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840B1 -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차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840B1
KR101707840B1 KR1020150063284A KR20150063284A KR101707840B1 KR 101707840 B1 KR101707840 B1 KR 101707840B1 KR 1020150063284 A KR1020150063284 A KR 1020150063284A KR 20150063284 A KR20150063284 A KR 20150063284A KR 101707840 B1 KR101707840 B1 KR 10170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hielding member
motor box
motor
sl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282A (ko
Inventor
이윤규
이승건
Original Assignee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썬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84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양 장치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구동 모터 및 회전 부재가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박스부,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고, 상기 모터 박스부에 대하여 승하강하거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수평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다수개의 슬랫, 상기 회전 부재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을 상기 모터 박스부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승강 와이어, 상기 회전 부재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각도 조절 와이어, 및 상기 모터 박스부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 박스부 및 슬랫 사이의 직사광선 또는 시야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차양 장치의 직사광선 또는 시야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양 장치{Awning device}
본 발명은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양 장치는, 창문과 같은 개구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직사광선이나 시야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차양 장치는, 서로 상하로 이격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슬랫 및 상기 슬랫의 상하 이동을 위한 승강 와이어 및 각도 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승강 와이어 및 각도 조절 와이어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동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차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양 장치는 직사광선 또는 시야를 차폐하기 위하여 슬랫 고정박스부(200)로부터 상하 이동 및 각도 조절을 통해 다수개의 슬랫(300)이 조절 와이어(300)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슬랫(300)의 일단 및 타단과 결합된 각도 조절 와이어(500)에 의해 슬랫(300)의 각도가 조절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상기 슬랫(300)의 각도 조절을 위해 도 1과 같이 상기 슬랫 고정박스부(200) 및 상기 고정박스부(200)의 직하방에 위치된 슬랫(301) 사이에 직사광선이나 시야이 차폐되지 않는 틈새가 생기도록 설계된다. 하지만, 상기 공간부 사이로 직사광선 또는 시야이 유입된다. 이에, 직사광선 또는 시야의 차폐 효과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직사광선 또는 시야 차폐 효과가 향상된 차양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차양 장치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구동 모터 및 회전 부재가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박스부,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고, 상기 모터 박스부에 대하여 승하강하거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수평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다수개의 슬랫, 상기 회전 부재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을 상기 모터 박스부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승강 와이어, 상기 회전 부재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각도 조절 와이어, 및 상기 모터 박스부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 박스부 및 슬랫 사이의 직사광선 또는 시야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 부재는, 승하강 또는 회동하는 상기 슬랫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슬랫 중 상기 모터 박스부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제1 슬랫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고, 상기 차폐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슬랫의 회동 궤도 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슬랫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그 상단을 중심으로 그 하단이 회동하고, 상기 차폐 부재가 상기 제1 슬랫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 부재의 하단은 상기 차폐 부재의 상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슬랫의 폭 방향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슬랫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슬랫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차폐 부재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슬랫을 따라서 이동하는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랫의 일면에 상기 차폐 보강 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양 장치는 상기 슬랫 고정박스 및 상기 슬랫 고정박스의 직하방에 위치된 슬랫 사이에 직사광선 또는 시야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 보강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차양 장치의 직사광선 또는 시야 차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100), 상기 구동축(1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100), 상기 구동 모터 및 회전 부재(100)가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박스부(200),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고, 상기 모터 박스부(200)에 대하여 승하강하거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수평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다수개의 슬랫(300),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상기 모터 박스부(200)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와이어(400),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각도 조절 와이어(500), 및 상기 모터 박스부(20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 박스부(200) 및 상기 슬랫(301) 사이의 직사광선 또는 시야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6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 모터(미도시)는, 상기 슬랫(300)의 승하강 및 각도 조절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 모터는, 예를 들면, 상기 슬랫 고정 박스부(2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100)는 상기 