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188B1 -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188B1
KR101753188B1 KR1020160080304A KR20160080304A KR101753188B1 KR 101753188 B1 KR101753188 B1 KR 101753188B1 KR 1020160080304 A KR1020160080304 A KR 1020160080304A KR 20160080304 A KR20160080304 A KR 20160080304A KR 101753188 B1 KR101753188 B1 KR 10175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blind
space
rectangular fram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철
황상근
오명환
이정근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주식회사 씨이앤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주식회사 씨이앤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80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4Combinations of lamellar blinds with roller shutters, screen windows, windows, or double panes; Lamellar blinds with special devices
    • E06B2009/2643Screens between double windows
    • E06B2009/2646Magnetic screen oper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2009/285Means for actuating a rod (being tilt rod or lift rod)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경사조절부와 승하강조절부를 외부에서 작동하는 자석이동부를 손으로 움직이지 않고 전동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자석이동부 상하이동용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동구동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 외부에 설치된 자석이동부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이 났을 경우에도 수리가 용이하며, 필요시 수동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Embedded Blind type Multi-layered Glass Window System with Electric Motorized Device}
본 발명은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의 블라인드를 외부에서 개폐하는 자석이동부 구동장치를 구비한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에 설치된 블라인드의 경사조절부와 승하강조절부를 외부에서 작동하는 자석이동부를 손으로 움직이지 않고 전동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자석이동부 상하이동용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 고층화되면서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외벽인 커튼월 시스템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커튼월 시스템은 단순히 공간을 칸막이하는 커튼역할을 하는데서 그 이름이 유래된‘비내력 칸막이벽’이며 외부로부터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과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창호는 가장 큰 에너지 손실이 일어나는 부분으로 커튼월 창호 시스템은 창면적비가 커서 에너지 손실에 더 취약하다. 태양복사의 유입으로 인해 냉방부하가 일어나며, 하절기 블랙아웃 또는 에너지 과소비 문제가 생기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태양복사의 유입을 적절히 차단할 수 있는 블라인드가 창호에 도입되고 그 종류로는 실외형, 실내형 그리고 내장형이 있다. 건물 외측에 적용된 실외병 블라인드의 경우는 외풍 및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하자 발생에 대한 위험도가 클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실내형 블라인드의 경우는 일사에 노출된 내측 적용 블라인드가 열을 실내로 방출하여 냉방 부하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외부 환경에 적합하도록 블라인드를 작동할 수 없으며, 재실자가 블라인드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내 환경의 개선 정도가 미비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 쌍의 유리판 내에 블라인드를 내장한 창호는 경사조절줄을 풀거나 당기도록 된 경사조절 모터와 승하강줄을 풀거나 당기도록 된 승하강 조절 모터를 창호내부에 구비한다. 그러나, 블라인드를 승하강 시킬 때 편리하지만 프레임 내부에 모터를 내장하고 있어 고장이 났을 때 프레임을 모두 분해하여 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 731987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는 한 쌍의 유리판내에 블라인드를 내장한 창호로, 블라인드의 날개를 승, 하강하고 날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부에 외부자석에 반응하는 내부자석을 이용한 승하강수단 및 경사조절수단을 두고, 외부자석의 이동위치에 레일을 구비하여, 승하강수단 및 경사조절수단이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이중창호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블라인드를 승하강시키거나 날개의 각도조절을 일일이 손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하다.
한국 등록특허 제 731987호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본 발명은 프레임 내부에 위치한 블라인드를 외부에 설치된 자석이동부로 구동시키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사각형프레임에 의해 외측유리와 내측유리가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층유리 창호;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견인줄을 구비한 경사조절부 및 승하강조절부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되고 승하강되는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블라인드;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견인줄로 상기 경사조절부 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내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극성 자석이 고정된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견인줄로 상기 승하강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내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극성 자석이 고정된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외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극성 자석이 고정된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외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극성 자석이 고정된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상기 경사조절 및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를 상하로 각각 이동시키는 전동구동장치; 및 상기 전동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동구동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나사선을 구비한 막대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복층유리 창호는 상기 외측유리와 상기 내측유리 사이에 중간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내측유리와 상기 중간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중간유리와 상기 외측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제1 공간부에 설치되는,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경사조절부 및 승하강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견인줄로 각각, 상기 날개와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및 상기 날개와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를 연결하는,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동구동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고정줄로, 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을 제공한다.
