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029B1 -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029B1
KR101525029B1 KR1020140064783A KR20140064783A KR101525029B1 KR 101525029 B1 KR101525029 B1 KR 101525029B1 KR 1020140064783 A KR1020140064783 A KR 1020140064783A KR 20140064783 A KR20140064783 A KR 20140064783A KR 101525029 B1 KR101525029 B1 KR 10152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circumferential direction
drum
projec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은로
Original Assignee
안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은로 filed Critical 안은로
Priority to PCT/KR2015/0008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26070A1/ko
Priority to CN201580006527.8A priority patent/CN105960504A/zh
Priority to US15/110,649 priority patent/US2017003767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a roller situa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06B2009/2435Two vertical sheets and slats in-betw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으로 현수되는 커튼지의 하단부에 상기 커튼지를 권취하는 권취롤장치가 마련되고, 상단부의 헤드레일 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견인줄을 감거나 풀어 하단부의 상기 권취롤장치를 승강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드럼을 갖는 개폐기어와, 상기 드럼 외주연에 끼워지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부를 갖는 마찰스프링과, 상기 돌출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마찰스프링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튜브휠을 포함하고, 상기 커튼지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전후 배치되는 전지(前紙) 와 후지(後紙) , 그리고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를 연결하는 블라인드지를 포함하고, 상기 후지는 상단부가 상기 헤드레일 측에 상대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전지는 상단부가 상기 튜브휠의 회전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간격이 동시에 조절되며, 상기 블라인드지는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그 경사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채광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LIGHTING ADJUSTABLE ROLL BLIND}
본 발명은 창문내측에 설치하는 롤블라인드(롤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으로 현수되는 커튼지의 하단부에 상기 커튼지를 권취하는 권취롤장치가 마련되는 롤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롤블라인드는 커튼지 원단의 두께와 신축성이 일정하지 않으면 상기 커튼지가 롤에 감길 때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감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두꺼운 커튼지를 사용할 경우 롤의 부피가 커져서 사용이 불가한 상태가 되므로 항상 얇은 커튼지만 사용해야 했고 한번 장착된 제품은 세탁 등을 위해 분해조립이 불가능해 일정한 사용기간이 경과하면 폐기처분하고 새로 장착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0905665호(등록일자: 2009.06.24) "롤블라인드용 권취롤장치"를 통해 커튼지를 하단부로부터 롤 형태로 말아 올려서 수납하고 반대로 하부로 늘어뜨려 펼쳐지도록 하여 실내외 간에 차단막을 형성하는 로만쉐이드 권취장치를 이용한 롤블라인드 권취롤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특허등록 제10-0905665호의 개량발명으로서, 커튼지가 채광조절이 안 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으로 현수되는 커튼지의 하단부에 상기 커튼지를 권취하는 권취롤장치가 마련되는 롤블라인드로서 특히 채광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롤블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으로 현수되는 커튼지의 하단부에 상기 커튼지를 권취하는 권취롤장치가 마련되고, 상단부의 헤드레일 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견인줄을 감거나 풀어 하단부의 상기 권취롤장치를 승강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드럼을 갖는 개폐기어와, 상기 드럼 외주연에 조인 상태로 감겨지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부를 갖는 마찰스프링과, 상기 돌출단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마찰스프링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튜브휠을 포함하고, 상기 커튼지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전후 배치되는 전지(前紙) 와 후지(後紙) , 그리고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를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블라인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와 후지 중 어느 하나는 상단부가 상기 헤드레일 측에 상대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전지와 후지 중 다른 하나는 상단부가 상기 튜브휠의 회전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간격이 동시에 조절되며, 상기 블라인드지는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그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튜브휠은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찰스프링과 함께 회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롤블라인드는, 구동줄을 매개로 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견인줄이 감거나 풀어지도록 하는 클러치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어는 상기 클러치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롤블라인드는, 상기 헤드레일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개폐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러치엔드캡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찰스프링의 돌출단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며, 상기 튜브휠은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돌출 원호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압 회전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는 상기 돌출 원호부에 의해 상기 마찰스프링을 더 조이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고정축은 원주방향으로 일측에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출 원호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개폐기어의 회전으로 인한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와의 접촉 시 상기 마찰스프링을 풀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롤블라인드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측에 