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294B1 -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294B1
KR101139294B1 KR1020120004298A KR20120004298A KR101139294B1 KR 101139294 B1 KR101139294 B1 KR 101139294B1 KR 1020120004298 A KR1020120004298 A KR 1020120004298A KR 20120004298 A KR20120004298 A KR 20120004298A KR 101139294 B1 KR101139294 B1 KR 10113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lind
rotating body
pipe
ratche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인씨앤엠 filed Critical (주) 코인씨앤엠
Priority to KR1020120004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294B1/ko
Priority to PCT/KR2012/001406 priority patent/WO201310569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47Parallel screens
    • E06B2009/2458Parallel screens moving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전, 후면시트 사이에 불투명한 차양시트가 설치되는 블라인드시트와, 전, 후면시트에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형성되는 블라인드시트의 빛의 차단 정도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절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조절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게 하는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장치{BLINDS APPARATUS}
본 발명은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한 전, 후면시트 사이에 불투명한 차양시트가 설치되는 블라인드시트와, 전, 후면시트에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형성되는 블라인드시트의 빛의 차단 정도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조절되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조절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게 하는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0936113호(2010년 01월 11일 공고)에는 투명한 전, 후면시트 사이에 불투명한 차양시트가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 상, 하 이격되어 설치되는 블라인드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블라인드시트는 차양시트가 전, 후면시트와 나란히 겹쳐지게 되면 빛이 차단되고, 차양시트가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면, 빛이 최대한 통과되는데, 차양시트가 전, 후면시트에 겹쳐지는 정도에 따라 빛의 차단 정도가 조절되고, 외부를 볼 수 있는 정도가 조절된다.
종래 가이드봉에 의해 블라인드 시트가 하우징의 시트 접착부에 부착되게 하여, 개방부만이 정면으로 위치되게 하는 트리플 블라인드 장치가 대한민국 특허 제1048677호(2010년 10월 27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가이드봉이 원래 상태로 복원될 때 블라인드 시트가 시트 접착부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려 함으로써, 사용자가 떼어 내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편리하게 빛의 차단 정도를 조절되게 하고, 둘째,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는 투명한 전, 후면시트(212)(214) 사이에 불투명한 차양시트(216)가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적층되는 블라인드시트(210)가 구동부(100)의 작동줄(124)에 의해 정, 역회전되는 시트파이프(200)에 감겨지게 되고, 상기 작동줄(124)의 담김 동작에 따라 블라인드시트(210)가 풀려서 내려오게 되거나 또는 되 감겨서 올라가게 되는 블라인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00)에서 공회전 되는 제2회전체(130)에 틸팅파이프(300)가 축설되게 하는 한편, 제2회전체(130)가 제동레버(150)에 의해 일시적으로 회전이 멈추게 하고, 시트파이프(200)에서 풀려져 내려온 블라인드시트(210)의 전면시트(212)가 틸팅파이프(300)에 의해 정지 또는 회전되게 하여 후면시트(214)와 함께 회전되게 하면 후면시트(214)를 시트파이프(200)에 되 감겨 올라가게 하거나 풀려서 내려오게 하여 차양시트(216)가 전, 후면시트(212)(214)에 겹쳐지는 정도가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파이프(300)는 내부체(301)의 외부면에 마찰부재로 되는 외부체(302)가 동일 중심을 이루게 되고, 시트파이프(200)의 중심부 보다 높게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틸팅파이프(300)는 롤러(12a)가 축설되는 롤러브래킷(12)에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100)는 래칫휠디스크(122)의 일 측면에는 래칫휠(122a)이, 타측면에는 작동줄(124)이 감기는 작동줄회전체(124a)가 형성되고, 단부에 제1회전체커버(120a)가 결합되며, 케이스(102)의 측면판(106)에 축설되는 제1회전체(120); 제1 및 제2걸림턱(142a)(142b)이 일정 각도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편, "L"자 형상의 제동부재홈(144)이 형성되는 