전동구동장치를 이용하여 프레임 외부에 설치된 자석이동부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장이 났을 경우에도 수리가 용이하며, 필요시 수동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이동부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의 단면도로, 3a는 블라인드가 하강하고 날개가 개방된 상태, 3b는 블라인드가 하강하고 날개가 일부 개방된 상태, 3c는 블라인드가 상승하고 날개가 개방된 상태이다.
도 4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에서 수동조절장치와 전동구동장치를 대비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정면", "배면", "측면"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다른 부재의 "아래(below)" 또는 "아래"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가로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도 해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 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3은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의 단면도로, 3a는 블라인드가 하강하고 날개가 개방된 상태, 3b는 블라인드가 하강하고 날개가 일부 개방된 상태, 3c는 블라인드가 상승하고 날개가 개방된 상태이다.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에서는 창호시스템에 내장된 블라인드를 구동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며 그 구동원을 창호 내부에 두거나 외부에 둘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외부에서 수동으로 블라인드(10)를 구동하는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의 블라인드 날개(5) 움직임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시스템의 블라인드 날개의 각도조절 및 승하강조절시스템은 사각형프레임에 의해 외측유리와 내측유리가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층유리 창호;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견인줄을 구비한 경사조절부 및 승하강조절부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되고 승하강되는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블라인드;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견인줄로 상기 경사조절부 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내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극성 자석이 고정된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견인줄로 상기 승하강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내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극성 자석이 고정된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외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극성 자석이 고정된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및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외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극성 자석이 고정된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 극성은 S극 또는 N극이고 상기 제2 극성은 상기 제1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이 배열된다. 즉,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의 자석이 가진 극성이 N극이면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의 자석이 가지는 극성은 S극이다. 또한,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의 자석이 가진 극성이 S극이면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의 자석이 가지는 극성은 N극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에에서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와 상기 내부 자석이동부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각각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서로의 자기력에 의해 외부 자석이동부가 이동하면 내부 자석이동부도 함께 이동한다.
도 4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에서 수동조절장치와 전동구동장치를 대비하여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은, 상기 경사조절 자석이동부(35) 및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36)를 상하로 각각 이동시키는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25)와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26); 및 상기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25)와 상기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26)를 제어하는 제어부(29)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동구동장치는 종래기술의 외부 자석이동부에 탈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수동식과 전동식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시스템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25, 26)는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35, 36)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리벳, 나사 또는 끼움도구 등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석이동부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은, 사각형프레임에 의해 외측유리와 내측유리가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층유리 창호;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견인줄을 구비한 경사조절부 및 승하강조절부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되고 승하강되는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블라인드;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견인줄로 상기 경사조절부 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내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극성 자석이 고정된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견인줄로 상기 승하강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내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극성 자석이 고정된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외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극성 자석이 고정된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외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극성 자석이 고정된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상기 경사조절 및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를 상하로 각각 이동시키는 전동구동장치; 및 상기 전동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전동구동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나사선을 구비한 막대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복층유리 창호는 상기 외측유리와 상기 내측유리 사이에 중간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내측유리와 상기 중간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중간유리와 상기 외측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제1 공간부에 설치(도 3a 내지 3c 참조)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내장형 블라인드를 상기 제1 공간부에 설치하는 것이 일사에너지의 실내차단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나, 상기 제2 공간부에 설치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2는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에서, 상기 경사조절부 및 승하강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견인줄로 각각, 상기 날개와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및 상기 날개와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견인줄은 경사조절 견인줄(6)과 승하강 조절 견인줄(7)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조절 견인줄(6)은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15)와 상기 경사조절부(3)를 통해 날개 경사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조절 견인줄(7)은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16)와 상기 승하강 조절부(4)를 통해 블라인드 승하강을 조절한다.