가이드 원호부가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출 원호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스토퍼와 일측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스토퍼 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휠의 가이드 원호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를 접촉 가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롤블라인드는, 구동줄을 매개로 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견인줄이 감거나 풀어지도록 하는 클러치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클러치기어와의 사이에 제2 마찰스프링을 매개로 연동하여 회전되며 축방향으로 일측에 전동기어가 형성된 전동기어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어는 상기 전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롤블라인드는, 상기 헤드레일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클러치기어의 축심을 내측에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드럼을 갖는 클러치엔드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스프링은 상기 고정드럼의 외주연에 조인 상태로 감겨지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돌출단부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전동기어드럼은 상기 고정드럼의 외주연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돌출 원호부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는 상기 제2 돌출 원호부에 의해 상기 제2 마찰스프링을 더 조이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롤블라인드는, 상기 클러치기어의 축심과 일체로서 상기 고정드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측에 전동 원호부가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돌출 원호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 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 원호부는, 상기 클러치기어의 회전으로 인한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와의 접촉 시 상기 제2 마찰스프링을 풀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회전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롤블라인드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어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롤블라인드는,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튜브휠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블라인드조절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지와 후지 중 다른 하나의 상단부는 상기 블라인드조절튜브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블라인드조절튜브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조절튜브는 일측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의 내측으로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격벽부를 가지며, 상기 전지와 후지 중 다른 하나의 상단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수용격벽부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튜브휠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일정각도로 연장되게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를 통해 상기 수용격벽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수용격벽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튜브휠과 함께 일체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블라인드에 의하면, 수직으로 현수되는 커튼지의 하단부에 상기 커튼지를 권취하는 권취롤장치가 마련되는 롤블라인드로서 특히 상단부의 헤드레일 측에 개폐기어, 마찰스프링, 튜브휠을 구비하고, 상기 커튼지는 전지(前紙)와 후지(後紙) 그리고 블라인드지로 구성함으로써, 전지와 후지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블라인드지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를 정면 및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롤블라인드의 주요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주요부를 이루는 일부 구성에 대한 정면 및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일부 구성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7 내지 도 8b는 도 1의 롤블라인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화된 부분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의 주요부를 이루는 일부 구성에 대한 정면 및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일부 구성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일부 구성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의 주요부를 이루는 일부 구성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前紙, 111) 와 후지(後紙, 112) 그리고 이들 사이를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블라인드지(113)로 이루어진 커튼지(110)의 상단부가 헤드레일(120) 측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현수되고, 상기 커튼지(110)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롤장치(130)가 상기 커튼지(110)의 하단부에 마련된다.
권취롤장치(130)는 이를 현수하여 지지하는 견인줄(101)의 상단이 상기 헤드레일(120) 측에 마련된 권취장치(14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승강이 이루어진다.
권취롤장치(130)가 승강함에 따라 커튼지(110)의 하단이 상기 권취롤장치(130)에 감겨들어가거나 인출된다.
한편, 권취롤장치(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상단부 권취장치(140)의 조작은 헤드레일(120)의 일측면에 마련된 구동줄(102)을 통해 이루어진다.
권취롤장치(130)의 세부구성은 앞서 소개한 바 있는 특허등록 제10-0905665호에 개시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권취장치(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줄(102)의 조작으로 인해 회전 구동되는 샤프트(103)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콘(141)을 구비하며, 견인줄(101)의 상단이 상기 콘(141)에 결합됨으로써 회전하는 콘(141)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일(120)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는 클러치엔드캡(150)에 수용 및 지지되는 몇가지 구성요소들을 통해 권취롤장치(130)를 승강시키는 구동줄(102)의 조작으로 커튼지(110)의 채광조절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엔드캡(150)에는 구동줄(102)의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클러치기어(15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러치기어(151)는 전동요소(152)를 매개로 샤프트(도 3의 103)를 회전시킨다.
