈(28)은 각도 조정 제동체(18)에 접속되고,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와 유지 롤러(29) 사이에 감겨져 있다. 따라서, 각도 조정 제동체(18)의 이동에 따라 각도 조정 제동끈(28)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가 정회전 및 반전한다. 동시에, 회전축(22)을 통하여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도 1)가 정회전 또는 반전을 하므로, 대향해 있는 제1 각도 조정끈(26)의 끈부(26a, 26b)의 일측이, 그리고 제2 각도 조정끈(27)의 끈부(27a, 27b)의 일측이 하방으로 인장되고, 타측이 상방으로 인장된다. 따라서, 유지끈(26c, 27c)이 수평 상태에서 하향의 경사 상태로, 하향의 경사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또는 수평 상태에서 상향의 경사 상태로 변화하고, 이 변화에 추종하여 각 블레이드(5a)의 각도가 변화하여 각도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각도 조정 과정에 있어서, 유지 롤러(29)에 감겨져 있는 각도 조정 제동끈(28)은 상방으로 인장되면, 이 유지 롤러를 골짜기로 하여 "U"자형으로 굴곡하여 굴곡 부분에 부하가 가해진다. 그러나, 각도 조정 제동끈(28)의 굴곡 부분에 부하가 가해질 때 인장 스프링(51)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유지체(48)가 상승하고, 유지 롤러도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유지 롤러의 부하를 완충하게 된다. 따라서, 각 도 조정 제동끈(28)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유지체(48)는, 도 26(i)에 도시한 통상의 위치에서 도 26(ⅱ)에 도시한 위치로 상승함으로써 상방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부하의 완충을 효과적이게 한다.
블라인드 본체(5)의 개폐 및 블레이드(5a)의 각도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블라인드 본체(5)를 전면 개방 또는 일부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 1, 도 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조작체(9)를 상승시키면 승강 조작체와 대향하여 서로 흡인 관계에 있는 승강 제동체(8)도 세로틀(2b)의 주행 레일(2b1) 상을 상방으로 이동한다. 승강 제동체(8)의 상방 이동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이 상방으로 인장되고, 블레이드판(5b)은 제1 및 제2 승강끈을 통하여 상방으로 들려져올라간다. 따라서, 각 블레이드(5a)가 상방으로 밀려올라가 블라인드 본체(5)는 수축되고 개방된다.
블라인드 본체(5)를 모두 폐쇄 또는 일부 폐쇄하기 위해서는, 도 1, 도 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조작체(9)를 하강시키면 승강 제동체(8)도 하강되고, 세로틀(2b)의 주행 레일(2b1) 상을 하강하며, 이 하강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의 인장 상태가 느슨해져 블레이드판(5b)은 하강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본체(5)는 신장되고 폐쇄된다.
블라인드 본체(5)의 블레이드(5a)의 각도를 조정하여 외부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 조정 조작체(19)를 소정 거리만큼 상승(상방 이동)시키면, 각도 조정 제동체(18)도 각도 조정 조작체의 이동에 따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와 유지 롤 러(29) 사이에 감겨져 있는 각도 조정 제동끈(28)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각도 조정 제동 롤러의 회전력이 회전축(22)을 통하여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에 전달되고, 도 10 및 도 11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결과, 제1 및 제2 각도 조정끈(26, 27)의 끈부(26a, 27a)가 하강하고, 끈부(26b, 27b)가 상승하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 본체(5)의 각 블레이드(5a)는 우측으로 상승하도록 경사져서 외부광이 차단된다.
도 5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실내로 외부광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각도 조정 조작체(19)를 소정 거리만큼 하강시킴으로써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를 통하여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및 제2 각도 조정끈(26, 27)의 끈부(26a, 27a)가 상승하고, 끈부(26b, 27b)가 하강한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 본체(5)의 각 블레이드(5a)가 수평의 상태가 되고, 이 단계에서 각도 조정 조작체(19)의 이동을 정지한다.
도 27에 도시한 도어(D)는 도 1에 도시한 블라인드(1)를 내장하고 있는 이용예이다.
도어(D)에 있어서는, 블라인드(1)의 개폐 및 블레이드의 각도 조정을 위한 조작용 개구부가 없고, 끈도 노출되어 있지 않아 외관이 양호하며, 또한 블라인드(1) 내를 진공 상태로 밀폐함으로써, 이러한 블라인드를 창측의 문 또는 도어에 내장하면 결로 방지가 도모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블라인드(1)를 고층 주택의 도어에 부착한 경우에도 블 라인드(1) 내에 압력 조정용 봉재(21)(도 4)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블라인드 내의 압력 조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형태에 대하여 도 28∼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블라인드(1A)에 따른 구성의 특징은, 블라인드의 양측에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A) 및 승강 조작체(9A)와, 각도 조정 제동체(18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A)를 각각 배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따라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에 위치해 있는 롤러틀로서 제3 롤러틀(32)과 별도로 외측의 롤러틀인 제4 롤러틀(32A)을 설치하였다. 또한 제4 롤러틀(32A)의 내부에는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를 배치하였다. 제4 롤러틀(32A)은 제1 롤러틀(30) 및 제2 롤러틀(31)을 사이에 두고 제3 롤러틀(32)과 대향측(도 34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블라인드(1A)의 다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블라인드(1)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블라인드(1)와 공통되는 구성 부분에 대한 설명에 사용하는 부호를 블라인드(1)의 설명시에 사용한 부호와 일치시켰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특징을 설명하고, 블라인드(1)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필요에 따라 설명한다.
도 28∼도 31에 있어서, 블라인드(1A)의 지지틀(2A)의 본체는 좌우의 세로틀(2a, 2b)과 상하의 가로틀(2c, 2d)을 조합한 사각형상의 프레임이다. 양 세로틀(2a, 2b)의 내측에는 홈형의 측커버(10, 10A)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방의 가로틀(2c)의 내측에도 L형 커버부(11aA, 11Ab)를 조합한 홈형의 상부 커버(11A)가 부착되어 있다.
도 32에 도시한 L형 커버부(11aA, 11Ab)에 있어서, 수평부(11a1, 11b1)에는 내방으로부터 외방을 향하여 U자형으로 잘려들어간 걸림구멍(11a11, 11a12, 11a13, 11a13A) 및 걸림구멍(11b11, 11b12, 11b13, 11b13A)이 길이 방향(도면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도면 정면측)의 L형 커버부(11aA)의 수평부(11a1) 상에 타측의 L형 커버부(11ab)의 수평부(11b1)가 포개어져 있다. 포개어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걸림구멍(11a11)과 걸림구멍(11b11), 걸림구멍(11a12)과 걸림구멍(11b12), 걸림구멍(11a13)과 걸림구멍(11b13) 및 걸림구멍(11a13A)과 걸림구멍(11b13A)이 긴구멍 형상의 유지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L형 커버부(11aA, 11Ab)는 수평부(11a1, 11b1)의 쌍을 이루는 걸림구멍(11a11)과 걸림구멍(11b11), 걸림구멍(11a12)과 걸림구멍(11b12), 걸림구멍(11a13)과 걸림구멍(11b13), 걸림구멍(11a13A)과 걸림구멍(11b13A)이 후술하는 제1, 제2, 제3 및 제4 롤러틀(30, 31, 32, 32A)(도 34)의 가이드통(30b, 31b, 32b, 32Ab)의 걸어맞춤홈(30c, 31c, 32c, 32Ac)에 끼워져들어간 상태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롤러틀을 유지하고 있다.
