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851B1 -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851B1
KR100795851B1 KR1020070091628A KR20070091628A KR100795851B1 KR 100795851 B1 KR100795851 B1 KR 100795851B1 KR 1020070091628 A KR1020070091628 A KR 1020070091628A KR 20070091628 A KR20070091628 A KR 20070091628A KR 100795851 B1 KR100795851 B1 KR 10079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gle
elevating
lifting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충섭
이성득
Original Assignee
심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충섭 filed Critical 심충섭
Priority to KR102007009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851B1/ko
Priority to JP2010512094A priority patent/JP2010529339A/ja
Priority to EP08793734A priority patent/EP2185783A1/en
Priority to CN200880024328XA priority patent/CN101688429B/zh
Priority to PCT/KR2008/005284 priority patent/WO2009035240A1/en
Priority to BRPI0814828 priority patent/BRPI0814828A2/pt
Priority to US12/452,043 priority patent/US2010013226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 E06B2009/2646Magnetic screen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어부와, 상하좌우측 프레임으로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내장되는 외부프레임과, 상하좌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며 유리가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와의 사이에 폐공간을 형성시키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폐공간에 내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승강조절와이어에 의하여 승강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에 내장되는 수평회전봉에 권선된 각도조절와이어에 의하여 각도조절되는 슬레이트와, 상기 내부프레임의 좌측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와 연결되는 제 1승강조절수단과,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을 승강시키는 제 2승강조절수단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우측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수평회전봉과 연결되는 제 1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수평회전봉을 회전시키면서 슬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2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형성된 폐공간에 외부의 습기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부프레임의 전후면에 설치된 유리면에 성애와 같이 시선을 방해할 수 있는 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프레임의 좌우측 프레임 상면은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내부의 구 성요소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고장수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블라인드, 프레임, 슬레이트, 자석, 복층유리

Description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Auto control blinds apparatus built in multi-layer window}
본 발명은 전동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층유리 사이에 내장되어 리모콘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블라인드를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층유리 사이에 외부의 습기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 장치는 창문에 설치하여 햇빛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햇빛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여름철과 같이 강한 햇볕이 내리쬐는 계절에는 직사광선에 의하여 실내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에서 실내를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생활도 보호할 수 있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블라인드 장치는 햇빛 차단부재인 슬레이트를 제어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형과 자동형으로 구분되는데, 수동형 블라인드는 사용자가 직접 와이어(wire) 를 당겨 슬레이트의 승하강 및 각도를 제어하는 것이고, 자동형은 전동모터 등에 의해 슬레이트의 승하강 및 각도를 제어함에 따라 채광량 등을 조절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창문의 복층유리 속에 전동블라인드를 내장시킨 건물들이 많이 축조되고 있다.
이렇게 복층유리 속에 블라인드를 내장하면 보통 창문 앞에 설치하던 버티칼이 없어진 만큼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슬레이트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 않아서 항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는 복층유리 사이에 외부의 습기나 공기가 유입되어 유리면이 뿌옇게 흐려지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유입된 습기에 의하여 전동블라인드에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전동블라인드에 고장이 발생되면 창문을 통째로 떼어내어 수리를 하여야 하므로 그 수리과정이 복잡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층유리 사이에 습기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리모콘과 같은 수단으로 자동으로 블라인드의 승강과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는 제어부와, 상하좌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내장되는 외부프레임과, 상하좌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며 유리가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와의 사이에 폐공간을 형성시키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폐공간에 내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승강조절와이어에 의하여 승강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에 내장되는 수평회전봉에 권선된 각도조절와이어에 의하여 각도조절되는 슬레이트와, 상기 내부프레임의 좌측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와 연결되는 제 1승강조절수단과,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을 승강시키는 제 2승강조절수단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우측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수평회전봉과 연결되는 제 1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수평회전봉을 회전시키면서 슬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2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와, 상하좌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가 내장되는 외부프레임과, 상하좌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며 유리가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와의 사이에 폐공간을 형성시키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폐공간에 내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승강조절와이어에 의하여 승강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에 내장되는 수평회전봉에 권선된 각도조절와이어에 의하여 각도조절되는 슬레이트와, 상기 내부프레임의 좌측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와 연결되는 제 1승강조절수단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좌측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 2승강조절수단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좌측프레임 상면과 내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 및 제 2승강조절수단과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2승강조절수단의 승강력을 제 1승강조절수단에 전달하여 제 1승강조절수단을 승강시키는 제 3승강조절수단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우측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수평회전봉과 연결되는 제 1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우측프레임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 2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우측프레임 상면과 내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 및 제 2각도조절수단과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2각도조절수단의 승강력을 제 1각도조절수단에 전달하여 상기 수평회전봉을 회전시키면서 