특히, 클러치엔드캡(150)은 상기 클러치기어(151)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개폐기어(15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개폐기어(153)는 구동줄(102)의 조작으로 인해 클러치기어(151)를 매개로 샤프트(도 3의 103)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관계가 된다. 이는 개폐기어(153)는 권취롤장치(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줄(102)만으로도 별도 조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개폐기어(153)는 그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드럼(153a)을 가지며, 이 드럼(153a)의 외주연으로는 마찰스프링(154)이 조인 상태로 감겨진다.
그리고, 마찰스프링(154)이 조여진 드럼(153a)으로는 다시 튜브휠(155)이 끼워진다.
이때, 튜브휠(15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삽입홈부(155a)가 형성되어 마찰스프링(154)의 일단부에 형성된 돌출단부(154a)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튜브휠(155)은 마찰스프링(154)을 매개로 하여 개폐기어(153)와 연동하게 된다. 다만, 튜브휠(155)에 과도한 부하가 걸린 상태, 즉 마찰스프링(154)이 드럼(153a)의 외주연을 조이고 있는 힘을 초과하는 부하가 걸린 상태에서는 개폐기어(153)가 회전할 때 마찰스프링(154)과 튜브휠(155)은 회전하지 않는다.
튜브휠(155)은 도 7의 블라인드조절튜브(160)의 내측에 삽입된다(도 3 참조). 이때, 튜브휠(15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연장되게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155b)를 가지고, 이에 대응하여 블라인드조절튜브(16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원주방향으로 상기 일정각도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격벽부(161)를 가짐으로써, 튜브휠(155) 측 수용홈부(155b)에 상기 수용격벽부(161)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튜브휠(155)과 블라인드조절튜브(160)는 일체로 회전하는 관계가 된다.
블라인드조절튜브(16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격벽부(161)에 대응하는 외측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홀(162)이 형성되고, 커튼지(110)의 전지(111) 상단부(111a)는 상기 개방홀(162)을 통해 수용격벽부(161)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한편, 커튼지(110)의 후지(112) 상단부(112a)는 헤드레일(120) 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블라인드조절튜브(160)가 반시계방향(A)으로 회전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상단부(111a)가 원주방향으로 따라서 돌아가 결국 전지(111)가 후지(112)에 밀착된다.
이때, 전지(111)가 상승되면서 후방(도면에서는 우측)으로 동시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지(111)와 후지(112) 간 연결되어 있던 블라인드지(113)는 후지(11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지(112) 표면에 그대로 포개어짐으로써 커튼지(110)를 중심으로 전후(도면에서는 좌우) 간의 완전차폐를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블라인드조절튜브(160)의 회전각도에 따라 블라인드지(113)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튼지(110)의 차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a에서와 같이 커튼지(110)의 완전차폐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블라인드조절튜브(160)에 대한 커튼지(110)의 부하가 큰 상태에 해당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의 개폐기어(153)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하더라도 튜브휠(155)을 통한 상기 부하로 인해 마찰스프링(154)은 고정되고 드럼(153a)은 헛돌게 된다. 결국, 도 8a의 과정을 거친 후의 클러치기어(151)의 추가적인 회전으로 인해서는 커튼지(110) 자체가 하단의 상승 또는 하강하는 권취롤장치(130)에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블라인드조절튜브(160)가 시계방향(B)으로 회전하면 전지 상단부(111a)는 마찬가지로 원주방향으로 따라서 돌아가 결국, 도 8b의 팽팽해진 상태에서 블라인드조절튜브(160)에 앞서 설명한 큰 부하를 주게 됨으로써 도 6의 개폐기어(153)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한다 하더라도 튜브휠(155)을 통한 상기 부하로 인해 마찰스프링(154)은 고정되고 드럼(153a)이 헛돌게 된다.