도 33, 도 36∼도 39에 있어서, 승강 제동체(8A) 및 승강 조작체(9A)는 블라인드 본체(5)의 블레이드(5a)의 승강 기구(6A)를 조작하는 수단이다. 또한 각도 조정 제동체(18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A)는 블라인드 본체(5)의 블레이드(5a)의 각도 조정 기구(7A)를 조작하는 수단이다.
도 28에 도시한 예에서는,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A) 및 승강 조작체(9A)는 정면측의 유리판(3)의 전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A)는 정면측의 유리판(3)의 전면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8 및 도 33∼도 36에 있어서, 블레이드(5a)의 승강 기구(6A)는 상기 승강 기구(6)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 및 도 33∼도 36에 있어서, 블레이드(5a)의 각도 조정 기구(7A)는 회전축(22A)과, 이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는 내측의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 외측의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 25A)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의 일측의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는 회전축(22A)의 도 33의 좌단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각도 조정 제동끈(28A)은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와 유지 롤러(29) 사이에 감겨져 있다. 즉, 각도 조정 제동끈(28A)의 도 34 상단측은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의 유지홈(25aA) 내에 감겨지고, 각도 조정 제동끈의 하단측은 유지체(48)에 부착되어 있는 유지 롤러(29)에 감겨져 있다. 각도 조정 제동끈(28A)에는 각도 조정 제동체(18A)가 개재되어 있다.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는 제4 롤러틀(32A)에 배치되어 있다.
도 34 및 도 35에 있어서, 제4 롤러틀(32A)은 제3 롤러틀(32)과 동일한 구성이다. 제4 롤러틀(32A)의 베어링(32aA), 관통구멍(32Aa1, 32Aa2, 32Aa3, 32Aa4), 가이드통(32Ab), 걸어맞춤홈(32Ac), 칸막이(32Ad), 가이드 통로(32Ae1, 32Ae2, 32Ae3, 32Ae4)는 제3 롤러틀(32)의 베어링(32a), 관통구멍(32a1, 32a2, 32a3, 32a4), 가이드통(32b), 걸어맞춤홈(32c), 칸막이(32d), 가이드 통로(32e1, 32e2, 32e3, 32e4)에 각각 대응해 있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롤러틀(30)의 관통구멍(30a1, 30a4), 제2 롤러틀(31)의 관통구멍(31a1, 31a4), 제3 롤러틀(32)의 관통구멍(32a1, 32a4), 제4 롤러틀(32A)의 관통구멍(32Aa1, 32Aa4)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롤러틀의 관통구멍(30a2, 30a3), 제2 롤러틀의 관통구멍(31a2, 31a3), 제3 롤러틀의 관통구멍(32a2, 32a3), 제4 롤러틀의 관통구멍(32Aa2, 32Aa3)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36∼도 38에 있어서, 승강 제동체(8A)는 상기 승강 제동체(8)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승강 조작체(9A)는 상기 승강 조작체(9)와 동일한 구성이다. 나아가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A)와 승강 조작체(9A)와의 관계도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와 승강 조작체(9)와의 관계와 동일하다.
도 37에 도시한 가이드 레일(46A1) 및 가이드 슬릿(46A1a)은 상기 가이드 레일(46) 및 가이드 슬릿(46a)에 대응해 있다.
승강 조작체(9A)는 가이드 돌출부(9b)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46A1)의 가이드 슬릿(46A1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6A1)의 양단에는 스토퍼(47d, 47e)가 부착되어 있다. 승강 조작체(9A)가 승강할 수 있는 범위는 스토퍼(47d)와 스토퍼(47e) 사이이다.
도 36, 도 37 및 도 39에 있어서, 각도 조정 제동체(18A)는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18)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각도 조정 조작체(19A)는 상기 각도 조정 조 작체(19)와 동일한 구성이다. 더욱이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A)와 각도 조정 조작체(19A)와의 관계도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와 각도 조정 조작체(19)와의 관계와 동일하다.
각도 조정 제동체(18A)는 주행 롤러(138)를 통하여 세로틀(2a)의 주행 레일(2a1)(도 36) 상을 승강할 수 있다. 각도 조정 제동체(18A)는 보조 주행 롤러(140)를 통하여 세로틀(2a)의 측커버(10A) 내면 상을 승강할 수 있어 안정적 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마그넷(143)의 정면의 단면은 세로틀(2a)에 대향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도 37에 도시한 가이드 레일(46A2) 및 가이드 슬릿(46A2a)은 상기 가이드 레일(46) 및 가이드 슬릿(46a)에 대응해 있다.
각도 조정 조작체(19A)는 가이드 돌출부(19b)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46A2)의 가이드 슬릿(46A2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6A2)의 양단에는 스토퍼(47f, 47g)가 부착되어 있다. 각도 조정 조작체(19A)가 승강할 수 있는 범위는 스토퍼(47f)와 스토퍼(47g) 사이이다.
도 33에 있어서, 블라인드 본체(5)를 전면 개방 또는 일부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면 우측에 위치해 있는 승강 조작체(9A)를 상승시키면 승강 제동체(8A)도 상승한다. 이 상승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은 유지 롤러(33)를 통하여 상방으로 인장된다. 따라서, 블레이드(5a)는 상방으로 들려올려지고, 밀려올려지므로 블라인드 본체(5)는 수축되고 개방된다.
블라인드 본체(5)를 전면 폐쇄 또는 일부 폐쇄하기 위해서는 승강 조작 체(9A)를 하강시키면 승강 제동체(8A)도 하강되고, 이 하강에 따라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의 인장 상태가 느슨해져 블레이드(5a)는 하강하기 때문에 블라인드 본체(5)는 연장되어 폐쇄된다.
도 33 좌측에 위치해 있는 각도 조정 조작체(19A)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각도 조정 제동체(18A)도 각도 조정 조작체의 이동에 따라 이 각도 조정 조작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각도 조정 제동체(18A)의 이동에 의해,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와 유지 롤러(29) 사이에 감겨져 있는 각도 조정 제동끈(28A)은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는 정회전 또는 반전되고, 그 회전력이 회전축(22A)을 통하여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에 전달되고, 정회전 또는 반전된다. 이 결과, 제1 및 제2 각도 조정끈(26, 27)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블라인드 본체(5)의 각 블레이드(5a)의 각도가 조정된다.
도 28에 도시한 예에서는, 쌍을 이루는 승강 제동체(8A) 및 승강 조작체(9A)와,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A)는 좌우로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타측(도 33 우방)의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의 유지홈(25a)에는 각도 조정 제동끈이 감겨져 있지 않다. 또한 도 34에 도시한 제4 롤러틀(32A)의 내측 바닥부에 부착되어 있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A)에는 승강끈이 감겨져 있지 않다.