슬레이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3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 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는 내부프레임과 유리 사이에 형성된 폐공간에 외부의 습기와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부프레임의 전후면에 설치된 유리면에 성애와 같이 시선을 방해할 수 있는 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의 일실시예를 일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의 일실시예를 타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제 2승강조절수단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제 1승강조절수단의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제 1각도조절수단과 제 2각도조절수단을 보인 도이며,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수평회전봉과 수직회전봉의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는 리모콘과 같은 원격제어수단으로 신호를 받는 제어부(10)와, 상기 제어부(10)가 설치되는 외부프레임(2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에 내접되게 설치되고 전후면에 유리(40)가 설치되어 상기 유리(40)와의 사이에 폐공간(S)을 형성시키는 내부프레임(30)과, 상기 폐공간(S)에 내장되어 승강조절와이어(41)와 각도조절와이어(42)에 의하여 승강 및 각도조절되는 복수개의 슬레이트(50)와, 상기 내부프레임(30)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와 연결되는 제 1승강조절수단(60)과,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을 승강시키는 제 2승강조절수단(70)과, 상기 내부프레임(30)에 내장되고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되는 제 1각도조절수단(80)과,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수평회전봉(51)을 회전시키면서 슬레이트(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2각도조절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프레임(20)은 4각형상의 틀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상하측 프레임(21,22)과 좌우측 프레임(23,24)이 각각 서로 연결되어 상하좌우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하단에 상기 제어부(10)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은 상면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10)와 제 2승강조절수단(70)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좌측프레 임(23)의 상면을 개방하여 수리를 한 후에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되므로 종래에 고장수리를 위하여 창문 전체를 탈거하던 것에 비하여 수리를 위한 작업편의성이 향상되었으며, 상기 외부프레임(20) 중 좌측프레임(23)의 일측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부프레임(30)쪽에 배치되는 좌측프레임(23)의 일측면에는 레일(23a)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연결부(74)가 이 레일(23a)을 따라서 승강된다.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은 상면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에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우측프레임(24)의 상면을 개방하여 수리를 한 후에 원상태로 복귀시키며, 상기 외부프레임(20) 중 우측프레임(24)의 일측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부프레임(30)쪽에 배치되는 우측프레임(24)의 일측면에는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과 마찬가지로 레일(24a)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연결부(94)가 이 레일(24a)을 따라 승강된다.
상기 내부프레임(30)은 4각형상의 틀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상하측 프레임(31,32)과 좌우측 프레임(33,34)이 각각 서로 연결되어 상하좌우를 구성하고, 각각의 상하좌우측 프레임(31,32,33,34)은 그 외측면이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상하좌우측 프레임(21,22,23,24)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그 전후면에는 유리(40)가 설치되어 상기 유리(40)와의 사이에 폐공간(S)을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 내부프레임(30)을 구성하는 각각의 상하좌우측 프레 임(31,32,33,34) 외측면과 전후면에는 적절한 마감처리를 하여 상기 폐공간(S)이 완전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폐공간(S)에 외부공간의 공기와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전동블라인드의 고장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폐공간(S)에 성애와 같은 사용자의 시선을 방해하는 물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야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상측프레임(31)에는 수평회전봉(51)이 내장되는데, 상기 수평회전봉(51)은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브라켓(31-1)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와 각도조절와이어(42)는 상기 브라켓(31-1)을 통과하여 상기 슬레이트(5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의 상부에는 지지롤러(34-1)가 내장되어,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과 브라켓(31-1) 사이에 위치되는 승강조절와이어(41)의 일부분을 지지한다.
상기 슬레이트(50)는 상기 내부프레임(30)과 유리(40)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공간(S)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승강조절와이어(41)에 의하여 승강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30)의 상측 프레임(31)에 내장되는 수평회전봉(51)에 권선된 각도조절와이어(42)에 의하여 각도조절된다.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는 상기 각각의 슬레이트(50)에 형성된 관통홀(50a)에 연속적으로 끼움되어 슬레이트(50)를 승강시키고, 상기 각도조절와이이(42)는 사다리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슬레이트(50)가 삽입된다.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은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를 향하여 자석(61a)이 배치된 제 1승강자성체(61)와,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가 감겨서 회전되는 롤러(62a)가 설치된 승강몸체(62)와,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의 끝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편(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는 강력한 자력을 가진 복수개의 자석(61a)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틀에 끼움된다.
상기 승강몸체(62)는 내부에 롤러(62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된 롤러(62a)에 승강조절와이어(41)가 지나가며, 상기 롤러(62a)를 지나간 승강조절와이어(41)는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편(63)에 그 끝단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은 상기 유리(40)상에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 유리(40)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40)와의 접촉면에 바퀴(60a)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 2승강조절수단(70)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71)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7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승강모터(7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7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모터(72)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71)의 외주면상을 승강하는 승강너트(73)와, 상기 승강너트(73)의 외주면에서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74)와, 상기 연결부(74)와 연결되어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를 자력에 의하여 승강시키는 제 2승강자성체(75)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71)는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승강모터(72)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승강모터(72)는 상기 제어부(10)에서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작동 또는 정지할 뿐만 아니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게 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71)를 정역회전시킨다.
상기 승강너트(73)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71)가 정회전하면 상승되고 역회전하면 하강되는 구조 또는 그 반대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모터(72)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환하고, 이러한 상하방향 이동은 상기 연결부(74)를 통하여 상기 제 2승강자성체(75)에 전달된다.