결국, 도 8b의 과정을 거친 후의 클러치기어(151)의 추가적인 회전으로 인해서는 커튼지(110) 자체가 하단의 하강 또는 상승하는 권취롤장치(130)에 풀리거나 감기게 된다.
결론적으로, 권취롤장치(130)의 어느 높이에서도 블라인드지(113)는 도 8a와 도 8b 사이의 어떠한 각도로도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줄(202)의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클러치기어(25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클러치엔드캡(250)을 포함한다.
클러치엔드캡(250)은 개폐기어(25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250a)을 가지며, 개폐기어(253)의 원통형 드럼(253a) 외주연으로는 마찰스프링(254)이 조인 상태로 감겨지고, 스토퍼 휠(256)과 튜브휠(255)은 상기 마찰스프링(254)을 매개로 하여 개폐기어(253)의 회전과 함께 회전된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스프링(254)의 돌출단부(254a, 254b)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튜브휠(255)의 내주면에는 돌출 원호부(255a)가 원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254a, 254b)의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개폐기어(253)와 함께 회전하는 마찰스프링(254)은 상기 돌출단부(254a, 254b)를 통해 돌출 원호부(255a)를 원주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튜브휠(255)을 회전시킨다.
이때, 원주방향으로 가압되는 돌출 원호부(255a)는 상대적으로 돌출단부(254a, 254b)를 반대의 원주방향으로 가압, 즉 마찰스프링(254)을 더 조이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결과가 됨으로써 마찰스프링(254)은 개폐기어(253) 상에서 헛돌지 않고 항상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개폐기어(253)의 회전이 고정되어 있는 한, 튜브휠(255)이 외력 또는 이에 의해 지지되는 커튼지의 자중(自重)에 의해 회전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마찰스프링(254)은 더욱 조이게 되어 상기 튜브휠(255)의 자체 회전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개폐기어(253)를 회전 지지하는 고정축(250a)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에 스토퍼(250b)가 돌출 형성되어, 역시 고정축(25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스토퍼 휠(256)을 매개로 하여 회전하는 마찰스프링(254)의 돌출단부(254a, 254b)를 접촉 지지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 휠(256)은 원주방향으로 일측에 가이드 원호부(256a)가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상기한 돌출 원호부(255a)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돌출단부(254a, 254b)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가이드 원호부(256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돌출단부(254b)와 스토퍼(250b)의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1의 상태에서 개폐기어(25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먼저 마찰스프링(254)이 일체로 회전하고 그 일측 돌출단부(254b)가 돌출 원호부(255a)를 시계방향으로 접촉 가압함으로써 튜브휠(255)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드디어 타측 돌출단부(254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원호부(256a)를 접촉 가압하여 같은 시계방향으로 함께 밀고 가게 되며, 밀려 회전하는 가이드 원호부(256a)는 마침내 스토퍼(250b)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회전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스토퍼(250b)는 가이드 원호부(256a)와 마찬가지로 돌출 원호부(255a)의 반대편에서 한 쌍의 돌출단부(254a, 254b) 사이에 개재되므로, 도 12의 상태에서 개폐기어(253)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일측 돌출단부(254a)를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마찰스프링(254)이 풀리게 함으로써 이 마찰스프링(254)이 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마찰스프링(254)과는 달리 개폐기어(253)는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도 11의 상태에서, 개폐기어(2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먼저 마찰스프링(254)이 일체로 회전하고 그 일측 돌출단부(254a)가 돌출 원호부(255a)를 반시계방향으로 접촉 가압함으로써 튜브휠(255)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타측 돌출단부(254b)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원호부(256a)를 접촉 가압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함께 밀고 가게 되며, 밀려 회전하는 가이드 원호부(256a)는 마침내 스토퍼(250b)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회전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스토퍼(250b)는 개폐기어(253)가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일측 돌출단부(254b)를 시계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마찰스프링(254)이 풀리게 함으로써 이 마찰스프링(254)은 개폐기어(253)와 달리 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다.