도 1 및 도 28에 도시한 블라인드(1, 1A)에 있어서, 지지틀(2, 2A)을 유리판(3)에 의해 개재하고, 지지틀의 외주를 탄성 걸림 부재(4)(도면만 도시)에 의해 걸어 지지틀 안을 밀폐로 하고, 지지틀과 유리판이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블라인드의 내부의 진공화를 실현할 수 있고, 진공화가 결로 방지에 유효하다. 또한 일체화에 의해, 블라인드(1, 1A)를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D) 등의 내부에도 용이하게 내장할 수 있으므로 블라인드의 이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더욱이, 블라인드(1, 1A)를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D) 등에 사용한 경우에도, 도 4에 도시한 압력 조정용 봉재(21)를 설치하였으므로 지지틀(2, 2A)의 내부의 압력은 자동으로 조정되고, 따라서 압력 변화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다.
블라인드(1, 1A)의 개폐를 위한 조작은 마그넷(43)을 갖는 승강 제동체(8, 8A)와 마그넷(44)을 갖는 승강 조작체(9, 9A)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블레이드(5a)의 각도 조정을 위한 조작은 마그넷(143)을 갖는 각도 조정 제동체(18, 18A)와 마그넷(144)을 갖는 각도 조정 조작체(19, 19A)에 의해 행해진다. 따라서, 블라인드(1, 1A)에 개폐 조작 수단인 끈용 개구부를 뚫을 필요가 없으므로 블라인드(1, 1A)의 외관미가 뛰어나고, 지지틀 내의 밀봉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그리고 블라인드를 도어, 벽의 개구부 또는 창의 새시 등에도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8에 도시한 블라인드(1, 1A)에 있어서, 지지틀(2, 2A)을 투명판(3)에 의해 개재하도록 하여 유지하고, 지지틀의 외주를 탄성 걸림 부재(4)(도 1만 도시)에 의해 걸어 전체가 유닛화되어 있으므로 블라인드의 운반이나 부착 작업의 신속화나 간이화에 기여한다.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유지체(34, 48)는 인장 스프링(20, 51)에 접속되 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승강끈(13, 14), 각도 조정 제동끈(28, 28A)에 부하가 걸려도 그 부하를 흡수하여 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블라인드(1)에 있어서, 각도 조정 조작체(19)를 도면 우측 및 상방에 배치하고, 또한 승강 조작체(9)를 각도 조정 조작체와 동일한 측의 하방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각도 조정 조작체(19)를 하방에, 승강 조작체(9)를 상방에 배치할 수도 있다.
승강 조작체(9)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는 블라인드(1)의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도 1 좌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9에 그려져 있는 도면을 세로방향의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반전시킨 구성이 된다. 즉, 도 9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4),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를 나란히 배열한다. 마찬가지로,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6),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를 나란히 배열한다. 그리고 제1 승강끈(13)은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로부터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6) 및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를 거쳐 유지 롤러(33)로 유도된다. 제2 승강끈(14)은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6)로부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를 거쳐 유지 롤러(33)로 유도된다. 각도 조정 제동끈(28)은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에 둘둘 걸쳐진다.
도 28에 도시한 블라인드(1A)에 있어서, 승강 조작체(9A)를 도면 우측에 배치하고, 각도 조정 조작체(19A)를 도면 좌측에 배치하였다. 그러나, 승강 조작체(9A)와 각도 조정 조작체(19A)와의 위치 관계를 좌우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좌 우의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한 경우에는, 도 33에 그려져 있는 도면을 세로 방향의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반전시킨 구성이 된다. 즉, 도 33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일측의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4),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및 타측의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를 나란히 배열한다. 마찬가지로,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6),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 및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A)를 나란히 배열한다. 그리고 제1 승강끈(13)은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로부터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6) 및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를 거쳐 유지 롤러(33)로 유도된다. 제2 승강끈(14)은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6)로부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를 거쳐 유지 롤러(33)로 유도된다. 각도 조정 제동끈(28A)은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에 둘둘 걸쳐진다.
또한 도 28에 도시한 블라인드(1A)에 있어서, 전술한 좌우 위치 관계를 반대로 한 경우, 반전시키지 않고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의 인출 방향을 도 33의 좌방향으로 하고, 또한 각도 조정 제동끈(28A)을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에서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로 전환하여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에 둘둘 감을 수도 있다. 제1 승강끈(13)은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로부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A)(도 34)를 거쳐 유지 롤러(33)로 유도하고, 제2 승강끈(14)은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6)로부터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 및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A)를 거쳐 유지 롤러(33)로 유도한다. 각도 조정 제동끈(28A)을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도 33)에 둘둘 감는다.
도 28에 도시한 블라인드(1A)에 있어서,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2A)의 양단측에 모두 동일한 구성의 외측의 롤러틀(32, 32A),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 17A),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 25A)를 배치하였으므로, 유리판(3)에 대한 승강 조작체(9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A)의 부착 위치는 도 33 좌우의 어느 일측의 부착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조작체(9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A)의 부착 위치에 관하여 유리판(3)에 대한 편측이면서 상하의 어느 하나의 부착 위치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8에 도시한 블라인드(1, 1A)에 있어서, 그 구성 부품을 공통화하면서도 다양한 승강 기구(6, 6A)나 각도 조정 기구(7, 7A)를 구비한 블라인드를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예컨대 제1 및 제2 롤러틀(30, 31), 제3 및 제4 롤러틀(32, 32A), 제1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15, 16),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23, 24), 외측의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 25A), 승강 제동체(8, 8A) 및 각도 조정 제동체(18, 18A), 승강 조작체(9, 9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 19A) 등과 같이 구성 부품을 공통화함으로써 제조나 조립을 용이하게 하였으나, 공통화는 본 발명에 필요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반드시 탄성 걸림 부재(4)에 의해 지지틀(2, 2A) 내를 밀폐로 할 필요는 없다. 승강 조작체(9, 9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 19A)의 조작 수단은 수동일 수도 자동일 수도 있다. 승강 조작체(9, 9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 19A)를 자동 조작하는 경우에, 예컨대 상기 각 조작체의 본체에 모터를 내장하여 리모컨에 의해 모터를 제어하여 내장하고 있는 롤러(45, 145)를 통하여 주행 가능하게 할 수도 있 다.
승강 조작체(9, 9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 19A)의 배치 위치에 관해서도 도시한 예에서는 정면의 유리판(3)의 좌우 양측 또는 편측으로 하였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변측 또는 하변측일 수도 있고, 또한 정면(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당히 측면측으로 할 수도 있다.