상기 제 2승강자성체(75)는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자력을 가진 복수개의 자석(75a)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틀에 끼움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에 구비된 자석(61a)과 강한 인력이 작용하여 제 1승강자성체(61)와의 사이에 내부프레임(30)의 상면 및 유리(40)가 배치되어 있어도 자력에 의하여 서로 강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2승강조절수단(70)은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과 마찬가지 로 상기 유리(40)상에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 유리(40)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40)와의 접촉면에 바퀴(70a)를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1승강조절수단(60) 및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구동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에서 신호가 승강모터(72)에 공급되면 상기 승강모터(7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71)는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 내부에서 회전되며, 이렇게 스크류 샤프트(71)가 회전하면 상기 승강너트(73)가 그 회전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부(74)는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에 형성된 레일(23a)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며 상기 연결부(74)에 연결된 제 2승강자성체(75)가 자력에 의하여 연결된 제 1승강자성체(61)를 승강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가 승강몸체(62)의 롤러(62a) 외주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슬레이트(50)가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은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된 수직회전봉(81)과, 상기 수직회전봉(81)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고 수직회전봉(81)과 동일하게 회전하고 외주면에 가이드홈(82a)이 형성된 회전드럼(82)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회전봉(81)에 의하여 관통되며 상기 회전드럼(8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드럼(82)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하부 고정편(83,84)과, 상기 회전드럼(8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를 향하여 자석(85a)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드럼(82)의 가이드홈(82a)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미도시)가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드럼(82)의 외주면에서 승강되는 제 1각도조절자성체(85)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회전봉(81)은 철제로 제작되고 그 일측 끝단이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된다. 상기 수평회전봉(51)의 일측 끝단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쪽으로 인접한 수평회전봉(51)의 우측 끝단에는 베벨기어(51a)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회전봉(81)의 상단에는 상기 수평회전봉(51)의 베벨기어(51a)에 맞물려 회전되는 베벨기어(81a)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회전봉(81)의 회전력이 수평회전봉(51)에 전달됨으로써 각도조절와이이(42)를 운동시켜 슬레이트(5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상하부 고정편(83,84)은 상기 회전드럼(82)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드럼(8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밀착되게 설치되어 회전드럼(82)이 상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수직회전봉(81)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회전봉(81)은 상기 상하부 고정편(83,84)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는 강력한 자력을 가진 복수개의 자석(85a)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틀에 끼움된다.
한편,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은 상기 유리(40)상에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 유리(40)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 하여 상기 유리(40)와의 접촉면에 바퀴(80a)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91)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9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각도조절모터(9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9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모터(92)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91)의 외주면상을 승강하는 각도조절너트(93)와, 상기 각도조절너트(93)의 외주면에서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94)와, 상기 연결부(94)와 연결되어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를 자력에 의하여 승강시키는 제 2각도조절자성체(95)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91)는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각도조절모터(92)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스크류 샤프트(91)는 상기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스크류 샤프트(71)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슬레이트(5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각도조절자성체(95)가 상기 제 2승강자성체(75)보다 상하로 짧은 거리를 움직이면 되기 때문이다.
상기 각도조절모터(92)는 상기 제어부(10)에서 공급되는 신호에 의하여 작동 또는 정지할 뿐만 아니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게 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91)를 정역회전시킨다.
상기 각도조절너트(93)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91)가 정회전하면 상승되고 역회전하면 하강되는 구조 또는 그 반대로 구성되어, 상기 각도조절모터(92)의 수평방향 회전력을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변환하고, 이러한 상하방향 이동은 상기 연결부(94)를 통하여 상기 제 2각도조절자성체(95)에 전달된다.
상기 제 2각도조절자성체(95)는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자력을 가진 복수개의 자석(95a)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틀에 끼움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에 구비된 자석(85a)과 강한 인력이 작용하여 제 1각도조절자성체(85)와의 사이에 내부프레임(30)의 상면 및 유리(40)가 배치되어 있어도 자력에 의하여 서로 강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은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과 마찬가지로 상기 유리(40)상에서 이동할 때 그 이동을 원활히 할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 유리(40)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리(40)와의 접촉면에 바퀴(90a)를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 1각도조절수단(80) 및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구동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에서 신호가 각도조절모터(92)에 공급되면 상기 각도조절모터(9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91)는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내부에서 회전되며, 이렇게 스크류 샤프트(91)가 회전하면 상기 각도조절너트(93)가 그 회전력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결부(94)는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에 형성된 레일(24a)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며 상기 연결부(94)에 연결된 제 2각도조절자성체(95)가 자력에 의하여 연결된 제 1각도조절자성체(85)를 승강시킨다.