도 12와 도 13의 사이에서 튜브휠(255)이 회전한 각도범위 내에서 커튼지의 전지와 후지 중 어느 하나를 들어올림으로써 블라인드지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튜브휠(255)의 회전각도 범위는 상기한 스토퍼 휠(256)이 개재됨으로 인해 상기 스토퍼 휠(256)이 없는 경우에 비해 비약적으로 커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2와 도 13 사이의 튜브휠(255)의 회전각도는 약 360도이다.
튜브휠(255)의 회전각도가 커짐에 따라 커튼지의 전지와 후지 간 상하 차를 더 가져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블라인드지의 상하 폭 및 블라인드지 간의 상하 간격을 더 길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개폐기어(253)는 클러치기어(251)에 직접 맞물리지 않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기어(251)와 연동하는 전동기어드럼(252-1)의 축방향 일측에 형성된 전동기어(252-1a)에 맞물려 회전한다.
전동기어드럼(252-1)은 제2 마찰스프링(252-3)을 매개로 클러치기어(251)와 연동하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클러치기어(251)의 축심(251a)은 클러치엔드캡(250)의 고정드럼(250c)의 내측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2 마찰스프링(252-3)은 상기 고정드럼(250c)의 외주연에 조인 상태로 감겨진다.
전동기어드럼(252-1)은 고정드럼(250c)의 외주연에 끼워져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내주면에는 제2 돌출 원호부(252-1b)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마찰스프링(252-3) 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반경방향으로 소정각도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제2 돌출단부(252-3a, 252-3b)의 사이에 개재된다.
특히, 제2 돌출 원호부(252-1b)는 제2 마찰스프링(252-3)과의 상대회전 시 한 쌍의 제2 돌출단부(252-3a, 252-3b)를 더 조이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관계로, 결과적으로 클러치기어(251)에 기인한 회전이 아닌 개폐기어(253)에 기인한 회전을 상기 제2 마찰스프링(252-3)으로 차단시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전동기어드럼(252-1)에 대한 클러치기어(251)의 회전력 전달은 전동 휠(252-2)을 통해 달성한다.
전동 휠(252-2)은 고정드럼(250c)의 축방향 단부 측에서 클러치기어(251)의 축심(251a)과 일체로서 결합하여 상기 고정드럼(250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전동 휠(252-2)의 원주방향 일측에는 전동 원호부(252-2a)가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돌출 원호부(252-1b)의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252-3a, 252-3b)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전동 원호부(252-2a)는 클러치기어(251)와 일체로 회전함에 따라 일측 제2 돌출단부(252-3a 또는 252-3b)를 원주방향으로 접촉 가압하여 제2 마찰스프링(252-3)을 풀어주어 회전시키며, 이를 매개로 전동기어드럼(252-1) 측의 제2 돌출 원호부(252-1b)를 접촉 회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롤블라인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모터(350)에 의해 전동기어드럼(252-1)을 직접 구동하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이때, 전동기어드럼(252-1)을 수동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기어(251), 구동줄(202) 등은 배제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롤블라인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롤블라인드 101: 견인줄
102: 구동줄 103: 샤프트
110: 커튼지 111: 전지
112: 후지 113: 블라인드지
120: 헤드레일 130: 권취롤장치
140: 권취장치 141: 콘(cone)
150: 클러치엔드캡 151: 클러치기어
153: 개폐기어 154: 마찰스프링
155: 튜브휠 160: 블라인드조절튜브
250: 클러치엔드캡 251: 클러치기어
252-1: 전동기어드럼 252-2: 전동 휠
252-3: 제2 마찰스프링 253: 개폐기어
254: 마찰스프링 255: 튜브휠
256: 스토퍼 휠

Claims (12)

  1. 수직으로 현수되는 커튼지의 하단부에 상기 커튼지를 권취하는 권취롤장치가 마련되고, 상단부의 헤드레일 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견인줄을 감거나 풀어 하단부의 상기 권취롤장치를 승강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연동하여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드럼을 갖는 개폐기어와, 상기 드럼 외주연에 조인 상태로 감겨지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부를 갖는 마찰스프링과, 상기 돌출단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마찰스프링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튜브휠을 포함하고,
    상기 커튼지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전후 배치되는 전지(前紙) 와 후지(後紙) , 그리고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를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블라인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와 후지 중 어느 하나는 상단부가 상기 헤드레일 측에 상대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는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전지와 후지 중 다른 하나는 상단부가 상기 튜브휠의 회전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간격이 동시에 조절되며,