승강끈의 수는 도 1 및 도 28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승강끈(13, 14)의 2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블라인드(1, 1A)의 길이나 폭 등의 조건에 따라 3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승강 동력 전달 롤러의 수는 승강끈의 수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34에 도시한 예에서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17A) 및 외측의 각도 조정 제동 롤러(25A)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쌍의 승강 제동체(8, 8A) 및 승강 조작체(9, 9A)는 쌍방을 자기적 흡인 부재인 마그넷(43, 44)에 의해 또한 쌍을 이루는 각도 조정 제동체(18, 18A) 및 각도 조정 조작체(19, 19A)의 쌍방도 자기적 흡인 부재인 마그넷(143, 144)에 의해 서로 자기에 의한 흡인 관계를 강력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자기적 흡인 부재는 반드시 본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 마그넷(43, 44) 중 어느 하나만을 자기적 흡인 부재로서의 마그넷으로 하고, 타측을 자기적 흡인 부재로서의 자성체로 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양 마그넷(143, 144) 중 어느 하나만을 마그넷으로 하고, 타측을 자기체로 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제1 및 제2 승강끈의 타단부(13b, 14b), 인장 스프 링(탄성체)(20), 유지 롤러(33), 유지체(34), 멈춤 나사(36), 멈춤 부재(37)의 각 관계의 다른 예를 도 40 및 도 4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상, 도 40 및 도 41에서는, 도 16 및 도 17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 "2b", "13b", "14b"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인장 스프링(탄성체)(120), 유지 롤러(133), 유지체(134), 멈춤 나사(136), 멈춤 부재(137)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인장 스프링(20), 유지 롤러(33), 유지체(34), 멈춤 나사(36), 멈춤 부재(37)에 각각 대응해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상기 각 관계는 멈춤 부재(137)가 유지체(134)를 관통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상기 각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유지체(134)는 그 상하 두 곳에 긴구멍(134b)이 뚫려 있다. 상측의 긴구멍(134b) 내에는 멈춤 나사(136)가, 하측의 긴구멍(134b) 내에 멈춤 부재(137)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해 있다. 멈춤 나사(136) 및 멈춤 부재(137)는 세로틀(2b)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유지체(134)는 세로틀(2b)에 대하여 멈춤 나사(136) 및 멈춤 부재(137)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유지체(134)의 베어링부(134a) 사이에는 유지 롤러(133)가 위치해 있다. 유지체(134)는 인장 스프링(120)에 의해 도 40 하방으로 스프링력이 부여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120)은 도 40에 도시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유지체(134)의 베어링부(134a)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받침(134c)에, 타단은 세로틀(2b)로부터 돌출하고, 유지체(134)를 관통하고 있는 멈춤 부재(137)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유지 롤러(133)는 유지체(134)의 베어링부(134a)에 축(135)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지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승강끈, 제1 및 제2 승강끈의 타단부(13b, 14b)를 둘둘 감은 유지 롤러(133), 유지체(134), 인장 스프링(120)의 상호의 관계를 기초로 하는 부하 완충 효과는 전술한 제1 및 제2 승강끈(13, 14), 제1 및 제2 승강끈의 타단부(13b, 14b)를 둘둘 감은 유지 롤러(33), 유지체(34), 인장 스프링(20)의 상호의 관계를 기초로 하는 부하 완충 효과와 동일하다.
또한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각도 조정 제동끈의 타단부(28b), 유지 롤러(29), 유지체(48), 멈춤 나사(49), 인장 스프링(탄성체)(51), 멈춤 부재(52)의 각 관계의 다른 예를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상, 도 42 및 도 43에서는, 도 23 및 도 24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 "2b", "28b"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한 유지 롤러(129), 유지체(148), 멈춤 나사(149), 인장 스프링(탄성체)(151), 멈춤 부재(152)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유지 롤러(29), 유지체(48), 멈춤 나사(49), 인장 스프링(51), 멈춤 부재(52)에 각각 대응해 있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한 상기 각 관계는 멈춤 부재(152)가 유지체(148)를 관통해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상기 각 관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유지체(148)는 그 상하 두 곳에 긴구멍(148b)이 뚫려 있다. 상측의 긴구멍(148b) 내에는 멈춤 나사(149)가, 하측의 긴구멍(148b) 내에 멈춤 부재(152)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해 있다. 멈춤 나사(149) 및 멈춤 부재(152)는 세로틀(2b)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유지체(148)는 세로틀(2b)에 대하여 멈춤 나사(149) 및 멈춤 부재(152)를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유지체(148)의 베어링부(148a) 사이에는 유지 롤러(129)가 위치해 있다. 유지체(148)는 인장 스프링(151)에 의해 도 42 하방으로 스프링력이 부여되어 있다. 인장 스프링(151)은 도 42에 도시한 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유지체(148)의 베어링부(148a)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받침(148c)에, 타단은 세로틀(2b)로부터 돌출하고, 유지체(148)를 관통하고 있는 멈춤 부재(152)에 걸려 고정되어 있다. 유지 롤러(129)는 유지체(148)의 베어링부(148a)에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지지되어 있다.
각도 조정 제동끈, 각도 조정 제동끈의 타단부(28b)가 감겨져 있는 유지 롤러(129), 유지체(148), 인장 스프링(151)의 상호의 관계 및 부하 완충 효과는 전술한 각도 조정 제동끈(28), 그 타단부(28b)가 감겨져 있는 유지 롤러(29), 유지체(48), 인장 스프링(51)의 상호의 관계 및 부하 완충 효과와 동일하다.
도 40 및 도 42에 도시한 각 예의 부하 완충 효과에 관하여 반복적으로 설명하면, 유지 롤러(129)에 감겨져 있는 각도 조정 제동끈이나 유지 롤러(133)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승강끈에 각각 부하가 걸린 경우에도 유지체(134, 148)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인장 스프링(120, 15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부하를 흡수하여 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 도 23, 도 36, 도 40 및 도 42에 도시한 부하 완충 수단으로서의 탄성체(20, 51), 120, 151에 관하여 탄성체(20, 120)는 승강 제동체(8, 8A)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탄성체(51, 151)는 각도 조정 제동체(18, 18A)에 대응하여 설치되나, 승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제동체의 쌍방에 대응하여 설치하는 것이 끈의 파단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이나, 어느 일측에 대응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예컨대 개폐 조작이나 각도 조정 조작을 별로 반복하여 수행하지 않는 블라인드를 이용하는 경우나 구성을 간단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탄성체(20, 51, 120, 151)를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탄성체(20, 51, 120, 151)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판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로 할 수도 있다.
도 20∼도 22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의 다른 예를 도 44∼도 4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4∼도 47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B)는 승강 조작체(9)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승강 조작체(9B)의 특징적인 부분을 설명하고, 그 다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승강 조작체(9)와 공통되는 승강 조작체(9B)의 구성 부분을 도시한 부호에 관해서는 도 20∼도 22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9a", "9b", "44", "45")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승강 조작체(9B)의 특징적인 부분은 이 승강 조작체 내에 자성판(53) 및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위치 유지판(54)을 배치한 데 있다.
승강 조작체(9B)에는 수납 구멍부(9Bc)를 설치하였다. 수납 구멍부(9Bc)의 바닥부에는 사각형상의 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자성판(53)이 깔려 있다. 또한 수납 구멍부(9Bc) 내에는 마그넷(44)이 수납되어 있다. 마그넷(44)은 바닥부측에 위치해 있는 자성판(53)에 흡인되어 고정되어 있다. 마그넷(44)과 수납 구멍부(9Bc)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에는, 이 간극에 대응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위치 유지판(54)을 삽입한다. 위치 유지판(54)은 마그넷(44)의 위치 유지를 강화하는 수단이다.