한편,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 프레임(23) 내부에는 상기 승강너트(73)의 상한점과 하한점을 감지하는 상한센서(23-1)와 하한센서(24-1)가 설치되어, 상기 슬레이트(50)가 폐공간(S) 내에서 최대한 상측으로 상승되었거나 하측으로 하강된 것을 감지하게 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10)에 전송되며 이 전송신호를 받은 제어부(10)는 승강모터(72)의 정역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내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너트(93)의 상한점과 하한점을 감지하는 상한센서(24-1)와 하한센서(24-2)가 설치되어, 상기 슬레이트(50)의 각도가 최대치로 회전되어 햇빛이 충분히 실내로 들어올 수 있거나 또는 슬레이트(50)가 완전히 외부의 햇빛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로 원상태로 복귀한 것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10)에 전송되며 이 전송신호를 받은 제어부(10)는 각도조절모터(92)의 정역회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를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전동블라인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정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평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와 그 구성에 있어서 많이 다르지는 않지만 몇 가지 점에서 크게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도 8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언급하고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는 제어부(10)와, 상하좌우측 프레임(21,22,23,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가 내장되는 외부프레임(20)과, 상하좌우측 프레임(31,32,33,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20)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며 유리(40)가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40)와의 사이에 폐공간(S)을 형성시키는 내부프레임(30)과, 상기 폐공간(S)에 내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승강조절와이어(41)에 의하여 승강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30)에 내장되는 수평회전봉(51)에 권선된 각도조절와이어(42)에 의하여 각도조절되는 슬레이트(50)와,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와 연결되는 제 1승강조절수단(6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 2승강조절수단(7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상면 과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 및 제 2승강조절수단(70)과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승강력을 제 1승강조절수단(60)에 전달하여 제 1승강조절수단(60)을 승강시키는 제 3승강조절수단(100)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에 내장되고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되는 제 1각도조절수단(8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 2각도조절수단(9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상면과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 및 제 2각도조절수단(90)과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승강력을 제 1각도조절수단(80)에 전달하여 상기 수평회전봉(51)을 회전시키면서 슬레이트(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3각도조절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은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를 향하여 자석(61a)이 배치된 제 1승강자성체(61)와,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가 감겨서 회전되는 롤러(62a)가 설치된 승강몸체(62)와,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의 끝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편(6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승강조절수단(70)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71)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7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승강모터(7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7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모터(72)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71)의 외주면상을 승강하는 승강너트(73)와, 상기 승강너트(73)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 저면에서 승강되는 제 2승강자성체(75)로 구성된다.
상기 제 3승강조절수단(100)은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 및 제 2승강자성체(75)와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자석(100a)이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상면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상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을 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은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된 수직회전봉(81)과, 상기 수직회전봉(81)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고 수직회전봉(81)과 동일하게 회전하며 외주면에 가이드홈(82a)이 형성된 회전드럼(82)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회전봉(81)에 의하여 관통되며 상기 회전드럼(8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드럼(82)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하부 고정편(83,84)과, 상기 회전드럼(8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를 향하여 자석(85a)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드럼(82)의 가이드홈(82a)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미도시)가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드럼(82)의 외주면에서 승강되는 제 1각도조절자성체(85)로 구성된다.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91)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9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 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각도조절모터(9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9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모터(92)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91)의 외주면상을 승강하는 각도조절너트(93)와, 상기 각도조절너트(93)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저면에서 승강되는 제 2각도조절자성체(95)로 구성된다.
상기 제 3각도조절수단(110)은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 및 제 2각도조절자성체(95)와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자석(110a)이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상면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상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슬레이트(50)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제 1승강자성체(61)의 자석(61a)과 제 2승강자성체(75)의 자석(75a)을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자력으로 연결하였으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제 2승강조절수단(70)을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에 완전히 내장시키고 제 1승강자성체(61)의 자석(61a)과 제 2승강자성체(75)의 자석(75a)을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의 자석(61a)은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 내부에서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 상면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제 2승강자성체(75)의 자석(75a)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내부에서 상기 외부프레임(20) 의 좌측프레임(23) 상면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제 3승강조절수단(100)을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상면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 3승강조절수단(100)을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 및 제 2승강조절수단(70)과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이렇게 자력에 의하여 연결된 제 3승강조절수단(100)을 이용하여 상기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승강력을 제 1승강조절수단(60)에 전달함으로써 제 1승강조절수단(60)이 상하로 이동하게 하고, 이에 의하여 슬레이트(50)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제 3승강조절수단(100)은 강력한 자력을 가진 복수개의 자석(100a)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틀에 끼움된 것으로서, 외부프레임(20)과 유리(40) 상에서 이동할 때 각각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100b)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제 3승강조절수단(100)의 자석(100a)은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의 자석(61a) 및 상기 제 2승강자성체(75)의 자석(75a)과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인력에 의해서 서로 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슬레이트(50)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일측면에 레일(23a)을 형성시키고 상기 레일(23a)을 따라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연결부(74)가 이동하여 제 1승강조절수단(60)에 승강되도록 하였으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제 3승강조절수단(100)에 의하여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승강력이 제 1승강조절수단(60)에 