구동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1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부재(100)에 감겨진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500)가 롤링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500)와 결합된 슬랫의 일단 또는 타단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승하강함에 따라 상기 슬랫(300)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모터 박스부(200)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박스부(200)는, 창문 등에 인접하는 천장면 등과 같은 실내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박스부(200) 내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가 위치되고, 상기 구동 모터 및 회전부재(100)를 고정 및 하우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슬랫(300)은, 상기 모터 박스부(200)에 대하여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랫(300)은, 수평 방향의 가상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직사광선 또는 시야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슬랫(300)은, 기설정된 길이(L)와 폭(W)을 가지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랫(300)은, 승하강 정도 및 각도에 따라서, 직사광선 또는 시야이 유입되는 창문 등을 완전하게 개방 또는 차폐하거나 일부를 개방 및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랫(300)의 일측에는 반사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홈(310)이 형성됨에 따라, 실내의 빛을 반사시키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와이어(400)는,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1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상기 모터 박스부(200)에 대하여 승하강시킨다.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500)는, 제1 각도 조절 와이어(510) 및 제2 각도 조절 와이어(52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1 각도 조절 와이어(510) 및 상기 제2 각도 조절 와이어(520)는, 상기 구동축(10)을 중심으로 와이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슬랫의 폭 방향 일단 및 타단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조절되어, 상기 슬랫(300)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차폐 부재(600)는, 상기 모터 박스부(200)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 때, 상기 모터 박스부(200)의 일측에 회전축(610)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610)에 상기 차폐 부재(600)가 결합된다.
상기 차폐 부재(600)는, 승하강 또는 회동하는 상기 슬랫(30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슬랫(300) 중 상기 모터 박스부(200)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제1 슬랫(301)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이에, 상기 차폐 부재(600)가 상기 회전축(61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슬랫(301)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상기 차폐 부재(6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슬랫(301)의 회동 궤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차폐 부재(600)의 하단이 상기 제1 슬랫(301)과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 부재(600)는, 상기 제1 슬랫(301)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그 상단을 중심으로 그 하단이 회동하고, 상기 차폐 부재(600)가 상기 제1 슬랫(301)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 부재(600)의 하단은 상기 차폐 부재(600)의 상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슬랫(301)의 폭 방향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슬랫(301)이 상기 모터 박스부(200)를 향해 승강할 때 상기 제1 슬랫(301)의 승강에 의한 상기 차폐 부재(600)의 연동이 용이해진다.
상기 차폐 부재(60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슬랫(301)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슬랫(301)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차폐 부재(600)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슬랫(301)을 따라서 이동하는 안내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301)는 라운딩처리되어, 상기 제1 슬랫(301)을 따라서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 부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개구부를 통한 직사광선의 유입 및 시야를 허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500)가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슬랫(300)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상하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슬랫(301) 및 상기 차폐 부재(600)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에, 상기 모터 박스부(200) 및 제1 슬랫(301) 사이의 틈새도 개방된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개구부를 통한 직사 광선의 유입 및 시야를 차폐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동작시키면,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500)가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슬랫(300)이 수평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슬랫(301)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차폐 부재(600)와 접촉된다.
그리고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상기 슬랫()이 계속하여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500)가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하로 인접하는 상기 슬랫(300)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개구부가 완전하게 차폐된다. 이때 상기 제1 슬랫(301)과 상기 차폐 부재(600)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모터 박스부(200) 및 제1 슬랫(301) 사이의 틈새가 상기 차폐 부재(600)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슬랫(301)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차폐 부재(600)가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슬랫(301)의 회동이 상기 차폐 부재(600)에 의하여 간섭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개구부의 완전한 개방을 위하여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500)가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슬랫(3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가 동작하면, 상기 슬랫(300)이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랫(300)이 개구부 상부 일부에 위치됨으로써, 개구부가 개방된다. 이때에도, 상기 제1슬랫(301)의 승강에 연동하여 상기 차폐 부재(600)가 그 상단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슬랫(301)의 승강이 상기 차폐 부재(600)에 의하여 간섭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100 : 회전 부재 200 : 모터 박스부
300 : 슬랫 400 : 승하강 와이어
500 : 각도 조절 와이어 510 : 제1 각도 조절 와이어
520 : 제2 각도 조절 와이어 600 : 차폐 부재