승강 조작체(9B)에 의하면, 자성판(53)을 설치하였으므로 위치 유지가 확실해진다. 또한 승강 조작체(9B)에 의하면, 위치 유지판(54)을 배치함으로써 마그넷(44)의 위치 유지를 강화할 수 있다.
도 20∼도 22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의 또 다른 예(도 44∼도 47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B)의 다른 예)를 도 48∼도 5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8∼도 52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C)는 승강 조작체(9, 9B)와 주요부에 대하여 공통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조작체(9C)의 특징적인 부분을 주로 설명하고, 그 다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승강 조작체(9, 9B)와 공통되는 승강 조작체(9C)의 구성 부분을 도시한 부호에 관해서는 도 20∼도 22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9a", "9b", "44", "45")를, 또한 도 44∼도 47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53", "54")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승강 조작체(9C)의 특징적인 부분은 이 승강 조작체를 본체 홀더(9C1)와 본체(9C2)로 이분할하여 이들을 분리 가능하게 조합시킨 데 있다.
본체 홀더(9C1)에는 승강 조작체(9C)의 본체(9C2)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 멍부(9C1a)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홀더(9C1)의 편측에는 가이드 돌출부(9b)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조작체(9C)의 본체(9C2)에는 도 49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납 구멍부(9C2a)가 뚫려져 있다. 수납 구멍부(9C2a) 내의 정면측(도 49 우측)에 자성판(53)을, 그 반대측에는 마그넷(44)이 각각 수납되어 있다. 마그넷(44)과 수납 구멍부(9C2a)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 간극에 대응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위치 유지판(54)을 삽입한다. 위치 유지판(54)은 마그넷(44)의 위치 유지를 강화하는 수단이다. 위치 유지판(54)의 일단부(도 49 우단부)는 자성판(53)에 접촉해 있다. 승강 조작체(9C)의 본체(9C2)의 후면의 상하 두 곳에 회전 가능한 롤러(45)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조작체(9C)의 본체(9C2)는 본체 홀더(9C1)의 수납 구멍부(9C1a) 내에 끼워져들어가 있으며, 본체 홀더와 일체화되어 있다.
승강 조작체(9C)에 의하면, 이 승강 조작체를 본체 홀더(9C1)와 본체(9C2)로 2분할하였으므로, 본체(9C2)에 대하여 여러 종류의 디자인을 갖는 본체 홀더를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본체 홀더(9C1)나 롤러(45)에 손상 등이 있어 승강 조작체(9C)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본체 홀더만 교환할 수도 있고, 또는 마그넷(44) 및 위치 유지판(54)을 제외한 본체만을 교환할 수도 있으므로, 교환을 저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승강 조작체(9C)에 의하면, 자성판(53)을 설치하였으므로 위치 유지가 확실해진다. 또한 승강 조작체(9C)에 의하면, 위치 유지판(54)을 배치함으로써 마그넷(44)의 위치 유지를 강화할 수 있다.
도 48∼도 52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C)의 다른 예를 도 53∼도 5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3∼도 54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D)는 승강 조작체(9C)와 주요부에 대해서는 공통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조작체(9D)의 특징적인 부분을 주로 설명하고, 그 다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승강 조작체(9C)와 공통되는 승강 조작체(9D)의 구성 부분을 도시한 부호에 관해서는 도 48∼도 52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9b", "44", "45", "53", "54")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승강 조작체(9D)의 특징적인 부분은 이 승강 조작체를 본체 홀더(9D1)와 본체(9D2)로 2분할하고, 본체 홀더측에 롤러(45)를 설치한 데 있다.
본체 홀더(9D1)의 상하 부위에는 수납 구멍부(9D1a)를 사이에 두고 롤러(45)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 구멍부(9D1a) 내에는 승강 조작체(9D)의 본체(9D2)가 수납되어 있다.
승강 조작체(9D)의 본체(9D2)는 두께 방향(도 54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납 구멍부(9D2a)가 뚫려 있다. 수납 구멍부(9D2a) 내에는 자성판(53) 및 마그넷(44)이 각각 수납되어 있다. 마그넷(44)과 수납 구멍부(9D2a)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에는, 이 간극에 대응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위치 유지판(54)을 삽입한다.
도 28∼도 30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A) 대신 상기 승강 조작체(9B), 승강 조작체(9C) 또는 승강 조작체(9D)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한 각도 조정 조작체(19) 대신 또한 도 39에 도시한 각도 조정 조작체(19A) 대신 상기 승강 조작체(9B), 승강 조작체(9C) 또는 승강 조작체(9D)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적용한 각도 조정 조작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5에 도시한 각도 조정 조작체(19B)는 도 48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C)의 구조를 적용한 예이다. 단, 적용하기 위하여 일부 변경하였으므로 각도 조정 조작체(19B)와 승강 조작체(9C)간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8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C)에는 롤러(45)를 상하 두 곳에 설치하였으나, 도 55에 도시한 각도 조정 조작체(19B)에는 롤러를 설치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각도 조정 조작체(19B)에 의한 블레이드의 각도 조정 조작을 위한 상하 방향의 이동 거리는 승강 조작체(9C)에 의한 블레이드의 승강을 위한 상하 방향의 이동 거리와 비교하여 아주 작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승강 조작체(9C)에는 이 승강 조작체의 안정 주행에는 롤러(45)를 설치해 두는 것이 좋다. 그러나 각도 조정 조작체(19B)는 여기에 롤러를 부착하지 않아도 그 이동 거리가 아주 작으므로 상하 조작에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도 조정 조작체(19, 19A)에도 반드시 롤러(145)(도 20 및 도 39)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55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에 있어서, 19b는 가이드 돌출부, 19B1은 본체 홀더, 19B1a는 본체 홀더의 수납구멍부, 19B2는 각도 조정 조작체(19B)의 본체, 19B2a는 본체(19B2)의 수납구멍부, 144는 마그넷, 153은 자성판, 154는 위치 유지판을 각각 도시한다.
도 16에 도시한 승강 제동체(8) 및 도 36에 도시한 승강 제동체(8A)에 대해서도 도 48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9C)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적용예를 도 56 및 도 57에 도시한 승강 제동체(8B)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 제동체(8B)는 승강 제동체(8)와 주요부에서 공통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제동체(8B)의 특징적인 부분을 주로 설명하고, 그 다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승강 제동체(8)와 공통되는 승강 제동체(8B)의 구성 부분을 도시한 부호에 관해서는 도 16 및 도 17에 기재되어 있는 부호("38", "39", "40", "41", "42", "43")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승강 제동체(8B)의 특징적인 부분은 이 승강 제동체를 본체 홀더(8B1)와 본체(8B2)로 2분할하여 이들을 분리 가능하게 조합시킨 데 있다.
본체 홀더(8B1)에는 승강 제동체(8B)의 본체(8B2)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구멍부(8B1a)가 뚫려 있다.