전달되므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연결부(74)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레일(23a)이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 임(23)에 형성될 필요성이 없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슬레이트(5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 1각도조절자성체(85)의 자석(85a)과 제 2각도조절자성체(95)의 자석(95a)을 서로 마주보도록 하여 자력으로 연결하였으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제 2각도조절수단(90)을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에 완전히 내장시키고 제 1각도조절자성체(85)의 자석(85a)과 제 2각도조절자성체(95)의 자석(95a)을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의 자석은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내부에서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상면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제 2각도조절자성체(95)의 자석(95a)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상면을 향하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제 3각도조절수단(110)을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상면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에 걸쳐지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 3각도조절수단(110)을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 및 제 2각도조절수단(90)과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이렇게 자력에 의하여 연결된 제 3각도조절수단(110)을 이용하여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승강력을 제 1각도조절수단(80)에 전달함으로써 제 1각도조절수단(80)의 수직회전봉(81)이 회전되어 상기 수평회전봉(51)을 회전시키며 연이어 수평회전봉(51)에 권선된 각도조절와이어(42)에 의하여 슬레이트(5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상기 제 3각도조절수단(110)은 강력한 자력을 가진 복수개의 자석(110a)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틀에 끼움된 것으로서, 외부프레임(20)과 유리(40) 상에서 이동할 때 각각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퀴(100b)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제 3각도조절수단(110)의 자석(110a)은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의 자석(85a) 및 상기 제 2각도조절자성체(95)의 자석(95a)과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인력에 의해서 서로 강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슬레이트(5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일측면에 레일(24a)을 형성시키고 상기 레일(24a)을 따라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연결부(94)가 이동하여 제 1각도조절수단(90)이 승강되도록 하였으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제 3각도조절수단(110)에 의하여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승강력이 제 1각도조절수단(80)에 전달되므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연결부(94)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레일(24a)이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에 형성될 필요성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즉,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과 우측프레임(24)의 상면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점과, 승강너트(73)의 상한점과 하한점을 감지하기 위하여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내부에 상한센서(23-1)와 하한센서(23-2)가 설치되는 점과, 각도조절너트(93)의 상한점과 하한점을 감지하기 위하여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내 부에 상한센서(24-1)와 하한센서(24-2)가 설치되는 점과, 수평회전봉(51)과 수직회전봉(81)이 각각의 베벨기어(51a,81a)에 의하여 연결되는 점 등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가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의 일실시예를 일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의 일실시예를 타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제 2승강조절수단을 보인 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제 1승강조절수단의 모습을 보인 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제 1각도조절수단과 제 2각도조절수단을 보인 도.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수평회전봉과 수직회전봉의 모습을 보인 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정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전동블라인드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외부프레임
30: 내부프레임 40: 유리
41: 승강조절와이어 42: 각도조절와이어
50: 슬레이트 51: 수평회전봉
60: 제 1승강조절수단 61: 제 1승강자성체
62: 승강몸체 63: 와이어 고정편
70: 제 2승강조절수단 75: 제 2승강자성체
80: 제 1각도조절수단 81: 수직회전봉
82: 회전드럼 85: 제 1각도조절자성체
90: 제 2각도조절수단 95: 제 2각도조절자성체
100: 제 3승강조절수단 110: 제 4승강조절수단

Claims (12)

  1. 제어부(10)와;
    상하좌우측 프레임(21,22,23,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가 내장되는 외부프레임(20)과;
    상하좌우측 프레임(31,32,33,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20)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며, 유리(40)가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40)와의 사이에 폐공간(S)을 형성시키는 내부프레임(30)과;
    상기 폐공간(S)에 내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승강조절와이어(41)에 의하여 승강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30)에 내장되는 수평회전봉(51)에 권선된 각도조절와이어(42)에 의하여 각도조절되는 슬레이트(50)와;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와 연결되는 제 1승강조절수단(60)과;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을 승강시키는 제 2승강조절수단(70)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에 내장되고,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되는 제 1각도조절수단(80)과;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과 자력(磁力)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어 상기 수평회전봉(51)을 회전시키면서 슬레이 트(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2각도조절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은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를 향하여 자석(61a)이 배치된 제 1승강자성체(61)와,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가 감겨서 회전되는 롤러(62a)가 설치된 승강몸체(62)와,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의 끝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편(6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승강조절수단(70)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71)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7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승강모터(7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7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모터(72)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71)의 외주면상을 승강하는 승강너트(73)와, 상기 승강너트(73)의 외주면에서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74)와, 상기 연결부(74)와 연결되어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를 자력에 의하여 승강시키는 제 2승강자성체(7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은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된 수직회전봉(81)과, 상기 수직회전봉(81)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고 수직회전봉(81)과 동일하게 회전하며 외주면에 가이드홈(82a)이 형성된 회전드럼(82)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회전봉(81)에 의하여 관통되며 상기 회전드럼(8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드럼(82)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하부 고정편(83,84)과, 상기 회전드럼(8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를 향하여 자석(85a)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드럼(82)의 가이드홈(82a)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미도시)가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드럼(82)의 외주면에서 승강되는 제 1각도조절자성체(85)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91)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9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각도조절모터(9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9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모터(92)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91)의 외주면상을 승강하는 각도조절너트(93)와, 상기 각도조절너트(93)의 외주면에서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24)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94)와, 상기 연결부(94)와 연결되어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에서 승강되면서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를 자력에 의하여 승강시키는 제 2각도조절자성체(9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 인드.