가이드링(142)이 일 측면에 형성되고, 중앙에 래칫휠(122a)이 위치하는 구멍(140a)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반원리브(146)가 형성되는 제동디스크(140); 몸체(162)와 돌기(164)가 "L"자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제동부재홈(144)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제동부재(160); 폴몸체(152) 상단부에 폴(152a)이 형성되는 한편, 폴(152a)의 앞쪽 하부에는 힌지구멍(152b)이 형성되고, 아래쪽에는 푸싱디스크(152d)가 형성되며, 폴몸체(152)의 하단부에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바(154)의 단부에 제동돌기(156)가 돌출 형성되는 한편, 케이스(102)의 측면판(106)에 형성되는 힌지보스(106b)에 상기 힌지구멍(152b)이 축설되는 제동레버(150); 일단에는 결합돌기(134)가 타단에는 래칫휠(132)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래칫휠(132)에는 축(132a)이 형성되어 케이스(102)의 측면판(106)에 축설되는 제2회전체(130); 및 상기 결합돌기(134)와 제1회전체(120)가 통과되는 구멍(112)(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142a)(142b)이 걸림 되는 멈춤턱(116a)을 갖는 멈춤링(116)이 상기 구멍(114)과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커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회전체(120)의 제1회전체커버(120a)는 시트파이프(200)에, 상기 결합돌기(134)는 틸팅파이프(300)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시트(220)는 전면시트(222)와 후면시트(224)에 투명부(226a)와 불투명부(226b)가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상, 하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레버(150)의 폴몸체(152)에 반원리브(152c)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동디스크(140)의 외주면에 반원리브(146)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동레버(150)의 폴(152a)이 제2회전체(130)의 래칫휠(132)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줄(124)의 당김에 의해 블라인드시트(210)(220)가 풀려서 내려오게 되거나 또는 되 감기게 되고, 제동레버(150)의 폴(152a)이 래칫휠(13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틸팅파이프(300)가 정지된 상태로 블라인드시트(210)(220)의 전면시트(212)(222)가 틸팅파이프(300)의 외부체(302)에 고정되는 동시에 작동줄(124-1)의 당김에 의해 제동디스크(140)가 회전될 수 있는 거리만큼 후면시트(214)(224)가 시트파이프(200)에서 풀려서 내려오게 되어 차양시트(216) 또는 불투명시트(226b)에 의해 차양 정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빛이 차단된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빛이 통과되는 상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일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일 측면도로써, 블라인드시트가 시트파이프에서 풀리거나 감길 수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제동디스크와 커버의 멈춤링과의 결합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일 측면도로써, 블라인드시트의 차양시트가 틸팅 되는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제동디스크와 커버의 멈춤링과의 결합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다른 실시예로써, 블라인드시트의 차양시트가 틸팅 되는 상태의 예시도 이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블라인드 장치는 헤드레일(10)의 일 측에 구동부(100)가 설치되고, 내부에 시트파이프(200)와, 틸팅파이프(300)가 설치된다.
상기 헤드레일(10)은 천장에 설치되고, 도 3 도시와 같이 내부에는 롤러브래킷(12)이 다수개 일정간격 형성되어 상기 틸팅파이프(300)를 받쳐주게 되는데, 롤러브래킷(12)의 상부에 롤러(12a)가 축설되어 틸팅파이프(300)가 원활하게 회전 동작되게 한다.
상기 구동부(100)는 시트파이프(200)와 틸팅파이프(300)가 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회전이 멈춤 되게 한다.
상기 구동부(100)는 도 4 및 도 5 도시와 같이 제1회전체(120), 제2회전체(130), 제동디스크(140), 제동레버(150), 제동부재(150)로 구성되고, 커버(110)를 구비하는 케이스(102)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110)는 상기 제2회전체(130)의 결합돌기(134)와, 상기 제1회전체(120)가 통과되는 구멍(112)(114)이 형성되고, 멈춤링(116)이 형성된다.
상기 멈춤링(116)은 상기 구멍(115)과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내측면에 형성되고, 멈춤링(116)의 단부에는 상기 제동디스크(140)의 제1 및 제2걸림턱(142a)(142b)이 걸림 되는 멈춤턱(116a)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2)는 측면판(106)의 앞쪽에는 전면판(104)이 형성되고, 뒤쪽에는 후면판(108)이 형성되며, 측면판(106)과 마주보는 쪽에는 상기 커버(1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2)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하부로 작동줄(124)이 내려가게 된다.