Claims (5)

  1.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부재(100);
    상기 회전 부재(100)가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 박스부(200);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가지고, 상기 모터 박스부(200)에 대하여 승하강하거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수평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다수개의 슬랫(300);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상기 모터 박스부(200)에 대하여 승하강시키는 승강 와이어(400);
    상기 회전 부재(100)를 통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슬랫(300)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각도 조절 와이어(500); 및
    상기 모터 박스부(20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 박스부(200) 및 슬랫(30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차폐 부재(600); 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 부재(600)는, 승하강 또는 회동하는 상기 슬랫(30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슬랫(300) 중 상기 모터 박스부(200)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제1 슬랫(301)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차양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6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슬랫(301)의 회동 궤도 내에 위치되는 차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600)는, 상기 제1 슬랫(301)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그 상단을 중심으로 그 하단이 회동하고,
    상기 차폐 부재(600)가 상기 제1 슬랫(301)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 부재(600)의 하단은 상기 차폐 부재(600)의 상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슬랫(301)의 폭 방향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차양 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60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슬랫(301)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슬랫(301)의 승하강 또는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차폐 부재(600)가 회동하도록 상기 제1 슬랫(301)을 따라서 이동하는 안내부(240)가 구비되는 차양 장치.

KR1020150063284A 2015-05-06 2015-05-06 차양 장치 KR10170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84A KR101707840B1 (ko) 2015-05-06 2015-05-06 차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84A KR101707840B1 (ko) 2015-05-06 2015-05-06 차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82A KR20160131282A (ko) 2016-11-16
KR101707840B1 true KR101707840B1 (ko) 2017-02-27

Family

ID=5754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284A KR101707840B1 (ko) 2015-05-06 2015-05-06 차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8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3197Y2 (ko) * 1980-09-18 1986-09-27
JPH0622494U (ja) * 1991-01-30 1994-03-25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のヘッドボックスの化粧フレ−ム
JP2569583Y2 (ja) * 1992-06-23 1998-04-28 鉱研工業株式会社 ハンマーサブの接手構造
JP2606247Y2 (ja) * 1993-07-16 2000-10-10 株式会社ニチベイ ブライ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82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142B1 (ko) 영역별 블라인드 슬랫 조절 장치
KR101564513B1 (ko) 개선된 각도 조절 구조를 갖는 채광 및 차광용 반사판 조절장치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KR101707840B1 (ko) 차양 장치
KR200485829Y1 (ko) 블라인드 프레임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KR20110085337A (ko) 슬랫의 완전차광 및 현수시 쏠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니션 블라인드
KR101133449B1 (ko) 옥외형 차광장치
KR101133448B1 (ko) 옥외형 차광장치
KR101286992B1 (ko) 지붕의 개폐장치
JP5770489B2 (ja) 昼光利用ブラインド
JP2014029089A (ja) 電動日射制御装置及び電動日射制御装置の昇降体昇降方法
KR101205520B1 (ko) 분리 조절형 블라인드 장치
KR20160003621U (ko) 차양 시스템용 자동 조절 장치
JP2009275351A (ja) 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及び電動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回動方法
US5927365A (en) Multi-directional window covering apparatus
KR20110045993A (ko) 블라인드형 차광장치
KR200363365Y1 (ko) 블라인드
KR102129388B1 (ko) 채광루버형 일사조절장치
JP7342667B2 (ja) ブラインド
JP2006052600A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JP2010261174A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KR101618095B1 (ko) 블라인드장치
KR102166135B1 (ko) 태양 추종식 블라인드 장치 및 광 제어 방법
KR102075604B1 (ko) 집광채광 루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