  4. 제어부(10)와;
    상하좌우측 프레임(21,22,23,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0)가 내장되는 외부프레임(20)과;
    상하좌우측 프레임(31,32,33,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20)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밀착되며 유리(40)가 전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40)와의 사이에 폐공간(S)을 형성시키는 내부프레임(30)과;
    상기 폐공간(S)에 내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승강조절와이어(41)에 의하여 승강됨과 아울러 내부프레임(30)에 내장되는 수평회전봉(51)에 권선된 각도조절와이어(42)에 의하여 각도조절되는 슬레이트(50)와;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에 내장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와 연결되는 제 1승강조절수단(6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 2승강조절수단(7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상면과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 및 제 2승강조절수단(70)과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승강력을 제 1승강조절수단(60)에 전달하여 제 1승강조절수단(60)을 승강시키는 제 3승강조절수 단(100)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에 내장되고,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되는 제 1각도조절수단(8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에 내장되고,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의하여 승강되는 제 2각도조절수단(90)과;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상면과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 상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 및 제 2각도조절수단(90)과 자력에 의하여 연결되어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승강력을 제 1각도조절수단(80)에 전달하여 상기 수평회전봉(51)을 회전시키면서 슬레이트(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제 3각도조절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승강조절수단(60)은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를 향하여 자석(61a)이 배치된 제 1승강자성체(61)와,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가 감겨서 회전되는 롤러(62a)가 설치된 승강몸체(62)와, 상기 승강조절와이어(41)의 끝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편(6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승강조절수단(70)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71)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7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승강모터(7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7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승강모터(72)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71)의 외주면상을 승강하는 승강너트(73)와, 상기 승강너트(73)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프레임(30)의 좌측프레임(33) 저면에서 승강되는 제 2승강자성체(75)로 구성되며,
    상기 제 3승강조절수단(100)은 상기 제 1승강자성체(61) 및 제 2승강자성체(75)와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자석(100a)이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상면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상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을 향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각도조절수단(80)은 상기 수평회전봉(51)과 연결된 수직회전봉(81)과, 상기 수직회전봉(81)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고 수직회전봉(81)과 동일하게 회전하며 외주면에 가이드홈(82a)이 형성된 회전드럼(82)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회전봉(81)에 의하여 관통되며 상기 회전드럼(8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드럼(82)의 위치를 고정하는 상하부 고정편(83,84)과, 상기 회전드럼(82)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전면에 설치된 유리(40)를 향하여 자석(85a)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드럼(82)의 가이 드홈(82a)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미도시)가 내부에 형성되어 회전드럼(82)의 외주면에서 승강되는 제 1각도조절자성체(85)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은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 샤프트(91)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9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0)의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되는 각도조절모터(92)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9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모터(92)의 정역회전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91)의 외주면상을 승강하는 각도조절너트(93)와, 상기 각도조절너트(93)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프레임(30)의 우측프레임(34) 저면에서 승강되는 제 2각도조절자성체(95)로 구성되며,