상기 제1회전체(120)는 작동줄(124)이 감기는 작동줄회전체(124a)의 일 측면에 일체로 되는 래칫휠디스크(122)의 중심에서 돌출 형성되는데, 래칫휠디스크(122)와 면접하는 둘레면에 래칫휠(122a)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106)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며, 단부에는 상기 시트파이프(200)에 삽입되는 제1회전체커버(120a)가 결합된다.
상기 제1회전체(120)의 작동줄회전체(124a), 래칫휠디스크(122), 래칫휠(122a) 그리고 제1회전체커버(120a)는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상기 시트파이프(200)가 회전 동작되게 한다.
상기 제2회전체(130)는 축(132a)을 갖는 래칫휠(132)과 결합돌기(134)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132a)이 상기 케이스(102)의 측면판(106)에 형성된 구멍(106a)에 축설된다.
상기 결합돌기(134)는 십자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십자형상의 홈을 갖는 틸팅파이프(300)에 결합된다.
상기 제동디스크(140)는 중앙에 상기 제1회전체(120)의 래칫휠(122a)이 위치하게 되는 구멍(140a)이 형성되고, 구멍(140a) 주변에 가이드링(14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반원리브(14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142)의 외주면에는 제1걸림턱(142a)과 제2걸림턱(142b)이 일정한 각도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제2걸림턱(142b)에 인접하여 "L"자 형상의 제동부재홈(144)이 형성된다.
상기 제동부재홈(144)은 상기 구멍(140a)에 인접하게 되는 래칫휠(122a)을 향하게 되는 출입구멍(144b)이 형성되고, 이 출입구멍(144b)의 상부에는 핀(144a)이 래칫휠(122a)의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동레버(150)는 수직상의 폴몸체(152) 상단부의 일 측면에 폴(152a)이 형성되고, 폴(152a)의 하부에 힌지구멍(152b)과, 반원리브(152c)가 좌, 우로 나란히 형성되며, 힌지구멍(152b)과 반원리브(152c)의 하부에 푸싱디크스(152d)가 형성된다.
상기 폴몸체(152)의 하부에는 수평상으로 연결바(154)가 형성되는데, 이 연결바(154)의 단부에는 제동돌기(156)가 제1회전체(120)와 동일한 방향을 이루면서 돌출 형성되고, 상부면에 직선면(154a)과 원호면(154b)이 연속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동레버(150)는 폴몸체(152)와 연결바(154)가 "L"자 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힌지구멍(152b)에 상기 케이스(102)의 측면판(106)에 형성된 힌지보스(106b)가 삽입되어 힌지된다.
상기 제동부재(160)는 수직상의 몸체(162)의 하부에 수평상의 돌기(164)가 일체로 되는데, 몸체(162)와 돌기(164)가 "L"자 형상을 이루게 되고, 몸체(162)의 측면에 홈(162a)이 형성되며, 이 홈(162a)에 스프링(162b)이 삽입된다.
상기 제동부재(160)는 상기 제동부재홈(144)에 결합되는데, 상기 스프링(162b)이 상기 핀(144a)의 주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홈(162a)이 상기 핀(144a)에 삽입되어 스프링(144a)의 탄성에 의해 전, 후진 동작되며, 상기 돌기(145)가 상기 출입구멍(144b)에 위치된다.
상기 시트파이프(200)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고, 일 측에는 제1회전체(120)의 제1회전체커버(120a)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타측에는 공회전되는 축이 결합된다.
상기 틸팅파이프(300)는 관체로 되는 내부체(301)의 외부에 마찰부재로 되는 외부체(302)가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결합되고, 일 측에는 제2회전체(130)의 결합돌기(134)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타측에는 공회전되는 축이 결합된다.
상기에 있어 틸팅파이프(300)는 시트파이프(200)와 평행하게 위치되는데, 시트파이프(200) 보다 높게 위치되게 하여, 시트파이프(200)에서 블라인드시트(210)가 풀려서 내려오거나 되 감겨 올라갈 때 마찰력이 증대하게 된다.
상기 시트파이프(200)에는 블라인드시트(210)가 감겨지게 되고, 블라인드시트(210)는 틸팅파이프(300)를 경유하여 풀려서 내려오게 되거나 또는 되 감기게 된다.