승강 제동체(8B)의 본체(8B2)는 도 57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납구멍부(8B2a)가 뚫려 있다. 수납구멍부(8B2a) 내의 정면측(도 57 후면측)에 자성판(42)이, 그 반대측에는 마그넷(43)이 각각 수납되어 있다. 마그넷(43)과 수납구멍부(8B2a)의 내벽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경우에는, 이 간극에 대응할 수 있는 두께를 갖는 위치 유지판(55)을 삽입한다. 위치 유지판(55)은 마그넷(43)의 위치 유지를 강화하는 수단이다. 위치 유지판(55)의 일단부는 자성판(42)에 접촉해 있다. 승강 제동체(8B)의 본체(8B2)의 후면의 상하 두 곳에 회전 가능한 롤러(40)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제동체(8B)의 본체(8B2)는 본체 홀더(8B1)의 수납 구멍부(8B1a) 내에 끼워져들어가 있으며, 본체 홀더와 일체화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각도 조정 제동체(18) 대신, 또한 도 39에 도시한 각도 조정 제동체(18A) 대신 도 56에 도시한 승강 제동체(8B)의 구조를 적용한 각도 조정 제동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승강 제동체(8B)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40)에 해당하는 롤러를 부착하지 않아도 된다.
블라인드(1, 1A) 내를 진공의 상태로 할 수 없는 경우나 진공 상태는 아니지만 밀폐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결로 방지를 위하여 지지틀(2)의 세로틀(2a, 2b) 및 가로틀(2c, 2d) 내에 또한 측커버(10) 및 상부 커버(11)의 수납 공간 내에 건조 분말제, 활성탄 기타 습기 제거제를 배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를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지지틀을 도시한 일부 절개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일측의 세로틀을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상부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블레이드의 승강 기구 및 각도 조정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블레이드, 제1 승강끈, 제1 각도 조정끈,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의 상호 관계를 측면측에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블레이드, 제2 승강끈, 제2 각도 조정끈,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의 상호 관계를 측면측에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각도 조정 제동 롤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ⅲ-Xⅲ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 제2 및 제3 롤러틀과 상부 커버와의 관계를 도시한 일부 단면 확대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제동체와 제1 및 제2 승강끈과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제동체와 제1 및 제2 승강끈과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XVⅲ-XVⅲ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유지체의 확대 측면도로서, (i)는 유지체의 통상의 위치를, (ⅱ)는 유지체가 이동한 위치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제동체와 승강 조작체와의 관계, 각도 조정 제동체와 각도 조정 조작체와의 관계를 각각 도시한 일부 단면 확대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조작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조작체를 도시한 확대 후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각도 조정 제동체와 각도 조정 제동끈과 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각도 조정 제동체와 각도 조정 제동끈과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XXV-XXV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은 유지체의 확대 측면도로서, (i)은 유지체의 통상의 위치를, (ⅱ)는 유지체가 이동한 위치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를 외여닫이 실내 도어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XXX-XXX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지지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확대 정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상부 커버의 다른 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블레이드의 승강 기구 및 각도 조정 기구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각도 조정 제동 롤러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XXXV-XXXV선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제동체와 제1 및 제2 승강끈과의 관계, 각도 조정 제동체와 각도 조정 제동끈과의 관계를 각각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조작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XXXVⅲ-XXXVⅲ선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XXXIX-XXXIX선 단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제1 및 제2 승강끈, 유지체, 멈춤 부재, 유지 롤러, 인장 스프링의 각 관계를 도시한 일부 단면 확대 정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측면도로서, 제1 및 제2 승강끈, 세로틀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각도 조정 제동끈, 유지체, 멈춤 부재, 유지 롤러, 인장 스프링의 각 관계를 도시한 일부 단면 확대 정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측면도로서, 각도 조정 제동끈, 세로틀을 생략한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조작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확대 후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XXXXⅤ-XXXXⅤ선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44의 XXXXⅥ-XXXXⅥ선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4의 승강 조작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조작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일 부 절개 확대 후면도이다.
도 49는 도 48의 XXXXⅨ-XXXXⅨ선 단면도이다.
도 50은 도 48의 XXXXX-XXXXX선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48의 승강 조작체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2는 도 48의 승강 조작체를 분해하여 도시한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53은 도 48에 도시한 승강 조작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확대 후면도이다.
도 54는 도 53의 승강 조작체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각도 조정 조작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확대 후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의 승강 제동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57은 도 56의 승강 제동체를 도시한 일부 절개 분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1A……블라인드,
2, 2A……지지틀,
2a, 2b……세로틀,
3……유리판(투명판),
4……탄성 걸림 부재,
5……블라인드 본체,
5a……블레이드,
6, 6A……승강 기구,
7, 7A……각도 조정 기구,
8, 8A, 8B……승강 제동체,
9, 9A, 9B, 9C, 9D……승강 조작체,
9C1, 9D1……본체 홀더,
9C2, 9D2……승강 조작체의 본체,
10, 10A……측커버,
11……상부 커버,
12……공간,
13……제1 승강끈,
14……제2 승강끈,
15……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16……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
17, 17A……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
18, 18A……각도 조정 제동체,
19, 19A, 19B……각도 조정 조작체,
19B1……본체 홀더,
19B2……각도 조정 조작체의 본체,
20, 20……인장 스프링(탄성체),
21……압력 조정용 봉재,
22, 22A……회전축,
23……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24……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25, 25A……각도 조정 제동 롤러,
26……제1 각도 조정끈,
27……제2 각도 조정끈,
28, 28A……각도 조정 제동끈,
29, 129……유지 롤러,
30……제1 롤러틀,
31……제2 롤러틀,
32……제3 롤러틀(외측의 롤러틀),
32A……제4 롤러틀(외측의 롤러틀),
33, 133……유지 롤러,
34, 134……유지체,
38……주행 롤러,
40……보조 주행 롤러,
42……자성판,
43……승강 제동체의 마그넷(자기적 흡인 부재),
44……승강 조작체의 마그넷(자기적 흡인 부재),
45……롤러,
46, 46A1, 46A2……가이드 레일,
48, 148……유지체,
51, 151……인장 스프링(탄성체),
52, 152……멈춤 부재,
53, 153……자성판,
54, 55, 154……위치 유지판,
138……주행 롤러,
140……보조 주행 롤러,
142……자성판,
143……각도 조정 제동체의 마그넷(자기적 흡인 부재),
144……각도 조정 조작체의 마그넷(자기적 흡인 부재),
D……도어

Claims (18)

  1. 지지틀, 이 지지틀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되어 있는 블라인드 본체, 상기 블레이드의 승강 기구, 상기 블레이드의 각도 조정 기구, 상기 승강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승강 제동체 및 승강 조작체, 상기 각도 조정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각도 조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조작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틀은 본체가 좌우의 세로틀과 상하의 가로틀을 조합한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정면 및 후면의 양측으로부터 투명판에 의해 끼인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승강 기구는 상기 블레이드를 승강하기 위한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과,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와,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각도 조정 기구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에 부착되어 있는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각도 조정 제동 롤러와, 상기 각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과, 각도 조정 제동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승강 제동체에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틀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 상하 방향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승강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승강 조작체에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투명판 중 일측의 투명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승강 제동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승강 제동체와 서로 자기력에 의해 서로 흡인하여 일체의 관계에 있으며, 상기 일측의 투명판의 외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틀 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이 상하 방향의 이동을 통하여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각도 조정 조작체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 투명판 중 일측의 투명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와 서로 자기력에 의해 서로 흡인하여 일체의 관계에 있으며, 상기 일측의 투명판의 외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승강끈은 상기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로부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2 승강끈은 상기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로부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은 모두 쌍을 이루는 끈부로 이루어지고,