    상기 블라인드지는 상기 전지와 후지 사이의 수평 및 수직 간격이 조절됨에 따라 그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휠은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찰스프링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구동줄을 매개로 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견인줄이 감거나 풀어지도록 하는 클러치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어는 상기 클러치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개폐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러치엔드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스프링의 돌출단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며,
    상기 튜브휠은 상기 드럼의 외주연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돌출 원호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가압 회전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는 상기 돌출 원호부에 의해 상기 마찰스프링을 더 조이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기 고정축은 원주방향으로 일측에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출 원호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상기 개폐기어의 회전으로 인한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와의 접촉 시 상기 마찰스프링을 풀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그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측에 가이드 원호부가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출 원호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스토퍼와 일측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스토퍼 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휠의 가이드 원호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한 쌍의돌출단부를 접촉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구동줄을 매개로 하여 외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견인줄이 감거나 풀어지도록 하는 클러치기어와;
    상기 클러치기어와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클러치기어와의 사이에 제2 마찰스프링을 매개로 연동하여 회전되며 축방향으로 일측에 전동기어가 형성된 전동기어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어는 상기 전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일의 일측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클러치기어의 축심을 내측에 수용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드럼을 갖는 클러치엔드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스프링은 상기 고정드럼의 외주연에 조인 상태로 감겨지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2 돌출단부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이격 형성되고,
    상기 전동기어드럼은 상기 고정드럼의 외주연에 끼워지고,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돌출 원호부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는 상기 제2 돌출 원호부에 의해 상기 제2 마찰스프링을 더 조이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의 축심과 일체로서 상기 고정드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원주방향으로 일측에 전동 원호부가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상기 제2 돌출 원호부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 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동 원호부는, 상기 클러치기어의 회전으로 인한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단부와의 접촉 시 상기 제2 마찰스프링을 풀리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기어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11. 제1항에 있어서,
    내측에 삽입되는 상기 튜브휠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블라인드조절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지와 후지 중 다른 하나의 상단부는 상기 블라인드조절튜브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블라인드조절튜브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조절튜브는 일측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된 개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홀의 내측으로는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연장 형성되는 수용격벽부를 가지며,
    상기 전지와 후지 중 다른 하나의 상단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수용격벽부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튜브휠은 원주방향으로 상기 일정각도로 연장되게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를 통해 상기 수용격벽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수용격벽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튜브휠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
KR1020140064783A 2014-02-18 2014-05-29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KR10152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0869 WO2015126070A1 (ko) 2014-02-18 2015-01-28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CN201580006527.8A CN105960504A (zh) 2014-02-18 2015-01-28 能够调节进光的卷式遮光窗帘