상기 블라인드시트(210)는 투명한 전면시트(212)와 투명한 후면시트(214) 사이에 불투명한 차양시트(216)가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 상, 하 이격되어 적층되고, 하부에는 웨이트바(218)가 결합되며, 상기 시트파이프(200)에 감겨져 있다가 상기 틸팅파이프(300)를 경유하여 풀려서 내려오게 되거나 또는 되 감기게 된다.
상기에 있어, 블라인드시트(220)는 도 10 도시와 같이 전면시트(222)와 후면시트(224)의 가로방향으로 투명부(226a)와 불투명부(226b)가 배열 형성되고, 하부에 웨이트바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블라인드시트(210)는 차양시트(216)에 의해 빛의 차단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블라인드시트(220)는 불투명부(226b)에 의해 빛의 차단 정도가 조절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1회전체(120)의 작동줄회전체(124a)에 작동줄(124)이 감기게 되고, 래칫휠디스크(122)에 제동디스크(140)가 결합되며, 제동디스크(140)의 제동부재홈(144)에 제동부재(1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110)의 멈춤턱(116a)은 제1걸림턱(142a)의 오른쪽에 위치하게 되고, 커버(110)의 구멍(114)을 통과하는 제1회전체(120)에는 제1회전체커버(120a)가 결합되며, 제1회전체커버(120a)는 시트파이프(200)에 결합된다.
상기 제동디스크(140)의 일 측에는 제동레버(150)가 위치하여 설치되고, 제동레버(150)의 폴(152a) 일 측에는 제2회전체(130)가 위치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2회전체(130)의 결합돌기(134)는 커버(110)의 구멍(112)을 통과하여 틸팅파이프(300)의 내부(301)에 결합된다.
상기에 있어, 작동줄(124-1)은 제동레버(150)의 푸싱디스크(152d)와 제동돌기(156) 사이에 위치되고, 작동줄(124-2)은 케이스(102)의 전면판(104) 내측에 위치된다.
도 6 및 도 7 도시와 같은 상태에서는 작동줄(124-1 또는 124-2)을 자유롭게 당길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작동줄(124-1)을 당기면 제1회전체(12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시트파이프(200)에 감겨진 블라인드시트(210)(220)가 풀려서 내려오게 되고, 작동줄(124-2)을 당기면 제1회전체(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풀려서 내려온 블라인드시트(210)(220)가 되 감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는 제동부재(160)의 돌기(164)가 제1회전체(120)의 래칫휠(122a)을 간섭하지 않는 한편, 제동레버(150)의 폴(152a)이 제2회전체(130)의 래칫휠(132)을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블라인드시트(210)(220)가 틸팅파이프(300)를 경유하여 내려오게 하거나 또는 되 감기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있어, 시트파이프(200)에 감겨져 있는 블라인드시트(210)(220)는 항상 틸팅파이프(300)의 외부체(302)를 경유하여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파이프(200)에 감겨져 있는 블라인드시트(210)(220)가 풀려져 내려오게 한 상태에서 틸팅을 하게 되는데, 도 8 도시와 같이 제1작동줄(124-1)을 사용자의 방향으로 당기면 된다.
즉, 제1작동줄(124-1)을 사용자의 방향으로 당기면, 제1작동줄(124-1)이 제동레버(150)의 제동돌기(156)를 사용자의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데, 이때 제동레버(150)는 힌지보스(106b)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연결바(154)의 원호면(145b)이 제동디스크(140)의 외주면에 면접되며, 폴(152a)이 제2회전체(130)의 래칫휠(132)에 결합되어 제2회전체(130)가 회전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어서 푸싱디스크(152d)가 제동부재(160)를 밀어 제동부재(160)의 돌기(164)가 출입구멍(144b)을 통해 래칫휠(122a)에 결합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작동줄(124-1)을 더 당기게 되면, 제1회전체(120)가 회전을 하게 되는데, 래칫휠(122a)에 결합된 제동부재(160)도 함께 회전을 하면서 도 9 도시와 같이 커버(110)의 멈춤링(116) 내주면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동디스크(140)의 제2걸림턱(142b)이 커버(110)의 멈춤링(116)에 형성된 멈춤턱(116a)에 의해 멈춤 될 때까지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는 제동부재(160)의 돌기(164)가 래칫휠(122a)에 결합되어 제1회전체(120)가 회전동작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멈춤턱(116a)에 의해 멈춤 될 때까지의 회전되는 거리만큼 후면시트(214)(224)만이 더 풀려 내려가게 되어 차양시트(216) 또는 불투명시트(226b)에 의해 빛의 차단 정도가 조절된다.