    양 끈부는 상기 각 블레이드의 폭방향의 양측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에 각각 감겨져 있고,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은 상기 각도 조정 제동 롤러에 감겨지고, 각도 조정 제동 롤러를 거쳐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 중 어느 하나의 승강 동력 전달 롤러의 외측에 인접하게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가 배치되어 있고,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중 어느 하나의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의 외측으로서,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와 동일한 측에 각도 조정 제동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 중 어느 하나의 승강 동력 전달 롤러의 외측에 인접하게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가 배치되어 있고,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중 어느 하나의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의 외측으로서,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와 반대측의 위치에 각도 조정 제동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사이에 두고 양 외측에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가 배치되어 있고,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를 사이에 두고 양 외측에 각도 조정 제동 롤러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은 상기 일측의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하방의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은 타측의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측에 위치한 상기 각도 조정 제동 롤러로부터 하방의 각도 조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 기구는 블라인드 본체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틀 내부에는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각도 조정 제동 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의 내측 바닥부에는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부착하고, 상기 제3 롤러틀의 내측 바닥부에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측부에 각각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 중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바닥부에는 상기 블라인드 본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쳐져 있는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과,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을 각각 롤러틀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 구멍(안내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제3 롤러틀의 바닥부에는 상기 제1 승강끈, 제2 승강끈 및 각도 조정 제동끈을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 안은 칸막이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이 지나는 가이드 통로(안내 통로)와,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이 지나는 가이드 통로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1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1 롤러틀 내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의 가이드 통로를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고 있고,
    상기 제2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2 롤러틀 내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의 가이드 통로를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부로 상기 각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에 각각 감겨져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은 상기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의 상기 가이드 통로를 지나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 기구는 블라인드 본체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틀 내부에는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각도 조정 제동 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의 내측 바닥부에는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부착하고, 상기 제3 롤러틀의 내측 바닥부에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측부에 각각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 중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바닥부에는 상기 블라인드 본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쳐져 있는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과,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을 각각 롤러틀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제3 롤러틀의 바닥부에는 상기 제1 승강끈, 제2 승강끈 및 각도 조정 제동끈을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 안은 칸막이에 의해 제1 가이드 통로, 제2 가이드 통로, 제3 가이드 통로 및 제4 가이드 통로로 각각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1 가이드 통로는 상기 제1 승강끈이 통과 가능하고, 상기 제2 가이드 통로는 상기 제2 승강끈이 통과 가능하고, 상기 제3 가이드 통로는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의 일측의 끈부가 통과 가능하고, 상기 제4 가이드 통로는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의 타측의 끈부가 통과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1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1 롤러틀 내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상기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의 상기 제1 가이드 통로를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2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2 롤러틀 내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의 상기 제2 가이드 통로를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부로 각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에 각각 감겨져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의 일측의 끈부는 상기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의 상기 제3 가이드 통로를 통과하고, 타측의 끈부는 상기 제4 가이드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제1 승강끈이 통과 가능한 제1, 제2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2 승강끈이 통과 가능한 제2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 기구는 블라인드 본체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은 상기 제3 롤러틀과 제4 롤러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롤러틀에는 제4 롤러틀이, 상기 제2 롤러틀에는 제3 롤러틀이 각각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부에는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4 롤러틀의 내부에는 각도 조정 제동 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측 바닥부에는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각각 부착하고, 상기 제3 롤러틀 내측 바닥부에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측부에 각각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제1 및 제2 롤러틀의 각 바닥부에는 상기 블라인드 본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쳐져 있는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과,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을 각각 각 롤러틀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제3 롤러틀의 바닥부에는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을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4 롤러틀의 바닥부에는 각도 조정 제동끈을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1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내부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2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2 롤러틀 내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부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에 각각 감겨져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은 각도 조정 제동 롤러로부터 상기 제4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9. 제 4 항에 있어서, 승강 기구는 블라인드 본체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은 제3 롤러틀과 제4 롤러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롤러틀에는 제4 롤러틀이, 상기 제2 롤러틀에는 제3 롤러틀이 각각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부에는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의 내부에는 각도 조정 제동 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측 바닥부에는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각각 부착하고, 상기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의 각 틀 내측 바닥부에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의 측부에 각각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제1 및 제2 롤러틀의 각 바닥부에는 상기 블라인드 본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쳐져 있는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과,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을 각각 각 롤러틀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제3 롤러틀의 바닥부에는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을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4 롤러틀의 바닥부에는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을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은 상기 각도 조정 제동 롤러에 둘둘 감길 수 있는 각도 조정 제동끈을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4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은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에 둘둘 감길수 있는 제1 및 제2 승강끈을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1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상기 제1 롤러틀 내부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2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2 롤러틀 내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부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에 각각 감겨져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은 각도 조정 제동 롤러로부터 상기 제4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0. 