    상기 제 3각도조절수단(110)은 상기 제 1각도조절자성체(85) 및 제 2각도조절자성체(95)와 자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자석(110a)이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상면과 상기 내부프레임(30)의 상면에 설치된 유리(40)의 상면을 향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 내부에는 상기 승강너트(73)의 상한점과 하한점을 감지하는 상한센서(23-1)와 하한센서(23-2)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8.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 내부에는 상기 각도조절너트(93)의 상한점과 하한점을 감지하는 상한센서(24-1)와 하한센서(2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9.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봉(51)의 우측끝단과 상기 수직회전봉(81)의 상단에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베벨기어(51a,81a)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직회전봉(81)의 회전력이 수평회전봉(51)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은 상면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일측면에 레일(23a)이 형성되어, 상기 제 2승강조절수단(70)의 연결부(74)가 상기 레일(23a)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우측프레임(24)은 상면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고 일측면에 레일(24a)이 형성되어, 상기 제 2각도조절수단(90)의 연결부(94)가 상기 레일(24a)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20)의 좌측프레임(23)과 우측프레임(24)은 각각 상면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KR1020070091628A 2007-09-10 2007-09-10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KR10079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28A KR100795851B1 (ko) 2007-09-10 2007-09-10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JP2010512094A JP2010529339A (ja) 2007-09-10 2008-09-09 複層ガラスに内蔵された電動ブラインド
EP08793734A EP2185783A1 (en) 2007-09-10 2008-09-09 Auto control blinds apparatus built in multi-layer window
CN200880024328XA CN101688429B (zh) 2007-09-10 2008-09-09 置入多层窗户中的自动控制百叶窗装置
PCT/KR2008/005284 WO2009035240A1 (en) 2007-09-10 2008-09-09 Auto control blinds apparatus built in multi-layer window
BRPI0814828 BRPI0814828A2 (pt) 2007-09-10 2008-09-09 Aparelho de auto-controle de persiana embutido em janela multicamadas
US12/452,043 US20100132260A1 (en) 2007-09-10 2008-09-09 Double glazing window having built-in auto controlling bli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628A KR100795851B1 (ko) 2007-09-10 2007-09-10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851B1 true KR100795851B1 (ko) 2008-01-21

Family

ID=3921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628A KR100795851B1 (ko) 2007-09-10 2007-09-10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32260A1 (ko)
EP (1) EP2185783A1 (ko)
JP (1) JP2010529339A (ko)
KR (1) KR100795851B1 (ko)
CN (1) CN101688429B (ko)
BR (1) BRPI0814828A2 (ko)
WO (1) WO2009035240A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43B1 (ko) * 2008-04-10 2009-09-10 주식회사 윈스피아 비아이피브이 모듈이 적용된 전동 블라인드
KR101101362B1 (ko) 2009-02-27 2012-01-02 김강현 복층유리용 전동 블라인드
KR101259717B1 (ko) 2011-08-31 2013-04-30 이미경 블라인드
KR20160115098A (ko) * 2015-03-26 2016-10-06 윤병재 단열 창호
CN108204198A (zh) * 2018-03-22 2018-06-26 应芝娣 一种隐藏拉绳的中置百褶帘遮阳中空玻璃
CN108222799A (zh) * 2018-03-22 2018-06-29 应芝娣 一种电动中置百褶帘遮阳装置
CN108343351A (zh) * 2018-04-12 2018-07-31 应芝娣 一种高遮蔽的内置遮阳百叶中空玻璃外窗
CN108505923A (zh) * 2018-06-07 2018-09-07 应芝娣 一种多功能中置百褶帘遮阳中空玻璃
CN108625758A (zh) * 2018-06-21 2018-10-09 应芝娣 一种电动内置遮阳中空玻璃外窗
CN108798471A (zh) * 2018-06-21 2018-11-13 应芝娣 一种轻便灵活的内置遮阳中空玻璃外窗
KR101936522B1 (ko) 2017-09-01 2019-01-08 박상권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KR101943159B1 (ko) * 2016-09-27 2019-02-07 노준형 승강식 안전도어
KR102006163B1 (ko) 2019-03-18 2019-08-02 주식회사 윈글라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KR102242793B1 (ko) * 2020-05-08 2021-04-22 장종준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2891A (zh) * 2011-11-22 2013-06-05 周斌伟 一种具有磁力传动百叶窗结构的玻璃窗
CN102518379A (zh) * 2011-12-22 2012-06-27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可控调光门窗组件及采用该组件的家居配套
US9127497B2 (en) 2012-03-14 2015-09-08 Diamond View Technology, LLC. Variable configuration blinds
KR101320644B1 (ko) * 2012-03-23 2013-10-23 오지영 측벽용 갤러리 창호를 갖는 지붕 구조물
ITMI20131201A1 (it) * 2013-07-18 2015-01-19 Pellini Spa Dispositivo per accoppiare un gruppo di movimentazione di una tenda all'interno di una vetrocamera tripla, ad un dispositivo posto all'esterno della vetrocamera e per mezzo del quale viene comandato l'azionamento di detto gruppo di movimentazione
CN204040855U (zh) * 2014-08-12 2014-12-24 上海敬捷塑胶制品有限公司 中空窗复合式窗帘
CN204071643U (zh) * 2014-08-18 2015-01-07 上海敬捷塑胶制品有限公司 中空罗马帘
CN104405270A (zh) * 2014-12-09 2015-03-11 俞焱文 内置百叶翻转装置
AU2016206595B2 (en) * 2015-01-15 2020-06-11 Odl, Incorporated Panel unit with multiple integrated and commonly adjustable blind assemblies
CN105952356A (zh) * 2016-05-19 2016-09-21 巢湖市海风门窗有限公司 一种内置百叶中空玻璃
US10378266B2 (en) * 2016-06-16 2019-08-13 Terry Walden Remote controlled recessed window
KR101753188B1 (ko) * 2016-06-27 2017-07-03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CN108459045A (zh) * 2018-03-27 2018-08-28 镇江市建科工程质量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门窗保温性能的检测系统