US15/110,649 US20170037679A1 (en) 2014-02-18 2015-01-28 Roll blind capable of adjusting light ad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8184 2014-02-18
KR1020140018184 2014-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029B1 true KR101525029B1 (ko) 2015-06-03

Family

ID=5350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783A KR101525029B1 (ko) 2014-02-18 2014-05-29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037679A1 (ko)
KR (1) KR101525029B1 (ko)
CN (1) CN105960504A (ko)
WO (1) WO20151260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935B1 (ko) 2017-09-04 2017-11-13 안종현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용 구동 메커니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60882S (en) * 2015-02-20 2015-04-01 Acmeda Pty Ltd Cover assembly for a winder
US9982481B2 (en) * 2015-11-25 2018-05-29 Mario M Marocco Arch window covering with control
KR101950588B1 (ko) * 2016-06-17 2019-02-20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차양
CN107664007B (zh) * 2016-07-06 2019-03-26 德侑股份有限公司 窗帘
JP7146749B2 (ja) 2016-10-28 2022-10-04 ハンター ダグラ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可撓性パネル
CN109295907B (zh) * 2017-07-25 2021-04-16 格力博(江苏)股份有限公司 出雪筒转动调节装置及扫雪机
CN107701070B (zh) * 2017-11-14 2019-02-26 浙江省建筑科学设计研究院有限公司 薄型活动中置遮阳装置
US11669364B2 (en) 2018-12-06 2023-06-06 HashiCorp. Inc. Validation of execution plan for configuring an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CN110816333B (zh) * 2019-11-21 2022-12-27 重庆交通大学 电动车卷帘式充电盖结构总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122A (ko) * 1999-08-23 2002-05-09 조엘 버만 어소시에이츠, 인크. 랩 스프링 차양 작동기
KR20100008783U (ko) * 2009-02-26 2010-09-03 박승주 블라인드지의 설치와 교체가 손쉬운 블라인드
KR100998173B1 (ko) * 2010-06-28 2010-12-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0154A (en) * 1990-12-13 1994-06-14 Hunter Dougla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retractable window covering
KR20070020098A (ko) * 2007-01-04 2007-02-16 안은로 로만쉐이드 권취장치를 이용한 롤블라인드 권취롤장치
KR101094340B1 (ko) * 2009-11-05 2011-12-19 주식회사 한택 리플로우 장치
KR100943408B1 (ko) * 2009-11-28 2010-02-19 곽재석 이중원단의 각도를 조절하는 블라인드
KR101153854B1 (ko) * 2011-06-15 2012-06-18 주식회사 윈플러스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122A (ko) * 1999-08-23 2002-05-09 조엘 버만 어소시에이츠, 인크. 랩 스프링 차양 작동기
KR20100008783U (ko) * 2009-02-26 2010-09-03 박승주 블라인드지의 설치와 교체가 손쉬운 블라인드
KR100998173B1 (ko) * 2010-06-28 2010-12-07 (주)한국윈텍 듀얼 롤 블라인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935B1 (ko) 2017-09-04 2017-11-13 안종현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용 구동 메커니즘
WO2019045361A1 (ko) * 2017-09-04 2019-03-07 안종현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 블라인드용 구동 메커니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7679A1 (en) 2017-02-09
WO2015126070A1 (ko) 2015-08-27
CN105960504A (zh)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029B1 (ko)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US10781630B2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JP6169577B2 (ja) 建築物開口部遮蔽物の制御
EP3333352B1 (en)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having nested rollers
CN105525857B (zh) 窗帘控制器
JP5548013B2 (ja) ブラインド
US6918424B2 (en) Cord winding device for a blind
US20110168339A1 (en) Roller Shade Assembly for Stiff Shade Materials
US20190242186A1 (en) Horizontal blind structure
JP5238392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KR101680126B1 (ko)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
EP2716858B1 (en) Operating apparatus for solar radiation shielding device
JP3170391U (ja) ロールブラインド
JP3261096B2 (ja) スクリーン昇降装置
TWI567289B (zh) The operating device of the sun shading device
KR100780084B1 (ko) 블라인드용 구동장치
TW201606179A (zh) 速度調節裝置及具備該速度調節裝置的日射遮蔽裝置
KR101389216B1 (ko) 블라인드 권선장치
KR20200143025A (ko) 블라인드용 권취봉 위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