제 4 항에 있어서, 승강 기구는 블라인드 본체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은 제3 롤러틀과 제4 롤러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롤러틀에는 제4 롤러틀이, 상기 제2 롤러틀에는 제3 롤러틀이 각각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부에는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의 내부에는 각도 조정 제동 롤러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상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측 바닥부에는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각각 부착하고, 상기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의 각 틀 내측 바닥부에는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의 측부에는 각각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이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 중 제1 및 제2 롤러틀의 각 바닥부에는 상기 블라인드 본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쳐져 있는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과,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을 각각 각 롤러틀 내부로 유도하는 가이드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제3 롤러틀의 바닥부에는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을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4 롤러틀의 바닥부에는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을 하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은 상기 각도 조정 제동 롤러에 둘둘 감길 수 있는 각도 조정 제동끈을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4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은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에 둘둘 감길 수 있는 제1 및 제2 승강끈을 하방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의 각 가이드 구멍 안은 칸막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승강끈이 통과 가능한 가이드 통로와,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이 통과 가능한 가이드 통로로 각각 구획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제3 롤러틀 및 제4 롤러틀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1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상기 제1 롤러틀 내부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상기 제1 롤러틀,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2 승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2 롤러틀 내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제2 승강 동력 전달 롤러를 거쳐 제2 롤러틀 및 제3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을 관통하며, 상기 승강 동력 전달 중간 롤러를 거쳐 제3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고,
    상기 제1 각도 조정끈 및 제2 각도 조정끈은 상기 블라인드 본체로부터 제1 롤러틀 및 제2 롤러틀의 각 틀 내부로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유도되고, 상기 제1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 및 제2 각도 조정 동력 전달 롤러에 각각 감겨져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정 제동끈은 각도 조정 제동 롤러로부터 상기 제4 롤러틀의 가이드 구멍을 지나 상기 각도 조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제1 승강끈이 통과 가능한 제1, 제2, 제3 및 제4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2 승강끈이 통과 가능한 제1, 제2, 제3 및 제4 롤러틀의 각 관통구멍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틀에는 유지 롤러를 갖는 유지체가 간격을 두고 각각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일측의 유지 롤러에는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이 감겨져 승강 제동체에 접속되고, 상기 타측의 유지 롤러에는 각도 조정 제동끈이 감겨져 각도 조정 제동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유지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유지체와, 승강 제동체 및 각도 조정 제동체 중 적어도 승강 제동체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유지체에 대하여 인장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유지 롤러에는 유지 롤러에 대응한 상기 승강 제동체로 유도되어 있는 상기 제1 승강끈 및 제2 승강끈이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투명판 사이로서 지지틀의 외주 전체는 탄성 걸림 부재로 피복되고,
    상기 탄성 걸림 부재는 상기 지지틀 내를 밀폐하고 있고,
    상기 탄성 걸림 부재에 압력 조정용 봉재가 관통되어 있으며,
    이 압력 조정용 봉재는 상기 탄성 걸림 부재의 외측으로부터 지지틀 내에 도달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5.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제동체에는 주행 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주행 롤러를 통하여 지지틀 내를 이동 가능하고,
    승강 조작체에는 주행 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주행 롤러를 통하여 일측의 투명판 상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6.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조작체는 본체 홀더와 본체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하고 있고,
    상기 본체 홀더에는 상기 본체를 수납 유지하는 수납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상기 자성판과, 이 자성판 상에 흡착되어 있는 자기적 흡인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자기적 흡인 부재를 사이에 두고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도 조정 조작체는 본체 홀더와 본체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하고 있고,
    상기 본체 홀더에는 상기 본체를 수납 유지하는 수납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상기 자성판과, 이 자성판 상에 흡착되어 있는 자기적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1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 제동체는 본체 홀더와 본체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하고 있고,
    상기 본체 홀더에는 상기 본체를 수납 유지하는 수납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상기 자성판과, 이 자성판 상에 흡착되어 있는 자기적 흡인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자기적 흡인 부재를 사이에 두고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1020080079387A 2007-08-31 2008-08-13 블라인드 KR101019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25201 2007-08-31
JP2007225201A JP5102563B2 (ja) 2007-08-31 2007-08-31 ブライン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114A KR20090023114A (ko) 2009-03-04
KR101019119B1 true KR101019119B1 (ko) 2011-03-07

Family

ID=4042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387A KR101019119B1 (ko) 2007-08-31 2008-08-13 블라인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02563B2 (ko)
KR (1) KR101019119B1 (ko)
CN (1) CN1013771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08A (ko) 2020-05-08 2021-11-17 이주익 가변형 칸막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851B1 (ko) * 2007-09-10 2008-01-21 심충섭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CN102369334B (zh) * 2009-04-28 2014-07-23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横式百叶窗的叶片驱动装置
CN102242599B (zh) * 2011-03-17 2013-01-23 厦门市意西欧节能建材有限公司 一种单手柄磁控内置百叶中空玻璃
KR101139294B1 (ko) * 2012-01-13 2012-07-12 (주) 코인씨앤엠 블라인드 장치
JP5763010B2 (ja) * 2012-05-18 2015-08-12 林 世明 カーテン紐案内輪の紐案内構造
CN105952357A (zh) * 2016-05-19 2016-09-21 巢湖市海风门窗有限公司 一种用于高纬度地区的内置百叶中空玻璃
NL2016918B1 (en) * 2016-06-08 2017-12-18 Mare Beheer B V Venetian blind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venetian blind
CN108825101A (zh) * 2018-07-25 2018-11-16 江苏赛迪乐节能科技有限公司 单边操控双层中空玻璃内置百叶窗
CN110656875A (zh) * 2019-10-12 2020-01-07 陈小建 一种中空玻璃内置百叶帘调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274B1 (ko) 2002-06-20 2005-09-27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KR100522357B1 (ko) 2003-09-26 2005-11-09 주식회사 윈스피아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KR100731987B1 (ko) 2006-12-05 2007-06-25 주식회사 오티케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KR20070078765A (ko) * 2007-07-13 2007-08-01 양혜숙 복수의 블라인드 조립체를 구비한 단열창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9415B2 (ja) * 1992-11-18 1998-06-25 株式会社ニチベイ 複層ガラス内蔵ブラインド装置
CN2217094Y (zh) * 1995-03-17 1996-01-10 粘铭 一种横式百叶窗
CN2271602Y (zh) * 1996-10-29 1997-12-31 郭进旺 多功能百叶窗
JP2000199389A (ja) * 1999-01-06 2000-07-18 Tostem Corp 遮蔽体内蔵複層ガラス
CN2656592Y (zh) * 2003-08-06 2004-11-17 立森(博罗)木器有限公司 一种百叶窗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274B1 (ko) 2002-06-20 2005-09-27 니엔 메이드 엔터프라이즈 코오퍼레이션 블라인드의 클러치 전동 기구
KR100522357B1 (ko) 2003-09-26 2005-11-09 주식회사 윈스피아 내장형 전동 블라인드 장치
KR100731987B1 (ko) 2006-12-05 2007-06-25 주식회사 오티케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KR20070078765A (ko) * 2007-07-13 2007-08-01 양혜숙 복수의 블라인드 조립체를 구비한 단열창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08A (ko) 2020-05-08 2021-11-17 이주익 가변형 칸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57733A (ja) 2009-03-19
CN101377116A (zh) 2009-03-04
KR20090023114A (ko) 2009-03-04
JP5102563B2 (ja) 2012-12-19
CN101377116B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119B1 (ko) 블라인드
US6601633B2 (en) Insulated glass blind assembly
US6289963B1 (en) Dual closure system for overhead doors
CN110821056A (zh) 天窗复位装置
JP4081502B1 (ja) ブラインド
JP2009287303A (ja) ブラインド用動作制御具及びブラインド用動作制御装置
KR20040040340A (ko) 블라인드 장치
CN214835981U (zh) 具有百叶帘升降平衡功能的双操控中空玻璃内置百叶窗
JP2011132806A (ja) ブラインド装置と窓枠との構造
CN211817469U (zh) 天窗复位装置
CN113006673A (zh) 具有百叶帘升降平衡功能的中空玻璃内置百叶窗
KR102001905B1 (ko) 엘리베이터용 상하개폐식 도어의 구동시스템
KR100295777B1 (ko) 시트셔터
JP2017222471A (ja) 乗りかごドア気密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KR20100008133U (ko) 도어의 자동 방풍 장치
KR101960931B1 (ko) 화물용 승강기의 도어 연동장치
CN111395934B (zh) 百叶窗窗体结构
CN214835980U (zh) 具有百叶帘升降平衡功能的单操控中空玻璃内置百叶窗
SU1127830A1 (ru) Шахтный подъемник
CN219098448U (zh) 一种施工升降机
JPH05132272A (ja) エレベータ
KR100271023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개폐장치
CN219510722U (zh) 一种泳池灯
WO2019058016A1 (en) CLOSURE ARRANGEMENT FOR ELEVATOR PALLET DOOR
KR102579851B1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