CN109945471B (zh) * 2019-03-20 2021-06-04 张传运 挡风装置
CN109915005B (zh) * 2019-03-26 2020-12-08 常熟欧泰克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中空百叶顶部操作系统
CN111350452A (zh) * 2020-05-04 2020-06-30 沭阳华新玻璃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中空内置百叶连接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496Y1 (ko) 1985-10-31 1989-08-21 최종학 복층유리용 차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3900A (en) * 1982-08-16 1985-03-12 Rca Corporation Venetian blind construction
US4917167A (en) * 1989-03-23 1990-04-17 Home Fashions, Inc. Skylight window covering and control means therefor
US5379825A (en) * 1993-08-26 1995-01-10 Verosol Usa Inc. Window blind between two panes of glass
US5469905A (en) * 1993-09-07 1995-11-28 Fold-A-Shield Security and hurricane shutter
JPH0791153A (ja) * 1993-09-24 1995-04-04 Central Glass Co Ltd 複層ガラス内のブラインド駆動装置および駆動機構
JPH08165868A (ja) * 1994-12-14 1996-06-25 Aichi Mach Ind Co Ltd 二重窓構造
JPH1072975A (ja) * 1996-08-30 1998-03-17 Showa Koki Kk 二重窓
US5699845A (en) * 1996-09-25 1997-12-23 International Window Fashions, Inc. Magnetic tilt mechanism for Venetian blinds
US5810065A (en) * 1997-04-02 1998-09-22 Flexso S.R.L. Roller curtain for windows of moving vehicles
KR100447725B1 (ko) * 2002-03-14 2004-09-08 권영선 블라인드
US20060169418A1 (en) * 2002-07-22 2006-08-03 Pella Corporation Window covering leveling method
CN1587629A (zh) * 2004-10-15 2005-03-02 天津青亚玻璃制品有限公司 双玻璃门窗中夹置百叶窗的升降装置
CA2579216A1 (en) * 2005-07-14 2007-01-18 Avigdor Ben-David A manually operated venetian blind and method of darkening a room
JP4081502B1 (ja) * 2007-02-23 2008-04-30 隆一 高野 ブラインド
JP5102563B2 (ja) * 2007-08-31 2012-12-19 隆一 高野 ブラインド
CN101994481A (zh) * 2009-08-19 2011-03-30 常熟欧泰克建筑节能科技有限公司 中空玻璃内置遮阳产品电动控制机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496Y1 (ko) 1985-10-31 1989-08-21 최종학 복층유리용 차양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43B1 (ko) * 2008-04-10 2009-09-10 주식회사 윈스피아 비아이피브이 모듈이 적용된 전동 블라인드
KR101101362B1 (ko) 2009-02-27 2012-01-02 김강현 복층유리용 전동 블라인드
KR101259717B1 (ko) 2011-08-31 2013-04-30 이미경 블라인드
KR20160115098A (ko) * 2015-03-26 2016-10-06 윤병재 단열 창호
KR101707479B1 (ko) 2015-03-26 2017-02-27 윤병재 단열 창호
KR101943159B1 (ko) * 2016-09-27 2019-02-07 노준형 승강식 안전도어
KR101936522B1 (ko) 2017-09-01 2019-01-08 박상권 임의 개방이 가능한 3d 쉐이드 커튼
CN108222799A (zh) * 2018-03-22 2018-06-29 应芝娣 一种电动中置百褶帘遮阳装置
CN108204198A (zh) * 2018-03-22 2018-06-26 应芝娣 一种隐藏拉绳的中置百褶帘遮阳中空玻璃
CN108343351A (zh) * 2018-04-12 2018-07-31 应芝娣 一种高遮蔽的内置遮阳百叶中空玻璃外窗
CN108343351B (zh) * 2018-04-12 2019-10-08 广西创兴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高遮蔽的内置遮阳百叶中空玻璃外窗
CN108505923A (zh) * 2018-06-07 2018-09-07 应芝娣 一种多功能中置百褶帘遮阳中空玻璃
CN108505923B (zh) * 2018-06-07 2020-02-04 应芝娣 一种多功能中置百褶帘遮阳中空玻璃
CN108625758A (zh) * 2018-06-21 2018-10-09 应芝娣 一种电动内置遮阳中空玻璃外窗
CN108798471A (zh) * 2018-06-21 2018-11-13 应芝娣 一种轻便灵活的内置遮阳中空玻璃外窗
KR102006163B1 (ko) 2019-03-18 2019-08-02 주식회사 윈글라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KR102242793B1 (ko) * 2020-05-08 2021-04-22 장종준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88429A (zh) 2010-03-31
CN101688429B (zh) 2012-08-22
US20100132260A1 (en) 2010-06-03
EP2185783A1 (en) 2010-05-19
WO2009035240A1 (en) 2009-03-19
JP2010529339A (ja) 2010-08-26
BRPI0814828A2 (pt)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851B1 (ko)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KR20100034361A (ko) 유리창의 햇빛 투과량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101692374B1 (ko) 개폐식 수문 장치
KR200477536Y1 (ko) 상하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KR101962338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101362B1 (ko) 복층유리용 전동 블라인드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KR102160421B1 (ko) 복층유리용 자동블라인드장치
CN109915005B (zh) 中空百叶顶部操作系统
CN214091643U (zh) 一种多层中空玻璃百叶窗
CN111395932B (zh) 手自一体中空玻璃内置百叶窗
CN204033025U (zh) 电动窗帘升降机
KR101753188B1 (ko)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KR101131842B1 (ko) 승강 이동형 전동블라인드
KR101021325B1 (ko) 수동식 스크린 블라인드
TWM502735U (zh) 二段式窗簾採光調整裝置
JP2009275351A (ja) 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及び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回動方法
CN212454192U (zh) 自主供电驱动中空玻璃内置百叶窗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CN212428540U (zh) 电驱动中空玻璃内置百叶窗
KR101375575B1 (ko) 복층유리용 전동 블라인드
KR200355962Y1 (ko) 상.하 및 좌.우 개폐가 가능한 커튼
KR101707840B1 (ko) 차양 장치
KR102340732B1 (ko) 복층유리용 자동블라인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