상기 제동디스크(140)는 상기와 같이 제동부재(162)의 돌기(164)가 래칫휠(122a)에 결합되었을 때만 회전을 하게 되고, 돌기(164)가 래칫휠(122a)에서 이탈 되었을 때는 제1회전체(120), 작동줄회전체(124a)와 래칫휠(122a)만이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 전면시트(212)(222)는 틸팅파이프(300)의 마찰부재로 된 외부체(302)에 의해 멈추게 되고, 상기 후면시트(214)(224)는 전면시트(212)(222)에 미끄러져서 더 풀려 내려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도 11 도시와 같이 제동레버(150)의 반원리브(152c)와 제동디스크(140)의 반원리브(146)가 맞닿은 상태로, 외부 환경적 요인인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제동레버(150)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빛의 차단 정도가 조절되게 한 후 블라인드시트(210)(220)를 되감을 때에는 제2작동줄(124-2)로 제동레버(150)의 제동돌기(156)를 밀어서 제동레버(15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하면 되는데, 래칫휠(132)에서 폴(152a)이 이탈되고, 커버(110)의 멈춤턱(116a)에 제2걸림턱(142b)이 멈춤 되었던 제동디스크(14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되어 블라인드시트(210)(220)를 되감을 수 있게 되며, 되감는 과정에서 제동부재(160)의 돌기(164)가 래칫휠(122a)에서 이탈되어 제1작동줄(124-1)을 당겨 블라인드시트(210)(220)가 풀려서 내려오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헤드레일 12 : 롤러브래킷
12a : 롤러 100 : 구동부
102 : 케이스 106a.112,114 : 구멍
106b : 힌지보스 108 : 후면판
110 : 커버 116 : 멈춤링
116a : 멈춤턱 120 : 제1회전체
122 : 래칫휠디스크 122a,132 : 래칫휠
124 : 작동줄 124a : 작동줄회전체
130 : 제2회전체 132a : 축
134 : 결합돌기 140 : 제동디스크
142 : 가이드링 142a : 걸림턱
144 : 제동부재홈 144a : 핀
144b : 출입구멍 146,152c : 반원리브
150 : 제동레버 152 : 폴몸체
152a : 폴 152b : 힌지구멍
152d : 푸싱디스크 154 : 연결바
154a : 직선면 154b : 원호면
156 : 제동돌기 160 : 제동부재
162 : 몸체 162a : 홈
162b : 스프링 164 : 돌기
200 : 시트파이프 210,220 : 블라인드시트
212,222 : 전면시트 214,224 : 후면시트
216 : 차양시트 218 : 웨이트바
226a : 투명부 226b : 불투명부
300 : 틸팅파이프 301 : 내부체
302 : 외부체

Claims (6)

  1. 투명한 전, 후면시트로 구성된 블라인드시트가 작동줄에 의해 정, 역회전되는 시트파이프에 감겨지게 되고, 작동줄의 담김 동작에 따라 블라인드시트가 풀려서 내려오게 되거나 또는 되 감겨서 올라가게 되는 블라인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파이프의 일 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블라인드시트가 풀려서 내려오는 것과 감겨서 올라가는 것을 공회전 되어 가이드 하는 틸팅파이프;
    상기 작동줄에 의하여 동작되어 공회전되는 틸팅파이프를 제동시켜 블라인드시트 중 전면시트의 이송이 마찰 정지되게 하고 후면시트는 전면시트에 대하여 미끄러져 이송되게 하여 블라인드시트의 전, 후면시트의 겹쳐지는 정도가 조절되어 차광과 투광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동레버;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파이프는 내부체의 외부면에 마찰부재로 되는 외부체가 동일 중심을 이루게 되고, 시트파이프의 중심부 보다 높게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파이프는 롤러가 축설되는 롤러브래킷에 지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부는 래칫휠디스크의 일 측면에는 래칫휠이, 타측면에는 작동줄이 감기는 작동줄회전체가 형성되고, 단부에 제1회전체커버가 결합되며, 케이스의 측면판에 축설되는 제1회전체;
    제1 및 제2걸림턱이 일정 각도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제동부재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링이 일 측면에 형성되고, 중앙에 래칫휠이 위치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제동디스크;
    몸체에 돌기가 형성되고, 제동부재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제동부재;
    폴몸체 상단부에 폴이 형성되고, 폴의 앞쪽 하부에는 힌지구멍이 형성되고, 아래쪽에는 푸싱디스크가 형성되며, 폴몸체의 하단부에 수평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바의 단부에 제동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케이스의 측면판에 형성되는 힌지보스에 상기 힌지구멍이 축설되는 제동레버;
    일단에는 결합돌기가 타단에는 래칫휠이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래칫휠에는 축이 형성되어 케이스의 측면판에 축설되는 제2회전체; 및