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15)와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16)는 상기 견인줄(6, 7)의 한쪽 끝을 견인줄 고정부(50)에 고정하고 이동하여 견인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은 상기 전동구동장치로 나사선을 구비한 막대 대신, 길이 방향으로 상하이동하는 고정줄(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줄은 모터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상하부에 도르레를 구비하고 고리 형상의 고정줄을 상하로 설치하여 상기 상하로 설치된 고리 형상의 일 방향에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35, 36)를 고정시켜 상하 운동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 양쪽에 톱니바퀴를 설치하고 상기 톱니바퀴에 맞물려 상하운동하는 체인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35, 36)를 상기 체인에 고정시켜 상하 운동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구현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 경사조절부
4. 승하강조절부
5. 블라인드 날개
6. 경사조절 견인줄
7. 승하강조절 견인줄
10. 블라인드
15.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16.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20. 전동구동장치 덮개
21. 경사조절 나사선 막대
22. 경사조절 모터
23. 승하강조절 나사선 막대
24. 승하강조절 모터
25.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
26.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
29. 전동구동장치 제어부
35.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36.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50. 견인줄 고정부

Claims (5)

  1.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사각형프레임에 의해 외측유리와 내측유리가 간격을 가지면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복층유리 창호;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견인줄을 구비한 경사조절부 및 승하강조절부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되고 승하강되는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블라인드;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견인줄로 상기 경사조절부 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내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극성 자석이 고정된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견인줄로 상기 승하강조절부와 연결되며 상기 측면 내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 극성 자석이 고정된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외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극성 자석이 고정된 경사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와 대향하여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측면 외부공간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2 극성 자석이 고정된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
    상기 경사조절 및 승하강조절 외부 자석이동부를 상하로 각각 이동시키는 전동구동장치; 및
    상기 전동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구동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나사선을 구비한 막대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되, 수동식과 전동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자석이동부에 끼움도구를 사용하여 탈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경사조절부 및 승하강조절부는 상기 사각형프레임의 상부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견인줄로 각각, 상기 날개와 상기 경사조절 내부 자석이동부 및 상기 날개와 상기 승하강조절 내부 자석이동부를 연결하고,
    상기 복층유리 창호는 상기 외측유리와 상기 내측유리 사이에 중간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부는 상기 내측유리와 상기 중간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부, 상기 중간유리와 상기 외측유리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제1 공간부에 설치되는,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80304A 2016-06-27 2016-06-27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KR10175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04A KR101753188B1 (ko) 2016-06-27 2016-06-27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304A KR101753188B1 (ko) 2016-06-27 2016-06-27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188B1 true KR101753188B1 (ko) 2017-07-03

Family

ID=5935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304A KR101753188B1 (ko) 2016-06-27 2016-06-27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63B1 (ko) 2019-03-18 2019-08-02 주식회사 윈글라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987B1 (ko) * 2006-12-05 2007-06-25 주식회사 오티케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JP2010529339A (ja) * 2007-09-10 2010-08-26 ソン トク リ 複層ガラスに内蔵された電動ブライン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987B1 (ko) * 2006-12-05 2007-06-25 주식회사 오티케이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JP2010529339A (ja) * 2007-09-10 2010-08-26 ソン トク リ 複層ガラスに内蔵された電動ブライン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63B1 (ko) 2019-03-18 2019-08-02 주식회사 윈글라스 복층유리 내장형 자동 블라인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987B1 (ko) 블라인드가 내장된 이중창호
KR100795851B1 (ko) 복층유리에 내장된 전동블라인드
EP2271813B1 (en) Venetian blinds with magnetic controller for regulation
US20060118250A1 (en) Blind assembly for insulated window
US8813808B2 (en) Track for an adjustable blind assembly
US9447635B2 (en) Motorized roller shade system with a sun angle sensor
KR101693796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1564513B1 (ko) 개선된 각도 조절 구조를 갖는 채광 및 차광용 반사판 조절장치
CN113585945A (zh) 一种可伸缩百叶窗及其使用方法
KR101753188B1 (ko) 자석이동부의 전동구동장치를 구비한 블라인드 내장형 복층유리 창호시스템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KR101101362B1 (ko) 복층유리용 전동 블라인드
KR101598977B1 (ko) 건축물의 채광 가능한 도어
KR10156217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루버창
CN109113554B (zh) 一种百叶帘翻转装置以及百叶窗
KR20160120635A (ko) 창호 시스템
CN214091643U (zh) 一种多层中空玻璃百叶窗
KR101133450B1 (ko) 블라인드형 차광장치
JP2000248856A (ja) ブラインド及びブラインド付き二重窓
KR20210025370A (ko) 블라인드 내장 이중창호
KR101763385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CN219431742U (zh) 一种电动外挂式百叶窗系统
KR20200143932A (ko) 전동 롤 블라인드
JP2007039968A (ja) 複層ガラス内蔵ブライ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