    상기 결합돌기와 제1회전체가 통과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걸림턱이 걸림 되는 멈춤턱이 형성되는 멈춤링이 구멍과 동일 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회전체의 제1회전체커버는 시트파이프에, 결합돌기는 틸팅파이프에 각각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시트는 전면시트와 후면시트에 투명부와 불투명부가 횡방향으로 일정간격 상, 하로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레버의 반원리브가 형성되게 하되, 제동디스크에 인접하는 폴몸체에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동디스크의 외주면에 반원리브가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20120004298A 2012-01-13 2012-01-13 블라인드 장치 KR10113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98A KR101139294B1 (ko) 2012-01-13 2012-01-13 블라인드 장치
PCT/KR2012/001406 WO2013105694A1 (ko) 2012-01-13 2012-02-23 블라인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98A KR101139294B1 (ko) 2012-01-13 2012-01-13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294B1 true KR101139294B1 (ko) 2012-07-12

Family

ID=4671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298A KR101139294B1 (ko) 2012-01-13 2012-01-13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9294B1 (ko)
WO (1) WO20131056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86B1 (ko) 2013-05-22 2013-11-13 주식회사 코인 전동식 틸팅 블라인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0193U (ko) 1986-05-08 1987-11-16
JP2003293669A (ja) 2002-03-28 2003-10-15 Oiles Ind Co Ltd ブラインド装置
JP2008208547A (ja) 2007-02-23 2008-09-11 Ryuichi Takano ブライン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2563B2 (ja) * 2007-08-31 2012-12-19 隆一 高野 ブラインド
KR100936113B1 (ko) * 2009-03-09 2010-01-11 김동식 자카드직기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제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0193U (ko) 1986-05-08 1987-11-16
JP2003293669A (ja) 2002-03-28 2003-10-15 Oiles Ind Co Ltd ブラインド装置
JP2008208547A (ja) 2007-02-23 2008-09-11 Ryuichi Takano ブライン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586B1 (ko) 2013-05-22 2013-11-13 주식회사 코인 전동식 틸팅 블라인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694A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410B2 (en) Window blind
US9127500B2 (en) Cord-winding device for venetian blind
US7406995B2 (en) Pull cord device and window covering including the same
JP6889140B2 (ja) 入れ子ローラを有する建築物の開口部のための覆い 建築物の開口部のための複数のローラの覆い
KR200476345Y1 (ko) 커튼용 싱글 당김 로프 구동 장치
JP6674564B2 (ja) 窓シェード
US20140069595A1 (en) Automatic roller shade
CN105525857B (zh) 窗帘控制器
KR101525029B1 (ko)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US20140131502A1 (en) Single Pull Rope Driving Device with a Positioning Effect for a Window Curtain
JP5238392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KR101139294B1 (ko) 블라인드 장치
KR101382578B1 (ko) 블라인드 차양동작 전환장치
AU2014263713A1 (en) Cam unit, horizontal blind, and drive unit for sunlight blocking device
KR101413257B1 (ko) 블라인드 장치
JP2017115321A (ja) 遮蔽装置
BRPI0807349B1 (pt) Dispositivo com persiana enrolável em torno de um tambor
KR20110139804A (ko)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JP7002250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6964015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358982B1 (ko) 블라인드 작동방법
JP3197775U (ja) ローマンシェードの単一な引き紐式制御装置構造
KR101389216B1 (ko) 블라인드 권선장치
JP2020122263A (ja) 操作装置
KR20190001312A (ko) 롤 블라인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